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585B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585B1
KR101954585B1 KR1020187002251A KR20187002251A KR101954585B1 KR 101954585 B1 KR101954585 B1 KR 101954585B1 KR 1020187002251 A KR1020187002251 A KR 1020187002251A KR 20187002251 A KR20187002251 A KR 20187002251A KR 101954585 B1 KR101954585 B1 KR 10195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upport shaft
housing
electromagnet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120A (ko
Inventor
다쯔야 마쯔모또
나오후미 오가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2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경량화와 전체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브레이크 슈(27a, 27b)와 아마추어(28)와 보디(33)와 스토퍼(35)와 플로팅 장치(42)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축 부재(5)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고, 축 부재(5)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을 통해 권상기의 하우징(1a)에 설치되어 있다. 축 부재(5)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에 삽입되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37)과, 지지축(37)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토퍼(35) 및 플로팅 장치(42)는 플랜지부(38)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높이를 억제할 목적으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이하, 권상기로 약기함) 등의 기계류를 수납하는 기계실을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하지 않고, 기계류를 승강로에 설치하는 소위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 종래에는 기계실에 설치하였던 권상기를 포함하여 모든 기기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게 된다. 권상기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구성은 다양하지만, 승강로 내에 권상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권상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필요가 있다. 물론, 종래의 기계실을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권상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는 요구된다.
종래의 권상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전동기의 로터와, 감아 올림 로프를 감아 올려 조작하기 위한 구동 시브와,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 디스크를 일체화하여 회전체 블록을 형성한다. 베이스 블록에 설치된 전동기의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회전체 블록을 회동 조작하고, 디스크 브레이크의 마찰재를 제동 디스크의 측면에 압접함으로써 회전체 블록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라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요약 참조).
또한, 권상기로서, 예를 들어 도 8a∼도 8c에 도시한 구조의 것이 있다. 도 8a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따른 권상기(110)를 도르래(활차)(114)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좌측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따른 권상기(110)를 정면으로부터 본 외관도(정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따른 권상기(110)를 도르래(114)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우측면도)이다.
도 8a∼도 8c에 도시한 권상기(110)는 기계실이나 승강로의 피트 내측벽 등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장치의 카에 연계된 감아 올림 로프를 소정의 조작에 의해 감아 올리기 위한 것이다. 권상기(110)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아 올림 로프가 권취되는 도르래(114)와, 도르래(11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26)와, 브레이크 디스크(126)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는 당해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를 감싸는 대형의 지지 브래킷(147)을 통해 하우징(101)에 고정된다.
도 9는 도 8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를 IX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브레이크(115)는 지지축(137)에 의해 지지축(137)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137)은 지지 브래킷(147)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권상기는, 소위 아우터 로터형의 전동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회전자부를 제동하는 경우에는 큰 제동력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디스크에 부여하는 제동력을 소정량 확보하기 위해, 브레이크 디스크(126)에 대하여 독립된 2대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를 설치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99824호 공보
그러나,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은,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받는 비상 제동 시의 과대한 토크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과, 지지축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키기 위해, 지지축의 양단을 지지 브래킷(147)에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후 또한 대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권상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조의 개량이 필요하다. 또한, 권상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시공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면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경량화와 전체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프가 권취되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중 한쪽을 보유 지지하는 아마추어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중 다른 쪽을 보유 지지하는 보디와,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보디를 상기 특정 방향으로 부세하는 플로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축 부재를 통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고, 상기 축 부재는 브레이크 브래킷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삽입되어, 당해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및 상기 플로팅 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권상기의 경량화와 전체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를 도르래(14)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좌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를 정면으로부터 본 외관도(정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를 도르래(14)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c에 도시한 권상기(10)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c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III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IIIB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IIIC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브레이크 제동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브레이크 개방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의 배면도이며, 브레이크 메인터넌스 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10)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67)의 개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따른 권상기(110)를 도르래(114)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좌측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따른 권상기(110)를 정면으로부터 본 외관도(정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에 따른 권상기(110)를 도르래(114)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를 IX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권상기(10)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10)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70)의 개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류를 승강로에 설치하는 기계실레스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권상기(10)는 기계실을 배치하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승강로(60)의 내측에, 카(61)와 균형추(62)와 권상기(10)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10)는 승강로(60)의 벽면과 카(61)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도르래(14)에 권취된 로프(63)는, 일단이 승강로(60)의 천장(60a)에 설치된 풀리(64a)와 카(61)의 하부에 설치된 풀리(65a, 65b)를 경유하여 천장(60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로프(63)의 타단은, 천장(60a)에 설치된 풀리(64b)와 균형추(62)에 설치된 풀리(66)를 경유하여 천장(60a)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70)는 권상기(10)의 도르래(14)로 로프(63)를 조작함으로써, 승강로(60) 내에서 카(61)를 승강시킨다. 즉, 카(61)에 연결된 로프(63)를 도르래(14)로 조작함으로써, 카(61)가 승강한다. 이 때문에 권상기(1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67)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2를 참조하여, 권상기(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를 도르래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좌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를 정면으로부터 본 외관도(정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를 도르래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c에 도시한 권상기의 II-II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는 하우징(1)과, 하우징(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프가 권취되는 도르래(14)와, 도르래(1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26)와, 브레이크 디스크(26)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은 전방면측에 환상의 수납 오목부(21)가 형성되고, 그 수납 오목부(21)의 중앙에 남겨진 보스부(16)의 선단에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지지벽(1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벽(17)과 보스부(16)의 축심 위치에는, 하우징(1)을 관통하도록 축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18)에는 주축(19)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납 오목부(21)의 내주측의 측면[지지벽(17)의 외주 벽면]에는, 전동기(7)의 스테이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22)는 권선을 갖고, 통전에 의해 자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권상기는 도르래(14)가 설치되는 측을 전방면측, 도르래(1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후방면측 또는 배면측으로 정의한다.
도르래(14)와 브레이크 디스크(26)는, 일체로 되어 회전체 블록(2)을 구성한다. 이 회전체 블록(2)은, 전체가 거의 원판 형상을 나타내고, 그 축심부(중심부)가 주축(19)에 베어링(23)을 통해 지지됨과 함께, 그 외주연부가 브레이크 디스크(2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체 블록(2)의 한쪽의 측면(후방면 또는 배면)에는 전동기(7)의 로터(31)가 주축(19)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 블록(2)의 다른 쪽의 측면(전방면)에는, 감아 올림 로프를 감아 올림 조작하기 위한 도르래(14)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동기(7)의 로터(31)는 회전체 블록(2)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벽(24)과, 이 원통벽(24)의 내주 벽면에 고정된 영구 자석(25)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로터(31)는 하우징(1)의 수납 오목부(21)에 삽입 배치되며, 로터(31)와 스테이터(22)의 자기 작용면이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에서 대치하고 있다.
하우징(1)의 상부에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회전체 블록(2)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여, 주축(19)의 축 방향에 평행한 평면(10A)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에는, 2대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15)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한 쌍의 브레이크 슈(27a, 27b), 한쪽의 브레이크 슈(27a)를 보유 지지하는 아마추어(28), 다른 쪽의 브레이크 슈(27b)를 보유 지지하는 브레이크 보디(보디)(33)(도 3 참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하우징(1)의 설치부(1a)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1c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III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IIIB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IIIC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1대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2개의 축 부재(5)에 의해 지지축(37)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고, 축 부재(5)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을 통해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다. 즉, 축 부재(5)는 브레이크 브래킷(50)에 의해 하우징(1)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브레이크 보디(33)에는, 축 부재(5)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33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축 부재(5)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브레이크 브래킷(5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통 구멍(33a)에 삽입되는 둥근 막대형의 지지축(37)과, 이 지지축(37)의 전단측(일단측)에 설치되는 원반형의 플랜지부(38)와, 지지축(37)과 플랜지부(38) 사이에서 동축상에 설치되며,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정육각형을 이루는 육각부(45)를 포함한다. 지지축(37)의 후단측(타단측)의 단부면에는, 나사 구멍(37a)이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브래킷(50)에는, 지지축(37)의 후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설치부(50a)가 형성되고, 설치부(50a)의 가장 안쪽 단부에는, 고정 부재(39)가 볼트(51)에 의해 브레이크 브래킷(50)과 일체화되어 있다. 지지축(37)의 후단부를 브레이크 브래킷(50)의 설치부(50a)에 형성된 설치 구멍(50c)에 삽입한 후, 고정 부재(39)를 통해 고정 볼트(볼트)(46)를 지지축(37)의 나사 구멍(37a)에 설치함으로써, 브레이크 브래킷(50)과 축 부재(5)가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축(37)의 설치부(50a)에의 삽입량은, 지지축(37)의 축 직경 치수 D37보다도 큰 길이 치수 L50a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치수 L50a는, 축 직경 치수 D37보다도 더 큰 길이 치수로 하고, 지지축(37)의 전체 길이의 1/3 이상으로 한다.
또한, 지지축(37)의 설치부(50a)에의 삽입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 설치부(50a)의 지지축(37)의 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 치수 L50a는, 설치부(50a)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의 지지부(50d)에 있어서의 지지축(37)의 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 치수 L50d보다도 길게 한다. 이에 의해, 설치부(50a)에는 길이 치수 L50a에 상당하는 지지축(37)의 삽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설치부(50a)는 그 길이 치수 L50a를 길게 함으로써, 일단부가 브레이크 디스크(26)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브레이크 슈(27b)에 대하여 권상기(10)의 배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에 설치되는 2개의 지지축(37)의 후단을 연결하는 선 l37은, 브레이크 슈(27b)에 대하여 권상기(10)의 배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슈(27b)가 브레이크 디스크(26)를 협압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인 경우에, 선 l37은, 지지축(37)의 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브레이크 보디(33)의 후단부면(33b)과 거의 동일 위치에 있거나, 혹은 후단부면(33b)에 대하여 권상기(10)의 배면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지지축(37)의 내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축(37)의 축 방향을 따라서 넓은 범위에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하였을 때의 지지축(37)의 변형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축(37)은 육각 강재로부터 깎아내어 제작된다.
브레이크 브래킷(50)은 볼트(52)에 의해 하우징(1)의 설치부(1a)에 설치된다. 또한, 설치부(1a)는 하우징(1)의 두께 중앙부보다도 배면측(반시브측, 즉 반도르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현수 하중이 작용하여 하우징(1)이 시브측으로 쓰러지도록 변형될 때에, 변형이 브레이크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능한 한 하우징(1)이 변형되지 않는 배면측에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플랜지부(38)에는, 브레이크 디스크(26)와 좌우의 브레이크 슈(27a, 27b) 간의 간극(도 4 참조)을 동등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볼트(스토퍼)(35)가 고정된다. 스토퍼 볼트(35)가 아마추어(28)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핀(34)(후술)과 잘 닿도록, 지지축(37)의 회전 방향 A(도 3c 참조)에 있어서의 방향 조정을 행하여, 플랜지부(38)의 자세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 때문에, 지지축(37)의 일부에 육각부(45)를 설치하고 있고, 이 육각부(45)에 스패너 등을 삽입함으로써 회전 방향의 센터링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육각부(45)는 지지축(37)의 후단측을, 고정 부재(39)를 통해 고정 볼트(46)에 의해 하우징(1)의 설치부(1a)에 고정할 때에, 지지축(37)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축(37)에 설치한 육각부(45)는 스패너 등을 삽입할 수 있으면 되고, 적어도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2면이 형성된 구성이면 그 형상은 불문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메인터넌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10)의 배면도이며, 브레이크 메인터넌스 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 메인터넌스를 실시하여, 브레이크 슈(27a, 27b)의 마모 상태나 표면에 이물 등이 없는지를 육안 점검하고, 이상이 보이면 부품 교환을 할 필요가 있다. 그때,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개방하여(세워) 육안 점검 혹은 부품 교환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의 설치부(50a)의 외주면에, 지지축(37)의 축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나사 구멍을 갖는 돌기(50b)가 형성되고, 거기에 스토퍼 볼트(54)를 설치한다. 스토퍼 볼트(54)는 로크 너트(53)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개방하였을 때에, 브레이크 보디(33)와 스토퍼 볼트(54)의 헤드가 접촉함으로써 개방량(개방 각도) α를 제한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도 6 참조). 개방량 α는, 스토퍼 볼트(54)의 조임량에 의해 접촉 정도가 변화되어 미세 조정 가능하다. 개방량 α는, 건물벽과의 간극 L(도 6 참조)과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지만, 10∼3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2개의 축 부재(5)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고, 축 부재(5)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을 통해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지지축 양단을 감싸는 대형의 지지 브래킷 등이 불필요해져, 전자 브레이크 장치(15) 및 권상기(10)의 소형ㆍ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브레이크 제동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브레이크 개방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 부재(5)에 의해 하우징(1)에 설치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이 구조 이외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내부 구조에 대하여 개략을 설명한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브레이크 디스크(26)의 외주 측면을 압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26)를 제동하기 위한 한 쌍 브레이크 슈(27a, 27b)와, 한쪽의 브레이크 슈(27a)를 보유 지지하는 아마추어(28)와, 도르래(14)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아마추어(28)를 브레이크 디스크(26)측(도 4의 C 방향)으로 부세하는 브레이크 스프링(36)과, 이 브레이크 스프링(36)을 압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26)의 외주 측면으로부터 브레이크 슈(27a, 27b)를 개방하여 도르래(14)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하는 전자 구동부(29)를 갖고 있다.
전자 구동부(29)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 브레이크 보디(33)에 직접적, 혹은 다른 설치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구동부(29)는 연결축(55)에 의해 브레이크 보디(33)에 연결되어, 전자 구동부(29)와 브레이크 보디(33)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보디(33)에는, 다른 쪽의 브레이크 슈(27b)가 직접적, 혹은 다른 설치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브레이크 디스크(26)의 다른 한쪽의 외주 측면을 제동 또는 개방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아마추어(28)에 보유 지지된 브레이크 슈(27a)와 브레이크 보디(33)에 고정된 브레이크 슈(27b)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26)를 양측으로부터 협압함으로써 높은 제동력을 얻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자 구동부(29)는 아마추어(28)를 전자적으로 흡인하기 위한 전자석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전자 코일과 철심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다. 철심에는 투자율이 큰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브레이크 스프링(36)은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에 설치된 아마추어(28)와 브레이크 슈(27a)의 제1 조체(43)(우측 하향 사선)를 브레이크 디스크(26)측(도면 중 C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그 결과, 전자 구동부(29)의 전자 코일에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슈(27a)가 브레이크 디스크(26)의 한쪽의 외주 측면(도면 중의 우측면)을 강하게 압박한다. 이때, 브레이크 스프링(36)은 아직 다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스프링력이 잔존하고 있다.
따라서, 그 반력에 의해 브레이크 보디(33)와 전자 구동부(29)와 브레이크 슈(27b)의 제2 조체(44)(우측 상향 사선)가 역방향(도면 중 D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 보디(33)에 설치된 다른 쪽의 브레이크 슈(27b)가 브레이크 디스크(26)의 다른 쪽의 외주 측면(도면 중의 좌측면)을 강하게 압박한다. 이들에 의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브레이크 디스크(26)를 브레이크 슈(27a, 27b)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협압하여, 도르래(14)를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전자 구동부(29)의 전자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철심이 여자되어, 아마추어(28)가 전자 구동부(29)에 흡인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마추어(28)는 브레이크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27a)를 브레이크 디스크(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특정 방향, 도면 중 D 방향)으로 구동한다. 즉 제1 조체(43)가 도면 중 D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26)에 대한 한쪽의 제동력이 해제된다.
아마추어(28)는 핀(34)이 지지축(37)의 플랜지부(38)에 고정된 스토퍼 볼트(35)에 닿을 때까지, 도면 중 D 방향으로 이동한다. 아마추어(28)의 핀(34)이 스토퍼 볼트(35)에 닿은 시점에서는, 아마추어(28)와 전자 구동부(29)는 아직 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도면 중 D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아마추어(28)를 향하여, 제2 조체(44)가 역방향(도면 중 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보디(33)에 설치된 다른 한쪽의 브레이크 슈(27b)가 브레이크 디스크(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브레이크 디스크(26)에 대한 다른 한쪽의 제동력이 해제된다.
또한, 이들 동작은 빠른 속도로 실시되기 때문에, 핀(34)이 스토퍼 볼트(35)에 충돌하였을 때의 반동에 의해, 핀(34)과 스토퍼 볼트(35)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핀(34)과 스토퍼 볼트(35)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 상태에서 아마추어(28)에 전자 구동부(29)가 밀착되면, 제1 조체(43) 및 제2 조체(44)가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 경우, 제동력 해제 후에도 브레이크 디스크(26)와 브레이크 슈(27a)가 접하는 사태로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스프링 등을 포함한 플로팅 장치(42)에 의해, 제1 조체(43) 및 제2 조체(44)를 도 5에 있어서의 D 방향(우측 방향)으로 가까이 잡아당김으로써, 제동력 해제 중에는 핀(34)과 스토퍼 볼트(35)를 상시 밀착시킨다. 스토퍼 볼트(35)의 돌출부는, 브레이크 디스크(26)와 브레이크 슈(27a) 사이의 간극 X1과, 브레이크 디스크(26)와 브레이크 슈(27b) 사이의 간극 X2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전자 구동부(29)의 전자 코일에의 통전을 차단하면, 전자 구동부(29)가 소자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레이크 슈(27a, 27b)가 브레이크 디스크(26)의 외주 측면을 압박하여 도르래(14)에 제동을 가하게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는 2개의 축 부재(5)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된다. 축 부재(5)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을 통해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축 부재(5)에는, 브레이크 디스크(26)와 브레이크 슈(27a, 27b)의 간극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볼트(35)나 플로팅 장치(42)가 설치되는 플랜지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와 같은 대규모의 지지 브래킷이 불필요하게 되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하우징(1)에 설치하는 설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권상기(10) 전체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권상기(10)의 전체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와의 비교에서 말하면, 종래의 권상기(100)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15)를 하우징(1)에 설치하기 위해,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지지축(137)으로 지지하고, 그 지지축(137)의 양단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튼튼한 지지 브래킷(47)을 통해 하우징(1)에 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권상기(10)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15)가 2개의 축 부재(5)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고, 축 부재(5)는 브레이크 브래킷(50)을 통해 하우징(1)의 설치부(1a)에 고정됨으로써, 권상기(10)의 소형ㆍ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37)과 플랜지부(38)가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전자 브레이크 장치(15)의 설치 위치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부재가 필요없어,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로서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슈(27a, 27b)의 교환 시나 정기 점검 시에 권상기(10)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떼어내는 경우의 보수 요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는, 기계실레스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기계실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중 어느 것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5)의 2개와 1개의 브레이크 브래킷(50)을 사용하여 전자 브레이크 장치(15)를 하우징(1)에 고정하였지만, 축 부재(5)나 브레이크 브래킷(50)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하우징
1a : 설치부
5 : 축 부재
10 : 권상기
14 : 도르래
15 : 전자 브레이크 장치
26 : 브레이크 디스크
27a, 27b : 브레이크 슈
28 : 아마추어
33 : 브레이크 보디(보디)
35 : 스토퍼 볼트(스토퍼)
37 : 지지축
37a : 나사 구멍
38 : 플랜지부
39 : 고정 부재
42 : 플로팅 장치
45 : 육각부
46 : 고정 볼트(볼트)
50 : 브레이크 브래킷
51 : 고정 부재 고정 볼트
53 : 로크 너트
54 : 스토퍼 볼트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프가 귄취되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로서,
    상기 전자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중 한쪽을 보유 지지하는 아마추어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중 다른 쪽을 보유 지지하는 보디와,
    상기 아마추어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보디를 상기 특정 방향으로 부세하는 플로팅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적어도 2개의 축 부재를 통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고, 상기 축 부재는 브레이크 브래킷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삽입되어, 당해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일단측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및 상기 플로팅 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브래킷에는, 상기 지지축의 타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을 상기 설치부에 삽입하는 길이는, 상기 지지축의 축 직경보다도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을 상기 설치부에 삽입하는 길이는, 상기 지지축의 전체 길이의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지지축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위치에서 동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육각형을 이루는 육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타단측의 단부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가장 안쪽 단부에는, 고정 부재가 볼트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브래킷과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의 상기 나사 구멍에 볼트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지지축은 상기 브레이크 브래킷과 일체화된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브래킷은 볼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축의 축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구멍에 볼트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메인터넌스 시에 브레이크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보디가 접촉함으로써, 브레이크의 개방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브래킷은, 상기 도르래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두께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8. 카와, 상기 카에 연결된 로프와,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도르래를 갖고, 상기 도르래를 회전시켜 상기 로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권상기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87002251A 2015-08-28 2015-08-28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KR101954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4407 WO2017037777A1 (ja) 2015-08-28 2015-08-28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120A KR20180021120A (ko) 2018-02-28
KR101954585B1 true KR101954585B1 (ko) 2019-03-05

Family

ID=5818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251A KR101954585B1 (ko) 2015-08-28 2015-08-28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05053B2 (ko)
KR (1) KR101954585B1 (ko)
CN (1) CN107848761B (ko)
WO (1) WO2017037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1883B (zh) * 2017-12-19 2022-05-27 蒂森克虏伯电梯创新与运营有限公司 电梯驱动单元
JP6884262B2 (ja) * 2018-02-20 2021-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巻上機組立治具及び巻上機組立治具を用いた巻上機組立方法
EP3640195A1 (en) * 2018-10-19 2020-04-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US11242222B2 (en) 2018-10-26 2022-02-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ing device mechanism
JP6950810B1 (ja) * 2020-12-16 2021-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
CN114803923B (zh) * 2022-03-31 2022-11-29 日立电梯电机(广州)有限公司 一种碟式制动器及曳引机
CN117657996A (zh) * 2022-08-29 2024-03-08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制动装置和电梯系统
JP7376855B1 (ja) * 2022-11-02 2023-11-0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巻上装置及びエレベー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593A (ja) 1999-02-10 2000-08-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巻上機用制動装置
JP2015155348A (ja)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及びその巻上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424A (ja) * 1993-04-02 1994-10-21 Honda Motor Co Ltd 反力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4299824A (ja) * 2003-03-31 2004-10-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2016034872A (ja)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16037336A (ja) * 2014-08-06 2016-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用巻上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593A (ja) 1999-02-10 2000-08-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巻上機用制動装置
JP2015155348A (ja)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及びその巻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7777A1 (ja) 2017-03-09
CN107848761B (zh) 2020-05-19
CN107848761A (zh) 2018-03-27
KR20180021120A (ko) 2018-02-28
JPWO2017037777A1 (ja) 2018-02-15
JP6405053B2 (ja)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585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KR100740390B1 (ko) 권상기 및 권상기 본체의 제조 방법
US9663325B2 (en) Braking apparatus and elevator hoisting machine that uses same
JP5985048B2 (ja) ブレーキ装置、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ブレーキ装置の緩衝反力調整方法
JP2016037336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用巻上機
JP2015157668A (ja) 巻上機組立体
JP6280055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据付方法
JP2010500264A (ja) 一体的な軸受およびブレーキ面を備えるエレベータ巻上機ブレーキ
JP2016034872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4812544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601687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184774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6169247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6606029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110831883B (zh) 电梯用曳引机
JP4855384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4475017B2 (ja) エレベータの巻き上げ機
JP4312553B2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522181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8074590A (ja) エレベータ用の巻上機
JP2017067148A (ja) 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3112502A (ja) エレベーター用薄型巻上機
JP2006193248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03246570A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409121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