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46B1 -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46B1
KR101974246B1 KR1020160014859A KR20160014859A KR101974246B1 KR 101974246 B1 KR101974246 B1 KR 101974246B1 KR 1020160014859 A KR1020160014859 A KR 1020160014859A KR 20160014859 A KR20160014859 A KR 20160014859A KR 101974246 B1 KR101974246 B1 KR 10197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dge portion
inner panel
outer ed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494A (ko
Inventor
고키 이케다
다츠야 아유카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9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1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hing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lock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백 도어 본체 (10) 에서는, CFRP 제의 이너 패널 (20) 의 상부에 CFRP 제의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접합되고, 그 이너 패널 (20) 의 하부에 폴리프로필렌제의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이 접합되어 있다. 이 백 도어 본체 (10) 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상부측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보강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로 되고, 하부측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보다 저강도의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력차가 있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의 경계부 (10C1, 10C2) 가, 소창용 개구부 (28) 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된 부위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VEHICLE EXTERIOR DESIGN MEMBER AND VEHICLE BACK DOOR}
본 발명은,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이 수지제로 된 차량용 외장 부재에 관한 것이다.
하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3919 에는, 차량의 외장 부재나 내장 부재로서 사용되는 수지 패널이 기재되어 있다. 이 수지 패널은, 섬유 재료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한 섬유 매트의 성형품이며, 섬유 재료의 조성 재료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면 방향에 있어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파괴 강도가 약한 취약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충돌시 등에 있어서의 수지 패널의 파괴 형태 (변형 형태) 를 안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지 패널은, 조성 재료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가 번잡하다. 또, 차량용 외장 부재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복수의 패널이 접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패널이 접합되어 구성된 부재로 하여, 변형 형태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3919 호
본 발명은 수지제의 이너 패널과 수지제의 아우터 패널이 서로 접합된 구성에 있어서,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차량용 외장 부재로서,
수지제의 이너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에 접합된 수지제의 아우터 패널과,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어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이루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그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저강도로 되어 외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일부를 이루는 제 2 외측 가장자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부 또는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에,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취약부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차량용 외장 부재에서는, 수지제의 이너 패널과 수지제의 아우터 패널이 서로 접합된 차량용 외장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부 또는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량용 외장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일부가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로 되고, 다른 일부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는,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고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가, 상기 개구부 또는 취약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내력차가 있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가, 개구부 또는 취약부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충돌시 등에는, 본 차량용 외장 부재가 상기의 경계부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인접하여 배치」는, 예를 들어 본 차량용 외장 부재가 상기와 같이 경계부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변형될 때에, 그 변형 지점이 적어도 상기의 개구부 또는 취약부까지 도달하도록 (미치도록), 경계부와 개구부 또는 취약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 부재는, 수지제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며,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 상기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폐단면 (閉斷面)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차량용 외장 부재에서는, 보강 부재인 수지제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 수지제의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됨으로써, 제 1 외측 가장자리부가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제의 리인포스먼트 등을 보강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개단면 (開斷面) 형상의 개단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개단면부의 일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에 의해 상기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차량용 외장 부재에서는,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개단면부의 일부와,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에 의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의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개단면부가 형성됨으로써, 이너 패널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차량용 외장 부재의 강도를 주로 이너 패널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아우터 패널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개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단면 모자형, 단면 대략 U 자상 (단면 대략 コ 자상), 단면 대략 C 자상, 단면 대략 V 자상 등, 단면의 일부가 개구된 형상이다.
상기 아우터 패널은, 상기 이너 패널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을 구성하는 수지보다 저강도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아우터 패널이, 이너 패널 및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을 구성하는 수지보다 저강도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우터 패널이 본 차량용 외장 부재의 변형 형태 (파괴 형태) 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진다. 이것에 의해, 본 차량용 외장 부재의 변형 형태를, 주로 이너 패널 및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에 의해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차량용 외장 부재의 변형 형태의 설정 (설계) 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개구부에는, 상기 경계부를 약체화시키는 것에 더하여 다른 기능 또는 용도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차량용 외장 부재에서는,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개구부가,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경계부가 약체화되어 있다. 상기의 개구부에는, 상기 약체화 이외의 기능 또는 용도 (예를 들어, 창공 (窓孔), 램프 장착공, 작업공, 배수공, 배선공, 기준공 등) 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부를 약체화시키기 위하여 전용 개구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경계부에는, 당해 경계부의 변형 기점이 되는 변형 기점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에, 당해 경계부의 변형 기점이 되는 변형 기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변형 기점부를 기점으로 하여 경계부를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더욱 기여한다.
상기 이너 패널은, 차량의 백 도어의 도어 이너 패널이고, 상기 아우터 패널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하부에 접합된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이고,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창용 개구부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보강 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보다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좌우의 하단부가, 각각 상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차량 외장 부재에서는, 차량의 백 도어의 도어 이너 패널이 수지제로 되어 있다. 이 도어 이너 패널의 하부에는,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이 접합되어 있고, 이 도어 이너 패널의 상부에는, 제 1 창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창용 개구부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보강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고강도의 제 1 외측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는, 좌우의 하단부가 각각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와의 경계부로 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경계부는, 도어 이너 패널 및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취약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경계부가 약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면 충돌시 등에는, 좌우의 경계부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도어 이너 패널이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들 좌우의 경계부는, 제 1 창용 개구부보다 도어 이너 패널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이너 패널이 제 1 창용 개구부의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 등에 있어서 부주의하게 변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는,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보다 작은,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의 좌우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서 상기 개구부로서의 제 2 창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 이너 패널에는, 제 1 창용 개구부보다 도어 이너 패널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의 좌우의 하단부 사이, 즉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좌우의 경계부 사이에 걸쳐서, 제 2 창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창용 개구부에 의해, 차량의 후방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차량의 후방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제 2 창용 개구부에 의해, 좌우의 경계부가 약체화되기 때문에, 좌우의 경계부를 약체화시키기 위한 전용 개구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차량의 백 도어는,
제 1 창용 개구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보다 작고, 차량 폭 방향으로 긴 제 2 창용 개구부가 형성된 수지제의 도어 이너 패널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창용 개구부의 하측에 접합된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은, 좌우의 하단부가 상기 제 2 창용 개구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폐단면 구조부를 형성한다.
이 백 도어에서는, 수지제의 도어 이너 패널에는, 제 1 창용 개구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보다 작은 차량 폭 방향으로 긴 제 2 창용 개구부가 형성됨과 함께, 당해 제 2 창용 개구부의 하측에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이 접합되어 있다. 또, 이 도어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제 1 창용 개구부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도어 이너 패널과 함께 폐단면 구조부를 형성한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이 접합되어 있다. 이 폐단면 구조부는, 좌우의 하단부가 상기의 제 2 창용 개구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단면 구조가 변화되는 경계부 (상기 좌우의 하단부) 가, 제 2 창용 개구부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후면 충돌시 등에는, 도어 이너 패널이 상기 좌우의 하단부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인접하여 배치」는, 예를 들어 본 백 도어가 상기 좌우의 하단부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변형될 때에, 그 변형 지점이 적어도 상기의 제 2 창용 개구부까지 도달하도록 (미치도록), 상기 좌우의 하단부와 제 2 창용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에서는, 수지제의 이너 패널과 수지제의 아우터 패널이 서로 접합된 구성에 있어서,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의 백 도어를 좌측 비스듬히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 백 도어의 백 도어 본체에 대하여 백 도어 유리 및 백 도어 로어 유리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동 백 도어 본체의 도어 이너 패널에 대하여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동 도어 이너 패널과 동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F5-F5 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F6-F6 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2 에 있어서 부호 A 를 붙인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품으로서의 사이드 도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동 사이드 도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품으로서의 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동 후드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품으로서의 백 도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동 백 도어 본체의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 ∼ 도 7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재로서의 백 도어 본체 (10), 및 그 백 도어 본체 (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백 도어 (12) 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 는, 차량의 전 (前) 방향 (진행 방향), 상방향, 차량 폭 방향의 외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간단히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 (차량 폭 방향) 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성) 도 1 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백 도어 (12) 가 좌측 비스듬히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이 백 도어 (12) 는, 차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백 도어 개구 (도시 생략) 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이며, 상단부가 차량 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백 도어 (12) 가 차체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백 도어 (12) 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대략 L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백 도어 (12) 의 상단부로부터 차량 후방 비스듬히 하방측으로 완만하게 연장되는 도어 상부 (12U) 와, 도어 상부 (12U) 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늘어진 도어 하부 (12L)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백 도어 (12) 는, 수지제의 백 도어 본체 (10) (도 2 참조) 와, 창용 유리로서의 백 도어 유리 (14) 와, 소창용 유리로서의 백 도어 로어 유리 (16) (이하,「로어 유리 (16)」라고 칭한다) 와, 리어 스포일러 (18) 를 구비하고 있다. 백 도어 유리 (14) 는, 도어 상부 (12U) 에 배치되어 있고, 로어 유리 (16) 는, 도어 하부 (12L) 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리어 스포일러 (18) 는, 백 도어 유리 (14) 와 로어 유리 (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백 도어 유리 (14), 로어 유리 (16) 및 리어 스포일러 (18) 는, 백 도어 본체 (10) 에 장착되어 있다.
도 2 에는, 백 도어 본체 (10) 에 대하여, 백 도어 유리 (14), 로어 유리 (16) 및 리어 스포일러 (18) 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가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이 백 도어 본체 (10) 는, 수지제의 도어 이너 패널 (20) 과, 그 도어 이너 패널 (20) 의 하부에 접합된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 (22) 과, 그 도어 이너 패널 (20) 의 상부측에 접합된「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보강 부재)」로서의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어 이너 패널 (20) 을「이너 패널 (20)」이라고 칭하고,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을「아우터 로어 패널 (22)」이라고 칭하고,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 (24)」을「아우터 어퍼 패널 (24)」이라고 칭한다.
이너 패널 (20)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여기서는 탄소 섬유의 단섬유가 랜덤하게 배향된 CFRP (carbon-fiber-reinforced plastic ;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은, 여기서는 상기의 CFRP 보다 저강도의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은, 차량의 외관 의장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백 도어 본체 (10) 의 강도 및 강성에 그다지 기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백 도어 본체 (10) 의 강도 및 강성은, 주로 이너 패널 (20)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확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 에는, 이너 패널 (20) 에 대하여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이 접합되기 전의 상태가 사시도로 나타나 있고, 도 4 에는, 이너 패널 (20) 에 대하여 아우터 로어 패널 (22)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접합되기 전의 상태가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도 2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패널 (20) 은, 백 도어 본체 (10) 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비교적 대형의 패널 부재이다. 이 이너 패널 (20) 은, 상부 (20U) 가 도어 상부 (12U) 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20L) 가 도어 하부 (12L) 에 배치되어 있다.
이 이너 패널 (20) 의 상부 (20U) 에는, 창용 개구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창용 개구부 (26) 는, 차량 폭 방향을 길이로 하는 장척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창용 개구부 (26) 의 하방에서, 이너 패널 (20) 의 하부 (20L) 의 상단측에는, 창용 개구부 (26) 보다 가늘고 긴 소창용 개구부 (창공) (28) 가, 차량 폭 방향을 길이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창용 개구부 (26) 및 소창용 개구부 (28) 는, 차량 후방 시인용의 개구부이고, 백 도어 유리 (14) 및 로어 유리 (16) 에 의해 차량 외측으로부터 막히는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차량 외측이 개방된 (개구된) 개단면 형상의 개단면부 (21) 로 되어 있다. 이 개단면부 (21) 는, 이너 패널 (20) 의 상하 좌우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측 가장자리 구성부 (21A), 하측 가장자리 구성부 (21B), 좌측 가장자리 구성부 (21C) 및 우측 가장자리 구성부 (21D) 로 이루어지고,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개단면부 (21) 에 의해 이너 패널 (20) 의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상측 가장자리 구성부 (21A) 는, 창용 개구부 (26)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좌측 가장자리 구성부 (21C) 및 우측 가장자리 구성부 (21D) 는, 이너 패널 (20) 의 상부 (20U) 에 있어서 창용 개구부 (26) 의 좌우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함과 함께, 이너 패널 (20) 의 하부 (20L) 에 있어서 소창용 개구부 (28) 의 좌우의 가장자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창용 개구부 (26) 와 소창용 개구부 (28) 사이에서, 이너 패널 (20) 의 상하 방향 중앙부 부근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연결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연결부 (32) 에 의해, 좌측 가장자리 구성부 (21C) 와 우측 가장자리 구성부 (21D) 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중앙 연결부 (32) 는, 창용 개구부 (26) 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소창용 개구부 (28)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너 패널 (20) 의 하부 (20L)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상하 1 쌍의 팽출부 (34, 3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팽출부 (34, 36)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차량 내측 (차량 전방측) 이 개방된 개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창용 개구부 (28) 의 하방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팽출부 (34, 36) 에 의해, 이너 패널 (20) 의 하부 (20L)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의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너 패널 (20) 의 하부 (20L) 의 차량 외측 (차량 후방측) 에는, 전술한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은, 외측 가장자리부 및 중앙측의 소정 지점이 이너 패널 (20) 에 접합되어 있다. 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에 의해 이너 패널 (20) 의 하부 (20L) 가 차량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단, 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은, 소창용 개구부 (28) 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소창용 개구부 (28) 를 차량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방측으로 돌출된 상방 돌출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패널 (20) 의 상부 (20U) 의 차량 외측 (차량 후방 비스듬히 상방측) 에는, 전술한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배치되어 있다.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하여 성형된 좌측 패널 (23) 과 우측 패널 (2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측 패널 (23) 및 우측 패널 (25) 은, 대략 L 자상이고 또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단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구조용 접착재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전체로서 차량 후방측이 개방된 대략 U 자상 (대략 コ 자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이너 패널 (20) 의 개단면부 (21) 에 있어서의 상측 가장자리 구성부 (21A), 좌측 가장자리 구성부 (21C) 의 상부측, 및 우측 가장자리 구성부 (21D) 의 상부측에 대하여, 차량 외측으로부터 겹쳐져 있다. 요컨대, 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창용 개구부 (26) 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양측 및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백 도어 본체 (10) (백 도어 (12)) 는, 기본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차량 우측의 단면에 대하여 설명하고, 차량 좌측의 단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단면 (도 1 의 F5-F5 선 단면) 에 있어서,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백 도어 유리 (14) 에 대하여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아우터측 상벽부 (24A) 와, 아우터측 상벽부 (24A)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백 도어 유리 (14) 에 대하여 이간되는 방향으로 직각 또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아우터측 측벽부 (24B) 와, 아우터측 측벽부 (24B) 의 연장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둔각으로 굴곡된 아우터측 내벽부 (24C)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이너 패널 (20) 의 개단면부 (21) 는, 아우터측 측벽부 (24B) 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아우터측 측벽부 (24B) 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이너측 외벽부 (20A) 와, 이너측 외벽부 (20A)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로부터 L 자상으로 연장된 이너측 바닥벽부 (20B) 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측 외벽부 (20A) 는 아우터측 상벽부 (24A) 까지 연장된 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이너 외측 플랜지부 (20C) 로 되어 있다. 또한, 이너측 바닥벽부 (20B) 는 아우터측 내벽부 (24C) 까지 연장된 후, 차량 상방측으로 굴곡되어 이너측 내벽부 (20D) 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아우터측 상벽부 (24A) 는, 차량 폭 방향 외방측의 부분이 아우터측 플랜지부 (24A1) 로 되어 있다. 이 아우터측 플랜지부 (24A1) 의 하면은, 구조용 접착제 (38) 에 의해 이너 외측 플랜지부 (20C) 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 아우터측 내벽부 (24C)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은, 구조용 접착제 (40) 에 의해 이너측 내벽부 (20D) 의 차량 폭 방향 외측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너 패널 (20) 의 개단면부 (21) 의 일부와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아우터측 플랜지부 (24A1) 의 상면에는, 주변 부품용 접착제 (42) 에 의해 백 도어 유리 (14) 가 접합되어 있다. 이 주변 부품용 접착제 (42) 는, 백 도어 유리 (14) 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환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주변 부품용 접착제 (42) 의 외주 외측에는, 지수 (止水) 부재 (시일 부재) 인 댐 부재 (4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댐 부재 (44) 는, 백 도어 유리 (14) 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환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백 도어 본체 (10) 의 상부 (20U) 측에 형성되어 있고, 도 6 에 나타내는 단면 (도 1 의 F6-F6 선 단면) 에는,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도 6 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는, 이너 패널 (20) 의 개단면부 (21) 가, 전술한 이너측 외벽부 (20A) 와, 이너측 바닥벽부 (20B) 와, 이너 외측 플랜지부 (20C) 와, 이너측 내벽부 (20D) 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너측 내벽부 (20D) 의 후단부로부터는, 차량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게 하여 이너 내측 플랜지부 (20E) 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너 외측 플랜지부 (20C) 의 후면에는, 주변 부품용 접착제 (46) 에 의해 로어 유리 (16) 가 접합되어 있다. 이 주변 부품용 접착제 (46) 는, 로어 유리 (16) 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환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도어 (12) 를 닫은 상태에서는, 이너측 바닥벽부 (20B) 가, 차체 (48) 에 장착된 웨더 스트립 (50) 에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백 도어 본체 (10) 는,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보강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고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10A) 로 되고, 외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일부 (나머지 부분) 가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보강되어 있지 않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저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10B) 로 되어 있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에 있어서는, CFRP 제의 이너 패널 (20) 의 개단면부 (21) 와 CFRP 제의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접합되어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폐단면에 의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의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는, 「폐단면 구조부」에 상당한다.
한편,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에 있어서는, CFRP 제의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존재하고 있지 않고, 주로 이너 패널 (20) 의 개단면부 (21) 에 의해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의 강도 및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의 강도 및 강성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의 강도 및 강성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는, 창용 개구부 (26) 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양측 및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의 하단부 (후단부) 가 각각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와의 경계부 (10C1, 10C2) 로 되어 있다. 이들 경계부 (10C1, 10C2) 는, 창용 개구부 (26) 보다 이너 패널 (20) 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경계부 (10C1, 10C2) 의 위치는,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의 좌우의 하단부 (후단부) (24A, 24B) 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은, 이너 패널 (20) 의 상부 (20U) 의 하단 (후단) 보다 하부 (20L) 의 상단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좌우의 하단부 (24L1, 24L2) 가 소창용 개구부 (28) 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소창용 개구부 (28) 는,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가 각각 소창용 개구부 (28) 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의 좌우의 하단부 (24L1, 24L2) 는,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의 좌우의 상방 돌출부 (22A) 의 각 상단부에 대하여, 차량 상방측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에는, 각각 변형 기점부로서의 좌우 1 쌍의 오목부 (52, 54) (도 7 참조 : 도 7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52, 54) 는, 개단면부 (21) 의 이너 외측 플랜지부 (20C) 및 이너 내측 플랜지부 (20E) 가 부분적으로 차량 전방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성형되어 형성된 것이며,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차량 후방측이 개방된 개단면 형상 (단면 대략 C 자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52, 54)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의 좌우의 하단부 (24L1, 24L2) 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대향하고 있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백 도어 (12) 에서는, 백 도어 본체 (10) 를 구성하는 이너 패널 (20), 아우터 로어 패널 (22)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모두 수지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단, 경량화를 목적으로 백 도어 본체 (10) 를 수지화하는 경우, 수지는 소성역에서의 변형이 적기 때문에, 후미 충돌 등의 큰 하중이 가해지는 충돌 형태에서는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섬유가 랜덤하게 배향된 섬유 강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균열이 발생하는 지점을 예측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안정적인 탑승자 보호의 관점에서, 변형 형태 (변형 모드) 를 안정시키는 배려가 중요해진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도어 본체 (10) 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차량 상방측의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와 차량 하방측의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는, 이너 패널 (20) 에 접합된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보다 고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의 경계부 (10C1, 10C2) 가, 이너 패널 (20) 에 형성된 소창용 개구부 (28)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력차가 있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의 경계부인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즉 백 도어 본체 (10) 에 있어서 외측 가장자리부의 단면 구성이 바뀌는 부위가, 소창용 개구부 (28) 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된 부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후면 충돌시 등에는, 백 도어 본체 (10) 에 있어서의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부근에 응력이 집중되어, 백 도어 본체 (10) 가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변형되기 쉬워 (접히기 쉬워) 진다. 이것에 의해,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또한, 서로 접합된 복수의 패널의 형상에 기초하는 백 도어 본체 (10) 의 구조에 의해 변형 모드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개개의 패널의 조성 재료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변형 모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패널 (20) 에 있어서, 창용 개구부 (26) 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가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보강되는 한편,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의 좌우의 하단부 (24L1, 24L2) 의 배치에 의해 위치가 특정되는 상기의 경계부 (10C1, 10C2) 가, 창용 개구부 (26) 보다 이너 패널 (20) 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 (20) 이 창용 개구부 (26) 의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 등에 있어서 부주의하게 변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도어 본체 (10) 에 있어서 부주의한 변형이 예측되는 부위를, 아우터 어퍼 패널 (24)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 보강 부재) 에 의해 보강하면서, 당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의 단부의 위치를, 창용 개구부 (28) 와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된 부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백 도어 본체 (10) 의 변형 예정 지점을 효율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인 수지제의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이, 수지제의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됨으로써,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가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제의 리인포스먼트 등을 보강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를 효율적으로 고강도화할 수 있고, 경량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개단면 형상의 개단면부 (21) 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개단면부 (21) 의 일부 (상부측) 와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의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개단면부 (21) 가 형성됨으로써, 이너 패널 (20) 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백 도어 본체 (10) 의 강도를 주로 이너 패널 (20) 에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외관 의장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이, 이너 패널 (20)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을 구성하는 수지 (CFRP) 보다 저강도의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이 백 도어 본체 (10) 의 변형 형태 (파괴 형태) 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진다. 이것에 의해, 백 도어 본체 (10) 의 변형 형태를, 주로 이너 패널 (20)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에 의해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백 도어 본체 (10) 의 변형 형태의 설정 (설계) 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패널 (20) 에는, 창용 개구부 (26) 보다 도어 이너 패널 (20) 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의 좌우의 하단부 사이, 즉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의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사이에 걸쳐서, 소창용 개구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창용 개구부 (28) 에 의해, 차량의 후방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차량의 후방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소창용 개구부 (28) 에 의해,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가 약체화되기 때문에,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를 약체화시키기 위한 전용 개구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에는, 이들 경계부 (10C1, 10C2) 의 변형의 기점이 되는 좌우 1 쌍의 오목부 (52, 54)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52, 54) 에는, 후면 충돌시 등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이들 오목부 (52, 54) 를 기점으로 하여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를 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경계부 (10C1, 10C2) 가, 좌우의 오목부 (52, 54) 를 통과하는 수평축 둘레로 접히도록 촉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백 도어 본체 (10) 의 변형 형태의 안정화에 더욱 기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도어 본체 (10) 의 변형 모드를 안정화시키는 수법으로서, 백 도어 본체 (10) 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부측을 고강도의 폐단면으로 하는 한편, 당해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부측을 개단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백 도어 본체 (10) 의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내력차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그 경계부 (10C1, 10C2) 에서 백 도어 본체 (10) 를 변형시킴으로써, 변형 모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강도의 폐단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의 좌우의 하단부 (24L1, 24L2) 를, 소창용 개구부 (28) 의 부근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면 구조를 바꾸는 위치를, 이너 패널 (20) 에 있어서 약체화된 부위의 부근으로 설정함으로써, 추가적인 변형 모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경계부 (10C1, 10C2) 에 있어서, 변형 기점부로서의 오목부 (52, 54) 가 이너 패널 (20) 에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기점부는, 구멍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후방 시인용의 창용 개구부 (28) (개구부) 에 의해 경계부 (10C1, 10C2) 가 약체화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계부를 약체화시키기 위한 전용의 개구부를 설정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 로어 패널 (22) (아우터 패널) 이, 이너 패널 (20) 및 아우터 어퍼 패널 (24)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보다 저강도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각 패널을 형성하는 수지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개단면 형상의 개단면부 (21) 가 형성되고, 당해 개단면부 (21) 의 일부와 아우터 어퍼 패널 (24)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에 의해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의 폐단면이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평판상으로 형성된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개단면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 접합됨으로써,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의 폐단면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터 어퍼 패널 (24)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이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됨으로써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가 폐단면을 형성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고강도화된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경계부 (10C1, 10C2) 가, 이너 패널 (20) 에 형성된 소창용 개구부 (28) (개구부) 에 인접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경계부 (10C1, 10C2) 가, 이너 패널 (20) 및 아우터 로어 패널 (22) (아우터 패널) 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취약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취약부는, 주변 부위보다 취약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주변 부위보다 박육인 박육부여도 된다. 또 예를 들어, 평판상으로 형성된 평판부 (취약부) 가, 리브 등이 형성된 주변 부위에 둘러싸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의 보충 설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8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재로서의 사이드 도어 본체 (60) 가 분해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 도 9 에는, 이 사이드 도어 본체 (60) 가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이 사이드 도어 본체 (60) 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이너 패널 (사이드 도어 이너 패널) (62) 과, 그 이너 패널 (62) 의 하부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접합된 아우터 패널 (사이드 도어 아우터 패널) (64) 을 구비하고 있다.
이너 패널 (62) 의 상부에는, 사이드 도어 유리에 의해 막히는 유리용 개구부 (6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너 패널 (62)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 중앙보다 약간 차량 후방측의 부위에는, 유리용 개구부 (66) 보다 충분히 작은 개구부 (6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68) 는, 예를 들어, 작업공, 배수공, 배선공, 기준공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 사이드 도어 본체 (60) 는, 이너 패널 (62) 의 하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부분적으로 접합된 전후 1 쌍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보강 부재) (70, 72)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은, 이너 패널 (62) 과 아우터 패널 (6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너 패널 (62) 및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은, 수지 (예를 들어 CFRP)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패널 (64) 은, 이너 패널 (62) 및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보다 저강도의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후 1 쌍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은, 각각 L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은, 이너 패널 (62) 의 하부의 전측 가장자리부, 및 하측 가장자리부의 전부 (前部) 측에 접합되어 있다. 후측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2) 은, 이너 패널 (62) 의 하부의 후측 가장자리부, 및 하측 가장자리부의 후부측에 접합되어 있다. 이들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은, 이너 패널 (62) 과의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도어 본체 (60)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에 의해 보강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고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60A1, 60A2) 로 되고, 외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일부가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70, 72) 에 의해 보강되어 있지 않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저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60B) 로 되어 있다. 이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60B)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60A1, 60A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60A1, 60A2) 보다 저강도로 되어 있다. 이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60B) 의 상방 근방에는, 전술한 개구부 (68) 가 위치하고 있다. 이 개구부 (68)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60A1)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60B) 의 경계부 (60C1), 및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60A2)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60B) 의 경계부 (60C2) 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내력차가 있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60A1, 60A2)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60B) 의 경계부 (60C1, 60C2) 가, 개구부 (68) 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된 부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측면 충돌시 등에는, 사이드 도어 본체 (60) 에 있어서의 경계부 (60C1, 60C2) 의 부근에 응력이 집중되어, 사이드 도어 본체 (60) 가 경계부 (60C1, 60C2) 또는 이들 경계부의 부근에 있어서 변형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사이드 도어 본체 (60) 가 도 9 의 수직축 (V) 둘레로 접히도록, 사이드 도어 본체 (60) 의 변형 형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재로서의 후드 (80) 가 분해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 도 11 에는, 이 후드 (80) 가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이 후드 (80) 는, 차량의 전부에 형성된 파워 유닛실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며, 이너 패널 (후드 이너 패널) (82) 과, 그 이너 패널 (82) 의 상측에 접합된 아우터 패널 (후드 아우터 패널) (84) 을 구비하고 있다.
이너 패널 (82) 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 중앙보다 약간 차량 후방측의 부위에는, 각각 개구부 (86, 8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 (86, 88) 는, 예를 들어, 작업공, 배수공, 배선공, 기준공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 후드 (80) 는, 이너 패널 (82) 의 좌측 가장자리부에 부분적으로 접합된 전후 1 쌍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보강 부재) (90, 92) 과, 이너 패널 (82) 의 우측 가장자리부에 부분적으로 접합된 전후 1 쌍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보강 부재) (94, 96)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92, 94, 96) 은, 이너 패널 (82) 과 아우터 패널 (8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너 패널 (82) 및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92, 94, 96) 은, 수지 (예를 들어 CFRP)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패널 (84) 은, 이너 패널 (82) 및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92, 94, 96) 보다 저강도의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은, 후드 (80) 의 좌측 가장자리부의 전부측에 접합되어 있고,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2) 은, 후드 (80) 의 좌측 가장자리부의 후부측에 접합되어 있다. 또,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4) 은, 후드 (80) 의 우측 가장자리부의 전부측에 접합되어 있고,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6) 은, 후드 (80) 의 우측 가장자리부의 후부측에 접합되어 있다. 이들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92, 94, 96) 은, 이너 패널 (62) 과의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후드 (80)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92, 94, 96) 에 의해 보강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고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80A1, 80A2, 80A3, 80A4) 로 되고, 외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일부가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 (90, 92, 94, 96) 에 의해 보강되어 있지 않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저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80B1, 80B2) 로 되어 있다.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1)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1) 와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2)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3) 와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1, 80B2)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1, 80A2, 80A3, 80A4) 보다 저강도로 되어 있다.
좌우의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1, 80B2) 에 대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근방에는, 전술한 개구부 (86, 88) 가 위치하고 있다. 좌측의 개구부 (86)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1)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1) 의 경계부 (80C1), 및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2)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1) 의 경계부 (80C2) 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우측의 개구부 (88)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3)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2) 의 경계부 (80C3), 및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4)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2) 의 경계부 (80C4) 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내력차가 있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80A1, 80A2, 80A3, 80A4)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80B1, 80B) 의 경계부 (80C1, 80C2, 80C3, 80C4) 가, 개구부 (86, 88) 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된 부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전면 (前面) 충돌시 등에는, 후드 (80) 의 경계부 (80C1, 80C2, 80C3, 80C4) 부근에 응력이 집중되어, 후드 (80) 가 이들 경계부 또는 이들 경계부의 부근에 있어서 변형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후드 (80) 가 도 11 의 수평축 (H) 둘레로 접히도록, 후드 (80) 의 변형 형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사이드 도어 본체 (60) 및 후드 (80) 의 변형 위치는, 단순한 일례이다. 또, 사이드 도어 본체나 후드 등의 차량용 외장 부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굳이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2 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외장 부품으로서의 백 도어 본체 (100) 가 분해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 도 13 에는, 이 백 도어 본체 (100) 가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이 백 도어 본체 (100) 는, 차량의 백 도어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이너 패널 (도어 이너 패널) (102) 과, 그 이너 패널 (102) 의 차량 외측 (차량 후방측) 에 접합된 아우터 패널 (도어 아우터 패널) (104) 을 구비하고 있다. 이너 패널 (102) 은, 수지 (예를 들어 CFRP)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패널 (104) 은, 이너 패널 (102) 보다 저강도의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너 패널 (102) 및 아우터 패널 (104) 의 상부에는, 백 도어 유리에 의해 막히는 창용 개구부 (106, 108)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창용 개구부 (108) 의 하방에서 아우터 패널 (104)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좌우 1 쌍의 개구부 (110, 11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 (110, 112) 는, 테일 램프 등의 램프를 아우터 패널 (104) 에 장착하기 위한 램프 장착공이다. 각 개구부 (110, 112) 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 (W2) 는, 예를 들어 아우터 패널 (104) 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 (W1) 의 10 분의 1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좌우의 개구부 (110, 112) 의 폭 치수 (W2) 의 합계가, 아우터 패널 (104) 의 폭 치수 (W1) 의 5 분의 1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 (110, 112) 가 형성된 높이에 있어서, 아우터 패널 (104) 이 크게 약체화되어 있다.
또한, 이 백 도어 본체 (100) 는, 보강 부재로서의 금속제의 리인포스먼트 (11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인포스먼트 (114) 는, 차량 하방측이 개방된 대략 역 U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너 패널 (102) 에 있어서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의 상부측, 및 우측 가장자리부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 리인포스먼트 (114) 의 결합 방법으로는, 볼트 결합, 접착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백 도어 본체 (100) 는,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리인포스먼트 (114) 에 의해 보강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고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100A) 로 되고, 외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일부 (나머지 부분) 가 리인포스먼트 (114) 에 의해 보강되어 있지 않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저강도 외측 가장자리부) (100B) 로 되어 있다. 이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0B) 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0A) 보다 저강도로 되어 있다.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0A) 는, 창용 개구부 (106, 108) 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양측 및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의 하단부가 각각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0B) 의 경계부 (100C1, 100C2) 로 되어 있다. 이들 경계부 (100C1, 100C2) 는, 창용 개구부 (106, 108) 보다 이너 패널 (102) 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좌우의 개구부 (110, 112)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내력차가 있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0A) 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0B) 의 경계부 (100C1, 100C2) 가, 개구부 (110, 112) 의 인접에 의해 약체화된 부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후면 충돌시 등에는, 백 도어 본체 (100) 에 있어서의 경계부 (100C1, 100C2) 에 응력이 집중되어, 백 도어 본체 (100) 가 경계부 (100C1, 100C2) 에 있어서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백 도어 본체 (100) 의 변형 형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 몇 개의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차량용 외장 부재로서,
    수지제의 이너 패널 (20) 과,
    상기 이너 패널 (20) 에 접합된 수지제의 아우터 패널 (22) 과,
    보강 부재 (24) 에 의해 보강되어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이루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와,
    그 제 1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저강도로 되어 외측 가장자리부의 다른 일부를 이루는 제 2 외측 가장자리부 (10B) 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부 (28) 또는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28) 또는 상기 취약부는,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가 변형되기 쉬워지도록,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부재 (24) 는, 수지제의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고,
    상기 아우터 패널 (22) 은, 상기 이너 패널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을 구성하는 수지보다 저강도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외장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 (10A) 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이 상기 이너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폐단면을 갖는, 차량용 외장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 (20)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개단면 형상의 개단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개단면부의 일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 아우터 패널에 의해 상기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외장 부재.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 (20) 과 상기 아우터 패널 (22)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개구부 (28) 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개구부 (28) 에는, 상기 경계부를 약체화시키는 것에 더하여 다른 기능 또는 용도가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외장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에는, 당해 경계부의 변형의 기점이 되는 변형 기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외장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 (20) 은, 차량의 백 도어의 도어 이너 패널이고,
    상기 아우터 패널 (22) 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하부에 접합된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이고,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창용 개구부 (26) 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보강 부재 (24) 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 (26) 보다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좌우의 하단부 각각이,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의 경계부로 되어 있는, 차량용 외장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는,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 (26) 보다 작고,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의 좌우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서 상기 개구부 (28) 로서의 제 2 창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외장 부재.
  9. 차량의 백 도어로서,
    제 1 창용 개구부 (26) 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 (26) 보다 작고, 차량 폭 방향으로 긴 제 2 창용 개구부 (28) 가 형성된 수지제의 도어 이너 패널 (20) 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창용 개구부 (28) 의 하측에 접합된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 (22) 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창용 개구부 (26) 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수지제의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 (24) 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 (20) 은, 좌우의 하단부가 상기 제 2 창용 개구부 (28) 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폐단면 구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 아우터 로어 패널 (22) 은, 상기 도어 이너 패널 (20) 및 상기 도어 아우터 어퍼 패널 (24) 을 구성하는 수지보다 저강도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차량의 백 도어.
KR1020160014859A 2015-02-12 2016-02-05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 KR101974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5442A JP6252507B2 (ja) 2015-02-12 2015-02-12 車両用外装部材及び車両のバックドア
JPJP-P-2015-025442 2015-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94A KR20160099494A (ko) 2016-08-22
KR101974246B1 true KR101974246B1 (ko) 2019-04-30

Family

ID=5535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859A KR101974246B1 (ko) 2015-02-12 2016-02-05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49841B2 (ko)
EP (1) EP3056366B1 (ko)
JP (1) JP6252507B2 (ko)
KR (1) KR101974246B1 (ko)
CN (1) CN105882363B (ko)
BR (1) BR102016002415B1 (ko)
RU (1) RU261724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6387B2 (ja) * 2014-12-15 2017-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の接合方法
JP6323417B2 (ja) * 2015-09-04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322181B2 (ja) * 2015-12-16 2018-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構造
USD785504S1 (en) * 2016-05-05 2017-05-02 Fab Fours Inc. Windshield protector
JP6653397B2 (ja) * 2016-12-14 2020-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構造
JP6536594B2 (ja) * 2017-01-11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CN109693520B (zh) * 2017-10-23 2021-01-1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追尾保护用尾门以及具有其的车辆
JP6959127B2 (ja) * 2017-12-19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樹脂バックドア
JP6966314B2 (ja) * 2017-12-19 2021-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樹脂バック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6959131B2 (ja) * 2017-12-21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樹脂バックドア
JP6974190B2 (ja) * 2018-01-17 2021-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樹脂バックドア
FR3078657B1 (fr) * 2018-03-12 2020-03-20 Compagnie Plastic Omnium Montants de hayon optimises
US11034219B2 (en) * 2019-01-25 2021-06-1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s including torsion bar support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the same
CN110901352B (zh) * 2019-12-20 2021-07-02 东风汽车有限公司 树脂背门内板
JP7272984B2 (ja) * 2020-03-17 2023-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7456836B2 (ja) * 2020-04-06 2024-03-27 株式会社Subaru 車両
CN115027571B (zh) * 2022-07-04 2024-06-0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汽车后背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6707A (ja) * 2012-10-09 2014-05-01 Toyota Motor Corp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JP2014131896A (ja) * 2013-01-07 2014-07-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3813A (ja) * 1990-09-12 1992-04-23 Fuji Electric Co Ltd 多段伸線機ラインのダイス摩耗検出回路
JPH07246838A (ja) * 1994-03-09 1995-09-26 Aichi Mach Ind Co Ltd 車体の後部構造
DE19519509A1 (de) * 1994-05-31 1995-12-07 Linde & Wiemann Gmbh Kg Fahrzeugtür mit Rahmenmodul und Seitenaufprallschutz
JPH09295588A (ja) * 1996-04-30 1997-11-18 Nissan Shatai Co Ltd 車体側部構造
JP4366112B2 (ja) * 2003-05-09 2009-11-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ヤゲート構造
DE202004011851U1 (de) * 2004-07-28 2004-09-30 Peguform Gmbh & Co. Kg Kraftfahrzeug-Hecktür
CA2535234A1 (en) 2005-02-28 2006-08-28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Exterior equipment module
JP4255947B2 (ja) * 2005-12-28 2009-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ドア構造及び後部ドアの組み立て方法
JP4202360B2 (ja) * 2005-12-28 2008-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JP2007313919A (ja) 2006-05-23 2007-12-0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パネル
WO2009143627A1 (en) * 2008-05-30 2009-12-03 Magna International Inc. Composite liftgate system
JP4712854B2 (ja) * 2008-10-23 2011-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ドア構造
JP4712855B2 (ja) * 2008-10-23 2011-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ドア構造
JP4915706B2 (ja) 2009-04-15 2012-04-11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ドア及びその分解方法
JP2010260519A (ja) * 2009-05-11 2010-11-18 Kanto Auto Works Ltd バックドア
JP2011057188A (ja) * 2009-09-14 2011-03-24 Kanto Auto Works Ltd 樹脂製ドアの配設構造
RU2537011C2 (ru) * 2009-11-25 2014-12-27 Вебер Отомотив Аг-Холдинг Задняя дверь для автомобиля,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усиленного волокном термопластика
JP5462138B2 (ja) * 2010-12-01 2014-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ヤウィンドシールド構造体
JP5681015B2 (ja) * 2011-03-30 2015-03-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リフトゲート構造
JP5760926B2 (ja) * 2011-10-05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6707A (ja) * 2012-10-09 2014-05-01 Toyota Motor Corp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JP2014131896A (ja) * 2013-01-07 2014-07-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7586A (ja) 2016-08-18
CN105882363B (zh) 2018-06-22
KR20160099494A (ko) 2016-08-22
CN105882363A (zh) 2016-08-24
EP3056366A1 (en) 2016-08-17
US10449841B2 (en) 2019-10-22
JP6252507B2 (ja) 2017-12-27
BR102016002415A2 (pt) 2016-10-04
RU2617240C1 (ru) 2017-04-24
US20160236723A1 (en) 2016-08-18
BR102016002415B1 (pt) 2021-10-26
EP3056366B1 (en)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46B1 (ko) 차량용 외장 부재 및 차량의 백 도어
CN107792198B (zh) 车辆尾门
CN110040183B (zh) 车辆侧部构造
JP2011088596A (ja) 車両の車体構成部材
JP2017056881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2016107653A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2010173562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EP2990246B1 (en) Vehicular door structure
JP6217429B2 (ja) 車体後部の開口部構造
EP2412612B1 (en) Side sill structure for automobile
US20150353049A1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10215092A (ja) 車両の車体下部構造
KR102681705B1 (ko)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JP6107209B2 (ja) ルーフサイドレール構造
JP5515956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5513032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5939078B2 (ja) 車両後部構造
JP2009184527A (ja) ピラー補強構造
WO2012153601A1 (ja) 車体前部構造体
CN220500822U (zh) B柱下加强梁、b柱总成、车门总成和车辆
JP2019055693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JP5846749B2 (ja) 自動車のセンタピラー構造
JP5815260B2 (ja) 車体側部の衝撃緩衝構造
JP2019194043A (ja) サイドドア構造
JP2015112931A (ja) 車両カウルサイ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6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28

Effective date: 201902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