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276B1 -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276B1
KR101850276B1 KR1020120000649A KR20120000649A KR101850276B1 KR 101850276 B1 KR101850276 B1 KR 101850276B1 KR 1020120000649 A KR1020120000649 A KR 1020120000649A KR 20120000649 A KR20120000649 A KR 20120000649A KR 101850276 B1 KR101850276 B1 KR 10185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ecording medium
roller
pick
kn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892A (ko
Inventor
신상규
최호영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276B1/ko
Priority to US13/613,378 priority patent/US9045298B2/en
Priority to EP12198890.1A priority patent/EP2612831B1/en
Priority to CN201210593063.3A priority patent/CN103183244B/zh
Publication of KR2013007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2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with means for relieving or controlling pressur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65H3/565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for reintroducing partially separated articles in the st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2Cam mechanisms involving radial plate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1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inclined-stacked articles with separator rollers above the stack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는, 픽업롤러;와 기록매체가 적재되며,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픽업롤러에 접촉되는 픽업 위치와,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픽업롤러가 서로 이격된 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한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포워드 롤러;와 상기 포워드 롤러에 접촉되어 그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배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중송을 방지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리타드 롤러;와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픽업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제어유닛; 및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공간의 제약 및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신뢰성 있는 용지 픽업 및 안정적인 화상형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PAPER-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지 신뢰성이 향상된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에는 카세트에 수납된 기록매체를 한 장씩 픽업해서 인쇄장치로 공급해주기 위한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급지장치는 카세트의 인출시에 발생할 수 있는 픽업롤러와 녹업플레이트 간의 용지걸림을 방지하고, 카세트의 장착시에는 복수의 용지 공급부에 적재된 기록매체를 하나의 픽업롤러에 제공하기 위하여, 기록매체를 적재하는 녹업플레이트가 상승, 하강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록매체간에 발생하는 정전기 또는 온도, 습도 등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용지와 픽업 롤러의 마찰력 변화 등으로 인해, 복수의 용지가 픽업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인쇄장치로 복수의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지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리타드 롤러가 설치된다. 이러한 리타드 롤러는 기록매체가 픽업롤러를 통과한 후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에는, 정확한 이송을 위해 기록매체에 제공되는 마찰력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의 녹업플레이트의 상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1구동모터와, 상기 리타드 롤러의 상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2구동모터가 각각 별개로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구동모터와 연결된 별도의 구동축, 링크부재들 및 제어부재 등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점차 소형화, 경량화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공간 제약과 비용 증가라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급지 신뢰성을 확보하는 한편, 공간 및 부품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는
픽업롤러;
기록매체가 적재되며,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픽업롤러에 접촉되는 픽업 위치와,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픽업롤러가 서로 이격된 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한 녹업플레이트;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포워드 롤러;
상기 포워드 롤러에 접촉되어 그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배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중송을 방지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리타드 롤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픽업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제어유닛; 및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상기 픽업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제1탄성력을 가하는 제1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유닛은, 그 회전위상에 따라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기 제1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픽업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제1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캠궤적을 구비하는 제1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타드 롤러에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제2탄성력을 가하는 제2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유닛은, 그 회전위상에 따라 상기 리타드 롤러가 상기 제2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제2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캠궤적을 구비하는 제2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캠과 상기 녹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녹업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녹업레버는 제1캠궤적에 접촉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포워드 롤러와 상기 리타드 롤러 사이로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제1위치와, 상기 리타드 롤러에 의하여 분리된 기록매체를 상기 포워드 롤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키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리타드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홀더부재와 연결된 레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키커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캠궤적이 상기 키커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부재, 상기 홀더부재를 거쳐 상기 리타드 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키커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3가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압부재는 상기 키커와 상기 레버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 제2제어유닛 사이에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급지장치는
기록매체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픽업부재와, 기록매체를 적재하여 상기 픽업부재에 접촉시키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픽업부재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배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리타드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픽업부재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제1캠;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리타드 롤러를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제2캠;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이 결합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상기 픽업부재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가압부재;
상기 리타드 롤러에 상기 픽업부재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와 상기 리타드 롤러 사이로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제1위치와, 상기 리타드 롤러에 의하여 분리된 기록매체를 상기 픽업부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키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캠은 상기 키커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키커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3가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캠은 상기 키커를 경유하여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픽업부재와 접촉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록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상기 인쇄장치에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지장치;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녹업플레이트의 승강 및 리타드 롤러의 승강을 하나의 구동축에 연결된 캠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및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신뢰성 있는 용지 픽업 및 안정적인 화상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제어유닛, 제2제어유닛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의 급지장치의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에 따른 녹업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실시예의 급지장치의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에 따른 리타드 롤러 및 키커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장치(100), 인쇄장치(10), 배출장치(4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100)는 기록매체(P)를 수납하며, 인쇄장치(10)에 기록매체(P)를 공급한다. 배출장치(40)는 인쇄장치(10)을 거친 기록매체(P)를 외부로 배출한다. 급지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쇄장치(10)는 급지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기록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10)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10)는 현상기(11), 중간 전사벨트(15), 중간 전사롤러(16), 최종 전사롤러(18), 노광기(19) 및 정착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10)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토너를 이용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는 4개의 현상기(11)가 채용된다.
노광기(19)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각 현상기(11)의 감광드럼(12)에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19)로서는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화상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LED 방식 노광기(19)가 채용될 수 있다. 또, 노광기(19)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광편향기를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2)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감광드럼(12)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이다. 감광드럼(12)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현상기(11)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12)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현상기(11)는 현상기(11) 내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12)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13) 및 감광드럼(12)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4)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롤러(13)에는 토너를 정전잠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대전롤러(14)에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대전롤러(14)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벨트(15)는 토너 화상이 기록매체(P)로 최종적으로 전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전사되는 중간 전사 매체로서, 지지롤러(17)들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롤러(16)는 감광드럼(12)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중간 전사벨트(15)로 전사하기 한 중간 전사 부재의 일 예이다. 4개의 중간 전사롤러(16)는 중간 전사벨트(15)를 사이에 두고 각각 4개의 감광드럼(12)과 대면되게 위치된다. 중간 전사롤러(16)에는 감광드럼(12)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중간 전사벨트(15)로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4개의 현상기(11)의 감광드럼(12)들에 각각 형성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토너화상은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간 전사 전계에 의하여 중간 전사벨트(15)로 전사된다.
최종 전사롤러(18)는 중간 전사벨트(15) 상의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최종전사기의 일 예이다. 최종 전사롤러(18)에는 중간 전사벨트(15) 상의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최종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최종 전사롤러(18)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P)가 중간 전사벨트(15)와 최종 전사롤러(18) 사이로 이송되는 동안에 중간 전사벨트(15) 상의 토너화상은 최종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최종 전사 전계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20)는 기록매체(P)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킨다.
급지장치(100)는 기록매체(P)를 수납하며, 인쇄장치(10)에 기록매체(P)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121), 포워드 롤러(123), 녹업플레이트(111), 리타드 롤러(130)를 포함한다.
픽업롤러(121)는 기록매체(P)에 접촉하여 기록매체(P)를 픽업한다. 픽업롤러(121)는 구동모터(M : 도 2a)에 연결되어. 구동모터(M)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기록매체(P)를 픽업한다.
픽업롤러(121)와 구동모터(M)의 사이에 클러치(C1 : 도 2a)가 배치될 수 있다. 클러치(C1)를 통해, 구동모터(M)에서 픽업롤러(121)로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클러치(C1)는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 예로서 솔레노이드와 스프링을 이용한 클러치(C1)나, 전자석을 이용한 클러치(C1)가 사용될 수 있다.
픽업롤러(121)는 일 예로서, 도면과 같이 단면형상이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형상을 가짐으로써, 픽업롤러(121)의 픽업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원통형상을 가지는 픽업롤러(121)는 상기 클러치(C)를 이용하여 기록매체(P)의 픽업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포워드 롤러(123)는 픽업롤러(121)에 의하여 픽업된 기록매체(P)를 이송시킨다. 픽업된 기록매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포워드 롤러(123)는 픽업롤러(121)에 인접 배치된다.
녹업플레이트(111)는 픽업롤러(121)에 기록매체(P)를 접촉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녹업플레이트(111)는 급지카세트(110)에 설치되며, 기록매체(P)를 적재한다. 급지카세트(110)는 본체(1)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된다. 녹업플레이트(111)는 적재된 기록매체(P)를 픽업롤러(121)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픽업롤러(121)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픽업롤러(121)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기 위하여, 녹업플레이트(111)에 제1가압부재(1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압부재(112)는 일단이 녹업플레이트(111)에 연결되며, 타단이 급지카세트(110)에 연결된다.
일 예로서, 녹업플레이트(111)는 급지카세트(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녹업플레이트(111)는 그 후단부(1112)에 마련된 힌지축을 통해 급지카세트(110)에 결합됨으로써, 녹업플레이트(111)의 선단부(1111)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제1가압부재(112)는 일 예로서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가압부재(112)로서는 녹업플레이트(111)를 픽업롤러(121)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리타드 롤러(130)는 중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워드 롤러(123)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P)의 배면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리타드 롤러(130)는 포워드 롤러(123)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P)가 포워ㄷ 롤러(123)와 접촉되도록, 포워드 롤러(123)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포워드 롤러(123)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기 위하여, 리타드 롤러(130)에 제2가압부재(131)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2가압부재(131)는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가압부재(131)로서는 리타드 롤러(130)를 포워드 롤러(123)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리타드 롤러(130)는 일 예로서 본체(1)에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40: 도 3b)에 설치될 수 있다. 리타드 롤러(130)는 홀더부재(133: 도 3b)를 경유하여 프레임(140)에 설치될 수 있다. 홀더부재(133)는 리타드 롤러(1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프레임(14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이 때, 제2가압부재(131)는 일단은 홀더 부재(133) 에 연결되며, 타단은 프레임(140)에 연결된다. 리타드 롤러(130)는 제2가압부재(131)에 의해 포워드 롤러(123)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된다.
그리고, 리타드 롤러(130)는 포워드 롤러(123)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P)가 1장인 경우에는 회전하지만 기록매체(P)가 복수 장인 경우에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록매체(P)간의 마찰력보다 크고, 포워드 롤러(123)에 의한 마찰력보다 작은 토크를 가진다. 이를 위해, 리타드 롤러(130)는 토크 리미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크 리미터의 일 예로서, 전자석을 이용하는 토크 리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토크 리미터는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탄성 스프링을 이용하는 토크 리미터 등 다양한 토크 리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급지장치(100)는 기록매치(P)의 정확한 이송 및 용지걸림 방지를 위하여, 소정의 주기마다 녹업플레이트(111)가 픽업롤러(121)와 이격되고, 리타드 롤러(130)가 포워드 롤러(123)와 이격될 필요가 있다.
즉, 도 1과 같이 녹업플레이트(111)는 기록매체(P)가 픽업롤러(121)와 접촉되는 픽업 위치(111a)와 기록매체(P)가 픽업롤러(121)와 이격되는 해제 위치(111b)를 주기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으며, 리타드 롤러(130)는 기록매체(P)의 배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접촉 위치(130a)와 포워드 롤러(123)와 이격되는 이격 위치(130b)를 주기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제어유닛, 제2제어유닛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100)는 녹업플레이트(111)를 픽업 위치(111a)와 해제 위치(111b)로 이동시키는 제1제어유닛(151), 리타드 롤러(130)를 접촉 위치(130a)와 접촉 위치(130a)로 이동시키는 제2제어유닛(155), 및 제1제어유닛(151)과 제2제어유닛(155)에 연결된 구동모터(M)를 포함한다.
구동모터(M)는 일 예로서, 도 2a와 같이 하나의 구동축(150)을 경유하여 제1제어유닛(151)과 제2제어유닛(155)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모터(M)는 제1제어유닛(151), 제2제어유닛(155)과의 사이에 클러치(C2)가 설치될 수 있다. 클러치(C2)를 통해, 구동모터(M)에서 제1제어유닛(151), 제2제어유닛(155)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클러치(C2)는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 예로서 솔레노이드와 스프링을 이용한 클러치(C2)나, 전자석을 이용한 클러치(C2)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제어유닛(151)은 녹업플레이트(111)의 승강을 제어한다.
제1제어유닛(151)의 일 예로서, 제1캠(152)과, 녹업레버(153)를 포함할 수 있다.
녹업레버(153)는 녹업플레이트(111)와 직접 접촉하게 설치된다. 녹업레버(153)는 도 2a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11)의 접촉부(1110)와 접촉한다. 접촉부(1110)는 녹업플레이트(111)의 선단부(1111)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녹업레버(153)는 접촉부(1110) 상부에 접촉하며, 녹업레버(153)가 하강하면, 녹업플레이트(111)는 녹업레버(153)에 밀려 하강하여 해제 위치(111b : 도 4a)에 위치하게 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캠(152)은 제1캠궤적(1520)을 구비하며, 제1캠(152)에 녹업레버(153)가 접촉된다. 제1캠(152)은 구동축(150)에 설치되어, 구동축(1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캠(152)은 그 회전위상에 따라 녹업플레이트(111)가 픽업 위치(111a : 도 4b)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녹업플레이트(111)를 해제 위치(111b : 도 4a)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캠궤적(1520)은 녹업플레이트(111)를 픽업 위치(111a)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픽업 구간(1520a : 도 4b)과, 녹업플레이트(111)를 해제 위치(111b)로 이동시키는 해제 구간(1520b : 도 4a)을 포함한다. 여기서, 픽업 위치(111a)란 녹업플레이트(111)에 적재된 기록매체가 픽업롤러(121)에 접촉되는 위치이며, 해제 위치(111b)란 기록매체와 픽업롤러(121)가 서로 이격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도 2a와 같이 녹업레버(153)는 제1캠(152)과 별도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녹업레버(153)는 일부 영역이 녹업플레이트(111)의 접촉부(1110)와 접촉하고, 다른 일부 영역이 제1캠(152)과 접촉한다. 이 때, 제1캠(152)은 도 2b와 같이 일 예로서, 해제 구간(1520b)이 픽업 구간(1520a)보다 구동축(150)으로부터 제1캠(152)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캠(152)의 해제 구간(1520b)이 녹업레버(153)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할 때, 녹업레버(153)는 구동축(150)으로부터 멀어져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녹업레버(153)에 접촉하고 있는 녹업플레이트(111)가 하강함으로써, 결국 녹업플레이트(111)는 해제 위치(111b)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제1캠(152)의 픽업 구간(1520a)이 녹업레버(153)에 대항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제1캠(152)과 접촉 또는 대향하는 녹업레버(153)는 구동축(150)으로부터 가까워져 제1캠(152)에 의해 녹업레버(153)에 작용하는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녹업플레이트(111)와 접촉하고 있는 녹업레버(153)는 녹업플레이트(111)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결국, 녹업플레이트(111)는 픽업 위치(111a)에 위치하게 된다.
제2제어유닛(155)은 리타드 롤러(130)의 승강을 제어한다. 또한, 제2제어유닛(155)은 리타드 롤러(130)에 의해 이송이 중지된 기록매체(P)를 배출할 수 있다.
제2제어유닛(155)의 일 예로서, 도 3a, 3b와 같이 레버부재(141), 키커(143) 및 제2캠(156)을 포함할 수 있다.
리타드 롤러(130)는 본체(1: 도 1)에 고정 장착되는 프레임(140)에 홀더 부재(133)를 경유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부재(141)는 리타드 롤러(130)의 승강을 간섭한다. 레버부재(141)는 프레임(14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레버부재(141)는 적어도 일부가 리타드 롤러(130)를 지지하는 홀더부재(133)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부재(141)가 프레임(140)에 회동가능한 상태에서 홀더 부재(133)에 접촉하기 때문에, 홀더 부재(133)가 그 하부에 연결된 제2가압부재(131)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홀더 부재(133)와 접촉하는 레버부재(141)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키커(143)는 레버부재(141)의 회동에 간섭하며, 리타드 롤러(130)에 의해 이송이 중지된 기록매체(P)를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키커(143)는 프레임(1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키커(143)는 레버부재(141)와 접촉한다. 그에 따라, 키커(143)의 회동이 레버부재(141)의 회동에 간섭하며, 반대로 레버부재(141)의 회동이 키커(143)의 회동에 간섭하게 된다. 이를 위해, 키커(143)는 도 2b와 같이 레버부재(141)와 접촉하는 레버부재 접촉부(1433)를 포함한다.
키커(143)는 일 예로서, 레버부재(141)와 동일한 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부재 접촉부(1433)는 집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집게 형상의 사이로 레버부재(141)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부재 접촉부(1433)는 레버부재(141)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부 접촉부(1433a)와 레버부재(141)의 하부에 접촉하는 하부 접촉부(14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촉부(1433a)를 통해 레버부재(141)의 회동에 간섭하며, 하부 접촉부(1433b)를 통해 키커(1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접촉부(1433a)와 레버부재(141) 사이에 제3가압부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접촉부(1433a)와 레버부재(141) 사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접촉부(1433a)과 레버부재(141)를 이격시킬 수 있다.
키커(143)는 리타드 롤러(130)에 의해 이송이 중지된 기록매체(P)와 접촉하는 기록매체 접촉부(1431)를 포함한다. 기록매체 접촉부(1431)는 기록매체(P)의 선단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서 기록매체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매체(P)를 배출할 수 있다. 기록매체 접촉부(1431)는 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록매체(P)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키커(143)는 후술할 제2캠(156)과 접촉하는 제2캠 접촉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캠(156)의 회전에 따라, 제2캠(156)에 접촉하는 제2캠 접촉부(1432)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도 3a, 3b를 다시 참조하면, 제2캠(156)은 제2캠궤적(1560)을 구비하며, 키커(143)의 제2캠 접촉부(1432)와 접촉된다. 제2캠(156)은 구동축(150)에 설치되어, 구동축(1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150)의 회전에 따라 제2캠(156)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캠(156)에 접촉하는 키커(143)가 회전부(143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캠궤적(1560)은 회전위상에 따라 접촉 구간(1560a)과 이격 구간(1560b)을 포함한다. 제2캠(156)의 접촉 구간(1560a)이 제2캠 접촉부(1432)와 대항되는 위치에 위치할 때, 키커(143), 레버부재(141), 홀더부재(133)을 경유하여, 리타드 롤러(130)는 접촉 위치(130a)에 위치한다. 반면에, 제2캠(156)의 이격 구간(1560a)이 제2캠 접촉부(14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키커(143), 레버부재(141), 홀더부재(133)을 경유하여, 리타드 롤러(130)는 해제 위치(130b)에 위치한다.
제2캠(156)은 제1캠(152)이 설치된 구동축(15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구동축(150)의 회전에 따라, 제1캠(152)과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1캠(152)이 픽업 구간(1520a)에서 해제 구간(1520b)으로 이동할 때, 제2캠(156)이 접촉 구간(1560a)에서 이격 구간(156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캠(152)에 연결된 녹업플레이트(111)가 승강하게 되고, 동시에 제2캠(156)에 연결된 리타드 롤러(130)가 승강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의 급지장치의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에 따른 녹업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실시예의 급지장치의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에 따른 리타드 롤러 및 키커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상기 도 4a-4b, 도 5a-5c에서는 작동상태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서 프레임(14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급지장치(100)는 구동모터(M : 도 2a)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기 전인 초기상태로서 제1캠(152)의 해제 구간(1520b)이 녹업레버(153)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제2캠(156)의 이격 구간(1560b)이 제2캠 접촉부(1432)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1캠(152)은 녹업레버(153)를 경유하여 녹업플레이트(111)를 해제 위치(111b)에 위치시켜, 녹업플레이트(111)에 적재된 기록매체(P)와 픽업롤러(121)가 서로 이격된 상태이다. 제2캠(156)은 키커(143), 레버부재(141)를 경유하여 리타드 롤러(130)를 이격 위치(130b)에 위치시켜, 리타드 롤러(130)와 포워드 롤러(123)가 서로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150)의 회전에 따라 각 기록매체의 픽업과정 및 중송방지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제1캠(152)의 작동상태 및 그에 따른 픽업과정을 살펴본다.
도 4a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제1캠(152)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안에 구동축(150)과 제1캠궤적(1520)과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녹업레버(153)를 상부에서 압박하는 제1캠(152)의 제한이 점차 해제되었기 때문에, 녹업플레이트(111)는 상부에 기록매체(P)를 적재한 상태에서, 하부에 연결된 제1가압부재(112)의 가압력에 의하여 픽업롤러(121)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녹업레버(153) 역시 녹업플레이트(111)에 밀려 상승하게 된다. 녹업플레이트(111)에 적재된 기록매체(P)가 픽업롤러(121)와 접촉되면, 녹업플레이트(111)의 상승은 멈춘다. 그 후, 도 4b와 같이 제1캠의 픽업 구간(1520a)의 마지막 지점이 녹업레버(153)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녹업플레이트(111)에 의해 기록매체(P)와 픽업롤러(121)는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C1)에 의하여 픽업롤러(121)에 구동모터(M)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픽업롤러(121)가 회전하여 기록매체(P)를 픽업하게 된다.
도 4b와 같이 픽업 구간(1520a)의 마지막 지점에 위치한 제1캠(152)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캠(152)이 회전함으로써 제1캠(152)은 다시 도 4a와 같이 해제 구간(1520b)이 녹업레버(133)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1캠(152)의 위상이 픽업 구간(1520a)에서 해제 구간(1520b)으로 전환되는 동안에, 녹업레버(153)는 제1캠(152)과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캠궤적(1520)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녹업레버(153)가 하강하게 되면, 녹업레버(153)의 하부에 접촉하는 녹업플레이트(111)는 녹업레버(153)에 의해 전달받은 힘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녹업레버(153)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제1가압부재(112)의 탄성력보다 크다. 녹업플레이트(111)가 하강하게 되면, 녹업플레이트(111) 상부에 적재된 기록매체 역시 하강하게 되어, 도 4a와 같이 다시 픽업롤러(121)와 서로 이격된다.
즉, 제1캠(152)이 픽업 구간(1520a), 해제 구간(1520b)을 반복하도록 회전함에 따라, 녹업플레이트(111)가 픽업 위치(111a), 해제 위치(111b)로 이동하게 되어 기록매체를 픽업롤러(121)에 접촉,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녹업플레이트(111)의 승강 주기 또는 녹업플레이트(111)가 픽업 위치(111a)에 머무르는 시간은 제1캠(152)의 제1캠궤적(1520) 또는 클러치(C2)의 동력 연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캠궤적(1520)에서 접촉구간(1520a)의 길이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녹업플레이트(111)가 픽업 위치(111a)에 머무르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클러치(C2)에 의하여 구동축(150)과 구동모터(M) 사이의 동력 연결을 어떻게 제어하는냐에 따라 녹업플레이트(111)의 승강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리타드 롤러의 작동상태 및 그에 따른 중송방지 과정을 살펴본다.
제1캠(152)과 동일한 구동축(150)에 연결된 제2캠(156)은 제1캠(15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캠(152)이 도 4a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픽업 구간(1520a)이 녹업레버(153)에 대항되는 위치에 위치하기 위해 회전하는 동안, 제2캠(156)은 도 5a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접촉 구간(1560a)이 제2캠 접촉부(1432)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 동안에 구동축(150)과 제2캠궤적(1560)과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키커(143)를 압박하는 제2캠(156)이 힘이 점차 해제되므로, 키거(143)와 레버부재(141)는 제2가압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한 리타드 롤러(130)의 상승을 제한하지 못한다. 따라서, 리타드 롤러(130)는 점차 상승하여 포워드 롤러(123)에 접촉된 접촉 위치(130a)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C1)에 의하여 구동모터(M)의 구동력이 픽업롤러(121)로 전달된다. 포워드 롤러(123)는 픽업롤러(121)와 동력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롤러(121)에 의해 픽업된 기록매체(P)가 포워드 롤러(123)와 리타드 롤러(130)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포워드 롤러(123)는 픽업롤러(12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매체(P)를 인쇄장치로 이송한다.
이 때, 픽업된 기록매체가 1 장인 경우에는, 기록매체(P)의 하면에 접촉한 리타드 롤러(130)는 토크 리미터(미도시)에 의해 기록매체(P)의 상면과 포워드 롤러(123)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은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록매체(P)는 인쇄장치(10)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픽업된 기록매체가 복수 장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2장인 경우에는, 상부에 위치한 제1기록매체는 포워드 롤러(123)에 접촉하고, 하부에 위치한 제2기록매체는 리타드 롤러(130)와 접촉한다. 이 때, 제2기록매체의 하면에 접촉한 리타드 롤러(130)는 제1, 제2기록매체 간의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2기록매체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제1기록매체는 포워드 롤러(123)와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이송되지만, 제2기록매체는 포워드 롤러(123)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단지 제1기록매체(P1)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제1기록매체(P1)를 통해 전달받은 힘보다 제2기록매체의 하면에서 리타드 롤러(130)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제2기록매체(P2)는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제1캠(152)의 위상이 픽업 구간(1520a)에서 해제 구간(1520b)으로 전환되는 동안, 제2캠(156)은 도 5b와 같이 접촉 구간(1560a)으로부터 이격 구간(1560b)으로 전환되기 위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캠(156)이 회전하는 동안, 키커(143)는 제2캠(156)과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캠궤적(1560)에 따라 키커(143)의 상부 접촉부(1433a)는 레버부재(141)를 가압하게 된다. 레버부재(141)가 가압되면, 레버부재(141)에 연결된 홀더부재(133)는 레버부재(141)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홀더부재(133)의 하강은 홀더부재(133)에 지지된 리타드 롤러(130)의 하강으로 이어져, 결국 포워드 롤러(123)와 리타드 롤러(130)가 서로 이격되어 도 5a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제2캠(156)의 회전에 따라 제2캠(156)에 접촉하는 키커(143)는 기록매체 접촉부(1431)가 제1위치(도 5b: 143a), 제1-2위치(도 5c: 143b), 제2위치(도 5a: 143c)로 이동될 수 있다.
키커(143)는 도 5a와 같이 제2캠(156)이 초기상태인 해제 구간(1520b)에 위치할 경우, 제2위치(143c)에 위치한다. 제2캠(156)의 회전에 따라, 이에 접촉하는 키커(143)는 회전부(1434)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캠(156)이 도 5b와 같이 접촉 구간(1560a)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하는 동안, 제2캠(156)에 접촉하는 키커(143)는 제1위치(143a)에 위치할 때까지 기록매체 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위치(143a)에 위치한 키커(143)는 기록매체 접촉부(1431)가 리타드 롤러(130)와 포워드 롤러(123)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P)와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레버부재 접촉부(1433)과 레버부재(141) 사이에 제3가압부재(142)가 배치된다. 제3가압부재(142)는 레버부재 접촉부(1433)를 레버부재(141)로부터 이격시키며, 그에 따라 기록매체 접촉부(1431)가 기록매체 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기록매체(P)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제3가압부재(142)에 의해 레버부재 접촉부(1433)와 레버부재(141) 사이가 이격된 상태이므로, 리타드 롤러(130)를 접촉 위치(130a)로 유지한 상태에서 키커(143)는 도 5c와 같이 제1-2위치(143b)까지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캠(156)이 접촉 구간(1560a)에서 이격 구간(1560b)을 향하여 회전하는 동안 레버부재(141)와 레버부재 접촉부(1433)는 접촉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레버부재 접촉부(1433)가 회전하더라도 레버부재(141)가 하강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기록매체 접촉부(1431)는 리타드 롤러(130)가 기록매체(P)의 하면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130a)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록매체 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기록매체(P)의 선단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기록매체 접촉부(1431)가 기록매체(P) 선단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2캠(156)이 회전함에 따라 키커(143)는 제2캠(156)에 밀려 제1-2위치(143b)에서 제2위치(143c) 방향 즉, 기록매체(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키커(143)의 회전에 따라, 키커(143)와 접촉하는 레버부재(141)가 하강하게 되고, 이는 홀더 부재(133)를 경유하여 리타드 롤러(130)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리타드 롤러(130)는 하강하고, 기록매체 접촉부(1431)가 제1-2위치(143b)에서 제2위치(143c)로 이동함으로써, 기록매체 접촉부(1431)에 접촉된 기록매체(P)는 기록매체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픽업부재(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121)의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기능과 포워드 롤러(123)의 용지를 분리, 전달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픽업부재(1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픽업부재(120)의 지름은 픽업롤러(121) 또는 포워드 롤러(12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녹업플레이트(111)는 픽업부재(120)와 접촉된 위치와 그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며, 리타드 롤러(130)는 픽업부재(120)에 접촉된 위치와 그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된다. 다른 예로서, 픽업부재(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125)(126) 및 이에 의하여 주행되는 픽업벨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녹업플레이트(111)는 지지롤러(125) 방향으로 상승하여 픽업 벨트(12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리타드 롤러(130)는 지지롤러(126) 방향으로 상승하여 픽업 벨트(124)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안(C: cyan), 마젠타(M: magenta), 옐로우(Y: yellow), 블랙(K: black) 색상의 토너를 사용하여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10)을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단색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는 인쇄장치, 열전사방식을 이용하는 인쇄장치,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버부재(141)와 키커(143)를 분리 형성된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캠(152)와 녹업레버(153)를 분리 형성된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본체 10 : 인쇄장치
11 : 현상기 12 : 감광드럼
13 : 현상롤러 14 : 대전롤러
15 : 중간 전사벨트 16 : 중간 전사롤러
17 : 지지롤러 18 : 최종 전사롤러
19 : 노광기 20 : 정착기
30 : 이송롤러 40 : 배출장치
100 : 급지장치 110 : 급지카세트
111 : 녹업플레이트 111a : 픽업 위치
111b : 해제 위치 1110 : 접촉부
1111 : 선단부 1112 : 후단부
112 : 제1가압부재 120 : 픽업부재
121 : 픽업롤러 123 : 포워드 롤러
124 : 픽업벨트 130 : 리타드 롤러
130a : 접촉 위치 130b : 이격 위치
131 : 제2가압부재 133 : 홀더부재
140 : 프레임 141 : 레버부재
142 : 제3가압부재 143 : 키커
143a : 제1위치 143b : 제1-2위치
143c : 제2위치 1431 : 기록매체 접촉부
1432 : 제2캠 접촉부 1433 : 레버부재 접촉부
1433a : 상부 접촉부 1433b : 하부 접촉부
1434 : 회전부 150 : 구동축
151 : 제1제어유닛 152 : 제1캠
1520 : 제1캠궤적 1520a : 픽업 구간
1520b : 해제 구간 153 : 녹업레버
155 : 제2제어유닛 156 : 제2캠
1560 : 제2캠궤적 1560a : 접촉 구간
1560b : 이격 구간 M : 구동모터
C1, C2 : 클러치 P : 기록매체

Claims (16)

  1. 픽업롤러;
    기록매체가 적재되며,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픽업롤러에 접촉되는 픽업 위치와,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픽업롤러가 서로 이격된 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한 녹업플레이트;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포워드 롤러;
    상기 포워드 롤러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배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중송을 방지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포워드 롤러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로 이동가능한 리타드 롤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픽업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제1캠을 구비하는 제1제어유닛;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제2캠을 구비하는 제2제어유닛;
    상기 포워드 롤러와 상기 리타드 롤러 사이로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제1위치와, 상기 리타드 롤러에 의하여 분리된 기록매체를 상기 포워드 롤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키커;
    프레임;
    상기 리타드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접촉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홀더부재;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홀더부재와 연결된 레버부재;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키커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캠이 상기 키커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부재, 상기 홀더부재를 거쳐 상기 리타드 롤러를 이동시키는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상기 픽업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캠은, 그 회전위상에 따라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기 제1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픽업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제1가압부재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캠궤적을 구비하는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드 롤러에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캠은, 그 회전위상에 따라 상기 리타드 롤러가 상기 제2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제2가압부재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캠궤적을 구비하는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에 결합된 급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과 상기 녹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녹업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녹업레버는 상기 제1캠에 접촉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급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커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3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급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압부재는 상기 키커와 상기 레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급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 제2제어유닛 사이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가 마련된 급지장치.
  11. 기록매체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픽업부재와, 기록매체를 적재하여 상기 픽업부재에 접촉시키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픽업부재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배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리타드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픽업부재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제1캠;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픽업부재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제2캠;
    상기 제1캠과 상기 제2캠이 결합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픽업부재와 상기 리타드 롤러 사이로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제1위치와, 상기 리타드 롤러에 의하여 분리된 기록매체를 상기 픽업부재에 의한 기록매체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키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2캠은 상기 키커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캠은 상기 키커를 경유하여 상기 리타드 롤러를 상기 픽업부재와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급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상기 픽업부재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가압부재;
    상기 리타드 롤러에 상기 픽업부재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지장치.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커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3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급지장치.
  15. 삭제
  16. 기록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상기 인쇄장치에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지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20000649A 2012-01-03 2012-01-03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85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49A KR101850276B1 (ko) 2012-01-03 2012-01-03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3/613,378 US9045298B2 (en) 2012-01-03 2012-09-13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EP12198890.1A EP2612831B1 (en) 2012-01-03 2012-12-21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CN201210593063.3A CN103183244B (zh) 2012-01-03 2012-12-31 馈纸装置以及采用其的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49A KR101850276B1 (ko) 2012-01-03 2012-01-03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892A KR20130079892A (ko) 2013-07-11
KR101850276B1 true KR101850276B1 (ko) 2018-04-19

Family

ID=4760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649A KR101850276B1 (ko) 2012-01-03 2012-01-03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5298B2 (ko)
EP (1) EP2612831B1 (ko)
KR (1) KR101850276B1 (ko)
CN (1) CN1031832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517A (ja) * 2008-05-27 2009-12-10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4097878A (ja) * 2012-11-15 2014-05-29 Ricoh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85926B2 (ja) * 2012-11-28 2015-09-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4417094B (zh) * 2013-08-27 2017-04-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片材送出装置以及打印机
JP6478451B2 (ja) * 2013-09-25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36840B2 (ja) * 2013-10-11 2017-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積載機構、画像形成装置
EP2868602A1 (de) 2013-10-30 2015-05-06 Hammerschmid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einzelung von Lebensmittelscheiben
KR20160010220A (ko) * 2014-07-18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274137B2 (ja) * 2015-03-13 2018-02-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06542358B (zh) * 2015-09-16 2018-05-08 柯尼卡美能达办公系统研发(无锡)有限公司 搓纸压力调整机构以及图像形成装置
US11046097B2 (en) * 2015-10-28 2021-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retraction
JP6432503B2 (ja) * 2015-12-25 2018-12-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I608981B (zh) * 2016-09-02 2017-12-21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主動式取紙分紙機構
JP6624116B2 (ja) * 2017-02-22 2019-1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80101054A (ko) * 2017-03-03 2018-09-1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분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JP6401844B1 (ja) * 2017-08-28 2018-10-1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分離搬送装置、及び紙葉取扱装置
JP7151235B2 (ja) * 2018-07-19 2022-10-12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11809A (ko) * 2018-07-25 2020-02-0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녹업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픽업 롤러
CN109626042B (zh) * 2018-10-23 2019-11-2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物资分公司 票据受理系统进纸机构及票据进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777A (ja) * 2005-07-05 2007-01-2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265A (ja) * 1995-02-15 1996-08-2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77046A (ja) * 1995-04-10 1996-10-22 Canon Inc 給紙搬送装置及び該給紙搬送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H0986705A (ja) * 1995-07-18 1997-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給紙装置
DE69627767T2 (de) * 1995-08-28 2004-04-08 Canon K.K. Blattzuführvorrichtung
DE69719282T2 (de) * 1996-10-22 2003-11-13 Seiko Epson Corp Blattzuführvorrichtung
JP3368248B2 (ja) * 1999-05-13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6581925B1 (en) * 2000-03-14 2003-06-24 Illbruck Gmbh Feeder and retard rollers, and method of maximizing lifetime of rollers
US7165765B2 (en) * 2002-06-07 2007-01-2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3782760B2 (ja) * 2002-07-12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26008B2 (ja) * 2003-07-25 2007-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戻し装置、被記録媒体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被噴射媒体給送装置
JP4428179B2 (ja) * 2004-09-27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材案内装置
JP4710430B2 (ja) * 2005-06-21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90794A (ja) * 2006-04-21 2007-11-08 Noritsu Koki Co Ltd シート搬送装置
JP5219564B2 (ja) * 2008-03-07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455313B1 (en) * 2009-07-13 2015-09-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5495681B2 (ja) * 2009-09-07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758626B1 (ko) * 2010-11-18 2017-07-1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777A (ja) * 2005-07-05 2007-01-2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2831B1 (en) 2017-05-03
EP2612831A3 (en) 2015-07-08
US9045298B2 (en) 2015-06-02
US20130168920A1 (en) 2013-07-04
KR20130079892A (ko) 2013-07-11
EP2612831A2 (en) 2013-07-10
CN103183244A (zh) 2013-07-03
CN103183244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276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4781753B2 (ja) 画像形成装置
US7677550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KR20120032682A (ko) 급지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813642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1121722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940296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330736B1 (ko) 화상형성장치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90310571A1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73397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8162310B2 (en) Medium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15009978A (ja) 後処理装置
JP616880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23983B1 (ko) 급지유닛
KR102164239B1 (ko)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783948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594968B1 (ko)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949062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6902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装置
JP2010100417A (ja) 媒体収容カセット、給紙装置、増設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5729B2 (ja) 定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722067B2 (ja) 媒体搬送装置、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7007856A (ja) 用紙検出装置、手差し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3872276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