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87Y1 -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587Y1
KR200452587Y1 KR2020070010803U KR20070010803U KR200452587Y1 KR 200452587 Y1 KR200452587 Y1 KR 200452587Y1 KR 2020070010803 U KR2020070010803 U KR 2020070010803U KR 20070010803 U KR20070010803 U KR 20070010803U KR 200452587 Y1 KR200452587 Y1 KR 200452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ot bellows
bellows
boot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082U (ko
Inventor
이경모
Original Assignee
윤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한 filed Critical 윤지한
Priority to KR2020070010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58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usin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3Bel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된 부츠 벨로즈를 코어로부터 일시에 자동으로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여 부츠 벨로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는, 전방면에는 작업대가 설치되고, 후방면 상단에는 금형 이동 실린더가 설치되는 하부 몸체부; 상기 하부 몸체부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방면에는 고정 브래킷이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고정대에 의해 설치되며, 양측단에 슬라이드 공이 형성된 베이스 판넬; 상기 베이스 판넬의 전후방부 중앙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로 이송된 코어 고정 프레임의 양측 끝단부를 파지하여 상승시키는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 및 상기 베이스 판넬의 양측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어 고정 프레임의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부츠 벨로즈 사이에 에어를 유입시켜 상기 부츠 벨로즈를 부풀려 이격시켜 상기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차 제동장치, 부츠 벨로즈, 코어, 금형, 자동 이형장치

Description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Boots Be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 및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의 평면도
도 4는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과 코어가 결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10) : 하부 몸체부
(11) : 상부 몸체부 (12) : 베이스 판넬
(13) :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 (14) :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
(130) : 가이드 (131) : 상하 이동 실린더
(132) : 상하 이동판 (133) : 파지 실린더
(140) : 가이드 바 (141) : 가이드 블록
(142) : 부츠 벨로즈 이형블록 (143): 좌우 이동판
(144) : 좌우 이동 실린더 (145) : 노즐 고정 브래킷
(146) :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
본 고안은 자동차 제동 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된 부츠 벨로즈를 코어로부터 일시에 자동으로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여 부츠 벨로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츠 벨로즈(Boot Bellows)라 함은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된 와이어 케이블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십 만회의 반복동작에도 그 성능의 유지가 지속되어야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의 기능유지에 사용되어지는 핵심부품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부츠 벨로즈는 양단에 접속부가 형성되며, 내부 중공형태의 테이퍼 축 상에 다수개의 벨로즈를 가지도록 형성된 고무 성형 제품으로써 그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접속부가 2개의 벤드형 나사식 클램프에 의해 와이어 케이블과 연결되어 사용되어 진다.
그러나 환경 조건의 악화로 접속부의 나사식 벤드형 클램프가 충격과 반복하중의 부과로 느슨해져 클램핑력이 약화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며, 상기 와 같이 클램핑력이 약화될 제동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안전상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나사식 벤드형 클램프 없이 직접 와이어 케이블에 접속되는 부츠 벨로즈가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되는 부츠 벨로즈는 내주면에 가압방식의 융기를 형성시키는 압축 성형법에 의해 생산되어 지고 있다.
즉,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사이에 삽입되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융기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부츠 벨로즈 형상의 코어의 외주면에 소요두께의 부츠 벨로즈가 성형된 후 상기 금형에서 소요두께의 부츠 벨로즈가 외주면에 형성된 코어를 분리해낸 다음,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분리해 내는 과정을 거처 생산된다.
그러나 상기 부츠 벨로즈는 그 형태 특성으로 인하여 큰 언더컷이 형성됨으로써 금형에서 직접 분리해 낼 수 없으므로 고온상태에서 작업자가 두꺼운 장갑을 낀 상태에서 외주면에 부츠 벨로즈가 형성된 각각의 코어의 일측 끝단부를 잡고 코어의 외주면과 부츠 벨로즈의 내주면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여 부츠 벨로즈를 부풀려 이격시킨 후, 성형 열이 남아 있을 때 각각의 코어로부터 각각의 부츠 벨로즈를 하나씩 수동으로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각각의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수동으로 분리해 내야 함으로써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대폭 저하되어 대량생산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형에서 바로 성형된 고온의 제품을 코어로부터 분리해 내야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열악한 환경에 의해 직업병 발병의 문제점이 있으며, 반복 단순 작업으로 작업기피가 심하여 항상 전문 인력 수급에 난항을 겪어왔다.
또한, 코어가 비좁고 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에어 노즐의 중심과 코어의 중심을 일치시키기가 어려워 코어와 부츠 벨로즈 사이에 일정한 압력과 양의 에어를 공급할 수 없어 부츠 벨로즈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부풀려지지 않아 상기 부츠 벨로즈의 내주면과 코어의 외주면이 완전하게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츠 벨로즈를 잡아당겨 상기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완전히 분리해냄으로써 성형된 부츠 벨로즈가 손상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어 생산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의 차이가 크게 발생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된 부츠 벨로즈를 코어로부터 일시에 자동으로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여 부츠 벨로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코어의 중심과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어의 외주면과 부츠 벨로즈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한 압력과 양의 에어를 골고루 공급하여 상기 부츠 벨로즈의 내주면과 코어의 외주면을 완전하게 이격시킨 후 상기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면에는 작업대가 설치되고, 후방면 상단에는 금형 이동 실린더가 설치되는 하부 몸체부; 상기 하부 몸체부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방면에는 고정 브래킷이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고정대에 의해 설치되며, 양측단에 슬라이드 공이 형성된 베이스 판넬; 상기 베이스 판넬의 전후방부 중앙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로 이송된 코어 고정 프레임의 양측 끝단부를 파지하여 상승시키는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 및 상기 베이스 판넬의 양측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어 고정 프레임의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부츠 벨로즈 사이에 에어를 유입시켜 상기 부츠 벨로즈를 부풀려 이격시켜 상기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의 정면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 및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의 평면도, 도 4는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과 코어가 결합된 상태도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1)는, 하부 몸체부(10), 상부 몸체부(11), 베이스 판넬(12),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13),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1)의 하부 몸체부(10)는, 그 전방면에 작업대(100)가 설치되고, 후방면 상단에는 금형 이동 실린더(101)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1)는 상기 하부 몸체부(10)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10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11)의 전방면에는 고정 브래킷(110)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판넬(12)은, 상기 고정 브래킷(110)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고정대(120)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양측단에는 슬라이드 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13)은,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전후방부 중앙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100)로 이송된 코어 고정 프레임(2)의 양측 끝단부를 파지하여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13)은, 가이드(130), 상하 이동 실린더(131), 상하 이동판(132), 파지 실린더(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13)의 가이드(130)는,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하부면 중앙부 전후방에 설치되며, 상하 이동 실린더(131)는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상부면 중앙부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 이동판(132)은 상기 가이드(130)와 상하 이동 실린더(131)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 실린더(133)는 상기 상하 이동판(132)의 하부면 전후방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14)은,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양측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코어(3)와 부츠 벨로즈(4) 사이에 에어를 유입시켜 상기 부츠 벨로즈(4)를 부풀려 분리시켜 상기 코어(3)로부터 부츠 벨로즈(4)를 이격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14)은, 가이드 바(140), 가이드 블록(141), 부츠 벨로즈 이형블록(142), 좌우 이동판(143), 좌우 이동 실린더(144), 노즐 고정 브래킷(145),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14)의 가이드 바(140)는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하부면 양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41)은 상기 가이드 바(140)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140)에 축설되고,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블록(142)은 상기 가이드 블록(141)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블록(142)의 일측면에서부터 타측면 방향으로는 다수개의 코어 삽입구(142a)가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좌우 이동판(143)은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슬라이드 공(121)을 상단부가 관통하도록 그 일측면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141)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좌우 이동 실린더(144)는 상기 좌 우 이동판(143)의 상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판넬(12)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145)은 상기 좌우 이동판(143)의 타측면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146)은 상기 코어 삽입구(142a)에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145)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의 코어 삽입구(142a) 내주면에는 부츠 벨로즈(4)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코팅층(142b)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146)은,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145)의 하단부에 일측 끝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46a)과, 상기 하우징(146a) 외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 턱(146b)과, 상기 하우징(146a)의 내부 일측에 삽입 체결되는 일측 끝단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센터 맞춤 부재(146c)의 일측단에 일측 끝단부가 탄성 지지되고, 타측 끝단부는 상기 하우징(146a)의 내주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146d)로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금형이 제거된 금형(5)을 금형 이동 실린더(101)에 의해 작업대(100)로 이동을 시킨다.
상기와 같이 금형 이동 실린더(101)에 의해 금형(5)을 작업대(100)로 이동시킨 후에는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13)의 상하 이동 실린더(131)를 작동시켜 파 지 실린더(133)가 코어 고정 프레임(2)의 양측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 이동판(132)을 가이드(130)를 따라 하강 시킨다.
상기와 같이 코어 고정 프레임(2)의 양측 끝단부에 파지 실린더(133)가 위치하도록 상하 이동판(132)을 가이드(130)를 따라 하강 시킨 후에는 파지 실린더(133)를 작동시켜 상기 코어 고정 프레임(2)의 양측 끝단부를 파지한 다음, 다시 상하 이동 실린더(131)를 작동시켜 상기 파지 실린더(133)에 파지된 코어 고정 프레임(2)의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외주면에 부츠 벨로즈(4)가 형성된 다수개의 코어(3)가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14)의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과 평행이 되는 위치까지 상기 상하 이동판(132)을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 이동판(132)을 상승시켜 외주면에 부츠 벨로즈(4)가 형성된 다수개의 코어(4)를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과 평행하게 한 후에는,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14)의 좌우 이동 실린더(144)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이동 실린더(144)가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좌우 이동 실린더(144)에 의해 가이드 블록(141)이 가이드 바(140)를 따라 코어 고정 프레임(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며, 이와 연동되어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 또한 코어 고정 프레임(2)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의 코어 삽입구(142a) 내부에 외주면에 부츠 벨로즈(4)가 형성된 코어(3)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코어 삽입구(142a) 내부에 외주면에 부츠 벨로즈(4)가 형성된 코어(3)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코어(3)의 외주면 일측 끝단부와 부츠 벨로즈(4) 의 내주면 일측 끝단부 사이에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146)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코어(3)의 일측단 중앙부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센터 맞춤 부재(146c)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일측 끝단부가 코어(3)의 일측단 중앙부에 삽입된 센터 맞춤 부재(146c)는 탄성부재(146d)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일측 끝단부가 상기 코어(3)의 일측 끝단부와 완전히 밀착되어 코어(3)의 중심과 하우징(146a)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146)의 하우징(146a) 타측 끝단부에 연결된 에어 호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146)을 통해 코어(3)의 외주면과 부츠 벨로즈(4)의 내주면 사이에 공급하게 되면, 상기 부츠 벨로즈(4)가 팽창하여 상기 코어(3)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부츠 벨로즈(4)가 완전히 이격되며, 상기와 같이 팽창된 부츠 벨로즈(4)의 외주면은 코어 삽입구(142a) 내주면에 형성된 고무 코팅 층(142b)과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부츠 벨로즈(4)를 팽창시켜 부츠 벨로즈(4)의 외주면을 코어 삽입구(142a) 내주면에 형성된 고무 코팅 층(142b)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좌우 이동 실린더(144)를 작동시켜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을 초기 위치로 원상복귀 시키게 되면, 상기 부츠 벨로즈(4)의 외주면과 고무 코팅 층(142b)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부츠 벨로즈(4)가 상기 코어(3)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과 함께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142)의 초기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 기 코어(3)로부터 부츠 벨로즈(4)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는, 한번의 작업으로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된 부츠 벨로즈를 코어로부터 일시에 자동으로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부츠 벨로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생산으로 인하여 인건비 및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고온의 제품을 직접 만지지 않음으로써 직업병 발생률을 대폭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의 중심과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어의 외주면과 부츠 벨로즈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한 압력과 양의 에어를 골고루 공급하여 상기 부츠 벨로즈의 내주면과 코어의 외주면을 완전하게 이격시킨 후 상기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비숙련공이 작업을 할지라도 일정한 품질의 부츠 벨로즈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된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 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방면에는 작업대가 설치되고, 후방면 상단에는 금형 이동 실린더가 설치되는 하부 몸체부;
    상기 하부 몸체부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방면에는 고정 브래킷이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고정대에 의해 설치되며, 양측단에 슬라이드 공이 형성된 베이스 판넬;
    상기 베이스 판넬의 전후방부 중앙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로 이송된 코어 고정 프레임의 양측 끝단부를 파지하여 상승시키는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 및
    상기 베이스 판넬의 양측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어 고정 프레임의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부츠 벨로즈 사이에 에어를 유입시켜 상기 부츠 벨로즈를 부풀려 이격시켜 상기 코어로부터 부츠 벨로즈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코어 고정 프레임 파지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넬의 하부면 중앙부 전후방에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베이스 판넬의 상부면 중앙부 전후방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 실린더; 상기 가이드와 상하 이동 실린더 하단부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판; 및 상기 상하 이동판의 하부면 전후방부에 설치되는 파지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벨로즈 분리수단은, 상기 베이스 판넬의 하부면 양측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에 축설된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 하부면에 설치되며, 일측면에서부터 타측면 방향으로 다수개의 코어 삽입구가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부츠 벨로즈 이형블록;
    상기 베이스 판넬의 슬라이드 공을 상단부가 관통하도록 그 일측면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일측면에 부착된 좌우 이동판;
    상기 좌우 이동판의 상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판넬의 상부면에 설치된 좌우 이동 실린더;
    상기 좌우 이동판의 타측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노즐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코어 삽입구에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블록의 코어 삽입구 내주면에는 고무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벨로즈 이형 노즐은,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의 하단부에 일측 끝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 턱;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삽입 체결되는 일측 끝단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센터 맞춤 부재; 및
    상기 센터 맞춤 부재의 일측단에 일측 끝단부가 탄성 지지되고, 타측 끝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KR2020070010803U 2007-06-29 2007-06-29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KR200452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03U KR200452587Y1 (ko) 2007-06-29 2007-06-29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03U KR200452587Y1 (ko) 2007-06-29 2007-06-29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82U KR20090000082U (ko) 2009-01-07
KR200452587Y1 true KR200452587Y1 (ko) 2011-03-07

Family

ID=4127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803U KR200452587Y1 (ko) 2007-06-29 2007-06-29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58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656A (en) 1990-09-29 1993-08-17 Keeper Co., Ltd. Method of injection blow molding synthetic resin bellows product
KR100257915B1 (ko) * 1995-11-13 2000-06-01 데이비드 엠 모이어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KR20040074571A (ko) * 2003-02-19 2004-08-25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수지제 등속조인트용 부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50063666A (ko) * 2003-12-22 2005-06-28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수지제 등속 조인트용 부트의 제조장치와 수지제 등속조인트용 부트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등속 조인트용 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656A (en) 1990-09-29 1993-08-17 Keeper Co., Ltd. Method of injection blow molding synthetic resin bellows product
KR100257915B1 (ko) * 1995-11-13 2000-06-01 데이비드 엠 모이어 사출몰드로부터 단부 개방형 벨로우즈부를 분리시키는 방법
KR20040074571A (ko) * 2003-02-19 2004-08-25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수지제 등속조인트용 부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50063666A (ko) * 2003-12-22 2005-06-28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수지제 등속 조인트용 부트의 제조장치와 수지제 등속조인트용 부트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등속 조인트용 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82U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677B2 (ja) モールドツーリング付きモールド
KR200452587Y1 (ko) 자동차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부츠 벨로즈 자동 이형장치
CN110900907A (zh) 一种线束橡胶保护套的成型模具及加工方法
KR20080034018A (ko) 타이어 가류 방법 및 타이어 가류 장치
KR102189260B1 (ko)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CN100590064C (zh) 一种基于气动的微纳米压印脱模结构
JP4255481B2 (ja) ガラスレンズの成形金型、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3590146B2 (ja) 樹脂モールド装置
KR101815605B1 (ko)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CN116330543A (zh) 一种侧板及轮胎模具
CN214448723U (zh) 轮胎硫化设备
TWI725612B (zh) 柱塞的更換方法、柱塞單元及樹脂成形裝置
US20060214332A1 (en) Method of molding rubber with minimal waste
JPH11151763A (ja) タイヤ成形ドラム
JP2000202832A (ja) タイヤ加硫用成形金型の替駒取外し方法及びその取外し用治具
KR102003897B1 (ko) 가류 블래더와 그린 케이스 센터링 장치
WO2016043367A1 (ko) 냉간단조법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3329854A (zh) 轮胎硫化装置及方法
CN205130361U (zh) 一种教学用吹塑机的气针组件
CN116505326B (zh) 一种汽车连接器及汽车连接器加工设备
KR100462202B1 (ko) 타이어 금형의 문자판 결합장치
CN217944215U (zh) 一种灯具电源接驳器用注塑模具
CN216267344U (zh) 一种模内固定镶件注塑模具
CN218860564U (zh) 多模穴镜片热压模具的夹具
JP2008254334A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