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655B1 -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655B1
KR101525655B1 KR1020127022441A KR20127022441A KR101525655B1 KR 101525655 B1 KR101525655 B1 KR 101525655B1 KR 1020127022441 A KR1020127022441 A KR 1020127022441A KR 20127022441 A KR20127022441 A KR 20127022441A KR 101525655 B1 KR101525655 B1 KR 101525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substituted
layer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237A (ko
Inventor
펭퀴앙 주
요이치 나카무라
신지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 G03G5/147Cover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03Inert supplements
    • G03G5/051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G03G5/0517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mprising one or more cyclic groups consisting of carbon-atom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03G5/047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 transport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5Carbocycl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 G03G5/147Cover layers
    • G03G5/14708Cover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내마모성 및 감광체로서의 제특성을 만족함과 함께, 유해 기체나 온도 습도 환경에 의한 영향이 작은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이다. 감광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한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7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에 이용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이하, 단순히「감광체」라고도 함)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첨가제의 개량에 의해 우수한 내쇄성(耐刷性)이나 내가스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는, 어두운 곳에서 표면 전하를 유지하는 기능이나, 광을 수용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기능, 동일하게 광을 수용하여 전하를 수송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감광체로서는, 하나의 층으로 이들 기능을 함께 갖는 단층의 감광층을 갖는, 소위 단층형 감광체와, 주로 전하 발생에 기여하는 층과 어두운 곳에서의 표면 전하의 유지 및 광수용 시의 전하 수송에 기여하는 층으로 기능 분리한 층을 적층한 감광층을 갖는, 소위 적층형 감광체가 있다.
이들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이용한 전자 사진법에 의한 화상 형성에는, 예컨대, 칼슨법이 적용된다. 이 방식으로의 화상 형성은, 어두운 곳에서의 감광체로의 대전, 대전된 감광체 표면 상으로의 원고의 문자나 그림 등의 정전 화상의 형성, 형성된 정전 화상의 토너에 의한 현상, 및 현상된 토너상의 종이 등의 지지체로의 전사 정착에 의해 행해진다. 토너상 전사 후의 감광체는, 잔류 토너의 제거나 제전 등을 행한 후에, 재사용에 제공된다.
전술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재료로서는, 셀레늄, 셀레늄 합금, 산화아연 혹은 황화카드뮴 등의 무기 광도전성 재료를 수지 바인더 중에 분산시킨 것이나, 폴리-N-비닐카르바졸, 9,10-안트라센디올폴리에스테르, 피라졸린, 히드라존, 스틸벤, 부타디엔, 벤지딘, 프탈로시아닌 또는 비스아조 화합물 등의 유기 광도전성 재료를 수지 바인더 중에 분산시킨 것, 혹은, 이들을 진공 증착 또는 승화시킨 것 등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사무실 내의 네트워크화에 따른 인쇄 매수의 증가나, 전자 사진에 의한 경인쇄기의 급발전 등에 수반하여, 전자 사진 방식의 인자 장치에는, 점점 고내구성이나 고감도, 나아가서는 고속 응답성이 요구되도록 되어오고 있다. 또한,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오존이나 NOx 등의 기체에 유래하는 영향이나, 사용 환경(실온, 습도)의 변동에 의한 화상 특성의 변동 등이 적은 것도,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종래의 감광체로는, 요구되는 요구 특성을 반드시 충분하게 만족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내마모성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최근, 모노크로 프린트를 행하는 프린터나 복사기는 물론, 컬러 프린트를 행하는 기종에 있어서도, 탠덤 현상 방식 등의 도입에 의해, 고속 인쇄기가 보급되도록 되어오고 있다. 특히, 칼라 프린트를 행할 때에는, 고해상도가 요구되는 한편으로, 화상의 위치 정밀도의 높음도, 요구 사양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오고 있다. 인쇄 매수를 중첩함으로써, 감광체의 표면은, 종이나 각종 롤러류, 블레이드 등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지만, 이 마모의 정도가 크면, 고해상도 및 높은 화상 위치 정밀도를 나타내는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제까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검토는 여러가지 행해져 왔지만,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기체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오존을 들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을 행하는 대전기나 롤러 대전기에 의해서 오존이 발생하고, 이것이 장치 내에 잔류 또는 체류하는 등에 의해 감광체가 오존에 노출되어, 감광체를 구성하는 유기 물질이 산화됨으로써 원래의 구조가 파괴되고, 감광체 특성을 현저히 악화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오존에 의해, 공기 중의 질소가 산화되어 NOx가 되고, 이 NOx가 감광체를 구성하는 유기 물질을 변성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이러한 기체에 의한 특성 악화에 대해서는, 감광체의 최외측 표면층 그 자체가 침범되는 것뿐만 아니라, 감광층 내부에 기체가 유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악영향도 생각된다. 감광체의 최외측 표면층 자체는, 양의 다소는 있지만, 전술의 각종 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깎아내어지는 것도 생각되지만, 감광층 내부에 유해 기체가 유입되면, 감광층 내의 유기 물질이 구조의 파괴를 받을 가능성이 있고, 이 유해 기체의 유입을 억제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특히, 감광체를 복수 개 사용하는 탠덤 방식의 컬러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내에서의 드럼의 설치 위치 등에 의해 기체에 의한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생기면, 색조의 변동이 발생하여, 충분한 화상을 생성하는 것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생각된다. 따라서, 탠덤 방식의 컬러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는, 기체에 의한 특성 악화는, 특히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내가스성의 향상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 등에, 힌더드 페놀 화합물이나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등의 산화 방지제를 이용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카르보닐 화합물을 이용하는 기술, 특허문헌 4에서는 벤조에이트계 또는 살리실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하는 기술이, 각각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비페닐 등의 첨가제와 함께 특정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특허문헌 6에서는 특정한 아민 화합물과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와의 조합에 의해, 특허문헌 7에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와 특정한 흡광도를 갖는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각각 내가스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로는, 충분한 내가스성을 나타내는 감광체가 얻어지지 않거나, 또는 내가스성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특성을 나타내더라도, 내마모성의 향상에는 닿고 있지 않고, 나아가서는, 그 밖의 특성(화상 메모리나 내쇄 시에 있어서의 전위 안정성 등)에 대해서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또한, 특허문헌 8에는, 특정한 전하 이동도를 갖는 전하 수송층과의 조합 조건 하에서 표면층의 산소 투과 계수를 소정의 값 이하로 함으로써 감광체에 대한 대전기 주변에 생기는 가스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특허문헌 9에는, 감광층의 수증기 투과도를 소정의 값 이하로 함으로써 내마모성이나 내가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지만, 이 기술에서는, 특정한 고분자 전하 수송 물질을 이용하지 않으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전하 수송 물질의 이동도나 구조 등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전기 특성의 요구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특허문헌 10에는, 감광층 중에, 융점이 40℃ 이하인 특정한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내가스성이 우수한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저융점의 물질을 층 중에 첨가한 경우에, 첨가한 감광체가 사용되는 카트리지나 장치 본체의 부품과 장시간 접촉함으로써, 접촉하고 있는 상대쪽의 부품에 그 화합물이 스며들어 버리는, 소위 블리드가 생겨 화상 상에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사용 환경에서의 감광체의 특성 변동에 대해서는, 우선, 저온 저습 환경에서의 화상 특성의 악화를 들 수 있다. 즉, 저온 저습 환경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외관상, 감광체가 갖는 감도 특성 등이 저하됨으로써, 화상 농도의 저하나, 하프톤 화상에 있어서의 계조의 악화라는 화상 품질의 악화가 현재화(顯在化)되게 된다. 또한, 감도 특성의 악화에 수반하는 화상 메모리가 현저해지는 일도 있다. 이것은 인자 시, 드럼 1회전째에 잠상으로서 기록된 화상이 드럼 2회전째 이후에도 전위의 변동을 받은 형태가 되고, 특히 하프톤 화상을 인자한 경우에, 불필요한 부분에 인자되어 버린다는 화상의 악화이다. 특히, 저온 저습 환경 하에 있어서는, 인자 화상의 농담이 역전하는 네거티브 메모리가 현저하게 보이는 예가 많다.
다음에, 고온 고습 환경에서의 화상 특성 악화를 들 수 있다. 즉,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감광층 중의 전하의 이동 속도가 상온 상습의 경우에 비하여 커지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인자 농도의 과도한 증가나, 백색 밑칠 화상에서의 미소 흑점(포깅) 등의 문제점이 관찰된다. 인자 농도의 과도한 증가는 토너 소비량의 증가에 연결되고, 또한 1 도트 직경이 커져 미세한 계조가 깨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화상 메모리에 대해서도, 저온 저습 환경 하와는 반대로, 인자 화상의 농담이 그대로 반영된 포지티브 메모리가 현저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온도 습도 조건에 의한 특성 악화는, 감광층의 표면층 중의 수지 바인더나 전하 발생 재료의 흡습이나 방습이 원인이 되는 일이 많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11이나 특허문헌 12에 있어서와 같이 전하 발생층에 특정한 화합물을 첨가하거나, 특허문헌 13에 있어서와 같이 표면층에 특정한 폴리카보네이트계 고분자전하 수송 물질을 이용하는 등, 이제까지 여러 가지의 재료 검토가 이루어져 왔지만, 이들 감광체에 대한 온도 습도 조건의 영향을 억제하는 등의 제특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재료는, 지금까지 발견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14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온도 습도 조건에 의한 특성 악화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지만, 내마모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특허문헌 15에는, 광학 재료나 전기 재료에 사용 가능한 수지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아다만탄디카르복실산디알릴이 개시되어 있지만, 감광체용의 첨가 재료로서 아다만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검토는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16에는, 아다만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7에는, 아다만탄 구조를 갖는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18에는, 신규한 아다만탄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19, 20에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합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어느 문헌에서도, 이러한 화합물을 감광체에 있어서의 첨가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7-1224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소63-1835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825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7388호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6-75394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2004-19905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06109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평08-272126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평11-288113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26637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 특허 공개 평6-118678호 공보 특허문헌 12: 일본 특허 공개 평7-168381호 공보 특허문헌 1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3708호 공보 특허문헌 14: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79446호 공보 특허문헌 15: 일본 특허 공개 소60-100537호 공보 특허문헌 16: 일본 특허 공개 평9-265177호 공보 특허문헌 17: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9928호 공보 특허문헌 18: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6469호 공보 특허문헌 19: 미국 특허 제3342880호 명세서 특허문헌 20: 일본 특허 공개 소48-10055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체의 개량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충분한 내마모성 및 감광체로서의 제특성을 만족하면서, 유해 기체나 온도 습도 환경에 의한 감광체로의 악영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한층 더한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내마모성 및 감광체로서의 제특성을 만족함과 함께, 유해 기체나 온도 습도 환경에 의한 영향이 작은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감광체를 구성하는 각 층에 사용되는 수지 바인더의 구조에 착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수지 바인더가 막을 형성할 때에 분자 레벨에서 생기는 공극이 상기 제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막 중에 특정 구조를 갖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시켜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이 이 공극을 충전하는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감광체의 표면층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현재 시점에서,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등이 이용되고 있다. 감광층을 형성할 때에는, 여러 가지의 기능 재료를 용제에 용해시켜, 이것을 침지 도공이나 스프레이 도공 등을 이용하여 기체 상에 도공하고, 도포막을 형성한다. 이 때, 수지 바인더는 기능 재료를 감싸는 형태로 막을 형성하는 것이 되지만, 분자 레벨에서는 막 중에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의 공극이 생기게 된다. 이 공극이 크면, 감광체로서의 내마모성이 악화되거나, 기체나 수증기 등의 저분자 가스가 유출입되는 것에 기인하는 전기 특성의 악화를 초래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수지 바인더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을 적절한 크기의 분자에 의해 충전함으로써, 보다 강고한 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유해 기체나 수증기 등의 저분자 가스의 유출입을 억제하여, 결과로서 환경 변동에 의한 전기 및 화상 특성의 악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감광체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검토의 결과,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conductive base) 상에 적어도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1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내고, 치환되는 경우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이미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니트릴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언더코트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언더코트층이,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전하 발생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층이,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전하 수송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층이,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표면 보호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이,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감광층을 양 대전 단층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I-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첨가량은, 적합하게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에 포함되는 수지 바인더 100 질량부에 대하여, 30 질량부 이하로 한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2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은, 도전성 기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에,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감광층이나 표면 보호층 등의 감광체의 표면을 이루는 층에 함유시킴으로써, 사용하는 전하 수송 재료 등의 특성에 상관없이,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유해 기체나 수증기의 감광층 내부로의 침입을 억제하여, 환경 변동에 의한 전기 및 화상 특성의 변동이 적은 감광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전하 발생층이나 언더코트층에 이용함으로써 막중으로의 유해 기체나 수증기 등의 유출입을 억제하여, 환경 변동에 의한 전기 및 화상 특성의 변동이 적은 감광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는 유기 물질의 종류나 사용 환경의 온도 내지 습도의 변동에 좌우되지 않고, 전기 특성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메모리 등의 화상 장해가 발생하지 않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은, 종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음 대전 기능 분리 적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양 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에 따른 양 대전 기능 분리 적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 (I-1)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NMR 스펙트럼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기능 분리형 적층형 감광체로서의,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 및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와, 주로 양 대전형인 단층형 감광체로 크게 나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a)는 음 대전형의 기능 분리 적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내고, (b)는 양 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내며, (c)는 양 대전형의 기능 분리 적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체(1)의 위에, 언더코트층(2)과, 전하 발생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발생층(4) 및 전하 수송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수송층(5)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층(3)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또한, 양 대전 단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체(1)의 위에 언더코트층(2)과, 전하 발생 기능 및 전하 수송 기능의 양기능을 겸비하는 단일의 감광층(3)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또한,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체(1)의 위에, 언더코트층(2)과, 전하 수송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수송층(5) 및 전하 발생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발생층(4)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층(3)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또한, 어느 타입의 감광체에 있어서도, 언더코트층(2)은 필요에 따라 마련하면 좋고, 감광층(3)의 위에, 다시 표면 보호층(6)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감광층」이란,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적층한 적층형 감광층과, 단층형 감광층의 양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광체를 구성하는 각 층 중의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점이 중요하다. 즉,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감광층, 특히 양 대전형의 감광층을 갖는 구성의 감광체로 하는 경우에는, 감광층 중에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언더코트층을 갖는 구성의 감광체에 있어서는, 언더코트층에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전하 발생층을 갖는 구성의 감광체에 있어서는, 전하 발생층에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전하 수송층을 갖는 구성의 감광체에 있어서는, 전하 수송층에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표면 보호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층에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어느 타입의 감광체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감광층에 있어서의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은, 층 중에 포함되는 수지 바인더 100 질량부에 대하여, 30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 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3∼25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이 30 질량부를 초과하면, 석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감광층 이외의 층에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사용량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조예를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3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4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5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6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7
*1) 일반식 (I) 중, X, Y, Z는 페닐기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위치한다. 또한, 표 중의 Y는, 우측에서 X와 결합하고, 좌측에서 Z와 결합한다.
도전성 기체(1)는, 감광체의 일전극으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감광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지지체도 되는 것이고, 원통 형상이나 판 형상, 필름 형상 등의 어느 형상이라도 좋고, 재질적으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니켈 등의 금속류, 혹은 유리, 수지 등의 표면에 도전 처리를 실시한 것이라도 좋다.
언더코트층(2)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나 알루마이트 등의 금속 산화 피막으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기체로부터 감광층으로의 전하의 주입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또는 기체 표면의 결함의 피복이나, 감광층과 하지(下地)와의 접착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형성된다. 언더코트층에 이용되는 수지 재료로서는, 카제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멜라민, 셀룰로오스 등의 절연성 고분자,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단독 혹은 적절하게 조합하여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에,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 전하 발생층(4)은, 전하 발생 재료의 입자를 수지 바인더 중에 분산시킨 도포액을 도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광을 수용하여 전하를 발생한다. 또한, 그 전하 발생 효율이 높은 것과 동시에, 발생한 전하의 전하 수송층(5)으로의 주입성이 중요하고, 전장 의존성이 적으며, 저전장이라도 주입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 발생 재료로서는,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τ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α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β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Y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γ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비정질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각종 아조 안료, 안단트론(anthanthrone) 안료, 티아피릴륨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스쿠아릴륨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등을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노광 광원의 광파장 영역에 따라서 적합한 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4)은 전하 발생 기능을 가지면 좋기 때문에, 그 막 두께는 전하 발생 물질의 광흡수 계수에 의해 결정되고, 일반적으로는 1 ㎛ 이하이며, 적합하게는 0.5 ㎛ 이하이다.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재료를 주체로 하여, 이것에 전하 수송 재료 등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지 바인더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술폰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수지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하 수송층(5)은, 주로 전하 수송 재료와 수지 바인더에 의해 구성된다. 전하 수송 재료로서는, 각종 히드라존 화합물, 스티릴 화합물, 디아민 화합물, 부타디엔 화합물, 인돌 화합물 등을 단독 혹은 적절한 조합으로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바인더로서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Z형, 비스페놀 A형-비페닐 공중합체, 비스페놀 Z형-비페닐 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술폰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각각 단독 혹은 적절한 조합으로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이 상이한 동종의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전하 수송층(5)에 있어서의 전하 수송 재료의 사용량은, 수지 바인더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90 질량부, 적합하게는 3∼30 질량부이다. 또한, 수지 바인더의 함유량은, 전하 수송층(5)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0∼9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20∼80 질량%이다.
전하 수송층(5)에 이용하는 전하 수송 재료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8
Figure 112012069060378-pct00009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0
또한, 전하 수송층(5)의 막 두께는, 실용상 유효한 표면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5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4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층형 감광체)
본 발명에 있어서, 단층형의 경우의 감광층(3)은, 주로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억셉터성 화합물) 및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의 전하 발생 재료로서는, 예컨대,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아조 안료, 안단트론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다환 퀴논 안료, 스쿠아릴륨 안료, 티아피릴륨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전하 발생 재료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는, 아조 안료로서는, 디스아조 안료, 트리스아조 안료, 페릴렌 안료로서는, N,N'-비스(3,5-디메틸페닐)-3,4:9,10-페릴렌-비스(카르복시이미드), 프탈로시아닌계 안료로서는,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구리프탈로시아닌, 티타닐프탈로시아닌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τ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α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β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Y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비정질 티타닐프탈로시아닌, 일본 특허 공개 평8-209023호 공보, 미국 특허 제5736282호 명세서 및 미국 특허 제5874570호 명세서에 기재된 CuKα:X선 회절 스펙트럼으로써 블랙각 2θ가 9.6°를 최대 피크로 하는 티타닐프탈로시아닌을 이용하면, 감도, 내구성 및 화질의 점에서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전하 발생 재료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3)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0.1∼2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5∼10 질량%이다.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예컨대, 히드라존 화합물, 피라졸린 화합물, 피라졸론 화합물, 옥사디아졸 화합물, 옥사졸 화합물, 아릴아민 화합물, 벤지딘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스티릴 화합물, 폴리-N-비닐카르바졸, 폴리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정공 수송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광조사시에 발생하는 정공의 수송 능력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 전하 발생 재료와의 조합에 있어서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 재료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3)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3∼8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5∼60 질량%이다.
전자 수송 재료(억셉터성 화합물)로서는,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디브로모 무수 숙신산, 무수 프탈산, 3-니트로 무수 프탈산, 4-니트로 무수 프탈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프탈이미드, 4-니트로프탈이미드,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클로라닐, 브로마닐, o-니트로벤조산, 말로노니트릴, 트리니트로플루올레논, 트리니트로티옥산톤, 디니트로벤젠, 디니트로안트라센, 디니트로아크리딘, 니트로안트라퀴논, 디니트로안트라퀴논, 티오피란계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벤조퀴논 화합물, 디페노퀴논계 화합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스틸벤퀴논계 화합물, 아조퀴논계 화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전자 수송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수송 재료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3)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5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5∼40 질량%이다.
단층형 감광층(3)의 수지 바인더로서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Z형, 비스페놀 A형-비페닐 공중합체, 비스페놀 Z형-비페닐 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이 상이한 동종의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수지 바인더의 함유량으로서는, 단층형 감광층(3)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0∼9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20∼80 질량%이다.
단층형 감광층(3)의 막 두께는, 실용적으로 유효한 표면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1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4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 전하 수송층(5)은, 주로 전하 수송 재료와 수지 바인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하 수송 재료 및 수지 바인더로서는,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의 전하 수송층(5)에 대해서 예로 든 것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각 재료의 함유량이나 전하 수송층(5)의 막 두께에 관해서도,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전하 수송층(5) 상에 마련되는 전하 발생층(4)은, 주로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억셉터성 화합물) 및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및 수지 바인더로서는, 단층형 감광체에 있어서의 단층형 감광층(3)에 관해서 예를 든 것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각 재료의 함유량이나 전하 발생층(4)의 막 두께에 관해서도, 단층형 감광체에 있어서의 단층형 감광층(3)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언더코트층(2), 감광층(3), 전하 발생층(4) 및 전하 수송층(5)에는, 감도의 향상, 잔류 전위의 감소, 혹은 내환경성이나 유해한 광에 대한 안정성의 향상, 내마찰성을 포함한 고내구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본 발명의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외에,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디브롬 무수 숙신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프탈이미드, 4-니트로프탈이미드,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클로라닐, 브로마닐, o-니트로벤조산, 트리니트로플루올레논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 방지제나 광 안정제 등의 열화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화합물로서는, 토코페롤 등의 크로마놀 유도체 및 에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화합물, 폴리아릴알칸 화합물, 히드로퀴논 유도체, 디에테르 화합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티오에테르 화합물,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포스폰산에스테르, 아인산에스테르, 페놀 화합물, 힌더드 페놀 화합물, 직쇄아민 화합물, 환상 아민 화합물, 힌더드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감광층 중에는, 형성한 막의 레벨링성의 향상이나, 한층 더한 윤활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실리콘 오일이나 불소계 오일 등의 레벨링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막 경도의 조정이나, 마찰 계수의 저감, 윤활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산화규소(실리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산화지르코늄 등의 금속 산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의 금속 황화물,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질화물의 미립자, 또는 사불화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계 수지 입자, 불소계 빗살형 그래프트 중합 수지 등을 함유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전자 사진 특성을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광층 표면에, 내환경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표면 보호층(6)을 마련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6)은,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구성 및 내환경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되고, 전하 발생층이 감응하는 광을 될 수 있는 한 저손실로 투과시키는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6)은, 수지 바인더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나, 비정질 카본 등의 무기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지 바인더 중에는, 도전성의 향상이나, 마찰 계수의 저감, 윤활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산화규소(실리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등의 금속 산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의 금속 황화물,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질화물,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또는 사불화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계 수지, 불소계 빗살형 그래프트 중합 수지 등의 입자를 함유시켜도 좋다.
표면 보호층(6)에는, 내마모성의 향상이나, 기체나 증기의 유출입을 억제할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하 수송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상기 감광층에 이용되는 전하 수송 물질이나 전자 수용 물질을 함유시키거나, 형성한 막의 레벨링성의 향상이나 윤활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실리콘 오일이나 불소계 오일 등의 레벨링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6) 자체의 막 두께는, 표면 보호층의 배합 조성에도 의존하지만, 반복 연속 사용했을 때에 잔류 전위가 증대하는 등의 악영향이 나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체를 제조할 때에, 감광체를 구성하는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 중에,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시킨다. 이러한 도포액은, 침지 도포법 또는 분무 도포법 등의 여러 가지의 도포 방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느 하나의 도포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자 사진 장치)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각종 머신 프로세스에 적용함으로써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롤러나 브러시를 이용한 접촉 대전 방식, 코로트론(corotron), 스코로트론(scorotron) 등을 이용한 비접촉 대전 방식 등의 대전 프로세스, 및 비자성 일성분, 자성 일성분, 이성분 등의 현상 방식을 이용한 접촉 현상 및 비접촉 현상 방식 등의 현상 프로세스에 있어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전자 사진 장치(60)는, 도전성 기체(1)와 그 외주면상에 피복된 언더코트층(2), 감광층(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 감광체(7)를 탑재한다. 또한, 이 전자 사진 장치(60)는, 감광체(7)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롤러 대전 부재(21)와, 이 롤러 대전 부재(21)에 인가 전압을 공급하는 고압 전원(22)과, 상 노광 부재(23)와, 현상 롤러(241)를 구비한 현상기(24)와, 급지 롤러(251) 및 급지 가이드(252)를 구비한 급지 부재(25)와, 전사 대전기(직접 대전형)(26)와, 클리닝 블레이드(271)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27)와, 제전 부재(28)로 구성되고, 컬러 프린트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합성예
Ar 기류의 하, 1000 ㎖의 3구 플라스크 내에서, 70 ㎖의 탈수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수소화나트륨 19.6 g을 현탁하고, 140 ㎖의 탈수 THF에 히드로퀴논 23.10 g을 녹인 용액을 적하하였다. 적하 후, 50℃에서 8시간 반응시켜, 실온까지 냉각한 후, 280 ㎖의 탈수 THF에 아다만탄카르복실산클로라이드 97.3 g을 녹인 용액을 천천히 적하하고, 그 후, 70 ㎖의 테트라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60℃에서 하루 반응 후, 감압 하 농축하여, 1000 ㎖의 이온 교환수로 반응액을 3회 세정하였다. THF로 3회 재결정을 행하고 정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41.9 g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서는, NMR 스펙트럼, 질량 분석 스펙트럼, 적외 분광 스펙트럼 등의 기계 분석을 이용하여 구조의 확인을 실시하였다. 이 중, 이러한 화합물의 NMR 스펙트럼 차트를, 도 3에 나타낸다.
<음 대전 적층형 감광체의 제조예>
실시예 1
도전성 기체로서의 외부 직경 φ 30 ㎜의 알루미늄 원통의 외주에, 언더코트층으로서, 알코올 가용성 나일론(상품명「아밀란 CM8000」, 도레이(주) 제조) 5 질량부와, 아미노실란 처리된 산화티탄 미립자 5 질량부를, 메탄올 9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조제한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0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막 두께 약 2 ㎛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언더코트층 상에, 전하 발생 재료로서의 일본 특허 공개 소64-17066호 공보 또는 미국 특허 제4898799호 명세서에 기재된 Y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1.5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비닐부티랄(상품명「에스렉크 B BX-1」, 세키스이가가꾸고교(주) 제조) 1.5 질량부를, 디클로로메탄과 디클로로에탄과의 등량 혼합물 60 질량부에 샌드밀 분산기로 1시간 분산시켜 조제한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8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막 두께 약 0.3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전하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구조식 (II-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100 질량부를 디클로로메탄 900 질량부에 용해한 후, 실리콘 오일(KP-340, 신에츠폴리머(주) 제조)을 0.1 질량부 가하여, 다시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0 질량부 가하여 조제한 도포액을 도포 성막하고, 온도 9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약 25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고,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76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식 (I-2)∼(I-7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각각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7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1.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8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3.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9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6.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0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하 수송층에 첨가하지 않고, 언더코트층에 3.0 질량부로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1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하 수송층에 첨가하지 않고, 전하 발생층에 3.0 질량부로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전하 수송층용 도포액으로부터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실리콘 오일을 제거하여, 전하 수송층을 막 두께 20 ㎛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다시 그 상층에, 전하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구조식 (II-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Z-500, 미쓰비시가스가가꾸(주) 제조) 120 질량부를, 디클로로메탄 900 질량부에 용해한 후, 실리콘 오일(KP-340, 신에츠폴리머(주) 제조)을 0.1 질량부 가하고, 다시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2 질량부 가하여 조제한 도포액을 도포 성막하며, 온도 9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약 10 ㎛의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고,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3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하 수송층에 첨가하지 않고, 언더코트층에 3.0 질량부 가함과 함께, 전하 발생층에 1.0 질량부 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4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언더코트층에 3.0 질량부 가하고, 다시, 전하 수송층 중의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3.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5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하 발생층에 3.0 질량부 가하고, 전하 수송층 중의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3.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6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언더코트층에 3.0 질량부 가함과 함께, 전하 발생층에 1.0 질량부 가하고, 또한 전하 수송층 중의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3.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하 발생 재료를, 일본 특허 공개 소61-217050호 공보 또는 미국 특허 제4728592호 명세서에 기재된 α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8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하 발생 재료를,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다이니폰잉크가가꾸고교 제조, Fastogen Blue 8120B)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하 수송층에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하 수송층에 첨가하지 않고, 전하 수송층에 이용하는 수지 바인더의 양을 110 질량부로 증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전하 수송층에,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는 대신에, 프탈산디옥틸(와코쥰야쿠고교(주) 제조)을 10 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7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8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88 및 비교예 1∼5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HP사 제조의 LJ4250에 탑재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우선, 감광체 표면을 어두운 곳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650V로 대전시킨 후, 대전 직후의 표면 전위(V0)를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이 감광체를, 어두운 곳에서 5초간 방치한 후, 표면 전위(V5)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서 대전후 5초 후에 있어서의 전위 유지율(Vk5)(%)을 구하였다.
Vk5=V5/V0×100
다음에, 할로겐 램프를 광원으로 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780 ㎚로 분광한 노광광을, 감광체에 대하여, 표면 전위가 -600 V가 된 시점에서 5초간 조사하여, 표면 전위가 -300 V가 될 때까지 광감쇠하는 데 필요한 노광량을 E1/2(μJcm-2), -50 V가 될 때까지 광감쇠하는 데 필요한 노광량을 감도 E50(μJcm-2)으로 하여 구하였다.
또한, 감광체를 오존 분위기 하로 방치할 수 있는 오존 폭로 장치 내에, 상기 실시예 1∼88 및 비교예 1∼5에서 제작한 감광체를 설치하고, 100 ppm으로 2시간 오존 폭로한 후, 상기 전위 유지율을 재차 측정하며, 오존 폭로 전후의 유지율 Vk5의 변화의 정도를 구하여, 백분률로서 오존 폭로 유지 변화율(ΔVk5)로 하였다. 오존 폭로 전의 유지율을 Vk51로 하고, 오존 폭로 후의 유지율을 Vk52로 하면, 오존 폭로 유지 변화율은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
ΔVk5=Vk52(오존 폭로 후)/Vk51(오존 폭로 전)
상기 측정 결과로서의, 실시예 1∼88 및 비교예 1∼5로 제작한 감광체의 전기 특성을,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1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2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3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4
*2) Y-TiOPc는 Y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α-TiOPc는 α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 X-H2Pc는 X형 무금속 티타닐프탈로시아닌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감광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첨가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초기의 전기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또한 오존 폭로 전후에서의 유지율의 변동은 억제되고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첨가하는 대신에 전하 수송층에 이용하는 수지 바인더의 양을 증량한 비교예 2에서는, 감도가 약간 지연되고, 그리고 오존 폭로 전후에서의 유지율의 변동이 커지는 결과가 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함에 따른 효과는, 단순히 전하 수송층용의 수지 바인더를 증량함으로써는 이룰 수 없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전하 발생 재료로서의 프탈로시아닌을 변경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함에 따른 큰 초기 감도의 변동은 거의 보이지 않고, 또한 오존 폭로 전후에서의 유지율의 변동은 억제되고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 1∼88 및 비교예 1∼5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감광체의 표면 전위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조를 실시한, 2 성분 현상 방식의 디지털 복사기(캐논사 제조, image Runner color 2880)에 탑재하고, 복사기의 10만장 인자 전후의 전위 안정성, 화상 메모리 및 감광층의 종이나 블레이드와의 마찰에 의한 막 마모량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화상 평가는, 전반 부분에 체커드 플래그 모양, 후반 부분에 하프톤을 실시한 화상 샘플의 인자 평가에 있어서, 하프톤 부분에 체커드 플래그가 비춰지는 메모리 현상의 유무를 판독함으로써 행하였다. 결과는, 메모리가 관찰되지 않은 것에는 ○를, 메모리가 약간 관찰된 것에는 △를, 메모리가 명확히 관찰된 것에는 ×를 나타내고, 원래의 화상과 농담이 동일하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포지티브)의 판정, 원래의 화상과 농담이 반대로, 즉, 반전하여 화상이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네거티브)의 판정을 행하였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5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6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7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8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각 층에 첨가함으로써, 첨가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초기의 실기 전기 특성에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또한 10만장 반복 인자 후의 막 마모량을 5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이 때, 인자 후의 전위 및 화상 평가에 있어서 문제가 보이는 일은 없었다.
다음에, 상기 디지털 복사기에 의한, 저온 저습으로부터 고온 고습까지의 사용 환경마다의 감광체의 전위 특성을 조사하고, 동시에 화상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19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0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1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2
*3) 온도 5℃, 습도 10%
*4) 온도 25℃, 습도 50%
*5) 온도 35℃, 습도 85%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전위나 화상의 환경 의존성이 적어지고, 특히 저온 저습에서의 메모리가 크게 개선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양 대전 단층형 감광체의 제조예>
실시예 89
도전성 기체로서의 외부 직경 φ 24 ㎜의 알루미늄 원통의 외주에, 알코올 가용성 나일론(상품명「아밀란 CM8000」, 도레이(주) 제조) 5 질량부, 및 아미노실란 처리된 산화티탄 미립자 5 질량부를, 메탄올 9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조제한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0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약 2 ㎛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정공 수송 물질로서의 상기 식 (II-12)로 표시되는 스티릴 화합물 7.0 질량부와, 전자 수송 물질로서의 하기 식 (III-1)로 표시되는 화합물 3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9.6 질량부와, 실리콘 오일(상품명「KF-54」, 신에츠폴리머(주) 제조) 0.04 질량부와,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질량부를, 염화메틸렌 100 질량부에 용해시키고, 전하 발생 물질로서의 미국 특허 제3357989호 명세서에 기재된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0.3 질량부를 첨가한 후, 샌드그라인드밀에 의해 분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도포액을 이용하여, 상기 언더코트층 상에 도막을 형성하고, 온도 100℃에서 60분간 건조함으로써, 막 두께 약 25 ㎛의 단층형 감광층을 형성하고, 양 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얻었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3
실시예 90∼93
실시예 89에서 사용한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구조식 (I-2), (I-21), (I-29), (I-37)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각각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89와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9와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89에서 사용한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프탈산디옥틸(와코쥰야쿠고교(주) 제조)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89와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89∼93 및 비교예 6, 7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우선, 감광체 표면을 어두운 곳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650 V로 대전시킨 후, 대전 직후의 표면 전위(V0)를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이 감광체를, 어두운 곳에서 5초간 방치한 후, 표면 전위(V5)를 측정하여, 하기 식에 따라서 대전 후 5초 후에 있어서의 전위 유지율 Vk5(%)을 구하였다.
Vk5=V5/V0×100
다음에, 할로겐 램프를 광원으로 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780 ㎚로 분광한 1.0μW/㎠의 노광광을, 감광체에 대하여, 표면 전위가 +600 V가 된 시점에서 5초간 조사하여, 표면 전위가 +300 V가 될 때까지 광감쇠하는 데에 필요한 노광량을 E1/2(μJcm-2), +50 V가 될 때까지 광감쇠하는 데 필요한 노광량을 감도 E50(μJcm-2)으로 하여 구하였다.
또한, 감광체를 오존 분위기 하에 방치할 수 있는 오존 폭로 장치 내에, 상기 실시예 89∼93 및 비교예 6, 7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설치하고, 100 ppm에서 2시간 오존 폭로한 후, 상기 전위 유지율을 재차 측정하여, 오존 폭로 전후의 유지율 Vk5의 변화의 정도를 구하여, 백분률로서 오존 폭로 유지 변화율(ΔVk5)로 하였다. 오존 폭로 전의 유지율을 Vk51로 하고, 오존 폭로 후의 유지율을 Vk52로 하면, 오존 폭로 유지 변화율은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
ΔVk5=Vk52(오존 폭로 후)/Vk51(오존 폭로 전)
상기 측정 결과로서의, 실시예 89∼93 및 비교예 6, 7에서 제작한 감광체의 전기 특성을,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4
*6) X-H2Pc는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을 나타낸다.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각 층에 첨가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초기의 전기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또한 오존 폭로 전후에서의 유지율의 변동은 억제되고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음에, 실시예 89∼93 및 비교예 6, 7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감광체의 표면 전위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조를 실시한, 브라더사 제조의 프린터 HL-2040에 탑재하고, 프린터의 1만장 인자 전후의 전위 안정성, 화상 메모리 및 감광층의 종이나 블레이드와의 마찰에 의한 막 마모량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화상 평가는, 전반 부분에 체커드 플래그 모양, 후반 부분에 하프톤을 실시한 화상 샘플의 인자 평가에 있어서, 하프톤 부분에 체커드 플래그가 비춰지는 메모리 현상의 유무를 판독함으로써 행하였다. 결과는, 메모리가 관찰되지 않은 것에는 ○를, 메모리가 약간 관찰된 것에는 △를, 메모리가 명확히 관찰된 것에는 ×을 나타내고, 원래의 화상과 농담이 동일하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포지티브)의 판정, 원래의 화상과 농담이 반대로, 즉, 반전하여 화상이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네거티브)의 판정을 행하였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5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각 층에 첨가함으로써,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초기의 실기 전기 특성에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또한 1만장 반복 인자 후의 막 마모량을 5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이 때, 인자 후의 전위 및 화상 평가에 있어서 문제는 보이지 않았다.
다음에, 상기 프린터에 의한, 저온 저습으로부터 고온 고습까지의 사용 환경마다의 감광체의 전위 특성을 조사하고, 동시에 화상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6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전위나 화상의 환경 의존성이 적어지고, 특히 저온 저습 하에서의 메모리가 크게 개선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의 제조>
실시예 94
전하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15)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50 질량부와,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질량부를, 디클로로메탄 800 질량부에 용해하여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도전성 기체로서의 외부 직경 24 ㎜의 알루미늄제 원통의 외주에, 이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2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5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 전하 수송층 상에, 전하 발생 물질로서의 미국 특허 제3357989호 명세서에 기재된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1.5 질량부와, 정공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15)로 표시되는 스틸벤 화합물 10 질량부와,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I-1)로 표시되는 화합물 25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60 질량부를, 1,2-디클로로에탄 80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조제한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0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5 ㎛의 감광층을 형성하고,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5
전하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15)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50 질량부를, 디클로로메탄 800 질량부에 용해하여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도전성 기체로서의 외부 직경 24 ㎜의 알루미늄제 원통의 외주에, 이 도포액을 침지 도공 하고, 온도 12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5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 전하 수송층 상에, 전하 발생 물질로서의 미국 특허 제3357989호 명세서에 기재된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1.5 질량부와, 정공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15)로 표시되는 스틸벤 화합물 10 질량부와,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I-1)로 표시되는 화합물 25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60 질량부와,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질량부를, 1,2-디클로로에탄 80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조제한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0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5 ㎛의 감광층을 형성하고,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6
전하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15)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50 질량부와,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질량부를, 디클로로메탄 800 질량부에 용해하여,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도전성 기체로서의 외부 직경 24 ㎜의 알루미늄제 원통의 외주에, 이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2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5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 전하 수송층 상에, 전하 발생 물질로서의 미국 특허 제3357989호 명세서에 기재된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1.5 질량부와, 정공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15)로 표시되는 스틸벤 화합물 10 질량부와,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III-1)로 표시되는 화합물 25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상품명「팬라이트 TS-2050」, 데이진카세이(주) 제조) 60 질량부와,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질량부를, 1,2-디클로로에탄 80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조제한 도포액을 침지 도공하고, 온도 10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5 ㎛의 감광층을 형성하고 양 대전 적층형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4와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96에서 사용한 상기 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프탈산디옥틸(와코쥰야쿠고교(주) 제조)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96과 동일하게 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94∼96 및 비교예 8, 9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실시예 89 등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로서의, 실시예 94∼96 및 비교예 8, 9로 제작한 감광체의 전기 특성을,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7
*7) X-H2Pc는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을 나타낸다.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각 층에 첨가제로서 사용한 경우라도, 초기의 전기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또한 오존 폭로 전후에서의 유지율의 변동은 억제되고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음에, 실시예 94∼96 및 비교예 8, 9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감광체의 표면 전위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조를 실시한, 브라더사 제조의 프린터 HL-2040에 탑재하고, 프린터의 1만장 인자 전후의 전위 안정성, 화상 메모리 및 감광층의 종이나 블레이드와의 마찰에 의한 막 마모량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화상 평가는, 실시예 89 등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였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8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각 층에 첨가함으로써, 첨가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초기의 실기 전기 특성에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또한 1만장 반복 인자 후의 막 마모량을 5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이 때, 인자 후의 전위 및 화상 평가에 있어서 문제는 보이지 않았다.
다음에, 상기 디지털 복사기에 의한, 저온 저습으로부터 고온 고습까지의 사용 환경마다의 감광체의 전위 특성을 조사하고, 동시에 화상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9060378-pct00029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전위나 화상의 환경 의존성이 적어지고, 특히 저온 저습 하에서의 메모리가 크게 개선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상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여러 가지의 대전 프로세스, 현상 프로세스, 또는 감광체에 대한 음 대전 프로세스 및 양 대전 프로세스의 각종 프로세스의 여하에 의하지 않고, 충분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특정한 화합물을 첨가제로서 이용함으로써, 초기, 반복 사용 시 및 사용 환경 조건의 변화 시에 있어서의 전기 특성이 안정하고, 각 조건에 있어서도 화상 메모리 등의 화상 장해가 발생하지 않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가 실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1: 도전성 기체 2: 언더코트층
3: 감광층 4: 전하 발생층
5: 전하 수송층 6: 표면 보호층
21: 롤러 대전 부재 22: 고압 전원
23: 상노광 부재 24: 현상기
241: 현상 롤러 25: 급지 부재
251: 급지 롤러 252: 급지 가이드
26: 전사 대전기(직접 대전형) 27: 클리닝 장치
271: 클리닝 블레이드 28: 제전 부재
60: 전자 사진 장치 300: 감광층

Claims (10)

  1. 도전성 기체(conductive base) 상에 적어도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0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2.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언더코트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언더코트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1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3.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전하 발생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2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4.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전하 수송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3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5. 도전성 기체 상에 적어도 표면 보호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4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양(陽) 대전 단층형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양 대전 적층형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이, 하기 식 (I-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5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의 첨가량이, 상기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에 포함되는 수지 바인더 100 질량부에 대하여, 30 질량부 이하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10. 도전성 기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에,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아다만틸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
    Figure 112012069060378-pct00036

    [일반식 (I) 중,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복소환 기를 나타내고, X, Z는 단결합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는 OCO기 또는 COO기를 나타낸다]
KR1020127022441A 2010-03-01 2010-03-01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25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3263 WO2011108064A1 (ja) 2010-03-01 2010-03-01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37A KR20130045237A (ko) 2013-05-03
KR101525655B1 true KR101525655B1 (ko) 2015-06-03

Family

ID=4454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441A KR101525655B1 (ko) 2010-03-01 2010-03-01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65336B2 (ko)
JP (1) JP5429654B2 (ko)
KR (1) KR101525655B1 (ko)
CN (1) CN102834781B (ko)
TW (1) TWI414913B (ko)
WO (1) WO2011108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9803B (zh) 2012-04-20 2018-09-04 富士电机株式会社 电子照相用感光体、其制造方法和电子照相装置
WO2015008323A1 (ja) 2013-07-16 2015-01-22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US20150362847A1 (en) * 2014-06-13 2015-12-17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N107430358B (zh) * 2015-06-11 2020-12-11 富士电机株式会社 电子照相用感光体、其制造方法以及电子照相装置
CN107193191A (zh) * 2017-06-21 2017-09-22 苏州恒久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正电性彩色有机光导体涂布方法及其制得的有机光导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125A (ja) * 1992-11-17 1994-06-07 Mita Ind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WO1999050356A1 (fr) * 1998-03-31 1999-10-0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composition a base d'eau, adhesif auto-adhesif, thermosensible et feuille thermosensibl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880A (en) 1963-03-14 1967-09-19 Du Pont Adamantane derivatives
JPS56100537A (en) 1980-01-14 1981-08-12 Hitachi Denshi Ltd Nonresponse display system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S57122444A (en) 1981-01-23 1982-07-30 Canon Inc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JPS60100537A (ja) * 1983-11-08 1985-06-04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アダマンタンジカルボン酸ジアリル
JPS6318355A (ja) 1986-07-10 1988-01-26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
GB2201254B (en) 1986-07-10 1989-12-28 Konishiroku Photo I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EP0485049B1 (en) * 1990-07-06 1998-09-23 Fuji Photo Film Co., Ltd. An electrophotographic lithographic printing plate precursor
JPH04174859A (ja) * 1990-11-08 1992-06-23 Fujitsu Ltd 電子写真感光体
JP3229975B2 (ja) 1992-07-09 2001-11-1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7168381A (ja) 1992-09-24 1995-07-04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
JPH06118678A (ja) 1992-10-07 1994-04-28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
JP3939775B2 (ja) 1994-10-31 2007-07-0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
JP3006475B2 (ja) 1996-03-28 2000-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US6030733A (en) 1998-02-03 2000-02-29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with water vapor permeability
JPH11288113A (ja) 1998-02-03 1999-10-19 Ricoh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US6139998A (en) * 1998-03-23 2000-10-31 Konica Corporation Transparent substrat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a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using the same
JP3773238B2 (ja) 1999-04-30 2006-05-1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その物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KR20010009339A (ko) 1999-07-09 2001-02-05 박찬구 카르복시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1072645A (ja) 1999-09-06 2001-03-21 Idemitsu Petrochem Co Ltd ジカルボン酸ジアダマンチル類化合物
JP2001265033A (ja) * 2000-03-21 2001-09-28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感光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4137396B2 (ja) 2001-03-07 2008-08-2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JP4082875B2 (ja) 2001-03-26 2008-04-3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3999027B2 (ja) 2002-04-18 2007-10-31 出光興産株式会社 新規なアダマンタ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化合物
CN1742236A (zh) 2002-12-06 2006-03-01 三菱化学株式会社 电照相光感受器
JP4214903B2 (ja) 2002-12-06 2009-01-28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EP1571495A4 (en) 2002-12-13 2008-04-09 Mitsubishi Chem Corp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THE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CONTAINING DRUM CASSETTE AND IMAGING DEVICE
JP4400208B2 (ja) 2002-12-13 2010-01-20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用いた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26637A (ja) 2003-01-22 2004-08-12 Kyocera Mita Corp 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1206650B1 (ko) * 2004-05-20 2012-11-29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 감광체
JP4798494B2 (ja) 2006-04-07 2011-10-19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92914A1 (en) * 2007-10-09 2009-04-09 Xerox Corporation Phosphonium containing photogenerating layer photocondu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125A (ja) * 1992-11-17 1994-06-07 Mita Ind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WO1999050356A1 (fr) * 1998-03-31 1999-10-0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composition a base d'eau, adhesif auto-adhesif, thermosensible et feuille thermosensi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108064A1 (ja) 2013-06-20
WO2011108064A1 (ja) 2011-09-09
KR20130045237A (ko) 2013-05-03
CN102834781A (zh) 2012-12-19
US8765336B2 (en) 2014-07-01
CN102834781B (zh) 2014-12-31
TWI414913B (zh) 2013-11-11
US20130022904A1 (en) 2013-01-24
JP5429654B2 (ja) 2014-02-26
TW201142550A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781B1 (ko)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그 제조 방법
JP4798494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5849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107973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432694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WO2010092695A1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101525655B1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00225594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631183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741165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1066805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US20040180279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37732B1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 제조 방법
JP4461623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3107761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8250071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1249472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2214806A (ja) 単層型正帯電有機感光体
KR20140059711A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