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778Y1 -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778Y1
KR200485778Y1 KR2020160000708U KR20160000708U KR200485778Y1 KR 200485778 Y1 KR200485778 Y1 KR 200485778Y1 KR 2020160000708 U KR2020160000708 U KR 2020160000708U KR 20160000708 U KR20160000708 U KR 20160000708U KR 200485778 Y1 KR200485778 Y1 KR 200485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lever
rotator
elastic body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919U (ko
Inventor
송용석
장지석
설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코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코넥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코넥타
Priority to KR2020160000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7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삽입되는 핸들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축인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일단과 타단이 가운데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상기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상기 핸들 안착홀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스테이터의 일부에 간섭되어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상기 로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회동 레버와,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 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회동 레버 및 탄성체의 조립만으로도 간단하게 조립 가능하고,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품의 제조 단가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Steering Rolling Connect Apparatus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레버 및 탄성 스프링의 조립만으로도 간단하게 조립 가능하고, 스티어링 휠의 하단 중심부의 삽입 동작에 의하여 간단한 회동 동작으로 오토락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품수를 삭제하여 제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핸들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와, 그리고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등이 구비된다.
스티어링 핸들은, 주행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기능 동작부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핸들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핸들 측면의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핸들의 상단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핸들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각종 전장 장치들과 전기적 신호의 소통을 이루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일본특허 실개평 제4-87191호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커넥터 장치가 기술되어 있는데, 롤 커넥터는 센터에 센터구멍을 형성하는 외통부와, 외통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내통부에 고정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는데, 가요성 케이블은 외통부의 내벽에 시계방향으로 감겨져 U자 모양으로 반전하여 내통부 외벽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짐으로써 외통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롤 커넥터는 조립 과정에 있어서 중립 위치 확보가 필수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하다. 즉, 롤 커넥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와 로테이터 간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 채로 완성차 조립 공정에 납품되어야 정확한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롤 커넥터의 중립을 확보하기 위하여 오토락이 장착된 상태의 롤 커넥터가 완성차 조립 회사로 납품 및 물류 이동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커넥터는 완성차 조립 공정에서 스티어링 핸들의 샤프트와 체결되고, 스티어링 핸들의 스위치류의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커넥터와 연결되는데 종래의 중립핀은 스위치 커넥터의 조립 위치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스위치 커넥터의 사전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완성차 업체로의 개별적 납품은 물류비를 증대시키고, 완성차 조립시 복잡한 와이어 하네스의 존재로 인하여 오조립 가능성이 커짐은 물론, 탈거 구조의 중립핀만을 구비하여 제거 후 스티어링 핸들을 조립하게 되면 다시 오조립의 문제가 발생하여 재조립해야 하는 등 중립 상태의 순간적 해제로 인한 추후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506호(이하, '제1공지 기술'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6781호(이하, '제2공지 기술'이라 함)를 통하여,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순간까지 오토락이 중립 위치를 보증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제1공지 기술의 경우 오토락은 스티어링 휠의 삽입시 스티어링 휠과 접촉되는 일단과 함께 타단이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잠금 위치에서 해제되도록 구비되는데, 스티어링 휠의 삽입량에 따라 오토락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공지 기술의 경우 오토락은 스티어링 휠과 접촉되는 방아쇠부의 모양을 종단면상에서 부드러운 곡선을 형성하도록 구비하여, 상단부인 방아쇠부가 스티어링 휠의 삽입시 스티어링 휠의 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인 고정핀부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데, 오토락이 고정되는 로테이터 중 어느 한 부분에만 스티어링 휠의 푸쉬력이 가해지는 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작동 시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제품의 오작동 및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삽입되는 핸들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축인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일단과 타단이 가운데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상기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상기 핸들 안착홀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스테이터의 일부에 간섭되어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상기 로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회동 레버와, 일단은 상기 로테이터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 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에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밀착 수용되는 스프링 안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안착홈부는,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 레버의 두께 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소정 두께의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에는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단(210)이 걸림 수용되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기 걸림단은 상기 걸림홈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 안착홈부는,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걸림단의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동 레버 및 탄성 스프링의 간단한 설치 동작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탄성 스프링을 리테이닝하는 별도의 구조물의 삭제로 인하여 부품수를 절감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회동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회동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삽입되는 핸들 안착홀(WH)이 형성되고, 스티어링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테이터(120)와, 로테이터(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축인 스티어링 컬럼(150)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미도시)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10)와, 로테이터(120)에서 일단(210)과 타단(220)이 가운데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일단(210)이 스테이터(110)의 일부에 간섭되게 탄성 지지되는 회동 레버(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도시의 스티어링 핸들은 스티어링 컬럼(150)의 상단에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상호 연결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시킬 때 스티어링 컬럼(150)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차륜을 연동시켜 주행 방향을 변경시키게 된다.
로테이터(120)의 핸들 안착홀(WH)은 하부에 구비된 슬리브(130)의 내주면과 연통되되, 슬리브(130)의 내주면에는 스티어링 컬럼(150)이 삽입 관통되는 컬럼 관통홀(CH)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안착홀(WH)과 컬럼 관통홀(CH)은 명확하게 그 경계가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 인접하는 부분에서 로테이터(120)와 슬리브(130)가 상호 결합되면서,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와 스티어링 컬럼(150)의 상단부가 상호 결합된다.
스티어링 컬럼(150)은 미도시의 컬럼 하우징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보호되고, 컬럼 하우징에는 상술한 스테이터(1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스테이터(110)는, 컬럼 하우징에 고정되는 메인 스테이터(110A)와, 메인 스테이터(110A)의 상부에 결합되되, 메인 스테이터(110A)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외벽을 형성하면서 가운데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스티어링 컬럼(150)과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서브 스테이터(110B)로 구성된다.
서브 스테이터(110B)의 상단부에는 상술한 로테이터(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로테이터(120)가 결합되는 순간 메인 스테이터(110A)의 상부와 서브 스테이터(110B)의 외벽 및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 사이에 상술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소정의 공간에는 미도시의 플랫 케이블이 권선되도록 배치되어, 스티어링 핸들 상에 구비된 각종 스위치류(미도시) 또는 에어백 모듈 간의 전기적 신호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테이터(120)의 상단부에는 전원 접속 단자(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100)가 조립되면, 메인 스테이터(110A)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후크 결합단(111)을 이용하여 상술한 컬럼 하우징에 견고하게 후크 결합시킨다.
한편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은, 스테이터(110)의 핸들 안착홀(WH)에 해당하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부(115) 중 어느 일부에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회동 방향으로 소정 깊이 만큼 함몰되게 형성된 걸림홈(119)에 의하여 로테이터(1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회동 레버(200)가 결합된 로테이터(120)의 내주 일부에는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동 가이드부(117)가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가이드부(117)는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이 회동될 때 로테이터(120)의 내주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면서도 가능한 한 회동 레버(20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고정되는 요소(즉, 스테이터(110))와 움직이는 요소(즉, 로테이터(120)) 사이의 복잡한 구성을 단순화하도록 하여 제품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레버(20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로테이터(120)의 핸들 안착홀(WH) 중 하단부에 구비된 장착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은 핸들 안착홀(WH)을 이루는 내주면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회동 레버(200)의 타단(220)은 핸들 안착홀(WH)의 중심부에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보다 가깝게 배치되며, 회동 레버(200)의 가운데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한 쌍의 힌지단(230)이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힌지단(230)은 장착단에 형성된 미도시의 힌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동작으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공되면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과 타단(220)이 상호 외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힌지단(230)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된다.
한편, 스테이터(110)에 형성된 단턱부(115)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을 향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홈(119)은 단턱부(115)의 일부에 형성되되, 상부 및 스티어링 컬럼(150) 또는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에 형성된 걸림단(210)은, 후술하는 탄성체(2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면, 도 3a와 같이 걸림홈(119)에 일부가 삽입되어 로테이터(120)의 회전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완성차 조립(즉, 스티어링 핸들의 조립) 전까지는 로테이터(120)의 중립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걸림홈(119)에 삽입되는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에 형성된 걸림단(21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를 가진 부채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단(240a)은 로테이터(120)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 보스(227)에 지지되고, 하단(240b)은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체(240)는, 상단(240a)이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 직상방에 위치된 스프링 설치 보스(227)에 지지되고 하단(240b)이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개재되어 회동 레버(20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240)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설치 보스(227)는,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핸들 안착홀(WH)에 삽입되어 회동될 때 회동 레버(200)의 타단(220)이 최저 하사점으로 이동하여 멈출 때,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이 접촉되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설치 보스(227)의 일부(227a)는, 핸들 안착홀(WH)에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삽입되기 전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이 최저 하사점일 때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상부면(탄성체(240)의 하단(240b))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는, 스프링 설치 보스(227)의 내부로 삽입 안착된 탄성체(240)의 상단(240a)이 스프링 설치 보스(227)에 수용되어 외부로의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탄성체(240)는,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핸들 안착홀(WH)에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삽입되기 전까지는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에 형성된 걸림단(210)이 걸림홈(119)에 걸림되도록 탄성 지지하고,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핸들 안착홀(WH)에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삽입되어 회동 레버(200)의 타단(220)에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면 탄성 변형되면서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을 걸림홈(119)으로부터 이탈시켜 로테이터(120)와 스테이터(110)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여한다.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상부면에는 상술한 탄성체(240)의 하단(240b)이 밀착 수용되는 스프링 안착홈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스프링 안착홈부(225)로 탄성체(240)가 삽입 수용되므로 공간 상의 설계 제약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스프링 안착홈부(225)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에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되되, 스프링 안착홈부(225)를 회동 레버(200)의 두께 방향 일측 및 타측(양측)과 회동 레버(200)의 타단(220) 측으로 둘러싸는 3면을 형성하는 소정 두께의 격벽(226)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안착홈부(225)는, 탄성체(240)의 하단(240b)이 양측의 격벽(226)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변형시 회동 레버(200)의 두께 방향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 레버(200)의 걸림단(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외곽 단부가 형성되는 바, 스프링 안착홈부(225) 또한 부채꼴 형상의 걸림단(210)에 홈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즉, 스프링 안착홈부(225)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상부면으로부터 걸림단(210)의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 모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핸들 안착홀(WH)에 삽입되기 전의 회동 레버(200)는 탄성체(240)에 의하여 걸림홈(119)에 로테이터(120)의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일단(210)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은 걸림홈(119)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1깊이 만큼이 로테이터(120)의 회전방향으로 간섭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를 스티어링 컬럼(150)의 상단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핸들 안착홀(WH)에 삽입하면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의 하면이 회동 레버(200)의 타단(220)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이때,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이 걸림홈(119)으로부터 상부로 이탈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140)가 핸들 안착홀(WH)에 안착과 동시에 중립 위치를 보증하는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걸림홈(119)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조립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단(240a)은 스프링 설치 보스(227)에 직접 지지되고, 하단(240b)은 회동 레버(200)의 일단(210)의 상부면에 직접 지지되도록 탄성체(240)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매개체 없이도 탄성체(240) 설치가 가능하므로,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품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스테이터 110A: 메인 스테이터
110B: 서브 스테이터 115: 단턱부
117: 회동 가이드부 119: 걸림홈
120: 로테이터 130: 슬리브
140: 하단 중심부 150: 스티어링 컬럼
200: 회동 레버 210: 회동 레버의 걸림단
220: 회동 레버의 타단 230: 힌지단
240: 탄성체 WH: 핸들 안착홀
CH: 컬럼 관통홀

Claims (4)

  1.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삽입되는 핸들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축인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일단과 타단이 가운데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상기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하단 중심부가 상기 핸들 안착홀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스테이터의 일부에 간섭되어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상기 로테이터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회동 레버와;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 보스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단이 상기 스프링 설치 보스에 삽입 안착되고,
    상기 스프링 설치 보스는 일부가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이 최저 하사점일 때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기 상부면(상기 탄성체의 상기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 상부면에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하단이 밀착 수용되는 스프링 안착홈부와, 상기 스프링 안착홈부를 상기 회동 레버의 두께 방향 양측 및 상기 회동 레버의 타단 측으로 둘러싸는 3면을 형성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설치 보스는 상기 일부가 상기 탄성체의 상기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의 상기 하단은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격벽과 상기 스프링 설치 보스의 상기 일부로 둘레가 둘러싸이는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에는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에 형성된 걸림단이 걸림 수용되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기 걸림단은 상기 걸림홈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 안착홈부 및 상기 격벽은, 상기 회동 레버의 상기 일단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걸림단의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KR2020160000708U 2016-02-11 2016-02-11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KR200485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708U KR200485778Y1 (ko) 2016-02-11 2016-02-11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708U KR200485778Y1 (ko) 2016-02-11 2016-02-11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19U KR20170002919U (ko) 2017-08-21
KR200485778Y1 true KR200485778Y1 (ko) 2018-02-21

Family

ID=6062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708U KR200485778Y1 (ko) 2016-02-11 2016-02-11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7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500A (en) 1985-03-23 1987-04-28 Petri Ag Steering wheel installation alignment device
KR101133890B1 (ko) 2010-01-06 2012-04-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롤 커넥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4006344D1 (de) * 2004-12-23 2008-04-10 Delphi Tech Inc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KR20120007418A (ko) * 2010-07-14 201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럭스프링의 오토록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500A (en) 1985-03-23 1987-04-28 Petri Ag Steering wheel installation alignment device
KR101133890B1 (ko) 2010-01-06 2012-04-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롤 커넥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19U (ko) 201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562B1 (en) Steering roll connector for a vehicle
JP3676146B2 (ja) 回転コネクタ
US9979119B2 (en) End-position fixing of a plug-in connection for increasing the vibration resistance
WO2014014048A1 (ja) 電線配索装置
US7934931B2 (en) Rotating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KR100832753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KR200485778Y1 (ko)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JPH09219269A (ja) 回転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6948973B2 (ja) 回転コネクタ
JP6834886B2 (ja) ステアリング用電気接続装置
KR100797607B1 (ko) 레버 스위치
JP3383749B2 (ja) 回転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KR200471124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JP6373134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KR200465066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KR200444474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중립 핀
JP2001270446A (ja) 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
JPH11329650A (ja) 回転コネクタ
KR101506742B1 (ko) 차량용 롤 커넥터 장치
WO2024053462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車載装置
KR101029849B1 (ko) 중립핀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 장치
KR10082039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및 src의 결합구조
KR100410881B1 (ko) 자동차용 클럭 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