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204B1 - 착탈식 스위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204B1
KR100621204B1 KR1020050013489A KR20050013489A KR100621204B1 KR 100621204 B1 KR100621204 B1 KR 100621204B1 KR 1020050013489 A KR1020050013489 A KR 1020050013489A KR 20050013489 A KR20050013489 A KR 20050013489A KR 100621204 B1 KR100621204 B1 KR 10062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input
terminal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527A (ko
Inventor
박기홍
Original Assignee
박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홍 filed Critical 박기홍
Priority to KR102005001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2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4Insulating plug or plate inserted between normally clos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 버튼, 상기 스위치 버튼에 따라 가동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의 온조작 시 상기 가동판과 접촉하는 고정판, 상기 가동판 및 고정판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입출력단자와 접속하는 전원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접속장치에 삽입 고정되는 착탈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접속장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착탈식 스위치가 제공됨으로써 스위치 설치 및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하며, 감전 위험이 제거된다는 장점이 있다.
착탈식, 스위치, 전원 접속부, 절연제, 접속, 교체

Description

착탈식 스위치{REMOVABLE-ATTACHABLE TYPE SWITCH}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면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 본체부의 배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를 벽면에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착탈식 스위치의 설치 단면도.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착탈식 스위치의 전원 접속부 사시도.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스위치 접속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의 설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의 설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위치 접속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위치 박스 102 : 스위치 커버 104 : 스위치
106, 200 : 스위치 본체부 108 : 스위치커버 120 : 삽입공
122 : 삽입공 개폐부 202, 312, 412 : 스위치 접속장치
204 : 전원 접속부 205 : 전선 연결부 206 : 전원 입력부
208 : 전원 출력부 210 : 가동판 212 : 고정판
214 : 접촉 단자 220 : 입력 단자 224 : 출력 단자
본 발명은 착탈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에 전원 접속부를 제공함으로써 스위치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착탈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기회로의 개폐나 접속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구로서, 제어회로에 사용되는 조작용 스위치, 검출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 분야 또는 동작 원리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조작용 스위치는 제어의 대상이 되는 전기기구, 기계나 장비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해 사람이 조작하는 스위치로서, 푸쉬버튼 스위치, 스냅액션의 조작부가 있는 텀블러스위치, 스냅스위치, 나이프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 텀블러스위치가 제조가 간단하고, 단가가 저렴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 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면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텀블러스위치는 전원 개폐를 위한 금속판을 내장한 스위치 본체부(106) 및 스위치 버튼(108)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스위치 본체부(106)가 벽면 내부에 매입형으로 고정 설치된 스위치 박스(100) 내부에 수용되고, 스위치커버(102)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 본체부(106)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스위치 본체부(106) 배면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120) 및 삽입공(120)을 개폐하는 삽입공 개폐부(122)를 구비하였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스위치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배선 공사 시 벽면에 매입 설치된 스위치 박스(100) 내의 전선(110)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 피복물을 벗겨내어 나동선(112)을 노출시킨 다음, 스위치 본체부(106) 배면의 삽입공 개폐부(122)를 손으로 눌러 삽입공(120)을 개방하고, 여기에 나동선(112)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스위치 본체부(106)에 전원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배선 작업자는 전선(110)을 적당한 길이로 일일이 잘라 양단부의 피복물을 벗겨내야 하며, 또한 노출된 나동선(112)을 매우 작은 직경의 삽입공(120)에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벽면스위치의 경우, 스위치 본체부(106) 내부에 스위치버튼(108)의 위치에 따라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되는 얇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가동판과 고정판 및 이들을 움직이게 하는 스프링을 가지고 있는데, 스위치의 오랜 사용으로 고정판 및 가동판이 부러지거나 스프링이 녹이 슬어 스위치가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각 사용자는 스위치를 교체하기 위해, 벽면과 나사로 체결된 스위치 커버(102)를 분리해낸 후 스위치 본체부(106)의 삽입공(120)에 연결된 전선(110)을 빼내고, 상기 배선 작업자가 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스위치 본체부(106)에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는 일반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우며, 특히 전선(110)에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감전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일반적인 스위치에 있어서도 전선(110)과 스위치 본체부(106)를 직접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손쉬운 스위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 본체부를 전선에 직접 연결할 필요가 없는 착탈식 스위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 고장 시 스위치 커버를 분리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스위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버튼, 상기 스위치 버튼에 따라 가동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의 온조작 시 상기 가동판과 접촉하는 고정판, 상기 가동판 및 고정판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입출력단자와 접속하는 전원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접속장치에 삽입 고정되는 착탈식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를 벽면에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는 스위치 버튼(108) 및 스위치 본체부(2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위치 본체부(200) 일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 접속부(204)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착탈식 스위치가 연결되는 스위치 접속장치(202)가 제공되는데, 스위치 접속장치(202)의 배면에 전선(110)과 연결되는 전선 연결부(205)가 제공되며, 착탈식 스위치 측으로는 전원 접속부(204)와 결합되는 전원 입출력부(203)가 제공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접속장치(202)는 복수개의 착탈식 스위치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선 연결부(205) 및 전원 입출력부(203) 의 개수는 착탈식 스위치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한편,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의 설치 단면도로서, 도 2b에는 착탈식 스위치 하나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착탈식 스위치는 사용자의 스위치 버튼(108)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가동판(21), 가동판(210)과 인접 설치되는 고정판(2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108)을 온조작하는 경우, 가동판(210)과 고정판(212)의 접촉단자가 접촉하면서 스위치와 연결된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 일측에는 전원 접속부(204)가 형성되며, 스위치 접속장치(202)에는 전원 접속부(20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전원 입출력부(206,208)가 형성된다.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착탈식 스위치의 전원 접속부 사시도이고,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스위치 접속장치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2c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접속부(204)는 입력 단자(220) 및 출력 단자(224)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절연제(222)가 제공되는데, 전원 접속부(204)는 스위치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제(222)는 입력 단자(220)와 출력 단자(224)의 도통을 방지하기 위해, PVC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전원 접속부(204)는 도 2d에 도시된 스위치 접속장치(202)에 삽입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접속장치(202)에는 전원 접속부(204)가 삽입될 수 있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동에는 입력 단자(220)와 연결되는 전원 입력부(206) 및 출력 단자(224)와 연결되는 전원 출력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원 접속부(204)가 원 형상인 경우, 전원 입출력부(206,208)는 스위치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리 형상의 동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원 접속부(204)의 입력 단자(220) 및 출력 단자(224)는 각각 가동판(210) 및 고정판(212)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입력 단자(220)가 고정판(212)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224)가 가동판(210)에 연결된 경우, 전선 연결부(205)로부터 입력된 전원이 전원 입력부 및 입력 단자(220)를 통해 고정판(212)으로 공급되며, 스위치가 온조작되어 고정판(212)과 가동판(210)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면, 고정판(212)에서 가동판(210)으로 전류가 흘러 출력 단자(224) 및 전원 출력부(208)를 통하여 전기 기구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는 전선이 이미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접속장치(202)에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위치 고장 시 사용자가 손쉽게 스위치가 설치된 부분에서 분리해 낼 수 있어 교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착탈식 스위치에 하나의 전원 접속부(204)를 형성하는 것과 스위치 접속장치(202)에 고리 형상의 전원 입출력부(206,208)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전원 접속부 및 전원 입출력부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의 설치 단면 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는 가동판(210) 및 고정판(212)에서 각각 연장되는 전원 접속부(320,3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전원 접속부(320,322)는 고정판(212)에서 연장 형성되는 입력 단자(320) 및 가동판(210)에서 연장 형성되는 출력 단자(3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 접속장치(312)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원 입력부(306)와 전원 출력부(308)를 구비하여 각 단자(320,322)에 전기가 도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는 스위치버튼(108), 가동판(210), 고정판(212), 접촉 단자(214) 및 전원 접속부(4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접속부(40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2b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b에 도시된 착탈식 스위치에 있어서, 전원 접속부는 입력 단자(220), 출력 단자(224) 및 절연제(222)가 직렬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4a에 도시된 전원 접속부(406)는 이들이 병렬로 형성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스위치 접속장치(412)에 있어서, 전원 접속부(406)와 연결되는 전원 입출력부(408)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접속부(406)를 둘러싸는 형태가 아니라, 전원 입력부(420), 전원 출력부(424) 및 절연제(422)가 병렬로 형성되며, 이들 각각이 전원 접속부(406)에 형성된 단자 및 절연제와 서로 상 응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위치 설치 또는 교체 시 착탈식 스위치의 전원 접속부(406) 및 스위치 접속장치(412)의 전원 입출력부(408)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있으므로 착탈식 스위치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스위치 설치 또는 교체 시 용이한 착탈이 가능해진다.
도 2a 내지 도 2b는 주로 옥내용 벽면스위치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도 4a에 도시된 착탈식 스위치는 저전압으로 작동되는 자동차용 스위치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b의 설명에 있어서, 착탈식 스위치 및 스위치 접속장치가 각각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하나의 스위치 접속장치에 복수의 전원 입출력부(408)가 구비되는 경우, 다양한 개수의 착탈식 스위치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스위치 및 스위치 접속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위치에 전원 입출력부가 형성된 스위치 접속장치에 삽입 설 치될 수 있는 전원 접속부를 구비한 착탈식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스위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교체 시 사용자가 직접 전선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감전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스위치 버튼, 상기 스위치 버튼에 따라 가동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의 온조작 시 상기 가동판과 접촉하는 고정판, 상기 가동판 및 고정판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입출력단자와 접속하는 전원 입출력부를 구비한 스위치 접속장치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일체형으로 직렬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절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 입출력부는 상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수용하는 고리 형상의 동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는 한 개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접속장치는 내부에 서로 직렬로 인접한 전원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일체형으로 병렬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절연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 입출력부는 상기 입력 단자와 접촉하는 전원 입력부, 출력 단자와 접촉하는 전원 출력부가 병렬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 입력부와 전원 출력부 사이에 절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가동판에서 연장 형성되는 입력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와 이격되어 상기 고정판에서 연장 형성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 접속장치는 내부에 상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각각 수용하는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스위치.
KR1020050013489A 2005-02-18 2005-02-18 착탈식 스위치 KR10062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89A KR100621204B1 (ko) 2005-02-18 2005-02-18 착탈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89A KR100621204B1 (ko) 2005-02-18 2005-02-18 착탈식 스위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13U Division KR200385622Y1 (ko) 2005-02-18 2005-02-18 착탈식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27A KR20060092527A (ko) 2006-08-23
KR100621204B1 true KR100621204B1 (ko) 2006-09-13

Family

ID=3759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89A KR100621204B1 (ko) 2005-02-18 2005-02-18 착탈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2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315A (ja) * 1989-09-19 1992-04-27 Fuj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用操作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970067425A (ko) * 1996-03-05 1997-10-13 가다오까 마사다까 스위치장치
JPH1040778A (ja) 1996-07-25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ーソー動作型スイッチ
KR20020096767A (ko) * 2001-06-21 2002-12-31 김경복 스위치 장치 및 구조
KR100404098B1 (ko) 2001-03-24 2003-11-03 주식회사 텔리넷 벽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315A (ja) * 1989-09-19 1992-04-27 Fuj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用操作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970067425A (ko) * 1996-03-05 1997-10-13 가다오까 마사다까 스위치장치
JPH1040778A (ja) 1996-07-25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ーソー動作型スイッチ
KR100404098B1 (ko) 2001-03-24 2003-11-03 주식회사 텔리넷 벽 스위치
KR20020096767A (ko) * 2001-06-21 2002-12-31 김경복 스위치 장치 및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27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8411A (en) Power tool switch and speed control with control elements mounted in recesses in the tool handle
ATE488019T1 (de) Sperrvorrichtung für elektrische schutzschalter, kit mit teilen mit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KR200385622Y1 (ko) 착탈식 스위치
JP2007287708A (ja) 分岐回路遮断器の付加警報ユニット
JP2018120847A (ja) 電気スイッチング装置用の取外し可能なスイッチング要素、およびかかる取外し可能な要素を備える、電流をスイッチングするためのスイッチング装置
JPH06233874A (ja) 電気器具
EP1585158A1 (en) Fuse status indicator for fuse cartridge
KR100621204B1 (ko) 착탈식 스위치
WO2010069392A1 (en) Rocker switch unit with fuse
JP4081703B2 (ja) 分岐回路遮断器の付加警報ユニット
JP6601767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6796810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2017103019A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2019145487A (ja) 電気ユニットおよび交換可能な接続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気システム
JP6704173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EA00450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иборов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варианты)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RU2342731C2 (ru) Контрольный клавишный модуль
KR10026640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부속장치
EP2015334B1 (en) Air cicuit breaker having simple detachable structure for over current relay
KR200278225Y1 (ko) 플러그탈착기능에 전원개폐기능이 부가된 콘센트
JP6751917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7407532B2 (ja) 回路遮断器
JPH0529026A (ja) ハーネスプラグ
JP2004014432A (ja) ブレーカの電動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