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66Y1 - 차량용 롤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66Y1
KR200465066Y1 KR2020080006044U KR20080006044U KR200465066Y1 KR 200465066 Y1 KR200465066 Y1 KR 200465066Y1 KR 2020080006044 U KR2020080006044 U KR 2020080006044U KR 20080006044 U KR20080006044 U KR 20080006044U KR 200465066 Y1 KR200465066 Y1 KR 200465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housing
rotor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520U (ko
Inventor
이석우
전창남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6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플레이트와, 상기 로터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고 중심이 관통된 로터 중심축을 구비하는 로터; 상기 로터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로터 중심축에 권취되는 플랫 케이블; 상기 플랫 케이블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에 각각 장착 수용되는 터미널 블록부;를 구비하되, 상기 터미널 블록부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배치되는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로터에 장착되는 각각 커넥터 터미널 블록과,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롤 커넥터{STEERING ROLL CONNECTOR}
본 고안은 차량용 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현저한 원가 절감을 이루는 구조의 차량용 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상단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각종 전장 장치들과 전기적 신호의 소통을 이루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롤 커넥터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커넥터는 가요성 케이블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가요성 케이블의 각각의 단부는 외통부와 내통부 측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야 하거나, 또는 별개의 결합 부재를 통하여 가요성 케이블 단부에 장착된 터미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외통부 또는 내통부 측에 장착되어야 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는 장치가 컴팩트화되는 경향에 따라 터미널과 외통부 또는 내통부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상당한 조립 공정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별개의 결합 부재의 사용으로 인한 공정 시간 및 공정 원가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롤 커넥터는 케이블에 연결되는 터미널 블록과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 단자와의 연결시 서로 층을 달리하는 배치 위치로 인하여 다수의 벤딩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을 구비함으로서 금형 상의 제조가 어렵고 제조 원가가 현저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을 구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금형 방식의 인서트 사출 생산 방식으로 인하여 약간의 설계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렵고 상당한 비용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 공정을 단순화 시켜 공정 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증대 및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롤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플레이트와, 상기 로터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고 중심이 관통된 로터 중심축을 구비하는 로터; 상기 로터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로터 중심축에 권취되는 플랫 케이블; 상기 플랫 케이블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에 각각 장착 수용되는 터미널 블록부;를 구비하되, 상기 터미널 블록부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배치되는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로터에 장착되는 각각 커넥터 터미널 블록과,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롤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의 연결 방향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결 방향과 수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롤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속시 위치 고정을 위한 케이블 터미널 블록 고정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과 커넥터부 간의 연결을 위하여 복잡한 벤딩 구조의 인서트 사출 방식의 터미널 블록을 배제시킴으로써, 롤 커넥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공정 시간 및 공정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타입의 케이블/커넥터 터미널 블록과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한 접속 구조의 선택이 가능하여 다양한 차량에 장착되는 롤 커넥터에 대하여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용 롤 커넥터(10)는, 하우징(100)과, 로터(200)와, 플랫 케이블(300)과, 터미널 블록부(400;500,600)를 포함하는데, 로터(200)는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터미널 블록부(40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6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개구를 구비하는데, 하기되는 로터(200)의 로터 중심축(220)이 하우징(100)의 하우징 개구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플레이트(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플레이트(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구 하우징 공간에 플랫 케이블(300)이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체결을 보다 원활하고 공고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에는 하우징 바디 결합부(114)가 형성되고, 하우징 플레이트의 대응 위치에는 하우징 바디 결합부(114)와 맞물리는 하우징 플레이트 결합부(1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측에는 하기되는 터미널 하우징 블록을 수용하는 하우징 블록 수용부(113)가 구비된다(도 1 참조). 즉, 하우징 바디(110)는 하기되는 터미널 하우징 블록(610,620)을 수용하는 하우징 블록 수용부(113)를 구비한다. 하우징 블록 수용부(113)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플레이트(120)에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위한 하우징 플레이트 커넥터(123)가 구비된다.
하우징 플레이트(120)는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내부 공간에는 하기되는 플랫 케이브(300)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중심에는 하우징 바디(110)에 형성된 개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우징 플레이트 중심구(125)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플레이트 중심구(125)를 통하여 하기되는 로터 중심축(220)과 슬리브(2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200)는 로터 플레이트(210)와 로터 중심축(220)을 구비하고, 로터 중심축(220)과 맞물리는 슬리브(230)를 구비한다. 로터 플레이트(210)는 중심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원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는데, 로터 플레이트(210)의 일면 상에는 스티어링 휠 측의 전장 장치 배선과의 전기적 소통을 위한 로터 커넥터 단자(211)가 구비된다. 로터 커넥터 단자(211)에는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이 배치되어 외부 전기 장치, 즉,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는 스위치 장치, 에어백 장치 등과의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로터 플레이트(210)의 일면으로 하우징 바디(110)를 향한 일면에는 로터 중심축(220)이 배치되는데, 로터 중심축(220)은 중심이 관통된 원통형 중심축으로서 일단은 로터 플레이트(210)에 장착되고, 타단은 하우징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슬리브(230)는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로터 중심축(220)과 체결된다. 슬리브(230)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바디(231)와 슬리브 바디(231)로부터 하우징 플레이트(120)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 컬럼(233)을 구비하는데, 슬리브 컬럼(233)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연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에 장착된다. 슬리브 바디(231)의 일면으로 로터 중심축(220)을 향한 일면에는 슬리브 체결부(234) 가 연장 형성되고, 슬리브 체결부(234)에는 슬리브 체결 홈(236)이 구비된다. 로터 중심축(220)의 내측면으로 슬리브 체결부(234)의 대응 위치에는 슬리브 체결부(234)의 적어도 일부를 안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슬리브 체결부 수용부(223)가 구비되는데, 슬리브 체결부 수용부(223)에는 슬리브 체결 돌기(224)가 구비된다. 슬리브(230)가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부터 로터 중심축(220)을 향하여 장착되는 경우, 슬리브 바디(23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슬리브 체결부(234)가 슬리브 체결부 수용부(223)에 가이드되어 수용되고 슬리브 체결부 수용부(223)에 구비되는 슬리브 체결 돌기(224)와 슬리브 체결홈(236)이 맞물림으로써, 로터(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하우징(100)에 대한 로터(20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랫 케이블(300)은 로터 플레이트(210)와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플랫 케이블(30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300)의 일부는 로터 중심축(220)의 외주 상에 권취되는데, 플랫 케이블(300)은 회전판(미도시)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판은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플랫 케이블(300)의 안정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회전판은 반전 롤러를 구비하여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회동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풀림과 감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300)의 일단은 복수 개의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스위치, 에어백 장치와 같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타단은 커넥터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터미널 블록부(400;500,600)는 플랫 케이블(300)의 단부에 장착되어, 하우징(100)과 로터(200)에 각각 장착 수용되는데, 터미널 블록부(400;500,600)는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610)과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620)과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630)을 포함한다.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610)은 플랫 케이브(300)의 단부에 부착되고,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620)은 하우징(100) 또는 로터(200)에 장착되고,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630)은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610)과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6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 간의 전기적 소통을 이루도록 한다.
도 3에는 터미널 블록부(400) 중의 로터 터미널 블록부(5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3의 로터 터미널 블록부(500)에 대한 다른 시점에서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는 터미널 블록부(400) 중의 하우징 터미널 블록부(6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도 5의 하우징 터미널 블록부(600)에 대한 다른 시점에서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도 5의 하우징 터미널 블록부(600)에 대한 다른 시점에서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로터 터미널 블록부(500)는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과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과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을 포함하는데,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과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과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의 연결 방향은 플랫 케이블(300)의 연결 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은 플랫 케이블(300)의 일단과 연결되는데,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과 플랫 케이블(300)의 연결은 납땜 또는 융착 등의 가 공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의 일면 상에는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 단자(513)가 배치되는데,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 단자(513)는 플랫 케이블(300)의 도선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에는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 장착구(522)가 구비되는데,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 장착구(522)에는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521)이 배치된다.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521)은 외부 전기 장치 및/또는 로터 커넥터 단자(211)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으로 구성되는데,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의 일단은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과 타단은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과 연결된다.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은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의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 단자(513)와 그리고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의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521)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과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의 사이에 연성 재질의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가 배치됨으로써 양자의 상대 위치 변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과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과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의 배치 방향이 플랫 케이블(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의 연성으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커넥터 터미널 블록(520)은 로 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 및 플랫 케이블(530)이 배치되는 층과 다른 층을 이루며 로터 커넥터 단자(211)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터미널 블록부(6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과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과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을 포함하는데,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과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과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의 연결 방향은 플랫 케이브(300)의 연결 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은 플랫 케이블(300)의 일단과 연결되는데,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과 플랫 케이블(300)의 연결은 납땜 또는 융착 등의 가공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의 일면 상에는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 단자(613)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 단자(613)는 플랫 케이블(300)의 도선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에는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 장착구(624,624)가 구비되는데,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 장착구(624,62)에는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621)이 배치된다.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621)은 외부 전기 장치 및/또는 하우징 커넥터 단자(123)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으로 구성되는데,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의 일단은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과 타단은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과 연결된다.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은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의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 단자(613)와 그리고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의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 핀(621)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과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의 사이에 연성 재질의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가 배치됨으로써 양자의 상대 위치 변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과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과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의 배치 방향이 플랫 케이블(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하우징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630)의 연성으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넥터 터미널 블록(620)은 하우징 케이블 터미널 블록(610) 및 플랫 케이블(630)이 배치되는 층과 다른 층을 이루며 하우징 커넥터 단자(211)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610)에는 플랫 케이블(300)과의 접속시 위치 고정을 위한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611)가 구비된다.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611)는 로터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와 하우징 케이블 블록 고정구(611)를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양자의 구성이 거의 유사한바 로터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는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에 형성되는데, 로터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는 관통구로서 형성된다. 플랫 케이블(300)의 단부로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납땜 또는 융착 등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부에는 케이블 고정구(311)가 관통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장착 홀더부(800)가 구비되고, 케이블 장착 홀더부(800)의 홀더부(803) 상에는 고정구 관통부(810)가 형성되고 케이블 장착 홀더부(800)의 홀더부(803)의 인접하는 양 측면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가이드(801)와 케이블 가이드(805)가 구비되는데, 연성 인쇄회로기판 가이드(801)와 케이블 가이드(805)의 중심선은 서로 교차되는 구조를 취한다. 먼저,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은 로터 케이블 블록 고정구(511)가 고정구 관통부(810)에 관통되도록 홀더부(803)에 배치된다. 이때, 로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5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 가이드(801)를 관통하여 가이드된다. 그런 후, 플랫 케이블(300)은 케이블 고정구(311)가 고정구 관통부(810)를 관통하고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510)의 일면 상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는데, 플랫 케이블(300)은 케이블 가이드(805)를 관통하여 가이드된다. 그런 후, 납땜 또는 융착 등의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로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플랫 케이블 간의 위치 오차를 가능한 저감 내지 배제시키면서 양자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하우징 케이블 블록 고정구(611)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은 케이블 터미널 블록 및/또는 커넥터 터미널 블록과 이방성 도전 필름(ACF) 등으로 부착될 수도 있는 등, 차량용 롤 커넥터의 터미널 블록부가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의 플랫 케이블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의 로터 터미널 블록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의 하우징 터미널 블록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또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량용 롤 커넥터 100...하우징
200...로터 300...플랫 케이블

Claims (3)

  1.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플레이트와, 상기 로터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고 중심이 관통된 로터 중심축을 구비하는 로터; 상기 로터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로터 중심축에 권취되는 플랫 케이블; 상기 플랫 케이블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에 각각 장착 수용되는 터미널 블록부;를 구비하되, 상기 터미널 블록부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배치되는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로터에 장착되는 각각 커넥터 터미널 블록과,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그리고 타단은 커넥터 터미널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 간의 전기적 소통 및 상대 위치 변동을 허용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 단부에 연결시,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이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과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 블록의 연결 방향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결 방향과 수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속시 위치 고정을 위한 케이블 터미널 블록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커넥터.
KR2020080006044U 2008-05-08 2008-05-08 차량용 롤 커넥터 KR200465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44U KR200465066Y1 (ko) 2008-05-08 2008-05-08 차량용 롤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44U KR200465066Y1 (ko) 2008-05-08 2008-05-08 차량용 롤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20U KR20090011520U (ko) 2009-11-12
KR200465066Y1 true KR200465066Y1 (ko) 2013-01-31

Family

ID=4293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044U KR200465066Y1 (ko) 2008-05-08 2008-05-08 차량용 롤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48B1 (ko) * 2018-06-26 2020-06-03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연성회로기판 및 그것의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940A (ja) * 1998-10-19 2000-04-28 Harness Syst Tech Res Ltd 回転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940A (ja) * 1998-10-19 2000-04-28 Harness Syst Tech Res Ltd 回転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20U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2440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ー
EP0763447B1 (en) Combination switch device
US5899767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vable mechanism
JP3689271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体のリードw/h部の回路ユニットからの取り出し構造
JP5715807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コネクター
JP2009158170A (ja) 回転コネクタ
US5951311A (en) Rotary connector
JP2020058182A (ja) ワイヤハーネス
US6354843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vehicle body side having engaging and recess portions for connection
KR200465066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EP0823352B1 (en) Rotary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and rotary connector
US6579103B2 (en) Roller connector mounted on steering device
JP2001057277A (ja) 回転コネクタ
JP5560740B2 (ja) ワイヤハーネスへの電子制御ユニット取付構造
JP3301929B2 (ja) ハンドルユニット
JP3416416B2 (ja) 回転コネクタ
CN218101752U (zh) 转向连接装置及具有其的车辆
JP3923413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461865Y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JP3112355B2 (ja) 電子機器の配線機構
KR200485778Y1 (ko)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JP5074962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4139313B2 (ja) 回路板収納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458312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장치
KR200444474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중립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