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804A -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804A
KR20100114804A KR1020090033375A KR20090033375A KR20100114804A KR 20100114804 A KR20100114804 A KR 20100114804A KR 1020090033375 A KR1020090033375 A KR 1020090033375A KR 20090033375 A KR20090033375 A KR 20090033375A KR 20100114804 A KR20100114804 A KR 2010011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shield
shield bracket
driving device
hea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804A/ko
Publication of KR2010011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38Actuating means for dimming masks or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일부품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 부품들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으로서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결합편을 구비하는 쉴드브라켓와, 상기 쉴드브라켓에 동작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편을 구비하는 무빙쉴드와, 상기 무빙실드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무빙실드와 상기 쉴드브라켓을 힌지 고정하는 축부재 및 상기 쉴드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축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33375
바이제논, 듀얼펑션, 전조등, 헤드램프,

Description

헤드램프의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HEAD LAMP}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램프로 광선을 아래로 비추는 하향모드 기능과 광선을 상향으로 비추는 하향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헤드램프(head lamp)는 헤드라이트(head light), 전조등 이라고 불리며, 어둠속에서 대략 100미터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헤드램프의 광원으로는 할로겐램프나 가스방전식 램프를 주로 사용한다.
특히, 가스방전식 램프의 경우 색온도가 4300K 정도로 백색에 가깝고, 수명이 오래가기 때문에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급차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백색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의 경우 색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므로 최근 차량의 정 방조명시스템의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헤드램프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일부분 제한하여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는 쉴드가 설치되고, 이 쉴드의 작동에 의해 상향등 및 하향등과 같은 다양한 빛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는 많은 구성부품들로 구성되고, 복잡한 조립과정을 통하여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증가되고, 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일부품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 부품들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으로서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합편을 구비하는 쉴드브라켓와, 상기 쉴드브라켓에 동작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편을 구비하는 무빙쉴드와, 상기 무빙실드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무빙실드와 상기 쉴드브라켓을 힌지 고정하는 축부재 및 상기 쉴드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축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축부재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쉴드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축부재가 이탈되는 것 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끼움홈부와, 상기 끼움홈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쉴드브라켓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쉴드브라켓에 무빙쉴드를 힌지 고정하는 축부재의 구조를 변경하고, 무빙쉴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 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10)는 결합편(21)을 구비하는 쉴드브라켓(20)과, 쉴드브라켓(20)에 동작가능하게 고정되는 무빙쉴드(30)와, 무빙실드(3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40)와, 무빙실드(30)와 쉴드브라켓(20)을 힌지 고정하고 무빙실드(30)의 동작과 함께 회동되는 축부재(50)와, 구동부(40)에 의해 동작되는 무빙쉴드(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한다.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무빙쉴드(30)가 축부재(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빛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통과시켜서 헤드램프의 상향모드와 하향모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쉴드브라켓(20)은 반사면(100)에 고정되고, 일면에 결합편(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결합편(21)은 쉴드브라켓(20)의 일면에 한 쌍이 형성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결합편(21)에는 축부재(5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멍(21a)이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편(21)중 하나의 결합편(21)에는 탄성부재(60)의 일단을 지지하 는 지지돌부(21b)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무빙쉴드(30)는 쉴드브라켓(20)에 축부재(50)로 힌지 고정되되, 구동부(40)에 의해 회동될 때 축부재(50)도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무빙쉴드(30)에는 쉴드브라켓(20)에 형성되는 결합편(21)에 대응되는 고정편(31)이 돌출 형성된다. 본 일실시예에서의 고정편(31)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결합편(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편(31)에는 결합편(21) 사이에 고정편(31)이 위치될 때, 결합구멍(21a)과 동일선상에 있어 서로 연통되는 끼움구멍(31a)이 형성된다.
즉, 쉴드브라켓(20)과 무빙쉴드(30)가 서로 근접하여 한 쌍의 결합편(21) 사이에 한 쌍의 고정편(31)이 위치되어, 결합구멍(21a)과 끼움구멍(31a)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축부재(50)가 결합구멍(21a)과 끼움구멍(31a)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본 일실시예에서의 쉴드브라켓(20)에 형성되는 결합편(21) 사이에 무빙쉴드(30)에 형성된 고정편(31)이 위치되는 구성이지만, 쉴드브라켓(20)의 결합편(21)이 무빙쉴드(30)의 고정편(31)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축부재(50)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축부재(50)의 외주면에는 평면부(51)가 구비된다.
축부재(50)가 끼워지는 고정편(31)의 끼움구멍(31a)은 축부재(50)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고정편(31)의 끼움구멍(31a)에 축부재(50)가 끼워진 후에, 끼움구 멍(31a)에서 축부재(50)가 회동되지 않고, 구동부(40)에 의해 무빙쉴드(30)가 작동될 때 축부재(50)가 무빙쉴드(30)와 함께 회동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축부재(50)의 단면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 축부재(50)가 끼워지는 고정편(31)의 끼움구멍(31a)은 축부재(5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구멍(31a)에 끼워진 축부재(50)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축부재(50)가 끼움구멍(31a)에 끼워져서 회전되지 않으면, 축부재(50)의 단면과 끼움구멍(31a)은 어느 형상이든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축부재(50)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면, 끼움구멍(31a)도 축부재(50)의 단면 형상과 같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축부재(50)의 일단에는 쉴드브라켓(20)의 결합구멍(21a)이나 무빙쉴드(30)의 끼움구멍(31a) 가장자리에 걸려 축부재(50)가 완전히 관통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부(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축부재(50)의 타단에는 탄성부재(60)를 고정하여 결합구멍(21a)이나 끼움구멍(31a)에서 축부재(50)의 타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3)가 더 구비된다.
이탈방지부(53)는 축부재(50)의 단부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끼움홈부(53a)와, 끼움홈부(53a)에서 연장 형성되되 탄성부재(60)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홈부(53b)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40)에는 구동축(41)이 구비된다. 구동축(41)은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전후진하고, 구동축(41)의 단부에는 무빙쉴드(30)에 고정되는 고정돌 부(41a)가 형성된다.
무빙쉴드(30)에는 고정편(31)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부(32)가 형성된다. 고정부(32)에는 구동축(41)의 고정돌부(41a)가 끼워지는 고정구멍(32a)이 형성된다.
즉,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41)이 전후진 될 때, 구동축(41)의 고정돌부(41a)가 고정되는 무빙쉴드(30)의 고정부(32)를 당기거나 밀어서 무빙쉴드(30)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60)는 중앙에 통공(61)이 형성되고, 일정 유효권수를 갖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60)의 통공(61)은 축부재(50)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축부재(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0)의 일단에는 쉴드브라켓(20)의 지지돌부(21a)에 지지되는 지지부(6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축부재(50)의 걸림홈부(53b)에 걸리는 걸림부(63)가 형성된다.
탄성부재(60)의 지지부(62)는 그 외주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60)의 걸림부(63)는 탄성부재(60)의 측면을 가로지르도록 절곡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60)의 통공(61)으로 축부재(50)의 단부가 끼워질 때, 걸림부(63)가 축부재(50)의 끼움홈부(53a)에 함께 끼워져서 축부재(50)의 단부가 통공(61)에 관통된 후에 걸림부(63)가 걸림홈부(53b)에 걸려 고정된다.
한편, 축부재(50)가 쉴드브라켓(20)에 형성된 결합편(21)의 결합구멍(21a)에 끼워질 때, 축부재(50)에 끼워져서 결합구멍(21a)에서 축부재(50)가 회동될 때 축 부재(5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축부재(50)가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부재(70)가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용 구동장치의 작용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구동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쉴드브라켓(20)의 일면에 무빙쉴드(30)를 축부재(50)로 결합하는데, 한 쌍의 결합편(21) 사이에 무빙쉴드(30)의 고정편(31)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결합편(21)의 결합구멍(21a)과 고정편(31)의 끼움구멍(31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부재(50)를 끼워 고정한다.
여기서, 축부재(50)를 결합구멍(21a)과 끼움구멍(31a)에 끼우기 전에 먼저, 한 쌍의 결합편(21)의 결합구멍(21a)에 각각 베어링부재(70)를 끼워 고정한다.
즉, 축부재(50)는 한 쌍의 결합편(21) 중 한쪽의 결합편(21)에 고정된 베어링부재(70), 한 쌍의 고정편(31)중 하나의 고정편(31)의 끼움구멍(31a), 다른 고정편(31)의 끼움구멍(31a), 다른 결합편(21)에 고정된 베어링부재(70)에 순서대로 끼워진다.
이후에, 축부재(50)의 일단에 탄성부재(60)를 끼워서 탄성부재(60)의 지지부(62)를 결합편(21)에 형성된 지지돌부(21b)에 지지시키면서 탄성부재(60)의 걸림부는 축부재(50)에 형성된 끼움홈부(53a)에 끼워서 걸림홈부(53b)에 고정시킨다.
그럼 다음, 구동부(40)의 구동축(41)에 형성된 고정돌부(41a)를 무빙쉴드(30)의 고정부(32)에 형성된 고정구멍(32a)에 끼워 고정하여 구동장치(10)의 구성요소들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헤드램프의 구동장치(10)가 반사판(100)에 설치되어 작동될 때, 헤드램프의 상향등과 하향등의 패턴을 구현하는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헤드램프가 상향등으로 되어 있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하향등으로 전환하면, 구동부(40)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41)이 전진되고, 구동축(41)의 고정돌부(41a)가 고정된 무빙쉴드(30)의 고정부(32)를 밀어낸다.
그러면, 무빙쉴드(30)는 축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6과 같이, 쉴드브라켓(20)에 밀착되고, 쉴드브라켓(20)의 위쪽을 막아 반사판에 반사되는 샹향등의 패턴을 구현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즉, 반사판(100)에 반사되어 쉴드브라켓(20)의 위쪽으로 조사되는 상향등을 구현하는 빛의 패턴을 차단하여 헤드램프를 하향등으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헤드램프가 하향등으로 되어 있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향등으로 전환하면, 구동부(40)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41)이 후진되어 구동축(41)의 고정돌부(41a)가 고정된 무빙쉴드(30)의 고정부(32)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무빙쉴드(30)는 축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6과 같이, 쉴드브라켓(2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쉴드브라켓(20)에서 떨어지면서 쉴드브라켓(20)의 상부를 개방하여, 반사판(100)에 반사되는 상향등의 패턴을 구현하는 빛이 아무런 간섭 없이 직진되어 상향등을 구현하는 빛의 패턴을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을 보인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장치 20 : 쉴드브라켓
21 : 결합편 30 : 무빙쉴드
31 : 고정편 40 : 구동부
41 : 구동축 50 : 축부재
51 : 평면부 53 : 이탈방지부
60 : 탄성부재 70 : 베어링부재

Claims (5)

  1. 결합편을 구비하는 쉴드브라켓;
    상기 쉴드브라켓에 동작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편을 구비하는 무빙쉴드;
    상기 무빙실드를 동작시키는 구동부;
    상기 무빙실드와 상기 쉴드브라켓을 힌지 고정하는 축부재; 및
    상기 쉴드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축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쉴드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축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끼움홈부와,
    상기 끼움홈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쉴드브라켓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KR1020090033375A 2009-04-16 2009-04-16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KR20100114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75A KR20100114804A (ko) 2009-04-16 2009-04-16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75A KR20100114804A (ko) 2009-04-16 2009-04-16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804A true KR20100114804A (ko) 2010-10-26

Family

ID=4313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75A KR20100114804A (ko) 2009-04-16 2009-04-16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80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2842A (zh) * 2012-12-24 2013-04-10 广东永强奥林宝国际消防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灯具支架及车用照明灯和信号灯装置以及消防车
EP2937625A1 (en) 2014-04-25 2015-10-28 Hyundai Mobis Co., Ltd. Bi-function led head lamp using thin shield
KR20160065572A (ko) * 2014-12-01 2016-06-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60068207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쉴드 구동장치
KR20170058645A (ko) * 2015-11-19 2017-05-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CN106989338A (zh) * 2016-01-20 2017-07-28 Aml系统公司 用于机动车辆前照灯的具有可移除截止杠的截止机构
KR20210101618A (ko)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바이펑션 헤드램프
KR20210101617A (ko)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바이펑션 헤드램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2842A (zh) * 2012-12-24 2013-04-10 广东永强奥林宝国际消防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灯具支架及车用照明灯和信号灯装置以及消防车
EP2937625A1 (en) 2014-04-25 2015-10-28 Hyundai Mobis Co., Ltd. Bi-function led head lamp using thin shield
US9518713B2 (en) 2014-04-25 2016-12-13 Hyundai Mobis Co., Ltd Bi function LED head lamp using thin shield
KR20160065572A (ko) * 2014-12-01 2016-06-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60068207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쉴드 구동장치
US9765939B2 (en) 2014-12-05 2017-09-19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drive device for head lamp
KR20170058645A (ko) * 2015-11-19 2017-05-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CN106989338A (zh) * 2016-01-20 2017-07-28 Aml系统公司 用于机动车辆前照灯的具有可移除截止杠的截止机构
CN106989338B (zh) * 2016-01-20 2022-01-11 Aml系统公司 用于机动车辆前照灯的具有可移除截止杠的截止机构
KR20210101618A (ko)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바이펑션 헤드램프
KR20210101617A (ko)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일흥 차량용 바이펑션 헤드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4804A (ko)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US20130141930A1 (en) Vehicular headlamp
KR101817630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0697181B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WO2021172134A1 (ja) 車両用灯具
JP2012028236A (ja) Led光源を有する屋内照明器具
KR20110130235A (ko) 조명등 기구
KR20110072381A (ko) 헤드램프장치
KR100682074B1 (ko) 회전 반사판을 갖는 조명등
KR20080005800U (ko) 천정용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JP4634944B2 (ja) 照明器具
JP2004079353A (ja) 車両用灯具
KR200408793Y1 (ko) 매입등 기구의 본체와 유니트 하우징 연결구조
KR101176509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KR20160125672A (ko) 등기구
KR200449756Y1 (ko) 이륜차용 헤드램프
KR20180003176U (ko) Led 조명등
KR102551500B1 (ko)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KR20110113302A (ko) 다운라이트형 조명등의 반사갓장치
KR101539220B1 (ko) 차량용 램프
KR101241574B1 (ko) 조명장치
KR200478641Y1 (ko) 문양이 투광되는 천장 조명등기구
KR101549936B1 (ko) 회전 반사갓을 갖는 조명등
JP2007317509A (ja) 車両用灯具
KR20150127458A (ko) 차량의 램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