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119B1 -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19B1
KR101488119B1 KR1020137006237A KR20137006237A KR101488119B1 KR 101488119 B1 KR101488119 B1 KR 101488119B1 KR 1020137006237 A KR1020137006237 A KR 1020137006237A KR 20137006237 A KR20137006237 A KR 20137006237A KR 101488119 B1 KR101488119 B1 KR 10148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contact portion
injected
contac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923A (ko
Inventor
히로시 다카라다
쿠니아키 히루카와
아키라 스즈키
노부하루 호시
유이치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9/00Use of polyacetals, e.g. POM, i.e. polyoxymethyle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filler
    • B29K25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5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7Printing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678Ink or ton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하여 본체 접점과 프로세스 수단을 접속하는 전극부를 구비한 카트리지로, 프레임 부재 및 전극부의 구성의 간소화, 카트리지의 조립성 및 전극부의 도통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일체 성형된 카트리지 전극이,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 접점과 접촉하는 프레임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노출된 제1 접점부와, 프로세스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와, 카트리지 전극을 프레임 부재에 성형할 때에 수지가 주입되는 피주입부를 갖고,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도전 수지가 분기하여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가 성형되고, 본체 접점과 프로세스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경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CARTRIDGE AND IMAGE-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이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에서는,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본체 전극과 카트리지의 전극 부재가 접촉하고, 프로세스 수단 등의 피도통 부재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전극 부재의 예로서는,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금속의 전극판을 조립하는 구성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4749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례의 예에서는, 프레임 부재에 전극판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나, 프레임 부재와 전극판의 각각에 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프레임 부재, 전극판의 구성이 복잡해져 있었다. 또한, 전극판을 프레임 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발생하고, 그 때 전극판이 변형되지 않도록 취급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a)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과,
(b)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와,
(c)상기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일체 성형된 카트리지 전극이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노출된 제1 접점부와,
상기 프로세스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와,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성형할 때에 수지가 주입되는 피주입부를 갖고,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도전 수지가 분기하여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가 성형되고, 상기 본체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전극부를 형성하는 도전 수지 주입 완료 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드럼 유닛의 개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드럼 유닛의 개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드럼 프레임 부재의 전극 형성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드럼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드럼 프레임 부재에 몰드를 접촉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백업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관한 도전 수지 주입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관한 도전 수지 주입 전후의 몰드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전극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관한 전극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관한 전극부를 형성하는 도전 수지를 주입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드럼 프레임 부재 및 몰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드럼 유닛이 본체 전극과 접촉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드럼 유닛의 각 접점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드럼 프레임 부재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전극부를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몰드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전 수지를 주입할 때에 사용하는 몰드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몰드를 드럼 프레임 부재에 접촉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몰드를 드럼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격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대전 접점부를 형성할 때에 도전 수지가 주입되어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노출 접점부를 형성할 때의 도전 수지가 주입되어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접점부의 형상 및 단면을 설명하는 전극부의 전체도이다.
도 25는 본체 전극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극부의 전체도이다.
도 26은 드럼 프레임 부재에 접점부가 성형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게이트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저항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과 그래프이다.
도 28은 도전 수지 주입 시의 압력이 걸리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9는 대전 접점부의 버퍼부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대전 접점 스프링의 위치 결정을 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대전 접점 스프링의 위치 결정을 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전극부를 현상 유닛에서 사용했을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들의 상대 배치 등은,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예 1)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드럼 유닛 및 전극부의 성형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 구성]
도 2의 (a)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요 구성도이다. 이하, 도 2의 (a)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는, 광학 장치(1)로부터 화상 정보에 기초한 정보광(레이저광)을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으로서의 감광체 드럼(7)에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7) 상에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잠상을 현상제(이하,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한다. 토너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급송 카세트(3)로부터 기록재(2)가 반송되고, 감광체 드럼(7)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 롤러(4)에 의해 기록재(2)에 전사되고, 이 전사 토너상이 정착 수단(5)에 의해 기록재(2)에 정착된 후, 기록재(2)는 배출부(6)로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요 구성]
이어서, 도 2의 (a) 및 (b)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b)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개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유닛(C)과 드럼 유닛(D)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의 본체(100)(이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현상 유닛(C)은, 토너(도시하지 않음) 및 현상 롤러(12) 등으로 구성되는 현상 수단과, 토너를 수용하여 상기 현상 수단을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 유닛(D)은, 감광체 드럼(7)이나 클리닝 블레이드(14) 등의 구성 부재와, 이들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 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유닛(C)의 토너 수용부(9)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실(10)로 송출되고, 현상 블레이드(11)에 의해 마찰 대전 전하가 부여된 토너층이 현상 롤러(12)의 표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1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가, 상기 잠상에 따라서 감광체 드럼(7)에 전이됨으로써 감광체 드럼(7) 상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사 롤러(4)에 의해 감광체 드럼(7) 상의 토너상이 기록재(2)에 전사된 후에는 클리닝 블레이드(14)에 의해 감광체 드럼(7)에 잔류한 토너가 긁어 떨어지고, 폐토너 저장소(15)에 잔류 토너가 회수(제거)된다. 그 후, 감광체 드럼(7)의 표면이 대전 부재(프로세스 수단)로서의 대전 롤러(1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광학 장치(1)에 의한 잠상 형성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드럼 유닛의 개요 구성]
도 3의 (a)는 드럼 유닛(D)의 대전 프로세스에 관계되는 부분의 개요 구성도, 도 3의 (b)는 드럼 유닛(D)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드럼 유닛(D)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X-X 단면으로 절단한 드럼 유닛(D)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 드럼 유닛(D)의 대전 프로세스에 관계되는 부분의 개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7)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16)는 그 축심의 양단부(16a, 16b)를, 대전 베어링(대전 롤러 단자)(17a)과, 도전성의 재질(예를 들어 도전 수지)로 구성된 대전 베어링(17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전 베어링(17a, 17b)에는 각각 도전성의 압축 스프링(대전 접점 스프링)(18a, 18b)이 설치되어 있고, 대전 베어링(17a, 17b)은 압축 스프링(18a, 18b)이 압축 가능한 상태로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대전 롤러(16)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7)과 대전 롤러(16)가 접촉하면 압축 스프링(18a, 18b)은 압축되고, 이 때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대전 롤러(16)는 감광체 드럼(7)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되어 있다.
다음에, 감광체 드럼(7)의 대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통 부재로서의 스프링 부재인 압축 스프링(18b)은,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일체 성형된 도전 수지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전극부(이하, 전극부)(19)의 대전 접점부인 시트면(20)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18b)과 전극부(19)는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면, 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본체 접점 부재인 본체 전극(21)과,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일체 성형된 전극부(19)가 노출 접점부(22)에서 접촉한다. 계속하여 장치 본체(100)의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본체 전극(21)에 전압이 출력되면, 전극부(19), 압축 스프링(18b), 대전 베어링(17b) 및 축심의 단부(16b)를 거쳐서 대전 롤러(16)의 표면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대전 롤러(16)에 의해 감광체 드럼(7)의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와 같이, 전극부(19)는 대전 롤러(16)와 본체 전극(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전극부(19)는 본체 전극(21)과 대전 롤러(1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전극부(19)는 피주입부인 게이트부(G)로부터 도전 수지가 주입되어 프레임 부재(13)에 일체 성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전극(21)과 전극부(19)가 직접 접속되어 있지만, 본체 전극(21)과 전극부(19)의 사이에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19)와 대전 롤러(16)의 사이에 대전 베어링(17b)이나 압축 스프링(18b)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전극부(19)와 대전 롤러(16)가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19)를 감광체 드럼(7)의 대전 프로세스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현상 롤러(12), 현상 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도시하지 않음), 드럼(7), 토너 잔량의 검지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의 전기적 접속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전극부를 적용할 수 있다.
[전극부의 형성 방법]
이하에, 전극부(전극 부재)(19)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부(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와 삽입 몰드인 몰드(2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며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인 전극 형성부(40)에 도전 수지가 주입됨으로써, 드럼 프레임 부재(13)와 일체 성형된다. 여기서, 전극 형성부(40)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몰드(27)를 접촉하여 배치시킴으로써, 드럼 프레임 부재(13)와 몰드(27)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몰드(27)는 전극부(19)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드럼 프레임 부재(13)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도 8의 (b) 참조). 또한, 몰드(27)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5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전극 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도 5의 (b)는 드럼 프레임 부재에 접촉시키는 몰드(27)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Y-Y 단면으로 절단한 드럼 프레임 부재(13)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 전극부(19)를 성형하기 전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전극 형성부(40) 및 몰드(2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전극부(19)를 성형하는 면에는, 수지가 주입되는 오목부(23)와, 몰드(27)가 접촉하는 몰드 접촉부(24a)(도 6의 (a) 및 (b)에 사선으로 나타냄)를 포함하는 몰드 접촉면(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일부에는, 전극 형성부(40)를 구성하는 오목부(23)와 연통한, 압축 스프링(18b)을 받치는 시트면(20)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삽입구(33)(설명은 후술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27)에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접촉시키는 프레임 부재 접촉면(27a), 도전 수지가 주입되는 홈(27b), 압축 스프링(18b)을 받치는 시트면(20)을 성형하기 위한 돌기(27c) 등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7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몰드(27)를 접촉시켜서 몰드 체결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Z-Z 단면으로 절단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몰드 체결 시의 백업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의 (b)는 몰드 체결 시의 백업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 전극부(19)를 성형하는 공정 중, 몰드 체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부(19)를 성형할 때,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몰드 접촉면(24)에 몰드(27)를 접촉시켜서 몰드 체결을 행한다. 형 체결 시에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부재(백업 몰드)(28)에 의해 몰드 접촉면(24)의 이측을 지지한다. 이것은 몰드(27)의 압박력이나 수지 주입 시의 수지압(P)에 의해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몰드 접촉부(24a) 및 몰드(27)의 프레임 부재 접촉면(27a)이 떨어지지 않도록, 또한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몰드 접촉면(24)의 이측(이면)을 지지하고 있지만, 지지하는 부분이 이측이 아니더라도, 지지함으로써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릴리프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부분이면 상관없다.
도 1의 (a)는 수지 주입 장치(29)의 주입 선단부(30)를 도 8의 (a)에 도시하는 몰드(27)의 주입구(26)에 접촉시킨 상태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부분 단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수지 주입 장치(29)의 주입 선단부(30)를 주입구(26)에 접촉시켜서 수지를 주입하고 있는 상태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몰드 개방 후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M-M 단면도, 도 9의 (c)는 도 9의 (a)의 N-N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 및 (b)는 도 7의 (a)의 Z-Z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며, 도 1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경우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수지 주입 전의 몰드 삽입부터 몰드 체결, 몰드 분리에 이르는 몰드(27)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상태로부터 수지를 주입한 후, 몰드 분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부분 단면도 및 후술하는 리사이클 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 도 1, 도 2의 (b), 도 8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전극부(19)를 성형하는 공정 중, 수지의 주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일부에는, 전극 형성부(40)를 구성하는 오목부(23)(도 5의 (a) 참조)와 연통한, 압축 스프링(18b)을 받치는 시트면(20)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삽입구(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구(33)에 몰드(27)의 돌기(27c)를 삽입하고, 드럼 프레임 부재(13)가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점부(22)에, 대략 수직 방향(도면 중 화살표 좌측 방향)에,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몰드(27)를 접촉시킨 후, 백업(28)에 의해 몰드 체결을 행한다.
이어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주입 장치(29)의 주입 선단부(30)를 도 8의 (a)에 도시하는 몰드(27)의 주입구(26)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융한 도전 수지(34)를 드럼 프레임 부재(13)와 몰드(27)로 형성된 공간인 전극 형성부(35)에 주입한다. 이어서, 수지 주입 장치(29)가 몰드(27)의 주입구(26)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27)가 도면 중 화살표 우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전극부(19)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태가 된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M-M 단면도이다.
수지 주입 장치(29)로부터의 용융 수지의 주입 유로는 피주입부인 게이트부(G) 근방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오목부(50)의 폭(T)을 약 2.5mm로 다른 부위에 대하여 좁게 하고 있다. 이것은 도 9의 (b)의 화살표와 같이 수지 주입 시의 수지 내압을 높이고, 냉각 후의 수축량을 한없이 0에 접근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PS(폴리스티렌)의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도전성의 POM(폴리아세탈)의 결합력(밀착력)을 높여서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진동, 낙하했을 때에, 드럼 프레임 부재(13)로부터 전극부(19)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의도적으로 빠짐 방지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도 10의 (b)의 화살표 방향에 대하여 언더컷부(빠짐 방지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리사이클 시에, 소정 이상의 힘으로 드럼 프레임 부재(13)로부터 도전부(19)를 화살표의 방향(일방향)으로 뽑아내면, 도전부(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몰드(27)가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제거 가능해진다. 지금까지는 수지 주입 장치(29)와 몰드(27)가 별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가 일체이어도 물론 상관없다.
전극부(19)의 성형에 있어서 재차 설명하기로 하고, 이하, 수지 주입 전의 몰드(27)와 프레임 부재(13)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7의 (a)의 Z-Z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인 도 10의 (a) 및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있어서, 주입구(26)로부터 전극 형성부(40)에의 도전 수지의 주입 방향의 하류측의 말단부에는, 전극 형성부(40)로부터 밀려나온 수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로서의 버퍼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형성부(40)로부터 밀려나온 수지(34a)는, 프레임 부재(13)와 몰드(27)의 돌기(27c)의 간극인 버퍼부(32)에 흘러서 저류되어 전극 형성부(40)에의 수지 주입이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버퍼부(32)는 전극 형성부(40)의 하류측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전극 형성부(40)의 도중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즉, 버퍼부(32)는 전극 형성부로부터 밀려나온 수지를 수용하기(보유 지지하기) 위해서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설치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수지 주입 시에는, 몰드(27)의 일부에 설치한 평면부를 갖는 돌기(27c)를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설치한 몰드 삽입구(33)에 삽입한 상태에서 몰드 체결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주입 완료 후에 몰드 분리를 행하면 도전 수지로 구성된 전극부(19)의 시트면(20)이 형성된다. 전극부(19)의 시트면(20)은 후에 압축 스프링(18b)을 조립할 때에 압축 스프링(18b)을 받치는 시트면이 되고, 압축 스프링(18b)과 전극부(19)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가 된다.
도 3의 (b)를 이용하여 보충하면, 전극부(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외측에 노출된 제1 접점부인 접점부(면)(22)와, 제1 접점부가 노출되는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노출된 제2 접점부인 시트면(20)을 갖는다. 접점부(2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A)에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 접점인 본체 전극(21)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면이다. 또한, 시트면(20)은 압축 스프링(18b)과 대전 베어링(17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8b)의 받침부가 된다.
도 11의 (a) 및 (b)를 이용하여 전극부(19)에 대하여 재차 설명한다. 압축 스프링(18b)과 대전 베어링(17b)을 갖는 유닛 부재(도통 부재) 중 압축 스프링(18b)의 외경부(26)의 위치 결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압축 스프링(18b)의 외경부(26)의 위치 결정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도통하는 접점부(22)(도면 중 사선부)를 갖는 전극부(19)에 설치된 도통 부재 위치 결정부(25a, 25b, 26c)의 적어도 일부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압축 스프링(18b)의 받침부가 되는 시트면(20)도 형성하고 있고,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16)를 상 담지체인 감광체 드럼(7)에 일정압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8b)의 스프링력을 결정하고 있다.
이번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도통 부재 위치 결정부(25b)가 밀려나온 수지(34a)를 수용하는 버퍼부(32)의 기능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19)가 드럼 프레임 부재(13)와 일체화되기 쉽도록 전극 형성부(40)에 오목부(23)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이한 재질이면서 결합력을 얻는(높이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도 9의 (a)의 N-N 단면도인 도 9의 (c)와 같이 프레임 부재(13)에 볼록부(53)를 설치하고, 도전 수지재의 수축력(도면 중 화살표)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이것은 드럼 프레임 부재(13)의 재료와 전극부(19)의 재료가 상용성(상용성)이 없는, 또는 낮은 경우에, 누락 방향에 평행한 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서 결합력을 늘리는 방법도 있다.
또한, 볼록부(53)는 도전 수지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이것은 수지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수지의 유동 방향보다도 그 직교 방향의 수축률이 높은 것을 이용하여 드럼 프레임 부재(13)와의 체결력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극부(19)는 피주입부인 게이트부(G)로부터 화살표 F1방향으로 주입된 도전 수지가 도 1의 (b),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F2와 화살표 F3방향으로 분기되어 방향을 바꾸어 흐른다. 그리고, 화살표 F2방향으로 방향을 바꾼 도전 수지는 제1 접점부인 접점부(22)를 성형한다. 화살표 F3방향으로 방향을 바꾼 도전 수지가 또한, 대략 직각의 방향(화살표 F4)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름으로써 제2 접점부인 시트면(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 접점(22)과 프로세스 수단인 대전 롤러(1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점부(22)와 시트면(20)의 도전성이 좋아진다. 즉,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게이트부(G)로부터 주입되는 도전 수지가 방향을 바꾸어 흐름으로써 도전 수지 내에 포함되는 도전재(도전 필러)의 분포, 배향이 랜덤해진다. 그러한 상태가 됨으로써, 게이트부로부터 주입되는 방향으로만 커지는 전극에 비하여 도통성이 좋아진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전극부(19)의 성형 시에 있어서, 미리 압축 스프링(18b)을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끼운 상태에서 도전 수지(34)를 주입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전극부(19)를 성형한 후에 압축 스프링(18b)을 조립하는 것을 상정하여, 압축 스프링(18b)을 받치기 위한 위치 결정부(25a, 25b, 25c)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도통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18b)을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조립한 상태에서, 도전 수지(34)를 주입하여 고정해도 된다. 그 때는, 주입한 수지(34)가 압축 스프링(18b)에 접촉하도록 수지(34)를 주입하고,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압축 스프링(18b)에 접촉하도록 도전 수지(34)를 주입할 경우에, 압축 스프링(18b)에 접촉한 수지(34)가 압축 스프링(18b)의 스프링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주입하는 수지의 양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수지(34)를 압축 스프링(18b)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18b)의 기능이 확보되는 것이면, 압축 스프링(18b)의 일부가 수지(34)로 채워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극부는, 드럼 유닛(D)에 있어서, 대전 롤러(16)와 본체 전극(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극부는, 예를 들어 드럼 유닛(D)에 있어서, 상 담지체인 감광체 드럼(7)과 장치 본체(1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극부는 감광체 드럼(7) 및 대전 롤러(16)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즉, 대전 롤러(16)와 장치 본체(1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부와, 감광체 드럼(7)과 장치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부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대전 롤러(16)와 전극부, 또한, 감광체 드럼(7)과 전극부는 각각 상기와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18b)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이어도 되며,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유닛(D)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전극부는 현상 유닛(C)에 적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극부는,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에 작용하는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될 경우, 전극부는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에 있어서의 전극부와의 전기적 접속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18b)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이어도 되며,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1개 장착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가 복수개 장착 가능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예와 비교하여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하여 전극부를 성형하므로, 조립 시에 발생하는 것이 걱정되는 전극부의 엉킴이나 전극부를 변형시키는 등의 취급의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카트리지의 프레임 부재에 전극부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나 위치 결정의 구멍, 절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의 강도가 저하되어버리는 것이 걱정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형성부로서 설치된 프레임 부재의 구멍 등에 수지를 주입하므로, 이러한 구멍을 수지로 매립할 수 있어 프레임 부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수지를 프레임 부재에 주입할 때의 게이트부로부터 분기하여 전극부를 성형함으로써, 전극부의 도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 3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유닛 및 전기 접점부(이하, 접점부로 한다)의 구성 및 성형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요 구성]
도 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2)에 대하여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2)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2)는, 현상 유닛(C2)과 드럼 유닛(D2)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현상 유닛(C2)은, 토너(도시하지 않음) 및 현상 롤러(112), 토너 공급 롤러(116), 이들을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부재(108), 현상 프레임 부재(108)로 구성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드럼 유닛(D2)은, 감광체 드럼(107)이나 클리닝 블레이드(114)와, 이들을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유닛(C2)의 토너 수용부(109)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실(110)에 송출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112)의 주위에 배치되고, 현상 롤러(112)에 접촉하여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는 토너 공급 롤러(116)와 현상 롤러(112)에 토너가 공급된다. 그리고 현상 블레이드(111)에 의해 현상 롤러(112) 상의 토너층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11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이, 감광체 드럼(7)에 전이됨으로써 감광체 드럼(10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 토너상이 된다. 또한, 전사 롤러(4)(도 2 참조)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 상의 토너상이 기록재(기록 매체)(2)에 전사된다. 그 후는 클리닝 블레이드(114)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에 잔류한 토너가 긁어 떨어져서 폐토너 수용실(115)에 잔류 토너가 회수(제거)된다. 그 후, 감광체 드럼(107)의 표면이 대전 부재(프로세스 수단)로서의 대전 롤러(118)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광학계(1)(도 2 참조)에 의한 잠상 형성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드럼 유닛의 개요 구성]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 드럼 유닛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2)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D2)의 대전 프로세스에 관계되는 부분의 구성도이다. 도 16의 (a)는 드럼 유닛(D2)의 접점부가 구비하고 있는 측의 측면도(도 15에서 말하는 곳의 화살표 N의 하류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X2-X2 단면으로 절단한 스프링 시트면 형성부 주변의 단면도, 도 16의 (c)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Y2-Y2 단면으로 절단한 접촉면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07)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118)는 그 축심의 양단부(118a, 118b)를 대전 베어링(123a, 123b)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전 베어링(123a)은 도전성의 재질(예를 들어 도전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전 베어링(123a, 123b)에는 각각 도전성의 압축 스프링(122a, 123b)이 설치되어 있다. 대전 베어링(123a, 123b)은, 압축 스프링(122a, 122b)이 압축 가능한 상태로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대전 롤러(118)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07)과 대전 롤러(118)가 접촉하면 압축 스프링(122a, 122b)은 압축되고, 대전 롤러(118)는 감광체 드럼(107)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되어 있다.
[드럼 유닛의 접점 구성 및 전압 인가 방법]
도 15, 도 16, 도 25 및 도 26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107)의 대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지만, 전극부(1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몰드(127, 128)를 밀착시켰을 때에 생기는 간극에 도전 수지(134)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도 13 참조). 도 26은 전극부(119)가 성형된 클리닝 프레임 부재(113)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도 16,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1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인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극부(119)는 제1 접점부인 대전 접점부(119b)와 제2 접점부인 노출 접점부(119a)를 갖는다. 또한, 후술하지만, 전극부(119)는 노출 접점부(119a), 대전 접점부(119b), 제1 연결부(119c), 도전 수지의 피주입부인 게이트부(119d) 및 분기부(119c1)로 이루어져 있다. 대전 접점부(119b)는 제1 연결부(119c)로부터 분기한 제2 연결부(119c2)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노출 접점부(119a)와 대전 접점부(119b)는 제2 연결부(119c2)와 제1 연결부(119c)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게 된다. 노출 접점부(119a)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측면(113j)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2)가 화상 형성 장치(A)에 장착되면, 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본체 전극(121)이 노출 접점부(119a)와 접촉한다. 한편, 대전 접점부(119b)는 압축 스프링(122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2)가 화상 형성 장치(A)에 장착된 후, 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본체 전극(121)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노출 접점부(119a), 연결부(119c), 대전 접점부(119b), 압축 스프링(122a), 도전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전 베어링(123a) 및 축심(118a)을 거쳐서 대전 롤러(118)의 표면에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대전 롤러(118)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의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와 같이, 전극부(119)는 대전 롤러(118)와 본체 전극(1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전극(121)과 전극부(119)가 직접 접속되어 있지만, 본체 전극(121)과 전극부(119)의 사이에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119)와 대전 롤러(118)의 사이에 대전 베어링(123a)이나 압축 스프링(122a)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전극부(119)와 대전 롤러(118)가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119)를 감광체 드럼(107)의 대전 프로세스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12)에의 급전 과정이나, 토너 공급 롤러(16)에의 급전 과정, 드럼 접지(도시하지 않음)와의 전기적 접속 외에, 토너 잔량의 검지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의 전기적 접속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구성에서 전극부를 적용할 수 있다.
[드럼 프레임 부재]
도 16, 도 17을 이용하여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전 수지를 주입하기 전의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노출 접점부(119a)가 형성된 측면(113j)의 측면도, 도 17의 (b)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게이트(13d)측에서 보았을 때의 부분 외관도이다(도 17의 (a)를 정면도로 한 경우의 우측면도). 도 17의 (c)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위치(Z-Z)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7의 (d)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위치(V-V)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7의 (e)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위치(W-W)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7의 (a) 및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는, 노출 접점부(119a)를 성형하기 위한 도전 수지가 흐르는 유로(113a) 및 대전 접점부(119b)를 성형하기 위한 오목부(113b)를 갖고 있다. 또한, 드럼 프레임 부재(113)는 노출 접점부(119a)를 성형할 때에 몰드(127)가 접촉하는 접촉면(113e), 몰드(128)가 접촉하는 접촉면(113f)을 갖고 있다. 또한, 드럼 프레임 부재(113)는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3d)를 갖고 있다. 드럼 프레임 부재(113)는 터널 형상의 유로(113c)를 갖고 있으며, 이 유로(113c)는 도중의 분기부(113h)로 2개의 유로로 분기되어 있다. 이 분기부(113h)를 거쳐서 주입구(113d), 유로(113a) 및 오목부(113b)는 연결되어 있다.
[접점부 형성 몰드]
도 17, 도 18, 도 22, 도 23을 이용하여 전극부(119)를 성형하는 몰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시키는 2개의 몰드 중 하나인 몰드(127)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몰드(127)를 접촉시켜서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여 대전 접점부(119b)를 성형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127)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함으로써, 몰드(127)에 설치된 돌기(127b)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의해 공간(120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형상의 수지 유로(113c)를 도전 수지(34)가 통과하여 공간(120b)에 도전 수지(134)가 유입한다. 그리고, 도 2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120b)에 도전 수지(134)의 주입이 완료하여 대전 접점부(119b)가 성형되게 된다.
도 23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몰드(127)를 접촉시켜서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여 노출 접점부(119a)를 성형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127)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하여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유로(113a)와 몰드(127)의 오목부(127c)가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3의 (b)는 터널 형상의 수지 유로(113c)에 도전 수지(34)가 통과하여 또한 유로(113a)에 유입해간다. 그리고, 도 23의 (c)는 오목부(127c)에 도전 수지(134)의 주입이 완료함으로써 노출 접점부(119a)가 성형된다.
즉, 전극부(119)를 성형하는 몰드(127)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면(113e)에 충돌하는 면(127a), 노출 접점부(119a)를 성형하는 오목부(127c), 대전 접점부(119b)를 성형하기 위한 돌기(127b)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3, 도 16, 도 19를 이용하여 전극부를 성형할 때의 도전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몰드(12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몰드(128)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하고나서 도전 수지의 주입이 완료될 때까지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사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몰드(128)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몰드(128)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충돌하는 면(128a) 및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130)이 삽입되는 주입구(128b)를 갖고 있다.
[전극부의 형성 방법]
도 13, 도 16 내지 도 23, 도 26, 도 28을 이용하여 노출 접점부(119a) 및 대전 접점부(119b)의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몰드(127, 128)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시키는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하고 있던 몰드가 이격되는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극부(1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와 몰드(12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도전 수지가 주입함으로써, 드럼 프레임 부재(113)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우선 처음에,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화살표 D1방향으로부터 몰드(128)를 접촉시킨다. 이 때,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몰드 접촉면(113f)과 몰드(128)의 면(128a)이 충돌한다.
다음에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화살표 D2방향으로부터 몰드(127)를 접촉시킨다. 이 때,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몰드 접촉면(113e)과 몰드(127)의 면(27a)이 충돌한다. 또한, 백업 몰드(137)가 화살표 D3방향으로부터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충돌한다. 즉, 몰드(127, 128)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충돌하고,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몰드(127, 128)가 접촉함으로써 램 프레임 부재(11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백업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그리고 3개의 몰드(127, 128, 137)의 접촉이 완료된 상태가 도 20의 (c)와 같이 된다. 이 때, 도 17의 (a) 및 (d),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13b)에 몰드(127)의 돌기(127b)가 삽입하여 공간(120b)을 형성한다. 또한 도 18 및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127)를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시켰을 때에, 몰드(127)의 오목부(127c)와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유로(113a)를 맞춘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3의 (a),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수지(34)를 주입하는 노즐(130)이 몰드(128)의 주입구(128b)에 화살표 D4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주입구(28b)의 안쪽에 충돌한다. 이 때, 노즐(130)과 몰드(128)는 시작부터 일체화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몰드(128)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130)을 직접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주입구(113d)에 삽입하고,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는, 노즐(130)의 선단 주위에 면(130a)을 설치하고,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충돌한 후에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수지(134)가 주입구(128b)를 거쳐서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수지 경로(113c)에 주입된다. 다음에 도전 수지(134)는 수지 경로(113c)로 진행하여 분기부(113h)에 도달한다. 분기부(113h)에 이른 도전 수지(134)는 일부가 공간(120b)에 유입하고, 나머지의 수지는 수지 경로(113c)로 진행하고, 유로(113a)와 오목부(127c)를 채워간다. 도 13의 (c), 도 22의 (c), 도 23의 (c)는 공간(120b) 및 유로(113a)와 오목부(127c)의 공간에 도전 수지(134)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업 몰드(137)를 몰드(127, 128)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시켰다. 이것은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몰드(127, 128)가 접촉함으로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외에,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주입 시의 수지압(P)에 의해 드럼 프레임 부재(13)가 이동하거나, 변형되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다음에 이형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21은 수지의 주입이 완료된 후에 이형하는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처음에,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130)이 몰드(128)의 주입구(128b)로부터 화살표 D5방향으로 이동하여 퇴피된다. 다음에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127) 및 백업(137)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로부터 화살표 D6, D7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128)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로부터 화살표 D8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전극부(119)(노출 접점부(119a), 대전 접점부(119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접점부(119b)에는, 주입량 변동에 의한 여분의 도전 수지가 대전 접점부(119b)의 주위로부터 밀려나온 밀려나옴부(119b2)가 형성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밀려나옴부(119b2)는 대전 접점부(119b)의 형상을 확실하게 성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구(113d)로부터 스프링 오목부(113b), 주입구(113d)로부터 유로(113a) 등의 수지 유로(113c)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둘러싸여 있다. 그 때문에 전극부(119) 이외의 전극부를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설치한 경우에, 각 전극부가 근접하는 것을 요인으로 하는 방전에 의한 쇼트라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 방전에 의한 쇼트는 소정 이하의 연면 거리, 공간 거리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연면 거리란 복수의 접점부가 있는 경우, 성형된 전극으로부터 프레임 부재의 벽을 타고(최단 거리) 다른 전극에 이르는 거리를 말한다. 또한, 공간 거리란 성형된 전극부터 다른 전극까지의 공간 상의 직선 거리(최단 거리)를 말한다. 이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편측의 전극에 건 전압이 이미 한쪽의 전극에 인가되어 전압값이 바뀌어버릴 우려가 있다.
[전극부의 각 형상의 기능 및 저항값의 경향]
다음에, 도 17, 도 24, 도 25 및 도 27을 이용하여 성형된 전극부(119)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24는 이형이 완료되고, 성형이 끝난 전극부(119)에 대하여 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드럼 프레임 부재(113)는 전극부(119)의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비표시로 하고 있다. 도 25는 본체 전극(121)과 압축 스프링(122a), 대전 베어링(123a)을 표시시켰을 때의 도면이다. 도 27은 전기 저항값과 게이트로부터 거리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이적인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119)는 노출 접점부(119a)와 대전 접점부(119b)를 갖는다. 도 2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A)의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2)가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 전극(21)이 노출 접점부(119a)에 접촉한다. 그리고, 대전 롤러(118)가 부착되면 도전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전 베어링(123a)에 대전 롤러 코어 금속(118a)가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대전 베어링(123)과 접촉하는 압축 스프링(122a), 압축 스프링(122a)에 접촉하는 대전 접점부(119b), 연결부(119c), 노출 접점부(119a)를 거쳐서 본체 전극(121)부터 대전 롤러 코어 금속(118a)까지 도통 경로가 확보된다.
다음에 도 17의 (c), (d), (e)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119)는 연결부(119c)와 비교하여 노출 접점부(119a) 및 대전 접점부(119b)의 단면 형상이 상이하다. 여기서, 단면 형상이란 도 24의 (b)를 예로 하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선 P-P, Q-Q, R-R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의 (c),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P-P로 절단한 단면이 도 24의 (c), Q-Q로 절단한 단면이 도 24(d), R-R로 절단한 단면이 도 24의 (e)이며, 각 절단선으로 잘라진 단면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지의 게이트부(119d)부터 연결부(119c)를 통과하는 수지의 흐름 방향(119f)과, 노출 접점부(119a) 및 대전 접점부(119b)를 성형할 때의 연결부(119c)로부터 흘러나오는 방향(119h, 119i)은 상이하다. 이에 의해, 도전 수지(134)에 첨가되는 도전재(도전 필러)의 분포 상황이 연결부(119c)와 노출 접점부(119a) 및 대전 접점부(119b)에서는 상이하다. 즉, 도전재가 있는 일방향을 향하여 배향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향되는 상황이 된다.
일반적으로, 수지의 주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굽힘이 없는 판상으로 성형한 것과, 수지의 주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 주입 방향에 대하여 굽힘을 구비한 형상의 것에서는, 후자 쪽이 도통 시의 저항값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것은 수지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굽힘이 존재하는 등으로, 수지 내의 도전재(후술하지만, 카본 블랙)의 분포가 랜덤해져 보다 도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의 주입 방향(119f)에 대하여 굽힘을 설치하고 있는 것, 또한, 유로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지 내의 도전재의 도전재의 분포를 랜덤하게 하고 있다. 즉, 게이트부(119d)로부터 화살표(119f) 방향으로 주입된 도전 수지는 분기점(119c1)에서 2개로 나뉜다. 한편은, 화살표(119h)와 같이 2회 구부러져서 대전 접점부(119b)를 형성한다. 또한, 다른 한쪽은 화살표(119i)와 같이 2회 구부러져서 노출 접점부(119a)를 형성한다. 또한, 도 24의 (b)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19c)의 단면 형상은 둥근 형상이다. 한편, 대전 접점부(119b), 노출 접점부(119a)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접속부(119c)의 단면의 단면적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내의 도전재의 분포를 랜덤하게 하여 대전 접점부(119b)와 노출 접점부(119a)의 도통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대전 접점부(119b)와 노출 접점부(119a)를 게이트부(119d)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도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도전 수지가 몰드로 구성되는 공간에 주입되고, 성형품이 완성될 때까지의 냉각 단계에 있어서, 수지 내의 도전재는 수지가 냉각되는 것이 늦은 개소(단면 형상의 중앙부)에 모여 표면부에는 도전재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동일 형상의 단면 형상이 수지의 주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에서는, 도전재가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단면 중앙부에 깊이 가라앉아버려서 표면의 도전재가 줄어들므로 저항값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또한 게이트부(119d)의 근방은 항상 도전 수지가 통과하는 영역이므로, 냉각되는 것이 늦어 도전재가 단면의 중앙부에 집중되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노출 접점부(119a) 및 대전 접점부(119b)는 수지의 게이트부(119d)를 수지 유로 상류로 했을 때에 유로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것은 도 27의 (a)에 모델(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모델(38)은 다른 도면에서 기재하고 있는 도전 수지(34)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 이 모델은 게이트를 38a로 설정하고, 측정 포인트를 3군데, 거리를 벌려서 설정하고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위치(38a)로부터 측정하는 포인트(138b, 138c, 138d)의 위치에서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면 포인트(138b)에 비해 포인트(138c, 138d)의 전기 저항값이 낮다. 이와 같이, 게이트부(119d)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하면 보다 전기 저항값이 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부(119)에 굴곡부를 설치하거나, 유로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함으로써 도전재의 분포 상태를 바꾸어서 도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전 접점부(119b)와 노출 접점부(119a)를 게이트부(119d)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고, 게이트부(119d)로부터 주입된 수지를 도중부터 분기되어서 양쪽 접점부(119b, 119a)를 구성으로 하는 것도 도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극부의 빠짐 방지 구성]
다음에, 도 15, 도 23, 도 24를 이용하여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대하여 전극부(119)의 빠짐 방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부(1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설치된 터널 형상의 구멍인 유로(113c)에 도전 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1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내부에서 화살표(119i, 119h)와 같이 굴곡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극부(119)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대하여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길이 방향(도 15에 나타내는 N방향)과, N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도 24의 (a)에 도시하는 119a의 근원(119j)과 도 23에 도시하는 유로(113a)의 둘레면에 의해 규제된다. 그것에 의해,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짧은 방향(도 24에 나타내는 119f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나, 제1 연결부(119c)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물류 시 등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충격이 가해져도, 전극부(119)가 드럼 프레임 부재(113)로부터 탈락하는 경우나, 들뜨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접점부가 필요해진 경우, 수지가 흘러가는 경로를 분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접점부의 형성이 가능해져서 도전 경로의 설계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부(119d)를 주입 방향의 상류측으로 한 경우에, 유로 하류에 접점부(119a, 119b)를 설치함으로써 전극부(119)의 도통성을 좋게 하고 있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프레임 부재에 전극부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나 위치 결정의 구멍, 절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의 강도가 저하되어버리는 것이 걱정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구멍 등에 도전 수지를 주입하므로, 이러한 구멍을 수지로 매립할 수 있어 드럼 프레임 부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접점 판금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점 판금을 프레임 부재에 설치하는 설치부가 필요하였다. 그에 반해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하면, 빠짐 방지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전 수지를 주입하는 형상의 일부에 앵커 형상을 갖게 하면, 빠짐 방지 기능을 완수하므로 빠짐 방지부를 설치할 여분의 공간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부재에 직접 도전 수지를 유입 성형하므로, 별체의 전극 부재를 프레임 부재에 조립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접점 판금을 조립할 때는 각 부품의 부품 공차나 조립 공차가 발생하므로, 접점 판금의 프레임 부재에 대한 위치 정밀도가 감소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부재에 직접 도전 수지를 유입 성형하므로, 프레임 부재에 대한 위치 정밀도는 향상된다.
[버퍼부]
다음에 도 13, 도 24, 및 도 29를 이용하여 버퍼부(13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버퍼부(132)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9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몰드(127)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의 (b)는 도 29의 (a)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대전 접점부(119b)의 압축 스프링(122a)과 접촉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본 드럼 프레임 부재(113)와 몰드(127)가 접촉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3,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있어서, 대전 접점부(119d)의 근방에는 버퍼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대전 접점부(119b)를 성형할 때의 몰드(127)의 돌기(127b)가 삽입되었을 때의 몰드 삽입구(113g)와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스프링 시트면 형성부(113b)와 돌기(127b)의 간극이 버퍼부(132)가 된다. 전극부(119)를 성형할 때에, 주입 공간에 대하여 수지 주입량을 많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노출 접점부(119a)의 주위부터 여분의 도전 수지의 밀려나옴부(119b2)가 형성된다. 이 밀려나옴부(119b2)는, 노출 접점부(119a) 및 대전 접점부(119b)의 형상이 확실하게 성형되게하기 위해 형성되게 된다. 이 버퍼부(132)는 이 밀려 나옴부(119b2)가 형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공간이다.
또한, 버퍼부(132)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밀려나옴부(119b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측으로부터 유저가 접촉시키는 경우가 없으므로, 유저가 만져서 꺽거나 탈락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퍼부(132)는 대전 접점부(119d)의 근방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고 수지 주입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대전 롤러 압축 스프링의 위치 규제 구성]
다음에 도 30 및 도 31을 이용하여 대전 롤러(118)를 감광체 드럼(107)에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의 위치 규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 도 31은 압축 스프링(122a)이 위치 규제하는 프레임 부재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에 커버 부재(117)를 설치했을 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0의 (b)는 도 30의 (a)의 도면 중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도이다. 도 30의 (c)는 도 30의 (b)의 도면 중에 나타내는 U-U의 라인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0의 (d)는 도 30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0의 (d)의 도면 중에서는 감광체 드럼(107), 대전 롤러(118), 대전 베어링(123a)을 비표시로 하고 있다.
압축 스프링(122a)은 대전 접점부(119b)에 접촉하지만, 대전 접점부(119b)는 평면 형상이므로, 압축 스프링(122a)은 대전 접점부(119b)에 대하여 직접 위치 결정할 수는 없다. 대전 접점부(119b)가 평면 형상인 것은, 몰드(127)를 드럼 프레임 부재(113)로부터 이격할 때에 대전 접점부(119b)가 언더컷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122a)을 드럼 프레임 부재(13)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규제면(113i, 113j)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압축 스프링(122)의 외주는 일방향을 남기고 규제된다. 나머지 일방향은, 압축 스프링(122a)을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조립한 후에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117)에 구비되는 커버 규제부(117a)에 의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축 스프링(122a)이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30과는 상이한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1의 (a)는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에 커버 부재(117)를 설치했을 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1의 (b)는 도 31의 (a)의 도면 중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도이다. 도 31의 (c)는 도 31의 (b)의 도면 중에 나타내는 U-U의 라인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1의 (d)는 도 31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1의 (d)의 도면 중에서는 감광체 드럼(107), 대전 롤러(118), 대전 베어링(123a)을 비표시로 하고 있다.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는, 압축 스프링(122a)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규제면(113i 및 113j)이 구비되어 있다. 규제면(113i, 113k, 113l 및 113j)은 높이 방향에서 압축 스프링(122a)의 외경부를 규제하고 있다. 상이한 높이에서 압축 스프링(122a)의 외주부를 규제하는 이유로서, 드럼 프레임 부재(113)의 성형 시의 탈형을 고려하여, 몰드(127)의 돌기(127b)가 삽입 몰드 삽입구(113g)를 드럼 프레임 부재(113)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드럼 프레임 부재(113) 한 부품으로 압축 스프링(122a)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0, 도 31 모두 규제면(113i)은 직선이지만, 압축 스프링(122a)의 외경과 마찬가지인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113j, 117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실시예의 전극부는, 드럼 유닛(D)에 있어서, 대전 롤러(118)와 본체 전극(12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극부는, 예를 들어 드럼 유닛(D)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107)과 화상 형성 장치(A)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극부는 감광체 드럼(107) 및 대전 롤러(118)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즉, 대전 롤러(118)와 화상 형성 장치(A)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점부와, 감광체 드럼(7)과 화상 형성 장치(A)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점부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대전 롤러(118)와 접점부, 또한, 감광체 드럼(7)과 접점부는 각각 상기와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22)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이어도 되고,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유닛(D)을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전극부는 현상 유닛(C)에 적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32는 현상 프레임 부재(108)에 전극부(126)를 도전 수지(134)로 성형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전극부(126)는 피주입부(게이트부)(126a)로부터 도전 수지(134)가 주입되고, 수지 유로가 분기부(126bc)에서 분기함으로써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노출 접점부(126ba), 현상 접점부(126bb)가 형성된다. 현상 접점부(126bb)는 현상 롤러 가압 부재(125)와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와 현상 롤러(112)는 현상용 본체 접점부(126ba), 현상 접점부(126bb), 현상 롤러 가압 부재(125), 현상 롤러 지지부(124), 현상 롤러 코어 금속(112b)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112)를 도시했지만, 토너 공급 롤러(116)이어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2)에 적용될 경우, 전극부는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접점부에 대하여 각 접점부에 도전 수지(134)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단, 주입구를 1개로 하여 유로 도중부터 분기시켜서 복수의 접점 형성부에 도전 수지(134)를 유입하여 각 접점부를 성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프레임 부재(108)에 전극부를 설치했지만, 현상 롤러(112)나 토너 공급 롤러(116)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접점부를 설치해도 된다. 감광체 드럼(107)과 복수의 프로세스 수단에 있어서의 접점부와의 전기적 접속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125)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이어도 되며,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119)는 도전재인 카본 블랙을 약 10% 포함하는 폴리아세탈을 사용하고 있다. 카본 블랙을 사용한 배경으로는, 생산 장치에의 손상(마모 등)을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에 있지만, 탄소 섬유, 다른 금속계 첨가제 등이라도 상관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예와 비교하여 복수의 접점부가 필요해졌을 때에 터널 형상의 두께로 연면 거리나 공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극부의 흘러가는 경로가 간이해진다.
또한,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하여 본체 접점과 프로세스 수단을 접속하는 전극부를 구비한 카트리지로 했으므로, 프레임 부재 및 전극부의 구성의 간소화, 카트리지의 조립성 및 전극부의 도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하여 본체 접점과 프로세스 수단을 접속하는 전극부를 구비한 카트리지로, 프레임 부재 및 전극부의 구성의 간소화, 카트리지의 조립성 및 전극부의 도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7)

  1.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ⅰ)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과,
    (ⅱ)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와,
    (ⅲ)상기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일체 성형된 카트리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전극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노출된 제1 접점부와,
    상기 프로세스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와,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성형할 때에 수지가 주입되는 피주입부를 갖고,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도전 수지가 분기하여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가 성형되어, 상기 본체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상기 도전 수지가 주입된 방향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일체 성형할 때에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삽입 몰드와 상기 프레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에 주입한 도전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일체 성형할 때에 상기 프레임 부재에 접촉한 몰드와 상기 프레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에 주입한 도전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극은, 상기 피주입부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피주입부와 상기 제2 접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의 수지가 주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의 수지가 주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피주입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도중부터 분기하여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1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접점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제2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통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그 외경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제2 접점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 담지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이 성형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도전 수지의 밀려나옴을 허용하는 버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에 작용하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0.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ⅰ)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와,
    (ⅱ)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도전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일체 성형된 카트리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전극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 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노출된 제1 접점부와,
    상기 프로세스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와,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성형할 때에 수지가 주입되는 피주입부를 갖고,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도전 수지가 분기하여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가 성형되어, 상기 본체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경로를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상기 도전 수지가 주입된 방향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일체 성형할 때에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삽입 몰드와 상기 프레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에 주입한 도전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피주입부로부터 주입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수지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일체 성형할 때에 상기 프레임 부재에 접촉한 몰드와 상기 프레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에 주입한 도전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극은, 상기 피주입부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피주입부와 상기 제2 접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의 수지가 주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의 수지가 주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피주입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도중부터 분기하여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1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접점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제2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통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그 외경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제2 접점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 담지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이 성형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도전 수지의 밀려나옴을 허용하는 버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 가능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7006237A 2010-08-20 2011-08-19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88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5147 2010-08-20
JPJP-P-2010-185147 2010-08-20
JPJP-P-2011-160155 2011-07-21
JP2011160155A JP4846062B1 (ja) 2010-08-20 2011-07-21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CT/JP2011/069237 WO2012023633A1 (ja) 2010-08-20 2011-08-19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23A KR20130045923A (ko) 2013-05-06
KR101488119B1 true KR101488119B1 (ko) 2015-01-29

Family

ID=4547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237A KR101488119B1 (ko) 2010-08-20 2011-08-19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8879944B2 (ko)
EP (2) EP3575883B1 (ko)
JP (1) JP4846062B1 (ko)
KR (1) KR101488119B1 (ko)
CN (2) CN103069346B (ko)
BR (1) BR112013003888B1 (ko)
MY (1) MY167542A (ko)
RU (1) RU2529770C1 (ko)
WO (1) WO2012023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2776892B1 (en) 2011-11-09 2019-06-0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omprising an electrode
JP5456142B2 (ja) 2011-11-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3122489A (ja) *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JP5967921B2 (ja) * 2011-12-19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CN107678261B (zh) 2011-11-09 2020-10-2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US8918011B2 (en) 2011-11-09 2014-12-23 Canon Kabushiki Kaisha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60824B2 (ja)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00543B2 (ja) * 2011-12-19 2016-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WO2013099999A2 (en) 2011-12-26 2013-07-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drum unit
JP6004690B2 (ja) 2012-03-21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43685B2 (ja) 2012-04-13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04717B2 (ja) 2012-04-16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675888B2 (ja) 2012-05-17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07137B2 (ja) * 2012-09-05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14237472A (ja) 2013-06-07 2014-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US9250567B2 (en) 2013-07-12 2016-02-0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for detecting developer amount based on capacitanc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91826B2 (en) * 2013-07-12 2017-10-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frame portion with varied thickness, and process cartridge thereof
JP5868456B2 (ja) * 2013-07-12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38460B2 (ja) 2013-08-20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8747B2 (ja) * 2013-09-24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38181B2 (ja) 2014-04-15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樹脂成形品及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可動部材の製造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425441B2 (ja) 2014-07-18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452353B2 (ja) * 2014-08-29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多色成形部品及びカートリッジ
JP6598468B2 (ja) 2015-02-16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552212B2 (ja) 2015-02-16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444210B2 (ja) * 2015-02-23 2018-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形成方法、現像装置の形成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形成方法
JP6414502B2 (ja) * 2015-03-31 2018-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851652B2 (en) * 2015-12-21 2017-12-26 Lexmark International, Inc. Insert molded bearing for a rotatable component of an image forming device
JP6786840B2 (ja) * 2016-03-30 2020-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40562B2 (ja) 2017-06-15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SG11202108005QA (en) 2019-03-18 2021-10-28 Canon Kk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CN117908344A (zh) 2019-08-09 2024-04-19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
JP7484218B2 (ja) * 2020-02-28 2024-05-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71855B2 (ja) 2020-08-31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967A (ja) * 1995-06-27 1997-01-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9782A (ja) 1991-03-14 1993-09-28 Fuji Xerox Co Ltd 静電記録装置
JPH0625854A (ja) 1992-07-09 1994-02-01 Showa Denko Kk ダイヤモンド被覆基板およびダイヤモンド薄膜形成法
JP3313900B2 (ja) * 1993-08-31 2002-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67465B2 (ja) 1994-06-24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42362B2 (ja) 1996-09-20 2002-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2474B2 (ja) 1996-09-30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ローラの組み込み方法
JP3363727B2 (ja) 1996-12-12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廃トナー容器の組立方法
JP3745111B2 (ja)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4288740B2 (ja) 1998-02-26 2009-07-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導電部を有する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9841A (ja) 1998-07-02 2000-01-21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37460B2 (ja) 1998-08-3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2000098729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09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5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194248A (ja) 1998-12-28 2000-07-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3679645B2 (ja) 1999-03-2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336012B1 (en) * 1999-04-30 2002-01-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ic energy supply part to developing roller
JP3748506B2 (ja) 1999-05-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2001085600A (ja) * 1999-09-16 2001-03-30 Seiko Epson Corp 半導体チップ、マルチチップパッケージ、半導体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1110203A (ja) 1999-10-08 2001-04-20 Aisin Seiki Co Ltd Led光源の灯具
US6549736B2 (en) 2000-01-19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ngaging member therefor and method for mounting developing roller and magnet
JP4250294B2 (ja)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228686A (ja) * 2000-02-16 2001-08-24 Canon Inc 現像装置とそ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58289B2 (ja) * 2000-07-28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
JP4136299B2 (ja) 2000-09-12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部品結合体
JP3697168B2 (ja) *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72893B2 (ja) 2001-03-30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542569B2 (ja) 2001-04-27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64080B2 (ja) 2001-04-27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840063B2 (ja) *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48558B2 (ja) 2001-12-13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90227B2 (ja) 2001-12-21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手段移動機構、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15917A (ja) 2002-01-24 2003-07-30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771920B2 (en) 2002-02-21 2004-08-03 Canon Kasei Kabushiki Kaisha Charging roller including a conductive cover layer being formed of a seamless tub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charging roller
JP3747195B2 (ja) 2002-11-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172032A (ja) 2002-11-22 2004-06-17 Togo Seisakusho Corp 電気部品の取付構造及び電気部品を取付ける成形基板
US7099607B2 (en) 2003-06-18 2006-08-29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toner container
JP4148050B2 (ja) * 2003-07-17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回路モジュールの導電路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970217B2 (ja)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21B2 (ja) 2003-10-0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5B2 (ja) 2003-10-24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86766B2 (ja)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JP3789122B2 (ja) 2003-11-2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7366439B2 (en) 2004-06-14 2008-04-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remanufacturing cartridge and remanufactured cartridge
JP2006044025A (ja) * 2004-08-04 2006-02-16 Canon Inc 樹脂接合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047491A (ja) 2005-08-10 2007-02-22 Canon Inc 電極板取付方法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67444B2 (ja)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47240B2 (ja) 2007-05-22 2013-11-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被給電ユニット、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83396B2 (ja) * 2007-05-22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給電部材作製方法および被給電部材支持体
JP4968957B2 (ja)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004870B2 (ja) 2008-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7565B2 (ja)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74719B2 (ja) 2008-05-27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89883B2 (ja) 2009-09-08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056873B2 (ja) * 2010-03-08 2012-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967A (ja) * 1995-06-27 1997-01-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79944B2 (en) 2014-11-04
MY167542A (en) 2018-09-05
WO2012023633A1 (ja) 2012-02-23
BR112013003888A2 (pt) 2016-07-05
BR112013003888B1 (pt) 2021-08-31
RU2529770C1 (ru) 2014-09-27
EP2607966A1 (en) 2013-06-26
CN103069346A (zh) 2013-04-24
EP3575883B1 (en) 2024-01-17
EP2607966A4 (en) 2015-10-28
US20130022368A1 (en) 2013-01-24
US20160257041A1 (en) 2016-09-08
JP4846062B1 (ja) 2011-12-28
CN105242510A (zh) 2016-01-13
EP3575883A1 (en) 2019-12-04
JP2012063750A (ja) 2012-03-29
US20150037065A1 (en) 2015-02-05
RU2013112315A (ru) 2014-09-27
CN103069346B (zh) 2015-11-25
EP2607966B1 (en) 2020-01-08
US9367025B2 (en) 2016-06-14
KR20130045923A (ko) 2013-05-06
CN105242510B (zh) 2019-11-19
US9688008B2 (en)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119B1 (ko)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9052675B2 (en) Cartridge
US8879954B2 (en) Cartridge with member for fixing a member-to-be-energized
EP2776891B1 (en) Cartridge and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274489B2 (en) Cartridge with electrode member constituting a conducting path
US20150078779A1 (en) Cartridge and unit
US20130114971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500979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507315B2 (en) Developing cartridge provided with supply electrode and protecting portion capable of protecting supply electrode
JP579709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カートリッジ及び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