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554A -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554A
KR19990067554A KR1019980703577A KR19980703577A KR19990067554A KR 19990067554 A KR19990067554 A KR 19990067554A KR 1019980703577 A KR1019980703577 A KR 1019980703577A KR 19980703577 A KR19980703577 A KR 19980703577A KR 19990067554 A KR19990067554 A KR 1999006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in
elastic
bellows portion
bellows
elastic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7915B1 (ko
Inventor
로버트 제임스 피터슨
Original Assignee
레이셔 야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셔 야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레이셔 야코버스 코넬리스
Publication of KR1999006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29C45/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introduced between a mould core and a hollow resilient undercut artic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3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몰드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 (22) 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스플릿 캐비티 (30) 로 둘러싸인 서로 일치하는 축선을 갖는 코어핀 (28) 과 분리봉 (38) 둘레에서 탄성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벨로우즈부 (22) 는 두 개의 개방단 (44,50) 을 가지며, 개방단 (44) 은 실질적인 강성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그를 통과하는 분리봉 (38) 으로 막혀 있다. 제 2 개방단 (50) 은 탄성이 있다. 다른 단계로서는, 벨로우즈부 (22) 를 코어핀 (28) 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스플릿 캐비티를 개방하는 단계가 있다. 또 다른 단계로서는,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단계가 있다.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면서, 실질적인 강성을 갖고 있는 벨로우즈부의 상기 개방단 (44) 을 분리봉 (38) 으로 밀게 되면 탄성부 (46) 와 탄성 개방단 (50) 이 코어핀 (28) 으로부터 분리된다. 마지막에는, 벨로우즈부에서 실질적인 강성을 갖는 개방단 (44) 이 분리봉 (38) 으로부터 방출된다.

Description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bellows)는 가요성 커플링 둘레에 놓이는 시일링 부트(boots), 가요성 커플링 그 자체로서, 또는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벨로우즈는 그의 이점 때문에 펌프장치 특히 로션 펌프와 트리거 분무기의 실린더, 피스톤 및 복귀 스프링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펌프장치는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서 그 유체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 피스톤 및 실린더가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저점성 유체에 대해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트리거 분무기에서, 예컨대 피스톤과 실린더 구성체는 고마찰과 우수한 유체 시일링, 또는 저마찰과 어느 정도의 바이패스 누출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들중 어느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피스톤과 실린더는 축방향 운동시 바인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저 있는데, 이러한 바인딩은 액츄에이터 운동에 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실린더형 탄성 벨로우즈는 펌핑챔버 및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벨로우즈가 길이방향으로 변형함에 따라 부피가 변하게 된다. 벨로우즈에는 서로 연결된 일련의 주름부들이 있으며, 이들 주름부는 원추형 링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벽을 갖고 있다. 모든 주름부에 대한 원추형 링 굽힘저항의 총합이 벨로우즈의 축선방향 탄성을 결정하게 된다. 벨로우즈의 근본적인 이점은 피스톤, 복귀 스프링 및 실린더 결합체 보다도 작은 작동력을 제공한다는데 있다. 축선방향 변형에 대한 벨로우즈 저항은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미끄럼 마찰 및 피스톤 복귀 스프링의 힘보다 작다. 또한, 벨로우즈는 단일체로 되어 있어, 조립 및 중요한 끼워맞춤을 할 필요도 없다. 미끄럼 운동을 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벨로우즈에는 동적 시일링이 필요없게 된다.
벨로우즈는 펌프장치의 가동부에 정적으로 시일링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스냅식 끼워맞춤 또는 열적 결합 또는 접착식 결합으로 벨로우즈의 두 개방단을 강성 액츄에이터부에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벨로우즈 펌핑챔버는 벨로우즈의 탄력성 때문에 팽창하게 되며, 이로써 입구밸브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액츄에이터가 작동할 때는, 출구밸브가 열려 유체가 방출되고 입구밸브는 닫힘에 따라 벨로우즈 펌핑챔버가 수축하면서 유체를 가압하게 된다.
양 단부가 개방된 벨로우즈를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벨로우즈는 블로우 몰딩(blow molding) 또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으로 만들 수 있다. 블로우 몰딩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주름부의 원추형 링부의 정확한 벽두께를 얻을 수 없다. 벨로우즈 주름부 변형에 대한 저항은 원추형 링두께의 세제곱의 함수가 된다. 따라서, 트리거 분무기 벨로우즈는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지고, 이로써 축선방향으로의 변형저항은 더욱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사출성형으로, 밸브와 밸브 스프링, 분무요소 등과 같은 다른 기능요소들을 벨로우즈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벨로우즈의 사출성형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이다. 물론, 레이디얼 파형부 또는 언더컷부를 지닌 부분을 사출성형할 때 중요한 점은, 그 부분을 몰드요소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된 벨로우즈는 손으로 몰드 코어핀으로 부터 분리된다. 여전히 뜨거운 부분을 이와 같이 분리시킬 때, 종종 몰드와의 마찰로 인해 벨로우즈에 영구적인 손상이 가해지게 된다. 이의 대안으로서, 벨로우즈를 팽창시켜 이를 코어핀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단이 폐쇄된 벨로우즈가 성형되고 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성형된 벨로우즈는 폐쇄된 단부와 부수적인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이어서 후속 처리공정을 거쳐야 한다.
1991년 4월 9일에 발행되었고 Arima 등이 출원한 미국특허 제 5,006,376 호에는, 사출몰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특정 비율을 가지며 또한 특정 재료로 만들어지는 단부 개방형 원추형 벨로우즈 형상이 소개되어 있다. 비율과 재료에 대한 지나친 제한 때문에, 벨로우즈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 벨로우즈를 분리해 내는 것이 어렵게 된다.
양 단부가 개방된 벨로우즈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고려된 바가 없는데, 이 방법은 벨로우즈를 몰드의 코어핀으로부터 밀어 분리시키면서 그 벨로우즈를 팽창시키기 위해 압축가스를 사용하게 된다. 사이클 시간이 짧으며 어떠한 외부 기구도 필요치 않는 이러한 방법이 본 발명의 대상인 것이다.
본 발명은 벨로우즈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 단이 개방된 벨로우즈부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밸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방법에 대한 정면도로서, 닫힌 상태에 있는 사출 성형기의 고정 단부 및 가동 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정면도로서, 벨로우즈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방 위치에 있는 사출 성형기의 가동 단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3 은 도 1 에서 선 3-3 을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 몰드부 및 가동 몰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코어핀과 분리봉 둘레에 닫힌 몰드의 캐비티와 그들 사이에 새롭게 성형된 벨로우즈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4 는 도 3 과 유사한 평면도로서, 가동 몰드부가 고정 몰드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벨로우즈부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스플릿 캐비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 는 도 3 과 유사한 평면도로서, 분리봉은 코어핀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포펫밸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압축가스가 탄성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열리게 된다.
도 6 은 도 3 과 유사한 평면도로서, 가동 몰드부와 고정 몰드부 간의 계속된 분리를 보여주며, 벨로우즈부는 압축가스로 팽창되면서 분리봉에 의해 코어핀으로 부터 밀린다.
도 7 은 도 3 과 유사한 평면도로서, 개방 위치에 있는 스플릿 캐비티, 고정단부로부터 떨어진 몰드의 코어단부, 코어핀으로부터 분리된 벨로우즈부 및 포펫밸브를 닫기 위해 복귀하여 코어핀에 안착된 분리봉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사출몰드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코어핀과 분리봉을 스플릿 캐비티로 둘러싸고 상기 코어핀과 분리봉 둘레에서 탄성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핀과 분리봉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종축선을 갖는다. 탄성 벨로우즈부는 실질적인 강성을 갖는 제 1 개방단 및 탄성적인 제 2 개방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플릿 캐비티를 개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단계로서는,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팽창시키면서, 실질적인 강성을 갖고 있는 벨로우즈부의 상기 제 1 개방단을 상기 분리봉으로 밀어 코어핀으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를 제거시키는 단계가 있다. 본 발명의 분리방법은 사출몰드의 구성품들만 이용한다. 상기 코어핀은 압축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클리어런스 구멍을 갖는다. 실질적인 강성을 갖는 제 1 개방단을 밀기 위해 상기 분리봉이 코어핀으로 부터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클리어런스 구멍과 탄성 벨로우즈부 간에는 유체연통이 이루어진다. 탄성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코어핀의 클리어런스 구멍을 통해 탄성 벨로우즈부에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사출몰드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탄성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탄성 벨로우즈부는 코어핀과 스플릿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 및 분리봉과 상기 스플릿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는 실질적인 강성부를 갖고 있다. 이 실질적인 강성부는 제 1 개방단을 갖는다. 탄성부는 내측표면과 제 2 개방단을 갖고 있다. 다른 단계로서는, 상기 벨로우즈부의 탄성부와 제 2 개방단을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플릿 캐비티를 개방하는 단계가 있다. 또 다른 단계로서는,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의 제 1 및 2 개방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압축가스를 코어핀을 통해 상기 탄성부의 내측표면에 공급하여, 이 탄성부를 코어핀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가 있다. 또 다른 단계로서는, 상기 분리봉을 사용하여 탄성 벨로우즈부의 실질적인 강성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멀어지는 축선방향으로 미는 단계가 있다. 코어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봉을 밀면, 압축가스가 코어핀과 탄성 벨로우즈부의 탄성부 사이에 도입되어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게 되고 이로써 코어핀으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의 분리를 도와주게 된다. 마지막 단계는,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가 코어핀으로 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에 탄성 벨로우즈부의 실질적인 강성부를 분리봉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마지막에는 본 발명의 권리보호 대상이 되는 특징적 사항을 기재하는 청구의 범위가 제시되며, 첨부된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서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지금부터 도 1 및 도 2 를 참고하면, 사출 성형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기 성형기는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해 내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출 성형기 (10) 는 고정단부 (12) 및 유압 실린더 (16) 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단부 (14) 를 갖고 있다. 도 1 에서 화살표 20 은, 벨로우즈부 (22) 를 성형하기 위해 플라스틱이 성형기의 몰드부에 주입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2 에는, 유압 실린더 (16) 가 후퇴하여 그로부터 벨로우즈부 (22) 를 제거시켰을 때, 축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고정단부 (12) 및 가동단부 (14) 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기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성형기 (10) 로서, 코네티컷,켄싱톤에 소재하는 Arburg,Inc.에서 제작된 Arburg 40톤 토글 프레스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몰드로서는 네 개의 캐비티 몰드가 사용되며, 각 캐비티는 여기서 예시된 단일 케비티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성형하고 기계로부터 이것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성형기에서 고정 몰드부 (24) 및 가동 몰드부 (26) 를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 에는 폐쇄위치에 있는 몰드부 (24,26) 가 도시되어 있다. 가동 몰드부 (26) 는 벨로우즈의 내측표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코어핀 (28) 과, 이 코어핀 (28) 둘레에 닫혔을 때 벨로우즈의 외형을 지니게 되는 스플릿 캐비티 (split cavity:30) 를 갖고 있다. 이 스플릿 캐비티 (30) 는 코어핀의 종축선 (도시 안됨) 에 평행한 면을 따라 바람직하게 분할되어 있어, 두 개의 절반부 (31,33) 가 상기 종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열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벨로우즈부가 이후 설명하는 것처럼 코어핀 (28)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열림으써 성형된 벨로우즈부가 분리되면서 절반부 (31,33) 가 생기게 된다면, 상기 스플릿 캐비티 (30) 는 어느 방향으로도 열 수 있다.
상기 코어핀 (28) 은 코어몸체 (32) 와 자유단 (34) 을 갖고 있다. 이 자유단 (34) 은, 도 6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포펫 밸브를 위한 밸브 시이트 (36) 를 구비하고 있다. 성형품이 벨로우즈이기 때문에 코어핀 (28) 은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련의 언더컷부를 갖고 있는데, 이 언더컷부로 인해 코어핀으로부터 성형품을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가동 몰드부 (26) 는 분리봉 (38) 을 갖고 있으며, 이 분리봉의 일단에는 포펫밸브 (39) 가 있고, 이 밸브는 상기 밸브 시이트 (36) 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 분리봉 (38) 은 코어핀 (28) 을 관통해 형성된 종방향 클리어런스 구멍 (40) 내에서 코어핀 (28) 내부에 중심맞춤이 되어 있다. 포펫밸브 (39) 는, 기계식으로 또는 포펫밸브가 있는 분리봉의 단부에 가해지는 압축 가스압을 이용하여 분리봉 (38) 을 클리어런스 구멍 (40) 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열고 닫을 수 있다. 포펫밸브 (39) 를 정상적으로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수단을 사용하여 분리봉 (38) 을 밸브 시이트 (36) 쪽으로 편향시키면 된다. 포펫밸브의 역할은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다. 이 압축가스는 코어몸체 (32) 에 있는 입구 (42) 로부터 시작하여 분리봉 (38) 의 외측면을 따라 클리어런스 구멍 (40) 을 통과하여 밸브 시이트 (36) 로 가게되며, 마지막에는, 벨로우즈부 (22) 의 탄성부의 내측표면 (23) 에 이르게 되고, 코어핀 (28) 으로부터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이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게 된다. 성형작업시 닫혀 있게 되는 포펫밸브 (39) 를 갖고 있는 분리봉 (38) 은 벨로우즈부 (22) 의 개방단을 형성하게 되는 내측 코어핀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벨로우즈부의 사출성형 작업시 고정 몰드부 (24) 는 분리봉 (38) 의 상기 단부에 가압된다.
본 발명의 몰드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벨로우즈부 (22) 는 제 1 개방단 (44) 을 갖고 있으며, 이 개방단은 벨로우즈의 탄성 주름부 (46) 보다 강성이 크다. 개방단 (44) 의 직경은 탄성 주름부 (46) 의 것보다 작으며 그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탄성 주름부보다 크다.
상기 벨로우즈 (22) 는 제 2 개방단 (50) 을 갖는데, 이 개방단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개방단의 것보다 크게 되어 있어, 코어핀으로 부터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벨로우즈부 (22) 는 탄성 재료로 성형되므로, 압축가스의 압력을 받게 되면 다소 팽창하게 되어 코어핀으로 부터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로우즈부 (22) 는 오하이오주의 신시내티에 소재하고 있는 Quantum Chemicals 에서 제조된 그레이드 UE632 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로 성형된다.
사출 성형기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노즐온도는 375℉, 전방 온도는 375℉, 중간 온도는 350℉, 후방 온도는 300℉, 실제 용융온도는 335℉, 제 1 단계 사출압력은 1000 psi, 제 2 단계 사출압력은 800 psi, 배압(back pressure) 은 100 psi, 사출 시간은 1.5초, 유지시간은 5초, 냉각시간은 10초, 리사이클 시간은 0.1초, 사출지연 시간은 1초, 그리고 성형기의 운동시간은 6.5초이다. 탄성부 (46) 는 약 19mm 의 최대 직경과 약 25mm 의 길이를 갖는다. 제 1 개방단 (44) 의 직경은 약 9mm, 제 2 개방단 (50) 의 직경은 약 17mm 이다.
도 4 에는 코어핀으로부터 벨로우즈부를 분리하는 과정의 1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스플릿 캐비티 (30) 를 코어핀 (28) 의 종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시켜 스플릿 캐비티 (30) 와 벨로우즈부 (22)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하면, 벨로우즈부 (22) 가 팽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 몰드부 (26) 는 고정 몰드부 (24) 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멀어지게 된다.
도 5 에는, 분리봉 (38) 을 밸브 시이트 (36) 로부터 떼어내고 압축가스로 벨로우즈부 (22) 의 탄성부 (46) 를 팽창시키기 위해 클리어런스 구멍 (40) 안에서 분리봉을 축방향이동시키는 초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개방단 (44) 은 이 개방단 (44) 을 채우고 있는 분리봉 (38) 에 의해 막혀 있다. 압축가스가 벨로우즈를 팽창시킬 때 제 2 개방단 (50) 은 코어몸체 (32) 에서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환상의 제 2 개방단 (50) 은 벨로우즈의 주름부 보다 다소 강성이 크게 되어 있다. 제 1 개방단 (44) 의 내측 턱부(ledge) 를 분리봉 (38) 으로 밀면 벨로우즈부 (22) 가 코어핀 (28) 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분리되기 시작한다. 이때, 벨로우즈부 (22) 의 제 2 개방단 (50) 은 코어핀 (28) 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 코어핀과 최대의 기밀성 시일(seal)을 유지하게 된다. 일부 압축가스가 제 2 개방단 (50) 에서 벨로우즈부 (22) 로부터 누출이 되더라도, 코어핀 (28) 으로부터 벨로우즈부 (22) 를 분리하기 위해 이 벨로우즈부를 충분히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압축가스가 흐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축가스는 60∼80 psig 의 압축공기이다.
도 6 에는 고정 몰드부 (24) 와 가동 몰드부 (26) 의 계속된 축선방향 분리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압축가스로 벨로우즈부 (22) 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분리봉 (38) 으로 벨로우즈부 (22) 를 코어핀 (28) 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계속 민다. 벨로우즈부 (22) 가 코어핀 (28) 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포펫밸브 (39) 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도 7 에는 코어핀 (28) 으로부터 벨로우즈부 (22) 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포펫밸브 (39) 를 코어핀 (28) 의 밸브 시이트 (36) 에 안착시키기 위해 분리봉 (38) 을 복귀시켜, 압축가스의 흐름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새로운 벨로우즈부를 만들기 위해 스플릿 캐비티의 절반부 (31,33) 를 코어핀 (28) 쪽으로 폐쇄시킨다. 압축공기 블로우 오프(blow off) 는 분리봉 (38) 으로부터 벨로우즈부 (22) 를 떼어내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블로우 오프를 위한 방법은 알려저 있지 않다. 대안으로는, 분리봉 (38) 을 후퇴시킴으로써 분리봉으로부터 벨로우즈부 (22) 를 떼어낼 수도 있다. 분리봉 (38) 이 후퇴함에 따라 압축공기로 더 이상 팽창되지 않은 제 2 개방단 (50) 이 코어핀 (28) 의 자유단 (34) 과 접촉할 때, 벨로우즈부 (22) 의 개방단 (44) 은 분리봉 (38) 으로부터 밀려 떨어지게 된다.
고정 및 가동 몰드부 (24,26) 의 작동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플릿 캐비티 (30) 가 가동 몰드부 (26) 대신에 고정 몰드부 (24) 와 함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떠한 축방향 분리라도 일어나기 전에 스플릿 캐비티 (30) 가 코어핀의 종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대안을 실현하기 위해 다른 사이클 변동은 필요없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기술 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은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여러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함을 알 것이며,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내의 모든 변형예를 포괄하는 것이다.

Claims (3)

  1. a) 코어핀과 분리봉을 스플릿 캐비티로 둘러싸고 상기 코어핀과 분리봉 둘레에 탄성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코어핀과 분리봉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종축선을 가지며, 탄성 벨로우즈부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개방단 및 탄성적인 제 2 개방단을 갖는 상기 사출성형 단계와;
    b)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플릿 캐비티를 개방하는 단계와;
    c)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를 코어핀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팽창시키면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벨로우즈부의 상기 제 1 개방단을 상기 분리봉으로 밀어 코어핀으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를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사출몰드의 구성품들만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몰드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은 압축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클리어런스 구멍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개방단을 밀기 위해 상기 분리봉이 코어핀으로 부터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클리어런스 구멍과 탄성 벨로우즈부 간에는 유체연통이 이루어지고, 탄성 벨로우즈부를 팽창시키는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코어핀의 클리어런스 구멍을 통해 탄성 벨로우즈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a) 탄성 벨로우즈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로, 이 탄성 벨로우즈부는 코어핀과 스플릿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 및 분리봉과 상기 스플릿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는 실질적인 강성부를 갖고 있으며, 이 실질적인 강성부는 제 1 개방단을 가지며, 탄성부는 내측표면과 제 2 개방단을 갖는 사출성형 단계와;
    b)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의 탄성부와 제 2 개방단을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플릿 캐비티를 개방하는 단계와;
    c)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의 제 1 및 2 개방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압축가스를 코어핀을 통해 상기 탄성부의 내측표면에 공급하여, 이 탄성부를 코어핀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분리봉을 사용하여 탄성 벨로우즈부의 실질적인 강성부를 코어핀으로부터 멀어지는 축선방향으로 미는 단계로서, 코어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봉을 밀어, 압축가스가 코어핀과 탄성 벨로우즈부의 탄성부 사이에 도입되어 상기 탄성부를 팽창시키게 되고 이로써 코어핀으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의 분리를 도와주게 되는 단계 및,
    e) 상기 탄성 벨로우즈부가 코어핀으로 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에, 탄성 벨로우즈부의 실질적인 강성부를 분리봉으로부터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몰드로부터 탄성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KR1019980703577A 1995-11-13 1996-10-25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KR100257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57,982 US5683644A (en) 1995-11-13 1995-11-13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US8/557,982 1995-11-13
PCT/US1996/017146 WO1997018076A1 (en) 1995-11-13 1996-10-25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554A true KR19990067554A (ko) 1999-08-25
KR100257915B1 KR100257915B1 (ko) 2000-06-01

Family

ID=2422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577A KR100257915B1 (ko) 1995-11-13 1996-10-25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683644A (ko)
EP (1) EP0861149B1 (ko)
JP (1) JP3137654B2 (ko)
KR (1) KR100257915B1 (ko)
CN (1) CN1075973C (ko)
AR (1) AR004563A1 (ko)
AU (1) AU7597796A (ko)
CA (1) CA2237433A1 (ko)
DE (1) DE69610325T2 (ko)
ID (1) ID16329A (ko)
MX (1) MX9803709A (ko)
TW (1) TW415883B (ko)
WO (1) WO1997018076A1 (ko)
ZA (1) ZA9694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47A1 (ko) * 2021-12-03 2023-06-08 (주)진양오일씰 전자기기 외장커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8365B1 (en) 1997-01-08 2003-11-18 The Burton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JP3681150B2 (ja) * 1999-02-12 2005-08-10 タクミ・エー・エル株式会社 アンダーカット形状を有する熱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熱成形用雌型
US6403003B1 (en) * 1999-08-10 2002-06-11 Jetta Company Limited Injection molded doll head
US6735880B1 (en) * 1999-11-22 2004-05-18 Great Neck Saw Manufacturers, Inc. V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134067A1 (en) * 2002-01-17 2003-07-17 Garelli Stephen T. Method and mold for molding flexible polymeric envelopes
JP3646803B2 (ja) * 2002-11-08 2005-05-11 有限会社山下ゴム工業 蛇腹部を有する筒状ゴ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筒状ゴム製品の製造装置
DE102007003480B4 (de) * 2007-01-24 2008-11-13 Jakob Mai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arbeitung eines Zitzengummis während der Herstellung
US20090001638A1 (en) * 2007-06-28 2009-01-01 Semaan Gilbert A Bellows structure
KR200452587Y1 (ko) * 2007-06-29 2011-03-07 윤지한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US7867418B2 (en) * 2007-09-24 2011-01-11 Mars, Incorporated Tool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oldable material
US8636484B2 (en) 2009-01-09 2014-01-28 Tom M. Simmons Bellows plungers having one or more helically extending features, pumps including such bellows plungers, and related methods
US7943077B2 (en) * 2009-06-30 2011-05-17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theter having a separated tip configuration
CN102729419B (zh) * 2011-04-07 2015-02-11 江阴市农业药械厂 波纹管气动脱模装置
CN102729417A (zh) * 2011-04-07 2012-10-17 江阴市农业药械厂 波纹管注塑脱模装置
PL2799204T3 (pl) * 2011-12-30 2017-09-29 Green Island International TCM Group Limited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baniek do stawiania, z kauczuku silikonowego<strong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trong>
DE102012012114A1 (de) * 2012-06-20 2013-12-24 Gek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instückig mehrkomponentig spritzgegossenen Bürste
CN102773951A (zh) * 2012-08-14 2012-11-14 柳州日高橡胶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脱模装置生产波纹胶管的方法
CN103692583B (zh) * 2013-12-28 2016-08-31 宁波市正一砼泵配件有限公司 胶管脱模装置及胶管脱模方法
WO2017127497A1 (en) * 2016-01-19 2017-07-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oft robotic actuators and grippers
KR101700285B1 (ko) 2016-02-25 2017-01-26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핀셋 형상의 주름부를 구비한 벨로우즈 및 그 제조방법
CN107856257A (zh) * 2017-11-14 2018-03-30 中山市高远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模具吹气机构
JP6448013B1 (ja) 2018-01-30 2019-01-09 株式会社Snave 毛髪に蛇行した波形形状を付与するパーマネント施術用具
CN109366911B (zh) * 2018-12-17 2020-09-15 启东市亿方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注塑产品的取件装置及其取件方法
EP3718508B1 (en) * 2019-04-05 2023-07-26 Celoplas - Plásticos Para A Industria S.A. Mould and moulding method for body implant, in particular for breast implants
CN110253794B (zh) * 2019-05-13 2024-04-19 青岛中亿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胶管脱芯机及脱芯方法
CN110900907B (zh) * 2019-11-29 2021-05-28 南京金三力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束橡胶保护套的成型模具及加工方法
CN113386305B (zh) * 2020-03-11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模具及加工方法
CN111976105B (zh) * 2020-08-17 2021-07-30 嘉兴金旅燕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圆周形鞋模的操作架
CN112549470B (zh) * 2020-11-20 2022-12-13 惠州市兴利嘉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压喷出功能的洁净型注塑模具成型吹气机构
CN115026551A (zh) * 2021-04-07 2022-09-09 庄佩敏 机械自动化零配件快速生产装置
CN114248409B (zh) * 2021-12-20 2024-02-06 江苏翔鹭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进气管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
CN115195037B (zh) * 2022-06-23 2024-02-27 成都万友滤机有限公司 一种tpv波纹软管的成型装置及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6406A (en) * 1944-07-17 1946-03-12 Volney S Anderson Molding apparatus
US2547894A (en) * 1949-07-30 1951-04-03 Gen Tire & Rubber Co Device for stripping annular elastic rubber articles from a core
FR1096715A (fr) * 1953-12-31 1955-06-23 Procédé de moulage, par injection, de tubes souples dits <<tubes à presser>>, pour prodits pâteux ou autres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US3183551A (en) * 1961-04-14 1965-05-18 Johnson Walter Delmar Air-operated stripper for molds
US3660002A (en) * 1969-09-25 1972-05-02 Peter J Morroni Apparatus for molding open containers
US3733384A (en) * 1972-01-19 1973-05-15 Rheem Mfg Co Process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in extrusion blow molding
US3892512A (en) * 1973-09-13 1975-07-01 Alan V Diehl Transfer molding apparatus with resilient pad to distribute molding pressure
US3950468A (en) * 1974-08-19 1976-04-13 Dewey Rainville Injection blow molding of container open at both ends
US4164523A (en) * 1976-09-09 1979-08-14 Robert Hanning Method of injection-molding and cooling of shaped synthetic-resin bodies
FR2395121A1 (fr) * 1977-06-23 1979-01-19 Vanotti Gerard Moule pour l'obtention d'elements tubulaires elastiques
DE2832177A1 (de) * 1978-07-21 1980-01-31 Vanotti Gerard Giessform zur fertigung von elastischen rohrfoermigen gegenstaenden
US4375948A (en) * 1979-12-07 1983-03-08 Holdt J W Von Plastic bucket defining annular inwardly projecting ridge and method
US4531703A (en) * 1981-11-16 1985-07-30 Underwood J Larry Mold permitting air ejection of a flanged article
US4438065A (en) * 1982-03-08 1984-03-2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ir ejection of molded containers
JPS58187330A (ja) * 1982-04-27 1983-11-01 Toyoda Gosei Co Ltd 薄肉ゴム成形品の取出し器具
ZA835586B (en) * 1982-07-31 1984-04-25 Trw Ehrenreich Gmbh An injection mould
JPS59204527A (ja) * 1983-05-06 1984-11-19 Akio Nakamura ゴム製蛇腹製造方法
JPS60193620A (ja) * 1984-03-15 1985-10-02 Toyo Tire & Rubber Co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のジヨイントブ−ツ成形体
JPS60229716A (ja) * 1984-04-27 1985-11-15 Toyoda Gosei Co Ltd 筒状ゴム製品の取出装置
JPS61197209A (ja) * 1985-02-27 1986-09-01 Toyoda Gosei Co Ltd ゴム成形品の取出し装置
JPS61262112A (ja) * 1985-05-17 1986-11-20 Mitsubishi Monsanto Chem Co 蛇腹状成形品の射出成形装置
CA1204262A (en) * 1985-08-16 1986-05-13 James S. Sheffield Injection mold apparatus with gas ejection
JPS6478812A (en) * 1987-09-21 1989-03-24 Mitsubishi Monsanto Chem Molding device for bellows type molded form
IT1241314B (it) * 1990-11-09 1994-01-10 Firestone Int Dev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 realizzazione di camere d'aria per stampi di vulcanizzazione
US5490966A (en) * 1994-11-02 1996-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DE19505619A1 (de) * 1995-02-18 1996-08-22 Andreas Thoermer Spritzgießwerkzeug für Gummiformte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47A1 (ko) * 2021-12-03 2023-06-08 (주)진양오일씰 전자기기 외장커버 제조방법
KR20230083474A (ko) * 2021-12-03 2023-06-12 (주)진양오일씰 전자기기 외장커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597796A (en) 1997-06-05
AR004563A1 (es) 1998-12-16
JP3137654B2 (ja) 2001-02-26
WO1997018076A1 (en) 1997-05-22
EP0861149B1 (en) 2000-09-13
US5683644A (en) 1997-11-04
DE69610325D1 (de) 2000-10-19
JPH10512822A (ja) 1998-12-08
CA2237433A1 (en) 1997-05-22
ID16329A (id) 1997-09-18
EP0861149A1 (en) 1998-09-02
CN1075973C (zh) 2001-12-12
CN1202130A (zh) 1998-12-16
ZA969487B (en) 1997-06-02
KR100257915B1 (ko) 2000-06-01
TW415883B (en) 2000-12-21
MX9803709A (es) 1998-09-30
DE69610325T2 (de) 200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915B1 (ko)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EP0789649B1 (en) Method for stripping open ended bellows part from injection mold
CN1326628C (zh) 用于排出流体存储区的流体的流体排出泵及流体存储容器
US5368468A (en) Air knockout for plastic molds
JP3422899B2 (ja) 固定具打ち込み工具
CN214398004U (zh) 一种液体化妆品容器及液体化妆品容器的泵体装置
US5152540A (en) Tubular member deformable into a bellows for sealing a reciprocating rod
KR20050062439A (ko) 몰드용 벤트 및 몰드
JPH0316870B2 (ko)
JP3720054B2 (ja) トリガ式液体吐出器
US5326244A (en) Axially compact compression mold
JPH05170294A (ja) 排出装置
MXPA97003237A (en) Method for removing from the injection mold one injection one piece of extreme foie belt
TW200303967A (en) Valve stop
JPH0147289B2 (ko)
JP3076820B1 (ja) 流動物圧入装置
JP4588851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0307457Y1 (ko) 내주면에 유압해제용 홈이 설치된 실린더
KR100340137B1 (ko) 차량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KR100342301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
JPS5914185Y2 (ja) 樹脂成形金型装置
JP3222400B2 (ja) 略円筒型成形品の成形方法、樹脂製シリンダの成形方法、手動式トリガー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そのシリンダ
JP2007326121A (ja) 液圧成形用ノズル
CN114056748A (zh) 具有弹性活塞的液体泵及其制造方法
JPH0988830A (ja) ベローズ式定量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