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458A - 차량의 램프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의 램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458A
KR20150127458A KR1020140054313A KR20140054313A KR20150127458A KR 20150127458 A KR20150127458 A KR 20150127458A KR 1020140054313 A KR1020140054313 A KR 1020140054313A KR 20140054313 A KR20140054313 A KR 20140054313A KR 20150127458 A KR20150127458 A KR 2015012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elastic member
bar
shield ba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7458A/ko
Publication of KR2015012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램프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쉴드바를 포함하여, 탄성부재의 위치 세팅을 위한 작업 시간이 감소하게 되며, 본 발명과 같은 위칭 탄성부재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한 쉴드의 원복이 가능하게 됨으로 성능상의 향상을 가지고 올 수 있어 편의성 또한 향상되는 차량의 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램프 모듈{Lamp Module Of Vehicle}
본발명은 차량용 램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램프로 상향 및 하향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헤드램프(head lamp)는 헤드라이트(head light), 전조등 이라고 불리며, 어둠속에서 대략 100미터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헤드램프의 광원으로는 할로겐램프나 가스방전식 램프를 주로 사용한다.
특히, 가스방전식 램프의 경우 색온도가 4300K 정도로 백색에 가깝고, 수명이 오래가기 때문에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급차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백색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의 경우 색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므로 최근 차량의 정방조명시스템의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헤드램프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일부분 제한하여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는 쉴드가 설치되고, 상기 쉴드의 작동에 의해 상향등 및 하향등과 같은 다양한 빛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쉴드를 제어하여 빛의 진행방향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쉴드는 반복적인 작동에도 원복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브라켓에 설치되는 쉴드바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쉴드바의 반복적인 회동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유동하여 작업자가 세팅(Setting)해 놓은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이고 일부 부품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 부품들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으로서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작업공수를 줄이는 차량의 램프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은, 차량의 램프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쉴드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쉴드바는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곡률을 가지는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쉴드바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바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설치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바가 상기 브라켓에 힌지고정되되, 상기 쉴드바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상기 쉴드바의 양측에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캡(CAP)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쉴드바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코일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램프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쉴드바의 구조 변경 및 쉴드바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의 배치에 따라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탄성부재의 정위치 세팅을 위한 작업 시간이 감소하게 됨과 동시에 램프 모듈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의 쉴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램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의 쉴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램프 모듈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램프 모듈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의 쉴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램프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쉴드(20) 및 상기 쉴드(20)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쉴드바(3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 차량의 램프 모듈에 대하여, 도 2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10)은 미도시된 리플렉터에 고정된다. 리플렉터는 빛을 반사시키도록 램프 하우징에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0)은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쉴드바(30)가 상기 고정부(12)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쉴드바(3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는 쉴드바(30)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후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로 구비되어 상기 쉴드(20)를 작동시킨다.
상기 쉴드(20)는 상기 쉴드바(3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쉴드(20)에는 상기 고정부(12)와 대응되도록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부(50)가 끼워진 후 상기 쉴드바(30)가 상기 이탈방지부(50)에 끼워진다.
상기 쉴드(20)는 상기 브라켓(10)의 상단 개구 부분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쉴드(20)는 상기 쉴드바(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쉴드(20)의 하측으로 상기 구동부가 결합구멍(22)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쉴드(20)는 상기 쉴드바(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쉴드(20)에 상기 쉴드바(30)가 결합된다. 상기 쉴드(20)에 상기 쉴드바(30)의 결합시 먼저, 이탈방지부(50)가 끼워져 결합된 뒤, 상기 이탈방지부(50)에 상기 쉴드바(3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쉴드바(30)는 상기 브라켓(10)의 중심에 설치된다. 상기 쉴드바(30)에는 탄성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쉴드바(30)의 중심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쉴드바(30)는 상기 쉴드(20)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부재(40)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쉴드바(30)는 곡률을 가지는 굴곡부(34)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34)는 상기 쉴드바(30)에 복수번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바(30)가 상기 브라켓(10)에 힌지고정되되, 상기 쉴드바(30)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50)가 구비된다.
상기 굴곡부(34)는 상기 쉴드바(30)의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쉴드바(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34)에 탄성부재가(40)가 배치된다. 상기 굴곡부(34)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굴곡부(34)는 제1 굴곡(34a)과 제2 굴곡(34b)이 형성된다. 제1 굴곡(34a)과 제2 굴곡(34b) 사이가 쉴드바(30)의 중심이 되어, 탄성부재(40)가 설치되므로, 탄성부재(40)는 제1 굴곡(34a)과 제2 굴곡(34b) 방향(B)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굴곡부(34)에 설치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브라켓(10)과 밀착하여 탄성지지되고, 타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쉴드(20)와 밀착하게 되어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브라켓(10)에 밀착된 상기 쉴드(20)가 상기 브라켓(10)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원복되어 상기 브라켓(10)에 밀착된다.
이탈방지부(50)는 상기 쉴드바(30)가 상기 고정부(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쉴드바(30)의 회동시 상기 쉴드바(30)가 일단 또는 타단으로 즉, 좌, 우측으로 일부 유동되는데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50)에 의해 상기 쉴드바(30)가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탈방지부(50)는 캡(CAP)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쉴드바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코일 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쉴드바(30)의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2)와 접촉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쉴드바(30)를 좌, 우측으로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탈방지부(5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쉴드바(30)의 일단에는 제1 굴곡(34a)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 제1 이탈방지부재가 배치되고, 쉴드바(30)의 타단과 제2 굴곡(34b) 사이에는 제2 이탈방지부재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모듈의 쉴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도록 램프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램프장치는 주, 야간에 따라 각각 다른 조사량 및 조사각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주간 및 야간에 따른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구동부를 조립할 때에는 쉴드(20)의 일면에 쉴드바(30)를 중심축으로 결합하는데, 한 쌍의 고정부(12) 사이에 쉴드(20)의 고정편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고정부(12)의 결합구멍과 고정편의 끼움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쉴드바(30)를 끼워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쉴드바(30)를 결합구멍과 끼움구멍에 끼우기 전에 먼저, 탄성부재(40)를 굴곡부(34)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쉴드바(30)의 양측에 한 쌍의 이탈방지부(50)를 각각 끼워준다. 다음, 상기 쉴드(20)에 상기 쉴드바(30)를 결합한 뒤, 상기 쉴드바(30)를 상기 브라켓(1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쉴드(20)의 하측을 밀어내면 상기 쉴드바(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쉴드(20)의 하측이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브라켓(10)과 상기 쉴드(20)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40)로 원복하게 되면, 적절한 속도에 의해 상기 쉴드(20)를 이동시키게 되어 마찰시에 따른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램프 장치의 구동부가 리플렉터에 설치되어 작동될 때, 헤드램프의 상향등과 하향등의 패턴을 구현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램프가 상향모드에서 하향모드로 전환하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이 전진되고, 구동축에 의해 쉴드(20)가 쉴드바(3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브라켓(10)에 밀착되고, 상기 브라켓(10)의 상측을 막아 리플렉터에 반사되는 상향등의 패턴을 구현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상측으로 조사되는 상향등을 구현하는 빛의 패턴을 상기 쉴드(20)가 차단하여 헤드램프를 하향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하향모드에서 상향모드로 전환하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쉴드(20)가 상기 쉴드바(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쉴드(20)는 상기 브라켓(10)에 밀착된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0)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브라켓(10)의 상측을 개방하여,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상향등의 패턴을 구현하는 빛이 간섭없이 직진되어 상향모드를 구현하는 빛의 패턴을 구현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브라켓 20: 쉴드
30: 쉴드바 34: 굴곡부
40: 탄성부재 50: 이탈방지부

Claims (8)

  1. 차량의 램프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쉴드바;를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바는 상기 탄성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곡률을 가지는 굴곡부가 형성된 차량의 램프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쉴드바의 중심에 형성되는 차량의 램프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바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의 램프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설치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램프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비된 차량의 램프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바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되, 상기 쉴드바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캡(CAP)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쉴드바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는 차량의 램프 모듈.
KR1020140054313A 2014-05-07 2014-05-07 차량의 램프 모듈 KR2015012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313A KR20150127458A (ko) 2014-05-07 2014-05-07 차량의 램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313A KR20150127458A (ko) 2014-05-07 2014-05-07 차량의 램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58A true KR20150127458A (ko) 2015-11-17

Family

ID=5478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313A KR20150127458A (ko) 2014-05-07 2014-05-07 차량의 램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74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72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лучения светового пучка и фара, в частно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15659B1 (ko) 차량용 등기구
JP5830380B2 (ja) ランプアセンブリ
CN106716008B (zh) 具有压抵光源支撑件的光学元件的车辆照明装置
EP3040601B1 (en) Light emitting diode vehicle headlight
JP2018032618A (ja) 可撓性ブレーシング要素でピン留めされる光学素子を有する車両照明装置
CN102537801A (zh) 用于车辆的前照灯
WO2009130640A3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KR20100114804A (ko)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CN103511946A (zh) 车辆用前照灯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KR20140083807A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유닛
JP2012151058A (ja) シェード駆動ユニット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666507B1 (ko) 차량용 램프
KR20110072381A (ko) 헤드램프장치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150127458A (ko) 차량의 램프 모듈
KR1015571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CN205424735U (zh) 一种照明区域可调的前照灯
JP2018073776A (ja) 車両用灯具
KR10137577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846266A (zh) 包括可移动发信号模块和可移动照明模块的照明设备
KR101397588B1 (ko) 차량용 헤드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