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137B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137B1
KR100242137B1 KR1019970012269A KR19970012269A KR100242137B1 KR 100242137 B1 KR100242137 B1 KR 100242137B1 KR 1019970012269 A KR1019970012269 A KR 1019970012269A KR 19970012269 A KR19970012269 A KR 19970012269A KR 100242137 B1 KR100242137 B1 KR 10024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movable
contact piece
piece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880A (ko
Inventor
다께시 시라사까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7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6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with contact-driving member moved alternately in opposite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2011/004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modifying the number or type of operating positions, e.g. momentary and 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01H23/3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with stable centre positions and one or both end positions un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의 조작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시소식 가동접점에 의하여 전환를 행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접점과 가동접편으로 구성되는 두세트의 스위치부내의 한세트의 스위치부에 있어서의 가동접편을 절도부재를 바꾸는 것으로서 논록타입의 스위치장치나 또는 록타입의 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사용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부품의 공용화가 높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만족할 수 도 있다.
또한 제 1가동접편은 제 2가동접편과 절도부재와의 교환은 수납부를 공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그 수납부로부터 떼어내고 절도부재를 장치하는 것만으로 극히 간단하게 조작된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의 조작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시소식 가동접점에 의하여 전환을 행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동접점을 지지점을 중심으로 요동시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사이에서 접촉동작 또는 접촉의 이탈동작을 행하는 소위 시소식 스위치장치는 대전류를 흘릴 수 있음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의 모터에 대한 전원의 투입 및 차단을 행하는 전원스위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와같은 스위치장치의 일예를 도 8과 도 9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분해사시도, 도 9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사용한 개략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닥이 있고 바닥이 얕은 통모양의 베이스(1)가 대향하는 외측면은 위쪽으로 연장되고, 측판(1a, 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판(1a, 1a)에는 레버(2)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2)가 상대하는 측면에는 지지축(3)이 대략 수평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2)의 상면에는 손잡이(4)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2)의 아래쪽은 두갈래로 나뉘어져 있고, 두갈래의 아랫면에는 설치구멍(2a, 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설치구멍(2a, 2b)에는 각각 코일스프링(5, 5)을 거쳐 구동봉(6)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탄성유지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의 저부에는 제 1고정접점(7a, 7b)과 제 2고정접점(8a, 8b)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제 1고정접점(7a, 7b)간의 베이스(1)의 내저면의 대략 중앙위치와 제 2고정접점(8a, 8b)간의 베이스(1)의 내저면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지지판(9a, 9b)이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판(9a, 9b)상에는 띠모양 금속판을 측면이 대략 M자상이 되도록 굴곡형성한 제 1 및 제 2가동접편(10a, 10b)의 대략 중간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 1고정접점(7a, 7b)과 제 1가동접편(10a), 그리고 제 2고정접점(8a, 8b)과 제 2가동접편(10b)의 2세트의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손잡이(4)를 조작하지 않는 레버(2)의 중립위치에서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가동접편(10a)의 일단은 제 1고정접점(7a, 7b)의 한쪽의 고정접점(7b)과 접촉하고 있다. 또 이 중립위치에서는 제 2가동접편(10b)의 일단은 제 2고정접점(8a, 8b)의 한쪽의 고정접점(8a)과 접촉하고, 양스위치부도 스위치오프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4)를 조작하여 레버(5)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구동봉(6)이 제 1가동접편(10a)상을 제 1고정접점(7a)방향으로 제 1가동접편(10a)을 압압하면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구동봉(6)이 지지판(9a)을 넘으면 제 1가동접편(10a)은 지지판(9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가동접편(10a)의 타단은 제 1고정접점(7a)과 접촉하고 다른 쪽의 고정접점(7b)과는 비접촉상태가 되어 한쪽의 스위치부에서 스위치의 전환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레버(2)의 회동에 의하여 구동봉(6)도 제 2가동접편(10b)상을 고정접점(8a)방향으로 슬라이딩하나, 제 2가동접편(10b)은 제 2고정접점(8a)과 이미 접촉한 상태에 있어 요동하는 일은 없으며 다른쪽의 스위치부에 있어서는 그 전환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도 9(a)의 상태에서 레버(5)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한 것과는 반대로 다른 쪽의 스위치부에서 전환동작이 행하여지고 한쪽의 스위치부의 전환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스위치장치를 모터(M)의 전원스위치로서 사용한 예를 도 10에 나타내며, 이 도 10의 상태는 오프이다.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손잡이(4)를 경사이동시킴으로써 레버(5)를 회동시키고, 레버(5)의 회동방향에 의하여 제 1 또는 제 2가동접편(10a, 10b)을 요동시키며 이들 제 1 또는 제 2가동접편(10a, 10b)과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7a, 7b, 8a, 8b)사이에서 각각 접속, 이탈동작을 행하게 하여 스위치동작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4)에 대한 경사이동력을 개방하면, 제 1 및 제 2가동접편(10a, 10b)에 의하여 구동봉(6, 6)즉 손잡이(4)는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장치는 논록타입의 클릭동작을 하는 시소식 스위치장치이며, 이와같은 스위치장치는 다방면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스위치장치의 범용성과 스위치장치 그자체의 비용절감이 요구되기에 이르고 있다. 스위치장치의 범용성은 또 클릭동작을 수반하여 전환동작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는 록타입의 스위치장치를 동일치수나 형상으로 즉 부품의 공통(표준)화를 도모하여 저비용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여 최소부품의 교환으로 록타입의 스위치장치 또는 논록타입의 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그 수납부로부터 벗겨내어 절도부재를 장치하는 것만으로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를 논록타입으로 한 경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레버 및 가동접편의 하나를 제거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베이스의 절반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를 록타입으로 한 경우의 요부평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종단면도,
도 7a∼7f는 절도부재의 평면도, 좌측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스위치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사용한 개략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레버(요동부재)
6 : 구동봉 7a, 7b : 제 1고정접점
8a, 8b : 제 2고정접점 25 : 중앙지지판
20 : 제 1가동접편 21 : 제 2가동접편
23 : 수납부 28 : 절도부재
28a : 캠면
상기 제 1과제는 베이스의 저부상에 병설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과 이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상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고정점점과 각각 접촉가능한 제 1가동접편 및 제 2가동접편과 상기 베이스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지지된 요동부재와 이 요동부재에 각각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탄성유지되고,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접편 및 제 2가동접편에 각각 대향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구동봉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중 어느 한쪽의 배치위치로 치환하여 배치가능하고 그 상면에 상기 구동봉의 한쪽이 슬라이딩접촉하는 볼록상 캠면이 형성된 절도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 1가동접편 및 제 2가동접편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부재에 압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구동봉에 의하여 상기 요동부재를 중립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 1가동접편을 제 1고정접점의 한쪽에, 그리고 상기 제 2가동접편을 제 2고정접점의 한쪽에 접촉시키고 상기 요동부재에 압압력을 가하여 요동시킬 때에는 상기 제 1가동접편을 상기 제 1고정접점의 다른쪽에, 그리고 제 2가동접편을 제 2고정접점의 다른 쪽에 접촉시키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중 어느 한쪽을 대신하여 절도부재를 부착할 때에는 상기 절도부재에 탄접되는 상기 구동봉에 의하여 상기 요동부재를 비스듬히 누운위치로 유지하여 나머지 상기 제 2가동접편과 상기 제 2고정접점의 한쪽 또는 나머지 상기 제 1가동접편과 제 2고정접점의 한쪽을 접촉상태로 하고 있는 제 1수단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제 2과제는 상기 베이스내에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수용시키는 수납부와,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대신하여 절도부재를 설치고정하는 수납부를 겸하여 구비하고 있는 제 2수단에 의하여 해결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종래예와 실질적으로 동일구성요소에는 동일참조번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를 논록타입으로 한 경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레버 및 가동접편의 하나를 제거하고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베이스의 절반만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를 록타입으로 한 경우의 요부평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에 있어서의 요부종단면도, 도 7a∼7f는 절도부재의 평면도, 좌측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의 베이스(1)내는 제 1 및 제 2가동접편(20, 21)이 각각 독립하여 수용되는 수납부(23, 23)를 형성하기 위한 벽부(22, 22)가 측판(1a, 1a)사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23)에는 제 1가동접편(20)의 대략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판(25)과 제 1가동접편(20)의 중앙양측연의 노치부가 끼워맞춰지는 규제돌기부(26)와, 규제돌기부(26)의 양측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돌출설치된 돌기부(27, 27)와 제 1가동접편(20)의 요동에 의하여 그 양단부와 접촉하는 제 1고정접점(7a, 7b)이 배설되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수납부에도 상기 수납부(23)와 마찬가지로 제 2가동접편(21)의 대략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판(25)과 제 2가동접편(21)의 중앙양측연의 노치부가 끼워맞춰지는 규제돌기부(26)와 규제돌기부(26)의 양측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돌출설치된 돌기부(27, 27)와 제 2가동접편(21)의 요동에 의하여 그 양단부와 접촉하는 제 2고정접점(8a, 8b)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양중앙지지판(25, 25)은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제 1가동접편(20)부분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 2가동접편(21)의 단면은 도 2의 좌우를 역으로 한 상태가 되고 도 2의 레버(2)상태에서는 제 2가동접편(21)은 제 2고정접점(8b)에 접촉하고 제 2고정접점(8a)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는다.
제 1, 2의 가동접편(20, 21)은 그 중앙양측연에 형성된 노치부(20a, 21a)와 노치부(20a, 21a)를 형성하는 노치부(20b, 21b)와, 양단을 연장설치하여 제 1고정접점(7a, 7b), 제 2고정접점(8a, 8b)에 접촉이탈되는 접점부(20c, 21c)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2의 가동접편(20, 21)의 아래면 중앙부근에서 중앙지지판(25)의 입상부(25a)에 의하여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한편, 제 1, 2가동접편(20, 21)의 상면상을 구동봉(6, 6)이 눌러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종래예와 동일하게 하여 수납부(23, 23)에 제 1가동접편(20)과 제 2가동접편(21)에 수용함으로써 논록타입의 시소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다.
한편, 수납부(23, 23)의 한쪽 제 1가동접편(20) 또는 제 2가동접편(21)을 대신하여 절도부재(28)를 그 수납부(23)에 설치고정함으로써 록타입의 시소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다.
이 논록타입으로부터 록타입으로 변경하기 위한 절도부재(28)는 도 7a∼7f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의 대략 중앙이 높게 되어 있는 모양으로 경사진 캠면(28a)과 일단아래면에 중앙지지판(25)의 입상부(25a)가 들어가는 오목부(28b)와, 양측면에 각각 돌출설치된 두 개의 돌조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2)가 서로 대면하는 측면에는 그 상부에 지지축(3, 3)이 대략 수평으로 각각 돌출설치되고, 이들 지지축(3, 3)은 베이스(1)의 측판(1a, 1a)에 형성된 축구멍(1b, 1b)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또 레버(2)에는 상기한 종래예와 동일하게 수납구멍(30, 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2)의 회동방향의 하단연부에는 돌기(31, 31)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돌기(31, 31)는 어느정도 레버(2)가 회동한 후는 벽부(22)의 상연에 접촉하여 레버(2)가 필요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베이스(1)의 측면에는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7a, 7b, 8a, 8b)의 단자(32a, 32b, 33a, 33b) 및 중앙지지판(25, 25)의 단자(25b, 25b)가 도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납부(23, 23)에 제 1 및 제 2가동접편(20, 21)을 장착하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논록타입의 시소스위치장치가 되고, 상기한 종래예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그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 1가동접편(20)(또는 제 2가동접편(21))을 제거하고 중앙지지판(25)의 입상부(25a)에 절도부재(28)의 오목부(28b)를 덮도록 하여 절도부재(28)를 설치하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은 록타입의 시소스위치장치로 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즉 베이스(1)의 수납부(23)로부터 제 1가동접편(20)을 제거하고 절도부재(28)의 돌조부(28c, 28c, …)를 수납부(23)의 규제돌기부(26)와 돌기부(27, 27)사이의 오목부에 각각 삽입하여 끼워맞춰 고정한다. 이와같이 고정하면, 중앙지지판(25)의 입상부(25a)가 절도부재(28)의 오목부(28b)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뒤는 논록타입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하게 조립하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록타입의 시소스위치장치로 한 경우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도 6의 상태에 레버(2)가 비스듬히 누워있으면, 제 2가동접편(21)은 도 2와는 레버(2)가 동일방향으로 비스듬히 누워있는 상태에 있게 되고 고정접점(8b)과 제 2가동접편(21)이 접촉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6의 상태에서 레버(2)를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절도부재(28)의 산모양의 캠면(28a)의 우측경사면에 접촉하고 있던 구동봉(6)은 절도부재(28)의 캠면(28a)상을 좌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산모양의 캠면(28a)의 정점을 타고 넘어 좌측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레버(2)의 회동력을 해제하여도 레버(2)자체의 복귀력으로는 캠면(28a)의 정점을 타고 넘지못하기 때문에 레버(2)가 베이스(1)에 대하여 직립하는 중립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비스듬히 누운 상태로 록된채가 된다.
또 이 레버(2)의 시계회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구동봉(6)은 제 2가동접편(21)상을 제 2고정접점(8a)방향으로 제 2가동접편(21)을 압압하면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구동봉(6)이 중앙지지판(25)을 넘어서면, 제 2가동접편(21)은 중앙지지판(25)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고, 제 2가동접편(21)의 일단은 제 2고정접점(8a)과 접촉하고 다른 쪽의 고정점점(8b)과는 비접촉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레버(2)가 도 6과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누운 상태로 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 2가동접편(21)과 제 2고정접점(8a)과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접촉상태에서 레버(2)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구동봉(6)은 제 2가동접편(21)상을 제 2고정접점(8b)방향으로 제 2가동접편(21)을 압압하면서 슬라이딩하고, 구동봉(6)이 중앙지지판(25)을 넘으면, 제 2가동접편(21)은 중앙지지판(25)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고, 제 2가동접편(21)의 타단이 제 2고정접점(8b)과 접촉하고, 다른 쪽의 고정접점(8a)과는 비접촉상태가 된다. 또 동시에 이 레버(2)의 반시계회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이때까지 도 6에 있어서 절도부재(28)의 산형의 캠면(28a)의 좌측경사면에 접촉하고 있던 구동봉(6)도 절도부재(28)의 산형의 캠면(28a)의 정점을 타고 넘어 우측경사면에 접촉하고, 이 비스듬히 누운 상태로 록된 그대로 제 2가동접편(21)과 제 2고정접점(8b)과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록타입의 시소스위치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도부재(28)를 고정하고 있는 쪽의 수납부(23)의 단자(33a, 33b,그리고 25b)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1)의 저부상에 병설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7a, 7b, 8a, 8b)과 이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7a, 7b, 8a, 8b)상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7a, 7b, 8a, 8b)과 각각 접촉가능한 제 1 및 제 2가동접편(20, 21)과 베이스(1)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지지된 레버(2)와, 이 레버(2)에 각각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탄성유지되고, 선단이 제 1 및 제 2가동접편(20, 21)에 각각 대향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두 개의구동봉(6, 6)과 베이스(1)의 제 1가동접편(20)(또는 제 2가동접편(21))의 배치위치로 치환배치가능하며 그 상면에 구동봉(6, 6)의 한쪽이 슬라이딩접촉하는 캠면(28a)이 형성된 절도부재(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베이스(1)에 베 1 및 제 2가동접편(20, 21)을 설치하고, 레버(2)에 압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구동봉(6, 6)에 의하여 레버(2)를 중립위치로 위치시키고, 레버(2)에 압압력을 가하여 요동시켰을 때에는 제 1고정접점(7a, 7b)또는 제 2고정접점(8a, 8b)과 접촉되고 베이스(1)에 제 1가동접편(20)(또는(21))을 대신하여 절도부재(28)를 설치하고, 절도부재(28)에 탄성접촉되는 구동봉(6, 6)에 의하여 레버(2)를 비스듬히 누운 위치로 유지하여 제 2가동접편(20, 21)과 제 1고정접점(7a, 7b)또는 제 2고정접점(8a, 8b)을 접촉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접점(7a, 7b, 8a, 8b)과 가동접편(20, 21)에 의해 구성되는 두세트의 스위치부내의 한세트의 스위치부에 있어서의 가동접편(20또는 21)을 절도부재(28)를 대신하는 것만으로 논록타입의 스위치장치나 또는 록타입의 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사용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부품의 공용화가 높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만족할 수 있다.
또 가동접편(20, 21)과 절도부재(28)의 교환은 가동접편(20, 21)을 그 수납부(23)로 부터 떼어내고 절도부재(28)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생산성을 높힐 수 있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접점과 가동접편으로 구성되는 두세트의 스위치부내의 한세트의 스위치부에 있어서의 가동접편을 절도부재로 대신하는 것만으로 논록타입의 스위치장치나 또는 록타입의 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사용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부품의 공용화가 높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충족시킬 수 도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과 절도부재와의 교환은 수납부를 공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그 수납부로부터 떼어내고 절도부재를 장치하는 것만으로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할 수 있다.

Claims (2)

  1. 베이스의 저부상에 병설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과, 이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상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과 각각 접촉가능한 제 1가동접편 및 제 2가동접편과,
    상기 베이스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지지된 요동부재와,
    상기 요동부재에 각각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탄성유지되고, 그의 선단이 상기 제 1가동접편 및 제 2가동접편에 각각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구동봉과,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중 어느한쪽의 배치위치로 치환배치가능하여 그 상면에 상기 구동봉의 한쪽이 슬라이딩접촉하는 볼록형상 캠면이 형성된 절도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 1가동접편 및 제 2가동접편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부재에 압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구동봉에 의하여 상기 요동부재를 중립위치로 위치시키고, 상기 제 1가동접편을 제 1고정접점의 한쪽에 그리고 상기 제 2가동접편을 제 2고정접점의 한쪽에 접촉시키고, 상기 요동부재에 압압력을 가하여 요동시킬 때에는 상기 제 1가동접편을 상기 제 1고정접점의 다른 쪽에 그리고 상기 제 2가동접편을 제 2고정접점의 다른 쪽에 접촉시키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중 어느한쪽을 대신하여 상기 절도부재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절도부재에 탄성접촉되는 상기 구동봉에 의하여 상기 요동부재를 비스듬히 누인 위치로 유지하여 나머지 상기 제 2가동접편과 상기 제 2고정접점의 한쪽 또는 나머지 상기 제 1가동접편과 제 2고정접점의 한쪽을 접촉상태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내에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수용시키는 수납부와,
    상기 제 1가동접편 또는 제 2가동접편을 대신하여 절도부재를 설치고정하는 수납부가 아울러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19970012269A 1996-04-04 1997-04-03 스위치장치 KR100242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73996A JP3723627B2 (ja) 1996-04-04 1996-04-04 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JP8-082739 199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880A KR970071880A (ko) 1997-11-07
KR100242137B1 true KR100242137B1 (ko) 2000-02-01

Family

ID=1378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269A KR100242137B1 (ko) 1996-04-04 1997-04-03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5392A (ko)
JP (1) JP3723627B2 (ko)
KR (1) KR100242137B1 (ko)
DE (1) DE19713978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75B1 (ko) 2007-03-09 2008-03-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저부하 스위치
KR200465883Y1 (ko) 2011-06-13 2013-03-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시소 스위치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8234A (en) * 1999-01-07 2000-09-12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dynamic braking of a direct current motor
JP4583675B2 (ja) * 2001-08-30 2010-11-17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
EP1433189B1 (de) * 2001-10-01 2005-11-30 Leopold Kostal GmbH & Co. KG Schalteinrichtung
US6596956B1 (en) 2001-11-05 2003-07-22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SPDT switch with multiple contact arrangement
US6570114B1 (en) 2001-11-05 2003-05-27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Center contact and rocker arrangement for a single pole double-throw switch
US6600122B1 (en) * 2001-11-05 2003-07-29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Centering arrangement for a movable contact member in a rocker-type switch
JP3990184B2 (ja) * 2002-04-26 2007-10-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3964731B2 (ja) * 2002-05-14 2007-08-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6856212B2 (en) * 2002-12-16 2005-02-15 Com Dev Ltd. Incomplete mechanical contacts for microwave switches
JP4279648B2 (ja) * 2003-10-20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6797905B1 (en) * 2003-12-23 2004-09-28 Zippy Technology Corp. Rocker switch
US7009128B1 (en) 2004-01-12 2006-03-07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Side contact rocker-type switch assembly
US20050275291A1 (en) * 2004-06-14 2005-12-15 Wen-Lung Tsai Mechanical switch series to activate/deactivate an electrical appliance
US7528335B2 (en) * 2006-09-18 2009-05-05 Innotec Corporation Light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s
KR100843823B1 (ko) * 2007-03-09 2008-07-03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JP5614800B2 (ja) * 2010-07-02 2014-10-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727782B2 (ja) * 2010-12-28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ソー式スイッチ
TWI452588B (zh) * 2011-10-17 2014-09-11 Board Tech Electronic Co Ltd Switchgear
JP2014229475A (ja) * 2013-05-22 2014-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51254B2 (ja) * 2013-12-19 2018-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構造
CN106783341B (zh) * 2017-01-04 2018-11-23 温州市万盛电器有限公司 翘板开关
CN108281319B (zh) * 2018-01-26 2020-12-04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翘板开关
CN108417432B (zh) * 2018-04-16 2020-12-15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翘板装置及翘板开关
FR3078819B1 (fr) * 2018-03-08 2020-03-20 Legrand France Manoeuvre synchronise d'un dispositif bistable depuis une multitude de manettes monostables
CN111223693A (zh) 2018-11-26 2020-06-02 福特全球技术公司 开关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16203U (de) * 1974-05-09 1974-08-14 Merten Geb Elektrischer Schalter
JPS55116427U (ko) * 1979-02-10 1980-08-16
JPH0511618Y2 (ko) * 1986-04-30 1993-03-23
JPH0637557Y2 (ja) * 1987-01-19 1994-09-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JPH0313633U (ko) * 1989-06-23 1991-02-12
JPH04118821A (ja) * 1990-09-07 1992-04-20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ツチウエハの製造方法
JP2593229Y2 (ja) * 1993-04-27 1999-04-05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5446253A (en) * 1994-04-21 1995-08-29 Eaton Corporation Switch actuator assembly
US5570778A (en) * 1994-04-26 1996-11-0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Electrical rocker switch
JP3269940B2 (ja) * 1995-06-23 2002-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取付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75B1 (ko) 2007-03-09 2008-03-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저부하 스위치
KR200465883Y1 (ko) 2011-06-13 2013-03-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시소 스위치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880A (ko) 1997-11-07
JPH09274828A (ja) 1997-10-21
DE19713978A1 (de) 1997-10-09
JP3723627B2 (ja) 2005-12-07
US5735392A (en) 1998-04-07
DE19713978C2 (de) 200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137B1 (ko) 스위치장치
US4767895A (en) Removable key off-lock switch having improved locking actuator
US5570778A (en) Electrical rocker switch
JP2001084867A (ja) スイッチ
JP4121754B2 (ja) スイッチ装置
US5836443A (en) Electrical rocker switch
KR100239184B1 (ko) 스위치장치
JPH01500941A (ja) スィッチ、特に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ィッチ
US5436421A (en) Progressive switch
US5099095A (en) Lever switch device
US4420659A (en) Bi-stable mechanism and anti-the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mechanism
US5086199A (en) Lever switch
EP1304713B1 (en) Switch contact structure
KR100288384B1 (ko)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KR830001427Y1 (ko) 레바 스위치 장치
CA2226606C (en) Electrical rocker switch
JPH09259703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US6066813A (en) Switch insert for rotary switches
JPH09161615A (ja) シーソ型スイッチ
JP2581243Y2 (ja) レバースイッチ
EP0568760A1 (en) An emergency switch for industrial motor vehicles including movable contacts which can be snap closed on fixed contacts
JPH0527788Y2 (ko)
CN117894625A (zh) 一种开关模块和车把手开关
JP2521554Y2 (ja) ワイパースイッチ
JP3038725U (ja) シーソ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