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218B1 -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218B1
KR101588218B1 KR1020090051518A KR20090051518A KR101588218B1 KR 101588218 B1 KR101588218 B1 KR 101588218B1 KR 1020090051518 A KR1020090051518 A KR 1020090051518A KR 20090051518 A KR20090051518 A KR 20090051518A KR 101588218 B1 KR101588218 B1 KR 10158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main body
control member
photosensitive drum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755A (ko
Inventor
지민식
최재일
이준희
김종인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18B1/ko
Priority to EP10161655.5A priority patent/EP2261756B1/en
Priority to US12/782,229 priority patent/US8503907B2/en
Priority to CN2010202273509U priority patent/CN201926869U/zh
Publication of KR2010013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Abstract

개시된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감광드럼과 이와 대면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를 포함한다. 현상카트리지에는 감광드럼을 현상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감광드럼을 현상롤러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를 갖는 현상닙제어부재가 마련된다. 본체에는 현상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제1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를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ment nip control method thereof, and packig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닙 제어방법,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수용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한다.
감광체와 토너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를 '현상카트리지'라 한다. 현상카트리지는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현상카트리지에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점잠상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가 마련된다. 접촉현상방식에 채용된 경우에 현상롤러는 감광체에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 성한다.
현상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탈거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유통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현상닙 제어방법, 및 포장방법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드럼과 이와 대면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광드럼을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감광드럼을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를 갖는 현상닙제어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는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의 위치를 전환시키지 않는 위치로 도피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는 도피된 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원형의 외주부;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그 중심이 상기 외주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내주부; 상기 외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현상닙재어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위치전환부재와 간섭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본체에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착탈될 때에 상기 제1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의 레버부와 간섭되는 작동아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현상닙제어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작동아암의 회동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위치와, 상기 전환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작동아암; 상기 작동아암에 상기 전환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아암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되어 상기 작동아암을 상기 도피위치로 도피시키도록 안내하는 도피부; 상기 작동아암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탈거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되어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드럼과 이와 대면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축과 편심된 회동축을 중심으 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서로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홀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홀더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위치와, 상기 전환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로 이동되는 작동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은 상기 홀더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도피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과 상기 홀더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전환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작동아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은 상기 전환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홀더와 간섭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킨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을 상기 전환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은, 서로 접촉되어 현상을 수행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및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현상닙제어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카트리지를,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제1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단계;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하고, 상기 탈거과정에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위치 전환부재와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가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닙이 형성된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에 다시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착탈될 때에,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는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의 위치를 전환시키지 않는 위치로 도피된다.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는 도피된 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닙제어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포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은,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드럼과 이와 대면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광드럼을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감광드럼을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를 갖는 현상닙제어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으로 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본체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광드럼이 현상롤러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현상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으며, 현상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였다거 다시 장착함으로써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유통과정에서의 현상롤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그 현상닙제어방법, 및 포장방법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현상카트리지(100), 광주사유닛(200), 전사기(300), 및 정착기(400)가 도시되어 있다.
현상카트리지(20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에 마련된 도너(601)를 통하여 본체(600)에 착탈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00)는 감광드럼(1), 대전롤러(2), 현상롤러(3), 토너수용부(6)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감광드럼(1)은 현상카트리지(100)에 설치된 회전축(10)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바 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3)는 토너수용부(6)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3)와 감광드럼(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D)을 형성하는 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한다. 이 경우 현상롤러(3)는 도전성 금속 코어(미도시)의 외주에 탄성층(미도시)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현상롤러(3)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이 현상닙(D)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현상카트리지(100)에는 토너수용부(6)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롤러(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00)에는 토너수용부(6)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롤러(3)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반기(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교반기(5)는 토너수용부(6)에 수용된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00)에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닙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00)에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광주사유닛(200)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유닛(200)으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감광드럼(1)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유닛(200)은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현상카트리지(100)에 마련된 개구(9)를 통하여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수용부(6)에 수용된 토너는 교반기(5)와 공급롤러(4)에 의하여 현상롤러(3)의 표면으로 공급되어 부착된다. 규제부재(7)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D)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이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502)에 의하여 적재수단(501)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3)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05)에 의하여 배출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8)에 의하여 제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닙(D)은 예를 들면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의 표면의 중첩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접촉현상방식에서 화상의 품질은 현상닙의 변화에 민감하게 좌우된다. 화상형성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에, 현상카트리지(100)는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제조가 완료된 때로부터 사용자가 실제로 화상형성장치를 구입하여 현상카트리지(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에 장착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 상당한 시간 동안에 현상롤러(3)의 변형이 발생되어 현상닙(D)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또, 현상닙(D)에 존재하는 토너가 현상롤러(3) 또는 감광드럼(1)에 고착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상롤러(3)를 감광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현상카트리지(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와 별도로 포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현상카트리지(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에 장착할 때에 현상롤러(3)와 감광드럼(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현상카트리지(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현상닙(D)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와 현상카트리지(100)를 별도로 포장하여 유통하여야 하므로, 물류비용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카트리지(100)를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에 장착하여 포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현상카트리지(100)가 본체(600)에 장착될 때에는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가 서로 이격된 상태이며, 현상카트리지(100)를 본체(600)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에서 감광드럼(1)과 현상롤러(3)가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D)이 형성된다. 그 후에 현상카트리지(100)를 본체(600)에 재장착하면, 화상형성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롤러(3)는 현상카트리지(100)의 양측벽(101)(102)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또, 감광드럼(1)은 양측벽(101)(102)에 결합된 회전축(10)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현상롤러(3)와 감광드럼(1)에 각각 마련된 기어(31)(11)는 서로 맞물린다. 두 기어(31)(11) 중 어느 하나는 현상카트리지(100)가 본체(600)에 장착되면 본체(600)에 마련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직접 또는 기어열(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3)는 고정된 위치를 가지며, 감광드럼(1)이 이동되어 현상롤러(3)로부터/에 이격/접촉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닙제어부재와 위치전환부재를 구비한다. 현상닙제어부재는 현상카트리지(100)에 설치되며, 감광드럼(1)을 현상롤러(3)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감광드럼(1)을 현상롤러(3)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를 갖는다. 위치전환부재는 본체(600)에 설치되며, 현상카트리지(100)가 본체(600)로부터 탈거될 때에 제1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를 제2위치로 전환시킨다. 위치전환부재는 제2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고안될 수 있다. 위치전환부재는 현상카트리지(100)가 본체(600)에 장착될 때에는, 제1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현상닙제어부재의 위치를 전환시키지 않는 위치로 도피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전환부재는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는 도피된 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고안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보면, 현상닙제어부재의 일 예로서 홀더(20)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20)는 현상카트리지(100)의 측벽(101)에 마련된 삽입공(103)에 삽입되는 외주부(21)와, 회전축(1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내주부(22)와, 외주부(21)로부터 연장된 레버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는 삽입공(103)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의 단부에 챔퍼부(12)가 마련되고, 내부주(22)도 회전축(1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10)의 단부는 내주부(22)에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홀더(20)가 회전되면 회전축(10)도 함께 회전된다. 내주부(22)와 회전축(10)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더(20)와 회전축(1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어떠한 결합구조라도 무방하다. 회전축(10)이 홀더(20)와 함께 회전되므로, 측벽(102)에서 회전축(10)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는 홀더(20a)는 내주부(22)와 외주부(21)를 가지지만 레버부(23)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다. 내주부(22)의 중심(C2)은 외주부(21)의 중심(C1)에 대하여 편심되게 위치된다. 도 5는 홀더(2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내주부(22)의 중심(C2)은 외주부(21)의 중심(C1)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고, 감광드럼(1)은 현상롤러(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홀더(20)를 반시계방향으로 예를 들어 90도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부(22)의 중심(C2)는 외주부(21)의 중심(C1)에 대하여 도면의 우측, 즉 현상롤러(3)쪽으로 이동되고, 감광드럼(1)이 현상롤러(3)에 접촉되어 현상닙(D)이 형성된다. 편심량(e)은 현상닙(D)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가 90도 회전되어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라면, 편심량(e)은 현상닙(D)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위치전환부재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위치전환부재는 본체(600)에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되는 작동아암(620)과, 작동아암(6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아암(620)은 제1위치에 위치된 홀더(20)를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위치와, 상기 전환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아암(620)은 본체(600)를 형성하는 프레임(610)에 마련된 축(611)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작동아암(620)은 현상카트리지(100)가 착탈될 때에 제1치에 위치된 홀더(20)의 레버부(23)와 간섭된다. 홀더(20)가 제1위치(도 5)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가 도 7의 A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600)로부터 탈거될 때에, 스토퍼(630)는 작동아암(620)이 E1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홀더(20)와 작동아암(620)과의 간섭이 유지되고, 홀더(20)는 제2위치로 전환된다. 홀더(20)가 제1위치(도 5)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가 도 7의 B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600)에 장착될 때에, 작동아암(620)은 홀더(20)의 레버부(23)와 간섭되어 E2방향으로 회동되어 도피 된다. 따라서, 홀더(20)는 제1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홀더(20)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작동아암(620)은 자중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작동아암(620)은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도 있다.
현상카트리지(100)는 홀더(20)가 제1위치(도 5)에 위치된 상태로 B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600)에 장착된다. 이 때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의 레버부(23)가 작동아암(620)과 간섭되지만, 작동아암(620)이 축(611)을 중심으로 E2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레버부(23)로부터 도피되므로, 홀더(20)는 회동되지 않고 제1위치에 유지된다. 이후, 작동아암(620)은 자중에 의하여 E1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현상카트리지(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이 상태로 포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본체(600)와 현상카트리지(100)를 개별 상자로 포장하는 경우나, 현상카트리지(100)를 본체(600)의 외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와 본체(600)를 하나의 상자에 포장하는 경우에 비하여 포장비용이 줄어들게 되며, 물류비용 역시 절감될 수 있다. 또, 감광드럼(1)이 현상롤러(3)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공장에서 출하된 후 사용자에게 도달되기까지의 시간동안에 현상롤러(3)의 변형이나 토너의 감광드럼(1) 또는 현상롤러(3)에의 고착 등으로 인한 화상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현상카트리지(100)에는 감광드럼(1)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나, 토너수용부(6)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하여 현상카트리지(100)에 결합되는 토너통(미도시)을 토너수용부(6)와 분리시키는 분리필름 등이 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를 인쇄에 사용하기 전에 현상카트리지(100)로부터 이러한 다양한 보호용 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최초로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현상카트리지(100)를 본체(600)로부터 탈거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카트리지(100)를 A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본체(600)로부터 탈거할 때에 제1위치에 위치된 홀더(20)의 레버부(23)가 작동아암(620)과 간섭된다. 이 때, 스토퍼(630)가 작동아암(620)이 E1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있으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가 제2위치로 회동된다. 이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은 현상롤러(3)와 접촉되고 현상닙(D)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현상카트리지(100)를 다시 본체(600)에 장착한다. 이 때에는 홀더(20)가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아암(620)과 레버부(23)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광드럼(1)와 현상롤러(3)는 현상닙(D)을 형성하는 위치에 유지되며,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위치전환부재의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아암(620a)의 단부에 돌출부(621)가 마련되고, 이 돌출부(621)는 프레임(610)에 마련된 홈(612)에 삽입될 수 있다. 작동아암(620a)은 E2방향으로는 홈(612)을 따라 회동될 수 있지만, E1방향으로 회동될 때에는 돌출부(621)가 홈(612)의 단부(613)에 걸려 회동이 제한된다. 이 경우에 돌출부(621)와 홈(612)의 단부(613)가 도 7에 도시된 스토퍼(63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홀더(2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가 B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600)에 장착될 때에는 레버부(23)와의 간섭에 의하여 작동아암(620a)이 E2방향으로 회동되어 홀더(20)가 제2위치로 전환 되지 않도록 도피된다. 홀더(2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가 A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600)로부터 탈거될 때에는 작동아암(620a)의 돌출부(621)가 홈(612)의 단부(613)에 걸려서 작동아암(620a)이 E1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므로, 홀더(20)가 회동되어 제2위치로 전환된다.
도 11과 도 12에는 위치전환부재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를 보면, 작동아암(640)은 프레임(610)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다. 작동아암(640)은 제1위치에 위치된 홀더(20)를 제2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위치(도 11)와, 전환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도 12)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600), 예를 들면 프레임(610)에 마련된다. 작동아암(640)의 슬라이딩방향은 예를 들어 현상카트리지(10)의 착탈방향(A, B)에 대하여 직각일 수 있다. 탄성부재(650)는 작동아암(640)이 전환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작동아암(64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작동아암(640)에는 도피부(641)와 전환부(642)가 마련된다. 도피부(641)는 현상카트리지(100)가 장착될 때에 제1위치에 위치된 홀더(20)와 간섭되어 작동아암(640)을 도피위치로 도피시키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현상카트리지(100)의 장착방향(B)에 대하여 경사지게, 즉 방향(B)로 갈수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환부(642)는 현상카트리지(100)가 A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탈거될 때에 제1위치에 위치된 홀더(20)와의 간섭되어 홀더(20)를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작동아암(64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작동아암(640)에 형성될 수 있다. 전환부(642)의 형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전환부(642)의 형태는 현상카트리지(100)가 A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에 레 버부(23)와 간섭되더라도 작동아암(640)이 도 11에 도시된 전환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642a)는 프레임(610)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프레임(610)과 전환부(642a) 사이에 레버부(23)가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전환부(642a)가 레버부(23)에 걸리기 때문에 작동아암(640a)은 도피위치로 도피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홀더(2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가 B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600)에 장착될 때에는 레버부(23)와 도피부(641)와의 간섭에 의하여 작동아암(640, 640a)은 도 12에 도시된 도피위치로 이동되며, 홀더(20)는 제1위치에 유지된다. 레버부(23)와 도피부(641)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탄성부재(6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아암(640, 640a)은 도 11, 도 13에 도시된 전환위치로 복귀된다. 홀더(2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100)가 A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본체(600)로부터 탈거될 때에는 레버부(23)는 전환부(640, 640a)에 걸린다. 작동아암(640, 640a)은 전환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홀더(20)가 회동되어 제2위치로 전환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작동아암(640, 640a)은 직선적으로 슬라이딩되나,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아암(640b)은 프레임(610)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 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3은 현상닙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현상닙제어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홀더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홀더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위치전환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와 도 8b는 홀더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9a와 도 9b는 홀더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탈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0은 위치전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위치전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작동아암이 도피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작동아암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작동아암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현상롤러 4......공급롤러
5......교반기 6......토너수용부
7......규제부재 8......클리닝 부재
9......개구 10......회전축
11, 31......기어 12......챔퍼부
20......홀더 21......외주부
22......내주부 23......레버부
100......현상카트리지 101. 103......측벽
103......삽입공 200......광주사유닛
300......전사롤러 400......정착기
501......적재수단 502......픽업롤러
503......피드롤러 504......배출롤러
600......본체 601......도어
610......프레임 630......스토퍼
620, 620a, 640, 640a, 640b......작동아암
641......도피부 642, 642a......전환부
650......탄성부재

Claims (18)

  1.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드럼과 이와 대면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광드럼을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감광드럼을 상기 현상롤러에 접촉시키는 제2위치를 갖는 현상닙제어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위치전환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는 간섭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의 위치를 전환시키지 않는 위치로 도피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는 도피된 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원형의 외주부;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그 중심이 상기 외주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내주부;
    상기 외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현상닙제어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위치전환부재와 간섭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본체에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착탈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의 레버부와 간섭되는 작동아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현상닙제어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작동아암의 회동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위치와, 상기 전환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작동아암;
    상기 작동아암에 상기 전환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아암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작동아암을 상기 도피위치로 도피시키도록 안내하는 도피부;
    상기 작동아암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탈거될 때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화상형성장치 본체;
    감광드럼과 이와 대면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축과 편심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서로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홀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홀더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위치와, 상기 전환위치로부터 도피된 도피위치로 이동되는 작동아암;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은 상기 홀더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도피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과 상기 홀더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전환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작동아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은 상기 전환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홀더와 간섭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될 때에 상기 작동아암을 상기 전환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서로 접촉되어 현상을 수행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및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현상닙제어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카트리지를,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제1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단계;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하고, 상기 탈거과정에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위치전환부재와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가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제2위치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닙이 형성된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에 다시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착탈될 때에,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는 간섭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현상닙제어부재 의 위치를 전환시키지 않는 위치로 도피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환부재는 상기 현상닙제어부재와의 간섭이 종료된 후에는 도피된 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닙제어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포장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18. 제1항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현상닙제어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본체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KR1020090051518A 2009-06-10 2009-06-10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KR10158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518A KR101588218B1 (ko) 2009-06-10 2009-06-10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EP10161655.5A EP2261756B1 (en) 2009-06-10 2010-04-30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hand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12/782,229 US8503907B2 (en) 2009-06-10 2010-05-18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hand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0202273509U CN201926869U (zh) 2009-06-10 2010-06-10 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518A KR101588218B1 (ko) 2009-06-10 2009-06-10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755A KR20100132755A (ko) 2010-12-20
KR101588218B1 true KR101588218B1 (ko) 2016-01-25

Family

ID=4273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518A KR101588218B1 (ko) 2009-06-10 2009-06-10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3907B2 (ko)
EP (1) EP2261756B1 (ko)
KR (1) KR101588218B1 (ko)
CN (1) CN20192686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98B1 (ko) 2009-07-30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48753B1 (ko) * 2013-10-25 2019-11-2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메인티넌스 방법
KR102164239B1 (ko) * 2014-05-30 2020-10-1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스캐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6765806B2 (ja) * 2014-11-28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離間部材
KR20160074232A (ko) * 2014-12-18 201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594011B2 (ja) * 2015-03-27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733802B1 (ko) * 2015-12-23 2017-05-1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582972B2 (ja) 2015-12-25 2019-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589630B2 (ja) * 2015-12-25 2019-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KR20170077594A (ko) * 2015-12-28 2017-07-0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788358B2 (ja) * 2016-02-23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70126716A (ko) * 2016-05-10 2017-11-2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109884867A (zh) * 2019-03-31 2019-06-14 珠海市拓佳科技有限公司 处理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97B1 (ko) 2005-09-06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60239711A1 (en) 2005-04-24 2006-10-26 Hymas Scott K Printing device cartridge having position in which rollers are separated from photoconductor
KR100693338B1 (ko) 2005-09-0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8104B2 (ja) * 1992-02-25 1999-12-06 富士通株式会社 現像器支持台車のロック機構
JP3017916B2 (ja) * 1993-12-27 2000-03-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86077B2 (ja) * 2005-03-18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53B2 (ja) * 2005-04-27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9711A1 (en) 2005-04-24 2006-10-26 Hymas Scott K Printing device cartridge having position in which rollers are separated from photoconductor
KR100629497B1 (ko) 2005-09-06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93338B1 (ko) 2005-09-0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16409A1 (en) 2010-12-16
EP2261756A1 (en) 2010-12-15
EP2261756B1 (en) 2018-09-26
US8503907B2 (en) 2013-08-06
CN201926869U (zh) 2011-08-10
KR20100132755A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218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KR970001389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012392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7072603B2 (en)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US94595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39174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970001390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1385967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1105341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77565A (ja) 着脱部材、現像器、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181897B1 (en) Developing apparatus
JP737973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6102986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55579A (ja) 離間保持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047150A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cover member
KR012392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JPH096110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0132559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클리닝장치의 조리방법
JP20111500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3036B2 (ja) 感光体と現像ローラの位置決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542509B2 (ja) 磁気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1199791B2 (en)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JP6576100B2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33929A (ja) 画像形成装置
JP55229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