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096Y1 -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096Y1
KR200314096Y1 KR20-2003-0006670U KR20030006670U KR200314096Y1 KR 200314096 Y1 KR200314096 Y1 KR 200314096Y1 KR 20030006670 U KR20030006670 U KR 20030006670U KR 200314096 Y1 KR200314096 Y1 KR 200314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le
switch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원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6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스위치 몸체와, 스위치 몸체에 결합되되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노출되게 결합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조작되는 조작노브와, 스위치 몸체에 개재되며 조작노브에 의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연동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노브는 스위치 몸체 부분에 결합되는 하측노브와, 하측노브의 끝단에 결합되는 상측노브 및, 상측노브와 하측노브 사이에 개재되되 일정각도 회전되는 중앙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노브의 끝단에는 누름버튼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Combination switch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핸들(Handle)의 하측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정속주행기능인 크루즈(Cruise) 기능과, 오디오(Audio) 기능을 모두 콘트롤(Control)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다양한 기능들을 각각 제어해주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위치들은 대부분 운전자가 매우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자동차에는 윈도우(Window)를 개폐하는 윈도우스위치와, 라이트(Light)를 온(On)/오프(Off)시키는 라이트스위치와, 와이퍼(Wiper)를 구동시키는 와이퍼스위치 및, 오디오를 제어해주는 오디오스위치 등이 구비되는 바, 윈도우스위치는 자동차 도어(Door)의 내측에 주로 설치되어 있고, 라이트스위치와와이퍼스위치는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오디오스위치는 자동차의 내측전면이나 자동차의 핸들 상면에 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자동차의 정속주행여부를 제어해주는 크루즈스위치가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크루즈스위치도 또한 라이트스위치와 와이퍼스위치 등과 같이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주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스위치 중 다수 즉, 라이트스위치와, 와이퍼스위치와, 오디오스위치 및 크루즈스위치 등이 자동차 핸들의 하측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고 있는 바,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는 이러한 스위치들의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별도의 SRC(Steering Roll Connector)나 슬립 링(Slip Ring)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자동차 핸들의 하측부분은 이러한 SRC나 슬립 링 등으로 인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면서 부피 또한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에어백(Air bag)도 자동차 핸들의 상면에 설치되어지는 바, 자동차 핸들의 하측부분은 더욱더 복잡해지면서 부피 또한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핸들의 하측부분을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장착되되 자동차의 정속주행기능인 크루즈 기능과, 오디오 기능을 모두 콘트롤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좌우동작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상하동작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I'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작노브와 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하우징에 조작노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하측노브를 분리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하측노브의 삽입부가 헤드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콤비네이션 스위치 100 : 스위치 몸체
200 : 조작노브 300 : 슬라이딩 유닛
110 : 하우징 130 : 커버
150 : 베이스 220 : 하측노브
260 : 상측노브 280 : 중앙노브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스위치 몸체와, 스위치 몸체에 결합되되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노출되게 결합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조작되는 조작노브(Knob)와, 스위치 몸체에 개재되며 조작노브에 의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연동되는 슬라이딩 유닛(Sliding Unit)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노브는 스위치 몸체 부분에 결합되는 하측노브와, 하측노브의 끝단에 결합되는 상측노브 및, 상측노브와 하측노브 사이에 개재되되 일정각도 회전되는 중앙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노브의 끝단에는 누름버튼(Button)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 몸체는 하측노브가 끼워지며 일면에 제1관통홀(Hole)과 제2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과,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측노브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Cover) 및, 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되 밑면에 소정 패턴(Pattern)의 시그날 라인(Signal line)과 접속핀(Pin)들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자동차 핸들 부분에 끼워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속부가 형성된 베이스(Base)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유닛은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측노브는 하우징과 커버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의 하면에는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의 끝단부에는중앙노브와 상측노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는 삽입부를 커버해주되, 조작노브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재는 중공의 통체형상이며, 상기 헤드부재의 하면 중 일측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하면 중 타측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상기 가이드 돌기 사이에는 삽입부의 장착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하우징의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헤드부재의 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되 조작노브가 상하방향으로 조작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동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부의 장착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되 조작노브가 좌우방향으로 조작됨에 따라 조작노브의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는 제2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홀은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는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제2슬라이더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핀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더의 상면에는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의 하면에는 베이스의 시그날 라인에 접촉되는 가동접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중앙부분에는 장착돌기가 끼워지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하부일측에는 베이스의 시그날 라인에 접촉되는 가동접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노브의 내측에는 중앙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되는 접점플레이트와, 접점플레이트에 접촉되면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선된 제1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측노브의 내측에는 누름버튼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제2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500)는 자동차 핸들(미도시)의 하측에 장착되는 스위치 몸체(100)와, 이 스위치 몸체(100)에 결합되되 외부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노출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조작되는 조작노브(200) 및, 스위치 몸체(100)의 내부에 개재되며 조작노브(200)의 조작에 의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연동되는 슬라이딩 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조작노브(200)는 소정길이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스위치 몸체(100)에 결합되되 스위치 몸체(100)의 외부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노출되게결합되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조작되는 바, 이하에서는 스위치 몸체(100) 중 조작노브(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후(後)'방향이라 하기로 하고, 이 '후'방향의 반대방향 즉, 스위치 몸체(100) 중 조작노브(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방향을 '전(前)'방향이라 칭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장착되는 스위치 몸체(100)는 다시 조작노브(200)가 끼워지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조작노브(200)가 하우징(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작노브(200)를 홀딩(Holding)시켜주는 커버(130) 및, 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50)로 구성된다. 이에, 스위치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유닛(300)은 이 스위치 몸체(100) 중 하우징(110)과 베이스(150) 사이에 개재되어진다.
여기에서, 하우징(110)은 사각 패널(Panel)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밑면에는 하우징(110)의 상측방향으로 끼워지는 조작노브(200)가 하우징(110)의 하측부분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제1관통홀(113)과 제2관통홀(115)이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홀(113)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호(圓弧)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관통홀(115)은 소정 크기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후방향 단부에는 후술될 조작노브(200)의 가이드(Guide)돌기(228)가 끼워진 다음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다.
또, 하우징(110)의 전방향 단부의 중앙에는 후술될 조작노브(200)의 전단부에 끼워지는 탄성유닛(22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평면 벽체형상인 제1평면부(114)가 형성되고, 이 제1평면부(114)의 좌우부분에는 하우징의(110) 내측방향으로 내향굴곡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117)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전방향에 제1평면부(114)와 제1경사부(117)가 형성되는 이유는 스위치 몸체(100)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조작되는 조작노브(200)가 이 제1평면부(114)와 제1경사부(117)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130)는 하우징(110)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사각 패널형상으로, 후방향 단부의 근접한 부분에는 후술될 조작노브(200)의 끼움돌기(229)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홀(134)이 형성된다. 이에, 조작노브(200)는 이 끼움홀(229)에 끼워짐으로 커버(130)와 하우징(110) 등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몸체(10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조작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50)는 하우징(110)의 하측부분을 일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크기의 상면이 개구된 패널 형상으로, 밑면에는 전원이나 소정 시그날 등이 전달되어지도록 소정 패턴의 시그날 라인(156)과 접속핀(154)들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에는 자동차 핸들 부분에 끼워져 전원 등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접속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스위치 몸체(100)에 결합되는 조작노브(2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길이를 갖는 로드(Rod)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시 스위치 몸체(100)부분에 결합되는 하측노브(220)와, 이 하측노브(220)의 끝단에 결합되는상측노브(260) 및, 이 상측노브(260)와 하측노브(220)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노브(280)로 구성된다.
먼저, 하측노브(220)에 대해 설명하면, 하측노브(220)는 스위치 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21)와, 이 삽입부(221)에 연결되되 스위치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230) 및, 삽입부(221)와 노출부(230) 사이에 위치되며 조작노브(200)가 결합되는 스위치 몸체(100)의 후방향 부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주는 차단부재(232)로 이루어지며, 이때의 삽입부(221)에는 스위치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삽입부(221)의 전면과 상면을 커버해주고 하측노브(220)를 포함한 조작노브(200)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해주는 헤드부재(233)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삽입부(221)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직육면체 타입의 로드형상으로, 전면에는 후술될 제2탄성유닛(237)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236)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2관통홀(115)에 끼워지는 장착돌기(227)가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삽입부(221)에 결합되는 헤드부재(233)는 삽입부(221)와 헤드부재(233)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별도의 연결핀(2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부(221)를 커버하되, 스위치 몸체(1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중공의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헤드부재(233)의 상면 즉, 헤드부재(233) 중 커버(130)에 대향되는 면에는 커버(130)의 끼움홀(134)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229)가 형성되고,헤드부재(233)의 전면에는 헤드부재(233)를 탄성지지해주는 제1탄성유닛(223)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직경의 제1삽입홀(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재(233)의 하면 중 전방향 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제1관통홀(223)에 대응되는 결합홀(226)이 형성되고, 헤드부재(233)의 하면 중 후방향 단부의 근접한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가이드 홈(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228)가 형성되며, 결합홀(226)과 가이드 돌기(228) 사이에는 삽입부(221)의 장착돌기(227)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된다.
또, 헤드부재(233)의 내면 즉, 삽입부(221)가 헤드부재(233)의 내부로 끼워질 경우 삽입부(221)의 전면에 대향되는 헤드부재(233)의 내면에는 중앙부분에 수직평면 벽체형상인 제2평면부(234)가 형성되고, 이 제2평면부(234)의 상하부분에는 제2평면부(234)에서 헤드부재(233)의 내측방향으로 내향굴곡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235)가 형성된다. 이때, 헤드부재(233)의 내면에 제2평면부(234)와 제2경사부(235)가 형성되는 이유는 스위치 몸체(100) 중 헤드부재(233)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조작되는 조작노브(200)가 이 제2평면부(234)와 제2경사부(235)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가이드 돌기(228)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홀(226)은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221)의 장착돌기(227)는 삽입부(221)의 장착돌기(227)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115)을 관통하여 후술될 제2슬라이더(34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핀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헤드부재(233)의 제1삽입홀(222)에 끼워지는 제1탄성유닛(223)에 대해 설명하면, 제1탄성유닛(223)은 제1삽입홀(222)에 끼워지는 제1절도용 핀(224)과, 이 제1절도용 핀(224)에 의해 제1삽입홀(222) 내부에 개재되며 제1절도용 핀(224)을 탄성지지해주는 제1탄성스프링(225)으로 구성되고, 전술한 하우징(110)의 제1평면부(114) 및 제1경사부(117)에 지지되어 헤드부재(233)의 전면을 탄성지지해주는 역할 및, 조작노브(200)가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작되도록 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삽입부(221)의 제2삽입홀(236)에 끼워지는 제2탄성유닛(237)에 대해 설명하면, 제2탄성유닛(237)은 제2삽입홀(236)에 끼워지는 제2절도용 핀(238)과, 이 제2절도용 핀(238)에 의해 제2삽입홀(236) 내부에 개재되며 제2절도용 핀(238)을 탄성지지해주는 제2탄성스프링(239)으로 구성되고, 전술한 헤드부재(233)의 제2평면부(234) 및 제2경사부(235)에 지지되어 삽입부(221)의 전면을 탄성지지해주는 역할 및, 조작노브(200)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작되도록 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또한, 하측노브(220)의 노출부(2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 손잡이 타입으로 형성되며, 그 끝단부에는 전술한 중앙노브(280)와 상측노브(260)가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로드 형상의 지지부재(23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231)는 하측노브(220)의 끝단부에서 하측노브(2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노브(280)와 상측노브(260)에 끼워져 중앙노브(280)와 상측노브(260)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하측노브(220)의 끝단에 결합되는 중앙노브(280)는 다소 짧은 길이를 갖는 원통형 손잡이 타입으로 형성되며, 하측노브(220)의 끝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231)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재(231)에 끼워지는 중앙노브(280)의 내측으로는 중앙노브(280)가 회전됨에 따라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선된 제1인쇄회로기판(282)과, 이 제1인쇄회로기판(282)에 접촉되는 접점플레이트(284)가 구비되며, 이러한 접점플레이트(284)에 대향되는 중앙노브(280)의 내면에는 중앙노브(280)가 회전됨에 따라 이 중앙노브(280)와 같이 접점플레이트(28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접촉돌기(286)가 형성된다. 이에, 중앙노브(280)가 회전됨에 따라 중앙노브(280)의 접촉돌기(286)는 회전되면서 접점플레이트(28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렇게 회전되는 접점플레이트(284)는 소정 패턴으로 배선된 제1인쇄회로기판(282)의 배선 중 일정부분을 임의로 컨택(Contact)하여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하측노브(220)의 끝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23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노브(280)가 결합된 다음 최종적으로 상측노브(260)가 결합되게 된다.
이하, 상측노브(26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측노브(260)는 중앙노브(280)와 같이 원통형 손잡이 타입으로 형성되되 중앙노브(280) 보다 다소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중공타입(Type)으로 형성되며, 하측노브(220)의 끝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231)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측노브(260)의 외부 즉, 상측노브(260)의 끝단부에는누름버튼(262)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며, 상측노브(260)의 내부로는 이러한 누름버튼(262)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263)와, 이 택트 스위치(263)가 장착되는 제2인쇄회로기판(264) 및, 제2인쇄회로기판(264)을 고정시켜주는 기판 케이스(265)가 개재된다.
이에, 자동차(미도시)의 오디오 볼륨(Volume)을 조정하고 싶을경우 사용자는 이 누름버튼(262)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일단부를 누름으로써, 자동차의 오디오 볼륨을 조정하게 되며, 택트 스위치(263) 및 제2인쇄회로기판(264) 등은 이러한 누름버튼(262)의 눌러짐에 의해 따라 연동되어 자동차의 오디오 볼륨이 조정되도록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스위치 몸체(100) 중 하우징(110)과 베이스(150) 사이에 개재되되, 조작노브(200)의 조작에 의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등으로 연동되는 슬라이딩 유닛(300)은 다시 제1슬라이더(320)와 제2슬라이더(340)로 구성된다.
먼저, 제1슬라이더(320)에 대해 설명하면, 제1슬라이더(320)는 하우징(110)과 베이스(150) 사이에 개재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하측부분에는 가동접점(321)이 장착되고, 상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결합돌기(323)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2슬라이더(340)는 하우징(110)과 베이스(150) 사이에 개재되는 직사각형 박스(Box) 형상으로, 중앙부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장착홀(345)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가동접점(342)이 장착된다.
이때, 제1슬라이더(320)의 결합돌기(323)는 결합돌기(323)의 상측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110)의 제1관통홀(113)을 관통하여 조작노브(200)의 결합홀(226)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2슬라이더(340)의 장착홀(345)은 하우징(110)의 제2관통홀(115)을 관통하는 조작노브(200)의 장착돌기(227)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노브(200)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도 조작되면, 조작노브(200)는 하우징(110)의 제1관통홀(113)과 제2관통홀(115) 등의 여유공간에서 일정각도 회동되어지며, 이 회동에 의해 조작노브(200)에 결합되는 제1ㆍ제2슬라이더(320,340)는 조작노브(200)의 회동되는 방향 또는 조작노브(200)의 회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또는 일정거리 회동되어지면서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미설명 부호 266과 267은 각각 중앙노브(28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중앙노브(280)를 탄성지지해주는 지지핀(266)과 지지스프링(Spring,267)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인 크루즈 기능을 콘트롤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 몸체(100)에 결합된 조작노브(200)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크루즈 기능을 '온' 시킬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C방향과 같이, 본 고안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 중 조작노브(200)의 상측노브(260) 방향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조작노브(200) 중 하측노브(220) 방향 즉,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은 상측노브(260) 방향과는 반대인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베이스(150)에 개재된 제1슬라이더(320)는 이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원래위치인 정위치 상태에서 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지고, 이 이동되면서 베이스(150)에 형성된 소정 시그날 라인(156)을 일정부분 컨택하여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시그날은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미도시)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정속주행기능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후, 자동차의 크루즈 기능을 '오프' 시킬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D방향과 같이, 본 고안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 중 조작노브(200)의 상측노브(260) 방향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조작노브(200) 중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베이스(150)에 개재된 제1슬라이더(320)는 이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원래 위치상태에서 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지고, 이 이동되면서 베이스(150)에 형성된 소정 시그날 라인을 일정부분 컨택하여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시그날은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에 전달되어 자동차 정속주행기능의 작동을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자동차의 크루즈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속력을 더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킬 경우 사용자는 도 2의 A방향과 같이, 본 고안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를 푸쉬(Push)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 중 조작노브(200)의 상측노브(260) 방향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조작노브(200) 중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베이스(150)에 개재된 제2슬라이더(340)는 이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원래 위치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지고, 이 이동되면서 베이스(150)에 형성된 소정 시그날 라인(156)을 일정부분 컨택하여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소정 시그날은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주행속력을 더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게 된다.
이후, 자동차가 일정속력으로 주행됨에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속력을 현재상태 그대로 셋팅(Setting)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2의 B방향과 같이, 본 고안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를 풀(Pull)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조작노브(200) 중 조작노브(200)의 상측노브(260) 방향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조작노브(200) 중 하측노브(220)의 삽입부 부분은 상측노브(260) 방향과는 반대인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베이스(150)에 개재된 제2슬라이더(340)는 이 하측노브(220)의 삽입부(221) 부분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원래 위치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지고, 이 이동되면서 베이스(150)에 형성된 소정 시그날 라인을 일정부분 컨택하여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시그날은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주행속력을 현재상태 그대로 셋팅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본 고안 콤비네이션 스위치(500)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오디오 기능을 컨트롤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중앙노브(28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거나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상측노브(260)에 장착된 누름버튼(262)을 일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오디오 기능 중 CD(Compact Disk), 테이프(Tape), 라이오(Radio) 등과 같은 각 모드(Mode)를 선택하거나 오디오의 발생된 음을 뮤트(Mute)시킬 경우, 사용자는 도 1의 G방향이나 H방향 같이 중앙노브(28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중앙노브(280)를 G방향과 같은 좌측방향이나 H방향과 같은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중앙노브(280)는 회전되면서 중앙노브(280)의 접촉돌기(286)를 통해 접점플레이트(284)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일정각도 회전되는 접점플레이트(284)는 회전되면서 소정 패턴으로 배선된 제1인쇄회로기판(282)의 배선 중 일정부분을 임의로 컨택하여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소정 시그날은 자동차의 오디오 장치(미도시)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오디오 기능 중 어느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거나 오디오 음을 뮤트시키게 된다.
이후, 자동차의 오디오 볼륨을 높이거나 낮출 경우, 사용자는 도 4의 E방향이나 F방향과 같이 콤비네이션 스위치(500)의 상측노브(260)에 장착된누름버튼(262)을 누르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측노브(260)에 장착된 누름버튼(262)을 일측방향으로 누를 경우, 누름버튼(262)의 일측부분은 상측노브(260)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지며, 이 상측노브(260)의 일측부분에 대응되는 상측노브(260)의 택트 스위치(263)는 이 상측노브(260)의 일측부분이 이동됨에 따라 눌러지게 된다. 이에, 택트 스위치(263)는 택트 스위치(263)에 연결된 제2인쇄회로기판(264)을 통해 자동차의 오디오 장치에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키게 되며, 오디오 장치는 이 전달된 시그날에 의해 오디오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콤비네이션 스위치(500)는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장착되되 자동차의 정속주행기능인 크루즈 기능과, 오디오 기능을 모두 콘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오디오 스위치와 크루즈 스위치 등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어 종래 다수의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별도의 SRC나 슬립 링을 대폭 간소화시키거나 생략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 핸들의 하측부분을 더욱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자동차 핸들의 하측에 장착되되 자동차의 정속주행기능인 크루즈 기능과, 오디오 기능을 모두 콘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오디오 스위치와 크루즈 스위치 등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어 종래 다수의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별도의 SRC나 슬립 링을 대폭 간소화시키거나 생략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 핸들의 하측부분을더욱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결합되되,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노출되게 결합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조작되는 조작노브;
    상기 스위치 몸체에 개재되며, 상기 조작노브에 의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연동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스위치 몸체 부분에 결합되는 하측노브와, 상기 하측노브의 끝단에 결합되는 상측노브 및, 상기 상측노브와 상기 하측노브 사이에 개재되되 일정각도 회전되는 중앙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노브의 끝단에는 누름버튼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몸체는
    상기 하측노브가 끼워지며 일면에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측노브가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되 밑면에 소정 패턴의 시그날 라인과 접속핀들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자동차 핸들 부분에 끼워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속부가 형성된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노브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중앙노브와 상기 상측노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상기 삽입부를 커버해주고 상기 조작노브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중공의 통체형상이며, 상기 헤드부재의 하면 중 일측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하면 중 타측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상기 가이드 돌기 사이에는 상기 삽입부의 장착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헤드부재의 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조작노브가 상하방향으로 조작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동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의 장착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조작노브가 좌우방향으로 조작됨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의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는 제2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슬라이더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핀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의 상면에는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시그날 라인에 접촉되는 가동접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더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끼워지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하부일측에는 상기 베이스의 시그날 라인에 접촉되는 가동접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노브의 내측에는 상기 중앙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되는 접점플레이트와, 상기 접점플레이트에 접촉되면 소정 시그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선된 제1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노브의 내측에는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와, 상기 택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제2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의 상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끼움돌기에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의 전면에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홀에는 상기 헤드부재를 탄성지지해주는 제1탄성유닛이 끼워지며, 상기 헤드부재의 전면에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에는 중앙부분에 제1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의 좌우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내향굴곡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전면에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홀에는 상기 삽입부를 탄성지지해주는 제2탄성유닛이 끼워지며, 상기 삽입부의 전면에 대향되는 상기 헤드부재의 내면에는 중앙부분에 제2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부의 상하부분에는 상기 헤드부재의 내측방향으로 내향굴곡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유닛은 상기 제1삽입홀에 끼워지는 제1절도용 핀과 상기 제1삽입홀에서 상기 제1절도용 핀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스프링이며, 상기 제2탄성유닛은 상기 제2삽입홀에 끼워지는 제2절도용 핀과 상기 제2삽입홀에서 상기 제2절도용 핀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20-2003-0006670U 2003-03-06 2003-03-06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200314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670U KR200314096Y1 (ko) 2003-03-06 2003-03-06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670U KR200314096Y1 (ko) 2003-03-06 2003-03-06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825A Division KR100514081B1 (ko) 2003-03-05 2003-03-05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096Y1 true KR200314096Y1 (ko) 2003-05-22

Family

ID=4940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670U KR200314096Y1 (ko) 2003-03-06 2003-03-06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0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88B1 (ko) 2006-05-25 2007-11-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100776615B1 (ko) 2006-05-25 2007-11-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88B1 (ko) 2006-05-25 2007-11-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100776615B1 (ko) 2006-05-25 2007-11-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87672A (ja) スイッチ装置
JP200014242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151253A (ja) 電子機器
KR200314096Y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100514081B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10069249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EP1666312B1 (en) Impact absorbing panel unit of a vehicle interior
JP3902436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6012695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433252B2 (ja) リモコン送信機
EP1739792B1 (en) Circuit unit device
JP2590887Y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操作器
KR100896416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JP2009032536A (ja) 車両用スイッチ
KR20050018328A (ko)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장치
JPS6411493B2 (ko)
CN113734268B (zh) 用于转向盘的控制装置、转向盘及车辆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2000311554A (ja) スイッチ装置
EP1457404B1 (en) Steering wheel switch
JP2009120075A (ja) スロープ機構およびこのスロープ機構を備えた車載用音響機器
JPH1051154A (ja)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JP2516066Y2 (ja) スイッチ装置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KR100246042B1 (ko)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