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239B1 -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239B1
KR102164239B1 KR1020140066529A KR20140066529A KR102164239B1 KR 102164239 B1 KR102164239 B1 KR 102164239B1 KR 1020140066529 A KR1020140066529 A KR 1020140066529A KR 20140066529 A KR20140066529 A KR 20140066529A KR 102164239 B1 KR102164239 B1 KR 10216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ressing
friction
lever
n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893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4006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39B1/ko
Priority to US14/608,541 priority patent/US9694999B2/en
Priority to EP15157731.9A priority patent/EP2950515B1/en
Priority to CN201510165818.3A priority patent/CN105282377B/zh
Publication of KR2015013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65H2404/1442Trip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65H2404/61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9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는, 커버와 별도로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픽업 모듈과 마찰 모듈 사이에 형성된 닙이 해제되도록 픽업 모듈과 마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원고의 잼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불필요하게 닙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Scan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는 말한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이 있다.
스캐너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와 복합되는 복합기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독취 동작 중에 원고 잼 또는 둘 이상의 원고가 동시에 이송되는 중송 등의 이송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는 이송 경로로부터 원고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원고 이송 불량이 발생된 때에 원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적재되는 공급 트레이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트레이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고, 상기 픽업된 원고를 이송하는 픽업 모듈;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픽업 모듈과 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픽업 모듈과 대향 배치되고, 상기 닙을 통과하는 원고의 배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모듈;
상기 닙을 통과한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 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고의 이송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픽업 모듈과 상기 마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모듈은 상기 닙이 유지되도록 상기 픽업 모듈과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픽업 모듈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마찰 모듈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마찰 모듈과 접촉 가능하며, 상기 마찰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찰 모듈을 가압하는 가압 로드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가압 로드가 상기 마찰 모듈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마찰 모듈에 대한 상기 가압 로드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가압 로드가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도록 상기 가압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마찰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 구간을 가지며, 상기 가압 구간은 상기 가압 로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 구간과, 상기 가압 로드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하프 록킹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여, 상기 가압 로드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가압 로드와 상기 가압 레버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가압 레버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마찰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 레버에 의해 가압되는 제2 가압 구간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압 구간은 상기 가압 레버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록킹 구간과, 상기 가압 레버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제2 하프 록킹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링크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픽업 모듈은 상기 닙이 유지되도록 상기 마찰 모듈과 접촉하는 제3 위치와, 상기 닙이 해제되도록 상기 마찰 모듈과 이격된 제4 위치를 가지며,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픽업 모듈을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 사이로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픽업 모듈이 탑재되며, 일 단부에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회동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픽업 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된 구동부와 연결되는 지지 샤프트와, 상기 지지 샤프트와 상기 구동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를 상기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픽업 모듈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회동 샤프트에 설치된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지지 샤프트가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스캐닝 장치 및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커버를 열더라도 픽업 모듈과 마찰 모듈 사이에 형성된 닙이 해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을 실시할 때에만 비로소 닙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원고의 잼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불필요하게 닙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원고이송유닛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잼 제거를 위한 작동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잼 제거를 위한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중앙 프레임, 픽업 모듈, 마찰 모듈 및 위치 이동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에서 위치 이동 모듈과 중앙 프레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5a의 중앙 프레임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5b에 따른 스캐너 장치에서 가압 레버의 조작에 따른 마찰 모듈의 위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a의 가압 레버와 가압 로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a의 스캐닝 장치에서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가압 레버가 가압 전 위치로 회복되는 모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중앙 프레임, 픽업 모듈, 마찰 모듈 및 위치 이동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b에 따른 스캐너 장치에서 가압 레버의 조작에 따른 마찰 모듈(340)의 위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b의 가압 레버와 연결 링크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는 도 11a의 스캐닝 장치에서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가압 레버가 가압 전 위치로 회복되는 모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위치 이동 모듈을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원고이송유닛(10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스캐너 장치(1)는 원고이송유닛(100)과 독취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독취유닛(200)에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부재(210)가 마련된다. 독취부재(210)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의 화상을 읽어들인다. 독취부재(210)로서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는 플랫베드 방식 및 원고이송방식이 복합된 복합 방식의 스캐너 장치이다. 독취유닛(200)에는 플랫베드 방식으로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하여 원고가 놓여지는 플라텐 글래스(220)가 마련된다. 또한, 독취유닛(200)에는 원고이송방식으로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창(230)이 마련된다. 독취창(230)은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독취창(230)의 상면은 플라텐 글래스(3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면일 수 있다.
원고이송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210)는 독취창(230)의 아래에 위치된다.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210)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플라텐 글래스(220)의 아래에서 부주사 방향(S), 즉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플라텐 글래스(220) 위에 원고를 올려놓기 위하여 플라텐 글래스(220)를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이송유닛(100)은 독취유닛(20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원고이송유닛(100)은 독취유닛(200)을 덮는 제1위치와, 독취유닛(200)에 대하여 열린 제2위치로 회동된다. 원고이송유닛(100)이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플라텐 글래스(220)가 노출된다.
원고이송유닛(100)은 독취부재(210)가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을 수 있도록 원고를 이송시키고,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100)은 공급 트레이(101)과 배출 트레이(102)가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150)와,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된 픽업 모듈(310), 마찰 모듈(340)을 포함한다. 원고이송유닛(100)에는 원고이송경로(300)가 마련되며, 독취 부재(210)는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원고이송경로(300)는 예를 들어, 공급 경로(301), 독취 경로(302), 및 배출 경로(303)를 포함할 수 있다. 독취 경로(302)에서는 독취부재(210)가 배치되며, 독취 경로(302)를 통과하는 동안에 원고에 기록된 화상이 독취부재(210)에 의하여 독취된다. 공급 경로(301)는 독취 경로(302)로 원고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공급 트레이(101)에 적재된 원고는 공급 경로(301)를 통하여 독취 경로(302)로 공급된다. 배출 경로(303)는 독취 경로(302)를 통과한 원고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이다. 따라서, 공급 트레이(101)에 적재된 원고는 공급 경로(301), 독취 경로(302), 및 배출 경로(303)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 트레이(102)로 배출된다.
1 회의 원고 이송에 의하여 양면 독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고이송유닛(100)에 추가적인 독취부재(210a)가 설치될 수 있다. 독취유닛(200)에 설치된 독취부재(210)는 원고의 표면의 화상을 독취하며, 원고이송유닛(100)에 설치된 독취부재(210a)는 원고의 배면의 화상을 독취한다. 독취부재(210a)는 원고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독취부재(210)의 하류에 위치된다.
다만, 양면 독취를 위한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별도의 독취부재(210a)를 사용하는 대신에 반전 경로를 통해 원고가 뒤집어져 원고의 배면이 독취부재(210)에 의해 독취될 수도 있다. 더불어, 양면 독취를 위한 구성은, 필요에 따라 스캐닝 장치(1)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고이송경로(300)에는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원고이송롤러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공급 경로(301)에는 공급 트레이(101)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고 픽업된 원고를 이송하는 픽업 모듈(310)과, 픽업 모듈(310)과 대향 배치되는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의 하류에 배치된 공급 롤러(313)가 배치될 수 있다.
픽업 모듈(310)은, 공급 트레이(101)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311)와, 픽업 롤러(311)에 인접하여 픽업된 원고를 이송시키는 포워드 롤러(31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롤러(311)와 포워드 롤러(312)는 서로 연동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픽업 롤러(311)와 포워드 롤러(312)는 벨트(미도시)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마찰 모듈(340)은 픽업 모듈(310)과 대향 배치되어 닙(N)을 형성한다. 마찰 모듈(340)은 닙(N)을 통과하는 원고의 배면에 원고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한다. 예로서, 마찰 모듈(340)은 원고를 공급 경로와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소정의 토크 이하에서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찰 모듈(340)과 포워드 롤러(312) 사이로 두 장 이상의 원고가 공급된 경우,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한 장의 원고만을 분리하여 공급 롤러(313)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모듈(340)과 포워드 롤러(312) 사이에 복수의 원고가 인입된 경우에, 원고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은, 포워드 롤러(312)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 및 마찰 모듈(340)과 원고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포워드 롤러(312)에 접촉된 원고와 그 아래의 원고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포워드 롤러(312)에 접촉된 원고만이 분리되어 공급 롤러(313)를 향하여 이송된다. 마찰 모듈(340) 및 픽업 모듈(31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독취 경로(302)에는 독취 부재(210)(210a)와 대향되어 원고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21)(32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취 롤러(321)는 독취유닛(200)에 마련된 독취창(230)에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되며, 그 사이로 공급되는 원고를 이송시킨다. 이송 롤러(322)는 독취 부재(210a)와 대향되어 회전되며, 그 사이로 공급되는 원고를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독취 부재(210a)가 이송 롤러(322)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가압된 구조가 채용된다.
배출 경로(303)에는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331)가 배치된다. 배출롤러(331)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급 경로(301), 독취 경로(302), 및 배출 경로(303)에는 원고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에서 원고의 중송이나 잼이 발생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서, 이러한 원고 이송 불량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원고의 중송 또는 잼이 발생된 때에 원고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원고는 롤러들 사이에 물려 있기 때문에 손으로 이송방향 또는 이송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큰 힘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고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장치에서 잼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원고를 제거하기 전에 잼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잼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단계에서는, 원고의 이송 경로에서 잼의 발생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뿐,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 사이의 접촉을 해제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잼의 발생 위치를 파악한 이후, 원고를 제거하고자 의도할 때에만, 픽업 모듈(310) 또는 마찰 모듈(340)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고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만, 픽업 모듈(310) 또는 마찰 모듈(340)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이 서로 이격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픽업 모듈(310) 및 마찰 모듈(340)의 파라미터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의 잼 제거를 위한 작동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a)의 잼 제거를 위한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잼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도 3a 또는 도 4a와 같이 커버(150)를 열고, 원고의 이송 경로 중 적어도 일부에 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원고의 이송 경로 중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닙(N)에서 잼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닙(N)에서 잼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는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 사이에 형성된 닙(N)을 해제시킨다. 일 예로서, 도 3b와 같이 마찰 모듈(340)을 픽업 모듈(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찰 모듈(340)을, 픽업 모듈(310)과 접촉하는 제1 위치(340a)에서, 픽업 모듈(310)과 이격되는 제2 위치(340b)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찰 모듈(340)이 제1 위치(340a)일 때,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에 닙(N)이 유지되며, 마찰 모듈(340)이 제2 위치(340b)일 때,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에 닙(N)이 해제된다.
다른 예로서, 도 4b와 같이 픽업 모듈(310)을 마찰 모듈(34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픽업 모듈(310)을, 마찰 모듈(340)과 접촉하는 제3 위치(310a)에서, 마찰 모듈(340)과 이격되는 제4 위치(310b)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픽업 모듈(310)이 제3 위치(310a)일 때,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에 닙(N)이 유지되며, 픽업 모듈(310)이 제4 위치(310b)일 때,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에 닙(N)이 해제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찰 모듈(340) 및 픽업 모듈(310) 각각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찰 모듈(340) 및 픽업 모듈(31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이동시켜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에 형성된 닙(N)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는 큰 힘을 주지 않고 쉽게 원고를 제거할 수 있다.
만일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에 형성된 닙(N)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닙(N)에 위치한 원고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큰 힘으로 원고를 잡아당겨야 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거나, 원고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서, 큰 힘이란, 닙(N)에서 원고에 걸리는 마찰력 이상의 힘이거나, 픽업 모듈(310) 또는 마찰 모듈(34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힘일 수 있다.
또한, 만일 커버(150)를 열 때마다 닙(N)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구조일 경우, 픽업 모듈(310) 또는 마찰 모듈(340)의 위치가 의도치 않게 빈번하게 이동될 수 있다. 원고 제거가 아닌 다른 목적, 예를 들어 잼 발생 여부를 확인하거나 수리를 위하여 커버(150)를 열었을 때에도, 닙(N)이 불필요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빈번한 픽업 모듈(310) 또는 마찰 모듈(340)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픽업 모듈(310) 또는 마찰 모듈(340)의 파라미터 특성이 변할 수 있다. 픽업 모듈(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와 비정상적인 맞물림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구동부의 마모 또는 구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의 빈번한 접촉 및 이격 과정에서,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의 비정상적인 맞물림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소음, 중송 및 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커버(150)를 열더라도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 사이의 닙(N)이 해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을 실시할 때에만 비로소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 사이의 닙(N)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원고의 잼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불필요하게 닙(N)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중앙 프레임(120), 픽업 모듈(310), 마찰 모듈(340) 및 위치 이동 모듈(5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는, 픽업 모듈(310) 및 마찰 모듈(340)이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150)와, 상기 마찰 모듈(3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모듈(5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이 설치되기 위한 중앙 프레임(120)과, 중앙 프레임(120)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측부 프레임(131, 132)을 포함한다. 중앙 프레임(120)은,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을 보호하는 하우징(133, 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모듈(310)은 중앙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픽업 모듈(310)은 공급 트레이(101)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311)와, 픽업 롤러(311)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이송하는 포워드 롤러(312)를 포함한다. 포워드 롤러(312)의 회전 샤프트(351)의 일 단부에는, 포워드 롤러(31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기어(354)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어(354)는 측부 프레임(131)에 설치될 수 있다. 픽업 롤러(311)와 포워드 롤러(312)는 벨트(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마찰 모듈(340)은 중앙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마찰 모듈(340)은 픽업 모듈(310)의 포워드 롤러(3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마찰 모듈(340)은 포워드 롤러(31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부재(343)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343)에 의해 가압된 마찰 모듈(340)은 픽업 모듈(310)과 닙(N)을 형성한다.
마찰 모듈(340)은 닙(N)을 통과하는 원고의 배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롤러(341)와, 마찰 롤러(341)를 지지하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342)를 포함한다. 홀더(342)는 중앙 프레임(120)에 대하여 회동 축(X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홀더(342)의 회동에 의해, 마찰 모듈(340)은 마찰 롤러(341)가 포워드 롤러(312)와 접촉하는 제1 위치(340a; 도 3a 참조)와 마찰 롤러(341)가 포워드 롤러(312)와 이격되는 제2 위치(340b; 도 3b 참조) 사이로 이동 가능하다.
제1 탄성 부재(343)는 홀더(342)와 중앙 프레임(120) 사이에 마련되어, 홀더(342)에 포워드 롤러(3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커버(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동 축(X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커버(150)는 원고의 이송 경로(300)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한다. 커버(150)를 개방함으로써,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 사이에 형성된 닙(N) 부근에서 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동 모듈(500)은,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 사이의 닙(N)을 해제하도록, 마찰 모듈(34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 이동 모듈(500)은 홀더(342)에 접촉 가능한 가압 로드(510)와, 가압 로드(510)를 가압하는 가압 레버(530)와, 가압 로드(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부재(550)를 포함한다.
가압 로드(510)는 원고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가압 로드(510)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가압 로드(510)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가압 로드(510)가 홀더(342)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홀더(342)에 의해 지지된 마찰 롤러(341)는 포워드 롤러(3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가압 로드(510)는 일 단부(5101)가 측부 프레임(132)에 지지되며, 타 단부(5102)는 제2 탄성 부재(5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압 로드(510)는 중앙 프레임(120)에 형성된 구멍(121, 122)에 삽입되며, 가압 로드(510)의 위치 이동은 중앙 프레임(120)의 가이드부(12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가압 로드(51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 단부(5102)는 가압 레버(530)와 접촉할 수 있다.
가압 레버(530)는 측부 프레임(1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 레버(53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531)와 가압 로드(510)와 접촉하는 접촉부(533)를 가진다. 가압 레버(530)는 회동 축(X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531)에 시계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경우, 접촉부(533)는 가압 로드(510)가 마찰 모듈(340)을 가압하도록 가압 로드(510)를 가압한다.
도 6은 도 5a에서 위치 이동 모듈(500)과 중앙 프레임(12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5a의 중앙 프레임(120)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압 로드(510)는 중앙 프레임(120)의 가이드부(123)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가압 로드(510)가 이동하는 동안, 가이드부(123)는 가압 로드(510)가 가이드부(123)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23)는 가압 로드(510)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제2 탄성 부재(550)의 양 단부는 중앙 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제2 탄성 부재(550)의 측부가 가압 로드(510)에 접촉하며 가압 로드(510)의 하중을 지지한다.
가압 레버(530)의 가압에 의해 가압 로드(510)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 로드(5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탄성 부재(550)는 늘어나게 된다.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때, 제2 탄성 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위치 이동 모듈(500)에 의해 마찰 모듈(340)이 제1 위치(340a)와 제2 위치(340b)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작동 모습의 일 예를 서술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5b에 따른 스캐너 장치에서 가압 레버(530)의 조작에 따른 마찰 모듈(340)의 위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a의 가압 레버(530)와 가압 로드(510)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고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압 레버(530)의 조작부(531)를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힘(F)으로 가압한다. 그에 따라 가압 레버(530)는 회동 축(X3)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가압 레버(530)의 가압에 의해, 가압 레버(530)와 접촉된 가압 로드(510)는 하강한다. 가압 로드(510)의 하강에 의해, 마찰 롤러(341)를 지지하는 홀더(342)가 회동 축(X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홀더(342)에 의해 지지된 마찰 롤러(341)는 포워드 롤러(312)로부터 이격된다. 즉, 마찰 모듈(340)은 제2 위치(340b)에 위치되며, 포워드 롤러(312)와 마찰 롤러(341) 사이에 형성된 닙(N)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닙(N)이 해제된 상태의 포워드 롤러(312)와 마찰 롤러(341) 사이에 위치한 원고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가압 레버(530)의 접촉부(533)는 해제 구간(A) 및 가압 구간(B)을 포함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의 조작부(531)를 조작하지 않을 때,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의 해제 구간(A)에 접촉한다. 이 때, 가압 로드(510)는 마찰 모듈(340)과 접촉하지 않거나, 접촉하더라도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의 닙(N)을 해제하지 않는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의 조작부(531)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의 가압 구간(B)에 접촉한다. 가압 로드(510)가 가압 레버(530)의 가압 구간(B)에 접촉할 때,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다. 이 때,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는 이격되어 닙(N)이 해제된다. 가압 구간(B)은 하프 록킹 구간(B1)과 록킹 구간(B2)을 포함한다.
가압 로드(510)가 도 8b와 같이 접촉부(533)의 하프 록킹 구간(B1)에 접촉할 때,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한다. 가압 로드(510)에 의해 마찰 롤러(341)가 하강되어, 마찰 롤러(340)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의 닙(N)이 해제된다. 가압 로드(510)가 접촉부(533)의 하프 록킹 구간(B1)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가압 로드(510)는 제2 탄성 부재(55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홀더(342)에 가해진 가압 로드(510)에 의한 가압은 해제된다. 그에 따라,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는 접촉하며, 닙(N)을 형성한다.
가압 로드(510)가 도 8c와 같이 접촉부(533)의 록킹 구간(B2)에 접촉할 때,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에 의해 가압되며, 그에 따라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의 닙(N)이 해제된다. 가압 로드(510)가 접촉부(533)의 록킹 구간(B2)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가압 로드(510)는 스토퍼(S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그에 따라, 홀더(342)에 가해진 가압 로드(510)에 의한 가압은 유지된다.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의 닙(N)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에서 손을 떼더라도, 닙(N)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로드(510)가 록킹 구간(B2)에 접촉할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잼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가압 레버(530)를 가압 전 위치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부(53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레버(53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압하는 정도를 달리하여, 가압 로드(510)가 가압 레버(530)의 해제 구간(A), 하프 록킹 구간(B1) 및 록킹 구간(B2) 중 어느 하나에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압 로드(510)를 하프 록킹 구간(B1)에 접촉시키도록 한 손으로는 가압 레버(530)를 가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원고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가압 로드(510)가 록킹 구간(B1)에 접촉되도록 가압 레버(530)를 가압한 이후, 가압 레버(530)에서 손을 떼고도 원고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압 레버(530)의 조작부(53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거나 상기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부(531)를 가압함으로써, 가압 레버(530)를 가압 전 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다. 가압 로드(510)는 제2 탄성 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며 홀더(342)는 제1 탄성 부재(343)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어,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에 닙(N)이 다시 형성된다. 이 때, 가압 로드(510)는 가압 레버(530)의 해제 구간(A)과 접촉한다.
그러나, 가압 레버(530)가 가압 전 위치로 회복되는 태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50)를 닫는 과정에서, 가압 레버(530)는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도 9는 도 5a의 스캐닝 장치(1)에서 커버(150)를 닫는 과정에서 가압 레버(530)가 가압 전 위치로 회복되는 모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가압 레버(530)는 접촉부(533)의 록킹 구간(B2)을 통해 가압 로드(510)가 가압되며, 이 상태에서,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의 닙(N)이 해제된 상태이며, 정상적인 원고 이송이 불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150)를 닫는 과정에서, 커버(150)는 가압 레버(530)의 조작부(531)에 접촉하며, 조작부(531)가 가압 전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커버(150)가 가압 레버(530)의 조작부(531)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커버(150)는 가압 레버(5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압 레버(530)는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이 때, 가압 로드(510)는 해제 구간(A)과 접촉하며, 마찰 모듈(340)에 가해진 가압 로드(510)의 가압이 해제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a)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중앙 프레임(120), 픽업 모듈(310), 마찰 모듈(340) 및 위치 이동 모듈(500a)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b의 위치 이동 모듈(500)이 일부 변형되었으며,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b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위치 이동 모듈(500a)은 가압 로드(510), 연결 링크(520), 가압 레버(530a) 및 제2 탄성 부재(550)를 포함한다.
가압 로드(510)는 홀더(342)와 접촉 가능하다. 가압 로드(510)는 원고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가압 로드(510)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가압 로드(510)가 홀더(342)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홀더(342)에 의해 지지된 마찰 롤러(341)는 포워드 롤러(3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가압 로드(510)의 적어도 일 단부(5102)는 연결 링크(520)와 접촉할 수 있다.
가압 레버(530a)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531a)와, 연결 링크(520)와 접촉하는 접촉부(533a)와, 조작부(531a)와 접촉부(533a)를 연결하는 샤프트(532)를 포함한다. 접촉부(533a)는 원고의 이송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원고의 이송 경로 외곽에 배치된다.
연결 링크(520)는 회동 가능하며, 가압 로드(510)와 가압 레버(530a)에 접촉한다. 연결 링크(520)는 가압 로드(510)의 단부(5101, 5102)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521)와, 가압 레버(530a)에 접촉하는 제3 접촉부(522)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마련된 회동 축(X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사용자가 커버(150)를 개방한 후 가압 레버(530a)를 잡아당기면, 가압 레버(530a)가 회동하여 연결 링크(520)의 제3 접촉부(522)를 가압한다. 가압된 제3 접촉부(522)에 의해 연결 링크(520)가 회동하며, 제2 접촉부(521)가 가압 로드(510)를 가압한다. 그에 따라, 마찰 모듈(340)이 이동되며,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의 닙(N)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거나, 상기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부(531a)를 가압함으로써, 가압 레버(530a)를 가압 전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가압 로드(510)는 제2 탄성 부재(550)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며, 홀더(342)는 제1 탄성 부재(343)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어,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에 닙(N)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위치 이동 모듈(500a)에 의해 마찰 모듈(340)이 제1 위치(340a)와 제2 위치(340b) 사이로 위치 이동하는 작동 모습을 서술한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10b에 따른 스캐너 장치에서 가압 레버(530a)의 조작에 따른 마찰 모듈(340)의 위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일 때, 즉 가압 레버(530a)가 가압 전의 위치일 때, 포워드 롤러(312)와 마찰 롤러(341)는 닙(N)을 형성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를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힘(F)으로 가압한다. 그에 따라 가압 레버(530a)는 회동 축(X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가압 레버(530a)의 접촉부(533a)는 연결 링크(520)의 제3 접촉부(522)를 가압한다. 연결 링크(5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 접촉부(521)는 가압 로드(510)를 가압한다. 가압 로드(510)는 연결 링크(520)의 회동에 의해 하강된다. 가압 로드(510)의 하강에 의해, 마찰 롤러(341)를 지지하는 홀더(342)가 회동 축(X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아래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에 형성된 닙(N)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닙(N)이 해제된 포워드 롤러(312)와 마찰 롤러(341) 사이에 위치한 원고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거나, 상기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부(531a)를 가압함으로써, 가압 레버(530a)를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시킨다. 가압 로드(510)는 제2 탄성 부재(550)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며, 홀더(342)는 제1 탄성 부재(343)에 의해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어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에 닙(N)이 형성된다.
도 12는 도 11b의 가압 레버(530a)와 연결 링크(520)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연결 링크(520)의 가압 레버(530a)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522)는 제2 해제 구간(AA)과 제2 가압 구간(B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를 조작하지 않을 때, 가압 레버(530a)는 연결 링크(520)의 해제 구간(AA)에 접촉한다. 이 때, 가압 로드(510)는 마찰 모듈(340)과 접촉하지 않거나, 접촉하더라도 마찰 모듈(340)과 픽업 모듈(310) 사이의 닙(N)이 해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가압 레버(530a)의 접촉부(533a)는 제3 접촉부(522)의 제2 가압 구간(BB)에 접촉한다. 가압 레버(530a)의 접촉부(533a)가 제2 가압 구간(BB)에 접촉할 때, 연결 링크(520)는 가압 로드(510)를 가압하며, 가압 로드(510)는 마찰 모듈(340)을 가압한다.
제2 가압 구간(BB)은 제2 하프 록킹 구간(BB1)과 제2 록킹 구간(BB2)을 포함한다. 가압 레버(530a)의 접촉부(533a)가 연결 링크(520)의 제2 하프 록킹 구간(BB1)에 접촉할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를 가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원고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가압 로드(510)는 제2 탄성 부재(55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연결 링크(52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에 따라, 홀더(342)에 가해진 가압 로드(510)에 의한 가압은 해제되며,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는 접촉하며, 닙(N)을 형성한다.
가압 레버(530a)의 접촉부(533a)가 연결 링크(520)의 제2 록킹 구간(BB2)에 접촉할 때,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경우, 가압 레버(530a)는 스토퍼(S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연결 링크(520)는 가압 로드(510)에 대한 가압을 유지하며, 가압 로드(510)는 홀더(342)에 대한 가압을 유지한다. 그에 따라, 마찰 롤러(341)와 포워드 롤러(312) 사이의 닙(N)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에서 손을 떼더라도, 닙(N)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레버(530a)가 제2 록킹 구간(BB2)에 접촉할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잼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가압 레버(530a)를 가압 전 위치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부(531a)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가압 레버(530a)가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는 태양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거나,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150)를 닫는 과정에서, 가압 레버(530a)를 회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커버(150)를 닫는 과정에서, 커버(150)가 가압 레버(530a)의 조작부(531a)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레버(530a)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150)의 이동 경로에 간섭하도록 가압 레버(530a) 및/또는 커버(150)가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 레버(530a)를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시키지 않더라도, 커버(150)를 닫는 동작으로 가압 레버(530a)를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2)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위치 이동 모듈(600)을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b의 위치 이동 모듈(500a)이 일부 변형되었으며,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동 모듈(6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픽업 모듈(310)을 마찰 모듈(340)과 접촉하는 제3 위치(310a)에서 마찰 모듈(340)과 이격되는 제4 위치(310b)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a, 도 14b 및 도 15를 참조하면, 위치 이동 모듈(600)은 픽업 모듈(310)이 탑재되는 이동 프레임(610)을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610)의 일 단부에는 원고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회동 샤프트(620)를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610)은 회동 샤프트(62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동 프레임(610)을 회동 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610)에 탑재된 픽업 모듈(310)을 마찰 모듈(34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부 프레임(132)에는 이동 프레임(610)에 탑재된 픽업 모듈(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1)가 배치된다. 구동부(111)는 구동 기어(354)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11)에는 지지 샤프트(63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홀더(112)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홀더(112)에는 지지 샤프트(630)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 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61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배치된 구동부(111)와 연결되는 지지 샤프트(630)와, 지지 샤프트(630)를 구동부(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레버(640)를 더 포함한다.
지지 샤프트(630)에는 픽업 모듈(310)이 지지된다. 지지 샤프트(630)는 구동부(111)와 연결될 때, 구동부(111)의 구동력을 포워드 롤러(312)에 전달하여 포워드 롤러(3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 샤프트(630)는 원고의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원고의 폭 방향은 원고의 이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동 레버(640)는 원고의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지지 샤프트(630)에 접촉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 레버(640)를 구동부(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레버(640)에 접촉하는 지지 샤프트(6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샤프트(630)와 연결 홀더(112)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지지 샤프트(630)와 연결 홀더(112)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프레임(610)을 회동 샤프트(620)를 중심으로 수동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찰 모듈(340)과 이동 프레임(610)에 탑재된 픽업 모듈(310)이 서로 이격되어 닙(N)이 해제된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레버(640)를 좌측으로 가압한다. 이동 레버(640)를 가압함에 따라, 이동 레버(640)에 연결된 지지 샤프트(630)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지지 샤프트(630)의 단부는 연결 홀더(112)로부터 이격된다. 그에 따라, 지지 샤프트(630)와 연결 홀더(112)의 결합이 해제되며, 사용자는 이동 프레임(610)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지지 샤프트(630)의 단부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 샤프트(630)와 연결 홀더(112)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610)을 들어 올림에 따라, 이동 프레임(610)의 단부에 설치된 회동 샤프트(620)를 기준으로 이동 프레임(610)이 회동된다. 픽업 모듈(310)의 포워드 롤러(312)는 마찰 모듈(340)의 마찰 롤러(341)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픽업 모듈(310)과 마찰 모듈(340) 사이의 닙(N)이 해제된다.
회동 샤프트(620)에는 이동 프레임(6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토크 리미터(621)가 설치될 수 있다. 토크 리미터(621)는 이동 프레임(610)의 하중에 의해 회동 샤프트(620)에 가해지는 힘보다 큰 힘이 가해질 때에만 힘을 회동 샤프트(62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 프레임(610)을 들어 올린 후 이동 프레임(610)을 놓더라도, 이동 프레임(610)의 하중에 의해 이동 프레임(61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잼 제거 이후에, 사용자는 이동 프레임(610)을 아래로 이동시킨 후, 지지 샤프트(630)는 연결 홀더(112)를 통해 구동부(111)와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레버(64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였을 때, 이동 프레임(610)은 지지 샤프트(630)가 구동부(111)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지지 샤프트(6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 부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3)와 인쇄유닛(4)이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4)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이다. 스캐너 장치(3)는 인쇄유닛(4)의 상부에 위치된다. 스캐너 장치(3)는 도 4a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 또는 도 10a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a) 또는 도 14a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2)일 수 있다. 이하에서 인쇄유닛(4)의 일 예를 설명한다.
감광드럼(11), 대전롤러(12), 노광기(20), 현상기(30), 및 전사롤러(40)가 도시되어 있다. 감광드럼(1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12)는 감광드럼(1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1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노광기(2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L)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2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기(30)는 감광드럼(1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현상기(30)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현상롤러(13)는 토너를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은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 현상방식이 채용되며, 현상롤러(13)의 표면은 감광드럼(11)의 표면과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간격을 현상갭이라 한다. 현상롤러(13)에 현상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이 현상갭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접촉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1)에 접촉된다. 현상기(3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1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15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규제부재(1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13)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참조부호 16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1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교반기(17)는 토너를 현상롤러(1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17)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전사롤러(4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N)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40)에는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4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화상이 인쇄될 기록매체(P)는 픽업 롤러(52)에 의하여 급지 카세트(51)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3)에 하여 전사롤러(40)와 감광드럼(11)이 대면된 영역으로 공급된다. 전사롤러(4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11)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부(60)는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정착부(50)는 예를 들어 가열수단(63)이 내장된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가 서로 맞물려 정착닙을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정착부(60)를 통과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4)에 의하여 배출트레이(55)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인쇄, 복사, 독취 동작이 가능하다. 인쇄 동작은 외부의 호스트(미도시)로부터 화상정보에 근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을 말한다. 복사 동작은 스캐너 장치(3)를 이용하여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화상정보를 인쇄유닛(4)으로 전달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을 말한다. 독취 동작은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말하며, 예를 들어 독취된 화상정보는 호스트(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수단(미도시)이 마련된 경우에는 독취된 화상정보를 전화선 등의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팩스 송신 기능과 전화선 등을 통하여 수신된 화상정보를 인쇄유닛(4)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팩스 수신 기능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현상기(30)를 구비하는 단색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4)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라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4개의 현상기(30)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유닛(4)으로서는 다른 화상형성방식,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1a, 2, 3...스캐너 장치 4...인쇄유닛
100... 원고이송유닛 110...베이스 프레임
101...공급 트레이 111...구동부
112...연결 홀더 120...중앙 프레임
131, 132...측부 프레임 150...커버
200...독취유닛 210, 210a...독취 부재
220...플라텐 글래스 230...독취창
300...원고이송경로 301...공급 경로
302...독취 경로 303...배출 경로
310...픽업 모듈 311...픽업 롤러
312...포워드 롤러 313...공급 롤러
321, 322...이송롤러 331...배출롤러
340...마찰 모듈 341...마찰 롤러
342...홀더 343...제1 탄성 부재
500, 500a, 600...위치 이동 모듈
510...가압 로드 530...가압 레버
531...조작부 533...접촉부
A...해제 구간 B...가압 구간
B1...하프 록킹 구간 B2...록킹 구간
520...연결 링크 521...제2 접촉부
522...제3 접촉부 AA...제2 해제 구간
BB...제2 가압 구간 BB1...제2 하프 록킹 구간
BB2...제2 록킹 구간 530a...가압 레버
531a...조작부 532...샤프트
533a...접촉부 550...제2 탄성 부재
610...이동 프레임 620...회동 샤프트
621...토크 리미터 630...지지 샤프트
640...이동 레버 650...제3 탄성 부재

Claims (17)

  1. 원고가 적재되는 공급 트레이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트레이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고, 상기 픽업된 원고를 이송하는 픽업 모듈;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픽업 모듈과 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픽업 모듈과 대향 배치되고, 상기 닙을 통과하는 원고의 배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모듈;
    상기 닙을 통과한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 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닙의 해제 없이, 원고의 이송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커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원고의 이송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한 후 상기 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픽업 모듈과 상기 마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모듈;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모듈은 상기 닙이 유지되도록 상기 픽업 모듈과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닙이 해제되도록 상기 픽업 모듈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마찰 모듈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스캐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마찰 모듈과 접촉 가능하며, 상기 마찰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마찰 모듈을 가압하는 가압 로드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가압 로드가 상기 마찰 모듈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마찰 모듈에 대한 상기 가압 로드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가압 로드가 가압 전의 위치로 회복되도록 상기 가압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스캐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마찰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 구간을 가지며,
    상기 가압 구간은 상기 가압 로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 구간과, 상기 가압 로드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하프 록킹 구간을 가지는 스캐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여, 상기 가압 로드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도록 회동되는 스캐닝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가압 로드와 상기 가압 레버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를 더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가압 레버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스캐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마찰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 레버에 의해 가압되는 제2 가압 구간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압 구간은 상기 가압 레버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록킹 구간과, 상기 가압 레버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제2 하프 록킹 구간을 가지는 스캐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링크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도록 회동되는 스캐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모듈은 상기 닙이 유지되도록 상기 마찰 모듈과 접촉하는 제3 위치와, 상기 닙이 해제되도록 상기 마찰 모듈과 이격된 제4 위치를 가지며,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픽업 모듈을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 사이로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스캐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 모듈은,
    상기 픽업 모듈이 탑재되며, 일 단부에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회동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픽업 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된 구동부와 연결되는 지지 샤프트와,
    상기 지지 샤프트와 상기 구동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를 상기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레버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픽업 모듈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회동 샤프트에 설치된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지지 샤프트가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캐닝 장치; 및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40066529A 2014-05-30 2014-05-30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16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29A KR102164239B1 (ko) 2014-05-30 2014-05-30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4/608,541 US9694999B2 (en) 2014-05-30 2015-01-29 Scan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5157731.9A EP2950515B1 (en) 2014-05-30 2015-03-05 Scan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510165818.3A CN105282377B (zh) 2014-05-30 2015-04-09 扫描装置以及包括该扫描装置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29A KR102164239B1 (ko) 2014-05-30 2014-05-30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893A KR20150137893A (ko) 2015-12-09
KR102164239B1 true KR102164239B1 (ko) 2020-10-12

Family

ID=5262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529A KR102164239B1 (ko) 2014-05-30 2014-05-30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4999B2 (ko)
EP (1) EP2950515B1 (ko)
KR (1) KR102164239B1 (ko)
CN (1) CN1052823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182A (ko) 2016-11-22 2018-05-30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7487539B2 (ja) * 2020-04-20 2024-05-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5945A1 (en) 2005-08-23 2007-03-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ut-Sheet Feeding Apparatus, Document-Sheet Feeding Apparatus, And Document-Sheet Reading Apparatus
US20080246208A1 (en) 2007-04-05 2008-10-09 Nisca Corporation Document feeding device and document reading apparatus
US20110309569A1 (en) 2010-06-18 2011-12-22 Primax Electronics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820A (en) 1987-06-15 1988-04-12 Eastman Kodak Company Duplex feeder jam recovery
JPH05155463A (ja) * 1991-11-29 1993-06-22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2005008291A (ja) * 2003-06-16 2005-01-13 Sharp Corp シート材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70637A (ja) 2003-12-12 2005-06-30 Nec Access Technica Ltd 用紙搬送装置
JP4321531B2 (ja) * 2006-02-01 2009-08-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TWI320395B (en) 2007-02-09 2010-02-11 Primax Electronics Ltd An automatic duplex document feeder with a function of releasing paper jam
CN101577780B (zh) * 2008-05-07 2011-01-2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扫描装置
KR101299446B1 (ko) 2008-09-09 201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너
KR101588218B1 (ko) * 2009-06-10 2016-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JP5387840B2 (ja) 2009-09-28 2014-01-15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12070268A (ja) 2010-09-24 2012-04-05 Nec Access Technica Ltd 自動給紙装置、複写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US9904228B2 (en) * 2014-05-14 2018-02-27 Canon Finetech Nisca, Inc. Sheet conveyance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5945A1 (en) 2005-08-23 2007-03-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ut-Sheet Feeding Apparatus, Document-Sheet Feeding Apparatus, And Document-Sheet Reading Apparatus
US20080246208A1 (en) 2007-04-05 2008-10-09 Nisca Corporation Document feeding device and document reading apparatus
US20110309569A1 (en) 2010-06-18 2011-12-22 Primax Electronics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893A (ko) 2015-12-09
EP2950515B1 (en) 2020-06-03
CN105282377B (zh) 2019-03-26
US9694999B2 (en) 2017-07-04
EP2950515A2 (en) 2015-12-02
EP2950515A3 (en) 2016-04-06
US20150344247A1 (en) 2015-12-03
CN105282377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1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55248B1 (ko) 자동 원고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688929B2 (ja) 画像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9549094B2 (en)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9522796B2 (en)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US20200004180A1 (en) Rotatable cam gear to rotate an alignment member between an alignment position and transport-allowing position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91330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164239B1 (ko)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616880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61729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6589650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532527B2 (en) Image-forming apparatus
JP5439326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9327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9716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1183245A1 (en) Structure for compensating driving force of roller under load torque
JP2023135221A (ja) 駆動装置、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0093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19741B2 (ja) 給紙装置
JP2008112118A (ja) 記録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