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406B1 -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406B1
KR100796406B1 KR20037007164A KR20037007164A KR100796406B1 KR 100796406 B1 KR100796406 B1 KR 100796406B1 KR 20037007164 A KR20037007164 A KR 20037007164A KR 20037007164 A KR20037007164 A KR 20037007164A KR 100796406 B1 KR100796406 B1 KR 10079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processing
reference valu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700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326A (ko
Inventor
히데끼 요시다
진 사또
가즈유끼 이께다
다까시 노리즈끼
겐이찌 사꾸사베
다이스께 가와구찌
무네히로 요시까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4/02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 H04B14/04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3/00Details of the apparatus or circuits covered by groups H04L15/00 or H04L17/00
    • H04L13/02Details not particular to receiver or transmitter
    • H04L13/08Intermediate 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0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management of server-side video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저비용의 AV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는, 수신 버퍼(6)에 축적되는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고, 축적 데이터량이 상측의 임계값보다 커졌을 때, 수신 클럭 발생 회로(8)가 발생하는 수신 클럭의 주파수를, 보다 높은 주파수로 설정시킨다. 또한, 축적량이 하측의 기준값보다 작아졌을 때, 수신 클럭 주파수는 보다 낮은 주파수로 설정된다. AV 디코더(7)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클럭에 기초하여, 수신 버퍼(6)로부터 공급되는 AV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텔레비전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송신 버퍼, 수신 버퍼, 송신 클럭 발생 회로, 수신 클럭 발생 회로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DATA PROCESSOR,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종래의 AV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송신측에서는, AV 인코더(1)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AV 데이터가 입력된다. AV 인코더(1)는, 입력된 송신 AV 데이터를, 송신 클럭 발생 회로(2)에 의해 생성된 클럭 주파수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MPEG 포맷 등으로 압축한다. 송신 클럭 발생 회로(2)는 수정 발진기 등에 의해 구성된다. 압축된 데이터는 클럭 교환을 위해 송신 버퍼(3)에 저장되며, 송신 장치(4)가 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송신 장치(4)로 보내어진다. 송신 장치(4)는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코드 변환, 변조 등을 실시하여, 수신측으로 보낸다.
수신측에서는, 수신 장치(5)가, 송신 장치(4)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수취하여, 복조, 코드 역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한 데이터로 복원시켜, 수신 버퍼(6)에 저장한다. 송신 장치(4)와 수신 장치(5) 사이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AV 데이터의 레이트보다 충분히 빠른 것으로 한다. 수신 버퍼(6)에 저장된 데이터는, AV 디코더(7)가 처리하는 타이밍에 따라, AV 디코더(7)로 건네 진다. AV 디코 더(7)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에 의해 생성된 클럭 주파수에 의해 디코드한다(신장한다).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의 경우, AV 인코더(1)에 입력되는 송신 클럭, 및, AV 디코더(7)에 입력되는 수신 클럭이, 제조 시의 변동 등에 의해, 엄밀하게 동일한 주파수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속도에 차가 발생하여,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 버퍼(6)에서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가 발생하고, 결과로서 AV 디코더(7)에서, 처리 데이터의 과부족에 의해 화상, 음성의 열화가 발생하였다.
도 2에 오버플로우의 예를 도시한다. AV 인코더 동기 클럭(도 2A)은, 송신 클럭 발생 회로(2)에 의해 생성된 송신 클럭에 의해 AV 인코더(1)의 내부에서 생성된다. 이 클럭의 상승에 동기하여, 인코드된 고정 길이의 AV 데이터 Dn(도 2B)이 송신 버퍼(3)(2패킷분의 사이즈)에 저장된다.
송신 데이터 Dn은, 임의의 전송 지연 후에 수신 장치(5)에 의해 수신되어(도 2C), 수신 버퍼(6)에 저장된다(도 2D). 수신 데이터 Dn은, AV 디코더 동기 클럭(도 2E)에 따라 수신 버퍼(6)로부터 AV 디코더(7)로 송출되어(도 2F), 디코드되어, 수신 AV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AV 디코더 동기 클럭(도 2E)은 수신 클럭 발생 회로(8)에 의해 생성된 수신 클럭에 의해 AV 디코더(7)의 내부에서 생성된다. 이 클럭의 상승에 동기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AV 디코더(7)에 의해 디코드된다. 이 예의 경우, AV 인코더 동기 클럭(도 2A)보다, AV 디코더 동기 클럭(도 2E)쪽이 느리기 때문에, 수신 데이터 Dn+5 가 수신 버퍼(6)에 저장된 시점에서, 데이터가 넘치게 되어,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
도 3에 언더플로우의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AV 데이터가 처리된다. 이 경우, AV 인코더 동기 클럭(도 3A)보다, AV 디코더 동기 클럭(도 3E)쪽이 빠르기 때문에, 수신 데이터 Dn+3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 버퍼(6)가 비어 있게 되며(도 3D), 수신 버퍼(6)는, AV 디코더 동기 클럭(도 3E)의 상승에서는, AV 디코더(7)로 데이터를 건네 줄 수 없어, 언더플로우가 발생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이며, 또한, 저비용의 시스템으로,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이 수신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제1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제2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과, 제1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1 처리 수단과, 제2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2 처리 수단과, 제1 처리 수단 및 제2 처리 수단이,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되는 제1 클럭 및 제2 클럭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을 때,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 기준값보다 클 때,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 기준값보다 작을 때,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송신계와 수신계의 전체의 처리 시간의 차의 시간에서, 제1 처리 수단이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이라고 하고,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라고 할 때, 제1 제어 수단은,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제어 대상의 범위의 중심값을, Buf1과 Buf2의 합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고, 제2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이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수신 단계의 처리가 수신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제1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1 처리 단계와, 제2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2 처리 단계와, 제1 처리 단계의 처리 및 제2 처리 단계의 처리가,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되는 제1 클럭 및 제2 클럭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을 때,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와,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 기준값보다 클 때,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 기준값보다 작을 때,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송신계와 수신계의 전체의 처리 시간의 차의 시간에서, 제1 처리 단계의 처리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로 하고,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로 할 때, 제1 제어 단계의 처리는, 제1 메모리에 기억되는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제어 대상의 범위의 중심의 값을, Buf1과 Buf2의 합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수신 단계의 처리가 수신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제1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1 처리 단계와, 제2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2 처리 단계와, 제1 처리 단계의 처리 및 제2 처리 단계의 처리가,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되는 제1 클럭 및 제2 클럭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을 때,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와,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 기준값보다 클 때,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 기준값보다 작을 때,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송신계와 수신계의 전체의 처리 시간의 차의 시간에서, 제1 처리 단계의 처리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이라고 하고,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라고 할 때, 제1 제어 단계의 처리는, 제1 메모리에 기억되는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제어 대상의 범위의 중심의 값을, Buf1과 Buf2의 합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송신계와 수신계의 전체의 처리 시간의 차의 시간에서, 제1 데이터의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이라고 하고,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라고 할 때,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의 제어 대상의 범위의 중심의 값이, Buf1과 Buf2의 합에 대응된다.
도 1은 종래의 AV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버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언더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AV 시스템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4의 수신 클럭 발생 회로에서 발생하는 수신 클럭의 주파수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4의 수신 버퍼에서의 축적량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AV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도 8의 시스템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지연 시간의 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선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도 10의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4에 본 발명의 AV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이 시스템에서는,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가 추가되며, 수신 클럭 발생 회로(8)는,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의 출력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클럭 주파수를 제어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서의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다.
도 4의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수신 클럭의 생성 방법이, 도 1의 시스템에서의 경우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는,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는, 수신 버퍼(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양을 감시하고, 임의의 일정 양보다 많아진 경우에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에서, 예를 들면, 1필드 또는 1프레임에 1회의 비율로 발생하는 클럭 주파수를 올린다. 또한 수신 버퍼(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임의의 일정 양보다 적어진 경우에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에서 발생하는 클럭 주파수를 내린다.
수신 클럭 발생 회로(8)에 의해 클럭의 주파수를 가변하는 방법으로서는, 전 압 제어 오실레이터(VCO) 혹은, AV 디코더(7)에 공급하는 클럭보다 높은 주파수의 클럭을 카운터로 카운트하여, 클럭 생성을 위한 카운터값을 변화시키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5에,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가 실행하는 실제의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다. 우선, 단계 S1에서, 수신 버퍼(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DataSize)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하한의 임계값(LowThresh)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비교하고, 만약 적은 경우에, 또한, 단계 S4에서, 클럭이 하한의 주파수(LowLimit)보다 위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5에서 클럭 주파수를 내린다. 수신 버퍼(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DataSize)이, 하한의 임계값(LowThresh)보다 많은 경우에는, 단계 S2에서, 상한의 임계값(HighThresh)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비교하고, 혹시 많은 경우에, 또한, 단계 S6에서, 클럭이 상한의 주파수(HighLimit)보다 아래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7에서, 클럭 주파수를 올린다. 수신 버퍼(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LowThresh<DataSize<HighThresh의 범위이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하의 이유로부터 클럭의 상한, 하한의 주파수를 정하고 있다.
1. AV 디코더의 동작 클럭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 급격하게 버퍼의 데이터량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3. 이상 사태의 경우에도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예를 들면 데이터가 도달하지 않게 된 경우 등)
단계 S3에서, 제어의 정지가 명령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며, 명령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제어의 정지가 명 령되었을 때, 처리는 종료된다.
도 6에 AV 인코더(1)에 입력되는 클럭과, AV 디코더(7)에 입력되는 클럭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AV 인코더(1)에 입력되는 클럭을 ftx로 하고, AV 디코더(7)에 입력되는 클럭을 frx로 한다.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에 의해, 수신 클럭 발생 회로(8)가 생성하는 AV 디코더(7)에 입력되는 클럭은, 최저 클럭 주파수(fl)와, 최고 클럭 주파수(fh)의 범위로 제어된다. 여기서 AV 디코더(7)는 fll<frx<fhh의 범위에서 동작한다. 이 때문에 fl, fh가 이 범위에 들어가 있고, fl<ftx 또한 ftx<fh를 만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수신 버퍼(6)에서의 데이터량의 추이 이미지를 도시한다. 이 예의 경우, 도 6의 예와 같이, 클럭을 올리는 경우에는 fh로, 클럭을 내리는 경우에는 fl로, 클럭 주파수가 제어된다. 초기 상태 B1에서는, 수신 버퍼(6)가 비어 있기 때문에, frx=fl로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그 후, 수신 버퍼(6)의 데이터 기억량이, HighTresh를 초과한 시점 B2에서, 클럭을 올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frx=fh로 하여, 데이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어된다. 그 후, 데이터량이 LowTresh의 값보다 내려 간 시점 B3에서, 클럭을 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frx=fl로 하여, 재차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향으로 동작하며, 이것이 반복되는 형태로 동작이 계속된다.
도 8에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송신측에서의 AV 인코더(1)가, 오디오 인코더(1A)와 비디오 인코더(1V)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송신 클럭 발생 회로(2)는, 송신 클럭 발생 회로(2A)와 송신 클럭 발생 회로(2V)에 의해 구성된다. 오디오 인코더(1A)의 출력은, 송신 버퍼(31A)를 통해 패킷 생성 회로(32)에 공급되고, 비디오 인코더(1V)의 출력은, 송신 버퍼(31V)를 통해 패킷 생성 회로(32)에 입력되어 있다.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의 패킷 생성 회로(3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패킷 분해 회로(41)가, 수신 버퍼(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오디오 패킷과 비디오 패킷으로 분해하고, 오디오 패킷을 수신 버퍼(42A)를 통해 오디오 디코더(7A)로 출력하며, 비디오 패킷을 수신 버퍼(42V)를 통해 비디오 디코더(7V)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 버퍼(21)는, 수신 버퍼(42A)의 출력을 감시하는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A)와, 수신 버퍼(42V)의 기억량을 감시하는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V)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신 클럭 발생 회로(8)는,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A)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 클럭을 생성하여, 오디오 디코더(7A)로 출력하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A)와,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V)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 클럭을 생성하여, 비디오 디코더(7V)로 출력하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V)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오디오 인코더(1A)는, 입력된 송신 데이터(음성 데이터)를 예를 들면 MPEG로 압축하여, 송신 버퍼(31A)로 건네 준다. 오디오 인코더(1A)는, 송신 클럭 발생 회로(2A)에 의해 발생된 송신 클럭을 기초로 동작한다. 한편, 비디오 인코더(1V)는, 송신 클럭 발생 회로(2V)에 의해 발생된 송신 클럭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MPEG 등으로 압축하여, 송신 버퍼(31V)로 건네 준다. 패킷 생성 회로(32)는, 송신 버퍼(31A)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와, 송신 버퍼(31V)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수신측의 분해에 필요한 헤더 정보 등을 부가하여, 송신 패킷을 생성한다. 생성된 송신 패킷은, 송신 버퍼(3)에 저장되며, 송신 장치(4)가 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다음 데이터가 건네 진다.
수신측에서는 수신 장치(5)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 버퍼(6)에 저장시킨다. 다음으로 패킷 분해 회로(41)에 의해,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로 나누어져, 각각 수신 버퍼(42A), 또는 수신 버퍼(42V)로 건네 진다. 음성계에서는,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A)가, 수신 버퍼(42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수신 클럭 발생 회로(8A)에 의해 생성되는 클럭 주파수를 가변한다. 오디오 디코더(7A)는, 수신 클럭 발생 회로(8A)로부터 공급된 클럭을 기초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화상계도 마찬가지로, 수신 버퍼 감시 회로(21V)가, 수신 버퍼(42V)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에 따라, 수신 클럭 발생 회로(8V)를 제어하여, 비디오 디코더(7V)에의 클럭 주파수를 가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각각의 인코더(1A, 1V), 또는 디코더(7A, 7V)에서 처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처리 경로가 달라, 처리 시간에 차가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지연 시간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로 된다.
도 9에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각 블록에서의 지연 관계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오디오 인코더(1A), 또는 비디오 인코더(1V)에 입력되는 시점에서 는, 송신 데이터에 동기가 취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음성 데이터의 처리 경로에서는, 공통의 부분을 제외한 지연 시간은, 오디오 인코더(1A)에서의 지연 시간(Tdae), 송신 버퍼(31A)에서의 지연 시간(Tdat), 수신 버퍼(42A)에서의 지연 시간(Tdar), 오디오 디코더(7A)에서의 지연 시간(Tdad)의 합계 Tda로 된다. 여기서 Tdar은, 음성 데이터에서의 LowThresh(도 5의 단계 S1)와 HighThresh(도 5의 단계 S2)의 평균값(ABufAve)에서의 지연 시간으로 한다.
다음으로 화상의 처리 경로에서는, 마찬가지로 공통의 부분을 제외한 지연 시간은, 비디오 인코더(1V)에서의 지연 시간(Tdve), 송신 버퍼(31V)에서의 지연 시간(Tdvt), 수신 버퍼(42V)에서의 지연 시간(Tdvr), 비디오 디코더(7V)에서의 지연 시간(Vdvd)의 합계 Tdv로 한다. 여기서 Tdvr은, 화상 데이터에서의 LowThresh(도 5의 단계 S1)와 HighThresh(도 5의 단계 S2)의 평균값(VBufAve)에서의 지연 시간으로 한다. 이 경우, 음성 데이터보다, 화상 데이터의 처리 경로(처리 시간)쪽이 길어(Tda<Tdv), 그 차는 Tdav로 된다.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는, 시간 Tdav분만큼, 음성 데이터의 처리를 느출 필요가 있다. 이 지연을, 수신 버퍼(42A)에 저장하는 임계값의 설정값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간 Tdav에서 처리되는 음성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ABufTdav로 하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양의 중심을, ABufTdav+ABufAve로 설정함으로써, 동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심의 상하에, HighThresh 및 LowThresh가 설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지연 시간차를, 모두 수신 측에서 보상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송신측의 버퍼에서 지연 시간차를 어느 정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 모두 클럭 조정 기능을 갖고 있지만,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동기가 문제가 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동기를 위한 클럭 조정 기능을, 어느 한쪽의 시스템에 부가하는 구성을 취해도 상관없다.
도 10은 도 4의 시스템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선국 장치(101)와, 표시 장치(102)에 의해 구성된다. 선국 장치(101)는, 본 발명에 따른 선국 장치가 적용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가정의 옥내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 장치(10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적용된 것으로서, 사용자 근방에서 이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국 장치(101)에는, 옥외에 설치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 수신용의 수신 안테나(111)에 접속되어 옥외로부터 옥내로 인입된 안테나 케이블(111cb)이 접속됨과 함께, 전화망에 접속되어 옥외로부터 옥내로 인입된 전화선 L이 접속된다.
그리고, 선국 장치(101)는, 안테나(111)에 의해 수신하여 선국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이것을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표시 장치(102)로 무선 송신하거나, 혹은, 전화선 L을 통해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이것을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표시 장치(102)로 무선 송신한다.
또한, 선국 장치(101)는, 표시 장치(102)로부터 지시 정보나 전자 메일 등의 송신 정보를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선국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변화시키거나, 송신 정보를 전화선 L을 통해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 장치(102)는, 선국 장치(101)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LCD(Liquid Crystal Display)(125)의 표시 화면에 표시함과 함께,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에 의한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방음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표시 장치(102)는, 선국 장치(101)가 전화선 L을 통해 수신하여 무선 송신해 오는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이나 인터넷의 홈페이지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표시용 신호를 형성하며, 이 표시용 신호에 따른 화상을 LCD(125)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2)의 LCD(125)의 표시 화면에는, 터치 패널(351)이 부착되어 있으며, LCD(125)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와 터치 패널(35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지시 입력 등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351)을 이용함으로써, 전자 메일을 작성하여 송신하거나, 자신 앞으로의 전자 메일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등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국 장치(101)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나, 전화선 L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 취입하거나,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전화선 L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출하는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2)는, 선국 장치(101)에 의해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 취입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정보를 접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선국 장치(10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케이블(111cb)과의 접속 단자 T1이나 전화선 L과의 접속 단자 T2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그 양방에 확실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이용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국 장치(101)와 표시 장치(102)는, 무선 접속되기 때문에, 선국 장치(101)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에리어이면 어디라도, 표시 장치(102)를 이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1은 선국 장치(10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선국 장치(101)의 각 부는,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Contral Processing Unit)(201), ROM(Read Only Memory)(202), RAM(Random Access Memory)(203),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204)가 CPU 버스(206)를 통해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여기서, ROM(202)은, 본 실시예의 선국 장치(101)에서 실행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된 것이다. RAM(203)은, 각종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보존하는 등과 같이, 주로 각종 처리의 작 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EEPROM(204)은, 소위 불휘발성의 메모리로서, 전원이 꺼져도, 기억 보존된 정보가 소실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국 장치(101)의 주 전원이 꺼지기 직전까지 선국하고 있던 방송 채널의 정보를 기억 보존하고, 전원 투입 후에는, 전회 전원이 꺼지기 직전까지 선국하고 있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도록 하는 소위 라스트 채널 메모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국 장치(101)는, 옥외에 설치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 수신용의 수신 안테나(111)로부터의 안테나 케이블(111cb)은, 선국 장치(101)의 선국부(112)에 접속되며, 수신 안테나(111)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선국부(112)에 공급된다.
선국부(112)는, 수신 안테나(111)로부터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 중에서, 제어부(200)로부터의 선국 지시 신호에 따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국하고, 이 선국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부(113)에 공급한다. 복조부(113)는, 이것에 공급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신호(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신호)를 스위치 회로(114)의 입력단 a에 공급한다.
스위치 회로(114)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전환 제어되어, 복조부(113)로부터 입력단 a에 공급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신호를 출력할지,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단 b에 공급되는 신호를 출력할지를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200)로부터 스위치 회로(114)에 공급되는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화선 L을 통해 선국 장치(101)에 공급되며, 모뎀부(210)를 통해 수신한 전자 메일 이나 인터넷의 소위 홈페이지의 정보 등의 신호이다.
그리고, 스위치 회로(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압축 처리부(115)에 공급된다. 압축 처리부(115)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소정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한다. 이 압축 처리부(115)에서는,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방식이나 Wavelet 방식 등의 데이터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스위치 회로(114)로부터의 신호를 데이터 압축한다.
송신 클럭 발생 회로(401)는 CPU(201)에 의해 제어되며, 송신 클럭을 발생하여, 압축 처리부(115)에 공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처리부(115)는, 이 송신 클럭에 동기하여,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압축 처리부(115)에서 데이터 압축된 신호는, 송신 신호 형성부(116)에 공급된다. 송신 신호 형성부(116)는, 사전에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 방식의 프로토콜, 혹은, 그 발전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송신 신호 형성부(116)에서 형성된 송신 신호는, 무선부(117)의 송신 처리부(117S)에 공급된다. 송신 처리부(117S)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송신 신호의 변조 처리나 증폭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117S)에서 처리된 송신 신호는 공용부(117K),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무선 송신된다.
공용부(117K)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선국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2)로부 터 무선 송신되는 지시 정보 등을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공용부(117K)는, 송신 처리부(117S)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송수신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한 표시 장치(102)로부터의 예를 들면 선국 지시 등의 신호는, 공용부(117K)를 통해 수신 처리부(117R)에 공급된다. 수신 처리부(117R)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복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제어부(200)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200)에 공급한다.
제어부(200)는, 수신 처리부(117R)로부터의 신호가, 선국 지시 등의 지시 신호일 때에는, 그 지시 신호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수신 처리부(117R)로부터 제어부(200)에 공급된 신호가 선국 지시였던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공급된 선국 지시에 따른 선국 지시 신호를 선국부(112)에 공급하여, 선국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부(117R)로부터 제어부(200)에 공급된 신호가, 전자 메일 등의 송신 정보였던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뎀부(210) 및 전화선 L을 통해, 전화 회선에 접속하고, 송신 정보를 접속한 전화 회선으로 송출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대측으로 송신한다.
모뎀부(21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도 11에서는, I/F로 기재)부(211)와, 통신부(212)로 이루어져 있다. I/F부(211)는, 상대측과 선국 장치(101) 사이에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통신 회선과, 이 선국 장치(101)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전화 회선(전화선 L)을 통해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선국 장치(101)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부(212)는, I/F 회로(211)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이것을 제어부(200)에 공급하거나, 제어부(20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이것을 I/F 회로(211)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전화 회선이 접속된 상대측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국 장치(101)는, 모뎀부(210), 전화선 L, 및, 소정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받거나, 전자 메일을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200)는, 모뎀부(210)를 제어하여, 오프 훅하거나 온 훅할 수 있음과 함께, 오프 훅하도록 모뎀부(210)를 제어했을 때에는, 다이얼 신호를 전화 회선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소위 다이얼러로서의 기능 등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에는, 전원의 온/오프 키나 각종 설정 키가 설치된 키 입력부(215)가 접속되어 있으며, 선국 장치(101)의 주 전원의 온/오프나, 각종 설정 입력이, 이 키 입력부(215)를 통해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국 장치(101)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 선국하여 복조하고, 이 복조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화 회선을 통 해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이것을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선국 장치(101)는, 후술하는 표시 장치(102)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선국 지시 등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에 따른 처리를 행하거나, 표시 장치(10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전자 메일 등의 송신 정보를, 모뎀부(21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선국 장치(101)와 무선 접속되는 표시 장치(10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이 표시 장치(1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표시 장치(102)는, CPU(301), ROM(302), RAM(303), EEPROM(304)이 CPU 버스(305)를 통해 접속되어 형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ROM(302)에는, 이 표시 장치(102)에서 실행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된 것이다. RAM(303)은, 각종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보존하는 것 등과 같이, 주로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EEPROM(304)은, 소위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꺼져도, 기억 보존된 정보가 소실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종 설정 파라미터나, 작성한 전자 메일이나 수신한 전자 메일 등을 기억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선국 장치(101)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표시 장치(10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국 장치(101)로부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 한 무선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121)에 의해 수신되며, 공용부(122K)를 통해 수신 처리부(122R)에 공급된다. 수신 처리부(122R)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복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고, 복조 후의 신호를 수신 버퍼(501)를 통해 신장 처리부(123)에 공급한다.
수신 버퍼 감시 회로(502)는, 수신 버퍼(501)의 데이터량을 모니터하고, 그 데이터 축적량에 따라, 수신 클럭 발생 회로(503)를 제어한다. 수신 클럭 발생 회로(503)는, 수신 버퍼(501)의 데이터 축적량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수신 클럭을 발생하여, 신장 처리부(123)에 공급한다. 신장 처리부(123)는, 수신 클럭에 동기하여, 신장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국 장치(101)는, 무선 송신하는 신호는 데이터 압축되어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표시 장치(102)의 신장 처리부(123)는, 선국 장치(101)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신장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그리고, 복원한 신호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신호인 경우 등에 있어서는, 복원된 신호는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상 신호는, 화상 신호 처리부(124)에 공급되고,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126)에 공급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124)는, 신장 처리부(123)로부터의 화상 신호로부터 표시용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LCD(125)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LCD(125)에는, 선국 장치(101)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온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음성 신호 처리부(126)는, 이것에 공급된 음성 신호로부터 스피커(127)에 공급하는 음성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스피커(127)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스피커(127) 로부터는, 선국 장치(101)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온 음성 신호에 따른 음성이 방음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2)는, 선국 장치(101)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신호의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의 패킷 내에 시간 정보가 없어도,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의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음성과 화상의 동기도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MPEG의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같은 패킷을 사용하지 않고서, 안정 동작 가능한 AV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송신측에서는, 타임 스탬프 정보의 부가 처리 등의 회로가, 또한 수신측에서는, 클럭 재생의 회로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회로 규모를 삭감할 수 있어, 저비용의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2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처리 수단 및 상기 제2 처리 수단이, 상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되는 제1 클럭 및 제2 클럭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수신계에서의 상기 제1 처리 수단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수신계에서의 상기 제2 처리 수단까지의 처리 시간 간의 시간차 동안에 상기 제1 처리 수단이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으로 하고, 상기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로 할 때,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을 각각 Buf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제1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1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2 처리 단계와,
    상기 제1 처리 단계 및 상기 제2 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되는 제1 클럭 및 제2 클럭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와,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수신계에서의 상기 제1 처리 단계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수신계에서의 상기 제2 처리 단계까지의 처리 시간 간의 시간차 동안에 상기 제1 처리 단계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으로 하고,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로 할 때, 상기 제1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을 각각 Buf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8.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제1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1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제2 처리 단계와,
    상기 제1 처리 단계 및 상기 제2 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되는 제1 클럭 및 제2 클럭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와,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3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제4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수신계에서의 상기 제1 처리 단계까지의 처리 시간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수신계에서의 상기 제2 처리 단계까지의 처리 시간 간의 시간차 동안에 상기 제1 처리 단계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량을 Buf1으로 하고,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의 평균값을 Buf2로 할 때, 상기 제1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기준값과 상기 제2 기준값을 각각 Buf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20037007164A 2000-11-29 2001-11-28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96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2562 2000-11-29
JP2000362562A JP2002165148A (ja) 2000-11-29 2000-11-29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PCT/JP2001/010367 WO2002045415A1 (fr) 2000-11-29 2001-11-28 Processeur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326A KR20030055326A (ko) 2003-07-02
KR100796406B1 true KR100796406B1 (ko) 2008-01-21

Family

ID=1883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07164A KR100796406B1 (ko) 2000-11-29 2001-11-28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389318B2 (ko)
EP (1) EP1359748A4 (ko)
JP (1) JP2002165148A (ko)
KR (1) KR100796406B1 (ko)
CN (1) CN1305301C (ko)
CA (1) CA2430161C (ko)
WO (1) WO2002045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46B1 (ko) 2010-09-06 2011-03-02 (주)아이엠피 멀티미디어 ip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48A (ja) * 2000-11-29 2002-06-07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824380B1 (ko) * 2002-08-08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메뉴안내 표시방법
JP3825007B2 (ja) 2003-03-11 2006-09-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ジッタバッファの制御方法
US7496728B2 (en) * 2003-03-28 2009-02-24 Grass Valley (U.S.) Inc. Asynchronous jitter reduction technique
WO2004088944A1 (ja) * 2003-03-31 2004-10-14 Fujitsu Limited データ伝送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伝送速度変換方法
JP3720347B2 (ja) * 2003-04-17 200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センタ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セン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405719B2 (en) * 2003-05-01 2008-07-29 Genesis Microchip Inc. Using packet transfer for driving LCD panel driver electronics
EP1679895A1 (en) * 2003-10-16 2006-07-12 NEC Corporation Medium signal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device
US7366462B2 (en) * 2003-10-24 2008-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ly switching reception between multimedia str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23643B2 (en) * 2003-11-19 2013-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assignment of communication buffers by aggregating system profiles
JP4452136B2 (ja) 2004-03-30 2010-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同期再生装置及び端末装置
JP2005328186A (ja) * 2004-05-12 2005-11-24 Sony Corp 受信装置、そ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79349B2 (ja) * 2004-05-27 2010-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ーダ装置
JP3881992B2 (ja) * 2004-07-30 2007-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893392B2 (ja) * 2004-07-30 2007-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処理装置、受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561240B2 (ja) * 2004-08-26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006101119A (ja) * 2004-09-29 2006-04-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4665505B2 (ja) * 2004-12-15 2011-04-06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チューナ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6186580A (ja) * 2004-12-27 2006-07-13 Toshiba Corp 再生装置およびデコード制御方法
US7944341B2 (en) * 2005-04-18 2011-05-17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using DC power bus and auto power control method
KR100770879B1 (ko) * 2005-05-2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데이터 처리 방법
WO2007004611A1 (ja) * 2005-07-06 2007-01-11 Sharp Kabushiki Kaisha 出力回路、制御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制御方法
JP2007150855A (ja) 2005-11-29 2007-06-14 Toshiba Corp 受信システム
JP2007235217A (ja) * 2006-02-27 2007-09-13 Fujitsu Access Ltd 同期/非同期変換装置およびクロック制御方法
JP5006632B2 (ja) * 2006-03-29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893363B2 (ja) * 2007-02-23 2012-03-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再生装置
JP2008287558A (ja) * 2007-05-18 2008-11-27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8279935B2 (en) * 2007-09-27 2012-10-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quality control in video data
US8194756B2 (en) * 2008-05-28 2012-06-05 Broadcom Corporation Using program clock references to assist in transport of video stream to wireless device
US8813161B2 (en) * 2008-11-25 2014-08-19 Zte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data of handset TV
JP5440839B2 (ja) * 2009-06-10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770385B (zh) * 2010-02-04 2013-05-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Linux系统的设备及其应用启动的方法
CN102469288A (zh) * 2010-11-08 2012-05-23 均昂科技股份有限公司 延伸器及其控制方法
JP2012129677A (ja) * 2010-12-14 2012-07-05 Sony Corp 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134848A (ja) * 2010-12-22 2012-07-12 Sony Corp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US9491505B2 (en) 2012-02-28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Frame capture and buffering at source device in wireless display system
RU2015111194A (ru) * 2012-08-28 2016-10-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сылки звук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JP6171496B2 (ja) * 2013-03-29 2017-08-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52615B2 (ja) * 2016-03-25 2017-12-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クロック再生装置、ストリーム処理装置、クロック再生方法およびクロック再生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24A (en) 1896-08-18 Awning-bracket
JP2787599B2 (ja) * 1989-11-06 1998-08-20 富士通株式会社 画像信号符号化制御方式
JP2926900B2 (ja) * 1990-06-01 1999-07-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CA2054880C (en) * 1990-11-09 1997-07-08 Shigemi Maeda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6506555A (ja) * 1991-02-04 1994-07-21 ドルビー・ラボラトリーズ・ライセンシング・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ーバーサンプリングによる情報復元のための記憶媒体、装置、及び方法
JPH0877691A (ja) 1994-05-26 1996-03-22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信号処理回路
JP3622235B2 (ja) * 1994-08-26 2005-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多重化データの復号装置
US5543853A (en) * 1995-01-19 1996-08-06 At&T Corp. Encoder/decoder buffer control for variable bit-rate channel
JP3301263B2 (ja) * 1995-03-29 2002-07-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復号装置
US5966387A (en) * 1995-09-25 1999-10-12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jitter in data packets
JP3052824B2 (ja) * 1996-02-19 2000-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時刻調整回路
GB9606084D0 (en) * 1996-03-22 1996-05-22 D2B Systems Co Ltd Data frame buffering
JPH09270779A (ja) 1996-04-01 1997-10-14 Fuji Electric Co Ltd データ同期方式
DE69735415T2 (de) * 1996-05-07 2006-09-28 Yamaha Corp., Hamamatsu Verfahren und System zur Übertragung von Audiodaten mit Zeitstempel
US5793436A (en) * 1996-06-17 1998-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ffer occupancy control method for use in video buffering verifier
US6188700B1 (en) * 1996-11-07 2001-02-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MPEG signals using variable rate encoding and dynamically varying transmission buffers
JPH11112982A (ja) * 1997-10-08 1999-04-23 Fujitsu Ltd Mpegデータ受信装置
US6289129B1 (en) * 1998-06-19 2001-09-11 Motorola, Inc. Video rate buffer for use with push dataflow
US6169747B1 (en) * 1998-07-08 2001-01-02 Ess Technology, Inc. Variable code frame length for multistream applications
JP3507708B2 (ja) * 1998-08-18 2004-03-15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Atmボタン電話機の音声制御方式
JP2000224129A (ja) * 1999-02-03 2000-08-11 Hitachi Denshi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3536792B2 (ja) * 2000-02-28 2004-06-14 ヤマハ株式会社 同期制御装置および同期制御方法
US7031306B2 (en) * 2000-04-07 2006-04-18 Artel Video Systems, Inc. Transmitting MPEG data packets received from a non-constant delay network
JP2002165148A (ja) * 2000-11-29 2002-06-07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574274B2 (en) * 2004-04-14 2009-08-11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udio processing modu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46B1 (ko) 2010-09-06 2011-03-02 (주)아이엠피 멀티미디어 ip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31035A (zh) 2005-06-22
JP2002165148A (ja) 2002-06-07
KR20030055326A (ko) 2003-07-02
CN1305301C (zh) 2007-03-14
US7933949B2 (en) 2011-04-26
EP1359748A4 (en) 2005-06-01
US20080259213A1 (en) 2008-10-23
CA2430161C (en) 2007-05-01
WO2002045415A1 (fr) 2002-06-06
EP1359748A1 (en) 2003-11-05
CA2430161A1 (en) 2002-06-06
US7389318B2 (en) 2008-06-17
US20040068482A1 (en)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406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7098978A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送信方法
JP2002135777A (ja) 動画像復号再生モジュールと再生時刻管理プログラムとマルチメディア情報受信装置
US201301289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s
GB2397711A (en) Broadcasting receiver
CA2100475C (en) Adaptive leak hdtv encoder
JP351210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アンテナの方向設定方法
JP3634823B2 (ja) 放送受信装置
JP3702239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1257664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におけるクロック周波数同期制御回路
JP4856778B2 (ja) 送信機、受信機、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100243168B1 (ko) 다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오디오/비디오동기화 회로 및 그 방법
KR101075969B1 (ko) 비디오 시퀀스 내에서 에러 전달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06675A (ko) 화상회의 장치 및 화상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9990056474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메모리 관리 방법
KR20010029047A (ko)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서의 지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5060262A1 (ja) 無線映像送信装置、無線映像受信装置及び無線映像送受信システム並びに信号生成装置、信号訂正装置及び信号生成訂正装置
JPH08102894A (ja) デジタル方式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
JP2005167747A (ja) 映像復号化装置
JP2005110165A (ja) 映像復号化装置
KR20060078446A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화 방법
JP2000253331A (ja) 受信装置
EP20760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gital stream
KR19990039706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모뎀통신을 이용한 피시통신장치
KR19990086447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초기 상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