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313B1 - 전계발광 중합체 - Google Patents

전계발광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313B1
KR101206313B1 KR1020077000385A KR20077000385A KR101206313B1 KR 101206313 B1 KR101206313 B1 KR 101206313B1 KR 1020077000385 A KR1020077000385 A KR 1020077000385A KR 20077000385 A KR20077000385 A KR 20077000385A KR 101206313 B1 KR101206313 B1 KR 10120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s
phosphorescent
polymer
copolymer according
phosphorescen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416A (ko
Inventor
닐스 쉴테
주자네 호인
잉리트 바흐
필리프 슈퇴쎌
케빈 트레처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3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4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 C08G2261/3142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fluorene-based, e.g. fluorene, indenofluorene, or spirobifluo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7Metal complexes
    • C08G2261/374Metal complexes of Os, Ir, Pt, Ru, Rh, P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92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sulfur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16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25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33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91Heterocyclic containing other combinations of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5Polyfluor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관능성 삼중항 방출체를 포함하는 인광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매우 가용성이고, 합성적으로 용이하게 접근가능하고, 선행 기술에 따른 비교 물질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Description

전계발광 중합체 {ELECTROLUMINESCENT POLYMERS}
중합체성 (유기) 발광 다이오드 (PLED) 기재 디스플레이 및 조명 요소의 상업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약 13 년 동안 진행되어 왔다. 상기 개발은 EP 423 283 에 기재된 기초적인 개발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Philips N.V. 사의 이동 전화 및 면도기에서) 비교적 소형인 디스플레이 형태의 첫번째 제품이 최근 시판되고 있다.
몇 년 동안, 특히 "소형-분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분명히 나타나고 있는 개발은 삼중항 상태에서 발광이 가능하여 형광 대신에 인광을 나타내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고 (M. A. Baldo et al ., Appl . Phys . Lett . 1999, 75, 4-6), 이는 에너지 및 동력 효율을 4 배까지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실용성을 위해 언급될 수 있는 주요 조건은, 특히, 효율적인 발광, 오랜 수명 및 화합물의 양호한 합성 접근성이다.
최근, 중합체 적용에 관해 증착가능한 삼중항 방출체의 이점을 이용하려는 노력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즉, 소형 분자 OLED 의 이점과 중합체 OLED (= PLED) 의 이점을 조합하며, 삼중항 방출체를 중합체 내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소위 혼성 소자 구조가 고려된다. 그러나, 삼중항 방출체를 중합체 내에 혼입하는 것이, 소자 제조 및 가동 동안에 상 분리의 위험을 피하게 하므로, 더욱 유리하다. 양 방법은 화합물을 용액으로부터 처리할 수 있고, 저분자량 화합물 기재 소자에 대해서는 값비싸고 복잡한 증착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용액으로부터의 적용 (예를 들어, 고해상도 인쇄 공정에 의해) 은 오늘날 보편적인 진공 증발 공정에 비해, 특히 확장성, 구조성, 코팅 효율 및 경제성 면에서 장기간 동안 상당한 이점을 가질 것이다.
최근 이룩한 진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합체성 삼중항 방출체의 분야에 있어서 개선을 위한 상당한 잠재성이 있다. 특히 하기 분야에서, 상당한 개선 필요성을 또한 볼 수 있다:
(1) 전계발광 요소의 효율이 더욱 개선되어야만 한다. 더 높은 효율이 원칙적으로 가능하다는 사실이 감압 하에서 적용되는 소형 분자 기재 전계발광 요소의 결과를 통해 제시된다.
(2) 전계발광 요소의 가동 전압이 고품질 전자 적용에 대해 너무 높다.
(3) 전계발광 요소의 수명은 현재까지 고품질 전자 적용에 대해 여전히 부적절하다.
(4) 공유 결합된 삼중항 방출체를 포함하는 인광 중합체의 합성 접근성은 지금까지 매우 복잡한 방법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즉, 지금까지는, 예를 들면 가장 일반적인 트리스-오르소-금속화 이리듐 착물 기재 물질의 경우에, 다단계 합성 공정으로만 접근가능하고, 언제나 수율이 만족스럽지만은 않은, 1- 또는 2관능화된 삼중항 방출체의 합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희귀 금속의 간단하고, 자원 보존적인 이용이 지금까지는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중합체-결합된 삼중항 방출체 분야에서의 주된 개선 필요성이 계속해서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WO 02/068435 에는 중합체 합성을 위한 단량체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모노-, 디- 및 트리할로겐화된 이리듐 착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착물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하지 않고, 그 결과, 여기서는 모노할로겐화된 착물이 측쇄 내로의 혼입에 적합하고, 디할로겐화된 착물은 주쇄 내로의 혼입에 적합하며, 트리할로겐화된 착물은 가교성 때문에 불용성 중합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추정해야 한다.
WO 02/077060 및 WO 03/020790 에는 스피로비플루오렌 단위체를 포함하고, 삼중항 상태로부터 발광가능하여 형광 대신 인광을 나타내는 금속 착물을 또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에 대해 2 개의 결합을 가져 중합체 주쇄 내로 혼입되는 금속 착물이 기재되고, 바람직한 구현예로 묘사된다. 그러나, 여기서 나타난 구조는 비대칭 금속 착물을 필요로 하고, 이는 합성적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중합체 주쇄 내로 선형 방식으로 혼입되지 않은 다른 금속 착물이 전계발광에 특히 유리하다 것을 상기 기재로부터 결론지을 수는 없다.
예를 들면 WO 02/066552, WO 03/079736 및 WO 04/020448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삼중항 상태에서 발광하며, 중합체와 같이 용액으로부터 처리될 수 있는 덴드리머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덴드리머는 합성 접근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이는 덴드리머의 개별 생산이 분리된 반응 단계에 서 이루어져야 하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분리 및 정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수율이 낮고, 사용된 희귀 금속이 크게 손실된다. 즉, 이러한 덴드리머의 사용은 단일한 합성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는 인광 중합체에 대한 진정한 대안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호한 전계발광성을 나타내는 인광 중합체를 합성적으로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화합물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가 되고, 단일-반응기 (one-pot) 공정 측면에서 통상적인 중합 기술과의 양립 가능성이 목적이 된다.
놀랍게도, 삼중항 방출체에서 분지를 갖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인광 공중합체가 선행기술에 따른 중합체 및 혼합물에 비해, 특히 높은 방출 효율, 낮은 가동 전압 및 오랜 수명과 함께, 단순한 합성 접근성 및 양호한 안정성 면에서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상기 공중합체는 분지 (결과적으로는 가교성) 때문에 불용성이고, 용액으로부터 처리될 수 없다고 예상되었기 때문에, 특히 놀라운 것이다. 더욱이, 관련 중합체가 형광 또는 전계형광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중합체 모두에서 인광 또는 전계인광을 나타내는 것이 놀라운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은 이러한 인광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내에 분지를 갖는 관련 형광 공중합체가 이미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EP 1138746). 이러한 분지는 특히 금속 착물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은 상기 특허 출원에서 부적절하게 기재되어 있을 뿐이고, 결과적으로 이들을 유용하게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그 기재로부터 명확하지 않다. 이들은 인광이 아닌 형광 중합체이므로, 상기 금속 착물은 단지 구조적 분지점으로서만 이용되고, 중합체에서 전자적 가치를 얻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가 특히 양호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특별히 기술되는 이유가 주어진 실시예로부터 명확하지 않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 말단기 및 분지로서 주쇄 내에 혼입된 트리스(페닐피리딜)이리듐(III) 착물을 포함하는 형광 중합체의 매우 복잡한 합성이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중합체의 어떠한 물리적 특성도 제시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중합체가 가능하게는 향상된 유동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하더라도, 이는 형광 또는 인광 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제공하지는 않는 것으로 추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골격으로서의 9,9-디옥틸플루오렌과 비치환 트리스(페닐피리딘)이리듐(III)의 조합은 인광 중합체의 합성에 적합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EP 1245659 에는, 삼중항 상태에서 발광할 수 있어 형광 대신 인광을 나타내는, 주쇄 또는 측쇄 내에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해하면, 여기서 이들은 주로 선형 중합체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금속 착물이 분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기재로부터 명백하지 않다. 반대로, 실시예는 전술한 특허 EP 1138746 과 동일한 중합체를 언급하고, 이들은 이미 상기 특허에서 인광인 아닌 형광을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즉, 혼동된 교시가 제공되고, 분지점으로서 금속 착물을 사용하는 것은 인광 중합체 제조에 부적절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삼중항 방출체를 0.01 몰% 이상으로 포함하고, 상기 삼중항 방출체가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단, 상기 삼중항 방출체가 비치환 트리스(페닐피리딘)이리듐(III)인 경우 중합체는 9,9-디옥틸플루오렌을 포함하지 않는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인광은, 삼중항 상태, 또는 여기된 단일항 상태와 삼중항 상태를 포함하는 혼합 상태로부터 단일항 바닥 상태로의 전이를 통해 방출이 이루어지는, 외부 에너지, 예를 들면 빛 또는 전류에 의해 촉진되는 발광을 의미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목적상 형광은, 여기된 단일항 상태로부터 단일항 바닥 상태로의 전이를 통해 방출이 이루어지는, 외부 에너지에 의해 촉진되는 발광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 가지 과정은 여기 상태의 수명을 통해 실험적으로 구별될 수 있고, 여기된 단일항 상태의 수명은 약 10-10 내지 10-7 초이고, 삼중항 상태의 수명은 > 10-7 초이며, 이는 시간-분해 발광 분광기 (time-resolved luminescence spectroscopy)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삼중항 방출체는, 전계발광에 있어서 실온에서 삼중항 상태로부터 발광하는, 즉,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을 나타내는 화합물, 특히 금속 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히, 원자 번호가 38 을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착물이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데, 그러한 금속 착물을 포함하는 모든 중합체가 그 결과 본질적으로 인광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삼중항 방출체의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은 적어도 3 관능화된 삼중항 방출체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중합체를 분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는 분지가 중합체 내에 무작위로 배열되는 점에서, 분지가 덴드리머 내에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전술한 덴드리머와는 구별된다. 그 결과, 덴드리머에 비해 합성이 상당히 간단한데, 이는 단일-반응기 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덴드리머 내의 반복 단위체 각각이 분지를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내 일부의 반복 단위체만이, 바람직하게는 삼중항 방출체만이 분지를 갖는다. 이는 또한, 형광이 아닌 인광이라는 사실을 통해, 분지점이 금속 착물로 기술되는 전술한 분지형 중합체 (EP 1138746)와 구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금속 착물을 전자적 영향 없이 단지 분지점으로 포함하는 상응하는 형광 중합체보다 전계 발광에서 상당히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는 공액화, 부분 공액화 또는 비-공액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공액화 또는 부분 공액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공액화된 중합체는, 상응하는 헤테로 원자로 또한 대체될 수 있는, sp2-혼성화된 (또는 sp-혼성화된) 탄소 원자를 원칙적으로 주쇄 내에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이는 주쇄 내에 이중 결합과 단일 결합이 교차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라는 단어는 공액화를 방해하는 (추가적인 도움 없이) 자연 발생적인 결함이 "공액화된 중합체"라는 용어를 평가 절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상기 공액화라는 용어는 본 출원에 있어서 아릴아민 단위체, 아릴포스핀 단위체 및/또는 특정 헤테로사이클 (즉, N, 0, S 또는 P 원자를 통한 공액화), 및/또는 예를 들면 이리듐 착물과 같은 유기금속 착물 (금속 원자를 통한 공액화)이 주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유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부분 공액화된 중합체는 비-공액화된 부위로 인해 중단된 비교적 긴 공액화된 부위를 주쇄 내에 함유하거나, 주쇄가 공액화되지 않은 중합체의 측쇄에 비교적 긴 공액화된 부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반대로, 예를 들면 단순 알킬렌 사슬, (티오)에테르 다리 (bridge), 케토기,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이미드 결합과 같은 단위체는 비-공액화된 구획으로 명확히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는 삼중항 방출체 외에 추가적인 각종 구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중합체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 요소, 또는 전하 주입 또는 전하 전달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 요소일 수 있다. 그러한 단위체는, 예를 들면, WO 03/020790 및 WO 05/014689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추가적인 공중합화된 염료와 같이, 효과적인 여기 전달을 보장하는 구조 요소가 또한 가능하다.
중합체 골격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 요소는, 예를 들면, 플루오렌 유도체,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9,10-디히드로페난트렌 유도체, 4,5-디히드로피렌 유도체, 4,5,9,10-테트라히드로피렌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및 시스- 및 트렌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이고, 이들 각각은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중합체 골격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특히 바람직한 구조 요소는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및 시스- 및 트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이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및 페난트렌 유도체이고, 이러한 단위체를 다른 골격 단위체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매우 양호한 결과 및 매우 효과적인 인광이 또한 달성된다.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가 골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로 치환된다.
홀 (hole)-전달성을 갖는 바람직한 구조 요소는, 예를 들면,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벤지딘 유도체, 테트라아릴렌-파라-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트리아릴포스핀 유도체, 페노티아진 유도체, 페녹사진 유도체, 디히드로페나진 유도체, 티안트렌 유도체,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페녹사티인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아줄렌 유도체, 티오펜 유도체, 피롤 유도체, 푸란 유도체, 및 높은 HOMO (HOMO = 가장 높이 채워진 분자 오비탈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를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이고, 이러한 아릴아민 및 헤테로사이클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내 HOMO 가 5.8 eV (진공 준위 (vacuum level)에 대해)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eV 미만이다.
전자-전달성을 갖는 바람직한 구조 요소는, 예를 들면, 피리딘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리다진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 피렌 유도체, 트리아릴보란, 옥사디아졸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및 낮은 LUMO (LUMO = 가장 낮은 비어있는 분자 오비탈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를 갖는 0-,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이고, 이러한 단위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내 LUMO 가 2.7 eV (진공 준위에 대하여)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eV 초과이다.
더욱이, 상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여기 전달을 보장하고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를 향상시키는 구조 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예를 들면, WO 04/070772 및 WO 04/113468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카르바졸 단위체, (예를 들면, 미공개 특허 출원 DE 10349033.7 및 DE 102004003008.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케토-, 포스핀 옥시드- 또는 술폭시드-함유 구조 요소 또는 (예를 들면, 미공개 특허 출원 DE 102004023278.4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릴실란 단위체가 적합하다. 또한,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를 향상시키는 단위체는 그 자체가 또한 단일항 상태 또는 삼중항 상태로부터 방출할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이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케토 또는 포스핀 옥시드 단위체, 특히는 방향족기로 치환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케토 단위체, 예를 들면 벤조페논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백색 방출이 청색-, 녹색- 및 적색-방출 단위체로부터의 방출의 조합이고, 상기 방출 단위체 중 하나 이상이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을 갖는 삼중항 방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방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무작위, 교차 또는 블록형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의 상기 구조를 교차 배열되게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전하 전달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나, 분지점의 상이한 공간 배열에 의해 중합체 형태가 또한 영향받을 수 있다. 블록형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의 합성은, 예를 들면, WO 05/014688 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의 분자량 Mw 는 103 내지 107 g/몰,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6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4 내지 8?105 g/몰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상응하는 단량체의 중합을 통해 제조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단량체는 3관능화되거나 다관능화된 삼중항 방출체, 또는 금속과의 배위결합을 위한 상응하는 리간드를 포함한다. 특히, 공액화 및 부분 공액화된 중합체의 제조에 관해, 몇몇 유형이 여기에 성공적임이 판명되었는데, 이들 모두는 C-C 결합을 나타낸다 (스즈끼 커플링 (SUZUKI coupling), 야마모토 커플링 (YAMAMOTO coupling), 스틸레 커플링 (STILLE coupling)). 이러한 방법을 통해 중합을 수행하는 방식, 및 중합체를 반응 매질로부터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는 방식이, 예를 들면, WO 03/048225 또는 WO 04/022626 에 기재되어 있다. 비공액화된 중합체의 합성은 또한 연속적으로 공액화되지 않는 상응하는 단량체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부분 공액화된 또는 비공액화된 중합체에 관해, 예를 들면, 일반적인 중축합, 또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자유 라디칼 중합과 같이, 일반적으로 중합체 화학에 잘 알려진 다른 합성 방법이 또한 적합하다. 또한, 중합 반응에서 1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중합체의 분자량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사하게 사용되는 3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화합물 (3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삼중항 방출체)이 1관능성 화합물을 통해 보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에서의 분지 발생을, 예를 들면, 분자량 분포 (GPC 로 측정)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선택된 반응 조건 하에서의 스즈끼 방법에 의한 선형 중합체의 중축합에서 2.5 내지 4 범위의 다분산도가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의 다분산도는 5 내지 6 범위이어서, 선형 중합체 보다 훨씬 크고, 이는 분지형 중합체에 또한 예상되는 것이다.
인광 중합체의 합성에 있어서, 상응하는 3관능화된 또는 다관능화된 삼중항 방출체를 단량체로서 직접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합 반응에서 상응하는 치환된 리간드를 이용하고, 미리-합성된 (ready-synthesised)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상에서 금속 착물화를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유사 반응을 수행하기가 어렵고, 특히 반응 후 중합체의 정제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므로, 3관능화된 또는 다관능화된 삼중항 방출체를 단량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 - 50 몰%, 바람직하게는 0.05 - 1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5 몰%, 특히는 0.5 - 3 몰% 비율의 삼중항 방출체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되었고, 상기 데이타는 중합체 내 존재하는 모든 반복 단위체에 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효율적인 인광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중합체 및 혼합물 내 삼중항 방출체의 비율이 훨씬 더 높아야 하기 때문에, 이는 놀라운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낮은 비율의 삼중항 방출체로 매우 양호한 결과가 달성되며, 중합체의 가공성이 양호한데, 이는 보다 높은 비율의 삼중항 방출체를 사용하여도 언제나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사용된 삼중항 방출체의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특히 우선적으로는 모두가 중합체 사슬에 대해 3 개 이상의 결합, 특히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3 개의 결합을 가짐으로써 분지점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삼중항 방출체만이 분지를 가지고, 다른 단위체는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광 공중합체에 결합된 삼중항 방출체는 바람직하게는 유기-금속성 착물이다. 유기금속성 화합물은 직접적인 금속-탄소 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전기적으로 중성인 삼중항 방출체 및 전기적으로 중성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삼중항 방출체는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성 리간드만, 즉, 2 개 이상의 결합 부위를 통해 금속에 배위 결합하는 리간드만 포함하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2 개 또는 3 개의 2 자리 (bidentate) 리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킬레이트 착물의 보다 높은 안정성 때문에 킬레이트성 리간드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내 삼중항 방출체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고, 화학식 (1)의 단위체는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01387189-pct00001
{식 중, 사용된 기호 및 지수는 하기와 같다:
M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원자 번호 > 38 인 주족 금속, 전이 금속 또는 란탄계 원소이고;
DCy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공여체 원자, 즉 자유 전자쌍을 갖는 원자, 바람직하게는 질소 또는 인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고리형 기이고, 상기 고리형 기는 상기 공여체 원자를 통해 금속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을 함유할 수 있고; 기 DCy 및 CCy 는 공유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또한 라디칼 R1 및 R2 를 통해 추가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CCy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고리형 기이고, 상기 고리형 기는 상기 탄소 원자를 통해 금속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을 함유할 수 있고;
L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2 자리-킬레이트성 리간드, 바람직하게는 1가 음이온성 2 자리-킬레이트성 리간드이고;
R1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F, Cl, Br, I, NO2, CN, 탄소수 1 내지 40 인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알콕시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비인접 CH2 기가 C=0, C=S, C=Se, C=NR2, -R2C=CR2-, -C≡C-, -0-, -S-, -NR2-, Si(R2)2 또는 -CONR2- 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 원자가 F, Cl, Br, I, CN, NO2 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방향족 고리 원자 수가 5 내지 40 인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계 (이는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 로 치환될 수 있다)이고; 여기서, 동일한 고리에서 뿐만 아니라, 2 개의 상이한 고리에서의 복수 치환기 R1 은 함께 추가의 단일- 또는 다중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계를 정의할 수 있고;
R2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0 인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m 은 각각의 경우에 1, 2 또는 3,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고;
n 은 각각의 경우에 0,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 특히 바람직하게는 0 이다}.
중합체로의 연결은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리간드를 통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3 개의 리간드를 통해 또는 4 개의 리간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1 개 초과의 금속성 중심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클러스터 (cluster) 및 다중고리형 삼중항 방출체 또한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단위체는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학식 (1)의 단위체는 대칭적 구조를 갖는다. 이는 화합물의 보다 용이한 합성 접근성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학식 (1)의 단위체는 바람직하게는 동종리간드성 금속 착물, 즉, 한가지 유형의 리간드만을 갖는 금속 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학식 (1)의 단위체는 비대칭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방출이 오직 하나의 리간드로부터 이루어지는 경우 방출성 면에서 이로울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단위체는 바람직하게는 이종리간드성 착물, 즉, 하나 초과의 상이한 리간드를 갖는 금속 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M 은 원자 번호 > 38 인 전이 금속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 M 은 원자 번호 > 50 인 전이 금속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은 텅스텐, 레늄, 루테늄, 오스뮴, 로듐, 이리듐, 팔라듐, 백금 및 금 원소로부터 선택되고, 특히는 이리듐 및 백금이다.
삼중항 방출체는 중합체 사슬 내로 공유결합적으로 혼입된다. 중합체 내로의 착물 혼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관능성 중합가능기가 착물 상에 존재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먼저 완전한 착물을 형성하고, 예를 들면 할로겐화를 통해 그 위에서 관능화를 실시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리간드 상에서 관능화를 실시하고, 관능화된 리간드를 사용하여 착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즈끼 또는 야마모토 방법을 통한) 중축합 반응에서 단량체로 사용될 수 있는 상응하는 브롬화 착물의 예 및 이의 합성이 WO 02/068435 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추가의 공액화, 부분 공액화 또는 비공액화된 중합체, 올리고머, 덴드리머 또는 저분자량 화합물을 인광 중합체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의 첨가가 몇몇 적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데; 즉, 예를 들면, 전자적으로 활성인 물질의 첨가를 통해 상응하는 혼합물에서 홀 또는 전자 주입, 또는 홀 또는 전자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 성분은 또한 단일항-삼중항 이동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그 자체가 발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의 점도 또는 형성된 필름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불활성인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성된 상기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용매 중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인광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의 용액 및 제형물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방식은, 예를 들면, WO 02/072714, WO 03/019694 및 거기에 언급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용액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면적-코팅 (area-coating) 방법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또는 인쇄 공정 (예를 들면, 잉크-젯 인쇄)을 통해 얇은 중합체 층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는 PLED 에서, 특히 전계발광 물질 (= 방출성 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다. PLED 제조에 관하여, 일반적으로는, 개개의 경우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이, 예를 들면, WO 04/037887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PLED 는 또한 하나 이상의 홀-주입층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PEDOT (도핑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doped polyethylenedioxythiophene))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수명을 늘리기 위해 방출층과 홀-주입층 사이에 중간층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의 PLED 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층을 가지고, 상기 층 중 하나 이상이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인광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LED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는 선행 기술에 비해 하기와 같은 놀라운 잇점을 갖는다:
ㆍ 삼중항 방출체에 의한 발광 효율성은 선행 기술에 따른 공중합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에서 유사하거나 또는 더욱 양호하다. 이는 특히 EP 1138746 에 언급된 형광을 나타내는 분지형 공중합체와 비교하는 경우 해당되는데, 상기 형광은 금속 착물 대신 중합체 골격으로부터 기원하고, 그 결과 이의 효율성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에서보다 현저히 낮다. 금속 착물을 포함하지 않은 유사한 중합체와 저분자량 금속 착물의 혼합물과 비교시, 효율성이 또한 더 높다.
ㆍ 선행 기술에 따른 공중합체와 비교시 수명이 더욱 길다.
ㆍ 선행 기술에 따른 인광 혼합물과의 비교시, 성분 분리 문제가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아, 해당 픽셀로부터 더욱 균일한 발광을 나타낸다.
ㆍ 본 발명에 따른 인광 중합체는 놀랍도록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따라서 용액으로부터 매우 양호하게 또한 처리될 수 있다.
ㆍ본 발명에 따른 인광 중합체는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높은 수율로 합성 수득할 수 있으나 이는 선행 기술에 따른 중합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그 결과, 삼중항 방출체 내 희귀 금속의 자원-보전 사용이 가능하다.
ㆍ 본 중합체는 선행 기술에 따른 중합체보다 적은 수의 삼중항 방출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희귀 금속의 자원-보전 이용에 또한 기여한다.
본 출원의 문맥 및 하기 실시예는 PLED 및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런 한정된 기재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다른 전자 소자에서의 추가적 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몇몇 적용을 언급하자면, 유기 태양 전지 (O-SC), 비선형 광학 (non-linear optic), 유기 광학 검출기, 유기장-소광 소자 (organic field-quench device) (O-FQD) 또는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레이저)용으로 추가의 발명 단계 없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리듐 화합물의 합성
a) 트리스(3-브로모페닐이소퀴놀린)이리듐 ( Ir1 )의 합성
WO 02/068435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스(페닐이소퀴놀린)이리듐(III)을 브롬화시켜, 단량체 Ir1 을 합성하였다.
b) 비스(3- 브로모페닐이소퀴놀린 )( 페닐이소퀴놀린 )이리듐 ( Ir2 ) 비스(3-브로모 페닐이소퀴놀린)(벤조티에닐피리딜)이리듐 ( Ir3 )의 합성
비공개 특허 출원 DE 10350606.3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량체 Ir2Ir3 을 합성하였다.
c) 가용성 이리듐 화합물 ( Ir4 )의 합성
WO 04/026886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즈끼 커플링을 통해 이리듐 착물의 가용성 변형물 (Ir4)을 단량체 Ir1 로부터 수득하였다.
명확히 하기 위해, 상기 이리듐 화합물의 구조를 여기에 다시 나타낸다:
Figure 112007001387189-pct00002
실시예 2: 추가 공단량체의 합성
사용되는 추가 공단량체 및 1관능성 화합물의 합성은 WO 02/077060 과 거기에서 언급된 문헌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 사용되는 공단량체 M1 내지 M7 을 여기에 다시 나타낸다:
Figure 112007001387189-pct00003
Figure 112007001387189-pct00004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인광 공중합체의 합성
WO 03/048225 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체를 스즈끼 커플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중합체 P1 내지 P5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 중합체 또는 비교 혼합물 C1 내지 C3 (실시예 10 내지 13)의 조성을 그들의 물리적 특성과 함께 표 1 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4: 중합체성 발광 다이오드 ( PLED ) 의 제조
PLED 를 제조할 수 있는 방식은 WO 04/037887 과 거기에서 언급된 문헌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5 내지 17: 소자 예
제조된 모든 중합체를 또한 PLED 에서 조사하였다. 중합체의 조성 및 전계발광 결과를 표 1 에 제시하였다. 사용된 비교예는 이리듐 착물 (Ir2Ir3)의 2브로모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득된 선형 (비분지형) 중합체였다. 금속 착물을 포함하지 않은 중합체와 이리듐 착물의 가용성 변형물 (Ir4) 및 3브롬화된 이리듐 단량체 (Ir1)의 혼합물을 또한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07001387189-pct00005
표 1 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비교 중합체 및 비교 혼합물에 비해 더욱 긴 수명과 동시에 상당히 높은 효율성 및 낮은 전압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히 실시예 10 에서의 비교 중합체 C1 은, 분지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P1 에 비해 효율성이 상당히 낮음과 동시에 가동 전압이 상당히 높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효과는 또한 비교 중합체 C2 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데; 여기서, 수명 또한 2 배 초과로 짧다. 비교 혼합물 (실시예 12, 중합체 C3 중 이리듐 착물 Ir4)에서, 허용가능한 효율성을 위해 상당히 높은 비율의 이리듐 화합물을 필요로 하고, 상기 효율성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보다 여전히 더 낮다는 것이 명백하다. 비교예 13 (비교 중합체 C3 내로 혼합된 Ir1)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내에서 단량체 Ir1 이 실제로 중합체에 공유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상기 비교 혼합물의 효율성이 상당히 낮고, 전압이 상당히 높으며, 수명이 100 배 초과로 짧기 때문이다.

Claims (28)

  1. 하나 이상의 삼중항 방출체를 0.01 몰% 이상 10 몰% 이하로 포함하는 인광 공중합체로서, 상기 삼중항 방출체가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단, 상기 삼중항 방출체가 비치환 트리스(페닐피리딘)이리듐(III)인 경우 중합체는 9,9-디옥틸플루오렌을 포함하지 않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액화 또는 부분 공액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조 요소가 중합체 골격을 형성하고, 플루오렌 유도체,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9,10-디히드로페난트렌 유도체, 4,5-디히드로피렌 유도체, 4,5,9,10-테트라히드로피렌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및 시스- 및 트렌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구조 요소 중 하나가 스피로비플루오렌 유도체 또는 페난트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 요소가 홀 (hole)-전달성을 가지고,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벤지딘 유도체, 테트라아릴렌-파라-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트리아릴포스핀 유도체, 페노티아진 유도체, 페녹사진 유도체, 디히드로페나진 유도체, 티안트렌 유도체,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페녹사티인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아줄렌 유도체, 티오펜 유도체, 피롤 유도체, 푸란 유도체, 및 높은 HOMO 를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 요소가 전자-전달성을 가지고, 피리딘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리다진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 피렌 유도체, 트리아릴보란, 옥사디아졸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및 낮은 LUMO 를 갖는 0-,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 요소가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를 향상시키고, 카르바졸, 케톤, 포스핀 옥시드, 술폭시드 및 아릴실란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구조 요소가 방향족 케톤 및 방향족 포스핀 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0. 백색 방출이 청색-, 녹색- 및 적색-방출 단위체로부터의 방출의 조합인 백색-방출 인광 공중합체로서, 상기 방출 단위체 중 하나 이상이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을 갖는 삼중항 방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방출 인광 공중합체.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3관능화된 삼중항 방출체를 단량체로서 혼입시켜 수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중항 방출체의 비율이 0.01 - 50 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금속성 삼중항 방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중항 방출체가 킬레이트성 리간드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중항 방출체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고, 화학식 (1)의 단위체가 중합체에 대한 3 개 이상의 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0043365893-pct00006
    {식 중, 사용된 기호 및 지수는 하기와 같다:
    M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원자 번호 > 38 인 주족 금속, 전이 금속 또는 란탄계 원소이고;
    DCy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공여체 원자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고리형 기이고, 상기 고리형 기는 상기 공여체 원자를 통해 금속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을 함유할 수 있고; 기 DCy 및 CCy 는 공유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또한 라디칼 R1 및 R2 를 통해 서로 추가로 연결될 수 있고;
    CCy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고리형 기이고, 상기 고리형 기는 상기 탄소 원자를 통해 금속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을 함유할 수 있고;
    L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2 자리-킬레이트성 리간드이고;
    R1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F, Cl, Br, I, NO2, CN, 탄소수 1 내지 40 인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알콕시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비인접 CH2 기가 C=0, C=S, C=Se, C=NR2, -R2C=CR2-, -C≡C-, -0-, -S-, -NR2-, Si(R2)2 또는 -CONR2- 로 대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 원자가 F, Cl, Br, I, CN, NO2 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방향족 고리 원자 수가 5 내지 40 인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계 (이는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 로 치환될 수 있다)이고; 여기서, 동일한 고리에서 뿐만 아니라, 2 개의 상이한 고리에서의 복수 치환기 R1 은 함께 추가의 단일- 또는 다중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계를 정의할 수 있고;
    R2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0 인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m 은 각각의 경우에 1, 2 또는 3 이고;
    n 은 각각의 경우에 0, 1 또는 2 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지수 m = 2 또는 3 이고, 지수 n =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DCy 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질소 또는 인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고리형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L 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1가 음이온성 2 자리-킬레이트성 리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단위체가 대칭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단위체가 비대칭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21.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중항 방출체의 금속 M 이원자 번호 > 38 인 전이 금속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삼중항 방출체의 금속 M 이 텅스텐, 레늄, 루테늄, 오스뮴, 로듐, 이리듐, 팔라듐, 백금 및 금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23.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 개 이상의 리간드를 통해 중합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광 공중합체.
  24.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공액화, 부분 공액화 또는 비공액화된 중합체, 올리고머, 덴드리머 또는 저분자량 화합물과의 혼합물.
  25. 하나 이상의 용매 중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공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공액화, 부분 공액화 또는 비공액화된 중합체, 올리고머, 덴드리머 또는 저분자량 화합물과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 또는 제형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유기 전자 소자에 사용되는 용액.
  27.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유기 전자 소자로서, 상기 층 중 하나 이상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공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공액화, 부분 공액화 또는 비공액화된 중합체, 올리고머, 덴드리머 또는 저분자량 화합물과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 소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유기 또는 중합체성 발광 다이오드, 유기 태양 전지, 비선형 광학 (non-linear optic), 유기 광학 검출기, 유기장-소광 소자 (organic field-quench device) 또는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 소자.
KR1020077000385A 2004-07-06 2005-07-06 전계발광 중합체 KR101206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2527A DE102004032527A1 (de) 2004-07-06 2004-07-06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DE102004032527.8 2004-07-06
PCT/EP2005/007290 WO2006003000A1 (de) 2004-07-06 2005-07-06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16A KR20070033416A (ko) 2007-03-26
KR101206313B1 true KR101206313B1 (ko) 2012-11-29

Family

ID=3497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385A KR101206313B1 (ko) 2004-07-06 2005-07-06 전계발광 중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20305B2 (ko)
EP (1) EP1763566B1 (ko)
JP (1) JP5442200B2 (ko)
KR (1) KR101206313B1 (ko)
CN (1) CN1997722A (ko)
DE (1) DE102004032527A1 (ko)
TW (1) TW200617141A (ko)
WO (1) WO2006003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2329B4 (de) * 2002-09-12 2005-03-17 Biedermann Motech Gmbh Bandscheibenprothese
DE102005022903A1 (de) * 2005-05-18 2006-11-23 Merck Patent Gmbh Lösungen organischer Halbleiter
DE102005040411A1 (de) 2005-08-26 2007-03-01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KR101223720B1 (ko) * 2006-06-05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US7851579B2 (en) * 2006-12-11 2010-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Carbazolyl polymer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02006061909A1 (de) 2006-12-21 2008-06-26 Samsung SDI Co., Ltd., Suwon Emitterschicht für eine organische Leuchtdiode
JP5504563B2 (ja) * 2006-12-27 2014-05-28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発光素子
EP2123691A1 (en) * 2007-03-09 2009-11-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mer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102007024850A1 (de) 2007-05-29 2008-12-04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5322091B2 (ja) * 2008-01-30 2013-10-23 国立大学法人 和歌山大学 有機電界発光素子用重合体、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DE102008017591A1 (de) 2008-04-07 2009-10-08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8018670A1 (de) 2008-04-14 2009-10-15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5609022B2 (ja) * 2008-06-23 2014-10-22 住友化学株式会社 金属錯体の残基を含む高分子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子
DE102008033943A1 (de) 2008-07-18 2010-01-21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8048336A1 (de) 2008-09-22 2010-03-25 Merck Patent Gmbh Einkernige neutrale Kupfer(I)-Komplexe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DE102008049037A1 (de) * 2008-09-25 2010-04-22 Merck Patent Gmbh Neue Polymere mit niedriger Polydispersität
DE102008050841B4 (de) 2008-10-08 2019-08-01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8053121A1 (de) 2008-10-24 2010-04-29 Merck Patent Gmbh Doppelkomplex-Salze als Emitter in OLED-Vorrichtungen
DE102008054141A1 (de) 2008-10-31 2010-05-06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9005746A1 (de) 2009-01-23 2010-07-29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9007038A1 (de) 2009-02-02 2010-08-05 Merck Patent Gmbh Metallkomplexe
DE102009009277B4 (de) 2009-02-17 2023-12-07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Verbindungen
DE102009010714A1 (de) 2009-02-27 2010-09-02 Merck Patent Gmbh Vernetzbare und vernetzt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CN102421858A (zh) 2009-06-22 2012-04-18 默克专利有限公司 导电制剂
DE102009030475A1 (de) 2009-06-24 2011-01-05 Hartmut Prof. Dr. Yersin Kupfer-Komplexe für optoelektronische Anwendungen
DE102009033371A1 (de) 2009-07-16 2011-05-1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09034625A1 (de) 2009-07-27 2011-02-03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US8455602B2 (en) * 2009-08-24 2013-06-04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Johannesburg Supramolecular functional materials
DE102009053644B4 (de) 2009-11-17 2019-07-04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9049587A1 (de) 2009-10-16 2011-04-21 Merck Patent Gmbh Metallkomplexe
JP5742160B2 (ja) * 2009-10-19 2015-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金属錯体、高分子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子
DE102009053191A1 (de) 2009-11-06 2011-05-1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8512879B2 (en) * 2009-11-10 2013-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mer for optoelectronic device
DE102009052428A1 (de) 2009-11-10 2011-05-12 Merck Patent Gmbh Verbindung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9368761B2 (en) 2009-12-23 2016-06-14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mprising organic semiconducting compounds
DE102011008463B4 (de) * 2010-01-15 2022-01-13 Sumitomo Chem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üssigen Zusammensetzung für eine organische Halbleitervorrichtung
DE102010005697A1 (de) 2010-01-25 2011-07-28 Merck Patent GmbH, 64293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09903A1 (de) 2010-03-02 2011-09-08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9627632B2 (en) 2010-03-23 2017-04-18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130026421A1 (en) 2010-04-12 2013-01-31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02010014933A1 (de) 2010-04-14 2011-10-20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20567A1 (de) 2010-05-14 2011-11-17 Merck Patent Gmbh Metallkomplexe
US9206352B2 (en) 2010-05-27 2015-12-08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02010024335A1 (de) 2010-06-18 2011-12-22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24542A1 (de) 2010-06-22 2011-12-2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33548A1 (de) 2010-08-05 2012-02-09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48607A1 (de) 2010-10-15 2012-04-19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55901A1 (de) * 2010-12-23 2012-06-28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WO2012090972A1 (ja) * 2010-12-27 2012-07-05 住友化学株式会社 反応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化合物の製造方法
JP6022478B2 (ja) 2011-01-13 2016-11-09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ための材料
GB201122316D0 (en) * 2011-12-23 2012-02-01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 polymer composi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E102011011539A1 (de) 2011-02-17 2012-08-23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CN103476774B (zh) 2011-04-13 2017-02-15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材料
EP2697226B1 (de) 2011-04-13 2017-01-18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2143079A1 (de) 2011-04-18 2012-10-26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P2705550B1 (de) 2011-05-05 2017-07-05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1970940B1 (ko) 2011-05-05 2019-04-22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KR102088637B1 (ko) 2011-07-29 2020-03-1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EP3439065B1 (de) 2011-08-03 2022-01-1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CN104105777B (zh) 2011-10-27 2016-08-24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材料
EP2594571A1 (de) 2011-11-16 2013-05-22 Cynora GmbH Kupfer-Komplexe für optoelektronische Anwendungen
KR101961613B1 (ko) 2011-12-12 2019-03-2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DE102012022880A1 (de) 2011-12-22 2013-06-27 Merck Patent Gmbh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nthaltend organische Schichten
EP3235892B1 (en) 2012-02-14 2019-02-27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DE102012011335A1 (de) 2012-06-06 2013-12-12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Organische Elekronische Vorrichtungen
US9882142B2 (en) 2012-07-23 2018-01-30 Merck Patent Gmbh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KR102196432B1 (ko) 2012-07-23 2020-12-29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
KR20150038193A (ko) 2012-07-23 2015-04-0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2-디아릴아미노플루오렌의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기 전자 화합물
US11917901B2 (en) * 2012-08-07 2024-02-27 Udc Ireland Limited Metal complexes
WO2014072017A1 (de) 2012-11-12 2014-05-15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2197749B1 (ko) 2013-01-03 2021-01-04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재료
JP2016506414A (ja) 2013-01-03 2016-03-03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子素子のための材料
CN105409022B (zh) 2013-07-29 2018-06-19 默克专利有限公司 电光器件及其用途
US20160181537A1 (en) * 2013-07-29 2016-06-23 Merck Patent Gmbh Electroluminescence Device
EP3345984B1 (de) 2013-12-06 2020-03-04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und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CN105814170B (zh) 2013-12-12 2019-11-05 默克专利有限公司 电子器件的材料
CN104151534B (zh) * 2014-08-04 2016-08-24 太原理工大学 一种荧光磷光杂化有机电致白光聚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6055557A1 (de) 2014-10-08 2016-04-14 Cynora Gmbh Metall-komplexe mit tridentaten liganden für optoelektronische anwendungen
JP2017537085A (ja) 2014-11-11 2017-12-14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ための材料
WO2016115726A1 (zh) * 2015-01-23 2016-07-28 太原理工大学 超支化白光共轭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35612B1 (ko) 2015-01-29 2021-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일-함수 금속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EP3250658B1 (en) 2015-01-30 2019-06-19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660538B1 (ko) 2015-07-22 2024-04-24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GB201513037D0 (en) 2015-07-23 2015-09-09 Merck Patent Gmbh Phenyl-derived compound for use in organic electronic devices
JP6983754B2 (ja) 2015-07-29 2021-12-17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ための材料
CN107849077B (zh) * 2015-07-30 2021-02-26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中的桥连的电致发光金属络合物
KR102599157B1 (ko) 2015-08-14 2023-11-0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페녹사진 유도체
CN107849444A (zh) 2015-08-28 2018-03-27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化合物
JP6754774B2 (ja) 2015-12-07 2020-09-16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
CN108603107B (zh) 2016-02-05 2022-08-26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材料
JP7486921B2 (ja) 2016-06-03 2024-05-20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デバイス材料
JP6943241B2 (ja) 2016-06-24 2021-09-29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
TWI745395B (zh) 2016-07-08 2021-11-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用之材料
TWI764942B (zh) 2016-10-10 2022-05-2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9890787A (zh) 2016-11-02 2019-06-14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材料
KR20230121632A (ko) 2016-11-08 2023-08-1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TW201833118A (zh) 2016-11-22 2018-09-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電子裝置之材料
JP7101670B2 (ja) 2016-11-25 2022-07-15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oled)の材料としてのビスベンゾフラン縮合2,8-ジアミノインデノ[1,2-b]フルオレン誘導体およびその関連化合物
EP3544985B1 (en) 2016-11-25 2021-05-12 Merck Patent GmbH Bisbenzofuran-fused indeno[1,2-b]fluoren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oled)
KR102594781B1 (ko) 2017-01-23 2023-10-2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JP7069184B2 (ja) 2017-02-02 2022-05-17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子デバイス用材料
US20200055822A1 (en) 2017-03-02 2020-02-20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CN110573515B (zh) 2017-04-25 2023-07-25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化合物
US20200052228A1 (en) 2017-04-27 2020-02-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ight emitting device
WO2018234346A1 (en) 2017-06-23 2018-12-27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N110799484B (zh) 2017-06-28 2023-09-26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材料
TWI779067B (zh) 2017-07-28 2022-10-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用材料
TW201923028A (zh) 2017-09-08 2019-06-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電子裝置之材料
JPWO2019065389A1 (ja) 2017-09-29 2020-11-26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
KR20200090817A (ko) 2017-11-23 2020-07-29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디바이스용 재료
CN108084407B (zh) * 2017-12-13 2019-12-03 华南协同创新研究院 含9,9,10,10-四氧-噻蒽七元稠环单元的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9115577A1 (en) 2017-12-15 2019-06-20 Merck Patent Gmbh Substituted aromatic amines fo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N111479815A (zh) 2017-12-20 2020-07-31 默克专利有限公司 杂芳族化合物
CN111819167A (zh) 2018-03-16 2020-10-23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9011D0 (en) 1989-04-20 1989-06-07 Friend Richard H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1138746B2 (en) 2000-03-31 2014-01-0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production method therof,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5034140B2 (ja) * 2000-03-31 2012-09-26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蛍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EP1366113B1 (en) 2001-02-20 2011-04-13 Isis Innovation Limited Metal-containing dendrimers
DE10109027A1 (de) 2001-02-24 2002-09-0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Rhodium- und Iridium-Komplexe
EP1370619B1 (de) 2001-03-10 2006-06-21 MERCK PATENT GmbH Lösung und dispersionen organischer halbleiter
KR100888910B1 (ko) 2001-03-24 2009-03-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스피로비플루오렌 단위와 플루오렌 단위를 함유하는 공액중합체 및 이의 용도
SG92833A1 (en) * 2001-03-27 2002-11-19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light emitting substance and polyme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4048810B2 (ja) * 2001-03-27 2008-02-20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発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JP3969152B2 (ja) * 2001-06-21 2007-09-05 昭和電工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および発光材料
JP4986004B2 (ja) * 2001-08-09 2012-07-25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イリジウム錯体、その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141624A1 (de) 2001-08-24 2003-03-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Lösungen polymerer Halbleiter
JP4574936B2 (ja) 2001-08-31 2010-11-04 日本放送協会 燐光発光性化合物及び燐光発光性組成物
DE10143353A1 (de) 2001-09-04 2003-03-2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Spirobifluoren-Einheiten und deren Verwendung
DE10159946A1 (de) 2001-12-06 2003-06-18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Prozess zur Herstellung von Aryl-Aryl gekoppelten Verbindungen
EP1491074B1 (en) 2002-03-18 2017-07-26 Oxford University Innovation Limited Phosphorescent dendrimers for use in light-emitting devices
AU2003238177A1 (en) 2002-06-04 2003-12-19 H.C. Starck Gmbh Phosphorescent and luminescent conjugated polymers and their use in electroluminescent assemblies
DE10238903A1 (de) 2002-08-24 2004-03-0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Rhodium- und Iridium-Komplexe
GB0219987D0 (en) 2002-08-28 2002-10-09 Isis Innovation Intramolecular interactions in organometallics
JP2004292423A (ja) * 2002-08-30 2004-10-21 Dainippon Ink & Chem Inc イリジウム(iii)錯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DE10241814A1 (de) 2002-09-06 2004-03-2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Prozeß zur Herstellung von Aryl-Aryl gekoppelten Verbindungen
RU2228854C1 (ru) 2002-10-23 2004-05-20 Любомирский Андрей Виленович Способ декоратив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ов
DE10249723A1 (de) 2002-10-25 2004-05-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Arylamin-Einheiten enthaltende konjugierte 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04819A1 (de) 2003-02-06 2004-08-1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Carbazol-enthaltende konjugierte Polymere und Blends,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28627A1 (de) 2003-06-26 2005-02-17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DE10337077A1 (de) 2003-08-12 2005-03-1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Konjugiert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37346A1 (de) 2003-08-12 2005-03-3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Dihydrophenanthren-Einheiten und deren Verwendung
DE10343606A1 (de) 2003-09-20 2005-04-1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Weiß emittierend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JP2005104843A (ja) * 2003-09-26 2005-04-21 Kyocera Corp 有機金属錯体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DE10345572A1 (de) 2003-09-29 2005-05-1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Metallkomplexe
DE102004003008A1 (de) 2004-01-20 2005-10-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und deren Verwendung
DE10349033A1 (de) 2003-10-22 2005-05-2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und deren Verwendung
DE10350606A1 (de) 2003-10-30 2005-06-0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heteroleptischer, ortho-metallierter Organometall-Verbindungen
DE10351556A1 (de) 2003-11-03 2005-06-02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Halogenierte Koordinationsverbindungen,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004023278A1 (de) 2004-05-11 2005-12-08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3566B1 (de) 2016-10-26
JP5442200B2 (ja) 2014-03-12
EP1763566A1 (de) 2007-03-21
DE102004032527A1 (de) 2006-02-02
TW200617141A (en) 2006-06-01
KR20070033416A (ko) 2007-03-26
US20070281182A1 (en) 2007-12-06
CN1997722A (zh) 2007-07-11
WO2006003000A1 (de) 2006-01-12
JP2008505239A (ja) 2008-02-21
US7820305B2 (en)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313B1 (ko) 전계발광 중합체
KR100770961B1 (ko) 고분자 형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고분자발광소자
JP5836894B2 (ja) 溶液処理可能な燐光物質の製造方法
US7834136B2 (en) Conjugated polymers and blends containing carbazole, representation and use thereof
JP5847805B2 (ja) 有機発光ポリマー及びデバイス
KR101206315B1 (ko) 전계발광 중합체
JP5557197B2 (ja) 青色発光材料
KR20020076182A (ko) 중합체성 발광체 및 이를 사용하는 중합체 발광 소자
KR100798205B1 (ko) 전기발광 소자
JP4147778B2 (ja) 高分子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高分子発光素子
JP5034140B2 (ja) 高分子蛍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EP1397416B1 (en) Polymer containing substituted triphenylamine units
JP2008523636A (ja) 燐光性oled
JP2004532314A5 (ko)
KR101395530B1 (ko) 광-전기적 중합체 및 디바이스
JP4218340B2 (ja) 高分子化合物の製造方法
WO2005070995A1 (ja) 重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JP2019194317A (ja) 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組成物、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発光素子
JP4403935B2 (ja) 高分子錯体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WO2005030829A1 (ja) 高分子錯体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KR20190111971A (ko) 분지 폴리머의 제조 방법, 분지 폴리머 및 유기 일렉트로닉스 소자
JP2005154489A (ja) 高分子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高分子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