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751Y1 -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 Google Patents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751Y1
KR950000751Y1 KR2019900016132U KR900016132U KR950000751Y1 KR 950000751 Y1 KR950000751 Y1 KR 950000751Y1 KR 2019900016132 U KR2019900016132 U KR 2019900016132U KR 900016132 U KR900016132 U KR 900016132U KR 950000751 Y1 KR950000751 Y1 KR 950000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vehicle
sheet
cov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154U (ko
Inventor
사도루 호리이께
고오지 미즈다
나오히사 히라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모또 노부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모또 노부히꼬 filed Critical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7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751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제1도는 본 고안을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a)(b)는 제1도의 Ⅲa-Ⅲa선, Ⅲb-Ⅲb선의 각 단면도.
제4도(a)는 리어필러의 정면도.
제4도(b)는 제4도(a)의 b-b선 단면도.
제5도(a)는 리어필러 상부의 평면도.
제5도(b)는 리어필러 상부의 측면도.
제6도는 루우프 프론트부의 종단면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8도는 동 종단면도.
제9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10도는 동 종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XI-XI 선 단면도.
제12도는 정상부 수납실의 변형예.
제13도는 2인승 자동 2륜차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14도는 동 시이트 평면도.
제15도는 동 시이트 및 루우프의 종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XVI-XVI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XVⅡ-XVⅡ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프론트 커버 9, 74 : 시이트
13 : 리어필러 18 : 헤드레스트
21 : 리어 패널 22,52,82 : 루우프
본 고안은 자동 2륜차, 자동 3륜차등에 비를 피하기 위해 루우프를 부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차량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9-77984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시이트의 측부를 측방쪽으로 개방하고, 시이트의 후부에 탑승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기대는 부분을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차량에서는 루우프가 시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탑승자가 시이트에 앉을 경우에는 루우프와 시이트에 주의하면서 올라타야 하므로, 차량으로의 승강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불편함을 방지한 루우프가 붙은 2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은, 시이트의 상부에 루우프를 갖춘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의 양측부에 볼록형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하부에 좌우한쌍의 프레임부재가 전후방향으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내측면을 상부외측으로 경사시켜서 위로 벌어지도록 형성하고, 이 경사각의 안쪽에 루우프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차량에 승강할 때에 탑승자가 시이트의 볼록형상부 내면의 경사부에 상체를 맞추도록 하면 머리부분과 루우프가 간섭함이 없이 승강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본 고안을 실시한 자동 2륜차, (2)는 헤드 파이프, (3)은 다운 튜브, (4)는 좌우 1쌍의 프레임, (5)는 핸들, (6a)(6b)는 전륜 및 후륜, (7)(8)은 프론트 커버 및 사이드 커서, (9)는 시이트로서 이 시이트(9)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편평한 시이트부(10)와 그 양측의 볼록형상부(11)를 갖추고, 이 볼록형상부(11)의 내면(11a)은 상부가 벌어지는 각도(θ)로 경사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옆쪽에서 용이하게 앉을 수 있게 되어있다.
프레임(4)의 각 후단에는 가세트(12)가 용접되고, 각각에 리어필러(13)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리어필러(13)는 도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같은 형상의 코어 파이프(14)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리어필러(13)는 도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같은 형상의 코어 파이프(14)의 둘레에 제3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지발포제(15) 및 경질의 표면재(16)를 순차적으로 피복한 것으로서, 하부의 사이드커버(8)에 가까운 부분은 제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포체가 없는 작은 직경의 그립부(17)가 되어서 차량을 손으로서 밀때 용이하게 잡을 수 있음과 동시에 리어필러(13)의 가요성을 중대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코어파이프(14)의 하단은 카세트(12)에 용접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어필러(13)에는 헤드레스트(18)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헤드레스트(18)는 2개의 크로스부재(19)의 중간부에 쿳숀부(20)을 부착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2개의 크로스부재(19)에 고착한 단판(19a)을 리어필러(13)에 부착함으로써 고정된다. 리어패널(21)은 경질의 투명판으로서 리어필러(13)의 배후에 고정되어 있다. 루우프(22)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프론트 윈도우를 겸용하는 것으로, 전면에 와이퍼(22a)를 갖추고, 운전자(R) 머리의 윗 부분이 차광되도록 ℓ1의 범위만큼 착색되어 있으며, 루우프(22)의 후부가 리어필러(13)의 상부의 크로스부(13a)에 연결되어 있다.
이 루우프(22)의 머리위 부분의 단부(22b)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이트(9)의 볼록형상부(11) 내면(11a)의 연장선(A)으로부터 거리 ℓ2만큼 떨어져 있으며, 이 ℓ2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강할 때에 상체를 이 내면(11a)을 따라 기울어지게 하므로서 루우프(22)와의 간섭이 없이 승강할 수가 있는 칫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자리에 앉을 때는 양측의 볼록형상부(11)에 의해서 앉는 위치가 용이하게 위치결정된다.
상기 크로스부(13a)에 루우프(22)를 연결하기 위해서 코어파이프(14)의 크로스부(14a)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돌편(23)이 돌설되고, 이 돌편(23)에 삽입되거나 또는 고정되는 볼트(25)에는 루우프(22)의 후단에 설치된 뒤로 향하는 좁은 슬릿(24)을 가진 정지구멍이 감합되고, 이 후단은 돌편(23)과 너트(25a)에 의해서 상하부로부터 협지되어 있다. 상기 슬릿(24)의 폭은 볼트(25)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부분의 방수를 위해 이것을 덮는 고무제의 시일부재(2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26)는 앞부분 하면에 선단부가 두터운 3개의 돌기(27)를 가지고, 루우프(22)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계합해서 시일부재의 앞부분을 루우프(22)에 결합하고 시일부재의 뒷부분은 표면제(16)와 돌편(23)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한편, 루우프(22)의 앞쪽 끝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론트 커버(7)의 안족에서 헤드파이프(2)에 설치된 브라켓트(28)에 고정된다. 헤드 파이프 전면을 가로지르도록 고정된 크로스 파이프(29)에 이 브라켓트(28)가 연설되어 있고 루우프(22)는 그 앞쪽 끝에 형성된 작은 구멍(30)에 고무부쉬(31)와 볼트(32)를 삽통해서 상기 브라켓트(28)에 고착되어 있다.
이 차량으로 요철이 심한 도로를 주행하면, 진동이나 급가속에 따라서 운전자의 상체 또는 머리부분이 뒤쪽으로 이동하나, 이 머리부분은 헤드레스트(18)의 쿳숀부(20)에 의해서 받혀져서 경질의 리어패널(21)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충격이 적고, 헬멧을 착용하고 있지 않아도 불쾌한 큰 소리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 리어필러(13)는 그립부(17) 부분의 단면적이 축소되어 있으므로 휘어지기 쉽고, 루우프(22)는 얇고 또 고무부쉬(31)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으므로 휘어지기가 쉽기 때문에, 이들 리어필러(13) 및 루우프(22)는 쉽게 휘어져서 인체에 불쾌한 감촉을 주지 않는다. 또한, 리어필러(13)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대할 때는 크로스부(14a)의 돌편(23)의 볼트(25)는 루우프(22)의 슬릿(24)을 넓게하면서 빠지며, 돌편(23)과 너트(25a)도 루우프 상하부면을 슬라이딩하여 루우프(22)로부터 벗어나고, 시일부재(26)의 후부크로스부(13a)로부터 벗어나서 리어필러(13)의 상단부는 구속이 해방되므로 리어필러(13)는 유연성을 가지고 인체를 지지할 수가 있다.
이 차량에서 파워 유니트(35)는 앞쪽을 향하여 배치된 엔진(36)과, 이 엔진(36)의 윗쪽으로 신장되어 배치된 캐브레이터(37), 에어크리너(38)를 갖추고, 연료탱크(39)는 시이트(9)의 아랫쪽에서 전방으로 신장되어 배치되고, 연료탱크(39)의 후방에는 주입구(40)를 가지고 있으며, 사이드커버(8)에 있어서의 이 주입구(40)의 외측위치에 힌지가 부착된 주입구 뚜껑(41)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생략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차량(43)에 있어서는 외각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그 적당한 곳에 범퍼 작용을 하는 보호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7)에는 그 전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서 프론트 보호 파이프(44)가 부착되어 있고, 이 보호파이프(44)는 다운튜브(3) 및 헤드파이프(2)로 신장되는 아암에 의해서 고정된다.
사이드 커버(8)(8)의 양측에는 옆쪽으로 길다랗게 뻗어나온 자 형상의 사이드 안내 파이프(45)(46)가 배치되고, 막 파이프의 양단은 프레임(4) 및 가세트(12)에 고정된다. 또 리어필터(13)의 옆쪽으로 뻗어나온 자 형상의 상부 사이드 안내 파이프(46)(46)가 설치되고, 파이프의 양단은 코어파이프(14)에 고정된다. 이 상부 사이드 안내 파이프(46)는 차량을 손으로 밀때의 그립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차량을 또 시이트(9)에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볼록형상부(11)를 가지고, 그 내면(11a)의 연장선(A)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 차량에서는 탑승자가 몸을 굽히면서 승강하므로 구두 끝에 의해서 인너터버가 오염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발이 높이는 발판 앞쪽에 스폰지(47)가 부착되어 있다. 또, 루우프(22)의 양측에는 백밀러(48)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차량(50)은 화물의 탑재능력을 크게하는 동시에, 차실내에 통풍을 하기위해 개폐가능한 개구를 갖춘 것이다. 이 차량에 있어서는 물품의 수납실이 차량의 제일 윗부분, 뒷부분 및 다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먼저, 탑승자의 앞쪽부분 및 상부는 스크린(51)과 루우프(52)로 덮혀지고, 루우프(52)위에 상자모양의 덮개체(53)를 힌지(53a)로 회동가능하게 부착하므로서 수납실(54)이 형성된다. 또, 차체 하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55)의 후단에는 리어트렁크(56)가 설치되고, 덮개체(57)가 힌지(58)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시이트(9)의 측부에는 사이드 트렁크(59)가 설치되어 덮개체(60)에 의해서 개폐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이드 트렁크(59)는 상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측벽이 사이드 커버(55)에 접속되므로, 이 사이드 트렁크(59)의 강성에 의해 사이드 커버(55)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사이드트렁크(59)는 사이드커버(55)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되며, 별체로서 부착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이 차량(50)의 프론트 커버(61) 및 인너커버(62)의 하부에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로어부를 향해서 통풍용의 개구(63)가 형성되고, 이 개구(63)를 수시로 개폐하기 위해서 윙(날개)(64)이 요동자재하게 설치된다. 이 윙(64)은 아암(65)을 통해서 프론트 커버(61)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된 지지축(66)에 연결되고, 이 지지축(66)으로부터 차실측으로 레버(67)가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아암(65), 레버(67)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해 프론트 커버(61) 및 인너커버(62)에 슬릿(68)(6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레버(67)를 조작해서 한냉시에는 개구(63)를 닫고, 매우 더울때는 개구(63)를 열어둠으로써 외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해서 쾌적성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이 차량(50)에 있어서는 시이트(9)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 엔진(36)의 에어크리너(38)를 수평으로 해서 연료탱크(39)를 플로어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차량(50)의 정상부에 배설된 수납실(54)은 루우프(52)위에 설치되어 있으나, 루우프(52) 대신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이프하대(70)를 가설하고 그 상부를 상기 상자형상의 덮개체(53)로 덮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런 형식의 것은 헬멧과 같은 대형물품의 수납에 적당하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차량(71)은 차 길이를 크게해서 쇄기모양으로 한 지붕이 붙은 2륜차로써, 이 차량(71)에는 2인용의 좌석을 설치할 수가 있다. 사이드커버(72)로부터 윗쪽으로 신장되는 시이트대(73)에 2인용의 시이트(7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시이트(74)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좌석(75)과 뒷좌석(76)이 설치되며, 양 좌석의 뒤쪽으로부터 양측부에 걸쳐서 볼록형상부(77)(78)가 형성되고, 각 볼록형상부(77)(78)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5도에서 연장선(A)으로 나타낸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 좌석(75)(76)의 앞부분 중앙에는 중앙돌기(79)(80)가 형성되어 있고 무릅 안쪽에서 시이트릴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뒷좌석(76)의 앞부분 양측에 발을 얹는 발판부(81)가 옆쪽으로 돌설되어 있다. 좌석의 폭은 루우프폭보다 2W만큼 넓다.
루우프(82)는 투명체로 되어 있어서 스크린을 겸하며, 리어필러(8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루우프(8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U자형상의 만곡부(84)가 앞뒤에 걸쳐서 형성되어서 레인드립(빗물받이 홈)(85)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쪽에서 앞좌석(75), 뒷좌석(76)의 윗쪽에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립(86)(87)이 루우프(82)로부터 아랫쪽을 향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양 그립(86)(87)은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써 개구(86a)(87a)를 가지며, 승강시에 이 개구의 아래 가장자리를 잡도록 되어 있으므로, 몸을 지탱하면서 볼록형상부(77)(78)의 내측면의 경사선(A)을 따라서 몸을 움직여서 승강한다.
이상 2륜차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3륜차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시이트의 좌석부의 양측에 볼록형상부를 갖추고, 이 볼록형상부의 내면을 위가 벌어지게 경사시켰으므로 차량에 승강할 때에 상체를 이 경사에 맞추면 머리부와 루우프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용이하며, 자리에 앉을 때도 이 볼록형상부에 의해서 올바른 위치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볼록형상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변형방지는 물론, 내구성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이 고안이다.

Claims (1)

  1. 시이트의 윗쪽에 루우프를 갖춘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싱기 시이트(9)의 양측부에 볼록형상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형상부(11)의 하부에 좌우한쌍의 프레임부재(4,4)가 전후 방향으로 각각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볼록형상부(11)의 내측면을 윗쪽 외측으로 경사시켜서 위가 벌어지도록 형성하고, 이 경사에 의해서 형성된 경사각( )의 안쪽에 루우프(22)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KR2019900016132U 1989-10-26 1990-10-23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KR9500007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4523 1989-10-26
JP1989124523U JP2529833Y2 (ja) 1989-10-26 1989-10-26 ルーフ付き自動二、三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154U KR910007154U (ko) 1991-05-27
KR950000751Y1 true KR950000751Y1 (ko) 1995-02-09

Family

ID=1488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132U KR950000751Y1 (ko) 1989-10-26 1990-10-23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29833Y2 (ko)
KR (1) KR950000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68B1 (ko) * 2005-07-29 2008-03-0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요동 삼륜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7922B2 (ja) * 1999-05-12 2010-11-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鞍乗り型シート
JP2005104262A (ja) * 2003-09-30 2005-04-2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シート構造
JP5570375B2 (ja) * 2010-09-29 2014-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05745146B (zh) * 2013-12-02 2018-06-12 川崎重工业株式会社 跨乘式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985A (ja) * 1982-10-26 1984-05-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軽車両
JPS6131978U (ja) * 1984-07-31 1986-02-26 株式会社タチエス 防水性車両用シ−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68B1 (ko) * 2005-07-29 2008-03-0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요동 삼륜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7287U (ko) 1991-07-01
JP2529833Y2 (ja) 1997-03-19
KR910007154U (ko) 199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4315A (en) Fuel tank arrangement for scooter
CN100413730C (zh) 车辆的座位构造
US4679647A (en) Rear seat cover for vehicles having a saddle-shaped seat
EP0404194B1 (en) Storage arrangement for scooter
KR950000751Y1 (ko) 루우프가 붙은 자동 2륜차
JP4105276B2 (ja) 自動二輪車のステップ構造
JP2970650B2 (ja) ルーフ付きスクータ型車両
JP3558455B2 (ja) 自動二輪車のトランク構造
JP2807818B2 (ja) 小型車両
JP3591675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2515092Y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2552221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ヘルメット収納箱装置
JPH0569868A (ja) スクータの収納装置
JP3562601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補助ステップ装置
JP4577922B2 (ja) 車両用鞍乗り型シート
JPH0471746B2 (ko)
CN113474244B (zh) 用于两轮车辆的脚踏组件
JP2732086B2 (ja) 屋根付自動二輪車
JPH0323427Y2 (ko)
JP3817102B2 (ja) 小型車両の車体構造
JP2844212B2 (ja) 鞍乗型車両のフートレスト装置
JP2622642B2 (ja) スクータの収納装置
JP2694337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3693711B2 (ja) ゴルフカート
JPH0662101B2 (ja) スク−タの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