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618B1 - 적층 콘덴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618B1
KR101051618B1 KR1020090011962A KR20090011962A KR101051618B1 KR 101051618 B1 KR101051618 B1 KR 101051618B1 KR 1020090011962 A KR1020090011962 A KR 1020090011962A KR 20090011962 A KR20090011962 A KR 20090011962A KR 101051618 B1 KR101051618 B1 KR 10105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lectrode
electrode
internal
polarity
termina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840A (ko
Inventor
다카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정전 용량부에서의 내부 전극이 병렬 접속된 단자 도체가, ESR 제어부에서의 내부 전극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고ESR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자부의 경계선측으로 신장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압이 부가된 경우에, 콘덴서 소자부의 경계선 근방을 포함하는 적층체 전체에서 전왜(電歪)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이 회피되고,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11962
적층 콘덴서 어레이, 응력 집중, 전왜, ESR

Description

적층 콘덴서 어레이{Multilayer capacitor array}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1879호에 기재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가 있다. 이 종래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유전체층과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유전체층이 되는 세라믹 그린상에, 내부 전극이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복수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모든 내부 전극이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대응하는 외부 전극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직렬 저항(Equivalent Series Resistance : 이하 「ESR」이라고 함)을 충분히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유전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많게 하면, 한층 더 현저한 것이 된다. 그래서,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유전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바꾸지 않고, ESR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외부로부터 전압이 부가되면, 내부 전극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전왜(電歪)가 생긴다. 이 때문에, 콘덴서 소자부간의 내부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전왜에 의한 응력이 집중하여, 균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을 완화하면서, 고ESR을 실현 가능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적층체 내에 있어서 복수단으로 형성된 내부 전극과, 적층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단자 도체, 및 복수의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내부 전극이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콘덴서 소자부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이고, 콘덴서 소자부는, 제 1 극성에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극성에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ESR 제어부와, 제 1 극성에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과, 제 2 극성에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정전 용량부를 갖고, ESR 제어부에서,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제 1 단자 도체와 제 1 외부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제 2 단자 도체와 제 2 외부 전극과 접속되고, 정전 용량부에서,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제 2 단자 도체에만 접속되고,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제 1 단자 도체에만 접속되고, 인접하는 콘덴서 소자부의 정전 용량부에서의 제 4 내부 전극 과 동일단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콘덴서 소자부간의 소정의 경계선까지 신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정전 용량부에서 내부 전극이 단자 도체에만 접속되고, ESR 제어부에서 내부 전극이 단자 도체 및 외부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 전극이 병렬 접속된 단자 도체가 외부 전극에 직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외부 전극에 내부 전극을 병렬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高)ESR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콘덴서 소자부간의 소정의 경계선에 있어서 동 극성의 내부 전극이 정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압이 부가된 경우에, 콘덴서 소자부간의 경계선 근방을 포함하는 적층체 전체에서 전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이 회피되고,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동 극성의 내부 전극이 근접하여도, 이 근접 부분은 정전 용량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정전 용량의 변동은 억제된다.
또한, ESR 제어부에서, 제 1 내부 전극은, 인접하는 콘덴서 소자부의 ESR 제어부에서의 제 2 내부 전극과 동일단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콘덴서 소자부간의 경계선까지 신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콘덴서 소자부에서의 적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ESR 제어부에서도 제 1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자부간의 경계선에 신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을 한층 더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SR 제어부의 내부 전극과,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ESR 제어부의 내 부 전극과 서로 이웃하는 정전 용량부의 내부 전극은 접속되는 극성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정전 용량을 한층 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의하면,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을 완화하면서, 고ESR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1)는, 적층체(2)와, 적층체의 측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3; 3A 내지 3D) 및 단자 도체(4; 4A 내지 4D)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6)의 위에 다른 패턴의 내부 전극(7)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복합층(5)과, 복합층(5)을 사이에 두도록 적층되어,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는 유전체층(6, 6)에 의하여,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층(6)은,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 전극(7)은,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이루어진 다.
이 적층체(2)에 있어서는, 복수단의 내부 전극(7)이 유전체층(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복합층(5)이 적층됨으로써, 외부 전극(3) 및 단자 도체(4)의 배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콘덴서 소자부(8; 8A, 8B)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또, 실제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유전체층(6, 6)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외부 전극(3) 및 단자 도체(4)는, 도전성 금속 분말 및 유리 플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3)은, 적층 콘덴서 어레이(1)의 실장시에, 소정의 극성에 접속되는 전극이다. 또한, 단자 도체(4)는, 콘덴서 소자부(8)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정전 용량부(12)에 속하는 내부 전극(7)끼리를 병렬로 접속하는 도체이고, 실장 기판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소위 NC(No Contact) 도체이다.
외부 전극(3) 및 단자 도체(4)는, 적층체(2)에 있어서의 복합층(5)의 적층방향에 따른 2개의 측면(2a, 2b)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3) 및 단자 도체(4)는, 측면(2a, 2b)에서 상술한 적층방향에 띠형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적층체(2)의 적층방향의 단면에 돌출하는 패드 부분을 갖고 있다.
한쪽의 측면(2a)에는,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극성(제 1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A; 제 1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4A; 제 1 단자 도체), NC인 단자 도체(4C; 제 2 단자 도체), -극성(제 2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C; 제 2 외부 전극)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측면(2b)에는,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B; 제 2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4B; 제 2 단자 도체), NC인 단자 도체(4D; 제 1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D; 제 1 외부 전극)이 배열되어 있다. 외부 전극(3A 내지 3D) 및 단자 도체(4A 내지 4D)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한 상태로 되어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다음에, 콘덴서 소자부(8)에 관해서 설명한다.
콘덴서 소자부(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1)의 ESR을 제어하는 ESR 제어부(11)와, 적층 콘덴서 어레이(1)의 정전 용량에 주로 기여하는 정전 용량부(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ESR 제어부(11)는, 복합층(5)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정전 용량부(1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ESR 제어부(1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5A, 5B)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5A)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7A; 제 1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7B; 제 2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7A) 및 내부 전극(7B)은,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7A)은, 인출 전극(9a, 9a)에 의해서 외부 전극(3A)과 단자 도체(4A)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7B)은, 인출 전극(9b, 9b)에 의해서 외부 전극(3C)과 단자 도체(4C)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5B)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7C; 제 2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7D; 제 1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7C) 및 내부 전극(7D)은, 내부 전극(7A) 및 내부 전극(7B)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7C)은, 인출 전극(9c, 9c)에 의해서 외부 전극(3B)과 단자 도체(4B)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7D)은, 인출 전극(9d, 9d)에 의해서 외부 전극(3D)과 단자 도체(4D)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콘덴서 소자부(8A)에서의 ESR 제어부(11)에서는, 상술한 2개의 복합층(5A, 5B)이 적층됨으로써,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A)과,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C)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6)을 사이에 두고 적층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부(8B)에서의 ESR 제어부(11)에서는, 복합층(5A, 5B)이 적층됨으로써, 콘덴서 소자부(8A)에서의 ESR 제어부(11)와는 극성이 적층방향으로 반전한 상태에서,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D)과,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B)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6)을 사이에 두고 적층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한편, 정전 용량부(1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5C, 5D)이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5C)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5a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7E; 제 3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7F; 제 4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7E) 및 내부 전극(7F)은, 내부 전극(7A) 및 내부 전극(7B)과 같이,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7E)은, 인출 전극(9e)에 의해서 단자 도체(4A)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4A),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A)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A)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7E)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7F)은, 인출 전극(9f)에 의해서 단자 도체(4C)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4C),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B)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C)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7F)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5D)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7G; 제 4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7H; 제 3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7G) 및 내부 전극(7H)은, 내부 전극(7E) 및 내부 전극(7F)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7G)은, 인출 전극(9g)에 의해서 단자 도체(4B)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4B),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C)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B)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7G)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7H)은, 인출 전극(9h)에 의해서 단자 도체(4D)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4D),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D)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D)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7H)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콘덴서 소자부(8A)에서의 정전 용량부(12)에서는, 상술한 2개의 복합층(5C, 5D)이 복수 적층됨으로써,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E)과,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G)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6)을 사이에 두고 적층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콘덴서 소자부(8B)에서의 정전 용량부(12)에서는, 복합층(5C, 5D)이 복수 적층됨으로써, 콘덴서 소자부(8A)에서의 정전 용량부(12)와는 극성이 적층방향으로 반전한 상태에서,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H)과,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F)이, 적어도 1층의 유전체층(6)을 사이에 두고 적층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한쪽의 ESR 제어부(11)와 정전 용량부(12)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는, 복합층(5B)과 복합층(5C)이 적층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의 ESR 제어부(11)와 정전 용량부(12)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는, 복합층(5A)과 복합층(5D)이 적층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방향에서 보아,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과, 이것에 서로 이웃하는 정전 용량부(12)의 내부 전극(7)은, 접속되는 극성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SR 제어부(11) 및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7A, 7D, 7E, 7H)은,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까지 신장하고 있다. 차이가 나는 내부 전극(7A, 7D, 7E, 7H)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지만, 그 말단부끼리가 경계선(L)상에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7A, 7D, 7E, 7H)의 말단부로부터, 동일단에 있는 내부 전극(7B, 7C, 7F, 7G)의 말단부까지의 간격은, 예를 들면 100㎛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오차 등에 의한 내부 전극(7A, 7D, 7E, 7H)과 내부 전극(7B, 7C, 7F, 7G)의 접촉의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내부 전극(7A, 7D, 7E, 7H)과 내부 전극(7B, 7C, 7F, 7G)이 동일단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콘덴서 소자부(8A, 8B)에서의 적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 내부 전극(7)이 단자 도체(4)에만 접속되고, ESR 제어부(11)에 있어서 내부 전극(7)이 단자 도체(4) 및 외부 전극(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7)이 병렬 접속된 단자 도체(4)가, ESR 제어부(11)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7)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에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부 전극(3)에 내부 전극(7)을 병렬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ESR을 실현할 수 있다. ESR이 향상됨으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급격한 임피던스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적층 콘덴서 어레이(1)의 광대역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적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콘덴서 소자부(8A, 8B)의 경계선(L)에서, ESR 제어부(11) 및 정전 용량부(12)에 속하는 모든 +극성의 내부 전극(7)이 차이가 나게 정렬되어 있다. 내부 전극(7)이 콘덴서 소자부(8A, 8B)의 경계선(L)측으로 신장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압이 부가된 경우에, 콘덴서 소자부(8A, 8B)의 경계선(L) 근방을 포함하는 적층체(2) 전체에서 전왜가 생기게 된다. 따라 서,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이 회피되고, 크랙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동 극성의 내부 전극(7)이 근접하여도, 이 근접 부분은 정전 용량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 어레이(1)의 정전 용량의 변동은 억제된다.
또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과, 적층방향에서 보아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7)과 서로 이웃하는 정전 용량부(12)의 내부 전극(7)은, 접속되는 극성이 서로 다르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 어레이(1)의 정전 용량을 한층 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외부 전극(3) 및 단자 도체(4)의 배열, 및 복합층(5)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7)의 패턴은, 여러가지의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 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서는, 적층체(2)의 한쪽의 측면(2a)에, 도시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NC인 단자 도체(14A; 제 1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13A; 제 1 외부 전극),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13C; 제 2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14C; 제 2 단자 도체)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측면(2b)에는, 도시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NC인 단자 도체(14B; 제 2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13B; 제 2 외부 전극),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13D; 제 1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14D; 제 1 단자 도체)가 배열되어 있다.
ESR 제어부(1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15A, 15B)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15A)에서, 콘덴서 소자 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17A; 제 1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17B; 제 2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17A) 및 내부 전극(17B)은,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17A)은, 인출 전극(19a, 19a)에 의해서 외부 전극(13A)과 단자 도체(14A)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17B)은, 인출 전극(19b, 19b)에 의해서 외부 전극(13C)과 단자 도체(14C)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15B)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17C; 제 2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17D; 제 1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17C) 및 내부 전극(17D)은, 내부 전극(17A) 및 내부 전극(17B)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17C)은, 인출 전극(19c, 19c)에 의해서 외부 전극(13B)과 단자 도체(14B)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17D)은, 인출 전극(19d, 19d)에 의해서 외부 전극(13D)과 단자 도체(14D)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한편, 정전 용량부(1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15C, 15D)이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15C)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7a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17E; 제 3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17F; 제 4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17E) 및 내부 전극(17F)은, 내부 전극(17A) 및 내부 전극(17B)과 같이,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17E)은, 인출 전극(19e)에 의해서 단자 도체(14A)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14A),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17A)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13A)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17E)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17F)은, 인출 전극(19f)에 의해서 단자 도체(14C)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14C),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17B)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13C)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17F)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15D)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17G; 제 4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17H; 제 3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17G) 및 내부 전극(17H)은, 내부 전극(17E) 및 내부 전극(17F)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17G)은, 인출 전극(19g)에 의해서 단자 도체(14B)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14B),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17C)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13B)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17G)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17H)은, 인출 전극(19h)에 의해서 단자 도체(14D)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14D),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17D)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13D)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17H)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ESR 제어부(11) 및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17A, 17D, 17E, 17H)은,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까지 신장하고 있다. 차이가 나는 내부 전극(17A, 17D, 17E, 17H)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지만, 그 말단부끼리가 경계선(L)상에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 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서는, 적층체(2)의 한쪽의 측면(2a)에, 도시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NC인 단자 도체(24B; 제 2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23A; 제 1 외부 전극),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23C; 제 2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24D; 제 1 단자 도체)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측면(2b)에는, 도시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NC인 단자 도체(24A; 제 1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23B; 제 2 외부 전극),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23D; 제 1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24C; 제 2 단자 도체)가 배열되어 있다.
ESR 제어부(1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25A, 25B)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25A)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27A; 제 1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27B; 제 2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27A) 및 내부 전극(27B)은,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27A)은, 인출 전극(29a, 29a)에 의해서 외부 전극(23A)과 단자 도 체(24A)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27B)은, 인출 전극(29b, 29b)에 의해서 외부 전극(23C)과 단자 도체(24C)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25B)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27C; 제 2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27D; 제 1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27C) 및 내부 전극(27D)은, 내부 전극(27A) 및 내부 전극(27B)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27C)은, 인출 전극(29c, 29c)에 의해서 외부 전극(23B)과 단자 도체(24B)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27D)은, 인출 전극(29d, 29d)에 의해서 외부 전극(23D)과 단자 도체(24D)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한편, 정전 용량부(1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25C, 25D)이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25C)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27E; 제 3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27F; 제 4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27E) 및 내부 전극(27F)은, 내부 전극(27A) 및 내부 전극(27B)과 같이,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27E)은, 인출 전극(29e)에 의해서 단자 도체(24A)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24A),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27A)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23A) 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27E)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27F)은, 인출 전극(29f)에 의해서 단자 도체(24C)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24C),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27B)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23C)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27F)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25D)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27G; 제 4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27H; 제 3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27G) 및 내부 전극(27H)은, 내부 전극(27E) 및 내부 전극(27F)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27G)은, 인출 전극(29g)에 의해서 단자 도체(24B)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24B),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27C)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23B)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27G)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27H)은, 인출 전극(29h)에 의해서 단자 도체(24D)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24D),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27D)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23D)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27H)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ESR 제어부(11) 및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27A, 27D, 27E, 27H)은,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까지 신장하고 있다. 차이가 나는 내부 전극(27A, 27D, 27E, 27H)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지만, 그 말단부끼리가 경계선(L)상에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제 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에서는, 적층체(2)의 한쪽의 측면(2a)에, 도시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NC인 단자 도체(34B; 제 2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3A; 제 1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34D; 제 1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3C; 제 2 외부 전극)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측면(2b)에는, 도시하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3B; 제 2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34A; 제 1 단자 도체), +극성에 접속되는 외부 전극(33D; 제 1 외부 전극), NC인 단자 도체(34C; 제 2 단자 도체)가 배열되어 있다.
ESR 제어부(1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35A, 35B)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35A)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37A; 제 1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37B; 제 2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37A) 및 내부 전극(37B)은,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37A)은, 인출 전극(39a, 39a)에 의해서 외부 전극(33A)과 단자 도체(34A)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37B)은, 인출 전극(39b, 39b)에 의해서 외부 전극(33C)과 단자 도체(34C)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35B)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37C; 제 2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37D; 제 1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37C) 및 내부 전극(37D)은, 내부 전극(37A) 및 내부 전극(37B)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37C)은, 인출 전극(39c, 39c)에 의해서 외부 전극(33B)과 단자 도체(34B)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37D)은, 인출 전극(39d, 39d)에 의해서 외부 전극(33D)과 단자 도체(34D)에 각각 접속되고,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한편, 정전 용량부(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 패턴이 다른 2개의 복합층(35C, 35D)이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합층(35C)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된 영역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37E; 제 3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37F; 제 4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37E) 및 내부 전극(37F)은, 내부 전극(37A) 및 내부 전극(37B)과 같이, 모두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37E)은, 인출 전극(39e)에 의해서 단자 도체(34A)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34A),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37A)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3A)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37E)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37F)은, 인출 전극(39f)에 의해서 단자 도체(34C)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34C),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37B)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3C)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37F)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또한, 복합층(35D)에서,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으로 구분 된 영역에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37G; 제 4 내부 전극) 및 내부 전극(37H; 제 3 내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37G) 및 내부 전극(37H)은, 내부 전극(37E) 및 내부 전극(37F)에 대하여, 경계선(L)에 대해서 대칭적인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전극(37G)은, 인출 전극(39g)에 의해서 단자 도체(34B)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34B),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37C)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3B)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37G)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내부 전극(37H)은, 인출 전극(39h)에 의해서 단자 도체(34D)에만 접속되고, 단자 도체(34D), 및 ESR 제어부(11)의 내부 전극(37D)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33D)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37H)은, 실장시에 +극성을 갖는다.
ESR 제어부(11) 및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 +극성에 접속되는 내부 전극(37A, 37D, 37E, 37H)은, 콘덴서 소자부(8A, 8B) 사이의 경계선(L)까지 신장하고 있다. 차이가 나는 내부 전극(37A, 37D, 37E, 37H)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지만, 그 말단부끼리가 경계선(L)상에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제 1 내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도, 정전 용량부(12)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이 병렬 접속된 단자 도체가, ESR 제어부(11)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을 개재하여 외부 전극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부 전극에 내부 전극을 병렬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ESR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자부(8A, 8B)의 경계선(L)측으로 신장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압이 부가된 경우에, 콘덴서 소자부(8A, 8B)의 경계선(L) 근방을 포함하는 적층체(2) 전체에서 전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전왜에 의한 응력 집중이 회피되고,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전 용량부(12)를 적층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ESR 제어부(11)를 형성하였지만, ESR 제어부(11)는, 적층체(2)의 어떤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한, 실장시에 외부 전극 및 내부 전극에 접속하는 극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반전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ESR 제어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정전 용량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ESR 제어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ESR 제어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ESR 제어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부의 복합층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3)

  1.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 내에 있어서 복수단으로 형성된 내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단자 도체, 및 복수의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전극이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콘덴서 소자부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로서,
    상기 콘덴서 소자부는,
    제 1 극성에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극성에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이 적어도 1층의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ESR 제어부와,
    상기 제 1 극성에 접속되는 제 3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극성에 접속되는 제 4 내부 전극이 적어도 1층의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정전 용량부를 갖고,
    상기 ESR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제 1 단자 도체와 제 1 외부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제 2 단자 도체와 제 2 외부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정전 용량부에서,
    상기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단자 도체에만 접속되고,
    상기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단자 도체에만 접속되고, 인접하는 콘덴서 소자부의 정전 용량부에서의 제 4 내부 전극과 동일단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콘덴서 소자부간의 소정의 경계선까지 신장하고 있고,
    상기 ESR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내부 전극은, 인접하는 콘덴서 소자부의 ESR 제어부에서의 제 2 내부 전극과 동일단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콘덴서 소자부간의 상기 경계선까지 신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SR 제어부의 내부 전극과,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상기 ESR 제어부의 상기 내부 전극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정전 용량부의 내부 전극은 접속되는 극성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20090011962A 2008-02-13 2009-02-13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51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2315A JP4548492B2 (ja) 2008-02-13 2008-02-13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JP-P-2008-032315 2008-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840A KR20090087840A (ko) 2009-08-18
KR101051618B1 true KR101051618B1 (ko) 2011-07-26

Family

ID=4093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962A KR101051618B1 (ko) 2008-02-13 2009-02-13 적층 콘덴서 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07214B2 (ko)
JP (1) JP4548492B2 (ko)
KR (1) KR101051618B1 (ko)
CN (1) CN1015104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321B2 (en) * 2008-09-30 2012-05-29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JP5353757B2 (ja) * 2010-02-19 2013-11-27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5218545B2 (ja) * 2010-12-24 2013-06-26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1872519B1 (ko) 2011-04-21 2018-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Esr 특성 제어가능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
JP5343997B2 (ja) * 2011-04-22 2013-11-13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KR101922863B1 (ko) * 2011-05-31 2018-11-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적층형 세라믹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8749949B2 (en) * 2011-10-31 2014-06-10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Resistive foil edge grading for accelerator and other high voltage structures
KR20140065255A (ko) * 2012-11-21 2014-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그 회로 기판 실장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2067B1 (ko) 2012-12-14 2014-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452074B1 (ko) * 2012-12-27 2014-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994713B1 (ko) * 2013-04-22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CN103532554B (zh) * 2013-10-23 2016-04-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四研究所 电容阵列及其版图设计方法
US9672986B2 (en) * 2014-01-13 2017-06-06 Apple Inc. Acoustic noise cancellation in multi-layer capacitors
JP7150733B2 (ja) * 2017-01-25 2022-10-11 ケメッ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己減衰型mlccアレイ
KR20190116147A (ko) * 2019-08-08 201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125A (ja) * 2001-04-06 2002-10-18 Mitsubishi Materials Corp 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6203168A (ja) * 2004-12-24 2006-08-03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844B2 (ja) 1991-01-16 1998-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ィルタ
JP2784862B2 (ja) * 1992-08-31 1998-08-06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2784863B2 (ja) * 1992-08-31 1998-08-06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3330836B2 (ja) 1997-01-22 2002-09-30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H10335168A (ja) 1997-05-27 1998-12-18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H1126291A (ja) 1997-07-01 1999-01-29 Taiyo Yuden Co Ltd チップ型コンデンサアレイ
JPH1167507A (ja) 1997-08-26 1999-03-09 Taiyo Yuden Co Ltd チップ型cr複合アレイ
US6266229B1 (en) 1997-11-10 2001-07-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US6366443B1 (en) 1997-12-09 2002-04-02 Daniel Devoe Ceramic chip capacitor of conventional volume and external form having increased capacitance from use of closely-spaced interior conductive planes reliably connecting to positionally-tolerant exterior pads through multiple redundant vias
JP4513138B2 (ja) 1999-05-19 2010-07-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3682392B2 (ja) 1999-10-14 2005-08-10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9728B2 (ja) 1999-10-18 2004-0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および高周波回路
JP2001167969A (ja) 1999-12-06 2001-06-22 Tdk Corp 三次元搭載用多端子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6441459B1 (en) 2000-01-28 2002-08-27 Tdk Corporation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6515842B1 (en) 2000-03-30 2003-02-04 Avx Corporation Multiple array and method of making a multiple array
US6934145B2 (en) 2000-07-06 2005-08-23 Phycomp Holding B.V. Ceramic multilayer capacitor array
JP4332634B2 (ja) 2000-10-06 2009-09-16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JP3788329B2 (ja) 2001-11-29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
TWI260657B (en) 2002-04-15 2006-08-21 Avx Corp Plated terminations
JP3833145B2 (ja) 2002-06-11 2006-10-11 Tdk株式会社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JP2004022859A (ja) 2002-06-18 2004-01-22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47707A (ja) * 2002-07-11 2004-02-12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アレイ
US6819543B2 (en) 2002-12-31 2004-11-16 Intel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with multiple plates per layer
JP3907599B2 (ja) 2003-03-07 2007-04-1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0649579B1 (ko) 2004-12-07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및 적층형 캐패시터 어레이
KR100884902B1 (ko) 2004-12-24 2009-02-1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커패시터 및 그 실장구조
JP4230469B2 (ja) * 2005-03-31 2009-02-2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4418969B2 (ja) 2005-06-03 2010-0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213744B2 (ja) * 2005-12-22 2009-01-21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実装構造
JP2007242801A (ja) * 2006-03-07 2007-09-20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実装構造
JP4293560B2 (ja) * 2006-07-12 2009-07-0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4434228B2 (ja) * 2007-03-30 2010-03-17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125A (ja) * 2001-04-06 2002-10-18 Mitsubishi Materials Corp 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6203168A (ja) * 2004-12-24 2006-08-03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94104A (ja) 2009-08-27
CN101510464B (zh) 2011-11-02
JP4548492B2 (ja) 2010-09-22
US8107214B2 (en) 2012-01-31
US20090201627A1 (en) 2009-08-13
KR20090087840A (ko) 2009-08-18
CN101510464A (zh)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61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5218545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287934B2 (ja)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4816648B2 (ja) 積層コンデンサ
CN101345134B (zh) 层叠电容器
KR101026075B1 (ko) 적층 콘덴서
KR101052437B1 (ko)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실장 구조
JP6107080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83983B1 (ko)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1010875B1 (ko) 적층 콘덴서
JP5170066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126327B2 (ja) 積層コンデンサ
CN101471177B (zh) 层叠电容器
JP4961818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25183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6142650B2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2001284170A (ja) 積層型電子部品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287807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
JP2021022725A (ja) 電子部品及びその実装基板
JP2021129007A (ja) 電子部品
KR20190075678A (ko) 적층형 전자 부품
CN110189915B (zh) 电子组件
US20220216391A1 (en) Stack-type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including the same
US20230095767A1 (en) Electronic component
JP5170065B2 (ja) 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