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496B1 -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 Google Patents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496B1
KR102119496B1 KR1020180135017A KR20180135017A KR102119496B1 KR 102119496 B1 KR102119496 B1 KR 102119496B1 KR 1020180135017 A KR1020180135017 A KR 1020180135017A KR 20180135017 A KR20180135017 A KR 20180135017A KR 102119496 B1 KR102119496 B1 KR 10211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protected
server
salv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936A (ko
Inventor
히로키 사와다
마사토 다마오키
에이스케 안도
마사토 엔도
구니아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08B21/0283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via a telephone network, e.g. cellular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구원 시스템은, 카메라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서버를 구비한다. 구원 시스템은, 카메라에서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서버는, (a)보호 대상자의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b)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 중에서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고, (c)선택된 선택 이동체에 대해서,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한다.

Description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AND SERVER USED FOR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본 개시는,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무단 외출하고 있는 보호 대상자를 차량으로 검출해서 보호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사회의 고령화에 수반하여, 인지증 등의 질병을 가진 고령자가 증가하고 있다. 자택에서 개호되고 있는 인지증 환자에 있어서는, 개호자의 부재중에 무단으로 외출하여, 행방불명이 되거나, 사고 등에 조우해버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령자나 미아가 된 유아 등을 수색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11906호 공보에 있어서는, 가두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나 차량 등의 이동체에 탑재된 이동형 카메라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당해 영상에 비추어진 명찰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된 사람이 수색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검색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18865호 공보에 있어서는, 인지증 환자 등의 유저가 몸에 착용하고 있는 악세서리의 시리얼넘버를, 당해 유저의 발견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판독해서 데이터 관리 회사로 송신하고, 당해 시리얼 넘버에 기초하여 유저를 특정하는 구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11906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수색에 사용하고 있고, 각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정보에 부수되어서 송신되는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의해, 판정한 수색 대상자의 위치를 특정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등의 이동체에 탑재된 이동형 카메라에 있어서는, 당해 이동체가 수색하고자 하는 에어리어 이외로 이동해버려, 수색 대상자를 도중에 놓치거나, 대상자의 수색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이동체에 탑재된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보호 대상자의 수색을 행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한 구원 시스템은,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구원 시스템이며, 검출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서버를 구비한다. 서버는, (a)보호 대상자의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b)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 중에서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고, (c)선택된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한다.
본 개시에 의한 구원 시스템에 의하면, 보호 대상자를 수색할 때에 서버는, 먼저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는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차량) 중에서 수색에 사용할 정보 수집용의 이동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동체(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수색 명령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보호 대상자의 일상의 행동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된 적절한 수색 에어리어 내의 적절한 위치의 이동체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수색이 실행된다. 따라서, 차량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 위치가 변동해도 보호 대상자를 놓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호 대상자를 효율적으로 수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정 수색 에어리어 내의 차량으로부터의 정보에 한정되므로, 차량과 서버 사이의 통신량을 제한할 수 있어, 서버에서의 정보 처리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선택 이동체는, 수색 명령을 받으면, 검출 장치에서 취득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선택 이동체로부터 취득한 정보로부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동체에서 취득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 측에서 보호 대상자의 특정이 행하여진다. 일반적으로, 서버 쪽이, 이동체보다도 많은 정보를 축적하고 있으며, 또한 처리 능력이 높은 제어 장치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서버 측에서 보호 대상자의 특정을 행함으로써, 정밀도가 좋은 보호 대상자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검출 장치는 카메라이다. 서버는, 선택 이동체로부터 송신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사용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서버는, 카메라의 영상에 포함되는 후보자의 특징에 기초하여, 후보자가 보호 대상자인 것을 특정한다. 상기의 특징은, 후보자에 관한 문자 정보, 의복, 소지품 및 행동 패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검출 장치로서 이동체에 탑재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보호 대상자는, ID 정보가 설정된 소지품을 소지하고 있다. 검출 장치는, ID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다. 서버는, 선택 이동체로부터 송신되는 ID 정보를 사용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서버는, 보호 대상자가 소지하고 있는 소지품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서버는,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 이동체는, 검출 장치에서 취득한 정보와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호 대상자를 특정함과 함께, 특정된 보호 대상자의 검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일부의 처리를 이동체 측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이동체와 서버 사이에서의 정보의 전달 및 서버에 있어서의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보호 대상자의 수색은, 의뢰자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실행된다. 서버는,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보호 대상자가 발견된 것을 의뢰자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발견된 것을, 빠르게 의뢰자에게 보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버는,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의 지켜봄을 실행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 이동체 측에서 계속해서 보호 대상자를 추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견된 보호 대상자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버는,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구원 단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의 구원을 의뢰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의뢰자가 바로 급히 달려올 수 없는 경우라도, 구원 단체의 담당자에 의해, 대상자의 보호를 행할 수 있다.
서버는, 선택 이동체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보호 레벨을 판정한다. 서버는, 보호 레벨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구원 단체에 구원을 의뢰한다. 보호 레벨은, 보호 대상자의 검출 위치, 검출 시간, 검출 시의 날씨 및 검출 시의 보호 대상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설정된다.
서버는, 보호 대상자가 검출된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밖일 경우에, 구원 단체에 구원을 의뢰한다.
서버는, 구원 단체에 대한 구원의 의뢰 시에, 보호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통지한다. 구원 단체는, 서버로부터 구원의 의뢰를 받으면, 위치 정보에 나타나는 장소로 담당자를 파견한다.
서버는, 의뢰자에의 통지에 대하여, 의뢰자로부터의 요청이 있었을 경우에, 구원 단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의 구원을 의뢰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발견되었을 때의 주위의 상황, 보호 대상자의 상태, 의뢰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결정되는 보호 레벨에 따라, 구원 단체에의 구원을 의뢰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보호 대상자가 특정되었다고 해도, 산책이나 쇼핑과 같은 통상의 행동을 행하고 있어, 구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보호 레벨에 따라 구원 단체에의 구원 요청의 필요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원 요청이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을 따르는 서버는,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구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버이다. 서버는, 검출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서버는, (a)보호 대상자를 수색하는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b)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 중에서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고, (c)선택된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을 따르는 방법은, 검출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구원 방법이다. 구원 방법은, 서버에 의해, (a)보호 대상자를 수색하는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는 스텝과, (b)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c)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 중에서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는 스텝과, (d)선택된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개시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및 서버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구원 시스템의 차량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구원 시스템의 차량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구원 시스템의 차량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구원 시스템의 차량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원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원 시스템(10)은, 복수의 이동체(100)와, 당해 이동체(100)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200)를 구비한다. 구원 시스템(10)은, 이동체(1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로부터 수색 의뢰된 대상자(이하, 「보호 대상자」라고도 칭한다.)를 수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동체(100)로서 차량을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고, 이하에서는 이동체(100)를 간단히 「차량(100)」이라고도 칭한다. 차량(100)에는, 자동차, 자동 2륜차, 자전거 등이 포함된다.
차량(100)과 서버(200)는, 예를 들어 인터넷 혹은 전화 회선 등의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100)과 서버(200)는,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을 행해도 된다.
의뢰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510) 혹은 자택의 퍼스널 컴퓨터(520) 등의 유저 단말기(500)를 조작하여, 대상자의 수색을 서버(200)에 의뢰한다. 의뢰를 수리한 서버(200)는, 차량(100)에 구비된 카메라나 각종 센서, 혹은, 길목이나 점포에 설치된 고정 카메라(6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정보를 사용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또한, 서버(200)는, 보호 대상자가 특정되면, 필요에 따라 구원 단체(400)에 당해 보호 대상자의 보호를 요청한다. 구원 단체(400)는, 예를 들어 시청이나 동사무소 등의 관공청, 경찰서, 소방서, 경비 회사, NPO(Non-Profitable Organization), 택시 회사 등의 공공 교통 기관 또는, 지역의 민생 위원 등이 포함된다. 혹은, 구원 단체(400)는, 당해 보호 대상자가 검출된 위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차량이나, 점포 등이어도 된다. 요청을 받은 구원 단체(400)는, 보호자가 도착할 때까지 보호 대상자를 일시적으로 확보하거나, 자택으로 데려다 주거나 한다.
(차량 및 서버의 구성)
도 2는, 도 1의 차량(100) 및 서버(200)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차량(100)은, 카메라(110)와, 센서(120)와, 제어 장치(130)와, 기억부(140)와, 위치 검출부(150)와, 통신부(160)와, 표시부(170)와, 음성 출력부(180)를 구비한다.
통신부(160)는, 차량(100)과 통신 네트워크(30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차량(100)은, 통신부(160)를 통해, 서버(200)와의 정보의 전달을 행한다.
카메라(110)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이며, 차량(100)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110)는, 예를 들어 차량(100)이 사고 등에 조우했을 때의 영상을 남겨두기 위한 드라이브 레코더의 일부로서 탑재된다. 카메라(110)로 촬영된 영상은, 통신부(160)를 통해 서버(200)로 송신된다. 또한, 카메라(110)에 의한 촬상은, 차량(100)이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한정되지 않고, 주차장 등에 정차하고 있는 동안에도 실행된다.
센서(120)는, 예를 들어 ID 태그 등에 기억된 정보를 무선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 장치, 혹은, 바코드나 QR 코드(등록 상표)(이차원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 등이다. 센서(120)에서 취득된 정보는, 통신부(160)를 통해 서버(200)에 송신되어,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의 카메라(110) 및 센서(120)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에 대응한다.
위치 검출부(150)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에 탑재되어 있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여, 자차량의 절대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검출부(150)는, 취득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출력한다.
표시부(170)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되며, 차량(100)이 취득한 각종 정보 및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정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예를 들어 차량(100)의 윈도우에 형성되어 있고, 차 밖의 사람(예를 들어, 보호 대상자)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음성 출력부(180)와 함께 표시부(170)를 통해서 텔레비전 전화와 같이 대화를 행하거나, 표시부(170)에 표시된 질문에 터치 조작에 의해 회답함으로써 의사 소통을 도모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130)는, 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지만,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 및 입출력 버퍼를 포함하고, 차량(100)의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 장치(130)는, 서버(200)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수색 명령을 받으면, 검출 장치(카메라(110) 및/또는 센서(120))에 의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한다. 또한, 차량(100)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의 특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130)는,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보호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기억부(140)에 기억하고, 검출 장치에서 취득한 정보와 기억부(140)에 기억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서버(200)는, 제어부(210)와, 기억부(220)와, 통신부(230)를 구비한다. 제어부(210)는, 보호 대상자 판정부(212)와, 대응 판단부(214)를 포함한다.
통신부(230)는, 서버(200)와 통신 네트워크(30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서버(200)는, 통신부(230)를 통해, 차량(100) 및 구원 단체(400) 등과의 정보의 전달을 행한다.
기억부(220)에는,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특징에 관한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특징으로서는, 보호 대상자의 성명, 주소 및 연락처 등의 문자 정보, 보호 대상자의 얼굴 사진 등의 화상 정보, 보호 대상자가 즐겨 입는 의복이나 소지품(모자, 장갑, 구두, 가방 등)의 특징, 혹은, 보호 대상자의 걸음걸이나 몸짓 등의 특징적인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210)에 포함되는 보호 대상자 판정부(212)는, 차량(100)의 카메라(110)에서 취득된 영상 정보, 및/또는, 센서(120)에서 취득된 정보를 받는다. 보호 대상자 판정부(212)는, 카메라(110)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해석하고, 영상에 포함되는 인물(후보자)의 얼굴, 의복 및 소지품의 특징을 검출함과 함께, 영상에 포함되는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 보호 대상자 판정부(212)는, 이들 정보와,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영상에 포함되는 후보자가 수색 의뢰되어 있는 보호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보호 대상자 판정부(212)는, 센서(120)로 추출한 ID 정보와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110)로부터의 영상(동영상)으로부터, 후보자의 행동 패턴을 빅 데이터 해석에 의해 추출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도 된다.
대응 판단부(214)는, 보호 대상자 판정부(212)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인 것이 특정된 경우에, 어떤 액션을 실행할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 판단부(214)는, 수색 의뢰자에 대하여 대상이 발견된 것을 통지할지 여부 및, 구원 단체에의 구원의 요청을 행할지 여부에 대해서, 기억부(220)에 기억된 기준에 따라 판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색해야 할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이 행하여진다. 많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넓은 범위에 분포한 많은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로 되지만, 너무 많은 차량으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하면, 서버와 차량 사이의 정보 통신량이 증대하고, 나아가 서버에서의 처리 부하도 증대한다.
일반적으로, 인지증 환자와 같은 보호 대상자의 통상의 행동 범위는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다. 정보량을 제한하기 위해서, 정보를 모으는 차량을 고정적으로 정해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차량은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 대상자가 통상의 행동 범위 외로 나가버리면, 불필요한 정보가 송신되거나, 보호 대상자를 놓쳐버릴 것이 염려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의뢰자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수색이 의뢰된 경우에, 수색해야 할 보호 대상자에 대한 수색 에어리어를 미리 설정함과 함께, 설정된 수색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차량 중에서, 당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수집해야 할 차량을 설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호 대상자의 행동 범위에 기초해서 정해진 적절한 수색 에어리어 내의 적절한 위치의 차량으로부터의 정보만을 사용하여,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차량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 위치가 변동해도 보호 대상자를 놓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호 대상자를 효율적으로 수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정 수색 에어리어 내의 차량으로부터의 정보에 한정되므로, 차량과 서버 사이의 불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을 억제할 수 있다.
(제어 내용의 설명)
도 3은, 실시 형태 1을 따르는 구원 시스템(10)의, 차량(100) 및 서버(200)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흐름도는, 차량(100)의 제어 장치(130) 및 서버(200)의 제어부(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메인 루틴으로부터 호출되어, 소정 주기로, 혹은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실행된다. 혹은, 흐름도의 일부 또는 전부의 스텝에 대해서는, 전용의 하드웨어(전자 회로)에서 처리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서버(200)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서버(200)는, 스텝(이하, 스텝을 S라 약칭한다.)100에서, 의뢰자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수색 의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의뢰자로부터의 수색 의뢰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S100에서 NO)는, 처리가 S100으로 되돌려진다. 한편, 의뢰자로부터의 수색 의뢰가 되었을 경우(S100에서 YES)는, 처리가 S105로 진행되고, 서버(200)는, 의뢰가 있었던 보호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기억부(220)로부터 취득한다. 보호 대상자의 정보에 대해서는, 미리 기억부(220)에 등록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의뢰된 날에 입고 있었던 의복이나 소지품에 관한 구체적인 특징과 같은, 의뢰자로부터의 의뢰와 함께 주어진 정보여도 된다.
서버(200)는, 보호 대상자의 정보를 취득하면, 처리를 S110으로 진행하고,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는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한다. 이 수색 에어리어는, 바람직하게는 보호 대상자의 통상의 행동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수색 에어리어는, 예를 들어 자택에서 20km의 범위 내와 같이, 보호 대상자의 주소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되고, 혹은 의뢰자에 의해 지정된 범위 내여도 된다.
서버(200)는, S115에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중에서 설정한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 중에서,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하는 차량(선택 이동체)을 적어도 1대 선택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S115에서, 당해 선택한 차량(100)에 대하여 수색 명령을 출력한다. 또한, 도시한 흐름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의 이동에 의해, 선택된 차량이 수색 에어리어 밖으로 나가거나, 혹은 새로운 차량이 수색 에어리어 내에 진입해 온 경우에는, 수색에 사용하는 차량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이 수색 명령에 대하여, 선택된 차량(100) 중에서,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면(S125), 서버(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후보자가 수색 의뢰를 받은 보호 대상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
후보자가 보호 대상자가 아닐 경우(S130에서 NO)는, 처리가 S125로 되돌려져서, 서버(200)는, 당해 혹은 다른 차량(100)으로부터의 정보를 다시 취득하고, 보호 대상자의 정보와의 비교를 다시 행한다(S130).
후보자가 보호 대상자일 경우(S130에서 YES)는, 서버(200)는, S135에서, 수색 의뢰를 받은 보호 대상자가 발견된 것을 의뢰자에게 통지함과 함께, 수색을 실행하고 있는 각 차량(100)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가 발견된 위치 정보 및 보호 대상자의 특징에 관한 최신의 정보 등을 통지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각 차량(100)은, 발견된 보호 대상자의 지켜봄을 실행한다.
또한, 서버(200)는, S140에서, 경비 회사 혹은 발견 장소의 가장 가까운 경찰서 등의 구원 단체(400)에 대하여 보호 명령(구원 요청)을 송신한다. 구원의 의뢰를 받은 구원 단체에 있어서는,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보호 대상자의 위치 정보에 나타나는 장소에 담당자를 파견한다. 이와 같이, 발견된 보호 대상자의 구원을 구원 단체에 대하여 요청함으로써, 의뢰자가 바로 급히 달려올 수 없는 상황이여도, 보호 대상자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 후, S145에서, 서버(200)는, 의뢰자 혹은 당해 서버(200)의 관리자로부터, 수색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색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S145에서 NO)는, 처리가 S125로 진행되고, 서버(200)는, 보호 대상자의 수색 및 지켜봄을 계속한다. 한편, 수색 처리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S145에서 YES)는, 처리가 S150로 진행되고, 서버(200)는, 각 차량에 대하여 수색 종료 명령을 송신한다. 또한, S150에 있어서의 수색 종료 명령에 대해서는, 구원 단체(400)로부터의, 보호 대상자의 보호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차량(100) 측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는, 1대의 차량(100)으로 실행되는 처리가 도시되어 있으나, 서버(200)에 있어서 수색을 실행하는 차량으로서 복수의 차량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각 차량에 있어서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차량(100)은, S200에서, 서버(200)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수색 명령을 수신했는지 여부, 즉, 자차량이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서버(200)로부터 수색 명령을 받지 않은 경우(S200에서 NO)는, 처리가 S200로 되돌려져서, 서버(200)로부터의 수색 명령이 있을 때까지 수색 처리를 대기한다.
수색 명령을 수신한 경우(S200에서 YES)는, 처리가 S210으로 진행되고, 차량(100)은 수색 처리를 개시한다. 차량(100)은,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110) 및/또는 센서(120)에서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후보가 되는 인물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20).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보호 대상자의 특정을 서버(200)에서 실행하기 때문에, 차량(100)에 있어서의 후보자의 판정은, 예를 들어 검출한 인물의 개략의 크기(신장), 입고 있는 의복의 색이나 소지품의 종류와 같은, 개략적인 특징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후보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S220에서 NO)는, 처리가 S220로 되돌려져서, 차량(100)은, 후보자의 수색을 계속한다. 한편, 후보자가 검출된 경우(S220에서 YES)는, 처리가 S230로 진행되고, 차량(100)은, 카메라(110) 및/또는 센서(120)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한다.
서버(200)에 있어서 차량(100)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가 특정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 차량(100)은, S240에서, 보호 대상자가 검출된 위치의 정보 및 검출 시의 보호 대상자의 특징 등의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취득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지켜봄을 실행한다. 보호 대상자를 지켜 봄이란, 예를 들어 자차량 및 주위의 다른 차량에 의해, 특정된 보호 대상자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특정된 대상을 계속해서 지켜봄으로써, 시스템이 보호 대상자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차량(100)은, S250에서, 서버(200)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수색 종료 명령이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색 종료 명령을 받지 않은 경우(S250에서 NO)는, 처리가 S240로 되돌려져서, 보호 대상자의 지켜봄을 계속한다. 혹은, 보호 대상자가 카메라(110) 등의 시야로부터 벗어나버린 경우에는, S220으로 처리가 복귀되고, 다시 후보자의 수색을 실행해도 된다.
수색 종료 명령을 받은 경우(S250에서 YES)에는, 처리가 S260로 진행되고, 차량(100)은 수색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버(200)에서 보호 대상자의 특정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차량(100)은, S220으로 처리를 되돌리고, 다른 후보자의 수색을 계속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따라서 제어를 행함으로써, 의뢰자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수색이 의뢰되면, 설정한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특정 차량에 서버로부터 수색 명령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차량과 서버 사이의 통신량을 어느 정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서버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량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보호 대상자의 수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설정한 수색 에어리어 내에서의 차량 위치에 기초하여, 수색에 사용하는 차량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색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차량 측에서는 카메라 등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로부터 후보자를 검출하고, 최종적인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을 서버 측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호 대상자의 특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빅 데이터를 사용한 해석, 혹은 많은 등록 데이터와의 대조가 필요로 되지만, 이들의 처리를 처리 능력이 높은 서버로 행함으로써, 보호 대상자의 인식·특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을 서버 측에서 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에는, 많은 정보가 축적되어 있고, 또 처리 능력이 높은 제어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에 있어서 보다 정밀도가 높은 판정이 가능하다.
한편, 대상을 수색하는 차량의 수가 증가하면, 차량과 서버 사이에서 전달되는 정보의 총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통신에 걸리는 시간이 연장되거나, 서버에서의 처리 부하가 증가할 것이 염려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량 측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행함으로써, 차량과 서버 사이의 통신량을 삭감 함과 함께, 서버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구원 시스템(10)의 차량(100) 및 서버(200)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도 3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120, S125, S200, S220, S230이, 각각 S120A, S125A, S200A, S220A, S230A로 치환되고, 스텝 S130이 삭제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 3과 중복되는 스텝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서버(200)는, S115에서 수색을 실행하는 차량의 선택을 행하면, S120A에서, 선택된 차량(100)에 대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색 명령과 함께 송신한다.
차량(100)은, S200A에서,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수색 명령과 보호 대상자의 정보를 받으면, 당해 수색 명령에 따라 보호 대상자의 수색을 개시한다(S210). 그리고, 차량(100)은, S220A에 있어서, 서버(200)로부터 받은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110) 혹은 센서(120)에서 취득한 정보로부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한다.
또한, 차량(100)에 탑재된 제어 장치의 처리 능력 및 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은, 서버(200)에 구비되어 있는 것보다도 일반적으로는 뒤떨어진다. 그 때문에, 차량(100)에 있어서의 보호 대상자의 특정 처리는, 예를 들어 빅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 같은 높은 처리 능력을 필요로 하는 방법이 아니고, 비교적 적은 처리 부하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120)로 ID 정보를 판독해서 특정하는 처리, 혹은,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문자 정보를 추출해서 특정하는 처리 등에 대해서는, 차량(100)으로 실행할 수 있는 처리의 예이다.
차량(100)은,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보호 대상자의 검출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한다. 또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는 처리의 일부를 서버(200) 측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차량(100)은, S230A에 있어서, 서버(200)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필요로 되는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서버(200)는, 차량(100)으로부터 특정된 보호 대상자의 검출 정보를 받으면(S125A), 보호 대상자가 발견된 것을 의뢰자에 통지함과 함께(S135), 당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구원 단체(400)에 보호 대상자의 구원을 의뢰한다(S140).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버(200) 측에서도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는 처리의 일부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서버(200)는, 도 3에 있어서의 스텝 S130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따라 제어를 행함으로써, 보호 대상자의 인식 및 특정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차량 측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차량과 서버 사이의 통신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서버에서의 처리 부하를 저감하여, 보호 대상자의 수색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는, 보호 대상자를 발견하면, 항상 구원 단체에 구원 요청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대상이 산책이나 쇼핑 등의 통상의 행동을 하고 있을 경우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까지 구원 단체에 구원 요청을 하면, 불필요한 담당자의 출동이 발생하는 등, 오히려 비효율이 될 우려가 있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발견된 보호 대상자에 대해서, 발견 시의 당해 대상자의 상황 혹은 상태에 따라서 보호 레벨을 설정하고, 그 보호 레벨에 따라서 구원 요청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200)는, 도 2의 대응 판단부(214)에 있어서, 차량(100)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의 보호 레벨을 결정하고, 당해 보호 레벨과 기억부(220)에 기억된 기준의 비교에 의해, 실행해야 할 액션을 결정한다.
보호 레벨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보호 대상자가 검출된 위치, 검출된 시간, 검출 시의 날씨, 보호 대상자의 상태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호 대상자의 검출 위치에 대해서는, 교통량이 많은 장소, 혹은 강이나 연못 등의 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보호 레벨이 설정된다. 또한, 검출 시간에 대해서는, 낮, 야간, 심야 등에 따라 보호 레벨이 설정된다. 검출 시의 날씨에 대해서는, 강우량, 강설량, 풍속, 주의보나 경보의 발령 상황 등에 따라 보호 레벨이 설정된다. 보호 대상자의 행동 패턴에 대해서는, 걸음걸이가 만취 상태인지, 보호 대상자의 특징적인 버릇인지, 등에 의해 보호 레벨이 설정된다. 또한, 보호자에게 연락했을 때의 보호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보호 레벨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5는, 실시 형태 3을 따르는 구원 시스템(10)의 차량(100) 및 서버(200)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도 3의 흐름도에, 스텝 S136, S137이 추가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3과 중복되는 스텝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서버(200)는, 차량(100)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S130), 의뢰자 및 차량(100)에 대하여 통지를 행하면(S135), 차량(100)으로부터의 정보로부터, 보호 대상자가 발견되었을 때의 주위의 상황 및 보호 대상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보호 레벨을 판정한다(S136). 보호 대상자가 위험에 조우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보호 레벨이 높게 설정된다. 또한, 발견된 보호 대상자가 쓰러져 있거나, 의심스러운 행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보호 레벨이 높게 설정된다. 보호 레벨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조건의 조합으로 결정되어, 예를 들어 5단계로 설정된다.
서버(200)는, 보호 레벨이 설정되면, S137에 있어서, 설정된 보호 레벨과 미리 설정된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보호 대상자의 보호(구원)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호 레벨이 5단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보호 레벨이 「4」 이상일 때에, 보호 대상자의 구원이 필요하다고 판정된다.
구원이 필요할 경우(S137에서 YES)는, 처리가 S140으로 진행되고, 구원 단체(400)에 대하여 구원 요청을 송신한다. 한편, 구원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S137에서 NO)는, 처리가 S125로 진행되고, 서버(200)는, 보호 대상자의 수색 및 지켜봄을 계속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따라 제어를 행함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발견되었을 때의 주위의 상황이나 보호 대상자의 상태 등에 따라, 구원 단체에의 구원 요청을 행할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에 의해, 구원 단체에의 잘못한 구원 요청이나, 불필요한 담당자의 출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4]
상기의 실시 형태 1 내지 3에 있어서는, 의뢰자로부터 특정 보호 대상자의 수색 의뢰에 따라 수색을 개시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의뢰자로부터의 수색 의뢰가 없는 경우에도, 주행 중 혹은 정차 중의 차량에 있어서 의심스러운 후보자가 검출된 경우에, 후보자를 검출한 차량이 자발적으로 서버에 문의를 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4를 따르는 구원 시스템(10)의 차량(100) 및 서버(200)에서 실행되는 제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있어서는, 도 3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100 및 S105가 삭제되어 있어, S126이 추가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텝 S135이 S135A로 치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3과 중복되는 스텝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서버(200)는, 의뢰자로부터의 수색 의뢰가 없는 상태에서도, 보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의 유무를 패트롤 하기 위해서, 특정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을 적절히 선택해서 수색 명령을 출력한다(S110 내지 S120). 차량(100)은, 서버(200)로부터의 수색 명령을 받으면, 카메라(110) 및 센서(12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호해야 할 후보자를 검출하고, 당해 검출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한다(S200 내지 S230).
서버(200)는, 차량(100)으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받으면(S125), 기억부(220)로부터, 등록된 보호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S126). 서버(200)는, S130에서, 차량(100)으로부터의 검출 정보와 기억부(220)로부터의 등록 정보를 대조하여, 차량(100)에서 검출된 후보자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호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당해 후보자가 보호 대상자인 경우에는(S130에서 YES), 보호 대상자의 보호자에 대하여 통지함과 함께(S135A), 필요에 따라 구원 단체(400)에 대하여 구원을 요청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따라 제어를 행함으로써, 의뢰자로부터의 수색 의뢰가 없는 경우에도,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의해 보호 대상자의 유무에 관한 패트롤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미리 등록된 보호 대상자가 무단으로 외출하고 있는 것을 당해 보호 대상자의 보호자가 눈치채지 못한 경우라도, 보호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사고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 1 내지 4에 대해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변형예]
상기의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동체(100)로서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동체(100)는 사람 혹은 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이동체에 탑재되는 카메라로서,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등) 혹은 신체에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람을 이동체로 하는 경우에는, 수색을 전문으로 행하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일반 사람이 산책, 조깅, 혹은 걷기를 할 때 등의 영상을 서버(200)에 송신하는 양태를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5)

  1.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구원 시스템이며,
    상기 검출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상기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 중에서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이동체가 수색 에어리어 밖으로 나가거나, 혹은 새로운 이동체가 수색 에어리어 내에 진입해 온 경우에는, 수색에 사용하는 선택 이동체를 변경 가능한, 구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이동체는, 상기 수색 명령을 받으면, 상기 검출 장치에서 취득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 이동체로부터 취득한 정보로부터 상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는, 구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카메라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 이동체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사용해서 상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는, 구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에 포함되는 후보자의 특징을 사용하여, 상기 후보자가 상기 보호 대상자인 것을 특정하고,
    상기 특징은, 상기 후보자에 관한 문자 정보, 의복, 소지품 및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구원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는, ID 정보가 설정된 소지품을 소지하고 있고,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ID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 이동체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ID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는, 구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 이동체는, 상기 검출 장치에서 취득한 정보와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보호 대상자를 특정함과 함께, 특정된 상기 보호 대상자의 검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구원 시스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은, 의뢰자로부터의 의뢰에 따라 실행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상기 보호 대상자가 발견된 것을 상기 의뢰자에게 통지하는, 구원 시스템.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의 지켜봄을 실행하는 명령을 출력하는, 구원 시스템.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가 특정된 경우에는, 구원 단체에 대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의 구원을 의뢰하는, 구원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 이동체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의 보호 레벨을 판정하고, 상기 보호 레벨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구원 단체에 구원을 의뢰하고,
    상기 보호 레벨은, 상기 보호 대상자의 검출 위치, 검출 시간, 검출 시의 날씨 및 검출 시의 상기 보호 대상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되는, 구원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가 검출된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외인 경우에, 상기 구원 단체에 구원을 의뢰하는, 구원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원 단체에 대한 구원의 의뢰 시에, 상기 보호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구원 단체는, 상기 서버로부터 구원의 의뢰를 받으면, 상기 위치 정보에 나타나는 장소에 담당자를 파견하는, 구원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의뢰자에의 통지에 대하여, 상기 의뢰자로부터의 요청이 있었을 경우에, 구원 단체에 대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의 구원을 의뢰하는, 구원 시스템.
  14.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구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버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검출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 중에서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선택 이동체에 대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이동체가 수색 에어리어 밖으로 나가거나, 혹은 새로운 이동체가 수색 에어리어 내에 진입해 온 경우에는, 수색에 사용하는 선택 이동체를 변경 가능한, 서버.
  15. 검출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이동체와, 상기 복수의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해서 보호 대상자를 특정해서 구원하는 구원 방법이며,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 에어리어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수색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이동체 중에서 상기 보호 대상자의 수색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선택 이동체로서 선택하는 스텝과,
    선택된 상기 선택 이동체에 대해서, 상기 보호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수색 명령을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이동체가 수색 에어리어 밖으로 나가거나, 혹은 새로운 이동체가 수색 에어리어 내에 진입해 온 경우에는, 수색에 사용하는 선택 이동체를 변경 가능한, 구원 방법.
KR1020180135017A 2017-11-13 2018-11-06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KR102119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8371 2017-11-13
JP2017218371A JP7052305B2 (ja) 2017-11-13 2017-11-13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936A KR20190054936A (ko) 2019-05-22
KR102119496B1 true KR102119496B1 (ko) 2020-06-05

Family

ID=6427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17A KR102119496B1 (ko) 2017-11-13 2018-11-06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07344B2 (ko)
EP (1) EP3483852A1 (ko)
JP (1) JP7052305B2 (ko)
KR (1) KR102119496B1 (ko)
CN (1) CN109788242B (ko)
BR (1) BR102018072654A2 (ko)
RU (1) RU271438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7492B2 (ja) 2017-11-13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6870584B2 (ja) 2017-11-13 2021-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000805B2 (ja) 2017-11-13 2022-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物救援システムおよび動物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011640B2 (ja) * 2019-12-27 2022-01-26 コイト電工株式会社 捜索システム
JP7265611B2 (ja) * 2019-12-27 2023-04-26 コイト電工株式会社 捜索システム
CN113468358A (zh) * 2020-03-30 2021-10-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搜索辅助系统、搜索辅助方法、车载装置以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222A (ja) * 2007-09-06 2009-03-26 Taisei Corp 保護対象追跡システム
JP2013157019A (ja) * 1999-09-22 2013-08-15 Masanobu Kujirada 捜索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132492A1 (ja) * 2015-02-18 2016-08-25 株式会社ラムロック 徘徊通知サーバ及び徘徊通知システム
JP2017111506A (ja)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インターネット・イノベーション 見守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266A (ja) 1996-02-16 1997-08-26 Hitachi Ltd 歩行者移動支援装置
JP2000099971A (ja) * 1998-09-28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キング誤差生成装置
JP2001333419A (ja) * 1999-09-22 2001-11-30 Masanobu Kujirada 捜索システム及び方法
CA2298211A1 (en) * 2000-02-07 2001-08-07 Les Technologies R.A.N.K.I.N. Technologies Inc. Remote vehicle locator with wireless gps antenna
DE60108340T2 (de) * 2000-06-30 2005-12-22 Ntt Docomo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positionsinformationsdienstes
JP2003109156A (ja) * 2001-09-27 2003-04-11 Iyo Engineering:Kk 徘徊者支援システム
JP2004062616A (ja) * 2002-07-30 2004-02-26 Fuji Photo Film Co Ltd 探索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付き無線端末
US6985212B2 (en) * 2003-05-19 2006-01-10 Rosemount Aerospace Inc. Laser perimeter awareness system
JP2005038299A (ja) 2003-07-17 2005-02-10 Nec Fielding Ltd 移動監視システム
JP3847738B2 (ja) 2003-09-19 2006-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WO2005076967A2 (en) * 2004-02-06 2005-08-25 Icosyste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rea search using a plurality of unmanned vehicles
JP4377284B2 (ja) * 2004-06-02 2009-12-02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908040B2 (en) * 2004-07-15 2011-03-15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earch by distributed elements
JP4587166B2 (ja) 2004-09-14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移動体追跡システム、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4926400B2 (ja) 2004-12-27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移動カメラシステム
US7245214B2 (en) * 2005-02-08 2007-07-17 User-Centric Ip, Lp Electronically tracking a path history
KR101035805B1 (ko) * 2005-02-14 201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체가 주행할 목적지까지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US7336189B1 (en) * 2005-07-08 2008-02-26 Thomas Barry W Human locator system and method
US7920088B2 (en) * 2006-03-03 2011-04-05 Scott Randall Thompson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targets through opaque barriers
US7916066B1 (en) 2006-04-27 2011-03-29 Josef Osterweil Method and apparatus for a body position monitor and fall detector using radar
JP2007122735A (ja) * 2006-11-17 2007-05-17 Hitachi Ltd 歩行者移動支援装置
US8306921B2 (en) * 2008-02-13 2012-11-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bile recommendation and reservation system
US8406999B2 (en) * 2008-06-11 2013-03-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Navigation device
KR102464125B1 (ko) * 2009-02-02 2022-11-09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멀티모드 무인 항공기
US8566023B2 (en) * 2009-03-31 2013-10-22 Scott A. Riggins Missing child reporting, tracking and recovery method and system
EP2549753B1 (en) 2010-03-15 2019-04-10 Omron Corporation Surveillance camera terminal
FI20105732A0 (fi) * 2010-06-24 2010-06-24 Zenrobotics Oy Menetelmä fyysisten kappaleiden valitsemiseksi robottijärjestelmässä
JP2012139182A (ja) 2010-12-29 2012-07-26 Murata Mfg Co Ltd ペットの捜索システム及びペットの捜索方法
US9648107B1 (en) 2011-04-22 2017-05-09 Angel A. Penilla Methods and cloud systems for using connected object state data for informing and alerting connected vehicle drivers of state changes
US8738280B2 (en) * 2011-06-09 2014-05-27 Autotalks Ltd. Methods for activity reduction in pedestrian-to-vehicle communication networks
RU2500035C2 (ru) * 2011-08-01 2013-11-27 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Ефремов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волновыми сигналами на опасный объект данного тип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EP2748797B1 (en) * 2011-09-28 2015-03-04 Koninklijke Philips N.V. Object distance determination from image
KR101866974B1 (ko) * 2012-01-06 2018-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JP5477399B2 (ja) * 2012-01-30 2014-04-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US9544075B2 (en) * 2012-02-2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latform for wireless identity transmitter and syst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broadcast
US20140133656A1 (en) * 2012-02-22 2014-05-15 Qualcomm Incorporated Preserving Security by Synchronizing a Nonce or Counter Between Systems
US20140309866A1 (en)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Building profiles associated with vehicle users
CN103426211B (zh) * 2012-05-24 2018-02-09 株式会社堀场制作所 车辆行驶状况分析系统、分析装置和分析方法
US20140108377A1 (en) 2012-10-12 2014-04-17 Stephen M. West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ocating a lost animal
JP5949425B2 (ja) * 2012-10-15 2016-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リアマップ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US9443207B2 (en) * 2012-10-22 2016-09-13 The Boeing Company Water area management system
US20140167954A1 (en) * 2012-12-18 2014-06-19 Jeffrey Douglas Johns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o communicate public safety information
US9022322B2 (en) * 2013-03-15 2015-05-05 Curnell Melvin Westbrook, SR. Remotely-controlled emergency aerial vehicle
US20140263615A1 (en) 2013-03-16 2014-09-18 Brian DeAngelo Money bill authentication and theft prevention system
US9503873B1 (en) * 2013-05-14 2016-11-22 Marshalla Yadav Real-time, crowd-sourced, geo-location based system for enhancing personal safety
US9824596B2 (en) * 2013-08-30 2017-11-21 Insitu, Inc. Unmanned vehicle searches
US9530310B2 (en) * 2013-11-01 2016-12-27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tracking a vehicle of interest utilizing a network of traffic image-capturing units
US20150194034A1 (en) * 2014-01-03 2015-07-09 Nebuly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or responding to incapacitated person using video motion analytics
US9859972B2 (en) * 2014-02-17 2018-01-02 Ubiqomm Llc Broadband access to mobile platforms using drone/UAV background
CN103956059B (zh) * 2014-04-17 2017-01-11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识别红绿灯路口路况的方法、设备及系统
JP6386254B2 (ja) * 2014-06-03 2018-09-05 株式会社光通信 捜索支援プログラム、捜索支援システム及び捜索支援の方法
US20170202180A1 (en) 2014-07-12 2017-07-20 Geosatis Sa A self learning system for identifying status and location of pet animals
JP6440184B2 (ja) * 2014-08-04 2018-12-19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携帯端末、管理装置及びそれら制御プログラム
KR101644464B1 (ko) * 2014-09-01 2016-08-01 이승진 와이파이 비콘 신호 발생기와, 와이파이 비콘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JP6441067B2 (ja) 2014-12-22 2018-12-19 セコム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JP2016126602A (ja) * 2015-01-06 2016-07-11 三洋テクノソリューションズ鳥取株式会社 車載通信機
US9471059B1 (en) * 2015-02-17 2016-10-18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assistant
AU2015386249A1 (en) * 2015-03-11 2017-10-26 Skyrobot Inc. Search/rescue system
US9804596B1 (en) 2015-03-13 2017-10-31 Alarm.Com Incorporated Pet security monitoring
US11037260B2 (en) * 2015-03-26 2021-06-15 Zoll Medical Corporation Emergency response system
WO2016162899A1 (ja) * 2015-04-06 2016-10-13 株式会社ベイビッグ 位置検知システム及び位置検知方法
US9944366B2 (en) * 2015-05-19 2018-04-17 Rujing Ta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s for use
JP5873946B1 (ja) * 2015-05-22 2016-03-01 克巳 小松 救援方法、救援システム、徘徊者保護方法および徘徊者保護システム
JP6556538B2 (ja) * 2015-07-15 2019-08-07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捜索システム及び捜索方法
JP6505541B2 (ja) * 2015-07-29 2019-04-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初期救助情報収集装置、その作動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20170041743A1 (en) * 2015-08-03 2017-02-09 Punch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porting and Providing Improved, Close-Proximity Assistance
US9904849B2 (en) * 2015-08-26 2018-02-27 Digitalglobe, Inc. System for simplified generation of systems for broad area geospatial object detection
US10155587B1 (en) * 2015-09-25 2018-12-18 Rujing Ta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use
US11467274B2 (en) * 2015-09-29 2022-10-11 Tyco Fire & Security Gmbh Search and rescue UAV system and method
WO2017059395A1 (en) * 2015-09-30 2017-04-06 Stephen Scott Trundle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US10382726B2 (en) * 2015-10-12 2019-08-1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images
US9481367B1 (en) 2015-10-14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control of interactions between self-driving vehicles and animals
WO2017079623A1 (en) * 2015-11-06 2017-05-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ynamic task allocation in an autonomous multi-uav mission
WO2017119505A1 (ja) 2016-01-06 2017-07-13 株式会社Aiプロジェクト 移動位置履歴管理システム、移動位置履歴管理方法、位置情報生成端末装置、及び、位置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6363633B2 (ja) * 2016-01-15 2018-07-25 キャプテン山形株式会社 徘徊行方不明者防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395332B1 (en) * 2016-01-22 2019-08-2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Coordinated autonomous vehicle automatic area scanning
KR20170100892A (ko) 2016-02-26 2017-09-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위치 추적 장치
US9858821B2 (en) * 2016-02-26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vehicle passenger locator
CA3016562C (en) * 2016-03-02 2023-09-05 BRYX,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athering information
JP6340538B2 (ja) * 2016-03-11 2018-06-13 株式会社プロドローン 生体探索システム
JP6631694B2 (ja) 2016-03-17 2020-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捜索支援装置、捜索支援システム、捜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18673B2 (en) * 2016-04-15 2020-04-1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lanning and operation of autonomous systems using image observation and information theory
US10370102B2 (en) * 2016-05-09 2019-08-06 Coban Technologies,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861305B2 (en) 2016-05-20 2020-12-08 Vivint, Inc. Drone enabled street watch
US9915945B2 (en) * 2016-08-04 2018-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st person rescue drone
US20180077617A1 (en) * 2016-09-09 2018-03-1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Enhancement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ommunications
WO2018053513A1 (en) * 2016-09-19 2018-03-22 Vector Flight LLC Beacon detection system for locating a missing search subject. a search system configured to operate on a search vehicle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search subject
US9826415B1 (en) * 2016-12-01 2017-11-21 T-Mobile Usa, Inc. Tactical rescue wireless base station
US10332320B2 (en) * 2017-04-17 2019-06-25 Intel Corporation Autonomous vehicle advanced sensing and response
US20180308130A1 (en) * 2017-04-19 2018-10-25 Usman Hafeez System and Method for UAV Based Mobile Messaging
US20180357870A1 (en) 2017-06-07 2018-12-13 Amazon Technologies, Inc. Behavior-aware security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CN107230310A (zh) 2017-06-26 2017-10-03 地壳机器人科技有限公司 接力式监控方法及无人驾驶汽车
CN107170195B (zh) 2017-07-16 2019-03-12 威海山威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监控方法及其系统
US10481600B2 (en) * 2017-09-15 2019-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s
CN207218924U (zh) 2017-09-18 2018-04-10 中山大学南方学院 一种基于无人机的目标监控及快速寻找系统
JP6870584B2 (ja) 2017-11-13 2021-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000805B2 (ja) 2017-11-13 2022-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物救援システムおよび動物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6977492B2 (ja) 2017-11-13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7019A (ja) * 1999-09-22 2013-08-15 Masanobu Kujirada 捜索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064222A (ja) * 2007-09-06 2009-03-26 Taisei Corp 保護対象追跡システム
WO2016132492A1 (ja) * 2015-02-18 2016-08-25 株式会社ラムロック 徘徊通知サーバ及び徘徊通知システム
JP2017111506A (ja)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インターネット・イノベーション 見守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8072654A2 (pt) 2019-06-04
RU2714389C1 (ru) 2020-02-14
EP3483852A1 (en) 2019-05-15
JP2019091160A (ja) 2019-06-13
US20190147723A1 (en) 2019-05-16
US11727782B2 (en) 2023-08-15
CN109788242A (zh) 2019-05-21
US20210295669A1 (en) 2021-09-23
US11107344B2 (en) 2021-08-31
KR20190054936A (ko) 2019-05-22
CN109788242B (zh) 2022-05-31
JP7052305B2 (ja)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496B1 (ko) 구원 시스템 및 구원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JP6870584B2 (ja)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EP3497590B1 (en) Distributed video storage and search with edge computing
JP6885682B2 (ja) 監視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監視方法
US11373499B2 (en)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and server used for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10827725B2 (en) Animal rescue system and animal rescue method, and server used for animal rescue system and animal rescue method
JP2013192154A (ja) 監視装置、信頼度算出プログラム、および信頼度算出方法
JP6296510B2 (ja) 移動物体の位置検索登録システム
CN107251119B (zh) 徘徊通知服务器以及徘徊通知系统
JP2006252139A (ja) 車両照会システム
JP4436814B2 (ja) 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
JP2011133278A (ja) 経路検索システム
JP2024009906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85773B1 (ko) 건물의 실내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4999222B (zh) 异常举动通知装置、通知系统、通知方法以及记录介质
JP5909984B2 (ja) マップ作成システムおよびマップ作成装置
JP7301715B2 (ja) 監視カメラ利用車両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状態予測サーバおよび注意喚起装置
KR102014297B1 (ko) 아동관리용 건물의 실내 위치추적 시스템
KR20110033423A (ko) 유비쿼터스 공간 모니터 및 모니터링 방법
JP2024047160A (ja) 情報登録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