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695A -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695A
KR20240006695A KR1020237043516A KR20237043516A KR20240006695A KR 20240006695 A KR20240006695 A KR 20240006695A KR 1020237043516 A KR1020237043516 A KR 1020237043516A KR 20237043516 A KR20237043516 A KR 20237043516A KR 20240006695 A KR20240006695 A KR 2024000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asily adhesive
weight
resin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히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뽕쇼꾸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뽕쇼꾸바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뽕쇼꾸바이
Publication of KR2024000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6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이접착층이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민은,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며,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아민의 함유율이 0.0090중량%~1.4100중량%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텔레비전 등의 각종 화상 표시용에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는 외광의 반사 방지를 위해 편광판과 1/4 파장판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와, 당해 편광자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합착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종래 셀룰로스계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었다. 근래에는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환상 폴리올레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은 셀룰로스계 필름에 비해 저(低)투습이며,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이러한 필름과 PVA계 편광자의 접착성은 셀룰로스계 필름에 뒤떨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필름의 표면에 이접착층(易接着層)을 설치하여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을 향상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아크릴계 필름의 표면에,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이접착층을 설치함으로써, 아크릴계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향상뿐만 아니라 블로킹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암모니아, 아민 등의 알칼리 성분이 이접착층에 포함되어 있는 것, 이접착층에 과잉적으로 잔존하는 알칼리 성분은 편광자를 열화시키는데, 알칼리 성분이 바인더 수지(전구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로서도 작용할 수 있는 것, 알칼리 성분이 이접착층 중에 존재하는 무기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필름 기재 상에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 후에 가열함으로써, 알칼리 성분을 휘발 제거하여, 이접착층의 잔존 알칼리 성분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5506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20-16872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면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이나 이접착층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잔존하는 알칼리 성분량의 조정이 비교적 곤란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1]~[9]에 나타내는 발명을 완성시켰다.
[1]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이접착층은,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아민은,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며,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아민의 함유율이 0.0090중량%~1.4100중량%인, 광학 필름.
[2]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1급 아미노기, 상기 2급 아미노기, 및 상기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민이 폴리알킬렌이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5] [4]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이민은 1급 아미노기, 상기 2급 아미노기, 및 상기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고, 또한, 분기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이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광학 부재.
[8]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지 필름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막을 건조시켜, 상기 바인더 수지, 상기 폴리아민, 및 상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층을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폴리아민은,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며,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을 갖고, 이들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이접착층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이, 광학 필름의 제조 도중에 휘발되기 어려운 폴리머이기 때문에, 이접착층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량을 제어하기 쉽다.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지」는 「중합체」보다 넓은 개념이다. 수지는, 예를 들면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 중합체 이외의 재료,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필러 등의 첨가제, 상용화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학 필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은, 수지 필름과,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이접착층을 갖는다.
[수지 필름]
수지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재료로 구성된 필름이다. 이 중에서도,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성형하여 얻어지는 아크릴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 중합체의 함유율은, 통상,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이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다. (메타)아크릴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의 함유율은, 통상,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다. (메타)아크릴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만~50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만~30만이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t-부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벤질, (메타)아크릴산클로로메틸, (메타)아크릴산2-클로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산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의 각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최종적으로 얻어진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 및 열안정성이 향상한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 이외의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 단위는, 예를 들면,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α-히드록시메틸스티렌, α-히드록시에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1-펜텐, 아세트산비닐, 2-히드록시메틸-1-부텐, 메틸비닐케톤,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르바졸의 각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이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이러한 구성 단위를 2종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메타)아크릴 중합체가, N-비닐피롤리돈 단위 혹은 N-비닐카르바졸 단위를 갖는 경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복굴절의 파장 분산성의 제어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예를 들면, 가시광역에 있어서, 광의 파장이 짧아질수록 복굴절이 작아지는(위상차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파장 분산성(이른바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 당해 위상차 필름은, 양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 환구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하거나, 혹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군을 중합한 후에 환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메타)아크릴 중합체가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는 경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 및 당해 환구조의 함유율의 합계가 50중량% 이상이면 된다.
또한, 중합 후의 환화 반응에 의해 주사슬에 환구조를 도입하는 경우,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수산기 및/또는 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군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에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이소프로필,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부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틸, 메탈릴알코올, 알릴알코올이다. 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이다. 이러한 단량체를 2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또한, 환화 반응 시에 당해 단량체 모두가 환구조로 변화할 필요는 없으며, 환화 반응 후의 (메타)아크릴 중합체가 이러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아크릴 수지 필름은 내열성 및 경도가 뛰어나다. 또, 연신된 연신 필름으로 되었을 경우에 큰 위상차를 발현하기 때문에, 위상차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의 기능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이용에 적합해진다.
환구조는, 예를 들면,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 무수 말레산 구조, 글루타르이미드 구조,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 및 락톤환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구조, 메틸말레이미드 구조, 페닐말레이미드 구조, 벤질말레이미드 구조이다. 광학 필름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환구조는, 락톤환 구조, 환상 이미드 구조(예를 들면,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구조, 글루타르이미드 구조), 환상 무수물 구조(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구조 및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광학 필름에 양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환구조는, 락톤환 구조, 글루타르이미드 구조 및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의 복굴절의 파장 분산성이 향상하는 관점에서, 환구조는 락톤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일반식 (1)에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 및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1,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X1은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이다. X1이 산소 원자일 때, R3은 존재하지 않고, X1이 질소 원자일 때,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에서 6의 직쇄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벤질기 또는 페닐기이다.
X1이 산소 원자일 때, 일반식 (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환구조는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이다.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체를 분자 내에서 탈(脫)알코올 환화 축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X1이 질소 원자일 때, 일반식 (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환구조는 글루타르이미드 구조이다.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메틸아민 등의 이미드화제에 의해 이미드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일반식 (2)에, 무수 말레산 구조 및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X2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이다. X2가 산소 원자일 때, R6은 존재하지 않고, X2가 질소 원자일 때, R6은, 수소 원자, 탄소수 1에서 6의 직쇄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벤질기 또는 페닐기이다.
X2가 산소 원자일 때, 일반식 (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환구조는 무수 말레산 구조이다. 무수 말레산 구조는,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공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X2가 질소 원자일 때, 일반식 (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환구조는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이다.
또한, 일반식 (1), (2)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환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각각의 환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중합체가 모두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구성 단위로서 갖기 때문에, 얻어지는 수지는 아크릴 수지이다.
이하의 일반식 (3)에, 락톤환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 R7, R8 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에서 20의 범위의 유기 잔기이다. 당해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일반식 (3)에 있어서의 유기 잔기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탄소수 1에서 20의 범위의 알킬기, 에테닐기, 프로페닐기 등의 탄소수 2에서 20의 범위의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탄소수 6에서 20의 범위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상기 알킬기, 상기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수소 원자의 1개 이상이, 수산기, 카르복실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일반식 (3)에는 6원환의 락톤환 구조가 나타내어지는데, 락톤환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4에서 8원환이어도 된다. 환구조의 안정성이 뛰어난 점에서 5원환 또는 6원환인 것이 바람직하고, 6원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 중합체가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는 경우, 당해 중합체에 있어서의 환구조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9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이다. 환구조의 함유율이 큰 경우(예를 들면 10중량% 이상), 필름의 내열성, 내용제성 및 표면 경도가 특히 뛰어나다. 환구조의 함유율이 작은 경우(예를 들면 70중량% 이하), 아크릴 수지 필름의 연신 용이성 및 제조 시의 핸들링성이 특히 뛰어나다.
주사슬의 환구조가 락톤환 구조 이외(예를 들면,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 무수 말레산 구조, 글루타르이미드 구조 및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인 경우, 환구조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9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0~7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0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이다.
주사슬의 환구조가 락톤환 구조인 경우, 환구조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9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0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0질량%이다.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주사슬에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0-23001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5181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12032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5454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5-14608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체이며,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주사슬에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6-28301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3590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27411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체이며,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주사슬에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0903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1756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2832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2833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3749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3749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3749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3756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7-0091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체이며,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각종 중합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합을 행할 때에 그 모노머 원료, 중합 개시제나 촉매 등의 부원료 및 중합에 이용하는 용매 등은 가능한 한 여과하고 나서 사용하는 것이, 중합체의 이물 저감의 관점, 및 중합 후에 여과하는 것보다도 저점도의 단계에서 여과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과의 방법으로서는, 액체이면 직접, 고체이면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 등에 용해하고 나서 멤브레인 필터나 중공사막 필터 등의 각종 필터에 통하게 하면 되고, 각각 따로 따로 여과해도, 혼합물로 하고 나서 여과해도 된다. 또, 이 때의 여과의 정밀도는,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μm 이하이다.
아크릴 수지는, 원하는 물성이나 용도 등에 따라, (메타)아크릴 중합체와 다른 중합체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열가소성 폴리머여도 되고, 경화성 폴리머여도 되며, 이들을 조합해도 된다. 다른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다른 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 중합체와 조성비나 분자량이 상이하거나, 혹은 공중합 조성이 상이한 다른 (메타)아크릴 중합체, 올레핀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 등), 할로겐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할로겐화비닐계 폴리머), 스티렌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스티렌계 공중합체(예를 들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ABS 수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A 수지) 등) 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계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폴리아세탈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옥시드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디엔 및/또는 올레핀 유래의 단위를 갖는 중합체 블록과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의 단위를 갖는 중합체 블록을 갖는 공중합체[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등], 셀룰로스계 폴리머(셀룰로스 유도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가 (메타)아크릴 중합체에 더하여 다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메타)아크릴 중합체와 다른 중합체의 존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머 블렌드여도 되고, 상술의 (메타)아크릴 중합체와 다른 중합체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메타)아크릴 중합체와 다른 중합체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이 형성되어도 된다.
아크릴 수지가 (메타)아크릴 중합체에 더하여 다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중합체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90질량% 이하(예를 들면, 0.1~85질량%)이고, 80질량% 이하(예를 들면, 0.5~70질량%),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예를 들면, 1~55질량%) 정도여도 되며, 50질량% 이하(예를 들면, 2~45질량%), 30질량% 이하(예를 들면, 2~25질량%), 20질량% 이하(예를 들면, 2~15질량%)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가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 필름을 연신 필름으로 함으로써,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가 나타내는 양의 위상차를, 스티렌계 중합체가 나타내는 음의 위상차에 의해 상쇄시킬 수 있다. 아크릴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스티렌계 중합체의 함유율을 조정함으로써, 음의 위상차 필름이나 저위상차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필름이 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메타)아크릴 중합체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 필름이 ABS 수지 또는 ASA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아크릴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당해 ABS 수지 또는 ASA 수지의 함유율을 조정함으로써, 아크릴 수지 필름을 음의 위상차 필름이나 저위상차의 필름으로 하면서, 가요성을 높일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중합체 이외의 재료, 예를 들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계, 인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내광안정제, 내후안정제, 열안정제 등의 안정제;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보강재; 페닐살리실레이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자외선 흡수제; 근적외선 흡수제; 트리스(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알릴포스페이트, 산화안티몬 등의 난연제; 아니온계, 카티온계, 비이온계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대전 방지제;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유기 필러, 무기 필러; 안티블로킹제; 수지 개질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가소제; 윤활제; 위상차 저감제이다.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첨가제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이다.
아크릴 수지의 Tg(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아크릴 수지의 Tg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 했을 때의 연신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아크릴 수지 필름은, 아크릴 수지의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아크릴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5~2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μm이다. 당해 두께가 5μm 이상이면 강도가 뛰어나다. 당해 두께가 200μm 이하이면 투명성이 뛰어나다.
아크릴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젖음장력은, 바람직하게는 40m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mN/m 이상이다. 표면의 젖음장력이 40mN/m 이상인 경우,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의 접착성이 더욱 향상한다. 표면의 젖음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를 아크릴 수지 필름의 표면에 실시하면 된다. 표면 처리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분사, 자외선 조사, 화염 처리, 화학 약품 처리이다. 그 중에서도,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스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아크릴 수지 필름은,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공지의 제막 수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막 수법은, 예를 들면, 용액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이다. 그 중에서도, 용액 캐스트법 및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제막에 이용하는 아크릴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얻고 싶은 아크릴 수지의 조성에 따라 배합한 (메타)아크릴 중합체, 그 외의 열가소성 중합체 및 첨가제 등을, 적절한 혼합 방법에 의해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아크릴 수지가 형성된다. 혼합 방법은, 예를 들면, 압출 혼련 또는 용액 상태에서의 혼합이다. 필름의 제막에 시판의 아크릴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시판의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리펫VH 및 아크리펫VRL20A(모두 미쓰비시레이온 제조)이다. 압출 혼련에는,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 예를 들면, 옴니 믹서,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가압 니더를 사용할 수 있다.
용액 캐스트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예를 들면,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이다. 용액 캐스트법에 사용하는 용매는, 아크릴 수지를 용해하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용매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데칼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알코올;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폼,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이다. 2종 이상의 이들 용매를 병용해도 된다.
용융 압출법은, 예를 들면,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이다. 용융 압출 시의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이다. T다이법에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압출기의 선단부에 T다이를 장착함으로써, 띠형상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한 띠형상의 아크릴 수지 필름은, 롤에 감아, 필름 롤로 해도 된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 필름은 연신되어도 된다. 연신 방향은, 아크릴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MD 방향),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TD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 방향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이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는, MD 방향으로의 연신(종연신)과 TD 방향으로의 연신(횡연신)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순차 연신이어도 되고, MD 방향으로의 연신과 TD 방향으로의 연신을 동시에 행하는 동시 연신이어도 된다. 연신 시의 온도는, 아크릴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하면, (Tg-30)~(Tg+10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Tg-20)~(Tg+80)℃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며, (Tg-5)~(Tg+20)℃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면적비로 정의한 연신 배율로, 예를 들면, 1.1~25배(예를 들면, 1.3~10배) 정도여도 된다. 연신 속도(일방향)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20000%/분(예를 들면, 100~10000%/분) 정도여도 된다.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은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연신에는 공지의 연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연신기의 설명은 후술한다.
아크릴 수지 필름을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재료의 혼합에 의한 아크릴 수지의 형성으로부터, 아크릴 수지 필름의 형성·연신까지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T다이법에 의해 아크릴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형성한 필름을 감는 롤의 온도를 조정하여, MD 방향으로의 일축 연신과 필름의 감음을 동시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연신 후에, 아크릴 수지 필름의 광학적 등방성 및 기계적 특성을 안정화하기 위해, 아크릴 수지 필름에 대해 열처리(어닐링)를 실시해도 된다. 열처리의 방법 및 조건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접착층]
이접착층은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포함한다. 폴리아민은,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다. 복수의 아미노기는,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율이 0.0090중량%~1.4100중량%이다. 폴리아민은,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분산을 촉진하여,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 광학 필름의 내(耐)블로킹성, 및 이접착층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광학 필름에 요구되는 물성에는, 위상차, 내인열성, 내절성 등이 있다.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는 이축 연신 광학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연신 온도를 엄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신 온도는, 수지의 로트마다의 물성의 미묘한 차이, 예를 들면 분자량이나 조성비 등에 따라 변경된다. 여기서, 광학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이접착층의 건조는, 종종, 횡연신 공정과 동시에 행해진다. 그 때문에, 연신 온도를 변경하는 것은, 이접착층의 건조 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접착층에 포함된 알칼리 성분이 저분자량의 화합물인 경우, 이접착층의 건조 온도를 변경하면, 알칼리 성분의 휘발량이 변화하여,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율도 변화한다. 이 경우, 알칼리 성분에 의거하는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알칼리 성분의 함유율을 원하는 범위에 넣기 위해 연신 온도를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환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같이 높은 Tg를 갖는 수지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연신 온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휘발성이 높은 저분자량의 알칼리 성분은, 고온에서의 연신 공정에서 외부로 방출되기 쉽다. 이 경우, 알칼리 성분에 의해 미립자의 분산을 촉진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한편, 폴리머의 폴리아민은 휘발되기 어려워, 이접착층 중에 확실히 잔존할 수 있다. 연신 온도를 변경해도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율은 변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폴리머의 폴리아민은,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율을 원하는 범위에 넣는데 적합하며, 미립자의 분산을 확실히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필름의 내블로킹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폴리아민의 카티온성이 아크릴 수지의 에스테르 부분에 작용하는 것도 추찰된다. 즉, 폴리아민의 아미노기와 아크릴 수지의 에스테르 부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접착층과 수지 필름의 밀착성이 향상한다고 추찰된다.
또, 주사슬에 환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를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수지 필름의 연신 온도(≒이접착층의 건조 온도)는 높게 설정된다. 이접착층의 바인더 수지는, Tg보다 높은 온도가 된 수지 필름의 표면에 침투하기 쉽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접착층과 수지 필름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이접착성을 갖는 공지의 수지이면 되고,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 셀룰로스 수지, 폴리올 수지, 폴리카복실산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이다. 이러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바인더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0.5만~60만이 바람직하고, 1만~4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아크릴 수지 필름에 대한 이접착층의 밀착성이 향상함과 더불어, 타 부재에 대한 광학 필름의 이접착성이 향상한다.
우레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형적으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은 수지이다. 폴리올은, 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갖는, 임의의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폴리올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2종 이상의 폴리올을 조합해도 된다.
폴리아크릴 폴리올은, 전형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이다.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펜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모노에스테르;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이다.
폴리아크릴 폴리올은, 또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다른 단량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한,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다른 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디카복실산 그리고 그 무수물 및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α,β-불포화 지방족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단량체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전형적으로는, 다염기산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다염기산 성분은, 예를 들면, 오르토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비페닐디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복실산, 도데칸디카복실산, 옥타데칸디카복실산, 타르타르산, 알킬숙신산, 리놀렌산,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복실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1,3-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복실산; 혹은, 이들의 산무수물, 알킬에스테르, 산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이다.
폴리올 성분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1-메틸-1,3-부틸렌글리콜, 2-메틸-1,3-부틸렌글리콜, 1-메틸-1,4-펜틸렌글리콜, 2-메틸-1,4-펜틸렌글리콜, 1,2-디메틸-네오펜틸글리콜, 2,3-디메틸-네오펜틸글리콜, 1-메틸-1,5-펜틸렌글리콜, 2-메틸-1,5-펜틸렌글리콜, 3-메틸-1,5-펜틸렌글리콜, 1,2-디메틸부틸렌글리콜, 1,3-디메틸부틸렌글리콜, 2,3-디메틸부틸렌글리콜, 1,4-디메틸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A, 비스페놀F, 수소첨가 비스페놀A, 수소첨가 비스페놀F이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전형적으로는, 다가 알코올에 알킬렌옥시드를 개환 중합하여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가 알코올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이다. 알킬렌옥시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부틸렌옥시드, 스티렌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벤질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우레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갖는다. 카르복실기를 가짐으로써, 이접착층의 성능(이접착성)이 향상한다. 이 효과는, 특히, 고온·고습의 환경 하에 있어서 현저하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더하여, 유리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유리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면, 디히드록시카복실산, 디히드록시숙신산이다. 디히드록시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디메틸올알칸산(예를 들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알킬올알칸산이다.
우레탄 수지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45이다. 이러한 경우, 이접착층의 성능(예를 들면, 편광자 등의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접착성)이 보다 향상한다.
우레탄 수지는, 상술한 각 성분에 더하여, 또 다른 폴리올 혹은 다른 사슬 연장제와의 반응에 의해 얻은 것이어도 된다. 다른 폴리올은, 예를 들면, 소르비톨, 1,2,3,6-헥산테트라올, 1,4-소르비탄, 1,2,4-부탄트리올, 1,2,5-펜탄트리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등, 3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이다. 다른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4-부탄디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이다.
우레탄 수지는, 공지의 방법을 응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당해 방법은, 예를 들면, 각 성분을 한 번에 반응시키는 원숏법,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는 다단법이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카르복실기의 도입이 용이한 점에서, 다단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형성에 이용하는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아민은, 1급 아미노기,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아민도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폴리아민은, 폴리알킬렌이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알킬렌이민은, 이접착층의 알칼리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폴리알킬렌이민은,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아민은, 폴리알킬렌이민류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알킬렌이민류로서는, 탄소수 2~6의 알킬렌이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이민, 폴리알킬렌이민에 불포화 카복실산이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시킨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6의 알킬렌이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이민, 프로필렌이민, 1,2-부틸렌이민, 2,3-부틸렌이민, 1,1-디메틸에틸렌이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이민류로서는, 폴리에틸렌이민, 폴리프로필렌이민, 폴리에틸렌이민 유도체, 폴리프로필렌이민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이민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이민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 시판되고 있는 주식회사닛뽕쇼꾸바이 제조의 에포민 시리즈; 에포민SP-003, 에포민SP-006, 에포민SP-012, 에포민SP-018, 에포민SP-103, 에포민SP-110, 에포민SP-200, 에포민SP-300, 에포민SP-1000, 에포민SP-1020(모두 상품명이다)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이민은, 1급 아미노기,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고, 또한, 분기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이민은, 이접착층의 알칼리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율을 상술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율은, 0.0098중량%~1.4098중량%여도 된다.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존재 및 그 함유율은, 예를 들면, NMR 등의 기지의 분석 방법에 의해 조사할 수 있다.
미립자는,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무기계 미립자는, 예를 들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산화물; 탄산칼슘, 활석,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인산칼슘 등의 미립자이다. 유기계 미립자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의 미립자이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실리카 미립자는,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킨다. 또, 실리카 미립자는 투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광학 필름의 착색 및 헤이즈율의 증대가 일어나기 어렵다.
미립자의 입자경(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0~1000nm이다. 이러한 입자경의 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이접착층의 표면에 적절한 요철을 형성하고, 아크릴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 혹은 이접착층끼리의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입자에 의한 광산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가시광 파장보다 작고, 또한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블로킹성의 관점에서는 큰 쪽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평균 입자경의 상한은, 예를 들면, 900nm 이하, 800nm 이하, 700nm 이하, 600n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nm 이하이다. 또, 하한은 20nm 이상, 40nm 이상, 60nm 이상, 80nm 이상, 100nm 이상이며, 120nm 이상, 140nm 이상, 160nm 이상, 180nm 이상, 200nm 이상의 순으로 보다 바람직하고, 220nm 이상, 240nm 이상, 260nm 이상, 280nm 이상, 300nm 이상, 320nm 이상, 340nm 이상의 순으로 더욱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입도 분포는 1.0~1.2가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인더 수지(고형분: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는 가교제도 포함한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함유율의 상한은, 30중량부 미만이 바람직하고, 20중량부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5중량부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함유율이 30중량부 미만이면, 이접착층의 강도가 뛰어나다. 함유율의 하한은, 0.1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0.2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5중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함유율이 0.1중량부 이상인 경우, 광학 필름의 내블로킹성이 뛰어나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작은 경우(예를 들면 100nm 미만)이면,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해 미립자의 함유량은 많은 쪽이 좋고, 함유율의 하한은 0.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10.0중량부 이상이 될수록 바람직하다. 또, 평균 입자경이 큰 경우(예를 들면 200nm 이상)이면, 광산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미립자의 함유량은 적은 쪽이 좋고, 함유율의 상한은 2.0중량부 미만, 1.0중량부 미만이 될수록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필름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지만, 100nm~10μm가 바람직하고, 100nm~5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200nm~1.5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이접착층에 의한 광학 필름의 타 부재로의 접착성이 양호하다. 또, 이접착층 자체에 위상차가 발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접착층의 두께 d와, 이접착층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 r의 비 r/d는, 0.3~1.4가 바람직하고, 0.4~1.1이 보다 바람직하며, 0.6~1.0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내블로킹성 및 투명성의 양립이 더욱 확실해진다.
광학 필름의 표면에 대한 이접착층의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에 따르면 된다. 이접착층은, 수지 필름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고, 도포막을 건조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 조성물은, 수계의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수계의 조성물은, 유기용제계의 조성물에 비해, 이접착층을 형성할 때에 발생하는 환경으로의 부하가 작고, 작업성이 뛰어나다. 수계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의 분산체이다. 분산체는, 전형적으로는, 바인더 수지의 에멀션이다. 바인더 수지의 에멀션은, 건조에 의해 수지층이 된다. 당해 에멀션에 포함되는 미립자는, 그대로 수지층에 잔류한다.
이접착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미립자는 콜로이달실리카와 같은 수분산체로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 및 입도 분포에 대해 상술한 범위가 만족되는 한, 콜로이달실리카는 시판품이어도 된다.
이접착 조성물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의 조성물인 경우, 우레탄 수지를 형성할 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불활성임과 더불어 물과 상용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용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이다.
이접착 조성물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면 이접착층의 성능이 향상한다.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 가교제는, 당해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는, 예를 들면, 유기 아미노기, 옥사졸린기, 에폭시기, 카르보디이미드기이며, 옥사졸린기가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를 갖는 가교제는, 우레탄 수지와 혼합했을 때의 실온에서의 포트라이프가 길고, 가열에 의해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당해 폴리머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 폴리머, 스티렌·아크릴 폴리머이며, (메타)아크릴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가교제가 (메타)아크릴 폴리머인 경우, 이접착층의 성능이 더욱 향상한다. 이에 더하여,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수계의 이접착 조성물에 안정적으로 상용하여, 우레탄 수지를 양호하게 가교한다.
이접착 조성물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우레탄 수지의 함유율은, 1.5~15중량%가 바람직하고, 2~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율이 이러한 범위에 있는 경우, 이접착 조성물을 광학 필름, 특히 아크릴 수지 필름의 표면에 도포할 때의 도공성이 높다. 이 조성물이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가교제의 함유율은, 우레탄 수지(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1~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3~2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접착 조성물이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중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접착 조성물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중화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다.
이접착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예를 들면, 분산 안정제, 요변제(搖變劑),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촉매, 대전 방지제이다.
[광학 필름의 특성, 용도]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타 부재로의 접착성 및 내블로킹성이 뛰어나다. 또, 투명성에도 뛰어나며, 통상, 1.5% 이하의 헤이즈율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구성에 따라서는, 헤이즈율은, 1.0% 이하, 나아가서는 0.5% 이하가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광 확산 필름,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이 나타내는 위상차는, 필름의 조성 및 연신 상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광학적으로 등방인 필름일 수 있고, 광학적인 이방성을 갖는 (예를 들면, 위상차 등의 복굴절을 발현하는) 필름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 하는 경우,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로의 사용에 적합하다. 당해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면, LCD의 색조 보상, 시야각 보상에 사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이접착층을 갖는 점에서, 위상차 필름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형태 이외의 형태에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LCD가 구비하는 편광자에 접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위상차 필름은, 색조 보상 혹은 시야각 보상용의 통상의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과 함께, 당해 편광자를 보호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이 형태는, 종래, 위상차 필름과는 별개로 이용되고 있던, 위상차를 갖지 않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LCD의 박형화, 고기능화에 유리하다.
광학 필름의 한쪽의 표면에만 이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반대 측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성 코팅층은, 예를 들면, 대전 방지층, 점접착제층, 접착층, 이접착층, 방현(논글레어)층, 광촉매층 등의 방오층, 반사 방지층, 하드 코트층, 자외선 차폐층, 열선 차폐층, 전자파 차폐층, 가스 배리어층 등이다.
[광학 부재]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예를 들면, 편광판, 확산판, 도광체, 프리즘 시트 등과 같은 광학 부재에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 편광판을 설명한다. LCD에는, 그 화상 표시 원리에 의거하여, 액정 셀을 협지(挾持)하도록 한 쌍의 편광판이 배치된다. 편광판은, 예를 들면, 편광자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편광자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 편광자 보호 필름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TAC 필름은 내습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TAC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했을 경우, 고온 또는 고습도의 환경 하에서 편광판의 특성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TAC 필름은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갖고 있으며, 이 위상차는,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 특히 큰 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에 악영향을 준다. 이에 대해, 편광자 보호 필름에 아크릴 수지 필름을 이용하면, TAC 필름에 비해 내습열성 및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편광판은, 전형적으로는,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광학 필름이 이접착층을 갖는 경우, 이접착층이 편광자 측이 되도록, 양자는 적층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편광자 또는 광학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의 표면에, 건조 후에 접착층이 되는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양자를 합착하여 건조시킨다.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예를 들면, 롤법, 분무법, 침지법이다. 접착제 조성물이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건조 후의 접착층의 두께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 입자의 평균 입자경보다 커지도록,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다. 건조 온도는, 전형적으로는, 5~150℃, 바람직하게는 30~120℃이다. 건조 시간은, 전형적으로는, 12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초 이상이다.
편광자는 한정되지 않으며, 편광판으로서 필요한 기능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를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의 부분 비누화 필름과 같은 친수성의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와 같은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일축 연신한 필름; PVA의 탈수 처리물 혹은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을 이용한 폴리엔계 배향 필름이다. 그 중에서도, PVA계 필름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일축 연신한 필름이, 편광자로서 바람직하다. 이 편광자는, 높은 편광 이색비를 나타낸다. 편광자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1~80μm 정도이다. PVA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켜 일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면, PVA계 필름을,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연신 배율 3~7배로 일축 연신하여 제작할 수 있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은, 필요에 따라, 붕산,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서,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의 수용액을 이용해도 된다. PVA계 필름은, 염색 전에,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PVA계 필름의 수세에 의해, 당해 필름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 및 블로킹 방지제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세에 의해 PVA계 필름이 팽윤하기 때문에, 염색 시의 얼룩이 억제된다. 연신은, 염색 전에 행해도, 염색 후에 행해도, 염색과 동시에 행해도 된다.
건조 후에 접착층이 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물풀이어도 UV 접착이어도 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이하의 중합체를 포함한다:폴리아세트산비닐의 비누화물 및 그 유도체; 아세트산비닐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PVA를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또는 인산에스테르화한 변성 PVA. 상기 다른 단량체는, 예를 들면,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타)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이다. PVA계 수지는,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PV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편광자와 광학 필름(특히 아크릴 수지 필름)의 접착성이 향상하여, 편광판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100~5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0~4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PVA계 수지의 평균 비누화도는,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85~100몰% 정도가 바람직하고, 90~100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PVA는, 예를 들면, PVA와 디케텐을 임의의 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진다. 구체예는, PVA를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킨 분산체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PVA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PVA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이다.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PVA에 있어서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전형적으로는, 0.1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4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7몰%이다. 변성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변성에 의한 효과(예를 들면, 내수성의 향상)가 충분히 얻어진다. PVA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NM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제는 한정되지 않지만, PVA계 수지에 대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다. 가교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 알킬렌기와 2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알킬렌디아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러한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 메틸올요소, 메틸올멜라민, 알킬 화메틸올요소, 알킬화메틸올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 1가에서 3가의 금속의 염 및 산화물이다. 그 중에서도, 가교제는,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디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는, 메틸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올멜라민이 적합하다. 디알데히드는, 글리옥살이 적합하다.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은, PVA계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60중량부 정도이며, 20~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가교제의 배합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이 겔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가사 시간(포트라이프)이 연장되어, 공업적인 사용이 용이해진다.
접착제 조성물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는, 금속 화합물의 입자가 분산매 중에 분산한 콜로이드일 수 있다.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는, 입자가 갖는 동종의 전하의 상호 반발에 기인하는 정전적인 안정화에 의해, 영속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콜로이드일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이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면, 가교제의 배합량이 많은 경우여도, 접착제 조성물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에 있어서의 콜로이드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편광판으로서의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콜로이드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1~100nm가 바람직하고, 1~50nm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는, 접착층 중에 당해 콜로이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착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크닉 결함의 발생이 억제된다. 크닉 결함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당해 편광판을 편입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누락이 발생한다.
금속 화합물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등의 산화물; 규산알루미늄,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바륨, 인산칼슘 등의 금속염; 세라이트, 활석, 클레이, 카올린 등의 광물이다. 양전하를 갖는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가 바람직하다. 양전하를 갖는 콜로이드가 되는 금속 화합물은, 알루미나, 티타니아가 바람직하고, 알루미나가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는, 전형적으로는, 분산매에 분산한 콜로이드 용액이다. 분산매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이다. 콜로이드 용액에 있어서의 고형분 농도는, 전형적으로는, 1~50중량% 정도이며, 1~30중량%가 바람직하다. 콜로이드 용액은, 안정제로서, 질산, 염산, 아세트산 등의 산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의 배합량(고형분 환산)은,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0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20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20~175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30~150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는,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성이 보다 확실해지면서, 크닉 결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티타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각종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수지 용액)이다. 수용액에 있어서의 수지의 농도는, 조성물의 도공성 및 방치 안정성의 관점에서, 0.1~15중량%가 바람직하고, 0.5~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액의 점도는, 1~50mPa·s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이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1~20mPa·s의 낮은 점도여도, 크닉 결함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수용액의 pH는, 2~6이 바람직하고, 2.5~5가 보다 바람직하며, 3~5가 더욱 바람직하고, 3.5~4.5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수용액의 pH의 조정에 의해,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의 표면 전하가 조정된다. 표면 전하는, 바람직하게는 양전하이다. 양전하임으로써, 크닉 결함의 발생이 더욱 억제된다.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의 표면 전하는, 예를 들면, 제타 전위 측정기로 제타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수용액(수지 용액)인 접착제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이 가교제 및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면, PVA계 수지와 가교제를 혼합하여 적절한 농도로 조정한 용액에,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배합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PVA계 수지와 금속 화합물 콜로이드를 혼합한 후에, 가교제를, 접착제 조성물의 사용 시기를 고려하면서 혼합해도 된다. 수용액의 농도는, 수용액을 조제한 후에 조정 가능하다.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하는 접착층의 두께는, 당해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당해 두께는, 10~300nm가 바람직하고, 10~20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20~150n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어서, 접착층은 충분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화상 표시 장치]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예를 들면,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Field Emission Display), LCD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 백라이트부, 조작부 등의 부재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구비하면 된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당해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도포 공정)과, 형성된 도포막을 건조시켜, 이접착층을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포 공정에서는,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이 형성된다. 전형적으로는, 광학 필름의 한쪽의 표면에, 당해 도포막이 형성된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에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당해 방법은,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 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이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형성하는 도포막의 두께는, 당해 도포막이 이접착층이 되었을 때에 필요한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이접착 조성물이 도포되는 표면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지만,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스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조건은 한정되지 않는다. 코로나 방전 처리에 있어서의 전자 조사량은, 50~150W/m2/분이 바람직하고, 70~100W/m2/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 가능하다. 건조 온도는, 전형적으로는 50℃ 이상이며, 9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내식성(특히, 고온·고습의 환경 하)이 뛰어난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온도의 상한은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포 공정과 건조 공정 사이, 건조 공정과 동시에, 또는 건조 공정 후에 수지 필름을 연신해도 된다. 이접착 조성물이 도포된 후의 수지 필름의 연신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 가능하며, 상술한 (이접착층이 도포되기 전의) 수지 필름의 연신 방법과 동일하게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을 할 수 있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미(未)연신의 수지 필름이어도, 연신된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도포 공정 전의 수지 필름이 미연신 필름이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이 이축 연신 필름인 경우, 도포 공정 후에 이축 연신하면 된다. 도포 공정 전의 수지 필름이 일축 연신 필름이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이 이축 연신 필름인 경우, 일축 연신의 방향을 MD 방향으로 하고, 도포 공정 후에 TD 방향으로 연신하면 된다.
수지 필름의 연신에는, 공지의 연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종연신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오븐 연신기가 바람직하다. 오븐 종연신기는, 일반적으로, 오븐과, 당해 오븐의 입구 측 및 출구 측에 각각 설치된 반송 롤로 구성된다. 오븐의 입구 측의 반송 롤과, 출구 측의 반송 롤 사이에 주속차(周速差)를 부여함으로써, 수지 필름이 그 반송 방향으로 연신된다. 횡연신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텐터 연신기가 바람직하다. 텐터 연신기는, 그립식이어도 핀식이어도 상관없지만, 수지 필름의 파열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 그립식이 바람직하다. 그립식의 텐터 연신기는, 일반적으로, 횡연신용 클립 주행 장치와 오븐으로 구성된다. 클립 주행 장치에서는, 수지 필름의 횡단부가 클립 사이에 끼인 상태로 당해 수지 필름이 반송된다. 이 때, 클립 주행 장치의 가이드 레일을 열어, 좌우 2열의 클립간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수지 필름이 횡연신된다. 그립식의 텐터 연신기에서는,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대해 클립의 확축(擴縮)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동시 이축 연신도 가능해진다. 또, 수지 필름의 연신 방향의 좌우를 상이한 속도로, 당해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 인장 연신하는 경사 연신기여도 된다.
연신 온도는,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Tg 근방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Tg-30℃에서 Tg+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Tg-20℃에서 Tg+8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분한 연신 배율을 달성할 수 있다.
면적비로 정의한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2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0배이다. 연신 배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특성(예를 들면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신 속도는, 일방향의 연신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2000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000%/분이다. 연신 속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파단을 방지하면서 연신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접착층의 형성과, 수지 필름의 연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포 공정 후에,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한 수지 필름을 가열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면 된다. 연신을 위해 수지 필름에 가하는 열에 의해,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이 건조하여, 이접착층이 된다. 또한, 수지 필름의 Tg는 통상 100℃ 이상이기 때문에, 상술한 연신 온도는,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으로부터 이접착층이 형성되는데 충분히 높은 온도이다.
수지 필름을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수지 필름의 형성으로부터, 연신 필름인 광학 필름을 얻을 때까지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필름의 표면에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그리고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필름을 가열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 공정을, 인라인 도공이라고 부른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이축 연신 필름인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미연신의 필름을 연신하여 일축 연신 필름인 필름으로 하는 공정, 당해 필름의 표면에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및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필름을 가열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에 대해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경우, 미연신의 필름을 연신하여 일축 연신 필름인 필름으로 하는 공정, 당해 필름의 표면을 표면 처리하는 공정, 표면 처리한 필름의 당해 표면에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및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필름을 가열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공정 이외의 임의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공정은, 예를 들면, 형성한 광학 필름에 대해 새로운 층(예를 들면 수지층)을 적층하는 공정, 혹은 형성한 광학 필름에 대해 코팅 처리, 표면 처리 등의 후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원래부터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1) 분석 방법
(1-1) 중량 평균 분자량(Mw)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했다. 측정에 이용한 장치 및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 시스템:토소사 제조 GPC 시스템 HLC-8220
- 측정 측 컬럼 구성
가드 컬럼:토소사 제조, TSKguardcolumn SuperHZ-L
분리 컬럼:토소사 제조, TSKgel SuperHZM-M 2개 직렬 접속
- 레퍼런스 측 컬럼 구성
레퍼런스 컬럼:토소사 제조, TSKgel SuperH-RC
- 전개 용매:클로로폼(와코순약공업사 제조, 특급)
- 전개 용매의 유량:0.6mL/분
- 표준 시료:TSK 표준 폴리스티렌(토소사 제조, PS-올리고머키트)
- 컬럼 온도:40℃
(1-2) 유리 전이 온도(Tg)
유리 전이 온도는, 일본 산업 규격 JIS K7121의 규정에 준거하여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시차 주사 열량계(리가쿠사 제조, Thermo plus EVO DSC-8230)를 이용하여, 질소 가스 분위기 하, 약 10mg의 샘플을 상온에서 200℃까지 승온(승온 속도 20℃/분)하여 얻어진 DSC 곡선으로부터, 시점법에 의해 평가했다. 레퍼런스에는, α-알루미나를 이용했다.
(1-3) 광학 필름의 두께
광학 필름의 두께는, 디지매틱마이크로미터(미쓰도요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이후에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물성을 포함하여, 광학 필름의 물성을 측정, 평가하기 위한 샘플은, 필름의 폭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취득했다.
(1-4)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 및 입도 분포
메탄올에 실리카 입자를 1질량% 농도가 되도록 넣고, 초음파 분산기에 의해 10분간 걸쳐 실리카 입자를 분산시키고, 측정용 시료로 했다. 이 시료를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주식회사호리바제작소 제조, LA-920)를 이용하여 계측했다. 얻어진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의 산술 평균값을 갖고 평균 입자경으로 하고, 또 산술 최대값을 최대 입자경으로 했다.
(1-5)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
제작한 광학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전체 헤이즈), 내부 헤이즈는, JIS K7136의 규정에 의거하여, 탁도계(닛폰덴쇼쿠공업 제조, NDH50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내부 헤이즈는, 석영 셀 내의 테트랄린 중에, 측정 대상물인 필름을 침지한 상태로 측정했다.
(1-6)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
제작한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은, JIS K5400 3.5에 준거한 바둑눈 시험을 행하여, 이하의 요령으로 평가했다. 시험 샘플의 이접착층면의 세 곳에, 예리한 칼날로 1mm2의 바둑눈형상의 칼집을 내었다. 셀로판 테이프(24mm폭, JIS Z1522)를 칼집 상에 나무 주걱으로 밀착시켰다. 그 후, 셀로판 테이프를 벗겨내고, 이접착층의 박리의 유무를 확인했다. 이접착층이 박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차 새로운 셀로판 테이프를 칼집 상에 나무 주걱으로 밀착시키고, 셀로판 테이프를 벗겨내는 조작을 실시하여, 밀착성을 평가했다. 이 평가를 세 곳에 있어서 행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세 곳 중 세 곳에 있어서, 5회의 박리 시험을 행해도 이접착층이 박리되지 않았다.
○:세 곳 중 1 또는 두 곳에 있어서, 5회의 박리 시험을 행해도 이접착층이 박리되지 않았다.
×:세 곳 중 세 곳에 있어서, 1~4회의 박리 시험 중에 이접착층이 박리됐다.
(1-7) 광학 필름의 내블로킹성
제작한 광학 필름의 내블로킹성은,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제작한 광학 필름을 롤에 감아 필름 롤을 형성한 후, 이것을 24시간 방치했다. 방치 후, 필름 롤을 육안에 의해 확인함과 더불어, 필름 롤로부터 광학 필름을 풀어내면서, 광학 필름의 길이 방향 전부에 걸쳐 표면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 내블로킹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필름 롤의 변형 및 풀어내진 광학 필름의 주름이 확인되지 않았다.
×:필름 롤의 변형 또는 풀어내진 광학 필름의 주름이 확인되었다.
(1-8) 이접착층의 균일성
제작한 이접착 조성물(도액)을, 또한, 수지 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얻은 이접착층(도포막)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접착 조성물의 균일성 및 이접착층의 균일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이접착 조성물의 평가)/(이접착층의 평가)로서 나타냈다.
이접착 조성물의 평가에 대해,
A:균일한 이접착 조성물이 용이하게 얻어졌을 경우.
B:이접착 조성물 작성 시에 겔분 등의 불균일 물질이 보였지만, 6시간 미만의 교반만으로 균일한 이접착 조성물이 얻어졌을 경우.
C:이접착 조성물 작성 시에 겔분 등의 불균일 물질이 보였지만, 여과하지 않으면 균일한 이접착 조성물을 얻을 수 없었던 경우.
이접착층의 평가에 대해,
A:칠 불균일, 줄무늬, 두께 불균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균일한 도막이 얻어졌을 경우.
B:칠 불균일, 줄무늬, 두께 불균일 중 적어도 1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균일한 도막을 얻을 수 없었던 경우.
(2) 제조예
(제조예 1)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내용적 1000L의 반응 솥에, 메타크릴산메틸(MMA) 40중량부,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MHMA) 10중량부,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50중량부 및 산화 방지제(아데카스타브2112, ADEKA 제조) 0.025중량부를 주입하고, 이것에 질소를 통하게 하면서, 105℃까지 승온시켰다. 승온에 수반하는 환류가 시작된 지점에서, 중합 개시제로서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아케마요시토미 제조, 상품명:루페록스570) 0.05중량부를 첨가함과 더불어, 상기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0.10중량부를 3시간 걸쳐 적하하면서, 약 105~110℃의 환류 하에서 용액 중합을 진행시키고, 추가로 4시간의 숙성을 행했다.
다음에, 얻어진 중합 용액에, 환화 축합 반응의 촉매(환화 촉매)로서, 인산2-에틸헥실(사카이화학공업 제조, Phoslex A-8) 0.05중량부를 더하고, 약 90~110℃의 환류 하에 있어서 2시간, 락톤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환화 축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중합 용액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240℃까지 승온하고, 당해 온도에 있어서 환화 축합 반응을 추가로 진행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중합 용액을, 배럴 온도 240℃, 회전 속도 100rpm, 감압도 13.3~400hPa(10~300mmHg), 리어 벤트 수 1개 및 포어 벤트 수 4개(상류 측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 벤트라고 칭한다), 제3 벤트와 제4 벤트 사이에 사이드 피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부에 리프 디스크형의 폴리머 필터(여과 정밀도 5μm, 여과 면적 1.5m2)가 배치된 벤트 타입 스크루 이축 압출기(φ=50.0mm, L/D=30)에, 45kg/시(수지량 환산)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여, 탈휘(脫揮)를 행했다. 그 때, 별도 준비해 둔 산화 방지제/환화 촉매 실활제의 혼합 용액을 0.68kg/시의 투입 속도로 제1 벤트 후로부터, 이온 교환수를 0.22kg/시의 투입 속도로 제2 및 제3 벤트 후로부터, 각각 투입했다. 산화 방지제/환화 촉매 실활제의 혼합 용액에는, 50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 제조, 이가녹스1010)와, 실활제로서 35중량부의 옥틸산아연(일본화학산업 제조, 니카옥틱스아연 3.6중량%)을, 톨루엔 200중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이용했다. 이에 더하여, 탈휘 시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 수지:스티렌 단위/아크릴로니트릴 단위의 비율이 73중량%/27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22만)의 펠릿을 사이드 피더로부터, 15kg/시의 투입 속도로 투입했다.
탈휘 완료 후, 압출기 내에 남겨진 열 용융 상태에 있는 수지를 당해 압출기의 선단으로부터 폴리머 필터에 의해 여과하면서 배출하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고, 락톤환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주성분(함유율이 75중량%)으로 하며, 추가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25중량%의 함유율로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의 투명한 펠릿 (1A)를 얻었다. 펠릿 (1A)를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의 Tg는 122℃,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1만이었다.
다음에, 제작한 펠릿 (1A)를, 단축 압출기(φ=20.0mm, L/D=25) 및 코트 행거 타입 T다이(폭 150mm)를 이용하여 280℃에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100μm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형성했다. 용융 압출 시에는, T다이로부터, 110℃로 유지한 냉각 롤에 수지 필름을 토출했다.
다음에,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필름을, 이축 연신기(토요정기제작소 제조, TYPE EX4)를 이용하여 MD 방향(흐름 방향, 압출 방향)으로, 연신 배율 2.0배, 연신 온도 140℃로 자유단 일축 연신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1)을 얻었다.
(제조예 2)
액화조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내용적 100L의 스테인리스제 중합조에, MMA 42.5중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MI) 5중량부, 스티렌(St) 0.5중량부,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50중량부, 유기산으로서 무수 아세트산 0.2중량부, 및 연쇄 이동제로서 n-도데실메르캅탄 0.06중량부를 주입하고, 이것을 회전 속도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10분간 버블링시켰다. 다음에, 조 내를 질소 분위기로 유지한 채로 승온하고, 조 내의 온도가 100℃에 이른 시점에서 0.075중량부의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를 더하고, 이와 동시에, 액화조에서 질소의 버블링을 개시했다. 다음에, 스티렌 2중량부와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0.075중량부의 혼합액을, 조 내에 5시간 걸쳐 등속도로 첨가하면서, 중합 온도 105~110℃의 환류 하에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중합 용액에, 인산계의 산화 방지제로서,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산코주식회사 제조, HCA)와,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아사히덴카사 제조, AO-60)를, 각각 0.1중량부 및 0.02중량부 첨가했다.
다음에,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 중합 용액을, 배럴 온도 240℃, 회전 속도 100rpm, 감압도 13.3~400hPa(10~300mmHg), 리어 벤트 수 1개, 포어 벤트 수 4개의 벤트 타입 스크루 이축 압출기(Φ=29.75mm, L/D=30)에, 2.0kg/시(수지량 환산)의 처리 속도로 도입했다. 다음에, 압출기 내의 열 용융 상태에 있는 수지를 압출기의 선단으로부터 토출하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고,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의 투명한 펠릿 (2A)를 얻었다. 펠릿 (2A)를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의 Tg는 138℃,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만이었다.
다음에, 제작한 펠릿 (2A)를, 단축 압출기(φ=20.0mm, L/D=25) 및 코트 행거 타입 T다이(폭 150mm)를 이용하여 280℃에서 용융 압출하고, 두께 100μm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형성했다. 용융 압출 시에는, T다이로부터, 110℃로 유지한 냉각 롤에 아크릴 수지 필름을 토출했다.
다음에,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필름을, 이축 연신기(토요정기제작소 제조, TYPE EX4)를 이용하여 MD 방향(흐름 방향, 압출 방향)으로, 연신 배율 2.0배, 연신 온도 155℃로 자유단 일축 연신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2)를 얻었다.
(제조예 3)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롬앤드하스 제조, KAMAX T-240)(이 수지를 3A로 한다)를 단축 압출기(φ=20mm, L/D=25) 및 코트 행거 타입 T다이(폭 150mm)를 이용하여 280℃에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100μm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형성했다. 용융 압출 시에는, T다이로부터, 110℃로 유지한 냉각 롤에 수지 필름을 토출했다.
다음에,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필름을, 이축 연신기(토요정기제작소 제조, TYPE EX4)를 이용하여 MD 방향(흐름 방향, 압출 방향)으로, 연신 배율 2.0배, 연신 온도 140℃로 자유단 일축 연신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3)을 얻었다.
(제조예 4)
KAMAX T-240 대신에,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스미토모화학 제조, 스미펙스B-TR)를 이용한 이외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4)를 얻었다.
(제조예 5)
KAMAX T-240 대신에, 무수 말레산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아사히화성케미컬즈 제조, 델펫980N)를 이용한 이외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5)를 얻었다.
(제조예 6)
교반기를 구비한 내압 반응 용기에, 탈이온수 70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 0.5중량부, 올레인산칼륨 0.2중량부, 황산제일철 0.005중량부, 덱스트로스 0.2중량부, p-멘탄하이드로퍼옥시드 0.1중량부 및 1,3-부타디엔 28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반응 혼합물을 주입하고, 이것을 65℃로 승온하여,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중합 개시로부터 2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당해 혼합물에, p-하이드로퍼옥시드 0.2중량부를 추가로 더함과 더불어, 1,3-부타디엔 72중량부, 올레인산칼륨 1.33중량부 및 탈이온수 75중량부를 2시간 걸쳐 연속 적하했다. 그 후, 중합 반응을 속행시키고, 중합 개시로부터 21시간의 중합에 의해, 평균 입자경이 0.240μm인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의 라텍스를 얻었다.
다음에,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중합 용기에, 탈이온수 120중량부, 상기 제작한 부타디엔계 고무 중합체 라텍스 50중량부(고형분), 올레인산칼륨 1.5중량부 및 소듐포름알데히드술폭시레이트(SFS) 0.6중량부를 투입하고, 용기 내를 질소 가스로 충분히 치환했다. 다음에, 용기 내의 온도를 70℃로 승온한 후, 스티렌 36.5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13.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모노머 용액과, 쿠멘하이드록시퍼옥사이드 0.27중량부 및 탈이온수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 개시제 용액을, 개별적으로, 2시간 걸쳐 용기 내에 연속 적하하면서,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적하 종료 후, 용기 내의 온도를 80℃로 승온하고, 추가로 2시간, 중합 반응을 속행시켰다. 다음에, 용기 내의 온도를 40℃로 내린 후, 내용물을 300메시의 철망을 통과시켜, 탄성 유기 미립자의 유화 중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탄성 유기 미립자의 유화 중합액을 염화칼슘을 이용하여 염석, 응고시키고, 응고물을 수세, 건조시켜, 분말상의 탄성 유기 미립자(G1:평균 입자경 0.260μm, 연질 중합체층의 굴절률 1.516)를 얻었다.
다음에, 무수 말레산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아사히화성케미컬즈 제조, 델펫980N)와, 상기 제작한 탄성 유기 미립자 (G1)을, 아크릴 수지/탄성 유기 미립자=90/10(중량비)이 되도록,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펠릿 (3A)를 제작했다. 다음에, 제작한 펠릿 (3A)를, 단축 압출기(φ=20.0mm, L/D=25) 및 코트 행거 타입 T다이(폭 150mm)를 이용하여 280℃로 용융 압출하여, 두께 100μm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형성했다. 용융 압출 시에는, T다이로부터, 110℃로 유지한 냉각 롤에 수지 필름을 토출했다.
다음에,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필름을, 이축 연신기(토요정기제작소 제조, TYPE EX4)를 이용하여 MD 방향(흐름 방향, 압출 방향)으로, 연신 배율 2.0배, 연신 온도 140℃로 자유단 일축 연신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6)을 얻었다.
(제조예 7)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메타크릴산메틸(MMA) 229.6중량부,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MHMA) 33중량부, 산화 방지제(ADEKA사 제조 「아데카스타브(등록상표) 2112」) 0.138중량부, 비(非)중합성 유기용매로서 톨루엔 248.6중량부, 및 n-도데실메르캅탄 0.1925중량부를 주입하고, 이것에 질소를 통하게 하면서, 105℃까지 승온시켰다. 승온에 수반하는 환류가 시작된 지점에서, 중합 개시제로서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아케마요시토미사 제조 「루페록스(등록상표) 570」) 0.2838중량부를 첨가함과 더불어, 상기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0.5646중량부와 스티렌(St) 12.375중량부를 2시간 걸쳐 적하하면서 약 105~110℃의 환류 하에서 용액 중합을 진행시키고, 적하 종료 후, 같은 온도에서 추가로 4시간의 숙성을 행했다.
다음에, 얻어진 중합 용액에, 환화 축합 반응의 촉매(환화 촉매)로서, 인산스테아릴(사카이화학공업사 제조 「Phoslex A-18」) 0.206중량부를 더하고, 약 90~110℃의 환류 하에 있어서 2시간, 락톤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환화 축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중합 용액을, 240℃로 가열한 다관식 열교환기에 통하게 하여 환화 축합 반응을 완결시킨 후, 배럴 온도가 250℃이며, 1개의 리어 벤트, 4개의 포어 벤트(상류 측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 벤트라고 칭한다) 및 제3 벤트와 제4 벤트 사이에 사이드 피더를 구비하고, 선단부에 리프 디스크형의 폴리머 필터(여과 정밀도 5μm)가 배치된 벤트 타입 스크루 이축 압출기(L/D=52)에, 31.2부/시(수지량 환산)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여, 각 벤트의 감압도를 리어 벤트 798hPa, 제1 벤트 266hPa, 제2 벤트 내지 제4 벤트는 모두 27hPa로 하고, 탈휘를 실시했다. 그 때, 이온 교환수를 0.47부/시의 투입 속도로 제2, 제4 벤트 후로부터 투입하고, 옥틸산아연(일본화학산업(주) 제조 「니카옥틱스아연 18%」), 이가녹스1010(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 제조) 50중량부, 아데카스타브AO-412S(ADEKA 제조)의 톨루엔 용액을,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옥틸산아연이 질량비로 160ppm, 이가녹스1010이 50ppm, 아데카스타브AO-412S가 50ppm이 되도록 주입했다.
탈휘 완료 후, 압출기 내에 남겨진 열 용융 상태에 있는 수지 조성물을 당해 압출기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폴리머 필터로 여과하면서 배출하고, 구비한 다이스를 통과시킨 후, 구멍 직경 1μm의 필터(오르가노사 제조 「제품명:마이크로포어 필터1EU」)로 여과하고, 30±10℃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한 냉각수를 채운 수조 중에서 스트랜드를 냉각하고, 이어서 절단기(펠리타이저)에 도입함으로써, 락톤환 구조를 주사슬에 갖는 락톤환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7A)로 이루어지는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 (7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3.2만, 수평균 분자량은 5.9만, 유리 전이 온도는 121℃, 열분해 개시 온도는 335℃, 굴절률은 1.501이었다.
다음에, 제작한 펠릿 (7A)를,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화하여, 연신된 아크릴 수지 필름 (F7)을 얻었다.
(제조예 11)
교반한 순수 중에, 아몰퍼스 실리카 미립자를 포함하는 에멀션(닛뽕쇼꾸바이 제조, 시포스타KE-W30, 평균 입자경(일차 입자경) 0.28μm, 입도 분포 1.1, 고형분 20중량%) 0.09중량%, 우레탄 수지(다이이치공업제약 제조, 슈퍼플렉스210, 고형분 35중량%) 20중량%, 폴리아민(닛뽕쇼꾸바이 제조, 에포민SP-006) 0.0007중량%를 순서대로 더하여 충분히 혼합하고, 1μm의 필터를 통해 에멀션상태의 분산체인 이접착 조성물 (1B)를 얻었다. 이접착 조성물로부터 우레탄 수지, 실리카 미립자, 및 폴리아민을 제외한 잔부가 순수이다.
(제조예 12~83)
이하의 표 1A, 표 1B 및 표 1C에 나타내는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에멀션상태의 분산체인 이접착 조성물 (2B~73B)를 얻었다. 또한, 가교제는 우레탄 수지 다음, 폴리아민을 첨가하기 전에 첨가했다.
[표 1A]
[표 1B]
[표 1C]
·SF210:다이이치공업제약 제조, 슈퍼플렉스210, 고형분 35중량%
·W-5030:미쓰이화학폴리우레탄 제조, 타케락W-5030, 고형분 30중량%
·CP-7020:DIC 제조, 하이드란CP-7020, 고형분 40중량%
·SF620:다이이치공업제약 제조, 슈퍼플렉스620, 고형분 30중량%
·AP-40N:DIC 제조, 하이드란AP-40N, 고형분 35중량%
·KE-W30:닛뽕쇼꾸바이 제조, 시포스타KE-W30, 평균 입자경(일차 입자경) 0.28μm, 입도 분포 1.1, 고형분 20중량%
·KE-W10:닛뽕쇼꾸바이 제조, 시포스타KE-W10, 평균 입자경(일차 입자경) 0.11μm, 입도 분포 1.1, 고형분 15중량%
·SP-006:닛뽕쇼꾸바이 제조, 에포민SP-006
·WS-700:닛뽕쇼꾸바이 제조, 에포크로스WS-700, 고형분 25중량%
(3) 실시예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필름 (F1)의 한쪽의 표면에, 제조예 11에서 제작한 이접착 조성물 (1B)를, 건조 후의 도포막의 두께가 270nm가 되도록 도포한 후, 전체를 100℃에서 2분간 건조했다. 이와 같이 하여, 이접착층이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형성한 이접착층에 포함되는 미립자는, 이접착 조성물 (1B) 중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실시예 2~58, 비교예 1~16)
이하의 표 2A~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 필름과 이접착 조성물의 조합을 변경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층이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A, 표 2B 및 표 2C에 정리한다.
[표 2A]
[표 2B]
[표 2C]
(실시예 59)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필름 (F1)의 한쪽의 표면에, 제조예 11에서 제작한 이접착 조성물 (1B)를, 건조 후의 도포막의 두께가 600nm가 되도록 도공 시험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전체를 100℃에서 2분간 건조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얻은 필름을, 이축 연신기(토요정기제작소 제조, TYPE EX4)를 이용하여 TD 방향(필름 면내에 있어서의 MD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 압출 성형 시의 폭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 연신 온도 140℃로 자유단 일축 연신하고, 우레탄 수지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층이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이축 연신 필름인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7)
이하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 필름과 이접착 조성물의 조합을 변경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층이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정리한다.
[표 3]
(실시예 60)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아크릴 수지의 펠릿 (1A)를, 선단부에 폴리머 필터(여과 정밀도 5μm) 및 T다이를 구비한 단축 압출기(φ=90.0mm, L/D=32)를 이용하여, 처리 속도 200kg/시(수지량 환산) 및 온도 270℃에서 용융 압출하고, 두께 220μm의 띠형상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제막했다. 다음에, 제막한 아크릴 수지 필름을, 용융 압출에 계속하여 연속적으로 오븐 종연신기에 공급하고, 당해 연신기로 당해 아크릴 수지 필름의 세로 방향(용융 압출 시의 흐름 방향, MD 방향)으로 연신 온도 142℃,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종연신)했다.
추가로 연속하여, 종연신 후의 아크릴 수지 필름의 한쪽의 표면에, 제조예 21에서 제작한 이접착 조성물 (11B)를 그라비어 코트법에 의해 건조 후의 도포막의 두께가 1050nm가 되도록 도포한(인라인 도공) 후, 그대로 아크릴 수지 필름을 텐터 횡연신기에 공급하고, 연신 온도 132℃, 연신 배율 3.0배로 그 폭방향으로 연신(횡연신)했다. 이와 같이 하여, 우레탄 수지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층(두께 350nm)이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이축 연신 필름인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두께 58μm)을 얻었다.
(실시예 61~79, 비교예 18~20)
이하의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펠릿과 이접착 조성물의 조합을 변경하고, 실시예 57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층이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4에 정리한다.
[표 4]
(실시예 80)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아크릴 수지의 펠릿 (1A)를, 선단부에 폴리머 필터(여과 정밀도 5μm) 및 T다이를 구비한 단축 압출기(φ=90.0mm, L/D=32)를 이용하여, 처리 속도 200kg/시(수지량 환산) 및 온도 270℃에서 용융 압출하고, 두께 220μm의 띠형상의 필름을 제막했다. 다음에, 제막한 필름을, 용융 압출에 계속하여 연속적으로 오븐 종연신기에 공급하고, 당해 연신기로 당해 필름의 세로 방향(용융 압출 시의 흐름 방향, MD 방향)으로 연신 온도 142℃,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종연신)했다.
추가로 연속하여, 종연신 후의 아크릴 수지 필름의 한쪽의 주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당해 처리면에, 제조예 21에서 제작한 이접착 조성물 (11B)를 그라비어 코트법에 의해 건조 후의 도포막의 두께가 1050nm가 되도록 도포했다(인라인 도공). 계속하여, 그대로 아크릴 수지 필름을 텐터 횡연신기에 공급하고, 연신 온도 132℃, 연신 배율 3.0배로 그 폭방향으로 연신(횡연신)했다. 이와 같이 하여, 우레탄 수지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층(두께 350nm)이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이축 연신 필름인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두께 58μm)을 얻었다.
(실시예 81~82, 비교예 21)
이하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펠릿과 이접착 조성물의 조합을 변경하고,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층이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5에 정리한다.
[표 5]
표 2A~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접착층이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함유하고,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아민의 함유율을 0.0090중량%~1.4100중량%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균일화된 이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폴리머의 폴리아민을 이용하면, 폴리아민과 기재 필름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지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한다고 추찰된다. 또한, 폴리아민의 함유율을 예를 들면 0.0489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블로킹성도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폴리아민이 충분히 첨가됨으로써 이접착 조성물의 점성이 증대하고, 미립자의 유지력이 증대했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폴리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이접착층의 매트릭스 부분의 점성이 향상하고, 건조 중에 도액 내에 미립자가 매몰되는 것이 억제되었다고 추찰된다. 또한, 폴리아민에 의해, 미립자의 탈락을 억제하는 효과도 부여되었다고 추찰된다. 이에 대해, 폴리아민의 함유율이 0.0090중량% 미만이었던 이접착 조성물 (14B~23B, 39B, 57B)를 이용한 비교예 1~11, 13, 15, 17~20은, 밀착성을 만족할 수 없었다. 또, 폴리아민의 함유율이 1.4100중량% 초과였던 이접착 조성물 (37B, 56B, 73B)를 이용한 비교예 12, 14, 16은 이접착 조성물 또는 이접착층의 균일성을 만족할 수 없었다. 이것은, 폴리아민이 과잉적으로 첨가됨으로써 이접착 조성물의 점성이 과도하게 너무 커졌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편광자 보호 필름 등의 각종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으로의 사용에 적합하다.

Claims (9)

  1.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이접착층(易接着層)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이접착층은,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아민은,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며,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아민의 함유율이 0.0090중량%~1.4100중량%인, 광학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1급 아미노기, 상기 2급 아미노기, 및 상기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민이 폴리알킬렌이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이민은 1급 아미노기, 상기 2급 아미노기, 및 상기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고, 또한, 분기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이 (메타)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광학 부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지 필름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 폴리아민,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이접착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막을 건조시켜, 상기 바인더 수지, 상기 폴리아민, 및 상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이접착층을 상기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폴리아민은,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이며,
    상기 복수의 아미노기는, 2급 아미노기 및 3급 아미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37043516A 2021-05-31 2022-05-31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066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0849 2021-05-31
JP2021090849 2021-05-31
PCT/JP2022/022234 WO2022255391A1 (ja) 2021-05-31 2022-05-31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695A true KR20240006695A (ko) 2024-01-15

Family

ID=8432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516A KR20240006695A (ko) 2021-05-31 2022-05-31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255391A1 (ko)
KR (1) KR20240006695A (ko)
CN (1) CN117295987A (ko)
TW (1) TW202306780A (ko)
WO (1) WO20222553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062A (ja) 2008-07-29 2010-03-11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016872A (ja) 2019-02-21 2020-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486A (ja) * 2001-12-05 2003-06-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塗布フィルム
JP4334925B2 (ja) * 2003-06-26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US20050146671A1 (en) * 2003-12-24 2005-07-07 Khavrounyak Igor V.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crystal films
JP5250307B2 (ja) * 2007-07-11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04511B2 (ja) * 2010-01-26 2016-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062A (ja) 2008-07-29 2010-03-11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016872A (ja) 2019-02-21 2020-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6780A (zh) 2023-02-16
CN117295987A (zh) 2023-12-26
JPWO2022255391A1 (ko) 2022-12-08
WO2022255391A1 (ja)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716B1 (ko)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5827017B2 (ja) 光学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854577B2 (en) Polarizer-protecting film comprising an easy-adhesion layer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each comprising the polarizing-protecting film
TWI436110B (zh)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olarizing plate
TWI444424B (zh)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 resin molded product using the resin composition, a protective element for a polarizing ele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product
JP6688304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
WO2006112207A1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861076B2 (en) Polarizing plate having polarizer and ultraviolet shielding layer containing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07316366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7105485A1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7010788A1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78553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1221424A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3242510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4048347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5590997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133377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158987A (ja) 易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備える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1107180A (ja) 偏光板とそれを備える液晶パネル、vaモ−ド液晶表示装置
JP6683415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KR20240006695A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9066884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8159784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59057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