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749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749B1
KR100502749B1 KR10-2003-0028782A KR20030028782A KR100502749B1 KR 100502749 B1 KR100502749 B1 KR 100502749B1 KR 20030028782 A KR20030028782 A KR 20030028782A KR 100502749 B1 KR100502749 B1 KR 10050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operation lever
arm
coil spring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938A (ko
Inventor
이따바시다까유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스위치 ON 시의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위치 ON 위치의 편차를 없앨 수 있는 슬림형으로 부품점수가 적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조작 레버 (5) 에 회전운동 복귀력을 부여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을 구비하고, 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은 권회부 (6a) 와 이 권회부 (6a) 의 양단으로부터 소정의 개방각도 (β) 를 갖고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 형상의 제 1, 제 2 아암부 (6b, 6c) 를 가지며, 제 1 아암부 (6b) 를 고정접점 (2) 에 항상 탄성접촉시키는 동시에, 제 2 아암부 (6c) 가 조작 레버 (5) 의 맞닿음부 (5g) 에 탄성접촉하고, 전환접점 (3) 은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접점부 (3g, 3h) 를 가지며, 조작 레버 (5) 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제 2 아암부 (6c) 는 1 쌍의 접점부 (3g, 3h) 와 접촉 이간되는 동시에, 1 쌍의 접점부 (3g, 3h) 간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SWITCH DEVICE}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회전운동 조작에 수반하여 ON/OFF 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를 도 9 ∼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며 상자형으로 형성된 케이스 (31) 에는 내저면 (31a) 을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의 수납부 (31b) 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 (31b) 내의 도시 좌측의 좌측벽 (31c) 의 일부에 볼록부 (32a) 가 일체 형성된 경사 형상의 고정접점 (32) 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접점 (32) 은 내저면 (31a) 을 구성하는 바닥벽 (31d) 에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안내되고, 좌측벽 (31c) 및 우측벽 (31e) 의 외방에 제 1 외부단자 (32b)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 (31c) 근방의 내저면 (31d) 으로부터는 스프링 지지축 (33) 이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지지축 (33) 에는 가동접점으로서의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34) 이 장착되어 있다. 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34)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축 (33) 에 걸어맞추어 장착 가능한 권회부 (34a) 와, 이 권회부 (34a) 의 양단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제 2 아암부 (34b, 34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아암부 (34b) 는 경사 형상의 고정접점 (32) 에 항상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 선단이 볼록부 (32a) 에 맞닿아,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31) 에는 개방된 수납부 (31b) 의 상방을 덮는 커버 (35)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커버 (35) 는 절연성의 기대(基臺:35a) 에 금속판 (36) 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 금속판 (36) 으로부터는 좌측벽 (31c) 의 외측에 제 2 외부단자 (36a) 가 나와 있다.
또한, 수납부 (31b) 위를 덮은 상태의 기대 (35a) 의 일부로부터 금속판 (36) 이 노출되어 있고, 이 노출부분으로부터 금속판 (36) 의 일부가 잘려 일으켜져, 수납부 (31b) 의 내저면 (31a)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환접점 (37)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환접점 (37) 은 안바닥면 (31a) 에 탄성접촉하고 있으며, 선단부가 내저면과 평행하게 좌측벽 (31c), 우측벽 (31e)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접점부 (37a) 와, 이 접점부 (37a) 의 도시 우단부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부 (37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아암부 (34c) 가 가동접점이 되어, 접점부 (37a) 에 접촉 이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지지축 (33) 은 하부측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34) 을 장착하는 동시에, 상부측에 조작 레버 (38) 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이 조작 레버 (38) 는 조작전의 초기상태에서는, 케이스 (31) 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작부 (38a) 를 가지며, 스프링 지지축 (33) 에 지지하는 부분 (도시하지 않음) 에 연결되는 연결부 (38b) 가 형성되고, 조작부 (38a) 의 반대측이고 수납부 (31b) 내에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34) 의 제 2 아암부 (34c) 를 누를 수 있는 스프링 누름부 (38c)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조작 레버 (38) 를 회전운동 조작하기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38a) 가 케이스 (31) 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34) 의 제 2 아암부 (34c) 는 바닥벽 (31d) 의 내저면 (31a) 위에 위치하여, 항상 조작 레버 (38) 의 스프링 누름부 (38c) 에 탄성접촉하고 있다.
조작 레버 (38) 를 회전운동 조작하기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 (34c) 가 전환접점 (37) 과 이간되어 스위치 OFF 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 (38) 의 조작부 (38a) 에 화살표 A 방향의 탄성지지력을 가하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누름부 (38c) 가 제 2 아암부 (34c) 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제 2 아암부 (34c) 가 가이드부 (37b) 로 유도되어, 접점부 (37a) 가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방으로 눌려 올라가, 내저면 (31a) 과 접점부 (37a) 사이를 제 2 아암부 (34c) 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스위치 ON 의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 (38) 의 조작부 (38a) 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 (31b) 내로 들어가면, 풀스트로크 상태가 되어 조작 레버 (38) 의 회전운동이 정지한다. 이 풀스트로크 상태에서 조작 레버 (38) 에 가해져 있던 화살표 A 방향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34) 자체의 탄성력으로 제 2 아암부 (34c) 가 전환접점 (37) 으로부터 이간되는 동시에, 조작 레버 (38) 도 도 10 에 나타내는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스위치 OFF 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가동접점인 제 2 아암부 (34c) 가 전환접점 (37) 의 접점부 (37a) 와 한쪽이 접촉하게 되므로, 접촉부분에 오물 등이 침입하거나 하면 접촉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조작 레버 (38) 를 회전운동시키고, 안바닥면 (31a) 위를 제 2 아암부 (34c) 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내저면 (31a) 이 제 2 아암부 (34c) 에 의하여 긁히면서 깎여진 부스러기가 발생하고, 이 깎여진 부스러기로 인하여 접점부 (37a) 와 제 2 아암부 (34c) 가 접촉불량이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고정접점 (32) 과 전환접점 (37) 이 케이스 (31) 와 커버 (35) 로 나누어지고, 조립시에 각각 따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31) 에 커버 (35) 를 장착할 때의 위치 편차 등으로, 전환접점 (37) 의 접점부 (37a) 의 위치가 어긋나, 제 2 아암부 (34c) 와의 접촉위치인 스위치 ON 위치에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위치 ON 시의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키는 동시에, 스위치 ON 위치의 편차를 없앨 수 있는 슬림형이고 부품점수가 적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수납부내에 나란히 설치되어 서로 절연된 고정접점 및 전환접점과, 상기 수납부내에 지지되어 회전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이 조작 레버에 회전운동 복귀력을 부여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은 권회부와, 이 권회부의 양단으로부터 소정의 개방각도를 갖고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 형상의 제 1, 제 2 아암부를 가지며,
상기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 1 아암부를 상기 고정접점에 항상 탄성접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아암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맞닿음부에 탄성접촉하고, 상기 전환접점은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 레버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1 쌍의 접점부와 접촉 이간되는 동시에, 상기 1 쌍의 접점부 간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수납부내에 나란히 설치된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전환접점은 상기 케이스에 일부가 매설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수납부내에 형성한 지지부에 상기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의 주위에 형성한 스프링 수납부에 상기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의 상기 권회부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전환접점부의 상기 1 쌍의 접촉부는 상기 수납부의 안바닥면과 평행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1 쌍의 접점부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상기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안바닥면과 평행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납부는 상기 조작 레버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환접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략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도 3 은 그 내부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접점과 전환접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6 ∼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부에 수지재료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1)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 (1) 는 도시 앞측과 안측의 외주부로부터 수직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 1, 제 2 측벽 (1a, 1b) 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 1, 제 2 측벽 (1a, 1b) 에 의하여 싸여진 부분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납부 (1c) 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측벽 (1b) 의 내면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 (1d) 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1d) 를 구성하는 한쪽 측면에 후술하는 조작 레버 (5) 의 스토퍼부 (5h) 가 맞닿을 수 있는 스토퍼면 (1e)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 (1c) 의 바닥부에는 안바닥면 (1f) 을 갖는 바닥벽 (1g)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의 제 1, 제 2 측벽 (1a, 1b) 의 도시 좌측의 외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 (1h, 1h) 가 형성되고, 이 후크부 (1h) 에 후술하는 커버 (7) 의 스냅구멍 (7c) 이 스냅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측벽 (1a) 의 앞측의 외면 및 제 2 측벽 (1b) 의 안측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커버 (7) 의 걸림 고리 (7e) 를 걸 수 있는 걸림부 (1j)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1g) 의 뒷면측에는 2 개의 위치결정돌기 (1k, 1k) 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치결정돌기 (1k) 에 의하여 도시를 생략하는 장치측의 기판에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위치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 (1g) 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고정접점 (2) 과 전환접점 (3) 이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 등으로 매설되어 있다.
즉, 수납부 (1c) 내에 나란히 설치되고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서로 절연된 고정접점 (2) 과 전환접점 (3) 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점 (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장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평탄 형상의 베이스부 (2a) 를 형성하고, 이 베이스부 (2a) 의 좌우 양단부를 상방으로 절곡시켜 1 쌍의 제 1 외부단자 (2b, 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 좌측의 한쪽 제 1 외부단자 (2b) 의 옆에는 설편(舌片) 형상의 연출부를 베이스부 (2a) 와 대향시켜 내측으로 되접는 동시에, 내측으로 되접은 선단부측을 다시 상방으로 각도 α로 절곡시켜 접점부 (2c)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접점부 (2c) 의 각도 α는 직각보다 작은 예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 제 1 외부단자 (2b) 의 옆으로서, 접점부 (2c) 와 대향하는 측에는 설편 형상의 연출부를 베이스부 (2a) 와 대향하는 내측으로 되접어 절곡부 (2d)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접점부 (2c), 절곡부 (2d) 보다 앞측의 베이스부 (2a) 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구부 (2e) 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접점 (2) 은 케이스 (1) 의 바닥벽 (1g) 에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매설되고, 베이스부 (2a) 의 표면이 안바닥면 (1f) 으로부터 노출되는 동시에, 접점부 (2c) 가 제 1 측벽 (1a) 으로부터 수납부 (1c) 내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외부단자 (2b, 2b) 는 제 1, 제 2 측벽 (1a, 1b) 의 외측으로 각각돌출되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접점 (2) 을 매설한 바닥벽 (1g) 의 반대측에는 고정접점 (2) 과 절연된 전환접점 (3) 이 매설되어 있다. 이 전환접점 (3) 은 1 장의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평탄 형상의 베이스부 (3a) 를 금속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3b, 3b) 가 도시 후방측에 형성되고, 이 연결부 (3b, 3b) 가 제 1, 제 2 측벽 (1a, 1b) 의 도시 좌측의 외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 (도시하지 않음) 에서 베이스부 (3a) 에 접속된 평탄 형상의 접점형성부 (3c) 가 베이스부 (3a) 의 표면측에 서로 겹치도록 되접혀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형성부 (3c) 의 좌우방향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1 쌍의 제 2 외부단자 (3d, 3d)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 (3a) 와 접점형성부 (3c) 가 바닥벽 (1g) 에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매설되고, 제 2 외부단자 (3d, 3d) 는 제 1, 제 2 측벽 (1a, 1b) 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1 외부단자 (2b, 2b) 와 절연되어 인접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접점 (3) 은 가로로 긴 형상의 접점형성부 (3c) 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제 2 연결부 (3e, 3f)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 (3e) 는 접점형성부 (3c) 로부터 전방측에서 경사 상방으로 연출 형성되고, 자유단 형상의 선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의 하방 접점부 (3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로 긴 형상의 하방접점부 (3g) 는 수납부 (1c) 의 안바닥면 (1f) 으로부터 소정 치수의 틈을 갖고 있으며, 안바닥면 (1f) 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 (3f) 는 접점형성부 (3c) 의 후방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잘라 일으켜 형성되고, 대략 U 자 형상으로 되접히고, 자유단 형상의 선단부에 하방접점부 (3g) 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가로로 긴 형상의 상방접점부 (3h)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방접점부 (3h) 는 하방접점부 (3g) 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탄성접촉하고 있다.
또한, 접점형성부 (3c) 의 길이방향의 2 곳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구멍 (3j, 3j) 이 형성되고, 전환접점 (3) 을 바닥벽 (1g) 에 인서트 성형할 때에 관통구멍 (3j) 에 수지재료가 흘러 들어가 보강부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접점 (3) 의 하방 및 상방접점부 (3g, 3h)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하방과 상방의 경사 형상으로 절곡되어, 각각 가이드부 (3m, 3n)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접점 (2) 및 전환접점 (3) 의 케이스 (1) 에 매설하기 전에는 각각의 외부단자 (2b, 3d) 가 평탄 형상으로 외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평탄 형상의 외부단자 (2b, 3d) 의 선단부가 1 장의 루프 형상의 금속판에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1 장의 금속판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고정접점 (2) 및 전환접점 (3) 은 접점부 (2c) 및 1 쌍의 접점부 (3g, 3h) 등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 후, 루프 형상의 금속판에 일체화된 고정접점 (2), 전환접점 (3) 을 케이스 (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절연성 수지재료로 매설한다.
이 케이스 (1) 의 인서트 성형후, 케이스 (1) 의 외부로 연장되는 각각의 외부단자 (2b, 3d) 의 선단부를 절단하는 동시에, 이 외부단자 (2b, 3d) 를 각각 상방측으로 절곡 가공하고 있다.
동시에 케이스 (1) 의 외부에 나온 연결부 (3b) 를 절단함으로써, 고정접점 (2) 과 전환접점 (3) 이 서로 절연되어, 케이스 (1) 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의 바닥벽 (1g) 에 매립된 고정접점 (2) 의 개구부 (2e) 로부터는 케이스 (1) 를 인서트 성형할 때에, 동시에 원주 형상의 지지부 (4) 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 (4) 에는 수지재료 등으로 형성된 절연성 조작 레버 (5) 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조작 레버 (5) 에는 케이스 (1) 의 지지부 (4) 에 축지지 가능한 외형이 원주 형상인 축지지부 (5a) 가 형성되고, 이 축지지부 (5a) 의 내부에 케이스 (1) 의 지지부 (4) 에 삽입하여 끼워맞춤 가능한 지지구멍 (5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지지부 (5a) 의 외주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로 대략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수납부 (5c) 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수납부 (5c) 에 후술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권회부 (6a) 가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5) 에는 축지지부 (5a) 가 형성된 측과 반대방향에서 도시 좌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출되는 막대 형상의 조작부 (5e)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1) 의 지지부 (4) 에 지지구멍 (5b) 을 삽입하여 끼워맞춘 조작 레버 (5) 는 조작부 (5e) 에 화살표 C 방향의 조작력을 가함으로써, 지지부 (4) 를 회전운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수납부 (5c) 를 구성하는 원호 형상의 주벽 (5d) 의 도시 좌측단부에는 후술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2 아암부 (6c) 를 가이드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 (5f) 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 지지부 (5f) 의 하부의 주벽 (5d) 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2 아암부 (6c) 가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 (5g) 가 형성되고, 이 맞닿음부 (5g) 근방의 스프링 수납부 (5c) 가 개방되어, 후술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2 아암부 (6c) 가 위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 (5f) 의 반대측이고, 조작 레버 (5) 의 외주부에는 스프링 지지부 (5f) 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 (5h)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 (4) 에 조작 레버 (5) 를 지지하면 조작 레버 (5) 의 스토퍼부 (5h) 가 케이스 (1) 의 스토퍼면 (1e) 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5) 의 스프링 수납부 (5c) 를 구성하는 원호 형상의 주벽 (5d) 의 도시 우측단부는 도중에 절결되고, 스프링 수납부 (5c) 의 도시 앞측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1 아암부 (6b) 가 위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5) 의 스프링 수납부 (5c) 에 수납 가능한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은 권회부 (6a) 와, 이 권회부 (6a) 의 외주부로부터 소정의 개방각도 β를 사이에 두고 제 1, 제 2 아암부 (6b, 6c) 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은 권회부 (6a) 의 내경측을 조작 레버 (5) 의 축지지부 (5a) 에 위치시키고 스프링 수납부 (5c) 에 삽입하면, 제 1 아암부 (6b) 가 스프링 수납부 (5c) 의 도시 우측의 개방부로부터 조작 레버 (5) 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아암부 (6c) 는 스프링 지지부 (5f) 에 지지되어 조작 레버 (5) 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의 상부에는 개방된 수납부 (1c) 의 상방을 덮는 커버 (7)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7) 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평탄 형상의 베이스부 (7a) 와, 이 베이스부 (7a) 의 도시 좌단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 제 1 측판 (7b) 을 형성하고, 이 제 1 측판 (7b) 에는 케이스 (1) 의 후크부 (1h) 에 스냅 걸림 가능한,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1 쌍의 스냅구멍 (7c, 7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 (7a) 의 앞측 단부와 안측 단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 제 2 측판 (7d) 과 걸림 고리 (7e) 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고리 (7e) 는 대략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1) 의 걸림부 (1j) 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 장치의 조립방법은 먼저, 조작 레버 (5) 의 스프링 수납부 (5c) 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권회부 (6a) 를 수납하여 장착한다. 그러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2 아암부 (6c) 가 스프링 지지부 (5f) 에 지지되어 맞닿음부 (5g) 에 맞닿는다. 그리고,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은 제 2 아암부 (6c) 가 조작 레버 (5) 의 스프링 수납부 (5c) 의 맞닿음부 (5g) 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제 1 아암부 (6b) 가 조작 레버 (5) 의 도시 우측의 개방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을 장착한 조작 레버 (5) 는 지지구멍 (5b) 을 케이스 (1) 의 지지부 (4) 에 삽입하여 끼워맞추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1 아암부 (6b) 가 고정접점 (2) 의 접점부 (2c) 에 맞닿고, 제 2 아암부 (6c) 가 조작 레버 (5) 의 맞닿음부 (5g) 에 탄성접촉한다.
그러면, 조작 레버 (5) 는 조작부 (5e) 가 화살표 D 의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스토퍼부 (5h) 가 케이스 (1) 의 스토퍼면 (1e) 에 맞닿는다.
이러한 상태의 케이스 (1) 의 상방으로부터 커버 (7) 를 씌우면, 커버 (7) 의 스냅구멍 (7c) 이 케이스 (1) 의 후크부 (1h) 에 스냅 걸림과 동시에, 커버 (7) 의 걸림 고리 (7e) 가 케이스 (1) 의 걸림부 (1j) 에 걸리고, 커버 (7) 가 케이스 (1) 에 고착되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조립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 2,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초기상태에 있어서, 가동접점인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은 제 1 아암부 (6b) 가 고정접점 (2) 의 접점부 (2c) 에 항상 맞닿는 동시에, 제 2 아암부 (6c) 가 전환접점 (3) 의 하부와 상부의 접점부 (3g, 3h) 로부터 이간되어, 스위치 OFF 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상태에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 (5) 의 조작부 (5e) 에 화살표 C 방향의 조작하중을 가하면, 조작 레버 (5) 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지부 (4) 를 회전운동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 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러면, 스토퍼부 (5h) 가 스토퍼면 (1e) 으로부터 이간되는 동시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1, 제 2 아암부 (6b, 6c) 간의 개방각도 α가 좁아져, 제 2 아암부 (6c) 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와 상부의 접점부 (3g, 3h) 의 가이드부 (3m, 3n) 에 탄성접촉한다. 이로써, 스위치가 전환되어 ON 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조작 레버 (5) 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의 제 2 아암부 (6c) 는 가이드부 (3m, 3n) 로 안내되어 1 쌍의 접점부 (3g, 3h) 간에 위치한다. 그리고, 1 쌍의 접점부 (3g, 3h) 는 제 2 아암부 (6c) 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눌려 넓혀진다.
그리고, 조작 레버 (5) 의 조작부 (5e) 가 제 2 측벽 (1b) 의 외벽에 맞닿고 조작 레버 (5) 의 회전운동이 정지한다. 이러한 조작 레버 (5) 의 풀스트로크 상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 (6c) 는 1 쌍의 접점부 (3g, 3h) 간에 탄성접촉하여 끼워진 상태가 되어, 스위치 ON 의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조작 레버 (5) 에 가하던 화살표 C 방향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자체의 탄성력으로 조작 레버 (5) 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제 2 아암부 (6c) 가 도 2, 도 6 에 나타내는 초기상태로 자동복귀하여, 스위치 OFF 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ON 시에 가동접점인 제 2 아암부 (6c) 의 외주부의 직경방향의 양측이 1 쌍의 접점부 (3g, 3h) 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오물 등의 침입이 있어도 제 2 아암부 (6c) 와 접점부 (3g, 3h) 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아암부 (6c) 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접점부 (3g, 3h) 간을 슬라이드함으로써,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깎여진 부스러기 등이 발생하지 않아 접촉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접점 (2) 과 전환접점 (3) 을 케이스 (1) 에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매설하여 일체화하였으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 ON 위치의 편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케이스 (1) 의 수납부 (1c) 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 (5) 를 지지하는 지지부 (4) 와 전환접점 (3) 을 연결하는 선 (E) 에 대하여 대략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메인 부품인 케이스 (1), 전환접점 (3),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 등을 공용하여, 화살표 D 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갖는 스위치 장치를 조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접촉부를 갖는 전환접점을 배치하고, 조작 레버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제 2 아암부는 1 쌍의 접점부와 접촉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1 쌍의 접점부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2 아암부는 직경방향의 2 곳이 1 쌍의 접점부에 탄성접촉한다. 그로 인하여, 케이스 내부에 오물 등의 침입이 있어도, 제 2 아암부와 1 쌍의 접점부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부내에 나란히 설치된 고정접점 및 전환접점은 일부가 케이스에 매설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조립성이 양호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는 수납부내에 형성한 지지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지지부의 주위에 형성한 스프링 수납부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의 권회부를 수납하였으므로, 조작 레버에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을 넣은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환접점부의 1 쌍의 접촉부는 수납부의 안바닥면과 평행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1 쌍의 접점부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의 제 2 아암부는 안바닥면과 평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1 쌍의 접점부를 금속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2 아암부를 탄성접촉하여 끼워 반복하여 슬라이드 이동시켜도, 1 쌍의 접점부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어, 긴 수명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 쌍의 접점부간을 제 2 아암부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범위가 넓고 조작성이 양호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수납부는 조작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전환접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략 대칭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조작 레버의 조작방향을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스위치 장치를 메인 부품을 공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저렴하고 버라이어티 대응 가능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내부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내부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접점과 전환접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제 1 측벽
1b : 제 2 측벽
1c : 수납부
2 : 고정접점
2c : 접점부
3 : 전환접점
3g : 하방접점부
3h : 상방접점부
4 : 지지부
5 : 조작 레버
5c : 스프링 수납부
5e : 조작부
5f : 스프링 지지부
6 :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
6a : 권회부 (卷回部)
6b : 제 1 아암부
6c : 제 2 아암부
7 : 커버
7c : 스냅구멍
7e : 걸림 고리

Claims (5)

  1.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수납부내에 나란히 설치되어 서로 절연된 고정접점 및 전환접점과, 상기 수납부내에 지지되어 회전운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이 조작 레버에 회전운동 복귀력을 부여하는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은 권회부와 이 권회부의 양단으로부터 소정의 개방각도를 갖고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 형상의 제 1, 제 2 아암부를 가지며,
    상기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 1 아암부를 상기 고정접점에 항상 탄성접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아암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맞닿음부에 탄성접촉하고,
    상기 전환접점은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 레버를 회전운동 조작하면,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1 쌍의 접점부와 접촉 이간되는 동시에, 상기 1 쌍의 접점부 사이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내에 나란히 설치된 상기 고정접점 및 상기 전환접점은 상기 케이스에 일부가 매설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수납부내에 형성한 지지부에 상기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의 주위에 형성한 스프링 수납부에 상기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의 상기 권회부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접점부의 상기 1 쌍의 접촉부는 상기 수납부의 안바닥면과 평행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1 쌍의 접점부에 탄성접촉하여 끼운 상기 트위스트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안바닥면과 평행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납부는 상기 조작 레버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환접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략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3-0028782A 2002-05-09 2003-05-07 스위치 장치 KR100502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3601A JP4044364B2 (ja) 2002-05-09 2002-05-09 スイッチ装置
JPJP-P-2002-00133601 2002-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38A KR20030087938A (ko) 2003-11-15
KR100502749B1 true KR100502749B1 (ko) 2005-07-21

Family

ID=2941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82A KR100502749B1 (ko) 2002-05-09 2003-05-07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44364B2 (ko)
KR (1) KR100502749B1 (ko)
CN (1) CN1229832C (ko)
TW (1) TW587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4586A (ja) * 2005-03-15 2006-10-26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電子部品
JP2006310654A (ja) * 2005-04-28 2006-11-09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摺動式電子部品
KR100732229B1 (ko) 2006-04-12 2007-06-27 주식회사 일원엘렉텔 딥스위치용 가동체와 이를 포함하는 딥스위치
JP4628307B2 (ja) * 2006-05-12 2011-02-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521450B2 (ja) * 2008-03-14 2010-08-11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3155402U (ja) * 2009-09-04 2009-11-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877607B2 (ja) * 2012-01-19 2016-03-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09077891B (zh) * 2018-08-31 2024-03-08 蒙发利稻田健康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腿部按摩组件的收纳防夹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38A (ko) 2003-11-15
TW587266B (en) 2004-05-11
JP4044364B2 (ja) 2008-02-06
JP2003331690A (ja) 2003-11-21
CN1457069A (zh) 2003-11-19
CN1229832C (zh) 2005-11-30
TW200307961A (en) 200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1474B1 (en) Multi-input switch
KR100502749B1 (ko) 스위치 장치
KR100340481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335638B1 (ko) 다방향 입력장치
KR100291570B1 (ko) 다방향 입력장치
EP1223593A2 (en) Switch device
KR100239184B1 (ko) 스위치장치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JP2007201415A (ja) 回転型電気部品
JPWO2002037517A1 (ja) 小型スイッチ
KR20010007003A (ko) 다방향 입력장치
WO2012090521A1 (ja) スイッチ
US610048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ic component and coordinate input device using the rotatively-operated electric component
KR20060114646A (ko) 스위치
JP462830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3016873A (ja) スイッチ装置
JP4692404B2 (ja) マイクロスイッチ
JP3533868B2 (ja) 押釦スイッチ
GB2240879A (en) Electric switch
JP3148859U (ja) スイッチ装置
JP2006228467A (ja) スイッチの接点構造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EP1134764A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2733274B2 (ja) スイッチ
JP2006302717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