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902B1 -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902B1
KR101618902B1 KR1020117002102A KR20117002102A KR101618902B1 KR 101618902 B1 KR101618902 B1 KR 101618902B1 KR 1020117002102 A KR1020117002102 A KR 1020117002102A KR 20117002102 A KR20117002102 A KR 20117002102A KR 101618902 B1 KR101618902 B1 KR 10161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polarizer
film
acrylic res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680A (ko
Inventor
다츠야 야마사키
다케시 사이토우
히로유키 다카오
요우이치로우 스기노
유우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96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nitrogen containing condensation polymer [e.g., polyurethane, polyisocyanate,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억제하여, 권취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용이층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는 콜로이달 실리카이다.

Description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ER-PROTEC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EACH COMPRISING POLARIZER-PROTECTING FILM}
본 발명은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화상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화상 형성 방식에 기인하여,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이 첩합 (貼合) 되어 형성되어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형성재로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편광자와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광자와 아크릴계 수지 필름 사이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접착 용이층을 형성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공정에 있어서, 블로킹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789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용이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미립자가 콜로이달 실리카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10 ∼ 200 ㎚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10 중량부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상기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는 측에,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함으로써,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권취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함으로써, 접착 용이층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형성하여,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 및/또는 접착 용이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편광자 보호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공정에 있어서, 합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주름이나 주름 흔적과 같은 불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권취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b) 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판의 전체 구성
도 1(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10) 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11) 과 접착 용이층 (12) 을 갖는다. 도 1(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편광판 (100) 은, 편광자 (14) 와 접착제층 (13) 과 편광자 보호 필름 (10) 을 이 순서로 갖는다. 편광자 (14) 는, 편광자 보호 필름 (10) 의 접착 용이층 (12)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용적으로는 편광판 (100) 은 편광자 (14) 의 편광자 보호 필름 (10) 과 반대측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는다.
A-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성형 재료를,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 얻어진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로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이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Tg (유리 전이 온도) 가 115 ℃ 이상인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C1 - 6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의 아크리페트 VH 나 아크리페트 VRL20A,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30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59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74118호 등에 기재된,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90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175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3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3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4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75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09182호 등에 기재된,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중의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중의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고내열성, 고투명성을 충분히 반영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성형할 때에 이용하는 성형 재료 중의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성형할 때에 이용하는 성형 재료 중의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고내열성, 고투명성을 충분히 반영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이외에,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염소화비닐 수지 등의 할로겐화비닐계 중합체 ;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 폴리스티렌,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등의 폴리아미드 ; 폴리아세탈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 폴리술폰 ; 폴리에테르술폰 ; 폴리옥시벤질렌 ; 폴리아미드이미드 ; 폴리부타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를 배합한 ABS 수지나 ASA 수지 등의 고무질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 ∼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20 중량%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 페놀계, 인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 내광안정제, 내후안정제, 열안정제 등의 안정제 ;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보강재 ; 페닐살리실레이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의 자외선 흡수제 ; 근적외선 흡수제 ; 트리스(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알릴포스페이트, 산화안티몬 등의 난연제 ; 아니온계, 카티온계, 노니온계의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 방지제 ;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 유기 필러나 무기 필러 ; 수지 개질제 ; 유기 충전제나 무기 충전제 ; 가소제 ; 활제 ; 대전 방지제 ; 난연제 ; 위상차 저감제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첨가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0.5 중량%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나 첨가제 등을 임의의 적절한 혼합 방법에 의해 충분히 혼합하여, 미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고 나서, 이것을 필름 성형할 수 있다. 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나 첨가제 등을 각각 별도의 용액으로 하고 나서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한 후, 필름 성형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옴니 믹서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로 상기의 필름 원료를 프레블렌드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한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이용되는 혼합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 임의의 적절한 필름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 성형법 중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시클로헥산, 데칼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알코올류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 디메틸포름아미드 ;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 3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300 ℃ 이다.
상기 T 다이법으로 필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단축 압출기나 2 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 다이를 장착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을 권취하여, 롤 형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권취 롤의 온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압출 방향으로 연신을 가함으로써 1 축 연신할 수도 있다. 또한, 압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동시 2 축 연신, 축차 2 축 연신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미연신 필름 또는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1 축 연신 필름 또는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축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동시 2 축 연신 필름 또는 축차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축 연신한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필름 성능이 향상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연신해도 위상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필름 원료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 30 ℃) ∼ (유리 전이 온도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 20 ℃) ∼ (유리 전이 온도 + 80 ℃) 의 범위 내이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 30 ℃) 미만이면, 충분한 연신 배율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 100 ℃) 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유동 (플로우) 이 일어나, 안정적인 연신을 실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면적비로 정의한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 ∼ 2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0 배이다. 연신 배율이 1.1 배 미만이면, 연신에 수반되는 인성 (靭性) 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연신 배율이 25 배를 초과하면, 연신 배율을 높인 만큼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는, 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0 ∼ 20,000 %/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000 %/min 이다. 연신 속도가 10 %/min 미만이면, 충분한 연신 배율을 얻기 위하여 시간이 걸려,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가 20,000 %/min 을 초과하면, 연신 필름의 파단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그 광학적 등방성이나 기계적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연신 처리 후에 열처리 (어닐링)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열처리의 조건은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두께가 5 ㎛ 미만이면,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면 권축이 커질 우려가 있다. 두께가 200 ㎛ 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투습성이 작아져,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 그 용제인 물의 건조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표면의 습윤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40 m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mN/m 이상이다. 표면의 습윤 장력이 적어도 40 mN/m 이상이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표면의 습윤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분사, 자외선 조사, 화염 처리, 화학 약품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이다.
A-2. 접착 용이층
상기 접착 용이층은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 용이층을 이와 같은 접착 용이제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권취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접착 용이층이 얻어질 수 있다. 접착 용이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이다. 수계는, 용제계에 비하여 환경면에서 우수하고, 작업성도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대표적으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올로서는,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 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펜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모노에스테르 ;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폴리올은 상기 단량체 성분에 추가하여,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키고 있어도 된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공중합 가능한 한 임의의 적절한 단량체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 말레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그리고 그 무수물 및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류 ;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1
-올레핀류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2
,β-불포화 지방족 단량체 ; 스티렌,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3
-메틸스티렌 등의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4
,β-불포화 방향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다염기산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염기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르토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페닐디카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 옥살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 옥타데칸디카르복실산, 타르타르산, 알킬숙신산, 리놀렌산,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 헥사하이드로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 알킬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1-메틸-1,3-부틸렌글리콜, 2-메틸-1,3-부틸렌글리콜, 1-메틸-1,4-펜틸렌글리콜, 2-메틸-1,4-펜틸렌글리콜, 1,2-디메틸-네오펜틸글리콜, 2,3-디메틸-네오펜틸글리콜, 1-메틸-1,5-펜틸렌글리콜, 2-메틸-1,5-펜틸렌글리콜, 3-메틸-1,5-펜틸렌글리콜, 1,2-디메틸부틸렌글리콜, 1,3-디메틸부틸렌글리콜, 2,3-디메틸부틸렌글리콜, 1,4-디메틸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수첨 비스페놀 A, 수첨 비스페놀 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다가 알코올에 알킬렌옥사이드를 개환 중합하여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벤질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디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5
,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6
,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7
,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8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갖는다. 카르복실기를 가짐으로써 편광자와의 밀착성 (특히, 고온·고습하에서의) 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추가하여,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디하이드록시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디메틸올알칸산 (예를 들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알킬올알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의 성분에 추가로, 다른 폴리올, 다른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킬 수 있다. 다른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1,2,3,6-헥산테트라올, 1,4-소르비탄, 1,2,4-부탄트리올, 1,2,5-펜탄트리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수산기 수가 3 개 이상인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다른 사슬 연장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4-부탄디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 이소포론디아민,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 ; 자일릴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성분을 한 번에 반응시키는 원샷법,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는 다단법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다단법이다. 카르복실기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시에 임의의 적절한 우레탄 반응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중화제를 이용한다. 중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수중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우레탄 수지의 제조시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불활성이고, 물과 상용하는 유기 용제를 이용한다. 당해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 6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400000 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45 이다. 산가가 이와 같은 범위 내이기 때문에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미립자는 임의의 적절한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 분산성의 미립자이다. 구체적으로는,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산화물, 탄산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이다.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여, 헤이즈를 발생시키지 않고, 착색도 없으므로,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작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카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므로, 접착 용이층 형성시의 작업성도 보다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카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다.
상기 미립자의 입자 직경 (평균 1 차 입자 직경) 은 바람직하게는 1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60 ㎚ 이다. 이와 같은 입자 직경의 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접착 용이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 및/또는 접착 용이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평균 1 차 입자 직경이 가시광 파장보다 작아, 또한 작으면 작을수록, 입자에 의한 광 산란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는 수 분산체로서 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립자로서 실리카를 채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달 실리카로서 배합된다. 콜로이달 실리카로서는 시판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소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쿼트론 PL 시리즈, 닛산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스노우텍스 시리즈, 닛폰 아에로질 (주) 의 AERODISP 시리즈 및 AEROSIL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가교제를 함유한다. 당해 가교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 가교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아미노기, 옥사졸린기, 에폭시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제는 옥사졸린기를 갖는다. 이들 중에서도, 옥사졸린기를 갖는 가교제는, 상기 우레탄 수지와 혼합하였을 때의 실온에서의 포트 라이프가 길고, 가열함으로써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 폴리머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머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스티렌·아크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폴리머이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계의 접착 용이제 조성물에 안정적으로 상용될 수 있어, 상기 우레탄 수지와 양호하게 가교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블로킹 방지제, 분산 안정제, 요변제 (搖變劑),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촉매, 필러, 활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착 용이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이다. 접착 용이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 이다. 접착 용이층 형성시의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착 용이제 조성물 중의 가교제 (고형분) 의 함유량은 우레탄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부이다. 1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30 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접착 용이층에 위상차가 발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 용이제 조성물 중의 미립자 (고형분) 의 함유량은 우레탄 수지 (고형분 : 가교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교제도 포함한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3 중량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3 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접착 용이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 및/또는 접착 용이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용이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B 항에서 후술한다.
상기 접착 용이층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 1.5 ㎛ 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어, 접착 용이층에 위상차가 발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마찰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1 ∼ 0.6,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0.4 이다.
A-3. 편광자
상기 편광자로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가, 편광 이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일반적으로 1 ∼ 80 ㎛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A-4.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이다. 편광자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의 비누화물, 당해 비누화물의 유도체 ;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하거나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Figure 112011006665627-pct00009
-올레핀 ; (메타)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접착성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 50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4000 이다. 평균 비누화도는 접착성면에서, 바람직하게는 85 ∼ 100 몰%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이다.
상기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디케텐을 임의의 방법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예로서,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분산시킨 분산체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용해시킨 용액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대표적으로는 0.1 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40 몰%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7 몰% 이다. 0.1 몰% 미만에서는 내수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40 몰% 를 초과하면 내수성 향상 효과가 작다. 또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NMR 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 개 갖는 알킬렌디아민류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케톡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류 ;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 메틸올우레아,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메틸올우레아, 알킬화메틸올화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 가 금속, 또는 3 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나 디알데히드류가 바람직하다.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는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디알데히드류로서는 글리옥살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메틸올멜라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6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부이다. 접착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교제의 배합량이 많은 경우, 가교제의 반응이 단시간에 진행되어, 접착제가 겔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 시간 (포트 라이프) 이 극단적으로 짧아져, 공업적인 사용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는, 금속 화합물 미립자가 분산매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일 수 있고, 미립자의 동종 전하의 상호 반발에서 기인하여 정전적 안정화되고, 영속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함유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이 많은 경우여도 안정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편광 특성 등의 광학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0 ㎚ 이다. 미립자를 접착제층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접착성을 확보하고, 또한 크닉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크닉 결함」이란, 광 누출을 의미한다.
상기 금속 화합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화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등의 금속 산화물 ; 규산알루미늄,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바륨, 인산칼슘 등의 금속염 ; 셀라이트, 탤크, 클레이, 카올린 등의 광물을 들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정전하를 갖는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당해 금속 화합물로서는 알루미나, 티타니아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이다.
상기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는, 대표적으로는 분산매에 분산되어 콜로이드 용액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콜로이드 용액 중의 고형분 농도는, 대표적으로는 1 ∼ 50 중량%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 이다. 콜로이드 용액은 안정제로서 질산, 염산, 아세트산 등의 산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 (고형분)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중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7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150 중량부이다. 접착성을 확보하면서, 크닉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각종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수지 용액) 이다. 수지 농도는, 도공성이나 방치 안정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이다. 수지 용액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 50 mPa·s 이다. 상기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경우, 1 ∼ 20 mPa·s 의 저점도의 범위에 있어서도 크닉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수지 용액의 pH 는, 바람직하게는 2 ∼ 6,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 4.5 이다. 통상, 상기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의 표면 전하는 pH 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당해 표면 전하는 바람직하게는 정전하이다. 정전하를 가짐으로써 크닉 결함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표면 전하는, 예를 들어 제타 전위 측정기로 제타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용액의 조제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 및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경우,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가교제를 미리 혼합하여 적절한 농도로 조정한 것에,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배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혼합한 후에, 가교제를 사용 시기 등을 고려하면서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 용액의 농도는 수지 용액을 조제한 후에 조정해도 된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제층의 두께는,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150 ㎚ 이다.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A-5. 기타
상기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보호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의 대표예로서는,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A-1 항에 기재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편광자와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당해 접착제로서 상기 A-4 항에 기재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B.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접착 용이층은 미리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편측에 형성된다. 접착 용이층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편측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접착 용이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 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온도로서는, 대표적으로는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이다. 건조 온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내색성 (특히, 고온 고습하에서의) 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측 (예를 들어,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는 측) 에, 표면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기 전에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표면 처리의 구체예는, 상기 A-1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표면 처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이다.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자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접착성 및 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조건에서 실시된다.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전자 조사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50 W/㎡/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100 W/㎡/min 이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연신 필름인 경우, 당해 연신 처리는 접착 용이층의 형성 전에 실시해도 되고, 접착 용이층의 형성 후에 실시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도공한 후, 연신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필름의 연신 처리와 접착 용이제 조성물의 건조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에서, 편광자 보호 필름을, 그 접착 용이층이 편광자측으로 되도록 적층한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또는 편광자 보호 필름 중 어느 일방의 편측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을 첩합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법, 분무법, 침지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이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경우, 건조 후의 두께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의 평균 입자 직경보다 커지도록 도포한다. 건조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5 ∼ 150 ℃, 바람직하게는 30 ∼ 120 ℃ 이다. 건조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20 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초 이상이다.
C.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갖는다.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 Field Emission Display)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당해 액정 셀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판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학 특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광학 특성>
면내 위상차 (Δnd)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오우지 계측기사 제조의 KOBRA-WPR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시광 투과율 (전광선 투과율) 은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의 NDH-1001DP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편광자의 제작)
두께 75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28 ℃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다음으로,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중량비 1 : 10) 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하여 3.3 배까지 연신하면서, 소정의 단체 (單體) 투과율이 되도록 염색하였다. 그 후, 3 중량% 의 붕산 및 2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 10 초간 침지하여, 60 ℃ 의 4 중량% 의 붕산 및 3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연신 배율이 합계 6.0 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그 후, 얻어진 연신 필름을, 5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10 초간 침지하고, 40 ℃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시켜, 두께 30 ㎛ 의 편광자를 얻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하기 일반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R2 및 R3 은 메틸기인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공중합 모노머 중량비 = 메타크릴산메틸/2-(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 8/2, 락톤 고리화율 약 100 %,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 19.4 %, 중량 평균 분자량 133000, 멜트 플로우 레이트 6.5 g/10 분 (240 ℃, 10 kgf), Tg 131 ℃} 90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AS) 수지 {토요 AS AS20, 토요 스티렌사 제조} 10 중량부의 혼합물 ; Tg 127 ℃] 의 펠릿을 2 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약 280 ℃ 에서 시트 형상으로 용융 압출하여, 두께 110 ㎛ 의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미연신 시트를, 160 ℃ 의 온도 조건하에서, 세로 2.0 배, 가로 2.4 배로 연신하여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두께 : 40 ㎛, 면내 위상차 (Δnd) : 0.8 ㎚, 두께 방향 위상차 (Rth) : 1.5 ㎚) 을 얻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6665627-pct00010
(코로나 방전 처리)
상기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편측에, 코로나 방전 처리 (코로나 방전 전자 조사량 : 77 W/㎡/min) 를 실시하였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작)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다이이치 공업 제약 제조, 상품명 : 슈퍼 플렉스 210, 고형분 : 33 %) 16.8 g, 가교제 (옥사졸린 함유 폴리머, 닛폰 촉매 제조, 상품명 : 에포크로스 WS-700, 고형분 : 25 %) 4.2 g, 1 중량% 의 암모니아수 2.0 g, 콜로이달 실리카 (후소 화학 공업 제조, 쿼트론 PL-3, 고형분 : 20 중량%) 0.42 g 및 순수 76.6 g 을 혼합하여,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350 ㎚ 가 되도록, 바 코터 (#6) 에 의해 도포하였다. 그 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열풍 건조기 (140 ℃) 에 투입하고,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약 5 분 건조시켜, 접착 용이층 (0.3 ∼ 0.5 ㎛) 을 형성하였다.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
두께 4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10 %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0 ℃) 에 30 초간 침지하여 비누화한 후, 60 초간 수세하여,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을 얻었다.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평균 중합도 : 1200, 비누화 도 : 98.5 몰%,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 : 5 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올 멜라민 20 중량부를 30 ℃ 의 온도 조건하에서 순수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0.5 % 의 수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액을 접착제 조성물로서 30 ℃ 의 온도 조건하에서 이용하였다.
(편광판의 제작)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로부터 30 분 후에,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 용이층 측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 ㎚ 가 되도록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의 편측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그 후, 접착제 조성물을 개재하여, 편광자의 양측 각각에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을, 소형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하고, 열풍 건조기 (70 ℃) 에 투입하여 5 분간 건조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접착 용이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콜로이달 실리카의 배합량을 0.32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접착 용이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콜로이달 실리카의 배합량을 0.21 g 으로 하고, 순수의 배합량을 76.7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접착 용이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의 배합량을 15.8 g 으로 하고, 가교제의 배합량을 3.9 g 으로 하고, 콜로이달 실리카의 배합량을 2.5 g 으로 하고, 순수의 배합량을 75.8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접착 용이층의 형성시에, 이하의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접착 용이제 조성물의 조제)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다이이치 공업 제약 제조, 상품명 : 슈퍼 플렉스 210, 고형분 : 33 %) 17.0 g, 가교제 (옥사졸린 함유 폴리머, 닛폰 촉매 제조, 상품명 : 에포크로스 WS-700, 고형분 : 25 %) 4.2 g 및 순수 78.6 g 을 혼합하여,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판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한다.
1. 편광자 보호 필름의 권취성
상기에서 얻은 편광자 보호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할 때의 슬라이딩성을 평가하고, 그리고 권취한 후에 일정 시간 방치하고, 다시 전개 (展開) 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상태를 육안 관찰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양호한 슬라이딩성으로 권취할 수 있고, 또한 권취 후 24 시간 경과해도 주름, 접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 : 권취 직후에는 주름, 접힘은 관찰되지 않는데, 24 시간 이내에 주름, 접힘이 발생한다
× : 권취할 때에 슬라이딩성이 부족하고, 주름, 접힘이 발생한다
2.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정마찰 계수 (접착 용이층과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사이)
측정 장치 : 트라이보기어 TYPE14 (신토 과학 (주) 제조)
유리판 상에 고정시킨 필름과, 10 ㎜φ 의 스테인리스제 원반에 고정시킨 필름을 밀착시키고, 원반에 고정시킨 필름의 위로부터 200 g 의 하중을 가하여 6.0 ㎜/분의 속도로 수평 방향 (하중 방향과 수직인 방향) 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움직임의 최대 부하로부터 정마찰 계수를 구하였다.
3. 편광자 보호 필름의 밀착성 (접착 용이층과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밀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300 ㎚ 가 되도록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오븐에서 건조시켜, 보호 필름 표면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시험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 샘플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밀착성에 대하여, JIS K 5400 3.5 에 준거하여 크로스컷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샘플의 접착 용이층면에, 예리한 절삭날로 가로 세로 1 ㎜ 의 바둑판 눈금 형상의 노치를 형성한 후, 셀로판 테이프 (24 ㎜ 폭, JIS Z 1522) 를 나무 주걱으로 밀착시켰다. 그 후, 셀로판 테이프를 떼어내어, 노치 100 메시 중, 점착 테이프에 부착되지 않은 메시의 수를 세었다. 즉, 접착 용이층이 박리되지 않는 경우를 100/100 으로 나타내고, 모두 박리되는 경우를 0/100 으로 나타낸다.
4. 투과율 및 헤이즈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투과율 및 헤이즈를,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NDH-1001DP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편광판의 접착성 (편광자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접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5 ㎝ × 5 ㎝ 치수의 샘플편을 잘라내고, 편광자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 가공을 실시하여, 유리 판에 첩부 (貼付) 하였다. 그 후, 편광판 중 1 개의 모서리부를 집고, 대각선 방향으로 1 ㎜/sec 의 속도로 편광판을 유리판으로부터 박리시켜, 박리 위치를 관찰하였다. 또한, 편광판의 모서리부가 유리판에 대하여 90 °가 되도록 박리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점착제와 유리판의 계면에서 박리되었다
× :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에서 박리되었다
6. 내수성 (밀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25 ㎜ × 50 ㎜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샘플편을 잘라내어, 60 ℃ 의 온수에 5 시간 침지하였다. 그 후,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 : 일부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 : 전체적으로 박리가 확인되었다
7. 내습성 1 (밀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25 ㎜ × 50 ㎜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샘플편을 잘라내어, 온도 60 ℃, 습도 90 %RH 의 항온 항습기에 넣고, 500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 : 일부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 : 전체적으로 박리가 확인되었다
8. 내습성 2 (내색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25 ㎜ × 50 ㎜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샘플편을 잘라내어, 온도 60 ℃, 습도 90 %RH 의 항온 항습기에 넣고, 500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변색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변색은 확인되지 않았다
△ : 약간 변색이 확인되었다
× : 전체적으로 변색이 확인되었다
9. 내열성 1 (밀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25 ㎜ × 50 ㎜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샘플편을 잘라내어, 60 ℃ 의 항온기에 넣고, 500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 : 일부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 : 전체적으로 박리가 확인되었다
10. 내열성 2 (내색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25 ㎜ × 50 ㎜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샘플편을 잘라내어, 60 ℃ 의 항온기에 넣고, 500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변색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변색은 확인되지 않았다
△ : 약간 변색이 확인되었다
× : 전체적으로 변색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권취성 ×
정마찰 계수 0.2 0.4 0.5 0.2 0.8
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투과율 92.6 92.6 92.7 92.3 92.6
헤이즈 0.3 0.3 0.3 0.5 0.3
접착성
내수성
내습성 1 (밀착성)
내습성 2 (내색성)
내열성 1 (밀착성)
내열성 2 (내색성)
표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 및 4 는, 권취시에 블로킹은 발생하지 않아, 권취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 은 실시예 1, 2 및 4 와 비교하여, 약간 권취성이 열등했지만,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한편, 비교예 1 은 블로킹이 발생하여, 권취성이 열등했다.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은 접착성, 내수성, 내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였다. 투과율 및 헤이즈에 대해서도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나 자발광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 편광자 보호 필름
1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12 접착 용이층
13 접착제층
14 편광자
100 편광판

Claims (9)

  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용이층을 갖고,
    상기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고,
    상기 미립자가 콜로이달 실리카이며,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10 중량부인,
    편광자 보호 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10 ∼ 200 ㎚ 인, 편광자 보호 필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상기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는 측에,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
  8. 편광자와, 제 1 항, 제 4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
  9.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17002102A 2008-07-29 2009-06-01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618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4287 2008-07-29
JPJP-P-2008-194287 2008-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680A KR20110038680A (ko) 2011-04-14
KR101618902B1 true KR101618902B1 (ko) 2016-05-09

Family

ID=4161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102A KR101618902B1 (ko) 2008-07-29 2009-06-01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54577B2 (ko)
JP (1) JP5354733B2 (ko)
KR (1) KR101618902B1 (ko)
CN (1) CN102112899A (ko)
WO (1) WO2010013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171A (ja) * 2010-03-31 2011-10-27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フィルム
CN102207572B (zh) * 2010-03-31 2017-03-01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膜及其制造方法、光学部件和图像显示装置
JP5827017B2 (ja) * 2010-03-31 2015-12-02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53362B2 (ja) * 2010-09-20 2014-07-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WO2012043295A1 (ja) * 2010-09-29 2012-04-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97247B2 (ja) * 2010-09-30 2018-03-20 恵和株式会社 保護シート、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6039168B2 (ja) * 2010-09-30 2016-12-07 恵和株式会社 保護シート、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6042059B2 (ja) * 2010-09-30 2016-12-14 恵和株式会社 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771418B2 (ja) * 2010-09-30 2015-08-26 株式会社日本触媒 易接着層を有する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12157280A1 (ja) * 2011-05-18 2014-07-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342632B2 (ja) * 2011-06-30 2013-11-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2631B2 (ja) * 2011-06-30 2013-11-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727726B1 (en) * 2011-06-30 2019-01-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ating film
US9523792B2 (en) 2011-10-14 2016-12-20 Lg Chem, Ltd. Polarizer having protection films in two sides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I607073B (zh) * 2011-10-14 2017-12-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用於偏光板之黏著劑及包含其之偏光板
US8968862B2 (en) 2011-10-14 2015-03-03 Lg Chem, Ltd. Polarizer having protection films in two sides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948870B2 (ja) * 2011-12-28 2016-07-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3890113B (zh) * 2012-05-30 2017-03-29 Lg化学株式会社 水性组合物、包含其的光学膜、使用该光学膜的偏光板和使用该偏光板的液晶显示器件
KR101579646B1 (ko) 2012-05-31 2015-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1536384B1 (ko) * 2012-06-01 2015-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30135782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20150191621A1 (en) * 2012-08-10 2015-07-09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JP6178553B2 (ja) * 2012-08-29 2017-08-09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KR101462579B1 (ko) * 2013-02-06 2014-11-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8018096A (ja) * 2013-03-08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EP2977797B1 (en) * 2013-03-22 2020-10-28 LG Chem, Ltd. Protection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same
KR101389346B1 (ko) * 2013-04-30 2014-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408712B1 (ko) * 2013-05-14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JP6103306B2 (ja) * 2013-09-17 2017-03-29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101549791B1 (ko) * 2013-09-30 2015-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50037541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용제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5046844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294043B2 (ja) * 2013-10-10 2018-03-1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
TWI629170B (zh) * 2013-12-28 2018-07-11 大倉工業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3152055A4 (en) 2014-06-06 2018-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urethane laminating adhesive composition
JP2016139006A (ja) * 2015-01-27 2016-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表示素子の前面板、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の基板、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2016136259A (ja) * 2016-02-03 2016-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7138449A1 (ja) * 2016-02-08 2017-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7083199B (zh) * 2016-02-15 2021-10-29 株式会社日本触媒 易粘接层形成用组合物
JP6859092B2 (ja) * 2016-02-15 2021-04-14 株式会社日本触媒 易接着層形成用組成物
KR101934486B1 (ko) 2016-09-20 2019-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립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80034188A (ko) 2016-09-27 2018-04-04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제조용 도프용액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WO2018062784A1 (en) * 2016-09-27 2018-04-05 Lg Mma Corp. Dope solution for preparing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WO2018123662A1 (ja) * 2016-12-28 2018-07-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フィルム
WO2019155791A1 (ja) * 2018-02-07 2019-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80769B2 (ja) * 2018-02-0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8276928B (zh) * 2018-02-09 2021-09-17 佛山凯仁精密材料有限公司 一种无残留的硅胶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0497672B (zh) * 2018-07-25 2020-08-25 日东电工株式会社 易粘接薄膜及其制造方法、偏光板以及图像显示装置
JP6568666B1 (ja) * 2019-02-21 2019-08-28 日東電工株式会社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CN113635632B (zh) * 2018-07-25 2023-06-06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偏光板、以及图像显示装置
TWI763976B (zh) * 2018-07-25 2022-05-1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易接著薄膜及其製造方法、偏光板、以及影像顯示裝置
WO2020022164A1 (ja) * 2018-07-25 2020-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7274976B2 (ja) * 2019-08-09 2023-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WO2022255391A1 (ko) 2021-05-31 2022-12-08
CN113917577B (zh) * 2021-12-13 2022-05-31 恒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高耐水耐弯折性光学保护膜、偏光片及液晶显示设备
JP7199584B1 (ja) 2022-03-31 2023-01-0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2197A (ja) * 2004-02-17 2005-09-02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微粒子シリカ分散親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01736A (ja) * 2004-08-03 2006-08-03 Jsr Corp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7893A (ja) * 2005-11-04 2007-05-24 Nitto Denko Corp 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1666B2 (ja) 1995-11-15 2005-11-0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H09325329A (ja) * 1996-06-07 1997-12-16 Konica Corp 液晶表示用部材の作製方法
JP3627097B2 (ja) * 2000-04-20 2005-03-09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300379A (ja) * 2003-04-01 2004-10-2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5030873A1 (ja) 2003-09-26 2005-04-07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ポリウレタン樹脂水性分散体、それを含有してなる水性接着剤、及び水性プライマーコート剤
JP2005255706A (ja) 2004-03-09 2005-09-22 Lintec Corp 粘接着剤組成物、光ディスク製造用シートおよび光ディスク
KR20060072072A (ko) * 2004-12-22 2006-06-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TWI383003B (zh) 2005-02-02 2013-01-21 Mitsubishi Gas Chemical Co 聚脂薄膜、及其製法、以及其用途
CN100549739C (zh) 2005-03-31 2009-10-14 株式会社日本触媒 偏振镜保护膜、偏振片以及图像显示装置
PL1865347T3 (pl) * 2005-03-31 2012-10-31 Nippon Catalytic Chem Ind Polaryzacyjna folia ochronna, płytka polaryzacyjna, oraz wyświetlacz obrazu
JP5004506B2 (ja) 2005-06-24 2012-08-22 株式会社Adeka 光学フィルター
US8194210B2 (en) * 2006-10-26 2012-06-05 Fujifilm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198131B2 (ja) * 2007-05-14 2013-05-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2197A (ja) * 2004-02-17 2005-09-02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微粒子シリカ分散親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01736A (ja) * 2004-08-03 2006-08-03 Jsr Corp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7893A (ja) * 2005-11-04 2007-05-24 Nitto Denko Corp 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680A (ko) 2011-04-14
US8854577B2 (en) 2014-10-07
WO2010013539A1 (ja) 2010-02-04
JP5354733B2 (ja) 2013-11-27
JP2010055062A (ja) 2010-03-11
US20110157525A1 (en) 2011-06-30
CN102112899A (zh)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902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399082B2 (ja) 偏光板および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470336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366765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51312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771716B1 (ko)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US8861077B2 (en) Polarizing plate having ultraviolet shielding layer containing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06284881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3242510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4895290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158987A (ja) 易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備える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4859038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80020029A (ko) 접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09025762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24271B2 (ja) 偏光子保護用アクリル系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591166B2 (ja) 光学フィルム、その利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80769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068105B2 (ja) 非晶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非晶性樹脂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159784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9155791A1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71274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9066884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2230397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40006695A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