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182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182A
KR20180057182A KR1020160155520A KR20160155520A KR20180057182A KR 20180057182 A KR20180057182 A KR 20180057182A KR 1020160155520 A KR1020160155520 A KR 1020160155520A KR 20160155520 A KR20160155520 A KR 20160155520A KR 20180057182 A KR20180057182 A KR 20180057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nip
roller
rotation shaft
fee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182A/ko
Priority to US15/673,771 priority patent/US10108139B2/en
Publication of KR2018005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9Conveying means details, e.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 용지를 피딩하기 위한 피딩롤러 및 상기 피딩롤러와 함께 닙(nip)을 형성하도록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딩롤러에 가압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피딩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롤러를 닙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롤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저감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피딩롤러와 가압롤러의 닙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이하, '용지'라 함)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의 일측에 도어가 마련되고, 본체 내부에는 컬러별 현상제를 통해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각각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닛, 복수의 현상유닛에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각 현상유닛의 감광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 현상제를 통해 감광체에 현상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하는 전사장치 및 현상제를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가 카세트로부터 현상유닛으로 이송될 때, 용지의 상태에 따라 이송불량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불량현상을 잼(jam)이라고 한다. 특히, 용지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용지가 구겨져 있는 등 그 상태가 불량하면, 피딩부에 용지가 끼어서 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피딩부에 의해 여러 장의 용지들이 동시에 현상유닛으로 이송될 경우에도 잼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잼은 피딩부의 피딩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 용지가 걸리게 되면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잼된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 도어를 열어 용지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또는 피딩부로부터 용지를 제거하였다.
한편, 도어는 피딩부와 연결되어 있어, 용지 이동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를 열면, 피딩부가 도어와 함께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면서 용지 이동경로가 노출된다.
그런데 피딩부가 본체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피딩부의 피딩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닙이 해제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가 많았다.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 닙이 해제되는 화상형성장치일지라도 닙이 완전하게 해제되지 않아 가압롤러에 의해 용지가 그대로 눌린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를 잡아 당기면 용지가 찢어지게 되므로 2차 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피딩부가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도어를 개폐할 때 피딩부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가 큰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롤러의 조립 상태나 치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피딩부의 피딩롤러와 가압롤러 간의 닙(nip)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2차 잼을 방지하고 용지 스큐(skew) 등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작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 용지를 피딩하기 위한 피딩롤러 및 상기 피딩롤러와 함께 닙(nip)을 형성하도록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딩롤러에 가압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피딩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롤러를 닙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롤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저감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개방 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닙 해제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 제2 회전축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닙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은 상기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피딩롤러 측으로 가압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피딩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각도 범위는 상기 닙에 대한 법선을 기준으로 ±15°이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이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해제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회전축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굽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부분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부분은 본체에 간섭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간섭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간섭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이 힌지 연결된 부분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로부터 상기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한 피딩롤러를 포함하는 픽업모듈; 상기 픽업모듈을 가압하여 상기 픽업모듈과 닙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픽업모듈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닙을 통과하는 상기 용지의 배면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마찰모듈; 및 일단이 상기 도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찰모듈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 개방 시 상기 도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마찰모듈과 상기 픽업모듈의 닙을 해제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피딩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가압롤러가 피딩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각도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 다양한 종류의 화상형성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피딩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 3b는 도2의 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가압롤러가 피딩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각도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본체의 일측(10a)에 구비된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미도시),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형성하는 현상유닛(140), 가시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미도시),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유닛(150)이 구비된다.
도어(20)는 본체의 일 측(10a)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20)는 개방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 내부의 용지 이송경로(2) 중 피딩부(100)를 통과하는 구간을 노출시킨다.
본체(10)는 내부에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30)가 구비된다. 또한, 카세트(30)의 상부에는 용지를 피딩부(100)로 이송하기 위한 픽업롤러(130)가 배치된다.
픽업롤러(130)는 복수(130a, 130b, 130c)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부와 연결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카세트(30)에 적재된 용지의 일면에 접촉한다.
복수의 픽업롤러(130a, 130b, 130c)는 카세트(30)에 적재된 용지에 최대한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카세트(30)에 적재된 최상위 용지를 피딩부(100)로 이송한다.
피딩부(100)로 이송된 용지는 픽업 및 마찰모듈에 의해 용지 이송경로(2)를 따라 현상유닛(140)으로 이송된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피딩부(100)는 용지를 현상유닛(140)으로 이송하기 위한 피딩롤러(101), 피딩롤러와 함께 닙(nip)을 형성하는 가압롤러(102), 가압롤러(102)를 피딩롤러(101)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120), 및 도어(20)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가압롤러(102)를 이동시켜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가동부재(110)를 포함한다.
피딩롤러(101)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용지를 현상유닛(140)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피딩롤러(101)는 제1 회전축(103)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103)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피딩롤러(101)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카세트(30)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카세트(30) 상부에 위치한 현상유닛(140)으로 이송한다.
제1 회전축(103)은 픽업롤러(1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다. 이에 따라 픽업롤러(130)의 회전과 피딩롤러(101)의 회전은 동기화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03)은 별도의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가압롤러(102)는 피딩롤러(101)와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며, 제2 회전축(1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축(104)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지 않는 아이들(idle) 회전축이다.
가압롤러(102)는 상기 닙을 통과하는 용지의 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용지를 피딩부(100)로부터 현상유닛(140)으로 원활하게 이송한다.
가압롤러(102)는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지 않고, 피딩롤러(101)에 가압된 채로 피딩롤러 회전 시 피딩롤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피딩부(100)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04)은 피딩부(100)를 형성하는 피딩부 프레임(106)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05)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다.
가이드부재(105)는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의 닙을 해제하는 방향(도 3a에 표시된 X2에서 X1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05)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105-1)와 제2 가이드부재(10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5-1)에는 개방 가이드 홈(10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이드부재(105-2)에는 폐쇄 루프 가이드 홈(105b)이 형성된다.
개방 가이드 홈(105a)에는 제2 회전축(104)의 일단(104a)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회전축(104)의 일단(104a)은 개방 가이드 홈(105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폐쇄 루프 가이드홈(105b)에는 제2 회전축(104)의 타단(104b)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폐쇄 루프 가이드홈(105b)은 개방 가이드 홈(105a)과 달리 제2 회전축(104)의 타단(104b)이 이탈될 수 없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회전축(104)은 가압롤러(102)를 피딩롤러(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닙을 해제할 수 있도록, 개방 가이드 홈(105a) 및 폐쇄 가이드 홈(105b)을 따라 X₂에서 X₁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개방 가이드 홈(105a) 및 폐쇄 가이드 홈(105b)은 제2 회전축(104)을 직선으로 가이드 하여 도어(20)가 열릴 때 도어(20)의 회전 운동을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도어(20)의 회전 운동이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에 따라, 제2 회전축(104)이 개방 가이드 홈(105a) 및 폐쇄 가이드 홈(105b)와 접하는 부분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방 가이드 홈(105a)은 피딩롤러(101)에서 먼 제2 구간(105a”)의 폭이 피딩롤러(101)에 가까운 제1 구간 (105a')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축(104)은 피딩롤러(101)와 가압롤러(102)가 닙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양 단(104a, 104b)이 한 쌍의 탄성부재(120)에 의해 각각 가압된다.
탄성부재(120)는 토션 스프링(121)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롤러(102)를 피딩롤러(101)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2 회전축(104)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탄성부재(120)는 토션 스프링(121)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부재(120)가 제2 회전축의 양 단(104a, 104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가압롤러(102)가 피딩롤러(101)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용지에 발생할 수 있는 왜곡(skew)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의 일단(121a)은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고정리브(107)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의 일부분(121c)은 제2 회전축(104)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04')에 삽입되어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 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제2 회전축의 이탈방지홈(104')은 토션 스프링(121)이 제2 회전축(104)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회전축의 양단(104a, 104b)에는 한 쌍의 가동부재(110)가 연결될 수 있다.
가동부재(110)는 단일 링크(11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동부재(110)는 단일 링크(112)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단일 링크(112)의 일단에는 제2 회전축(104)과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멍(112a)이 형성된다.
단일 링크(112)의 타단에는 힌지돌기(112b)가 형성되어 도어의 일단(20a)에 형성된 힌지구멍(21)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의 힌지구멍(21)은 도어(20) 개방 시 힌지돌기(112b)가 X1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도어의 회전 중심과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10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일 링크(11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단일 링크(112)는 제2 회전축(104)의 양 단(104a, 104b)에 모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 링크(112)는 제2 회전축(104)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가동부재(110)가 도어(20)의 개폐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가압롤러가 피딩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각도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세트(30)로부터 픽업롤러(130)에 의해 픽업된 용지가 용지 이송경로(2)를 따라서 이송되다가 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잼된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도어(20)를 개방하게 된다.
도어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도어(20)를 R 방향(도 3a 참조)으로 회전시키면, 도어의 힌지구멍(21)에 연결된 단일 링크의 힌지돌기(112b)가 X₁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단일 링크(112)는 X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구멍(112a)에 연결된 제2 회전축(104)은 닙을 해제하기 위한 X₁방향으로 당겨진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단일 링크(112)가 제2 회전축(104)을 X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2 회전축(10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토션 스프링(121)은 압축 변형된다.
따라서, 한 쌍의 단일 링크(112)에 의해 당겨진 제2 회전축(104)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05-1,105-2)에 형성된 가이드 홈들(105a, 105b)을 따라 슬라이딩 하며 피딩롤러(101)와 가압롤러(102)의 닙을 해제하는 방향(X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롤러(102)는 제2 회전축(104)과 함께 닙을 해제하는 X₁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 사이의 닙이 해제된다.
즉, 도어 개방을 위한 도어(20)의 R 방향 회전 운동은 가동부재(110)에 의하여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 사이의 닙이 해제된다.
그러나 제2 회전축(104)이 X₁방향으로 지나치게 먼 거리를 이동할 경우 토션 스프링(121)이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토션 스프링(121)이 영구적으로 변형될 경우 도어(20)를 폐쇄하더라도 제2 회전축(104)이 피딩롤러(101) 측으로 충분히 가압되지 않아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사이에 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121)의 영구적인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제2 회전축(104)의 이동거리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범위 내에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할 때, 가압롤러(102)가 피딩롤러(1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각도 범위(θ, θ')는 피딩롤러(101)와 가압롤러(102)가 닙을 형성하는 면에 대한 법선을 기준으로 ±15°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는 도어(20)가 다시 폐쇄되면서 가압롤러(102)가 탄성부재(120)에 의해 가압되고 피딩롤러(101)와 닙을 형성할 때, 화상형성장치의 최초 설계에 의해 닙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닙이 다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정에 따라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사이의 닙이 해제되면, 가압롤러(102)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더이상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는 피딩부(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용지 제거 시 2차 잼이 발생하지 않는다.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제거하고 도어(20)를 폐쇄할 경우, 도어(20)가 도어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R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단일 링크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구멍(112b)은 X₂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의해 단일 링크(112)는 X₂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구멍(112a)에 연결된 제2 회전축(104)은 닙을 형성하는 X₂방향으로 이동한다.
도어(20)를 폐쇄하면서 단일 링크(112)가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측으로 밀게 되면, 토션 스프링(121)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121)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태로 돌아가면서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 측으로 더욱 가압한다. 그리고 제2 회전축(104)이 X₂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롤러(102)는 피딩롤러(101)에 가압되면서 닙이 다시 형성된다.
토션 스프링(121)은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므로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는 도어(20)가 다시 열리기 전까지 닙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동부재(110)를 한 쌍의 단일 링크(112)로 구성되고, 도어(20)의 회전 운동을 가동부재(110)에 의해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닙 해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양산성을 증가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가동부재에 대한 구성만 다르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210)는 도어(20)가 개방될 때, 도어의 일단(20a)에 간섭되어 직선 이동 하는 제1 부분(211),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탄성부재(120)와 접촉하는 제2 부분(212)을 포함한다.
도어의 일단(20a)에는 도어 개방 시 회전하면서 가동부재의 제1 부분(211)과 접촉하는 접촉부(23)가 형성되고, 가동부재의 제1 부분(211) 일단에는 상기 도어의 접촉부(23)와 접촉하기 위한 제1 절곡부(211a)가 형성된다.
제1 절곡부(211a)는 단면이 “ㄱ” 자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며, 도어(20)가 개방 시 회전하면서 도어의 접촉부(23)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제1 절곡부(211a)의 형상은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어의 접촉부(23)와 접촉하여 접촉부(23)가 제1 절곡부(211a)에 걸리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떠한 단면 형상을 가져도 상관없다.
도어의 접촉부(23)에 제1 절곡부(211a)가 걸리게 되면, 도어(20)의 개폐에 연동하여 가동부재(210)는 Y 방향(도 6b 참조)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의 제1 부분의 중간부(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돌기(220', 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돌기(220', 220”)는 중간부(220)의 좌우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간섭돌기(220', 220”)는 제1 부분(211)이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20)의 개폐 동작에 방해되지 않기 위하여, 제1 절곡부(211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간섭돌기(220', 220”)에 의해 제1 부분(211)은 Y 방향 및 Y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일정 범위로 제한된다.
제1 부분(211)의 이동에 따라 제2 부분(212)에 접촉된 탄성부재(120)가 변형되는데, 제1 부분(211)이 지나치게 먼 거리를 이동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120)가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가 영구적으로 변형될 경우, 도어(20)를 폐쇄하더라도 탄성부재(120)가 제2 회전축(104)을 가압하지 못하고, 가압롤러(102)가 피딩롤러(101) 측으로 가압되지 않아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사이에 닙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압롤러(102)가 용지에 마찰력이나 압력을 가할 수 없는 상태에서 피딩롤러(101)와 이격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부분(21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돌기(220', 2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210)의 제2 부분(212)은 제1 부분(2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굽어져 형성되고, 탄성부재(120)와 접촉하여 탄성부재(120)가 제2 회전축(104)을 가압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저감한다.
제2 부분(212)은 제1 부분(211)의 Y 방향 이동을 탄성부재(120)에 전달하여 탄성부재(120)를 변형시키기 위해, 제1 부분(211)에 대하여 90°로 굽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2 부분(212)이 제1 부분(211)에 대하여 형성되는 각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부분(212)이 제1 부분(211)의 Y 방향 이동을 탄성부재(120)에 전달하여 탄성부재(120)를 변형시킬 수 있는 각도라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20)는 토션 스프링(121)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부분(212)은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과 접촉하여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212a)이 형성된다.
경사면(212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₂방향에서 X₁방향으로 하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20) 개방 시에 토션 스프링(121)이 경사면(212a)을 따라 이동하면서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20)가 폐쇄될 경우에는 토션 스프링(121)이 제2 회전축(104)을 X₂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이 제2 부분의 경사면(212a)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경사면(212a)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부분의 경사면(212a) 양 옆으로는 이탈방지벽(21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210)가 도어(20)의 개폐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카세트(30)로부터 픽업롤러(130)에 의해 픽업된 용지가 용지 이송경로(2)를 따라서 이송되다가 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잼된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도어(20)를 개방하게 된다.
도어(20)를 개방할 경우, 도어(20)가 R 방향(도 6a 참조)으로 일정 거리를 회전하면, 도어의 일단(20a)에 형성된 접촉부(23)가 가동부재의 제1 부분(211)에 형성된 제1 절곡부(211a)에 접촉하게 된다.
도어의 접촉부(23)는 제1 절곡부(211a)의 “ㄱ” 자 형상에 의해 가동부재의 제1 부분(211)에 걸리게 된다.
도어(20)는 R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면서, 제1 부분(211)에 형성된 제1 절곡부(211a)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재의 제1 부분(211)은 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부분에 연장 형성된 제2 부분(212) 역시 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부분(212)이 Y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이 제2 부분에 형성된 경사면(212a)에 접촉하게 된다.
제2 부분(212)이 Y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212a)에 접촉한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은 X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제2 회전축(104)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저감되도록 변형된다.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이 사라지게 되면, 제2 회전축(104)은 가이드부재(105)에 형성된 개방 가이드 홈(105a)을 따라서 X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 사이의 닙이 해제된다.
즉, 도어(20)의 회전 운동이 가동부재(210)에 의하여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 사이의 닙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가압롤러(102)가 피딩롤러(1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각도 범위(θ, θ')는 피딩롤러(101)와 가압롤러(102)가 닙을 형성하는 접선면에 대한 법선에서 ±15°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회전축(104)이 지나치게 X₁방향으로 먼 거리를 이동할 경우 탄성부재(120)가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2 회전축(104)의 이동거리는 용지에 마찰력이나 압력을 가할 수 없는 정도에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축(104)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재의 제1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돌기(220', 220”)가 본체의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정에 따라 닙이 해제되면, 가압롤러(102)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에 더이상 마찰력이나 압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피딩부(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제거하고 도어(20)를 폐쇄할 경우, 도어(20)는 R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의 일단(20a)에 형성된 접촉부(23)는 본체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접촉부(23)가 본체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절곡부(211a)는 접촉부(23)에 접촉된 상태에서 Y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제1 절곡부(211a)가 일정거리를 하강하게 되면, 중앙부(220)에 형성된 간섭돌기(220', 220”)가 본체 내부의 프레임(미도시)에 걸리게 되고, 제1 절곡부(211a)는 더 이상 Y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접촉부(23)는 제1 절곡부(211a)로부터 이격되어 본체 외부 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제1 절곡부(211a)가 일정거리를 하강하면서 가동부재의 제1 및 제2 부분(211, 212)이 동시에 하강하고, 제2 부분의 경사면(212a)에 접촉하고 있던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게 된다.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의 타단(121b)은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212a)을 타고 X₂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토션 스프링(121)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면서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가압롤러(102)는 피딩롤러(101)와 닙을 형성하게 된다.
토션 스프링(121)은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므로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는 도어(20)가 다시 열리기 전까지 닙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재(210)가 도어(20)의 회전 운동을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닙 해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양산성이 높아지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비교하여 가동부재에 대한 구성만 다르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310)는 제1 부분(313)과 제2 부분(312)으로 구성된다.
제1 부분의 중앙부(311')는 본체(10)의 일부분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부분의 일단부(311”)는 도어의 일단(20a)에 형성된 접촉부(23)에 의해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부분의 타단부(311”')는 제2 부분의 일단부(312')가 힌지 연결된다.
제2 부분의 타단부(312”)는 제2 회전축(104)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부분(311, 312)은 제1 및 제2 링크(313, 31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 발명의 이해를 높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부분(311, 312)은 각각 제1 및 제2 링크(313, 314)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제1 링크의 일단(311”)에는 도어의 일단에 형성된 접촉부(23)가 접촉하여 밀 수 있도록 제2 절곡부(313b)가 형성된다.
제2 절곡부(313b)는 단면이 “ㄱ” 자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며, 도어(20)가 개방 시 도어의 접촉부(23)가 제2 절곡부(313b)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절곡부(313b)의 형상은 단면이 “ㄱ”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촉부(23)가 제2 절곡부(313b)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단면 형상을 가져도 상관없다.
제1 링크의 중앙부(311')에는 본체 내부의 일부분(미도시)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돌기(313a)가 형성된다.
제1 링크(313)는 제1 힌지돌기(313a)를 중심축으로 하여 D 방향(도 8a 참조)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링크의 타단(311”')에는 제2 힌지돌기(313c)가 형성된다.
제2 힌지돌기(313c)는 제2 링크의 일단(312')에 형성된 힌지구멍(314b)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링크의 제2 힌지돌기(313c)와 제2 링크의 힌지 구멍(314b)은 제2 회전축(104)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링크(314)가 D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313)의 회전 운동을 제2 회전축(104)이 개방 가이드 홈(105a)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링크의 타단(312”)에는 결합 구멍(314a)이 형성되어 제2 회전축(104)과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가동부재(310)가 도어(20)의 개폐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및 제2 부분(311, 312)은 제1 및 제2 링크(313, 314)로, 탄성부재(120)는 토션 스프링(121)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카세트(30)로부터 픽업롤러(130)에 의해 픽업된 용지가 용지 이송경로(2)를 따라서 이송되다가 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잼된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도어(20)를 개방하게 된다.
사용자가 외력으로 도어(20)를 개방할 경우, 도어(20)가 R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회전하면, 도어의 일단(20a)에 형성된 접촉부(23)가 가동부재의 제1 링크(313)에 형성된 제2 절곡부(313b)에 접촉하게 된다.
도어의 접촉부(23)는 제2 절곡부(313b)의 “ㄱ” 자 형상에 의해 가동부재의 제1 링크(313)에 걸리게 된다.
도어(20)가 R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면, 접촉부(23)는 제1 링크(313)에 형성된 제2 절곡부(313b)를 D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1 링크(313)는 제1 힌지돌기(313a)를 중심축으로 하여 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링크(313)가 D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힌지돌기(313c)는 제2 링크의 힌지구멍(314b)을 X₁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그리고 제2 링크의 결합구멍(314a)은 제2 회전축(104)을 X₁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121)은 압축 변형되며,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이 저감된다.
제2 회전축(104)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05-1,105-2)에 형성된 가이드 홈들(105a, 105b)을 따라 슬라이딩 하며 직선 이동하고, 가압롤러(102)는 피딩롤러(101)로부터 멀어지면서 닙이 해제된다.
즉, 도어(20)와 제1 링크(313)의 회전 운동이 제2 링크(314)에 의하여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 사이의 닙이 해제된다.
그러나 제2 회전축(104)이 지나치게 X₁방향으로 먼 거리를 이동할 경우 토션 스프링(121)이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21)이 영구적으로 변형될 경우 도어(20)를 폐쇄하더라도 제2 회전축(104)이 피딩롤러(101) 측으로 충분히 가압되지 않아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사이에 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121)의 영구적인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제2 회전축(104)의 이동거리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범위 내에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313)가 제1 힌지돌기(313a)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데, 제1 링크에 형성된 제2 절곡부(313b)가 도어의 접촉부(23)에 의해 일정 거리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회전축(104)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가압롤러(102)가 피딩롤러(1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각도 범위(θ, θ')는 피딩롤러(101)와 가압롤러(102)가 닙을 형성하는 접선면에 대한 법선에서 ±15°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에 따라 닙이 해제되면, 가압롤러(102)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에 더이상 마찰력이나 압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피딩부(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딩부(100)에 잼된 용지를 제거하고 도어(20)를 폐쇄할 경우, 도어(20)가 도어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R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의 일단(20a)에 형성된 접촉부(23)는 본체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접촉부(23)가 본체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부분의 일단(311”)에 형성된 제2 절곡부(313b)는 접촉부(23)와 이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절곡부(313b)를 D 방향으로 미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고, 제2 힌지돌기(313c)가 제2 링크의 힌지구멍(314b)을 잡아당기는 힘도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121)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귀하면서 X2 방향으로 제2 회전축(10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제2 회전축(104)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05-1,105-2)에 형성된 가이드 홈들(105a, 105b)을 따라 X₂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제2 링크의 힌지구멍(314b)은 제2 힌지돌기(313c)를 X₂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때, 제1 링크(313)는 제1 힌지돌기(313a)를 중심축으로 하여 D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121)이 제2 회전축(104)을 X₂방향으로 가압하여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가 닙을 형성하도록 한다.
토션 스프링(121)은 제2 회전축(104)을 피딩롤러(101)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므로 가압롤러(102)와 피딩롤러(101)는 도어(20)가 다시 열리기 전까지 닙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310)는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313, 314)에 의해 도어(20)의 회전 운동을 제2 회전축(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닙을 해제하는 구조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을 조합하거나, 하기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도어 30: 카세트
100: 피딩부 110: 가동부재
120: 탄성부재 130: 픽업롤러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
    용지를 피딩하기 위한 피딩롤러 및 상기 피딩롤러와 함께 닙(nip)을 형성하도록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딩롤러에 가압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피딩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롤러를 닙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롤러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저감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개방 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닙 해제 방향으로 당겨지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닙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은 상기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피딩롤러 측으로 가압하지 않도록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피딩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각도 범위는 상기 닙에 대한 법선을 기준으로 ±15°인, 화상형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이동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해제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굽어져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부분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본체에 간섭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간섭돌기가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간섭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이 힌지 연결된 부분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화상형성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인, 화상형성장치.
  15.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로부터 상기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한 피딩롤러를 포함하는 픽업모듈;
    상기 픽업모듈을 가압하여 상기 픽업모듈과 닙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픽업모듈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닙을 통과하는 상기 용지의 배면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마찰모듈; 및
    일단이 상기 도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찰모듈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 개방 시 상기 도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마찰모듈과 상기 픽업모듈의 닙을 해제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60155520A 2016-11-22 2016-11-22 화상형성장치 KR20180057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20A KR20180057182A (ko) 2016-11-22 2016-11-22 화상형성장치
US15/673,771 US10108139B2 (en) 2016-11-22 2017-08-10 Moveable member to move a pressure roller in a direction away from a feeding roller according to an opening operation of a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20A KR20180057182A (ko) 2016-11-22 2016-11-2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82A true KR20180057182A (ko) 2018-05-30

Family

ID=6214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520A KR20180057182A (ko) 2016-11-22 2016-11-2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08139B2 (ko)
KR (1) KR20180057182A (ko)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49B2 (ja) 1991-08-27 2000-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96003B2 (ja) 1992-03-13 1999-12-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JPH05319617A (ja) 1992-05-14 1993-12-03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および用紙の搬送方法
JPH061492A (ja) 1992-06-19 1994-01-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紙詰まり除去装置
JP3342186B2 (ja) 1994-06-20 2002-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151165A (ja) 1994-11-29 1996-06-11 Canon Inc 給紙搬送装置及び該給紙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541488B2 (ja) 1995-04-14 2004-07-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197736A (ja) 1996-01-18 1997-07-31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744425B2 (ja) 1996-03-11 1998-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MX9801299A (es) 1997-03-19 1998-11-29 Xerox Corp Impresora de chorro de tinta que incluye un transporte de medio desmotable para eliminar el atascamiento del papel.
JPH11343046A (ja) 1999-04-19 1999-12-1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335776A (ja) 1999-05-27 2000-12-05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772956B2 (ja) 1999-11-30 2006-05-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シート供給ユニット
JP3931544B2 (ja) 2000-08-30 2007-06-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後処理装置
JP3528786B2 (ja) 2000-11-20 2004-05-24 村田機械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02179343A (ja) 2000-12-18 2002-06-26 Ricoh Co Ltd 再給紙装置
JP3927791B2 (ja) 2001-11-21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36702B2 (ja) 2003-02-19 2008-08-2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215182A (ja) 2004-01-28 2005-08-1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343810B2 (ja) 2004-10-13 2009-10-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US7460813B2 (en) * 2005-03-25 2008-12-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8385800B2 (en) * 2006-08-25 2013-02-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for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nip force between heating roller and pressure roller
JP2008145660A (ja) 2006-12-08 2008-06-26 Canon Inc ニップ圧解除装置
JP2008164781A (ja) 2006-12-27 2008-07-1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4967648B2 (ja) 2006-12-27 2012-07-04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45417A (ja) * 2007-12-11 2009-07-02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77108B2 (ja) 2008-07-04 2012-1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37566B2 (ja) 2008-07-28 2011-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16523B2 (ja) 2009-03-19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64849B2 (ja) 2009-07-31 2014-08-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45048B2 (ja) 2009-11-13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98002B2 (ja) 2009-12-28 2013-09-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60410B2 (ja) 2010-03-26 2014-04-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ジャム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17157A (ja) 2010-03-31 2011-10-27 Murata Machinery Ltd 画像読取装置
JP5316564B2 (ja) * 2010-09-30 201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184754A (ja) 2012-03-06 2013-09-19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30890A (ja) 2012-04-27 2013-11-14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14400B2 (ja) 2013-03-27 2016-05-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083506A (ja) 2013-10-25 2015-04-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164239B1 (ko) 2014-05-30 2020-10-1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6409601B2 (ja) 2015-02-06 2018-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3582A1 (en) 2018-05-24
US10108139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210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503559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with linked rotatable guide members and guide plate
JP6541415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141874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7137559A (ja) 給紙装置
US9079727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83822B2 (en) Sheet feeding unit, sheet feeding apparatus including sheet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eet feeding apparatus
JP6723844B2 (ja) 画像形成装置
JP4584811B2 (ja) 手差装置、手差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33250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58324B2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6163328A1 (ja) 画像形成装置
KR20180057182A (ko) 화상형성장치
JP2018084780A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127089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6605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9243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及びシート搬送装置
US102058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upper casing which opens and closes relative to lower casing
JP4792073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4004997A1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015254A1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69182A (ja) 画像形成装置
JP668567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375283Y1 (ko) 2단 열림방식의 슈트를 구비한 사무용 기기
JP6561534B2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