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582A - 교체식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교체식 사출 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5582A KR20160055582A KR1020140155571A KR20140155571A KR20160055582A KR 20160055582 A KR20160055582 A KR 20160055582A KR 1020140155571 A KR1020140155571 A KR 1020140155571A KR 20140155571 A KR20140155571 A KR 20140155571A KR 20160055582 A KR20160055582 A KR 201600555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ejector
- mold
- movable
- mounting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교체식 사출 금형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교체식 사출 금형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교체식 사출 금형의 상하부 코어 및 상부 이젝터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110: 고정측 설치판 120: 고정측 형판
121: 제1 가이드 레일 122: 관통구
130: 상부 코어 131: 제1 슬라이드 레일
140: 상부 지지 블럭 150: 상부 고정 볼트
200: 하부 금형
210: 가동측 설치판 220: 스페이서 블록
230: 하부 이젝터 플레이트 240: 상부 이젝터 플레이트
241: 이젝터 핀 250: 가동측 형판
251: 제2 가이드 레일 252: 관통구
260: 하부 코어 261: 제2 슬라이드 레일
262: 이젝터 핀 홀 270: 하부 지지 블럭
280: 하부 고정 볼트 290: 코일 스프링
Claims (4)
- 상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측 설치판; 상기 고정측 설치판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면서 대향하는 양측 면에 제1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고정측 형판; 및 상기 고정측 형판 사이에 밀어 끼우도록 양측 단부에 제1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면서 제품의 상측 부분을 성형하도록 형성된 상부 코어;를 포함하는 상부 금형과,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가동측 설치판; 상기 가동측 설치판의 상측에 고정 설치하되, 양측 사이에 빈 승강 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 블록; 상기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바닥을 통해 승강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이젝터 플레이트; 상기 하부 이젝터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측으로 이젝터 핀이 돌출된 상부 이젝터 플레이트;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면서 대향하는 양측 면에 제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가동측 형판; 및 상기 가동측 형판 사이에 밀어 끼우도록 양측 단부에 제2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면서 제품의 하측 부분을 성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 핀이 관통하도록 이젝터 핀 홀이 형성된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사출 금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의 전후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하부 코어의 전후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하부 지지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사출 금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상하부 코어의 측면을 압착하는 상하부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사출 금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어의 이젝터 핀 홀에는 상기 상부 이젝터 플레이트의 이젝터 핀이 끼워진 상태로 승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코어와 상부 이젝터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상부 이젝터 플레이트를 밀어내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사출 금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571A KR20160055582A (ko) | 2014-11-10 | 2014-11-10 | 교체식 사출 금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571A KR20160055582A (ko) | 2014-11-10 | 2014-11-10 | 교체식 사출 금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5582A true KR20160055582A (ko) | 2016-05-18 |
Family
ID=5611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5571A Ceased KR20160055582A (ko) | 2014-11-10 | 2014-11-10 | 교체식 사출 금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5558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343B1 (ko) | 2021-12-03 | 2022-07-11 | 주식회사 메인텍 | 코어 교체형 금형 |
-
2014
- 2014-11-10 KR KR1020140155571A patent/KR20160055582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343B1 (ko) | 2021-12-03 | 2022-07-11 | 주식회사 메인텍 | 코어 교체형 금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18333B (zh) | 薄型注射成型装置 | |
KR101183171B1 (ko) |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 |
KR101519949B1 (ko) |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 |
CN206106278U (zh) | 顶出机构及注塑模具 | |
CN204842855U (zh) | 一种全自动注蜡机夹具 | |
CN208978150U (zh) | 一种利用斜滑块脱模的模具 | |
JP2009208091A (ja) | 成型装置 | |
KR20160055582A (ko) | 교체식 사출 금형 | |
KR20160111179A (ko) |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 |
CN110861208B (zh) | 一种大吨位压机的换模系统 | |
KR20190031009A (ko) | 반응고 단조성형장치 | |
CN104325110B (zh) | 一种用于制造风扇扇叶的模具 | |
CN207224475U (zh) | 一种便于更换模仁的模架 | |
KR20160092457A (ko) | 슬림 사출금형장치 | |
JP5553813B2 (ja) | 中間金型支持装置および金型装置 | |
KR101522937B1 (ko) | 2단 취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 |
CN214645439U (zh) | 一种芯轴侧抽模具 | |
KR200389842Y1 (ko) | 사출물의 부착방지장치가 구비된 금형장치 | |
CN206356558U (zh) | 传动件的压铸模具 | |
CN209521230U (zh) | 脱模力最大化的顶出机构模具模架 | |
KR100922362B1 (ko) | 사무용 가구의 상판 테두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CN106804773B (zh) | 一种紧压茶模板结构 | |
CN218049935U (zh) | 一种侧板一次成型复合模具 | |
KR20150033860A (ko) | 사출성형장치 | |
KR101127811B1 (ko) | 금형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