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545B1 -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545B1
KR100425545B1 KR10-2001-0012704A KR20010012704A KR100425545B1 KR 100425545 B1 KR100425545 B1 KR 100425545B1 KR 20010012704 A KR20010012704 A KR 20010012704A KR 100425545 B1 KR100425545 B1 KR 10042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mesh
cutter
grai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629A (ko
Inventor
노 택 박
이정원
Original Assignee
노 택 박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 택 박, 이정원 filed Critical 노 택 박
Priority to KR10-2001-001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5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분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추, 쌀, 콩 등과 같은 곡물을 비(非) 마찰식으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쇄칼과 분쇄실을 2개 이상의 복수 층으로 형성하여 투입되는 곡물을 다단으로 분쇄하도록 하여 상품을 고품질화하면서 미세 분쇄하고 또한 분쇄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축봉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뭉쳐 배출되는 곡물을 풀어헤쳐 주도록 하고,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동장치의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의 종류나 크기, 함수율 또는 원하는 분쇄정도에 따라 분쇄입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쇄장치의 일단에 방열블럭을 설치하여 상온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서 분쇄칼의 열팽창과 분쇄되는 곡물의 영양파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실링부재인 리레나를 설치하여 베어링 분말가루가 분쇄곡물 중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다단으로 분쇄하도록 함으로서 분쇄곡물이 고추가루인 경우 고추피로 부터 발생되는 고추물이 씨앗으로 충분한 스며들어 염색되게 함으로서 상품성(때깔)이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회전충격식 분쇄장치{Rotary impactive grinder}
본 발명은 금속분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추, 쌀, 콩 등과 같은 곡물을 비(非) 마찰식으로 미세 분쇄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쇄칼과 분쇄실을 2개 이상의 복수 층으로 형성하여 투입되는 곡물(예컨데 건조된 고추)의 상품을 고품질화하면서 미세 분쇄하고 또한 분쇄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축봉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뭉쳐 배출되는 곡물을 풀어헤쳐 주도록 하고,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동장치의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의 종류나 크기, 함수율 또는 원하는 분쇄정도에 따라 분쇄입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분쇄장치의 일단에 방열블럭을 설치하여 상온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서 분쇄칼의 열팽창과 분쇄되는 곡물의 영양파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실링부재인 리레나를 설치하여 베어링 분말가루가 분쇄곡물 중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다단으로 분쇄로 곡물이 고추가루인 경우 고추피로 부터 발생되는 고추물이 씨앗으로 충분한 스며들어 염색되게 함으로서 상품성(때깔)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 분쇄장치는 회전속도가 다른 두 개의 롤러로 1차 분쇄하고, 다시 1차롤러와 근접하거나 또는 1차롤러와 접촉하는 롤러로 2차 분쇄하고, 다시 미세한 분쇄를 위하여 3차 내지 5차 분쇄를 하게 되는 바, 분쇄물의 재료나 용도 및 원하는 정도에 따라 여러 번의 분쇄과정을 거치게 된다.
분쇄물을 분쇄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롤러와 롤러의 거리를 가까이 하면 분쇄물이 쉽게 투입되지 않고, 회전롤러에 과부하가 작용되므로 롤러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점차적으로 좁혀가면서 여러 번의 분쇄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한 두 개의 롤러와 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변속 및 구동장치 등이 설치되므로 곡물분쇄장치의 전체부피가 커지고 무게 또한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곡물분쇄장치는 대부분 기어 또는 롤러 끼리의 마찰접촉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곡물을 분쇄하게 되므로 마찰분쇄할 때 발생되는 미량의 금속분말(중금속)이 분쇄곡물 중으로 혼입되므로 건강을 위협하게 되고, 마찰열에 의해 분쇄곡물의 영양분이 파괴되며, 분쇄장치의 사용 수명도 그 만치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속분말이 발생하지 않는 비(非) 마찰식으로 곡물을 분쇄하도록 함으로서 위생상 안전하고 곡물의 영양파괴가 감소되며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킨 소형의 '비(非) 마찰식 곡물분쇄기'를 국내 특허출원 제1998-052993호로 출원한 바 있으나, 분쇄된 곡물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쇄정도가 조정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테면, 거칠게, 조금 거칠게, 보드랍게, 아주 보드랍게와 같은 분도조절이 아니되므로 대상 곡물에 따라 분쇄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미세하게 분쇄는 되나 1회만 분쇄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색도(붉은 색상)가 떨어져 B급 상품으로 전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 분쇄장치로 곡물을 분쇄할 경우 2회 내지 5회 분쇄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발명에서는 곡물을 1회에 걸쳐 분쇄하도록 하는 구조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즉, 종래처럼 번거럽더라도 곡물 예컨데 고추를 여러번에 걸쳐 분쇄하게 되면 고추씨앗이 완전히 어깨어지면서 고추피의 붉은물이 들어 A급 상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비 마찰식으로 1회 분쇄하는 상기 발명으로는 이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걸름채의 측면에 조밀하게 형성된 수평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의 입자가 더욱 미세하고 쇳가루 등이 포함되지 않아 위생적이고 상품성이 우수한 편이기는 하나 배출압력에 의해 배출공을 통과하면서 원기둥 형태로 둥글게 뭉쳐진 상태로 배출되므로 기존의 분쇄장치로 분쇄 배출되는 곡물의 입자 형태가 사뭇 다르다는 선입견과 거부감 때문에 상품성을 폄하하여 판매가 부진하고 사용에 거부감이 있었다.
또한, 두개의 롤러로 마찰시켜 분쇄하는 종래 방식의 분쇄장치는 입자조정이 잘 안된다. 즉, 습도가 높은 상태의 고추가루를 분쇄하는 경우 거칠게 분쇄되고, 습도가 낮은 상태의 고추가루를 분쇄하는 경우 완전 분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쇄칼과 분쇄실을 2개 이상의 복수 층으로 형성하여 투입되는 곡물(예컨데, 건조된 고추)의 상품을 고품질화하면서 미세 분쇄하고 또한 분쇄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축봉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분쇄 배출되는 곡물가루를 풀어주도록 하고,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동장치의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의 종류나 크기, 함수율 또는 원하는 분쇄정도에 따라 분쇄입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쇄장치의 일단에 방열블럭을 설치하여 상온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서 분쇄칼의 열팽창과 분쇄되는 곡물의 영양파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실링부재인 리레나를 설치하여 베어링 분말가루가 분쇄곡물 중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다단으로 분쇄하도록 함으로서 고추가루의 경우 고추피로 부터 발생되는 고추액이 씨앗으로 충분한 스며들어 염색되게 함으로서 상품성(때깔)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 -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도 3 - 본 발명 회전커터의 평면도.
도 4 - 본 발명 고정커터용 스페이스의 평면도.
도 5 - 본 발명의 컷팅장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 본 발명 고정커터의 평면도.
도 7 - 본 발명 회전커터 평면도.
도 8 -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 단면도.
도 9 - 본 발명 회전체 부분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고정체 부분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상부커터의 평면도.
도 12 - 본 발명 하부커터의 평면도.
도 13 - 본 발명 하부커터의 단면도.
도 14 - 본 발명의 중간 망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 - 본 발명 중간 망체의 종 단면도.
도 16 - 본 발명 중간 망체 평 단면도.
도 17 - 본 발명에서 망체의 고정부 부분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
도 18 - 본 발명 상부 망체의 종 단면도.
도 19 - 본 발명 상부 망체 평 단면도.
도 20 - 본 발명 하부 망체 종 단면도.
도 21, 도 22 - 본 발명 하부 망체 평 단면도
도 23 - 본 발명 망체 고정부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24 - 본 발명 망체 고정부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25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쇄칼 평면도.
도 26 - 본 발명에서 분쇄칼과 방열블럭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27 - 본 발명 방열블럭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8 - 본 발명 상부 방열블럭의 외관 사시도.
도 29 - 본 발명 분쇄칼 끝부분 평 단면도.
도 30 - 본 발명 도 29의 다른 실시예 평 단면도.
도 31 - 본 발명 원형망의 부분 학대 단면도.
도 32 - 본 발명 원형망의 평면도.
도 33 - 본 발명 스크레이퍼의 외관 사시도.
도 34 - 본 발명 스크레이퍼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회전충격식 분쇄장치 (2)--곡물 투입구
(3)--컷팅장치 (4)--분쇄장치
(5)--배출장치 (6)--구동장치
(7)--제어기 (8)--상부판
(9)--하부판 (10)--곡물투입공
(11)--호퍼 (12)--연결봉
(13)--회전커터 (14)--축봉
(15)--보스 (16)(26)(51)(58)--커터
(17)--만곡면 (18)(54)(21)(48)(54)(106)(109)(115)--축공
(19)(20)(49)(107)(110)(116)--키홈 (22)(29)--스페이스
(23)--고정커터 (24)(28)(52)(59)--통공 (25)--원형링 (27)--만곡부 (30)--하부커터 (31)--상부커터 (32)--구동장치의 회전축봉 (33)--커플러 (34)(35)(36)--분쇄칼 (37)(38)(39)--방열블럭 (40)(41)--베어링 (42)--와셔 (43)--너트 (44)--교반봉 (45)--지지부재 (46)--스크레이퍼 (55)--배출구 (50)(57)--림 (53)--보스 (60)--나공 (61)--체결공 (62)(83)(87)(93)(96)(100)--렌치볼트 (63)--격리판 (64)(65)--실링부재(66)(67)(68)--망체 (69)(70)(71)-- 분쇄실 (72)(73)--칸막이 (74)(75)(76)--배출공 (77)(91)(97)(98)(99)--경사면 (78)--결합공
(79)(84)--단턱부 (80)(85)--고정부
(81)(86)--유입공 (82)(88)--나공
(90)(119)--봉 (92)(95)--결합공
(94)--돌출테 (101)--원호부
(102)--직선부 (104)(105)(104a)(105a)--칼날
(108)--나사구멍 (111)--요입홈
(112)--방열부 (113)--구멍
(114)--공간부 (117)--체결공
(118)--삽입공 (120)--세로홈
(121)--틈 (122)--곡물
(123)--원형망 (124)--걸름공
(125)--연결부 (126)--결합공
(127)--돌출테 (128)--바닥면
(129)--원통형 케이스 (130)--탄지링
(132)--모음판 (133)--결합홈
(134)(135)--밀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회전충격식 분쇄장치(1)의 단면 구성도로, 분쇄 대상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와, 투입되는 곡물을 휘저어 주면서 거칠게 절단하는 컷팅장치(3)와, 컷팅된 곡물을 다 단계로 미세 분쇄하는 복수 개의 비 마찰식 분쇄장치(4)와, 분쇄된 곡물을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5)와, 각 회전체들을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로 크게 구성된다.그리고, 투입되는 곡물을 거칠게 1차 절단하는 컷팅장치(3)와, 복수 개의 비 마찰식 분쇄장치(4)와, 분쇄된 곡물을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5)는 상ㆍ하부판(8)(9)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판(8)의 중앙에는 곡물투입공(10)과 호퍼(11)가 형성 및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6)는 제어기(7)를 이용하여 회전속도 및 회전토크를 가변할 수 있는 기어드 모터 또는 인버터 모터 등으로 구성하여 곡물의 종류나 분쇄정도에따라 상기 분쇄속도와 회전토크를 적절히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회전충격식 분쇄장치(1)는 회전방식이므로 컷팅장치(3)와, 분쇄장치(4) 등은 원형구조를 띄게 되며, 상ㆍ하부판(8)(9)은 이러한 원형구조에 대응하고, 또한 공간 및 부피 절약을 위하여 원판형 구조를 갖게되며, 상기 상ㆍ하부판(8)(9)은 복수 개의 연결봉(12)으로 고정되어 상ㆍ하 간격이 유지된다.
도 2는 본 발명 회전충격식 분쇄장치(1)의 확대 단면 구성도로, 분쇄장치(4)의 상부에 위치하는 컷팅장치(3)는 복수 개의 회전커터와 복수 개의 고정커터 및 상ㆍ하부 커터로 구성된다.
회전커터(13)는 도 3과 같이 축봉(14)에 고정되는 보스(15)의 바깥방향으로 향하는 4개 전ㆍ후의 커터(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커터(16)의 단부에는 외향 만곡면(17)이 형성되어 고정커터(23)와의 원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회전커터(13)의 보스(15) 부분에는 축공(18)과 키홈(19)이 형성되어 축봉(14)에 키 결합된다.
회전커터(13)는 도 4와 같이 키홈(20)과 축공(21)이 형성된 링형상의 스페이스(22)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회전커터(13) 끼리의 간격이 유지되게 결합한 다음 축봉(14)에 고정함으로서 회전커터(13)가 완성된다.
회전커터(13)에 결합되어 1조를 이루는 고정커터(23)는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통공(24)이 형성되는 원형링(25)의 안쪽에 원형링(25)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는 4개 전ㆍ후의 커터(26)가 형성되며, 커터(26)의 단부에는 요입형 만곡부(27)가 형성되어 회전커터(13)와의 원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커터(23)는 도 7과 같이 복수 개의 통공(28)이 형성된 링형상의 스페이스(29)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고정커터(23) 끼리의 간격이 유지되게 결합한 다음 하부커터(30)에 고정함으로서 고정커터(23)가 완성된다.
상기 고정커터(23)의 하부에는 하부커터(30)가 밀착 고정되고, 회전커터(13)의 상부에는 축봉(14)에 키 결합되는 상부커터(31)가 밀착 고정되어 회전커터(13)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축봉(14)은 도 1과 같이 구동장치(6)의 회전축봉(32)과 커플러(33)로 축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게 되며, 축봉(14)의 외면에는 단턱부에 의해 외경(또는 지름)이 상이한 여러단으로 구성된다.
다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축봉(14)의 외면에는 회전체(回轉體)인 상부커터(31)와, 회전커터(13)와, 분쇄칼(34)(35)(36)과, 방열블럭(37)(38)(39)가 각각 키 결합되며, 회전커터(13)와 1차 방열블럭(37) 사이에는 고정체(固定體)인 하부커터(30)가 베어링(40)으로 축 결합되며, 3차 분쇄칼(36)의 하부에는 또 다른 고정체(固定體)인 하부판(9)이 베어링(41)으로 축 결합된다.
축봉(14)의 상부에는 와셔(42)를 끼운 다음 복수 개의 너트(43)로 체결시켜 전체 회전체의 상ㆍ하 고정을 달성하고, 축봉(14)의 상단부에는 호퍼(2)와 비슷한기울기의 교반봉(44)이 체결되어 호퍼(2)로 투입되는 곡물을 휘저어 주게 되므로 곡물이 투입구(10)와 컷팅장치(3)로 쉽게 하강하면서 절단된다.
상기 와셔(42)는 밑으로 향 할수록 그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곡물의 하강투입을 유도하고, 복수 개의 너트(42)는 축봉(14)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체결되어 그 풀림이 방지되며, 상부커터(31)의 일측에는 지지부재(45)가 고정되고, 지지부재(45)에는 스크레이퍼(46)가 체결된다.
상기 스크레이퍼(46)는 축봉(14)과 상부커터(31)를 따라 회전하면서 분쇄실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스크레이퍼시켜 원할한 낙하배출을 유도하게 되며, 분쇄가 완료된 곡물이 하부판(9)으로 낙하하면 도 8과 같이 배출구(55) 방향으로 밀어 배출을 유도하게된다. 상기 배출구(55)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분쇄된 곡물의 원할한 배출을 유도하도록 한다.
도 11은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상부커터(31)의 평면도로, 축봉(14)이 결합되는 보스(47)의 중앙에 축공(48)과 키홈(49)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링형상의 림(50)과 상기 보스(47)는 3개 전ㆍ후의 커터(51)로 연결되며, 커터(51)와 커터(51) 사이에는 절단된 곡물이 밑으로 하강할 수 있는 통공(5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커터(51)는 림(50)과 보스(47)를 연결하는 아암의 기능도 하게 되지만 무엇보다 고정커터(23)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커터(26)와 서로 협조하면서 투입구(10)로 유입되는 곡물을 1차적으로 절단하게 되며, 그 외관 사시도는 도 5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 도 13은 하부커터(30)의 평면도와 단면도로, 보스(53)의 중앙부에 축공(54)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링형상의 림(57)과 상기 보스(53)는 3개 전ㆍ후의 커터(58)로 연결되며, 커터(58)와 커터(58) 사이에는 절단된 곡물이 밑으로 하강할 수 있는 통공(59)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커터(58)는 림(57)과 보스(53)를 연결하는 아암으로서의 기능도 하게 되지만 직상부에 위치하는 컷팅장치(3)에 의해 절단된 곡물이 하강하면 최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커터(13)와 서로 협조하면서 절단된 곡물을 한번 더 잘게 절단하게 된다.
림(57) 부분에는 고정커터(23)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나공(60)이 형성되며, 또한 나공(60)과 나공(60) 사이에 다른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있어서 렌치볼트(62)를 이용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분쇄장치(4)에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축공(54)에는 축중심 방향으로 다소 돌출되는 격리판(6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면에는 리레나와 같은 실링부재(64)를 설치할 수 있게된다.
상기 격리판(63)의 하부에는 축 베어링(40)과 또 다른 실링부재(65)가 설치되어 회전 마찰에 의해 베어링(40)으로부터 발생되는 금속분말이 곡물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도 5에 하부커터(30)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팅장치(3)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쇄장치(4)는 복수 층으로 설치되는 상ㆍ중ㆍ하 망체(66)(67)(68)와, 상기 망체(66)(67)(68)의 내부에 분쇄칼(34)(35)(36)과, 방열블럭(37)(38)(39)이 각각 설치되는 분쇄실(69)(70)(71)이 형성되고, 망체(66)(67)(68) 사이에는 상ㆍ하 분쇄실(69)(70)(71)을 격리시키는칸막이(72)(73)가 설치되어 곡물을 다층 구조이면서 다(多) 단계로 미세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망체(66)(67)(68)의 측면에는 분쇄된 곡물이 배출되는 수평 배출공(74)(75)(76)이 조밀한 간격으로 무수히 형성된다.
상부에 위치하는 망체(66)의 경우 수평 배출공(74)의 내경과 간격이 비교적 큰 편이며,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망체(67)의 경우 수평 배출공(75)의 내경과 간격이 중간 정도이며, 하부에 위치하는 망체(68)의 경우 수평 배출공(76)의 내경과 간격이 더욱 좁은 편이므로 곡물을 다 단계로 자유 낙하시키면서 미세 분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곡물은 분쇄되면서 수평배출공(74)을 통하여 망체(66) 바깥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하는 망체(66)보다 직하부에 위치하는 망체(67)의 평면적인 내경을 크게 형성하여 분쇄 및 낙하하는 곡물을 재차 분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망체(67)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망체(68)의 평면적인 내경은 중간 망체(67)보다 더욱 큰 크기로 형성하여 중간 망체(67)로부터 분쇄 및 낙하하는 곡물을 수용하여 재차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중간층에 설치되는 망체(67)를 부분 절개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망체(67)의 종 단면도이고, 도 16은 상기 망체(67)의 횡단면도이다.
각 도면을 살펴보면 망체(67)의 내상부에 상부망체(66)로부터 낙하하는 곡물이 분쇄실(70)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사면(77)이 형성되고, 중간 부위에는 상부 망체(66)를 체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결합공(78)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망체(67)의 내부 하단에 격리판(72)을 얹어 고정할 수 있는 내향 단턱부(79)가 형성되며, 망체(67)의 하부 외면에는 도 15와 같이 하부 망체(68)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부(80)가 고른 간격으로 형성되며, 고정부(80)와 고정부(80) 사이에는 상부 망체(66)로부터 낙하하는 분쇄곡물이 하부 망체(68)의 분쇄실(71)로 유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입공(8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80)에는 나공(82)이 각각 형성되어 도 17과 같이 렌치볼트(83)를 이용하여 하부 망체(68)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중간 망체(67)와 하부 망체(68)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77)(91)의 최상부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74)(75)보다 조금 더 높게 형성하고, 원형망(123)의 돌출테(127) 역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76)보다 조금 더 높게 형성함으로서 수평 배출공(74)(75)(76)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들이 망체(67)(68)와 돌출테(127)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 18은 상부층에 설치되는 상부 망체(66)의 종 단면도이고, 도 19는 상기 망체(66)의 횡 단면도로, 상기 중간 망체(67)와 비슷한 형상과 구조를 띄게 되지만 컷팅장치(3)에서 절단된 곡물이 분쇄실(69)로 바로 낙하하는 구조이므로 다른 망체(67)(68)와 비교했을 때 그 내경이 작은 편이며 상부 구조는 하부커터(30)가 체결되는 이유러 중간 망체(67)와는 사뭇 다르다.
즉, 망체(66)의 상부면에는 도 5와 같은 구성의 하부커터(30)가렌치볼트(62)로 체결 고정되며, 망체(66)의 내상부 하단에는 격리판(69)을 얹어 고정할 수 있는 내향 단턱부(84)가 형성되며, 망체(66)의 하부 외면에는 중간 망체(67)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부(85)가 고른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85)와 고정부(85) 사이에는 수평 배출공(74)으로 부터 배출되는 분쇄곡물이 중간 망체(67)의 분쇄실(70)로 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입공(86)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부(85)에는 나공(88)이 각각 형성되어 도 17과 같이 렌치볼트(87)를 이용하여 중간 망체(67)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망체(66)의 내측벽 통공에 봉(90)이 삽입 고정되어 분쇄칼(34)의 상부면에 얹혀 있는 곡물을 밀어 내리게 된다.
즉, 상기 봉(90)은 분쇄칼(34)의 상부면과 닿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며, 비록 상부망체(66)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분쇄칼(34)이 회전하게 되므로 분쇄칼(34)의 상부면에 얹혀 있는 곡물이 분쇄칼(34) 밑으로 떨어져 분쇄된다.
도 20은 하부 망체(68)의 횡 단면도이고, 도 21, 도 22는 하부 망체(68)의 종 단면도이다.
상기 하부 망체(68)는 중간 망체(67)와 비슷한 구조를 갖게 되지만 그 내경은 중간 망체(68)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중간 망체(67)의 배출공(75)으로부터 배출/낙하하는 곡물을 수용하여 재차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즉, 중간 망체(67) 처럼 망체(68)의 내상부에 중간 망체(67)의 배출공(74)으로부터 낙하하는 곡물을 분쇄실(71)로 유도하는 경사면(91)이 형성되고, 중간 부위에는 중간 망체(67)를 체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결합공(9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도 17과 같이 렌치볼트(93)를 이용하여 중간 망체(67)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부 망체(68)의 하부에는 하부판(9)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중간 망체(67)와는 사뭇 다른 구조를 갖게 된다.
즉, 하부 망체(68)의 하부 외면에 돌출테(94)가 빙둘러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94)에는 수직 결합공(95)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 17과 같이 렌치볼트(96)로 하부판(9)에 견고히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하부 망체(68)의 측면에 무수히 형성되는 가로 배출공(76)은 도 22와 같이 하부 망체(68)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빙둘러 형성된다.
상기에서 고정부(80)(85)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므로 고정부(80)(85)의 상부면에 낙하하는 곡물이 엊혀 있을 수 있으나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의 밀대(134)(135)에 의해 밀려 떨어지면서 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망체(66)(67)(68)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부(80)(85)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23과 같이 고정부(80)(85)의 상부면 좌ㆍ우측에 경사면(97)(98)을 형성하거나, 도 24와 같이 상부면 일측으로 경사면(99)을 형성하여 낙하하는 곡물의 전부가 하부에 위치하는 분쇄실(70)(71)로 바로 유입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레이퍼(46)에 형성된 밀대(134)(135)의 크기를 줄이거나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분쇄실(69)(70)(71)에 각각 설치되는 분쇄칼(34)(35)(36)의 상부면에는 렌치볼트(100)와 같은 복수 개의 체결수단으로 방열블록(37)(38)(39)이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곡물을 분쇄할 때 각각의 분쇄칼(34)(35)(36)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열이 방열블록(37)(38)(39)을 통하여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고 분쇄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므로 분쇄칼(34)(35)(36)의 열팽창이나 분쇄곡물의 영양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분쇄칼(34)(35)(36)과 방열블록(37)(38)(39)은 분쇄실(69)(70)(71)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즉, 상부 분쇄칼(34)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7)은 상부 분쇄실(69)에 위치하게 되며, 중간 분쇄칼(35)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8)은 상부 망체(66)의 분쇄실(69) 저부에 삽입되며, 하부 분쇄칼(36)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9)은 하부 망체(68)의 분쇄실(70) 저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분쇄칼(34)(35)과 격리판(72)(73)의 이격거리와, 분쇄칼(36)과 하부판(9)의 이격거리는 0.5㎜ ~ 2㎜ 정도로 이격시켜 서로 닿거나 마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부 망체(66)의 수평배출공(74)은 3.5㎜ 전ㆍ후의 내경으로 하고, 중간 망체(67)의 수평배출공(75)은 3.0㎜ 전ㆍ후의 내경으로 하고, 하부 망체(68)의 수평배출공(76)은 2.5㎜ 전ㆍ후의 내경으로 하여 곡물을 다단으로 미세 분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수평배출공(74)(75)(76)의 내경은 상기 수치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곡물의 종류나 상태 분쇄정도에 따라 달리하면 된다.
한편, 상기 분쇄칼(34)(35)(36)은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위생적인 금속으로 가공하여 도 5와 같이 원호부(101)와 직선부(102)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상의 칼날(104)(105)이 축공(106)의 양측에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축공(106)의 내주면에는 키홈(107)이 형성되고, 양측 칼날(104)(105)에는 복수 개의 나사구멍(108)이 형성된다.
도 25는 상기 분쇄칼(34)(35)(36)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평면도로, 원호부(101)와 직선부(102)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상의 칼날(104a)(105a)을 서로 어긋지게 접합시킨 다음 용접(W)하여 중앙 부분에 축공(106)와 키홈(107)을 형성하면 될 것이다.
분쇄칼(34)(35)(3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방열블록(37)(38)(39)은 도 26과 같이 중앙부분에 축공(109)과 키홈(110)이 형성되고, 분쇄칼(35)(36)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8)(39)은 도 27과 같이 가장자리 부분에 요입홈(111)과 복수 개의 방열부(112)가 빙둘러 형성되며, 축공(109)의 양측으로는 복수 개의 구멍(113)이 형성되는 바, 상기 구멍(113)과 분쇄칼(34)(35)(36)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구멍(108)을 일치시킨 다음 피스(10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면 분쇄칼(34)(35)(36)과 방열블록(37)(38)(39)이 일체화되어 연동 회전하게 된다.
상기 분쇄칼(34)(35)(36)은 반원형 구조이고, 이에 고정되는 방열블록(37)(38)(39)은 각각의 분쇄칼(34)(35)(36)보다 직경이 다소 작더라도 원형 구조이므로 도 26과 같이 분쇄칼(34)(35)(36)의 끝 부분과 방열블록(37)(38)(39) 사이에 공간부(114)가 대향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4)에의해 분쇄중인 곡물의 상승이 어느 정도 방지된다.
도 28은 상부 분쇄칼(34)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7)의 외관 사시도로, 가운데 부분에 축공(115)과 키홈(116)과 체결공(117)과 상부커터(31)의 보스(47) 부분이 헐겁게 끼워지는 삽입공(118)이 각각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3개 전ㆍ후의 봉(119)이 삽입 고정되어 컷팅장치(3)로부터 분쇄실(69)로 낙하하는 곡물을 휘저어 주어 분쇄를 도와주게 된다.
한편, 수평 배출공(74)(75)(76)이 형성된 망체(66)(67)(68)의 내주면에는 도 29와 같이 세로홈(120)을 각각 형성하고, 분쇄칼(34)(35)(36)은 원호부(101)가 앞장서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서 분쇄칼(16)을 따라 회전하는 곡물이 상기 원호부(101)의 가압작용에 의해 분쇄칼(34)(35)(36)의 끝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분쇄칼(34)(35)(36)과 망체(66)(67)(68) 사이에는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는 틈(121)을 형성하여 고정체(固定體)인 망체(66)(67)(68)와 회전체(回轉體)인 분쇄칼(34)(35)(36)이 서로 닿거나 마찰하지 않게 함으로서 금속가루 분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분쇄칼(34)(35)(36)의 끝 부분으로 이동된 곡물(122)은 상기 틈(121) 사이와 세로홈(120) 사이로 진입하면서 충돌하고 또한 으깨어지면서 분쇄되며, 분쇄된 곡물은 배출공(74)(75)(76)으로 수평 배출된다.
상기에서 분쇄칼(34)(35)(36)의 회전력과 원호부(101)에 의해 각 분쇄실(69)(70)(71)의 곡물들이 틈(121)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하면서 압축되고 곡물들 끼리 충돌하면서 분쇄 및 파쇄된다.
도 30은 상기 도 29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로, 망체(66)(67)(68)에 형성하는 배출공(74)(75)(76)을 곡물 배출방향과 같거나 비슷한 방향으로 형성하면 곡물(122)의 배출과 파쇄가 효과적이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하부 망체(68)의 돌출테(94) 상부면에는 도 32와 같은 링형상의 원형망(123)이 억지끼움식 또는 걸림구조로 고정되어 최종 배출공(76)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분쇄상태의 곡물이 낙하하게된다. 도 32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원형망(123)은 도 31과 같이 가장자리 부분에 상향(직각) 돌출테(127)가 빙둘러 형성되며, 몸체 부분과 돌출테(127) 부분에 방사상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는 걸름공(124)이 좁은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되며, 걸름공(124)과 걸름공(124) 사이에는 연결부(125)가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하부 망체(68) 외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26)이 형성되고, 원형망(123)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향 돌출테(127)가 빙둘러 형성되어 최종 배출공(76)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원형망(123)을 이탈하거나 벗어나지 않게된다.
한편, 배출공(76)으로부터 배출되는 분쇄곡물은 배출압력에 의해 다소 뭉쳐진 상태로 걸름공(124)과 연결부(125)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하는 분쇄곡물의 대부분은 걸름공(124)과 연결부(125) 사이에 얹혀져 있게되고, 일부는 걸름공(124) 사이를 통과하여 바닥면(128)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원형망(123)에는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가 접촉되지 않게 결합되며, 걸름공(124)과 연결부(125) 사이에 얹혀져 있는 대부분의 분쇄곡물은 상기 스크레이퍼(46)의 충돌에 의해 풀어헤쳐지면서 걸름공(124) 사이로 낙하하여 바닥면(128)으로 안착된다.
풀어헤쳐지는 상기 곡물은 상향 돌출부(74)에 의해 원형망(64)의 바깥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원형망(123)의 바깥 부분에는 도 8과 같이 배출구(55)를 갖는 원통형 케이스(129)가 감싸고 있다.
바닥면(128)으로 안착한 곡물은 도 8과 같이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에 의해 원형망(123)을 통하여 바닥면(128)에 안착된 분쇄곡물이 모아지면서 배출구(55)로 배출되며, 상기 스크레이퍼(46) 역시 바닥면(128)으로 부터 다소 이격되어 바닥면(128)과의 접촉이나 마찰이 방지된다.
원형망(123)의 외부에는 배출구(55)가 형성된 케이스(129)가 원통형으로 빙둘러 감싸고 있어서 분쇄되는 곡물이 배출구(55)로 만 배출되며, 상부판(8)과 하부판(9)을 연결 및 지지하는 복수 개의 연결봉(12)에 의해 케이스(129)가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하부 망체(68)와 돌출테(94)가 만나는 부분에 요입홈을 빙둘러 형성한 다음 상기 요입홈에 오링 또는 탄지링(130)을 결합시켜 돌출테(94)에 얹혀 있는 원형망(123)의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견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축봉(14)은 60RPM 전ㆍ후의 저속으로 회전시켜 곡물의 영양 파괴없이 분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물론 분쇄 대상 곡물의 종류나 상태 크기 등을 감안하여 제어기(7)로 60RPM 이하 또는 60RPM 이상의 적당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다.
도 33은 상부커터(31)에 고정되어 축봉(14)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본 발명 스크레이퍼(46)의 외관 사시도로, 대체로 판(板)형상이다.
상기 스크레이퍼(46)의 상부는 렌치볼트(131)를 이용하여 지지부재(45)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45)는 회전체(回轉體)인 상부커터(31)가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바닥면(128)에 안착된 곡물(122)을 배출구(55) 방향으로 밀어 배출시키는 모음판(132)이 형성되며, 모음판(132)의 상부에 원형망(123)이 비(非) 접촉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33)의 일측에는 하부 망체(68)에 형성된 무수한 배출공(76)의 바깥측면을 비 접촉식으로 스치면서 배출되는 곡물을 스크레이퍼하는 밀판(136)이 형성된다.
또한, 그 상부에는 망체(67)(68)의 경사면(77)(91)에 삽입되면서 상부 망체(66)와 중간 망체(67)의 바깥측면과 고정부(80)(85)의 상부면을 비(非) 접촉방식으로 스치면서 회전하다가 수평 배출공(74)(75)(76)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스크레이퍼하여 밑으로 낙하시키는 밀대(134)(135)가 형성되며, 도 34는 이러한 스크레이퍼(46)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回轉體)를 도시한 것으로, 축봉(14)의 외면에 상부커터(31)ㆍ회전커터(13)ㆍ분쇄칼(34)(35)(36)ㆍ방열블럭(37)(38)(39)이 각각 키 결합되고, 축봉(14)의 상부에 와셔(42)와 너트(43)와 교반봉(44)이 고정되며, 상부커터(31)에 지지부재(45)와 스크레이퍼(46)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10은 상기 회전체(回轉體)를 제외한 여러가지의 고정체(固定體)를 도시한 것으로, 호퍼(2)ㆍ상부판(8)ㆍ연결봉(12)ㆍ원통형 케이스(129)ㆍ 고정커터(23)ㆍ하부커터(30)ㆍ망체(66)(67)(68)ㆍ격리판(72)(73)ㆍ원형망(123)ㆍ하부판(9)ㆍ실링부재(64)(65) 렌치볼트(87)(93) 등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크레이퍼(46)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분쇄칼(34)(35)(36)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열블록(37)(38)(39)을 통하여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고 분쇄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므로 분쇄칼(34)(35)(36)의 열팽창이나 분쇄곡물의 영양파괴가 방지된다.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방열블럭(37)의 경우 방열(발열)용량은 작지만 상ㆍ하부 커터(31)(30)에 형성된 유입공(52)(59)과 컷팅장치(3)에 형성되는 틈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방열되므로 효과적인 열발산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각형으로 구성된 커터는 끝이 날카로운 삼각형이나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발명은 분쇄대상 곡물의 종류나 분쇄정도 및 함수율 등을 감안하여 제어기(7)로 구동장치(6)의 회전속도 및 회전토크를 적절히 설정하면 상기 설정된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로 축봉(14)이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축봉(14)에 결합 및 고정된 교반봉(44), 상부커터(31), 회전커터(13), 분쇄칼(34)(35)(36), 방열블럭(37)(38)(39), 봉(119), 스크레이퍼(46) 등이 도 1, 도 2 및 도 29 처럼 분쇄칼(34)(35)(36)의 원호부(101)가 앞장서는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퍼(2)로 분쇄 대상 곡물을 투입하면 교반봉(44)이 투입되는 곡물을 휘저어 주게 되므로 투입구(10)와 회전체인 상부커터(31)의 통공(52) 사이로 원할히 투입된다.
상부커터(31)의 통공(52)으로 투입된 곡물은 회전커터(13)와 고정커터(23)사이로 진입하여 거칠게 절단되고, 고정되어 있는 하부커터(30)의 통공(59) 사이를 통과하면서 커터(58)에 의해 또 한번 절단되면서 분쇄실(69)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분쇄실(69)로 낙하하는 곡물은 방열블록(37)의 외주면에 높이 차이를 두고 고정된 봉(119)에 의해 교반되면서 분쇄실(69)로 골고루 낙하하게 되며, 분쇄칼(34)의 상부면에 얹혀지는 일부의 곡물은 망체(66)에 고정된 봉(90)에 의해 밀리면서 분쇄실(69)로 낙하하게 된다.
분쇄실(69)로 낙하된 곡물은 도 29와 같이 분쇄칼(34)의 회전력과 원호부(101)의 작용에 의해 분쇄실(69)의 곡물들이 분쇄칼(34)과 망체(66) 사이에 형성되는 틈(121)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하면서 압축되고 또한 압축되는 곡물들 끼리 충돌하면서 으깨어지고 분쇄 및 파쇄되며, 분쇄 및 파쇄되는 곡물은 절단칼(34)의 압력에 의해 수평 배출공(74)으로 배출된다.
또한, 분쇄칼(34)의 가압작용과 수평 배출공(74)에 형성된 세로홈(120)에 의해서도 분쇄 및 파쇄되는 곡물이 수평 배출공(74)으로 원할히 배출된다.
상기 분쇄칼(34)과 망체(66) 사이에 형성되는 틈(121)은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게되므로 고정체(固定體)인 망체(66)와 회전체(回轉體)인 분쇄칼(34)이 서로 닿지 않게되고 또한 마찰이 방지된다, 따라서 금속가루 분말의 발생이 방지되고 위생적인 분쇄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30과 같이 망체(66)(67)(68)에 형성하는 배출공(74)(75)(76)을 곡물 배출방향과 같거나 비슷한 방향으로 형성하면 곡물(122)의 배출과 파쇄가 매우효과적이다.
상기 수평 배출공(74)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은 유입공(86) 사이로 낙하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분쇄실(70)로 유입되며, 망체(66)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일부의 곡물은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의 밀대(135)에 의해서도 유입공(86)으로 떨어지면서 분쇄실(70)로 유입된다.
상기에서 중간 망체(67)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77)의 최상부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74)보다 조금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배출공(74)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들이 망체(67)를 이탈하지 않게된다.
상기에서 배출공(74)으로부터 배출되는 일부의 분쇄곡물이 고정부(85)의 상부면에 얹혀 있게되더라도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의 밀대(135) 하부면에 의해 쓸림되므로 분쇄실(70)로 전부 낙하하게된다.
망체(67)의 분쇄실(70)로 낙하한 분쇄곡물은 도 29와 같이 분쇄칼(35)의 회전력과 원호부(101)의 작용에 의해 분쇄실(70)의 곡물들이 분쇄칼(35)과 망체(67) 사이에 형성되는 틈(121)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하면서 압축되고 또한 압축되는 곡물들 끼리 충돌하면서 으깨어지고 분쇄 및 파쇄되며, 분쇄 및 파쇄되는 곡물은 절단칼(35)의 압력에 의해 수평 배출공(75)으로 배출된다.
또한, 분쇄칼(35)의 가압작용과 수평 배출공(75)에 형성된 세로홈(120)에 의해서도 분쇄 및 파쇄되는 곡물이 수평 배출공(75)으로 원할히 배출된다.
상기 분쇄칼(35)과 망체(67) 사이에 형성되는 틈(121)은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게되므로 고정체(固定體)인 망체(67)와 회전체(回轉體)인 분쇄칼(35)이서로 닿지 않게되고 또한 마찰이 방지된다, 따라서 금속가루 분말의 발생이 방지되고 위생적인 분쇄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
상기 수평 배출공(75)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은 유입공(81) 사이로 낙하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분쇄실(71)로 유입되며, 망체(67)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일부의 곡물은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의 밀대(134)에 의해서도 유입공(81)으로 떨어지면서 분쇄실(71)로 유입된다.
상기에서 하부 망체(68)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91)의 최상부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75)보다 조금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배출공(75)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들이 망체(68)를 이탈하지 않게된다.
상기에서 배출공(75)으로부터 배출되는 일부의 분쇄곡물이 중간 망체(67)의 고정부(80) 상부면에 얹혀 있더라도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의 밀대(135) 하부면에 의해 쓸림되므로 분쇄실(70)로 전부 낙하하게된다.
상기 분쇄실(70)로 낙하된 곡물은 도 29와 같이 분쇄칼(36)의 회전력과 원호부(101)의 작용에 의해 분쇄실(71)의 곡물들이 분쇄칼(36)과 망체(68) 사이에 형성되는 틈(121)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하면서 압축되고 또한 압축되는 곡물들 끼리 충돌하면서 으깨어지고 분쇄 및 파쇄되며, 분쇄 및 파쇄되는 곡물은 절단칼(36)의 압력에 의해 수평 배출공(76)으로 배출된다.
또한, 분쇄칼(36)의 가압작용과 수평 배출공(76)에 형성된 세로홈(120)에 의해서도 분쇄 및 파쇄되는 곡물이 수평 배출공(76)으로 원할히 배출된다.
상기 분쇄칼(36)과 망체(68) 사이에 형성되는 틈(121)은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게되므로 고정체(固定體)인 망체(68)와 회전체(回轉體)인 분쇄칼(36)이 서로 닿지 않게되고 또한 마찰과 금속분말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위생적인 분쇄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
또한, 하부 망체(68)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91)의 최상부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75)보다 조금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배출공(75)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들이 망체(68)를 이탈하지 않게되며, 배출공(75)으로부터 배출되는 일부의 분쇄곡물이 고정부(80)의 상부면에 얹혀 있게되더라도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의 밀대(134) 하부면에 의해 쓸림되므로 유입공(81)을 통하여 분쇄실(71)로 전부 낙하하게된다.
상기 수평 배출공(76)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은 배출압력에 의해 다소 뭉쳐진 상태로 원형망(123)의 걸름공(124)과 연결부(125)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하는 분쇄곡물의 대부분은 걸름공(124)과 연결부(125) 사이에 얹혀져 있게되고, 일부는 걸름공(124) 사이를 통과하여 바닥면(128)으로 낙하하게 되며, 원형망(123)에는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가 접촉되지 않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걸름공(124)과 연결부(125) 사이에 얹혀져 있는 대부분의 분쇄곡물 들이 상기 스크레이퍼(46)의 충돌에 의해 풀어헤쳐지면서 걸름공(124) 사이로 낙하하여 바닥면(128)으로 안착된다.
바닥면(128)으로 안착한 곡물은 도 8과 같이 축봉(14)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46)에 의해 원형망(123)을 통하여 바닥면(128)에 안착된 분쇄곡물이 모아지면서 배출구(55)로 배출되며, 스크레이퍼(46)와 바닥면(128)이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바닥면(128)과의 접촉이나 마찰이 방지되며, 원형망(123)의 외부에는 배출구(55)가 형성된 케이스(129)가 원통형으로 빙둘러 감싸고 있어서 분쇄되는 곡물이 배출구(55)로 만 배출된다.
상기 스크레이퍼(46)는 축봉(14)과 상부커터(31)를 따라 회전하면서 수평 배출공(76)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스크레이퍼 시켜 원할한 낙하배출을 유도하게 되며, 분쇄가 완료된 곡물이 바닥판(128)으로 낙하하면 도 8과 같이 배출구(55) 방향으로 밀어 배출하게되며, 상기 배출구(55)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분쇄된 곡물이 원할히 배출된다.
원형망(123)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향 돌출테(127)가 빙둘러 형성되어 최종 배출공(76)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원형망(123)을 이탈하거나 벗어나지 않게되며, 상기 원형망(123)의 돌출테(127) 역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76)보다 조금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배출공(76)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들이 돌출테(127)를 이탈하지 않게된다.
본 발명에서 수평배출공(74)(75)(76)의 내경은 하단으로 내려 갈수록 점처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곡물의 미세분쇄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상ㆍ하부커터(31)(30)의 커터(51)(58)는 림(50)(57)과 보스(47)(53)를 연결하는 아암의 기능도 하게 되지만 무엇보다 고정커터(23)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커터(26)와 회전커터(13)와 서로 협조하면서 절단된 곡물을 한번 더 잘게 절단하게 된다.
또한, 격리판(63)의 하부에는 축 베어링(40)과 또 다른 실링부재(65)가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마찰에 의해 베어링(40)으로부터 금속분말이 발생되더라도 곡물중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곡물을 분쇄할 때 각각의 분쇄칼(34)(35)(36)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열이 방열블록(37)(38)(39)을 통하여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고 분쇄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므로 분쇄칼(34)(35)(36)의 열팽창이나 분쇄곡물의 영양파괴가 방지되며, 분쇄칼(35)(36)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8)(39)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요입홈(111)과 복수 개의 방열부(112)에 의해 효과적인 열발산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방열블럭(37)은 비록 방열(발열)용량은 작지만 상ㆍ하부 커터(31)(30)에 형성된 유입공(52)(59)과 컷팅장치(3)에 형성되는 틈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방열되므로 효과적인 열발산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크레이퍼(46)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분쇄칼(34)(35)(36)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열블록(37)(38)(39)을 통하여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고 분쇄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므로 분쇄칼(34)(35)(36)의 열팽창이나 분쇄곡물의 영양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분쇄칼(34)(35)과 격리판(72)(73)의 이격거리와, 분쇄칼(36)과 하부판(9)의 이격거리는 0.5㎜ ~ 2㎜ 정도로 이격되어 서로 마찰하지 않게되고 금속분말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와셔(42)는 밑으로 향 할수록 그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므로 곡물이 투입구(10)로 쉽게 하강되며, 복수 개의 너트(42)는 축봉(14)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체결되어 있어서 회전 중 풀림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금속분말이 발생하지 않는 비(非) 마찰식으로 곡물을 다단 분쇄하므로 위생상 안전하고 또한 방열구조에 의해 곡물의 영양파괴와 소음이 감소되며 사용수명이 크게 연장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망체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은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배출공 이나 원형망의 돌출테 보다 조금 더 높게 설치되므로 수평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분쇄곡물들이 망체와 돌출테를 이탈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배출공이 형성된 망체의 내주면에 세로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분쇄칼의 원호부가 앞장서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원호부의 가압작용에 의해 분쇄실의 곡물이 분쇄칼의 끝 부분과 0.3㎜ ~ 2.0㎜의 틈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틈 사이와 세로홈 사이로 신속히 진입하면서 충돌하고 또한 으깨어지면서 파쇄 및 분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칼과 망체 사이에는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는 틈이 발생되므로 고정체(固定體)인 망체와 회전체(回轉體)인 분쇄칼이 서로 닿거나 마찰하지 않게 되므로 금속가루 분말이 발생하지 않는 위생적인 분쇄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실에 각각 설치되는 분쇄칼의 상부면에 방열블록들이 고정되어 있으므 곡물을 분쇄할 때 발생되는 마찰열이 상기 방열블록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므로 분쇄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고 분쇄칼의 열팽창이나 분쇄곡물의 영양파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종 분쇄된 후 덩어리 상태로 원형망에 안착한 곡물은 스크레이퍼의 스침과 밀어주는 작용으로 풀어 헤쳐지면서 낙하하여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효과 가있다.
또한, 바닥면으로 안착한 곡물은 축봉을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모아지면서 배출구로 배출되며, 상기 스크레이퍼 역시 원형망과 바닥면으로 부터 다소 이격 설치되어 접촉이나 마찰이 방지되므로 금속분말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형망의 외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가 빙둘러 감싸고 있어서 분쇄되는 곡물이 배출구로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분쇄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열블록을 통하여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 망체에 고정된 방열블럭은 방열(발열)용량은 작지만 상ㆍ하부 커터에 형성된 유입공과 컷팅장치에 형성되는 틈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방열되므로 열발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기(7)를 이용하여 구동장치(6)의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조정하여 분쇄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대상 곡물에 따라 분쇄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다단계로 분쇄하게 되므로 고추의 경우 충분한 색도가 유지되어 종래에 비하여 상품성이 월등히 향상되며, 비단 고추 뿐만 아니라 여타의 각종 곡물에도 해당된다.
또한, 종래 분쇄장치의 경우 곡물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2회 내지 5회 정도 분쇄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곡물을 1회에 걸쳐 다단 분쇄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망체 측면의 수평 배출공으로 배출되면서 다단 분쇄되므로 분쇄곡물의 입자가 더욱 미세하고 쇳가루 등이 포함되지 않아 위생적이고 상품성이 우수하며, 원기둥 형태(둥글게 뭉쳐진 형태)로 배출 되더라도 스크레이퍼에 의해 풀어헤쳐지므로 기존의 곡물 분쇄장치보다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한, 두 개의 회전롤러를 마찰시켜 분쇄하는 종래 방식의 곡물 분쇄장치는 입자조정이 잘 안될 뿐 아니라 습도가 높은 상태의 곡물은 거칠게 분쇄되고, 습도가 낮은 곡물은 완전 분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컷팅장치로 먼저 절단하게 되므로 습도에 크게 구애됨이 없이 분쇄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9)

  1. 삭제
  2. 상부에 설치되는 곡물 투입호퍼와, 구동장치로 회전하는 수직회전축과, 수직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커터와, 수직회전축 주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통형상의 통체와, 통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쇄실과, 통체의 몸체 부분에 형성되는 수평배출공으로 구성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에 있어서 ; 호퍼(11)로부터 투입되는 곡물을 절단하는 컷팅장치(3)를 상부에 설치하고, 그 하부에 분쇄실(69)(70)(71)이 형성되고 내경이 다른 망체(66)(67)(68)를 다층으로 설치하고, 상기 분쇄실(69)(70)(71)에 분쇄칼(34)(35)(36)을 설치하고, 상기 분쇄칼(34)(35)(36)의 상부면에 방열블럭(37)(38)(39)을 각각 고정하고, 구동장치(6)와 축 결합된 축봉(14)에 상기 분쇄칼(34)(35)(36)을 키 결합하고, 망체(66)(67)(68) 사이에 칸막이(72)(73)를 설치하여 분쇄실(69)(70)(71)을 격리시키고, 분쇄칼(34)(35)(36)과 망체(66)(67)(68) 사이에는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는 틈(121)을 형성하고, 망체(66)(67)(68)에 분쇄된 곡물이 배출되는 수평 배출공(74)(75)(76)을 조밀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하여 곡물을 다 단계로 미세 분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부 망체(66)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중간 망체(67)의 평면적인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중간 망체(67)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망체(68)의 평면적인 내경은 중간 망체(67)보다 크게 형성하여 수평배출공으로 낙하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재차 분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분쇄칼(35)(36)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8)(39)은 가장자리 부분에 요입홈(111)과 복수 개의 방열부(112)를 빙둘러 형성하고, 분쇄칼(34)에 고정되는 방열블럭(37)의 외주면에는 3개 전ㆍ후의 봉(119)을 높이가 다르게 고정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컷팅장치(3)는 복수 개의 회전커터(13)와 복수 개의 고정커터(23)를 결합하고, 상기 회전커터(13)와 고정커터(23)의 상ㆍ하부에 하부커터(30)와 상부커터(3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부커터(30)와 상부커터(31)의 림(50)(57)과 보스(47)(43) 사이에 3개 전ㆍ후의 커터(51)(58)와 통공(52)(59)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 회전커터(13)는 축봉(14)에 고정되는 보스(15)와, 4개 전ㆍ후의 커터(16)와, 보스(15) 부분에 축공(18)과 키홈(19)이 형성된 회전커터(13)를 키홈(20)과 축공(21)이 형성된 링 형상의 스페이스(22)로 결합하고, 고정커터(23)는 복수 개의 통공(24)이 형성되는 원형링(25)의 안쪽에 원형링(25)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는 4개 전ㆍ후의 커터(26)와, 복수 개의 통공(28)이 형성된 링형상의 스페이스(29)로 고정커터(23) 끼리의 간격이 유지되게 결합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구동장치(6)에 축 결합된 축봉(14) 외면에 회전체(回轉體)인 상부커터(31)와 회전커터(13)와 분쇄칼(34)(35)(36)과 방열블럭(37)(38)(39)과 회전커터(13)를 키 결합하고, 회전커터(13)와 1차 방열블럭(37) 사이에 고정체(固定體)인 하부커터(30)를 베어링(40)으로 축 결합하고, 하부 분쇄칼(36)의 하부에 하부판(9)을 베어링(41)으로 축 결합하고, 축봉(14)의 상부에 와셔(42)와 너트(43)를 체결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상부커터(31)에 고정된 지지부재(45)에 곡물의 낙하와 배출을 유도하는 스크레이퍼(46)를 체결하고, 하부 망체(68)의 돌출테(94) 상부면에 원형망(123)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레이퍼(46)와 원형망(123)의 바깥 부분에 배출구(55)를 갖는 원통형 케이스(129)를 빙둘러 설치하여 배출장치(5)를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 원형망(123)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향 돌출테(127)를 빙둘러 형성하고, 상기 원형망(123)의 몸체 부분과 돌출테(127) 부분에 방사상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는 걸름공(124)과 연결부(125)를 교대로 형성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 하부 망체(68)와 돌출테(94)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요입홈에 탄지링(130)을 결합시켜 원형망(123)을 고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 판(板)형상 스크레이퍼(46)의 하부에 모음판(132)을 형성하고, 모음판(132)의 상부에 원형망(123)이 비 접촉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33)을 형성하고, 결합홈(133)의 일측에 망체(66)(67)(68)와 비 접촉하는 밀판(136)과 밀대(134)(135)를 각각 형성하여 배출장치(5)를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망체(67)의 내상부에 경사면(77)을 형성하고, 망체(67)의 중간 부위에 복수 개의 결합공(78)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망체(67)의 내부 하단에 격리판(72) 고정용 내향 단턱부(79)를 형성하고, 망체(67)의 측면에 가로 배출공(75)을 형성하고, 망체(67)의 하부 외면에 나공을 갖는 복수 개의 고정부(80)를 고른 간격으로 형성하고, 고정부(80)와 고정부(80) 사이에 유입공(81)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망체(66)의 상부에 하부커터(30)를 체결하고, 망체(66)의 내상부 하단에 격리판(69) 고정용 내향 단턱부(84)를 형성하고, 망체(66)의 측면에 가로 배출공(74)을 형성하고, 망체(66)의 하부 외면에 나공을 갖는 고정부(85)를 고른 간격으로 형성하고, 고정부(85)와 고정부(85) 사이에 유입공(86)을 각각 형성하고, 분쇄칼(34)의 상부면이 닿지 않는 높이의 상부 망체(66) 내측벽에 봉(90)을 고정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망체(68)의 내상부에 경사면(91)을 형성하고, 중간 부위에는 복수 개의 결합공(92)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망체(68)의 하부 외면에 돌출테(94)를 빙둘러 형성하고, 하부 망체(68)의 측면에 가로 배출공(76)을 형성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분쇄칼(34)(35)과 격리판(72)(73)의 이격거리와, 분쇄칼(36)과 하부판(9)의 이격거리는 0.5㎜ ~ 2㎜ 이격시켜 서로 닿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분쇄칼(34)(35)(36)은 원호부(101)와 직선부(102)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상의 칼날(104a)(105a)을 서로 어긋지게 접합시킨 다음 용접(W)하여 중앙 부분에 축공(106)와 키홈(107)을 형성하여서 된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수평 배출공(74)(75)(76)이 형성된 망체(66)(67)(68)의 내주면에 세로홈(120)을 각각 형성하고, 분쇄칼(34)(35)(36)은 원호부(101)가 앞장서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1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 분쇄칼(34)(35)(36)과 망체(66)(67)(68) 사이에는 0.3㎜ ~ 2.0㎜의 이격거리를 갖는 틈(12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KR10-2001-0012704A 2001-03-12 2001-03-12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KR10042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4A KR100425545B1 (ko) 2001-03-12 2001-03-12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4A KR100425545B1 (ko) 2001-03-12 2001-03-12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602U Division KR200234372Y1 (ko) 2001-03-12 2001-03-12 비 마찰식 곡물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629A KR20010044629A (ko) 2001-06-05
KR100425545B1 true KR100425545B1 (ko) 2004-04-08

Family

ID=1970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04A KR100425545B1 (ko) 2001-03-12 2001-03-12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05B1 (ko) 2007-12-17 2008-07-23 대길산업주식회사 다용도의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속도조절형 수직형 스윙햄머 크러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102B (fi) * 2010-02-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CN107809728B (zh) * 2017-12-22 2023-11-21 镇江贝斯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受话器自动化柔性生产线的涂料预处理装置用粉碎结构
KR102385674B1 (ko) 2020-03-13 2022-04-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타공된 유기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기형 혈관의 감쇄 유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1552U (ko) * 1979-03-26 1980-10-09
JPH0386256A (ja) * 1989-08-30 1991-04-11 Toa Kikai Seisakusho:Kk 竪型粉砕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1552U (ko) * 1979-03-26 1980-10-09
JPH0386256A (ja) * 1989-08-30 1991-04-11 Toa Kikai Seisakusho:Kk 竪型粉砕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05B1 (ko) 2007-12-17 2008-07-23 대길산업주식회사 다용도의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속도조절형 수직형 스윙햄머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629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64212A (en) Milling process for granular food crop products, including fling impacting in breaking and finishing operations
JP3151703B2 (ja) 粒状体の解砕整粒装置および環状空間型スクリーン
JP5020060B2 (ja) 生ゴミ処理機粉砕機構
KR101011731B1 (ko) 다단 여과 바스켓을 가진 주스 추출기
US5544821A (en) Energy efficient centrifugal grinder
KR100425545B1 (ko)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CN115069361A (zh) 一种研磨式的香辛料粉碎装置
JP4452046B2 (ja) ミル
KR200234372Y1 (ko) 비 마찰식 곡물 분쇄기
CN211134195U (zh) 一种葛根粉加工用的原料粉碎机
EP0925114B1 (en) Energy efficient centrifugal grinder
CN213572216U (zh) 一种能打长纤维食物垃圾的处理机
JP3304238B2 (ja) 有皮穀類の微細化方法
JPH08229420A (ja) 竪型粉砕機
KR102568293B1 (ko) 분쇄기
JP2598136B2 (ja) 竪型粉砕機
JP4287732B2 (ja) 粉粒体の解砕整粒装置
KR200284158Y1 (ko) 고추씨 분리기
CN110142109A (zh) 一种立式浆料粉碎机
CN212189358U (zh) 用于加工膨化麦片的粉碎装置
JP3962262B2 (ja) フレーク製造装置
CN217249504U (zh) 一种高效的火锅底料加工装置
KR200319090Y1 (ko) 식품 분쇄기
JPH0645014B2 (ja) 粉砕機
CN216795718U (zh) 一种蔬菜种植用有机肥播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