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042B1 - 피트만아암스위치유닛 - Google Patents

피트만아암스위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042B1
KR100302042B1 KR1019970065164A KR19970065164A KR100302042B1 KR 100302042 B1 KR100302042 B1 KR 100302042B1 KR 1019970065164 A KR1019970065164 A KR 1019970065164A KR 19970065164 A KR19970065164 A KR 19970065164A KR 100302042 B1 KR100302042 B1 KR 10030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arm switch
pitman arm
housing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77A (ko
Inventor
후버 볼프강
스튜어트 트레보르
하프너 에른스트
Original Assignee
오. 아델브레흐트 ;베. 쿠아스트
테에르베 파르조이그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133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020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 아델브레흐트 ;베. 쿠아스트, 테에르베 파르조이그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오. 아델브레흐트 ;베. 쿠아스트
Publication of KR1998006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9)가 선회 이동 및/또는 선형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하우징(3)을 구비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1)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1)에 경우에는 각각의 접점 장치를 구비한 각종의 작동 레버 유형이 조립 시에 삽입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최대수의 스위칭 기능이 있는 대응 접점 장치를 하우징(3) 내에 구비하며, 사용되는 스위칭 기능의 선택은 조립식 작동 레버(9) 및 그 접점 장치에 따라 달라진다.

Description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MODULE-PITMAN ARM SWITCH UNI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조작 레버가 내측에서 회동 및/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모듈형의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module-Pitman arm switch unit)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통상 자동차에서 전조등, 유리창 와이퍼, 점멸등(blinker) 등의 제어 또는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뒤 유리창 와이퍼, 와이퍼의 시간 간격 스위칭 등과 같은 제어 대상 기능은 차량의 타입 및 장비에 따라 달라진다. 운전자의 조작 용이성의 관점에서 공전 스위칭 위치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존재하는 모든 기능 범위의 각 기능에 적합하게 개별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종래, 이러한 개별적인 조정은, 예를 들면 접점 또는 기판 등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행하여졌는데, 이로 인해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를 여러 종류로 다르게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기능 및 용도를 포괄하는 동시에 조작의 용의성을 제공하는 비용적으로 유리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도 1은 조작 레버가 장착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단면도.
도 2는 조립전의 도 1에 따른 조작 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작 레버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3 : 하우징
9 : 조작 레버
13 : 맞물림 요소
15 : 맞물림 캠
17 : 자석
21 : 홀 센서
25, 27 : 스위치
35 : 결합 도체
37 : 플러그
본 발명의 전술한 과제는 하나 이상의 조작 레버와, 이 조작 레버의 일단을 회동 및/또는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조작 레버에 결합된 접점 장치(contact device)와, 상기 하우징 내에 결합되고 상기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소정의 최대수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상대 접점 장치(reverse contact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수의 스위칭 기능 중 선택 ·사용될 스위칭 기능의 종류 및 수가 장착되는 조작 레버의 형태 및 조작 레버에 결합된 접점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장착되는 조작 레버의 형태만을 달리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모듈 구조에 의해, 조작 레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구조로 함으로써 제조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용 가능성이 있는 모든 용도를 포괄하기 위하여, 이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 내에 모든 가능한 스위칭 기능을 확보해 주는 상대 접점 장치를 하우징 내에 포함하고 있다. 여러 가지 타입의 차량에서 그것의 장비에 따라 장착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타입 및 장비에 따라 전체 기능 범위 중 운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선택을 보증하는 여러 종류의 조작 레버를 사용하는 것만이 다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버 스트로크의 기계적 조작도 또한 각 차량의 타입에 맞출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레버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추가의 스토퍼에 의해, 예를 들면 맞물림 요소와 맞물림 캠의 통상적인 상호 작용, 그리고 상기 맞물림 요소의 맞물림 캠을 따라 행하는 운동에 의해 정해지는 레버 스크로크를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고, 맞물림 캠에 대하여 횡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조작 레버가 빠져나가거나 조작자쪽으로 또는 조작자쪽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운동한다든가 하는 것을 각종 레버에 있는 스토퍼로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택할 기능이 작은 차량, 예컨대 뒤 유리창 와이퍼가 없는 차량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긴 레버 스트로크 또는 사용되지 않는 공전 위치(idle position)가 존재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유리창 와이퍼의 시간 간격 스위칭 또는 다른 추가의 단계가 없도록 조작 레버의 반경 방향의 기능을 없애는 것은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사용하여 맞물림 캠의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방법으로 행해지는데, 이에 의해 조작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맞물림 캠이 레버의 단부에 배치되고, 또 이에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가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그 이외의 것이 동일하게 구성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특히 변경 태양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배치의 경우, 스토퍼에 의한 제한에 의해, 조작 레버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맞물림 캠의 전체 특성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맞물림 캠과 맞물림 요소를 레버의 단부에 설치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지지 기구 전체가 레버의 단부에 형성되고, 또 조립 후에 맞물림 캠 또는 맞물림 요소 중 어느 일방이 하우징과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는 그 단부 구역에 추가의 스위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2개 이상의 복수의 위치를 갖는 스위치, 전위차계 등으로 구성되는 이 스위치 장치는 결합 도체를 매개로 하여 조작 레버의 장착 단부에 배치된 플러그와 결합된다. 이 경우, 플러그는 하우징 내에서 최대수의 가능한 접속단을 모두 포함하는 접속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 레버가 동일한 접속 장치와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조작 레버의 다른 접속단과 접속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상이한 기능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작 레버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접점 장치 및 대응하는 상대 접점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에 있어서는 통상의 전기 기계식 또는 전기식 접점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전기 접점의 개폐, 도체 선로, 스위치의 조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가능성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서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상대 접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홀 센서로서 형성된다. 이 변경 태양은 기계적인 마찰이 없으므로, 마모가 없이 작동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에 있어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접점 및/또는 스위치 장치의 신호를 차량의 해당 기능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최대 기능 범위를 갖춘 평가 장치를 하우징 내에 포함한다. 그러한 평가 장치에서는 예컨대 여러 가지 신호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위치, 토글 스위치 또는 전위차계로부터의 홀 센서 값 또는 저항치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예를 들면 차량의 유리창 와이퍼 모터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전자식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가 장치가 고정 배선에 의해 형성되도 좋고, 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논리 소자로 형성되어도 좋은데, 이 경우 펌웨어(firmware)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사용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가 장치의 기능 범위의 선택도 역시 마찬가지로 장착되는 각 레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의 접점 장치, 접속 장치 및 기계식 운동 특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평가 장치의 전체 기능 범위 중 특정의 선택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레버 위에 또는 레버 내에 추가의 표식을 마련하고, 그 표식이 추가의 기계식, 전기식 또는 전자식 접점으로서 하우징 내의 대응하는 상대 접점과 상호 작용하여 평가 장치의 기능 범위의 선택을 행하는 것도 또한 고려된다. 이를 위하여, 레버 내에 또는 레버 위에 전화 카드 칩과 유사한 전자식 칩을 장착하고, 이 전자식 칩이 접속 장치 또는 전자식 주사 장치를 매개로 하여 평가 장치의 기능 범위의 선택을 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유닛을 대량 생산함에 의해 제작 코스트를 실질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조작의 용이성을 제한하는 일은 없다.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다른 부품 내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규격화된 기계식 및 전자식 접속 장치에 의해 각종 조작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레버 타입에 사용되는 자동식별에 의해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정확한 기능을 레버의 제작시에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청구 범위의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공지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은, 예를 들면 블링커(점멸등)와 추월 램프, 유리창 와이퍼 기능 및 기타의 램프를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위한 2개 또는 3개의 조작 레버를 포함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1)은 하우징(3)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5)을 동축으로 포위하고 있다. 하우징(3)의 내부 공간에는 장착되는 각 조작 레버(9)의 헤드(7)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장착된 조작 레버의 다른 부분은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레버의 기타의 부분에 대해서는 조작 레버(9)에 대한 이하의 설명이 적용된다.
조향 컬럼(5)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9)는 종축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11)을 매개로 하여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방식으로 하우징(3) 내에서 조향 컬럼(5)의 종축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조작 레버(9)의 횡방향 선회 운동 및 종방향 과 조작 레버의 인출 및 압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지지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단지 축(11)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만 도시하였다.
조작 레버(9)는 이 조작 레버의 헤드(7)의 선단부에 맞물림 요소(13)를 구비하고, 이 맞물림 요소(13)에는 비록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면 맞물림 캠(15)의 방향으로, 예컨대 헤드(7) 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진다. 조작 레버(9)의 헤드(7)는 축(11)에 대해 수직으로 뻗은 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예를 들면 2개의 자석(17)을 구비한다. 이들 자석(1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1)에 대해 상이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지만, 이 경우 자석은 동일한 윤곽선을 따라 축(11)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하우징(3)의 측벽에 있는 자석(17)과 마주하여 하우징(3)의 내부간에서 측벽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측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기판(19)상에 홀 센서(21)가 배치되고, 따라서 홀 센서(21)와 자석(17)과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홀 센서(21)의 개수(이 예에서는 3개)와 위치는 상이한 운동 특성 및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계획된 모든 조작 레버의 타입에 대하여 미리 맞춰져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판(19)상에 축(11)에 대하여 상이한 반경 방향 간격을 두고 3 개의 홀 센서(21)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홀 센서는 도면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 내에서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이 평면 내에서 동일한 윤곽선 상에 복수 개의 홀 센서(21)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소정의 최대수의 홀 센서 위치를 설정함에 의해, 기판(19)을 교환하는 일이 없이 상이한 기능의 상이한 조작 레버(9)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 레버(9)의 운동 특성은 맞물림 캠(15)과 맞물림 요소(13)와의 상호 작용 및 적용 가능한 기계식 스토퍼에 따라 달라진다. 이 경우, 상호 작용하는 부품 중 일방은 하우징(3) 내에 고정 배치되고, 그것과 대응하는 상대 부품은 조작 레버(9)의 헤드(7)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맞물림 요소(13)가 조작 레버(9)의 헤드(7) 내에 배치되고, 또한 그것의 상대 부품, 즉 오목형 맞물림 캠(15)이 하우징(3)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운동 역학적으로 이들의 배치를 그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맞물림 요소(13)가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되고, 맞물림 캠(15)이 조작 레버(9)의 헤드(7)의 선단부에 볼록한 형태로서 형성된다(도 3에 따른 실시예).
도 2는 개별 부품이 조립 되지 않은 조작 레버(9)의 분해 사시도이다. 조작 레버(9)의 헤드(7)와 반대측의 단부는 폭이 넓게 형성된 파지 구역(23)으로 형성되며, 이 파지 구역(23)에 조작 요소를 배치하여도 된다. 도 2에서, 예를 들면 파지 구역(23)의 아래쪽에 누름 스위치(25)가 배치되고, 정면측에 토글 스위치(27)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 스위치(25)를 조작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기구를 매개로 하여 접점(29)이 개폐되고, 토글 스위치(27)에 의해 접점(30, 31)이 개폐된다. 이 경우, 이들 접점(29, 30, 31)은 조작 레버(9)의 파지 구역(23)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33) 상에 배치된다.
접점(29, 30, 31)은 조작 레버(9)의 내부에서 뻗어 있는 결합 도체(35)를 매개로 하여 플러그(37) 또는 도시하지 않은 그 플러그(37)의 접점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피트만 아암 스위치(1)를 조립하면, 플러그(37)는 기판(19)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기판에 결합된 접속 장치 속으로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접속 장치는, 예를 들면 유니버셜 커플링으로서 형성해도 되는데, 이 유니버셜 커플링에는 각종 타입의 레버를 위한 모든 접점이 미리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유니버셜 커플링의 상대 요소인 플러그(37)의 외측 치수는 접속 장치의 내측 치수와 정확하게 대응하고, 이에 따라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규격에 적합한 접속이 보장된다. 이 경우, 각종 타입의 조작 레버는 동일한 치수의 플러그(37)를 구비하고, 이 경우에는 접점 핀이 마련되거나 존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접속 장치를 다수의 접속 커플링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역시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어느 접속 커플링에 플러그(37)를 삽입하는 가의 여부에 따라 다른 기능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조작 레버(9)는 이 조작 레버의 헤드(7)의 정면측을 볼록한 맞물림 캠(15)으로서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캠과 대응하여 하우징(3)의 내부에 맞물림 요소(13)를 배치하여야 한다. 맞물림 캠(15)은 2개의 측벽(39,40)을 구비하고, 이들 측벽(39,40)은 맞물림 요소(13)와 상호 작용하여 맞물림 캠(15)에 따른 반경 방향 운동에 대하여 횡방향 운동을 방지하고 있다.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러한 측벽을 구비한 레버는, 예컨대 뒤 유리창 와이퍼가 없는 차량의 앞 유리창 와이퍼 조작 레버로서 사용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여 원하지 않는 기계적 공전 위치가 회피된다. 또한, 조작 레버(9)의 헤드(7)의 상하측이 하우징(3) 내에 또는 그 하우징(3)상에 있는 상대 부품과 상호 작용하여, 맞물림 캠(15)을 따라 수행되는 레버 스크로크를 한정하는 작용을 하도록 해도 좋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판(19)(도 1 참조)에는 개개의 접점 상태 및 홀 센서의 값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평가하고 결합하며, 또한 처리하는 전자 장치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파지 구역(23)에 여러 가지 저항치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고려되며, 이 아날로그 신호는 전자 논리 회로에 의해 먼저 제어 신호로 변환되면 된다. 최대수의 필요 기능 내지 신호 처리를 기본적으로 이용 가능한 이러한 평가 장치의 정확한 기능 선택도 역시 사용되는 레버의 타입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 레버(9)에 있는 기판(33) 상에 결합 도체(35)를 매개로 하여 기판(19)상의 전자 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회로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레버 타입이 전자적으로 검출되고, 각종 접점의 배치 및 기계적 운동 특성에 추가하여 기능 범위의 조절 내지 신호 처리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유닛을 대량 생산함에 의해 제작 코스트를 실질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조작의 용이성을 제한하는 일은 없다.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다른 부품 내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규격화된 기계식 및 전자식 접속 장치에 의해 각종 조작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레버 타입에 사용되는 자동식별에 의해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의 정확한 기능을 레버의 제작시에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Claims (14)

  1. 각기 장착 단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조작 레버(9)와,
    상기 조작 레버의 장착 단부를 회동 및/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과,
    상기 조작 레버(9)에 결합된 접점 장치(contact device), 그리고
    상기 하우징(3) 내에 결합되며, 소정의 최대수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상대 접점 장치(reverse contact device)
    를 포함하며, 상기 최대수의 스위칭 기능 중 선택 ·사용되는 스위칭 기능이 상기 조작 레버(9)의 장착 단부가 상기 하우징(3)에 수용되는 경우 하우징(3)의 상기 상대 접점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상기 조작 레버(9)의 접점 장치에 의해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9)의 장착 단부에 맞물림 요소(13) 및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맞물림 캠(15)이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맞물림 요소의 상기 맞물림 캠(15)을 따라 행해지는 운동을 소정 범위로 한정함과 아울러, 맞물림 캠(15)에 대한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9)의 장착 단부에 맞물림 캠(15)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맞물림 요소(13)가 배치되며, 상기 맞물림 캠(15)은 맞물림 요소(13)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9)는 장착 단부에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이 스토퍼는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맞물림 요소(13)의 맞물림 캠(15)을 따라 행해지는 운동을 소정 범위로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맞물림 캠(15)에 대한 횡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9)는 상기 장착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 영역에 스위치 장치를 구비하고, 이 스위치 장치는 결합 도체(35) 및 대응하는 플러그(37)를 매개로 하우징 내의 소정의 최대수의 접속단을 구비한 접속 장치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개폐 스위치(25, 27), 아날로그 제어 스위치 및 전위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장치와 상대 접점 장치는 전자 기계식 접점 및 전기적 접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접점은 하나 이상의 자석(17)으로 형성되고, 상대 접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홀 센서(21)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 내에, 상기 접점 장치 및/또는 스위치 장치의 신호를 대응하는 차량 기능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최대 기능 범위를 갖춘 평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장치가 고정 배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장치가 펌웨어를 구비한 전자 논리 제어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장치의 기능 범위의 선택은 하우징(3)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조작 레버(9)의 단부에 마련된 표식 및 하우징(3) 내에 마련된 대응하는 식별 장치에 의하여, 장착된 각 조작 레버(9)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 및 식별 장치는 기계식, 전기식 또는 전자식 접점 및 대응하는 상대 접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전자식 칩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식별 장치는 전자 주사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KR1019970065164A 1996-12-02 1997-12-02 피트만아암스위치유닛 KR100302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9912.7 1996-12-02
DE19649912A DE19649912A1 (de) 1996-12-02 1996-12-02 Modul-Lenkstocksc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77A KR19980063677A (ko) 1998-10-07
KR100302042B1 true KR100302042B1 (ko) 2001-10-27

Family

ID=781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64A KR100302042B1 (ko) 1996-12-02 1997-12-02 피트만아암스위치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8089A (ko)
EP (1) EP0845389B2 (ko)
JP (1) JPH10223097A (ko)
KR (1) KR100302042B1 (ko)
BR (1) BR9705507A (ko)
DE (2) DE19649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3693A1 (de) 1998-01-30 1999-08-05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Stockschalter, insbesondere Lenkstockschalter für Kraftfahrzeuge
DE19832869A1 (de) * 1998-07-22 2000-01-27 Porsche Ag Lenkstockschalter
DE19914352A1 (de) * 1999-03-30 2000-10-05 Valeo Schalter & Sensoren Gmbh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Lenkstock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DE19922500B4 (de) * 1999-05-15 2005-12-1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Modulare Schal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ahrzeuge
DE19923191C1 (de) * 1999-05-20 2000-06-29 Daimler Chrysler Ag Lenkstockschalter
DE19958507B4 (de) 1999-12-04 2004-09-16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Lenkstockschalter
JP3875562B2 (ja) * 2001-06-25 2007-01-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DE10145842B4 (de) * 2001-09-10 2005-04-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mindestens eine elektrische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57542A1 (de) * 2002-12-10 2004-06-24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enkstockschalter für ein Fahrzeug
DE10313815A1 (de) * 2003-03-24 2004-10-0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enksäulenmodul
DE102004062358B4 (de) * 2004-12-10 2024-05-2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
DE102005018289A1 (de) * 2005-04-18 2006-11-0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 insbesondere Lenkstockschalter
US10100919B1 (en) 2016-06-10 2018-10-16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I, Inc. Shif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0790C3 (de) * 1978-03-13 1980-10-09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Lenkstockschalter für Kraftfahrzeuge
IT8053812V0 (it) * 1980-12-16 1980-12-16 Fiat Auto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avvisatori ottici ed acustici
JPS58150230A (ja) * 1982-03-03 1983-09-06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コラムスイツチの取付装置
US4739130A (en) * 1987-09-22 1988-04-19 Truck-Lite Co., Inc. Modular turn signal switch for heavy trucks
JP2512506B2 (ja) * 1987-12-14 1996-07-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ンシグナルのキャンセル装置
US5457443A (en) * 1992-03-30 1995-10-10 Yazaki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ombination switch
DE4332748B4 (de) * 1993-09-25 2009-01-15 Marquardt Gmbh Schalter,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
JP3038639B2 (ja) * 1994-03-30 2000-05-08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の組付構造
FR2721432B1 (fr) * 1994-06-15 1996-09-13 Jaeger Système de commutation sous vola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DE4422305C2 (de) * 1994-06-17 1996-06-20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Einrichtung
US5606156A (en) * 1995-02-10 1997-02-25 Eaton Corporation Steering column switch for automobiles
IT1285377B1 (it) * 1996-05-28 1998-06-03 Devio E Calandrati S R L Soc Gruppo devioguida per veicoli
DE19627767A1 (de) * 1996-07-10 1998-01-15 Teves Gmbh Alfred Modulares Lenkstockschalt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5389B2 (de) 2005-01-12
KR19980063677A (ko) 1998-10-07
EP0845389A2 (de) 1998-06-03
EP0845389B1 (de) 2002-04-03
EP0845389A3 (de) 1999-05-19
US6118089A (en) 2000-09-12
BR9705507A (pt) 2001-09-18
DE59706843D1 (de) 2002-05-08
DE19649912A1 (de) 1998-06-04
JPH10223097A (ja) 199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042B1 (ko) 피트만아암스위치유닛
EP0939009B1 (en) Lever switch for vehicles
EP1097320B1 (en) Shift lever unit
EP0968102B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070074956A1 (en) Rotary pull switch
US7595457B2 (en) Steering column module
EP0861753B1 (en) Combination switch
US5977495A (en) Construction of combination switch for vehicle
US7019226B2 (en) Switch contact structure
US6891115B2 (en) Steering column switch
US6236004B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EP1090807B1 (en) Lever switch
JP3623447B2 (ja) スティックスイッチ、特に、原動機付き車両用の転向スティックスイッチ
US6278070B1 (en) Steering column switch with microswitches that has two operating positions and one neutral position system for cleaning windscreens
EP1128986B1 (en) Electrically controlled mirror for a motor vehicle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US5170884A (en) Control lever assembly for signaling devices
JPH05314864A (ja) スイッチ装置
CN111911617B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KR100288384B1 (ko)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DE19711560C2 (de) Im Bereich der Lenksäule eines Fahrzeuges angeordneter Schalter
AU782740B2 (en) Switching device
JP2007527094A (ja) 車両用のステアリングギヤ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