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384B1 -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384B1
KR100288384B1 KR1019980020589A KR19980020589A KR100288384B1 KR 100288384 B1 KR100288384 B1 KR 100288384B1 KR 1019980020589 A KR1019980020589 A KR 1019980020589A KR 19980020589 A KR19980020589 A KR 19980020589A KR 100288384 B1 KR100288384 B1 KR 10028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ver
terminal
fixed
swi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768A (ko
Inventor
김종백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101998002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3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바디에 고정 단자를 압입하여 자동 생산 가능토록 하고 스위치 접점 구조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밑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면에 다수의 고정 단자가 평면으로 노출되게 압입되어 있되, 조사각을 조절하는 단자부에는 상측에서 누를 경우 저면에서 접촉 이격되는 복수의 레버식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회전 및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끝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레버를 회전 작동시킬 때 상기 스위치 바디의 고정 단자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접촉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핀이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때 상기 작동핀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식 단자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슬라이드 작동수단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 스위치 레버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는 원위치 작동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바디에 고정 단자를 압입하여 자동 생산 가능토록 하고 스위치 접점 구조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등화 및 방향지시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외관도로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정면도, 도 1c는 저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등화 및 방향지시 스위치 레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커버(10)와 스위치 바디(20) 사이에 스위치 레버(30)의 끝단이 삽입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 레버(30)를 조향 핸들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위치 레버(3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A)으로 회전시킬 경우 방향 지시등이 깜박이게 되고, 스위치 레버(30)를 하측 또는 상측 방향(B)으로 이동시킬 경우 로우 빔(Low beam) 등화 상태에서 하이 빔(High beam)이나 플래셔 램프(Head lamp flasher)등의 조사각 상태가 바뀌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레버(30)에는 그 끝단에 위치된 노브(31)를 회전시킴으로써 등화 오프 상태, 차폭등, 전조등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바디(20)와 스위치 커버(10) 사이에는 방향 지시등 작동 상태에서 차량의 진로 변경이 어느 정도 완료된 경우 조향 핸들을 다시 원위치시킴으로써 방향 지시등의 작동 상태도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시등 원위치 작동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바디(20)의 저면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단자(25)의 끝부분이 노출되어 방향 지시등 및 등화 회로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를 도 2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스위치 바디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로서, 스위치 바디(20)는 그 상면 및 후방면이 스위치 커버(10)와 스위치 레버(30)의 끝단이 내재될 수 있게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바디(20)의 한쪽 내면에는 방향 지시등 회로와 연결되는 3개의 고정 단자(25A)가 노출되어 있고, 다른 쪽 면에는 전조등의 조사각 조절 회로와 연결되는 4개의 고정단자(25B)가 노출되어 있되, 이 4개의 고정 단자(25B) 사이에는 상기 스위치 레버(3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두 개의 접촉 단자(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접촉 단자(26)의 상측에는 누름 블록(27)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 단자(25A)(25B)들은 도 2c에서와 같이 스위치 바디(20)의 저면에 7개의 단자로 노출되어 있다.
도 3은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평면도, 정단면도로서, 상기 스위치 레버(30)는 운전자가 직접 회전 작동시키거나 상하 작동시킴에 따라 스위치 바디(20)내의 고정 단자(25) 연결 상태를 변화시켜 전조등의 조사각 및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레버(30)는 손잡이 레버(32)와, 회전 레버(33), 누름 레버(3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손잡이 레버(32)는 노브(31)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조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레버 전체를 조향 핸들의 회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레버(33)는 상기 손잡이 레버(32)의 끝단에 스프링 핀(32a)으로 고정되어 손잡이 레버(32) 회전 작동시 끝단부의 저면에 설치된 접촉 단자(33a)가 도 2에서 스위치 바디(20)의 3개의 고정 단자(25A) 상면을 이동 접촉하면서 방향 지시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회전 레버(33)의 끝단부에는 스위치 바디(20)의 디텐트 홈(21)에 밀착되는 디텐트 롤러(35) 및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절도감을 형성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 레버(36)는 상기 손잡이 레버(32)의 끝단에서 상기 회전 레버(33)의 내측에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손잡이 레버(32)를 상하로 이동시킬 경우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스위치 바디(20)내의 누름 블록(27) 및 2개의 접촉 단자(26)를 상하로 이동시켜 조사각 조절 회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지시등 원위치 작동 기구의 설치 구조가 도면으로서, 스위치 커버(10)와 스위치 레버의 회전 레버(33) 사이에 스위치 바디(20)의 외부로 끝단이 노출되게 래칫 레버(41)와 스프링(42)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30)의 상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해제 가이드(4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시등 원위치 작동 기구는 차량이 진행 방향을 변경시킨 후에 자동으로 좌우 방향 지시등이 꺼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바디(20) 내에 고정 단자(25)를 하나씩 고정하여 조립해야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쉽지 않음은 물론 자동 생산이 불가능하여 제조 비용이 그만큼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은 전조등의 조사각 조절을 스위치 레버(30)의 상하 작동에 따른 누름 방식에 의해 회로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단자의 접점 구조가 안정되지 못하고 불안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고부하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단자를 스위치 바디에 압입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조사각 스위치부를 슬라이딩 접점 변환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자동 생산이 가능해지고 스위치 접점 구조가 안정되어 고부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는, 앞쪽 상단이 개구되는 동시에 내측면 디텐트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밑면과 뒤쪽면이 개방되어 있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밑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면에 다수의 고정 단자가 평면으로 노출되게 압입되어 있되, 조사각을 조절하는 단자부에는 상측에서 누를 경우 저면에서 접촉 이격되는 복수의 레버식 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단자의 끝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커넥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커넥터부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어 스위치 바디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회전 및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끝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끝단부의 저면에는 레버를 회전 작동시킬 때 상기 스위치 바디의 고정 단자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접촉되는 접촉 단자가 설치되고,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핀이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때 상기 작동핀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식 단자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슬라이드 작동수단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앞면 개구부 및 스위치 레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 스위치 레버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는 원위치 작동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스위치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평면도, 정단면도,
도 4a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1b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하우징이 도시된 저면도, C-C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저면도, D-D선 단면도, E-E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평면도,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 바디에 슬라이드 작동기구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 F-F선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분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스위치 하우징 50a : 개구부 55 : 디텐트 플레이트 60 : 스위치 바디 61 : 바디부 63 : 커넥터부 64 : 돌출부 65 : 고정 단자 65A : 지시등 단자부 65B : 조사각 단자부 66 : 레버식 단자 66a : 돌출핀 67 : 접점 단자 70 : 하부 커버 80 : 스위치 레버 81 : 손잡이 레버 83 : 회전 레버 83a : 접촉 단자 84 : 디텐트 핀 85 : 스프링 86 : 회동 레버 87 : 핀 88 : 스프링 89 : 작동핀 90 : 슬라이드 작동기구 91 : 가이드 93 : 이동구 93a : 홈부 96 : 랫치레버 97 : 스프링 98 : 해제 레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의 외부 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정면도, 도 5c는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통상적으로 조향 핸들(미도시 됨)의 왼쪽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80)의 노브(81a)를 회전시킴으로써 차폭등 및 전조등을 조작할 수 있고, 스위치 레버(80)를 조향 핸들 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일정 회전시킬 경우(도 5a의 A방향) 좌회전 및 우회전을 알리는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스위치 레버(80)를 상하로 작동시킬 경우(도 5b의 B방향) 전조등의 조사각 및 플래셔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레버(80)는 스위치 하우징(50)과 스위치 바디(60) 사이에 끝단부가 삽입되어 회전 및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바디(60)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등 및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의 고정 단자(65)들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바디(60)에 설치되는 고정 단자(65)는 스위치 바디(60)를 사출 성형할 때 함께 압입하여 고정하고, 특히 스위치 레버(80)의 상하 작동력을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드 작동기구(90)를 통해 스위치 접점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도 6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하우징이 도시된 저면도 및 측방향 단면도로서, 스위치 하우징(50)은 앞쪽 상단이 개구되어 래칫 레버(96)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스위치 레버(80) 회전 작동시 스위칭 위치 및 절도감을 형성시키는 디텐트 플레이트(55)가 삽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하우징(50)의 밑면과 뒤쪽면은 스위치 바디(60)와 스위치 레버(8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하우징(50)의 외면에는 지지부(51)와, 고정 후크(52), 가이드(53)가 각각 형성되어 조향 핸들 하측의 일정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치 하우징(50)은 종래 기술에서 평면형의 커버(도 1a에서 10)로 되어 있던 것과는 달리 내부에 스위치 바디(60)가 삽입될 수 있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디텐트 플레이트(55)가 별도로 구성되어 삽입되고, 원위치 작동기구의 래칫 레버(96) 및 스프링(97)이 설치되어 조립 작업의 편의성 및 외부 미관이 향상되게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위치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저면도, 단면도로서, 스위치 바디(60)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50)의 밑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면에 다수의 고정 단자(65)가 평면으로 노출되게 압입되어 있되, 조사각을 조절하는 단자부(65B)에는 상측에서 누를 경우 저면에서 접촉 이격되는 3개의 레버식 단자(66)가 설치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단자(65)의 끝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커넥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위치 바디(60)는 상면이 평면형으로 이루어져 8개의 고정 단자가 압입되어 있는 바디부(61)와, 상기 바디부(61)의 저면에 사각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7개의 고정 단자(65) 끝단이 노출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게 하는 커넥터부(63)와, 상기 바디부(61)의 한쪽 상면에 노출되어 도 8의 상기 스위치 레버(80)가 회전 작동될 때 상기 스위치 레버(80)의 접촉 단자(83a)와 접촉/이격되는 지시등 단자부(65B)와, 상기 바디부(61)의 다른 쪽 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80)가 상하 작동될 때 도 9의 슬라이드 작동기구(90)가 직선 이동되면서 레버식 단자(66)의 돌출핀(66a)을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면 스위치 접점 구조가 변경되는 조사각 단자부(65B)와, 상기 지시등 단자부(65A)와 조사각 단자부(65B) 사이인 상기 바디부(6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 작동기구(90)를 지지하는 동시에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돌출부(64)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조사각 단자부(65B)는 스위치 바디(60)의 저면에 3개의 접점 단자(67)가 리벳팅 고정되어 나란히 노출되어 있고, 이 접점 단자(67)는 반대쪽에서 길게 연결된 레버식 단자(66)의 끝단부와 접촉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식 단자(66)도 리벳팅 고정되어 스위치 바디(60)의 저면에 3개가 설치되어 있는 바, 그 중간부분에 상기 바디부(61)의 상면으로 노출된 돌출핀(66a)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레버식 단자(66)는 상기 접점 단자(67)에 항상 접촉되어 있도록 탄성력을 갖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위치 바디(60)의 저면에는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하부 커버(70)가 결합되게 되는 바, 이 하부 커버(70)는 스위치 바디(60)의 커넥터부(63)가 결합되는 부분만 상하로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식 단자(66) 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스위치 바디(60)의 아래쪽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평면도 및 정단면도로서, 스위치 레버(80)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50)과 스위치 바디(60) 사이에 회전 및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끝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 끝단부의 저면에는 손잡이 레버(81)를 회전 작동시킬 때 상기 스위치 바디(60)의 지시등 단자부(65A)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접촉되는 접촉 단자(83a)가 설치되고, 손잡이 레버(81)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핀(89)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위치 레버(80)는 운전자가 직접 회전시키거나 상하 이동시키도록 길게 형성된 손잡이 레버(81)와, 상기 손잡이 레버(81)의 끝부분에 스프링 핀(82)으로 연결되어 손잡이 레버(81)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동시에 회전되면서 접촉 단자(83a)를 지시등 단자부(65A)에 접촉/이격시키는 회전 레버(83)와, 상기 손잡이 레버(81)의 끝단에서 상기 회전 레버(83)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자가 손잡이 레버(8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스프링 핀(8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 레버(86)와, 'Y'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 레버(86)와 상기 회전 레버(83)사이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레버(81)가 상하로 이동될 때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슬라이드 작동기구(90)를 이동시키는 작동핀(8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레버(83)는 그 끝단에 상기 스위치 하우징(50)의 디텐트 플레이트(55)에 접촉되는 디텐트 스프링(85) 및 디텐트 핀(84)이 설치되어 손잡이 레버(81)의 회전시 지시등 작동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한 지시등 단자부(65A)의 상측 위치인 끝단부의 밑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된 접촉 단자(8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레버(86)의 끝단에도 상기 회전 레버(83)의 내측에 밀착되는 핀(87) 및 스프링(88)이 설치되어 스위치의 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단자(83a)는 평면형으로 노출된 지시등 단자부(65A)에 용이하게 접촉되어 회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돌출된 두 개의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상기한 스위치 바디의 상면에 슬라이드 작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 수단(90)은 상기 스위치 레버(80)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때 상기 스위치 바디(6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작동핀(89)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식 단자(66)를 선택적으로 눌러주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작동기구(90)는 가운데 부분이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60)의 조사각 단자부(65B)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91)와, 상기 가이드(91)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면에 상기 스위치 레버(80)의 작동핀(89)이 삽입되는 홈부(93a)가 형성되며 저면에 요철부(93b)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91)를 따라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식 단자(66)의 돌출핀(66a)을 선택적으로 누르는 이동구(9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위치 작동기구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하우징(50)의 앞면 개구부(50a) 및 스위치 레버(80)의 상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 스위치 레버(80)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윈위치 작동 수단은 상기 스위치 하우징(50)의 디텐트 플레이트(55) 상단에 걸림턱(96a)이 형성되어 하나의 스프링(97)으로 지지되는 래칫 레버(9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80)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단부(98a)가 상기 래칫 레버(96)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진로 변경이 완료된 경우 상기 래칫 레버(96) 및 스위치 레버(80)가 원위치되게 안내하는 해제 레버(9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는 고정 단자가 스위치 바디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조가 슬라이딩 접점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자동 생산이 가능해지고 스위치 접점 구조가 안정되어 고부하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앞쪽 상단이 개구되는 동시에 내측면 디텐트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밑면과 뒤쪽면이 개방되어 있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밑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면에 다수의 고정 단자가 평면으로 노출되게 압입되어 있되, 조사각을 조절하는 단자부에는 상측에서 누를 경우 저면에서 접촉 이격되는 복수의 레버식 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단자의 끝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커넥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커넥터부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어 스위치 바디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회전 및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끝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끝단부의 저면에는 레버를 회전 작동시킬 때 상기 스위치 바디의 고정 단자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접촉되는 접촉 단자가 설치되고,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핀이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때 상기 작동핀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식 단자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슬라이드 작동수단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앞면 개구부 및 스위치 레버의 상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 스위치 레버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는 원위치 작동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는 상면이 평면형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고정 단자가 압입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사각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 단자가 외부 회로와 연결되게 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바디부의 한쪽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가 회전 작동될 때 상기 스위치 레버의 접촉 단자와 접촉/이격되는 지시등 단자부와, 상기 바디부의 다른 쪽 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가 상하 작동될 때 상기 슬라이드 작동수단이 직선 이동되면서 레버식 단자의 돌출핀을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면 스위치 접점 구조가 변경되는 조사각 단자부와, 상기 지시등 단자부와 조사각 단자부 사이인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 작동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수단은 가운데 부분이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조사각 단자부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면에 상기 스위치 레버의 작동핀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식 단자의 돌출핀을 선택적으로 누르는 이동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위치 작동 수단은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디텐트 플레이트 상단에 단수개의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래칫 레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레버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단부가 상기 래칫 레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진로 변경이 완료된 경우 상기 래칫 레버 및 스위치 레버가 원위치되게 안내하는 해제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KR1019980020589A 1998-06-03 1998-06-03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KR10028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89A KR100288384B1 (ko) 1998-06-03 1998-06-03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89A KR100288384B1 (ko) 1998-06-03 1998-06-03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68A KR20000000768A (ko) 2000-01-15
KR100288384B1 true KR100288384B1 (ko) 2001-05-02

Family

ID=1953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589A KR100288384B1 (ko) 1998-06-03 1998-06-03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85B1 (ko) * 2006-02-27 2007-07-06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레버 커넥
KR100829776B1 (ko) * 2007-03-05 2008-05-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상향등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68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1159B2 (ja) スイッチ装置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US5672855A (en) Canceling mechanism for a vehicular turn signal switch
KR100242137B1 (ko) 스위치장치
JPH07169370A (ja) デテント付きスイッチアセンブリ
US4191866A (en) Three-function switch for a motorcycle
KR100288384B1 (ko)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KR100302042B1 (ko) 피트만아암스위치유닛
US6278070B1 (en) Steering column switch with microswitches that has two operating positions and one neutral position system for cleaning windscreens
KR100366215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JP39443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100348431B1 (ko) 누름 작동형 스위치
JPH0316183Y2 (ko)
JP2596766Y2 (ja) スイッチ装置
JPH041616Y2 (ko)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KR100310454B1 (ko) 자동차용와이퍼스위치장치
JP2000357435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0348432B1 (ko) 차량용 누름 작동형 스위치
CN210941934U (zh) 汽车方向盘开关
JPS6140044Y2 (ko)
JPS608358Y2 (ja) 二輪自動車用ハンドルスイッチ
KR100704648B1 (ko) 시그널 스위치의 접점 구조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S62268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