KR101232294B1 -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294B1
KR101232294B1 KR20100131491A KR20100131491A KR101232294B1 KR 101232294 B1 KR101232294 B1 KR 101232294B1 KR 20100131491 A KR20100131491 A KR 20100131491A KR 20100131491 A KR20100131491 A KR 20100131491A KR 101232294 B1 KR101232294 B1 KR 10123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eam pattern
ball
shield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081A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3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실드 및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는, 구동 모터부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동하여 회동축 상에 연결된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제 1 레그는 제 2 기어측에 고정되고, 제 2 레그는 커버부에 고정되는 제 1 탄성부; 및 제 1 끝단은 커버부에 고정되고, 제 2 끝단은 볼과 결합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저가의 DC 모터를 사용하면서 기구적인 원리로 정확하게 회전 실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Lamp shield driving apparatus and la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의 일부를 차폐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차광 실드가 형성된 램프 실드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램프의 규격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 통행(좌측 운전)인가 좌측 통행(우측 운전)인가에 따라서 헤드 램프 빔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주행 상태,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 노면 상태 및 주위 밝기 등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만들어 주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배광 패턴을 변경하여주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를 차단하여 배광 패턴을 결정하는 다수의 차광 실드를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배광 패턴을 변경하게 된다. 이때, 차광 실드가 다수개 형성되어야 할 경우,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회전 실드를 따라 각 배광 패턴을 가지는 차광 실드를 형성하고, 원통형 회전 실드를 회전시킴으로써 배광 패턴을 조절하게 된다.
종래에는 원통형 회전 실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Solenoid)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가 직선 운동을 하고, 직선 운동을 하는 실린더에 의해 실드가 회전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실린더의 직선 운동을 실드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 마찰음과 충격음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텝 모터(Step Motor)를 이용하여 직접 실드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스텝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 회로에 의해 정확한 각도 제어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가의 모터를 사용하여 기구적인 원리로 회전 실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전 실드 및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는, 구동 모터부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동하여 회동축 상에 연결된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제 1 레그는 제 2 기어측에 고정되고, 제 2 레그는 커버부에 고정되는 제 1 탄성부; 및 제 1 끝단은 커버부에 고정되고, 제 2 끝단은 볼과 결합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기어는 커버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1레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제 2 기어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2레그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그는 상기 제1레그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그는 상기 제2레그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일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반대 방향측이고,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타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방향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초기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가 상기 커버부의 제1스토퍼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기어는 빔 패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는 제1빔패턴을 정의하는 제1홀딩 그루브, 제2빔패턴을 정의하는 제2홀딩 그루브 및 제3빔패턴을 정의하는 제3홀딩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는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그루브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최종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가 상기 커버부의 제2스토퍼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초기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와 상기 볼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볼이 상기 제 2 기어의 표면에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최종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는 상기 볼과 상기 볼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스토퍼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따르면 저가의 DC 모터를 사용하면서 기구적인 원리로 정확하게 회전 실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빔패턴 위치로의 복귀를 모터가 아닌, 탄성부의 리턴 토크에 의해 구현하기 때문에, 모터의 고장 또는 전기적 신호 입력 라인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클래스 V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c는 클래스 E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d는 클래스 W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e는 상향등(High Beam)의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실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회전 실드에 형성된 차광 실드의 형상에 의한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의 결합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부에 의한 홀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빔패턴 위치에 따른 DC 모터의 토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프로젝션 타입(projection type)의 헤드 램프(head lamp)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는 빛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면에서 유리하고, 차량 전면 형상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한다.
광원(11)에서 방출된 빛은 소정 형상(예: 타원형)의 리플렉터(12, 13)에 반사되어 상기 광원(11)의 전방향 일 지점(16)에 집중된다. 상기 집중된 빛은 전방에 구비된 렌즈(15)에서 굴절되어 실질적으로 전방향으로 조사된다. 그런데, 상기 광원(11)으로부터 방출된 빛 중 상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리플렉터(12)에 의해 반사되어 하방향으로 진행되고, 하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리플렉터(13)에 의해 반사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런데, 하이 빔(high beam)(상향등)을 조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하방향으로 방출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은 실드(shield; 14)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다른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10)는 클리어 타입의 헤드 램프와는 달리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이 실질적으로 일 지점(16)에 집중되므로, 실드(14) 중 상기 일 지점(16) 부근의 형상을 약간만 다르게 하더라도,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광원(11)은 타원형 리플렉터(12, 13)의 일 초점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된 빛이 집중되는 일 지점(16)은 리플렉터(12, 13)의 다른 일 초점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회전 실드에 형성된 차광 실드의 형상에 의한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클래스 V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c는 클래스 E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d는 클래스 W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e는 상향등(High Beam)의 빔 조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클래스 C는 차량(20)이 시골 도로(country road)를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21)이다. 일반적인 로 빔(low beam)과 비교할 때, 대향 차로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킨 패턴이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클래스 V는 차량(20)이 시가지와 같이 주변의 조명의 밝기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환경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이다. 특히, 좌/우의 시야가 클래스 C(21)에 비하여 넓어지며, 클래스 C(21)보다 다소 짧은 거리(대략 전방 50 내지 60m 정도)의 시야가 확보된다. 다만, 상기 좌/우 시야를 넓게 하기위하여는 좌/우의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을 바깥 방향으로 다소간 경동(tilting)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클래스 E는 차량(20)이 고속도로나, 상당 부분 직선 구간이 유지되는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이다. 따라서, 클래스 E(23)는 전방 원거리 시야가 클래스 C(21)에 비하여 다소 긴 특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클래스 W는 차량(20)이 비가 내리는 날씨, 또는 젖은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이다. 따라서, 전방 원거리 시야는 클래스 E(23)와 다소 유사하나, 전방의 10 내지 20m 부근(25)까지는 반사광(reflective glare)을 줄이기 위하여, 오히려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2e를 참조하면, 상향등의 빔 패턴(26)을 나타낸다. 이때, 차광 실드의 형상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도 1의 일 지점(16)에서 가리는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상향등의 빔 패턴(26)은 전방 원거리 시야가 가장 길다.
도 2a 내지 도 2e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 차량(20)은 다양한 주행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빔 패턴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를 사용하면 배광면에서 유리하고 간단히 실드의 변화만으로 다양한 빔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00)는 광원(11)과, 상기 광원(11)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도 1의 도면부호 12, 13)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빛의 일부를 차폐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차광 실드가 형성된 회전 실드(130)와, 상기 회전 실드로부터 차폐되지 않은 빛을 전방으로 집약하는 렌즈(1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과 렌즈 홀더(122)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광원(11)을 수용하고 리플렉터(도 1의 도면부호 12, 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렌즈 홀더(122)를 결합시켜 회전 실드(130)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렌즈 홀더(122)에 회전 실드(130)에서 차단된 빛을 전방으로 집약하는 렌즈(15)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 실드(130)를 회동시키고 회동을 제어하는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차광 실드가 형성된 회전 실드 및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를 램프 실드 구동 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10)가 수용되는 광원 수용부(111)의 후방에는 광원(11)을 삽입하기 위한 광원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원공(미도시)에 광원(11)을 장착하게 되면,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은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도4a 및 도 4b를 참조로 회전 실드에 형성된 차광 실드의 형상에 의한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실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회전 실드에 형성된 차광 실드의 형상에 의한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실드(130)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의 일부를 차폐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차광 실드(131, 132, 133)가 원통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실드는 예를 들면, 4 가지 타입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로 전술한 다양한 빔 패턴 중 선택적으로 4개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회전 실드(130)에 차광 실드(131, 132, 133)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V에 의한 빔 조사 패턴,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E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광 실드(131, 132, 133)가 회전 실드(13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전 실드(130)에는 제 1 차광 실드(131), 제 2 차광 실드(132) 및 제 3 차광 실드(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차광 실드(131)는 도 2a와 같은 형상으로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하고, 제 2 차광 실드(132)는 도 2b와 같은 형상으로 클래스 V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제 3 차광 실드(133)는 도 2c와 같은 형상으로 클래스 E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차광 실드(131)에서 제 3 차광 실드(133)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쪽(104)에는 제 1 차광 실드 내지 제 3 차광 실드와 같이 원통형 회전 실드의 원주면상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이 아니고 원통형 회전 실드의 원주면으로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상향등 빔 패턴을 형성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회전 실드에 형성된 각각의 차광 실드가, 도 1에서와 같은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집중되는 일 지점(16)에 위치함으로써,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차광 실드가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한편, 상술한 차광 실드를 포함하는 회전 실드가 4 가지 타입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일예일 뿐, 본 발명에서는 형성되는 빔 패턴의 타입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회전 실드의 차광 실드의 형상 및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가 회전 실드를 회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의 결합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부에 의한 홀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200)는 구동 모터부(260), 제 1 기어(261), 제 2 기어(240)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부(260)는 회전 실드(미도시)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DC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할 내용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스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기구적인 원리로 정확하게 회전 실드의 회동을 제어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구동 모터부(260)는 메인 PCB(27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모터부(260)는 일정 영역에 회전변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변위센서는 상기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회전각의 감지에 따라, 후술하는 홀딩 그루브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261)는 상기 구동 모터부(26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을 한다. 즉, 제 1 기어(261)는 구동 모터부(260)의 회전축 상에 형성되어 구동 모터(2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데, 이때,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하는 제 2 기어(2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제 2 기어(240)는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하여 제 1 기어(26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기어(240)의 회전축 상에는 전술한 회전 실드와 결합될 수 있는 샤프트(24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241)는 제 2 기어(24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는 제 2 기어 홀(240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 2 기어는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동하여 회동축 상에 연결된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하우징(280)과 체결되어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의 구성들을 덮는 커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210)와 상기 제 2 기어(240)의 사이에는 제 1 탄성부(230) 및 제 2 탄성부(251)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는 제 2 기어측에 고정되고, 제 1 탄성부(230)의 제 2 레그(232)는 커버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탄성부(251)는 제 1 끝단은 커버부에 고정되고, 제 2 끝단은 볼(252)과 결합하여, 상기 볼(252)은 제 2 기어(240)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210)는 커버부 홀(210a)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 홀(210a)에는 베어링(220)이 결합되어, 회전 실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220)은 베어링 홀(220a)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홀을 통해 회전 실드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41)와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10)와 제 2 기어(240)의 사이에는 제 1 탄성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는 제 2 기어측에 고정되고, 제 1 탄성부(230)의 제 2 레그(232)는 커버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동시 탄성력을 저장하며, 바람직하게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제 2 기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더 큰 탄성력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기어(240)는 커버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1레그 장착부(243)를 포함하고, 커버부(210)는 제 2 기어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2레그 장착부(211)를 포함하고 있어,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는 제 2 기어측의 제1레그 장착부(243)에 고정되고, 제 1 탄성부(230)의 제 2 레그(232)는 커버부의 제2레그 장착부(2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1레그 장착부(243)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스토퍼(213) 및 상기 제1레그 장착부(24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2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는 제 2 기어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1레그 장착부(243)를 포함하는 제 2 기어(240)는 제 1 기어(261)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일측이라 함은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반대 방향측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타측이라 함은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방향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들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기어(240)는 다양한 빔 패턴을 정의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242)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빔패턴을 정의하는 제1홀딩 그루브(242a), 제2빔패턴을 정의하는 제2홀딩 그루브(242b) 및 제3빔패턴을 정의하는 제3홀딩 그루브(24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홀딩 그루브의 개수를 3개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1 또는 다수개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홀딩 그루브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242)는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갈 수록, 그루브의 깊이가 깊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홀딩 그루브(242b)의 깊이는 제1홀딩 그루브(242a)보다 깊고, 제3홀딩 그루브(242c)의 깊이는 제2홀딩 그루브(242b)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홀딩 그루브(242a) 내지 제3홀딩 그루브(242c)는 제 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탄성부의 타단에 결합된 볼(252)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들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200)는 커버부(210)와 제 2 기어(240)의 사이에는 제 1 탄성부(230) 및 제 2 탄성부(25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는 제 2 기어측에 고정되고, 제 1 탄성부(230)의 제 2 레그(232)는 커버부(210)에 고정되며, 또한, 제 2 탄성부(251)는 제 1 끝단은 커버부에 고정되고, 제 2 끝단은 볼(252)과 결합하여, 상기 볼(252)은 제 2 기어(240)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때, 제 2 기어(240)는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를 고정하기 위한 제1레그 장착부(243) 및 제 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탄성부의 타단에 결합된 볼(252)이 위치하는 제1홀딩 그루브(242a) 내지 제3홀딩 그루브(242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커버부(210)는 제 1 탄성부(230)의 제 2 레그(232)를 고정하기 위한 제2레그 장착부(211), 제1레그 장착부(243)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스토퍼(213) 및 상기 제1레그 장착부(24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212)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 2 탄성부(251)는 제 1 끝단이 커버부에 고정된 상태로, 제 2 끝단에 볼(252)이 결합되어, 상기 볼(252)이 제2기어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데, 이 상태의 볼의 위치를 초기 빔패턴 위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는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243)가 커버부(210)의 제1스토퍼(213)에 접한 상태에서 제2기어의 표면에 볼이 접촉된 위치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레그 장착부(243)는 커버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제1스토퍼는 제 2 기어를 향해 돌출되어 있어, 이들의 측면, 예를 들면, 제1레그 장착부의 일측면과 제1스토퍼의 일측면이 서로 접함으로써, 제1레그 장착부는 제1스토퍼에 의해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를 도 4a에 도시된 제1차광 실드(131)가, 도 1에서와 같은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집중되는 일 지점(16)에 위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빔패턴 위치에 따른 DC 모터의 토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7을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탄성부(251)의 제 2 끝단에 결합된 볼(252)이 제 2 기어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인 초기 빔패턴 위치에서는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빔패턴 위치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구동 토크에 의해 제 1 기어(2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 2 탄성부(251)는 제 1 끝단이 커버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제 2 탄성부의 제 2 끝단에 결합된 볼(252)도 위치가 고정되게 되고, 상기 볼(252)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기어(240)가 소정의 각도를 회동하게 되면, 볼(252)의 위치로 제1홀딩 그루브(242a)가 이동하여, 상기 볼(252)은 상기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볼(252)이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함에 있어, 제 2 탄성부(251)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다.
상기 볼의 위치로 제1홀딩 그루브가 이동함에 있어서, 상술한 구동 모터부의 회전변위센서가 상기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감지된 모터의 회전각과 제 2 기어의 회동각을 비교하여, 제1홀딩 그루브로 볼을 위치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이때, 회전변위센서를 통해 제1홀딩 그루브에 볼을 위치시킨 후, 모터의 제어를 통해, 후술하는 모터에 의한 제1홀딩 토크(Te1)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볼(252)이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볼의 위치를 제1빔패턴 위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제1홀딩 그루브(242a)는 일정한 깊이를 갖고 있어, 제1빔패턴 위치에서는 상기 제1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1홀딩 토크(Tm1)가 작용하게 된다.
또한,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볼(252)이 제1홀딩 그루브(242a)를 이탈하지 못할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토크를 가해 볼의 위치를 유지하게 하며, 따라서, 제1빔패턴 위치에서는 모터에 의한 제1홀딩 토크(Te1)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한 제1홀딩 토크(Te1)는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토크보다는 작은 값이 해당한다.
또한, 제1빔패턴 위치에서,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동에 의해 탄성력을 저장하게 되어,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제1리턴 토크(Ts1)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빔패턴 위치에서는 제1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1홀딩 토크(Tm1), 모터에 의한 제1홀딩 토크(Te1) 및 제 1 탄성부의 제1리턴 토크(Ts1)가 작용하고 있으며, 제1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Ts1 ≤ Te1 + Tm1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빔패턴 위치를 도 4a에 도시된 제2차광 실드(132)가, 도 1에서와 같은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집중되는 일 지점(16)에 위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V에 의한 빔 조사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DC 모터에서 전기적인 입력을 제거하면, 즉, 모터에 의한 제1홀딩 토크(Te1)를 제거하면, 제 1 탄성부의 제1리턴 토크(Ts1)에 의하여, 제 2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도 5b와 같은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빔패턴 위치에서는 제 1 탄성부의 제1리턴 토크(Ts1)가 제1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1홀딩 토크(Tm1)보다는 크도록 그루브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빔패턴 위치에서는 Ts1 > Tm1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1빔패턴 위치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볼(252)이 이를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구동 토크를 가해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252)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기어(240)가 소정의 각도를 회동하게 되면, 볼(252)의 위치로 제2홀딩 그루브(242b)가 이동하여, 상기 볼(252)은 상기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볼(252)이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함에 있어, 제 2 탄성부(251)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다.
상기 볼의 위치로 제2홀딩 그루브가 이동함에 있어서, 상술한 구동 모터부의 회전변위센서가 상기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감지된 모터의 회전각과 제 2 기어의 회동각을 비교하여, 제2홀딩 그루브로 볼을 위치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회전변위센서를 통해 제2홀딩 그루브에 볼을 위치시킨 후, 모터의 제어를 통해, 후술하는 모터에 의한 제2홀딩 토크(Te2)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볼(252)이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볼의 위치를 제2빔패턴 위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제2홀딩 그루브(242b)는 일정한 깊이를 갖고 있어, 제2빔패턴 위치에서도 상기 제2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2홀딩 토크(Tm2)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홀딩 그루브(242b)의 깊이는 제1홀딩 그루브(242a)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2빔패턴 위치에서의 제 2 기어의 회전각이 제1빔패턴 위치에서의 제2기어의 회전각보다 커지므로, 후술하는 제 1 탄성부의 리턴 토크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볼(252)이 제2홀딩 그루브(242b)를 이탈하지 못할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토크를 가해 볼의 위치를 유지하게 하며, 따라서, 제2빔패턴 위치에서는 모터에 의한 제2홀딩 토크(Te2)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한 제2홀딩 토크(Te2)는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토크보다는 작은 값이 해당한다.
또한, 제2빔패턴 위치에서,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동에 의해 탄성력을 저장하게 되어,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제2리턴 토크(Ts2)가 작용하게 되고, 이 경우, 제1빔패턴 위치보다 제2빔패턴 위치에서 제 2 기어가 더 많이 회전했기 때문에, 제2리턴 토크가 제1리턴 토크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2빔패턴 위치에서는 제2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2홀딩 토크(Tm2), 모터에 의한 제2홀딩 토크(Te2) 및 제 1 탄성부의 제2리턴 토크(Ts2)가 작용하고 있으며, 제2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Ts2 ≤ Te2 + Tm2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빔패턴 위치를 도 4a에 도시된 제3차광 실드(133)가, 도 1에서와 같은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집중되는 일 지점(16)에 위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E에 의한 빔 조사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DC 모터에서 전기적인 입력을 제거하면, 즉, 모터에 의한 제2홀딩 토크(Te2)를 제거하면, 제 1 탄성부의 제2리턴 토크(Ts2)에 의하여, 제 2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도 5b와 같은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빔패턴 위치에서는 제 1 탄성부의 제2리턴 토크(Ts2)가 제2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2홀딩 토크(Tm2)보다는 크도록 그루브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빔패턴 위치에서는 Ts2 > Tm2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2빔패턴 위치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볼(252)이 이를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구동 토크를 가해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252)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기어(240)가 소정의 각도를 회동하게 되면, 볼(252)의 위치로 제3홀딩 그루브(242c)가 이동하여, 상기 볼(252)은 상기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볼(252)이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함에 있어, 제 2 탄성부(251)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다. 상기 볼의 위치로 제3홀딩 그루브가 이동함에 있어서, 상술한 구동 모터부의 회전변위센서가 상기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감지된 모터의 회전각과 제 2 기어의 회동각을 비교하여, 제1홀딩 그루브로 볼을 위치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회전변위센서를 통해 제3홀딩 그루브에 볼을 위치시킨 후, 모터의 제어를 통해, 후술하는 모터에 의한 제3홀딩 토크(Te3)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볼(252)이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볼의 위치를 제3빔패턴 위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제3홀딩 그루브(242c)는 일정한 깊이를 갖고 있어, 제3빔패턴 위치에서도 상기 제3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3홀딩 토크(Tm3)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3홀딩 그루브(242c)의 깊이는 제2홀딩 그루브(242b)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3빔패턴 위치에서의 제 2 기어의 회전각이 제2빔패턴 위치에서의 제2기어의 회전각보다 커지므로, 후술하는 제 1 탄성부의 리턴 토크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볼(252)이 제3홀딩 그루브(242c)를 이탈하지 못할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토크를 가해 볼의 위치를 유지하게 하며, 따라서, 제3빔패턴 위치에서는 모터에 의한 제3홀딩 토크(Te3)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한 제3홀딩 토크(Te3)는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토크보다는 작은 값이 해당한다.
또한, 제3빔패턴 위치에서,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동에 의해 탄성력을 저장하게 되어,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제3리턴 토크(Ts3)가 작용하게 되고, 이 경우, 제2빔패턴 위치보다 제3빔패턴 위치에서 제 2 기어가 더 많이 회전했기 때문에, 제3리턴 토크가 제2리턴 토크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3빔패턴 위치에서는 제3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3홀딩 토크(Tm3), 모터에 의한 제3홀딩 토크(Te3) 및 제 1 탄성부의 제3리턴 토크(Ts3)가 작용하고 있으며, 제3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Ts3 ≤ Te3 + Tm3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3빔패턴 위치를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클래스 W에 의한 빔 조사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DC 모터에서 전기적인 입력을 제거하면, 즉, 모터에 의한 제3홀딩 토크(Te3)를 제거하면, 제 1 탄성부의 제3리턴 토크(Ts3)에 의하여, 제 2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도 5b와 같은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빔패턴 위치에서는 제 1 탄성부의 제3리턴 토크(Ts3)가 제3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3홀딩 토크(Tm3)보다는 크도록 그루브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3빔패턴 위치에서는 Ts3 > Tm3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3빔패턴 위치에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볼(252)이 이를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구동 토크를 가해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기어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 2 기어(240)에 포함된 제1레그 장착부(243)도 함께 회동하여, 결국에는 제1레그 장착부(24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212)와 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의 볼(252)의 위치를 최종 빔패턴 위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는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243)가 커버부(210)의 제2스토퍼(212)에 접한 상태에서 제2기어의 표면에 볼이 접촉된 위치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레그 장착부(243)는 커버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제2스토퍼는 제 2 기어를 향해 돌출되어 있어, 이들의 측면, 예를 들면, 제1레그 장착부의 타측면과 제2스토퍼의 일측면이 서로 접함으로써, 제1레그 장착부는 제2스토퍼에 의해 제 2 기어의 회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최종 빔패턴 위치는 제2스토퍼(212)를 통해 정의하고, 홀딩 그루브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므로, 그루브에 의한 홀딩 토크는 작용하지 않는다.
다만,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볼(252)이 최종 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구동방향으로 토크를 가해 볼의 위치를 유지하게 하며, 따라서, 제3빔패턴 위치에서는 모터에 의한 제4홀딩 토크(Te4)가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한 제4홀딩 토크(Te4)는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토크보다는 작은 값이 해당한다.
또한, 최종 빔패턴 위치에서, 제 1 탄성부(230)는 제 2 기어(240)의 회동에 의해 탄성력을 저장하게 되어,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제4리턴 토크(Ts4)가 작용하게 되고, 이 경우, 제3빔패턴 위치보다 최종 빔패턴 위치에서 제 2 기어가 더 많이 회전했기 때문에, 제4리턴 토크가 제3리턴 토크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최종 빔패턴 위치에서는 모터에 의한 제4홀딩 토크(Te4) 및 제 1 탄성부의 제4리턴 토크(Ts4)가 작용하고 있으며, 최종 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Ts4 ≤ Te4 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를 도 2e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향등(High Beam)의 빔 조사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DC 모터에서 전기적인 입력을 제거하면, 즉, 모터에 의한 제4홀딩 토크(Te4)를 제거하면, 제 1 탄성부의 제4리턴 토크(Ts4)에 의하여, 제 2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도 5b와 같은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 따르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DC모터를 사용하여, 각 빔패턴의 변환각을 구현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모터에 의한 홀딩 토크와 그루브에 의한 홀딩 토크를 통해, 각각의 빔패턴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의 리턴 토크를 통해 중립 위치, 즉,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다.
한편, 제1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Ts1 ≤ Te1 + Tm1 의 힘이 작용하고, 제2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s2 ≤ Te2 + Tm2 의 힘이 작용하며, 제3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s3 ≤ Te3 + Tm3 의 힘이 작용하고, 최종 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s4 ≤ Te4 의 힘이 작용함은 설명한 바 있다.
이 경우, DC 모터에서 전기적인 입력을 제거하면, 즉, 모터에 의한 홀딩 토크를 제거하면, 제 1 탄성부의 리턴 토크에 의하여, 제 2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도 5b와 같은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클래스 C에 의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1 탄성부의 리턴 토크에 의해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DC 모터의 고장 또는 전기적인 신호 입력 라인의 불량 등으로 인해, 불가항력적으로 DC 모터에서 전기적인 입력이 제거되더라도, 탄성부의 리턴 토크에 의해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스텝모터를 사용하여 회전 실드를 구동하는 경우, 초기 빔패턴 위치에서 최종 빔패턴 위치로의 빔패턴의 변환각을 스텝모터를 통해 구현하였고, 이를 다시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하는 것도 스텝모터를 통해 구현하였다.
이 경우, 최종 빔패턴 위치에 의해 상향등(High Beam)의 빔을 조사하는 차량에서 스텝 모터의 고장 또는 전기적인 신호 입력 라인의 불량 등으로 인해, 스텝 모터에의 전기적인 입력이 불가하다면, 이를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불가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큰 불편을 주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초기 빔패턴 위치로의 복귀를 모터가 아닌, 탄성부의 리턴 토크에 의해 구현하기 때문에, 모터의 고장 또는 전기적 신호 입력 라인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초기 빔패턴 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동 모터부(미도시), 제 1 기어(261), 제 2 기어(240)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어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의 구성들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 2 기어의 사이에는 제 1 탄성부(230) 및 제 2 탄성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 2 기어(240) 상에 위치하고,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를 고정하기 위한 제1레그 장착부(243)가 볼(25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볼(252)의 타측에는 제 2 기어 상에 위치하고, 커버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3스토퍼(244)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볼의 일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방향 측이고, 상기 볼의 타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반대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초기 빔패턴 및 최종 빔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커버부 측에 위치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초기 빔패턴의 위치를 제 2 기어 상의 제1레그 장착부가 정의하고, 최종 빔패턴의 위치도 제 2 기어 상의 제3스토퍼가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 1 탄성부(230)의 제 1 레그(231)를 고정하기 위한 제1레그 장착부(243)와 볼(252)가 접촉된 상태로, 상기 볼(252)이 제2기어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데, 이 상태의 볼의 위치를 초기 빔패턴 위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는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243)가 볼(252)에 접한 상태에서 제2기어의 표면에 볼이 접촉된 위치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레그 장착부(243)는 커버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볼(252)은 제2기어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볼(252)는 커버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레그 장착부는 볼에 의해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 도 8b 내지 도 8e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초기 빔패턴 위치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구동 토크에 의해 제 1 기어(2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 2 탄성부(251)는 제 1 끝단이 커버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제 2 탄성부의 제 2 끝단에 결합된 볼(252)도 위치가 고정되게 되고, 상기 볼(252)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기어(240)가 소정의 각도를 회동하게 되면, 볼(252)의 위치로 제1홀딩 그루브(242a)가 이동하여, 상기 볼(252)은 상기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볼(252)이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볼의 위치를 제1빔패턴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제1빔패턴 위치의 구체적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1빔패턴 위치에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제1홀딩 그루브(242a)에 안착된 볼(252)이 이를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구동 토크를 가해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252)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기어(240)가 소정의 각도를 회동하게 되면, 볼(252)의 위치로 제2홀딩 그루브(242b)가 이동하여, 상기 볼(252)은 상기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볼(252)이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볼의 위치를 제2빔패턴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제2빔패턴 위치의 구체적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2빔패턴 위치에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제2홀딩 그루브(242b)에 안착된 볼(252)이 이를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구동 토크를 가해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252)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기어(240)가 소정의 각도를 회동하게 되면, 볼(252)의 위치로 제3홀딩 그루브(242c)가 이동하여, 상기 볼(252)은 상기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볼(252)이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상태로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볼의 위치를 제3빔패턴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제3빔패턴 위치의 구체적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3빔패턴 위치에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모터의 제어를 통해서, 제3홀딩 그루브(242c)에 안착된 볼(252)이 이를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구동방향으로 구동 토크를 가해 제 1 기어(2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기어(261)와 기어 결합을 하는 제 2 기어(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기어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 2 기어(240)에 포함된 제3스토퍼(244)도 함께 회동하여, 결국에는 볼(252)과 볼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스토퍼(244)가 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를 최종 빔패턴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최종 빔패턴 위치의 구체적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초기 빔패턴 및 최종 빔패턴을 커버부 측에 위치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통해 정의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초기 빔패턴의 위치를 제 2 기어 상의 제1레그 장착부가 정의하고, 최종 빔패턴의 위치도 제 2 기어 상의 제3스토퍼가 정의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11 : 광원
10 : 하우징 15 : 렌즈
122 : 렌즈 홀더 130 : 회전 실드
131, 132, 133 : 차광 실드
200 :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 260 : 구동 모터부
261 : 제 1 기어 240 : 제 2 기어
280 : 하우징 210 : 커버부
230 : 제 1 탄성부 251 : 제 2 탄성부
231 : 제 1 레그 232 : 제 2 레그
243 : 제1레그 장착부 211 : 제2레그 장착부
242 : 홀딩 그루브 252 : 볼

Claims (15)

  1. 회전 실드 및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드 구동 제어부는,
    구동 모터부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동하여 회동축 상에 연결된 상기 회전 실드를 회동시키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제 1 레그는 제 2 기어측에 고정되고, 제 2 레그는 커버부에 고정되는 제 1 탄성부; 및
    제 1 끝단은 커버부에 고정되고, 제 2 끝단은 볼과 결합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는 커버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1레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제 2 기어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2레그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그는 상기 제1레그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그는 상기 제2레그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일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반대 방향측이고,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타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방향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초기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가 상기 커버부의 제1스토퍼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는 빔 패턴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는 제1빔패턴을 정의하는 제1홀딩 그루브, 제2빔패턴을 정의하는 제2홀딩 그루브 및 제3빔패턴을 정의하는 제3홀딩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홀딩 그루브는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그루브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가 회동하여, 상기 볼이 제1홀딩 그루브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상기 볼의 위치이고,
    상기 제1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1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1홀딩 토크(Tm1), 모터에 의한 제1홀딩 토크(Te1) 및 제 1 탄성부의 제1리턴 토크(Ts1)가 작용하며,
    상기 제1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Ts1 ≤ Te1 + Tm1 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가 회동하여, 상기 볼이 제2홀딩 그루브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상기 볼의 위치이고,
    상기 제2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2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2홀딩 토크(Tm2), 모터에 의한 제2홀딩 토크(Te2) 및 제 1 탄성부의 제2리턴 토크(Ts2)가 작용하며,
    상기 제2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Ts2 ≤ Te2 + Tm2 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가 회동하여, 상기 볼이 제3홀딩 그루브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어와 접촉한 상태의 상기 볼의 위치이고,
    상기 제3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3홀딩 그루브에 의한 제3홀딩 토크(Tm3), 모터에 의한 제3홀딩 토크(Te3) 및 제 1 탄성부의 제3리턴 토크(Ts3)가 작용하며,
    상기 제3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Ts3 ≤ Te3 + Tm3 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최종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가 상기 커버부의 제2스토퍼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는 모터에 의한 제4홀딩 토크(Te4) 및 제 1 탄성부의 제4리턴 토크(Ts4)가 작용하며,
    최종 빔패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Ts4 ≤ Te4 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일측에는 상기 제1레그 장착부가 위치하고, 상기 볼의 타측에는 제 2 기어 상에 위치하고, 커버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제3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볼의 일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방향 측이고, 상기 볼의 타측은 상기 제1레그 장착부의 회전 반대 방향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초기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빔패턴 위치는 상기 제 2 기어의 제1레그 장착부와 상기 볼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볼이 상기 제 2 기어의 표면에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실드 구동장치는 최종 빔패턴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빔패턴 위치는 상기 볼과 상기 볼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스토퍼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의 표면에 상기 볼이 접촉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빛의 일부를 차폐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차광 실드가 형성된 회전 실드; 및
    상기 회전 실드로부터 차폐되지 않은 빛을 전방으로 집약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00131491A 2010-12-21 2010-12-21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232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1491A KR101232294B1 (ko) 2010-12-21 2010-12-21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1491A KR101232294B1 (ko) 2010-12-21 2010-12-21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81A KR20120070081A (ko) 2012-06-29
KR101232294B1 true KR101232294B1 (ko) 2013-02-13

Family

ID=4668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1491A KR101232294B1 (ko) 2010-12-21 2010-12-21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083B1 (ko) 2014-10-10 2016-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쉴드구동장치
KR101776395B1 (ko) 2015-08-28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253A (ko) * 2008-08-27 2010-03-09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253A (ko) * 2008-08-27 2010-03-09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81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3991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objects around a vehicle detected by an infrared sensor
JP4535965B2 (ja) 車両用灯具
US7926992B2 (en) Lamp shield driving device and headla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7909475B2 (en) Apparatus for rotating lamp set
CN107270211B (zh) 车辆用灯具
KR20070094331A (ko) 복수의 실드 패턴을 제공하는 회전형 램프 실드 구동 장치및 이를 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US8308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ail-safe in a head lamp apparatus
KR20100025253A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US11788701B2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2303585A (zh) 用于车辆的照明设备
GB2387899A (en) Headlamp with movable condenser lens
KR100761555B1 (ko) 복수의 빔 패턴을 제공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KR101232294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0832516B1 (ko) 복수의 실드 패턴을 제공하는 회전형 램프 실드 구동장치를 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JP2008027650A (ja) 車輌用灯具
JP2006093140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における光モジュール
JP201101650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470157B2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制御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KR100832515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JP2006269341A (ja) ヘッドランプ
KR200460748Y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KR101095031B1 (ko)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JP2004288415A (ja) 車両用前照灯
KR101232316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