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368B1 - 요동 삼륜차 - Google Patents

요동 삼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368B1
KR100811368B1 KR1020060070673A KR20060070673A KR100811368B1 KR 100811368 B1 KR100811368 B1 KR 100811368B1 KR 1020060070673 A KR1020060070673 A KR 1020060070673A KR 20060070673 A KR20060070673 A KR 20060070673A KR 100811368 B1 KR100811368 B1 KR 10081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hamber
air cleaner
catalyst
tr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022A (ko
Inventor
가츠이치 야기사와
가즈노리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환경을 고려하여 후방 차제의 기능 부품의 지지 및 효과적인 배열에 의해서, 요동 삼륜차의 후방 차체는 컴팩트하고 소형으로 되게 할 수 있다. 후방 차제의 무게 중심이 낮게 할 수 있다. 배기 파이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엔진을 위한 요구 출력 특성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에어 클리너의 용량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고 차량의 흡기 시스템 구조의 향상은 흡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삼륜차에 있어서, 전방 차체의 후방에 연결되는 후방 차체(18)는, 후방 차체가 전방 차체와 관련하여 횡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진다. 후방 차체(18)는 일체로 된 커버(53)로 덮여 있고 후륜(16, 16)을 구동하는 엔진(76)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76)의 배기 시스템(52)은 커버(53)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6)의 실린더부(93)는 커버(53) 내부에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 파이프(107)와 머플러(111)는 배기 시스템(52)에 설치되어 있고 엔진(76) 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91)와 스로틀 몸체(96)는 커버(53)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촉매 파이프(107)는 엔진(76)이 위쪽에 배열되어 있고 머플러(111)는 엔진(76)의 뒤에 그리고 촉매 파이프(107)의 아래쪽에 배열되어 있다. 엔진(76)의 흡기 시스템을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98)는 좌우 후륜(16) 사이에 그리고 연료 분사 밸브(91)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시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96)의 뒤에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요동 삼륜차{ROCKABLE THREE-WHEEL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1 실시예)의 후륜 차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1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배열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되는 화살표 5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보드 및 라디에이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도시되는 7-7을 따라 본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2에서 도시되는 8-8을 따라 본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 및 촉매 파이프에서의 배기 가스의 유동의 각 거동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2 실시예)의 후방 차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2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2 실시예)의 후방 차체를 도시하는 전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클리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클리너에서 흡기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 다운사이즈된 차량(요동 차량, 요동 삼륜차)
14...전방 차체
16...후륜
18...후방 차체
51...흡기 시스템
52...배기 시스템
53...커버
71...스테이(스테이 부재)
73...라디에이터
76...엔진
91...연료 분사 밸브
93...실린더부
96...스로틀 몸체
98...에어 클리너
107...촉매실(촉매 파이프)
108...연결 파이프(후방 배기 파이프)
111...소음실(머플러)
130...구동 부품
140... 차체의 중심선
143...에어 클리너 케이스
146...제2 덕트 부품(덕트 챔버)
151...제3 덕트 부품(상부 덕트)
151a...제1 개구부
170...케이스
190...케이스
597...최상류측 상의 하나의 챔버(제1 챔버)
199...최상류 측 상의 하나의 챔버의 하류 측 상의 챔버(제3 챔버)
218...제1 덕트 부품
235...흡기구
본 발명은 요동 삼륜차의 개량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요동 삼륜차에서 에어 클리너의 흡기 덕트 구조, 흡기 시스템 구조, 배기 시스템 및 후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형식의 요동 삼륜차에 대하여, 커버가 후방 차체에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 형식의 배기 시스템에 대하여, 촉매 케이스가 머플러와 개별 케이스로 엔진의 아래쪽에 배열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머플러 및 촉매가 설치된 모토사이클의 배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종래 형식의 요동 삼륜차의 종래 형식의 흡기 시스템 구조와 종래 형식의 에어 클리너의 종래 형식의 흡기 덕트 구조에 대하여, 에어 클리너의 흡기구가 파워 유닛을 덮기 위한 커버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고, 에어 클리너가 실질적인 직립 실린더의 뒤에 배열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 6952/1987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183019/1984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1994/10659호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58632/1984호
특허 문헌 1의 도 1에, 요동 삼륜차(1)가 도시되어 있으며, 한 쌍의 좌우 후륜(19)이 설치되는 후방 차체(3)가 전륜(4), 핸들바(5), 로우 덱(6) 및 시트(8)가 설치된 전방 차체(2)의 후방에 부착되어 있어서, 후방 차체가 횡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도 5는, 커버(20)는 후방 차체에 설치되어 있고, 엔 진(13) 및 변속기 케이스(14)에 의해 형성된 파워 유닛(12), 기화기(16), 에어 클리너(17), 머플러(15) 및 좌우 후륜(19, 19)은 커버(20)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각 후륜(19, 19)과 이들 사이에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partitions)(24, 24)이 각 좌우 후륜(19, 19) 내부에 배열되어 있어서, 파티션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분할판(26)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분할판(26)이 에어 클리너(17)와 머플러(15)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특허 문허 1의 도 3은, 커버(20)가 다음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엔진(13)의 전방을 덮는 전방판(21); 전방판으로부터 뒤를 향하여 연장되고 그 후방 단부가, 뒤를 향하여 그리고 비스듬히 아래로 구부러진 중앙판(22); 중앙판(22)의 좌우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후륜(19, 19)의 위쪽에서 외부를 덮는 측판(23, 23)(도 5 참조). 이들 각 부재는 파워 유닛(12)에 부착되어 있고, 구획(24, 24)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4) 및 커버(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도 1에서, 배기 파이프(2)가 엔진(1)의 전방으로부터 뒤로 그리고 아래로 연장되고, 배기 머플러(4)가 연결 파이프(5)를 통하여 배기 파이프(2)에 연결되고, 연결 파이프(5)가 엔진(1)의 아래쪽에 배열되는 모토사이클이 도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도 2는, 촉매 케이스(6)가 연결 파이프(5)에 설치되고 벌집 형상 촉매(8)가 촉매 케이스(6)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특허 문헌 3의 도 1에서, 배기 파이프(5)가 모토사이클(1)에 장착된 엔진(3) 전방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머플러(6)가 배기 파이프(5)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모토사이클(1)이 도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의 도 2 및 3은, 제1 보조 촉매(10a)가 배기 파이프(5)의 파이프(5b)에 설치되고, 제1 확장 챔버(A), 제2 확장 챔버(B), 및 제3 확장 챔버(C)가 제1 열 절연체(14) 및 제2 열 절연체(15)를 구비한 머플러(6)의 외피(16)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형성되고, 제1 확장 챔버(A) 및 제2 확장 챔버(B)가 서로 연통되도록 주촉매(18)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특허 문헌 4의 도 2, 3 및 5에서, 상부 유입 덕트(30)가 파워 유닛(12)을 덮기 위한 커버(11)의 위쪽에 설치되고, 하부 유입 덕트(31)의 상단부가 상부 유입 덕트(30)에 연결되고, 하부 유입 덕트(31)가 아래로 연장되고, 연통 튜브(17, 18, 19)가 하부 유입 덕트(31)의 도중에 연결되고, 이들 연통 튜브(17, 18,19)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에어 클리너(15)의 케이스(16)에 연결되는 유입 덕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15)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는 횡 방향으로의 폭 보다 더 크다.
특허 문헌 1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3)의 실린더부가 실질적으로 세워져 배열되기 때문에, 커버(20)의 중앙(22)의 위치가 높고 후방 차체(3)가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최근의 환경의 고려도 다운사이즈된 요동 삼륜차에서 기대된다.
또한, 커버(20)의 하부가 파워 유닛(12)의 전방 및 후방에 부착되어 있고, 커버(20)의 부착이 용이하지 않고, 커버의 강성이 확보되도록 요구되어 진다. 또한, 각 기능 부품의 성능 향상이 요구됨에 따라, 각 기능 부품이 효율적으로 배열 되고 부착될 것이 요구되어 진다.
특허 문헌 2에서, 연결 파이프가 배기 머플러(4)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외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벌집 형상 촉매(8)를 수용하는 연결 파이프(5)가 부피가 크고, 이것의 배열이 제한되고, 또한, 연결 파이프는 모터사이클의 최저 지상고(minimum road clearance)에 영향을 준다. 또한, 연결 파이프(5)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열 절연체가 연결 파이프(5)에 설치되는 경우에, 열 절연체의 배열이 설계시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제1 보조 촉매(10a)가 배기 파이프(5)에 배열되고 주촉매(18)가 머플러(6)에 배열된다.
그러나, 주촉매(18)가 머플러(6)에 배열되기 때문에, 머플러(6)가 업사이즈되고 모토사이클(1) 후방의 폭이 연장된다. 즉, 차체 후방이 업사이즈된다. 이런 다운사이즈된 차량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머플러를 더 컴팩트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촉매(18)를 머플러(6)의 상부에 배열함으로써, 머플러(6)의 무게 중심이 높아지고, 그 결과, 차체의 무게 중심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주촉매(18)가 머플러(6)의 외피(16)와 개별 케이스에 수용되고 다른 공간 예를 들어, 엔진(3)의 위쪽 공간에 배열되는 경우에, 모토사이클(1)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엔진 스피드에 의해 발생된 배기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배기 파이프(5)가 연장될 필요가 있고, 배기 파이프의 소정 길이가 확보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배기 파이프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경우, 차체의 길이 방향 이 연장된다.
또한, 제1 보조 촉매(10a), 제2 보조 촉매(10b) 및 주촉매(18)가 배기 파이프(5) 및 머플러(6)의 배기 경로에 설치되는 경우에, 다음의 촉매가 배기 경로 상의 배기 가스의 유동을 방해하고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출력을 향상시키도록, 배기 파이프(5) 및 머플러(6)에서 배기 통로의 저항의 감소가 요구된다.
최근에, 요동 삼륜차에 대하여, 연료가 절감되고 환경에 적당한 차량이 요구되고, 이런 차량을 실현하기 위해서, 새로운 구성도 포함하는 차량 구성 부품의 더 컴팩트한 배열이 기대된다.
특허 문헌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15) 측의 면적이 크고, 예를 들어, 에어 클리너(15)가 차체의 횡방향으로 중앙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열될 때, 에어 클리너(15)의 흡기 소음이 용이하게 방사되고, 흡기 소음이 외부로 누수되지 못하도록 특수 소음 방지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에어 클리너(15)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15)의 용량이 제한되고 용량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상부 유입 덕트(30)를 통하여 하부 유입 덕트(31)로 들어가는 물방울 및 먼지는 하부 유입 덕트(31)의 바닥에 떨어지지만, 작은 물방울 및 작은 먼지는, 떨어지는 도중에, 연통 튜브(17, 18, 19)를 통하여 에어 클리너(15)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유입 덕트(30)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은 에어 클리너(15)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 보다 더 크고, 하부 유입 덕트(31)의 폭은 에어 클리너의 폭의 실질적으로 절반을 차치하고, 큰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체가 업사이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동 삼륜차를 개량시키는 것이고, 환경을 고려한 후방 차체의 각 기능 부품의 효과적인 배열 및 지지에 의해서 후방 차체를 더 다운사이즈하고 컴팩트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 차체를 컴팩트화하고 다운사이즈하는 것, 차체의 무게 중심을 낮추는 것, 배기 파이프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배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 그리고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을 향상시킴으로써, 엔진을 위해 요구되는 출력 특성이 각각 용이하게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에어 클리너의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하게 하는 것, 흡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 흡기 공기로부터 물방울과 먼지를 더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 요동 삼륜차의 에어 클리너의 흡기 덕트 구조 및 흡기 시스템 구조를 개량시킴으로써, 차체를 컴팩트화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개시된 발명은, 후방 차체가 전방 차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후방 차체가 전방 차체의 후방 측에 연결되고, 후방 차체가 일체로된 커버로 덮여 있으며, 상기 커버는 엔진,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의 일부 및 엔진의 배기 시스템을 둘러싸고 있는 요동 삼륜차에 기초한다. 엔진의 실린더부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커버 내부에 배열된다.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 매실 및 소음실이 배기 시스템에 설치되고, 엔진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몸체가 커버 내부에 배열된다.
실린더부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엔진의 위쪽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몸체가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 및 공기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배기 가스가 촉매실에 의해서 더 깨끗해질 수 있다. 또한, 엔진, 후륜, 촉매실, 소음실,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몸체가 일체로된 커버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위에 설명한 각 부품은 효율적이고 집합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개시된 발명은, 라디에이터가 커버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는 바람이 커버 내부의 엔진과 거의 접촉하지 못하더라도, 라디에이터에 부는 바람을 접촉시킴으로써, 엔진이 충분히 냉각된다.
또한, 엔진 및 라디에이터가 커버 내부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과 라디에이터를 연결하는 라디에이터 호스가 짧아진다.
청구항 3에 개시된 발명은, 후방 차체가 전방 차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후방 차체가 전방 차체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요동 삼륜차에 기초한다.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엔진 및 엔진의 위쪽에 설치된 복수의 기능 부품이 후방 차제에 배열된다. 엔진 및 복수의 기능 부품을 덮기 위한 커버가 스테이에 의해 엔진에 고정된다.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기능 부품이 구획되도록 스테이가 배열된다.
스테이가 엔진의 상부에 부착되고, 커버가 스테이의 상부에 고정되는 경우, 커버는 용이하게 부착되고, 그 부착은 확실하다. 또한, 각 기능 부품이 효율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개시된 발명은, 스테이가, 기능 부품으로서 엔진의 배기 시스템을 각각 형성하는 소음실 및 촉매실과, 기능 부품으로서 엔진의 흡기 시스템을 각각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 및 스로틀 몸체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보았을 때, 촉매실과 소음실의 그룹, 및 에어 클리너와 스로틀 몸체의 그룹은 구획된다. 촉매실, 소음실, 에어 클리너 및 스로틀 몸체는 기능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배기 시스템에서 생성된 열이 흡기 시스템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열 절연체가 스테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청구항 5 및 10에 개시된 발명은, 촉매실 및 소음실이 배기 시스템에서 개별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에 기초한다. 촉매실은 엔진의 위쪽에 배열되고, 소음실은 엔진의 뒤에, 그리고 촉매실의 아래쪽에 배열된다.
촉매실이 엔진의 위쪽에 배열되고, 엔진의 위쪽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촉매실 및 소음실이 개별 케이스에 수용되기 때문에, 소음실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고, 촉매실과 소음실을 서로 연통하기 위해 엔진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 파이프의 전체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소음실을 엔진의 뒤에, 그리고 촉매실의 아래쪽에 배열함으로써, 배기 파이프의 전체 길이도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무거운 소음실의 위치를 낮춤으로써, 차체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차체 후방의 외부 형상이 감소될 수 있다.
청구항 6 및 11에 개시된 발명은, 촉매실 및 소음실이 배기 시스템에서 개별 케이스에 수용된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에 기초한다. 위에서 보았을 때, 촉매실 및 소음실의 각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촉매실 및 소음실이 배열되고, 엔진의 흡기 시스템을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 및 스로틀 몸체와 같은 구성 부품이, 상기 소음실 및 촉매실을 양측으로 하는 공간에 배열된다.
길이 방향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촉매실이나 소음실 중 하나를 배열하는 것과, 길이 방향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른 하나를 배열하는 것은, 예를 들어, 배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소음실 및 촉매실을 양측으로 하는 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클리너 및 스로틀 몸체와 같은 구성 부품은 사각형 공간에 효율적이고 컴팩트하게 배열될 수 있다.
청구항 7 및 12에 개시된 발명은, 촉매실 및 소음실이 배기 시스템에서 개별 케이스에 수용된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에 기초한다. 촉매실로부터 방출된 배기 가스를 소음실로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가 설치된다. 이들 경로 중 주경로가 소음실의 최상류 측 상의 어느 한 챔버에 개방되고, 다른 경로가 소음실의 최상류 측 상의 어느 한 챔버의 하류 측 상의 챔버에 개방된다.
촉매실로부터 방출된 배기 가스를 소음실로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에 의해서, 배기 가스의 각 통로의 단면적이 확장되고, 배기 가스의 배기 저항이 감소된다.
청구항 8 및 13에 개시된 발명은, 촉매실과 소음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파 이프가 다중 파이프로 형성되고, 복수의 경로가 다중 파이프의 복수의 통로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파이프는 다중 파이프로 형성되고, 배기 가스의 경로가 컴팩트해 진다. 다중 파이프가 촉매실과 소음실을 연결하기 때문에, 연결이 확실해 진다.
청구항 9 및 14에 개시된 발명은, 촉매실 및 소음실이 배기 시스템에서 개별 케이스에 수용되는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에 기초한다. 촉매실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 후륜의 각각의 위쪽을 덮는 일체로된 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촉매실이 좌우 후륜 사이에 설치되고, 후륜 사이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촉매실은 커버로 덮여 있고, 외관의 질이 향상된다.
청구항 15 및 20에 개시된 발명은, 요동 삼륜차가 흡기 시스템 구조를 포함하고, 흡기 시스템 구조를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가, 좌우 후륜 사이에, 그리고 연료분사 밸브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의 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 분사 밸브가 전방으로 경사진 실린더부에 걸쳐서 배열될 수 있어서,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연료를 절약하고 배기 가스를 깨끗이 하도록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가 설치된다.
또한, 에어 클리너를 좌우 후륜 사이에 배열함으로써, 에어 클리너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엔진의 차체 폭 방향으로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된 스로틀 몸체의 뒤에 에어 클리너를 배열함으로써, 에어 클리너가 차체 폭 방향으로 실질적인 중앙에 배열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이 차체 외부로 거의 새어나오지 않는다.
또한, 후륜 사이의 공간이 스로틀 몸체의 뒤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 16 및 21에 개시된 발명은, 스로틀 몸체 및 연료 분사 밸브가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체 중심선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진이 차체의 중심선 상에 실질적으로 배열되고, 스로틀 몸체도 차체의 중심선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엔진 및 스로틀 몸체가 흡기 파이프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최단 길이로 연결될 수 있고, 흡기 효율이 충족되어 진다.
청구항 17 및 22에 개시된 발명은, 에어 클리너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더 크고, 에어 클리너가 차체 중심선을 가로질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의 횡방향으로 증가된 폭을 가지는 에어 클리너가 좌우 후륜 사이에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의 차체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되더라도, 에어 클리너의 용량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청구항 18 및 23에 개시된 본 발명은, 요동 삼륜차가 엔진을 위한 흡기 시스템을 포함하고, 흡기 시스템은 에어 클리너를 위한 흡기 덕트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클리너의 흡기구에는, 위쪽으로 개방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1 덕트 부품, 제1 덕트 부품에 연결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덕트 부품, 및 일단부의 개구부가 제2 덕트 부품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다른 단부가 에어 클리너의 더티 사이드과 연통되는 제3 덕트 부품이 설치된다. 제3 덕트 부품이 제2 덕트 부품 위에서 연장되고 에어 클리너의 상부에 개방된다.
제1 덕트 부품 및 제2 덕트 부품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3 덕트 부품의 개구부가 제2 덕트 부품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제1 덕트 부품의 개구부로부터 흡기된 외부 공기가, 제1 덕트 부품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제2 덕트 부품 내로 유동하고, 제2 덕트 부품으로부터 제3 덕트 부품으로 U턴이 되고, 외부 공기가 상방을 향하여 유동한다.
여기에서, 제2 덕트 부품에서 흡기 공기에 포함된 물방울 및 먼지가 제2 덕트 부품에 떨어지고, 공기로부터 제거되고, 제3 덕트 부품을 통하여 제2 덕트 부품의 상단부로부터 에어 클리너의 더티 사이드로 거의 공기만이 유동한다.
또한, 제1 덕트 부품 및 제2 덕트 부품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제1 덕트 부품 및 제2 덕트 부품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점유된 공간이 감소되고 에어 클리너의 정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청구항 19 및 24에 개시된 발명은, 제1 덕트 부품, 제2 덕트 부품, 및 제3 덕트 부품 중 적어도 한 부품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코너에 설치되고,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도면은 참조 부호의 방향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후방 차체(18)가 전방 차체(1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수직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요동 삼륜차(10)는, 하나의 전륜(11)을 조향하기 위한 핸들바(12) 및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13)가 설치된 전방 차체(14)와, 한 쌍의 좌우 후륜(16, 16) 및 이들 후륜(16, 16)을 구동하기 위한 파워 유닛(17)이 설치된 후방 차체(18)를 요동 기구(21)를 통하여 연결하여 얻어진 차량이다.
전방 차제(14)에는, 전방 커버(23)가 핸들바(12)의 전방에 설치되고, 와이퍼(24)가 설치된 방풍 스크린(26)이 전방 커버(23)의 위쪽에 부착되고, 스텝 플로어(27)가 핸들바(12)와 시트(13) 사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한 쌍의 좌우 포스트(28, 28)(한 쪽의 참조 부호(28)만이 도시)가 시트(13)의 후방 측으로부터 세워져 있고, 지붕(31)이 방풍 스크린(26)과 각 포스트(28, 28)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카고 룸(cargo room)(32)이 시트(13) 뒤에 배열된다. 참조 부호 35는 전륜(11)의 위쪽을 덮는 전방 휀더를 지시하고, 36은 리어뷰 미러를 지시하고, 37은 헤드램프를 지시하고, 38은 시트(13) 아래에 설치된 연료 탱크를 지시하고, 41은 연료 탱크(38)에 설치된 연료 펌프를 지시하고, 42는 전방 차체(14)와 요동 기구(21)의 측 상의 차체 프레임 사이에 배열된 쿠션 유닛을 지시한다.
후방 차체(18)에는, 흡기 시스템(51) 및 배기 시스템(52)이 파워 유닛(17)에 연결되고, 파워 유닛(17), 흡기 시스템(51), 배기 시스템(52), 다른 기능 부품, 및 후륜(16, 16)이 일체로된 커버(53)로 덮여 있다.
요동 기구(21)는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일 단부가 전방 차체(14)의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어서 링크가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링크(55); 및 전방 단부가 링크(55)의 다른 단부에 부착되어서 조인트 케이스(57)가 회전될 수 있고, 후방 단부가 브래킷(56)을 통하여 후방 차체(18)의 파워 유닛(17)에 부착되는 조인트 케이스(57).
조인트 케이스(57)는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61); 케이스 몸체(61)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방이 파워 유닛(17)의 측 상에 부착되는 조인트 축(62); 및 케이스 몸체(61)와 조인트 축(62) 사이에 개재된 댐핑 부품(63).
댐핑 부품(63)은, 조인트 축(62) 및 케이스 몸체(61)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압 부재 사이에 복수의 원통형의 고무를 개재하고 가압 부재와 케이스 몸체(61)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으로 고무를 압축함으로써 댐핑 액션을 생성하기 위한 소위 나이하트 댐버(Niedhart damper)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1 실시예)의 후방 차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일부는 단면도)이고, 브래킷(56)이 요동 기구(21)를 형성하는 조인트 축(62)에 볼트(66, 66)로 부착되고, 파워 유닛(17)의 하부가 볼트(67, 67)로 브래킷(56)에 부착되고, 흡기 시스템(51)이 파워 유닛(17)을 형성하는 실린더 헤드(68)의 상부에 부착되고, 배기 시스템(52)이 실린더 헤드(68)의 하부에 부착되고, 커버(53)를 지지하기 위한 스테이 부재(71)가 파워 유닛(17)의 위쪽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에서 화살표(전방)는 차량의 전방 측을 도시한다(이하 유사). 도 2에서 참조 부호 73은 파워 유닛(17)의 우측 상에 배열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시한다.
파워 유닛(17)은 엔진(76) 및 엔진(76)에 일체로 연결된 무단 변속기(77)를 포함하고, 벨트(82)를 통하여 구동 축(83)에 전달되는 크랭크축(81)의 회전은, 구동축(83)으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기어를 통하여 출력축(84)에 전달되고, 출력 축(84)에 부착된 좌우 후륜(16, 16)(도 1 참조)을 구동한다. 참조 부호 86은 헤드 커버를 지시하고, 87은 실린더 블록을 지시하고, 88은 변속기 케이스를 지시한다.
흡기 통로 내에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91)가 고정된 흡기 파이프(85)는 실린더 헤드(68)에 부착되어 있고, 수지로 제조되고 연료 탱크(38)(도 1 참조)의 연료 펌프(41)(도 1 참조)로부터 연장된 연료 호스(92)는 연료 분사 밸브(91)에 연결된다.
위에 각각 기술된 실린더 블록(87), 실린더 헤드(68) 및 헤드 커버(86)는 엔진(76)의 실린더부(93)를 형성하고, 실린더부(93)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흡기 시스템(51)은, 흡기 파이프(95), 흡기 파이프(95)의 단부에 연결된 스로틀 몸체(96), 스로틀 몸체(96)의 유입구의 측에 연결된 연결 튜브(97), 및 연결 튜브(97)에 연결된 에어 클리너(98)를 포함하고, 스로틀 몸체(96) 및 에어 클리너(98)는 파워 유닛(17)의 위쪽에 모두 위치되고, 에어 클리너(98)는 스테이 부재(71)에 의해 지지된다. 참조 부호 101은 스로틀 몸체(96)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를 개폐하도록 핸들바(12)의 측 상에 스로틀 그립(도 1 참조)으로부터 연장된 스로틀 케이블을 지시한다.
배기 시스템(52)은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일 단부가 볼트(104, 104)와 너트( 105, 105)로 실린더 헤드(68)의 하부에 부착되고 실린더 헤드(68)의 좌측 상에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 배기 파이프(106); 전방 배기 파이프(106)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향하여 갈수록 하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진 채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촉매실(107); 촉매실(107)의 후방에 연결되고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그리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방 배기 파이프(108); 후방 배기 파이프(108)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머플러(111); 및 머플러(111)로부터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그리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테일 파이프(112). 머플러(111)는 촉매실(107) 보다 하부 위치에 배열되고, 머플러(111)는 브래킷(114)을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88)로부터 돌출된 돌출부(88a)에 부착된다.
전방 배기 파이프(106)가 실린더 헤드(68)의 하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전방 배기 파이프(106)의 실린더 헤드(68)에 부착된 일부와 후방 배기 파이프(108) 사이의 섹션이 하나의 배기 파이프로 간주되면, 촉매실(107)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후방 배기 파이프(108)는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그리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하나의 배기 파이프의 전체 길이, 즉, 배기 파이프의 길이는 후방 차체(18)의 커버(53) 내부에 제한된 공간에서 더 연장될 수 있다.
스테이 부재(71)는, 파워 유닛(17)에 부착되고 올려지는 스테이 몸체(117), 스테이 몸체(117)의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 부재(118), 및 프레임 부재(118)에 부착된 브래킷(121)을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스테이 몸체(117)는 전방 스테이(124, 125) 및 후방 스테이(127)를 포함하고, 후방 스테이(127)는, 에어 클리너(98)와 머플러(111) 사이에 위치되고 머플러(111)에서 생성된 열이 에어 클리너(98) 및 다른 것들에 전달되지 않도록 다음의 열을 절연하기 위한 열 절연체(128)가 부착된 부재이다.
브래킷(121)을 지지하는 커버는, 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좌우 전방 브래킷(131, 131)(한 쪽의 참조 부호 131만이 도시), 및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좌우 후방 브래킷(132, 132)(한 쪽의 참조 부호 132만이 도시)을 포함하고, 일체로된 커버(53)가 볼트(133)로 고무를 통하여 부착된다.
커버(53)는, 헤드 커버(86)의 측이 전방에서 차체의 전방에 대향하게 되는 전방 개구부(136), 커버(53)를 환기시키도록 상부에 미로 구조(labylinth structure)를 가지는 환기 구멍(137), 및 후방에 후방 개구부(138)가 설치된 부재이다.
흡기 시스템(51)의 구성 부품, 배기 시스템(52)의 구성 부품, 및 연료 분사 밸브(91)는 기능 부품이고, 이런 기능 부품 및 파워 유닛(17)(즉, 엔진(76) 및 무단 변속기(77))은 후륜(16, 1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부품(130)을 형성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 차체(14)의 후방 측에 연결된 후방 차체(18)가 전방 차체(14)에 부착되어서 후방 차체가 측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고, 후방 차제(18)가 일체로된 커버(53)로 덮여있고, 엔진(76), 엔진(76)으로 구동되는 후륜(16, 16) 및 엔진(76)의 배기 시스템(52)이 커버(53) 내부에 설치된 요동 삼륜차(10)에 기초하고, 엔진(76)의 실린더부(93)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커버(53) 내부에 배열되고, 촉매실로서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 파이프(107) 및 소음실인 머플러(111)가 배기 시스템(52)에 설치되고 엔진(76)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91) 및 스로틀 몸체(96)가 커버(53)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실린더부(93)의 전방으로의 경사에 의해 엔진(76)의 위쪽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료 분사 밸브(91) 및 스로틀 몸체(96)는 엔진(76)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 및 공기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배기 가스는 촉매 파이프(107)에 의해 더 깨끗하게 될 수 있다. 엔진(76), 후륜(16, 16), 촉매 파이프(107), 머플러(111), 연료 분사 밸브(91) 및 스로틀 몸체(96)가 일체로된 커버(53)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위에 설명된 각 구성 부품이 효율적이고 집합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76)으로부터 방출된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를 수용하는 촉매 파이프(107), 및 배기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머플러(111)가 케이스(170) 및 케이스(170)와 별개인 케이스(190)에 분리되어 수용되는 다운사이즈된 차량으로서의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52)에 기초하고, 촉매 파이프(107)가 엔진(76)의 위쪽에 배열되고, 머플러(111)가 엔진(76)의 뒤에 그리고 촉매 파이프(107)의 아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촉매 파이프(107)가 엔진(76)의 위쪽에 배열되기 때문에, 엔진의 위쪽 공간(155)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촉매 파이프(107)의 케이스(170) 및 머플러(111)의 케이스(190)가 분리되기 때문에, 촉매 파이프(107)와 머플러(111)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서, 엔진(76)으로부터 연장된 배기 파이프의 전체 길이가 더 확장될 수 있고, 배기 파이프의 길이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머플러(111)를 엔진(76)의 뒤에 그리고 촉매 파이프(107)의 아래에 배열하는 것은 배기 파이프를 연장시킬 수 있고, 배기 파이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 다.
또한, 머플러(111)의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차체의 후방의 형상이 압축될 수 있고, 차체의 후방이 다운사이즈될 수 있으며, 비교적 무거운 머플러(111)의 위치를 낮춤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촉매 파이프(107)가, 좌우 후륜(16, 16)의 위쪽을 덮기 위한 일체로된 커버(53)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촉매 파이프(107)가 커버(53)로 덮여 있고, 후방 차체(16)의 외관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1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좌우 후륜(16, 16) 사이에 파워 유닛(17)을 배열함으로써; 흡기 시스템(51)을 형성하는 스로틀 몸체(96)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체의 중심선(140) 상에 배열함으로써; 에어 클리너(98)를 스로틀 몸체(96)의 뒤에 배열함으로써; 배기 시스템(52)을 형성하는 촉매 파이프(107)를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그리고 머플러(111)를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촉매 파이프(107)의 길이 방향 및 머플러(111)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게 배열된다. 참조 부호 141A, 141B는 후륜(16, 16)의 각 축을 지시하고 이들 축(141A, 141B)은 서로 차동 기구(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된다.
스로틀 몸체(96)는, 실린더 헤드(68)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흡기 파이프(95)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에어 클리너(98)는, 세 위치에서 볼트(142)로 빔 형상 프레임 부재(118)의 후방에 부착되고, 에어 클리너를 위에서부터 보았을 때,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더 짧고 차체의 폭 방향으로 더 긴 에어 클리너(98)를 형성하는 사각형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는 벌크헤드(144)에 의해 정화 챔버(147) 및 위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덕트 챔버(146)로 분리되고, 삼각형 흡기구(148)가 덕트 챔버(146)의 위쪽 상부 벽에 설치되고, 덕트 챔버(146)와 정화 챔버(147)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상부 덕트(151)가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의 상부 벽에 설치된다. 도 3에서의 S1은 차체의 횡방향으로 에어 클리너(98)의 폭을 도시하고, S2는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에어 클리너(98)의 길이를 도시하고, S1 > S2이다. 참조부호 152는 연결 튜브(97)와 일체로 된 연장된 부품을 지시하고, 연장된 부품은 정화 챔버(147)에 배열된 부품이다.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는 사각형 공간(155)의 양측을 형성한다.
공간(155)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더 넓은 면적이 후륜(16, 16) 사이에서 얻어질 수 있고, 스로틀 몸체(96), 에어 클리너(98) 및 다른 많은 기능 부품(연료 분사 밸브(91), 전자 유닛 및 배터리(미도시))가 공간(155)에 조직적으로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컴팩트해 질 수 있고, 공간(155)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18)는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촉매 파이프(107)의 전방 단부의 위쪽을 가로지르는 전방 프레임(161); 전방 프레임(161)의 뒤에 배열되고 전방 프레임(161)과 평행한 후방 프레임(162); 좌측 프레임이 전방 프레임(161) 및 후방 프레임(162)에 직교하도록 전방 프레임(161)의 좌측 단부로부터 차체의 내부에 연결되는 좌측 프레임(163); 및 우측 프레임이 좌측 프레임(163)에 평행하도록 좌측 프레임(163)의 우측 상에서 전방 프레임(161) 및 후방 프레임(162)에 연결되는 우측 프레임(164). 에어 클리너(98)는 좌측 프레임(163) 및 우측 프레임(164)에 부착된다.
후방 프레임(162)은 실질적으로 V 타입 후방 스테이(127)에 의해 지지되는 부재이다.
라디에이터(73)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스 커버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88)의 우측 전방과 실린더 블록(87)에 부착되고, 실린더 블록(87)의 측으로부터 우측 후륜(16)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참조부호 73a는 라디에이터 캡을 지시한다.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는 커버(53)는 파워 유닛(17), 흡기 시스템(51), 배기 시스템(52), 후륜(16, 16), 스테이 부재(71) 및 라디에이터(73) 각각의 위쪽을 덮고, 커버(53) 내부에 흐르는 바람을 받고, 특히 라디에이터(73)의 전방에서 라디에이터(73) 상의 흐르는 바람과 접촉하기 위한 루버(166)가 설치된다.
연료 호스(92)는 연료 탱크(38)에 걸쳐서 연료 펌프(41)로부터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그리고 우측으로 연장되고 연료 탱크(38) 아래에서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더 연장되고, U턴 및 후방으로의 연장 후에 요동 기구(21)(도 1 참조)의 측으로 접근하고 요동 기구(21)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고 흡기 파이프(95)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91)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연료 호스가 좁은 직경의 수지로 제조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요동 삼륜차의 조립체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연료 호스가 차체의 오르내림을 따를 수 있다. 참조부호 168은 연료 탱크(38)의 필러 캡을 지시한다.
도 1 및 3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73)가 커버(53)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디에이터(73)가 커버(53) 내부에 배열되기 때문에, 커버(53) 내부에 배열된 엔진(76)은, 라디에이터(73)에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라디에이터(73)에 의해 냉각수의 열이 공기로 방사되어 지게 되는 냉각수로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고, 엔진(76)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후방 차제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73)가 엔진(76) 근방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라디에이터(73) 및 엔진(76)에 연결되는 라디에이터 호스(203)(도 4 참조)가 서로 짧아질 수 있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루버(166)가 라디에이터(73)의 전방의 커버(53)에 설치되는 경우, 커버(53)의 루버(166)를 차체의 길이방향의 축과 적절한 각도로 배열하고, 각 개구부를 수평성으로부터 약간 아래로 향하게 하고 루버 보드를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차체의 하부에서의 빠른 공기 유동이 효율적으로 인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차제가 전방 차제(1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전방 차체에(14)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후방 차체(18)가 부착되는 요동 삼륜차(10)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후륜(16, 16)을 구동하기 위한 엔진(76), 엔진(76)의 위쪽에 설치되는 기능 부품이 후방 차체(18)에 배열되고, 기능 부품(즉, 스로틀 몸체(96), 에어 클리너(98),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가 위에서 보았을 때 구획되도록 스테이 및 스테이 부재(71)가 배열되기 때문에, 엔진(76)을 덮기 위한 커버(53) 및 복수의 기능 부품이 스테이 부재(71)에 의해 엔진(76)에 고 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53)가 엔진(76)에 의해 지지되는 스테이 부재(71)에 확실하고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업사이즈 구성인 에어 클리너(98)가, 엔진(76)에 직접 부착되는 에어 클리너의 경우에 비하여, 더 안정하게 스테이 부재(71)에 부착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53) 뿐만 아니라 각 기능 부품이 스테이 부재(71)에 부착될 수 있고, 각 기능 부품이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후방 차체(18)가 컴팩트해 질 수 있고, 각 기능 부품이 효율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76)의 배기 시스템(52)을 형성하는 기능 부품으로서 각각의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와, 엔진(76)의 흡기 시스템(51)을 형성하는 기능 부품으로서 각각의 에어 클리너(98) 및 스로틀 몸체(96)가 스테이 부재(71)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 부재(71)는, 위에서 보았을 때, 배기 시스템(52)에 설치되는 각각의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와 에어 클리너(98) 및 스로틀 몸체(96)를 포함하는 흡기 시스템(51)을 구획한다. 촉매 파이프(107), 머플러(111), 에어 클리너(98) 및 스로틀 몸체(96)가 기능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머플러(111) 등의 배기 시스템(52)에서 생성되는 열이, 에어 클리너(98) 등의 흡기 시스템(51)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열 절연체(128)(도 2 참조)가 스테이 부재(71)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에서 보았을 때, 촉매 파이 프(107) 및 머플러(111)의 각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가 배열되어 있고, 엔진(76)의 흡기 시스템(51)을 형성하고 에어 클러너(98) 및 스로틀 몸체(96)를 포함하는 구성 부품이, 양측이 머플러(111) 및 촉매 파이프(10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55)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별 케이스(170, 190)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머플러(111) 및 촉매 파이프(107)에 의해 배기 시스템(52)의 전체 길이를 확보하면서, 촉매 파이프(107) 또는 머플러(111) 중 하나를, 이들의 길이방향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고, 다른 것을, 이들의 길이방향이 예를 들어 차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배기 시스템(52)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될 수 있는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를 가지는 사각형 공간 때문에, 사각형 공간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기능 부품이 효율적으로 사각형 공간에 배열될 수 있고, 컴팩트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76)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를 수용하는 촉매 파이프(107) 및 배기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머플러(111)가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는 요동 삼륜차의 배기 시스템(52)에 기초한 것이고, 촉매 파이프(107)가 엔진(7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16, 16)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촉매 파이프(107)가 엔진(7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16, 16)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후륜(16, 16) 사이의 공간(155)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3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76) 및 엔진(7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16, 16)이 전방 차체(14)와 일체로 요동하는 요동 삼륜차(10)의 흡기 시스템 구성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실린더부(93)가 엔진(76)에 설치되어 있고, 엔진(76)의 흡기 시스템을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98)가 좌우 후륜(16, 16) 사이, 연료 분사 밸브(91)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정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96)의 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 분사 밸브(91)가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실린더부(93)에 걸쳐서 배열되고, 연료 분사 밸브(91)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96)가 연료를 절약하고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과 같이.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98)를 좌우 후륜(16, 16) 사이에 배열함으로써, 에어 클리너(98)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98)는 또한, 엔진(76)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되는 스로틀 몸체(96)의 뒤에 에어 클리너(98)를 배치함으로써,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인 중앙에 배열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98)의 흡기 소음이 차체 외부로 거의 누설되지 않는다.
또한 후륜(16, 16) 사이의 공간은 스로틀 몸체(96)의 뒤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로틀 몸체(96) 및 연료 분사 밸브(91)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차체의 중심선(140) 상에 배열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스로틀 몸체(96)가 차체의 중심선(140)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엔진(76)이 차체의 중앙에 배열되는 경우, 엔진(76)과 스로틀 몸체(96)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흡기 파이프(95)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고 흡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98)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S1)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S2) 보다 더 크게 되고, 차체의 중심선(140)을 가로질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에어 클리너(98)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 S1은 좌우 후륜(16, 16) 사이에서 증가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98)의 용량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98)의 차체 길이방향으로의 길이(S2)가 감소되고 에어 클리너(98)가 후방 차체(18)에서 컴팩트해 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엔진(76)의 우측을 도시한다.
라디에이터(73)는 상부 탱크(195), 하부 탱크(196), 및 상부 탱크(195)에서 하부 탱크(196)의 범위를 가지는 라디에이터 코어(197)를 포함하고, 상부 탱크(195) 및 하부 탱크(196)는 케이스 커버(198)에 부착되고, 케이스 커버(198)는 실린더 블록(87)의 우측 및 변속기 케이스(88)의 우측을 가로질러 부착되는 부재이다. 참조부호 201은, 상부 탱크(195)에 설치된 냉각수 유입 파이프를 지시하고, 202는, 하부 탱크(196)에 설치된 냉각수 유출 파이프를 지시하고, 203은 엔진(76)에서 워터 재킷 측과 유입 파이프(201)를 연결하는 라디에이터 호스를 지시한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5로부터 본 도면이고, 장착 부품(205)이 라디에이 터(73)의 상부 탱크(195)의 좌우측과 하부 탱크(196)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이들 장착 부품(205)이 볼트(206)로 케이스 커버(198)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한다. 참조부호 198a는 케이스 커버(198)를 실린더 블록(87)(도 4 참조)과 변속기 케이스(88)(도 4 참조)에 부착하기 위한 맞춤면을 지시하고, 198b는 케이스 커버(198)를 실린더 블록(87)과 변속기 케이스(88)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삽입 구멍을 지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루버를 도시하는 측면도(일부는 단면도)이고 커버(53)와 별개 부재인 루버(166)가 라디에이터(73)의 전방에서 커버(53)의 전방 벽(53a)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루버(166)에 대하여, 복수의 루버 보드는, 전방 벽(53a)에 설치된 개구부(53b)에서 전방 벽(53a)을 따라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전방 단부(166a)가 수평선(210)으로부터 약간 아래로 θ 각으로 경사져 있고, 각각 더 긴 측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루버 보드(166)를 수평선으로부터 약간 아래로 향하게 하고 각 루버 보드를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화살표로 도시되는 대로 차체의 하부에서의 빠른 공기 유동이 효율적으로 이끌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절연체(128)는 에어 클리너(98)와 머플러(111)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나, 도 3에서, 열 절연체는 프레임 부재(118)의 좌측 프레임(163)에 부착되고, 에어 클러너(98)와 촉매 파이프(107)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7-7 선을 따라서 절취하고,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촉매 파이프(107)는, 전방 배기 파이프(106)에 연결되는 내부 실린더(171), 공간(172)을 통하여 내부 실린더(171)의 외주를 덮는 외부 실린더(173) 및 내부 실린더(171)와 외부 실린더(173)의 각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단부 연결 부재(174, 176)를 포함한다. 상술한 외부 실린더(173) 및 단부 연결 부재(174, 176)는 케이스(170)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다.
내부 실린더(171)는 내부에 벌집 구조(도 7에서 크로스 해칭으로 도시되는 부분)를 가지고 벌집의 표면에 촉매를 부착함으로써 촉매를 지지하는 촉매 지지 부품(177), 촉매 지지 부품(177)의 양 측에 부착되는 후방 파이프(181) 및 전방 파이프(178)를 포함한다.
전방 파이프(178)는 전방 배기 파이프(106)에 연결되고, 후방 파이프(181)는 후방 배기 파이프(108)에 연결된다. 후방 파이프(181)에는 작은 직경의 실린더부(181a)가 설치되고, 복수의 환기 구멍(181b)이 작은 직경의 실린더부(181a)의 표면에 만들어져 있다.
단부 연결 부재(176)에는 복수의 환기 구멍(176a)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배기 파이프(108)는 내부 파이프(183) 및 외부 파이프(184)를 구비하는 이중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 파이프(183)는 촉매 파이프(107)의 후방 파이프(181)에 연결되고, 외부 파이프(184)는 단부 연결 부재(176)의 주위에 연결된다. 참조부호 186은 외부 파이프(184)에 설치된 단부 파이프를 지시하고, 187은 내부 파이프(183)와 외부 파이프(184) 사이에 형성된 배기 가스의 배기 통로를 지시한 다.
도 8은 도 2에 지시된 8-8을 따라 절취되고,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머플러(111)에서, 캡(192)과 캡(193)을 이중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부(191)의 양 단부에 부착함으로써, 그리고 실린더부(191) 및 캡(192, 193)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을 격벽(194, 596)으로 구획함으로써, 중앙에 형성된 제1 챔버(597), 제1 챔버(597)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챔버(598), 및 제3 챔버(199)가 형성된다. 도 8은, 각각: L 타입 파이프(502)의 일 단부를 캡(193)에 연결함으로써; L 타입 파이프(502)를 격벽(596) 내에 관통시킴으로써; L 타입 파이프(502)의 다른 단부를 제1 챔버(597)에 배열함으로써; 제1 연통 파이프(503)의 일 단부가 폐쇄되도록 L 타입 파이프(502)를 격벽(596)에 부착함으로써; 제1 연통 파이프(503)를 격벽(194) 내에 관통시킴으로써; 제1 연통 파이프(503)가 다른 단부를 제2 챔버(598)에 배열함으로써; 제2 연통 파이프(204)를 두개의 격벽(194, 596) 내에 관통시킴으로써, 제2 연통 파이프(204)의 일 단부가 제2 챔버(598)에 배열되고, 제2 연통 파이프(204)의 다른 단부가 제3 챔버(199)에 배열된다. 도 8은 테일 파이프(112)를 캡(193) 내에 관통시킴으로써 제3 챔버(199)가 외부로 통하게 되는 것을 더 도시하고, 후방 배기 파이프(108)의 외부 파이프(184)의 단부가 제3 챔버(199)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실린더부(191) 및 캡(192, 193)은 케이스(190)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실린더부(191)는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각 격벽(194, 596)이 부착되는 내부 실린더(506); 캡(192)을 부착하는 내부 실린더(506)의 하나의 단부에 부착된 단부 파이프(207); 단부 파이프(207) 및 내부 실린더(506)의 다른 단부에 부착된 외부 실린더(208); 외부 실린더(208)의 측에 부착된 브래킷(114). 표면상에 복수의 구멍이 있는 천공판으로서 내부 실린더(506)를 형성하고 내부 실린더(506), 단부 파이프(207), 및 외부 실린더(208) 사이에 형성된 레이어(210)에 글래스 울(glass wool)을 채움으로써 소음 흡수 효과가 향상되고, 머플러(111) 내의 열이 외부 실린더(208)로 거의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제1 연통 파이프(503)는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각각의 복수의 환기 구멍(203a)이 형성된 부재이다.
각각 위에 설명된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에서의 배기 가스의 유동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 및 촉매 파이프에서 배기 가스의 유동의 각 거동을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촉매 파이프(107)에 대하여, 화살표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진 측으로부터 전방 배기 파이프(106)에서 유동하는 배기 가스는 작은 직경 실린더부(181a)를 통하여 촉매 지지 부품(177)(화살표 B 참조)으로부터 내부 파이프(183)(화살표 C 및 D 참조)로 유동하고 환기 구멍(181b)(화살표 E 참조), 공간(172) 및 환기 구멍(176a)(화살표 F 참조)을 통하여 작은 직경 실린더부(181a)로부터 배기 통로(187)(화살표 G 참조)로 유동한다.
도 9b에 도시된 머플러(111)에 대하여, 화살표 H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촉 매 파이프의 측으로부터 후방 배기 파이프(108)의 내부 파이프(183)에서 유동하는 배기 가스는, 순서대로 제1 챔버(597)(화살표 K 참조), 환기 구멍(203a)(화살표 M 참조), 제1 연통 파이프(503)(화살표 N 참조), 제2 챔버(598)(화살표 P 참조), 제2 연통 파이프(204)(화살표 Q 참조), 제3 챔버(199)(화살표 R 참조) 및 테일 파이프(112)(화살표 S 참조)를 통하여 L 타입 파이프(502)(화살표 J 참조)로부터 머플러(111) 외부로 유동한다. 화살표 T로 도시되는 촉매 파이프의 측으로부터 후방 배기 파이프(108)의 배기 통로(187)에서 유동하는 배기 가스는 제3 챔버(199)로부터 테일 파이프(112)(화살표 U 참조)로 유동한다.
후방 배기 파이프(108)에서 내부 파이프(183)는 배기 가스의 제1 경로(주경로)로서 기능하고 배기 통로(187)는 배기 가스의 제2 경로(다른 경로)로서 기능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요동 삼륜차(제2 실시예)의 후방 차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일부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삼륜차(제2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요동 삼륜차(제2 실시예)의 후방 차체를 도시하는 전면도이다. 참조부호가, 도 1 내지 9에서 도시되는 제1 실시예에서의 같은 형상에 할당되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요동 삼륜차(22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시스템(221)이 실린더 헤드(68)의 아래쪽에 부착되고, 배기 시스템(221)에서 CO 및 HC를 산화시키기 위한 이차적인 공기를 배기 시스템(221)에 공급하기 위한 이차적인 공기 공급 시스템(222)은 흡기 시스템(51)의 에어 클리너(98)와 배기 시스템(221) 사이에 설치되 어 있다.
배기 시스템(221)은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실린더 헤드(68)의 아래쪽에 볼트(104, 104) 및 너트(105, 105)로 부착되고 실린더 헤드(68)의 좌측을 따라 실질적으로 위로 연장된 전방 배기 파이프(225); 전방 배기 파이프(225)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위로 연장되는 제1 촉매 파이프(226); 제1 촉매 파이프(226)의 상부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위로, 그후 아래로 연장되는 중간 배기 파이프(227); 중간 배기 파이프(227)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뒤로 연장되는 제2 촉매 파이프(228); 제2 촉매 파이프(228)의 후방에 연결되고 뒤로, 그후 뒤로 그리고 비스듬히 아래로 연장되는 후방 배기 파이프(229); 후방 배기 파이프(229)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머플러(111); 및 테일 파이프(112).
제1 촉매 파이프(226)는 환원 촉매를 수용하고 환원 촉매에 의해서 NOx를 감소시킨다. 제2 촉매 파이프(228)는 산화 촉매를 수용하고 산화 촉매에 의해서 CO 및 HC의 산화를 가속시킨다.
도 11은, 제1 촉매 파이프(226), 중간 배기 파이프(227), 제2 촉매 파이프(228) 및 후방 배기 파이프(229)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으로 배열되고, 제1 촉매 파이프(226)가 실린더 헤드(68)의 좌측 상에 배열되고 제2 촉매 파이프(228)가 스로틀 몸체(96)의 좌측 상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차적인 공기 공급 시스템(222)은 다음 구성을 포함한다: 일 단부가 에어 클리너(98)의 정화 챔버(147)에 연결된 제1 호스(232); 제1 호스(23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233); 일 단부가 솔레노이드 밸브(233)에 연결된 제2 호스(234); 제2 호스(23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체크 밸브로서의 리드 밸드(236)(reed valve); 및 일 단부가 리드 밸브(236)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중간 배기 파이프(227)에 연결된 금속 파이프(237).
솔레노이드 밸브(233)가 엔진 컨트롤 유닛(미도시)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개방될 때, 중간 배기 파이프(237)가 배기 펄스에 의해 음의 압력 하에서 방향이 바뀌면, 리드 밸브(236)도 개방되고, 공기가 음의 압력을 향하여 잡아당겨진 채로, 에어 클리너(98)의 정화 챔버(147)에서 공기가 이차적인 공기 공급 시스템(222)을 통하여 배기 시스템(221) 내부로 공급된다.
도 12는, 전방 배기 파이프(225)는 실린더 헤드(68)의 아래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실린더 헤드(68) 옆에 위치되는 제1 촉매 파이프(226)로 연장되고, 엔진(76)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호스(234)의 단부가 전방 배기 파이프(225)의 실질적으로 옆에 위치되는 리드 밸브(236)에 연결되고, 금속 파이프가 중간 배기 파이프(237)의 아래쪽을 통하여 U턴을 만들도록 금속 파이프(237)가 리드 밸브(236)로부터 중간 배기 파이프(227)의 내부 표면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촉매실의 부피가 감소되는 컴팩트하고 효율적인 배기 방출 컨트롤 장치가 설치된 다운사이즈된 차량이 비교적 낮은 가격의 촉매로 얻어진다.
도 7 및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76)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를 수용하는 촉매 파이프(107)와 배기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다중적인 챔버를 구비하는 머플러(111)가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는 요동 삼륜차(52)에 기초하고, 촉매 파이프(107)로부터 머플러(111)로 방출되는 배기 가스를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경로 밖의 주경로(즉, 내부 파이프(183)에서의 배기 통로)가 머플러(111)의 최상류 측 상에 제1 챔버(597)에 개방되고, 다른 경로(즉, 배기 통로(187))가 머플러(111)의 최상류 측 상에 제1 챔버(597)의 하류 측 상에 제3 챔버(199)에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 가스의 단면적은 촉매 파이프(107)로부터 머플러(111)로 방출되는 배기 가스를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에 의해 확장될 수 있고, 배기 가스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으며, 요구 출력 특성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고,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성능과 소음 흡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머플러(111)와 촉매 파이프(107)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로서 후방 배기 파이프(108)가 다중 파이프로서 형성되고, 다중 파이프에서의 복수의 통로가 복수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후방 배기 파이프(108)가 다중 파이프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경로가 컴팩트해 질 수 있고, 촉매 파이프(107) 및 머플러(111)가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촉매실은 엔진의 위쪽에 배열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촉매실이, 실린더 헤드(68)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전방 배기 파이프(106)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즉 촉매실이 엔진(76)의 옆에, 좀 더 상세하게는, 실린더 헤드(68)의 옆에 배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촉매실이 실린더 헤드(68) 근방에 배열되어, 촉매 온도가 더 높아지게 되고, 촉매 반응이 가속될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클리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1 덕트 부품 및 덕트 챔버(제2 덕트 부품)를 도시하는 제1 단면도인 반면. 도 13b는 덕트 챔버 및 제3 덕트 부품을 도시하는 제2 단면도(주요부를 도시)이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98)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에 설치되는 에어 클리너 부품(602) 및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의 하부에 부착되는 배수 호스(603)를 포함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는 케이스 몸체(605)와 케이스 몸체(65)를 덮는 에어 클리너 커버(606)를 포함하고, 케이스 몸체(605) 및 에어 클리너 커버(606)가 맞춰지는 부분에 에어 클리너 부품(602)을 맞춤으로써 고정된다.
케이스 몸체(605)는 정화 챔버(147)를 형성하는 클린 사이드(clean side)(608), 덕트 챔버(146)를 형성하는 수직으로 긴 덕트 챔버의 몸체(211), 덕트 챔버의 몸체(2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배수 파이프(212) 및 상단부의 주변에 설치되는 플랜지(213)를 포함하고, 클린 사이드(608) 및 덕트 챔버의 몸체(211)가 벌크헤드(144)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배수 호스(603)가 호스 밴드(215)로 배수 파이프(212)에 부착되어 있고, 플랜지(213)가 프레임 부재(118)(도 3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213a는 프레임 부재(118)에 에어 클리너(98)를 부착하기 위한 볼트(142)(도 3 참조)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 삽입 구멍을 지시한다.
에어 클리너 커버(606)에는, 덕트 챔버의 몸체(211) 및 상부 벽(217)의 위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덕트 부품과 정화 챔버(147)를 형성하는 더티 사이 드(dirty side)(621)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 챔버(146)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벽(217)으로 덕트 챔버의 몸체(211)의 상단부를 폐쇄함으로써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제1 덕트 부품(218)을 통하여 덕트 챔버(146) 내에 유입된다.
덕트 챔버(146)는 제1 덕트 부품(218)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하류 측 상에 위치된다. 덕트 챔버(146)는 제2 덕트 부품으로서 기능한다. 참조부호 218a는 제1 덕트 부품(218)의 위쪽에 개방되는 상부 개구부 부품을 지시하고, 참조부호 218b는 제1 덕트 부품(218)의 덕트 챔버(146)에 개방되는 하부 개구부 부품을 지시한다.
에어 클리너 부품(602)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 및 필터(625)(크로스-헤칭으로 도시되는 부분과 동일)에 고정되는 프레임(224)와, 정화 챔버(147)를 더티 사이드(621)과 클린 사이드(608)로 하는 구획을 포함한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벽(217)의 덕트 챔버(146)에 상당하는 부분에 제1 관통 구멍(627)을 개방함으로써; 상부 벽(217)의 더티 사이드(621)에 상당하는 부분에 제2 관통 구멍(628)을 개방함으로써; 그리고 제1 관통 구멍(627) 및 제2 관통 구멍(628) 내에 상부 덕트(151)를 맞춤으로써, 에어 클리너 커버(606)가 부착되어 있다. 덕트 챔버(146) 및 더티 사이드(621)은 상부 덕트(151)를 통하여 서로 통하여 있다. 참조부호 231a는 상부 덕트(151)의 덕트 챔버(146)에 개방되는 제1 개구부 부품을 지시하고, 참조부호 231b는 상부 덕트(151)의 더티 사이드(621)에 개방되는 제2 개구부 부품을 지시한다.
도 13a 및 13b에 각각 도시되는 제1 덕트 부품(218), 덕트 챔버(146) 및 상 부 덕트(161)는 에어 클리너(98)의 흡기구(235)를 형성하는 부품이다.
도 13a 및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운사이즈된 차량으로서 요동 삼륜차(10)(도 1 참조)에 설치되는 엔진(76)의 흡기 시스템(51)을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98)의 흡기 덕트 구조에 기초하고, 위쪽에 개방되고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덕트 부품(218), 제1 덕트 부품(218)에 연결되고 아래로 연장되는 제2 덕트 부품으로서의 덕트 챔버(146) 및 일단부의 개구부(151a)가 덕트 챔버(146)의 상단부에 개방되고 다른 단부가 에어 클리너(98)의 더티 사이드(621)와 통하게 되는 제3 덕트 부품으로서의 상부 덕트(151)가 에어 클리너(98)의 흡기구(235)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 덕트(151)가 덕트 챔버(146) 위에서 연장되어 있고 에어 클리너(98)의 상부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지(또는 물방울)(240)(도 14a 참조)가, 덕트 챔버(146)의 상단부와 통하게 되는 상부 덕트(151)와 아래로 연장되는 덕트 챔버(146)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더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1 덕트 부품(218)에 의해 형성되는 흡기 덕트 구조, 덕트 챔버(146) 및 상부 덕트(151)가 수평 방향에서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98)가 컴팩트해 질 수 있고, 에어 클리너(98)의 정화 공간, 즉 정화 챔버(147)의 용량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도 3, 13a 및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덕트 부품(218), 덕트 챔버(146) 및 상부 덕트(151)의 적어도 한 부품(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덕트 부품(218) 및 덕트 챔버(146))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의 코너에 설치되어 있고 단면이 삼각형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이 되게 하면, 코너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98)가 컴팩트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에어 클리너(98)에서의 흡기 공기의 유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클리너에서의 흡기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화살표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래로 제1 덕트 부품(218)의 상부 개구부 부품(218a)으로부터 덕트 챔버(146)에 유입되어 진다. 이 때,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또는 물방울)(240)는 덕트 챔버(146)의 바닥에 떨어지고, 화살표 B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수 파이프(212)를 통하여 배수 호스(603)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배수 호스(603)의 하단부(203a)에서, 슬릿이 형성되어 진다. 슬릿은 통상적으로 폐쇄되어 있고, 외기가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로서 거동하고, 에어 클리너(98)의 내부가 에어 클리너(98)의 외부보다 더 큰 압력을 가질 때, 먼지(또는 물방울)는 배출되어 진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 공기는 덕트 챔버(146)에서 위로 유동하고, 먼지(또는 물방울)(240)(도 14a 참조)은 더 제거되어 지고, 흡기 공기는 화살표 C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덕트(151) 내로 유동하며, 흡기 공기는 화살표 D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티 사이드(621)에 이르고, 흡기 공기는 화살표 E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 부품(602)의 필터(625)를 통과하며, 흡기 공기는 클린 사이드(608)에 이른다.
클린 사이드(608)의 공기는, 도 14a에서 화살표 F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장된 부품(152)으로부터 연결 튜브(97)를 통과하며, 스로틀 몸체를 통하여 엔진의 연소실에 이른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또는 습기)(240)는 효과적으로 다음 구성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2 덕트 부품으로서의 덕트 챔버(146)와 제1 덕트 부품(218)을 수직으로 배열함으로써; 아래로 제1 덕트 부품(218)으로부터 덕트 챔버(146)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덕트 챔버(146)의 상단부에 상부 덕트(151)의 제1 개구부(231a)를 개방함으로써; 제1 덕트 부품(218), 덕트 챔버(146) 및 상부 덕트(151)에 의해서 아래로의 유동으로부터 위로의 유동으로 흡기 공기의 유동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덕트 부품, 제2 덕트 부품 및 제3 덕트 부품 중 적어도 한 부품이 삼각형으로 되게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운사이즈된 차량, 모토사이클, 요동 삼륜차 뿐만 아니라 요동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청구항 1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엔진의 실린더부가 커버 내부
에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실 및 소음실이 배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고, 엔진 내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몸체가 커버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실린더부가 전 방으로 경사짐으로써, 엔진의 위쪽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몸체가 엔진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 및 공기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촉매실에 의해서 배기 가스가 더 깨끗해 질 수 있다. 엔진, 후륜, 촉매실, 소음실,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몸체가 일체로된 커버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위에 설명한 각 부품이 효율적이고 집합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라디에이터가 커버 내부에 배열되기 때문에, 커버 내부에 배열된 엔진이 냉각수로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를 향하여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냉각수의 열이 제거되고, 엔진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가 엔진에 근접하게 될 수 있고, 라디에이터와 엔진을 연결하는 라디에이터 호스가 짧아질 수 있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루버가 라디에이터 전방의 커버에 설치되는 경우, 커버의 루버를 차체의 길이 방향 축과 적절한 각도로 배열하고, 각 개구부를 수평선으로부터 약간 하방을 향하게 하고 루버 보드를 수직으로 정렬함으로써, 차체 하부에서의 빠른 공기 유동이 효율적으로 이끌어질 수 있다.
청구항 3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엔진의 위쪽에 설치된 복수의 기능 부품 및 엔진이 후방 차체에 배열되고, 복수의 기능 부품 및 엔진을 덮기 위한 커버가 스테이에 의해서 엔진에 고정되며, 위에서 보았을 때, 기능 부품이 구획되도록 스테이가 배열되기 때문에, 커버가 엔진에 의해 지지된 스테이에 확실하고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어 클리너가 직접 엔진에 부착된 경우에 비하여, 업사이즈 기능 부품인 에어 클리너가 더 안정하게 스테이에 부착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뿐만 아니라 각 기능 부품이 스테이에 부착될 수 있고, 각 기능 부품이 효과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후방 차체가 컴팩트해지고, 각 기능 부품이 효율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창구항 4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배기 시스템에 설치된 소음실 및 촉매실과, 에어 클리너 및 스로틀 몸체를 포함하는 흡기 시스템이, 위에서 보았을 때,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촉매실, 소음실, 에어 클리너 및 스로틀 몸체가 기능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배기 시스템에서 생성된 열이 흡기 시스템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열 절연체가 스테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청구항 5 및 10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촉매실이 엔진의 위쪽에 배열되어서, 엔진 위쪽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촉매실 및 소음실이 개별 케이스에 수용되기 때문에, 촉매실과 소음실을 서로 연통하기 위해 엔진으로부터 연장된 배기 파이프의 전체 길이가 연장될 수 있고 배기 파이프의 길이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소음실을 엔진의 뒤에, 그리고 촉매실의 아래쪽에 배열함으로써, 배기 파이프가 연장되고 배기 파이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소음실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어서, 차체 후방의 외부 형상이 감소될 수 있고, 차체의 후방이 다운사이즈될 수 있고, 또한, 비교적 무거운 소음실의 위 치를 낮춤으로써, 차체 무게 중심이 낮아지게 될 수 있다.
청구항 6 및 11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촉매실이나 소음실 중 하나를, 이것이 길이 방향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고, 예를 들어 다른 하나를 이것의 길이 방향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함으로써, 개별 케이스에 각각 수용되는 소음실 및 촉매실에 의해서 배기 시스템의 전체 길이를 확보한다.
또한, 소음실 및 촉매실을 양측으로 하는 사각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각형 공간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구성 부품이 사각형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청구항 7 및 12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촉매실로부터 방출된 배기 가스를 소음실로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에 의해서, 배기 가스의 각 통로의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요구 출력 특성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고, 배기 정화 성능 및 소음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8 및 13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연결 파이프가 다중 파이프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경로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촉매실과 소음실이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청구항 9 및 14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촉매를 수용하는 촉매실 및 배기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소음실이 개별 케이스에 수용되고, 촉매실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후륜 사이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촉매실이, 좌우 후륜의 각 위쪽을 덮는 일체로된 커 버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촉매실이 커버로 덮이고, 외관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청구항 15 및 20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엔진에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실린더부가 설치되고, 엔진의 흡기 시스템을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가 좌우 후륜 사이에, 그리고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의 뒤에 위치되기 때문에, 연료 분사 밸브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실린더부에 걸쳐서 배열될 수 있어서,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연료를 절약하고 배기 가스를 깨끗이 하도록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가 설치된다.
또한, 에어 클리너를 좌우 후륜 사이에 배열함으로써, 에어 클리너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에어클리너를 엔진 몸체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인 중앙에 위치된 스로틀 몸체의 뒤에 배열함으로써, 에어 클리너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인 중앙에 배열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이 차체 외부로 거의 새어나오지 않는다.
또한, 후륜 사이의 공간이 스로틀 몸체의 뒤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 16 및 21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스로틀 몸체 및 연료 분사 밸브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체의 중심선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엔진이 차체의 중앙에 배열되는 경우, 엔진과 스로틀 몸체를 연결하는 흡기 파이프가 감소될 수 있으며, 흡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청구항 17 및 22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더 크고, 에어 클리너가 차체의 중심선을 가로질러 배열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이 좌우 후륜 사이에서 증가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의 부피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의 차체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되고 에어 클리너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청구항 18 및 23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덕트 부품 및 제2 덕트 부품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제3 덕트 부품에 의해서, 물방울 및 먼지가 흡기된 공기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1 덕트 부품, 제2 덕트 부품 및 제3 덕트 부품을 포함하는 흡기 덕트 구조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점유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에어 클리너의 정화 공간의 용량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청구항 19 및 24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 제1 덕트 부품, 제2 덕트 부품, 및 제3 덕트 부품 중 적어도 한 부품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코너에 설치되고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기 때문에, 코너에서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에어 클리너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Claims (24)

  1. 후방 차체(18)가 전방 차체(14)에 대해 횡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차체(18)가 상기 전방 차체(14)의 후방 측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차체(18)가 일체로된 커버(53)로 덮여 있으며, 상기 커버(53)가 엔진(76), 상기 엔진(76)에 의해 구동되는 후륜(16)의 일부, 및 상기 엔진(76)의 배기 시스템(52)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요동 삼륜차로서,
    상기 엔진(76)의 실린더부(93)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상기 커버(53) 내부에 배열되고;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76) 내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91), 및 스로틀 몸체(96)가 상기 커버(53) 내부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76)을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73)가 상기 커버(53) 내부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3. 후방 차체(18)가 전방 차체(14)에 대해 횡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차체(18)가 상기 전방 차체(14)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요동 삼륜차로서,
    후륜(16)을 구동하기 위한 엔진(76), 및 상기 엔진(76)의 위쪽에 설치된 복수의 기능 부품이 상기 후방 차체(18)에 배열되고;
    상기 엔진(76) 및 복수의 기능 부품을 덮기 위한 커버(53)가 스테이(71)에 의해 상기 엔진(76)에 고정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기능 부품이 상기 스테이(71)에 의해 구획되는, 요동 삼륜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능 부품이, 상기 엔진(76)의 배기 시스템(52)을 각각 형성하는 소음실(111) 및 촉매실(107)과, 상기 엔진(76)의 흡기 시스템(51)을 각각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98) 및 스로틀 몸체(96)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실(107), 소음실(111), 에어 클리너(98), 및 스로틀 몸체(96)가 상기 스테이(71)에 의해 구획되는, 요동 삼륜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상기 촉매실(107)은 상기 엔진(76)의 위쪽에 배열되고, 상기 소음실(111)은 엔진(76)의 뒤에, 그리고 상기 촉매실(107)의 아래쪽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의 각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배열되고, 상기 엔진(76)의 흡기 시스템(51)을 형성하는 구성 부품이, 상기 소음실(111) 및 촉매실(107)을 양측으로 하는 공간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상기 촉매실(107)로부터 방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소음실(111)로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가 설치되고, 이들 경로 중 주경로가 상기 소음실(111)의 최상류 측 상의 어느 한 챔버(597)에 개방되고, 다른 경로가 상기 소음실(111)의 최상류 측 상의 어느 한 챔버(597)의 하류 측 상의 챔버(199)에 개방되는, 요동 삼륜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과 소음실(11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108)가 다중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가 상기 다중 파이프의 복수의 통로에 의해 형성되는, 요동 삼륜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상기 촉매실(107)이 상기 엔진(7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1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촉매실(107)이 상기 좌우 후륜(16)의 위쪽을 덮는 일체로된 커버(53) 내부에 설치되는, 요동 삼륜차.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상기 촉매실(107)이 상기 엔진(76)의 위쪽에 배열되고, 상기 소음실(111)이 상기 엔진(76)의 뒤에, 그리고 상기 촉매실(107)의 아래쪽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의 각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배열되고, 상기 엔진(76)의 흡기 시스템(51)을 형성하는 구성 부품이, 상기 소음실(111) 및 촉매실(107)을 양측으로 하는 공간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상기 촉매실(107)로부터 방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소음실(111)로 인도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가 설치되고, 이들 경로 중 주경로가 상기 소음실(111)의 최상류 측 상의 어느 한 챔버(597)에 개방되고, 다른 경로가 상기 소음실(111)의 최상류 측 상의 어느 한 챔버(597)의 하류 측 상의 챔버(199)에 개방되는, 요동 삼륜차.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과 소음실(11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108)가 다중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로가 상기 다중 파이프의 복수의 통로에 의해 형성되는, 요동 삼륜차.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촉매실(107) 및 소음실(111)이 상기 배기 시스템(52)에서 개별 케이스(170, 190)에 수용되고, 상기 촉매실(107)이 상기 엔진(7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좌우 후륜(1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촉매실(107)이 상기 좌우 후륜(16)의 위쪽을 덮는 일체로된 커버(53) 내부에 설치되는, 요동 삼륜차.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동 삼륜차(10)는 엔진(76)을 위한 흡기 시스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시스템 구조를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98)가 상기 좌우 후륜(16) 사이에, 그리고 상기 연료 분사 밸브(91)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스로틀 몸체(96)의 뒤에 위치되는, 요동 삼륜차.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몸체(96) 및 연료 분사 밸브(91)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체 중심선(140) 상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더 크고, 상기 에어 클리너(98)가 상기 차체 중심선(140)을 가로질러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동 삼륜차(10)는 엔진(76)을 위한 흡기 시스템(51)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시스템(51)은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흡기 덕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흡기구(235)에는, 위쪽으로 개방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1 덕트 부품(218), 상기 제1 덕트 부품(218)에 연결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덕트 부품(146), 및 일단부의 개구부가 상기 제2 덕트 부품(146)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에 연결되는 제3 덕트 부품(151)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덕트 부품(151)이 상기 제2 덕트 부품(146)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상부 내로 개방되는, 요동 삼륜차.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부품(218), 제2 덕트 부품(146) 및 제3 덕트 부품(151) 중 적어도 한 부품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의 코너에 설치되고,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는, 요동 삼륜차.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동 삼륜차(10)는 엔진(76)을 위한 흡기 시스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시스템 구조를 형성하는 에어 클리너(98)가, 상기 좌우 후륜(16) 사이에, 그리고 상기 연료 분사 밸브(91)가 설치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기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스로틀 몸체(96)의 뒤에 위치되는, 요동 삼륜차.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몸체(96) 및 연료 분사 밸브(91)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체 중심선(140) 상에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차체 횡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더 크고, 상기 에어 클리너(98)가 상기 차체 중심선(140)을 가로질러 배열되는, 요동 삼륜차
  2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동 삼륜차(10)는 엔진(76)을 위한 흡기 시스템(51)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시스템(51)이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흡기 덕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흡기구(235)에는, 위쪽으로 개방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1 덕트 부품(218), 상기 제1 덕트 부품(218)에 연결되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덕트 부품(146), 및 일단부의 개구부가 상기 제2 덕트 부품(146)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에 연결된 제3 덕트 부품(151)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덕트 부품(151)이 상기 제2 덕트 부품(146)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에어 클리너(98)의 상부 내로 개방되는, 요동 삼륜차.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부품(218), 제2 덕트 부품(146), 및 제3 덕트 부품(151) 중 적어도 한 부품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143)의 코너에 설치되고,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는, 요동 삼륜차.
KR1020060070673A 2005-07-29 2006-07-27 요동 삼륜차 KR100811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2055A JP4648790B2 (ja) 2005-07-29 2005-07-29 小型車両の排気装置
JP2005222110A JP4550684B2 (ja) 2005-07-29 2005-07-29 揺動三輪車の吸気系構造
JPJP-P-2005-00222055 2005-07-29
JPJP-P-2005-00222079 2005-07-29
JP2005222079A JP4546352B2 (ja) 2005-07-29 2005-07-29 揺動三輪車
JPJP-P-2005-00222110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022A KR20070015022A (ko) 2007-02-01
KR100811368B1 true KR100811368B1 (ko) 2008-03-07

Family

ID=3808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73A KR100811368B1 (ko) 2005-07-29 2006-07-27 요동 삼륜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4546352B2 (ko)
KR (1) KR100811368B1 (ko)
CN (1) CN100572182C (ko)
IT (1) ITTO20060450A1 (ko)
TW (1) TWI296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461A2 (en) 2007-03-16 2008-09-25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EP2531704B1 (en) * 2010-02-02 2018-05-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ffler with integrated catalytic converter and polymeric muffler body
JP5568351B2 (ja) * 2010-03-26 2014-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5703074B2 (ja) * 2011-03-14 2015-04-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722089B2 (ja) * 2011-03-14 2015-05-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595310B2 (ja) * 2011-03-14 2014-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2303659A (zh) * 2011-06-09 2012-01-04 苏中先 带摇摆机构的车辆
US8998253B2 (en) * 2012-03-30 2015-04-07 Polaris Industries Inc. Folding cab frame
US9592782B2 (en) 2012-09-20 2017-03-14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9440671B2 (en) 2012-09-20 2016-09-13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9623912B2 (en) 2012-09-20 2017-04-18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US9752494B2 (en) 2013-03-15 2017-09-05 Kohler Co. Noise suppression systems
US9388731B2 (en) * 2013-03-15 2016-07-12 Kohler Co. Noise suppression system
US9884647B2 (en) 2015-12-10 2018-02-06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US10196947B2 (en) 2016-02-02 2019-02-05 Kohler Co. Muffler
US10793181B2 (en) 2018-02-13 2020-10-0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JP6982033B2 (ja) * 2019-09-12 202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59A (ja) * 1992-06-30 1994-01-18 Yamaha Motor Co Ltd 触媒付内燃機関用排気装置
KR950000751Y1 (ko) * 1989-10-26 1995-02-09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JP2003176762A (ja) 2001-09-27 2003-06-27 Yamaha Motor Co Ltd 燃料噴射エンジンの燃料ホース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142Y2 (ko) * 1975-11-07 1981-11-24
JPS5411210U (ko) * 1977-06-28 1979-01-24
JPS5431140A (en) * 1977-08-10 1979-03-07 Yamaha Motor Co Ltd Autobicycle with exhaust purifier
JPS5660727A (en) * 1979-10-22 1981-05-25 Honda Motor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driving unit
JPS57354A (en) * 1980-06-02 1982-01-05 Yamaha Motor Co Ltd Air cleaner device
JPS57114790U (ko) * 1981-01-12 1982-07-16
JPS5839393U (ja) * 1981-09-10 1983-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カバ−装置
GB2116497B (en) * 1982-03-17 1986-01-22 Honda Motor Co Ltd Motor tricycles
JPS5940124U (ja) * 1982-09-09 1984-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三輪車
JPS5958632U (ja) * 1982-10-13 1984-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三輪車の吸気装置
JPS59176169A (ja) * 1983-03-26 1984-10-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前フレ−ム揺動型三輪車
JPS59156819U (ja) * 1983-04-08 1984-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輌用パワ−ユニツト
JPS6047778A (ja) * 1983-08-26 1985-03-15 スズキ株式会社 リ−ン型自動3輪車
JPS60179525U (ja) * 1984-05-09 1985-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
JPS6274788A (ja) * 1985-09-27 1987-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輌のパワ−ユニツト配設構造
JP2598390B2 (ja) * 1986-02-21 1997-04-09 スズ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2549519B2 (ja) * 1987-06-17 1996-10-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リヤフエンダ
JP3068172B2 (ja) * 1990-10-24 2000-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排気浄化装置
JPH05330470A (ja) * 1992-05-29 1993-12-14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ラジエータ配置構造
JPH0680031A (ja) * 1992-09-01 1994-03-22 Mazda Motor Corp 後輪駆動車両
JPH085699Y2 (ja) * 1993-03-02 1996-02-21 オカモト株式会社 携帯用ビデ
JP3358876B2 (ja) * 1994-07-12 2002-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3350250B2 (ja) * 1994-09-24 2002-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3618844B2 (ja) * 1995-02-27 2005-02-09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水上走行船
JP2001012236A (ja) * 1999-06-25 2001-01-16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浄化器
JP2001193437A (ja) * 1999-10-29 2001-07-17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マフラ構造
JP3391379B2 (ja) * 2000-02-07 2003-03-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及びその空気取り入れ口構造
JP4132986B2 (ja) * 2002-05-30 2008-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式車両
EP1378428B1 (en) * 2002-07-05 2008-02-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tricycle with oscillation mechanism
JP2004122870A (ja) * 2002-09-30 2004-04-22 Honda Motor Co Ltd 揺動機構付き3輪車
JP3971693B2 (ja) * 2002-12-02 2007-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
JP4180944B2 (ja) * 2003-03-19 2008-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車両
JP4110023B2 (ja) * 2003-03-31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2005104379A (ja) * 2003-09-30 2005-04-21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5133673A (ja) * 2003-10-31 2005-05-26 Keihin Corp 鞍乗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3958284B2 (ja) * 2003-12-16 2007-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751Y1 (ko) * 1989-10-26 1995-02-09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JPH0610659A (ja) * 1992-06-30 1994-01-18 Yamaha Motor Co Ltd 触媒付内燃機関用排気装置
JP2003176762A (ja) 2001-09-27 2003-06-27 Yamaha Motor Co Ltd 燃料噴射エンジンの燃料ホース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6352B2 (ja) 2010-09-15
TW200718601A (en) 2007-05-16
ITTO20060450A1 (it) 2007-01-30
CN100572182C (zh) 2009-12-23
JP2007038705A (ja) 2007-02-15
JP4648790B2 (ja) 2011-03-09
CN1903639A (zh) 2007-01-31
JP4550684B2 (ja) 2010-09-22
JP2007038709A (ja) 2007-02-15
KR20070015022A (ko) 2007-02-01
TWI296985B (en) 2008-05-21
JP2007038708A (ja)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368B1 (ko) 요동 삼륜차
CN108779692B (zh) 内燃机的排气装置
US8042649B2 (en) Vehicular muffler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CN103670639B (zh) 摩托车的排气系统
US7699134B2 (en) Motorcycle exhaust system
JP4363448B2 (ja) 排気系熱交換器の車体搭載構造
KR100795250B1 (ko)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CN101029586B (zh) 车辆排气装置
KR100578014B1 (ko) 소형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의 연료분사장치
KR100582658B1 (ko)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US10473019B2 (en) Exhaust gas sensor mounting structure
CN100532798C (zh) 具有排气净化功能的跨骑型车辆
CN101639006B (zh) 鞍乘型车辆
JP2002303133A (ja) 自動二輪車の排気系構造
JP2007091180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ンジン下部構造
CN110735702B (zh) 摩托车的排气装置、发动机排气系统及摩托车
US10619538B2 (en) Exhaust device of engine
JP5778947B2 (ja) 鞍乗り型車両の排気浄化装置
JP4313635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3276117B2 (ja) 排気消音器
JP3727641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4145694B2 (ja) 小型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083734B2 (ja) 自動二輪車
JP4084691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JPH07257200A (ja) 車両における排気系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