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82B1 -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82B1
KR101278382B1 KR20117015804A KR20117015804A KR101278382B1 KR 101278382 B1 KR101278382 B1 KR 101278382B1 KR 20117015804 A KR20117015804 A KR 20117015804A KR 20117015804 A KR20117015804 A KR 20117015804A KR 101278382 B1 KR101278382 B1 KR 10127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s
rotating body
valve timing
hydraulic
relativ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440A (ko
Inventor
하루히토 후지무라
유우 요코야마
마사키 누마쿠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2007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5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means for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 F01L2001/34453Locking means between driving and drive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5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means for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 F01L2001/34453Locking means between driving and driven members
    • F01L2001/34456Locking in only on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5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means for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 F01L2001/34453Locking means between driving and driven members
    • F01L2001/34476Restrict range locking means

Abstract

최지각 위상에서 베인 로터와 하우징의 상대 회동을 로크하는 로크 핀을 구비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 있어서, 베인 로터에 정의 캠 토크가 작용하는 시기에 로크 핀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규정 각도 (α) 를 설정한다. 그리고, 크랭크각이 그 규정 각도 (α) 가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진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확실한 해제를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동작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재 등의 내연 기관에 탑재되는 기구로서, 기관 밸브 (흡배기 밸브) 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실용화된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로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유압식의 기구가 존재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에서는, 캠 샤프트 (2) 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베인 로터 (3) 의 외주에는, 캠 스프로킷 (4) 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대략 원고리 형상의 하우징 (5) 이 상대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베인 로터 (3) 의 외주에는, 복수의 베인 (6) 이 직경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베인 (6) 은, 하우징 (5) 의 내주에 형성된 베인 (6) 과 동수의 오목부 (7) 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각 오목부 (7) 의 내부에는, 베인 (6) 에 의해 구획되어 2 개의 유실 (油室)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베인 (6) 의 캠 샤프트 회전 방향에 형성된 유실은, 밸브 타이밍을 지각 (遲角) 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 (8) 로 되어 있다. 또 베인 (6) 의 캠 샤프트 회전 반대 방향에 형성된 유실은, 밸브 타이밍을 진각 (進角) 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 (9)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각 유실 (8) 내의 유압 및 진각 유실 (9) 내의 유압은, 기관 제어용 전자 제어 유닛 (ECU) (10) 에 의해 제어된 오일 컨트롤 밸브 (OCV) (11) 에 의해 조정된다.
이러한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는, 충분한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관 시동시에 밸브 타이밍을 유지하기 위한 기계식의 로크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는, 베인 로터 (3) 의 베인 (6) 중 1 개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배치 형성된 로크 핀 (12) 과, 캠 스프로킷 (4) 에 형성되어 로크 핀 (12) 을 끼워맞출 수 있는 로크 구멍 (13)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핀 (12) 은, 그 기단측에 형성된 스프링 (14) 에 의해 로크 구멍 (13) 에 끼워맞추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핀 (12) 에는, 지각 유실 (8) 또는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의 공급에 따라, 스프링 (14)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도록 유압이 인가된다. 또한, 이러한 기계식의 로크 기구로는, 로크 핀과 로크 구멍이 하우징의 직경 방향 내주부와 베인의 직경 방향 외주부에 형성된 구성 등도 알려져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에서는, 로크 핀 (12) 및 로크 구멍 (13) 은,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가 가장 지각 방향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반대 방향) 으로 상대 회동했을 때에 위치가 맞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로는,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가 가장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 최진각 위상에서 로크를 실시하는 것이나, 최진각 위상과 최지각 위상 사이의 중간 로크 위상에서 로크를 실시하는 것 등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서는, 기관 시동 후에 지각 유실 (8), 진각 유실 (9) 에 유압을 공급하여 로크 핀 (12) 을 해제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 시킨 후,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의 상대 회동, 즉 밸브 타이밍의 변경을 개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410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76518호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최지각 위치에서 로크를 실시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에서는, 기관 시동 후, 로크 핀 (12) 을 해제한 후에 진각 방향으로의 밸브 타이밍의 변경을 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의 공급에 의해 로크 핀 (12) 의 해제를 개시했을 때에, (b) 로크 핀 (12) 의 해제 전에 베인 로터 (3) 가 진각측으로 회동하기 시작하면, (c) 로크 핀 (12) 이 로크 구멍 (13) 의 진각측의 측둘레 (도 7(c) 의 원 (B) 부분) 에 걸리고 말아, 로크 핀 (12) 의 해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는 최지각 위치 이외에서 로크를 실시하는 구성이나, 로크 핀 및 로크 구멍이 하우징 및 베인의 직경 방향에 위치하는 구성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관련된 제 1 발명은, 이하의 (A) ∼ (E) 의 구성을 구비하고, 하기와 같은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통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를 그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A)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
(B) 그 제 1 회전체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
(C) 제 2 회전체에 대해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
(D) 제 2 회전체에 대해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
(E)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유압의 공급에 따른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는, 크랭크각이 규정 각도일 때에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유압 공급을 개시한다.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에는 캠 토크가 작용한다. 그러한 캠 토크의 크기 및 방향은 크랭크각에 따라 변동된다. 그리고, 캠 토크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서는, 유압 공급에 따른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해지거나 어려워지거나 한다.
이 점, 제 1 발명에서는 크랭크각이 규정 각도가 될 때에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유압 공급을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핀의 해제가 용이한 상태로 캠 토크가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발명에 의하면,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규정 각도란, 미리 정해진 특정 각도뿐만 아니라, 내연 기관의 운전 상황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가변값으로 해도 된다.
본원에 관련된 제 2 발명은, 상기의 (A) ∼ (E) 의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통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를 그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는, 크랭크각에 기초하여 상기 로크 핀의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유압 공급을 개시한다.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에는 캠 토크가 작용한다. 그러한 캠 토크의 크기 및 방향은 크랭크각에 따라 변동된다. 그리고, 캠 토크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서는, 유압 공급에 따른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해지거나 어려워지거나 한다.
이 점, 제 2 발명에서는 크랭크각에 기초하여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유압 공급을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핀의 해제가 용이한 상태로 캠 토크가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발명에 의하면,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로크 핀은 지각 유실 및 진각 유실 중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라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유압이 공급되는 상기 일방의 유실을, 기관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유실로 하면, 로크 핀의 해제로부터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제 1 회전체에 작용하는 시기에 로크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설정함으로써, 확실한 로크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원에 관련된 제 3 발명은, 이하의 (F) ∼ (J) 의 구성을 구비하고, 하기 와 같은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통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를 그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F)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
(G) 그 제 1 회전체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
(H) 제 2 회전체에 대해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
(I) 제 2 회전체에 대해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
(J)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지각 유실 및 진각 유실 중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의 공급에 따른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3 발명은,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제 1 회전체에 작용하는 시기에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른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위한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한다.
이러한 제 3 발명에서는, 지각 유실 및 진각 유실의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라 로크 핀의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이 해제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핀의 해제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전체가 상대 회동하기 시작하려고 한다. 그리고, 로크 핀이 해제되기 전에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이 시작되면, 로크 핀이 로크 구멍의 측둘레에 꽉 눌려 그 끼워맞춤의 해제가 곤란해진다.
그 점,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제 1 회전체에 대해, 로크 핀의 해제에 수반하여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토크가 작용하는 시기에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된다. 이 때문에, 캠 토크에 의해 제 1 및 제 2 상대 회동이 억제된 상태에서 로크 핀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벨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유압이 공급되는 상기 일방의 유실을, 기관 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유실로 하면, 로크 핀의 해제부터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해제 불량이 발생할 때의 캠 토크, OCV 구동 듀티, 진각 유압 및 로크 핀의 변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의 (a) ∼ (c) 는 해제 불량이 발생할 때의 로크 핀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캠 토크, OCV 구동 듀티, 진각 유압 및 로크 핀의 변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의 (a) ∼ (c) 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시의 로크 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동 실시형태에 채용되는 로크 핀 해제 루틴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6 은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정면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의 (a) ∼ (c) 는 해제 불량이 발생할 때의 로크 핀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의 제어 대상이 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는, 흡기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 구성은, 도 6 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는, 다음의 (A) ∼ (E) 의 각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A) 캠 샤프트 (2) 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로서의 베인 로터 (3).
(B) 베인 로터 (3) 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로서의 하우징 (5).
(C)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 (8).
(D)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 (9).
(E)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베인 로터 (3) 및 하우징 (5) 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유압의 공급에 따른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베인 로터 (3) 및 하우징 (5) 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 (12).
또한, 이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서는, 로크 핀 (12) 및 로크 구멍 (13) 은, 하우징 (5) 에 대해 가장 캠 샤프트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 최지각 위상에 베인 로터 (3) 가 위치했을 때에 위치가 맞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는, 지각 유실 (8) 및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라, 로크 핀 (12) 에 해제 유압, 즉 스프링 (14)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로크 핀 (12) 을 로크 구멍 (13) 으로부터 탈리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각 유실 (8) 중 1 개를 로크 구멍 (13) 내에 형성된 로크 핀 해제 유실 (16) (도 2, 도 4 참조) 에 연통시키고, 진각 유실 (9) 로의 유로의 일부를 로크 핀 (12) 의 로크 핀 해제 유실 (15) (도 6 참조) 에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유압의 인가를 실현한다.
그리고, 제어부로서의 ECU (10) 는, OCV (11) 의 듀티 제어에 의한 지각 유실 (8) 및 진각 유실 (9) 의 유압 조정을 통하여 이와 같은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10) 는 지각 유실 (8) 에 유압을 공급하고, 진각 유실 (9) 로부터 유압을 빼도록 OCV (11) 를 구동시킴으로써,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를,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켜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킨다. 또, ECU (10) 는 지각 유실 (8) 로부터 유압을 빼고, 진각 유실 (9) 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OCV (11) 를 구동시킴으로써, 하우징 (5) 에 대해 베인 로터 (3) 를,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켜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킨다. 또한 ECU (10) 는, 지각 유실 (8) 및 진각 유실 (9) 에 각각 유지 유압을 공급하여, 베인 (6) 의 양측에 작용하는 유압을 균형시킴으로써 밸브 타이밍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ECU (10) 는, 베인 로터 (3) 를 최지각 위상으로 회동시켜, 로크 핀 (12) 을 로크 구멍 (13) 에 끼워맞춘 후에 기관을 정지시킨다. 이 때문에, 이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에서는, 로크 핀 (12) 이 로크 구멍 (13) 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기관 시동이 개시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ECU (10) 는, 기관 시동 후, 다음의 순서로 밸브 타이밍의 가변 제어를 개시한다. 즉, ECU (10) 는, 먼저 지각 유실 (8) 에 대한 유압 공급을 실시한다. 이 때의 지각 유실 (8) 에 대한 유압의 공급은, 로크 핀 (12) 이 확실하게 해제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ECU (10) 는, 로크 핀 (12) 의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을 실시한다. 그리고, ECU (10) 는, 로크 핀 (12) 이 해제된 후에도,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을 계속함으로써,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킨다.
또한, 이러한 경우, 로크 핀 (12) 의 해제를 위한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에 따라서는 로크 핀 (12) 의 해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 1 은 이러한 로크 핀 해제 불량시의 캠 토크, 로크 핀의 변위, OCV 구동 듀티 및 진각 유압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반대 방향을 정 (正) 으로 하여 캠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ECU (10) 는, 시각 T0 에 있어서,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시키기 위해 OCV (11) 의 구동 듀티를 0 % 에서 100 % 로 변경하고 있다. 단, 유압계의 응답 지연 때문에, 진각 유실 (9) 의 유압이 상승하는 것은 그 후의 시각 T1 부터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캠 토크는 부 (負) 로 되어 있고, 이 때의 베인 로터 (3) 는, 캠 토크에 의해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방향 (진각 방향) 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또한, 이 때의 진각 유실 (9) 의 유압의 상승 후에는 핀 클리어런스분 베인 로터 (3) 가 회동하고, 이로써 유압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도 2 의 (a) 는 기관 시동시의 로크 핀 (12)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때의 로크 핀 (12) 은, 스프링 (14) 의 탄성 지지력으로 로크 구멍 (13) 에 끼워맞춘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진각 유실 (9) 의 유압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스프링 (14)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해제 유압이 로크 핀 (12) 에 인가되기 시작하는 한편,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인 (6) 이 진각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부의 캠 토크가 작용하고 있으면, 베인 로터 (3) 에는 진각 유실 (9) 의 유압에 더하여 캠 토크에 의해서도 진각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때의 진각측으로의 베인 로터 (3) 의 회동 속도는 비교적 높은 것이 된다.
그리고, 도 2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12) 이 완전히 해제되기 전에, 로크 핀 (12) 이 로크 구멍 (13) 의 진각측의 측둘레에 맞닿는 위치까지 베인 로터 (3) 가 회동하면, 로크 핀 (12) 은 로크 구멍 (13) 의 측둘레 (도 2 의 (c) 의 원 (A) 의 부분) 에 걸리고 만다. 이 때문에, 이 때에는 로크 핀 (12) 의 해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로크 핀 (12) 의 해제성에는, 로크 핀 (12) 의 해제가 개시되는 시점의 캠 토크의 크기 및 방향이 크게 관계하고 있다. 이러한 지견에 입각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 토크가 로크 핀 (12) 이 해제되기 쉬운 상태가 된 타이밍에 로크 핀 (12) 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크랭크각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또한, 크랭크각은 크랭크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같은 크랭크각 센서의 출력은, 캠각 센서의 출력에 상관을 갖고 있다.
도 3 은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캠 토크, 로크 핀의 변위, OCV 구동 듀티 및 진각 유압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ECU (10) 는, 동 도면의 시각 T2 에 있어서,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시키기 위해 OCV (11) 의 구동 듀티를 0 % 에서 100 % 로 변경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일정한 응답 지연 기간이 경과한 시각 T3 에 있어서, 진각 유실 (9) 의 유압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때의 캠 토크는 정으로 되어 있고, 이 때의 베인 로터 (3) 는, 캠 토크에 의해 캠 샤프트 (2) 의 회전 반대 방향 (지각 방향) 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또한, 이 때의 진각 유실 (9) 의 유압의 상승 후에는, 로크 핀 (12) 이 해제되어 베인 로터 (3) 가 진각측으로 회동하고, 이로써 유압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도 4 의 (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관 시동시의 로크 핀 (12)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이 때의 로크 핀 (12) 은, 스프링 (14) 의 탄성 지지력으로 로크 구멍 (13) 에 끼워맞춘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진각 유실 (9) 의 유압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스프링 (14)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해제 유압이 로크 핀 (12) 에 인가되기 시작하는 한편,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인 (6) 이 진각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베인 로터 (3) 에는 진각 유실 (9) 의 유압에 의한 진각 방향으로의 회동에 저항하도록 정의 캠 토크가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때의 베인 로터 (3) 의 회동 속도는 도 2 의 (b) 의 경우보다 낮아진다.
베인 로터 (3) 의 진각 방향으로의 회동 속도가 느리면, 로크 핀 (12) 이 로크 구멍 (13) 의 진각측의 측둘레에 맞닿는 위치까지 베인 로터 (3) 가 회동할 때까지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주어진다. 이 때문에, 이 때의 로크 핀 (12) 은, 도 4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구멍 (13) 의 측둘레에 걸리지 않고 순조롭게 해제된다.
또한, 로크 핀 (12) 에 의해 밸브 타이밍이 고정되어 있으면, 캠 토크가 정이 되는 타이밍은 크랭크각으로부터 일의적으로 구할 수 있다. 또, 로크 핀 (12) 의 해제를 실시할 때의 기관 회전 속도는 대체로 일정하다 점에서, 진각 유실 (9) 의 유압 공급의 개시의 지령에서부터 진각 유실 (9) 의 유압이 실제로 상승할 때까지의 유압계의 응답 지연의 기간에 있어서의 크랭크각의 변화량은, 미리 1 개의 값으로 특정하거나 여러 가지의 상태량으로부터 산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진각 유실 (9) 의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크랭크각에 기초하여 설정하면, 캠 토크가 정이 될 때에 로크 핀 (12) 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베인 로터 (3) 에 작용하는 시기에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로크 핀 (12) 을 해제하기 위한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이 설정되어 있다.
도 5 는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채용되는 로크 핀 해제 루틴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본 루틴의 처리는, 기관 시동 후, 밸브 타이밍 가변 제어의 개시 조건이 성립되고 나서 동 가변 제어가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ECU (10) 에 의해 반복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루틴이 개시되면, ECU (10) 는 먼저 단계 S1OO 에 있어서, 크랭크각이 규정 각도 (α) 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크랭크각이 규정 각도 (α) 로 되어 있지 않으면 (S1OO : NO), ECU (10) 는 그대로 이번 본 루틴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크랭크각이 규정 각도 (α) 로 되어 있으면 (S1OO : YES), ECU (10) 는, 단계 S101 에 있어서, OCV 구동 듀티를 100 % 로 설정하고,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한다. 또한, 규정 각도 (α) 는 유압 공급에 따른 로크 핀 (12) 의 해제의 개시 타이밍이,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베인 로터 (3) 에 작용하는 시기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각 유실 (9) 이 기관 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상기 일방의 유실에 상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서, 상기와 같이 로크 핀 (12) 의 해제 유압의 공급 개시 타이밍을 설정한 경우에는,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에 앞서 지각 유실 (8) 에 대한 유압 공급을 실시하여 로크 핀 (12) 을 미리 해제시켜 두지 않아도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만으로 로크 핀 (12) 의 해제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각 유실 (8) 을 로크 핀 해제 유실 (15) 에 연통시키고, 지각 유실 (8) 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라서는 로크 핀 해제 유압이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1) 의 원활한 운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각 유실 (8) 과 로크 구멍 (13) 의 연통을 폐지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생긴다.
즉, 지각 유실 (8) 내의 유압이 충분히 상승하기 전에 로크 핀 (12) 이 해제되면, 베인 로터 (3) 의 회동을 유지할 수 없어, 베인 (6) 이 요동하여 하우징 (5) 의 오목부 (7) 의 측벽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어, 지각 유실 (8) 과 로크 핀 (15) 의 연통의 폐지에 따르면 이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기관 정지시에 베인 로터 (3) 를 최지각 위상으로 회동시키면서 로크 핀 (12) 을 로크 구멍 (13) 에 끼워맞추려고 하면, 지각 유실 (8) 의 유압이 충분히 저하될 때까지 로크 핀 (12) 이 끼워맞춰지지 않기 때문에, 그 끼워맞춤에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문제도 지각 유실 (8) 과 로크 핀 해제 유실 (15) 의 연통을 폐지하면 그 회피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본 실시형태에서는 ECU (10) 는, 로크 핀 (12) 의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크랭크각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베인 로터 (3) 에 작용하는 시기에 로크 구멍 (13) 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로크 핀 (12) 을 해제하기 위한 진각 유실 (9) 의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때문에, 로크 핀 (12) 의 해제가 용이한 상태로 캠 토크가 되었을 때에, 즉 캠 토크가 정으로 되어 있을 때에 로크 핀 (12) 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 (12) 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관 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라 로크 핀 (12) 을 해제한다. 이 때문에, 로크 핀 (12) 의 해제부터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각 유실 (9) 에 대한 유압 공급만으로 로크 핀 (12) 의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각 유실 (8) 과 로크 핀 해제 유실 (15) 의 연통의 폐지를, 나아가서는 로크 핀 해제 유실 (15) 의 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ㆍ배기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는 로크 핀 (12) 에 의한 로크를 최진각 위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최진각 위상에서 로크를 실시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도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관 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유실은 지각 유실이 된다. 이 경우에는 지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라 로크 핀을 해제함과 함께, 캠 토크가 부로 되는 시기에 로크 핀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로크 핀의 해제를 위한 지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설정하면,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ㆍ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는, 최진각 위상과 최지각 위상 사이의 중간 로크 위상에서 로크 핀에 의한 로크를 실시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기구에도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로크 핀의 해제를 실시하는 것이면, 캠 토크가 정이 되는 시기에 로크 핀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진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설정하면,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지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로크 핀을 해제하는 것이면, 캠 토크가 부가 되는 시기에 로크 핀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지각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설정하면, 밸브 타이밍의 변경 개시에 앞선 로크 핀의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ㆍ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하기 (A) ∼ (E) 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도 6 에 나타낸 것과는 상이한 구성의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A)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
(B) 그 제 1 회전체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
(C) 제 2 회전체에 대해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
(D) 제 2 회전체에 대해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
(E)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유압의 공급에 따른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
1 …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
2 … 캠 샤프트
3 … 베인 로터 (제 1 회전체)
4 … 캠 스프로킷
5 … 하우징 (제 2 회전체)
6 … 베인
7 … 오목부
8 … 지각 유실
9 … 진각 유실
10 … 전자 제어 유닛 (ECU)
11 … 오일 컨트롤 밸브 (OCV)
12 … 로크 핀
13 … 로크 구멍
14 … 스프링
15 … 로크 핀 해제 유실
16 … 로크 핀 해제 유실

Claims (7)

  1.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와, 그 제 1 회전체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과, 상기 제 2 회전체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과,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상기 지각 유실 및 상기 진각 유실 중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의 공급에 따른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통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작용하는 시기에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크랭크각이 규정 각도일 때에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2.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와, 그 제 1 회전체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과, 상기 제 2 회전체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과,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상기 지각 유실 및 상기 진각 유실 중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의 공급에 따른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통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작용하는 시기에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크랭크각에 기초하여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유실은, 기관 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유실인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5. 삭제
  6. 캠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회전체와, 그 제 1 회전체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지각 유실과, 상기 제 2 회전체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체를, 밸브 타이밍을 진각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도입되는 진각 유실과,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기계적으로 로크함과 함께, 상기 지각 유실 및 상기 진각 유실 중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의 공급에 따른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로크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상대 회동을 통하여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의해 상대 회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캠 토크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작용하는 시기에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에 따른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개시되도록, 상기 로크 구멍으로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위한 상기 일방의 유실에 대한 유압 공급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유실은, 기관 시동 후에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기 위한 유압이 최초로 공급되는 유실인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KR20117015804A 2010-11-08 2010-11-08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KR101278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9858 WO2012063312A1 (ja) 2010-11-08 2010-11-08 油圧式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機構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440A KR20120075440A (ko) 2012-07-06
KR101278382B1 true KR101278382B1 (ko) 2013-06-24

Family

ID=4585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5804A KR101278382B1 (ko) 2010-11-08 2010-11-08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10289B2 (ko)
EP (1) EP2474713B1 (ko)
JP (1) JP4883244B1 (ko)
KR (1) KR101278382B1 (ko)
CN (1) CN102639822B (ko)
BR (1) BRPI1010626B1 (ko)
CA (1) CA2755884C (ko)
WO (1) WO2012063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3789B2 (ja) * 2010-04-28 2012-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EP2474713B1 (en) 2010-11-08 2015-07-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JP5288061B2 (ja) 2011-04-07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装置
US9200543B2 (en) 2011-05-13 2015-12-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JP5584797B1 (ja) * 2013-05-31 2014-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166196B2 (ja) * 2014-03-03 2017-07-19 株式会社Soken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201842B2 (ja) * 2014-03-19 2017-09-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システム
JP2016023620A (ja) * 2014-07-23 2016-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464800B2 (ja) * 2014-08-29 2019-02-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418A (ko) * 1996-04-04 1997-11-07 와다 아키히로 내연기관의 가변밸브 타이밍기구
KR20010030066A (ko) * 1999-08-05 2001-04-16 오카메 히로무 내연기관의 가변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KR20040050307A (ko) * 2002-12-10 200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베인형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진각 보상장치
KR20060069334A (ko) * 2004-12-16 2006-06-21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최소 토크의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858B2 (ja) * 1996-11-29 2000-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機構
US6311654B1 (en) 1998-07-29 2001-11-06 Denso Corporation Valve timing adjusting device
JP3705029B2 (ja) 1999-07-30 2005-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791658B2 (ja) 1999-08-05 2006-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3020916A (ja) * 2001-07-03 2003-01-24 Mikuni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832730B2 (ja) 2001-12-05 2006-10-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DE602004028552D1 (de) 2003-06-25 2010-09-23 Aisin Seiki Nockenwellenversteller
US7311069B2 (en) 2003-06-25 2007-12-2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device
JP2005036789A (ja) * 2003-06-25 2005-02-10 Aisin Seiki Co Ltd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4125999B2 (ja) 2003-08-29 2008-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
JP4069850B2 (ja) * 2003-11-12 2008-04-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開閉特性制御装置
JP4147490B2 (ja) * 2004-07-28 2008-09-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4163700B2 (ja) * 2005-04-15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7153212A (ja) 2005-12-07 2007-06-21 Toyota Motor Corp 動力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車両
JP2007255258A (ja) 2006-03-22 2007-10-04 Hitachi Ltd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811670B2 (ja) 2007-07-18 2011-1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2009024600A (ja) * 2007-07-19 2009-02-05 Denso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9024659A (ja) * 2007-07-23 2009-02-05 Hitachi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0209780A (ja) 2009-03-10 2010-09-2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JP2010223172A (ja) * 2009-03-25 2010-10-07 Aisin Seiki Co Ltd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4877615B2 (ja) 2009-05-27 2012-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1038446A (ja) 2009-08-07 2011-02-24 Denso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EP2474713B1 (en) 2010-11-08 2015-07-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US9200543B2 (en) 2011-05-13 2015-12-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EP2589793B1 (en) * 2011-11-04 2015-08-0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alv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JP5781910B2 (ja) * 2011-12-09 2015-09-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418A (ko) * 1996-04-04 1997-11-07 와다 아키히로 내연기관의 가변밸브 타이밍기구
KR20010030066A (ko) * 1999-08-05 2001-04-16 오카메 히로무 내연기관의 가변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KR20040050307A (ko) * 2002-12-10 200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베인형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진각 보상장치
KR20060069334A (ko) * 2004-12-16 2006-06-21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최소 토크의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10626A8 (pt) 2016-09-27
US20130213326A1 (en) 2013-08-22
CA2755884C (en) 2013-12-17
WO2012063312A1 (ja) 2012-05-18
EP2474713A4 (en) 2013-10-30
BRPI1010626A2 (pt) 2016-03-15
BRPI1010626B1 (pt) 2020-09-15
EP2474713A1 (en) 2012-07-11
CN102639822A (zh) 2012-08-15
EP2474713B1 (en) 2015-07-22
EP2474713A8 (en) 2012-09-26
JP4883244B1 (ja) 2012-02-22
US9010289B2 (en) 2015-04-21
CN102639822B (zh) 2015-03-04
CA2755884A1 (en) 2012-05-08
JPWO2012063312A1 (ja) 2014-05-12
KR20120075440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382B1 (ko) 유압식 밸브 타이밍 가변 기구의 제어 장치
JP5403341B2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US8739748B2 (en) Valve timing adjuster
JP6084847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9250073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6220096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
JP552220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20978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JP417037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2219767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5708796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装置
US9206712B2 (en)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JP2008255914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及び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用の電子制御装置
JP4297434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438654B2 (ja) 内燃機関の油圧駆動式可変動弁装置
JP6451677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指令ユニット
JP2006022646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1179334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16079899A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333942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システム
JP2007278305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8255974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7138723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0230408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09133300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