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868B1 -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868B1
KR102035868B1 KR1020127023791A KR20127023791A KR102035868B1 KR 102035868 B1 KR102035868 B1 KR 102035868B1 KR 1020127023791 A KR1020127023791 A KR 1020127023791A KR 20127023791 A KR20127023791 A KR 20127023791A KR 102035868 B1 KR102035868 B1 KR 10203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eans
rotatable
rotary shaper
process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467A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3004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3/00Methods of pressing not special to the use of presses of an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4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5Means for conditioning the material to be pressed, e.g. paper shred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8Screws or like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8Vacuum draw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으로서, 폐기 재료와 같은 재료가, 쓰레기 슈트(3) 또는 그밖의 투입지점(200) 등 투입지점의 투입 구멍으로부터 투입되고, 상기 투입지점에 연결되거나 그 근방에 장착된 쉐이핑 장치(1)에서 재료가 처리되어, 더 압축되어서 순방향으로 반송된다. 상기 쉐이핑(1)는 로터리 쉐이퍼로서,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형성된 구멍(11A, 11C)을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과, 적어도 하나의 정적 처리 수단(10B)으로 이루어져, 처리될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 및/또는 흡인력 및/또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로터리 쉐이퍼 내로 안내 및/또는 통과한다.

Description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IN A PNEUMATIC MATERIALS HANDLING SYSTEM}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1의 도입부에 규정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청구항 12의 도입부에 규정된 장치이다.
본 발명은 부분 진공 이송 시스템(partial-vacuum conveying system)과 같은 일반적인 재료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가정용 쓰레기 등 쓰레기의 수집 및 운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서, 압력차 또는 흡인으로 형성된 공기류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배관에 넣어 이동하는 시스템들은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들에는, 쓰레기가 파이프에 넣어져서 먼 거리를 이동한다. 통상적으로 이 시스템들에는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해 부분 진공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장치에서는, 진공 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 (ejector apparatus)와 같은 부분 진공 제너레이터(partial-vacuum generator)를 갖춘 반송 파이프(transfer pipe) 안에서 부분 진공상태가 형성된다. 반송 파이프는, 통상적으로, 반송 파이프로 유입되는 교환 공기(replacement air)를 개폐를 통해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들에서는, 재료를 투입시키는 끝단에 투입지점(input point)들이 사용되며, 이들 투입지점들로부터 쓰레기 등의 재료가 시스템 안으로 반송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폐기 재료 등 재료가 들어가는 쓰레기 슈트(refuse chute)를 포함하며, 쓰레기 슈트로부터 반송될 재료는, 배출 밸브 수단(discharge valve means)를 개방함에 의해 반송 파이프로 반송되는데, 이 경우, 반송 파이프의 부분 진공 작용의 도움으로 형성된 흡인 효과(sucking effect), 그리고 또한 쓰레기 슈트를 경유하여 작용하는 대기압에 의해, 예컨대 봉투(bag)에 팩킹된 쓰레기 재료 등의 재료가 쓰레기 슈트로부터 반송 파이프로 반송된다. 문제가 되는 공압 쓰레기 반송 시스템은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잘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역에는 고층 건물들이 있는데, 이들 건물에 구비된 쓰레기 슈트를 경유하여 공압 쓰레기 반송 시스템으로의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쓰레기 슈트는, 수직 파이프로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투입지점을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이들 투입지점들의 각각은 거리를 두고 쓰레기 슈트의 벽부에 구비된다. 고층 건물들에는 수십층, 수백층에 이르는 건물들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쓰레기 슈트는 매우 높은 파이프로 형성된다.
쓰레기는 폐쇄계(closed system) 내에서 공압적으로 취합소(reception station)로 반송되며, 이 경우 쓰레기는 운반이 이루진 뒤에서야 프레스로 압축된다. 통상의 경우 공압 전달 시스템의 파이프들은 큰 직경을 갖는데, 예를 들어 약 50mm이다.
또한, 이 분야의 공지 기술로서 쓰레기 분쇄기 등 투입된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쓰레기 밀(waste mill)이 쓰레기 투입 지점(waste input location)에 연결되거나 그 근방에 구비된다. 쓰레기 밀은 쓰레기를 분쇄하지만 쓰레기를 압축하지는 않는다. 이 기술에서 문제가 되는 쓰레기 밀의 블레이드들은 또한 큰 응력(stress)가 가해지며 따라서 이들은 자주 교체되어야 한다.
국제공개공보 WO8203200 A1에는 높은 용적의 부피 덩어리(bulk goods), 구체적으로는 가정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고, 압축해서 배출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장치로 안내된 쓰레기 재료는 부피가 작아 진다. 공개공보에 의한 기술은, 특히 상기 장치가 재료를 컷팅하거나 잘게 분쇄하는 상황에서 통상 큰 출력이 요구되며, 이 경우 구동 장치의 에너지 소모 및 장치의 운전비용이 크다. 아울러, 컷팅 블레이드 사이로 돌이나 그에 상당한 재료가 통과하면 블레이드의 파손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회피함에 의해, 쓰레기의 투입 지점, 또는 쓰레기 슈트 또는 쓰레기 통과의 연결에 관한 새로운 타입의 기술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주로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주로 청구항 12의 특징부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23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술은 많은 중요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처리, 더 구체적으로 공압 배관 반송에 특히 효율적인 기술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술로서, 처리될 재료는 중심에 모여, 즉 센터부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재료는 반송 배관 또는 컨테이너에 효율적으로 모여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기술은 쓰레기 재료를,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 쉐이퍼로서 효율적으로 부피가 줄어들며, 변형되지 않은 쓰레기 재료에 비해 현저히 작은 배관 크기로서 효율적인 반송을 달성하게 된다. 처리될 재료를 로터리 쉐이퍼로부터 반송 배관으로 이동시킬 때에 흡인, 추가해서 중력을 이용함으로써, 로터리 쉐이퍼와 배관 반송의 결합을 위한 유익한 기술이 얻어진다. 로터리 쉐이퍼의 배출 구멍을 반송 배관의 횡단 영역보다 어느 정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처리된 재료를 흡인에 의해 반송 배관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처리 수단의 구멍의 형상을, 처리될 재료가 흐름 반송(onward transportation)에 극히 효율적인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였다. 연속된 처리 수단의 구멍의 에지부들 간의 특정 각도 크기로서, 장치의 효율적인 운전이 달성된다. 가스 및/또는 액체와 같은 매체의 통로를 경유하여, 처리 수단의 접촉 끝단면으로 안내된다. 통상적으로 매체는 공기이다. 매체는, 다른 한편으로, 처리 수단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면들 간의 마찰을 줄임에 의해 처리 수단의 회전을 원활히 한다. 또한 공기는, 처리 수단을 위한 일종의 베어링으로서 기능함을 알 수 있다. 매체, 더 구체적으로 압축 공기의 블로잉에 의해, 마모를 일으키는 돌 조각, 유리 조각 및 그외 조각들이 처리 수단과 지지면들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매체는 또한, 쉐이핑 수단을 위한 일종의 공기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아울러, 매체 채널을 경유하여 교체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직통하게 하고, 및/또는 흡인시 씨일들이 처리 수단들 사이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이 유익하다. 이 경우, 공기가, 로터리 쉐이퍼에서 처리될 재료가, 배출 구멍쪽으로, 및 배출 구멍안에서 순방향(onward)으로 반송되는 것을 보조한다. 교체 공기는, 예컨대 쓰레기 슈트들에 연결할 때 적용된 방식으로, 로터리 쉐이퍼로 보내지며, 일예로서, 로터리 쉐이퍼에 연결하는 것에 관한 국제공개공보 WO/2009/130374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와 적용가능한 파워 트랜스밋션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벨트 트랜스밋션이 동력 전달에 사용된다. 여기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장치들이 적용된다. 유체 모터를 사용할 때, 2개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가용 토크가 늘어난다. 모터는 압력을 기초로 제어되는데,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들의 양방이 하나의 공유 모터로 구동되는 경우, 처리될 재료로 인해 시스템의 압력이 증가할때, 제2의 모터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토크는 예컨대 두배로 증가하고, 회전 속도 예컨대 절반으로 줄어든다. 바람직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구동 장치는, 필요시 각각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이 자체의 모터로 회전구동되도록 연결되는데, 이 경우 회전 방형은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며, 필요시 처리 수단들은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시 휠 출력 전원은 단 하나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처리될 재료는 로터리 쉐이퍼의 배출 구멍과 반송 배관 사이에 형성된 제2의 압축 단계에서 추가로 가압되며, 압축 단계에서의 가압 장치는 피스톤-실린더 결합체이다. 또한, 제2의 가압 장치로서 처리된 재료를 반송 배관으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부분단면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처리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b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처리 수단을 나타내며,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정적(비회전) 처리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정적 처리 수단과,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투입 방향에서 본, 하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정적 처리 수단과,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투입 방향에서 본, 제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정적 처리 수단과,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투입 방향에서 본, 제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정적(비회전) 처리 수단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정적 처리 수단과,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투입 방향에서 본, 하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과, 정적 처리 수단과,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투입 방향에서 본, 제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 기술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로터리 쉐이퍼 장치(1)는 쓰레기 슈트(3) 또는 이에 대응하는 피팅부(fitting part, 2)에 연결된다. 쓰레기 슈트의 일부만 나타낸다. 가정용 쓰레기, 폐지, 판지 또는 기타 쓰레기 등의 재료는, 쓰레기 슈트(3)로 투입되고, 그로부터 순방향으로, 피팅부(2)를 경유하여, 로터리 쉐이퍼(1)의 투입 구멍(6)으로 들어간다. 처리될 재료는 로터리 쉐이퍼에서 쉐이핑되어 작아지며, 처리 후에는 흡인력 및/또는, 예컨대 공압 배관 반송 시스템의 구동 장치에 의해 형성된 압력차에 의해 출구 커플링(4)을 경유하여 반송 배관(5)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의 이점은, 쓰레기 재료가 반송 배관 (4, 5)안에서의 반송에 적합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반송 배관(5)은 그 직경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송 배관(5)의 직경은 약 150~300mm, 바람직하게는 약 200mm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시적으로 흡인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 쉐이퍼(1)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을 통과하도록 재료를 안내할 때, 처리될 재료는, 반송 배관(5) 및 출구 커플링(4)을 경유해서 작용하는 흡인력 또는 압력차의 영향을 받아, 상기 로터리 쉐이퍼(1)의 처리 수단(10A, 10B, 10C)에 의하여 출구 내로 이송에 적합하도록 성형된다.
처리 수단들은 림형태를 갖고, 그 각각은 제1측부(first side)와 투입측부 (input side)로부터 출구측부(output side)에 이루는 구멍(11A, 11B, 11C)를 갖는다(도 4a, 도 4b, 도 4c, 도 6a, 도 6b, 도 6c).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 장치(7)과 트랜스밋션 수단(8, 9A, 9C)에 구비된 수직축 둘레로 회전한다. 도면에서 최상부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과 최하부의 회전 가능한 처리부(10C)는 회전하며, 그들 사이에는 회전하지 않는 정적 처리 수단 (10B)이 있다. 디스크 밸브 등의 밸브 수단(55)은, 로터리 쉐이퍼(1)의 아래에 위치한 밸브의 구동 장치(56)로 구동된다. 밸브 수단(55)은 로터리 쉐이퍼와 출구 커플링(4) 간의 연결을 개폐하여, 상기 밸브 수단(55)에 의해 반송 배관으로부터 로터리 쉐이퍼로의 흡인효과가 조절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2의 실시 형태에서는 부엌 쓰레기 투입지점에 연결되는 등, 재료 반송 시스템의 투입지점에 연결되는 로터리 쉐이퍼가 사용된다. 상기 로터리 쉐이퍼(100)는 투입 지점의 피더 홉퍼(feeder hopper, 200)에 연결되며, 처리될 재료는 상기 피터 홉퍼(200)로부터 로터리 쉐이퍼의 투입 구멍(6)으로 투입된다. 상기 재료는 로터리 쉐이퍼에서, 배관안에서의 반송에 적절한 형상으로 쉐이핑되고, 배출 커플링(400)으로부터, 예컨대 공압 배관 반송 시스템의 반송 배관(500)을 경유하여, 추가 처리부로 안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 쉐이퍼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로터리 쉐이퍼는 쉐이핑 수단의 구동 장치 및 트랜스밋션 수단이 없고, 실시 형태에서의 로터리 쉐이퍼(1)의 하나의 구동 장치가 제거된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 로터리 쉐이퍼는, 링 형상(ring-shaped)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이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복수의 링 형상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은 연직 방향으로, 링의 제1측부로부터 제2측부에 이르는 구멍(11A, 11B, 11C)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처리될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 구멍(6) 아래에 구비된다. 링 형상의 처리 수단은, 주로 투입 슈트(input chute)의 기하축과 일치하는 기하축(geometric axis) 둘레로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에 연동되도록 장착되며, 투입된 부피 덩어리가, 중력에 의해 및/또는, 파이프 반송 시스템 등의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부분 진공 제너레이터에 의해 형성된 흡인/압력차에 의해 링 형상의 처리 수단을 통과해서 링의 중앙부로 반송되며, 부피 덩어리는, 회전 링과, 적어도 하나의 정적 (비회전) 링의 통합 작용과 동시에 쉐이핑된다. 처리 수단(10A, 10B, 10C)은 각각에 대해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제2의 링 형상 처리 수단(10B)(도면에서는 최중앙의 처리 수단(10B))이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모든 제2의 링 형상 처리 수단(10A, 10C)(도면에서, 최상부 및 최하부의 처리 수단)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은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일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 토크(rotary torque)는 변경 가능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처리 수단(10A, 10C)은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처리 수단은 자체의 구동 장치를 갖는다.
링 형상의 처리 수단(10A, 10B, 10C) 또는 적어도 그 일부, 및 그 구멍(11A, 11B, 11C)의 내측면(13A, 13B, 13C)에는, 패턴이 형성되고 및/또는, 회전운동과 동시적으로 재료를 순방향으로 구멍(11A, 11B, 11C)으로부터 배출 끝단 및 배출 구멍 (37)쪽으로 들어가게 하는 형상을 갖춘다. 통상적으로, 회전하는 처리 수단(10A, 10C)은, 적어도 재료를 배출 끝단 및 배출 커플링(4)쪽으로 반송하도록 구비된다.
로터리 쉐이퍼에서 처리 수단(10A, 10B, 10C)를 통과해서 안내된 재료는 압축되어 작은 부피로 된다. 로터리 쉐이퍼의 배출 구멍(37)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송 배관(4, 5)과 같은, 이어지는 배관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된다. 로터리 쉐이퍼의 배출 구멍을 반송 파이프의 직경보다 어느 정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흡인을 통해, 처리된 재료의 반송 배관으로의 효과적인 반송을 달성한다.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은, 구동 장치(7)에 의해, 예컨대 벨트 트랜스밋션(8, 9A, 9C) 등의 트랜스밋션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링 형상의 처리 수단(10A, 10C)의 외측 림(15A, 15C)은, 예컨대 벨트 수단와 같은, 구동 장치의 파워 트랜스밋션의 트랜스밋션 수단의 대향면(countersurface)으로서 작용하도록 구비되는데, 대향면은 링에 회전을 일으키는 파워 트랜스밋션 장치 내에 포함된다. 처리 수단 (10A, 10C)의 외측 림(outer rim, 15A, 15C)은 적합한 형상을 갖춘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서는 외형적으로 만곡형상(cambered) 또는 통형상(barrel)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처리 수단의 회전 궤도는, 예컨대 제한 수단(limiting means) 및/또는 베어링 수단 및 링 형상의 처리 수단에 대한 대향면을 갖춤에 의해 얻어지는데, 제한 수단 또는 베어링 수단의 림 상에서 가장 적합한 림 형상 롤링면 또는 슬라이딩 면은 공지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한 수단 및/또는 베어링 수단은 프레임부의 최하부의 링 형상 처리 수단(10C)와 베이스부(base part, 28)의 사이, 최하부의 링 형상 처리 수단(10C)와 최중간부의, 최적의 회전하지 않는 처리 수단(10B)의 사이, 그리고, 비회전 처리 수단(10B)과 최상부의 처리 수단(10A)의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개별적인 롤링 수단은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에 처리 수단은 상호에 기초하여 및/또는 프레임부의 베이스부(28)에 기초하여 구비된다. 이 경우, 처리 수단과 지지면 사이로의 매체의 유입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용하다.
도 3, 도 3a 및 도 3b의 실시 형태에서, 로터리 쉐이퍼에는 매체를 처리 수단의 접촉 단면(butt-end surface)으로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도 3에 의하면, 매체용 채널 수단(70, 71, 72)들은 비회전의 리드 플레이트(lid plate)와,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드, 그리고 비회전의 처리 수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통로를 통해 매체는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에 대향하는 면으로 안내된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매체의 통로는 표면을 향해 개방된 그루브(74)에 연결된다. 처리 수단 및/또는 리드부 및 베이스부는 시일링 수단(75)을 포함한다. 매체의 경로를 통해, 가스 및/또는 액체와 같은 매체가 처리 수단의 접촉 끝단으로 안내된다. 통상적으로, 매체는 공기이다. 공기는, 공압 시스템에서 형성된 배관(4, 5)으로의 흡인 효과하에서 교체 공기(replacement air)로서 유입되거나, 공기 압축기(도시 안함)와 같은 펌프 장치로부터 보내진다. 매체는, 다른 한편으로, 처리 수단의 회전을 행할 때, 처리 수단과 이를 지지하는 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도록 한다. 또한, 공기 매체는 처리 수단에 대해 일종의 베어링으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매체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는 압축공기의 블로잉에 의해, 마모를 초래하는 돌 조작, 유리 조각 또는 그외 조각이 처리 수단과 지지면 사이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일종의 공기 베어링 형태로 작용한다.
아울러, 매체용 채널 수단(70, 71, 72, 73, 74)을 경유하여 교체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직통하게 하고, 및/또는 흡인시 상기 씨일(75)들이 처리 수단들 사이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이 유익하다. 이 경우, 공기가, 로터리 쉐이퍼에서 처리될 재료가, 배출 구멍쪽으로, 및 배출 구멍(37)안에서 순방향으로 반송되는 것을 보조한다.
그러므로, 일 실시 형태에서 배출 구멍(37)의 직경은, 배출 구멍에 이어지는 반송 배관(4, 5) 섹션의 직경보다 작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배출 구멍의 직경은, 그에 이어지는 반송 배관 섹션보다 적어도 2~20%, 바람직하게는 4~15% 작다. 이 경우, 흡인 작용시에, 처리될 재료는 배관의 내벽에 고착되지 않고, 움직임을 가속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배출 구멍은, 그에 이어지는 반송 배관 섹션보다 적어도 5% 작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배출 구멍(37)의 직경은 180mm이며, 이 경우 반송 배관의 직경은 210mm이다.
처리 수단(10A, 10C)의 회전 운동은, 예컨대 전기 모터 또는 그밖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운동은 유체 모터로 행해지며,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양방은 이 두 개가 공유하는 유체 모터 (7)로 회전 작동된다. 이 경우, 정상적인 작동 과정에서 처리 수단(10A, 10C)의 양방은 하나의 모터로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 도 4b, 도 4c는, 처리 수단이 둥근 형상의 구멍 (11A, 11B, 11C)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구멍들은 처리 수단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형성된다. 각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B, 11C)들은 내부면(13A, 13B, 13C)을 갖는다. 처리 수단의 구멍의 내부면은 재료가 처리되도록 형상화된다. 도 5a, 도 5b, 도 5c는 재료처리 중에 쉐이핑 수단이 작동할 때 달라지는 상황을 도시한다.
그러므로, 로터리 쉐이퍼는 재정렬자(re-arranger) 및 압축자(compactor) (즉, 포멧터(formatter))와 같은 작용을 한다. 흡인 효과하에서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C)은 배출 구멍(37)에 맞게 처리되도록 형상화된다.
도 4a 내지 도 4c의 경우에서,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B, 11C)의 형상은, 예컨대 둥근 형상이며, 대칭적인 구멍(형상)이다. 또한 타원과 같은 다른 형상일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의 방향은 변경 가능하다. 부하가 지나치게 크면, 휠은 정지하고 회전 방향은 바뀐다.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에 지나치게 크게 부하가 증가하면, 회전 방향은 바뀐다.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모터 센서에 의해 감지되며, 예컨대, 구동 장치의 방향 전환 풀리(diverting pulley) 및/또는 유체 장치의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다.
처리 수단의 구멍은, 센터부에 대해 상이한 크기와 상이한 위치에 있으며, 이로써 쓰레기 로드가 효과적으로 분배되고, 쓰레기에 대해 충분히 큰 구멍을 얻을 수 있다.
요구 전력은 매우 적은데, 예컨대, 2~3kW만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처리 수단(10A, 10C)들은 각각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경우 처리될 재료는 처리 수단에 따라서 회전을 시작하지 않는다. 재료가 회전하게 되면 소정의 형태로의 재료의 변형이 방해받게 된다.
또한, 상이한 속도로 처리 수단을 회전시키는 것이 유익한데, 그러면 각 사이클에서의 압축이 상이한 지점에서 변경되어, 일부 지점에서 각 쓰레기에 대해 적합한 가압이 상시 이루어진다.
판재와 종이보드와 같은 특정 재료의 타입에 따라서도, 가압 수단이 사용되는데, 가압 수단은 상술한 것에 의해 처리 수단에 대해 쓰레기를 압축한다.
또한, 이러한 쓰레기의 종류는 상술한 형상화된 구멍(11A, 11B, 11C)의 내측면(13A, 13B, 13C)이 필요할 수 있는데, 내측면은 판재를 부분적으로 찢어, 순방향으로 진행한다.
판재 또는 그외 대응 재료 타입은 통상적으로 공압 반송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데, 구부려진 시트는 쉽게 배관의 내측면에 벌어지고 펼쳐져서 공기를 그냥 통과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반송 배관에 적합하도록 압축되어 적절한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변형된다.
처리 수단(10A)이 회전할 때, 내측면(13A)에 의해 장애물이 없이 처리 수단을 통과하는 관통 구멍(through-passage aperture, 11A)이 결정된다. 처리 수단이 투입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구멍(11A)으로부터 처리될 재료가 처리 방향으로 들어가게 되도록, 나사산 형상의 그루브 또는 띠체(band)와 같은 수단이 처리 수단의 내측면(13A)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 쉐이퍼에서는 비회전의 처리 수단(10B)이 최상부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의 아래에서 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비회전의 처리 수단은 하우징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형의 처리 수단(10B)은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링(10A)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C)도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멍(11C)을 포함하며, 특히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13C)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웃하는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B, 11C)은 상술한 처리 수단의 구멍보다, 재료의 반송 방향으로, 더 작은데, 이 경우 배출 구멍 (37)으로의 통로가 좁아진다.
최하부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C)은 베이스부(28)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를 경유하여 링들에 의해 압축된 부피 덩어리가 배출되는 배출 구멍(37)이 포함된다.
도 6a, 도 6b, 도 6c는 또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적어도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C)들은 도 4a, 도 4b, 도 4c에서 서로 상이하다.
도 6a에 도시된 제1의 처리 수단(10A)의 구멍(11A)의 에지부(13A)는, 외측 곡선부(13A1)와 제2의 내측 곡선부(13A3)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주 직선부 (13A2)는 이들 곡선부에 연결된다. 여기에 두개의 직선부가 있는데, 이 경우 구멍의 형상은 외측 곡선부(13A1)의 쪽으로부터 내측 곡선부쪽으로 좁아진다. 제1 곡선부의 곡률반경은 제2 곡선부의 곡률반경보다 더 크다.
도 6b는 제1의 정적, 비회전의 처리 수단(10B)를 나타내는데, 도면에서 둥근 형상의 구멍(11B)을 포함하며, 에지부(13B)를 갖는다.
도 6c는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1C)을 나타내는데, 여기에는 구멍 (11C)이 형성되고, 그 에지부(13C)는 외측 곡선부(13C1)와 제2의 내측 곡선부(13C3)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주 직선부(13C2)는 이들 곡선부에 연결된다. 여기에 두개의 직선부가 있는데, 구멍의 형상은 외측 곡선부(13C1)의 측부로부터 내측 곡선부(13C2)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제1의 곡선부의 곡률반경은 제2의 곡선부의 곡률반경보다 크다. 제2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멍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제1의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멍의 크기보다 작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도 6b, 도 6c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의 작동에 관해, 재료의 투입 방향에서 몇몇 상이한 상황을 개략적인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처리 수단(10A, 10C)은 구동 장치 및 파워 트랜스밋션 수단을 통해 회전작동하며, 제1의 링(10A)의 링의 구멍(11A)의 내측면(13A)은, 쓰레기 슈트(3)로부터 투입 슈트(2)로 유입되는 가정용 쓰레기와 같은 재료에 작용한다. 이 경우 부피 덩어리는, 한편으로 링의 센터부쪽에서 안쪽으로 밀리고, 다른 한편으로, 중력의 효과 및/또는 흡인 효과 및/또는, 처리 수단의 내측면에 형성된, 재료 반송 수단의 효과로 인해 축방향의 하향으로 밀린다. 이 경우 부피 덩어리는 링(10A)의 아래에 배치된 고정형 링(10B)의 내측면(13B)에 파지되는 힘이 가해진다. 부피 덩어리는 변형되고, 가압되며 이 경우 링으로도 반송되는데, 한편으로 링의 센터부쪽의 안쪽으로, 다른 한편으로, 이어지는 회전 가능한 링(10C)쪽의 축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므로, 부피 덩어리의 흐름이 축방향으로 동시적으로 들어가는 동안에 모든 링을 통과하는 반송에 결부되어 방사상으로 변형(variation)이 이루어진다.
제1의 처리 수단(10A)의 구멍(11A)의 내측면(13A)과 제2의 처리 수단(10B)의 구멍(11B)의 내측면(13B) 사이에서 각 α(알파)의 교차 지점이 형성된다. 도 7a는 구멍(11A, 11B)의 에지부(13A, 13B)의 일측 교차점에서의 각 α(알파)를 나타내는데, 구멍의 벽부의 제2 에지부 상에도 각도(도면에서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이와 관련하여 그 각도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일한 표시가 사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 수단의 구멍의 에지부들 사이의 각 α(알파)는 실험에서 45도보다 더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경우 재료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그외의 처리 수단은 소정의 방식으로 작동하였는데, 각 α(알파)의 교차점의 지점에서 처리 수단들 사이에서는 변형이 이루어지고 센터부로 반송되며 "잼(jam)"이 일어나지 않았다. 처리 수단의 구멍의 에지부가 곡선을 이룰때, 구멍들의 에지부의 교차점을 경유해서 지나는 곧바른 탄젠트선 간에 각 α(알파)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2의 처리 수단(10B)의 구멍(11B, 11C)의 에지부(13B 및 13C)들과 제3의 처리 수단(10C)의 사이의 교차점에서 각 β(베타)가 형성된다. 도 7a는 구멍 (11B, 11C)의 에지부(13B, 13C)의 일측 교차점상의 각 β(베타)를 나타내는데, 구멍들의 벽부의 제2 에지부 상에도 각도(도면상에 표시하지 않음)가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그 각도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일한 표시가 사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 수단의 구멍의 에지부들 사이의 각 β(베타)는 실험에서 45도보다 더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경우 재료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그외의 처리 수단은 소정의 방식으로 작동하였는데, 각 α(알파)의 교차점의 지점에서 처리 수단들 사이에서는 변형이 이루어지고 센터부로 반송되며 "잼(jam)"이 일어나지 않았다. 처리 수단의 구멍의 에지부가 곡선을 이룰때, 구멍들의 에지부의 교차점을 경유해서 지나는 곧바른 탄젠트선 간에 각 β(베타)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α,β;알파 베타의 규모는,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 방향이 변경 가능하더라도, 소정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로터리 프레스의 개략적인 작동에 대해서, 예컨대, WO8203200 A1공보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공보에는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다.
변형 정도는 쉐이핑 수단의 구멍의 크기와 형상, 그리고 구멍의 내측 에지부 상의 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가정용 쓰레기는 변형 스트림(shaped stream)으로서 반송 배관으로 투입되어, 배관 상에서 흡인력 및/또는 압력차에 의해 다음 단계로서 쓰레기장이나 그에 상응하는 취합소(reception location)로 반송된다.
본 발명은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에서의 재료처리 방법에도 관련되는데, 쓰레기 재료와 같은 재료는 쓰레기 슈트(3) 또는 그외 투입 지점(200)과 같은 투입 지점의 투입 구멍으로부터 투입되며, 투입 지점에 연결되거나 그 근방에 장착된 쉐이핑 장치(1)에서 처리되어 더 작게 만들어져 순방향으로 반송된다. 쉐이핑 장치 (1)는 로터리 쉐이퍼로서,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형성된 구멍(11A, 11C)을 포함하고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으로 이루어지며, 로터리 쉐이퍼는 적어도 정적 처리 수단(10B)을 포함하는데, 이 경우 처리될 재료는 로터리 쉐이퍼로 안내되고 및/또는 중력 및/또는 흡인력 및/또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터리 쉐이퍼를 통과하면서 처리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C)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시에 재료를 처리 수단에 들어가게 하여 처리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고정형 처리 수단(10B)과 함께 재료를 변형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을 통과하는 재료 흐름의 횡단영역은, 처리될 재료의 이동방향으로 줄어들어서, 재료가 로터리 쉐이퍼의 후방에 배치된 재료 반송 배관(4, 5)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회전 방향은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은, 토크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 장치(7)로 구동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각각의 회전 방향은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7)는 전기 모터, 공압 모터 또는 유체 모터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은 재료, 더 자세하게는 쓰레기 재료의 배관 반송 시스템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수단(10A, 10B, 10C) 중 적어도 일부 사이의 간극 및/또는 처리 수단(10A, 10B)과 이를 지지하는 부재(27, 28)들 사이의 간극으로 매체가 유입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수단(10A, 10B, 10C)의 구멍의 에지부(13A, 13B, 13C)의 상호 형상은,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3A, 13C)의 개별적인 회전 방향의 투입 재료가 중간에 모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배관 반송 시스템와 같은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 슈트(refuse chute, 3) 또는 다른 투입지점(200)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투입지점(input point)과, 상기 투입지점과 연결되거나 근방에 장착된 쉐이퍼 장치(1)와, 반송 배관 안에서 흐름 방향으로 재료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쉐이퍼 장치는, 로터리 쉐이퍼(1, 100)로서, 상기 로터리 쉐이퍼의 링형인 처리 수단(10A, 10B, 10C)의 일부는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이면서,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구멍(11A, 11B, 11C)을 포함하며, 처리 수단의 다른 일부는 정적 처리 수단(10B)이고, 처리될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및/또는 흡인력 및/또는 압력차에 의해 로터리 쉐이퍼로 안내되어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B, 10C) 중 적어도 일부는 나사산부(thread section)와 같은 표면 패턴 또는 그에 상응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회전시, 재료를 처리 수단(10A, 10C)에 들어가게 하여, 처리될 재료가 로터리 프레싱의 처리 수단에 의해 형성된 압축 단계를 통과하면서 처리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을 통과하는 재료 통로(material pathway, 11A, 11B, 11C)의 재료 횡단 영역이 재료 이동 방향으로 가면서 줄어든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쉐이핑 수단(10A, 10B, 10C)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면(support surface, 12A, 12B, 12C; 14A, 14B, 14C)으로 매체를 가져오도록 상기 쉐이핑 수단에 연결된 매체용 채널 수단(70, 71, 72)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매체용 채널 수단(70, 71, 72)과, 매체를 처리 수단의 지지면(12A, 12B, 12C; 14A, 14B, 14C) 또는 처리 수단 사이로 안내하는 채널(73, 74)이 쉐이핑 수단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터리 쉐이퍼의 배출 구멍(outpur aperture, 37)은, 재료 반송 방향으로 상기 배출 구멍에 이어지는 반송 파이프(4, 5)의 횡단 영역보다 작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B, 11C)은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두 개의 연속된 처리 수단(10A, 10B; 10B, 10C)의 구멍(11A, 11B; 11B, 11C)들의 에지부(13A, 13B; 13B, 13C)들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재료 투입 방향으로의 각도(α, β)(알파, 베타)는 45도보다 크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수단의 구멍들의 에지부들의 상호 형상은,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 방향에 무관하게 투입재료를 중앙에 모이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B, 11C)은 둥근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C)의 에지부 (13A, 13C)는, 외측 곡선부(outer curved section, 13A1, 13C1) 및 제2 내측 곡선부(13A3, 13C3)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고, 곡선부들은 주 직선부(mainly straight section, 13A2, 13C2)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곡선부(13A1, 13C1)의 곡율반경은 제2 곡선부(13A3, 13C3)의 곡율반경보다 크다.
대체로 여기서의 재료는 백에 담기는 쓰레기 재료이다. 쓰레기 슈트는 공압 쓰레기 반송 시스템의 일부 또는 별개의 부분으로서 구비되며, 쓰레기 슈트에 담긴 쓰레기 재료는 폐기물실, 쓰레기 컨테이너 또는 그에 상응한 것으로 안내된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변경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적 구성은 다른 특징적 구성과 결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개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26)

  1. 쓰레기 재료인 재료가, 쓰레기 슈트(refuse chute, 3) 또는 다른 투입지점(200)인 투입 구멍으로부터 투입되고, 상기 투입지점에 연결되거나 상기 투입지점의 근방에 구비된 쉐이핑 장치(shaping device)에서 더 작게 처리되어 순방향(onward)으로 반송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장치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정열된 구멍(11A, 11C)을 포함하고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과, 적어도 하나의 정적 처리 수단(10B)으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쉐이퍼(1)이고,
    처리될 재료가, 중력에 의해, 상기 로터리 쉐이퍼로 안내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터리 쉐이퍼를 통과할 때, 상기 처리될 재료는 흡인력 또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로터리 쉐이퍼로 안내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터리 쉐이퍼를 통과하고,
    상기 흡인력 또는 압력 차이에 의한 흡인효과의 작용하에, 로터리 쉐이퍼의 상기 처리수단(10A, 10C)은 처리대상 재료를 출구(37) 내로 이송에 적합하도록 성형하고,
    상기 재료는 상기 로터리 쉐이퍼에서 쉐이핑되어 작아지며, 상기 재료가 처리된 후에는 출구 커플링(4)을 경유하여 반송 배관(5)으로 안내되며,
    처리될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을 통과하는 재료 흐름의 횡단 영역이 축소되고, 로터리 쉐이퍼 뒤에 배치된 출구 커플링과 재료 반송 배관(4, 5)으로 재료가 안내되며,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쉐이퍼의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시에, 처리될 재료를 처리 수단에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은 적어도 하나의 정적 처리 수단(10B)과 함께 재료를 쉐이핑(sha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은 구동 장치(7)에 의해 구동되어, 토크(torque)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회전 방향은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구동장치(7)는 전기 모터, 공압 모터 또는 유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은 쓰레기 재료의 파이프 반송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10A, 10B, 10C)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간극, 또는 처리 수단(10A, 10B)과 이를 지지하는 부재(27, 28)들 사이의 간극으로 매체가 유입되며, 상기 매체에 의해, 마찰을 일으키는 조각들이 상기 처리 수단과 지지면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는 상기 처리 수단의 회전이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을 지지하는 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도록 하며, 상기 매체는 교체 공기(replacement ai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10A, 10B, 10C)의 구멍들의 에지부(13A, 13B, 13C)들의 상호 형상(mutual shape)은,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방향에 무관하게 투입 재료를 중심에 모으도록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12. 쓰레기 슈트(3) 또는 다른 투입지점(200)인 적어도 하나의 투입지점과, 상기 투입지점과 연결되거나 상기 투입지점의 근방에 장착된 쉐이핑 장치와, 반송 배관 안에서 순방향으로 재료를 반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장치는, 로터리 쉐이퍼(1, 100)이며, 상기 로터리 쉐이퍼의 링형인 처리 수단(10A, 10B, 10C) 중 일부는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이고,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구멍(11A, 11B, 11C)을 포함하며, 처리 수단의 일부는 정적 처리 수단(10B)이고,
    처리될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에 의해, 상기 로터리 쉐이퍼로 안내되어 상기 로터리 쉐이퍼를 통과하고, 또 상기 처리될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인력 또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로터리 쉐이퍼로 안내되어 상기 로터리 쉐이퍼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흡인력 또는 압력 차이에 의한 흡인효과의 작용하에, 로터리 쉐이퍼의 상기 처리수단(10A, 10C)은 처리대상 재료를 출구(37) 내로 이송에 적합하도록 성형하고,
    상기 재료는 상기 로터리 쉐이퍼에서 쉐이핑되어 작아지게 되며, 상기 재료가 처리된 후에는 출구 커플링(4)을 경유하여 반송 배관(5)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고,
    처리될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B, 10C)을 통과하는 재료 흐름의 횡단 영역이 축소되고, 로터리 쉐이퍼 뒤에 배치된 출구 커플링과 재료 반송 배관(4, 5)으로 재료가 안내되며,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회전 방향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쉐이퍼의 처리 수단(10A, 10B, 10C) 중 적어도 일부는 나사산부(thread section)를 포함하는 표면 패턴 또는 그에 상응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이 회전할 때, 상기 표면 패턴이 작용해서, 처리될 재료를 반송하여 로터리 프레싱의 처리 수단에 의해 형성된 압축 단계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14. 삭제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 수단(10A, 10B, 10C) 중 적어도 일부의 지지면(12A, 12B, 12C; 14A, 14B, 14C)으로 매체가 보내지도록 하는 상기 처리 수단에 연결된 매체용 채널 수단(70, 71, 72)을 포함하여, 상기 매체에 의해, 마찰을 일으키는 조각들이 상기 처리 수단과 지지면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는 상기 처리 수단의 회전이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을 지지하는 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도록 하며, 상기 매체는 교체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용 채널 수단(70, 71, 72)과, 매체를 처리 수단의 지지면(12A, 12B, 12C; 14A, 14B, 14C) 또는 처리 수단들 사이로 안내하는 채널(73, 74)이 쉐이핑 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에 의해, 마찰을 일으키는 조각들이 상기 처리 수단과 지지면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는 상기 처리 수단의 회전이 상기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을 지지하는 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도록 하며, 상기 매체는 교체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쉐이퍼의 배출 구멍(37)은, 재료 반송 방향으로 상기 배출 구멍에 이어지는 출구 커플링(4)과 반송 배관(5)의 횡단 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18.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속된 처리 수단(10A, 10B; 10B, 10C)의 구멍(11A, 11B; 11B, 11C)들의 에지부(13A, 13B; 13B, 13C)들에 의해 규정된, 재료 투입 방향으로의 각도(α, β)(알파, 베타)는 적어도 45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10A, 10B, 10C)의 구멍들의 에지부(13A, 13B, 13C)들의 상호 형상은,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회전 방향에 무관하게 투입재료를 중앙에 모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B, 11C)은 둥근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C)의 에지부(13A, 13C)는, 제1 외측 곡선부(13A1, 13C1) 및 제2 내측 곡선부(13A3, 13C3)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고, 곡선부들은 주 직선부(13A2, 13C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1 외측 곡선부(13A1, 13C1)의 곡율반경은 제2 내측 곡선부(13A3, 13C3)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3.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따른 로터리 쉐이퍼용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은 이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구비된 구멍(11A, 11C)을 포함하는 링 형상의 수단이며, 상기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10A, 10C)의 외측 림(15A, 15C)은 만곡형상(cambered) 또는 통형상(barrel-like)인 로터리 쉐이퍼용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C)은 둥근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로터리 쉐이퍼용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멍(11A, 11C)의 에지부(13A, 13C)는, 제1 외측 곡선부(13A1, 13C1) 및 제2 내측 곡선부(13A3, 13C3)를 포함하는 형상이며, 상기 곡선부들은 주 직선부(13A2, 13C2)와 연결되는 로터리 쉐이퍼용 회전 가능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장치.
  26. 삭제
KR1020127023791A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35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05145 2010-02-12
FI20105145A FI122102B (fi) 2010-02-12 2010-02-12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FI20100203 2010-05-12
FI20100203A FI122106B (fi) 2010-02-12 2010-05-12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PCT/FI2011/050109 WO2011098667A2 (en) 2010-02-12 2011-02-08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in a pneumatic materials hand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467A KR20130042467A (ko) 2013-04-26
KR102035868B1 true KR102035868B1 (ko) 2019-10-23

Family

ID=4172769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791A KR102035868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177020748A KR101966571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 처리시스템에서의 재료처리방법 및 재료처리장치
KR20127023772A KR20120117934A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 처리시스템에서의 재료처리방법 및 재료처리장치
KR1020127023799A KR101971740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 처리 시스템에서의 재료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127023764A KR101971739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파이프 반송 시스템에서의 재료 처리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748A KR101966571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 처리시스템에서의 재료처리방법 및 재료처리장치
KR20127023772A KR20120117934A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 처리시스템에서의 재료처리방법 및 재료처리장치
KR1020127023799A KR101971740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재료 처리 시스템에서의 재료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127023764A KR101971739B1 (ko) 2010-02-12 2011-02-08 공압 파이프 반송 시스템에서의 재료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5) US9339983B2 (ko)
EP (4) EP2534072B1 (ko)
JP (4) JP5992835B2 (ko)
KR (5) KR102035868B1 (ko)
CN (4) CN102811928B (ko)
AU (4) AU2011214249B2 (ko)
BR (4) BR112012020025A2 (ko)
CA (4) CA2789347C (ko)
DK (4) DK2534073T3 (ko)
ES (4) ES2912873T3 (ko)
FI (4) FI122102B (ko)
PL (4) PL2534073T3 (ko)
RU (4) RU2549285C2 (ko)
SG (4) SG183242A1 (ko)
WO (4) WO20110986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102B (fi) * 2010-02-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FI123410B (fi) * 2011-09-14 2013-03-28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FI20126192A (fi) * 2011-12-02 2013-06-0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pneumaattisessa jätteiden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WO2013079784A1 (en) 2011-12-02 2013-06-06 Maricap Oy Method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FR2982110B3 (fr) 2012-01-10 2014-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f de lunettes pour visionner une image d'affichage
FI126930B (fi) * 2012-05-07 2017-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FI126111B (fi) * 2012-05-07 2016-06-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rotaatiomuokkainlaitteeseen
FI125741B (fi) * 2012-07-02 2016-01-29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FI124487B (fi) 2013-01-25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syöttökuilusta
FI124638B (fi) * 2013-03-15 2014-11-14 Maricap Oy Rotaatiomuokkaimen käsittelyelimen teräpala, käsittelyelin ja rotaatiomuokkain
FI124837B (fi) *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5194B (fi) * 2013-07-30 2015-06-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US20150122922A1 (en) * 2013-11-05 2015-05-07 Johnson Electric S.A. Food waste disposer
CN104444376A (zh) * 2014-10-20 2015-03-25 无锡红旗除尘设备有限公司 一种转炉一次干法除尘细灰双管双仓泵静压浓相分段助推式气力输送方法
KR102094458B1 (ko) * 2018-09-12 2020-04-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밸브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FI129115B (fi) 2020-01-14 2021-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iirtä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 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CN113233061B (zh) * 2021-04-09 2022-05-17 李建波 一种智能垃圾桶的收运方法及系统
DK181490B1 (en) * 2022-07-11 2024-03-07 Nordic Recycling Systems Group As A pneumatic convey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llecting objects and transporting them to a collecting unit and use of same
CN115790168B (zh) * 2023-02-07 2023-04-21 河南永晟机械制造有限公司 箱式炉出料工作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3200A1 (en) * 1981-03-17 1982-09-30 Nils Goesta Rosenberg Device for fragmenting,compacting and discharging of voluminous bulk goods,in particular household waste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627A (en) * 1950-01-20 1956-09-04 Namreed Corp Hydraulically actuated garbage disposal unit
SE323024B (ko) * 1968-02-05 1970-04-20 Centralsug Ab
BE717646A (ko) * 1968-07-05 1969-01-06
JPS4716147Y1 (ko) * 1969-10-07 1972-06-07
US3621774A (en) 1970-02-18 1971-11-23 Waterbury Hydraulic & Pollutio Compacting mechanism
US3653720A (en) * 1970-03-04 1972-04-04 Wascon Systems Inc Hydraulic transportation system
JPS4716147U (ko) 1971-03-25 1972-10-25
BE790312A (fr) * 1971-10-27 1973-02-15 Svenska Flaektfabriken Ab Dispositif destine a des installations centrales de transport pneumatique intermittent d'ordures emballees, de linge et autres dechets en paquets
US4099457A (en) * 1972-02-25 1978-07-11 Ab Centralsug Method for discharging refuse
SE372459B (ko) * 1973-03-16 1974-12-23 Handelsbolaget Under Fa Cassel
SE380231B (sv) * 1973-03-27 1975-11-03 Svenska Flaektfabriken Ab Anordning vid anleggningar for pneumatisk transport av paketerat avfall
DE2504212A1 (de) * 1975-02-01 1976-08-05 Karlsruhe Augsburg Iweka Vorrichtung zum entsorgen von haus-, geschaefts- und/oder industriemuell
US4051961A (en) * 1975-06-23 1977-10-04 Williams Automatic Refuse Removal Corporation Automatic trash pickup machine
US4072097A (en) * 1976-06-18 1978-02-07 Seibel Arthur H Litter disposal device for automobiles
JPS5419571A (en) 1977-07-15 1979-02-14 Fuji Electric Co Ltd Refuse transporting system
JPS5451270A (en) * 1977-09-30 1979-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discharge of wastes
US4227451A (en) * 1978-11-06 1980-10-14 Slavinsky Valentin N Device for delivery of bulk materials
JPS58144505U (ja) * 1982-03-19 1983-09-2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貯留ドラムの気密装置
EP0093825A1 (en) * 1982-05-07 1983-11-16 A-Betong AB Method and system for waste management
JPS6138127U (ja) * 1984-08-13 1986-03-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輸送装置
US4630780A (en) * 1984-12-24 1986-12-23 Somat Corporation Replaceable beveled shear members for a waste pulping machine
US4615647A (en) * 1985-02-21 1986-10-07 Fuller Company Pneumatic conveying device and flap valve
SU1261854A1 (ru) * 1985-04-01 1986-10-07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о Очистке Городских Территорий И Водных Протоков Исполкома Ленгорсовета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алени мусора из зданий
JPS63162050A (ja) 1986-12-26 1988-07-05 井上 紀雄 生ごみ廃棄処理装置
JPS63133505U (ko) * 1987-02-20 1988-09-01
JPH0227894Y2 (ko) * 1987-03-04 1990-07-26
US4787321A (en) * 1987-03-26 1988-11-29 Howbeit, Inc. Solid waste conversion plant
US4881862A (en) * 1987-09-30 1989-11-21 Jenike & Johanson, Inc. Screw seal
US4889290A (en) * 1988-03-07 1989-12-26 Affald International Inc. Waste disposal apparatus
JPH0545598U (ja) * 1991-11-25 1993-06-18 株式会社東京精密 回転テーブル装置
IT1252103B (it) * 1991-11-27 1995-06-02 Gpw Macchine S A S Di Giuseppe Pompa per materiali solidi particellari
US5263591A (en) * 1991-12-12 1993-11-23 Taormina Industries, Inc. Refuse recycling system
US5285828A (en) * 1992-05-28 1994-02-15 Promation Incorporated Apparatus for introducing filler material into containers
US5333146A (en) * 1992-07-27 1994-07-26 Murry Vance On-site, biohazardous waste disposal system
DE4326483A1 (de) * 1993-08-06 1995-02-09 Siemens Ag Abfall-Transporteinrichtung
JP2593678Y2 (ja) 1993-08-31 1999-04-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粒度分布測定装置
JP2886777B2 (ja) * 1994-02-15 1999-04-26 富士車輌株式会社 ゴミの空気輸送装置
US5860232A (en) * 1995-12-06 1999-01-19 Concept Engineering Group, Inc. Mobile safe excavation system having a deflector plate and vacuum source
JP3129997B2 (ja) 1997-07-14 2001-01-31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粉砕機
JPH1190372A (ja) * 1997-09-19 1999-04-06 Mitsubishi Heavy Ind Ltd 管内閉塞物の除去装置
IT1299236B1 (it) * 1998-05-13 2000-02-29 Termomeccanica S P A Sistema di aspirazione dei rifiuti urbani e materiale da riciclare
US6109551A (en) * 1998-09-09 2000-08-29 Environmental Systems & Solutions, Inc. Cutter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unit
SE512599C2 (sv) * 1999-02-05 2000-04-10 Centralsug Int Ab Sätt och anordning vid tömning av en expanderad lagringsvolym i ett avfallstransportsystem
NL1013085C2 (nl) 1999-09-17 2001-03-20 Skeet Aba Holding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kleinen van materiaaldelen.
JP2002068475A (ja) * 2000-08-31 2002-03-08 Sanwa Sangyo Kk 搬送システムに於ける搬送補助装置
JP4256058B2 (ja) * 2000-09-12 2009-04-22 株式会社フロム工業 ディスポーザーの運転装置
KR100425545B1 (ko) * 2001-03-12 2004-04-08 노 택 박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JP2005029349A (ja) * 2003-07-07 2005-02-03 Shin Meiwa Ind Co Ltd ゴミ貯留装置、ゴミ収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2632026Y (zh) * 2003-07-09 2004-08-11 李元有 全封闭旋转式垃圾压缩存储机
US6878186B2 (en) * 2003-09-09 2005-04-12 David Lloyd Neary Pure vacuum swing adsorption system and apparatus
FI118528B (fi) * 2004-03-03 2007-12-14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JP2006082065A (ja) * 2004-09-17 2006-03-30 Inax Corp 生ごみの切断処理装置
US20060108270A1 (en) * 2004-11-19 2006-05-25 Ebara Corporation Sewag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847110A (zh) * 2005-04-11 2006-10-18 张涉 一种真空管道垃圾收运系统
JP2007054804A (ja) * 2005-08-26 2007-03-08 Max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FR2890384B1 (fr) * 2005-09-02 2007-11-23 Sidel Sas Convoyeur ou transporteur a air
CN2848776Y (zh) * 2005-12-16 2006-12-20 李跃平 一种垃圾垂直压缩中转站设备
US20070294858A1 (en) * 2006-06-23 2007-12-27 Murphy Jerry A Portable Vacuum Canister and Method of Waste Disposal Therefrom
US7743717B2 (en) * 2006-12-08 2010-06-29 Plasma Waste Recycling, Inc. Apparatus for conveying solid waste to a furnace
CN101234705A (zh) * 2007-01-30 2008-08-06 上海宝钢生产协力公司 一种粉煤灰管式气力输送方法
CN201027115Y (zh) * 2007-04-29 2008-02-27 珠海醋酸纤维有限公司 气力输送物料系统
AU2007202168A1 (en) 2007-05-15 2008-12-11 Pioneer Waste Management Holdings Trust Pty Limited Putrescible organic waste treatment
DE102007034113B4 (de) * 2007-07-21 2018-07-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Kalibrierung einer Hydraulikpumpe
CA2620778C (en) * 2008-02-08 2011-08-09 K.C. Sargent Sales Ltd. Portable compactor for materials, especially waste and recyclable materials
FI124910B (fi) * 2008-04-22 2015-03-31 Maricap Oy Menetelmä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n säiliötilan tyhjentämiseksi ja pneumaattisen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säiliö
CN201264803Y (zh) * 2008-07-31 2009-07-01 上海普泽瑞华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垃圾气力输送系统的带有消音补气箱的投放站
CN102665921A (zh) * 2009-11-19 2012-09-12 保罗·W·阿尔福德 加工材料的方法和设备
FI122102B (fi) * 2010-02-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US8562916B2 (en) * 2012-01-20 2013-10-22 Yoichiro Yamanobe Medical wastes disposal apparatus and medical wastes disposa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3200A1 (en) * 1981-03-17 1982-09-30 Nils Goesta Rosenberg Device for fragmenting,compacting and discharging of voluminous bulk goods,in particular househol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1928B (zh) 2018-04-24
JP2013519603A (ja) 2013-05-30
BR112012020023A2 (pt) 2019-09-24
AU2011214250A1 (en) 2012-10-04
PL2534073T3 (pl) 2022-06-27
JP2013519605A (ja) 2013-05-30
AU2011214249A2 (en) 2012-09-27
AU2011214248A2 (en) 2012-09-27
CN102822072A (zh) 2012-12-12
KR20120117933A (ko) 2012-10-24
RU2012139025A (ru) 2014-03-20
US9139362B2 (en) 2015-09-22
KR20120117934A (ko) 2012-10-24
KR101966571B1 (ko) 2019-04-05
CN102811926A (zh) 2012-12-05
PL2534075T3 (pl) 2022-07-04
PL2534074T3 (pl) 2022-08-16
FI20105145A0 (fi) 2010-02-12
FI20100203A0 (fi) 2010-05-12
US20160009044A1 (en) 2016-01-14
DK2534072T3 (da) 2022-08-15
US20120319327A1 (en) 2012-12-20
CA2789348C (en) 2018-01-02
RU2587044C2 (ru) 2016-06-10
KR20170088446A (ko) 2017-08-01
WO2011098668A2 (en) 2011-08-18
EP2534073A2 (en) 2012-12-19
FI20115119A (fi) 2011-08-13
BR112012020024A2 (pt) 2019-09-24
WO2011098668A3 (en) 2012-09-13
EP2534074B1 (en) 2022-03-30
CA2789449A1 (en) 2011-08-18
FI20105570A0 (fi) 2010-05-24
FI122102B (fi) 2011-08-31
EP2534072A1 (en) 2012-12-19
JP2013519604A (ja) 2013-05-30
KR20130042467A (ko) 2013-04-26
US20120308314A1 (en) 2012-12-06
JP2013519606A (ja) 2013-05-30
FI20115119A0 (fi) 2011-02-08
SG183240A1 (en) 2012-09-27
EP2534075A2 (en) 2012-12-19
AU2011214248B2 (en) 2015-10-01
ES2913432T3 (es) 2022-06-02
AU2011214250A2 (en) 2012-10-04
FI122106B (fi) 2011-08-31
ES2916200T3 (es) 2022-06-29
CA2789451A1 (en) 2011-08-18
WO2011098669A2 (en) 2011-08-18
JP5995725B2 (ja) 2016-09-21
RU2012139023A (ru) 2014-03-20
KR101971740B1 (ko) 2019-08-13
DK2534073T3 (da) 2022-06-20
CN102811928A (zh) 2012-12-05
CN102811927A (zh) 2012-12-05
AU2011214250B2 (en) 2015-10-29
US8899885B2 (en) 2014-12-02
CN102811926B (zh) 2016-04-06
WO2011098669A3 (en) 2012-08-23
CA2789348A1 (en) 2011-08-18
KR20120135249A (ko) 2012-12-12
DK2534074T3 (da) 2022-06-27
RU2012139021A (ru) 2014-03-20
ES2912873T3 (es) 2022-05-30
EP2534073B1 (en) 2022-03-30
RU2012139024A (ru) 2014-03-27
ES2922884T3 (es) 2022-09-21
US9339983B2 (en) 2016-05-17
PL2534072T3 (pl) 2022-10-24
CA2789347C (en) 2018-03-20
RU2585047C2 (ru) 2016-05-27
FI123343B (fi) 2013-02-28
RU2560855C2 (ru) 2015-08-20
KR101971739B1 (ko) 2019-08-20
CA2789449C (en) 2018-09-04
FI122105B (fi) 2011-08-31
AU2011214248A1 (en) 2012-10-04
DK2534075T3 (da) 2022-06-27
AU2011214249B2 (en) 2015-08-27
SG183239A1 (en) 2012-09-27
RU2549285C2 (ru) 2015-04-27
EP2534075B1 (en) 2022-04-13
EP2534072B1 (en) 2022-05-11
EP2534074A2 (en) 2012-12-19
BR112012020025A2 (pt) 2019-09-24
WO2011098667A3 (en) 2012-08-23
CN102811927B (zh) 2016-04-06
CA2789347A1 (en) 2011-08-18
BR112012020022A2 (pt) 2019-09-24
AU2011214247A2 (en) 2012-11-08
WO2011098666A1 (en) 2011-08-18
US20120308313A1 (en) 2012-12-06
AU2011214247B2 (en) 2015-09-17
US20120304873A1 (en) 2012-12-06
SG183241A1 (en) 2012-09-27
AU2011214247A1 (en) 2012-10-04
SG183242A1 (en) 2012-09-27
AU2011214249A1 (en) 2012-10-04
JP5992835B2 (ja) 2016-09-14
WO2011098667A2 (en) 2011-08-18
US9156612B2 (en)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868B1 (ko) 공압 재료처리 시스템의 재료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