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93B1 -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93B1
KR100812893B1 KR1020060049756A KR20060049756A KR100812893B1 KR 100812893 B1 KR100812893 B1 KR 100812893B1 KR 1020060049756 A KR1020060049756 A KR 1020060049756A KR 20060049756 A KR20060049756 A KR 20060049756A KR 100812893 B1 KR100812893 B1 KR 10081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ying
concentration
humidification
oxygen spe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388A (ko
Inventor
가즈오 다까하시
히로시 노구찌
히로아끼 우스이
쯔요시 라꾸마
데쯔야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통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5)과, 이 가습 수단(5)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23)과,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49756
제균 장치, 공기 조화 장치, 가습용수, 열교환기, 송풍 팬

Description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STERILIZ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가습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가습용수의 농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농도 조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농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농도 조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습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가습기의 제균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0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11은 포획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 장치 본체
3 : 취출구
5 : 가습기(가습 수단)
7 : 열교환기
9 : 송풍 팬
10 : 제어 장치
11 : 흡입구
13 : 드레인 용기
15 : 드레인 펌프
17 : 드레인 호스
22 : 유량 조정 밸브(농도 조정 수단)
23 : 전해 유닛(가습용수 공급 수단)
24 : 도전율계
25 : 개폐 밸브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181358호 공보
본 발명은 활성 탄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에 의해 통류된 공기의 가습 및 제균을 행하는 제균 장치 및 이 제균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을 가습 요소에 수납시켜 송풍 공기로 가습 요소로부터 증 발시킨 수분에 의해 가습하도록 한 가습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가습기에서는 습윤, 건조를 반복하는 중에 가습 요소에 잡균이 번식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여기서 발생한 균, 냄새, 곰팡이 등이 송풍 공기와 함께 취출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2-181358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수도물을 이용하여 차아염소산(활성 탄소종)을 발생시키고, 이 차아염소산을 수도물 중에 부여함으로써 가습 요소에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가습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바이러스 또는 균(이하, 바이러스 등이라 함)을 불활화(제균을 포함함)할 수 있지만, 이들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는 바이러스 등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한편, 불활화의 대상이 되는 바이러스 등의 종류는 가습기 또는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상기 장치의 동작 계절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가습기 또는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상기 장치의 동작 계절에 따라서는, 상기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불활화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가습기 또는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상기 장치의 동작 계절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불활화시킬 수 있는 제균 장치 및 이 제균 장치를 구비하는 공 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공기 조화 장치 본체를 도시하고, 이 공기 조화 장치 본체(1)는 천정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에 걸려 실내 천정판의 하방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전방면에는 취출구(3)가 형성되고, 이 취출구(3)측으로부터 차례로 가습기(가습 수단)(5), 열교환기(7) 및 송풍 팬(9)이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바닥면에는 송풍 팬(9)의 하방에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송풍 팬(9)의 운전에 의해 흡입구(11)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 본체(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7) 및 가습기(5)를 거쳐서 취출구(3)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열교환기(7)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이 열교환기(7)에는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고, 이 냉매 배관은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밖으로 도출 되고, 실외기의 압축기, 감압 장치, 실외 열교환기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7) 및 가습기(5)의 하방에는 이들 열교환기(7) 및 가습기(5)에서 생긴 드레인수 등을 받는 발포스티롤제의 드레인 용기(drain pan)(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용기(13)는 바닥면이 한단 낮게 형성된 드레인 저장부(13a)를 구비하고, 이 드레인 저장부(138)에는 드레인 펌프(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펌프(15)의 배수구에는 드레인수를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밖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가 접속되어 있다.
가습기(5)에는 이 가습기(5)에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물공급 배관(21)이 접속되어 있고, 이 물공급 배관(21)에는 상기 가습기(5)로 공급하는 가습용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농도 조정 수단)(22)와, 수도물로부터 제균 작용이 있는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가습용수 공급 수단)(23)과, 수도물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계(24)와, 전해 유닛(23)으로 수도물의 공급을 행하는 개폐 밸브(25)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유량 조정 밸브(22), 전해 유닛(23), 도전율계(24) 및 개폐 밸브(25)는 각각 공기 조화 장치 본체(1)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농도 조정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기(5), 유량 조정 밸브(22) 및 전해 유닛(23)을 구비하여 제균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가습기(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성(water retention capacity)이 높은 가습 요소(5a)와, 이 가습 요소(5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 요소(5a)의 상면에 가습용수를 대략 균등하게 분산하여 공급하는 분산부(5b)와, 가습 요소(5a) 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 요소(5a)를 통과한 가습용수를 받는 물수용 접시(5c)를 구비한다. 가습 요소(5a)는, 예를 들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분산부(5b)는 그 일측면에 물공급 배관(21)이 접속되는 접속구(4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물공급 배관(21)을 통해 공급된 가습용수를 가습 요소(5a)에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수용 접시(5c)는 가습 요소(5a)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습 요소(5a)를 통과한 가습용수를 수용한다. 이 물수용 접시(5c)의 바닥단에는 가습용수를 드레인 용기(13)(도1)로 유도하는 드레인관(42)이 접속되어 있다.
전해 유닛(23)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공급 배관(21)보다도 직경 확장한 전해조(31)와, 이 전해조(31)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32, 33)을 구비하고, 이들 전극(32, 33)은 상기 전극(32, 33)에 통전된 경우, 전해조(31)로 유입한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활성 산소종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라 함은, 통상의 산소보다도 높은 산화활성을 갖는 분자와, 그 관련 물질의 것이고, 슈퍼옥사이드아니온, 1중항산소(singlet oxygen), 히드록실 래디컬, 혹은 과산화수소 등의, 소위 좁은 의미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의, 소위 넓은 의미의 활성 산소를 포함한 것으로 한다.
전극(32, 33)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Ti(티탄)이고, 피막층이 Ir(이리듐), Pt(백금)으로 구성된 2매의 전극판이고, 이 전극(32, 33)에 공급하는 전류치는 전류 밀도로 소정치[예를 들어, 20 ㎃(밀리암페어)/㎠(평방센티미터)]가 되도록 설정 되어 소정의 유리 잔류 염소 농도[예를 들어 1 ㎎(밀리그램)/l(리터)]를 발생시킨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전극(32, 33)에 의해 수도물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4OH) → 2H2 +(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O2 + 4e
의 반응이 일어나는 동시에, 물에 포함되는 염소 이온(수도물에 미리 첨가되어 있는 것)이,
2Cl → Cl2 + 2e
와 같이 반응하고, 또한 이 Cl2는 물과 반응하여,
Cl2 + H2O → HClO + HCl
이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32, 33)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이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가 공급된 가습 요소(5a)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이 가습 요소(5a)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습 요소(5a)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가습 요소(5a)를 통과할 때에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과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가습용수 중에 용해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탈취할 수 있다.
유량 조정 밸브(22)는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가습기(5)로 공급되는 가습용수의 유량을 변경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소정의 값(예를 들어, 1 내지 20 ㎎/l)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면, 전해 유닛(23)의 전극(32, 33) 사이를 흐르는 수도물의 유량이 감소한다. 한편, 전극(32, 33)에 공급되는 전류치는 수도물의 유량에 상관없이 일정하므로, 단위 부피당의 수도물에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각 전극(32, 33)에서의 전기 분해 반응이 진행됨으로써, 생성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면, 전해 유닛(23)의 전극(32, 33) 사이를 흐르는 수도물의 유량이 증가하여 생성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변경시키면, 불활화 대상의 바이러스 등(가장 불활화시키고자 한 바이러스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활화 대상의 바이러스 등과 그 바이러스 등의 불활화에 적절한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가 제어 장치(10) 내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격납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10)에는 공기 조화 장치 본체(1)를 조작하기 위한 실내 리모 콘(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고, 이 실내 리모콘을 거쳐서 불활화 대상의 바이러스 등의 지시가 입력되면, 제어 장치(10)는 이 지시에 대응하는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목표 농도로 설정한다.
이하, 이 제어 장치(10)의 운전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내 리모콘으로부터 불활화 대상의 바이러스 등이 선택되면(단계 S1), 제어 장치(10)는 선택된 대상 바이러스의 불활화에 적절한 차아염소산을 목표 농도로 설정한다(단계 S2). 여기서, 목표 농도는, 통상,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설치 장소(예를 들어, 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바이러스 등(예를 들어, 곰팡이균)을 불활화시키는 농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이, 어느 계절에 급증할 우려가 있는 대상 바이러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 장치(10)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이 차아염소산 농도를 목표 농도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10)는 전해 유닛(23)에 공급되는 수도물의 도전율을 도전율계(24)에 의해 검출한다(단계 S3).
계속해서, 제어 장치(10)는 검출한 도전율과 상기 목표 농도를 기초로 하여 가습용수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 농도가 상기 목표 농도에 도달하도록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조정(단계 S4)하고, 전해 유닛(23)에서 수도물의 전기 분해를 실행한다(단계 S5). 여기서, 전해 유닛(23)에 공급되는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는, 많은 지역에서는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가 전해 유닛(23)의 설치 전 혹은 설치 후에 미리 측정되고, 이 염소 이온 농 도에 대응하는 도전율이 제어 장치(10)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의 어긋남으로의 관계는 수도물의 도전율을 도전율계(24)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그 수치를 기초로 산출을 행하고,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를 보정한다. 이에 따르면, 소정의 염소 이온 농도의 수도물로부터 상기 목표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어느 정도로 하면 좋은지를 산출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차아염소산의 목표 농도와 밸브 개방도의 관계는 실험 등에 의해 데이터화되고, 도전율마다 제어 장치(10)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검출한 도전율에 따라서 유량 조정 밸브(22)의 밸브 개방도를 소정의 개방도로 조정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 농도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는 목표 농도로 조정된다.
따라서, 대상 바이러스에 대응한 목표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하고, 이 가습기(5)의 가습 요소(5a)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차아염소산 농도의 가습용수가 가습 요소(5a)에 공급되므로, 이 가습 요소(5a)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기(5)와, 이 가습기(5)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 의 전극(32, 33)과, 이들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22)를 구비하므로, 예를 들어 바이러스 등의 종류에 따라서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갖는 가습용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갖는 가습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하고, 이 가습기(5)의 가습 요소(5a)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대상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가습 요소(5a)를 통과할 때에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과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가습용수 중에 용해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는 가습기(5)의 하방으로부터 드레인관(42)을 통해 드레인 용기(13)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드레인 용기(13)에 저장된 드레인수에 가습용수가 혼입함으로써 이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에 의해 상기 드레인수에 잡균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드레인 용기(13) 상에 슬라임(slime)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드레인 용기(13)의 청소 및 유지 보수의 빈도가 감소해, 이들 청소 및 유지 보수의 노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습기(5)는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취출구(3)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가습기(5)로부터 취출되는 공기가 직접 열교환기(5)로 도입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가습기(5)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에 차아염소 산이 혼입했다고 해도 이 차아염소산에 의해 열교환기(5)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기 위해,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수도물의 도전율에 따라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불활화 대상이 되는 바이러스가 특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수도물의 도전율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설치 시에 수도물의 도전율을 계측하고, 이 도전율 및 차아염소산의 목표 농도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도로 미리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도물의 전기 분해를 개시하는 경우에, 수도물의 도전율을 검출하고 있지만, 수도물의 도전율은 1 눈금 중에서 크게 변동되는 것은 아니므로, 매회 검출을 행하는 것은 아니고, 수회에 한번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류조에 있어서의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다.
가습기(5)에 접속되는 물공급 배관(21)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가습기(5)로 가습용수의 공급을 행하는 제1 개폐 밸브(51)(농도 조정 수단)와, 수도 물로부터 제균 작용을 갖는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52)과, 수도물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계(53)와, 전해 유닛(52)으로 수도물의 공급을 행하는 제2 개폐 밸브(54)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개폐 밸브(51), 전해 유닛(52), 도전율계(53) 및 제2 개폐 밸브(54)는 각각 농도 조정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60)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 유닛(52)은 공급 배관(21)에 배치된 저류조(61)와, 이 전해조(61)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62, 63)을 구비하고, 전극(62, 63)은 통전된 경우, 저류조(61)로 유입한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활성 산소종)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제1 개폐 밸브(51)는 저류조(61)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제2 개폐 밸브(54)는 저류조(61)의 상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60)의 운전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내 리모콘으로부터 불활화 대상의 바이러스 등이 선택되면(단계 S11), 제어 장치(60)는 선택된 대상 바이러스의 불활화에 적절한 차아염소산을 목표 농도로 설정한다(단계 S12). 여기서, 목표 농도는 통상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설치 장소(예를 들어, 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바이러스 등(예를 들어, 곰팡이균)을 불활화시키는 농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이, 어느 계절에 급증할 우려가 있는 대상 바이러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 장치(60)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 차아염소산 농도를 목표 농도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60)는 전해 유닛(52)에 공급되는 수도물의 도전율을 도 전율계(53)에 의해 검출한다(단계 S13). 계속해서, 제어 장치(60)는 검출한 도전율과, 상기 목표 농도를 기초로 하여 가습용수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 농도가 상기 목표 농도에 도달하도록 수도물이 저류조(61) 내에 저류되는 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14). 여기서, 전해 유닛(52)에 공급되는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는, 많은 지역에서는 크게 변동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가 전해 유닛(52)의 설치 전 혹은 설치 후에 미리 측정되고, 이 염소 이온 농도에 대응하는 도전율이 제어 장치(60)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의 어긋남으로의 대응은 수도물의 도전율을 도전율계(53)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그 수치를 기초로 산출을 행하여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를 보정한다. 이에 따르면, 소정의 염소 이온 농도의 수도물로부터 상기 목표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저류조(61) 내에 저류되는 저류 시간을 어느 정도로 하면 좋을지를 산출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차아염소산의 목표 농도와 저류 시간의 관계는 실험 등에 의해 데이터화되어 도전율마다 제어 장치(60)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검출한 도전율에 따라서 저류조(61) 내에 저류되는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조정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 농도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는 목표 농도로 조정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60)는 제1 및 제2 개폐 밸브(51, 54)를 폐쇄하고(단계 S15), 저류조(61) 내에 수도물을 저류하여 저류 시간(T1)의 계측을 개시하는(단계 S16) 동시에, 전기 분해를 실행한다(단계 S17). 계속해서, 제어 장치(60)는 상기 저류 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단계 S18),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 분해를 계속해서 행한다. 또한, 상기 저류 시간(T1)이 경과된 경우에는 제1 개폐 밸브(51), 제2 개폐 밸브(54)를 차례로 개방하고(단계 S19), 목표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갖는 가습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하여 처리를 단계 S15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르면, 이 목표 농도의 가습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하고, 이 가습기(5)의 가습 요소(5a)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차아염소산 농도의 가습용수가 가습 요소(5a)에 공급되므로, 이 가습 요소(5a)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가습 요소(5a)를 통과할 때에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과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가습용수 중에 용해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탈취할 수 있다.
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기(5)와, 이 가습기(5)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가습용수로 하기 위해, 수도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61)와, 이 저류조(61)에 배치되어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62, 63)과, 저류조(61)에 있어서의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제1 개폐 밸브(51)를 구비하므로, 예를 들어 바이러스 등의 종류에 따라서 저류 조(61)에 있어서의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갖는 가습용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갖는 가습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하고, 이 가습기(5)의 가습 요소(5a)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대상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가습 요소(5a)를 통과할 때에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과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가습용수 중에 용해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탈취할 수 있다.
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류조(61)에 저류되는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충분히 길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농도가 높은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를 작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기 위해,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하거나, 혹은 전극(62, 63)이 배치되는 저류조(61)에 있어서의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극을 흐르는 전류치, 또는 이들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치를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물공급 배관(21)에 유량 조정 밸브(22), 혹은 제1 개폐 밸브(51)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예를 들어 전극(32, 33)에 흐르는 전류를 늘림으로써(예를 들어, 전류 밀도 40 ㎃/㎠),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높은 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전극(32, 33)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가 억제되어 저비용화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을 상기 제1 혹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 조합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보다 농도가 높은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으로의 통전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극(32, 33)에 흐르는 전류치 또는 이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치를 변경하는 것보다도 간단한 구성으로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을 상기 실시 형태에 조합함으로써 전극으로의 통전 시간을 삭감할 수 있어 전극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그런데,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동절기의 습도가 낮은 계절에 이용되고, 하절기의 비교적 습도가 높은 계절에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절기에 있어서는 가습기 내에 잡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고, 균, 냄새, 곰팡이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들이 송풍 공기와 함께 취출될 우려가 있었다.
본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에 있어서도 가습기 내에 있어서의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도7은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8은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습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기(5)가 가습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 가능한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점이 도1에 기재한 구성과 다르기 때문에, 이 도1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가습기(5)의 물수용 접시(5c)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요소(5a)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습 요소(5a)를 여과한 가습용수를 저류 가능하게 한다. 이 물수용 접시(5c)의 바닥면에는 가습용수를 드레인 용기(13)(도1)로 유도하는 드레인관(42)이 접속되고, 이 드레인관(42)에 개폐 밸브(43)가 설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가습기(5)는 가습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 가능한 유지 수단(71)을 구비하고, 이 유지 수단(71)은 가습 요소(5a), 물수용 접시(5c) 및 개폐 밸브(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개폐 밸브(43)는 물유지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10)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어 수단(10)의 제어 하에서 개폐 밸브(43)를 폐쇄함으로써 물수용 접시(5c)에 가습용수가 저류되므로, 가습용수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라도 가습 요소(68)의 하부가 가습용수에 침지되므로, 이 가습용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방까지 빨아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32 내지 33)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가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 즉 제균 작용을 갖는 가습용수(제균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함으로써 이 가습기(5)의 가습 요소(5a) 및 상기 가습기(5) 내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가습기(5)를 동작시키지 않는 계절(예를 들어, 하절기)이라도 이 가습기(5) 내에 제균 작용이 있는 가습용수를 공급하고, 가습 요소(5a)에 가습용수를 유지시키고, 제균 동작을 행함으로써 이 가습 요소(5a) 및 가습기(5) 내에 잡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가습기(5)의 비사용 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습기(5) 내의 제균 제어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제균 제어는 제균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10)가 실행한다. 이 제균 동작은 송풍 팬(9)의 정지 시[예를 들어, 공조 동작의 정지 시(공기의 비도입 시)]에 행해진다. 송풍 팬(9)의 운전 중(예를 들어 냉방 운전 중)에 실행하면, 송풍된 공기가 가습되기 때문이다.
송풍 팬(9)의 운전이 정지되면(단계 S21), 제어 장치(10)는 가습기(5)의 배수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43)를 폐쇄하는 동시에, 유량 조정 밸브(22)를 소정의 개방도로 조정한다(단계 S22). 이 경우,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높게 할 수 있고(예를 들어, 5 ㎎/l), 제균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 유량 조정 밸브(22)의 개방도와, 전해 유닛(23)에 의해 생성되는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 농도의 관계는 실험 등에 의해 데이터화되고, 제어 장치(10)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균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기 위해,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높게 하도록 유량 조정 밸브(22)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고 있지만, 통상의 차아염소산 농도(예를 들어, 1 ㎎/l)라도 제균 시간을 확보 가능하면, 충분히 가습기(5) 내부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10)는 급수측의 개폐 밸브(25)를 개방하고, 전해 유닛(23)에 수도물을 공급하고(단계 S23), 이 전해 유닛(23)으로 수도물의 전기 분해 를 개시한다(단계 S24). 전기 분해에 의해 생성된 제균 작용을 갖는 가습용수는 유량 조정 밸브(22)를 거쳐서 가습기(5)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 밸브(43)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공급된 가습용수가 상기 개폐 밸브(43)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이 제균 작용을 갖는 가습용수는 물수용 접시(5c) 및 가습 요소(5a)에 유지되고, 이 가습 요소(5a) 및 가습기(5) 내부의 제균을 행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10)는 상기 가습용수의 공급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되면, 급수측의 개폐 밸브(25)를 폐쇄하는 동시에, 전기 분해를 종료한다(단계 S25). 이 제1 소정 시간(T1)은 물수용 접시(5c) 및 가습 요소(5a)에 유지 가능한 가습용수의 양을 초과하고, 가습기(5)에 상기 가습용수를 공급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이다. 본 구성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22)의 밸브 개방도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공급량이 변경되므로, 상기 제1 소정 시간(T1)은 밸브 개방도에 따른 시간으로 설정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10)는 물수용 접시(5c) 및 가습 요소(5a)에 가습용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소정 시간(T2) 방치한다(단계 S26). 이 제2 소정 시간(T2)은 가습용수 중의 차아염소산에 의해 가습기(5) 내의 제균이 행해지는 데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22)의 밸브 개방도에 따라서 차아염소산 농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소정 시간(T2)은 밸브 개방도, 즉 차아염소산 농도에 따른 시간으로 설정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10)는 상기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되면 상기 개폐 밸브(43)를 개방하고, 가습기(5) 내의 가습용수를 배출하고(단계 S27), 처리를 종 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기(5)와, 이 가습기(5)에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이 가습용수 공급 수단은 공기의 비통류 시에 통전되어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고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제균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32, 33)을 구비하고, 이 전극(32, 33)으로의 통전에 의해 생성한 제균용수를 상기 가습기에 공급하고, 상기 제균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71)을 구비하므로, 가습기(5)를 사용하지 않는 시기에 있어서도 이 가습기(5) 내에 차아염소산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가습기(5) 내로의 잡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량 조정 밸브(22)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고,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제균 작용을 갖는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를 가습기(5)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가습기(5) 내의 제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가습용수는 가습기(5)의 하방으로부터 드레인 용기(13)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드레인 용기(13)에 고인 드레인수에 가습용수가 혼입함으로써 상기 드레인수에 잡균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드레인 용기(13) 상에 슬라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드레인 용기(13)의 청소 및 유지 보수의 빈도가 감소하여, 이들 청소 및 유지 보수의 노동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물공급 배관에 저류조를 배치하고, 이 전해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저류조의 저류되는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기(6)의 가습 요소(5a)에 가습용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소정 시간(T2) 방치하고, 이 제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개폐 밸브(43)를 개방하여 가습용수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 조화 장치(1)의 공조 동작이 정지 기간 중에 개폐 밸브(43)를 폐쇄하고, 가습기(5)에 제균용수의 공급을 행하고, 이 개폐 밸브(43)를 공기 조화 장치(1)가 다음회, 공조 동작을 개시할 때에 개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의 공조 동작의 정지 기간 중에 가습기(5)에 제균용수의 공급을 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 본체(100)에서는 상기 가습 요소를 가진 가습기(5) 대신에 바이러스 등을 포획하는 포획부(72)(가습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획부(72)는 송풍 팬(9)을 거쳐서 도입된 실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포획하여 청정한 공기를 실내에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포획부(72) 에는 포획한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기 위해, 상기 포획부(72)에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용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포획부(72)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81A, 81B)와, 이들 롤러(81A, 81B) 사이에 권취된 필터(82)를 구비한다. 이 필터(82)는 필터(82)의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를 접속하여 무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필터(82)로서 표면에 플러스 전하가 대전된 상태로 처리된 일렉트릿(electret)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등은 마이너스로 대전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플러스로 대전한 일렉트릿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바이러스 등을 용이하게 포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쪽 롤러(81A)에는 이 롤러(81A)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83)가 타이밍 벨트(8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구동 모터(83)를 운전하면, 타이밍 벨트(84)를 거쳐서 롤러(81A)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롤러(81A)의 회전에 맞추어 필터(82)가 각 롤러(81A, 81B) 사이를 회전한다. 또한, 다른 쪽 롤러(81B)에는 이 롤러(81B)의 표면에 제균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물유지 부재(물유지 수단)(85)가 권취되어 있다. 이 물유지 부재(85)는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부직포로 작성되어 있고, 이 물유지 부재(85)의 상단부(85A) 근방에 제균용수 공급 배관(21)의 배출구(21A)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21A)를 통해 제균용수가 물유지 부재(85)의 상단부(85A)에 적하되면, 이 제균용수는 물유지 부재(85)의 상단부(85A)로부터 하방으로 확산되어 상기 물유지 부재(85)의 전체 영역에 침투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83)를 연속 운 전하면, 롤러(81A, 81B) 사이를 필터(82)가 회전하고, 이 필터(82)와 롤러(81B)의 물유지 부재(85)가 접촉할 때에 이 물유지 부재(85)가 유지하고 있는 제균용수는 필터(82)의 폭방향으로 스며들어 공급된다. 이에 따르면, 필터(82) 전체에 제균용수를 공급할 수 있고, 이 제균용수에 의해 필터(82)에서 포획된 바이러스 등이 불활화되고, 따라서 청정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필터(82)의 진행 방향(도면 중 화살표 X 방향)에 있어서의 롤러(81B)의 하류측에는 필터(82)에 공급된 제균용수를 교축하기 위해 한 쌍의 교축 롤러(87, 8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축 롤러(87, 88)는 필터(82)의 내측에 배치된 고정 롤러(87)와, 이 고정 롤러(87)에 필터(82)를 거쳐서 배치되어 있는 가동 롤러(88)이다. 이 가동 롤러(88)는 고정 롤러(87)와의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사용하는 필터(82)의 두께나, 이 필터(82)로부터 교축하는 제균용수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필터(82)의 교축 상태를 작게 함으로써, 필터(82)가 갖는 제균용수의 양을 늘릴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송풍 팬(9)의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필터(82)가 바이러스 등을 포획한 후에 롤러(81B)를 통과하도록 각 롤러(81A, 81B)의 회전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포획한 바이러스 등을 제균용수로 즉시 불활화할 수 있으므로, 이들 바이러스 등이 활성을 가진 상태에서 재비산한다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류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 또는 균을 포획하는 포획부(72)가 한 쌍의 롤러(81A, 81B) 사이에 권취되고, 이 롤러(81A, 81B)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무단형의 필터(82)를 구비하고, 이 필터(82)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제균용수를 공급하는 전해 유닛(23)을 구비하였으므로, 이 제균용수에 의해 필터(82)로 포획한 바이러스 등을 강력히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82)에 제균용수를 계속해서 공급하기 위해, 시간 경과에 의해 불활화시키는 기능이 약해지지 않고, 필터(82)에서 포획한 바이러스 등이 활성을 가진 상태에서 재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82)는 플러스 전하를 대전시킨 일렉트릿 필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마이너스 전하를 갖는 바이러스 등이 일렉트릿 필터의 플러스 전하에 의해 상기 일렉트릿 필터에 흡착됨으로써, 바이러스 등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 롤러(81B)에 제균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물유지 부재(85)를 설치하고, 필터(82)와 상기 롤러(81B)가 접촉할 때에 물유지 부재(85)를 거쳐서 필터(82)에 제균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필터(82)의 전체 영역에 제균용수를 공급할 수 있고, 이 필터(82)에 포획된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82)가 구동하는 경로 상에 이 필터(82)가 유지하는 제균용수의 일부를 제거하는 교축 롤러(87, 88)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롤러(87, 88)에 의해 제균용수를 필터(82)로부터 교축함으로써 실내에 가습된 공기를 배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상기 교축 롤러(87, 88)의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실내를 가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원하 는 가습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량 조정 밸브(22)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고,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제균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제균용수를 포획부(72)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포획부(72)에서 포획된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32, 33) 사이를 통과하는 수도물의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제균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물공급 배관에 저류조를 배치하고, 이 전해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저류조의 저류되는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제균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82)를 연속해서 동작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구동 모터(83)를 간헐 운전함으로써 필터(82)에 바이러스를 충분히 포획한 후에 필터(83)를 회전시키고, 이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81B)의 표면에 제균용수를 유지하는 물유지 부재(85)를 설치하고, 이 물유지 부재(85)를 거쳐서 필터(82)에 제습용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필터(82)의 폭방향을 따라서 제균용수를 분무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설치하여 이 스프레이 노즐을 거쳐서 직접 필터로 제균용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획부(72)는 공기 조화 장치 본체(1)의 취출구(3)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입구(11)에 배치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청정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 내를 통과하므로,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내의 제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획부(72)의 필터(82)에는 일렉트릿 필터를 배치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HEPA 필터, 고성능 필터 및 중간 성능 필터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 일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활성 산소종으로서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 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전극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로부터도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적으로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과 동시에,
3H2O → O3 + 6H + 6e
2H2O → O3 + 4H + 4e
의 반응이 일어나 오존(O3)이 생성된다. 또한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e + (4OH) → 2H2 + (4OH)
O2 + e + 2H + H2O2
와 같이,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한 O2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 수소(H2O2)가 생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가 발생하고, 이들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포함한 가습용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오존 혹은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는 농도로 조정하고, 이러한 농도의 가습용수가 공급된 가습요소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도 가습 요소를 통과할 때에 가습용수 중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고, 이온화하여 가습용수 중에 용해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탈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기(5) 또는 포획부(72)로부터 배출된 가습용수는 드레인 용기(13)에 저장되고, 드레인 펌프(15)를 거쳐서 드레인수와 함께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드레인수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해 유닛으로 복귀시키고, 재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제균되어 있는 가습용수를 다시 전해 유닛으로 전기 분해하므로, 재이용에 수반하여 가습용수 중에 잡균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가습용수를 재이용함으로써 수도물의 공급 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도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극 상(캐소드)에 스케일이 퇴적된 경우, 전기 전도성이 저하되고, 계속적인 전기 분해가 곤란해진다. 이 경우, 전극의 극성을 반전(전극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절환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캐소드 전극을 애노드 전극으로서 전기 분해함으로써 캐소드 전극 상에 퇴적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극성 반전 제어에서는, 예를 들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좋고, 운전 기동마다 반전시키는 등 부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좋다. 또한, 전해 저항의 상승(전해 전류의 저하, 혹은 전해 전압의 상승)을 검출하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극성을 반전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한 수도물의 도전율에 따라서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도물 중의 염소 이온 농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한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서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물공급 배관(21)에는 염소 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이온 농도 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도물의 도전율은 도전계를 이용하여 계측하 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각 전극에 소정 전압을 가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류치를 검출하고, 이 전류치로부터 도전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기존의 전극에 의해 도전율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가 억제되어 저비용화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천정 현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벽걸이형 혹은 천정 매립형 등 다양한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습기 또는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상기 장치의 동작 계절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불활화시킬 수 있는 제균 장치 및 이 제균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수도물의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서 가습용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4.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수도물의 도전율에 따라서 가습용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5. 삭제
  6.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용수 공급 수단은 상기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이들 전극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며,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수도물의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서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7. 삭제
  8.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용수 공급 수단은 상기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이들 전극으로의 통전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며,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수도물의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9.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용수 공급 수단은 수도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와, 이 저류조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저류조에 있어서의 수도물의 저류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수도물의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서 상기 저류조에 수도물이 저류되는 시간을 변경하도록 개폐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수도물의 도전율에 따라서 상기 저류조에 수도물이 저류되는 시간을 변경하도록 개폐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과, 상기 공기의 비통류 시에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에 의해 생성한 제균용수를 상기 가습 수단에 공급하고, 상기 제균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가습 수단의 배수구에 배치된 개폐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운전에 의해 통류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 수단은 한 쌍의 롤러 사이에 권취되고, 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무단형의 필터를 구비하고, 이 필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제균용수를 공급하며,
    적어도 한쪽의 상기 롤러에 제균용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물유지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필터와 상기 롤러가 접촉할 때에 상기 물유지 수단을 거쳐서 상기 필터에 제균용수를 공급하며,
    상기 필터가 구동하는 경로 상에 이 필터가 유지하는 제균용수의 일부를 제거하는 교축 롤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취출구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를 거쳐서 도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용수 공급 수단은 수도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와, 이 저류조에 배치되어 가습용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저류조에 있어서의 수도물의 저류 시간,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혹은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시간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공조 동작의 정지 기간 중에, 상기 가습 수단에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의 공급을 행하고, 상기 가습 수단의 제균을 행하는 제균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공조 동작의 정지 기간 중에 상기 가습 수단에 상기 제균용수의 공급을 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6. 송풍 팬과, 이 송풍 팬의 취출구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를 거쳐서 도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과, 이 가습 수단에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가습용수를 공급하는 가습용수 공급 수단과, 상기 가습용수 중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 수단은 한 쌍의 롤러 사이에 권취되고, 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무단형의 필터를 구비하고, 이 필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제균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60049756A 2005-06-03 2006-06-02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0812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4081 2005-06-03
JP2005164081A JP2006334212A (ja) 2005-06-03 2005-06-03 除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5190079A JP4619213B2 (ja) 2005-06-03 2005-06-29 除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JP-P-2005-00190078 2005-06-29
JPJP-P-2005-00190079 2005-06-29
JP2005190078A JP2007007053A (ja) 2005-06-03 2005-06-29 除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88A KR20060126388A (ko) 2006-12-07
KR100812893B1 true KR100812893B1 (ko) 2008-03-11

Family

ID=3687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756A KR100812893B1 (ko) 2005-06-03 2006-06-02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5108B2 (ko)
EP (1) EP1728521B1 (ko)
JP (3) JP2006334212A (ko)
KR (1) KR100812893B1 (ko)
CN (1) CN101081306B (ko)
CA (1) CA254935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02B1 (ko) 2010-02-09 2012-07-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클린 로드 시스템 및 그 클린 로드 시스템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4000B2 (ja) * 2005-12-15 2012-02-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除菌装置
JP2008032370A (ja) * 2006-08-0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US8689577B2 (en) * 2006-08-25 2014-04-08 Sanyo Electric Co., Ltd. Indoor unit, air conditioner including indoor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GB0618633D0 (en) * 2006-09-21 2006-11-01 Sideland Engineering Ltd Air filtration systems
JP2008157585A (ja) * 2006-12-26 2008-07-1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EP1953462A3 (en) * 2007-01-30 2010-06-02 Sanyo Electric Co., Ltd. Air filtering apparatus
JP4841471B2 (ja) * 2007-03-14 2011-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機器のドレン水浄化装置
JP5130781B2 (ja) * 2007-05-08 2013-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過酸化水素製造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空調機、空気清浄機及び加湿器
JP5033518B2 (ja) * 2007-07-04 2012-09-2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5199613B2 (ja) * 2007-07-06 2013-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除菌システム
JP2009014306A (ja) * 2007-07-09 2009-01-2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除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4785800B2 (ja) * 2007-07-17 2011-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処理装置
JP2009089922A (ja) * 2007-10-10 2009-04-30 Fujifilm Corp 空気清浄機
JP2009168329A (ja) * 2008-01-16 2009-07-30 Sanyo Electric Co Ltd 噴霧装置
KR101405618B1 (ko) 2008-03-07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462686B1 (ko) * 2008-04-28 2014-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5227663B2 (ja) * 2008-05-30 2013-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US8397523B2 (en) * 2008-05-30 2013-03-19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ir filtering system, air conditioning and filter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and filtering system
JP5227710B2 (ja) * 2008-09-19 2013-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5108655B2 (ja) * 2008-06-30 2012-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大空間除菌システム
WO2010008089A1 (ja) * 2008-07-16 2010-01-2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JP2010038402A (ja) * 2008-08-01 2010-02-1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5317601B2 (ja) * 2008-09-17 2013-10-16 三洋電機株式会社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2009050722A (ja) * 2008-11-27 2009-03-12 Sanyo Electric Co Ltd 除菌システム
KR101581825B1 (ko) * 2009-05-29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079520A1 (en) * 2009-10-02 2011-04-07 Tretheway Jam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Liquids Using Frequent Polarity Reversal
WO2011044143A1 (en) * 2009-10-05 2011-04-14 Global Defense Technology & Systems, Inc. Water bagging system
US8991794B1 (en) * 2009-11-05 2015-03-31 Keith E. Boonstra Humidifier utilizing filtered water
CN106225084B (zh) * 2010-09-14 2019-07-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臭氧/离子发生装置和具有其的空气调节机
JP5824651B2 (ja) * 2010-09-30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清浄機及び電解水ミスト発生器
KR101893017B1 (ko) * 2012-01-19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기
DE102012007167A1 (de) * 2012-04-12 2013-10-17 Lind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lekularen Verdunstung von Duft-/Wirkstoffen und deren Ausbreitung
JP5988091B2 (ja) * 2012-07-10 2016-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加湿装置
JP2014016128A (ja) * 2012-07-10 2014-01-30 Panasonic Corp 空気加湿装置
JP6296275B2 (ja) * 2013-07-02 2018-03-20 清水建設株式会社 気化式加湿器の加湿用濾材の殺菌処理方法及び気化式加湿器を備えた加湿システム、並びに該加湿システムを備えた施設
JP6052350B2 (ja) * 2015-07-13 201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US20190298761A1 (en) 2016-12-15 2019-10-03 Adept Water Technologies A/S Device for producing aqueous liquid having free available chlorine (fac)
WO2018147075A1 (ja) * 2017-02-09 2018-08-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汚染量推定システム、汚染量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028287A (zh) * 2017-06-12 2018-12-18 东莞市隆维智能科技有限公司 养生盐净化器
CN107485941A (zh) * 2017-09-06 2017-12-19 安徽乐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过滤装置
CN107441845A (zh) * 2017-09-06 2017-12-08 安徽乐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过滤装置
WO2020042438A1 (zh) * 2018-08-31 2020-03-05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基于微电解灭菌的空气调节装置、控制方法、加湿器和冷风扇
CN110870921B (zh) * 2018-08-31 2022-06-0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微电解灭菌装置控制方法、装置、加湿器及存储介质
JP2020133972A (ja) * 2019-02-18 2020-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体微細化装置
JP7041045B2 (ja) * 2018-11-12 2022-03-23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JP2020110557A (ja) * 2019-01-08 2020-07-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WO2022080298A1 (ko) * 2020-10-14 2022-04-21
CN112675349A (zh) * 2020-12-30 2021-04-2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电化学消杀新型冠状病毒的装置与方法
WO2022148535A1 (en) * 2021-01-06 2022-07-14 Condair Group Ag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ductivity of a liquid which is atomized in order to form an aerosol
JPWO2023037784A1 (ko) * 2021-09-07 2023-03-16
JP2023110148A (ja) * 2022-01-28 2023-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間浄化装置
CN114576776B (zh) * 2022-05-06 2022-07-19 深圳市鹏跃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新能源供电的空气净化装置
US11959661B1 (en) 2022-07-29 2024-04-16 Nova Humidity Llc Humidifier with removable locator module
CN115435424A (zh) * 2022-09-09 2022-12-06 南京天加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水电导率的电极加湿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931A (ja) * 1995-08-30 1997-03-04 Takuma Co Ltd 超音波加湿殺菌装置
EP0792584A1 (en) * 1994-07-29 1997-09-03 Toto Ltd.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method of form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apparatus therefor,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deliver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
JPH10281502A (ja) * 1997-03-31 1998-10-23 Toto Ltd 超音波加湿器
JP2002089895A (ja) * 2000-09-14 2002-03-27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200297972Y1 (ko) * 2002-09-27 2002-12-13 에이앤젯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자형 가습기
JP2003172531A (ja) * 2001-12-05 2003-06-20 Denso Corp 加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478A (ko) * 1984-10-23 1986-05-26 정재은 가습기
JP2858853B2 (ja) * 1990-02-28 1999-02-17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器
JPH05184992A (ja) * 1992-01-13 1993-07-27 Toshiba Corp 加湿器
JPH06246269A (ja) * 1993-02-22 1994-09-06 Nippon Intetsuku Kk 電解水の生成装置
FI91997C (fi) * 1993-08-20 1994-09-12 Conrex Oy Elektrodijärjestelmän, johon kuuluu mittauselektrodi, vertailuelektrodi ja vastaelektrodi, käyttö vetyperoksidin pitoisuuden mittaamisessa
JPH07195081A (ja) * 1994-01-11 1995-08-01 Corona Kogyo Kk 殺菌水製造装置
JP3928207B2 (ja) * 1997-04-30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US5944978A (en) * 1997-08-21 1999-08-31 Omco Co., Ltd. Cleaning method of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and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conducting the method
JPH11271267A (ja) * 1998-03-20 1999-10-05 Glory Kiki Co Ltd 残留塩素濃度算出方法、残留塩素濃度算出装置及び電解水生成装置
JP2000218271A (ja) * 1999-01-27 2000-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装置
JP2001153409A (ja) * 1999-11-29 2001-06-0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330282A (ja) * 2000-05-22 2001-11-30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CA2414116A1 (en) * 2000-07-07 2002-01-17 Radical Waters Ip (Pty) Ltd. Method of and equipment for washing, disinfecting and/or sterilizing health care devices
JP2002028653A (ja) * 2000-07-17 2002-01-29 Fuji Electric Co Ltd 電解水供給装置
TW505767B (en) * 2000-09-14 2002-10-11 Sanyo Electric Co Humidifier
JP2002181358A (ja) * 2000-10-04 2002-06-26 Denso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装置付き空調装置
JP2003093479A (ja) * 2001-07-18 2003-04-02 Sanyo Electric Co Ltd 殺菌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DE10157187A1 (de) * 2001-11-22 2003-06-12 Globinvent Ag Verfahren zur Anreicherung eines Gasvolumenstroms mit einem flüssigen Medium
JP2003225666A (ja) * 2002-02-06 2003-08-12 Aiken Kogyo Kk 電解水生成装置
US7407624B2 (en) * 2002-04-16 2008-08-05 Prompt Care, Inc. Method for abatement of allergens, pathogen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20040262241A1 (en) * 2003-06-27 2004-12-30 Jeffrey Socha High efficiency decont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indoor air
GB0315873D0 (en) * 2003-07-07 2003-08-13 Eaton Williams Group Ltd A humidif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2584A1 (en) * 1994-07-29 1997-09-03 Toto Ltd.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method of form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apparatus therefor,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deliver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
JPH0960931A (ja) * 1995-08-30 1997-03-04 Takuma Co Ltd 超音波加湿殺菌装置
JPH10281502A (ja) * 1997-03-31 1998-10-23 Toto Ltd 超音波加湿器
JP2002089895A (ja) * 2000-09-14 2002-03-27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JP2003172531A (ja) * 2001-12-05 2003-06-20 Denso Corp 加湿装置
KR200297972Y1 (ko) * 2002-09-27 2002-12-13 에이앤젯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자형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02B1 (ko) 2010-02-09 2012-07-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클린 로드 시스템 및 그 클린 로드 시스템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88A (ko) 2006-12-07
EP1728521A2 (en) 2006-12-06
JP2007007053A (ja) 2007-01-18
EP1728521B1 (en) 2011-08-03
JP2006334212A (ja) 2006-12-14
CA2549359A1 (en) 2006-12-03
CN101081306A (zh) 2007-12-05
CA2549359C (en) 2012-01-03
JP4619213B2 (ja) 2011-01-26
US7875108B2 (en) 2011-01-25
EP1728521A3 (en) 2007-08-15
CN101081306B (zh) 2012-02-01
US20060273470A1 (en) 2006-12-07
JP2007010201A (ja)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893B1 (ko)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US20080028771A1 (en) Air conditioner having air filtering unit
CN101131248B (zh) 空调装置
US20080028936A1 (en) Air filtering apparatus
CN101709900B (zh) 空调装置、空调系统及空气除菌系统
JP2011245325A (ja) 除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20134A (ja) 空気調和装置
JP5033518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4878836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4878820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EP1891982A2 (en) Air filtering apparatus having foreign material removing mechanism
JP2008051453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除菌装置および空気除菌システム
JP498213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1936581B (zh) 空调装置以及空调装置的控制方法
JP2009014306A (ja) 空気除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08237794A (ja) 空気除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08051450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