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184B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184B1
KR100239184B1 KR1019970006970A KR19970006970A KR100239184B1 KR 100239184 B1 KR100239184 B1 KR 100239184B1 KR 1019970006970 A KR1019970006970 A KR 1019970006970A KR 19970006970 A KR19970006970 A KR 19970006970A KR 100239184 B1 KR100239184 B1 KR 100239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xed contact
cover case
switch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425A (ko
Inventor
마고또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6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11/00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을 공통화하여 최소의 부품교환으로 시소식을 슬라이드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20)에 수납된 제 1고정접점(35a, 35b)및 제 2고정접점과, 요동자유롭게 배치되고, 제 1고정접점과 접촉가능한 제 1가동접편(11)과, 제 2고정접점과 접촉가능한 제 2가동접편(12)과,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에 탄성유지된 구동부재(27)로 이루어지는 스위치구성공통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20)에 설치가능한 제 1커버케이스(24)및 제 1커버케이스(24)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레버(29)로 이루어지는 시소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와, 베이스(20)에 설치가능한 제 2커버케이스(41)및 제 2커버케이스(41)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드부재(42)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를 선택적으로 베이스(20)에 설치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
본 발명은 시소식 가동접점에 의하여 변환을 행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동접점을 지점을 중심으로 요동시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에서 접촉동작 또는 접촉의 이탈동작을 행하는 소위 시소식 스위치장치는 대전류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모터로의 전원의 투입 및 차단을 행하는 전원스위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와같은 스위치장치의 일예를 도 7과 도 8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분해사시도, 도 8은 동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닥이 있고 바닥이 얕은 통모양의 베이스(1)가 대향하는 외측면은 위쪽으로 연장되어 측판(1a, 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판(1a, 1b)에는 레버(2)가 회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회동축(3)이 대략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2)의 상면에는 손잡이(4)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2)의 하부는 두갈래로 나누어져 있고,두갈래의 하면에는 설치공(2a, 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설치공(2a, 2b)에는 각각 코일스프링(5a, 5b)을 거쳐 구동봉(6a, 6b)이 출입자유롭게 탄성유지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의 저부에는 제 1고정접점(7a, 7b)과 제 2고정접점(8a, 8b)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제 1고정접점(7a, 7b)간의 베이스(1)의 내저면의 대략 중앙위치와, 제 2고정접점(8a, 8b)간의 베이스(1)의 내저면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지지판(9a, 9b)이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판(9a, 9b)상에는 띠모양 금속판을 측면이 대략 M자모양이 되도록 굴곡형성한 제 1 및 제 2가동접편(10a, 10b)의 대략 중간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 1고정접점(7a, 7b)과 제 1가동접편(10a), 그리고 제 2고정접점(8a, 8b)과 제 2가동접편(10b)의 2조의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종래 스위치장치에서는 손잡이(4)를 조작하지 않는 레버(2)의 중립위치에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가동접편(10a)의 일단은 제 1고정접점(7a, 7b)의 한쪽의 고정접점(7b)과 접촉하고 있다. 또 이 중립위치에서는 제 2가동접편(10b)의 일단은 제 2고정접점(8a, 8b)의 한쪽의 고정접점(8a)과 접촉하여 양 스위치부 모두 스위치오프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4)를 조작하여 레버(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구동봉(6a)이 제 1가동접편(10a)상을 제 1고정접점(7a)방향으로 제 1가동접편(10a)을 압압하면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구동봉(6a)이 지지판(9a)을 지나치면, 제 1가동접편(10a)은 지지판(9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가동접편(10a)의 타단이 제 1고정접점(7a)과 접촉하며, 다른 고정접점(7b)과는 비접촉상태로 되어 한쪽의 스위치부에서 스위치의 변환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레버(2)의 회동에 의하여 구동봉(6b)도 제 2가동접편(10b)상을 고정접점(8a)방향으로 슬라이딩하나, 제 2가동접편(10b)은 제 2고정접점(8a)과 이미 접촉한 상태에 있어 요동하는 일 없고, 다른 쪽의 스위치부에 있어서는 그 변환동작은 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a)의 상태에서 레버(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와는 반대로 다른 쪽의 스위치부에서 변환동작이 행하여져 한쪽의 스위치부의 변환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상기 한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손잡이(4)를 경사이동시켜 레버(2)를 회동시켜 레버(2)의 회동방향에 의하여 제 1 또는 제 2가동접편(10a, 10b)을 요동시키고, 이들 제 1 또는 제 2가동접편(10a, 10b)과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7a, 7b, 8a, 8b)사이에서 각각 이탈, 접속동작을 행하게 하여 스위치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즉 손잡이(4)에 대한 경사이동력을 개방하면, 제 1및 제 2가동접편(10a, 10b)에 의하여 구동봉(6a, 6b)즉 손잡이(4)는 중립위치로 되돌아가는 논록타입의 클릭동작을 하는 시소식의 스위치장치이며, 이와같은 스위치장치는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스위치장치의 범용성과 스위치장치 그 자체의 비용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스위치장치의 범용성은 또 손잡이(4)를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변환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를 동일치수나 형상으로 실현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여 최소의 부품교환으로 시소식의 스위치장치를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를 시소식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를 슬라이드식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종단측면도,
도 7은 종래의 스위치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가동접편 12 : 제 2가동접편
20 : 베이스 20g : 중앙접점지지판
24 : 제 1커버케이스(시소스위치용 커버케이스)
24g : 삽통구멍 27 : 구동부재
28 : 코일스프링(탄성부재) 29 : 레버
35a, 35b : 제 1고정접점
41 : 제 2커버케이스(슬라이드스위치용 커버케이스)
42 : 슬라이드부재 42e : 설치공
42a : 기부(基部)
상기 과제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병설된 제 1고정접점과 제 2고정접점과 상기 제 1고정접점상에 요동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제 1고정접점과 접촉가능한 제 1가동접편과 상기 제 2고정접점상에 요동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제 2고정접점과 접촉가능한 제 2가동접편과 선단이 상기 제 1 및 제 2가동접편에 각각 대향 접촉(對接)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편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탄성유지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가동접편상에 압접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스위치구성공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가능한 시소스위치용 커버케이스 및 그 커버케이스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거쳐 상기 구동부재를 출입자유롭게 수납가능한 키톱으로 이루어지는 시소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가능하며 상부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드스위치용 커버케이스와 그 커버케이스와 베이스내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되며, 그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거쳐 상기 구동부재를 출입자유롭게 수납가능으로 하고, 그 상부에 상기 개부로부터 돌출한 돌기부를 가지는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구성공통부재의 상기 베이스에 시소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 또는 슬라이드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한 수단에 의하여 해결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종래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참조번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장치를 시소식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장치를 슬라이드식으로 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종단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의 베이스(20)내는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이 각각 독립하여 수용되는 수납부(20b, 20b)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벽(20a)이 측판(1a, 1b)간을 이분할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20b)에는 제 1 또는 제 2가동접편(11, 12)의 대략 중간부를 지지하는 중앙접점지지판(20g)과 제 1가동접편(11)의 요동에 의하여 그 양단부와 접촉하는 제 1고정접점(35a, 35b)과 대향하는 측면에 위쪽이 뾰족한 위치결정돌기부(20c)및 그 양측에 오목부(20d, 20d)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생략하였으나, 또 하나의 수납부(20b)에도 종래예와 동일하게 중앙접점지지판을 반대로 배치하여 상기 위치결정돌기부(20c) 및 그 양측에 오목부(20d, 20d) 및 제 2고정접점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20)에는 측판에 돌기설치된 계합돌기부(20e)와, 그 측판의 상단에 돌기설치된 위치결정돌기부(20f)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의 상부에는 이 베이스(20)의 각 수납부(20b, 20b)를 덮도록 시소스위치용 커버케이스(이하, 제 1커버케이스라 함)(24)가 씌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커버케이스(24)는 아래쪽이 개구된 각이 진 상자모양의 케이스본체부(24a)와 이 케이스본체부(24a)가 상대하는 한쌍의 측면에서 위쪽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 지지판부(24b, 24b)와, 지지판부(24b, 24b)에 각각 천설된 축받이공(24c)과 지지판부(24b)의 축받이공(24c)으로부터 상단에 형성된 테이퍼상의 가이드면부(24d)와 케이스본체부(24a)의 측면하부에 천설된 계지공(24e)과 케이스본체부(24a)의 하방개구단에 형성되어 베이스(20)의 위치결정돌기부(20f)가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용 오목부(24f)와, 지지판부(24b, 24b)간의 케이스본체부(24a)의 상면에 형성한 개구부(24g)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지공(24e)에 베이스(20)의 돌기(20e)를 계합함으로써 베이스(20)에 제 1커버케이스(24)를 끼워맞춘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24a)의 개구부(24g)에는 레버(29)에 유지된 구동부재(27)가 요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구동부재(27)의 접촉단부(27a)에 의하여 종래예와 동일하게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을 요동시켜 고정접점을 접촉, 이탈시키고 있다.
이 구동부재(27)는 그 하단 양단 가까이에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과 각각 접촉하는 접촉돌기(27a, 27b)가 돌설되어 있다. 또 구동부재(27)의 상면에는 구동부재(27)를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코일스프링(28)의 하단을 삽입하는 오목부(27c)가 형성되고, 오목부(27c)의 저면에서 코일스프링(28)유지용 돌기부(27d)가 돌설되어 있다.
레버(29)에는 상부에 노브(도시생략)를 끼워 설치하는 노브설치부(29a)와, 노브설치부(29a)의 측면에 형성되어 노브의 계합공(도시생략)에 계합하는 계합돌기부(29b)와 제 1커버케이스(24)의 지지판부(24b, 24b)의 축받이공(24c)에 삽입되는 지지축(29c)과 노브설치부(29a)의 아래쪽으로 연설된 요동부(29d)와 요동부(29d)의 하면에서 코일스프링(28)을 거쳐 구동부재(27)를 출입자유롭게 수납하는 구동부재수납부(29e)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8)의 상단은 레버(29)의 구동부재수납부(29e)의 내저면에 당접하여 축세(蓄勢)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27)의 접촉돌기부(27a, 27b)는 코일스프링(2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항상 아래쪽으로 가세되고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상에 압압되어 있다.
제 1가동접편(11)(제 2가동접편(12))은 상기한 종래예의 가동접편과 동일한 형상이나, 다른 점은 그 중앙부 양측연이 잘려나가 대향하는 절곡편부(11a, 11a)(12a, 12a)와 노치부(11b)(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 1가동접편(11)(제 2가동접편(12))을 베이스(20)의 수납부(20b, 20b)에 수납하였을 때, 위치결정돌기부(20c)가 노치부(11b)(12b)에 끼워넣어짐과 함께 절곡편부(11a, 11a)(12a, 12a)가 오목부(20d,20d)에 각각 끼워넣어져 제 1가동접편(11)(제 2가동접편(12))이 요동되었을 때등, 절곡편부(11a, 11a)(12a, 12a)의 평탄면(절단면이 아님)이 위치결정돌기부(20c)의 측면에 슬라이드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1가동접편(11)(제 2가동접편(12))의 요동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35는 중앙접점지지판(20g)이나 제 1고정접점(35a, 35b) 및 제 2고정접점에 접속된 인출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시소식 스위치장치의 동작은 상기한 종래예와 아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 1가동접편(11)의 동작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레버(29)의 중립위치에서는 스위치오프상태에 있으며, 이 상태에서 레버(29)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구동부재(27)의 접촉단부(27a)가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제 1가동접편(11)상을 제 1고정접점(35a)방향으로 제 1가동접편(11)을 압압하면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구동부재(27)의 접촉단부(27a)가 중앙접점지지판(20g)을 지나치면, 제 1가동접편(11)은 중앙접점지지판(20g)을 지점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제 1가동접편(11)의 타단이 제 1고정접점(35a)과 접촉하고 다른 쪽의 고정접점(35b)과는 비접촉상태가 되어(도 3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한쪽의 스위치부에서 스위치의 변환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구동부재(27)의 이동에 의하여 접촉단부(27b)도 제 2가동접편(12)상을 제 2고정접점(8a)방향으로 이동하나,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제 2가동접편(12)은 제 2고정접점(8a)과 이미 접촉한 상태에 있어 요동하지는 않고 다른 쪽의 스위치부에 있어서는 그 변환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레버(29)에 부여한 조작력을 없애면 상기 종래예와 동일하게 코일스프링(2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레버(29)는 도 3에 나타낸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에 이와같은 시소식의 스위치장치를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로 변경하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한다.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커버케이스(24)를 대신한 슬라이드스위치용 커버케이스(이하 제 2커버케이스라 함)(41)와, 레버(29)를 대신한 슬라이드부재(42)를 가지는 이외는 상기 시소식 스위치장치의 부품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제 2커버케이스(41)는 아래쪽이 개구된 박스형을 하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긴구멍형상의 개구(41a)가 형성되고 한쌍의 측면에는 계지공(41b, 412b)이 각각 천설되어 있다. 또 제 2커버케이스(41)의 아래쪽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20)의 위치결정돌기부(20f)가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용 오목부(41c)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계지공(41b)에 상기 베이스(20)의 돌기(20e)를 계합함으로써 베이스(20)에 제 2커버케이스(41)를 위치결정하여 끼워맞춘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42)에는 제 2커버케이스(41)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방향 길이를 가지는 기부(42a)와 기부(42a)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 입설하는 손잡이(42b)와 기부(42a)의 상면의 네모서리에 돌설되고, 제 2커버케이스(41)의 내면과 슬라이드접촉하는 슬라이딩돌기부(42c, 42c…)와 기부(42a)의 측면에 종방향으로 돌설되어 제 2커버케이스(41)의 내측면과 슬라이드접촉하는 슬라이딩돌조부(42d, 42d…)와 기부(42a)의 하면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부재(27)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삽입하여 유지하는 설치공(42e)(도 6참조)과 기부(42a)내에 형성된 벽부(42f)와 벽부(42f)의 하단면 양단가까이에 돌설되어 상기 베이스(20)의 구획벽(20a)의 상단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가이드돌기부(42g, 42g)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0)와 제 2커버케이스(41)안에 수납되면, 슬라이드부재(42)의 슬라이드돌기부(42c, 42c…)가 제 2커버케이스(41)의 내면에 슬라이드접촉하고 또 슬라이드돌조부(42d, 42d…)가 제 2커버케이스(41)의 양내측면에 각각 슬라이드접촉하고 또 가이드돌기부(42g, 42g…)가 베이스(20)의 구획벽(20a)의 상단면으로 슬라이드접촉하도록 위치되어 있어 슬라이드부재(42)는 도 6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42)의 설치공(42e)내에 코일스프링(28)을 거쳐 구동부재(27)를 출입자유롭게 수납하고 코일스프링(2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구동부재(27)의 접촉돌기(27a, 27b)를 항시 아래쪽으로 가세하여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상으로 압압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제 2커버케이스(41)및 슬라이드부재(42)이외의 부품, 즉 도 5에 나타낸 베이스(20), 제 1및 제 2가동접편(11, 12), 구동부재(27) 및 코일스프링(28)은 도 1 내지 도 3의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부품이며, 이들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이와같은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로 한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제 2가동접편(11, 12)의 동작은 상기한 종래예 및 도 1 내지 도 3의 스위치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며, 여기서는 슬라이드부재(4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슬라이드부재(42)의 손잡이(42b)는 제 2커버케이스(41)의 개구(41a)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도 6의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재(42)는 중립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부재(42)의 손잡이(42b)를 예를 들어 도 6의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바와같이 슬라이드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는 기부(42a)가 왼쪽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하부로부터 돌출되고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제 1가동접편(11)상에 탄성접촉하고 있는 구동부재(27)의 접촉돌기부(27a)(27b)도 제 1가동접편(11)(제 2가동접편(12))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접촉단부(27a)가 중앙접점지지판(20g)을 지나치면, 제 1가동접편(11)은 중앙접점지지판(20g)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상기한 시소식 스위치장치와 동일하게 제 1가동접편(11)의 타단이 제 1고정접점(35a)과 접촉하고 다른 쪽의 고정접점(7b)과는 비접촉상태가 되어 한쪽의 스위치부에서 스위치의 변환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슬라이드부재(42)의 기부(42a)의 이동에 의하여 구동부재(27)의 접촉단부(27b)도 제 2가동접편(12)상을 한쪽의 제 2고정접점방향으로 슬라이딩하나, 제 2가동접편(12)은 그 제 2고정접점과 이미 접촉한 상태에 있어 요동하지는 않고 다른 쪽의 스위치부에 있어서는 그 변환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 것도 상기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와 동일하다.
손잡이(42b)에 부여한 조작력을 없애면 상기 종래예와 동일하게 코일스프링(2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슬라이드부재(42)는 도 6에 나타낸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손잡이(42b)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것과는 반대로 다른 쪽의 스위치부에서 변환동작이 행하여지고, 한쪽의 스위치부의 변환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소식 스위치장치와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와는 베이스(20)와 제 1 및 제 2가동접편(11, 12)과 구동부재(27) 그리고 코일스프링(28)은 스위치구성공통부재로서 공통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시소식 스위치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는 이들 스위치구성공통부재에 제 1커버케이스(24)와 레버(29)의 시소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를 준비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슬라이드식 스위치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는 상기 스위치구성공통부재에 제 2커버케이스(41)와 슬라이드부재(42)의 슬라이드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르 준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공통화에 의하여 공통부품의 대량생산을 행할 수 있으며, 또 조립공정이 간단한 변경으로 시소식 또는 슬라이드식중 어느것으로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폭적인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1커버케이스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키톱을 구비한 시소스위치구조체와 제 2커버케이스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한 슬라이드스위치구조체가 선택적으로 베이스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조체만의 교환으로 스위치장치전체의 용적을 변경하지 않고 시소식이나 슬라이드식의 스위치장치로 할 수 있어 범용성이나 스위치장치자체의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Claims (1)

  1.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병설된 제 1고정접점및 제 2고정접점과,
    상기 제 1고정접점상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제 1고정접점과 접촉가능한 제 1가동접편과,
    상기 제 2고정접점상에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제 2고정접점과 접촉가능한 제 2가동접편과,
    선단이 상기 제 1 및 제 2가동접편에 각각 대향 접촉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편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탄성지지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가동접편상에 압접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스위치구성공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부착가능한 시소스위치용 커버케이스 및 그 커버케이스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거쳐 상기 구동부재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수납가능한 키톱으로 이루어지는 시소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부착가능하고, 그 상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드스위치용 커버케이스와, 그 커버케이스와 베이스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되고 그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거쳐 상기 구동부재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수납가능하여 그 상부에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한 돌기부를 가지는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구성공통부재의 상기 베이스에 시소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 또는 슬라이드스위치구성용 선택부재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19970006970A 1996-03-05 1997-03-04 스위치장치 KR100239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47465 1996-03-05
JP8047465A JPH09245552A (ja) 1996-03-05 1996-03-05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425A KR970067425A (ko) 1997-10-13
KR100239184B1 true KR100239184B1 (ko) 2000-01-15

Family

ID=1277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970A KR100239184B1 (ko) 1996-03-05 1997-03-04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794544A3 (ko)
JP (1) JPH09245552A (ko)
KR (1) KR100239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4663A (en) * 1998-07-18 2000-04-25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odular switch
JP4279648B2 (ja) 2003-10-20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100621204B1 (ko) * 2005-02-18 2006-09-13 박기홍 착탈식 스위치
KR101155393B1 (ko) 2009-03-26 2012-06-1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선바이저 램프 조립체
CN102201294B (zh) * 2011-05-20 2013-10-16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无螺纹接线双控开关
CN104851695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双电源转换开关
CN104851629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双电源电力开关
CN104851644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电力双电源开关
CN104851630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电源电力开关
CN104851678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双电源转换开关
CN104851646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君丰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手电动一体化切换操作机构
DE102017123217A1 (de) * 2017-10-06 2019-04-1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inrichtung für einen Schalter eines Kraftfahrzeug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alteinrichtung, Schalter sowie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4014A1 (de) * 1986-02-08 1987-08-13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H04118821A (ja) * 1990-09-07 1992-04-20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ツチウエハ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4544A2 (en) 1997-09-10
KR970067425A (ko) 1997-10-13
EP0794544A3 (en) 1998-10-14
JPH09245552A (ja) 199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184B1 (ko) 스위치장치
KR100242137B1 (ko) 스위치장치
US4767895A (en) Removable key off-lock switch having improved locking actuator
KR100638385B1 (ko)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JP2003141971A (ja) スイッチ装置
US5570778A (en) Electrical rocker switch
KR930010965B1 (ko) 핸들 작동 스위치
KR100291570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H0636647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KR100502749B1 (ko) 스위치 장치
JPH0743901Y2 (ja) スイッチ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3045275A (ja) スイッチ装置
JP376799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2908837B2 (ja) スイッチ装置
JP4247312B2 (ja) 電子機器
JP3882251B2 (ja) プッシュ機構付スライドスイッチ
JP2593514Y2 (ja) 押釦スイッチ
US3042779A (en) Enclosed electric switch
JP3143862B2 (ja) 押圧スイッチ
JPH10269903A (ja) レバー式プッシュスイッチ
JPH0448595Y2 (ko)
JP2729914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3331695A (ja) スイッチ装置
JP3064095B2 (ja) スイッチの開閉素子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