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85B1 -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85B1
KR101420485B1 KR1020117021857A KR20117021857A KR101420485B1 KR 101420485 B1 KR101420485 B1 KR 101420485B1 KR 1020117021857 A KR1020117021857 A KR 1020117021857A KR 20117021857 A KR20117021857 A KR 20117021857A KR 101420485 B1 KR101420485 B1 KR 10142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salt
molecular weight
low molecula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425A (ko
Inventor
타쿠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큐피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0236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204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큐피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큐피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SMETIC PREPARATION AN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색조가 손상되지 않고 저분자화된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생체, 특히 피하 조직에 존재하는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이며, 높은 보습 기능으로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으로서 화장료의 원료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또한,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생체 본래가 갖는 히알루론산 함량의 저하를 보충하며, 피부 보습,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그래서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은 여러 가지 식품에 첨가되는 것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은 극히 고분자의 다당류이며, 높은 점도를 가진다. 그래서 히알루론산의 첨가량이 소정량을 넘을 경우, 점도가 높아져 조제가 곤란하거나 또는, 얻을 수 있는 화장료나 식품의 점도에 영향을 주어 버려서 사용감이 저하되거나 식감을 저해하기도 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에서 히알루론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그 분자량을 일정하게 저하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특허 공개 소63-57602호 공보). 이 출원에는 알칼리나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히알루론산을 분해하여 분자량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저분자화를 촉진하기에는 알칼리나 산 처리 조건을 심하게 할 필요가 있고, 분자량이 작은 히알루론산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조건하에서는 히알루론산이 갈변(褐變)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갈변한 히알루론산은 화장료나 식품 원료로서 부적합하기 때문에, 탈색을 위한 정제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정제 공정으로 화장료나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탈색하는 것이 곤란하기도 한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갈변(褐變)하는 일 없이 안정하게 제조되는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저분자화 방법에 대해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산성 함수(酸性含水) 매체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킴으로써 의외롭게도 제품을 갈변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1만 이하의 분자량까지 저분자화시킬 수 있으며, 안정되게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찾아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산(酸)함유 함수(含水) 유기용제 중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서 상기 분산은 가열하에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분산은 가열하에서 한다'에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산(酸)함유 함수 유기용제 중에 가열하에서 첨가하는 것으로써 분산시키는 것' 만이 아니라, 산(酸)함유 함수 유기용제 중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가열하에서 분산시킨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킨 뒤, 상기 함수 매체를 제거해 얻을 수 있는 잔류물을 가열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있어서, 상기 함수 매체의 pH는 2 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있어서, 상기 함수 매체에 사용되는 매체는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있어서, 1 중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lO ㎟/s 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있어서, 1 중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3 ㎟/s 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있어서, 1 중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2 ㎟/s 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있어서, 색의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이 90 이상이며, 또한 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b 값이 5 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은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의하면, 예를 들면 1만 이하라고 하는 저분자량까지 저분자화 해도 갈변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예를 들면, 화장료, 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화장료의 원료로서 사용했을 경우, 다량으로 배합해도 색조를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감이 뛰어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식품 원료로서 사용했을 경우, 식품 본래의 색조, 풍미, 식감(食感)을 손상시키지 않고 조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는 '질량 %'를 의미한다.
1.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이란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2 당을 반복 구성 단위로 하는 다당류이다. 또한, '히알루론산의 염'으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학상 허용할 수 있는 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아연염, 마그네슘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1.1. 원료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원료인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이하, '원료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이라고도 한다)은 일반적으로, 계관, 탯줄, 안구, 피부, 연골 등의 생물 조직, 또는 스트렙토 코크스(Strepto-cocus)속의 미생물 등의 히알루론산 생산 미생물을 배양해 얻을 수 있는 배양액 등을 원료로 하고, 이러한 원료로부터 추출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정제)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원료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는 해당 조추출물 및 정제물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괜찮지만, 정제물, 구체적으로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순도가 90 %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순도가 90 % 이상의 원료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은 화장료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했을 경우, 보존 중에 색조나 풍미의 변화 원인이 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된 화장료 또는 식품을 얻을 수 있다.
1.2.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본 발명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염'이란, 원료 히알루론산 및 그 염보다도 분자량이 저감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계관에서 추출되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분자량은 통상 200만에서 800만이다. 계관에서 추출되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원료로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분자량은 이것보다 저감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예를 들면, 화장료, 식품 조성물 및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경우, 제품의 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색의 명도가 높고, 또한 황색 기미가 약한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색의 명도를 나타내는 L 값 (이하, 간단히 'L 값'이라고도 한다)이 90 이상이고 또한 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b 값(이하, 간단히 'b 값'이라고도 한다)이 5 이하인 것이 가능하며, L 값이 92 이상이고 또한 b 값이 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L 값이 93 이상이고 또한 b 값이 3.5 이하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L 값은 물질이 갖는 색의 명도(lightness)를 규정하는 값이며, 0~100 사이의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L 값이 100인 경우, 가장 밝은 상태(완전한 백색)를 나타내는 한편, L 값이 0인 경우, 가장 어두운 상태(완전한 흑색)를 나타낸다.
b 값은 물질이 갖는 색의 색상(hue)을 규정하는 값이며, b 값이 클수록 황색 기미가 강한 것을 나타내는 한편, b 값이 작을수록 파란색의 기미가 강한 것을 나타낸다.
L 값 및 b 값은 JIS Z 8730에 의해 규정되는 색차 표시 방법에 따라서 Lab계 색도 좌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L 값 및 b 값은 시판하는 색차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체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대해서 L 값 및 b 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L 값 및 b 값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얻은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이 미정제 상태에서의 L 값 및 b 값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L 값 및 b 값은 탈색을 위한 정제 공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L 값 및 b 값을 말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착색도는 사용한 산성 함수 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매체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세정 공정 이외의 정제 공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L 값 및 b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L 값 및 b 값은 예를 들면, 색차계(상품명 'COLOR AND COLOR DIFFERENCE METER MODE L 1001 DP',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에 10 ㎜ φ 렌즈를 장착하고, 유리 셀에 측정 시료 1 g 이상을 빈틈없이 놓고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에 의하면, 색차계로 측정된 L 값이 90 이상이며, 또한 b 값이 5 이하이기 때문에 다시 정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화장료, 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염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염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염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 수용액(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암모늄 등의 수용액)을 이용해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염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산 수용액(예를 들면, 염산, 황산, 초산, 인산 등의 수용액)을 이용해 처리하는 방법이나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화장료나 식품에 배합할 때, 목적의 물성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만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지는 2만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만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분자량의 측정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동점도에서 극한 점도를 구하고, 이 극한 점도를 분자량으로 환산하는 방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간이 측정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점도에서 극한 점도를 구하고, 이 극한 점도에서 분자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분자량을 구한다. 이 방법은 나중에 설명하는 우베로데 점도계를 이용하여 동점도를 측정하고, 이 동점도의 값에서 극한 점도를 구하여, 이 극한 점도를 분자량으로 환산한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1 질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10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s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 ㎟/s 이하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은 1 질량% 수용액의 동점도가 10 ㎟/s를 넘으면,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첨가량이 소정량을 넘을 경우에 점도가 너무 높아져 조제가 곤란해 지거나 또는 얻을 수 있는 화장료나 식품의 점도에 영향을 주어 버려서 사용감이 저하되거나 식감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1.3. 동점도의 측정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분자량을 구할 때 지표가 되는 동점도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수용액의 동점도는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Sibata Scientific Technology Ltd.)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물이 흘러 내려가는 초수(秒數)가 200~1000 초가 될 것 같은 계수의 우베로데 점도계를 선택한다. 또한, 측정은 30 ℃의 항온 수조 안에서 수행하여 온도 변화가 없게 한다.
우베로데 점도계로 측정된 상기 수용액의 물이 흘러 내려가는 초 수와 우베로데 점도계의 계수와의 곱으로 동점도(단위: ㎟/s)를 구할 수 있다.
1.4. 분자량의 산출
본 발명은 시료의 극한 점도로부터 분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료의 극한 점도를 구하려면, 우선, 복수의 시료 용액을 조제하여 우베로데 점도계에서 시료 용액의 흘러 내려가는 초 수 및 용매의 흘러 내려가는 초 수로부터, 하기식(1) 및 식(2)에 근거하여 비점도 및 환원 점도를 산출한다.
[식 1]
비점도 = (시료 용액의 흘러 내려가는 초 수÷용매의 흘러 내려가는 초 수)-1 ……(1)
[식 2]
환원점도 = (비점도÷건조물 환산의 시료 농도 (g/100㎖)) ……(2)
다음으로, 각 시료 용액은 얻은 환원 점도를 세로축에, 건조물 환산의 시료 농도를 가로축에 두어 검량선을 작성하고, 상기 시료 농도를 0으로 외삽함으로써 시료의 극한 점도를 얻는다. 시료가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인 경우, 하기 식(3)에 근거하여 시료의 극한 점도에서 분자량 M을 구할 수 있다.
[식 3]
극한점도 (cm3/g) = k'Mα ……(3)
(상기 식 (3)에 대해, k' = 0.036, α= 0.78이다.)
2.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
2.1. 분산시키는 공정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은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분산시키는 공정에는 예를 들면, 분말상의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산성 함수 매체에 첨가하여 교반시킴으로써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말상의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은 거의 용해되지 않고 함수 매체 중에 분산된다. 따라서 이 경우, 교반을 정지함으로써 해당 분말은 침전한다.
여기에서 교반 속도나 교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저분자화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함수 매체 중에 분산시키는 시간은 함수 매체의 pH나 온도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함수 매체 중에 분산시키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갈변이 거의 없는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색을 위한 새로운 정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 공정을 줄이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에서 상술의 분산시키는 공정을 가열하에서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말상의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산성 함수 매체 중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얻은 분산매를 가열할 수 있다. 또는 산성 함수 매체를 미리 가열하고, 이것에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첨가하여 온도를 유지해도 된다.
여기에서, 산성 함수 매체의 가열 온도는 30~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함수 매체를 이 온도 범위 내에 가열함으로써, 1시간 이내의 가열로 목적의 분자량까지 안정하게 저분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의 분산시키는 공정을 굳이 가열하에서 하지 않고, 상온(30 ℃ 미만)에서 하는 것으로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저분자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가열하에서 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한편, 상술의 분산시키는 공정에서 가열 온도를 70 ℃보다 높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장시간 가열하면 저분자화가 너무 진행되어서 목적의 분자량으로 안정되게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2.2. 가열 건조하는 공정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에서 상술한 산성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분산시키는 공정의 뒤에, 상기 함수 매체를 제거해 얻은 잔류물을 가열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열 건조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상술의 분산시키는 공정에 의해, 저분자화된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으로부터 함수 매체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가열 건조한다. 함수 매체의 제거는 예를 들면, 스트레이너(strainer)에서의 여과나 원심 처리 등의 물리적 수단이나 회전 농축기(Rotary Evaporator) 등을 사용한 증류 유거(留去)를 들 수 있다. 또한, 가열 건조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열장고나 열풍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얻은 잔류물에서 잔류하는 함수 매체 및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의 온도 및 시간은 특별히 정한 것은 아니지만, 온도는 60~95 ℃가 바람직하고, 70~90 ℃가 더욱 바람직하고, 70~80 ℃가 더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 온도가 60 ℃ 미만일 경우, 건조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 온도가 95 ℃를 넘으면, 갈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 시간은 6~48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12~36시간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 시간이 6시간 미만이라면 건조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는 한편,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 온도가 48시간을 넘으면, 갈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서 상술의 분산시키는 공정에 의해 저분자화된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더욱더 저분자화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저분자화 공정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가열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분자량이 10만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염 및 분자량이 2만 이하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2.3. 함수 매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함수 매체는 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분산매를 말한다. 함수 매체에 사용할 수 있는 매체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용해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 매체에 사용할 수 있는 매체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액체이고, 물에 용해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화장료 또는 식품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 매체에 사용할 수 있는 매체로는 예를 들면, 알코올계 매체(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 케톤계 매체(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트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끓는점의 낮음 및 가격 면으로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 매체에서의 함수량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함수량이 많으면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이 분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함수 매체에 용해되기 때문에 수율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함수 매체의 전량에 대한 물의 비율은 40 용량 %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용량 %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함수 매체를 산성으로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는 예를 들면, 산이나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들 수 있다.
산으로는 특별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료 또는 식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유산, 초산, 인산 등의 무기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초산, 빙초산 등의 유기산을 예로 들 수 있다. 산의 첨가량은 특별히 정한 것은 아니지만, 산의 첨가량이 적으면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저분자화가 진행되지 않고, 제조 효율이 저하한다. 한편, 산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의 저분자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목적의 분자량에 안정되게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예를 들면, 산으로서 염산을 사용하는 경우, 0.2 % 이상 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으로서 황산을 사용하는 경우, 0.1 % 이상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Diaion SK1B, Dowex 50W),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듀올라이트 C-464) 등을 들 수 있으며,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용기 내에 고정화시켜 두고, 그 용기 내에 함수 매체 및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넣어 분산시키고, 이 분산매를 교반하여,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키는 것으로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저분자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가 분산매 중에 유출하지 않도록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고정화할 수 있다.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고정화함으로써 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와 얻은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반응 후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함수 매체의 pH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함수 매체의 pH가 2를 넘으면, 원료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저분자화하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효율이 저하한다.
3. 화장료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피부에 사용하는 세정료, 화장수, 배니싱 크림, 콜드 크림, 유액, 팩, 파운데이션, 볼연지, 입술 연지, 네일 트리트먼트 등 손톱용 화장품, 마스카라 등 눈(目)용 화장품, 모발에 사용하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쉐이빙 로션 및 치약제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4.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의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주식인 쌀밥 가공 식품, 제빵류 등, 부식인 레토르트 통조림, 냉동식품, 반찬, 건조 식품 등, 마요네즈 등 조미료, 음료, 과자, 디저트류, 액상, 겔상 또는 소프트 캡슐 상태 등의 건강보조식품(Supplement)류 등의 일반 식품 전반 외에 생리 기능을 표현하는 것이 허가된 특정 보건용 식품 전반을 들 수 있다.
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점도의 측정, 극한 점도의 산출, 및 L 값 및 b 값의 측정은 상술의 방법으로 행해졌다.
5.1.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로 계관에서 추출, 정제한 히알루론산나트륨(이하, ' HANa'라고도 한다) 미세 분말을 준비했다. 이 원료 HANa의 평균 분자량은 약 210만, 순도 97 %이었다.
우선, 교반기 및 재킷(Jacket)을 장비한 300 L 용 탱크에 2% 염산 함유 73% 함수 에탄올(산성 함수 매체) 110 L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액체 온도가 50 ℃가 되도록 가열했다. 여기에서 73 % 함수 에탄올은 에탄올을 73(W/W)% 함유하고, 물을 27(W/W)% 함유하는 것이며, 2 % 염산 함유 73 % 함수 에탄올은 염산을 2(W/W)% 함유하고 73 % 함수 에탄올을 98(W/W)% 함유하는 것이다. 50 ℃의 온도에 달한 뒤, 교반하면서 준비한 원료 HANa 미세 분말 6 ㎏ 을 탱크에 투입했다. 염산 함유 함수 에탄올의 온도를 50 ℃에 유지하도록 가열을 하지 않으면서 원료 HANa 미세 분말이 분산 상태가 되도록 교반했다.
다음으로, 15분간 교반하고 나서 가만히 둔 뒤, 침전시킨 액 중 윗부분의 맑은 물에 염산 함유 함수 에탄올을 경사분리(decantation)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에 미리 50 ℃로 가열한 2 % 염산 함유 73 % 함수 에탄올 110 L를 추가하고, 같은 방법으로 50 ℃로 가열하면서 교반을 15분간 하며, 이 조작을 합계 3회 반복했다.
그 다음에 염산 함유 함수 에탄올을 제거한 뒤, 얻은 침전물에 73 % 함수 에탄올 110 L를 추가하고, 염산 제거의 목적으로 교반을 15분간 했다. 염산의 잔류가 없어질 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했다.
또한 함수 에탄올을 경사분리로 제거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에 대해서 원심분리 처리를 함으로써 함수 에탄올을 더 제거한 뒤,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6시간 탈용매를 했다.
이상의 공정으로 백색 미세 분말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5.5 ㎏(수율 약 92 %)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2.6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3.5만이고, L 값이 94.3이며, b 값이 1.9이었다.
5.2.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HANa 미분말을 준비했다.
우선, 교반기 및 재킷을 장비한 300 L 용 탱크에 0.5 % 황산 함유 80 % 함수 아세톤(산성 함수 매체) 110 L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액체의 온도가 60 ℃가 되도록 가열했다. 여기에서 80 % 함수 아세톤은 아세톤을 80(W/W)% 함유하고, 물을 20(W/W)% 함유하는 것이며, 0.5 % 황산 함유 80 % 함수 아세톤은 황산을 0.5(W/ W)% 함유하고, 80 % 함수 아세톤을 99.5(W/W)% 함유하는 것이다. 60 ℃의 온도에 달한 뒤, 교반하면서 준비한 원료 HANa 미분말 6 ㎏ 을 탱크에 투입했다. 황산 함유 함수 아세톤의 온도를 60 ℃에 유지하도록 가열을 하면서 원료 HANa 미분말이 분산 상태가 되도록 교반했다.
다음으로 15분간 교반하고 나서 가만히 둔 뒤, 침전시킨 액 중 윗부분의 맑은 물에 황산 함유 함수 아세톤을 경사분리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에 미리 60 ℃로 가열한 0.5 % 황산 함유 80 % 함수 아세톤 110 L를 추가하고, 이와 같이 60 ℃로 가열하면서 교반을 15분간 하며, 이 조작을 합계 3회 반복했다.
그 다음에, 황산 함유 함수 아세톤을 제거한 뒤, 얻은 침전물에 80 % 함수 아세톤 110 L를 추가하고 황산 제거의 목적으로 15분간 교반을 했다. 황산의 잔류가 없어질 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했다.
또한 함수 아세톤을 경사분리로 제거함으로써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에 대해 원심분리 처리를 함으로써 함수 아세톤을 더욱 제거한 뒤,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6시간 탈용매를 했다.
이상의 공정으로 백색 미분말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5.3 ㎏(수율 약 88 %)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1.5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9000이고, L 값이 94.0이며b 값이 2.9이었다.
5.3. 실시예 3
실시예 1로 얻은 분자량 2.6만 저분자 히알루론산 미분말을 80 ℃에서 24시간 건열가열함으로써 더욱 분자량이 저감된 백색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미분말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1.1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6000이고, L 값이 93.9이며, b값이 3.2이었다.
5.4.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로서 히알루론산 산생 연쇄산 구균(streptococcus)속의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얻은 히알루론산 함유 발효물에서 추출, 정제한 원료 히알루론산(이하, 'HA'라고도 한다) 미분말을 준비했다. 이 원료 HA의 평균 분자량은 약 160만이며, 순도는 97 %였다.
우선, 교반기를 장비한 300 L 용 탱크에 1 % 염산 함유 78 % 함수 에탄올(산성 함수 매체) 110 L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액체 온도가 40 ℃가 되도록 가열했다. 여기에서 78 % 함수 에탄올은 에탄올을 78(w/w)% 함유하고, 물을 22(w/w)% 함유하는 것이며, 1% 염산 함유 78 % 함수 에탄올은 염산을 1(w/w)% 함유하고, 78 % 함수 에탄올을 99 (w/w)% 함유하는 것이다. 40 ℃의 온도에 달한 뒤, 교반하면서 준비한 원료 HA 미분말 6 ㎏ 을 투입했다. 염산 함유 함수 에탄올의 온도가 30℃를 밑돌지 않게 온도를 조절하면서, 원료 HA 분말이 분산 상태가 되도록 교반했다.
다음으로 15분간 교배하고 나서 가만히 둔 뒤, 침전시킨 액 중 윗부분의 맑은 물에 염산 함유 함수 에탄올을 경사분리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에 미리 40 ℃로 가열한 0.1 % 염산 함유 78 % 함수 에탄올 110 L를 추가하여 40 ℃로 가열하면서 교반을 15분간 하며, 이 조작을 합계 2회 반복했다.
그 다음에, 염산 함유 함수 에탄올을 제거한 뒤, 얻은 침전물에 78 % 함수 에탄올 110 L를 추가하고, 염산 제거를 목적으로 교반을 15분간 했다. 염산의 잔류가 없어질 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했다.
또한 함수 에탄올을 경사분리로 제거함으로써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에 대해 원심분리 처리를 함으로써 함수 에탄올을 더 제거한 뒤, 다시 이 탱크에서 물 100 L로 용해시켜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20 %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해당 수용액에 첨가하여 pH 6.5로 했다. 이 뒤, 이 수용액을 분무 건조기로 분무 건조를 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미분말의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 4.6 ㎏(수율 약 77 %)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21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14만이고, L 값이 95.0이며, b 값이 1.8이었다.
5.5. 실시예 5
실시예 4로 얻은 분자량 14만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 미분말을 80 ℃에서 24시간 건열 가열함으로써 더욱 분자량이 저감된 백색의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 미분말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은 우베로데 점도계로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8.7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4.1만이고, L 값이 94.1이며, b값이 2.2이었다.
5.6.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계관 200 ㎏ 을 80 ℃의 뜨거운 물에 20분간 침지한 뒤, 세단기로 잘게 깨트리고, 이것에 500 L의 물을 추가하여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에서 페이스트(paste)상으로 한 것을 원료로 사용했다.
이 원료를 교반기 및 쟈켓을 갖춘 1000 L 용 탱크에 투입하고, 이것에 20 %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추가하여 최종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O.15 N이 되도록 조정했다. 용액 온도를 60 ℃까지 가열하고 60 ℃에서 2시간 유지했다. 이 용액에 대해서는 효소 처리 및 활성탄 처리를 하는 것으로 불용성 고형분을 제거하고 걸러 낸 맑은 액체를 얻었다. 이 걸러 낸 맑은 액체에 염화세틸피리디늄(CPC) 용액을 첨가하고 히알루론산과 복합체를 형성시켜 침전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에탄올을 사용하여 이 침전물을 정제한 뒤, 진공 건조기를 이용해 실온에서 6시간 탈용매를 행했다.
이것에 의해서 다갈색 미분말의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 2.O ㎏(수율 1.0 %)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21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14만이고, L 값이 88.8이며, b 값이 7.3이었다.
5.7. 비교예 2
최종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O.1 N으로 하는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나트륨을 2 % 식염수에 용해했다. 이 히알루론산 함유 2 % 식염수에 4 N 염산을 추가하고 pH 2.5로 한 뒤, 95 ℃에서 120분간 가열했다. 다음으로, 이 용액을 냉각한 뒤, 에탄올을 추가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어서 에탄올을 사용하여 이 침전물을 정제한 뒤,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6시간 탈용매를 했다.
이것에 의해서, 다갈색 미분말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O.9 ㎏(수율 약 0.5 %)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2.8 ㎟/s이며, 극한 점도로 환산한 분자량이 3.8만이고, L 값이 87.2 이며, b 값이 5.6이었다.
5.8. 비교예 3
알칼리 조건하에서의 가열 시간을 150분간으로 하는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다갈색 미분말의 저분자 히알루론산 1.O ㎏(수율 0.5 %)을 얻었다. 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1 % 수용액의 동점도가 1.6 ㎟/s이며, 극한 점도에서 환산한 분자량이 1만이고, L 값이 87.0이며, b 값이 6.5이었다.
5.9. 시험예 1
화장료로의 배합 시험예로, 이하에 기술하는 처방에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각각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를 배합한 미백용 미용액을 각각 조제했다(내용량 50 ㎖/캡이 달린 투명 유리병).
<처방>
인산 아스코르빌 Mg 3.00 %
글리세린 8.00 %
1,3-부틸렌 글리콜 2.00 %
수첨 레시틴 0.05 %
저분자 히알루론산(Na)*1 0.50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0.06 %
*PEG-50 수첨 피마자유 0.50 %
시트르산 Na 적량
메틸파라벤 0.21 %
페녹시 에탄올 0.08 %
EDTA-4Na 0.10 %
토코페롤 0.05 %
물 전량을 100 %로 한다
*1: 실시예 1~5, 비교예 1~3에서 각각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
실시예 1~5에서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시험예에서는 사용감이 뛰어난 무색 투명한 미백용 미용액을 얻은 것에 비해, 비교예 1~3에서 얻은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시험예에서는 색조가 갈색을 띠어 미백용 미용액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5.10. 시험예 2
화장료로의 배합 시험예로, 이하에 기술하는 처방에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각각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유액(에모리엔트 밀크)을 각각 조제했다(내용량 150 ㎖/캡이 달린 투명 유리병).
<처방>
스테아린산 0.50 %
세토스테아린알코올 0.50 %
라놀린 0.80 %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4.00 %
올리브유 4.00 %
저분자 히알루론산(Na)*1 1.00 %
테트라 올레인산 폴리옥시 에틸렌(60) 소르비톨 0.50 %
폴리옥시에틸렌(20)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톨 1.00 %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0 %
1,3-부틸렌글리콜 6.00 %
크산탄검 0.14 %
메틸파라벤 적량
물 전량을 100 %로 한다
*1: 실시예 1~5, 비교예 1~3에서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
실시예 1~5에서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시험예에서는 사용감이 뛰어난 유백색의 유액(에몰리언트 밀크)을 얻은 것에 비해, 비교예 1~3에서 얻은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시험예에서 얻은 유액은 색조가 갈색을 띠어 유액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5.11. 시험예 3
식품으로의 배합 시험예로, 이하에 기술하는 처방에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를 배합하여 스파우트 파우치에 넣고 백도 젤리 음료를 조제했다(내용량 150 g/투명 스파우트 파우치).
<처방>
크산탄검 1.00 %
카라기난 0.50 %
저분자 히알루론산(Na)*1 0.20 %
덱스트린 알콜 3.00 %
수크랄로스 0.02 %
4배 농축 백도 과즙 5.00 %
시트르산 0.60 %
시트르산 Na 0.20 %
L-아스코르브산 0.10 %
복숭아 향료 0.20 %
물 전량을 100 %로 한다
*1: 실시예 1~5, 비교예 1~3에서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
실시예 1~5에서 얻은 저분자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시험예에서는 풍미 및 식감이 뛰어난 백색 반투명의 스파우트 파우치에 든 백도 젤리 음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3에서 얻은 HA 또는 HANa를 배합한 시험예에서 얻은 음료는 색조가 갈색을 띠어 젤리 음료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Claims (20)

  1. 분자량이 2만 이하이고, 색이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이 90 이상이며, 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b 값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은 1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값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값은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1 중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10 ㎟/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1 중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3 ㎟/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1 중량 % 수용액의 동점도가 2 ㎟/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9.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분해효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10. 산성의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을 분산시켜 얻어지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11.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3. 산성의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을 분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함수 매체에 있어서의 물의 비율은 40 용량%이하인
    분자량 10만 이하의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가열하에서 수행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산성의 함수 매체 중에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을 분산시킨 후, 상기 함수 매체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잔류물을 가열건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매체의 pH는 2 이하인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매체로 사용되는 매체는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6000 이상 10만 이하인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분산 상태에서 산분해하는 것인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
KR1020117021857A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KR101420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81571 2005-03-22
JP2005081571A JP4576583B2 (ja) 2005-03-22 2005-03-22 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および食品組成物
PCT/JP2006/305356 WO2006101030A1 (ja) 2005-03-22 2006-03-17 低分子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および食品組成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107A Division KR20080002848A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796A Division KR20140063898A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425A KR20110108425A (ko) 2011-10-05
KR101420485B1 true KR101420485B1 (ko) 2014-07-16

Family

ID=370236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857A KR101420485B1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KR1020147011796A KR20140063898A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KR1020077024107A KR20080002848A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796A KR20140063898A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KR1020077024107A KR20080002848A (ko) 2005-03-22 2006-03-17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33054B2 (ko)
EP (2) EP2463309B1 (ko)
JP (1) JP4576583B2 (ko)
KR (3) KR101420485B1 (ko)
CN (2) CN101146830B (ko)
WO (1) WO2006101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0282B1 (fr) 2003-01-27 2007-04-06 Jerome Asius Implant injectable a base de ceramique pour le comblement de rides, depressions cutanees et cicatrices, et sa preparation
JP4576583B2 (ja) 2005-03-22 2010-11-10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および食品組成物
KR100665916B1 (ko) * 2005-06-27 2007-01-10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저분자량 다당류 및 그 염의 제조방법
JP4982718B2 (ja) * 2005-08-31 2012-07-25 株式会社林原 美肌用の経口摂取用組成物
KR101482800B1 (ko) 2006-02-24 2015-01-14 큐피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의약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4712746B2 (ja) * 2006-09-15 2011-06-29 キユーピー株式会社 酸性飲料
JP4764380B2 (ja) * 2007-02-13 2011-08-31 キユーピー株式会社 発酵乳
JP2008285421A (ja) * 2007-05-15 2008-11-27 Q P Corp 毛髪改質浸透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毛髪用化粧料
FR2919185B1 (fr) * 2007-07-23 2010-09-10 Ard Sa Utilisation d'acide hyaluroniqu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destinees a l'amelioration notamment de l'etat des muqueuses
JP2009155486A (ja) * 2007-12-27 2009-07-16 Kikkoman Corp 低分子化ヒアルロン酸とその製造法
WO2009083265A2 (en) * 2007-12-28 2009-07-09 Bayer Cropscience Ag Use of hyaluronan in bakery products
JP2009183212A (ja) * 2008-02-06 2009-08-20 Q P Corp 酸性飲料
CN101507733B (zh) * 2009-04-02 2011-03-30 北京中生奥普寡肽技术研究所 纳米小分子透明质酸及其制备方法
JP5130264B2 (ja) * 2009-07-31 2013-01-30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製造方法
KR101132114B1 (ko) * 2009-09-15 2012-04-05 일동제약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
WO2011070948A1 (ja) * 2009-12-08 2011-06-16 キユーピー株式会社 精製ヒアルロン酸類の製造方法
JP6218380B2 (ja) * 2010-04-14 2017-10-2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肌質改善用外用組成物
JP5587049B2 (ja) * 2010-06-21 2014-09-10 株式会社 糖質科学研究所 低分子ヒアルロン酸の製造方法
ES2390063B1 (es) * 2011-04-13 2014-04-11 Bioibérica, S.A. Glicosaminoglicanos con muy bajo contenido de metanol.
CN102516410A (zh) * 2011-11-30 2012-06-27 上海景峰制药有限公司 一种制备不同分子量玻璃酸钠的方法
MX2014009410A (es) * 2012-02-17 2015-01-14 Kimflexor S L Sales de oro y plata de glicosaminoglicanos parcialmente despolimerizadas.
CN102850467A (zh) * 2012-08-29 2013-01-02 山东众山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低分子量透明质酸的制备方法
CN102898545B (zh) * 2012-11-15 2015-06-10 山东众山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透明质酸粘度的方法
JP6348776B2 (ja) * 2013-06-04 2018-06-27 キッコーマンバイオケミファ株式会社 肌質改善経口組成物、食品および経口医薬品
US10155824B2 (en) 2013-10-08 2018-12-18 Kewpie Corporation Carboxymethyl-group-containing modified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and/or production method for carboxymethyl-group-containing modified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CN103666975B (zh) * 2013-12-24 2015-02-04 山西杏花村汾酒厂股份有限公司 一种配制酒及其制作方法
US20160333119A1 (en) * 2014-01-14 2016-11-17 Kewpie Corporation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oo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ntaining said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EP2910255A1 (en) 2014-02-19 2015-08-26 MedSkin Solutions Dr. Suwelack AG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biopolymers with defined average molecular weight
JP6543046B2 (ja) * 2014-03-10 2019-07-10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粉末食品
FR3027221B1 (fr) * 2014-10-17 2018-01-19 Oreal Gel aqueux cosmetique
CN104666112B (zh) * 2015-02-09 2017-09-15 惠觅宙 一种生物活性透明质酸牙膏
JP6599673B2 (ja) * 2015-07-17 2019-10-30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該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を含む食品、化粧料、および医薬品
KR101858733B1 (ko) * 2016-12-19 2018-06-28 일동제약(주) 초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제조방법
US11359030B2 (en) * 2017-04-07 2022-06-14 Youreh Co., Ltd. Method for preparing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CN108308601A (zh) * 2018-01-24 2018-07-24 江苏神华药业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酵素饮品及其制备方法
CN109580428A (zh) * 2018-12-26 2019-04-05 华熙福瑞达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简便准确测定溶液中透明质酸分子量的方法
IT202000008299A1 (it) * 2020-04-17 2021-10-17 Glycores 2000 Srl Composizione liquida oftalmica comprendente acido ialuronico lineare a basso peso molecolare
CN112120205A (zh) * 2020-09-25 2020-12-25 山东华熙海御生物医药有限公司 酱油及其粉末、它们的制备方法以及用途
CN112646055A (zh) * 2020-11-13 2021-04-13 沧州硕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低分子量透明质酸的制备方法
CN116948054A (zh) * 2022-04-20 2023-10-27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锌的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107A (ja) * 1997-01-10 1998-07-28 Shiseido Co Ltd オリゴ硫酸化ヒアルロン酸
JP3113056B2 (ja) * 1992-03-13 2000-11-27 鐘紡株式会社 養毛料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035A (en) * 1899-01-17 Cash-recorder
US2249315A (en) * 1940-11-08 1941-07-15 Costas N Laskaris Hair curler
JPS5837001A (ja) 1981-08-27 1983-03-04 Green Cross Corp:The ヒアルロン酸の製造法
JPS62292710A (ja) 1986-06-12 1987-12-19 Lion Corp 皮膚化粧料
JPS6357602A (ja) * 1986-08-29 1988-03-12 Q P Corp 低分子ヒアルロン酸の製法
JPS63150210A (ja) * 1986-12-15 1988-06-22 Kanebo Ltd 養毛化粧料
JPS63150209A (ja) * 1986-12-15 1988-06-22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2631469B2 (ja) 1987-04-30 1997-07-16 日本化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の精製法
JP2549119B2 (ja) 1987-05-30 1996-10-30 三省製薬株式会社 外用剤
JP2587268B2 (ja) * 1988-04-18 1997-03-05 チッソ株式会社 低粘度ヒアルロン酸又はその塩の製造方法
WO1991004279A1 (en) 1989-09-12 1991-04-04 Shiseido Company, Ltd. Process of production of low-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JPH04505774A (ja) * 1989-09-12 1992-10-08 株式会社資生堂 低分子量ヒアルロン酸の製造方法
JP2786690B2 (ja) 1989-09-26 1998-08-1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機掛け方法
JPH0630605B2 (ja) * 1990-10-23 1994-04-27 チッソ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ナトリウム水溶液の製造法
JP2787254B2 (ja) 1991-10-21 1998-08-13 アダプトゲン製薬株式会社 食品及びその食品の製造方法
IT1264530B (it) * 1992-07-31 1996-10-02 Crinos Industria Farmaco Impiego dei polisaccaridi nelle neuropatie atrofico degenerative
JPH06157604A (ja) 1992-11-26 1994-06-07 Fushimi Seiyakushiyo:Kk 高分子多糖類の低分子化法
IT1282219B1 (it) * 1995-12-20 1998-03-1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rocesso chimico fisico combinato per la preparazione di frazioni di acido ialuronico a basso peso molecolare caratterizzate da bassa
JP3534934B2 (ja) * 1996-02-02 2004-06-07 カネボウ株式会社 皮膚化粧料
US6018035A (en) * 1997-07-21 2000-01-25 Baxter International Inc. Reagents for isotropic size enhancement of a peptide, protein, nucleotide or other substrate
JP4151092B2 (ja) * 1997-10-22 2008-09-17 チッソ株式会社 オリゴヒアルロン酸もしくはその塩の製造法
JP2000095660A (ja) 1998-09-22 2000-04-04 Q P Corp 皮膚外用剤
JP4097335B2 (ja) * 1998-09-30 2008-06-11 生化学工業株式会社 食品添加物
JP2001081103A (ja) * 1999-09-13 2001-03-27 Denki Kagaku Kogyo Kk ヒアルロン酸結合薬剤
KR100620291B1 (ko) * 2000-02-03 2006-09-13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히알루론산 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용재료
JP4587148B2 (ja) * 2000-03-24 2010-11-24 生化学工業株式会社 平滑筋細胞増殖促進剤
CA2414211C (en) * 2000-07-07 2011-08-02 Seikagaku Corporation Hyaluronic acid oligosaccharide fractions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KR100369517B1 (ko) 2000-08-29 2003-01-29 김공수 저분자 다당류 및 그들의 올리고당 제조방법
JP2002145750A (ja) * 2000-11-01 2002-05-22 Fancl Corp 化粧料
CA2440744C (en) * 2001-03-15 2009-12-08 Seikagaku Corporation Il-12 expression controlling agent
US20020192205A1 (en) * 2001-05-11 2002-12-19 Francis Michon Immunogenic compositions of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and methods to prevent, treat and diagnose infections and diseases caused by group A and group C streptococci
JP2004043645A (ja) * 2002-07-11 2004-02-12 Seikagaku Kogyo Co Ltd 低分子化糖の製造方法
US7511026B2 (en) 2003-03-25 2009-03-31 Seikagaku Corporation Therapeutic agent for nerve damage
JP3596777B1 (ja) * 2003-04-23 2004-12-02 アダプトゲン製薬株式会社 健康食品及び経口用抗腫瘍剤
JP2005110675A (ja) * 2003-09-16 2005-04-28 Meiji Univ 低糖及び/又はオリゴ糖の製造方法、及び、機能性の低糖及び/又はオリゴ糖
CN1563109A (zh) 2004-04-13 2005-01-12 阮春学 一种制备透明质酸的方法
CN1563108A (zh) 2004-04-13 2005-01-12 阮春学 一种制备低分子量透明质酸钙的方法
US7956180B2 (en) * 2004-05-27 2011-06-07 Novozymes A/S Dried and agglomerated hyaluronic acid product
JP4528898B2 (ja) 2004-07-26 2010-08-2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ケモカイン受容体ccr10の発現誘導剤
JP4576583B2 (ja) 2005-03-22 2010-11-10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および食品組成物
JP3767627B1 (ja) * 2005-03-25 2006-04-19 眞 八藤 低分子ヒアルロン酸の製造方法
US7879818B2 (en) * 2005-12-23 2011-02-01 Janos Borbely Hyaluronic acid-based cross-linked nanoparticles
KR101482800B1 (ko) * 2006-02-24 2015-01-14 큐피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의약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056B2 (ja) * 1992-03-13 2000-11-27 鐘紡株式会社 養毛料
JPH10195107A (ja) * 1997-01-10 1998-07-28 Shiseido Co Ltd オリゴ硫酸化ヒアルロン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bohydrate Polymers 1995 Vol. 26, pages 69-73 *
Carbohydrate Polymers 1995 Vol. 26, pages 69-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6830A (zh) 2008-03-19
US20150166685A1 (en) 2015-06-18
CN101146830B (zh) 2011-11-16
CN102174122A (zh) 2011-09-07
KR20140063898A (ko) 2014-05-27
EP2463309A1 (en) 2012-06-13
US20090215719A1 (en) 2009-08-27
EP1865002B1 (en) 2012-05-16
KR20080002848A (ko) 2008-01-04
EP1865002A1 (en) 2007-12-12
EP1865002A4 (en) 2011-03-30
JP2006265287A (ja) 2006-10-05
US8933054B2 (en) 2015-01-13
CN102174122B (zh) 2013-08-07
EP2463309B1 (en) 2013-06-12
JP4576583B2 (ja) 2010-11-10
WO2006101030A1 (ja) 2006-09-28
KR20110108425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485B1 (ko) 저분자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
KR101482800B1 (ko) 신규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의약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5066342B2 (ja) 新規な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料、医薬組成物、食品組成物、および化粧料キット
CA2649655C (en) Inulin of very high chain length
JPH04218501A (ja) 食物繊維、その製造法及びその食物繊維を含有する生理活性剤
MX2008013706A (es) Inulina de cadena muy larga.
KR20160106076A (ko)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및 의약품
JP2009051877A (ja) 新規な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食品組成物および経口医薬品組成物、ならびに該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経口用皮膚改善剤または経口用皮膚含水量増加剤
JP5130264B2 (ja) 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製造方法
JP4712746B2 (ja) 酸性飲料
TW200300417A (en) Glucose derivative
JP4347950B2 (ja) 高純度フコイダ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64380B2 (ja) 発酵乳
JP5723919B2 (ja) 新規な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経口用皮膚改善剤または経口用皮膚含水量増加剤の製造方法
JP6146733B2 (ja) コンドロイチン硫酸オリゴ糖を製造する方法
JP5004409B2 (ja) 改質ポルフィラン
JP2008154571A (ja) チョコレート類
JP2005185187A (ja) 微生物細胞壁水溶性画分及びその製造方法
JP7008324B2 (ja) 胆汁酸吸着剤および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
KR20160085112A (ko) 갈조류 알긴산 유래 폴리만뉴로네이트를 함유하는 다이어트 식품용 조성물
KR101516787B1 (ko) 갈조류 알긴산 유래 폴리만뉴로네이트 제조방법
JP2019131486A (ja) 海藻由来多糖類の加水分解物を含む糖尿病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