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343B1 - 코어 교체형 금형 - Google Patents

코어 교체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343B1
KR102419343B1 KR1020210171785A KR20210171785A KR102419343B1 KR 102419343 B1 KR102419343 B1 KR 102419343B1 KR 1020210171785 A KR1020210171785 A KR 1020210171785A KR 20210171785 A KR20210171785 A KR 20210171785A KR 102419343 B1 KR102419343 B1 KR 102419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lock
groove
disk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to KR102021017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6Hand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e.g. mould exchan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교체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코어 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 상기 코어 배치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로 인출될 수 있는 코어부, 상기 원판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를 상기 코어 배치홈 내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 및 상기 원판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코어부가 상기 코어 배치홈의 기준면과 접하도록 가압하는 기준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분리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 배치홈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 교체형 금형{MOLD FOR EXCHANGEABLE CORE}
본 발명은 성형공간이 형성된 코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코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 생산 효율을 높인 코어 교체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성형공간에 용융수지 주입 및 고화 후 취출하여 사출물을 성형하는 금형은 상원판과 하원판의 사이에 사출물의 형상에 맞는 형상을 갖춘 상코어와 하코어가 구비되며 상코어와 하코어의 사이에 용융수지를 주입한다.
코어(상코어, 하코어)는 원판(상원판, 하원판)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사방이 막힌 형상의 코어 배치홈에 삽입 고정된다. 코어는 사출물의 형상, 종류 등에 따라 원판에서 교체될 수 있다.
코어 교체를 위해 원판과 상기 원판이 결합된 고정판을 분리한 후 코어를 원판에서 분리해야 했다. 그리고 원판에 다리, 코어에서 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한 밀판 따위가 설치된 경우 금형을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를 모두 분해 후 코어를 교체해야 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5582호 (2016.05.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9278호 (2009.01.12.)
본 발명은 코어를 원판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 작업이 용이한 코어 교체형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원판에 고정된 코어의 결합력을 높여 코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사출물 생산성을 높인 코어 교체형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교체형 금형은 일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코어 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 상기 코어 배치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로 인출될 수 있는 코어부, 상기 원판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를 상기 코어 배치홈 내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 및 상기 원판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코어부가 상기 코어 배치홈의 기준면과 접하도록 가압하는 기준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의 분리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 배치홈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코어 교체형 금형은 상기 코어부와 상기 원판부에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부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시키는 취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출부는 상기 코어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승으로 상기 코어부의 성형홈으로 인출될 수 있는 가압로드, 상기 코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인출된 상기 가압로드가 인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로드와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로드와 상기 구동로드의 분리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원판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원판부에는 상기 코어 배치홈과 연결된 가압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 가압부는 상기 가압홀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판부와 결합된 설치 브래킷, 상기 설치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홀을 통해 상기 코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부와 상기 설치 브래킷의 사이에서 상기 코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코어부를 상기 기준면으로 가압하는 기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면은 제1 기준면과 상기 제1 기준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 기준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기준 가압부는 상기 코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과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교체형 금형은 상기 원판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부를 고정하고 있는 락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원판부의 내부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원판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락본체, 상기 락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부분이 상기 코어부에 형성된 락홈에 걸려 있는 락코어, 상기 락코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원판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락코어의 일부분이 상기 락홈에서 벗어나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락레버 및 상기 락본체와 상기 원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락코어가 상기 락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락본체에 상기 락본체가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락 탄성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락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락코어를 가압하여 상기 락홈에 걸리도록 가압하는 락코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본체에는 상기 락코어가 위치하는 락코어홈과 상기 락코어홈과 연결되어 상기 락코어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락코어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락코어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락 탄성 인출부는 상기 원판부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 브래킷, 상기 탄성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락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걸림턱이 형성된 탄성 가이드 로드 및 상기 탄성 브래킷과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락본체가 상기 원판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락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판부에서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코어 배치홈의 코어부는 코어 배치홈의 개방부를 통해 원판부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원판부와 연결된 고정판, 다리 등을 분리하지 않고 코어부를 분리하므로 작업자의 코어부 교체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의 성형홈에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취출부가 코어부 및 원판부에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취출부의 분리된 가압로드와 구동로드가 사출물 취출시에만 접하므로 취출부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코어부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코어부의 분리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부의 고정부와 락킹유닛에 의해 코어부는 코어 배치홈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코어부가 원판부의 내부에서 이중 구조로 고정되어 있어 코어부는 코어 배치홈에서 사출물 성형 시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사출물 성형 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사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의 분실, 미결합 시 락킹유닛의 고정만으로 코어부는 코어 배치홈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코어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교체형 금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어 교체형 금형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금형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금형을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의 하금형 취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락킹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락킹유닛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락코어가 코어부를 락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락코어가 코어부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상금형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3는 상금형을 ⅩⅣ-Ⅹ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교체형 금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교체형 금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어 교체형 금형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금형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하금형을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고정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3의 하금형 취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1의 락킹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락킹유닛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락코어가 코어부를 락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락코어가 코어부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3의 상금형 분해도이며, 도 14는 도 13는 상금형을 ⅩⅣ-Ⅹ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 교체형 금형(1)은 상금형(100)과 하금형(200)을 포함한다. 상금형(100)과 하금형(200)은 각각 원판부(110, 210), 코어부(120, 220), 기준 가압부(130, 230), 고정부(140, 240) 및 락킹유닛(150, 250)을 포함하며 원판부(110, 210)에서 코어부(120, 2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사출물 생산성을 높인다. 하금형(100)은 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부(160)를 더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하금형(100)의 원판부(110), 코어부(120), 기준 가압부(130), 취출부(160) 및 락킹유닛(15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원판부(110)는 다리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지지로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원판부(110)의 아래에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으로 승강할 수 있는 밀판(도면 도 2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원판부(110)의 내부에는 상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개방된 코어 배치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코어 배치홈(111)은 전면으로 개방부(111c)를 갖는다. 코어 배치홈(111)의 양측 둘레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홈(111d)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111d)은 코어 배치홈(111)의 양측 둘레 하단이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코어 배치홈(111)의 양측 둘레면 상단에는 레일(112)이 배치되어 있다. 코어 배치홈(111)의 바닥에는 핀홀(111e)들이 형성되어 있다. 핀홀(111e)들은 코어 배치홈(111)의 바닥에서 원판부(110)의 하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코어 배치홈(111)은 제1 기준면(111a)을 가진다. 제1 기준면(111a)은 코어 배치홈(111)의 일측 둘레면이다. 제1 기준면(111a)과 마주하는 코어 배치홈(111)의 타측 둘레면에는 원판부(110)의 외측으로 개방된 기준 배치홀(111f)이 형성되어 있다. 기준 배치홀(111f)은 타측 둘레면의 길이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코어 배치홈(111)은 제2 기준면(111b)을 더 가질 수 있다. 제2 기준면(111b)은 제1 기준면(111a)과 직각을 이루며 개방된 전면과 마주하는 후면 부분이다. 기준면 설정은 코어 교체형 금형(1)의 설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기준면(111b)과 인접한 코어 배치홈(111)의 바닥면 부분에는 락 배치홀(111g)이 형성되어 있다. 락 배치홀(111g)은 코어 배치홈(111)의 바닥에서 원판부(110)를 상하 관통하고 있다. 락 배치홀(111g)은 원판부(110)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코어부(120)는 레일플레이트(121), 그리고 코어본체(122)를 포함하며 사출물의 형상에 따라 원판부(110)에서 교체될 수 있다.
레일플레이트(121)는 코어 배치홈(111)의 바닥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면접촉하고 있다. 레일플레이트(121)의 폭 방향 양단은 레일홈(111d)에 삽입되어 있다. 레일홈(111d)의 가이드로 레일플레이트(121)는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레일플레이트(121)가 코어 배치홈(111)에 위치한 상태에서 락 배치홀(111g)과 일치하는 부분에 락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락홈(121a)은 레일플레이트(121)의 하면이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본체(122)는 레일플레이트(121)의 상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 따위로 결합되어 있다. 코어본체(122)의 폭 방향 양측면은 레일(112)과 접하여 면접촉하고 있다. 코어본체(122)의 폭 방향 치수는 레일플레이트(121)의 폭 방향 치수보다 작다. 이에 코어부(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하부측(레일플레이트의 양단)은 레일홈(111d)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측(코어본체의 측면)은 레일(112)과 접하고 있다. 이에 코어부(120)는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코어본체(122)의 상면에는 수지가 유동하는 유동라인(122b)과 사출물 성형을 위한 성형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유동라인(122b)과 성형홈(122a)은 코어본체(122)의 상면이 기설정된 모양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유동라인(122b)과 성형홈(122a)은 사출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성형홈(122a)의 바닥에는 하면 방향으로 로드홀(122c)이 관통되어 있다. 로드홀(122c)은 레일플레이트(121)로 연장되어 핀홀(111e)과 연결되어 있다. 로드홀(122c)은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성형홈(122a)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준 가압부(130)는 설치 브래킷(131), 가이드 로드(132) 및 기준 탄성부재(133)를 포함하며 원판부(110)에 결합되어 코어부(120)에 압력을 가하여 기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설치 브래킷(131)은 원판부(110)의 타측 외측에서 원판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체결수단으로 원판부(110)와 결합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131)의 중앙 부분은 기준 배치홀(111f)의 중심과 일치한다.
가이드 로드(132)는 일측이 설치 브래킷(131)의 중앙을 관통하여 코어본체(122)의 측면에 체결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32)의 외부와 설치 브래킷의 그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32)의 타측은 설치 브래킷(13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기준 탄성부재(133)는 기준 배치홀(111f)에 위치하여 가이드 로드(132)에 결속되어 있으며 일단은 코어본체(122)의 타측과 접하며 타단은 설치 브래킷(131)과 접하고 있다. 설치 브래킷(131)이 체결수단으로 원판부(110)와 체결되어 있으며 기준 탄성부재(133)는 이와 마주하는 제1 기준면(111a)의 방향으로 코어부(120)에 탄성력을 가한다. 기준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코어부(120)는 제1 기준면(111a)과 접하여 정 위치에 있다.
고정부(140)는 고정블록(141)과 체결수단(142)을 포함하며 코어부(120)를 원판부(110)에 고정하여 코어 배치홈(111)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고정블록(141)은 평면에서 보면 기역자 모양이다. 고정블록(141)의 일측은 원판부(110)의 전면에 체결수단(142)으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블록(141)의 타측은 개방부(111c)를 통해 코어 배치홈(111)에 위치하여 코어본체(122)의 전면과 접하고 있다. 고정블록(141)은 개방부(111c)의 주변부에서 코어부(120)를 제2 기준면(111b)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고정부(140)는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가압부(13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설치 브래킷(131)은 개방부(111c)에 위치하여 원판부(110)의 전면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로드(132)가 설치 브래킷(131)을 관통하여 코어본체(122)의 전면에 체결되어 있다. 기준 탄성부재(133)는 코어본체(122)의 전면과 설치 브래킷(131)의 사이에 배치되어 코어부(120)가 제2 기준면(111b)과 접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원판부(110)의 측면에 배치된 기준 가압부(130)와 원판부(110)의 전면에 배치된 고정부(14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코어부(120)는 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40)가 원판부(1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코어부(120)를 인출하기 위해 코어본체(122)의 전면에는 분리공구(300)기 체결될 수 있다. 분리공구(300)는 코어 배치홈(111)의 개방부(111c)를 통해 코어본체(122)와 체결된다. 분리공구(300)는 코어부(120)의 인출 또는 인입 시 코어본체(122)와 체결된다.
취출부(160)는 가압로드(161), 탄성부재(162) 및 구동로드(163)를 포함하며 코어부(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분리되어 있으며 상승으로 성형홈(122a)의 사출물을 인출시킨다.
가압로드(161)는 로드홀(122c)마다 배치되어 있다. 가압로드(161)의 하단은 로드홀(122c)의 하부 단차와 접하고 있다. 가이드 로드(132)는 외력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로드(161)의 하단은 로드홀(122c)의 하부 단차에서 떨어지면서 상단이 성형홈(122a)으로 인출되어 성형홈(122a)의 사출물에 압력을 가하여 취출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62)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로드홀(122c)에 위치하고 있다. 탄성부재(162)의 상단은 로드홀(122c)의 상부 단차와 접하고 있으며 하단은 가압로드(161)의 하단과 접하고 있다. 탄성부재(162)는 상승하는 가압로드(161)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며 가압로드(161)의 외력이 제거되면 가압로드(161)가 하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때 성형홈(122a)으로 인출된 가압로드(161)는 로드홀(122c)로 인입될 수 있다.
구동로드(163)는 밀판(170)에 지지되어 상단이 핀홀(111e)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로드(163)의 상단은 로드홀(122c)을 벗어나 있다. 그러나 구동로드(163)의 상단은 밀판(170)의 상승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로드홀(122c)로 삽입되어 가압로드(161)를 상승시킬 수 있다.
가압로드(161)와 탄성부재(162)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코어부(120)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로드(163)는 가압로드(161)와 떨어져 원판부(110)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코어부(120)는 취출부(160)에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하여 원판부(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락킹유닛(150)은 락본체(151), 락코어(152), 락 탄성 인출부(154) 및 락레버(153)를 포함하며 원판부(110)에 배치되어 고정부(140)와 함께 코어부(120)를 원판부(110)에 고정한다. 락킹유닛(150)은 락코어 고정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본체(151)는 락몸체 및 락몸체 덮개를 포함하며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락본체(151)는 락 배치홀(111g)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원판부(110)의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락본체(151)의 내부에는 락코어(152)가 위치하는 락코어홈(151a)이 형성되어 있다. 락코어홈(151a)의 바닥은 평면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다. 락본체(151)의 측면에는 락코어홈(151a)과 연결된 가이드홈(151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51b)은 락코어홈(151a)과 대응되게 평면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락본체(151)의 상면을 이루고 있는 락본체 덮개에는 락코어홈(151a)와 연결되어 락코어(152)의 일부분이 노출된 노출홀(151c)이 형성되어 있다.
락코어(152)는 측면에서 보면 니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락코어(152)의 하단은 락코어홈(151a)에 위치하여 가이드홈(131b)과 일치하고 있다. 락코어(152)의 상단은 노출홀(151c)을 통해 락본체(151)의 외부로 노출되어 락홈(121a)에 삽입되어 걸려 있다. 락코어(152)는 코어부(120)가 개방부(111c)로 인출되지 않도록 상단 일면이 락홈(121a)의 일면과 밀착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부(120)를 인출하기 위해 락코어(152)에 외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때 락코어(152)의 상단은 외력이 가해지면 락홈(121a)에서 벗어날 수 있다.
락코어 고정부(155)는 스프링과 강구로 이루어져 락본체(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강구의 일부분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노출홀(151c)로 돌출되어 락코어(152)와 접하여 가압하고 있다. 락코어 고정부(155)의 가압에 의해 락코어(152)의 상단 일면은 락홈(121a)의 일면과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락레버(153)는 원판부(110)의 외부에서 일단이 락 배치홀(111g)으로 삽입되어 락본체(151)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락레버(153)의 일단에는 가이드홈(151b)을 통해 락코어홈(151a)으로 삽입된 락힌지핀(153a)이 결합되어 있다. 락힌지핀(153a)은 락코어(152)의 하단을 관통하고 있다. 락코어(152)는 락힌지핀(153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판부(110)의 외부에서 락레버(153)를 당기면 락힌지핀(153a)이 가이드홈(131b)의 평면부와 경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락힌지핀(153a)이 평면부를 이동할 때 락코어(152)는 당겨진다. 락힌지핀(153a)이 평면부에서 경사부를 이동할 때 락코어(152)는 재쳐지면서 하단은 상승하고 상단은 락홈(121a)을 벗어나면서 락코어홈(151a)으로 삽입된다. 이때 재쳐지는 락코어(152)의 상단은 강구를 가압한다. 락레버(153)를 당기는 힘이 강구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힘보다 크므로 락코어(152)는 락코어홈(151a)으로 삽입되어 락홈(121a)을 완전하게 벗어날 수 있다.
락레버(153)가 원판부(110)의 외부로 당겨져 코어부(120)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고정부(140)를 원판부(110)에서 분리하면 원판부(110)에서 코어부(120)를 인출할 수 있다.
락 탄성 인출부(154)는 탄성 브래킷(154a), 가이드 로드(154b) 및 락 탄성부재(154c)를 포함하며 락코어(152)가 락홈(121a)에서 벗어나면 락본체(151)가 락 배치홀(111g)에서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 브래킷(154a)은 원판부(110)의 후방에 위치하여 양단이 원판부(110)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원판부(110)와 결합되어 있다. 탄성 브래킷(154a)의 중앙은 락본체(151)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탄성 브래킷(154a)은 원판부(110)와 결합되어 있어 락본체(151)를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가이드 로드(154b)는 평면에서 보면 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54b)는 탄성 브래킷(154a)의 외측에서 일단이 탄성 브래킷(154a)의 중앙을 관통하여 락본체(151)와 체결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54b)의 타단은 탄성 브래킷(154a)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가이드 로드(154b)와 탄성 브래킷(154a)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락본체(151)가 움직일 때 가이드 로드(132)는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락 탄성부재(162)는 탄성 브래킷(154a)과 가이드 로드(154b)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 로드(154b)를 감싸고 있다. 락 탄성부재(154c)는 압축되어 있으며 가이드 로드(154b)의 타단에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가이드 로드(154b)의 타단을 락본체(151)의 방향으로 밀면 락코어(152)는 전진하게 된다. 이때 락코어(152)의 상단 일면은 락홈(121a)에서 떨어진다. 원판부(110)의 후방으로 락레버(153)를 당기면 락힌지핀(153a)이 가이드홈(151b)을 따라 이동하면서 재쳐지면서 락홈(121a)에서 벗어난다. 락 탄성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락본체(151)는 락 배치홀(111g)에서 원판부(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에 락레버(153)를 당기지 않아도 락코어(152)가 락홈(121a)에서 벗어나면 락본체(151)는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상금형(200)의 원판부(210), 코어부(220), 기준 가압부(230) 및 락킹유닛(25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금형(200)의 원판부(210), 코어부(220), 기준 가압부(230) 및 락킹유닛(250)은 도 4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하금형의 원판부, 코어부, 기준 가압부 및 락킹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코어부(220)에는 성형홈이 생략되고 유동라인(122b)으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코어 교체형 금형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금형(100)과 상금형(200)의 코어부(120, 220)는 동일한 구조로 분리 결합되므로 중복된 설명의 생략을 위해 하금형(100)의 코어부(120) 분리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가압로드(161)는 탄성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홀(122c)에 인입되어 있다. 구동로드(163)는 밀판(170)의 하강으로 로드홀(122c)을 벗어나 핀홀(111e)에 위치하여 가압로드(161)와 떨어져 있다.
고정부(140)를 원판부(110)에서 분리하여 코어부(120)의 전면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분리공구(300)를 코어본체(122)에 결합한다.
한편, 락킹유닛(150)에 의해 코어부(12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락레버(153)를 원판부(110)의 후방으로 당긴다. 락코어(152)는 락홈(121a)에서 벗어나며 락 탄성부재(154c)의 탄성력에 의해 락본체(151)는 락 배치홀(111g)에서 원판부(110)의 외부로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고정부(140)와 락킹유닛(15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분리공구(300)를 당기어 코어부(120)를 코어 배치홈(111)에서 원판부(110)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에 하금형을 이루는 구성 요소를 전체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고정부(140)와 락킹유닛(150)의 고정 해제만으로 코어부(120)를 원판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코어 교체형 금형 100: 상금형
200: 하금형 110, 210: 원판부
111: 코어 배치홈 111a: 제1 기준면
111b: 제2 기준면 111c: 개방부
111d: 레일홈 111e: 핀홀
111f: 기준 배치홀 111g: 락 배치홀
112: 레일 120, 220: 코어부
121: 레일플레이트 121a: 락홈
122: 코어본체 122a: 성형홈
122b: 유동라인 122c: 로드홀
221: 주입홀 130, 230: 기준 가압부
131: 설치 브래킷 132: 가이드 로드
133: 기준 탄성부재 140, 240: 고정부
141: 고정블록 142: 체결수단
150, 250: 락킹유닛 151: 락본체
151a: 락코어홈 151b: 가이드홈
151c: 노출홀 152: 락코어
153: 락레버 153a: 락힌지핀
154: 락 탄성 인출부 154a: 탄성 브래킷
154b: 가이드 로드 154c: 락 탄성부재
155: 락코어 고정부 160: 취출부
161: 가압로드 162: 탄성부재
163: 구동로드 170: 밀판
300: 분리공구

Claims (10)

  1. 일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코어 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
    상기 코어 배치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로 인출될 수 있는 코어부;
    상기 원판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를 상기 코어 배치홈 내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
    상기 원판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코어부가 상기 코어 배치홈의 기준면과 접하도록 가압하는 기준 가압부; 및
    상기 원판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부를 고정하고 있는 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분리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 배치홈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직선 이동하여 분리되고,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원판부의 내부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상기 원판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락본체;
    상기 락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부분이 상기 코어부에 형성된 락홈에 걸려있는 락코어;
    상기 락코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원판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락코어의 일부분이 상기 락홈에서 벗어나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락레버; 및
    상기 락본체와 상기 원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락코어가 상기 락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락본체에 상기 락본체가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락 탄성 인출부를 포함하는,
    코어 교체형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상기 원판부에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부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시키는 취출부를 더 포함하는, 코어 교체형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코어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승으로 상기 코어부의 성형홈으로 인출될 수 있는 가압로드;
    상기 코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인출된 상기 가압로드가 인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로드와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드와 상기 구동로드의 분리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원판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코어 교체형 금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에는 상기 코어 배치홈과 연결된 가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가압부는
    상기 가압홀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판부와 결합된 설치 브래킷;
    상기 설치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홀을 통해 상기 코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부와 상기 설치 브래킷의 사이에서 상기 코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코어부를 상기 기준면으로 가압하는 기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코어 교체형 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제1 기준면과 상기 제1 기준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 기준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기준 가압부는 상기 코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과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코어 교체형 금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락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락코어를 가압하여 상기 락홈에 걸리도록 가압하는 락코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코어 교체형 금형.
  9. 제8항에서,
    상기 락본체에는 상기 락코어가 위치하는 락코어홈과 상기 락코어홈과 연결되어 상기 락코어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락코어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락코어 고정부가 배치되어 있는, 코어 교체형 금형.
  10. 제1항에서,
    상기 락 탄성 인출부는
    상기 원판부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 브래킷;
    상기 탄성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락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걸림턱이 형성된 탄성 가이드 로드; 및
    상기 탄성 브래킷과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락본체가 상기 원판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락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코어 교체형 금형.
KR1020210171785A 2021-12-03 2021-12-03 코어 교체형 금형 KR102419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85A KR102419343B1 (ko) 2021-12-03 2021-12-03 코어 교체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85A KR102419343B1 (ko) 2021-12-03 2021-12-03 코어 교체형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343B1 true KR102419343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785A KR102419343B1 (ko) 2021-12-03 2021-12-03 코어 교체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18122A (zh) * 2022-12-27 2023-05-16 江苏朗佑精密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塑形滑块运动机构及双塑成型模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420A (ja) * 1983-11-30 1985-06-22 Hitachi Ltd 成形用金型
JPH07276443A (ja) * 1994-04-12 1995-10-24 Minolta Co Ltd 金型装置
JPH0744463U (ja) * 1995-02-17 1995-11-21 株式会社精工舎 カセット式射出成形金型装置
KR100879278B1 (ko) 2008-05-30 2009-01-16 이정재 코어 교체용 사출금형
KR20160055582A (ko) 2014-11-10 2016-05-18 김범수 교체식 사출 금형
KR20180117438A (ko) * 2017-04-19 2018-10-29 임영은 내측 코어 유닛
CN109249587A (zh) * 2017-07-14 2019-01-22 上海建博精密塑胶模具有限公司 一种可快换模芯的注塑模具改进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420A (ja) * 1983-11-30 1985-06-22 Hitachi Ltd 成形用金型
JPH07276443A (ja) * 1994-04-12 1995-10-24 Minolta Co Ltd 金型装置
JPH0744463U (ja) * 1995-02-17 1995-11-21 株式会社精工舎 カセット式射出成形金型装置
KR100879278B1 (ko) 2008-05-30 2009-01-16 이정재 코어 교체용 사출금형
KR20160055582A (ko) 2014-11-10 2016-05-18 김범수 교체식 사출 금형
KR20180117438A (ko) * 2017-04-19 2018-10-29 임영은 내측 코어 유닛
CN109249587A (zh) * 2017-07-14 2019-01-22 上海建博精密塑胶模具有限公司 一种可快换模芯的注塑模具改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18122A (zh) * 2022-12-27 2023-05-16 江苏朗佑精密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塑形滑块运动机构及双塑成型模具
CN116118122B (zh) * 2022-12-27 2023-08-11 江苏朗佑精密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塑形滑块运动机构及双塑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343B1 (ko) 코어 교체형 금형
US8342838B2 (en) Mold with sliders
KR101036759B1 (ko) 사출금형
KR100879278B1 (ko) 코어 교체용 사출금형
CN108943608B (zh) 模具及其开模方法
KR101000626B1 (ko) 사출 성형기의 분리형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형판
US20160214297A1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00853712B1 (ko) 사출성형장치
JP6390367B2 (ja) 成形金型、及び金型段取り方法
US8425221B2 (en) Mold assembly having ejection mechanism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345552B1 (ko)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다단금형 성형제품의 취출 장치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JP2009096086A (ja)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及び金型
KR20090004630U (ko) 수직 수평 언더컷 취출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
CN211194329U (zh) 一种模具
CN211363334U (zh) 一种折叠叉子注塑模具的滑块弹出机构
CN217891686U (zh) 用于3v空气过滤器挡板的注塑模具
CN219820360U (zh) 大尺寸弧形塑胶件成型及顶出结构
CN220995320U (zh) 按键配件的成型模具
CN216760616U (zh) 一种穿筋线盒的注塑模具
CN211441001U (zh) 嵌入式顶出装置以及具有其的模具
JP3734738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KR102090585B1 (ko) 사출 금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