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435B1 -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435B1
KR101285435B1 KR1020127003024A KR20127003024A KR101285435B1 KR 101285435 B1 KR101285435 B1 KR 101285435B1 KR 1020127003024 A KR1020127003024 A KR 1020127003024A KR 20127003024 A KR20127003024 A KR 20127003024A KR 101285435 B1 KR101285435 B1 KR 10128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er
feeding
retar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869A (ko
Inventor
아끼라 마쯔시마
야스히로 우찌다
?스께 오까자끼
미노루 가와니시
겐지 와따나베
모또히로 후루사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18Modifying or stopping actuation of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7Bottom pivotable, e.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arranged at rear side of sheet support
    • B65H2405/11172Bottom pivotable, e.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arranged at rear side of sheet support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both transport direction and surface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1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12Starting; S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리타드 롤러를 사용한 시트 급송 장치로 연속 급송 시에, 급송되는 시트의 선단의 위치가 변동되기 때문에, 급송 중인 시트의 간격이 변동된다. 따라서, 리타드 롤러(55)가 시트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픽업 롤러(53)에 회전이 전달되어 시트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리타드 롤러(55)가 시트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를 하고 있을 때에는 픽업 롤러(53)는 시트를 급송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연속 급송 시에, 다음의 시트는,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선단이 도달하도록 보내져, 연속 급송 시의 시트의 간격이 안정적이 된다.

Description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고, 기록지나 원고 등의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급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향하여 시트를 자동으로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러한 시트 급송 장치에서는, 시트 수납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 적재부와, 시트 적재부에 적재되는 시트의 최상위의 시트를 송출하는 시트 급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 적재부를 상승시켜,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최상위의 시트를 시트 급송 가능 위치로 위치시킨 후, 시트 급송부에 의해 최상위의 시트를 화상 형성부를 향하여 송출한다.
도 24를 사용하여, 시트 급송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4의 (a)에 있어서, 시트 수납부로서의 급지 카세트(1100)는, 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인출된 상태에서 급지 카세트(1100)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 적재부로서의 중간판(1101) 상에 시트(Sa)가 장전된다. 장치 본체에는, 중간판(110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Sa)를 순차 송출하기 위한 시트 급송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 급송부는, 중간판(1101) 상의 시트(Sa)의 상면에 접촉하여 최상위의 시트를 송출하는 픽업 롤러(1053)와, 픽업 롤러(1053)로부터 송출된 시트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부는, 시트를 급송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드 롤러(1054)와, 피드 롤러(1054)에 압접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리타드 롤러(1055)를 구비하고 있다.
픽업 롤러(1053)는, 피드 롤러(1054)의 구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 홀더(1110)에 유지되어 있다. 픽업 롤러(1053)에는, 피드 롤러(1054)의 구동축을 통하여 피드 롤러(1054)에 전달되는 구동이 도시하지 않은 기어열을 통하여 전달된다. 롤러 홀더(1110)에는 센서 레버(1110a)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 레버(1110a)는, 롤러 홀더(1110)의 회동 위치에 따라 광학 센서(1111)의 신호를 ON/OFF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서 레버(1110a)가 광학 센서(1111)의 신호의 ON/OFF를 전환하는 위치는, 픽업 롤러(1053)에 의해 시트 상면에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적정한 급지압이 가해지는 위치이다. 또한, 이 급지압이란, 시트를 급송하기 위하여 픽업 롤러(1053)와 시트 상면 사이의 압력이며, 이 압력이 적정하지 않으면, 시트의 송출을 할 수 없거나, 최상위 시트와 다음 시트를 동시에 송출해 버리거나 한다.
중간판(1101)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프터(1102)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시트가 급송되어 중간판(110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가 감소해 가면, 픽업 롤러(1053)가 하강하여, 광학 센서(1111)의 검지에 기초하여 모터가 회전하여 리프터(1102)에 의해 중간판(1101)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Sa)가 송출되어 최상위의 시트 상면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보다 낮아질 때마다 중간판(1101)을 상승시켜, 최상위의 시트 상면의 위치를 적정한 급지압이 가해지는 높이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픽업 롤러(1053)가, 중간판(1101)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최상위의 시트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최상위의 시트(S1)가 분리부까지 급송된다. 분리부에서는, 픽업 롤러(1053)에 의해 보내진 시트가 피드 롤러(1054)와 리타드 롤러(1055) 사이에서 1매씩 분리 급송되어, 화상 형성부를 향하여 송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올 때마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시트가 1매씩 송출되어, 화상 형성부에 의해 시트에 화상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트 급송 장치에 있어서, 연속하여 시트를 급송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중간판(1101) 상에 적재되는 시트끼리의 마찰력이 낮은 경우에, 픽업 롤러(1053)에 의해 최상위의 시트(S1)가 급송될 때에, 급송되는 시트(S1)에 다음 시트(S2)가 종동되어 송출될 일은 없다. 그로 인해, 다음의 시트(S2)의 선단(S2a)의 위치는,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1100)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다음 시트(S2)는, 선단을 급지 카세트(1100)의 전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급송이 개시된다. 한편, 급송되는 시트끼리의 마찰력이 어느 정도 높은 경우에는, 다음 시트(S2)는, 급송되는 최상위의 시트(S1)에 종동되어 급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분리부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S1)와 다음 시트(S2)는 분리되지만, 다음 시트(S2)의 선단은,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의 피드 롤러(1054)와 리타드 롤러(1055)의 닙까지 이동하고 있다. 또한, 시트끼리의 마찰력에 따라서는, 다음 시트(S2)의 선단이 분리부까지 닿지 않아 급지 카세트의 전단부와 분리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음 시트(S2)가 정지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끼리의 마찰 계수의 차이 등에 의해, 급송하는 시트의 선단 위치가, 급지 카세트의 전단부 위치부터 피드 롤러(1054)와 리타드 롤러(1055)의 닙까지의 거리 X 사이에서 변동되게 된다. 그로 인해, 시트 급송 신호가 보내져 급송을 개시하고 나서 화상 형성부에 시트가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거리 X만큼 사이의 편차가 시트마다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어, 시트에 대한 화상 형성 개시가 안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속하여 급송할 때에 시트끼리 겹치지 않도록 급송할 때의 시트간의 간격을 편차만큼 고려하여 넓게 설정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기서, 생산성이란, 단위 시간당 화상 형성되는 시트 매수를 말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종래 분리부보다 하류측에, 급송되어 오는 시트의 선단을 검지하는 시트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지에 기초하여 시트의 반송 제어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시트 급송 신호를 받고 나서 시트 검지 수단이 시트를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소정 시간보다 빨리 검지한 경우에는, 그 후의 시트의 반송 속도를 늦춘다. 또한, 소정 시간보다 늦게 검지한 경우는, 그 후의 시트의 반송 속도를 빠르게 제어한다. 이와 같이, 시트의 조기 도착 또는 지연을 시트 검지 수단의 검지에 기초하여 판단하여, 그 다음 시트의 반송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시트의 급송 간격의 편차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41869호 공보
그런데, 시트 검지 수단의 검지에 기초하여 시트의 조기 도착 또는 지연을 판단하여, 다음 시트의 반송 속도 제어를 하는 것에는, 복잡한 제어가 필요해진다. 또한, 시트 선단의 위치의 편차가 큰 경우나, 분리부부터 화상 형성 장치까지의 시트의 반송로의 길이가 짧은 경우 등에 있어서, 충분한 반송 속도를 제어할 수 없어 편차를 충분히 보정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급격한 반송 속도의 증가감이 필요해지고, 각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대한 부하가 증대하여, 고품위의 모터를 사용하거나, 강도가 높은 구동 전달을 위한 부품을 사용하거나 할 필요가 발생하여 비용 상승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잡한 시트의 반송 속도 제어를 하지 않고 시트의 급송의 편차를 억제하여 안정된 간격으로 시트를 급송 가능한 시트 급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를 적재하는 시트 적재부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를 급송하는 픽업 롤러와,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송출된 시트를 급송하는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에 압접되어 설치되고,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리타드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를 급송하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 롤러는,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시트 급송 가능한 상태이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시트 급송하지 않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연속하여 시트를 급송할 때에 다음 시트의 선단을 피드 롤러와 리타드 롤러의 닙에 송출해 둘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제어 없이 급송 시의 시트 급송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시트 급송 장치보다 급송하는 시트와 시트 사이를 좁힐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 시간당의 급송 매수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속도를 늦출 수 있어, 화질의 안정과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속도를 늦추면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 급송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트 급송부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시트 급송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 급송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 급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프린터에서, 급지 카세트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판 승강 동작의 타이밍 차트.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시트 급송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입력부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구동 입력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송 기구의 타이밍 차트도.
도 24는 종래의 시트 급송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레이저 빔 프린터(이하 LBP라고 칭한다)에 설치되는 시트 급송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우선,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LBP의 구성을 개략 설명한다. 도 7은, 시트 수납 장치를 구비한 LBP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시트 수납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급지 카세트의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LBP이며, 참조 부호 2는, LBP(1)의 내부에 설치된, 시트(S)를 적재 수납하는 급지 카세트이다. 참조 부호 3은, 픽업 롤러이며, 급지 카세트(2)에 적재된 시트(Sa)의 최상위의 시트에 접촉하여 송출한다. 참조 부호 4는 분리 롤러 쌍이며, 픽업 롤러(3)에 의해 송출된 시트(S)를 1매씩 분리 반송한다. 참조 부호 7은, 화상 형성에 관한 공지의 전자 사진 방식의 프로세스 수단을 내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7a)이 내장되어 있고, 감광체 드럼(7a)에 대하여 레이저 노광 장치(8)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감광체 드럼(7a) 주위에는, 대전기(7b), 현상기(7c), 클리닝기(7d) 등이 배치되어 있고, 토너 화상의 현상이나 클리닝을 행한다. 감광체 드럼(7a)에는, 전사 롤러(9)가 접촉하고 있어, 시트 반송로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 롤러(5, 6)에 의해 반송되어 와서, 감광체 드럼(7a)과 전사 롤러(9) 사이에서 통과하는 시트(S)에 드럼 표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참조 부호 10은, 정착 장치이며,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S)에 대하여 열 및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토너 화상의 정착을 행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의 정착 후의 시트(S)는, 배출 롤러 쌍(11)에 의해 장치 상면에 형성된 배출 트레이(12)에 화상면을 하측으로 하여 배출된다.
이어서, LBP(1) 아래에는, 복수의 급지 카세트를 구비한 시트 수납 장치로서의 카세트 데크(5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카세트 데크(51)는, LBP(1)의 적재대를 겸하고 있으며, LBP(1)를 적재한 상태에서의 이동을 고려하여, 시트 수납 장치의 하면 4개소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데크(51)는, 3개의 급지 카세트(52a, 52b, 52c)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급지 카세트는, 여러 크기·칭량의 시트를 수납하여 급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급지 카세트(52a, 52b, 52c)에 대응시켜 각각에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세트 데크(51)는, LBP(1)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를 수취하면, 그 신호에 적합한 시트를 적재한 급지 카세트를 선택하여, 시트(S)를 LBP에 1매씩 급송한다. 여기서, 이 카세트 데크(51)에 설치된 각각의 급지 카세트와 시트 급송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3단의 급지 카세트와 시트 급송부는 각각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단에 배치된 급지 카세트와 시트 급송부를 예로서 설명을 행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를 수납하는 시트 수납부인 급지 카세트(52a)에는, 시트 다발을 적재하는 시트 적재부인 중간판(201)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52a)에는, 중간판(201)에 적재된 시트의 측단부를 규제하는 사이드 규제판(57, 59)과, 적재된 시트의 후단부를 규제하기 위한 후단부 규제판(58)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카세트 데크(51)의 장치 본체에는, 중간판(201)에 적재된 시트 다발(Sa)의 최상위 시트(S1)를 송출하는 시트 급송 수단인 픽업 롤러(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픽업 롤러(53)에 의해 송출된 시트를 분리하는 피드 롤러(54) 및 리타드 롤러(55)에 의해 구성되는 분리부로서의 분리 롤러 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반송로에는 분리 롤러 쌍에 의해 1매씩 분리 급송된 시트를 LBP(1)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 롤러 쌍(56)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이 되는 시트 급송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시트 급송부의 급송 방향의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의 (a)는, 급송 방향의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판(201)은, 걸림부(201a, 201b)를 지지점으로 하여 급지 카세트(52)의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간판(201)은,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상판(202)에 의해 상하로 회동한다. 누름 상판(202)의 일단부에는 부채형 기어(203)가 설치되어 있고, 카세트 데크(51)의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된 리프트 모터(210)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204)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피니언(204)의 회전에 의해 부채형 기어(203)가 회전하여 누름 상판(202)에 의해 중간판(201)을 상승시킨다. 또한, 이들 누름 상판(202), 부채형 기어(203), 피니언(204) 등에 의해 리프터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리프트 모터(210)는, 도 3에 도시하는 제어부 C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제어부 C는, 후술하는 위치 검지 센서(116)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리프트 모터(210)에 의해 피니언(204)을 회전시켜, 부채형 기어(203) 및 누름 상판(202)을 개재하여 중간판(201)의 하류단부측을 픽업 롤러(53)의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도 3은, 제어 블록도이며, 제어부 C에는, 위치 검지 센서(116), 후술하는 회전 검지 센서(121)로부터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 C는, 각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100), 픽업용 모터(110), 리프트 모터(210), 솔레노이드(103)를 각각 제어한다.
그런데, 픽업 롤러(53)는, 피드 롤러(54)의 축(1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홀더(1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롤러 홀더(115)에는 센서 레버(115a)가 설치되어 있고, 픽업 롤러(53)가 시트를 급송할 때에 적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있을 때에, 이 센서 레버(115a)에 의해 위치 검지 센서(116)가 차광된다. 이들 롤러 홀더(115), 센서 레버(115a), 위치 검지 센서(116) 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검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검지 센서(116)는 광학식 센서이며, 센서 레버(115a)에 의한 투광 또는 차광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시트(S)가 1매씩 순차 급송되어 가면, 중간판(201)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Sa)의 매수가 감소되어 시트 상면 높이가 낮아지고, 이에 수반하여 픽업 롤러(53)는 롤러 홀더(115)와 함께 하강한다. 그리고, 롤러 홀더(115)의 하강에 의해 위치 검지 센서(116)의 센서 레버(115a)에 의한 차광이 해제되어, 위치 검지 센서(116)가 비검지 상태로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위치 검지 센서(116)가 비검지 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롤러 홀더(115)가 하강하고, 더 하강하면, 픽업 롤러(53)에 의해 시트(S)의 상면에 적정한 급지압을 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위치 검지 센서(116)가 비검지 상태로 되면, 제어부 C는 리프트 모터를 제어하여 리프터부의 누름 상판(202)에 의해 중간판(201)을, 시트(Sa)의 상면이 급송 시에 적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높이로 되는 위치까지 다시 상승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시트를 순차 급송하여 위치 검지 센서(116)가 비검지 상태로 되면, 리프터부에 의해 중간판(201)을 이동시켜 시트의 상면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제어를 반복한다. 이에 의해, 중간판(201) 상으로부터 시트가 없어질 때까지 확실하게 시트를 급송할 수 있다.
이어서, 중간판(201) 상의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시트 급송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4는,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는 기어부를 구비하고, 또한 내부에 토크 리미터가 내장되어 있는 리미터 기어이며, 기어부가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축(105)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축(105)은 후술하는 구동 연결 기구를 통하여 리타드 롤러(5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리미터 기어(104)는, 리타드 롤러(55)에 가해지는 부하가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리미트값)보다 작은 경우는, 구동 모터(100)의 구동력에 의해 축(105)을 회전시킨다. 또한, 리타드 롤러(55)에 가해지는 부하가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보다 큰 경우에는 리미터 기어(104)와 축(105) 사이에서 공회전한다. 사용되는 시트의 마찰 계수에 의해 시트간에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반드시 리미터 기어(104)의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리미트값)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시트와 피드 롤러(54) 사이의 마찰 계수에 의한 마찰력보다 리미터 기어(104)의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리미트값)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인입하는 시트가 1매인 경우 또는 시트가 들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타드 롤러(55)가 피드 롤러(54)에 종동 회전한다. 또한, 닙 내에 시트가 2매 이상 인입한 경우에는, 리타드 롤러(55)는 급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를 1매씩 분리한다.
참조 부호 101은 피드 롤러(54)에 대한 회전의 전달을 제어하는 결치 기어(partially toothed gear), 참조 부호 102는 솔레노이드(103)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 부재이다. 레버 부재(102)는, 결치 기어(10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101a)에 걸려 결치 기어(101)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며, 솔레노이드(103)의 온/오프에 의해, 결합부(101a)와의 결합 또는 해제가 행해진다. 즉,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솔레노이드(103)에 통전되어 오프로부터 온으로 되고, 솔레노이드(103)에 흡인되어 레버 부재(102)가 결치 기어(101)의 걸림부(101a)로부터 이격하여 결치 기어(101)의 회전의 규제를 해제한다. 또한, 결치 기어(101)가 레버 부재에 의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결치 기어(101)의 결치 부분이 리미터 기어와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결치 기어(10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레버 부재(102)의 규제가 해제되면, 그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결치 기어(101)가 회전하여, 결치 기어(101)의 기어부가 리미터 기어(104)에 맞물린다. 리미터 기어(104)는, 구동 모터(10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항상 회전하고 있으며, 리미터 기어(104)와 맞물림으로써 결치 기어(101)가 회전한다. 결치 기어(101)는 1회전하면, 다시 레버 부재(102)가 걸림부(101a)에 결합함으로써 정지된다.
이 결치 기어(101)의 1회전 제어에 의해, 결치 기어(101)에 맞물려 있는 기어(117)를 회전시켜, 기어(117)에 접속되어 있는 축(114)을 통하여 피드 롤러(54)가 회전한다. 결치 기어(101)와 기어(117)의 기어비에 따라 결치 기어(101)의 1회전에 의해 피드 롤러(54)가 수회 회전함으로써 시트(S)를, 하류측의 반송 롤러 쌍(56)까지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축(114)의 베어링(118)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 원웨이 클러치는, 축(114)이 피드 롤러(54)를 급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회전을 허용하고, 축(114)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 하고자 하는 경우는 회전을 로크한다. 이에 의해, 피드 롤러(54)가 급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란, 시트를 LBP(1)의 화상 형성부를 향하여 급송하기 위하여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축(114)과 피드 롤러(54)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는 기어(111)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111)의 원웨이 클러치는, 축(114)이 피드 롤러(54)를 급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축(114)과 피드 롤러(54)를 로크함으로써 피드 롤러(54)를 회전시킨다. 한편, 결치 기어(101)의 1회전이 종료하고, 축(114)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피드 롤러(54)가, 급송되는 시트에 종동되어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공회전한다. 그로 인해, 시트와의 종동 회전에 의한 피드 롤러(54)의 회전이 기어(117) 및 결치 기어(101)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픽업 롤러(53)는, 기어(111, 112, 113)를 통하여 피드 롤러(54)로부터 회전이 전달되어, 피드 롤러(54)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면 픽업 롤러(53)도 동일하게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기어(111, 112, 113)에 의해 피드 롤러(54)와 픽업 롤러(53)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참조 부호 110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픽업 롤러(53)를 승강시키는 픽업용 모터이며,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랙(109)에 기어부가 맞물리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랙(109)은, 픽업 롤러(53)를 유지하는 롤러 홀더(115)의 단부(115b)에 결합하고 있으며, 랙(109)이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단부(115b)를 통하여 롤러 홀더(115)가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픽업용 모터(110)를 구동함으로써, 랙(109)을 이동시켜 픽업 롤러(53)를 들어 올림으로써 픽업 롤러(53)를 최상위의 시트(S)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축(105)과 리타드 롤러(55)를 연결하는 구동 연결 기구를 설명한다.
기어(106)는, 축(105)과 결합되어 있으며, 축(105)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106), 기어(107), 기어(131) 및 축(119)을 통하여 리타드 롤러(55)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리타드 롤러(55)는, 피드 롤러(54)로부터 이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피드 롤러(54)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가 닙에 인입했을 때에 리타드 롤러(55)가 피드 롤러(54)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도 구동이 전달되도록, 축(119)의 중간에는 유니버설 조인트(1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미터 기어(104)에 내장된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리미트값)에 따라, 리타드 롤러(55)에 항상 급송 방향과 반대측으로 대략 일정한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어서, 리타드 롤러(55)의 회전 및 정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전 검지 기구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22는, 리타드 롤러(55)에 접속되어 있는 축(119)에 연결되어 있어 축(119)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검지 레버이며, 회전 검지 센서(121)를 투광 또는 차광한다. 그로 인해, 리타드 롤러(55)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회전 검지 레버(122)에 의해 회전 검지 센서(121)가 투광과 차광을 반복한다. 회전 검지 센서(121)는 광학 센서이며, 회전 검지 레버(122)에 의한 투광 또는 차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참조 부호 123은, 압축 스프링(124)에 의해 회전 검지 레버(122)의 측면에 압박된 회전 방향 검지 레버이다. 이 회전 방향 검지 레버(123)는,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회전 검지 센서(121)를 투광 상태로 한다. 또한,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과 반대측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회전 검지 레버(122)의 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 검지 센서(121)를 차광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레버(122, 123)의 조합에 의해,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회전 검지 센서(121)가 투광과 차광을 반복한다. 또한, 2개의 레버(122, 123)의 조합에 의해, 리타드 롤러(55)가 역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회전 검지 센서(121)가 투광 또는 차광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회전 검지 센서(12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 C는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급송 장치에 의한 시트 급송의 일련의 흐름을 설명한다. LBP(1)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구동 모터(100)에 의해, 리미터 기어(104) 및 구동 전달 기구를 통하여 리타드 롤러(55)에 급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이 전해진다. 그리고, 이때 피드 롤러(54)는 베어링(118)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급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로크되어 있다. 그로 인해, 리타드 롤러(55)는, 피드 롤러(54)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어 리미터 기어(104)의 토크 리미터에 의한 구동 전달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03)의 레버 부재(102)가 결치 기어(101)의 규제를 해제하고, 결치 기어(101)에 의해 피드 롤러(54) 및 픽업 롤러(53)를 급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드 롤러(54)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타드 롤러(55)는, 피드 롤러(54)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리미터 기어(104)의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리미트값)보다 크기 때문에 급송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그리고,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회전 검지 센서(121)로 검지하면, 랙(109)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픽업용 모터(110)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픽업 롤러(53)를 중간판(20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최상위의 시트(S1)에 접촉시켜 최상위의 시트(S1)를 급송한다.
여기서,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와,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시트의 급송 동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판(201)에 적재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에 의해 최상위의 시트(S1)의 1매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후에 피드 롤러(54)와, 시트에 종동 회전하는 리타드 롤러(55)에 의해 반송 롤러 쌍(56)에 반송된다. 그리고, 결치 기어(101)의 1회전이 종료하면 피드 롤러(54)에 대한 구동 전달은 정지되고,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S1)에 추종하여 시트 급송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그 후,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오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는 다음 시트(S2)와 접한다. 이때,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S1)를 닙에 끼우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급송 방향으로 각각 종동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피드 롤러(54)의 회전은 픽업 롤러(53)에 전달되어 급송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옴과 동시에 픽업 롤러(53)에 의해, 다음 시트(S2)도 반송된다. 이에 의해, 시트(S1)와 시트(S2)는 간극없이 급송된다.
그리고, 시트(S1)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빠져나오면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이 정지하고, 그 정지를 회전 검지 센서(121)가 검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 C가 랙(109)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픽업용 모터(110)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고, 롤러 홀더(115)를 회전시켜, 픽업 롤러(53)를 시트(S2)로부터 이격시켜 비급송 상태로 한다. 이때, 다음 시트(S2)는 선단이 도 4의 (c)와 같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시트를 급송함으로써, 시트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부터 개시되게 된다.
이어서,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를 급송하면 시트간의 마찰력으로 시트(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까지 시트(S1)에 종동되어 보내진다. 그리고, 시트(S1, 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보내지면,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S1)와 시트(S2)를 분리하여, 시트(S1)만이 하류측에 급송된다. 그리고, 시트의 분리에 의해 리타드 롤러(55)가 정지한 것을 회전 검지 센서(121)로 검지하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109)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픽업용 모터(110)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랙(109)과 롤러 홀더(115)를 통하여 픽업 롤러(53)를 시트로부터 이격시켜 비급송 상태로 한다. 그리고, 시트(S1)가 반송된 후는,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의해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음의 시트(S2)의 급송 시에는,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선단이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부터 개시된다.
이와 같이, 급송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든 큰 경우든,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시트 급송 시에 있어서의 시트 선단의 위치의 편차를 최소한 또는 0으로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된 시트의 급송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연속적으로 시트를 급송하는 경우에 시트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일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 계수가 상이한 시트가 혼합된 상태의 시트 다발을 급송하는 경우에도 송출되는 시트와 다음 시트의 마찰력에 따라 상기 어느 한쪽의 급송 동작이 행해진다. 그로 인해,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는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이 전달되고 있는 리타드 롤러(55)를 사용한 구성을 설명했지만, 역방향의 구동을 부여하지 않고, 토크 리미터만을 구비한 비구동의 분리 롤러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비구동의 분리 롤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비구동의 분리 롤러를 사용한 시트 급송 장치의 시트 급송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분리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급송부는, 도 1에 도시한 것에 대하여, 리타드 롤러(55)에 대한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구가 삭제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리타드 롤러 대신 분리 롤러(5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분리 롤러(55)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에 토크 리미터(TR)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피드 롤러(54)에 압접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 롤러(55)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검지 기구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회전 검지 레버(122)와 회전 검지 센서(121)를 조합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분리 롤러(55)는, 피드 롤러(54)와의 사이에 시트가 없는 경우 및 1매 인입한 경우에는 토크 리미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피드 롤러(54) 또는 급송되는 시트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분리 롤러(55)와 피드 롤러(54) 사이에 시트가 2매 이상 인입한 경우에는, 토크 리미터에 의해 분리 롤러(55)는 정지하고, 피드 롤러(54)에 접하고 있는 시트만이 급송되고, 그 이외의 시트는 닙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실시형태의 시트 급송 장치는, 제1 실시형태의 시트 급송 장치(도 1에 도시한다)와 동작은 거의 동일하고, 픽업 롤러(53)에 의해 보내지는 시트가 2매 이상인 경우에 분리 롤러는 정지하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시트의 급송 동작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비구동의 분리 롤러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픽업 롤러(53)를 승강시키지 않고, 중간판(201)을 승강시켜 시트(Sa)와 픽업 롤러(53)를 이격시키는 제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 홀더(115)를 시트 급송 위치에서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의 롤러 홀더(115)를 승강하는 기구인 랙(109), 픽업용 모터(110)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송 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에 시트 급송 동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설명한다.
우선,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판(201)에 적재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의 시트(S1)만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후에 피드 롤러(54)와, 급송되는 시트에 종동 회전하는 리타드 롤러(55)에 의해, 반송 롤러 쌍(56)에 급송된다. 그리고, 결치(101)의 1회전이 종료되면 피드 롤러(54)에 대한 구동 전달은 정지되고,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시트(S1)가 반송되고, 이 반송되고 있는 시트에 추종하여 급송 방향으로 각각 종동 회전한다.
그 후,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오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는,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와 접한다. 이때,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S1)를 닙에 끼우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급송 방향으로 종동 회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픽업 롤러(53)는 급송 상태이며,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옴과 동시에 픽업 롤러(53)에 의해,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도 반송되게 된다. 이에 의해, 시트(S1)와 시트(S2)는 간극없이 급송된다.
그리고, 시트(S1)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빠져나오면,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이 정지한 것을 회전 검지 센서(121)가 검지한다. 그리고, 회전 검지 센서(121)의 검지 신호에 의해, 중간판(201)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모터(210)를 어느 일정량 역회전시켜, 픽업 롤러(53)와 중간판(201) 상의 시트(S2)를 이격시킨다. 다음 시트(S2)는 선단이 도 9의 (c)와 같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시트를 급송함으로써, 시트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의 위치부터 급송이 개시되게 된다.
이어서,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를 급송하면 시트(S1, S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시트(S2)도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까지 급송된다. 그리고, 이때 시트(S1, 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보내지면,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S1)와 시트(S2)를 분리하여, 시트(S1)만이 급송된다. 그리고, 시트의 분리에 의해 리타드 롤러(55)의 정지를 회전 검지 센서(121)로 검지하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판(201)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모터(210)를 일정량 역회전시킨다. 그리고, 픽업 롤러(53)와 중간판(201) 상의 시트(S2)를 이격시켜 픽업 롤러(53)를 비급송 상태로 한다. 그리고, 시트(S1)가 반송된 후는,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의해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음의 시트 급송 시에는,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선단이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부터 개시된다.
이와 같이, 급송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든 큰 경우든, 항상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또한, 마찰 계수가 상이한 시트가 혼합된 시트 다발을 급송하는 경우에도 송출되는 시트와 다음 시트의 마찰력에 따라 상기 어느 한쪽의 급송 동작이 행해져, 시트의 선단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2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픽업 롤러의 회전과 리타드 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점이며, 그 연동시키는 수단으로서 픽업 롤러를 구동하는 기어열과 리타드 롤러를 구동하는 기어열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그 때의 구동 열을 최적화하기 위해, 리타드 롤러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던 토크 리미터를, 피드 롤러의 축과 동축 상에 배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픽업 롤러는 항상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에 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연결 기구에 대해,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30은, 기어부(130a)에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는 전자 클러치이며, 전자 클러치(130)는, 연결 부재(125)를 통하여 피드 롤러(54)에 접속되어 있는 축(114)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130)가 연결 상태로 되면, 구동 모터(100)의 구동력이 축(114)에 전달되어, 연결 부재(125)를 통하여 피드 롤러(54)를 회전시킨다.
축(114)에는, 내장하는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리미터 기어(104)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기어(104)에는 기어(107)가 맞물려 있고, 기어(107)에는 기어(131)가 맞물려 있다. 이들 기어(104, 107, 131)를 통하여 리타드 롤러(55)에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리미터 기어(104)에 내장된 토크 리미터에 의해, 리타드 롤러(55)에 항상 급송 방향과 반대측에 대략 일정한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 리미터 기어(104)의 토크 리미터는, 리타드 롤러(55)에 가해지는 부하가 구동 전달력(리미트값)보다 작은 경우는,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구동력을 리타드 롤러(55)에 전달하여 급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토크 리미터는, 리타드 롤러(55)에 가해지는 부하가 구동 전달력(리미트값)보다 큰 경우에는, 리미터 기어(104)와 축(114) 사이에서 어느 일정한 구동력을 유지하며 공회전한다.
전자 클러치(13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피드 롤러(54)가, 급송되는 시트에 추종하여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자 클러치(130)가 공회전한다. 그리고, 그때의 피드 롤러(54)의 회전이 리미터 기어(104)에 내장된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리타드 롤러(55)에 급송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을 전달한다.
또한, 리미터 기어(104)는 스텝 기어(stepped gear)로 되어 있고, 리미터 기어(104)의 소직경측의 스텝 기어부에는 기어(113)가 맞물려 있다. 기어(113)는, 픽업 롤러(53)가 접속되는 축(120)에 연결되어 있어, 기어(113) 및 축(120)을 통하여 픽업 롤러(53)에 구동이 전달된다. 기어(113)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어, 리타드 롤러(55)가 리미터 기어(104)의 회전에 의해 급송 방향과 반대측에 회전한 경우에는, 기어(113)는 공회전하여 픽업 롤러(53)에 회전을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기어(113) 내장의 원웨이 클러치는, 축(120)을 로크하여 픽업 롤러(53)에 급송 방향의 회전을 전달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급송 동작의 일련의 흐름을 설명한다. LBP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전자 클러치(130)가 연결되어, 축(114)이 회전한다. 이 회전에 수반하여 피드 롤러(54)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때에는, 리미터 기어(104)의 토크 리미터에 의해, 리타드 롤러(55)에는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고, 리타드 롤러(55)는, 피드 롤러(54)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은 리미터 기어(104) 및 기어(113)를 통하여 픽업 롤러(53)에 전달되어, 픽업 롤러(53)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간판(201) 상의 최상위의 시트(S1)를 급송한다.
여기서,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와,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시트의 급송 동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판(201)에 적재된 시트의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의 시트(S1)만 분리되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 후, 피드 롤러(54)와, 시트에 종동 회전하는 리타드 롤러(55)에 의해, 반송 롤러 쌍(56)을 향하여 급송된다. 시트(S1)가 반송 롤러 쌍(56)에 도달하여 반송 롤러 쌍(56)에 의한 반송이 개시되면 전자 클러치(130)의 연결이 해제되어, 피드 롤러(54)에 대한 구동의 전달이 정지된다. 이때,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시트(S1)에 추종하여 급송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오면,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는, 그 아래의 시트(S2)와 접한다.
이때에 리타드 롤러(55)를,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S1)가 피드 롤러(54)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급송 방향으로 종동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픽업 롤러(53)는, 리타드 롤러(55)의 급송 방향의 회전이 리미터 기어(104)와 기어(113)에 의해 전달되어,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전자 클러치(130)의 연결이 해제되어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도,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온 후에도 픽업 롤러(53)가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트(S1)와 간극없이 다음 시트(S2)도 송출된다. 그리고, 앞의 시트(S1)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빠져나오면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이 정지됨과 함께 픽업 롤러(53)의 회전도 정지한다. 그로 인해, 다음의 시트(S2)는 선단이, 도 12의 (c)와 같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시트를 급송하면, 송출되고 있는 시트의 다음 시트의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시트 선단이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로부터 급송이 개시된다.
이어서,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 급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 급송 신호가 보내져, 전자 클러치(130)가 연결되면,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를 급송하면 시트(S1, S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시트(S2)도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까지 급송된다. 그리고, 닙에 시트(S1)와 시트(S2)가 인입했을 때에는 리타드 롤러(55)가 시트를 급송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시트(S1)와 시트(S2)를 분리하여, 시트(S1)만이 반송된다. 시트(S1)가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반송이 개시되면 전자 클러치(130)의 연결이 해제되어, 피드 롤러(54)에 대한 구동의 전달은 해제된다.
시트(S1)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빠져나온 후에는, 도 13의 (b)와 같이,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은 리타드 롤러(55)에 의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서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때, 정지하고 있는 피드 롤러(54)에 리타드 롤러(55)가 압접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은 정지하고 있어, 픽업 롤러(53)에도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음의 시트 급송 시에는,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선단이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부터 개시된다.
이와 같이, 급송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든 큰 경우든, 항상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또한, 마찰 계수가 상이한 시트가 혼합된 시트 다발을 급송하는 경우에도, 송출되는 시트와 다음 시트의 마찰력에 따라 상기 어느 한쪽의 급송 동작이 행해져,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는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픽업 롤러의 회전과 리타드 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점이다.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픽업 롤러를 구동하는 기어열과 리타드 롤러를 구동하는 기어열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본 제4 실시형태와 제3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픽업 롤러와 최상위의 시트를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수단을 갖는 점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급송 중에 픽업 롤러와 최상위의 시트가 접촉 또는 이격하는 타이밍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연결 기구를,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을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픽업 롤러(53)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12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107)에 기어(111)가 맞물려 있고, 또한 기어(112, 113)를 통하여 축(120)에 구동이 전달되어, 픽업 롤러(53)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어(113)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고, 리타드 롤러(55)가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에 의해 급송 방향과 반대측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기어(113)는 공회전하여, 픽업 롤러에 구동을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리타드 롤러가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보다 큰 구동력에 의해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기어(113) 내장의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120)을 로크하여 픽업 롤러(53)도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기어(111, 112, 113)는, 도 1에 도시하는 기어(111, 112, 113)와 동일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배치되는 위치만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급송 동작의 일련의 흐름을 도 15 및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5는,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구동 상태와 중간판(201)의 승강 상태의 시간적 변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면 중의 접촉 위치란, 픽업 롤러(53)와 중간판(201) 상의 최상위 시트(S1)가 접촉하는 위치에, 중간판(201)이 리프트 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격 위치란 픽업 롤러(53)와 최상위 시트(S1)가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중간판(201)이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에, 시트의 급송 동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설명한다.
우선,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하여 급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중간판(201)에 적재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BP로부터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구동 모터(100)에 의해, 리타드 롤러(55)에 급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이 전해진다. 그리고, 이때 피드 롤러(54)는 베어링(118)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급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로크되어 있다. 그로 인해, 리타드 롤러(55)는, 피드 롤러(54)에 의해 회전을 제한되어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03)의 레버 부재(102)가 결치 기어(101)의 규제를 해제하고, 결치 기어(101)에 의해 피드 롤러(54)를 급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드 롤러(54)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타드 롤러(55)는, 그 힘에 의해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에 반하여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106, 111, 112, 113)를 통하여 픽업 롤러(53)도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S1)만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까지 반송된다. 시트가 이 닙까지 충분히 도달하는 시간을 T1로 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1의 타이밍에서 중간판(201)의 하강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리프트 모터(210)를 어느 일정량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와 시트(S1)를 이격시킨다. 그 후, 시트(S1)는, 피드 롤러(54)에 의해 반송 롤러 쌍(56)까지 반송되어, 시트 선단은 시트 반송로에 배치되어 있는 광학 센서인 반송 센서(56S)를 통과시킨다. 이때의 통과 시간을 T2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결치(101)의 1회전이 종료되면 피드 롤러(54)의 구동은 정지되고,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시트(S1)가 반송됨으로써 급송 방향으로 각각 종동하여 회전한다. 다음에,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와의 접촉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 T3을 제어부 C가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다.
[수학식 1]
T3=(L-D)/V+T2
L: 시트의 길이, V: 반송 롤러 쌍의 시트 반송 속도
D: 픽업 롤러(53)의 시트와의 접촉하는 점(P1),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 중심점(P2), 반송 롤러 쌍의 닙 중심점(P3), 반송 센서(56S)의 검지 점의 4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의 후단부가, 시트와 픽업 롤러(53)의 접촉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 T3에 중간판(201)이 리프트 업되어,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는, 그 아래의 시트(S2)와 접한다. 이때, 리타드 롤러(55)에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S1)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리타드 롤러(55) 및 픽업 롤러(53)는,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빠져나옴과 동시에 픽업 롤러(53)에 의해, 그 아래의 시트(S2)도 반송되게 된다. 그리고, 시트(S1)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빠져나오면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이 정지한다. 그와 더불어, 픽업 롤러(53)의 회전도 정지하고, 다음 시트(S2)는 선단이 도 16의 (d)와 같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송의 트리거인 솔레노이드(103)가 결치 기어(101)를 해제하는 시간 T4보다 약간 늦춘 시간에, 중간판(201)을 다시 이격 위치까지 이동시켜, 다음 최상위 시트(S1)의 급송이 시작된다. 피드 롤러(54)의 회전 개시 시간의 편차를 고려하면, 중간판(201)을 이격하는 시간은, 시간 T4보다 약간 늦출 필요가 있다. 이하의 시트(S2)의 반송에서는, 시트(S1)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의 결치 기어(101)를 해제하는 타이밍에 중간판(201)을 이격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는 시트(S1)의 반송과 마찬가지의 타이밍에 중간판(201)을 동작시켜, 급송을 행함으로써, 시트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부터 개시되게 된다.
이어서,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하여 급송하는 경우를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즉,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판(201)의 접촉 또는 이격 동작은, 상술한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급송 신호가 보내져,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를 급송하면 시트(S1, S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시트(S2)도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까지 급송된다. 그리고, 이때 리타드 롤러(55)가, 시트(S1)와 시트(S2)를 분리하여, 시트(S1)만이 반송된다. 그리고, 시트(S1)가 반송된 후는, 도 17의 (b) 및 도 17의 (c)와 같이,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은 리타드 롤러(55)에 의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부에서 정지한 상태로 정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음의 급지 시에는, 도 1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선단이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부터 개시된다.
이와 같이, 급송되는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든 큰 경우든, 항상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S2)의 선단이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또한, 마찰 계수가 상이한 시트가 혼합된 시트 다발을 급송하는 경우에도 송출되는 시트와 다음 시트의 마찰력에 따라 상기 어느 한쪽의 급송 동작이 행해지고, 다음에 급송되는 시트는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시트 급송 시에 있어서의 시트 선단의 위치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시트의 급송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타이밍에 중간판(201)을 승강시키면, 리타드 롤러(55)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일 때에 픽업 롤러(53)가 시트를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까지 보내는 시간 이외에는, 픽업 롤러(53)는 시트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시트에 의해, 피드 롤러(54) 및 리타드 롤러(55)가 종동 회전을 하고 있을 때에도 픽업 롤러(53)가 시트와 접촉하지 않는 시간이 있다. 그리고, 이 시간은, 중간판(201) 상의 반송 중인 시트와 그 아래의 시트에 가압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 중인 시트가 마찰력에 의해 그 아래의 시트를 종동하여 나가는 중복 이송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픽업 롤러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간판을 접촉 이격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픽업 롤러를 접촉 이격시키는 구성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5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픽업 롤러의 회전과 리타드 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점이며, 그 구체적 수단으로서 픽업 롤러를 구동하는 기어열과 리타드 롤러를 구동하는 기어열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본 제5 실시형태의, 제3 및 제4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피드 롤러에 모터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고 있을 때에 픽업 롤러에 대한 구동을 전달시키는 구성을 추가한 점이다. 또한 결치에 의한 간헐 구동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시트 1매를 반송할 때 결치를 복수 회 회전시키고, 또한 픽업 롤러와 최상위의 시트를 접촉 이격시키는 수단은 1회전뿐인 것에 특징이 있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5 실시형태의 회전 구동 기구를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a)는, 시트 급송부의 급송 방향의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8의 (b)는,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참조 부호 151은 구동 모터(100)로부터 구동이 전달되는 기어이다.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구동은, 기어(151)를 통하여,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결치 기어(101)와 솔레노이드(103)에 의해 간헐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결치 기어(101)는 기어(117)를 통하여 축(114)에 구동을 전달한다. 리미터 기어(104)는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축(114)과 결합되어 있다. 피드 롤러(54) 및 기어(153)는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축(114)에 연결되어 있고, 축(114)이 급송 방향으로 회전 할 때에 구동이 전달되고, 축(114)이 정지하고 있을 때는 급송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픽업 롤러(53)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축(120)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어(153)는 기어(154)를 통하여 기어(155)에 맞물려 있고, 기어(155)는 픽업 롤러(53)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미터 기어(104)는 기어(113)에도 구동을 전달하고 있고, 기어(113)는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축(120)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113)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축(120)에 구동을 전달하고, 기어(113)가 정지 또는 역회전할 때에는 구동을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리미터 기어(104)는 스텝 기어(107)를 통하여 리타드 롤러(55)가 고정되어 있는 축(119)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결치 기어(101)는 스텝 기어(152)를 통하여 캠 기어(156)와 맞물려 있어, 결치 기어(101)가 3회전하면 캠 기어(156)가 1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캠 기어(156)에는 캠면(156a)이 설치되어 있고, 캠 기어(156)의 회전에 의해 축(120)의 단부(120a)를 캠면(156a)이 들어올려 픽업 롤러(53)의 승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결치 기어(101)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 급송 시에 있어서의 시트 선단의 위치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103)가 온되고 나서 피드 롤러(54)나 픽업 롤러(53)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구동 전달의 편차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결치(101)와 솔레노이드(103)를 사용한 간헐 구동을 행할 때의 구동 전달의 편차는, 결치 기어(101)의 1치분에서의 피드 롤러(54)가 시트를 반송하는 거리인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치 기어(101)의 모듈을 기어(117)의 모듈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한, 결치 기어(101)의 이(齒)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유효한 수단이지만, 스페이스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1매의 반송 시에, 결치 기어(101)를 3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에 의해 결치(101)의 이의 수를 3배로 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9는 결치 기어(101)의 구성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결치 기어(101)는 레버 부재(102)가 걸림부(126a)에 걸려 정지하는 기어(126)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127)와, 기어(126)와 기어(127)의 양자를 서로 회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128)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127)는, 피드 롤러(54)에 연결되어 있는 기어(117)와 맞물려 있어 피드 롤러(54)에 구동을 전달한다.
결치 기어(10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레버 부재(102)에 의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기어(126)는, 각각 결치부가, 구동 모터(100)로부터 구동을 받고 있는 기어(151)와 대향하고 있다. 솔레노이드(103)가 온하면, 레버 부재(102)는 솔레노이드(103)에 흡인되고, 기어(126)는 레버 부재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다. 기어(126)는 스프링(128)에 의해 회전을 개시하여, 구동 모터(100)로부터 구동을 받고 있는 기어(151)에 맞물려 회전이 전달된다. 기어(151)에 의해 기어(126)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기어(126) 및 기어(127)에 각각 설치된 맞닿음부(126a와 127a)가 맞닿음으로써 기어(127)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기어(126)에 의해 회전된 기어(127)는 기어(151)에 맞물려 기어(126) 및 기어(127) 모두 기어(151)에 의해 구동 전달된다. 기어(126) 및 기어(127)는 각각의 맞닿음부(126a 및 127a)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양자에서 전체 이만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구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어(126)의 결치 부분을 기어(127)의 기어부에서 보충함으로써 외관 상에서 전체 이를 제공한 기어로 된다. 따라서, 결치 기어(101)가 2회전 반 정도하는 시간에 솔레노이드(103)를 오프함으로써, 레버 부재(102)가 결치 기어(101)를 규제하여 정지시켜, 시트 1매의 반송에 대하여, 결치 기어(101)를 3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본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급송 동작의 일련의 흐름을, 도 21 내지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픽업 롤러(53)는 급송 개시 시에는, 중간판(201) 상의 최상위의 시트(S1) 상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LBP(1)로부터,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솔레노이드(103)에 온하고, 레버 부재(102)가 결치 기어(101)의 걸림을 해제하고, 상술한 구동 모터(100)로부터의 구동이 기어(151)를 통하여 결치 기어(101)에 전달된다. 결치 기어(101)에 구동이 전달되면, 기어(117)를 통하여 축(114)을 급송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드 롤러(54) 및 픽업 롤러(53)를 급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리타드 롤러(55)는, 축(117)이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미터 기어(104)를 통하여 급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구동이 전달된다. 그러나, 피드 롤러(54)의 회전력이 리미터 기어(104)에 내장되어 있는 토크 리미터의 회전력을 이김으로써,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시트(S1)를 급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다음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에 급송 동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2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를 연속하여 급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시트(S2)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은 경우,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의 시트(S1)만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향하여 보내진다. 도 23의 (a)는 시트 1매를 반송할 때의 솔레노이드(103)의 온/오프, 결치 기어(101)의 회전/정지의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23의 (a)는, 픽업 롤러(53)의 시트에의 접촉/이격, 피드 롤러(54)의 회전/정지,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정지, 및 픽업 롤러(53)의 회전/정지의 타이밍 차트도 도시되어 있다.
LBP로부터의 급지 신호가 보내져 오면, 솔레노이드(103)가 온으로 되어 레버 부재(102)가 결치 기어(101)의 걸림을 해제하기 때문에, 결치 기어(101)가 회전을 시작한다(시간 Ta). 결치 기어(101)의 기어(126) 및 기어(127) 각각의 맞닿음부(126a와 127a)가 맞닿으면 기어(127)를 통하여 기어(117), 캠 기어(156), 축(114)이 회전을 시작한다. 피드 롤러(54), 픽업 롤러(53)는 축(114)의 회전에 의해 회전을 시작한다. 리타드 롤러(55)에는 축(114)에 의해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구동이 전달된다. 그러나, 피드 롤러(54)의 회전력이 리미터 기어(104) 내장의 토크 리미터의 구동 전달력(리미트값)보다 커짐으로써, 리타드 롤러(55)는 급송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시간 Tb). 이에 의해 시트(S1)의 급송이 개시된다. 결치 기어(101)가 더 회전하면,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156)가 회전하여 캠면(156a)이 축(114a)을 들어올림으로써, 픽업 롤러(53)는 시트(S1)로부터의 이격 동작이 개시된다(시간 Tc). 그 후, 시트(S1)는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 쌍(56)에 도달하여 반송이 계속된다.
이어서,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d까지 결치 기어(101)가 회전하면 캠면(156a)은 축 단부(114a)를 천천히 서서히 하강시키기 시작하여, 픽업 롤러(53)는 시트(S1)에 다시 접촉한다(시간 Tf). 또한, 솔레노이드(103)는 결치 기어(101)가 약 2회전 반 정도한 시간 Te에 오프로 되어, 레버 부재(102)가 걸림부(126a)에 걸림으로써 결치 기어(101)의 회전이 정지한다(시간 Tg). 결치 기어(101)의 회전이 종료되면 축(114)의 회전이 정지하고, 피드 롤러(54), 픽업 롤러(53)의 모터로부터의 구동은 해제된다. 피드 롤러(54)에 내장되어 있는 원웨이 클러치 및 리미터 기어(104)에 내장되어 있는 토크 리미터의 작용에 의해, 피드 롤러(54) 및 리타드 롤러(55)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시트(S1)에 의해 급송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이때, 픽업 롤러(53)는, 리타드 롤러(55)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어(131), 기어(107), 리미터 기어(104), 기어(113), 축(120)을 통하여 급송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3의 (a)에 있어서, 시트(S1)가 반송 롤러 쌍(56)에 반송됨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영역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픽업 롤러(53)가 회전함으로써, 기어(155), 기어(154)를 통하여 기어(153)는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기어(153)에 내장되어 있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114)에는 구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이때, 축(114)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타드 롤러(55)에는 급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구동은 전달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통과하면, 도 21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53)는 다음 시트(S2)와 접촉한다. 이때, 픽업 롤러(53)는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S2) 선단은 시트(S1) 후단부와 겹친 상태에서 반송을 개시한다.
그리고, 시트(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도달하면, 리타드 롤러(55)는 시트(S2)를 분리하기 위하여 회전이 정지한다. 리타드 롤러(55)의 회전이 정지하면, 리타드 롤러(55)와 픽업 롤러(53)가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픽업 롤러(53)도 정지한다(Ti). 시트(S1)는 반송 롤러 쌍(56)에 의해 계속 반송되기 때문에, 시트(S1)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를 통과하면 도 21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롤러(54)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의해, 다음 시트(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에서 픽업 롤러(53), 피드 롤러(54), 리타드 롤러(55)는 모두 정지 상태로 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시트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부터 급송이 개시되게 된다.
이어서, 마찰 계수가 큰 시트를 연속하여 급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최상위의 시트(S1)와 그 아래의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에 대하여 도 22, 도 2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시트(S1)와 그 아래의 시트(S2)의 마찰 계수가 큰 경우,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 및 시트(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LBP(1)로부터의 급송 신호가 보내져 오면, 픽업 롤러(53) 및 피드 롤러(54)가 회전을 시작한다. 그러나, 시트(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이미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리타드 롤러(55)는 시트(S2)를 분리하여 정지시키고 있다(시간 Tb). 도 22의 (b), 도 22의 (c), 도 2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타드 롤러(55)는 정지한 상태 그대로, 픽업 롤러(53)는 상승하여 시트(S1)로부터 이격하고(시간 Tc), 시트(S1)는 반송 롤러 쌍(56)에 도달하다가, 다시 하강하여 시트(S1)에 접촉한다(시간 Te).
그 후, 결치(101)의 회전이 정지(시간 Tf)하지만, 피드 롤러(54)는 시트(S1)가 반송 롤러 쌍(56)에 반송됨으로써 종동 회전을 계속한다. 이때, 리타드 롤러(55) 및 축(114)의 양자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픽업 롤러(53)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픽업 롤러(53)는 시트(S1)에 접촉하고, 또한 기어(113) 및 기어(153)에 내장되어 있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시트(S1)에 의해 종동하여 회전한다. 도 2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1)의 후단부가 픽업 롤러(53)를 통과하면(시간 Tg), 픽업 롤러(53)는 정지한다. 그 후, 시트(S1)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을 통과하면, 도 2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롤러(54)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시트(S2)가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에 있는 상태에서 픽업 롤러(53), 피드 롤러(54), 리타드 롤러(55)는 모두 정지 상태로 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시트 선단은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부터 급송이 개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치 기어(101)의 모듈을 작게 하고, 또한 결치 기어(101)를 시트 1매의 급송에 대하여 복수 회전시킴으로써, 피드 롤러(54)의 구동 전달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급송 개시 시에는 모터로부터의 구동으로 픽업 롤러(53)를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음 시트의 선단이 항상 피드 롤러(54)와 리타드 롤러(55)의 닙부터 시트 급송 동작을 개시시킴으로써 시트 급송 시에 있어서의 시트 선단의 위치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시트의 급송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어 있을 때는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구동을 부여하고, 피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지 않을 때는, 역방향 구동을 부여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시종 역방향을 부여하는 구성이나, 시종 역방향 구동을 부여하지 않는 구성을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제3 내지 제5 실시형태에서는, 리타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는 구성에 기초하여 설명을 했지만, 제2 내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도 6)에 기재하는, 구동이 전달되지 않는 분리 롤러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픽업 롤러와 분리 롤러를,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기어열에 의해 연결하면 된다. 분리 롤러에, 피드 롤러로부터 토크 리미터의 구동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 분리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픽업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1: 레이저 빔 프린터(LBP)
2: 급지 카세트
3: 픽업 롤러
4: 분리 롤러 쌍
5: 이송 롤러 쌍
51: 시트 수납 장치
52a, 52b, 52c: 급지 카세트
53a, 53b, 53c: 픽업 롤러
54a, 54b, 54c: 피드 롤러
55a, 55b, 55c: 리타드 롤러
56a, 56b, 56c: 반송 롤러 쌍
56S: 반송 센서
101: 결치 기어
102: 레버 부재
103: 솔레노이드
104: 리미터 기어
105: 축
106, 107: 기어
109: 랙
110: 픽업 모터
111, 112, 113: 기어
114: 축
115: 롤러 홀더
116: 위치 검지 센서
117: 기어
118: 베어링
119: 리타드축
120: 리타드 홀더
121: 회전 검지 센서
122: 회전 검지 레버
123: 회전 방향 검지 레버
124: 압축 스프링
126, 127: 결치
128: 결치 스프링
131, 133, 151, 152, 153, 154, 155: 기어
156: 캠 기어
156a: 캠면
201: 중간판

Claims (14)

  1. 시트를 적재하는 시트 적재부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를 급송하는 픽업 롤러와,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송출된 시트를 급송하는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에 압접되어 설치되고,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리타드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송 장치이며,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를 급송하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로부터 이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최상위의 시트로부터 이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터부에 의해, 상기 시트 적재부가,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를 상기 픽업 롤러에 접촉시키는 위치와,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를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시트 적재부는,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픽업 롤러에 최상위의 시트를 접촉시키는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최상위의 시트를 이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시트 적재부로부터 시트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픽업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고,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구동 전달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드 롤러의 회전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갖고, 검지 수단의 검지에 기초하여,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상기 픽업 롤러가 시트의 급송 상태로 되고,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상기 픽업 롤러가 시트의 비급송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와 상기 리타드 롤러는, 구동 모터로부터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리타드 롤러에, 상기 토크 리미터의 구동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상기 픽업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로부터 이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와 최상위의 시트의 접촉 위치를 반송 중인 시트의 후단부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픽업 롤러는 최상위의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고, 시트의 후단부가 상기 피드 롤러와 상기 리타드 롤러의 닙을 통과할 때부터, 상기 피드 롤러가 다음 시트를 반송할 때까지 동안, 상기 픽업 롤러가 최상위의 시트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터부에 의해, 상기 시트 적재부가,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를 상기 픽업 롤러에 접촉시키는 위치와, 최상위의 시트를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픽업 롤러와 최상위의 시트의 접촉 위치를 반송 중인 시트의 후단부가 통과할 때에 상기 시트 적재부는 상기 픽업 롤러에 최상위의 시트를 접촉시키는 위치에 있고, 시트의 후단부가 상기 피드 롤러와 상기 리타드 롤러의 닙을 통과할 때부터, 상기 피드 롤러가 다음 시트를 반송할 때까지 동안, 상기 시트 적재부가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최상위의 시트를 이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와 상기 리타드 롤러의 닙보다 하류의 반송로에 배치된 반송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시트의 후단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피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어 있을 때 또는 상기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지 않을 때 또한 리타드 롤러가 급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지하고 있을 때는 회전 구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11. 시트를 적재하는 시트 적재부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를 급송하는 픽업 롤러와,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송출된 시트를 급송하는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에 압접되어 설치되고, 토크 리미터가 접속된 분리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송 장치이며,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분리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분리 롤러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를 급송하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는, 상기 토크 리미터를 통하여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리 롤러에, 상기 토크 리미터의 구동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 상기 분리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상기 픽업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피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어 있을 때 또는 상기 분리 롤러가 급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급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시트를 송출하고, 상기 피드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지 않고 또한 분리 롤러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회전 구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송 장치.
  14. 제1항에 기재된 시트 급송 장치와,
    상기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7003024A 2009-07-13 2009-07-13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285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2671 WO2011007406A1 (ja) 2009-07-13 2009-07-13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869A KR20120049869A (ko) 2012-05-17
KR101285435B1 true KR101285435B1 (ko) 2013-07-12

Family

ID=4342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024A KR101285435B1 (ko) 2009-07-13 2009-07-13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430393B2 (ko)
EP (1) EP2455313B1 (ko)
JP (1) JP5383804B2 (ko)
KR (1) KR101285435B1 (ko)
CN (1) CN102470999B (ko)
WO (1) WO2011007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0793B2 (ja) * 2011-03-24 2015-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850276B1 (ko) * 2012-01-03 2018-04-1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3538942B (zh) * 2012-07-13 2016-03-02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具有进纸辅助装置的自动馈纸设备
JP5925080B2 (ja) * 2012-08-07 2016-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979088B2 (en) 2012-11-02 2015-03-1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35252B2 (ja) * 2013-07-04 2017-11-22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原稿送り装置及び原稿送り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5602319B1 (ja) * 2014-01-24 2014-10-08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枚葉状シート重ね合わせ機構、折機、印刷機及び枚葉状シート重ね合わせ方法
US20170173980A1 (en) * 2014-05-27 2017-06-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um handling
JP6375835B2 (ja) * 2014-09-30 2018-08-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6372393B2 (ja) * 2015-02-27 2018-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6223410B2 (ja) 2015-12-10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送装置
JP6650802B2 (ja) 2016-03-18 2020-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給送装置
JP6702769B2 (ja) 2016-03-18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給送装置
JP6818430B2 (ja) 2016-05-09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29085B2 (ja) * 2017-02-21 2021-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902446A (zh) * 2017-11-29 2018-04-13 北京迈游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地图售卖终端机的搓纸机构
JP7114249B2 (ja) * 2017-12-22 202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給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10676300B2 (en) * 2017-12-22 2020-06-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66879B2 (ja) * 2017-12-22 2022-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JP7104543B2 (ja) * 2018-04-09 2022-07-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記録紙カセット
JP7403996B2 (ja) * 2019-08-26 202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M595046U (zh) * 2020-02-25 2020-05-11 崴強科技股份有限公司 自動調整設定的分紙機構
JP2021165177A (ja) 2020-04-06 2021-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874A (ja) 1998-12-14 2000-06-27 Canon Inc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26328A (ja) 1999-05-13 2001-01-30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2145469A (ja) * 2000-09-01 2002-05-22 Sharp Corp 給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9719A (en) * 1957-09-03 1960-03-02 Cummins Chicago Corp Sheet feeding apparatus
JPS58119525A (ja) * 1981-12-30 1983-07-16 Ricoh Co Ltd 給紙装置
JP2566253B2 (ja) * 1987-10-02 1996-12-25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818718B2 (ja) * 1987-10-17 1996-02-28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US5129642A (en) * 1988-06-02 1992-07-14 Bell & Howell Company Controllable document drive and separation system
JPH0313431A (ja) * 1989-06-12 1991-01-22 Fujitsu Ltd 給紙装置
JPH0455226A (ja) * 1990-06-20 1992-02-21 Konica Corp 給紙装置
JP2659344B2 (ja) * 1995-02-10 1997-09-30 日本電気ロボッ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紙葉類の摩擦式供給機構
US5860645A (en) * 1995-10-20 1999-01-1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US6672579B2 (en) * 1999-12-28 2004-01-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essing force adjustable roller unit, transport system of sheet member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and supply system of sheet member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1301998A (ja) * 2000-02-15 2001-10-31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3911968B2 (ja) 2000-06-05 2007-05-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
US7354038B2 (en) * 2002-11-27 2008-04-08 Ricoh Company, Ltd. Jam suppressing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95085B2 (ja) * 2005-02-07 2010-01-06 株式会社Pfu シート給送装置
JP2006256739A (ja) * 2005-03-16 2006-09-28 Ricoh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28302B2 (ja) * 2005-06-27 2010-03-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材供給装置
JP2007153560A (ja) * 2005-12-06 2007-06-21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223873B1 (en) * 2005-12-19 2013-04-24 MEI, Inc. Dispensing unit for notes of value
JP5075089B2 (ja) * 2008-10-29 2012-11-14 株式会社Pfu 給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874A (ja) 1998-12-14 2000-06-27 Canon Inc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26328A (ja) 1999-05-13 2001-01-30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2145469A (ja) * 2000-09-01 2002-05-22 Sharp Corp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1604A1 (en) 2013-08-29
EP2455313B1 (en) 2015-09-09
JP5383804B2 (ja) 2014-01-08
US8727339B2 (en) 2014-05-20
WO2011007406A1 (ja) 2011-01-20
EP2455313A4 (en) 2014-03-05
CN102470999A (zh) 2012-05-23
KR20120049869A (ko) 2012-05-17
CN102470999B (zh) 2015-01-14
JPWO2011007406A1 (ja) 2012-12-20
US8430393B2 (en) 2013-04-30
EP2455313A1 (en) 2012-05-23
US20110006469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435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97992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4373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媒体供給装置
JP536009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1032063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のシート分離方法
US8511674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tard roller
JP6981274B2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0643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0806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3681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01467A (ja) 記録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746426A (en) Feeding device having a feed roller with a low coefficient portion
JP2019127356A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370701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21460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05099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1639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25013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7387428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
JP201318084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90357A (ja) 画像形成装置
JPH0455226A (ja) 給紙装置
JPH09110204A (ja) 給紙装置の回転制御装置
US20210198061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692154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