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68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168B1
KR100877168B1 KR1020070102020A KR20070102020A KR100877168B1 KR 100877168 B1 KR100877168 B1 KR 100877168B1 KR 1020070102020 A KR1020070102020 A KR 1020070102020A KR 20070102020 A KR20070102020 A KR 20070102020A KR 100877168 B1 KR100877168 B1 KR 10087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output shaft
lamp
uni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097A (ko
Inventor
시게루 구와하라
게이이치 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8003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 방향을 상하 및 좌우의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와 함께, 구동부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하여, 조사 방향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10)은 램프 보디(22)와 이 램프 보디의 전방면측을 폐색하는 투명 커버(23)에 의해 형성되는 등실(21) 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30)과, 상기 램프 유닛을 상하 및 좌우로 틸팅시키는 조사 방향 조정 장치(50)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등실 내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한 상태로 현수형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조사 방향 조정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출력축(51)을 지니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램프 유닛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좌우 방향의 회전이 상기 램프 유닛에 전달되어, 상기 출력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출력축과 램프 유닛 사이의 회전을 일으킨다.
차량, 등기구, 전조등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ULAR LAMP}
본 발명은 신규의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조사 방향을 상하 및 좌우의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등기구, 예컨대 자동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조사 방향을 상하 및 좌우의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을 브래킷에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브래킷을 램프 보디에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며, 램프 유닛의 좌우로의 틸팅과 브래킷의 상하로의 틸팅은 각각 별도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행한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조사 방향을 좌우에서 변경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하에서 변경하기 위한 구동 장치가 각각 별개로 필요하게 되고, 램프 유닛이 램프 보디에 직접이 아니라, 브래킷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져, 부품 비용의 증대와 조립 공정수의 증대에 의해서 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조사 방향의 좌우 방 향에서의 변경과 상하 방향에서의 변경을 단일의 구동원을 이용한 구동 장치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로써,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수의 증대를 피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279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3-54310호 공보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기재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의 출력축 상에 램프 유닛이 올려 놓여진 상태에서 출력축이 회전함으로써 램프 유닛이 좌우로 틸팅되고, 출력축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램프 유닛이 상단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틸팅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출력축에 램프 유닛의 중량이 걸려, 이것이 출력축의 회전 및 수평 이동에 대한 부하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제어가 저해된다. 또한, 램프 유닛 상단의 회동이 자유로운 지지점과 출력축과의 연결점 사이의 간격은 출력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에 의해서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간격이 커지는 방향으로의 출력축의 이동에 있어서는, 출력축의 이동 궤적과 램프 유닛의 출력축과의 연결점의 이동 궤적 사이의 편차가 출력축의 이동에 대한 필요 이상의 부하가 되어, 정확한 위치 제어가 저해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조사 방향을 상하 및 좌우의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와 함께, 구동부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하여, 조사 방향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램프 보디와 이 램프 보디의 전방면측을 폐색하는 투명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등실 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과, 상기 램프 유닛을 상하 및 좌우로 틸팅시키는 조사 방향 조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램프 보디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한 상태에서 현수형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조사 방향 조정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출력축을 지니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램프 유닛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좌우 방향의 회전이 상기 램프 유닛에 전달되고, 상기 출력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출력축과 램프 유닛 사이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부품 개수가 감소하고, 출력축에 램프 유닛의 중량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는, 램프 보디와 이 램프 보디의 전방면측을 폐색하는 투명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등실 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과, 상기 램프 유닛을 상하 및 좌우로 틸팅시키는 조사 방향 조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로서,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램프 보디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한 상태로 현수형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조사 방향 조정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출력축을 갖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램프 유닛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좌우 방향의 회전이 상기 램프 유닛에 전달되며, 상기 출력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출력축과 램프 유닛 사이의 회전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단일의 조사 방향 조정 장치에 의해서 조사 방향을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의 2 방향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저감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램프 유닛은 현수형상으로 지지되어 있어, 조사 방향 조정 장치의 출력축에는 램프 유닛의 중량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조사 방향 조정 장치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는 일이 없어, 조사 방향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출력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출력축과 램프 유닛 사이에 회전이 생기기 때문에, 출력축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는 일없이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축은 램프 보디에 고정되는 케이스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축의 회전과 수평 이동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서, 조사 방향의 좌우에서의 변경과 상하에서의 변경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램프 유닛의 상단부에는 아래쪽으 로 향한 볼록구면이 형성된 피현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실 내에는 상기 볼록구면이 미끄럼 접촉하는 반구형상의 받침 오목부 및 상기 피현수부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피현수부의 볼록구면의 크기 및 받침 오목부의 크기를 원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원하는 현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현수부의 상면에는 반구형상의 눌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규제부에는 상기 눌림 오목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반구형상의 누름 돌기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램프 유닛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램프 유닛의 장착에 덜걱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규제부는 전방측에서부터 상기 유닛 받침부에 나사 고정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등실 내의 램프 유닛을 지지하는 부위의 성형에 슬라이드형이 불필요하게 되어, 성형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기재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자동차용 전조등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라서 자동차용 전조등의 개요를 설명한다.
자동차용 전조등(10)은 거의 밀폐된 공간인 등실(21)을 갖는 하우징(20) 내에 램프 유닛(30)이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 우징(20)은 전방으로 개구된 용기형을 한 램프 보디(22)의 전방면 개구가 투명 커버(23)에 의해서 덮여 이루어진다.
도시한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30)은 브래킷(40)을 통해 램프 보디(22)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램프 유닛(30)을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램프 보디(22)에 직접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40)에 조사 방향 조정 장치인 2축 액츄에이터(50)가 지지되고, 상기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부에 상기 브래킷(40)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램프 유닛(3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방전등 점등 회로(60)가 배치되어, 이 방전등 점등 회로(60)에 의해서 램프 유닛(30)이 점등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램프 유닛(30)은 리플렉터(31)와, 리플렉터에 유지된 방전 램프(32)와, 방전 램프(32)의 빛을 전방으로 투사하는 투사 렌즈(33)와, 방전 램프(32)의 빛을 원하는 패턴으로 정형하는 쉐이드(34)를 구비한다.
상기 리플렉터(31)는 방전 램프(32)의 빛을 집광시키는 반사면, 예컨대, 수직 단면에서 타원 또는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고, 수평 단면에서 포물면 또는 포물면에 가까운 단면을 이루며, 타원의 제1 초점에서 또한 포물면의 초점의 후방에 위치시킨 방전 램프(32)의 빛을 타원의 제2 초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약간 넓이를 지닌 상태로 집광시키는 반사면(311)을 갖는다.
상기 투사 렌즈(33)는 전방면이 볼록구면이고 후방면이 거의 평면을 이루는 집광 렌즈이며, 렌즈 홀더(331)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331)가 상기 리플렉터(31)의 전단에 부착됨으로써, 투사 렌즈(33)는 그 후방측 초점이 상기 집광 영역, 즉, 방전 램프(32)의 빛이 집광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렌즈 홀더(331)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3개의 피장착편(332, 332, 3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장착편(332, 332, 332)에는 삽입 통과 구멍(332a, 332a, 3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31)의 전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3개의 장착편(312, 312, 31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편(312, 312, 312)에는 삽입 통과 구멍(312a, 312a, 3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리플렉터(31)의 삽입 통과 구멍(312a, 312a, 312a)을 후방에서 삽입 관통된 장착 나사(35a, 35a, 35a)가 렌즈 홀더(331)의 삽입 통과 구멍(332a, 332a, 332a)을 삽입 관통하고, 피장착편(332, 332, 332)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장착 나사(35a, 35a, 35a)의 부분에 너트(35b, 35b, 35b)가 나사 부착되어, 이로써 투사 렌즈(33)가 렌즈 홀더(331)를 통해 리플렉터(31)에 지지된다.
상기 쉐이드(34)는 상기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에 협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쉐이드(34)는 상기 리플렉터(31)의 전단 개구면보다 약간 큰 판형을 하고 있으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긴 투광 구멍(3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광 구멍(341)의 하측 가장자리(342)가 컷오프 한정 가장자리로 되어 있다. 쉐이드(34)의 상단에 축 고정부(343)가 돌출되고, 상기 축 고정부(343)의 양단부에 나사 구멍(343a, 34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쉐이드(34)의 하단부에는 조인트 고정부(344, 344)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고정부(344, 344)에 나사 구멍(344a, 3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쉐이드(34)의 주연부에는 하단부의 좌우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피고정 구멍과, 상단부 중앙에 1개의 피고정 구멍(345, 345, 3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가 고정될 때에, 상기 쉐이드(34)가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 사이에 위치되어, 리플렉터(31)의 삽입 통과 구멍(312a, 312a, 312a)을 삽입 관통한 장착 나사(35a, 35a, 35a)가 우선 쉐이드(34)의 피고정 구멍(345, 345, 345)을 삽입 관통하고 나서 렌즈 홀더(331)의 삽입 통과 구멍(332a, 332a, 332a)에 삽입 관통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쉐이드(34)가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 고정부(343)가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의 상단에서부터 더욱 위쪽으로 돌출되고, 조인트 고정부(344, 344)가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의 하단에서 좌우로 떨어진 상태로 돌출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쉐이드(34)가 리플렉터(31)와 렌즈 홀더(331)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쉐이드(34)의 컷오프 한정 가장자리(342)는 투사 렌즈(33)의 후방측 초점 또는 그 근방(상기 집광 영역 또는 그 근방이기도 함)에 위치한다.
따라서, 방전 램프(32)가 점등되면, 그 빛은 리플렉터(31)의 반사면(311)에 의해서 반사되어, 쉐이드(34)의 컷오프 한정 가장자리(342) 근방에 집광한다. 그리고, 상기 집광 영역에서 집광된 빛은 그 하부는 쉐이드(34)에 의해서 차광되고, 이 부분적으로 차광된 빛은 투사 렌즈(33)에 의해서 전방으로 반전 투사된다. 따라서, 상측 가장자리에서 쉐이드(34)의 컷오프 한정 가장자리(342)에 의해서 한정된 컷오 프 라인을 갖는 패턴의 빔이 전방으로 투사되게 된다.
한편, 쉐이드(34)는 램프 유닛(30)의 무게 중심 위치의 근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고정부(343)에는 수지제의 피현수부(36)가 고정된다. 피현수부(36)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361)과, 상기 회전축(361)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지지부(362)와 상기 회전축(361)의 하단부에서부터 거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편(363, 3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피지지부(362)는 회전축(361)보다 지름이 큰 반구형상을 이루고, 그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볼록구면(36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구면(362a)의 중심부에서부터 회전축(361)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피지지편(363, 363)의 선단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363a, 36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에서부터 피지지편(363, 363)의 삽입 통과 구멍(363a, 363a)을 삽입 관통한 고정 나사(364, 364)가 쉐이드(34)에 형성된 축 고정부(343)의 나사 구멍(343a, 343a)에 나사 부착됨으로써, 피현수부(36)가 쉐이드(34)를 통해 램프 유닛(30)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조인트 고정부(344, 344)에는 수지제의 조인트 부재(37)가 고정된다. 조인트 부재(37)는 후술하는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연결부(371)와 이 연결부(371)의 상면에 형성되어 양끝이 연결부(371)의 주연부로부터 좌우로 돌출되도록 된 피고정부(3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피고정부(372)의 양단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372a, 37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71)는 두께 가 있는 원판형을 하고 있으며, 하면으로 개구된 연결 오목부(3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도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연결 오목부(373)는 거의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전후로 돌출된 부분(373a, 373a)은 폭 넓게 형성되고, 좌우로 돌출된 부분(373b, 373b)은 전후의 부분(373a, 373a)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에서부터 삽입 통과 구멍(372a, 372a)을 삽입 관통한 고정 나사(374, 374)가 쉐이드(34)에 형성된 조인트 고정부(344, 344)의 나사 구멍(344a, 344a)에 나사 부착됨으로써, 조인트 부재(37)가 쉐이드(34)를 통해 램프 유닛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한 램프 유닛(30)은 램프 보디(22)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브래킷(40)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되어, 브래킷(40)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40)은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얕은 접시 형상을 한 메인부(41)에 큰 개구(41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부(41)의 상단에서부터 전방을 향해서 상부 지지편(4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41)의 하단에서부터 전방을 향해서 하부 지지편(43)이 돌출 형성되고, 메인부(41)의 3개의 코너부로부터 연결편(44, 45, 4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30)은 상기 브래킷(40)의 상부 지지편(42)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된다. 상부 지지편(42)에는 유닛 받침부(421)가 형성된다. 유닛 받침부(421)에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위쪽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을 한 절결(421a)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421a)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분의 상면(421b)이 받침 오목부로 되고, 상기 받침 오목부(421b)는 상기 피현수부(36)의 볼록구면(362a)과 거의 동일한 곡률 의 오목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닛 받침부(421)의 받침 오목부(421b)의 양측부를 한정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뻗은 낮은 기립벽(421c, 42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립벽(421c, 421c)의 후단부 사이의 거의 중앙부에 삽입부(421d)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421d)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삽입 구멍(42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21d)와 상기 기립벽(421c, 421c)의 후단부 사이의 위치에는 결합 돌기(421f, 421f)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결합 돌기(421f)는 전방면이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돌출량이 커지는 경사면(421g)으로 되고, 후방면이 거의 수직으로 깎아지른 듯한 결합면(421h)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닛 받침부(421)의 전단면의 좌우로 떨어진 위치에는 위치 결정 돌기(421i, 421i)가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받침부(421)의 하면의 상기 결합 돌기(421f, 421f) 형성부에 대응한 위치에 결합 돌기(421j, 421j)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들 결합 돌기(421j)는 전면이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돌출량이 커지는 경사면(421k)이 되며, 후면이 거의 수직으로 깎아지른 듯한 결합면(421l)이 되어 있다.
상기 유닛 받침부(421)에는 규제 부재(422)가 결합된다. 규제 부재(422)는 스프링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한 전단편(422a)을 갖고, 상기 전단편(422a)에는 좌우로 사이를 두고 이격된 위치 결정 구멍(422b, 4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편(422a)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는 3개의 누름편(422c, 422d, 422d)이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누름편(422c, 422d, 422d)의 선단부(422c', 422d', 422d')는 가볍게 위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누름편(422d, 422d)의 선단부(422d', 422d')의 바로 뒤에는 결합 구멍(422e, 422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편(422a)의 하부 가장자리의 좌우 양측부로부터는 지지편(422f, 422f)이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지편(422f)의 선단부에는 결합 구멍(422g)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40)의 상기 하부 지지편(43)에는 그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뻗은 삽입 통과 구멍(4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431)의 폭은 상기 조인트 부재(37)의 연결부(37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30)은 다음과 같이 하여 브래킷(40)의 상부 지지편(42)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된다. 우선, 램프 유닛(30)에 고정한 피현수부(36)의 회전축(361)을 전방에서부터 유닛 받침부(421)의 절결(421a) 안으로 삽입해 나가, 회전축(361)이 절결(421a)의 안속까지 달한 상태에서, 피지지부(362)의 볼록구면(362a)을 유닛 받침부(421)의 받침 오목부(421b) 상에 얹어 놓는다. 이로써, 램프 유닛(30)의 전체 중량이 피현수부(36)의 볼록구면(362a)을 통해 유닛 받침부(421)의 받침 오목부(421b)에 의해서 받혀진다. 즉, 램프 유닛(30)은 브래킷(40)의 상부 지지편(42)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구면(362a)이 받침 오목부(421b)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램프 유닛(30)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현수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형인 경우에 비해서 상하 방향의 치수를 확대하지 않고서 피현수부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어, 램프 유닛의 전체 중량을 보다 확실하게 유닛 받침부로 받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램프 유닛(30)이 현수형상으로 지지되는데, 회전축(361) 및 피지지부(362)가 유닛 받침부(421)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유닛 받침부(421)에 규제 부재(422)가 부착된다. 규제 부재(422)는 상측의 누름편(422c, 422d, 422d)과 하측의 지지편(422f, 422f) 사이에 유닛 받침부(421) 및 피현수부(36)의 피지지부(362)를 끼우는 식으로 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좌우의 누름편(422d, 422d)은 유닛 받침부(421)의 기립벽(421c, 421c)의 내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중앙의 누름편(422c)의 선단부(422c')는 유닛 받침부(421)의 삽입 구멍(421e)에 삽입되고, 좌우의 누름편(422d, 422d)의 선단부(422d', 422d')는 유닛 받침부(421)의 결합 돌기(421f, 421f의) 경사면(421g, 421f)을 미끄러져 올라가, 결국에는 그 결합 구멍(422e, 422e)에 상기 결합 돌기(421f, 421f)가 결합한다. 또한, 전단편(422a)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422b, 422b)에 유닛 받침부(421)의 전단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421i, 421i)가 결합하여, 규제 부재(422)의 유닛 받침부(421)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편(422f, 422f)은 유닛 받침부(421)의 하면을 후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해 나가, 결합 돌기(421j, 421j)의 경사면(421k, 421k)을 미끄러져 올라가, 최종적으로는 그 결합 구멍(422g, 422g)에 상기 결합 돌기(421j, 421j)가 결합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규제 부재(422)가 유닛 받침부(421)에 부착되면, 피현수부(36)는 그 피지지부(362)의 상면이 규제 부재(422)의 3개의 누름편(422c, 422d, 422d)에 의해서 눌림에 따라, 피지지부(362)의 받침 오목부(421b)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즉, 상기 3개의 누름편(422c, 422d, 422d)은 볼록구면(362a)의 받침 오목부(421b)로부터의 탈락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규제부(422)는 2개의 누름편(422d, 422d)의 결합 구멍(422e, 422e)이 유닛 받침부(421)의 결합 돌기(421f, 421f)와 결합함으로써, 또한, 지지편(422f, 422f)의 결합 구멍(422 g, 422g)이 유닛 받침부(421) 하면의 결합 돌기(421j, 421j)와 결합함으로써, 유닛 받침부(421)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상기한 브래킷(40)은 램프 보디(22)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브래킷(40)은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1)과의 사이가, 연결편(44)이 회동 지점부(47)에 의해서, 그리고 2개의 연결편(45, 46)이 간격 조정부(48, 48)에 의해서 각각 연결된다.
회동 지점부(47)는 연결편(44)에 지지되는 지점축(471)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1)에 지지되는 구체 받침(472)에 의해서 구성된다. 지점축(471)은 연결편(44)에 전단부가 고정되는 축부(471a)의 후단에 구체(47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구체(471b)가 상기 구체 받침(472)에 형성된 구형 오목부(472a)에 끼워 맞춰져, 상기 구체(471b)가 상기 구형 오목부(472a)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축부(471a)가 틸팅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간격 조정부(48)는 연결편(45)(46)에 지지되는 너트체(481)와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조정축(482)으로 이루어지고, 조정축(482)의 나사축부(482a)가 너트체(481)에 나합한다.
그래서, 예컨대, 연결편(45)에 지지된 너트체(481)에 대하여 조정축(482)을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서 나사축부(482a)가 너트체(481)에 대하여 비틀려 져 들어가거나 또는 비틀려져 되돌아 나온다. 이로써, 연결편(45)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1)과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하여, 즉, 연결편(45)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브래킷(40)은 회동 지점부의 구체(471b)와 구형 오목부(472a)와의 연결부와 연결편(46)을 이은 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거의 좌우 방향으로 틸팅한다. 또한, 연결편(46)에 지지된 너트체(481)에 대하여 조정축(482)을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서 나사축부(482a)가 너트체(481)에 대하여 비틀어져 들어가거나 또는 비틀어져 되돌아 나온다. 이로써, 연결편(46)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하여, 즉, 연결편(46)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브래킷(40)은 회동 지점부의 구체(471b)와 구형 오목부(472a)와의 연결부와 연결편(45)을 이은 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거의 상하 방향으로 틸팅한다.
상기한 2축 액츄에이터(50)는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의 하면측에서 브래킷(40)에 지지된다. 2축 액츄에이터(50)는 상기 램프 유닛(30)을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중의 한 쪽의 평면, 즉, 광축을 따르는 수직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드와, 램프 유닛(30)을 상기 2개의 평면 중의 다른 쪽의 평면, 즉, 광축을 따르는 수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구동 수단이다.
2축 액츄에이터(50)는 상기 램프 유닛(30)을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에 있어서 회동시키는 단일의 출력축(51)을 지니고, 상기 출력축(51)은 단일의 케이스(52) 내에 구성된 구동 기구에 의해서, 거의 수직 방향으로 뻗은 축 둘레로 회전하는 동 시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51)은 예컨대 케이스(52)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51)은 케이스(52)의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521)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거의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한 제1 결합부(511)와 상기 제1 결합부(51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512)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511)는 폭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512)는 제1 결합부(511)의 폭보다 작은 지름의 둥근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2축 액츄에이터(50)가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의 하면측에 지지되면,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축(51)은 하부 지지편(43)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431)에서부터 약간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51)이 램프 유닛(30)의 하면에 고정된 조인트 부재(37)의 연결 오목부(373)와 결합한다. 자세하게는, 출력축(51)의 제1 결합부(511)의 전후 양단부는 연결 오목부(373) 전후의 부분(373a, 373a)에 결합하고, 제2 결합부(512)의 좌우 양단부는 연결 오목부(373) 좌우의 부분(373b, 373b)과 결합한다.
한편, 브래킷(40)에 설치된 유닛 받침부(421)와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축(51) 사이의 간격은 램프 유닛(30)의 중량이 출력축(51)에 가해지는 일이 없는 치수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램프 유닛(30)에 형성된 연결 오목부(373)의 깊이, 즉, 상하 방향의 치수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연결 오목부(373) 내에 있어서 출력축(51)의 결합부(511, 512)가 약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 다. 또한, 제1 결합부(511)의 전후 양단부 사이의 길이는 연결 오목부의 전후 부분(373a, 373a)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게, 틈이 생기도록 설정되어, 연결 오목부(373) 내에 있어서 출력축(51)의 결합부(511, 512)가 약간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축(51)이 거의 상하 방향으로 뻗은 축 둘레로 회전하면, 출력축(51)의 결합부(511, 512)와 램프 유닛(30)의 연결 오목부(373)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램프 유닛(30)에 출력축(51)의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램프 유닛(30)의 피현수부(36)의 볼록구면(362a)이 브래킷(40)의 유닛 받침부(421)의 받침 오목부(421b)를 미끄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축(361)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램프 유닛(30)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램프 유닛(30)에 의해서 투사되는 빔의 방향이 좌우 방향에서 변경된다.
또한, 상기 출력축(5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출력축(51)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371)가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받기 때문에, 이로써, 램프 유닛(30)의 피현수부(36)의 볼록구면(362a)이 브래킷(40)의 유닛 받침부(421)의 받침 오목부(421b)를 미끄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축(361)이 요동함에 따라, 램프 유닛(3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램프 유닛(30)에 의해서 투사되는 빔의 방향이 상하 방향에서 변경된다.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30)을 좌우 방향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하 방향에서 틸팅시키는 구동부가 단일의 것이며, 그 출력축(51)도 단일하게 되어,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램프 유닛(30)은 브래킷(40)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축(51)에 램프 유닛(30)의 중량이 가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출력축(51)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걸리지 않아,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램프 유닛(30)이 상하 방향에서 틸팅할 때에는 그 연결부(371)는 원 운동을 하여,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축(51)과의 사이의 간격이 변동되지만, 상기한 것과 같이, 연결부(371)와 출력축(51)은 소위 유니버셜조인트(자재이음)를 포함하고 있으며, 출력축(51)의 결합부(511, 512)가 연결 오목부(373) 내에서 약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에 따른 연결부(371)의 이동 궤적과 직선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출력축(51)의 이동 궤적 사이의 치우침이 출력축(51)에 부하를 주지 않아, 이 점에서도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2축 액츄에이터(50)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2축 액츄에이터(50)는 케이스(52) 내에 2개의 기능을 갖는 기구부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기구부는 출력부(540)와 구동원(550)과 구동원(550)의 구동력을 출력부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560)로 이루어진다.
출력부(540)는 출력 기어(541)와, 슬라이드 베이스(542)와, 압축 코일 스프링(543)으로 구성된다. 출력 기어(541)는 거의 원통형을 한 연결부(541a)와 상기 연결부(541a)의 하단부에서부터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섹터 기어부(541b, 54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연결부(541a)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제1 결합 부(511) 및 제2 결합부(512)를 갖는 출력축(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542)는 판형을 한 베이스(542a)의 상면 중심에서부터 원통형의 끼워맞춤부(542b)가 위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542a)의 하면에서부터는 좌우로 떨어져 2개의 판형을 한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가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고, 2개의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의 후단부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베이스(542)는 그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가 메인 케이스체(520)의 미끄럼 이동 홈(520d, 520d)(도 6에 한 쪽의 것만을 도시함)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의 후단 사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받침판은 메인 케이스체(520)의 돌출벽(526, 526)과 중앙대부(52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542)가 이동 범위의 전단으로 이동할 때까지는 상기 받침판은 돌출벽(526, 526)의 후단에 충돌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543)이 메인 케이스체(520)의 스프링 배치 공간(520e)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베이스(542)의 받침판과 메인 케이스체(520)의 외주벽(521)의 전단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베이스(542)는 압축 코일 스프링(543)에 의해서 후방으로 향해서 압박되고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케이스(510)의 기구 배치 공간(510a)에 배치된 슬라이드 베이스(524)의 끼워맞춤부(542b)에 출력 기어(541)의 연결부(541a)가 바깥에 끼워진다. 이로써, 출력 기어(541)는 슬라이드 베이스(542)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베이스(542)에 대하여 끼워맞춤부(542b)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 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원(550, 550)은 브러시리스 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브러시리스 모터(550, 550)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 쪽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 케이스체(520)의 중간벽(522)에 돌출 형성된 지지통(527)에 바깥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인슐레이터(551)가 고정되고, 이 인슐레이터(551)에 지지된 4개의 터미널(552, 552, ···)의 하단부가 중간벽(522)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527b, 527b, ···)을 삽입 관통하여 중간벽(522)의 하측에 형성된 회로 배치부 내에 돌출되고, 또한, 회로 배치부 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회로 기판의 접속 도체에 접속된다. 상기 인슐레이터(55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코어(553)가 메인 케이스체(520)에 고정되고, 상기 코어(553)에 도시하지 않는 코일이 휘감긴다. 한편, 상기 코일에는 상기한 터미널(552, 552, ···)을 통해 급전된다. 상기한 인슐레이터(551), 터미널(552, 552, ···), 코어(553), 코일에 의해서 브러시리스 모터(550)의 스테이터부가 구성된다.
상기한 지지통(527)에 베어링 메탈(554)이 안쪽끼움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메탈(554)에 샤프트(555)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555)의 상단부에 로터 부재(556)가 고정되고, 상기 로터 부재(556)의 상면의 중심부에 피니언 기어(5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58은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착자된 로터 마그넷이며, 그 상단부가 상기 로터 부재(556)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로터 마그넷(558)이 코어(553)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위치되며, 또한, 로터 마그넷(558)의 하단부는 메인 케이스체(520)의 중간벽(522)에 형성 된 배향 구멍(527a, 527a, 527a)을 통해 상기 회로 기판상의 도시하지 않는 홀 소자와 대향된다.
따라서, 코어(553)에 권선된 도시하지 않는 코일이 터미널(552, 552, ···)을 통해 통전되면, 로터 마그넷(558)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로터 마그넷(558), 로터 부재(556) 및 샤프트(555)에 의해서 구성되는 로터가 회전한다.
구동력 전달부(560)는 좌우에 1쌍 배치되고, 좌우의 것은 좌우면 대칭의 형상을 갖는 것 외에는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한 쪽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구동력 전달부(560)는 케이스(510)의 미끄럼 이동 공간(520c, 520c)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랙 부재(561)를 갖는다. 랙 부재(561)는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체를 이루고, 한쪽의 측면에 랙 톱니(5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랙 부재(561)가 상기 구동원(550)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부이며, 이 이동부인랙 부재(561)와 상기 구동원(550)을 구비하는 것이 구동부로서 필요하다. 랙 부재(561)에는 후단으로 개구된 압입 구멍(561b, 561b)(도 5에 한 쪽의 것만 도시함)이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리드 스크류(562)의 전단부에 압입부(562a)가 형성되어 있어, 이 압입부(562a)가 상기 랙 부재(561) 하측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고, 이로써, 리드 스크류(562)의 전단부에 랙 부재(561)가 고정된다. 리드 스크류(562)에는 상기 압입부(562a)를 제외한 부분의 대부분에 나선 라인(56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랙 부재(561)에 압입 구멍(561b, 561b)을 상하 2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좌우에서 사용하는 랙 부재(561, 561)를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아래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562)와 연결해야 하는 경우라도, 좌우에 배치하는 것을 좌우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랙 부재(561)를 좌우 쌍방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리드 스크류(562)는 원통 기어(563)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원통 기어(563)는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전단부의 외주면에 빠짐 방지 돌기(563a)가 형성되어, 이 빠짐 방지 돌기(563a)에서부터 약간 후방에 가까운 위치에 외경을 크게 한 대직경부(563b)가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부(563b)의 뒤쪽에 경사 톱니 기어(56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기어(563)의 내주면에 나선 홈(56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 기어(563)의 전단부에 볼 베어링(564)이 바깥에 끼워진다. 볼 베어링(564)은 내측 레이스(564a)와 외측 레이스(564b) 사이에 복수의 볼(564c, 564c, ···)이 봉입되어 이루어지고, 외측 레이스(564b)와 내측 레이스(564a)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레이스(564a)가 원통 기어(563)의 전단부의 빠짐 방지 돌기(563a)와 대직경부(563b) 사이에서 바깥에 끼워짐으로써, 볼 베어링(564)의 원통 기어(563)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크류(562)의 나선 라인(562b)을 원통 기어(563)의 나선 홈(563d)에 나합하여, 볼 베어링(564)의 외측 레이스(564b)를 케이스(510)의 중앙대부(523)에서부터 외주벽(521)의 내면에 걸쳐서 형성된 결합 홈(524) 내에 결합하고, 원통 기어(563)의 후단부를 메인 케이스체(520)의 외주벽(521)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된 받침부(529)의 받침면(529a)에 받아들이게 한다. 이로써, 원통 기 어(563)는 케이스(5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565, 565는 전달 기어이며, 좌우로 같은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그 한 쪽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달 기어(565)는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550)의 회전을 원통 기어(563)에 전달하는 것이다. 전달 기어(565)는 평기어(565a)와 이 평기어(565a)의 중심부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 형성된 원통형의 웜기어(56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웜기어(565b)가 메인 케이스체(520)의 중간벽(522)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된 지지통(528)에 회전 가능하게 바깥에 끼워지고, 그리고, 상기 웜기어(565b)가 원통 기어(563)의 경사 톱니 기어(563c)와 맞물리고, 또한, 평기어(565a)가 모터(550)의 피니언 기어(557)와 맞물린다.
상기 2축 액츄에이터(50)에 의한 빔의 조사 방향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레이저빔 조사 방향을 상하 방향에서 틸팅시키는 경우는, 2개의 모터(550, 550)를 2개의 랙 부재(561, 561)가 동일한 위상으로 이동하도록, 즉 2개의 랙 부재(561, 561)가 함께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모터(550, 550)가 구동되면, 로터 마그넷(558, 558)의 회전이 피니언 기어(557, 557)를 통해 전달 기어(565, 565)의 평기어(565a, 565a)에 전달되어, 이 평기어(565a, 565a)와 함께 회전하는 웜기어(565b, 565b)에 의해서 원통 기어(563, 563)의 경사 톱니 기어(563c, 563c)가 보내져 원통 기어(563, 563)가 회전한다. 원통 기어(563, 563)가 회전하면, 그 나선 홈(563d, 563d)과 맞물려 있는 리드 스크류(562, 562)의 나선 홈(562b, 562b)이 전후 방향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리드 스크류(562, 562)의 전단 부에 고정되어 있는 랙 부재(561, 561)가 미끄럼 이동 공간(520c, 520c) 안을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2개의 랙 부재(561, 561)가 함께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섹터 기어부(541b, 541b)가 랙 부재(561, 561)의 랙 톱니(561a, 561a)와 맞물려 있는 출력 기어(541)가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2축 액츄에이터(50)의 출력 기어(541)가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 램프 유닛(30) 상하 방향에서 틸팅되고, 이로써, 조사 방향이 상향 방향으로 또는 하향 방향으로 변경된다.
빔 조사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2개의 랙 부재(561, 561)가 역위상, 즉, 한 쪽의 랙 부재(56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랙 부재(561)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2개의 모터(550, 550)를 구동한다. 2개의 모터(550, 550)의 구동은 상기한 전달 경로에 의해서 랙 부재(561, 561)의 이동으로서 나타나며, 좌우의 랙 부재(561, 561)가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출력 기어(54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없이 회전한다. 이로써, 램프 유닛(30)이 좌우 방향에서 틸팅되어, 조사 방향이 우측 방향으로 또는 좌측 방향으로 변경된다.
도 7 및 도 8에 유닛 받침부 및 피현수부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피현수부(A36)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A361)과, 이 회전축(A36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피지지부(A362)와 상기 회전축(A361)의 하단부에서부터 거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편(A363, A3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피지지부(A362)는 회전축(A361)보다 지름이 큰 반구형상을 이루고, 그 하면에 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볼록구면(A36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구면(A362a)의 중심부에서부터 회전축(A361)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피지지부(A362)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개구된 반구형상의 눌림 오목부(A36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지지편(A363, A363)의 선단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A363a, A36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에서부터 피지지편(A363, A363)의 삽입 통과 구멍(A363a, A363a)을 삽입 관통한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가 쉐이드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축 고정부의 나사 구멍에 나사 부착되고, 이로써, 피현수부(A36)가 쉐이드를 통해 램프 유닛의 상단에 고정된다.
도시하지 않는 브래킷의 상부 지지편에 형성되는 유닛 받침부(A421)에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위쪽에서부터 보아 거의 U자형을 한 절결(A421a)이 형성되고, 이 절결(A421a)의 가장자리를 따른 부분의 상면(A421b)이 받침 오목부로 되고, 상기 받침 오목부(A421b)는 상기 피현수부(A36)의 볼록구면(A362a)과 거의 동일한 곡률의 오목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받침부(A421)의 상면의 상기 받침 오목부(A421b)의 양쪽 가로에는 위치 결정 돌기(A421c, A421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돌기(A421c, A421c)의 외측에는 고정용 보스(A421d, 421d)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보스(A421d, A421d)에는 상면에 개구된 나사 구멍(A421e, A421e)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램프 유닛에 고정한 피현수부(A36)의 회전축(A361)을 전방에서부터 유닛 받침부(A421)의 절결(A421a) 내에 삽입해 나가, 회전축(A361)이 절결(A421a)의 안속까지 달한 상태에서, 피지지부(A362)의 볼록구면(A362a)을 유닛 받침부(A421)의 받침 오목부(A421b) 상에 얹어 놓는다. 이로써, 램프 유닛의 전체 중량이 피현수부(A36)의 볼록구면(A362a)을 통해 유닛 받침부(A421)의 받침 오목부(A421b)에 의해서 받혀진다. 즉, 램프 유닛은 브래킷의 상부 지지편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구면(A362a)이 받침 오목부(A421b)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램프 유닛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다.
상기 유닛 받침부(A421)에는 금속제의 규제 부재(A422)가 고정되어, 이에 의해서 피현수부(A36)의 유닛 받침부(A42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규제 부재(A422)는 유닛 받침부(A421의) 상측을 덮는 상면부(A422a)와, 상면부(A422a)의 전방 가장자리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전방면부(A42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부(A422a)의 거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누름 돌기부(A422c)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 돌기부(A422c)의 하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A422a)에는 누름 돌기부(A422c)의 양편에 위치 결정 구멍(A422d, A422d)이 그리고, 위치 결정 구멍(A422d, A422d)의 외측에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A422e, A42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피현수부(A36)가 유닛 받침부(A421)에 지지된 상태에서, 규제 부재(A422)의 상면부(A422a) 및 누름 돌기부(A422c)에 의해서 피현수부(A36)의 피지지부(A362) 및 눌림 오목부(A362b)의 상측을 덮고, 위치 결정 구멍(A422d, A422d)에 유닛 받침부(A421)의 위치 결정용 돌기(A421c, A421c)를 결합시켜, 유닛 받침부(A421)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고, 고정 나사(A422f, A422f)를 위쪽에서부터 나사 삽입 통과 구멍(A422e, A422e)을 삽입 관통하여 유닛 받침부(A421)의 고정용 보스(A421d, A421d)의 나사 구멍(A421e, A421e)에 나합하여, 규제 부재(A422)를 유닛 받침부(A421)에 고정한다. 이로써, 피현수부(A36)의 유닛 받침부(A42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상기 상면부(A422a)는 볼록구면(A362a)의 받침 오목부(A421b)로부터의 탈락 및 덜걱거림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유닛 받침부 및 피현수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피현수부(B36)는 상기 피현수부(A36)와 동일하다.
피현수부(B36)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B361)과, 이 회전축(B36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피지지부(B362)와 상기 회전축(B361)의 하단부에서부터 거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편(B363, B3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피지지부(B362)는 회전축(B361)보다 지름이 큰 반구형상을 이루고, 그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볼록구면(B36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구면(B362a)의 중심부에서부터 회전축(B361)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피지지부(B362)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개구된 반구형상의 눌림 오목부(B36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지지편(B363, B363)의 선단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B363a, B36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에서부터 피지지편(B363, B363)의 삽입 통과 구멍(B363a, B363a)을 삽입 관통한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가 쉐이드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축 고정부의 나사 구멍에 나사 부착되어, 이로써, 피현수부(B36)가 쉐이드를 통해 램프 유닛의 상단에 고정된다.
도시하지 않는 브래킷의 상부 지지편에 형성되는 유닛 받침부(B421)에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위쪽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을 한 절결(B421a)이 형성되어, 이 절 결(B421a)의 가장자리를 따른 부분의 상면(B421b)이 받침 오목부로 되고, 상기 받침 오목부(B421b)는 상기 피현수부(B36)의 볼록구면(B362a)과 거의 동일한 곡률의 오목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받침부(B421)의 상면의 상기 받침 오목부(B421b)의 양쪽 가로에는 위치 결정 돌기(B421c, B421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받침부(B421)의 전단의 절결(B421a)을 사이에 둔 위치에는 나사 구멍(B421d, B421d)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램프 유닛에 고정한 피현수부(B36)의 회전축(B361)을 전방에서부터 유닛 받침부(B421)의 절결(B421a) 내에 삽입해 나가, 회전축(B361)이 절결(B421a)의 안속까지 달한 상태에서, 피지지부(B362)의 볼록구면(B362a)을 유닛 받침부(B421)의 받침 오목부(B421b) 상에 얹어 놓는다. 이로써, 램프 유닛의 전체 중량이 피현수부(B36)의 볼록구면(B362a)을 통해 유닛 받침부(B421)의 받침 오목부(B421b)에 의해서 받쳐진다. 즉, 램프 유닛은 브래킷의 상부 지지편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구면(B362a)이 받침 오목부(B421b)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램프 유닛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다.
상기 유닛 받침부(B421)에는 금속제의 규제 부재(B422)가 고정되고, 이에 의해서 피현수부(B36)의 유닛 받침부(B42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규제 부재(B422)는 유닛 받침부(B421)의 상측을 덮는 상면부(B422a)와, 상면부(B422a)의 주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주벽부(B42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부(B422a)의 거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누름 돌기부(B422c)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 돌기부(B422c)의 하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B422a)에는 누 름 돌기부(B422c)의 양편에 위치 결정 구멍(B422d, B422d)이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B422b)의 전방면부에는 좌우로 떨어져서 2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B422e, B42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피현수부(B36)가 유닛 받침부(B421)에 지지된 상태에서, 규제 부재(B422)의 상면부(B422a) 및 누름 돌기부(B422c)에 의해서 피현수부(B36)의 피지지부(B362) 및 눌림 오목부(B362b)의 상측을 덮고, 위치 결정 구멍(B422d, B422d)에 유닛 받침부(B421)의 위치 결정용 돌기(B421c, B421c)를 결합시켜, 유닛 받침부(A421)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고, 고정 나사(B422f, B422f)를 전방에서부터 나사 삽입 통과 구멍(B422e, B422e)을 삽입 관통하여 유닛 받침부(B421)의 나사 구멍(B421d, B421d)에 나합하여, 규제 부재(B422)를 유닛 받침부(B421)에 고정한다. 이로써, 피현수부(B36)의 유닛 받침부(B42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상기 상면부(B422a) 및 누름 돌기부(B422c)는 볼록구면(B362a)의 받침 오목부(B421b)로부터의 탈락 및 덜걱거림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도 12에 유닛 받침부 및 피현수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피현수부(C36)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C361)과, 상기 회전축(C36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피지지부(C362)와 상기 회전축(C361)의 하단부에서부터 거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편(C363, C3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피지지부(C362)는 회전축(C361)보다 지름이 큰 두께 있는 원판의 외주면부가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구면(C362a)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피지지편(C363, C363)의 선단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C363a, C363a)이 형성되어 있다. 그 리고, 전방에서부터 피지지편(C363, C363)의 삽입 통과 구멍(C363a, C363a)을 삽입 관통한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가 쉐이드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축 고정부의 나사 구멍에 나사 부착되어, 이로써, 피현수부(C36)가 쉐이드를 통해 램프 유닛의 상단에 고정된다.
유닛 받침부(C421)는 브래킷의 상부 지지편(C42)과 상기 상부 지지편(C42)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규제 부재(C422)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지지편(C42)의 전단부에는 위쪽에서부터 보아 거의 반원형의 절결부(C421a)가 형성되고, 이 반원형 절결부(C421a)의 측면(C421b)은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오목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지지편(42)의 전단의 절결부(C421a)를 사이에 둔 위치에는 나사 구멍(C421c, C421c)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C422)는 판형을 한 상면부(C422a)의 전방 가장자리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누름부(C422b)와 이 누름부(C422b)의 양편에 위치한 고정부(C422c, C42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C422b)의 후면은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오목구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C422c, C422c)에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C422d, C42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현수부(C36)의 볼록구면(C362a)의 후방 절반 부분을 상부 지지편(C42)의 오목구면(C421c)에 접촉하여, 그 상태 그대로 규제 부재(C422)의 상면부(C422a)를 피현수부(C36)의 피지지부(C362)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누름부(C422b)의 후면(오목구면)을 피현수부(C36)의 볼록구면의 전방 절반 부분에 접촉하고, 고정 나사(C422e, C422e)를 전방에서부터 규제 부재(C422)의 나사 삽입 통과 구 멍(C422d, C422d)을 삽입 관통하여 상부 지지편(C42)의 나사 구멍(C421c, C421c)에 나사 부착하여, 규제 부재(C422)를 상부 지지편(C42)에 고정한다. 이로써, 상부 지지편(C42)과 규제 부재(C422)에 의해서 유닛 받침부(C421a)가 형성되고, 오목구면(C421b)과 규제 부재(C422)의 누름부(C422b)의 후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받침 오목부(C422f)에 피현수부(C36)의 볼록구면(C362a)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유닛이 브래킷에 현수형상으로 지지되는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램프 유닛을 브래킷을 통하지 않고서 램프 보디에 직접 현수형상으로 지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각 부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행하는 구체화의 그저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전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인트 부재의 저면도.
도 4는 유닛 받침부와 피현수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6과 함께 조사 방향 조정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기구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8과 함께 유닛 받침부 및 피현수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10 및 도 11과 함께 유닛 받침부 및 피현수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규제 부재의 도 9와는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2는 유닛 받침부 및 피현수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용 전조등(차량용 등기구)
2 : 등실
22 : 램프 보디 23 : 투명 커버
30 : 램프 유닛 36 : 피현수부
362a : 볼록구면 421 : 유닛 받침부
421b : 받침 오목부 422c : 누름편,
422d : 누름편(규제부)
50 : 2축 액츄에이터(조사 방향 조정 장치)
51 : 출력축 52 : 케이스
542 : 슬라이드 베이스(슬라이더) A36 : 피현수부
A362a : 볼록구면 A362b : 눌림 오목부
A421 : 유닛 받침부 A421b : 받침 오목부
A422a : 상면부(규제부) A422c : 누름 돌기부
B36 : 피현수부 B362a : 볼록구면
B362b : 눌림 오목부 B421 : 유닛 받침부
B422a : 상면부(규제부) B422c : 누름 돌기부
C36 : 피현수부 C421 : 유닛 받침부

Claims (5)

  1. 램프 보디와 이 램프 보디의 전방면측을 폐색하는 투명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등실 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과, 상기 램프 유닛을 상하 및 좌우로 틸팅시키는 조사 방향 조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로서,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등실 내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한 상태에서 현수형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조사 방향 조정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출력축을 갖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램프 유닛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좌우 방향의 회전이 상기 램프 유닛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램프 유닛이 좌우로 틸팅되고, 상기 출력축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램프 유닛이 상하로 틸팅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축과 램프 유닛 사이의 회전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등실 내에 설치되는 케이스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의 상단부에는 아래쪽으로 향한 볼록구면이 형성된 피현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실 내에는 상기 볼록구면이 미끄 럼 접촉하는 반구형상의 받침 오목부를 갖는 유닛 받침부 및 상기 피현수부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현수부의 상면에는 반구형상의 눌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규제부에는 상기 눌림 오목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반구형상의 누름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전방측에서부터 상기 유닛 받침부에 나사 고정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070102020A 2006-10-10 2007-10-10 차량용 등기구 KR100877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6545A JP4688220B2 (ja) 2006-10-10 2006-10-10 車輌用灯具
JPJP-P-2006-00276545 2006-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97A KR20080033097A (ko) 2008-04-16
KR100877168B1 true KR100877168B1 (ko) 2009-01-07

Family

ID=3918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020A KR100877168B1 (ko) 2006-10-10 2007-10-10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58522B2 (ko)
JP (1) JP4688220B2 (ko)
KR (1) KR100877168B1 (ko)
CN (1) CN101162080B (ko)
DE (1) DE102007047683B4 (ko)
FR (1) FR2906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6663B2 (ja) * 2006-11-08 2011-03-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エイミング装置及び車輌用灯具
JP4683658B2 (ja) * 2006-12-01 2011-05-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5172733B2 (ja) * 2009-02-06 2013-03-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US8075171B2 (en) * 2009-08-10 2011-12-13 Asmo Co., Ltd. Lamp device
FR2951117B1 (fr) * 2009-10-12 2012-02-03 Valeo Vision Dispositif de reglage d'un dispositif d'eclairage et / ou de signal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dispositif
JP5517651B2 (ja) * 2010-02-02 2014-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ー
JP5545973B2 (ja) * 2010-03-29 2014-07-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5523183B2 (ja) * 2010-04-21 2014-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映像投写装置
JP5588237B2 (ja) * 2010-06-24 2014-09-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5544248B2 (ja) * 2010-08-24 2014-07-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WO2012101462A1 (en) * 2011-01-24 2012-08-02 Kongsberg Automotive Ab Gear change actuator
JP2012156018A (ja) 2011-01-26 2012-08-16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5659822B2 (ja) 2011-01-26 2015-01-2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WO2013035798A1 (ja) 2011-09-07 2013-03-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ーおよび車輌用前照灯
JP2013103569A (ja) * 2011-11-11 2013-05-30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及びレベリングアクチュエーターの交換方法
TW201336713A (zh) * 2012-03-02 2013-09-16 Tricore Corp 利用齒輪傳動之車燈轉向驅動裝置
JP6034608B2 (ja) * 2012-07-18 2016-11-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6008637B2 (ja) * 2012-07-25 2016-10-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5995656B2 (ja) * 2012-10-24 2016-09-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CN102951065B (zh) * 2012-11-07 2015-03-1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汽车前照灯及改变汽车前照灯照射距离的方法
JP6218424B2 (ja) * 2013-04-26 2017-10-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15015187A (ja) 2013-07-05 2015-01-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CN103388792A (zh) * 2013-07-09 2013-11-13 南宁燎旺车灯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近光灯
US10336240B2 (en) 2013-07-10 201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dlight unit and headlight
AT515268B1 (de) * 2013-12-20 2015-10-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JP6345052B2 (ja) * 2013-12-20 2018-06-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DE102015103629A1 (de) * 2015-03-12 2016-09-15 Hella Autotechnik Nova, S.R.O. Verstellvorrichtung für Scheinwerfer
DE102015103628A1 (de) * 2015-03-12 2016-09-15 Hella Autotechnik Nova, S.R.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6645018B2 (ja) * 2015-03-17 2020-02-1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US10962049B2 (en) * 2015-12-25 2021-03-30 Koito Manufacturing Co., Ltd. Fixing member, self-aligning bearing mechanism, actuator, and lamp
JP6798254B2 (ja) * 2016-11-02 2020-12-09 市光工業株式会社 軸受機構及び自動車用のヘッドランプ
US20180334082A1 (en) * 2017-05-16 2018-11-22 Kun Chau Huang Heat dissipation device
CN107377423B (zh) * 2017-09-01 2023-11-10 江苏威迈智能科技有限公司 行李箱车灯装配设备
JP6920152B2 (ja) * 2017-09-25 2021-08-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7193242B2 (ja) * 2018-03-28 2022-12-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R3089276B1 (fr) * 2018-11-30 2022-08-05 Valeo Vision Belgique Dispositif Lumineux pour véhicule automobile
DE102021101339A1 (de) 2021-01-22 2022-07-28 HELLA GmbH & Co. KGaA Vorrichtung zur Verstellung eines Tragrahmens eines Scheinwerfers eines Kraftfahrzeugs
CN113184088B (zh) * 2021-04-28 2022-03-29 嘉善博兴电子科技有限公司 环保阻燃型自行车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7982C (de) 1931-06-26 1935-08-30 Rudolf Lochner Dipl Ing Elektromagnetische Schwenkvorrichtung fuer Scheinwerf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954933A (en) 1988-09-22 1990-09-04 Valeo Vi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aiming direction of a motor vehicle headlight
EP1264731A1 (de) 2001-05-17 2002-12-11 Saia-Burgess Murten AG Stell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von einem Scheinwerfer ausgesendeten Lichtbündels
KR20040025830A (ko) * 2002-09-20 2004-03-26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전조등 장치 및 그 광축 위치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4392B4 (de) * 2000-09-08 2018-10-0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Fahrzeugscheinwerfer
JP2002260416A (ja) * 2001-02-28 2002-09-13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FR2826709B1 (fr) 2001-06-29 2004-02-13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a orientation variable
JP2004155232A (ja) * 2002-11-05 2004-06-0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US7121706B2 (en) * 2003-01-17 2006-10-17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headlamp unit
JP3911241B2 (ja) 2003-01-23 2007-05-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4190004B2 (ja) * 2003-12-25 2008-12-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US7287887B2 (en) * 2004-07-29 2007-10-30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headlamp
JP4614347B2 (ja) * 2005-06-23 2011-0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4667321B2 (ja) * 2005-10-06 2011-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4518505B2 (ja) * 2006-10-12 2010-08-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4656663B2 (ja) * 2006-11-08 2011-03-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エイミング装置及び車輌用灯具
JP4761563B2 (ja) * 2006-11-13 2011-08-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及び車輌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JP2008302810A (ja) * 2007-06-07 2008-12-18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7982C (de) 1931-06-26 1935-08-30 Rudolf Lochner Dipl Ing Elektromagnetische Schwenkvorrichtung fuer Scheinwerf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954933A (en) 1988-09-22 1990-09-04 Valeo Vi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aiming direction of a motor vehicle headlight
EP1264731A1 (de) 2001-05-17 2002-12-11 Saia-Burgess Murten AG Stell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von einem Scheinwerfer ausgesendeten Lichtbündels
KR20040025830A (ko) * 2002-09-20 2004-03-26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전조등 장치 및 그 광축 위치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8220B2 (ja) 2011-05-25
JP2008094196A (ja) 2008-04-24
CN101162080A (zh) 2008-04-16
US7658522B2 (en) 2010-02-09
CN101162080B (zh) 2012-02-22
FR2906771A1 (fr) 2008-04-11
DE102007047683B4 (de) 2016-04-28
DE102007047683A1 (de) 2008-04-17
US20080225543A1 (en) 2008-09-18
FR2906771B1 (fr) 2013-07-05
KR20080033097A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168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0806658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0905981B1 (ko) 차량용 등기구
JP3907827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400884B2 (ja) 車輌用灯具
US20080089086A1 (en) Lamp device for vehicles
JP2005259549A (ja)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244015B2 (ja)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CN109690177B (zh) 车辆用前照灯
JP2001216812A (ja) 車両用前照灯
US7600904B2 (en) Vehicle headlamp
JP5079860B2 (ja) 駆動手段
JP2006040839A (ja)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939008B2 (ja) 自動車用前照灯
JP2005259545A (ja)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4288415A (ja) 車両用前照灯
JP2005243349A (ja)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2581884B1 (ko) 차량용 전조등 각도조절장치
JP2604689Y2 (ja) 配光可変型前照灯のシェード駆動機構
JP2024019530A (ja) 車輌用灯具ユニット
JPH0534601U (ja) メイン・サブ切替式投射型自動車用ヘツドランプ
JPH0515165Y2 (ko)
JP4627271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2260414A (ja) 車両用前照灯
JPH10112202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