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740B1 -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 - Google Patents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740B1
KR101515740B1 KR1020137025418A KR20137025418A KR101515740B1 KR 101515740 B1 KR101515740 B1 KR 101515740B1 KR 1020137025418 A KR1020137025418 A KR 1020137025418A KR 20137025418 A KR20137025418 A KR 20137025418A KR 101515740 B1 KR101515740 B1 KR 10151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external
user
inter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451A (ko
Inventor
세이이치 노다
가즈야 하라
다카마사 하타노
가즈히로 스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2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garag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어 장치 (40) 는, 입출고 문 (12) 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 (1) 의 기동 조작과, 입출고 문 (12) 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 (14) 과,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외부 조작반 (14) 의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갔을 때에,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를 형성하여 그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들어간 것을 검지하고,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발신하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 중인 것을 조건으로,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허가하는 주제어부 (41)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CONTROL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FACILITY, CONTROL METHOD, AND MECHANICAL PARKING FACILITY}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에 관련되며, 특히 차량의 입고시 및 출고시에, 그 차량의 사용자 (드라이버) 자신이 입출고 문을 개폐 조작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기계식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오피스 빌딩이나 맨션 등에 병설되어 있는 기계식 주차장에서는, 계약한 사용자만이 사용하기 때문에, 미리 각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나, 비밀 카드 혹은 리모컨과 같은 전용 휴대 인증 매체를 대여해 두고, 각 사용자가 차량을 입출고시킬 때에는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정보를 조작반에 입력 또는 수신시킴으로써, 차체 반송기 (팔레트, 리프트 등) 의 호출과, 입출고 문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차장 관리인 (오퍼레이터) 에 의한 조작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고, 각 사용자 자신에 의해 입출고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주차장 관리인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 자신에 의해 차체 반송기의 호출이나 입출고 문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확인 부족에 의해 입출고 문의 내측 승입실 (乘入室) 에 타인이나 다른 차량이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고시에 있어서, 조작반에 있어서의 사용자 인증이 끝나고, 공차의 차체 반송기가 입출고구로 호출되고 있을 때, 차체 반송기의 도착까지 수 분의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사용자가 그 자리를 떠나 부재가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에, 때마침 다른 사용자의 차량이 와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지 않은 채, 선 (先) 사용자를 위해서 승입실로 호출된 차체 반송기에 그대로 올라타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대합 로비 등에 원격 조작반이 설치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는, 입고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원격 조작으로 인증 조작을 실시하고, 입출고구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다른 사용자가 선 사용자와 입출고구 사이에 끼어들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차체 반송기에 올라타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이 공차의 차체 반송기가 호출된 후, 호출을 실시한 사용자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나, 사용자의 도착이 늦은 경우에, 입출고 문을 열고 대기하고 있는 승입실 내부에 아이가 들어가 놀아, 그 사이에 기계식 주차장의 반송 장치가 기동된다는 위험 사태가 발생하거나, 외부인이 고의로 내부에 침입하여 주차 차량에 대해 차량 털이나 못된 장난 등을 실시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기계식 주차장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기계식 주차장은, 원격 조작용 부조작반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이 끝나고, 입출고구 (승입실) 에 차체 반송기가 도착해도, 입출고구에 설치된 주조작반에 있어서 재차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부조작반에 있어서의 인증 정보와 주조작반에 있어서의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한, 입출고 문이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가 부재, 혹은 도착이 늦어지는 동안에 타인이나 타차가 승입실에 들어가는 것을 많이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80218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기계식 주차장으로서도, 예를 들어 어느 사용자가 승입실에 있을 때에, 다음 사용자가 입출고를 위해서 방문하여, 선 사용자가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실수로 입출고 문을 닫아 반송 장치를 기동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요즘에는 전동 차량용 충전 설비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이 보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주차장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승입실에 주차시킨 전동 차량의 차체에 형성된 충전구와 승입실 내에 설치된 충전용 콘센트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하거나, 혹은 접속을 분리하여 충전 케이블을 회수한다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자칫하면 이 작업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게다가 사용자는 차체 옆에서 웅크리고 작업해야 한다. 어둑어둑한 승입실 내에서 이와 같이 웅크리고 충전 작업을 하고 있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잘 인식되지 않고, 이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 사람이 없다고 오인하여 입출고 문을 닫아 버릴 가능성이 적지 않다.
게다가, 특허문헌 1 의 기계식 주차장에서는, 부조작반과 주조작반에 있어서 각각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2 번의 인증 조작이 귀찮은데다가, 차량을 입고시키기 전 혹은 출고시킨 후에, 일단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여 2 번째 인증 조작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수고가 든다. 2 번째 인증 조작을 차 내에서 리모컨 조작으로 실시하도록 하면 편리성이 높아지지만, 그렇게 하면 원격 위치에서라도 입출고 문을 닫을 수 있게 되어버리기 때문에, 승입실의 내부에 사람이 남겨져 있어도 충분히 확인할 수 없다. 또한, 1 번째 인증 조작과 2 번째 인증 조작을 다른 사람이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감금되는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의 입출고에 관련되는 일련의 작업을 최초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 사용자만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의 입고를 방지함과 함께, 승입실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고, 또한 인증 조작이나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기계식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1 양태는, 입출고 문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의 기동 조작과, 상기 입출고 문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과, 상기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외부 조작반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인증 매체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를 형성하여 그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들어간 것을 검지 (檢知) 하고,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를 발신하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과, 상기 외부 인증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의 조작을 허가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 장치에 의하면,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이 휴대 인증 매체를 검지하여, 이 휴대 인증 매체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를 발신하고, 이 외부 인증 신호를 수신한 제어 수단이,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즉 외부 조작반의 근처에 있는 사용자에게만 외부 조작반의 조작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제어 수단이 외부 조작반의 조작을 허가하는 것은, 외부 인증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이 조건이 되기 때문에, 외부 조작반을 조작하여 입출고 문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은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한정된다.
이 때문에, 차체 반송기가 승입실에 도착하고, 입출고 문이 열리는 단계에서는, 차체 반송기를 호출한 사용자가 입출고 문의 부근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지 않으면 입출고 문이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호출을 실시한 사용자가 부재인 채, 인증을 받지 않은 외부인이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외부 조작반이 마음대로 조작되어 입출고 문이 열려 버려,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이 승입실에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차량의 입출고가 완료되고, 입출고 문이 닫히는 단계에서는, 승입실 안에 아직 사용자가 있는데, 그 사정을 모르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외부 조작반이 마음대로 조작되어 입출고 문이 닫혀 버리는 경우가 없다. 이에 따라 승입실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기계식 주차장의 안전한 운행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2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외부 인증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을 자동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에서 수동에 의해 인증 조작을 실시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원격 인증 에어리어를 형성하여 그 원격 인증 에어리어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들어간 것을 검지하고,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를 발신하는 원격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원격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원격 인증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대합 로비 등에 원격 조작반이 설치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는,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을 자동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증된 사용자가 입출고구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소정의 차체 반송기를 호출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함과 함께,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에서 수동에 의해 인증 조작을 실시하는 수고를 생략하여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문의 내측 승입실의 내부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를 형성하는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그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은,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들어간 것을 검지하여 내부 인증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내부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상기 사용자가 있는 것과,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을 상기 외부 조작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하고,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인증된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 있을 때에는, 이 사용자가 갖는 휴대 인증 매체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에 의해 인식되어, 외부 조작반에는 승입실 내에 사용자가 있는 것과, 휴대 인증 매체가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먼저 인증된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서 전동 차량의 충전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사정을 모르는 다음 사용자가 와도, 이 사용자는 외부 조작반을 확인함으로써 승입실 내에 사람 (먼저 인증된 사용자) 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승입실 내 (차량 내부 등) 에 휴대 인증 매체를 두고 온 경우에도, 두고 온 휴대 인증 매체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에 의해 인식되어, 휴대 인증 매체가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이 외부 조작반에 표시되고, 게다가 휴대 인증 매체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없으므로 외부 조작반에 의한 입출고 문의 폐문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 인증 매체를 두고 온 것을 깨닫고 바로 승입실 내로 가지러 되돌아가고, 다시 외부 조작반 앞에 와서 입출고 문의 폐문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출고 문의 폐문 조작이 정체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여, 다른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5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반 및 상기 입출고구의 부근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외부 감응 신호를 발신하는 외부 감응 센서와, 경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감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휴대 인증 매체를 갖지 않은, 악의를 가진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이나 입출고 문의 부근에 접근하여 부정한 입고를 시도한 경우에는, 이 외부인을 외부 감응 센서가 검지하여 외부 감응 신호를 발신한다. 이 외부 감응 신호를 수신한 제어 수단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당연히 인증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제어 수단은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때문에,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이나 입출고 문의 부근에 장시간 체재할 수 없고, 차고 장치 내로의 부정한 입고가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6 양태는, 상기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사람이나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내부 감응 신호를 발신하는 내부 감응 센서와, 경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고,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만일 입출고 문이 열려 있고, 휴대 인증 매체에 의해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 없을 때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이 승입실에 입고한 경우에는, 이것을 내부 감응 센서가 검지하여 내부 감응 신호를 발신한다. 제어 수단은,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당연히 인증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때문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이 승입실 내에 부정하게 입고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내부 감응 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은, 내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정규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서 넘어지거나, 어떠한 사정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거나, 충전 조작을 모르거나 해도,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인이나 외부 사람이 이 상황을 신속하게 찰지하여 구호나 원조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의 제 7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는,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인식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외부 조작반을 원격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차량의 입출고시에, 차량을 입출고구의 앞에 정차시킨 후,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를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인식시켜 인증을 받음과 함께, 휴대 인증 매체의 리모컨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지 않고 외부 조작반을 원격 조작하여, 장치의 기동이나 입출고 문의 개폐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증이나 입출고 문의 개폐 조작을 위해서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수고를 생략하여, 인증 조작이나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휴대 인증 매체에 의한 외부 조작반의 원격 조작은 외부 인증 에어리어 이외로부터는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승입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원격 위치로부터 입출고 문을 닫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승입실의 내부에 사람이 남겨져 있는 것의 간과를 방지할 수 있어, 기계식 주차장의 안전한 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1 양태는, 사용자의 고유 인증 정보가 기억된 휴대 인증 매체가,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간 것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외부 인증 처리와, 상기 제 1 외부 인증 처리가 완료한 것을 조건으로, 소정의 차체 반송기를 상기 입출고 문의 내측 승입실에 자동적으로 호출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입출고 문의 외측에 설치된 외부 조작반에서 기동 조작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호출하는 반송 호출 처리와, 상기 차체 반송기가 상기 승입실에 도착한 후,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조작반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인식하는 제 2 외부 인증 처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각각 인식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조합 (照合) 처리와, 상기 제 1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입출고 문을 자동 개문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에서 개문 조작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상기 입출고 문을 개문하는 개문 처리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차량의 입출고 후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재차 인식하는 제 3 외부 인증 처리와, 상기 제 3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식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식된 것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조합 처리와, 상기 제 2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이고, 또한 상기 입출고 문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에 의한 폐문 조작을 허가하는 폐문 처리를 갖는다.
이러한 제어 방법에 의하면, 반송 호출 처리 전에 실행되는 제 1 외부 인증 처리와, 반송 호출 처리 후에 실행되는 제 2 외부 인증 처리로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인증 매체의 인증이 실시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증된 휴대 인증 매체가 동일하면, 제 1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이 되어, 다음 개문 처리에 있어서 입출고 문이 자동 개문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에서 개문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허가된다.
이와 같이, 제어 수단이 입출고 문의 개문 처리를 실시하는 조건은, 반송 호출 처리의 전후에 실행되는 제 1 과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의 휴대 인증 매체의 인증 내용이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 분의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하는 반송 호출 처리의 한창 중에, 제 1 외부 인증 처리를 끝낸 사용자가 어떠한 용무에 의해 그 자리를 떠나 부재가 되어도, 차체 반송기의 도착 후에 사용자 부재인 채 입출고 문이 자동적으로 열려 버리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입출고 문이 열려 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 입출고 문이 열린 후에는, 제 1 과 제 2 외부 인증 처리를 실시한 사용자가 부재가 되어도, 입출고 문이 자동적으로 닫혀 버리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닫혀 버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차체 반송기를 호출하여 입출고 문을 열고, 차량을 입출고시키고, 입출고 문을 닫을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휴대 인증 매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증을 받고, 또한 이 휴대 인증 매체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한정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중에 부재가 되었을 때에, 외부인이 입출고 문의 개폐를 실시하여 승입실에 침입하거나 다른 차량이 입고하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게다가,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에 의한 폐문 조작을 허가하는 폐문 처리가 실행되는 것은, 입출고 문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이기 때문에, 폐문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사용자가 폐문 동작 중인 입출고 문을 거들떠 보지도 않고 그 자리를 떠난 경우에는 입출고 문이 곧바로 개문된다. 이 때문에, 승입실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들에 의해 기계식 주차장의 안전한 운행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2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을 자동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에서 수동에 의해 인증 조작을 실시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는 상기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형성된 원격 인증 에어리어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대합 로비 등에 원격 조작반이 설치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는,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을 자동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증된 사용자가 입출고구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소정의 차체 반송기를 호출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함과 함께,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에서 수동에 의해 인증 조작을 실시하는 수고를 생략하여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개문 처리 후,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증한 것과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간 것을 인식하는 내부 인증 처리와, 상기 승입실 내에 상기 사용자가 있는 것, 및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을 상기 외부 조작반에 표시하는 내재 표시 처리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증된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 있을 때에는, 이 사용자가 갖는 휴대 인증 매체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감으로써 내부 인증 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내재 표시 처리가 실행되어, 승입실 내에 사용자가 있는 것, 및 휴대 인증 매체가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이 외부 조작반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먼저 인증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승입실 내에서 전동 차량의 충전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사정을 모르는 다음 사용자가 와도, 이 사용자는 외부 조작반을 확인함으로써 차고 장치 내에 먼저 인증된 사용자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승입실 내 (차량 내부 등) 에 휴대 인증 매체를 두고 온 경우에도, 두고 온 휴대 인증 매체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는 것이 인식되어 내재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게다가 휴대 인증 매체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없으므로 외부 조작반에 의한 입출고 문의 폐문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 인증 매체를 두고 온 것을 깨닫고 바로 승입실 내로 가지러 되돌아가고, 다시 외부 조작반 앞에 와서 입출고 문의 폐문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출고 문의 폐문 조작이 정체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여, 다른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5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반 부근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외부 감응 센서로부터 발신되는 외부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외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어 휴대 인증 매체를 갖지 않은, 악의를 가진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이나 입출고 문의 부근에 접근하여 부정한 입고를 시도한 경우에는, 이 외부인을 외부 감응 센서가 검지하여 외부 감응 신호를 발신한다. 이 외부 감응 신호를 수신한 제어 수단은,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당연히 인증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제어 수단은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를 실행하여,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때문에,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이나 입출고 문의 부근에 장시간 체재할 수 없고, 승입실 내로의 부정한 입고가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6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사람이나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는 내부 감응 센서로부터 발신되는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와, 상기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내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입출고 문이 열려 있을 때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이 승입실의 내부에 들어간 경우에는, 이것을 내부 감응 센서가 검지하여 내부 감응 신호를 발신한다. 제어 수단은,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당연히 인증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 수단은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를 실행하여,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때문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이 승입실 내에 부정하게 입고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내부 감응 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은, 내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를 실행하여,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정규 사용자가 승입실 내에서 넘어지거나, 어떠한 사정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거나 해도, 외부 사람이 이 상황을 신속하게 찰지하여 구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7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 앞의 상기 사용자가 입출고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가 와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대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대기 사용자가 입고를 희망하고 있는지 출고를 희망하고 있는지를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입출고의 예약을 실시하는 예약 처리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선 사용자가 입출고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대기 사용자의 입출고 예약이 실시되기 때문에, 대기 사용자가 많은 경우라도 차례가 결정되어 혼란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각 대기 사용자의 인증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기계식 주차장의 순조로운 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의 제 8 양태는, 상기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 후, 선 사용자의 입출고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대기 사용자를 위해서 반출될 예정의 상기 차체 반송기를,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반출시키기 쉬운 위치로 교체해 두는 교체 처리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선 사용자의 입출고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대기 사용자를 위해서 반출되는 차체 반송기가, 가장 반출시키기 쉬운 장소로 교체되기 때문에, 다음의 입출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은, 상기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기계식 주차장에 의하면, 차량의 입출고에 관한 일련의 작업을, 최초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 사용자밖에 실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의 입고를 방지함과 함께, 승입실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에 의하면, 입출고 문을 열고, 차량을 입출고시키고, 입출고 문을 닫을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최초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 사용자만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의 입고를 방지함과 함께, 승입실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고, 또한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적용 가능한 기계식 주차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입출고 문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출고구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입출고 문이 열려 차량이 입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출고구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차량이 차고 장치 내에 입고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 은, 승입실, 입출고구 (입출고 문) 및 조작반 등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기계식 주차장에 차량을 입고하는 경우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기계식 주차장으로부터 차량을 출고시키는 경우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의 플로우 차트의 전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의 플로우 차트의 후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내부 인증 처리 및 내재 표시 처리의 제어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의 제어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 및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의 제어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예약 처리 및 교체 처리의 제어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계식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의 차량 입고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의 차량 출고시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출고 문 (12) 에 의해 개폐되는 입출고구 (3) 의 내측에 형성된 차고 내에 차량 (2) 을 주차시키는 기계식 주차장이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는 엘리베이터식의 입체 주차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기계식 주차장 (1) 은, 복수의 차량 (2) 을 수용 가능한 엘리베이터식의 입체 주차장 시설이며, 예를 들어 오피스 빌딩이나 맨션 등에 병설되어, 계약한 사용자만이 입출고가 허가되는 것이다.
기계식 주차장 (1) 은, 지상부에 차량 (2) 이 출입하는 입출고구 (3) 를 구비한 주차 타워 (4) 를 구비하고 있고, 주차 타워 (4) 의 내부의 지상층이 승입실 (5) 이 되고, 그 바닥면에는 차량 (2) 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 (7) 이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 (7) 은, 승입실 (5) 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상의 피트 (8) 내에 선회판 (9) 과 선회 구동부 (10) (전동 모터 및 감속 기구 등) 가 설치된 구성이다.
도 2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고구 (3) 에는 입출고 문 (12) 이 설치되고, 이 입출고 문 (12) 이 열림으로써,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2) 이 입출고구 (3) 로부터 승입실 (5) 의 내부로 입고할 수 있다. 도 1 ∼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고 문 (12) 의 외측 근방이 되는 주차 타워 (4) 의 외부 벽면에는, 기계식 주차장 (1) 의 기동 조작이나, 입출고 문 (12) 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 (14) 이 설치되고, 입출고구 (3) 의 상부에는 입고 관제등 (15) 이 설치되어 있다. 입고 관제등 (15) 은, 입출고 문 (12) 이 열려 차량 (2) 의 진입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에 적색 점등에서 청색 점등으로 변화한다. 또, 입출고구 (3) 의 상방이 되는 외부 벽면에 외부 감응 센서 (17)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입실 (5) 의 내부의 안쪽 벽면에, 전동 차량 (2) 의 충전 조작 등을 실시하는 내부 조작반 (19) 과, 내부 감응 센서 (21) 가 설치되고, 입고한 차량 (2) 의 정면이 되는 위치에 입고 위치 지시판 (22) 과 거울 (23) 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 감응 센서 (17) 와 내부 감응 센서 (21) 는, 예를 들어 사람 감지 센서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 타워 (4) 의 중심부에는 수직인 승강 통로 (2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에 엘리베이터상의 반송대 (27) 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송대 (27) 는, 예를 들어 주차 타워 (4) 의 상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윈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 (28) 에 네 귀퉁이를 매달아 지지되고, 상기 윈치가 기동함으로써 승강 통로 (26) 내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 통로 (26) 의 양측에는, 승강 통로 (26) 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상하로 다계층상으로 차량 격납 선반 (30) 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차량 격납 선반 (30) 에는 차량 (2) 을 적재하기 위한 강판 프레스제 팔레트 (31) (차체 반송기) 가 1 매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차량 격납 선반 (30) 의 지주 (支柱) 등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반송대 (27) 와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바닥면에는, 양자 (27, 30) 의 바닥면의 높이가 일치했을 때에, 공하 (空荷) 팔레트 (31), 또는 차량 (2) 이 적재된 팔레트 (31) 를 반송대 (27) 와 차량 격납 선반 (30) 사이에서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수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식 주차장 (1) 에 차량 (2) 이 입고하는 경우에는, 차량 (2) 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차량 격납 선반 (30) 의 팔레트 (31) 가 반송대 (27) 에 의해 승입실 (5) 의 턴테이블 (7) (선회판 (9)) 상으로 호출된다. 차량 (2) 은 입출고구 (3) 로부터 턴테이블 (7) 상에 재치된 팔레트 (31) 상에 정차하고, 그 후, 승입실 (5) 내에서 턴테이블 (7) 이 선회하여 차량 (2) 의 방향이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방향을 따르도록 팔레트 (31) 째 방향 전환된다. 방향 전환된 팔레트 (31) 는, 반송대 (27) 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차량 (2) 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높이로 위치 맞춤되어, 반송대 (27) 의 바닥면으로부터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바닥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차량 (2) 이 팔레트 (31) 째 차량 격납 선반 (30) 에 격납된다.
출고시에는, 출고하는 차량 (2) 이 격납된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높이까지 반송대 (27) 가 상승하여 정지하고, 차량 격납 선반 (30) 에 격납되어 있는 차량 (2) 이 팔레트 (31) 째 반송대 (27) 로 옮겨지고, 반송대 (27) 가 승입실 (5) 까지 강하하여 팔레트 (31) 와 차량 (2) 을 턴테이블 (7) 상에 재치하고, 차량 (2) 은 턴테이블 (7) 에 의해 입출고구 (3) 의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 전환된 후, 출고가 된다.
또한, 이 기계식 주차장 (1) 에는 충전 장치 (34) 가 장비되어 있어, 내연 기관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일반 차량 (2) 외에, 전동 모터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전동 차량 (2E) 을 주차시키고, 이 전동 차량 (2E) 을 차량 격납 선반 (30) 으로 반송한 후, 충전 장치 (34) 에 의해 차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충전 장치 (34) 는, 팔레트 (31) 에 설치된 수전 장치 (35) 와, 각 차량 격납 선반 (30) 에 설치되어 수전 장치 (35) 에 접촉함으로써 외부 전원 (상용 전원) 의 전력을 수전 장치 (35) 에 공급하는 송전 장치 (36)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전 장치 (35) 는 팔레트 (31) 의 양측 변에 수직 형성된 연석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좌우 일방의 연석부의 전단부와, 좌우 타방의 연석부의 후단부와 같이, 사각형 팔레트 (31) 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석부의 보다 많은 위치에 수전 장치 (35) 를 설치해도 된다. 수전 장치 (35) 에는,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을 꽂는 도시되지 않은 콘센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동 차량 (2E) 의 주차 중에 차재 배터리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입실 (5) 의 내부에 전동 차량 (2E) 을 타고 들어간 후, 사용자 (드라이버) 에 의해 전동 차량 (2E) 의 차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충전 케이블 접속부와 수전 장치 (35) 의 콘센트부 사이가 충전 케이블로 접속된다.
한편, 송전 장치 (36) 는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바닥 슬래브 등에 고정되어 있고, 팔레트 (31) 가 차량 격납 선반 (30) 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었을 때에, 송전 장치 (36) 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접촉 단자가, 팔레트 (31) 에 설치된 수전 장치 (35) 의 도시되지 않은 접촉 단자에 압압 접촉됨으로써, 외부 전원이 송전 장치 (36) → 수전 장치 (35) → 충전 케이블 → 전동 차량 (2E) 의 순서로 공급된다. 전동 차량 (2E) 의 출고시에는, 전동 차량 (2E) 이 승입실 (5) 로 내려졌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충전 케이블의 해체와 회수가 실시되고 나서의 출고가 된다. 또한, 도 1 에서는 모든 차량 격납 선반 (30) 과 팔레트 (31) 에 송전 장치 (36) 가 설치되어 있지만, 일부에만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어 장치 (40) 및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된다. 도 5 는 제어 장치 (4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 은 승입실 (5) 의 평면도이다. 제어 장치 (40) 는 CPU 인 주제어부 (41) (제어 수단) 를 갖고 있다. 또, 주제어부 (41) 에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42) 와, 입출고 문 개폐 제어부 (43) 와 반송대 승강 제어부 (44) 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은 주제어부 (41) 에 통괄 제어된다. 또, 주제어부 (41) 에는 인증 조합부 (46) 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42) 에는, 계약되어 있는 사용자의 ID 나 소유 차량의 입출고 이력 등이 기억되어 있다.
입출고 문 개폐 제어부 (43) 에는, 입출고 문 (12) 을 개폐시키는 입출고 문 개폐 기구 (48) 와, 입출고 문 (12) 의 개위치 및 폐위치를 검출하여 입출고 문 개폐 제어부 (43) 에 피드백하는 입출고 문 위치 센서 (49) 가 접속되어 있다. 또, 반송대 승강 제어부 (44) 에는, 반송대 (27) 를 승강시키는 반송대 승강 기구 (51) 와, 반송대 (27) 의 위치를 검출하여 반송대 승강 제어부 (44) 에 피드백하는 반송대 위치 센서 (52) 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 조작반 (14) 과 내부 조작반 (19) 과 외부 감응 센서 (17) 와 내부 감응 센서 (21) 도 주제어부 (41) 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시되지 않지만, 주제어부 (41) 에는, 턴테이블 (7) 을 구동하는 턴테이블 구동 기구와, 턴테이블 (7) 의 위치를 검출하여 턴테이블 구동 기구에 피드백하는 턴테이블 위치 센서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 조작반 (14) 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 또는 원격 (리모컨) 조작되어,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 (1) 의 기동 조작과, 입출고 문 (12) 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것이다. 도 2, 도 3, 도 5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조작반 (14) 에는, 예를 들어 액정 터치 패널식의 조작 표시 화면 (56) 과, IC 카드 리더 (57) 와, 안내용 음성 스피커 (58) (경보 수단을 겸한다) 와, 리모컨 감지부 (59) 와, 비상 정지 버튼 (60) 과,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외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외부 조작반 (14) 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외부 조작반 (14) 과 별체로 배치해도 된다.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는, 외부 조작반 (14) 의 근방 (앞쪽 부근) 의 한정된 범위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를 형성한다 (도 2, 도 5, 도 6 참조). 이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인식하기 위한 에어리어이다.
또, 외부 감응 센서 (17) 는, 외부 조작반 (14) 및 입출고구 (3) 의 앞쪽 부근의 소정의 면적에 걸쳐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를 형성한다. 이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는, 외부 조작반 (14) 및 입출고구 (3) 의 부근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 (檢知) 하기 위한 에어리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감응 센서 (17) 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에 비교하여,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의 범위가 좁게 되어 있어,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가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지만,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와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의 크기 (범위) 및 위치는, 기계식 주차장 (1) 의 구성이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내부 조작반 (19) 은 주로 승입실 (5) 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전동 차량 (2E) 에 충전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반이며, 외부 조작반 (14) 과 마찬가지로, 터치 패널식의 조작 표시 화면 (64) 과, 안내용 음성 스피커 (65) (경보 수단을 겸한다) 와,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 는 내부 조작반 (19) 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내부 조작반 (19) 과 별체로 배치해도 된다.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 는, 승입실 (5) 의 내부 전방의 영역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를 형성한다 (도 4 ∼ 도 6 참조). 이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인식하기 위한 에어리어이다.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의 넓이는 승입실 (5) 의 안쪽측 근처로 되어 있지만, 보다 광범위에 걸쳐 형성해도 된다.
또, 내부 감응 센서 (21) 는 승입실 (5) 의 내부에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를 형성한다. 이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는 승입실 (5) 의 내부에 사람이나 차량 (2) 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에어리어이다. 내부 감응 센서 (21) 는 1 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소에 설치해도 된다. 실질적으로는, 내부 감응 센서 (21) 로서 복수의 차광 센서를 승입실 (5) 의 대각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간소하고 또한 확실한 감지를 실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의 넓이가 승입실 (5) 의 내부 전역으로 되어 있고,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가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지만,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와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의 크기 (범위) 및 위치는 승입실 (5) 의 내부 레이아웃이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자신의 고유 인증 정보가 기억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대여되고,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 을 이용할 때에 휴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휴대 인증 매체 (70) 는, 예를 들어 태그나 키홀더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키와 함께 갖고 다니거나, 가방이나 백 등에 넣어서 운반되는 것이다. 휴대 인증 매체 (70) 에는 전원 배터리가 내장되어, 고유의 신호 전파를 발신하고 있다. 또한, 휴대 인증 매체 (70) 를 휴대 전화에 부설하거나,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기능을 휴대 전화에 인스톨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휴대 인증 매체 (70) 는, 사용자의 신체와 함께 이동하도록 해 두는 것이 필수이며, 예를 들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주차 차량의 내부에 방치하여 사용자가 하차해서는 안 된다.
또한, 이 기계식 주차장 (1) 과 같이, 오피스 빌딩이나 맨션 등에 병설되어 있고, 오피스나 맨션이 있는 세대의 수 명이 동일한 차량을 기계식 주차장 (1) 에 입출고시킬 경우에는, 이들 수 명이 1 개의 휴대 인증 매체 (70) 를 공용해도 되지만, 각자 상이한 사용자 인식 정보가 기억된 휴대 인증 매체 (70) 를 개별적으로 소지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에 승차하는 복수의 인원이 각각 휴대 인증 매체 (70) 를 보유하고 있어도, 입출고 문 (12) 의 개폐 조작을 실시하는 사람을 1 명으로 한정하여, 예를 들어 개문 조작을 실시하는 사람과 폐문 조작을 실시하는 사람이 달라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휴대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조작반 (14) 의 근방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안에 들어오면, 이것을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검지하고,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에 기억된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발신하여, 주제어부 (41) 가 이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한다. 주제어부 (41) 는, 이와 같이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를 자동적으로 인증하고,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허가한다.
휴대 인증 매체 (70) 에 리모컨 기능을 부여하고,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안에 있어 주제어부 (41) 에 계속 인식되고 있는 것을 필수 조건으로 하여, 외부 조작반 (14) 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차량 (2) 의 입출고시에, 차량 (2) 을 입출고구 (3) 의 앞에 정차시킨 후, 차량 (2) 으로부터 하차하지 않고,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인식시켜 자동 인증을 실시함과 함께, 휴대 인증 매체 (70) 의 리모컨 기능을 사용하여 외부 조작반 (14) 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휴대 인증 매체 (70) 로부터 송신되는 리모컨 신호는 외부 조작반 (14) 의 리모컨 감지부 (59) 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휴대 인증 매체 (70) 에 리모컨 기능을 부여하여 외부 조작반 (14) 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인증이나 입출고 문 (12) 의 개폐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가 차량 (2) 으로부터 하차하는 수고를 생략하여, 인증 조작이나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휴대 인증 매체 (70) 에 의한 외부 조작반 (14) 의 원격 조작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이외로부터는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승입실 (5) 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원격 위치로부터 입출고 문 (12) 을 닫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승입실 (5) 의 내부에 사람이 남겨져 있는 것이 간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계식 주차장 (1) 의 안전한 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입고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기계식 주차장 (1) 앞에 2 대 이상의 차량의 행렬 대기가 있는 경우라도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이외로부터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입고 차례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에 사람이나 차량 (2) 이 들어가면, 이것을 외부 감응 센서 (17) 가 검지하고, 주제어부 (41) 에 외부 감응 신호 (SIG. 2) 를 발신한다. 또, 사용자에게 휴대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 의 내부 전방의 영역에 형성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 들어가면,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 가 이것을 검지하고, 휴대 인증 매체 (70) 에 기억된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발신한다. 또한, 승입실 (5) 의 내부 전역에 형성된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에 사람이나 차량 (2) 이 들어가면, 이것을 내부 감응 센서 (21) 가 검지하고, 주제어부 (41) 에 내부 감응 신호 (SIG. 4) 를 발신한다.
주제어부 (41) 는,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허가하여, 팔레트 (31) 의 호출, 및 입출고 문 (12) 의 개문, 폐문과 같은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즉,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소지한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의 근방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갔을 때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휴대 인증 매체 (70) 를 검지하여, 이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발신하고, 이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가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외부 조작반 (14) 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은 휴대 인증 매체 (70) 를 휴대하여 인증을 받은 사용자에게만 한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 (1) 에 차량 (2) 을 입고하는 경우의 순서와, 기계식 주차장 (1) 의 제어 및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입고 순서에 대해서는, 도 7 중에 번호 (1) 내지 (7) 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입고하는 차량이 차재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동 차량 (2E) 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전동 차량 (2E) 의 드라이버) 는 전동 차량 (2E) 을 입출고구 (3) (입출고 문 (12)) 앞에 정차시키고,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하차시키고, 도어 미러를 접고, 안테나를 내린다 (1). 다음으로,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으로부터 하차하여 외부 조작반 (14) 으로 향한다 (2). 상기 (1), (2) 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 예를 들어 여기서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감으로써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에 인식되어,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발신하고, 이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도 5 참조) 에 있어서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어,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 의 정식 계약자이면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제 1 외부 인증 처리). 이 사용자 인증은 모두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가 차량의 운전석까지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아도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휴대 인증 매체 (70) 에 리모컨 기능을 부여하여, 후술하는 외부 조작반 (14) 에 있어서의 조작을 차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의 범위를 굳이 좁게 하여,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지 않으면 휴대 인증 매체 (70) 에 의한 자동 인증을 받을 수 없도록 하면,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일단 하차하여 떠나고 나서 다시 되돌아와 승차하기 때문에, 스스로 차량 주위의 안전 확인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어 차량의 근방에 아이가 있는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사용자에게 찰지시켜 안전한 운행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의 범위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의 볼륨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 1 외부 인증 처리가 완료되고, 주제어부 (4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의 수신을 계속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허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숫자키 버튼 등의 인증 입력 화면 (도시하지 않음) 이 액정 표시되고,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와 음성 스피커 (58) 로부터의 음성에 의해, 숫자키 버튼으로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전용 IC 카드를 IC 카드 리더 (57) 에 터치하여 인증 조작을 실시하도록 안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 인증 매체 (70) 에 의한 인증을 실시하지 않은 외부인이 조작 표시 화면 (56) 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숫자키 버튼 등이 액정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에 있어서 인증 조작을 실시하면,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이 재차 실시된다. 이 때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내용이 올바르지 않으면,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와 음성 스피커 (58) 로부터의 음성에 의해 에러 표시가 이루어져, 이 사용자의 입고 조작은 캔슬되고, 다음 사용자의 입출고 조작이 접수된다 (캔슬 처리).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을 조작시켜 재차 인증을 실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정규 계약자가 휴대 인증 매체 (70) 를 분실하여, 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외부인이 주워 악용하려고 했을 경우에, 그대로 입출고 문 (12) 이 열려 입고를 허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 외부 조작반 (14) 에 있어서의 인증 입력 조작이 성공하면, 다음으로 조작 표시 화면 (56) 에 기동 버튼 (도시하지 않음) 이 표시되고, 이 기동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 (터치) 으로써, 소정의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로 호출된다 (반송 호출 처리). 이 때, 사용자가 입고를 희망하고 있는지 출고를 희망하고 있는지의 판단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제어부 (41) 에 접속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42) 에 기억되어 있는 입출고 이력에 기초하여 주제어부 (41) 가 자동적으로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입고시에는 차량 (2) 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공차의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로 호출된다. 이 호출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는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호출 중」 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공차의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에 도착한 후, 주제어부 (41) 가, 제 1 외부 인증 처리로 인증한 외부 인증 신호 (SIG. 1) 와 동일한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재차 수신하고 있는 것, 즉 제 1 외부 인증 처리로 인증된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다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인식된다 (제 2 외부 인증 처리). 여기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와, 음성 스피커 (58) 로부터의 음성에 의해 에러 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지 않아, 주제어부 (4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분간) 경과한 후에, 이 사용자의 입고 조작은 캔슬되고, 다음 사용자의 입출고 조작이 접수된다.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앞에 있고, 주제어부 (4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재수신할 수 있었다면, 다음으로, 제 1 외부 인증 처리와 제 2 외부 인증 처리로 각각 인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동일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 1 조합 처리). 그리고, 이 제 1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 즉 제 1 외부 인증 처리로 인증된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외부 조작반 (14) 으로 향하고 있다) 것을 조건으로, 입출고 문 (12) 이 자동적으로 개문되거나, 혹은 조작 표시 화면 (56) 에 개문 버튼 (도시하지 않음) 이 표시되어 이 개문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입출고 문 (12) 이 개문된다 (개문 처리).
입출고 문 (12) 의 개문과 함께, 도 2 에 나타내는 입고 관제등 (15) 이 적색 점등에서 청색 점등으로 바뀐다. 또한, 제 1 조합 처리가 부정 판정인 경우, 즉 제 1 외부 인증 처리로 인증된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지 않은, 혹은 다른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고, 그 에러 내용이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표시됨과 함께, 음성 스피커 (58) 에 의한 음성 안내가 실시된다. 그리고, 이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분간) 경과한 후에, 이 사용자의 입고 조작은 캔슬되고, 다음 사용자의 입출고 조작이 접수된다 (캔슬 처리).
상기와 같이,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에 도착한 후에 입출고 문 (12) 이 열리는 것은, 제 1 외부 인증 처리로 인증된 것과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이기 때문에, 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지 않으면 입출고 문 (12) 이 열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팔레트 (31) 를 호출한 사용자가 어떠한 사정에 의해 입출고 문 (12) 의 부근으로부터 없어져도, 그 사이에 인증을 받지 않은 외부인이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입출고 문 (12) 이 열려, 외부인이나 다른 사용자 및 차량이 승입실 (5) 에 들어가 버린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 (31) 를 호출한 사용자가 부재가 된 채로 되돌아오지 않을 경우에는,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분간) 이 경과한 후에, 이 사용자의 입고 조작은 캔슬되고, 다음 사용자의 입출고 조작이 접수된다 (캔슬 처리).
이렇게 하여 입출고 문 (12) 의 개문 조작이 완료하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에 재승차한다 (3). 그리고, 전동 차량 (2E) 을 전진시켜, 열려 있는 입출고구 (3) 를 통과하고, 전동 차량 (2E) 을 승입실 (5) 에 입고시켜 팔레트 (31) 상에 올라앉는다 (4). 이 때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입고 위치 지시판 (22) 의 「전진」, 「정차」, 「후퇴」 라는 표시 램프의 표시를 봄과 함께, 거울 (23) 에 비치는 전동 차량 (2E) 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전동 차량 (2E) 의 전후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팔레트 (31) 상의 규정 위치에 전동 차량 (2E) 을 정차시키고,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 전동 차량 (2E) 으로부터 하차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의 차체에 형성된 충전 케이블 접속부와, 팔레트 (31) 에 형성된 수전 장치 (35) 의 콘센트부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하고, 승입실 (5) 내의 내부 조작반 (19) 으로 향한다 (5). 이 때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 의 내부 전방의 영역에 형성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 들어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 가 이것을 검지하여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발신한다. 이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주제어부 (41) 가 수신함으로써, 주제어부 (41) 는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증한 것과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 들어간 것을 인식한다 (내부 인증 처리).
내부 인증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자의 재인증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내부 조작반 (19) 를 조작하는 것이 허가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조작반 (19) 의 조작 표시 화면 (64) 에 숫자키 버튼이나 충전 예약 버튼이 표시되고, 이것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충전의 종류 (통상 충전 또는 급속 충전) 나 충전 시간 등이 설정되고, 충전 예약이 이루어진다. 실제 충전은 팔레트 (31) 가 반송대 (27) 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어 소정의 차량 격납 선반 (30) 에 수용되고 나서 개시된다. 이 내부 인증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서의 인증을 실시하지 않은 외부인이 승입실 (5) 의 내부에 침입했다고 해도, 내부 조작반 (19)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승입실 (5) 로부터 퇴출하고, 외부 조작반 (14) 에서 폐문 조작을 실시한다 (6). 이 때에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재차 확인된다 (제 3 외부 인증 처리). 그리고, 이 제 3 외부 인증 처리로 인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식된 것과 동일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 2 조합 처리). 이 제 2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을 조건으로,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폐문 버튼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폐문 버튼이 표시되는 것은, 제 1 내지 제 3 외부 인증 처리로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증되고, 또한 이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이 되기 때문에, 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의 부근에 없으면 입출고 문 (12) 이 닫히는 경우는 없다. 즉, 폐문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사용자는 개문 조작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사용자로 한정된다. 이 때문에, 입고한 사용자가 아직 승입실 (5) 안에 있는데, 그것을 모르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외부 조작반 (14) 이 조작되어 입출고 문 (12) 이 닫혀 버리는 경우가 없다. 이에 따라, 승입실 (5)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 (12) 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기계식 주차장 (1) 을 안전하게 운행시킬 수 있다. 동시에,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차 내에 두고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고를 끝낸 사용자가 입출고 문 (12) 의 폐문 조작을 잊고 떠나려고 한 경우에는, 승입실 (5) 로부터 나온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일단 들어가지만,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내에 머무르지 않고 나와 가 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검지하여 음성 스피커 (58) 로부터의 음성에 의해 입출고 문 (12) 을 닫도록 지시하면, 입출고 문 (12) 을 닫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이 되어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폐문 버튼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폐문 버튼을 눌러 입출고 문 (12) 을 닫는다. 이 때,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이 된다. 즉, 폐문 버튼을 누른 사용자가,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히기 전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로부터 나와 버리면, 주제어부 (4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입출고 문 (12) 이 즉시 다시 개문하고, 음성 스피커 (58) 로부터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히면, 사용자는 기계식 주차장 (1) 으로부터 퇴출할 수 있다 (7). 또한, 제 2 조합 처리가 부정 판정인 경우, 예를 들어 외부 조작반 (14) 앞에 다른 사용자가 있어, 상이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식된 것 같은 경우에는,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와 음성 스피커 (58) 로부터의 음성에 의해 에러 표시가 이루어진다.
입출고 문 (12) 이 닫히면, 턴테이블 (7) 에 의해 팔레트 (31) 의 방향이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방향을 따르도록 방향 전환된다. 그 후, 팔레트 (31) 는 반송대 (27) 에 들어 올려져 상방의 소정의 차량 격납 선반 (30) 에 수용되고,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휴대 인증 매체 (70) 에 리모컨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2) 와 (3) 의 단계에서 차량 (2) 으로부터 하차하여 재승차할 필요가 없으며, 승차한 채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감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받고, 다음으로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조작하여 외부 조작반 (14) 을 원격 조작하여, 기동 (팔레트 (31) 의 호출) 과 입출고 문 (12) 의 개문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4), (5) 와 같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소지하고,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있어서 인증된 사용자가 승입실 (5) 내에 있을 때에는, 전술한 내부 인증 처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는, 승입실 (5) 의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 것과,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 의 내부에 있는 것이 표시된다 (내재 표시 처리).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먼저 인증된 사용자가 승입실 (5) 내에서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사정을 모르는 다음 사용자가 와도, 이 사용자는 외부 조작반 (14) 을 확인함으로써 승입실 (5) 내에 사람 (먼저 인증된 사용자) 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승입실 (5) 내 (차량 내부 등) 에 휴대 인증 매체 (70) 를 두고 온 경우에도, 두고 온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에 의해 인식되고, 내재 표시 처리가 실행되어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 안에 있는 것이 외부 조작반 (14) 에 표시되고, 게다가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없으므로 외부 조작반 (14) 에 의한 입출고 문 (12) 의 폐문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 인증 매체 (70) 를 두고 온 것을 깨닫고 바로 승입실 (5) 내로 가지러 되돌아가고, 다시 외부 조작반 (14) 앞에 와서 입출고 문 (12) 의 폐문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출고 문 (12) 의 폐문 조작이 정체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여, 다른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부 감응 센서 (17)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조작반 (14) 및 입출고구 (3) 의 앞쪽 부근의 소정의 면적에 걸쳐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도 5, 도 6 참조) 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안에 사람이나 차량이 들어간 것을 검지하여 외부 감응 신호 (SIG. 2) 를 발신한다. 주제어부 (41) 는 이 외부 감응 신호 (SIG. 2) 를 수신했을 때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감응 신호 (SIG. 2) 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 분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 (1) 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갖지 않은, 악의를 가진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 (14) 이나 입출고 문 (12) 의 부근에 접근하여 부정한 입고를 시도한 경우에는, 이 외부인을 외부 감응 센서 (17) 가 검지하여 외부 감응 신호 (SIG. 2) 를 발신한다. 이 외부 감응 신호 (SIG. 2)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증되었는지 여부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수신되었는지 여부) 를 판단한다. 그러나, 당연히 인증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감응 신호 (SIG. 2) 만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를 실행하고, 음성 스피커 (58) 나 도시되지 않은 회전 램프 등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인 경보를 발하여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때문에,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 (14) 이나 입출고 문 (12) 의 부근에 장시간 체재하는 것을 규제하고, 승입실 (5) 내로의 부정한 침입, 차량 털이, 차량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감응 센서 (21) 는 승입실 (5) 의 내부에 형성한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안에 사람이나 차량 (2) 이 진입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주제어부 (41) 에 내부 감응 신호 (SIG. 4) 를 발신한다. 주제어부 (41) 는 내부 감응 신호 (SIG. 4) 를 수신했을 때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 (1) 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만일 입출고 문 (12) 이 열려 있어, 휴대 인증 매체 (70) 에 의해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승입실 (5) 내에 없을 때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 (2) 이 승입실 (5) 에 입고한 경우에는, 이것을 내부 감응 센서 (21) 가 검지하여 내부 감응 신호 (SIG. 4) 를 발신한다. 주제어부 (41) 는 내부 감응 신호 (SIG. 4) 를 수신했을 때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 (내부 인증 신호 (SIG. 3) 가 수신되었는지 여부) 를 판단한다. 그러나, 인증은 당연히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 감응 신호 (SIG. 4) 만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를 실행하고, 외부 조작반 (14) 및 내부 조작반 (19) 의 음성 스피커 (58, 65) 나, 도시되지 않은 회전 램프 등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인 경보를 발함과 함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때문에,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이 승입실 (5) 내에 부정하게 입고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주제어부 (41) 가 내부 감응 신호 (SIG. 4) 를 수신했을 때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제어부 (41) 는 내부 감응 신호 (SIG. 4) 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 분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동일하게 음성 스피커 (58, 65) 나 회전 램프 등에 의해 청각적 및 시각적인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 (1) 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정규 사용자가 승입실 (5) 내에서 넘어지거나, 어떠한 사정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거나 해도, 외부 사람이 이 상황을 신속하게 찰지하여 구호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식 주차장 (1) 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출고시키는 경우의 순서와, 기계식 주차장 (1) 의 제어 및 동작을 설명한다. 출고 순서에 대해서는, 도 8 중에 번호 (8) 내지 (14) 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출고하는 차량이 차재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시킨 전동 차량 (2E) 인 경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전동 차량 (2E) 의 드라이버) 는 외부 조작반 (14) 으로 향한다 (8). 그리고, 외부 조작반 (14) 에서 인증·개문 조작을 실시한다. 여기서는,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감으로써 제 1 외부 인증 처리가 실시되고, 사용자가 정규 계약자이면,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허가되어, 사용자는 기동 버튼을 눌러 팔레트 (31) 의 호출을 실시한다. 이 때에는, 사용자가 출고를 희망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42) 에 기억되어 있는 입출고 이력에 기초하여 주제어부 (41) 가 판정하고, 해당하는 전동 차량 (2E) 이 적재된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로 호출되며 (반송 호출 처리), 그 동안에는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호출 중」 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전동 차량 (2E) 이 적재된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에 도착한 후,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제 2 외부 인증 처리와 제 1 조합 처리가 실행되고, 제 1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을 조건으로, 입출고 문 (12) 이 자동적으로 개문되거나, 혹은 조작 표시 화면 (56) 에 개문 버튼 (도시하지 않음) 이 표시되어 이 개문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입출고 문 (12) 이 개문된다 (개문 처리).
입출고 문 (12) 이 열리면, 사용자는 승입실 (5) 에 들어가,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 접속부와 팔레트 (31) 의 수전 장치 (35) 사이를 접속하고 있는 충전 케이블을 해체하여 차 내에 회수한다 (9). 이 작업이 승입실 (5) 의 안쪽측에서 실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에 들어가기 때문에, 내부 인증 처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승입실 (5) 의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 것이 표시된다 (내재 표시 처리). 이 때문에, 사용자가 승입실 (5) 내의 안쪽에서 충전 케이블의 해체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을 때에, 사정을 모르는 다음 사용자가 와도 이 사용자는 외부 조작반 (14) 을 확인함으로써 승입실 (5) 내에 사람 (먼저 인증된 사용자) 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나중에 온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을 조작하여 입출고 문 (12) 을 닫을 수는 없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에 승차하고 (10), 전동 차량 (2E) 을 출고시켜 입출고구 (3) 앞에 정차시키고 (11), 하차하여 외부 조작반 (14) 으로 향하여, 인증과 폐문 조작을 실시한다 (12). 여기서는,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제 3 외부 인증 처리와 제 2 조합 처리가 실행되고, 제 2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을 조건으로,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폐문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폐문 버튼을 눌러 입출고 문 (12) 을 닫는다. 이 때,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이 되는 것은 입고시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사용자가 입출고 문 (12) 의 밖에 있는 외부 조작반 (14) 의 근방에 있게 된다. 따라서,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히기 전에 사용자가 입출고 문 (12) 의 옆을 떠나고, 그 사이에 외부인이 승입실 (5) 에 잠입한다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물론, 입고 작업을 끝낸 사용자가 아직 승입실 (5) 안에 있는데, 그것을 모르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입출고 문 (12) 이 닫혀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기계식 주차장 (1) 을 안전하게 운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입출고 문 (12) 이 닫히면,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에 재승차하여 (13), 기계식 주차장 (1) 으로부터 나온다 (14).
도 9 와 도 10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 프로그램은 주제어부 (41) 에 기억되어 있다. 또, 이 제어 프로그램은 차량 (2) 의 입고시와 출고시에서 대체로 동일하다.
이 제어의 흐름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제어 개시 후, 먼저 단계 S1 에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1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원래대로 되돌아가고,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단계 S2 로 진행되어, 제 1 외부 인증 처리가 실행되어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고,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정식인 것이면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다음 단계 S3 에서는,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숫자키 버튼 등의 인증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다음 단계 S4 에서 사용자가 비밀 번호 입력이나 IC 카드에 의한 인증 조작을 실시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S5 에서는,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내용과 단계 S2 의 제 1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의 인증 내용이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그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단계 S6 에서 에러 표시가 이루어진 후, 단계 S7 에서 캔슬 처리가 실시되고, 입고 조작이 캔슬된다.
또, 단계 S5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단계 S8 로 진행되어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기동 버튼이 표시되고, 다음 단계 S9 에서 사용자가 기동 버튼을 눌러 기계식 주차장 (1) 을 기동시킨다. 이에 따라, 단계 S10 으로 진행되어 반송 호출 처리가 실행되고, 소정의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로 반송된다.
팔레트 (31) 도착 후, 단계 S11 에서 다시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11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단계 S12 에서 에러 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계 S13 에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분간)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이것이 부정 판정이면 단계 S11 로 되돌아가, 단계 S11, S12, S13 이 소정 시간 반복되어 대기 처리가 실시되며,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수신되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13 이 긍정 판정이 되면) 단계 S7 로 진행되어 캔슬 처리가 실시되고, 입고 조작이 캔슬된다.
한편, 단계 S11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14 로 진행되어 제 2 외부 인증 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단계 S15 로 진행되어 제 1 조합 처리가 실시되어, 제 1 외부 인증 처리 (단계 S2) 와 제 2 외부 인증 처리 (단계 S14) 에서 각각 인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동일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15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단계 S16 으로 진행되어 에러 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계 S17 에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분간)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이것이 부정 판정이면 단계 S15 로 되돌아가, 단계 S15, S16, S17 이 소정 시간 반복되어 대기 처리가 실시되며,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수신되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17 이 긍정 판정이 되면) 단계 S7 로 진행되어 캔슬 처리가 실시되고, 입고 조작이 캔슬된다.
한편, 단계 S15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18 (도 10 으로 이행) 로 진행되어, 개문 처리가 실행된다. 즉, 입출고 문 (12) 이 자동적으로 개문되거나, 혹은 조작 표시 화면 (56) 에 개문 버튼이 표시되어 이 개문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입출고 문 (12) 을 개문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S19 에서 사용자가 차량 (2) 을 입고 혹은 출고시킨 후, 하차하여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간다. 다음 단계 S20 에서는, 다시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20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단계 S21 로 진행되어 에러 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단계 S20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22 로 진행되고, 제 3 외부 인증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23 으로 진행되어 제 2 조합 처리가 실시되고, 제 1 ∼ 제 3 외부 인증 처리 (단계 S2, S14, S22) 로 각각 인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동일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23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단계 S21 로 진행되어 에러 표시가 이루어진다. 단계 S23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단계 S24 로 진행되어,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폐문 버튼이 표시되고, 다음 단계 S25 에서 사용자가 폐문 버튼을 누름으로써, 다음 단계 S26 에서 입출고 문 (12) 의 폐문이 개시된다. 이와 함께, 단계 S27 에서 외부 인증 신호 (SIG. 1) 의 수신이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27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단계 S28 에서 즉시 입출고 문 (12) 이 다시 개문되고, 단계 S29 에서 에러 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또, 단계 S27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입출고 문 (12) 의 폐문이 속행되어, 단계 S30 에서 폐문 완료가 되고, 제어가 종료한다. 또한, 단계 S24 부터 단계 S30 까지의 제어가 폐문 처리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기계식 주차장 (1) 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간 것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외부 인증 처리와, 이 제 1 외부 인증 처리가 완료한 것을 조건으로, 소정의 팔레트 (31) 를 승입실 (5) 로 호출하는 반송 호출 처리와, 팔레트 (31) 가 승입실 (5) 에 도착한 후,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조작반 (14)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을 인식하는 제 2 외부 인증 처리와, 이들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각각 인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조합 처리와, 이 제 1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을 조건으로, 입출고 문 (12) 을 개문시키는 개문 처리와, 사용자에 의한 차량의 입출고 후에,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을 재차 인식하는 제 3 외부 인증 처리와, 제 1, 제 2, 제 3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조합 처리와, 이 제 2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이고, 또한 입출고 문 (12)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 에서의 폐문 조작을 허가하는 폐문 처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입출고에 관련되는 일련의 작업을, 최초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 사용자만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의 입고를 방지함과 함께, 승입실 (5)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 (12) 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고, 또한 인증 조작이나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내부 인증 처리 및 내재 표시 처리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11 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 설명한다.
도 9, 도 10 의 플로우 차트로 설명한 단계 S15 에 있어서 제 1 조합 처리가 완료되고, 단계 S18 에 있어서 개문 처리가 이루어져, 입출고 문 (12) 이 열린 후, 도 11 에 나타내는 단계 S35 에 있어서, 내부 인증 신호 (SIG. 3)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35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다시 단계 S35 로 되돌아가는 제어가 이루어지고, 단계 S35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36 으로 진행되어 내부 인증 처리가 실행된다. 이 내부 인증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외부인에 의한 내부 조작반 (19) 의 조작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단계 S37 로 진행되어 내재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조작반 (14) 의 조작 표시 화면 (56) 에, 승입실 (5) 의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 것과,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 의 내부에 있는 것이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38 로 진행되어, 내부 인증 신호 (SIG. 3)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다시 판단된다. 이 단계 S38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37 로 되돌아가, 단계 S37 과 S38 이 반복된다. 또, 단계 S38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단계 S20 으로 이행하여, 전술한 제어가 속행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12 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 개시 후, 단계 S41 에서 외부 감응 신호 (SIG. 2)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41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42 로 진행되고, 외부 인증 신호 (SIG. 1)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이 단계 S42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단계 S43 으로 진행되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 분간) 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것이 긍정 판정이면, 단계 S44 에서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가 실행되고, 제어가 종료한다.
또, 단계 S41 이 부정 판정인 경우와, 단계 S42 가 긍정 판정인 경우와, 단계 S43 이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모두 단계 S41 로 되돌아가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단계 S41 ∼ S43 의 루틴이 반복됨으로써, 외부인이 외부 조작반 (14) 이나 입출고 문 (12) 의 부근에 장시간 체재하는 것을 규제하고, 승입실 (5) 로의 부정한 침입, 차량 털이, 차량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 및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13 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 개시 후, 단계 S51 에서 내부 감응 신호 (SIG. 4)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51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다시 단계 S51 로 되돌아가는 제어가 반복된다. 또, 단계 S51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52 로 진행되고, 내부 인증 신호 (SIG. 3) 가 주제어부 (41) 에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52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단계 S53 으로 진행되고,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가 실행되고, 제어가 종료한다.
한편, 단계 S52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54 로 진행되고,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 분간) 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것이 긍정 판정이면, 단계 S55 에서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가 실행되고, 제어가 종료한다.
이와 같은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외부 조작반 (14) 에서 인증을 실시하지 않은 외부인이 승입실 (5) 에 침입하여 차량 털이 등을 실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입출고 조작을 선 사용자가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소지하고 있는 다음 사용자가 1 명 내지 수 명 와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대기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 에 접근하여, 그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간 시점에서, 이 대기 사용자가 입고를 희망하고 있는지 출고를 희망하고 있는지가, 그 휴대 인증 매체 (70) 의 인증 정보와, 주제어부 (41) 에 접속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42) 에 기억되어 있는 입출고 이력에 기초하여 인증 조합부 (46) 에서 판단되고, 입출고의 예약 (차례 결정) 이 실시된다 (예약 처리).
이 예약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선 사용자가 입출고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대기 사용자의 입출고 예약이 실시되기 때문에, 대기 사용자가 많은 경우에 차례를 결정하여 혼란을 회피함과 함께, 각 대기 사용자의 인증 시간을 단축하여, 기계식 주차장 (1) 의 순조로운 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예약 처리 후, 선 사용자의 입출고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대기 사용자를 위해서 반출될 예정의 팔레트 (31) 를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반출시키기 쉬운 위치로 교체해 두는 교체 처리가 실행된다.
이 교체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선 사용자의 입출고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대기 사용자를 위해서 반출되는 팔레트 (31) 가 가장 반출시키기 쉬운 장소로 교체된다. 예를 들어, 다층 순환식이나, 후술하는 종렬 승입식의 기계식 주차장인 경우에는, 대기 중의 각 사용자를 위해서 반출될 예정의 팔레트 (31) 를, 가장 효율이 좋은 위치 (차례) 에 정렬시키거나 승강 통로 (26) 의 근방까지 이동시키거나 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음의 입출고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의 예약 처리 및 교체 처리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14 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 개시 후, 단계 S61 에서 입출고 조작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61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 즉 입출고 조작이 실시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단계 S61 로 되돌아가는 제어가 반복된다. 또, 단계 S61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 즉 입출고 조작 중이면, 단계 S62 로 진행되고, 대기 사용자가 갖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가는 것에 의한 외부 인증 신호 (SIG. 1) 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단계 S62 의 판정 결과가 부정 판정이면, 단계 S61 로 되돌아가고, 이후 단계 S61 과 S62 가 반복된다. 또, 단계 S62 의 판정 결과가 긍정 판정이면 단계 S63 으로 진행되어 예약 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단계 S64 로 진행되어 교체 처리가 실행되고, 제어가 종료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계식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이 기계식 주차장 (91) 에서는, 2 개의 승입실 (5A, 5B) 이 전후로 연결되어 있으며, 앞쪽측 승입실 (5A) 의 입출고구 (3A) 에 입출고 문 (12A) 이 설치되고, 안쪽측 승입실 (5B) 의 입출고구 (3B) 에 입출고 문 (12B) 이 설치된, 종래부터 주지된 종렬 승입식의 것이다. 안쪽측 승입실 (5B) 에 입출고하는 차량은, 앞쪽측 승입실 (5A) 과 안쪽측의 입출고구 (3B) (입출고 문 (12B)) 를 통과하여 승입실 (5B) 에 출입한다.
입출고 문 (12A) 의 외측 근방에는,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 (91) 의 기동 조작과 입출고 문 (12A, 12B) 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 (14) 이 설치되고, 이 외부 조작반 (14) 에 내장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에 의해 외부 조작반 (14) 의 근방 (앞쪽 부근) 의 한정된 범위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가 형성된다. 또한, 입출고 문 (12A) 의 상부 근방에 설치된 외부 감응 센서 (17) 에 의해, 외부 조작반 (14) 및 입출고구 (3A) 의 앞쪽 부근의 소정의 면적에 걸쳐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가 형성된다.
또, 승입실 (5A, 5B) 의 내부에 각각 내부 조작반 (19A, 19B) 과 내부 감응 센서 (21A, 21B) 가 설치되고, 내부 조작반 (19A) 에 내장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A) 에 의해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가 형성되고, 내부 조작반 (19B) 에 내장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B) 에 의해 내부 인증 에어리어 (C1) 가 형성되고, 내부 감응 센서 (21A) 에 의해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가 형성되고, 내부 감응 센서 (21B) 에 의해 내부 감응 에어리어 (C2) 가 형성된다.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C1) 와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C2) 의 넓이의 관계는, 제 1 실시형태의 기계식 주차장 (1) 에 있어서의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와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의 넓이의 관계와 동일하지만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승입실 (5A, 5B) 내로 팔레트 (31) 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 개의 승입실 (5A, 5B) 이 전후로 연결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의 기계식 주차장 (1) 과 동일한 구성이다. 사용자 (드라이버) 는 사용자 자신의 고유 인증 정보가 기억된 휴대 인증 매체 (70) 를 휴대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휴대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안에 들어가면, 이것을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검지하고,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에 기억된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발신하여, 주제어부 (41) 가 이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한다. 또, 외부 감응 에어리어 (A2) 에 사람이나 차량이 들어가면, 이것을 외부 감응 센서 (17) 가 검지하고, 주제어부 (41) 에 외부 감응 신호 (SIG. 2) 를 발신한다. 또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A) 의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안에 들어가면, 이것을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A) 가 검지하고,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발신한다. 또, 승입실 (5A) 의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에 사람이나 차량이 들어가면, 이것을 내부 감응 센서 (21A) 가 검지하고, 주제어부 (41) 에 외부 감응 신호 (SIG. 4) 를 발신한다. 마찬가지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B) 의 내부 인증 에어리어 (C1) 안에 들어가면, 이것을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B) 가 검지하고, 내부 인증 신호 (SIG. 5) 를 발신한다. 또, 승입실 (5B) 의 내부 감응 에어리어 (C2) 에 사람이나 차량이 들어가면, 이것을 내부 감응 센서 (21B) 가 검지하고, 주제어부 (41) 에 외부 감응 신호 (SIG. 6) 를 발신한다.
상기의 각 신호 (SIG. 1 ∼ SIG.6) 가 입력되는 것에 의한 주제어부 (41) 의 제어 내용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계식 주차장 (1) 과 대체로 동일하다. 단, 2 개의 승입실 (5A, 5B)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인증 신호를 SIG.3 과 SIG.5 의 2 종류로 하고, 내부 감응 신호를 SIG.4 와 SIG.6 의 2 종류로 함으로써, 승입실 (5A 와 5B) 안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기계식 주차장 (91) 에 있어서 차량을 입출고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드라이버) 가 외부 조작반 (14) 으로 향하고, 이 때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1) 에 들어감으로써,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 에 인식되고,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이 사용자 인증 후, 소정의 팔레트 (31) 가 호출되지만, 이 호출된 팔레트 (31) 가 앞쪽측 승입실 (5A) 로 반송되는 경우에는, 앞쪽측의 입출고 문 (12A) 만이 열린다.
그러나, 호출된 팔레트 (31) 가 안쪽측 승입실 (5B) 로 반송되는 경우에는, 앞쪽측의 입출고 문 (12A) 과 안쪽측의 입출고 문 (12B) 의 양방이 열리고, 차량은 앞쪽측 승입실 (5A) 을 통과하여 안쪽측 승입실 (5B) 에 출입한다. 이와 같이, 앞쪽측의 입출고 문 (12A) 과 안쪽측의 입출고 문 (12B) 의 양방이 열리고, 안쪽측 승입실 (5B) 에 차량이 입고하여, 이 차량의 드라이버가 승입실 (5B) 의 안쪽에서 충전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입출고 문 (12A) 너머로 승입실 (5B) 의 안쪽을 확인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승입실 (5B) 의 안쪽에 사람이 있는 것이 인식되지 않아 입출고 문 (12A, 12B) 이 닫혀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이 기계식 주차장 (91) 의 구성에 의하면, 승입실 (5A) 과 승입실 (5B) 의 내부에 각각 내부 감응 센서 (21A, 21B) 와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A, 66B) 가 설치되고, 내부 감응 센서 (21A, 21B) 에 의해 내부 감응 에어리어 (B2, C2) 가 형성되고,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A, 66B) 에 의해 내부 인증 에어리어 (B1, C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잘 인식되지 않는 안쪽측 승입실 (5B) 의 내부에서 충전 작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 사용자가 있어도, 이 사용자가 주제어부 (41) 에 의해 확실히 인식되고, 이에 따라 승입실 (5A, 5B) 의 내부에 사람이 남겨져 있는 것의 간과를 방지할 수 있어, 기계식 주차장 (91) 의 안전한 운행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6,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계식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 16 은 이 기계식 주차장 (101) 의 구성 및 차량 입고시의 순서를 나타내며, 도 17 은 동일하게 차량 출고시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기계식 주차장 (101) 은, 2 개의 승입실 (5L, 5R) 이 가로 배열로 배치되어 있고, 일방의 승입실 (5L) 의 입출고구 (3L) 에 입출고 문 (12L) 이 설치되고, 타방의 승입실 (5R) 의 입출고구 (3R) 에 입출고 문 (12R) 이 설치되어 있다.
입출고 문 (12L) 의 외측 근방에는,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 (101) 의 기동 조작과 입출고 문 (12L) 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 (14L) 이 설치되고, 이 외부 조작반 (14L) 에 내장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L) 에 의해 외부 조작반 (14L) 근방 (앞쪽 부근) 의 한정된 범위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AL) 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입출고 문 (12R) 의 외측 근방에는,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 (101) 의 기동 조작과 입출고 문 (12R) 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 (14R) 이 설치되고, 이 외부 조작반 (14R) 에 내장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R) 에 의해 외부 조작반 (14R) 의 근방 (앞쪽 부근) 의 한정된 범위에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안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R) 에 인식되어,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R)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 (SIG. 1) 를 주제어부 (41) 에 발신하고, 이 원격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도 5 참조) 에 있어서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어,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정식 계약자이면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또, 승입실 (5L, 5R) 의 내부에는 각각 내부 조작반 (19L, 19R) 이 설치되고, 그 각각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L, 66R) 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L, 66R) 에 의해 승입실 (5L, 5R) 의 내부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 (BL, BR) 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부 인증 에어리어 (BR) 안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R) 에 인식되어,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R)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주제어부 (41) 에 발신하고, 이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도 5 참조) 에 있어서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어,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정식 계약자이면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또, 사용자가 승입실 (5R) 안에 있는 것이 인식된다.
또한,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고구 (3L, 3R) 로부터 떨어진,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입구가 되는 입고 통로 (105) 에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원격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에 의해 입고 통로 (105) 에 관련된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가 형성된다. 입고 통로 (105) 에는, 이 기계식 주차장 (101) 에 입고하는 모든 차량이 통행하고, 그 때에 전체 차량이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차량이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를 통과함으로써, 사용자 (드라이버) 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에 인식되어,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 (SIG. 7) 를 주제어부 (41) 에 발신하고, 이 원격 인증 신호 (SIG. 7)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도 5 참조) 에 있어서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어,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정식 계약자이면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한편,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식 주차장 (101) 에 인접하여 출고 대합 로비 (108)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 설치된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10) (원격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에 의해 출고 대합 로비 (108) 내에 원격 인증 에어리어 (D2) 가 형성된다. 차량을 출고시키기 위해서 출고 대합 로비 (108) 에 들어간 사용자는 이 원격 인증 에어리어 (D2) 에 들어가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10) 에 인식되어,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10)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 (SIG. 8) 를 주제어부 (41) 에 발신하고, 이 원격 인증 신호 (SIG. 8) 을 수신한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도 5 참조) 에 있어서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어,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정식 계약자이면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그리고, 소정의 차량을 실은 팔레트 (31) 가 자동적으로 승입실 (5L 또는 5R) 로 반송되는 동작이 개시되고, 출고 대합 로비 (108) 내에 출고까지 걸리는 대기 시간이 표시된다. 또, 소정의 팔레트 (31) 가 곧 도착할 무렵에는, 그 취지가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 (101) 에 차량을 입고하는 경우의 순서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제어 및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입고 순서에 대해서는, 도 16 중에 번호 (1) 내지 (8) 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입고하는 차량이 차재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동 차량 (2E) 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전동 차량 (2E) 의 드라이버) 는 입고 통로 (105) 를 통과하여 기계식 주차장 (101) 에 입장한다 (1). 이 때, 전동 차량 (2E) 이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를 통과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에 인식되어,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 (SIG. 7) 를 주제어부 (41) 에 발신하고,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주제어부 (41) 는, 기계식 주차장 (101) 내부의 빈 스페이스를 조합하여, 입출고구 (3L 또는 3R) 로 향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입출고구 안내 표시기 등으로 지시한다. 예를 들어 입출고구 (3R) 로 향하도록 지시받은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을 입출고구 (3R) (입출고 문 (12R)) 앞에 정차시키고,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하차시키고, 도어 미러를 접고, 안테나를 내린다 (2).
한편, 주제어부 (41) 는, 전동 차량 (2E) 이 입출고구 (3R) 앞에 도착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수전 장치 (35) 가 부설된 공 (空) 팔레트 (31) 를 승입실 (5R) 로 반송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입출고 조작을 하고 있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먼저 입출고 조작을 하고 있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예약 처리와 교체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의 입고 조작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입고하려고 하고 있는 차량이 차재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동 차량 (2E) 인 것은,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06) 에 인식된 시점에서 판명하여, 주제어부 (41) 에 연락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으로부터 하차하여 외부 조작반 (14) 으로 향한다 (3). 상기 (2), (3) 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감으로써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R) 에 인식되어,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1R)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발신하고, 이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수신한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도 5 참조) 에 있어서 사용자의 ID 가 조합되어, 사용자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정식 계약자이면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가 차량의 운전석까지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차량 (2) 으로부터 하차하지 않아도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휴대 인증 매체 (70) 에 리모컨 기능을 부여하여, 후술하는 외부 조작반 (14R) 에 있어서의 조작을 차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면 하차하는 수고를 생략하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주제어부 (4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의 수신을 계속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허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 (도시하지 않음) 에 숫자키 버튼 등의 인증 입력 화면이 액정 표시되고, 조작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와 음성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에 의해, 숫자키 버튼으로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전용 IC 카드를 IC 카드 리더에 터치하여 인증 조작을 실시하도록 안내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R) 에 있어서 인증 조작을 실시하면, 주제어부 (41) 의 인증 조합부 (46) 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이 재차 실시된다. 이 때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내용이 올바르지 않으면, 문자 표시나 음성에 의해 에러 표시가 이루어져, 이 사용자의 입고 조작은 캔슬되고, 다음 사용자의 입출고 조작이 접수된다.
이 외부 조작반 (14R) 에 있어서의 인증 입력 조작이 성공하고, 공차의 소정의 팔레트 (31) 가 승입실 (5R) 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에 「호출 중」 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팔레트 (31) 가 승입실 (5R) 에 도착하면,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안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입출고 문 (12R) 이 자동적으로 열린다. 여기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 표시나 음성에 의해 에러 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자에게 외부 조작반 (14R) 앞으로 되돌아가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R) 앞으로 되돌아가지 않아, 주제어부 (41) 가 외부 인증 신호 (SIG. 1) 를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분간) 경과한 후에, 이 사용자의 입고 조작은 캔슬되고, 다음 사용자의 입출고 조작이 접수된다.
입출고 문 (12R) 의 개문과 함께, 도 2 에 나타내는 입고 관제등 (15) 이 적색 점등에서 청색 점등으로 바뀐다. 입출고 문 (12) 이 열리면,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에 재승차한다 (4). 그리고, 전동 차량 (2E) 을 전진시켜, 열려 있는 입출고구 (3R) 를 통과하고, 전동 차량 (2E) 을 승입실 (5R) 에 입고시켜 팔레트 (31) 상에 올라앉는다 (5). 전동 차량 (2E) 을 팔레트 (31) 상의 정위치에 정차시키면, 사용자는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전동 차량 (2E) 으로부터 하차하여, 전동 차량 (2E) 의 차체에 형성된 충전 케이블 접속부와 팔레트 (31) 에 설치된 수전 장치 (35) 의 콘센트부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하고, 승입실 (5R) 내의 내부 조작반 (19R) 으로 향한다 (6). 이 때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R) 의 내부 전방의 영역에 형성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 (BR) 에 들어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66R) 가 이것을 검지하여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발신한다. 이 내부 인증 신호 (SIG. 3) 를 주제어부 (41) 가 수신함으로써, 주제어부 (41) 는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및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서 인증한 것과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BR) 에 들어간 것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재인증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내부 조작반 (19R) 을 조작하는 것이 허가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조작반 (19R) 의 조작 표시 화면 (도시하지 않음) 에 숫자키 버튼이나 충전 예약 버튼이 표시되고, 이것을 사용자가 터치 함으로써, 충전의 종류 (통상 충전 또는 급속 충전) 나 충전 시간 등이 설정되고, 충전 예약이 이루어진다. 이 내부 인증 에어리어 (BR) 에 있어서의 인증이 실행됨으로써,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서의 인증을 실시하지 않은 외부인이 승입실 (5R) 의 내부에 침입했다고 해도, 내부 조작반 (19R) 의 조작 표시 화면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승입실 (5R) 로부터 퇴출하고, 외부 조작반 (14R) 에서 폐문 조작을 실시한다 (7). 이 때에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재차 확인된다. 그리고, 이 때에 인증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BR) 에서 인증된 것과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에 폐문 버튼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조작 표시 화면에 폐문 버튼이 표시되는 것은, 시종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주제어부 (41) 에 인식되고 있는 것이 조건이 되기 때문에, 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R) 의 부근에 없으면 입출고 문 (12R) 이 닫히는 경우는 없고, 이에 따라, 입고한 사용자가 아직 승입실 (5R) 안에 있는데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입출고 문 (12R) 이 닫혀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안전한 운행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입고를 끝낸 사용자가 입출고 문 (12R) 의 폐문 조작을 잊고 떠나려고 한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성에 의해 입출고 문 (12R) 을 닫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에 폐문 버튼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폐문 버튼을 눌러 입출고 문 (12R) 을 닫는다. 이 때, 입출고 문 (12R)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이 되는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입출고 문 (12R) 이 닫히는 것이 방지된다. 입출고 문 (12R) 이 완전히 닫히면, 사용자는 기계식 주차장 (101) 으로부터 퇴출할 수 있다 (8). 그 후, 승입실 (5R) 내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턴테이블 (7) 이 선회하여 전동 차량 (2E) 의 방향이 차량 격납 선반 (30) 의 방향을 따르도록 팔레트 (31) 째 방향 전환된다. 방향 전환된 팔레트 (31) 는 반송대 (27) 에 의해 상방의 소정의 차량 격납 선반에 수용되고,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휴대 인증 매체 (70) 에 리모컨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3) 과 (4) 의 단계에서 전동 차량 (2E) 으로부터 하차하여 재승차할 필요가 없고, 승차한 채로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감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소지하고,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있어서 인증된 사용자가 승입실 (5R) 내에 있을 때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에, 승입실 (5R) 의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 것과,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승입실 (5) 의 내부에 있는 것이 표시된다 (내재 표시 처리).
다음으로, 기계식 주차장 (101) 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출고시키는 경우의 순서와, 기계식 주차장 (101) 의 제어 및 동작을 설명한다. 출고 순서에 대해서는, 도 17 중에 번호 (9) 내지 (15) 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출고하는 차량이 차재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시킨 전동 차량 (2E) 인 경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전동 차량 (2E) 의 드라이버) 는, 출고 대합 로비 (108) 에 들어가고, 그 안에 설치된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10) 에 의해 형성된 원격 인증 에어리어 (D2) 에 들어간다 (9).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10) 에 인식되어,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110) 가 휴대 인증 매체 (70) 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 (SIG. 8) 를 주제어부 (41) 에 발신하고,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된다. 주제어부 (41) 는, 전동 차량 (2E) 이 재치되어 있는 팔레트 (31) 를 승입실 (5L 또는 5R) 중 어느 것으로 반송할지를 결정하고, 그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출고까지 걸리는 대기 시간과, 출고가 이루어지는 입출고구 (3L 또는 3R) 의 지시와, 도착 안내가 이루어진다.
전동 차량 (2E) 이 탑재된 팔레트 (31) 가 승입실 (5R) 에 곧 도착할 무렵에, 그 취지가 출고 대합 로비 (108) 에 알려지고, 사용자는 출고 대합 로비 (108) 를 나와 입출고구 (3R) 로 향한다 (10). 그 때, 사용자는 승입실 (5R) 의 외부 조작반 (14R) 앞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외부 인증 처리가 실시된다. 이 때에 사용자 자신이 외부 조작반 (14R) 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IC 카드를 IC 카드 리더에 터치하여 재차 인증 조작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인증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계약자라고 인정되면,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안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입출고 문 (12R) 이 자동적으로 열린다.
입출고 문 (12R) 이 열리면, 사용자는 승입실 (5R) 에 들어가,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 접속부와 팔레트 (31) 의 수전 장치 (35) 사이를 접속하고 있는 충전 케이블을 해체하여 차 내에 회수한다. 이 작업이 승입실 (5R) 의 안쪽측에서 실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 인증 매체 (70) 가 내부 인증 에어리어 (BR) 에 들어가기 때문에, 내부 인증 처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에 승입실 (5R) 의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 것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에 승차하고 (11), 전동 차량 (2E) 을 출고시켜 입출고구 (3R) 앞에 정차시키고 (12), 하차하여 외부 조작반 (14R) 으로 향하고, 인증과 폐문 조작을 실시한다 (13). 여기서는,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가는 것에 의한 외부 인증 처리가 실행되고, 인증 에러가 나오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외부 조작반 (14R) 의 조작 표시 화면에 폐문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폐문 버튼을 눌러 입출고 문 (12R) 을 닫는다. 이 때, 입출고 문 (12R)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휴대 인증 매체 (70) 가 외부 인증 에어리어 (AR) 에 들어가 있는 것이 조건으로 되는 것은 입고시와 동일하고, 이에 따라, 입출고 문 (12R) 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사용자에 의한 안전 확인을 실시할 수 있어, 기계식 주차장 (101) 을 안전하게 운행시킬 수 있다. 입출고 문 (12R) 이 닫히면, 사용자는 전동 차량 (2E) 에 재승차하고 (14), 기계식 주차장 (101) 으로부터 나온다 (15).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 인증 매체 (70) 를 소지한 사용자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D2) 에 들어가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을 자동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증된 사용자가 입출고구 (3L, 3R) 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소정의 팔레트 (31) 를 호출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함과 함께, 사용자가 외부 조작반 (14L, 14R) 에서 수동에 의해 인증 조작을 실시하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인증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입고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에 있어서 인증되고 나서 입고가 완료할 때까지 시종, 각 인증 에어리어 (AR(AL), BR(BL), D1, D2) 에 있어서 휴대 인증 매체 (70) 의 존재가 계속 조합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원격 인증 에어리어 (D1) 에 있어서의 인증 후, 다른 사용자의 차량이 끼어들어 와, 선 사용자를 위해서 열린 입출고 문 (12L 또는 12R) 에 들어가 버린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입출고 문 (12L, 12R) 는, 인증된 사용자가 옆에 없으면 열리지 않기 때문에, 인증된 사용자가 없는 동안에 외부인이 승입실 (5L, 5R) 에 침입하거나, 승입실 (5L, 5R) 에 사람이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기계식 주차장에 의하면, 차량의 입출고에 관련되는 일련의 작업을, 최초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한 사용자만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이나 다른 차량의 입고를 방지함과 함께, 승입실 내에 사람이 남겨진 상태로 입출고 문이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고, 또한 인증 조작이나 입출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상에 구축된 주차 타워 (4) 의 하부에 형성된 입출고구 (3, 3L, 3R) 로부터 차량이 출입하는 하부 승입식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지하에 구축된 차고에, 지상에 설치된 입출고구로부터 주차 차량이 출입하는 상부 승입식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이어도 된다.
또, 외부 감응 센서 (17) 나 내부 감응 센서 (21, 21A, 21B) 등의 설치 수는 복수여도 된다. 또한, 외부 감응 센서 (17) 나 내부 감응 센서 (21, 21A, 21B) 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 제어를 간략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1, 91, 101 : 기계식 주차장
3 : 입출고구
5 : 승입실
12 : 입출고 문
14, 14L, 14R : 외부 조작반
17 : 외부 감응 센서
19, 19A, 19B, 19L, 19R : 내부 조작반
21, 21A, 21B : 내부 감응 센서
40 : 제어 장치
41 : 주제어부 (제어 수단)
58, 65 : 음성 스피커 (경보 수단)
61, 61L, 61R : 외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외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66, 66A, 66B, 66L, 66R : 내부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70 : 휴대 인증 매체
105 : 입고 통로
106, 110 : 원격 인증 에어리어 안테나 (원격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
108 : 출고 대합 로비
A1, AL, AR : 외부 인증 에어리어
A2 : 외부 감응 에어리어
B1, BL, BR, C1 : 내부 인증 에어리어
B2, C2 : 내부 감응 에어리어
D1, D2 : 원격 인증 에어리어
S2 : 제 1 외부 인증 처리
S10 : 반송 호출 처리
S14 : 제 2 외부 인증 처리
S15 : 제 1 조합 처리
S18 : 개문 처리
S22 : 제 3 외부 인증 처리
S23 : 제 2 조합 처리
S24 ∼ S30 : 폐문 처리
S36 : 내부 인증 처리
S37 : 내재 표시 처리
S44 :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
S53 :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
S55 :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
S63 : 예약 처리
S64 : 교체 처리
SIG.1 : 외부 인증 신호
SIG.2 : 외부 감응 신호
SIG.3, SIG.5 : 내부 인증 신호
SIG.4, SIG.6 : 내부 감응 신호
SIG.7 : 원격 인증 신호
SIG.8 : 원격 인증 신호

Claims (16)

  1. 입출고 문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인증 조작과, 기계식 주차장의 기동 조작과, 상기 입출고 문의 개폐 조작 등을 실시하는 외부 조작반과,
    상기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외부 조작반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인증 매체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를 형성하여 그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들어간 것을 검지 (檢知) 하고,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외부 인증 신호를 발신하는 외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과,
    상기 외부 인증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의 조작을 허가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외부 인증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원격 인증 에어리어를 형성하여 그 원격 인증 에어리어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들어간 것을 검지하고,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고유 인증 정보에 기초하는 원격 인증 신호를 발신하는 원격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원격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원격 인증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시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문의 내측 승입실의 내부에 내부 인증 에어리어를 형성하는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그 내부 인증 에어리어 형성 수단은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들어간 것을 검지하여 내부 인증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내부 인증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상기 사용자가 있는 것과,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을 상기 외부 조작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반 및 입출고구의 부근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외부 감응 신호를 발신하는 외부 감응 센서와, 경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감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사람이나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에 내부 감응 신호를 발신하는 내부 감응 센서와, 경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고,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는,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인식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외부 조작반을 원격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8. 사용자의 고유 인증 정보가 기억된 휴대 인증 매체가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간 것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외부 인증 처리와,
    상기 제 1 외부 인증 처리가 완료한 것을 조건으로, 소정의 차체 반송기를 입출고 문의 내측 승입실에 자동적으로 호출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에게 입출고 문의 외측에 설치된 외부 조작반에서 기동 조작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호출하는 반송 호출 처리와,
    상기 차체 반송기가 상기 승입실에 도착한 후,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조작반 근방의 한정된 범위에 형성된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인식하는 제 2 외부 인증 처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각각 인식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조합 처리와,
    상기 제 1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입출고 문을 자동 개문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에서 개문 조작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상기 입출고 문을 개문하는 개문 처리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차량의 입출고 후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재차 인식하는 제 3 외부 인증 처리와,
    상기 제 3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식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식된 것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조합 처리와,
    상기 제 2 조합 처리가 긍정 판정이고, 또한 상기 입출고 문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 조작반에 의한 폐문 조작을 허가하는 폐문 처리
    를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는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인,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증 에어리어는 입출고구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형성된 원격 인증 에어리어인,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문 처리 후,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인증 처리에 있어서 인증한 것과 동일한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간 것을 인식하는 내부 인증 처리와,
    상기 승입실 내에 상기 사용자가 있는 것, 및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승입실 안에 있는 것을 상기 외부 조작반에 표시하는 내재 표시 처리를 추가로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반 부근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외부 감응 센서로부터 발신되는 외부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외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외부인 접근 경보 처리를 추가로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입실의 내부에 사람이나 차량이 진입한 것을 검지하는 내부 감응 센서로부터 발신되는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외부인 침입 경보 처리와,
    상기 내부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에어리어에서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내부 감응 신호의 수신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을 조건으로,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발함과 함께, 기계식 주차장의 관리 시스템에 통보하는 사용자 상황 확인 경보 처리
    를 추가로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앞의 상기 사용자가 입출고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휴대 인증 매체를 소지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가 와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대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상기 휴대 인증 매체가 상기 외부 인증 에어리어에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대기 사용자가 입고를 희망하고 있는지 출고를 희망하고 있는지를 상기 휴대 인증 매체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입출고의 예약을 실시하는 예약 처리를 추가로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 후, 선 사용자의 입출고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대기 사용자를 위해서 반출될 예정의 상기 차체 반송기를,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반출시키기 쉬운 위치로 교체해 두는 교체 처리를 추가로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방법.
  16. 제 8 항의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기계식 주차장.
KR1020137025418A 2011-07-29 2012-07-18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 KR101515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6352A JP5480208B2 (ja) 2011-07-29 2011-07-29 機械式駐車場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機械式駐車場
JPJP-P-2011-166352 2011-07-29
PCT/JP2012/068144 WO2013018540A1 (ja) 2011-07-29 2012-07-18 機械式駐車場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機械式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451A KR20130131451A (ko) 2013-12-03
KR101515740B1 true KR101515740B1 (ko) 2015-05-04

Family

ID=4762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418A KR101515740B1 (ko) 2011-07-29 2012-07-18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80208B2 (ko)
KR (1) KR101515740B1 (ko)
CN (1) CN103492651B (ko)
SG (1) SG193618A1 (ko)
WO (1) WO20130185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9809A (ja) * 2018-03-13 2019-09-19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車両受渡システム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0421B1 (ja) * 2013-03-29 2014-04-23 三菱重工パーキング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および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方法
JP5480423B1 (ja) * 2013-04-09 2014-04-23 三菱重工パーキング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および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方法
JP5752191B2 (ja) * 2013-08-06 2015-07-22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
JP5709961B2 (ja) * 2013-10-18 2015-04-30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および機械式駐車場設備におけるユーザー認証方法
JP6381903B2 (ja) * 2013-12-16 2018-08-29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FR3019204B1 (fr) * 2014-03-28 2017-11-17 Soletanche Freyssinet Parking souterrain pour vehicules electriques
CN104199323B (zh) * 2014-08-19 2016-07-20 江苏蒙哥马利电梯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系统用遥控开关
JP6401547B2 (ja) * 2014-08-21 2018-10-1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設備の入出庫扉閉め忘れ防止システム
DE102015100127A1 (de) * 2014-10-15 2016-04-21 Klaus Multiparking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Autoparkvorrichtung
KR101701437B1 (ko) * 2015-10-20 2017-02-13 코스텍코리아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타워 입출차 예약 정보처리장치에 따른 주차타워 원격관제 시스템과 그의 주차타워 정보처리장치 및, 원격 관제보드장치
JP6632337B2 (ja) * 2015-11-06 2020-01-22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出入口扉開閉制御装置
JP6433418B2 (ja) * 2015-12-22 2018-12-05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出入口扉開閉制御装置
CN105909025B (zh) * 2016-04-26 2018-06-12 四川聚达机电有限公司 立体车库智慧中转搬运系统及其方法
SE539996C2 (sv) * 2016-07-11 2018-02-20 Johansson Bjoern Parkeringsplattform samt parkeringshus med elsystem för laddning av elbilar och hybridbilar
JP2018012927A (ja) * 2016-07-19 2018-01-2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設備の安全確認装置
JP6692714B2 (ja) * 2016-07-19 2020-05-13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設備の安全確認装置
JP6843572B2 (ja) * 2016-09-30 2021-03-17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操作盤、機械式駐車装置、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改造方法
CN106522625B (zh) * 2016-11-16 2022-04-29 广东明和智能设备有限公司 立体车库
JP6889550B2 (ja) * 2016-12-19 2021-06-18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JP6955887B2 (ja) * 2017-04-12 2021-10-27 日本発條株式会社 駐車装置、および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6955901B2 (ja) * 2017-05-19 2021-10-27 日本発條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駐車装置
CN109501751A (zh) * 2017-11-06 2019-03-22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载电池安全操作方法和系统及平台、控制器和存储介质
CN108193912A (zh) * 2017-12-23 2018-06-22 安徽乐库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智能停车控制系统
JP2019127802A (ja) * 2018-01-26 2019-08-01 株式会社技研製作所 地下駐車場、及びその施工方法
JP6843807B2 (ja) * 2018-09-07 2021-03-17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システム及び機械式駐車システム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6838039B2 (ja) * 2018-12-21 2021-03-03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005261A (zh) * 2019-03-11 2020-11-27 乐天株式会社 配送系统、控制装置、配送方法及控制方法
JP7081537B2 (ja) * 2019-03-12 2022-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
ES2735848B2 (es) * 2019-07-02 2020-11-13 E Park Robotic S L Aparcamiento automatizado para vehiculos electricos y procedimientos de aparcamiento
JP7413137B2 (ja) 2020-04-28 2024-01-15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4090482A1 (ja) * 2022-10-28 2024-05-02 Ihi運搬機械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操作方法及び操作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39A (ja) 1999-08-20 2001-02-27 Furukawa Co Ltd 立体駐車装置の操作装置
JP2003328577A (ja) 2002-05-13 2003-11-19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設備およびその遠隔操作装置
KR200422957Y1 (ko) 2006-05-17 2006-08-01 케이 이엔지(주) 다단 주차 장치용 자동 주차 시스템
JP2009191546A (ja) 2008-02-15 2009-08-27 Nhk Spring Co Ltd 駐車装置の操作盤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255A (ja) * 1994-09-29 1996-04-09 Shinmeiwa Eng Kk 立体駐車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0102805A (ja) * 1996-09-25 1998-04-21 Nissei Ltd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3499213B2 (ja) * 2000-12-28 2004-02-23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4288119A (ja) * 2003-03-25 2004-10-14 Hitachi Kiden Kogyo Ltd 入退場者の管理システム
JP4091920B2 (ja) * 2004-02-05 2008-05-28 日本コンベヤ株式会社 駐車場における車両入出庫システム
JP4611856B2 (ja) * 2005-09-30 2011-01-12 日精株式会社 駐車装置制御システム
CN201233653Y (zh) * 2008-05-15 2009-05-06 张百杨 基于个人身份串码认证的停车位控制器和停车位管理系统
JP5438338B2 (ja) * 2009-02-24 2014-03-12 アズビル株式会社 設備制御システムおよび設備制御方法
CN201562320U (zh) * 2009-08-11 2010-08-25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无线感应式泊车控制卡、泊车器和泊车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39A (ja) 1999-08-20 2001-02-27 Furukawa Co Ltd 立体駐車装置の操作装置
JP2003328577A (ja) 2002-05-13 2003-11-19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設備およびその遠隔操作装置
KR200422957Y1 (ko) 2006-05-17 2006-08-01 케이 이엔지(주) 다단 주차 장치용 자동 주차 시스템
JP2009191546A (ja) 2008-02-15 2009-08-27 Nhk Spring Co Ltd 駐車装置の操作盤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9809A (ja) * 2018-03-13 2019-09-19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車両受渡システムと方法
JP7041557B2 (ja) 2018-03-13 2022-03-24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車両受渡システム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92651B (zh) 2016-05-04
WO2013018540A1 (ja) 2013-02-07
SG193618A1 (en) 2013-10-30
JP2013030038A (ja) 2013-02-07
JP5480208B2 (ja) 2014-04-23
KR20130131451A (ko) 2013-12-03
CN103492651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740B1 (ko) 기계식 주차장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계식 주차장
JP6460655B2 (ja) 機械式駐車場設備の安全確認システム、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および機械式駐車場設備の安全確認方法
JP6817999B2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画像表示方法
JP6448958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6698255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装置、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確認方法、及び機械式駐車装置
JP6448959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6762693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乗降室内確認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乗降室内確認方法
JP6482838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操作忘れ報知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扉操作忘れ報知方法
JP5011054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入出庫制御方法
JP6788051B2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2024014887A (ja) 安全確認システム及び安全確認方法並びに機械式駐車場設備
JP7358547B2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7154900B2 (ja) 入庫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入庫支援方法並びに入庫支援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2018188832A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6381903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7154899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車両保護システム、及びその車両保護方法並びに車両保護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6838039B2 (ja) 機械式駐車場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JP5480421B1 (ja) 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および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方法
JP700953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装置、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確認方法、及び機械式駐車装置
JP7346616B2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7383655B2 (ja) 機械式駐車場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6890948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モコン装置、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操作方法
JP2020007810A (ja) 機械式駐車装置の車両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車両誘導方法、並びに車両誘導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6943620B2 (ja) 駐車装置
JP2004232339A (ja) 駐車設備の運営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