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226B1 -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7226B1 KR101787226B1 KR1020157033220A KR20157033220A KR101787226B1 KR 101787226 B1 KR101787226 B1 KR 101787226B1 KR 1020157033220 A KR1020157033220 A KR 1020157033220A KR 20157033220 A KR20157033220 A KR 20157033220A KR 101787226 B1 KR101787226 B1 KR 101787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ffer member
- rotating body
- movable portion
- movable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exclusively radially-movable brake-sho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55/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F16D55/28—Brakes with only one rotating dis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장치에서, 가압 수단은, 마찰 부재를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가압한다. 제동력 해제 수단은,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마찰 부재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변위시킨다. 고정부와 가동부와의 사이에는,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변형 수단은,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완충 부재를 압압하여 완충 부재를 변형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완충 부재가 고정부와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자(電磁)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고정 철심의 아마추어(armature, 전기자)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삽입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 삽입 구멍에는, 아마추어의 동작음을 저감시키는 고무제의 완충 부재가 삽입되어 있다. 완충 부재는, 삽입 구멍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와 같은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서, 완충 부재가 열화(劣化)한 경우, 아마추어의 동작음이 크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고무제의 완충 부재는, 고온하에서 열화가 진행되며, 작고 단단하게 된다. 그 결과, 완충 부재의 반력이 초기 보다도 저하하여, 동작음이 크게 된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 완충 부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동작음의 품질을 유지하는 방법도 고려되지만,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 또는 설치 상태에 따라서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분해가 어려워, 완충 부재의 교환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한편, 나사 등에 의해 완충 부재를 축방향으로 직접 밀어 내는 기구를 구비한 압축 스프링형 전자 브레이크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나타내어진 종래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완충 부재를 밀어내어 돌출량을 초기 상태로 되돌렸다고 해도, 완충 부재 자체가 열화하고 경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반력 특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완충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완충 부재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브레이크 장치는, 고정부, 고정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마찰 부재를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마찰 부재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고정부와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완충 부재를 압압(押壓)하여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달은 현가체가 감아 걸려지는 구동 쉬브(sheave)를 가지는 회전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브레이크 장치는, 고정부, 고정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마찰 부재를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마찰 부재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고정부와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완충 부재를 압압하여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은, 고정부, 고정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마찰 부재를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마찰 부재가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및 고정부와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으로서,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완충 부재를 압압하고, 완충 부재를 변형시켜, 가동부의 변위 방향으로의 완충 부재의 치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부 또는 고정부의 충돌시에서의 완충 부재의 반력 특성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은,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완충 부재를 압압하여,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완충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완충 부재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축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석 지지부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고정 철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완충 부재, 와셔 및 조정 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수단에 의한 완충 부재의 반력 조정 전후의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축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석 지지부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고정 철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완충 부재, 와셔 및 조정 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수단에 의한 완충 부재의 반력 조정 전후의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승강로 내를 투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대(2) 및 균형추 완충기대(3)가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대(2)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균형추 완충기대(3) 상에는, 균형추 완충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a, 4b)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a, 5b)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a, 4b)의 하단부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대(2)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5a, 5b)의 하단부는, 균형추 완충기대(3) 상에 위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a, 4b)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균형추(7)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5a, 5b)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6)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8)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권상기(8)로서는, 축방향 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 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가 이용되어 있다.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L자형의 리턴 쉬브 빔(9)이 설치되어 있다. 리턴 쉬브 빔(9)은,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 빔(10)과,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 빔(10)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된 균형추 리턴 쉬브 빔(11)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 빔(10)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2a, 12b)가 지지되어 있다. 균형추 리턴 쉬브 빔(11)에는, 균형추 리턴 쉬브(13)가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4a, 14b)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7)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현가체인 복수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주(主) 로프(1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b)의 상단부 근방과, 균형추 가이드 레일(5b)의 상단부 근방과의 사이에는, 로프 고정 빔(17)이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로프 고정 빔(17)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 리턴 쉬브 빔(11)에는,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주 로프(16)는,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에 접속된 제1 단부와,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8)에 접속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주 로프(16)는, 제1 단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4a, 14b),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12a, 12b), 엘리베이터용 권상기(8), 균형추 리턴 쉬브(13),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5)에 감아 걸려 있다(2:1 로핑).
최하층 근방의 승강로벽에는, 제어반(19)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9)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벽과 엘리베이터 칸(6)과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20)이 매달려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8)의 축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하우징(21)은, 평판 모양의 축지지부(21a)와, 축지지부(21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한 원통 모양의 스테이터 지지부(21b)를 가지고 있다. 축지지부(21a)의 중앙에는, 수평한 고정축(22)이 편(片)지지되어 있다.
고정축(22)에는, 한 쌍의 베어링(23)을 매개로 하여, 회전체(2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23)은, 고정축(22)의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회전체(24)에는 주 로프(16)가 감아 걸려지는 원통 모양의 구동 쉬브(24a)와, 스테이터 지지부(21b)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원통 모양의 자석 지지부(24b)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구동 쉬브(24a)의 외주면에는, 주 로프(16)가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홈이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터 지지부(21b)는, 회전체(24)의 하우징(21)측의 축방향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자석 지지부(24b)는, 스테이터 지지부(21b)와 동축에 배치되며, 스테이터 지지부(21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또, 자석 지지부(24b)의 외경은, 구동 쉬브(24a)의 지름 보다도 크다.
스테이터 지지부(21b)의 내주면에는, 코일이 권회(卷回)된 스테이터(25)가 고정되어 있다. 자석 지지부(24b)의 외주면에는, 스테이터(25)에 대향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26)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이들 스테이터(25) 및 영구자석(26)에 의해 모터(27)가 구성되어 있고, 모터(27)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체(24)가 회전되어,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승강된다.
도 3은 도 2의 자석 지지부(24b)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생략했지만, 자석 지지부(24b)의 내측에는, 회전체(24)의 회전을 제동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장치(31)가 수용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31)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장치(31)는, 고정부로서의 고정 철심(鐵心)(필드(field))(32), 가동부로서의 가동 철심(아마추어(armature))(33), 마찰 부재로서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34), 가압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브레이크 스프링(35), 및 제동력 해제 수단으로서의 전자 코일(36)을 가지고 있다.
가동 철심(33)은, 고정 철심(32)에 접리하는 방향(도 3의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34)는, 한 쌍의 암(37)을 매개로 하여 가동 철심(33)에 연결되어 있고, 가동 철심(33)과 일체로 변위한다.
또, 브레이크 슈(34)는, 제동면인 자석 지지부(24b)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회전체(24)의 회전을 제동, 또는 회전체(24)의 정지(靜止) 상태를 유지한다. 즉, 자석 지지부(24b)는, 브레이크 드럼을 겸하고 있다. 브레이크 슈(34)의 자석 지지부(24b)에 맞닿는 부분에는, 복수의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38)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프링(35)은, 브레이크 슈(34)를 제동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33)을 가압한다. 전자 코일(36)은, 여자(勵磁)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34)가 제동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33)을 변위시킨다.
즉, 전자 코일(36)이 여자되는 것에 의해, 전자력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33)이 고정 철심(32)에 흡인되어, 브레이크 슈(34)가 제동면으로부터 떨어져, 제동력이 해제된다. 또, 전자 코일(36)에의 통전(通電)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34)가 제동면에 밀어 붙여진다. 이 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심(3)이 고정 철심(32)으로부터 떨어진다.
고정 철심(32)과 가동 철심(33)과의 사이에는, 가동 철심(33)의 동작음을 저감하는 복수의 완충 부재(39)가 배치되어 있다. 각 완충 부재(39)는, 금속 스프링을 제외한, 고무, 연성(軟性) 플라스틱 또는 수지 등의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 철심(32)에는, 완충 부재(39)에 1:1로 대응하도록 복수의 변형 수단(40)이 마련되어 있다. 각 변형 수단(40)은, 대응하는 완충 부재(39)를,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도 3의 좌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완충 부재(39)를 변형시켜, 완충 부재(39)의 반력 특성을 조정한다.
도 5는 도 4의 고정 철심(32)의 일부(완충 부재(39)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가동 철심(33)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완충 부재(39)의 외형은, 중공의 부재, 구체적으로는 원통 모양이다. 고정 철심(32)에는, 완충 부재(39)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면이 원형인 수용 오목부(32a)가 마련되어 있다.
또, 고정 철심(32)에는,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에 평행(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에 대향하는 면에 직각)한 복수의 관통공(3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관통공(32b)은, 수용 오목부(32a)의 저면의 중앙으로부터 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과는 반대측의 면까지를 관통하고 있다.
각 변형 수단(40)은, C자형의 와셔(41), 조정 볼트(42) 및 복수의 조정 너트(43)를 가지고 있다. 와셔(41)는, 완충 부재(39)의 내측에, 완충 부재(39)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 와셔(41)의 외주면은, 완충 부재(39)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게다가, 와셔(41)는, 테이퍼 모양의 내주면(41a)을 가지고 있다.
조정 볼트(42)는, 관통공(32b)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조정 볼트(42)는, 오목부(32a) 내에서 와셔(41)의 내측에 배치된 와셔측 단부(42a)와, 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된 반와셔측 단부(42b)를 가지고 있다. 와셔측 단부(42a)에는, 와셔(41)의 내주면(41a)에 조합되는 외주 테이퍼면(42c)이 마련되어 있다.
조정 너트(43)는, 조정 볼트(42)의 반와셔측 단부(42b)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조정 너트(4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 볼트(42)의 축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도 7은 도 6의 완충 부재(39), 와셔(41) 및 조정 볼트(42)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시 형태 1의 변형 수단(40)은, 완충 부재(39)의 내주면을 압압하여 내경을 확대시킨다. 즉, 조정 너트(43)를 조여 조정 볼트(42)를 가동 철심(33)과는 반대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으로, 와셔(41)의 내주면(41a)을 따라서 외주 테이퍼면(42c)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C자형의 와셔(41)의 간극이 넓어져, 와셔(41)의 외경이 확대되어, 완충 부재(39)의 내주면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압압된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수단(40)에 의한 완충 부재(39)의 반력 조정 전후의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조정 볼트(42)에 대한 조정 너트(43)의 나사 장착 위치를 조정하여 조정 볼트(42)를 가동 철심(33)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와셔(41)에 의해 완충 부재(39)의 내주면(41a)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압압된다.
이 때,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은 오목부(32a)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어 있고, 완충 부재(39)의 외경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완충 부재(39)의 축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완충 부재(39)의 고정 철심(32)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게 된다. 또, 이것과 함께 가동 철심(33)과의 충돌시에서의 완충 부재(39)의 반력이 크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31)에서는, 조정 볼트(42)의 축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완충 부재(39)를 교환하지 않고(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완충 부재(39)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39)의 돌출량 뿐만 아니라, 스프링 계수도 조정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원통 모양의 완충 부재(39)를 나타냈지만, O링과 같은 단면이 원형인 완충 부재라도 좋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외주 테이퍼면(42c)을 가지는 조정 볼트(42)에 의해 와셔(41)의 지름을 넓혔지만, 쐐기와 같은 부재를 와셔(41)의 간극에 밀어넣어 와셔(41)의 지름을 넓히는 구조로 해도 좋다.
게다가, 실시 형태 1에서는 C자형의 와셔(41)를 이용했지만,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와셔를 이용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반원 모양의 2개의 분할편을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와셔를 이용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2의 변형 수단(50)은, 완충 부재(39)를 유지하는 홀더(51)와, 고정 철심(32)에 마련된 홀더 장착부(32c)와, 홀더(51)를 홀더 장착부(32c)에 장착하는 한 쌍의 조정 볼트(52)를 가지고 있다.
홀더(51)는, 완충 부재(39)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51a, 51b)를 가지고 있다. 클램프부(51a, 51b)의 선단부 사이에는, 간극(51c)이 마련되어 있다. 즉, 홀더(51)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C자형의 내주면(51d)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장착부(32c)에는, 클램프부(51a, 51b)의 선단부가 걸리는 테이퍼 모양의 홈(32d)이 마련되어 있다. 클램프부(51a, 51b)의 선단부의 형상은, 홈(32d)의 형상에 대응한 쐐기 모양으로 되어 있다.
조정 볼트(52)는, 홀더(51)를 관통하여, 고정 철심(32)의 측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조정 볼트(52)의 축방향(도 9의 좌우 방향)은,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도 9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조정 볼트(52)를 조이는 것에 의해, 홀더(51)가 도 9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클램프부(51a, 51b)의 선단부가 홈(32d)에 밀어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간극(51c)이 작게 되어, 완충 부재(39)의 외형이 축소된다. 즉, 변형 수단(50)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완충 부재(39)의 외경을 축소시킨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31)에서는, 조정 볼트(52)의 조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완충 부재(39)를 교환하지 않고(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완충 부재(39)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39)의 돌출량 뿐만 아니라, 스프링 계수도 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3의 변형 수단(60)은, 완충 부재(39)를 유지하는 홀더(61)와, 홀더(61)에 마련되어 있는 조정 볼트(62)와, 홀더(61)를 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63)를 가지고 있다.
홀더(61)는, 완충 부재(39)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61a, 61b)를 가지고 있다. 클램프부(61a, 61b)의 선단부 사이에는, 간극(61c)이 마련되어 있다. 즉, 홀더(61)에는,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C자형의 내주면(61d)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볼트(62)는, 클램프부(61a, 61b)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 조정 볼트(62)는, 클램프부(61a)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클램프부(61b)의 선단부에 마련된 나사구멍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조정 볼트(62)의 축방향(도 12의 상하 방향)은,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도 1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고정 볼트(63)의 축방향은,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에 평행하다.
또, 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완충 부재(39)의 가동 철심(33)측의 단부만이 돌출하도록, 고정 철심(32)에는, 홀더(61)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클램프부(61a, 61b)의 선단부 및 조정 볼트(62)는, 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조정 볼트(62)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고정 철심(32)의 측면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조정 볼트(62)를 조이는 것에 의해, 간극(61c)이 작게 되어, 완충 부재(39)의 외형이 축소된다. 즉, 변형 수단(60)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완충 부재(39)의 외경을 축소시킨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31)에서는, 조정 볼트(62)의 조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완충 부재(39)를 교환하지 않고(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완충 부재(39)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39)의 돌출량 뿐만 아니라, 스프링 계수도 조정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에서는, 조정 볼트(62)를 클램프부(61b)의 나사구멍에 나사 장착했지만, 클램프부(61a, 61b) 양쪽 모두를 관통한 조정 볼트(62)의 선단부에 조정 너트를 나사 장착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4의 변형 수단(70)은, 완충 부재(39)를 유지하는 홀더(71)와, 제1 및 제2 조정 브라켓(72, 73)과, 제1 조정 브라켓(72)을 관통하여 홀더(71)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조정 볼트(74)와, 제2 조정 브라켓(73)을 관통하여 홀더(71)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조정 볼트(75)를 가지고 있다.
제1 조정 브라켓(72)은, 그 일부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에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제1 조정 브라켓(72)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에 맞닿게 된 제1 돌기부(72a)를 가지고 있다.
제2 조정 브라켓(73)은, 그 일부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에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제2 조정 브라켓(73)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에 맞닿게 된 제2 돌기부(73a)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돌기부(72a, 73a)는, 완충 부재(39)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조정 볼트(74, 75)의 축방향(도 13의 좌우 방향)은,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도 13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홀더(71)는, 고정 철심(32)에 고정되어 있다. 또, 홀더(71)는, 고정 철심(32)에 마련된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는, 완충 부재(39)의 가동 철심(33)측의 단부만이 돌출하고 있다.
조정 볼트(74, 75)는, 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직접, 또는 고정 철심(32)에 마련된 조작용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정 볼트(74, 75)를 조이는 것에 의해, 조정 브라켓(72, 73)이 홀더(71)측으로 변위되어 완충 부재(39)의 외경이 축소된다. 즉, 변형 수단(70)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완충 부재(39)의 외경을 축소시킨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31)에서는, 조정 볼트(74, 75)의 조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완충 부재(39)를 교환하지 않고(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완충 부재(39)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39)의 돌출량 뿐만 아니라, 스프링 계수도 조정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4에서는, 제1 및 제2 조정 브라켓(72, 73)에 의해 완충 부재(39)를 양측으로부터 압압 가능하게 했지만, 편측만으로부터 압압 가능하게 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완충 부재 유지부인 고정 철심(32)에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수용 오목부(32e)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39)는, 대응하는 수용 오목부(32e)에 수용되어 유지되어 있다.
완충 부재(39)의 가동 철심(33)측의 단부는, 고정 철심(32)의 가동 철심(33)에 대향하는 면 보다도 가동 철심(33)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수용 오목부(32e)의 측벽의 일부는, 고정 철심(32)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의 일부는, 고정 철심(32)으로부터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완충 부재(39)는,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5의 각 변형 수단(80)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의 고정 철심(32)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맞닿게 되어 있는 조정 브라켓(81)과, 조정 브라켓(81)을 관통하여 고정 철심(32)의 측면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조정 볼트(82)를 가지고 있다.
조정 볼트(82)의 축방향(도 14의 좌우 방향)은,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도 14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완충 부재(39)는, 조정 브라켓(81)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압축되어 있다. 완충 부재(39)의 압축량은, 조정 심(shim)(83) 또는 조정 너트(84)를 이용하여 조정해도 괜찮다. 조정 심(83) 또는 조정 너트(84)는, 조정 브라켓(81)과 고정 철심(32)과의 사이에서 조정 볼트(82)에 통과된다.
조정 볼트(82)를 조이는 것에 의해, 조정 브라켓(81)이 고정 철심(32)측으로 변위되어 완충 부재(39)의 외경이 축소된다. 즉, 변형 수단(80)은, 완충 부재(39)의 외주면을 압압하여 완충 부재(39)의 외경을 축소시킨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31)에서는, 조정 볼트(82)의 조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완충 부재(39)를 교환하지 않고(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완충 부재(39)의 반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39)의 돌출량 뿐만 아니라, 스프링 계수도 조정할 수 있다.
또, 완충 부재(39)를 교환할 필요가 생긴 경우도, 고정 철심(32) 및 가동 철심(33)을 분해하지 않고, 가동 철심(33)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5에서는, 원통 모양의 완충 부재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O링과 같은 단면이 원형, 중실(中實) 형상, 또는 구 모양의 완충 부재라도 좋다.
또, 실시 형태 1~5에서는, 고정 철심(고정부) 측에 완충 부재를 배치했지만, 가동 철심(가동부)측에 배치해도 괜찮다.
게다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마련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구조는, 도 2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박형 권상기가 아니라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장치가 브레이크 드럼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브레이크 장치를 브레이크 드럼의 외측에 배치하여, 브레이키슈를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도록 해도 괜찮다.
게다가, 본 발명은, 완충 부재가 고정부와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라면, 디스크 브레이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엘리베이터 전체의 기기의 레이아웃 및 로핑 방식 등은, 도 1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현가체는 벨트라도 괜찮다.
게다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계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또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등, 여러 가지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이외의 브레이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중공의 부재이고,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완충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수단은, 테이퍼 모양의 내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이 상기 완충 부재의 내주면에 맞닿는 C자형의 와셔와, 상기 와셔의 내주면에 조합되는 외주 테이퍼면을 가지는 조정 볼트와, 상기 조정 볼트에 나사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정 볼트의 축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너트를 가지고 있는 브레이크 장치. - 삭제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완충 부재를 유지하는 홀더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홀더 장착부와,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 장착부에 장착하는 조정 볼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홀더는, 상기 완충 부재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클램프부의 선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홀더 장착부에는, 상기 클램프부의 선단부가 걸리는 테이퍼 모양의 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볼트의 축방향은, 상기 조정 볼트를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간극이 작게 되는 방향인 브레이크 장치.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와는 별도의 유닛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 중 어느 일방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 부재를 유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마련되어 있는 조정 볼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홀더는, 상기 완충 부재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클램프부의 선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정 볼트는, 상기 클램프부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완충 부재를 유지하는 홀더와, 일부가 상기 완충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아져 있는 조정 브라켓과, 상기 조정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에 나사 장착되어 있으며, 조여지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정 브라켓을 상기 홀더측으로 변위시키는 조정 볼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정 브라켓은, 상기 조정 볼트에 의해 상기 홀더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 중 어느 일방인 완충 부재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완충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완충 부재 유지부로부터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완충 부재의 외주면의 상기 완충 부재 유지부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맞닿아져 있는 조정 브라켓과, 상기 조정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완충 부재 유지부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조정 볼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정 브라켓은, 상기 조정 볼트에 의해 상기 완충 부재 유지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 -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달은 현가체가 감아 걸려지는 구동 쉬브(sheave)를 가지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완충 부재는, 중공의 부재이고,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완충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제동력 해제 수단,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중공의 부재인 완충 부재, 및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키는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 수단은, 테이퍼 모양의 내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이 상기 완충 부재의 내주면에 맞닿는 C자형의 와셔와, 상기 와셔의 내주면에 조합되는 외주 테이퍼면을 가지는 조정 볼트와, 상기 조정 볼트에 나사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정 볼트의 축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너트를 가지고 있는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조정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조정 볼트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압압하고, 상기 완충 부재를 변형시켜, 상기 가동부의 변위 방향으로의 상기 완충 부재의 치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부 또는 상기 고정부와의 충돌시에서의 상기 완충 부재의 반력 특성을 조정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62032 WO2014174603A1 (ja) | 2013-04-24 | 2013-04-24 | ブレーキ装置、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ブレーキ装置の緩衝反力調整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740A KR20160003740A (ko) | 2016-01-11 |
KR101787226B1 true KR101787226B1 (ko) | 2017-10-18 |
Family
ID=5179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3220A KR101787226B1 (ko) | 2013-04-24 | 2013-04-24 |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868613B2 (ko) |
JP (1) | JP5985048B2 (ko) |
KR (1) | KR101787226B1 (ko) |
CN (1) | CN105121892B (ko) |
DE (1) | DE112013006988B4 (ko) |
WO (1) | WO201417460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63325B2 (en) * | 2013-04-24 | 2017-05-30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Braking apparatus and elevator hoisting machine that uses same |
CN107098286B (zh) * | 2016-02-22 | 2021-05-11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制动器和电梯制动器的减震垫更换方法 |
US10822016B2 (en) | 2016-03-10 | 2020-11-03 | Nok Corporation | Shock-absorbing stopper |
WO2019239575A1 (ja) * | 2018-06-15 | 2019-12-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磁ブレーキ装置および巻上機 |
EP3608273B1 (en) * | 2018-08-10 | 2022-09-28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afety gear actuation device |
JP6658997B1 (ja) * | 2019-01-10 | 2020-03-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
WO2021205606A1 (ja) * | 2020-04-09 | 2021-10-1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
CN112875522B (zh) * | 2021-01-26 | 2022-11-08 | 中铁二十二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 一种有效降低失速事故发生概率的铁路轨道吊装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1080A (ja) * | 2002-01-07 | 2003-07-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電磁制動装置 |
WO2003085281A1 (fr) | 2002-04-05 | 2003-10-16 | Ogura Clutch Co., Ltd. | Frein a tambour electromagnetique |
WO2005011903A2 (en) | 2003-07-29 | 2005-02-10 | Minganti International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run-out |
JP4322361B2 (ja) | 1999-07-29 | 2009-08-26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巻上機、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巻上機の振動騒音低減方法 |
JP4826206B2 (ja) | 2005-10-28 | 2011-11-3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091C (zh) * | 1999-01-25 | 2003-11-19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制动控制装置 |
DE10143499A1 (de) | 2001-09-05 | 2003-03-20 | Mayr Christian Gmbh & Co Kg | Geräuschdämpfung von elektromagnetischen Bremsen über Dämpfungsglieder unterschiedlicher Federsteifigkeit |
WO2004005178A1 (ja) * | 2002-07-05 | 2004-01-15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 |
JP3947497B2 (ja) * | 2003-06-27 | 2007-07-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巻上機のブレーキ構造 |
JP4641167B2 (ja) * | 2004-09-21 | 2011-03-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用巻上機ブレーキ |
WO2006049612A1 (en) | 2004-11-01 | 2006-05-11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disk brake with damping |
WO2007096955A1 (ja) * | 2006-02-22 | 2007-08-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CN101798035B (zh) * | 2006-07-27 | 2012-04-04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装置 |
JP2008120524A (ja) * | 2006-11-13 | 2008-05-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 |
CN101663223B (zh) * | 2007-05-31 | 2012-04-25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用曳引机的制动装置 |
KR101533517B1 (ko) * | 2010-09-08 | 2015-07-02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브레이크 장치, 브레이크 라이닝, 브레이크 라이닝의 제조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
JP2013160304A (ja) * | 2012-02-06 | 2013-08-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ブレーキシュー姿勢確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巻上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並びに、ブレーキシュー姿勢確認方法 |
-
2013
- 2013-04-24 KR KR1020157033220A patent/KR101787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4-24 CN CN201380075824.9A patent/CN105121892B/zh active Active
- 2013-04-24 US US14/781,814 patent/US9868613B2/en active Active
- 2013-04-24 JP JP2015513409A patent/JP5985048B2/ja active Active
- 2013-04-24 DE DE112013006988.1T patent/DE112013006988B4/de active Active
- 2013-04-24 WO PCT/JP2013/062032 patent/WO201417460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22361B2 (ja) | 1999-07-29 | 2009-08-26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巻上機、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巻上機の振動騒音低減方法 |
JP2003201080A (ja) * | 2002-01-07 | 2003-07-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電磁制動装置 |
WO2003085281A1 (fr) | 2002-04-05 | 2003-10-16 | Ogura Clutch Co., Ltd. | Frein a tambour electromagnetique |
WO2005011903A2 (en) | 2003-07-29 | 2005-02-10 | Minganti International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run-out |
JP4826206B2 (ja) | 2005-10-28 | 2011-11-3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121892A (zh) | 2015-12-02 |
DE112013006988T5 (de) | 2015-12-31 |
KR20160003740A (ko) | 2016-01-11 |
JPWO2014174603A1 (ja) | 2017-02-23 |
US9868613B2 (en) | 2018-01-16 |
WO2014174603A1 (ja) | 2014-10-30 |
JP5985048B2 (ja) | 2016-09-06 |
DE112013006988B4 (de) | 2022-03-03 |
US20160039637A1 (en) | 2016-02-11 |
CN105121892B (zh) | 2017-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7226B1 (ko) | 브레이크 장치,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브레이크 장치의 완충 반력 조정 방법 | |
KR101737258B1 (ko) | 브레이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
JP5345183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KR101954585B1 (ko)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 |
JPH07149487A (ja) | リニアモーター型エレベーターのレールブレーキ装置 | |
US20170225926A1 (en) |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 |
CN104860169A (zh) | 曳引机组装体 | |
JP2017030940A (ja) | 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10546100B (zh) | 电梯装置 | |
JP2013151356A (ja) |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
JPWO2004050527A1 (ja) | 巻上機のブレーキ機構 | |
JP6997225B2 (ja) |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 |
JP2015089840A (ja) |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 |
JP5191720B2 (ja) | エレベーター巻上機用制動装置 | |
JPWO2019155509A1 (ja) |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 |
JPH10236747A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JP2011201694A (ja) |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 |
JP5840960B2 (j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 | |
CN109132918B (zh) | 电磁制动装置、卷扬机以及电梯 | |
JP2004076899A (ja) |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 |
JP2024019787A (ja) |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 |
JPH0313480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018144929A (ja) | エレベータ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 | |
JP2018144930A (ja) | エレベータ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 | |
JP2017001793A (ja) | エレベー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