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59B1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59B1
KR101204759B1 KR1020107016531A KR20107016531A KR101204759B1 KR 101204759 B1 KR101204759 B1 KR 101204759B1 KR 1020107016531 A KR1020107016531 A KR 1020107016531A KR 20107016531 A KR20107016531 A KR 20107016531A KR 101204759 B1 KR101204759 B1 KR 10120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effect transistor
field effect
region
fus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356A (ko
Inventor
로버트 엑스유
Original Assignee
비쉐이-실리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쉐이-실리코닉스 filed Critical 비쉐이-실리코닉스
Publication of KR2011000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41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vertical or pseudo-vert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01L23/5256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3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gate electrode, e.g. to form a trench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 H01L29/80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a PN junction gate, e.g. PN homojunction gate
    • H01L29/8083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복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퓨즈 링크를 포함하는 다수의 FET 셀로 구성되어 있다. 퓨즈 링크는 대응하는 셀에 고전류가 흐르는 동안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본 발명은 자가-복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기술이 계속적으로 진보함에 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와 같은 디바이스는 점차 소형화되고 원가가 낮아지고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에 관계된 설계 및 레이아웃은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조 및 제조 수단의 기술적으로 특이적인 최소한의 크기, 간격(spacings), 배열(alignments), 및 중첩(overlaps)에 의해 제한된다. 제조 과정에서, 디바이스의 일부는 공정 변수들에 의해 결합을 갖는다.
전형적인 파워 모스펫(MOSFET) 디바이스는 수천 또는 수백만 개의 병렬 모스펫 셀들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병렬 연결된 셀들은 디바이스가 고전류를 처리하고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전류 운반 능력이 높을수록 디바이스 내의 셀 수가 많아진다. 디바이스 내의 단일 셀에 게이트-소스 또는 소스-드레인 단락과 같은 결함이 있는 경우, 그 결함은 통상적으로 전체 디바이스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하나의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전체 디바이스는 폐기되어야만 하고 이는 제조 수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대규모의 병렬 셀 구조는 디바이스의 불량을 점검(screening)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소스-게이트와 드레인-게이트 사이에 발생한 비치명적인 결함은 발견이 용이하지 않는 바, 그 디바이스 및/또는 그 디바이스가 이용된 전자제품의 신뢰성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가 복구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는 다수의 FET 셀을 포함하는데, 다수의 셀과 소스 상호 연결부(source interconnect) 사이에 유전층(dielectric layer)이 위치한다. 각 셀의 소스 접촉부(source contact)는 대응하는 소스 퓨즈 링크(source fuse link)에 의해 소스 상호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집적 회로는 드레인 영역(drain region), 게이트 영역(gate region), 다수의 소스 영역(source regions), 다수의 본체 영역(body regions), 및 다수의 게이트 절연체 영역(gate insulator regions)을 포함한다. 게이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영역 상부에 위치하는데, 게이트 영역의 제 1 부위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구조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영역의 제 2 부위는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구조에 수직하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2 구조들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소스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구조들에 의해 설정된 게이트 영역의 외연(periphery)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체 영역은 각 셀 내에서 드레인과 소스 영역 사이에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체 영역은 게이트와 소스 영역 사이, 게이트와 본체 영역 사이, 게이트와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집적 회로는 다수의 소스 접촉부, 하나의 소스 상호연결부,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로 되어 있다. 다수의 소스 접촉부는 대응하는 소스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소스 퓨즈 링크는 대응하는 소스 접촉부를 소스 상호 연결부에 연결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은 소스 영역을 가진 다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다수의 소스 접촉부,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 및 소스 상호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 주어진 소스 접촉부는 대응하는 소스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는 대응하는 소스 접촉부에 연결되어 있다. 소스 상호 연결부는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게이트-소스, 게이트-드레인, 및/또는 소스-드레인 단락에서 FET 디바이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들을 비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퓨즈 링크는 평면 및 수직 FET 디바이스 모두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퓨즈 링크는 추가적인 실리콘 영역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가-복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를 유용하게 수행한다
본 기술의 구체예들을 비제한적인 예들을 참조하여 첨부 도면의 도면들에서 설명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금속-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MOSFET)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퓨즈 링크가 끊어진 예시적인 TMOSFET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소스 퓨즈 링크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칩 저항의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퓨즈 링크를 녹이는데 소요되는 예시적인 시간에 관한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a-6d는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셀(closed cell) 트렌치 금속-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MOSFET)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7a-7m은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셀(closed cell) 트렌치 금속-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MOSFET)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평면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MOSFET)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수직 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발명을 실시예들과 함께 기술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에 반하여,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의 범주 안에 속하는, 대체물, 변경물 및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당업자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 없이 실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관점을 흐리지 않게 하기 위해 공지된 방법, 절차, 부품, 및 회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가-복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및 그 제조방법들을 포함한다. 특히 대규모의 병렬 셀 구조를 가진 디바이스의 개별 셀 내에 퓨즈가 부가된다.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과전류가 도통한 셀은 단전되고 자동적으로 결함 있는 셀을 작동하지 못하게 한다. 셀은 수직으로 배열될 수도 있어서, 표면적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FET 디바이스는 MOSFET, JFET 등일 수 있다. 더욱이, FET 디바이스는 수직 또는 평면의 위상을 가질 수 있다.
FET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설명된다. 특히, FET 디바이스의 소스와 드레인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와 드레인이 상호 바뀔 수 있을 때, 여기서 용어 "소스"의 사용은 "드레인"에 등가물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수직 트렌치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MOSFET) 디바이스(100)가 개시되어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FET는 폐쇄 셀 트렌치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MOSFET)일 수 있다. 폐쇄 셀 TMOSFET(100)는 다수의 수직 MOSFET 셀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셀은 소스 영역, 본체 영역, 게이트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수직 MOSFET 셀들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MOSFET 디바이스는 다수의 소스/본체 접촉부(110), 다수의 소스 영역(115), 게이트 영역(120),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 다수의 본체 영역(130), 드레인 영역(135, 140), 및 드레인 상호 연결부(145)를 포함한다. 드레인 영역(135, 140)은 선택적으로 보통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으로 칭하는 제 1 드레인 부위(140)와 보통 드레인 영역으로 칭하는 제 2 부위(135)를 포함한다. 또한, MOSFET 디바이스는 캡슐화 층(encapsulation layer: 150),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155), 및 소스 상호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본체 영역(130), 소스 영역(115), 게이트 영역(120), 및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은 드레인 영역(135) 위치에 위치한다. 게이트 영역(120)의 제 1 부위와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121)로 형성된다. 게이트 영역(120)과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의 제 2 부위는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구조로 형성된다. 게이트 영역(120)의 제 1, 2 부위는 모두 상호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셀을 형성한다. 본체 영역(130)은 게이트 영역(120)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셀들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게이트 영역(120)은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으로 둘러싸여 있어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있다. 소스 영역(115)은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의 외연(periphery)을 따라 다수의 셀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 영역들(115)과 드레인 영역(140)은 인 또는 비소로 도핑된 실리콘과 같이 고농도 n-도핑(+N) 반도체이다. 본체 영역(130)은 붕소로 도핑된 실리콘과 같이 p-도핑(P) 반도체이다. 게이트 영역(120)은 인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이 고농도 n-도핑 반도체(N+)이다.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은 이산화규소와 같은 절연체일 수 있다.
소스/본체 접촉부(110)는 각 셀의 소스 영역(115)과 본체 영역(130)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소스/본체 접촉부(110)는 소스 영역(115)을 각 셀의 본체 영역(130)에 연결시킨다. 캡슐화 층은 게이트 영역(120), 소스 영역(115), 소스/본체 접촉부(110), 소스 퓨즈 링크(155), 및 소스 상호 연결부(160) 사이에 위치해 있다. 소스 퓨즈 링크(155)는 소스/본체 접촉부(110)와 소스 상호 연결부(160) 사이에 위치한다. 소스 상호 연결부(160)는 다수의 소스 영역들(115)을 연결하여 디바이스의 공통 소스를 형성한다. 소스 퓨즈 링크들(155)은 개별 셀의 상단에서 소스/본체 접촉부(11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디바이스(100)에서 추가적인 측면 표면적을 소비하지 않는다.
소스 영역(115)에 대해 게이트 영역(120)의 전위가 디바이스(100)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을 초과할 때, 전도 채널(conducting channel)이 게이트 절연체 영역(125)의 외연을 따라 본체 영역(130)에 유도된다. 그런 다음, 디바이스(100)는 드레인 영역(140)과 소스 영역(115) 사이에 전류를 통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on" 상태에 놓이게 된다.
게이트 영역(120)의 전위가 문턱 전압 아래로 내려가면 전도 채널은 더 이상 유도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드레인 영역(140)과 소스 영역(115) 사이에 인가된 전압 전위는 이들 간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off" 상태가 되고, 본체 영역(130)과 드레인 영역(140)에 형성된 접합(junction)은 소스와 드레인에 걸쳐 인가된 전압을 지지한다.
드레인 영역(135, 140)이 제 1 부위(140) 상부에 제 2 부위(135)가 위치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라면, 드레인 영역의 제 2 부위(135)는 인 또는 비소로 도핑된 실리콘과 같이 저농도 n-도핑(N-) 반도체이고, 드레인 영역의 제 1 부위(140)는 인으로 도핑된 실리콘과 같이 고농도 n-도핑(N+) 반도체이다. 드레인 영역(135)의 저농도 n-도핑(N-) 제 2 부위는, 본체 영역(130)과 드레인 영역(135)의 제 2 부위 안으로 연장된 공핍 영역(depletion region)을 초래함으로써, 펀치-쓰루(punch-through) 효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저농도 n-도핑(N-) 제 2 부위는 폐쇄 셀 TMOSFET(200)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폐쇄 셀 TMOSFET(100)의 채널 폭(channel width)은 소스 영역(115)의 폭의 가늘기(slim)의 함수이다. 따라서, 폐쇄 셀 TMOSFET (100)은 상대적으로 낮은 채널 저항(예를 들면 "on" 상태에서의 드레인-소스 저항)을 가진다. 낮은 채널 저항은 폐쇄 셀 TMOSFET 100에서 분산된 파워를 줄인다. 유사하게, 폐쇄 셀 TMOSFET (120)의 게이트-드레인 캐패시턴스(capacitance)는 게이트 영역(120)의 상부와 드레인 영역(140) 사이에 중첩된 영역의 함수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캡슐화 층(150)은 BPSG와 같은 유전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본체 접촉부(110)는 높은 융점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탈(tantalum),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titanium nitride), 탄탈 질화물(tantalum nitride), 및/또는 티타늄 규화물(titanium silicide)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퓨즈 링크(155)는 낮은 융점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비스무트(bismuth), 인듐, 및/또는 규소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상호 연결부(160)는 높은 또는 낮은 융점을 가진 금속 또는 그러한 금속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 퓨즈 링크(155)는 실질적으로 고체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고전류가 셀의 소스를 통해 흐를 때, 열은 대응하는 소스 퓨즈 링크에 집적될 것이다. 이러한 열은 퓨즈 링크의 금속을 용융시키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캡슐화 층(150)의 국소적인 용융을 초래한다. 캡슐화 층의 국소적 용융은 소스 퓨즈 링크의 낮은 융점을 가진 금속이 흐르는 공동(void)을 형성하고, 그로 인해 소스 퓨즈 링크에서 절단을 초래한다. 소스 퓨즈 링크에서의 절단이 진행되면, 퓨즈는 끊어지고, 셀을 통한 고전류 경로는 파괴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스 퓨즈 링크(155)는 각각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은 실질적으로 소스 퓨즈 링크(155)의 길이 또는 그 일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고전류가 각 셀의 소스를 통해 흐를 때 그 열이 중공으로 집적될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은 퓨즈 링크(255)의 금속을 녹이고 이는 중공 안으로의 흐름을 초래하여 소스 퓨즈 링크(255)에서 파괴를 일으킨다. 소스 퓨즈 링크(255)에서 파괴가 진행될 때, 퓨즈가 끊어지고 셀을 통한 고전류 도통을 막게 된다. 소스 퓨즈 링크의 금속 용융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하여, 소스 퓨즈 링크에서 금속의 전자이동(electromigration)을 초래할 수도 있다. 전자이동은 단독으로, 또는 소스 퓨즈 링크 금속의 열적 용융과 함께, 퓨즈 링크가 끊어지게 초래할 수 있다.
각 퓨즈 링크(255)는 대응하는 셀이 다른 셀에 피해를 입히기 전에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MOFET 셀은 직류 모드(DC 모드)에서 약 0.1 mA, 펄스 모드에서 약 0.5 mA가 흐른다. 셀에 결함이 있고 게이트-소스, 게이트-드레인 또는 소스-드레인 사이에 고전류 경로(예를 들어, 단락)가 있을 때, 상기 셀에서 유입 전류(rush current)는 점진적으로 더 커져서 통상적으로 10-100 mA에 도달하게 된다. 퓨즈 링크는 디바이스에서 셀의 나머지 부분에의 피해 방지를 위해 당해 셀이 고전류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함 있는 셀은 작동되지 않고 나머지 셀은 작용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디바이스는 약간의 성능 저하 또는 성능 저하 없이 자가-복구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소스 퓨즈 링크가 개시되어 있다. 소스 퓨즈 링크(310)는 L의 높이, d의 내경 및 D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소스 퓨즈 링크는 소스/본체 접촉부(320)상에 x * y 로 형성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본체 접촉부는 x=y=2.5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 퓨즈 링크는 알루미늄일 수 있다. 알루미늄은 하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밀도(고체) 2689 kg/m; 밀도(액체) 2400 kg/m3; 융점 933.5 K; 끓는점 2740 K; 융합 엔탈피 10.67 KJ/mole; 증발 엔탈피 293.72 KJ/mole; 저항(고체) 2.66E-08 Ohm M; 열용량(고체) 24.35 KJ/mole; 및 몰질량 26.98 g.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소스 퓨즈 링크를 가지는 FET 디바이스에 있어서, 어떠한 열도 주변으로 빼앗기지 않고 열용량이 실온과 융점 사이에서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소스 퓨즈 링크(300)에서 공동(void)의 부피는 소스 퓨즈 링크(310)의 알루미늄 부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용융 에너지는 온도와 융합 엔탈피를 높이는데 필요한 열의 총합인 것으로 가정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 내에서의 병렬 셀의 수는 대략 100만개일 수 있다. 칩은 295K인 실온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개별적인 셀 퓨즈 링크 영역 저항은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7560603-pct00001
(1)
첨가된 알루미늄 퓨즈로 인한 칩 저항은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7560603-pct00002
(2)
여기서, N은 병렬 셀의 수를 나타낸다. 하나의 셀 퓨즈가 녹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는 하기 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7560603-pct00003
(4)
여기서, AW는 원자량, d는 밀도, Cp는 몰 열용량, 및 △H용융은 용융 엔탈피를 의미한다. 그 결과 한 셀의 소스퓨즈링크를 녹이는데 필요한 시간은 하기 식 4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7560603-pct00004
Figure 112010047560603-pct00005
(5)
Figure 112010047560603-pct00006
도 4를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칩 저항의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래프는 소스 퓨즈 링크를 포함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해 각기 다른 단면적을 가지는 소스 퓨즈 링크로부터, 길이에 따른 칩 저항의 기여도를 비교한 것이다. 첫 번째 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퓨즈 링크를 가지지 않는 폐쇄 셀 TMOSFET의 칩 저항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두 번째 직선은 내경 0.35 ㎛와 외경 0.5 ㎛를 갖는 소스 퓨즈 링크의 칩 저항 기여도를 보여 준다. 세 번째 직선은 내경 0.56 ㎛와 외경 0.8 ㎛를 갖는 소스 퓨즈 링크의 칩 저항 기여도를 보여 준다. 보는 바와 같이, 소스 퓨즈 링크의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칩 저항의 기여도는 감소한다. 더욱이, 퓨즈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칩 저항의 기여도 역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소스 퓨즈 링크에서 칩 저항 기여도는 대략 0.1 μohm 내지 1 μohm의 범위에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퓨즈 링크를 녹이는데 필요한 예시적인 시간에 관한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래프는 1.0 mA의 정전류하에서의 퓨즈에 대해, 소스 퓨즈 링크의 단면적에 따른 퓨즈를 녹이는 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의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퓨즈를 녹이는 시간이 증가한다.
도 6a-6d를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셀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셀 TMOSFET의 제조 방법은 도 7a-7m에 설명되어 있다. 단계(602)에서, 도 6a와 7a에 도시된 바에 따라, 기판(702)상에서 세정(cleaning), 증착(depositing), 도핑(doping), 식각(etching) 및/또는 기타와 같은 다양한 초기 공정 등이 시작된다. 반도체 기판(702)은 고농동 인(N+)으로 도핑된 실리콘일 수 있다. 단계(604)에서, 반도체층(704)은 기판(702)상에 애피택셜(epitaxially) 방식으로 증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층(704)은 비소 또는 붕소로 도핑된 실리콘일 수 있다. 애피택셜 증착 실리콘(704)은 반응 챔버(reaction chamber)으로 불순물을 도입함으로써 도핑될 수 있다. 단계(606)에서, 포토-레지스트는 통상 알려진 리쏘그래피 공정에 의해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게이트 트렌치 마스크(706)를 형성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단계(608)에서, 애피택셜 증착 반도체층(704)의 노출 부분이 통상 알려진 등방성 식각법(isotropic etching method)에 의하여 식각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온성 엣칭제(ionic etchant)가 포토레지스트 패턴층(706)에 의해 노출된 애피택셜 증착 반도체층과 반응한다. 첫 번째 세트의 트렌치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두 번째 세트의 트렌치(도시하지 않음)들은 첫 번째 세트의 트렌치들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트렌치(708)가 형성된다.
단계(610)에서, 게이트 트렌치 마스크(706)는 적당한 스트립퍼(stripper) 또는 레지스트 에슁(ashing)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도 7c를 참조하며, 단계(612)에서, 유전체(712)가 다수의 트렌치(708)에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전체(712)는 실리콘 표면을 산화시켜 실리콘 산화막층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된다. 트렌치에서 결과적인 유전체는 게이트 절연체 영역의 제 1 부위를 형성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단계(614)에서, 폴리실리콘층(714)이 트렌치 첫 번째 세트와 두 번째 세트에 증착되어 게이트 영역을 형성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폴리실리콘(714)은 규소(SiH4)의 석출 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트렌치에 증착된다. 폴리실리콘은 인 또는 비소와 같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다. 증착 공정 동안 불순물을 도입함으로써 폴리실리콘(714)이 도핑될 수도 있다. 단계(616)에서, 에치-백(etch-back) 공정은 웨이퍼(wafer) 표면상에서 과잉의 폴리실리콘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과잉의 폴리실리콘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으로 제거된다.
도 7e를 참조하면, 단계(618)에서, 제 2 포토-레지스트가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본체 영역 마스크를 형성한다. 본체 영역 마스크는 게이트 영역 내부의 영역에 의해 설정된 다수 셀들에 대응한다. 단계(620)에서, 애피택셜 증착 반도체층의 노출 부위는 다수 셀에서 본체 영역(704)의 도핑을 조절하기 위해 도핑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핑 공정은 붕소 또는 비소와 같은 p형 불순물을 애피택셜 증착된 반도체층(704)에 주입한다. 고온 열순환 공정이 본체 영역 도핑을 가속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단계(622)에서 본체 영역 마스크는 제거된다.
도 7f를 참조하면, 단계(624)에서, 제 3 포토-레지스트가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소스 영역 마스크를 형성한다. 소스 영역 마스크는 게이트 산화막 영역과 인접한 각 셀에서 소스 영역을 설정한다. 단계(626)에서, 소스 영역 마스크 (724)에 의해 노출된 채 남겨진 제 1 반도체층의 부분은 소스 영역(726)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다(725). 하나의 구체예에서, 도핑 공정은 인과 같은 n형 불순물을 게이트 산화물 영역(712)에 인접한 다수 셀 안으로 고농도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고온의 열순환이 소스 영역 도핑을 가속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단계(628)에서, 소스 영역 마스크는 제거된다.
도 7g를 참조하면, 단계(630)에서, 유전체층(730)이 웨이퍼상에 증착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유전체층(730)은 화학기상증착(CVD) 시스템에서 tetraethylortliosilicate (TEOS)의 분해에 의해 증착된다. 단계(632)에서, 제 4 포토-레지스트층이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셀 상에 소스/본체 접촉부 마스크(732)를 설정한다. 도 7h를 참조하면, 단계(634)에서, 소스/본체 접촉부 마스크(732)에 의해 노출된 상태인 유전체층(730)의 부분이 식각되어 게이트 절연체층(734)을 형성한다. 단계(636)에서, 소스/본체 접촉부 마스크는 제거된다.
도 7i를 참조하면, 단계(634)에서, 소스/본체 금속층(738)은 웨이퍼상에 증착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본체 금속층(738)은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잘 알려진 방법으로 증착된다. 소스/본체 금속층(738)은 탄탈,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 탄탈 질화물, 티타늄 규화물, 및/또는 기타의 것들일 수 있다. 그러한 금속들은 구리, 알루미늄, 비스무트, 인듐 및 주석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융점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소스/본체 금속층(738)은 패턴화된 유전체층(734)에 의해 노출된 상태인 본체(720)와 소스 영역(726)과 접촉부를 형성한다. 단계(640)에서, 제 5 포토-레지스트가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소스 접촉부 마스크를 형성한다. 소스 접촉부 마스크는 각 셀에서 소스 접촉부 영역을 설정한다. 도 7j를 참조하면, 그런 다음 단계(642)에서, 소스/본체 금속층이 선택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패턴화되어 소스/본체 접촉부(747)를 형성한다. 도 7k를 참조하면, 단계(644)에서, 제 2 유전층(744)이 웨이퍼상에 증착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제 2 유전층(744)은 spin-on glass(BPSG)일 수 있다. 단계(646)에서, 제 6 포토-레지스트층(746)이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소스 퓨즈 링크 마스크(746)를 형성한다. 단계(648)에서, 소스 퓨즈 링크 마스크(746)에 의해 노출된 상태인 제 2 유전층(744)의 부분이 식각되어 다수의 트렌치(748)를 설정한다. 각 트렌치(748)는 제 2 유전층(744)을 통해 대응하는 소스/본체 접촉부(742)로 연정된다. 단계(650)에서, 소스 퓨즈 링크 마스크는 제거된다.
도 7l를 참조하면, 단계(652)에서, 소스 퓨즈 링크 금속층(752)이 웨이퍼상에 증착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 퓨즈 링크 금속층(752)은 화학기상증착(CVD)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증착된다. 소스 퓨즈 링크 금속층(752)은 소스 퓨즈 링크 트렌치(748)의 벽(wall)과 소스/본체 접촉부(742)의 노출 부위에 금속 필름을 형성한다. 소스/본체 금속층은 구리, 알루미늄, 비스무트, 인듐, 주석, 및/또는 기타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금속들은 탄탈,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 탄탈 질화물, 티타늄 규화물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도 7m을 참조하면, 단계(654)에서, 소스 상호 연결부 금속층(754)이 웨이퍼상에 증착된다. 소스 접촉부 금속(742), 소스 퓨즈 링크 금속(752), 및 소스 퓨즈 링크 트렌치에 인접한 소스 상호 연결부 금속(754)은 중공(755)을 가지는 소스 퓨즈 링크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퓨즈 링크 트렌치들은 더 큰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질 수 있다. 소스 퓨즈 링크 트렌치는 스퍼터링과 같은 공정을 사용하여 금속으로 채워진다. 포토-레지스트 층이 증착되고 패턴화되어, 소스 퓨즈 링크 트렌치에 증착된 금속으로 소스 퓨즈 링크 중공을 설정한다. 선택적 식각 공정이 소스 퓨즈 링크 트렌치(748)에서 금속의 노출 부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 다음, 소스 상호 연결부 금속층이 웨이퍼상에 증착된다.
단계(656)에서, 소스 상호 연결부 금속층(754)이 패턴화되어, 소스 퓨즈 링크들에 의해 소스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상호 연결부를 형성한다. 단계(658)에서, 제조 과정은 다양한 기타 공정들을 가지고 계속된다. 다양한 공정들은 통상적으로 식각(etching), 증착(deposition), 도핑(doping), 세척(cleaning), 어닐링(annealing), 부동화(passivation), 클리빙(cleaving) 및/또는 기타의 과정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평면 트렌치 금속-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MOSFET)가 개시되어 있다. 평면 MOSFET 디바이스(800)는 다수의 소스/본체 접촉부(805), 다수의 소스 영역(810), 게이트 영역(815), 게이트 절연체 영역(820), 다수의 본체 영역(825), 드레인 영역(830, 835) 및 드레인 상호 연결부(840)를 포함하고 있다. 평면 MOSFET 디바이스(800)는 또한 캡슐화 층(845),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850), 및 소스 상호 접촉부(855)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영역(825), 소스 영역(810), 게이트 영역(815), 및 게이트 절연체 영역(820)은 드레인 영역(830, 835) 상에 위치한다. 본체 영역들(825)은 다수의 다각형 영역으로서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체 영역(825)은 육각형 영역이다. 드레인 영역(830, 835)은 각각의 다각형 본체 영역(825) 사이에서 위로 연장되어 있다. 소스 영역(810)은 각 본체 영역(825)의 주변에 인접한 본체 영역(825)에 위치하여, 각 본체 영역(825)의 일부는 드레인 영역(831, 835)으로부터 대응 소스 영역(810)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소스 영역 (810)은 본체 영역 (825) 내에 위치하는 다각형 고리이다. 본체 영역 (825)과 소스 영역 (810)의 다각형 형태는 인접한 소스 (810) 사이의 거리가 디바이스 전반에서 비교적 일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 영역(815)은, 본체 영역들(825) 사이에서 위로 연장되어 있는 드레인 영역(830, 835)의 부위 인접하고, 소스 영역들(805)과 드레인 영역(830, 835) 사이에서 본체 영역(825)의 부위에 인접하며, 또한 소스 영역(810)의 일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체 영역(820)은 게이트 영역(815)을 둘러싸고 있어서, 본체 영역(825), 소스 영역들(810), 및 드레인 영역(830, 835)으로부터 게이트 영역(815)을 분리시킨다. 드레인 영역(830, 835)은, 본체 영역(825)에 인접한, 통한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으로 칭하는 제 1 드레인 부위(830)와, 드리프트 영역에 의해 본체 영역(825)으로부터 이격된, 통상 드레인 영역으로 칭하는 제 2 드레인 부위(835)를 포함한다.
소스/본체 접촉부(805)는 본체 영역(825)과 소스 영역(810) 각각에 연결된다. 따라서, 소스/본체 접촉부(805)는 소스 영역(810)을 각 셀의 본체 영역(825)에 연결한다. 캡슐화 층(845)은 소스/본체 접촉부(805)와 소스 상호 연결부(855) 사이에 위치한다. 소스 퓨즈 링크(850)는 소스/본체 접촉부(805)와 소스 상호 연결부(855) 사이에서 캡슐화 층(845)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소스 퓨즈 링크(850)는 각 셀의 상단에서 소스/본체 접촉부(80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디바이스(100)에서 추가적인 측면을 소모하지 않는다.
게이트 영역(815)의 전위가 디바이스(800)의 문턱 전압을 넘어서 증가될 때, 전도 채널이 소스 영역(810)과 드레인 영역(830, 835) 사이에서 본체 영역 부분 (825)에 유도된다. 그런 다음, 디바이스(800)는 드레인 영역들(830, 835)과 소스 영역(810) 사이에 전류를 통전시킨다. 따라서, 디바이스(800)는 "on" 상태가 된다. 게이트 영역(815)의 전위가 문턱 전압 아래로 떨어질 때, 채널은 더 이상 유도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드레인 영역(830, 835)과 소스 영역(810) 사이에 인가된 전압 전위는 이들 사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off" 상태가 되어, 본체 영역(825)과 드레인 영역(830, 835)에 의해 형성된 접합이 소스와 드레인에 걸쳐 인가된 전압을 지지한다.
각 소스 퓨즈 링크(850)는 전류의 고장 모드 레벨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함 있는 셀은 작동 불가능해지고 나머지 셀들은 작용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디바이스(800)는 약간의 성능 저하 또는 성능 저하 없이 자가-복구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소스 퓨즈 링크(850)는 실질적으로 고체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소스 퓨즈 링크(850)는 각 소스 퓨즈 링크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연장한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수직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수직 JFET 디바이스(900)는 대응하는 소스 접촉부(920)를 포함하는 다수의 JFET 셀들(905, 910, 915)을 포함한다. 또한, JFET 디바이스(900)는 소스 상호 연결부와 다수의 퓨즈 링크들(925)을 포함한다. 각 소스 퓨즈 링크(925)는 주어진 소스 접촉 (920)를 소스 상호 연결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한다. 소스 퓨즈 링크(925)는 전류의 고장 모드 레벨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게이트-소스, 게이트-드레인, 및/또는 소스-드레인 단락에서 FET 디바이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들을 비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퓨즈 링크는 평면 및 수직 FET 디바이스 모두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퓨즈 링크는 추가적인 실리콘 영역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들은 자가-복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를 유용하게 수행한다.
본 기술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것들은 설명 및 기술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들은 본 발명을 총망라한 것이 아니며 발명을 개시되어 있는 상세한 형태로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상기 교시에 비추어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이 본 기술과 특정 용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들이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최선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본 기술의 원리 및 구체적 적용들을 최선으로 설명하기 위해 선택 및 기재되었다. 발명의 범주는 여기에 첨부한 청구항들과 그것의 등가물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각각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이 소스 접촉부(corresponding source contact)을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field effect transistor cells);
    소스 상호 연결부(source interconnect); 및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가 소스 접촉부를 소스 상호 연결부에 연결하고 있는 소스 퓨즈 링크들(source fuse links);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는 중공(ca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퓨즈 링크는 결함 있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에서 고전류 도통시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퓨즈 링크는, 특정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에서 소스-드레인 단락(source-to-drain short)이 발생할 때, 상기 특정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이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퓨즈 링크는, 특정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에서 게이트-소스 단락(gate-to-source short)이 발생할 때, 상기 특정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이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스 접촉부들은 제 1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들은 제 1 금속보다 융점이 낮은 제 2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은 500 내지 50억 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은 평면적인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은 수직적인 금속-산화막-반도체 트랜지스터 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촉부, 소스 퓨즈 링크, 및 소스 상호 연결부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제작 면(fabrication surface)에 대해 수직한 축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11. 드레인 영역(drain region);
    드레인 영역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영역으로서, 게이트 영역의 제 1 부위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구조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영역의 제 2 부위가 상기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구조에 수직하며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2 구조들로서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영역(gate region);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구조들 사이에서 게이트 영역의 외연(periphery)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소스 영역(source regions);
    드레인 영역과 다수의 소스 영역들 사이, 및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구조와 제 2 구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본체 영역(body regions);
    게이트 영역과 다수의 소스 영역들 사이, 게이트 영역과 다수의 본체 영역들 사이, 및 게이트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체 영역(gate insulator regions);
    각각의 소스 접촉부가 대응하는 소스 영역과 본체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소스 접촉부(source contacts);
    소스 상호 연결부(a source interconnect);
    다수의 셀들과 소스 상호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전층(dielectric layer); 및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가 소스 접촉부를 소스 상호 연결부에 연결하는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들(source fuse links);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는 열을 집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퓨즈 링크는 대응하는 소스 접촉부로부터 소스 상호 연결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중공을 가진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는 중앙에 중공을 가진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는 금속을 포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류의 고장 모드 레벨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6. 각각의 셀이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셀들을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소수 접촉부가 대응하는 소스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소스 접촉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가 대응하는 소스 접촉부 및 소스 상호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들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스 퓨즈 링크들은 구리, 알루미늄, 비스무트, 인듐,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스 접촉부들은 탄탈(tantalum),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titanium nitride), 탄탈 질화물(tantalum nitride), 및 티타늄 규화물(titanium silic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소스 퓨즈 링크는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스 접촉부들은 탄탈,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 탄탈 질화물, 및 티타늄 규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KR1020107016531A 2008-02-13 2009-02-13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KR101204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30,719 2008-02-13
US12/030,719 US10600902B2 (en) 2008-02-13 2008-02-13 Self-repairing field effect transisitor
PCT/US2009/034065 WO2009102963A2 (en) 2008-02-13 2009-02-13 Field effect transis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56A KR20110004356A (ko) 2011-01-13
KR101204759B1 true KR101204759B1 (ko) 2012-11-26

Family

ID=4093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531A KR101204759B1 (ko) 2008-02-13 2009-02-13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00902B2 (ko)
JP (2) JP2011512043A (ko)
KR (1) KR101204759B1 (ko)
CN (1) CN101971305B (ko)
DE (1) DE112009000238B4 (ko)
GB (1) GB2469592B (ko)
TW (1) TWI532171B (ko)
WO (1) WO20091029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6394B2 (ja) 2010-03-02 2015-06-17 ヴィシェイ−シリコニックス 半導体装置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52300B2 (en) 2011-09-16 2021-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fuse with metal line migration
KR20150092212A (ko) 2012-11-26 2015-08-12 디3 세미컨덕터 엘엘씨 수직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밀도 개선을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및 방법
EP3841377A4 (en) * 2018-08-21 2022-05-18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imited MULTIFUNCTIONAL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SELF-HEALING PROPERTIES
US11217541B2 (en) 2019-05-08 2022-01-04 Vishay-Siliconix, LLC Transistors with electrically active chip seal r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218144B2 (en) 2019-09-12 2022-01-04 Vishay-Siliconix, LLC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 independent gates
CN114242790A (zh) * 2019-12-18 2022-03-25 电子科技大学 一种新型数字门集成电路的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536B1 (ko) 2005-12-29 2006-12-05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2007019264A (ja) 2005-07-07 2007-01-25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034A (ja) * 1985-05-22 1986-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DE3532383A1 (de) 1985-09-11 1987-03-19 Bosch Gmbh Robert Multizellentransistor
US4748103A (en) 1986-03-21 1988-05-31 Advanced Power Technology Mask-surrogate semiconductor process employing dopant protective region
JP2593471B2 (ja) * 1987-03-11 1997-03-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2559801B2 (ja) 1988-03-30 1996-1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ワートランジスタ
US20020074585A1 (en) 1988-05-17 2002-06-20 Advanced Power Technology, Inc., Delaware Corporation Self-aligned power MOSFET with enhanced base region
US5283201A (en) 1988-05-17 1994-02-01 Advanced Power Technology, Inc. High density power device fabrication process
JPH0817039B2 (ja) * 1988-08-19 1996-02-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セル
US4922371A (en) 1988-11-01 1990-05-01 Teledyne Semiconductor ESD protection circuit for MOS integrated circuits
US5055896A (en) 1988-12-15 1991-10-08 Siliconix Incorporated Self-aligned LDD lateral DMOS transistor with high-voltage interconnect capability
US5072266A (en) 1988-12-27 1991-12-10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 DMOS power transistor with field-shaping body profile and three-dimensional geometry
US5021861A (en) * 1990-05-23 1991-06-0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Integrated circuit power device with automatic removal of defective device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5416351A (en) 1991-10-30 1995-05-16 Harris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3167457B2 (ja) 1992-10-22 2001-05-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3311070B2 (ja) 1993-03-15 2002-08-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5404041A (en) 1993-03-31 1995-04-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ource contact placement for efficient ESD/EOS protection in grounded substrate MOS integrated circuit
GB9306895D0 (en) 1993-04-01 1993-05-26 Philips Electronics Uk 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n insulated gate field effect device
US5430315A (en) 1993-07-22 1995-07-04 Rumennik; Vladimir Bi-directional power trench MOS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low on-state resistance and low leakage current
JP3256626B2 (ja) * 1994-05-15 2002-02-1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5519242A (en) 1994-08-17 1996-05-21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for a NMOS or lateral NPN transistor
US5637900A (en) 1995-04-06 1997-06-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atchup-free fully-protected CMOS on-chip ESD protection circuit
US5567634A (en) 1995-05-01 1996-10-2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self-aligned contact trench DMOS transistors
US6140678A (en) 1995-06-02 2000-10-31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gated power MOSFET with protective diode
US6049108A (en) 1995-06-02 2000-04-11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gated MOSFET with bidirectional voltage clamping
US5998837A (en) 1995-06-02 1999-12-07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gated power MOSFET with protective diode having adjustable breakdown voltage
US5661322A (en) 1995-06-02 1997-08-26 Siliconix Incorporated Bidirectional blocking accumulation-mode trench power MOSFET
JP2988871B2 (ja) 1995-06-02 1999-12-13 シリコニ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トレンチゲートパワーmosfet
US6078090A (en) 1997-04-02 2000-06-20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gated Schottky diode with integral clamping diode
KR0157345B1 (ko) * 1995-06-30 1998-12-01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기 휴즈셀
EP0864178A4 (en) 1995-10-02 2001-10-10 Siliconix Inc SLIDED GRID MOSFET HAVING AN INTEGRATED TEMPERATURE SENSING DIODE
JPH09129877A (ja) 1995-10-30 1997-05-1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US5637898A (en) 1995-12-22 1997-06-10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improved breakdown voltage capability and low on-state resistance
US5850095A (en) 1996-09-24 1998-12-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SD protection circuit using zener diode and interdigitated NPN transistor
JPH10294456A (ja) 1997-04-17 1998-11-0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5763914A (en) * 1997-07-16 1998-06-09 Megamos Corporation Cell topology for power transistors with increased packing density
JP3502531B2 (ja) 1997-08-28 2004-03-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268242B1 (en) 1997-12-31 2001-07-31 Richard K. Williams Method of forming vertical mosfet device having voltage clamped gate and self-aligned contact
JP3705919B2 (ja) 1998-03-05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044018A (en) 1998-06-17 2000-03-28 Mosel Vitelic, Inc. Single-poly flash memory cell for embedded application and related methods
JP3413569B2 (ja) 1998-09-16 2003-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05619B1 (ko) 1998-09-29 2005-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소자의정전하방전회로,그구조체및그구조체의제조방법
US5998833A (en) 1998-10-26 1999-12-07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improved high frequency switching and breakdown characteristics
US6255683B1 (en) 1998-12-29 2001-07-03 Infineon Technologies A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JP3743189B2 (ja) 1999-01-27 2006-02-08 富士通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68639B1 (en) 1999-02-11 2001-07-31 Xilinx, Inc. Electrostatic-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6242789B1 (en) * 1999-02-23 2001-06-05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Vertical fus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277695B1 (en) 1999-04-16 2001-08-21 Siliconix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vertical planar DMOSFET with self-aligned contact
US6413822B2 (en) 1999-04-22 2002-07-02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Super-self-aligned fabrication process of trench-gate DMOS with overlying device layer
US6347026B1 (en) 1999-05-26 2002-02-12 Lsi Logic Corporation Input and power protection circuit implemented in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process using salicides
US6191447B1 (en) 1999-05-28 2001-02-20 Micro-Ohm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that utilize tapered trench-based insulating regions to improve electric field profiles in highly doped drift region mesa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DE19926107C1 (de) 1999-06-08 2000-11-16 Siemens Ag Halbleiteranordnung mit einer Fuse und ihr Herstellungsverfahren
US6252292B1 (en) 1999-06-09 2001-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tical electrical cavity-fuse
US6211018B1 (en) 1999-08-14 2001-04-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fabricating high density trench gate type power device
KR100340906B1 (ko) * 1999-08-23 2002-06-20 박종섭 반도체 장치의 퓨즈 구조
JP2001177093A (ja) 1999-12-20 2001-06-2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JP3573674B2 (ja) 1999-12-27 2004-10-0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入出力保護装置とその保護方法
US6548860B1 (en) 2000-02-29 2003-04-15 General Semiconductor, Inc. DMOS transistor structur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JP4352563B2 (ja) 2000-03-07 2009-10-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小型ポンプ
US6472678B1 (en) 2000-06-16 2002-10-29 General Semiconductor, Inc. Trench MOSFET with double-diffused body profile
JP2002016080A (ja) 2000-06-28 2002-01-18 Toshiba Corp トレンチゲート型mosfetの製造方法
US6700158B1 (en) 2000-08-18 2004-03-0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Trench corner protection for trench MOSFET
JP2002110978A (ja) 2000-10-02 2002-04-12 Toshiba Corp 電力用半導体素子
US6631060B2 (en) 2000-11-30 2003-10-07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Field oxide device with zener junction for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and other applications
JP4150496B2 (ja) * 2000-12-28 2008-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087975B2 (en) * 2000-12-28 2006-08-08 Infineon Technologies Ag Area efficient stacking of antifuses in semiconductor device
JP4932088B2 (ja) 2001-02-19 2012-05-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608133B2 (ja) 2001-06-08 2011-01-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縦型mosfetを備えた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82000B2 (en) 2001-08-10 2005-04-19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 MIS device with reduced gate-to-drain capacitance
US6514839B1 (en) 2001-10-05 2003-02-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ESD implantation method in deep-submicron CMOS technology for high-voltage-tolerant applications with light-doping concentrations
US20030071310A1 (en) 2001-10-11 2003-04-17 Salling Craig T. Method to increase substrate potential in MOS transistors used in ESD protection circuits
KR100406180B1 (ko) 2001-12-22 2003-1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US6838722B2 (en) 2002-03-22 2005-01-04 Siliconix Incorporated Structures of and methods of fabricating trench-gated MIS devices
JP4557507B2 (ja) 2002-06-13 2010-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6855593B2 (en) 2002-07-11 2005-02-1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Trench Schottky barrier diode
US8629019B2 (en) 2002-09-24 2014-01-14 Vishay-Siliconix Method of forming self aligned contacts for a power MOSFET
US7190563B2 (en) 2002-10-18 2007-03-13 Agere Systems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JP2004186590A (ja) 2002-12-05 2004-07-02 Yamah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931138B2 (ja) 2002-12-25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半導体装置及び電力用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200411897A (en) 2002-12-30 2004-07-01 Winbond Electronics Corp Robust ESD protection structures
US6861701B2 (en) 2003-03-05 2005-03-01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Trench power MOSFET with planarized gate bus
US6809972B2 (en) * 2003-03-13 2004-10-26 Infineon Technologies Ag Circuit technique for column redundancy fuse latches
US6919603B2 (en) 2003-04-30 2005-07-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fficient protection structure for reverse pin-to-pin electrostatic discharge
US6867083B2 (en) * 2003-05-01 2005-03-1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 body contact of a transistor and structure therefor
US7019368B1 (en) 2003-07-11 2006-03-28 Actel Corporation Low-capacitance input/output and 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 for protecting an integrated circuit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US20050036251A1 (en) 2003-08-12 2005-02-17 Micrel, Incorporat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trim-diodes
JP2005136060A (ja) 2003-10-29 2005-05-26 Yamah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279743B2 (en) * 2003-12-02 2007-10-09 Vishay-Siliconix Closed cell trench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DE10358324A1 (de) 2003-12-12 2005-07-14 Infineon Technologies Ag Leistungstransistorzelle und Leistungstransistorbauelement mit Schmelzsicherung
US8183629B2 (en) 2004-05-13 2012-05-22 Vishay-Siliconix Stacked trench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US7271988B2 (en) * 2004-08-04 2007-09-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to protect electrical fuses
JP4685388B2 (ja) 2004-09-06 2011-05-18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6120789A (ja) * 2004-10-20 2006-05-1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7271643B2 (en) * 2005-05-26 2007-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for blowing an electrically blowable fuse in SOI technologies
US20060268479A1 (en) 2005-05-31 2006-11-30 Atmel Germany Gmbh ESD protection structure
JP4579063B2 (ja) * 2005-06-10 2010-11-10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礫岩状人工岩石の製造方法
JP2006352034A (ja) * 2005-06-20 2006-12-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ヒューズ回路及び電子回路
US7544545B2 (en) 2005-12-28 2009-06-09 Vishay-Siliconix Trench polysilicon diode
JP5002967B2 (ja) * 2006-01-24 2012-08-15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5529B1 (ko) * 2006-02-09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43075A (ja) * 2006-03-10 2007-09-20 Ricoh Co Ltd 半導体装置
US8471390B2 (en) 2006-05-12 2013-06-25 Vishay-Siliconix Power MOSFET contact metallization
US8368126B2 (en) 2007-04-19 2013-02-05 Vishay-Siliconix Trench metal oxide semiconductor with recessed trench material and remote contacts
JP2009129877A (ja) 2007-11-28 2009-06-11 S Ii R:Kk 電子部品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9264A (ja) 2005-07-07 2007-01-25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653536B1 (ko) 2005-12-29 2006-12-05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2963A2 (en) 2009-08-20
CN101971305A (zh) 2011-02-09
TWI532171B (zh) 2016-05-01
US20090200578A1 (en) 2009-08-13
JP6110341B2 (ja) 2017-04-05
GB2469592B (en) 2012-03-21
TW200950085A (en) 2009-12-01
JP2011512043A (ja) 2011-04-14
US10600902B2 (en) 2020-03-24
GB2469592A (en) 2010-10-20
DE112009000238B4 (de) 2019-04-25
DE112009000238T5 (de) 2011-04-14
GB201011868D0 (en) 2010-09-01
WO2009102963A3 (en) 2009-10-22
KR20110004356A (ko) 2011-01-13
JP2014222765A (ja) 2014-11-27
CN101971305B (zh)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341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TWI754161B (zh) 一種絕緣體上半導體基板及其形成方法
US8471296B2 (en) FinFET fuse with enhanced current crowding
US10811410B2 (en) Simultaneously fabricating a high voltage transistor and a FinFET
US9070714B1 (en) Strapped dual-gate VDMOS device
KR101430824B1 (ko) 수직형 파워 mosfet 및 이의 형성 방법
CN111129148A (zh) 半导体装置的形成方法
TWI711181B (zh) 半導體裝置及其形成方法
US11916115B2 (en) Field plate structure to enhance transistor breakdown voltage
US20150333140A1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0366982B2 (en) Structure with embedded memory device and contact isolation scheme
US10686036B2 (en) Method of making bipolar transistor
US20140339648A1 (en) Transistors with an extension region having strips of differing conductivity type
TWI813732B (zh) 利用用於減小節距之閘極屏蔽緩衝件之mosfet源極接觸件形成
CN107026166B (zh) 半导体装置及方法
US70710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proximity lines
KR102522808B1 (ko) Soi(semiconductor-on-insulator) 기판 및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