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05B1 -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605B1
KR101815605B1 KR1020170069509A KR20170069509A KR101815605B1 KR 101815605 B1 KR101815605 B1 KR 101815605B1 KR 1020170069509 A KR1020170069509 A KR 1020170069509A KR 20170069509 A KR20170069509 A KR 20170069509A KR 101815605 B1 KR101815605 B1 KR 10181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burr
core
mold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양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양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양화학
Priority to KR102017006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usin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6Producing closure members for containers, e.g. closure caps or stop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이음 부분에 사용되는 더스트 커버(dust cover)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스트 커버의 립부에 형성되는 버가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금형의 구성을 개선하고, 아울러 금형에 결합상태로 있는 버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방법을 제안하여 립부의 내측으로 형성된 버 미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여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아울러 더스트 커버의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복수로 형성하고, 상형 쪽에 상부코어가 하형 쪽에 하부코어가 구비된 통상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코어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 하부에는 버고정홈에 내입되는 버용 돌기를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의 버고정홈 내에 형성된 버지지체에 지지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부코어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에는 상부코어 내측으로 위치하는 분리핀 성형홈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의 버고정홈 내에 형성된 버지지체에 지지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되도록 한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및 이들 금형에 의해 분리된 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Dust cover molding mold and burr how to uninstall}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이음 부분에 사용되는 더스트 커버(dust cover)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스트 커버의 립부에 형성되는 버(burr)가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금형의 구성을 개선하고, 아울러 금형에 결합상태로 있는 버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방법을 제안하여 립부의 내측으로 형성된 버 미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여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아울러 더스트 커버의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자동차의 축이음 부분에 먼지 유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무재로 구성된 더스트 커버가 사용되고 있으며, 더스트 커버는 면접부의 강성과 함께 자유로운 절곡이 요구되는 바,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때 접지면에 링을 인서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다.
더스트 커버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종래 금형은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형성하고, 하형의 상측에 링을 고정하는 수개의 핀을 형성한 것으로서, 하형의 상측 혹은 상/하측에 각각 링을 안치한 상태에서 상/하판을 밀착하고 상/하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상태에서 공간에 재료를 주입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17838호(2006.06.02.)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상/하형을 형성하고, 하형의 상측에 수개의 지지링을 고정하는 핀을 형성한 통상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상부를 분리하여 형성한 취출부와, 상기 취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하형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어 하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봉과, 상기 취출봉에 결합되는 밀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33007호(2006.12.07.)의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복수로 형성하고, 각 하형의 상측에 지지링을 고정하는 수개의 핀을 형성하며, 하형 쪽에 코어가 형성된 통상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커버몸체성형부 상단과, 지지링받침부 사이를 경계로 하여 상/하측부재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하형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내입되도록 하측부재에 결합한 제1취출봉과, 제1취출봉 내측에 삽입되고 제1취출봉 보다 길이가 길며, 상측부재에 결합되는 제2취출봉과, 길이가 서로 다른 제1취출봉과 제2취출봉의 말단에 형성된 받침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부재를 하측부재에 긴밀하게 결합하는 복원스프링과, 제1취출봉이 하형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승을 제한하도록 제1취출봉의 중간에 형성하여 결합공에 걸림되게 한 걸림턱과, 상기 제2취출봉에 결합되는 밀판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금형으로 성형되는 더스트 커버의 일례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부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버가 형성되고, 몸체의 측면에 상형과 하형의 경계부분에 해당하는 버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더스트 커버에 형성된 버의 경우 종래에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제거하였으나, 근자에는 인건비 상승과 작업능률 개선을 위해 버 제거용 자동사상기를 사용하고 있다.
자동사상기를 사용하는 경우 립부의 외측과,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버는 쉽게 제거되지만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의 경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바, 현장에서는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사상기의 회전속도를 높이거나 또는 가동시간을 강제로 배가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를 분리하는데 유용하기는 하나, 제품끼리 서로 부딪혀 더스트 커버의 바닥부 뜯김 현상이 발생하여 또 다른 불량 원인을 만들게 되었다.
KR 200417838 Y1 2006.06.02. KR 200433007 Y1 2006.12.07.
이에 본 발명자는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취출할 때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가 자동으로 분리되기만 하면, 자동사상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여 제품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생산성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상형과 하형 쪽의 코어의 구성을 개량하여 완성된 더스트 커버를 금형에서 취출할 때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가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되어 코어에 결합상태로 남아 있도록 하고, 코어에 결합 상태로 남아 있는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를 에어를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연질고무 또는 합성수지 구성의 밀판을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전용 분리용 지그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을 통하여 코어에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립부의 내측으로 형성된 버 미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여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아울러 더스트 커버의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복수로 형성하고, 상형 쪽에 상부코어가 하형 쪽에 하부코어가 구비된 통상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코어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 하부에는 버고정홈에 내입되는 버용 돌기를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의 버고정홈 내에 형성된 버지지체에 지지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하부코어의 상면에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의 하부에는 버고정홈에 내입되는 버용 돌기를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 쪽에 결합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된 버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에어건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립부에 제공될 때 압축공기에 의해 버지지체 내에 형성된 중공부 쪽으로 버지지체가 찌부러지면서 하부코어에 형성되어 있는 버고정홈에서 버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복수로 형성하고, 상형 쪽에 상부코어가 하형 쪽에 하부코어가 구비된 통상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코어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에는 상부코어 내측으로 위치하는 분리핀 성형홈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의 버고정홈 내에 형성된 버지지체에 지지가 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하부코어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에는 상부코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핀 성형홈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 쪽에 결합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된 버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연질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밀판을 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핀과 직각으로 밀어 하부코어에 형성되어 있는 버고정홈 내의 버지지체를 포함하는 버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하부코어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의 립성형돌기에는 상부코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핀 성형홈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때 립부 내측으로 형성된 버가 하부코어 쪽에 결합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된 버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상판 및 하판을 적층상태에서 면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 버분리용 치구의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분리핀내입공으로 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핀이 내입한 상태가 되도록 하부코어 상측에 올리고, 상판 또는 하판을 분리핀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핀이 상판과 하판에 의해 클램핑되게 한 후 버분리용 치구를 하부코어의 상측으로 들어올려 버고정홈 내의 버지지체를 포함하는 버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상형과 하형 쪽의 상부코어와 하부코어의 구성을 개량하여 완성된 더스트 커버를 금형에서 취출할 때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가 더스트 커버에서 분리되어 코어에 결합상태로 남아 있도록 함으로 립부의 내측으로 형성된 버 미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다.
-하부코어에 결합 상태로 남아 있는 립부의 내측에 형성된 버를 에어를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연질고무 또는 합성수지 구성의 밀판을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전용 분리용 지그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자동사상기를 사용하여 립부의 외측과,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버만 제거하므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자동사상기 가동시간을 최소화하므로 제품끼리 서로 부딪혀 더스트 커버의 바닥부 뜯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다.
-기존 사용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을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는 등의 경제적 부담이 없다.
-버 제거 불량을 일소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버 제거를 위한 추가 인력 없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인건비 상승의 염려가 없다.
도 1은 종래 더스트 커버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일 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에서의 상형과 상부코어 및 하형과 하부코어를 결합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하부코어에 결합된 립부 내측의 버를 에어건으로 분리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에서의 상형과 상부코어 및 하형과 하부코어를 결합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의 하부코어에 결합된 립부 내측의 버를 밀판으로 밀어 분리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의 하부코어에 결합된 립부 내측의 버를 버분리용 치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1) 및 금형에서의 버(120) 제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일 실시례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1)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판(2)과 하판(3)을 서로 대향으로 배치하고, 이들 상판(2)과 하판(3)에는 상형(4)과 하형(5)을 결합한다. 이때 상형(4)과 하형(5)은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2~50개가 함께 제공되어 한 번에 대량으로 더스트 커버(100)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상형(4)과 하형(5)에는 각각 상부코어(6)와 하부코어(7)가 구비되며, 이들 상형(4)과 상부코어(6) 및 하형(5)과 하부코어(7) 사이의 공간(캐비티)으로 용융고무가 주입되어 더스트 커버(10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코어(7)는 하형(5)에서 인출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여 완성된 더스트 커버(100)를 쉽게 취출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생산되는 더스트 커버(100)의 경우 통상 도 1과 같이 상부코어(6)와 하부코어(7)의 경계인 립부(110)의 내측과 외측 및 상형(4)과 하형(5)의 경계인 몸체(130)의 외측에 버(120)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부코어(6)와 하부코어(7)의 경계인 립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버(120)가 금형에서 완성된 더스트 커버(100)를 취출할 때 하부코어(7)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도록 하고, 이를 수작업으로 쉽게 분리하여 더스트 커버(100)의 제품 품질향상과 더불어 버(120) 제거불량의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에서의 상형과 상부코어 및 하형과 하부코어를 결합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기술적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1)에서 상부코어(6) 및 하부코어(7)의 구성을 개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코어(7)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7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코어(6)의 립성형돌기(6a) 하부에는 버고정홈(7a)에 내입되는 버용 돌기(6b)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코어(7)에 버고정홈(7a)을 형성하고, 상부코어(6)에 버용 돌기(6b)를 형성하는 경우 버(120) 하측으로 버고정홈(7a)에 의해 형성된 단추모양의 버지지체(121)가 마치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더스트 커버(100)를 성형한 후 금형(1)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취출할 때 립부(110) 내측으로 형성된 버(120)의 하부코어(7) 쪽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고, 더스트 커버(100)만 취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립부(110) 내측에 형성되는 버(120)를 별도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코어(7)에 결합된 상태로 있는 립부(110) 내측의 버(120)는 더스트 커버(100)의 재 성형을 위해 제거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에어건(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의 하부코어에 결합된 립부 내측의 버를 에어건으로 분리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은 구조의 상부코어(6)에 형성된 립성형돌기(6a)상의 버용 돌기(6b)와 하부코어(7)에 함몰되게 형성한 버고정홈(7a)을 구비한 상태에서 립부(110) 내측의 버(120)가 하부코어(7)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도록 하는 경우 반드시 이들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분리하는 작업이 에어건(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에어건(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버(120)에 분사하는 경우, 단추형상으로 형성된 버(120)의 내측으로 버용 돌기(6b)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12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중공부(122) 쪽으로 버(120)가 찌부러지면서 하부코어(7)에 형성되어 있는 버고정홈(7a)에서 버(120)가 쉽게 분리되므로 단시간에 복수의 버(120)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에서의 상형과 상부코어 및 하형과 하부코어를 결합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기술적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1)에서 상부코어(6) 및 하부코어(7)의 구성을 개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코어(7)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7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코어(6)의 립성형돌기(6a)에는 상부코어(6) 내측으로 위치하는 분리핀 성형홈(6c)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코어(7)에 버고정홈(7a)을 형성하고, 상부코어(6)에 분리핀 성형홈(6c)을 형성하는 경우 버(120) 하측으로 버고정홈(7a)에 의해 형성된 단추모양의 버지지체(121)가 마치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더스트 커버(100)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취출할 때 립부(110) 내측으로 형성된 버(120)의 하부코어(7) 쪽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고, 더스트 커버(100)만 취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코어(7)에 남아 있는 버(120)의 상측으로는 분리핀(123)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립부(110) 내측에 형성되는 버(120)를 별도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코어(7)에 결합된 상태로 있는 분리핀(123)이 일체로 형성된 립부(110)의 경우 상기에서와 같이 에어건(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하며,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버(120)를 제거하는 2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 6은 도 5에서의 하부코어에 결합된 립부 내측의 버를 밀판으로 밀어 분리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밀판(30)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밀판(30)을 분리핀(123)과 직각방향으로 밀어 그 마찰력에 의해 분리핀(123)이 절곡될 때 하부코어(7)의 버고정홈(7a) 내에 위치하는 버지지체(121)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밀판(30)은 금형에 손상을 주지 않은 연질 소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연질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토록 한다.
또한 밀판(30)은 작업자가 쉽게 파지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의 하부코어에 결합된 립부 내측의 버를 버분리용 치구로 분리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버분리용 치구(40)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버분리용 치구(40)는 상판(41)과 하판(42)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적층 구성한 것으로, 상판(41)과 하판(42)에는 버(120)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분리핀(123)이 내입되는 분리핀내입공(43)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버분리용 치구(40)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상판(41)과 하판42)에 형성된 분리핀내입공(43)이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판(41)과 하판(42)에 형성된 분리핀내입공(43)으로 버(120)에 형성되어 있는 분리핀(123)을 내입시킨다.
분리핀(123)이 상판(41)과 하판(42)에 내입된 상태에서 하판(42)을 고정하고, 상판(41)을 분리핀(123)과 직각 방향으로 밀어 상판(41)과 하판(42)에 형성된 분리핀내입공(43)이 서로 어긋나게 하여 분리핀(123)이 클램핑되게 한 후 상판(41)과 하판(42)을 함께 상측으로 들어 울리면 버(120)의 하측으로 형성된 버지지체(121)가 버고정홈(7a)에서 분리되며, 분리 후에는 상판(41)과 하판(42)의 분리핀내입공(43)이 서로 일치하도록 하면 버분리용 치구(40)에서 버(120)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1) 및 금형(1)에서의 버(120) 제거방법에 의하면 립부(110) 내측으로 형성되는 버(120)가 더스트 커버(100)를 금형(1)에서 취출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으로, 립부(110) 내측의 버(120) 미분리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하부코어(7) 쪽에 잔존하게 되는 버(120)를 에어건(20)이나 밀판(30) 또는 버분리용 치구(40)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더스트 커버(100) 성형에 적용할 경우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면서도 제품 품질 개선과, 인건비 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2:상판
3:하판 4:상형
5:하형 6:상부코어
6a:립성형돌기 6b:버용 돌기
6c:분리핀 성형홈 7:하부코어
7a:버고정홈 20:에어건
30:밀판 40:버분리용 치구
41:상판 42:하판
43:분리핀내입공 100:더스트 커버
110:립부 120:버
121:버지지체 122:중공부
123:분리핀 130:몸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하판(2)(3)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4)(5)을 복수로 형성하고, 상형(4) 쪽에 상부코어(6)가 하형(5) 쪽에 하부코어(7)가 구비된 통상의 링 타입 더스트 커버(100)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코어(7)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7a)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코어(6)의 립성형돌기(6a)에는 상부코어(6) 내측으로 위치하는 분리핀 성형홈(6c)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100)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취출할 때 립부(110) 내측으로 형성된 버(120)가 하부코어(7)의 버고정홈(7a) 내에 형성된 버지지체(121)에 지지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100)에서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4. 하부코어(7)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7a)을 형성하고;
    상부코어(6)의 립성형돌기(6a)에는 상부코어(6)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핀 성형홈(6c)을 형성한 청구항 3의 더스트 커버 성형금형(1)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취출할 때 립부(110) 내측으로 형성된 버(120)가 하부코어(7) 쪽에 결합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100)에서 분리된 버(120)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연질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밀판(30)을 버(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핀(123)과 직각으로 밀어 하부코어(7)에 형성되어 있는 버고정홈(7a) 내의 버지지체(121)를 포함하는 버(120)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5. 하부코어(7)의 상면에는 개구 쪽이 좁고 바닥 쪽이 넓은 함몰된 버고정홈(7a)을 형성하고;
    상부코어(6)의 립성형돌기(6a)에는 상부코어(6)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핀 성형홈(6c)을 형성한 청구항 3의 더스트 커버 성형금형(1)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성형한 후 금형에서 더스트 커버(100)를 취출할 때 립부(110) 내측으로 형성된 버(120)가 하부코어(7) 쪽에 결합된 상태로 더스트 커버(100)에서 분리된 버(120)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상판(41) 및 하판(42)을 적층상태에서 면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 버분리용 치구(40)의 상판(41)과 하판(42)에 형성된 분리핀내입공(43)으로 버(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분리핀(123)이 내입한 상태가 되도록 하부코어(7) 상측에 올리고,
    상판(41) 또는 하판(42)을 분리핀(123)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핀(123)에 상판(41)과 하판(42)에 의해 클램핑되게 한 후 버분리용 치구(40)를 하부코어(7)의 상측으로 들어올려 버고정홈(7a) 내의 버지지체(121)를 포함하는 버(120)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KR1020170069509A 2017-06-05 2017-06-05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KR10181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09A KR101815605B1 (ko) 2017-06-05 2017-06-05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09A KR101815605B1 (ko) 2017-06-05 2017-06-05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605B1 true KR101815605B1 (ko) 2018-01-05

Family

ID=6100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09A KR101815605B1 (ko) 2017-06-05 2017-06-05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648B1 (ko) 2018-03-16 2018-07-26 서장호 버 제거부를 구비한 금형장치
KR101882649B1 (ko) 2018-03-16 2018-07-26 서장호 버 제거부를 구비한 금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007Y1 (ko) * 2006-09-21 2006-12-07 주식회사 산양화학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WO2007029312A1 (ja) * 2005-09-06 2007-03-15 Toyo Tire & Rubber Co., Ltd. 金属-ゴム複合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KR100929412B1 (ko) 2009-04-23 2009-12-03 주식회사 산양화학 고무 금형
JP5814783B2 (ja) * 2011-12-27 2015-11-17 花王株式会社 バリ除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粉末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312A1 (ja) * 2005-09-06 2007-03-15 Toyo Tire & Rubber Co., Ltd. 金属-ゴム複合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KR200433007Y1 (ko) * 2006-09-21 2006-12-07 주식회사 산양화학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KR100929412B1 (ko) 2009-04-23 2009-12-03 주식회사 산양화학 고무 금형
JP5814783B2 (ja) * 2011-12-27 2015-11-17 花王株式会社 バリ除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粉末充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648B1 (ko) 2018-03-16 2018-07-26 서장호 버 제거부를 구비한 금형장치
KR101882649B1 (ko) 2018-03-16 2018-07-26 서장호 버 제거부를 구비한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2815B2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成形金型
KR101815605B1 (ko)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KR200433007Y1 (ko)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WO2014119534A1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011274B2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成形方法
KR101335530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200417838Y1 (ko)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KR101624301B1 (ko) 천 부착 사출물 성형 금형
KR20160111179A (ko)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KR20160040964A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CN210552782U (zh) 一种空调底壳模具
CN108515665B (zh) 注塑模具手动上嵌件滑块封胶机构
JPH036407Y2 (ko)
JP7461002B2 (ja) アンダーカット形状を有する成形品を製造する成形用型及びアンダーカット形状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CN205183530U (zh) 模具
KR100523547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프레임 성형용 금형
CN205255438U (zh) 铣胶口机构
CN215320263U (zh) 一种汽车进气室注塑模具
CN214294199U (zh) 一种便于更换内部模具的塑料模具
CN103846963B (zh) 一种汽车软内饰成型冲切一体式模具
CN210100522U (zh) 一种双色模具
CN112026110B (zh) 模具的脱模结构
CN210552450U (zh) 一种模具限位机构
CN112606175B (zh) 一种异形陶瓷的成型方法
KR20130022978A (ko) 디스트리뷰터에 연결되는 호스제조용 금형의 코아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