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515B1 - 회로 유닛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유닛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515B1
KR101148515B1 KR1020060026893A KR20060026893A KR101148515B1 KR 101148515 B1 KR101148515 B1 KR 101148515B1 KR 1020060026893 A KR1020060026893 A KR 1020060026893A KR 20060026893 A KR20060026893 A KR 20060026893A KR 101148515 B1 KR101148515 B1 KR 101148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unit
circuit
insulator
contact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225A (ko
Inventor
료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10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84Manipulating or transferring devices for evacuating cast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comprising a successive blank-stamping, insert-moulding and severing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1Conductive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제1 회로 유닛 및 제2 회로 유닛이 위치결정부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중첩될 때, 제2 회로 유닛에서 회로 전도체의 노출부는 위치 결정부와 위치 결정부 사이의 치수 차이에 따라 변형된다. 그 결과, 위치 결정부와 위치 결정부 사이의 치수의 차이에 의해 유발된 시프트부가 자동적으로 흡수되므로, 제1 회로 유닛과 제2 회로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 유닛 장치{CIRCUIT UNI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유닛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회로 유닛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차량의 레버 스위치 장치의 베이스부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4의 X-X 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4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서 본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회로 유닛 장치 17 : 제1 회로 유닛
18 : 제2 회로 유닛 19, 23 : 절연체
20, 24 : 회로 전도체 24a : 회로 전도체의 일부(노출부)
21, 25 : 접점부 22, 26 : 단자부
27, 28, 31, 32 : 위치결정부
본 발명은 절연체에 각각 접점부와 단자부를 갖는 회로 전도체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회로 유닛 및 제2 회로 유닛을 중첩함으로써 구성된 회로 유닛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예컨대 절연체에 각각 접점부와 단자부를 갖는 회로 전도체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회로 유닛과 제2 회로 유닛을 중첩함으로써 구성된 회로 유닛 장치를 포함한다. 이런 경우, 예컨대 제1 회로 유닛은 메인 회로를 구성하고, 제2 회로 유닛은 부착 회로를 구성한다. 이들이 위치 결정되며, 특히 접점부와 단자부의 위치 결정이 설정된다.
그러나, 제1 회로 유닛 및 제2 회로 유닛은 별개부재로서 위치 결정되는 부분 사이의 치수가 제품에 따라 상이하다. 이 때문에, 조립시 상호 위치 결정되는 부분의 위치가 정교하게 조절되지 않아 조립을 실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품에 따라 위치 결정되는 부분 사이의 치수의 차이를 갖는 제1 회로 유닛 및 제2 회로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회로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제1 절연체와 이 제1 절연체 내에 조립되는 제1 회로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전도체가 제1 접점부 및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유닛 과,
상기 제1 회로 유닛에 중첩되고, 제2 절연체와 이 제2 절연체 내에 조립되는 제2 회로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 전도체가 제2 접점부와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2 회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의 제2 회로 전도체의 일부가 노출되고 변형될 수 있는 회로 유닛 장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전도체의 노출부가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회로 유닛 장치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는, 제2 접점부가 배열되는 제1 절반의 절연체편과 제2 단자부가 배열되는 제2 절반의 절연체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체는, 상기 제1 접점부가 상기 제2 접점부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제1 절반의 절연체편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와, 제1 단자부가 제2 단자부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제2 절반의 절연체편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회로 유닛 장치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1 회로 유닛과 제2 회로 유닛이 위치 결정되고 중첩될 때, 제2 회로 유닛에서 회로 전도체의 노출부는 위치 결정되는 부분 사이의 치수의 차이에 의해 변형된다. 그 결과, 위치 결정되는 부분 사이의 치수의 차이에 의해 이루어진 시프트부가 자동적으로 흡수되므로 조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차량, 특히 승용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베이스부를 도시하며, 본체(1)를 메인 부재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본체 커버(2)가 그 전방부(도 3에서 상부)에 부착되고, 하부 커버(3)는 후방부(도 3에서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작동 레버 지지체인 브라켓(4)은 본체 커버(2)와 본체(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브라켓(4)에서, 상하 측면부(도 3의 도면에 수직방향)와 전방 표면부 이외의 표면부가 개방되며, 원통형 샤프트부(5)가 전방 표면부의 좌측부에 형성되며 샤프트부(5)가 본체 커버(2)에 형성된 원통형 오목부(6)에 장착되어, 브라켓(4)은 샤프트부(5) 둘레로 도 3의 도면에 수직방향(도 4의 화살표 A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 브라켓(4)의 상하 측면부는 원통형 구멍들(상측의 구멍(7)만 도시함)(7)을 형성한다. 한편, 참조번호 8은 작동 레버를 지시하며, 이 작동 레버(8)의 베이스부는 브라켓(4)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작동 레버(8)의 베이스부에 원통형 샤프트부(9)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부(9)가 브라켓(4)의 구멍(7)에 장착되어, 작동 레버(8)는 샤프트부(9) 둘레로 도 3의 화살표 B로 도시한 방향(도 4의 도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오목부(10)는 작동 레버(8)의 베이스부에 형성되며, 스프링(11)과 조절편(moderation piece)(12)이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한편, 종방향으로 경사면(13a)을 갖는 복수 개의 조절 골(moeration valley)(13)이 도 4에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서 브라켓(4)의 샤프트부(5) 둘레로 원호 배열로 배치 되며, 조절편(12)이 가압 접촉되고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골(13) 중 하나에 맞물리고 있고, 조절편(12), 스프링(11) 및 조절 골(13)은 조절기구(14)를 구성한다.
또한, 샤프트(15)는 도 3의 화살표 C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중공 형상을 취하는 작동 레버(8)에 삽입되며, 작동 노브가 샤프트(15)의 선단부(도시생략)에 부착되어 있다.
회로 유닛 장치(16)는 하부 커버(3)에 제공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회로 유닛 장치(1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1 회로 유닛(17)과 제2 회로 유닛(18)으로 구성된다. 제1 회로 유닛(17)은 도 2에 도시하는 구리로 형성된 회로 전도체(20)를,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절연체(19) 내에 조립함으로써 구성된다. 회로 전도체(20)는 일단에 복수 개의 접점(21a)을 갖는 접점부(21)와, 타단에 복수 개의 단자(22a)를 갖는 단자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회로 유닛(18)도 구리로 형성된 회로 전도체(24)를,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절연체(23) 내에 조립함으로써 구성된다. 회로 전도체(24)는 일단에 복수 개의 접점(25a)을 갖는 접점부(25)와, 타단에 복수 개의 단자(26a)를 갖는 단자부(26)를 포함한다. 제2 회로 유닛(18)에서, 절연체(23)는 접점부측에 절반의 절연체편(23a)과 단자부측에 절반의 절연체편(23b)으로 분할되어 별개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접점부(25)와 단자부(26) 사이의 회로 전도체(24)의 일부(24a)가 노출되어 있고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전도체(24)의 노출부(24a)가 접점부(25)측으로부터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방으로 절 곡되고 단자부(26)측에서 역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방으로 절곡되어, 단자부(26)측이 접점부(25)측보다 높은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단자부(26)측이 절곡되어 있다.
또한, 제1 회로 유닛(17)에서, 위치결정부(27)는 절연체(19)의 접점부(21)측의 배면에 형성되고 위치결정부(28)는 단자부(22)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위치결정부(27)는 T자 형상 트렌치(trench)이고 위치결정부(28)는 핀 형상 돌기이다. 또한, 부착부를 이루는 맞물림 클릭들(29, 30)은 제1 회로 유닛(17)의 절연체(19)에서 접점부(21)측과 단자부(22)측의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31)는 절연체(23)의 접점부(25)측의 표면에 형성되고 위치결정부(32)는 제2 회로 유닛(18)의 단자부(26)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위치결정부(31)는 제1 회로 유닛(17)의 위치결정부(27)에 장착되는 T자 형상 돌기이고 위치결정부(32)는 제1 회로 유닛(17)의 위치결정부(28)에 장착되는 구멍이다.
도 2에서, 제1 회로 유닛(17)의 위치결정부(27, 28) 사이의 치수는 α17와 β17 로 지시되며, 제2 회로 유닛(18)의 위치결정부(31, 32) 사이의 치수는 α18와 β18 로 지시된다.
이 구조에 의해, 제2 회로 유닛(18)의 위치결정부(31)는 제1 회로 유닛(17)의 위치결정부(27)에 장착되며, 또한, 제2 회로 유닛(18)의 위치결정부(32)는 제1 회로 유닛(17)의 위치결정부(28)에 장착되는 동시에 제2 회로 유닛(18)의 절연체(23), 특히 접점부측의 절반의 절연체편(23a)이 맞물림 클릭(29)에 맞물리고 단자부측의 절반의 절연체편(23b)이 맞물림 클릭(30)에 맞물려져 제2 회로 유닛(18)이 제1 회로 유닛(17)에 중첩되고 연결되고 있다.
중첩 및 연결 상태에서, 제2 회로 유닛(18)의 접점부(25)는 제1 회로 유닛(17)의 절연체(19)에 형성된 개구부(33)로부터 전방부(도 3에서 상부)를 향하며 단자부(26)는 절연체(19)에 형성된 프레임부(34)로부터 제1 회로 유닛(17)의 단자부(22)와 함께 외측부를 향한다.
접점 홀더들(35, 36)은 하부 커버(3)에 제공된 회로 유닛 장치(16)의 전방부(도 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홀더들(35, 36)은 회로 유닛 장치(16)측에 별개로 부착된 이동가능한 접점들(37, 38)을 각각 가지며, 이동가능한 접점(37)은 접점(21a)에 접근하거나 접점(21a)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제1 회로 유닛(17)의 절연체(19) 위에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동가능한 접점(38)은 접점(25a)에 접근하거나 접점(25a)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제2 회로 유닛(18)의 절연체(23) 위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접점 홀더(35)는 아암부(35b)를 갖고, 이 아암부(35b)에서 브라켓(4)과 맞물리고 있다. 또한, 아암부(39)는 샤프트(15)의 베이스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아암부(39)의 선단부는 제1 회로 유닛(17)의 개구부(33)를 통해 접점 홀더(36)에 맞물리고 있다.
또한, 제1 회로 유닛(17)의 프레임부(34)를 통해 삽입된 커넥터(도시생략)는 제1 회로 유닛(17)의 단자부(22)와 제2 회로 유닛(18)의 단자부(26)에 접속되므로 이에 따라 전도된다.
사용자가 도 4의 화살표 A로 도시한 방향으로 작동 레버(8)를 작동할 때, 브 라켓(4)은 샤프트부(5) 둘레로 동일 방향으로 대응하도록 회전된다. 브라켓(4)이 이와 같이 회전될 때, 조절편(12)은 브라켓(4)과 작동 레버(8)의 회전에 조절을 부여하기 위해 조절기구(14)에 인접한 조절 골(13)에 맞물린다. 동시에, 아암부(35b)를 통해 브라켓(4)의 회전으로 상호 체결되는 접점 홀더(35)가, 이동가능한 접점(37)과 함께 도 4의 화살표 D로 도시한 방향으로 제1 회로 유닛(17)의 절연체(19) 위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동가능한 접점(37)이 회로 전도체(20)의 접점(21a)으로 접근하거나 접점(21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동시에, 접점(21a)으로/접점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접점(37)의 접근/이격은, 예컨대 차량의 전방 와이퍼의 속도를 절환하는데 사용된다.
한편,작동 레버(8)가 도 3의 화살표 B로 도시한 방향으로 작동될 때, 작동 레버(8)는 샤프트부(9) 둘레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동시에, 아암부(35b)를 통해 브라켓(4)의 회전으로 상호 체결되는 접점 홀더(35)가 이동가능한 접점(37)과 함께 도 4의 화살표 E로 도시한 방향으로 제1 회로 유닛(17)의 절연체(19) 위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동가능한 접점(37)은 회로 전도체(20)의 접점(21a)으로 접근하거나 접점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된다. 이때, 접점(21a)으로/접점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접점(37)의 접근/이격은 차량의 전방 워셔의 작동을 절환하는데 사용된다.
샤프트(15)의 선단부에 부착된 작동 노브(도시생략)를 회전할 때, 샤프트(15)는 도 3의 화살표 C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접점 홀더(36)는 이동가능한 접점(38)과 함께 도 4의 화살표 F로 도시한 방향으로 제2 회로 유닛(18)의 절연체(23) 위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동가능한 접점(38)이 회로 전도체(24)의 접점 (25a)으로 접근하거나 접점(25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접점(25a)으로/접점으로부터의 이동가능한 접점(38)의 접근/이격은 차량의 후방 와이퍼의 작동을 절환하는데 사용된다.
전술에서, 제2 회로 유닛(18)을 통해 차량에서의 후방 와이퍼의 작동의 절환은, 예컨대 차량의 등급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이다. 다른 등급을 갖는 차량은 절환기능을 갖지 않고 제1 회로 유닛(17)을 통한 전방 와이퍼의 속도를 절환하는 기능과 전방 와셔의 작동을 절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유닛(17)은 메인 회로를 구성하지만, 제2 회로 유닛(18)은 부착된 회로를 구성한다. 이처럼, 이들은 선택적이다. 필요한 경우, 제2 회로 유닛(18)은 제1 회로 유닛(17)에 중첩되고 연결되고 있다.
제1 회로 유닛(17)에/제1 회로 유닛(17)으로 제2 회로 유닛(18)의 중첩/연결을 참조하면, 제2 회로 유닛(18)에서 접점부(25)와 단자부(26) 사이의 회로 전도체(24)의 일부(24a)가 이 구조에서 노출되고 변형될 수 있다. 제2 회로 유닛(18)이 제1 회로 유닛(17)에 위치 결정되고 중첩될 때, 그 결과, 제2 회로 유닛(18)에서 회로 전도체(24)의 노출부(24a)는, 치수(제2 회로 유닛(18)의 위치결정부(31)(32) 사이의 치수(α18)(β18)와 제1 회로 유닛(17)의 위치결정부(27)(28) 사이의 치수(α17)(β17))의 차이에 대응하여 변형되고, 또 이런 상황에서 설정되는 부분의 상호 위치가 치수 사이의 차이에 따라 정교하게 조절된다. 그 결과, 위치 결정되는 부분 사이의 치수의 차이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프트부는 자동적으로 흡수되어, 종래 기 술과 달리 어려움 없이 제2 회로 유닛(18)을 제1 회로 유닛(17)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특히, 제2 회로 유닛(18)에서 회로 전도체(24)의 노출부(24a)는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된다. 그 결과, 노출부(24a)는 길이방향으로, 횡방향으로 및 수직방향으로 변형된다. 그 조합적인 변형에 의해, 그 결과, 제1 회로 유닛(17)과 제2 회로 유닛(18)에 위치 결정되는 부분 사이의 치수의 차이에 의해 유발된 시프트부의 흡수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제2 회로 유닛(18)을 제1 회로 유닛(17)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도시된 도면에 제한되지 않고, 특히 일반적인 차량용 회로 유닛 장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및 실행될 수 있다.

Claims (3)

  1. 제1 절연체와 이 제1 절연체 내에 조립되는 제1 회로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전도체가 제1 접점부 및 커넥터 접속용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유닛과,
    상기 제1 회로 유닛에 중첩되고, 제2 절연체와 이 제2 절연체 내에 조립되는 제2 회로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 전도체가 제2 접점부와 커넥터 접속용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2 회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의 제2 회로 전도체의 일부가 노출되고 변형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제1 회로 유닛과 제2 회로 유닛의 적층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 유닛의 제1 단자부가 상기 제2 회로 유닛의 제2 단자부와 함께 외측방을 향하고, 이들 제1 회로 유닛의 제1 단자부와 제2 회로 유닛의 제2 단자부에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유닛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전도체의 노출부가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회로 유닛 장치.
  3. 삭제
KR1020060026893A 2005-03-25 2006-03-24 회로 유닛 장치 KR101148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8514 2005-03-25
JP2005088514A JP4643327B2 (ja) 2005-03-25 2005-03-25 回路ユニッ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25A KR20060103225A (ko) 2006-09-28
KR101148515B1 true KR101148515B1 (ko) 2012-05-21

Family

ID=3703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893A KR101148515B1 (ko) 2005-03-25 2006-03-24 회로 유닛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4962B1 (ko)
EP (1) EP1739792B1 (ko)
JP (1) JP4643327B2 (ko)
KR (1) KR101148515B1 (ko)
CN (2) CN2917208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3327B2 (ja) * 2005-03-25 2011-03-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路ユニット装置
DE102013226204A1 (de) 2013-12-17 2015-06-1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inschubmodul für eine Motoreinheit
DE102013226205A1 (de) * 2013-12-17 2015-06-1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inschubmodul für eine Motoreinhe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945A (ko) * 1996-11-26 1998-08-17 스즈키다케토시 차량용 레버스위치의 구조
US6384351B1 (en) * 2000-03-23 2002-05-0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Switch apparatus for actua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s
JP2007106367A (ja) 2005-10-17 2007-04-26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545U (ja) * 1982-11-30 1984-06-09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フラツシヤ−ユニツトを内蔵する自動車用方向指示器
JPH0785742A (ja) * 1993-09-13 1995-03-31 Fuji Denshi Kogyo Kk 電気部品
JP2000306470A (ja) * 1999-04-19 2000-11-02 Yazaki Corp ワイパレバーのスイッチ装置
JP2000322979A (ja) * 1999-05-14 2000-11-24 Alps Electric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用スイッチ装置
JP2001028224A (ja) * 1999-07-14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バ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3152302A (ja) * 2001-11-12 2003-05-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線回路体への電子部品の実装方法及び実装装置
JP2003208827A (ja) * 2002-01-10 2003-07-25 Yazaki Corp スイッチの接点構造
JP2003242866A (ja) * 2002-02-18 2003-08-29 Yazaki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接点構造
JP2004064912A (ja) * 2002-07-30 2004-02-26 Hitachi Ltd 自動車制御装置
JP4190305B2 (ja) * 2003-02-20 2008-12-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付きコネクタ
JP2005019314A (ja) * 2003-06-27 2005-01-2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TWM246829U (en) * 2003-10-21 2004-10-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Card adapter with card insertion and adaptation function
US6984132B1 (en) * 2004-01-17 2006-01-10 Spalding Kirby H Electrical connector semiconductor package with fly-over signal paths
US6932649B1 (en) * 2004-03-19 2005-08-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ctive wafer for improved gigabit signal recovery, in a serial point-to-point architecture
US7008240B1 (en) * 2004-04-16 2006-03-07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PC card assembly
JP4643327B2 (ja) * 2005-03-25 2011-03-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路ユニット装置
US7052287B1 (en) * 2005-05-16 2006-05-30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USB device with plastic housing having integrated plug sh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945A (ko) * 1996-11-26 1998-08-17 스즈키다케토시 차량용 레버스위치의 구조
US6384351B1 (en) * 2000-03-23 2002-05-0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Switch apparatus for actua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s
JP2007106367A (ja) 2005-10-17 2007-04-26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43327B2 (ja) 2011-03-02
US7114962B1 (en) 2006-10-03
EP1739792B1 (en) 2016-03-09
CN1849056B (zh) 2010-05-12
CN1849056A (zh) 2006-10-18
EP1739792A2 (en) 2007-01-03
CN2917208Y (zh) 2007-06-27
EP1739792A3 (en) 2007-11-07
KR20060103225A (ko) 2006-09-28
JP2006264600A (ja) 2006-10-05
US20060216964A1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7970B2 (ja) 多幅キー用のキースイッチ組立体
US5491311A (en) Multifunction switch
EP0807033B1 (en)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5623134A (en) Switch with pivoting control member mounted on slider
US6237437B1 (en) Turn signal switch
JP2003151403A (ja) スイッチ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KR101148515B1 (ko) 회로 유닛 장치
US20080116048A1 (en) Switch unit operable with rocker switches for control units
US4376237A (en) Vehicle turn signal switch actuator
JP2565582Y2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0921070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US9105423B2 (en) Mounting panel structure for a rocker switch knob
EP1638119B1 (en) Movable contact of slide switch
RU212118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зеркала автомобиля
JP2010113978A (ja) 自動車室内用のプッシュ式スイッチ
JP39443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JP2008130497A (ja) スイッチ装置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EP1678731B1 (en) Plunger contact assembly for an automobile control stalk
JP7143230B2 (ja) 車両用内装装置
US6765166B2 (en) Switch contact structure
JP4115251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3114173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