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767A - 스위치 장치 및 구조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및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96767A KR20020096767A KR1020010035613A KR20010035613A KR20020096767A KR 20020096767 A KR20020096767 A KR 20020096767A KR 1020010035613 A KR1020010035613 A KR 1020010035613A KR 20010035613 A KR20010035613 A KR 20010035613A KR 20020096767 A KR20020096767 A KR 20020096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cement
- contact
- button
- installation
- poi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통. 단전에 사용되는 접점의 제어장치를 푸시 온오프 해 주도록 한 스위치(예컨대; 스위치. 릴레이. 마그네트 등)에 관한 것으로 접점에 대한 제어를 푸시 온오프 하는 스위치(예컨대; 스위치. 릴레이. 마그네트 등)를 사용하게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접촉 해제장치를 푸시 온 오프 제어해 주는 장치(예컨대; 접점 온오프 스위치 등)에 관한 것이다,
요즘, 접점 접촉. 해제 스위치장치 및 구조(예컨대; 스위치, 릴레이. 마그네트 등)가 있다.
그런데, 그러한 푸시 온 오프 접점접촉 해제 제어장치는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저전압 푸시 온 오프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저전압(예컨대;110V/3A- 등) 전자 푸시 온 오프 접점접촉 해제제어에 사용한다. 상기의 푸시 온 오프 접점접촉 해제방식에 의한 제어장치는 사용량이 한정사용 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푸시 온 오프 접점접촉 해제에 제공되는 제어를 해 주도록 한 스위치장치 및 구조(예컨대; 스위치 등)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 및 구조는, 전선연결부를 설치한 고정접점과 접촉 해제하는 변이접점, 제어. 스프링작용에 의한 변위 변이접점설치로 제어가능의 장치 및 구조를 설치하는 병설 설치하는 설치수단:
상기 전선연결부를 설치한 고정접점. 변위접점에 전선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버튼커버. 버튼부 제어로 걸이부. 변위접점 변위와 고정접점에 변위접점을 연결. 해제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설치수단으로부터의 변위접점. 고정접점의 전선연결부 설치를 기초로 전선 연결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 접점을 제어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장치 및 구조는, 전선연결부를 설치한 고정접점과 연결 해제하는 변이접점, 제어. 스프링 작용에 의한 변위와 복귀 변이접점, 필요에 의한 접점설치 센스작용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 병설 설치하는 설치수단:
상기 전선연결부를 설치한 고정접점에 전선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를 변위하는 센스감지 작용의 접점제어 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설치수단으로부터의 작용를 기초로 전선 연결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 접점을 제어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예시예의 스위치 장치 및 구조는 버튼부와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를 예시예를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의 버튼부와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 종류를 증가 시킬수 있고, 버튼부와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 역할(고정접점에 변이접점 연결. 고정. 해제 등)의 원인장치(예컨대; 버튼부와 걸이부. 전자석. 모터. 기계장치, 전자. 전기. 유. 공압. 기체압 등)설치. 방법. 수가 증가되었다고 하더라도 변이접점을 변위하는 종류가 증가된 경우이므로 상술한 구성에서 그 동작을 유추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예시예의 스위치 장치 및 구조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a) 버튼부의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의 변위부 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는 통상의 건물용 스위치로 버튼사용가능의 스위치몸체 걸이부를 해제하는 고정부설치의 단면도
도 (b), 도 (a)의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및 부분확대 단면도
도 (c) 버튼부의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의 입력 1차와 2차 접점분리,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단면도
도 (d) 전자석에 연결한 변위부를 관통한 버튼부설치와 버튼부에 설치 버튼부에 설치한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의 입력 1차와 2차 접점분리, 전자석에 연결한 일부측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단면도
도 (e)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스프링작용으로 버튼부의 몸체에 설치한 몸체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단면도
도 (f) 버튼부에 설치한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와 입력 1차와 2차 접점분리,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버튼부의 몸체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고정부설치 단면도
도 2 도 1의 일부 측면 예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a) 도1의 (a)도로서 고정접점 상. 하. 변이접점 일측 설치
도 (b) 도1의 (c)도로서 고정접점 상. 하. 변이접점 양측 설치
도 (c) 도1의 (d)도로서 고정접점 상. 하. 변이접점 일측 설치
도 3 본 발명의 따른 예시예의 버튼부와 버튼부 설치 걸림부 및 작용단면도로서
도 (a) 버튼부와 버튼부 설치 상하작용 걸림부(예컨대; 버튼 직선운동을 몸체 내부 요철부 설치의 회전고정. 해제의 볼펜비례 볼펜심 하부노출(예컨대; 변위접점 고정접점 연결 동작이용) 고정. 상부 삽입(예컨대; 변위접점 고정접점 해제 동작이용)해제 부품설치의 볼펜)의 부분. 단면
도 (b) 도(a)의 작용 변위 위치
도 4 본 발명의 따른 예시예의 버튼부와 버튼부 설치 걸림부 및 작용단면도로서
도 (a) 버튼 상하작용 걸림부(예컨대; 버튼 직선운동을 몸체내부 요철부 설치의 직선 고정. 해제의 전자스위치 일부비례 하부노출(예컨대; 변위접점 고정접전 연결 동작이용) 고정. 상부 삽입(예컨대; 변위접점 고정접점 해제 동작이용)해제 부품설치의 일부 전자스위치)의 부분. 단면
도 (b) 도(a)의 작용 변위 위치
도 5 본 발명의 따른 예시예의 스위치단면 및 접점설치의 센스감지작용 단면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따른 예시예의 스위치 및 하부 전선구멍 사시도
도 7본 발명의 따른 예시예의 몸체 내부 설치하는 버튼부 연동의 변위접점. 고정접점. 스프링. 변위체의 부품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위치몸체 11 :상부
12 : 하부 13 : 전선삽입구
20 : 버튼부 21 : 요철부
22 : 걸이부 22a : 고정부
22 : 걸이부 23 : 버튼커버
24 : 변위부 25 : 램프표시부
30 : 램프 40 : 스프링
41 : 전선고정 판스프링 50 : 고정접점
51 : 변위접점 52 : 돌출부
53 : 전선연결부 60 : 센스
100 : 전선 110 : 구리부분
200 : 전자석 220 : 고정철심
230 : 변이철심 500 : 절연체
이하, 첩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 및 구조의 구성도로서, 번호순의 선기술 부분은 후술되는 번호이다, 참조부호 10은 제어장치의 몸체 내에 병설(예컨대; 전선연결부를, 설치한 고정접점과 접촉 해제하는 변이접점, 스프링. 버튼부.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 필요에 의한 센스 등)하는 스위치장치 및 구조의 몸체이다
상기 몸체(10)는 상부(11), 하부(12)부로 통상의 상부(11)관통 구멍(11a)에는 몸체(10)내에 설치한 버튼(20)에 연결한 버튼커버(23)를 몸체(10)외에 위치제어 하게 하고 하부(12)설치의 전선(100) 연결구멍에는 전선(100)을 연결한다
참조부호 11은 몸체(10)의 상하부중 일부인 상부이다 상부(11)는 고정접점과 접촉 해제하는 변이접점(51)을 변위하는 버튼부(20)가 관통하여 몸체외부 설치하여 사용자의 제어로 변이접점(51) 작용을 하게 하는 몸체와 조립(예컨대; 피스. 스프링 등)한다
참조부호 12는 몸체(10)설치의 상부(11). 하부중 일부인 하부이다
상기 하부(12)는 고정접점. 변이접점에 연결되는 전선삽입구(13) 설치로 전선삽입구(13)에 전선(100)을 삽입 연결한다
참조부호 20은 버튼부로서 몸체(10)내부에 설치하여 상부(11)를 관통하여 몸체외부 위치하여 사용자의 제어로 변이접점 작용을 하게 하는 버튼부이다.
상기 버튼부(20)는 변이접점(51)을 고정접점(50)에 접촉. 해제의 버튼부(20) 변위작용(예컨대; 직선. 회전 등)과 이때 버튼부(20)의 일정위치 정지. 복귀를 하는 걸이부(22)작용(예컨대; 회전. 직선 . 복합의 고정. 해제 등)을 연계(예컨대; 요철. 구멍설치 등)한다. 참조부호 21은 버튼부(20)에 설치한 요홈부이다.
참조부호 22는 걸이부(22)이다. 걸이부(22)는 버튼부(20)에 설치한 장치(예컨대; 요철 등) 에 연계위치 하여 버튼부(20) 변위에 의한 변위와 버튼부를 위치고정 하게 하며 이때 변위체 변위로 변위접점을 변위, 또한 걸이부(22)는 버튼부(20)에 설치한 장치(예컨대; 요철 등)에 연계위치 하여 버튼부(20) 변위에 의한 변위와 버튼부를 위치고정 하게 하며 이때 변위접점을 변위한다 참조부호 23은 버튼부(20)에 연결하는 버튼커버이다. 참조부호 24는 버튼부(20)작용에 의해 변위하는 변위부이다
상기 변위부(24)는 변위접점(51)과 상호 스프링(40)으로 연결하여 버튼부(20) 제어작용에 의해 변위작용을 하여 변위접점(51)을 고정접점(50)에 연결. 해제한다
참조부호 25는 램프 빛을 표시하는 램프표시부이다.
참조부호 30은 몸체 내에 고정접점과 변위접점에 연결하여 고정접점과 변이접점 접촉. 해제 에 따라 점등하는 램프(예컨대; 전기에의해 빛을 발하는 램프.LED 등)로서. 버튼부(20)에 램프의 빛을 표시하는 램프 표시부이다.
상기 표시부(30)는 외부에서 확인되는 버튼부(20)에 설치하는 램프 및 램프의 빛을 표시. 표현한다. 참조부호 40은 스프링이다. 참조부호 40은 전선을 고정하는 통상사용의 판 스프링이다. 참조부호 50은 전선 연결부를 설치한 고정접점이다.
상기 고정접점(50)에 변위접점(51)에 접촉. 해제로 통. 단전한다
참조부호 51은 변위접점이다 변위접점(51)은 고정접점(50)에 접촉. 해제를 버튼부(20)의 제어로 통. 단전, 필요에 의한 설치의 센스로 고정접점(50)에 접촉을 해제한다.
참조부호 52는 돌출부이다 돌출부(52)는 버튼부(20) 변위를 일정위치 정지하게 각각설치된다. 그리고 버튼부(20) 역할설치. 걸이부(22) 역할설치. 번위부(24) 역할설치를 일목요연의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상기의 설치. 역할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 및 구조의 동작에 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 및 구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접점 오프(즉 목적의 고정접점과 변이접점 분리상태)로 설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커버(23)을 누른다. 그에 따라 상기 요홈부(21)를 설치한 버튼부(20)가 변위(눌러저)지고 이때 요홈부(21)에 위치한 걸이부(22)가 요홈부(21)를 따라 위치(예컨대; 상부와 하부. 전후. 시작. 끝 등)를 상부(예시선정)에서 하부(예시선정) 로 위치이동하며 이때 변위접점(51)과 상호 스프링(40)으로 연결한 변위부(24)가 변위작용을 하여 변위접점(51)을 고정접점(50)에 접점 온(즉 목적의 고정접점과 변이접점 연결상태)하고 다시 누르면(예컨대; 목적 연결해제 상태의 퓨시. 전자석 통전. 단전) 위치 복귀작용을 하여 접점 오프(즉 목적의 고정접점과 변이접점 분리상태)로 위치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요에 의해 센스(70)설치하는 목적에 의한 접점연결. 해제(즉 목적의 고정접점과 변이접점 연결, 해제상태, 여기서 고정접점과 변이접점 연결을 목적상태로 하고)의 버튼부(20)고정의 걸이부(22)를 변위하는 버튼부(20) 제어변위로 변위부(24)가 변위작용을 하여 변위접점(51)을 고정접점(50) 해제(분리) 버튼부(20) 위치복귀 된다. 그리고 전선(20)연결은 몸체(10) 하부(12) 전선삽입구(13)로 전선의 구리부분(110)을 삽입하며 이때 전선삽입구(13) 내에 설치한 전선고정 스프링(41)이 구리부분(110)을 밀착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한다 미 설명부호 60은 필요에 의해 설치하는 센스(예컨대; 바이메탈 등)(60)이다 이후 미 설명부호 100은 전선이다, 110은 전선(100)의 구리이다, 전기통전으로 사용하는 전자석(200)이다, 전자석(200)의 고정철심(210)이다, 전자석(200)의 고정철심(210)의 자력에 의해 변위하는 변위철심(220)이다, 변위철심(220)의 변위에 의한 변위점접을 변위하여 고정접점에 목적에 의한 연결. 해제한다, 전기도체를 사용한 변위부(24)에 필요에 의한 사용의 전기 절연체이다
고압. 고용량(예컨대, 110-250- V. 15-20- A 등) 푸시 온 오프 기능의 스위치(예컨대; 스위치. 릴레이. 마그네트 등)는 개발이 어려우며 독일의 일부제품은 일면 고정 일면 왕복의 고가의 스위치가 수입되고 있다 푸시 온 오프 기능의 제어장치는 가전. 산업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의한 센스설치로 목적에 사용 사용범위를 확대 할수 있다 이는 예시 예로 스위치 동작의 조작버튼(3)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열 작용 바이메탈(14)로 조작버튼(3)의 걸이부(22)를 바이메탈(14)로 과부하 합선의 열에 작용 해제를 하여 안전을 위한 스위치를 특징으로 한다
Claims (4)
- 본 발명 스위치장치 및 구조는 전선연결의 전선삽입구(13)를 설치한 교정접점(50)과 접촉 해제하는 변이접점(51)에 전선연결과, 제어. 스프링(40. 41) 작용에 의한 변위의 변이접점. 전선고정, 버튼부(20)에 변위를 위한 설치(예컨대; 요철 등). 걸이부(22)(예컨대; 걸이장치. 쇠. 부속 등)를 병설 설치로 제어가능의 장치 및 구조를 설치하는 설치수단:상기 버튼커버. 버튼부 제어로 걸이부(22). 변위접점 변위와 고정접점에 변위접점을 연결. 해제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설치수단으로부터의 버튼커버. 버튼부를 기초로 고정접점과 접촉 해제하는 변이접점을 버튼커버. 버튼부로 제어하고 상기 변이접점을 변위하는 버튼부. 걸이부(22). 스프링. 장치로 복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및 구조
- 1항에 있어서상기 설치수단의 버튼부(20) 장치작용(예컨대; 세운 상태로 보고, 버튼부를 상. 하직선 제어를 내부부품 회전 심의 상 입(해제(off)사용. 하 출(연결(on)사용) 위치 왕복작용의 볼펜형, 버튼부를 상하직선 제어 버튼부의 걸림고정부 상 해제(off). 하 연결(on) 위치 왕복작용의 전자스위치 등)하게 설치와 버튼부(20) 및 걸림고정부(22)작용으로 변이접점(51)을 변위 고정접점(50)과 연결(접촉) 해제(분리), 상기 필요에 의한 접점(고정접점, 변이접점일부)에 센스(60)설치와 접점을센스(60)감지(예컨대; 온도. 적외선. 주파수 등) 센스(60)변위에 의한 버튼부(20)설치의 걸림고정부(22)를 변위(예컨대; 접점연결을 해제 등)와 버튼부(20)작용으로 변위부(24) 변위와 변위부(24)변이로 변이접점(51)을 고정접점(50)과 연결(접촉) 해제(분리)의 변위하는 단. 복합 변위부(24)설치와 고정접점(50)과 변이접점(51)에 설치한 전선 연결부(53)에 몸체하부(12)의 전선삽입구(13)에 전선(100) 삽입 연결이용과 필요에 의한 변이접점(51), 변위부(24)를 탄성소재이용과 제어. 상기 작용에 스프링이용 하는 설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및 구조
-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수단은 전선연결부(53)를 설치한 고정접점(50)과 접촉 해제의 변위접점(51)을 변위하는, 버튼부(20)와 버튼부(20)에 설치한 걸이부(22)의 위치변위로 변위불(24)변위와 변위부(24)와 변위접점(51)으 연결한 스프링(40) 변위로 변위접점(51)변위 연결, 해제, 변위접점(51)을 변위하는, 버튼부(20)와 버튼부(20)에 설치한 걸이부(22)의 위치변위로 연결. 해제 제어, 필요에 의한 센스설치 감지작용 변위접점(51)변위 연결. 해제, 필요에 의한 탄성을 지닌 변이접점 설치 상기 필요에 의한 버튼부제어로 변위되는 변위접점을 변위하는 복수의 탄성(예컨대; 스프링 등)소재 설치로 고정접점과 변위접점을 접촉.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및 구조
- 2항에 있어서상기 설치수단은 필요에 의한 버튼부(20)작용으로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22)의 위치 변위로 변위부(24) 변위와 변위부(24)변이로 변이접점(51)을 고정접점(50)과 연결(접촉) 해제(분리)의 변위하는 단. 복합 변위부(24)설치로 변위접점(51)을 고정접점(51)과 접촉. 해제 제어, 버튼부와 버튼부에 설치한 걸이부 역할(고정접점에 변이접점 연결. 고정. 해제 등)의 원인장치(예컨대; 버튼부와 걸이부. 전자석. 모터. 기계장치. 전자. 전기. 유. 공압. 기체압 등)설치, 스위치(예컨대; 변이접점(51) 변위 고정접점(50)에 연결. 해제의 스위치. 릴레이. 마그네트 등)로 제어는버튼부의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의 변위부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는통상의 건물용 스위치로 버튼사용가능의 스위치몸체 걸이부를 해제하는 고정부설치와 이용,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와 이용, 버튼부의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 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의 입력 1차와 2차 접점분리,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이용, 전자석에 연결한 변위부를 관통한 버튼부설치와 버튼부에 설치 버튼부에 설치한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의 입력 1차와 2차 접점분리, 전자석에 연결한 일부측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 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와 이용,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스프링작용으로 버튼부의 몸체에설치한 몸체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와 이용, 버튼부에 설치한 변위부외에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를 버튼부의 변위부작용으로 접점에 설치한 변위부와 변위점점이 상호 역방향 작용으로 변위와 입력 1차와 2차 접점분리, 버튼부의 변위부에 설치한 변위부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센스설치, 버튼부의 몸체 고정용 걸이부 고정을 해제목적의 고정부설치 제어시키는 설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및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5613A KR20020096767A (ko) | 2001-06-21 | 2001-06-21 | 스위치 장치 및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5613A KR20020096767A (ko) | 2001-06-21 | 2001-06-21 | 스위치 장치 및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6767A true KR20020096767A (ko) | 2002-12-31 |
Family
ID=2771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5613A KR20020096767A (ko) | 2001-06-21 | 2001-06-21 | 스위치 장치 및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9676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204B1 (ko) * | 2005-02-18 | 2006-09-13 | 박기홍 | 착탈식 스위치 |
KR101035252B1 (ko) * | 2009-07-20 | 2011-05-17 | 류시웅 | 접점 유지구조를 갖는 전자 개폐장치 |
KR101109099B1 (ko) * | 2010-09-09 | 2012-01-31 | (주)에마텍 |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전력 개폐 장치 |
-
2001
- 2001-06-21 KR KR1020010035613A patent/KR200200967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204B1 (ko) * | 2005-02-18 | 2006-09-13 | 박기홍 | 착탈식 스위치 |
KR101035252B1 (ko) * | 2009-07-20 | 2011-05-17 | 류시웅 | 접점 유지구조를 갖는 전자 개폐장치 |
KR101109099B1 (ko) * | 2010-09-09 | 2012-01-31 | (주)에마텍 |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전력 개폐 장치 |
WO2012033262A1 (en) * | 2010-09-09 | 2012-03-15 | Ematech Inc. | Electric power switching apparatus preventing mal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6212B1 (ko) | 마이크로 스위치 | |
US5079530A (en) | Circuit breaker with a self-illuminating power switch | |
TWI841607B (zh) | 接觸器 | |
CA2516929A1 (en) | Button fastening device with circuit actuating capability | |
JP2009527072A (ja) | 少なくとも1サプレッサ素子たとえばバリスタを有するサージ電圧サプレッサ | |
WO2018056523A1 (ko) | 릴레이 | |
US7034224B2 (en) | Receptacle | |
EP4141903A1 (en) | Relay | |
JP7153526B2 (ja) | 保護モジュールのための電源断路器、およびそのような断路器を含む保護モジュール | |
CN104350563A (zh) | 开关装置 | |
EP1429361A3 (en) | Phase deficiency display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KR20020096767A (ko) | 스위치 장치 및 구조 | |
US5708239A (en) | Electrical contact breaker switch | |
CA2539836C (en) | Circuit breaker having a bimetallic snap-action disk | |
CA1153045A (en) | Time delay switch | |
JPH0436969A (ja) | 速結端子装置 | |
GB2286925A (en) | An electrical switching system | |
US8334741B2 (en) | Switching device | |
US3483492A (en) | Reed switch | |
EP4391003A1 (en) | Status monitoring assembly for monitoring a state of an electromagnetic switch and electromagnetic switch comprising the same | |
CN217426594U (zh) | 一种安全稳定的接触器 | |
CZ3414U1 (cs) | Kartáčový můstek pro nízkonapěťové stejnosměrné stroje | |
CN217822583U (zh) | 防触点粘连的电磁继电器 | |
KR102715818B1 (ko) | 보호 모듈용 전기 전력 공급 차단기 및 이러한 차단기를 포함하는 보호 모듈 | |
CN107464713B (zh) | 一种可受力变形的微动开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