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179A -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179A
KR20160111179A KR1020150035993A KR20150035993A KR20160111179A KR 20160111179 A KR20160111179 A KR 20160111179A KR 1020150035993 A KR1020150035993 A KR 1020150035993A KR 20150035993 A KR20150035993 A KR 20150035993A KR 20160111179 A KR20160111179 A KR 2016011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molding
core
disposed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620B1 (ko
Inventor
권세욱
박태중
Original Assignee
(주) 대원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원씨앤알 filed Critical (주) 대원씨앤알
Priority to KR102015003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6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05Particular pressure exerting means for making definit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공간 내에 주입된 고무를 열간 압착시켜 상부에 조립공이 형성되고 측벽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는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대향면에 분할금형들이 배치된 한 쌍의 슬라이딩 블럭이 좌우 진퇴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분할금형 사이에는 성형코어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에는 상호 밀착된 분할금형과 성형코어 사이로 고무를 강제 압입시켜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는 압착금형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성형코어는 중공의 코어몸체와, 상기 코어몸체의 중공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펀칭핀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코어의 하부에는 펀칭핀을 거상하는 거상로드를 포함하는 거상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분할금형들의 내벽과 성형코어 사이에 성형되어 고정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는, 거상로드에 의해 상승하여 조립공을 관통하는 펀칭핀에 의해 조립공의 내벽에 형성된 밀폐막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Wrinkle type dust cover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공간 내에 주입된 고무를 열간 압착시켜 상부에 조립공이 형성되고 측벽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는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축이음 부분에 먼지 유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무재로 구성된 링 타입 더스트 커버가 사용되고 있으며, 면접부의 강성과 함께 자유로운 절곡이 요구되는 바,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때 접지면에 지지링을 인스트하게 된다.
상기한 링 타입 더스트 커버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종래 금형은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형성하고, 하형의 상측에 수개의 지지링을 고정하는 핀을 형성하며, 성형되는 더스트 커버의 하단은 조금 오므려진 개구가 형성되고 이의 외측에는 고정링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게 한 것으로서, 하형의 상측에 지지링을 안치한 상태에서 상/하판을 밀착하고 상/하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상태에서 공간에 재료를 주입하여 링 타입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 타입 더스트 커버를 성형한 상태에서 금형을 분리하면 완성된 링 타입 더스트 커버는 하형에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런 상태에서 링 타입 더스트 커버를 취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상측 지지링 내측에 얇게 분리막을 형성한 상태로 더스트 커버를 형성한 다음 취출막에 홈을 형성한 후 이 홈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완성된 링 타입 더스트 커버를 하형에서 취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금형에 많게는 수십개의 캐비티가 적용됨을 감안할 때 상기한 방법으로 완성된 링 타입 더스트 커버를 취출할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취출 과정에서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제품이 쉽게 찢어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출된 링 타입 더스트 커버에서 취출막을 분리하는 작업을 별도로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던 것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업계에서는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20-0417838(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를 비롯하여 제 20-0433007(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호에서는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복수로 형성하고, 각 하형의 상측에 지지링을 고정하는 수개의 핀을 형성하며, 하형 쪽에 코어가 형성된 통상의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커버몸체성형부 상단과, 지지링받침부 사이를 경계로 하여 상/하측부재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하형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내입되도록 하측부재에 결합한 제1취출봉과, 제1취출봉 내측에 삽입되고 제1취출봉 보다 길이가 길며, 상측부재에 결합되는 제2취출봉과, 길이가 서로 다른 제1취출봉과 제2취출봉의 말단에 형성된 받침턱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부재를 하측 부재에 긴밀하게 결합하는 복원스프링과, 제1취출봉이 하형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승을 제한하도록 제 1취출봉의 중간에 형성하여 결합공에 걸림되게 한 걸림턱과, 상기 제 2취출봉에 결합되는 거상판을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형에 승강코어를 배치하면, 성형 공간부 내에서 성형된 더스트 커버의 안정적인 탈형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더스트 커버에 형성된 설치공에는 박막의 밀폐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은 작업자가 후작업을 통해 상기 설치공에 형성된 박막의 밀폐막을 별도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이 요구되었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저하와 함께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를 성형공간 내에서 취출하는 과정에 더스크 커버의 조립공에 형성된 밀폐막이 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더스트 커버의 외벽을 성형하는 분할금형들의 간소화된 분할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도록 한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는,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대향면에 분할금형들이 배치된 한 쌍의 슬라이딩 블럭이 좌우 진퇴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분할금형 사이에는 성형코어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에는 상호 밀착된 분할금형과 성형코어 사이로 고무를 강제 압입시켜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는 압착금형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성형코어는 중공의 코어몸체와, 상기 코어몸체의 중공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펀칭핀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코어의 하부에는 펀칭핀을 거상하는 거상로드를 포함하는 거상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분할금형들의 내벽과 성형코어 사이에 성형되어 고정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는, 거상로드에 의해 상승하여 조립공을 관통하는 펀칭핀에 의해 조립공의 내벽에 형성된 밀폐막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펀칭핀에 의해 밀폐막이 제거되면, 슬라이딩 블럭은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호 이격되며, 상기 성형코어의 외벽에 고정된 더스트 커버는 공기 주입기에 의해 조립공으로 강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서 성형코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베이스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슬라이딩 블럭의 대향면에는 경사진 경사면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경사면을 간섭시켜 슬라이딩 블럭을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분할로드가 배치되어서, 상기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은 상승하는 분할로드와 경사면과의 간섭에 의해 외측으로 동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승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판이 배치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펀칭핀을 거상하는 거상로드와 슬라이딩 블럭의 경사면을 간섭하는 분할로드가 배치되어서, 단일 승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블럭의 분할 이동과 펀칭핀의 거상이 단계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금형장치는, 고무를 성형공간 내에 강제 압입시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를 열간 압착 성형함에 있어, 더스트 커버의 내벽형상을 성형하는 성형코어에, 더스트 커버에 조립공에 형성된 밀폐막을 제거하는 펀칭핀을 부가하여 더스트 커버의 탈형과정에 조립공에 형성된 밀폐막의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를 취출한 다음 작업자가 직접 밀폐막을 임의 제거하는 작업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므로 공정의 간소화에 의해 더스트 커버의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이 이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베이스에 배치된 슬라이딩 블럭에 경사진 경사면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상승하는 분할로드와의 간섭에 의해 슬라이딩 블럭이 양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호 분할되므로, 고온의 슬라이딩 블럭을 작업자가 직접 양편으로 이동시킴에 따른 작업상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중공 지지부가 형성된 보조 베이스에 의해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은 지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고무의 열간 압축과정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이들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이 상호 분리되어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더스트 커버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과 도 4는 상기 도 2에서 하부 베이스에 배치된 슬라이딩 블럭과 승강코어의 평면 배치상태와; 슬라이딩 블럭의 진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를 통한 더스트 커버의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있어, 성형공간 내에 성형된 더스트 커버의 취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더스트 커버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과 도 4는 상기 도 2에서 하부 베이스에 배치된 슬라이딩 블럭과 승강코어의 평면 배치상태와; 슬라이딩 블럭의 진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를 통한 더스트 커버의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있어, 성형공간 내에 성형된 더스트 커버의 취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1)는, 고무(R)를 성형공간 내에 강제 투입 및 열간 압착시켜 상부에 조립공(H)이 형성된 중공의 더스트 커버(D)를 성형하는 전용장치로, 상기 더스트 커버(D)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조립공(H)이 형성되며 측벽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110)와; 상기 하부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압착금형(141)이 형성된 상부 베이스(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하부 베이스(110)를 승강부재와 이송부재에 의해 좌우 이동 및 상하 승강이 가능한 가동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베이스(140)는 하부 베이스(110)의 일편에 배치된 열간챔퍼(300) 내에 고정하여 배치된 고정형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이스의 승강 및 이송을 도모하는 승강부재 및 이송부재는, 이송 및 승강 실린더 구조, 볼 스크루 구조, 체인 이송구조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따른 세부적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110)에 좌우 진퇴를 통해 환형의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블럭(120, 120')을 배치하여,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진퇴에 의한 성형공간의 측면 개방을 통해 성형공간 내에서 성형된 더스트 커버(D)의 안정적인 취출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 한조를 이룬 한 쌍의 슬라이딩 블럭(120, 120')을 좌우 진퇴구조로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 진퇴구조로 배치된 각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대향면에는 주름진 내벽을 갖는 분할금형(121)이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분할금형(121) 사이에는 주림진 외벽을 갖는 성형코어(130)가 배치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상기 좌우 이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들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호 밀착되면 환형의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환형의 성형공간은 개방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밀착에 의해 형성된 환형의 성형공간 내에는 성형코어(130)가 수용되게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대향면에는 경사진 경사면(122)을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는 상호 밀착된 경사면(122)으로 상향 돌출되는 분할로드(220)를 갖는 거상부(200)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D)의 취출과정에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은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 상승하는 분할로드(220)와의 간섭에 의해 외측으로 동시에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우 이격되어서, 환형의 성형공간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110)와 상부 베이스(140) 사이에는 도 2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밀착된 분할금형(121)들을 감싸 지지하는 지지림(151)을 갖는 보조 베이스(150)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 보조 베이스(150)가 밀착되게 적층되면 하부 베이스(110)의 상부에서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들은 지지림(151)에 의해 외벽이 상호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서, 더스트 커버(D)의 성형과정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이 임의 분리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1)를 통한 더스트 커버(D)의 성형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자면, 최초 작업자는 도 5a와 같이 하부 베이스(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을 상호 밀착시켜 환형의 성형공간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상부에 고무(R)를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5b 및 도 5c와 같이 보조 베이스(150)를 하부 베이스(110)의 상부에 안착시켜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외벽을 지지림(151)이 지지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조 베이스(150)를 적층한 하부 베이스(110)는 상부 베이스(140)가 배치된 열간 챔퍼(300)로 이동 및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슬라이딩 블럭(120, 120')에 안착된 고무(R)는 상부 베이스(140)에 형성된 압착금형(141)에 의해 압착되면서 성형공간 내에 강제 압입 및 열간 압착되어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D)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베이스(140)와 하부 베이스(110) 및 보조금형(150)을 수용한 열간 챔퍼(300)는 흡기관(310)을 통해 열간챔퍼(300) 및 성형공간 내에 잔류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서, 열간 압축하여 성형되는 더스트 커버(D) 내에 기포가 잔류하는 현상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열간 압축에 의해 더스트 커버(D)의 성형이 완료되면 보조 베이스(150)를 적층한 하부 베이스(110)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후 취출과정을 통해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D)는 성형공간에서 탈형된다.
그런데, 상기 성형된 더스트 커버(D)의 조립공(H)에는 박막의 밀폐막(F)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더스트 커버(D)의 조립공(H)에 형성된 밀폐막(F)을 제거하는 전용의 구조를 부가하여, 별도 후공정을 통해 작업자가 밀폐막을 제거하는 공정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코어(130)를 중공의 코어몸체(131)와, 상기 코어몸체(131)의 중공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펀칭핀(132)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코어(130)의 하부에는 펀칭핀(132)을 거상하는 거상로드(210)를 갖는 거상부(200)를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분할금형(120, 120')들의 내벽과 성형코어(130) 사이에 성형되어 고정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D)는, 도 6a의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거상로드(210)에 의해 상승하여 조립공(H)을 상향 관통하는 펀칭핀(132)에 의해 조립공(H)의 내벽에 형성된 밀폐막(F)이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베이스(110)의 하부에 승강 실린더(240)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판(230)을 배치하고, 상기 승강판(230)에는 펀칭핀(132)을 거상하는 거상로드(210)와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경사면(122)을 간섭하는 분할로드(220)를 배치하여서, 단일 승강 실린더(240)의 신축에 의해 펀칭핀(132)의 거상을 통한 밀폐막(F)의 제거와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분할 이동을 통한 성형공간의 개방이 단계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즉, 승강판(130)의 상승에 의해 최초 거상로드(210)는 펀칭핀(132)을 거상시켜 더스트 커버(D)의 조립공에 형성된 밀폐막(F)을 제거하고, 이후 도 6c와 같이 분할로드(220)는 상호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의 경사면(122)을 간섭시켜 슬라이딩 블럭(120, 120')을 외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성형공간을 개방한다.
그리고, 분할로드와의 간섭에 의해 슬라이딩 블럭(120, 120')이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성형공간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도 6d와 같이 성형코어의 외벽에 형성된 더스트 커버(D)의 조립공(H)에 공기 주입기(N)를 통해 압축공기를 주입시켜서, 주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더스트 커버를 팽창시켜 더스트 커버(D)가 성형코어(1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1.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110. 하부 베이스
120, 120'. 슬라이딩 블럭 121. 분할금형
122. 경사홈
130. 성형코어 131. 코어몸체
131a. 위치 고정핀 132. 펀칭핀
140. 상부 베이스 141. 압착금형
150. 보조 베이스 151. 지지림
200. 거상부 210. 승강판
211. 승강 실린더 220. 거상로드
220. 분할로드 230. 승강판
240. 승강 실린더
300. 열간챔퍼 310. 흡기관
D. 더스트 커버 H. 조립공
F. 밀폐막

Claims (3)

  1.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대향면에 분할금형들이 배치된 한 쌍의 슬라이딩 블럭이 좌우 진퇴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분할금형 사이에는 성형코어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에는 상호 밀착된 분할금형과 성형코어 사이로 고무를 강제 압입시켜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는 압착금형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성형코어는 중공의 코어몸체와, 상기 코어몸체의 중공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펀칭핀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코어의 하부에는 펀칭핀을 거상하는 거상로드를 포함하는 거상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분할금형들의 내벽과 성형코어 사이에 성형되어 고정된 주름형의 더스트 커버는, 거상로드에 의해 상승하여 조립공을 관통하는 펀칭핀에 의해 조립공의 내벽에 형성된 밀폐막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핀에 의해 밀폐막이 제거되면, 슬라이딩 블럭은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호 이격되며, 상기 성형코어의 외벽에 고정된 더스트 커버는 공기 주입기에 의해 조립공으로 강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서 성형코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슬라이딩 블럭의 대향면에는 경사진 경사면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에는 경사면을 간섭시켜 슬라이딩 블럭을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분할로드가 배치되어서, 상기 밀착된 슬라이딩 블럭은 상승하는 분할로드와 경사면과의 간섭에 의해 외측으로 동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KR1020150035993A 2015-03-16 2015-03-16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KR10171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93A KR101715620B1 (ko) 2015-03-16 2015-03-16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993A KR101715620B1 (ko) 2015-03-16 2015-03-16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179A true KR20160111179A (ko) 2016-09-26
KR101715620B1 KR101715620B1 (ko) 2017-03-13

Family

ID=5706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993A KR101715620B1 (ko) 2015-03-16 2015-03-16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6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4714A (zh) * 2017-12-05 2018-05-04 苏州联开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新型half块开模结构
KR102161164B1 (ko) * 2019-04-30 2020-09-29 서한산업(주) 부트유닛 고정커버 어셈블리 조립용 지그 장치 및 조립 방법
KR102286658B1 (ko) * 2020-03-10 2021-08-05 서한산업(주) 등속조인트의 부트와 커버 내측 코킹용 지그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395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림스텍 에어취출 구조를 갖는 실리콘 제품 성형장치
KR200417838Y1 (ko) * 2006-02-27 2006-06-02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KR200433007Y1 (ko) * 2006-09-21 2006-12-07 주식회사 산양화학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KR20110023230A (ko) * 2009-08-31 2011-03-08 윤석관 주름관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395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림스텍 에어취출 구조를 갖는 실리콘 제품 성형장치
KR200417838Y1 (ko) * 2006-02-27 2006-06-02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KR200433007Y1 (ko) * 2006-09-21 2006-12-07 주식회사 산양화학 링 타입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KR20110023230A (ko) * 2009-08-31 2011-03-08 윤석관 주름관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4714A (zh) * 2017-12-05 2018-05-04 苏州联开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新型half块开模结构
KR102161164B1 (ko) * 2019-04-30 2020-09-29 서한산업(주) 부트유닛 고정커버 어셈블리 조립용 지그 장치 및 조립 방법
KR102286658B1 (ko) * 2020-03-10 2021-08-05 서한산업(주) 등속조인트의 부트와 커버 내측 코킹용 지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620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510B1 (ko) 타이어 가황 장치
EP0414908B1 (en) Mold for molding vulcanization
CN110814284B (zh) 活塞环铸造工艺
JP2008100239A (ja) プレス加工装置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KR101715620B1 (ko)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US6949213B1 (en) Vulcanizing mold for pneumatic tires
JP2013000780A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1889364B1 (ko) 유압식 캠 슬라이드 조립체를 가진 사출금형기
KR100490361B1 (ko) 진공흡입 디프­드로잉 성형용 금형
KR20200064460A (ko) 자동차 외부 패널 성형용 금형
CN209920342U (zh) 一种大型橡胶圈自动脱模装置
JP2000052348A (ja) 空気ばね用ダイヤフラムの加硫金型
KR20190031009A (ko) 반응고 단조성형장치
JP7230866B2 (ja) プレス型
KR101522937B1 (ko) 2단 취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WO2009157949A1 (en) Mold for tire with floating mold back ring
JP2001026020A (ja) タイヤ加硫用分割モールド
EP1106322B1 (en) Vulcanizing mold for pneumatic tires
KR101660711B1 (ko) 개량된 취출구조를 갖는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JP2009226611A (ja) タイヤ加硫成形型及びタイヤ加硫成形方法
KR101788475B1 (ko) 언더컷 성형이 가능한 단조용 금형 장치
CN220923061U (zh) 一种振动平台用动圈模具
JP2004314147A (ja) プレス成形用複合金型
CN214645439U (zh) 一种芯轴侧抽模具
KR20160055582A (ko) 교체식 사출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