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860B1 -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로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로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860B1
KR100602860B1 KR1020040018956A KR20040018956A KR100602860B1 KR 100602860 B1 KR100602860 B1 KR 100602860B1 KR 1020040018956 A KR1020040018956 A KR 1020040018956A KR 20040018956 A KR20040018956 A KR 20040018956A KR 100602860 B1 KR100602860 B1 KR 10060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data
lin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008A (ko
Inventor
나미주카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4008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23Decimation- or insertion-based scaling, e.g. pixel or line dec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3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3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apparatus by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1Card-type connector, e.g. PCMCIA card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6Using mechanical couplings, e.g. m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실현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 특히 부정 화소 검출, 흑줄무늬 보정, 및 백지 원고 검출이 가능한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PU 버스(103)를 통하여 접속된 프로세스 제어기(104), 작업용 RAM(105), 동작 지시를 저장하는 ROM(106), 화상 데이터 처리나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 제어부(107), 각 구동계나 센서 등의 입출력(I/O)을 감시제어하는 I/O 제어부(108)가 설치된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 재생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또, 이 화상 재생 장치는 병렬 버스(120)를 통하여 제어 보드(130)와 접속됨으로써 디지털 복합기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CPU 버스, 프로세스 제어기, I/O 제어부, 병렬 버스, 화상 재생 장치

Description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영상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조정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복사 기능만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에서 조작부의 제어에 엔진측 프로세스 제어기가 개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한 기능 확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b는 화상 재생 장치의 기본 구성시 및 확장 구성시에 있어 시스템 대기시의 각 유닛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부주사 라인 스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컬러 밀착 센서(CIS)의 라인 순차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라인 메모리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판독 화상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음영 보정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계조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흑줄무늬 검출, 보정 및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백지 원고 검출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흑줄무늬를 수반하는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백지 원고 검출을 위한 순서로서 수행되는 원고 화상의 블록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 내지 도 19b는 자동 원고 공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독 유닛
2 : 센서판 유닛
3 : 화상 데이터 제어부
4 : 화상 처리기
5 : 영상 데이터 제어부
6 : 화상 형성 유닛
10 : 직렬 버스
11, 104 : 프로세스 제어기
12, 32, 105, 1403 : RAM
13, 33, 106 : ROM
14, 108 : 입출력(I/O) 제어부
20, 120 : 병렬 버스
21 :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
22, 102, 133 : 메모리 모듈
23 : 외부 개인용 컴퓨터(PC)
24 : 팩시밀리 제어 유닛
25 : 공중 회선
31, 131 : 시스템 제어기
34 : 조작 패널
101 :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
103 : CPU 버스
107 : 영상 제어부
111 : 조작부
112 : 화상 판독부(SBU)
113 :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LDD)
114 : 주변기
115 : 스캐너 구동 기구
116 : 플로터 구동 기구
130 : 제어 보드
132 : 조정 제어부
201 : 판독 화상 처리부
202 : 버스 제어부
203 :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I/F)부
204 : 데이터 구조 변환부
205 : 기록 화상 처리부
206 : 데이터 변환부
207 : CPU 주변 제어부
208 : 데이터 압축부
209, 304 : 메모리 접근 제어부
210 : 데이터 신장부
211 : 라인 스킵 제어부
212 : 라인 순차 식별 제어부
301 : 시스템 인터페이스(I/F)부
302 : 병렬 버스 제어부
303 : 네트워크 제어부
304a : 주소 복호화부
304b : 기록 허가 제어부
305 : 직렬 포트
306 : 로컬 버스 제어부
307, 309, 311, 314, 315 : DMAC(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부)
308 : 접근 제어부
310 : 직렬 포트 제어부
312 : 압축/신장부
313 : 화상 편집부
1201 : MTF(변조 전송 함수) 보정부
1202 : 화상 판독부 인터페이스(I/F)
1203 : 음영 보정 처리부
1204 : 변배 제어부
1205 : 밀도 변환부
1206 : 계조(階調) 처리부
1207 : 판독 마스크 처리부
1301 : 흑레벨 보정부
1302, 1304, 1310, 1408 : FIFO(선입 선출)
1303 : 음영 보정부
1305 : 피크 검출부
1306 : 백 레벨 보정부
1307 : 바탕 추종부
1308 : 백줄무늬 검출 보정부
1309 : 흑줄무늬 검출 보정부
1311 : 흰색 기준 데이터 생성부
1312 : 스캐너 보정부
1401 : 고정 2치화/변동 2치화 처리부
1402 : 오차 확산/디더부
1404 : RAM 제어부
1405 : 선단 화소 제어부
1406 : 요철 보정부
1407 : 조건부 OR 처리부
1409 : FIFO 제어부
1410 : 백지 검지/선 밀도 판정부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신호를 전사지에 화상으로서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 특히 스캐너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여 전사지에 화상을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 치,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코드 데이터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복사기가 등장하였고, 또한 복사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복사기의 기능에 추가하여 팩시밀리 기능,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등 각 기능을 복합한 디지털 복합기가 보급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2를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디지털 복합기는 복합 기능에서의 메모리의 유효 활용이나 확장 유닛을 포함한 제어 기구의 공유화를 수행하여 자원의 유효 이용을 가능케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도 20은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화상 처리 장치는 판독 유닛(1)과 센서판 유닛(2)과 화상 데이터 제어부(3)와 화상 처리기(4)와 영상 데이터 제어부(5)와 화상 형성 유닛(6)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화상 처리 장치는 직렬 버스(10)를 통하여 프로세스 제어기(11)와 RAM(12)과 ROM(13)과 입출력(I/O) 제어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화상 처리 장치는 병렬 버스(20)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와 메모리 모듈(22)과 팩시밀리 제어 유닛(24)과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에 접속되는 시스템 제어기(31)와 RAM(32)과 ROM(33)과 조작 패널(34)을 구비하고 있다.
판독 유닛(1)은 원고를 광학적으로 읽어내고, 원고에 대하여 램프 조사의 반사광을 거울 및 렌즈에 의해 센서판 유닛(2)에 탑재되어 있는 수광(受光) 소자(예 컨대, CCD) 상에 집광시킨다. 이 수광 소자상에 집광된 빛은 그 수광 소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나아가, 센서판 유닛(2) 내부에서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된 후, 센서판 유닛(2)으로부터 출력된다. 센서판 유닛(2)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3)에 입력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3)는 센서판 유닛(2), 병렬 버스(20), 화상 처리기(4)간의 화상 데이터 전송 및 장치 전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31)와 프로세스 제어기(11) 사이에서 수행되는 신호 교환을 제어한다.
센서판 유닛(2)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3)를 경유하여 화상 처리기(4)로 전송된다. 여기에서는 광학계 및 디지털 신호로의 양자화에 수반되는 신호 열화(스캐너계의 신호 열화)의 보정이 수행된 후, 재차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 전송된다.
도 20에 나타낸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판독 화상을 메모리에 축적하여 재이용하는 작업과 메모리에 축적하지 않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독 화상을 메모리에 축적하는 예로서는, 1매의 원고를 복수매 복사하는 경우, 판독 유닛(1)을 1회만 동작시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모듈(22)에 축적한 후, 축적 데이터를 복수회 읽어내는 사용 방법이 있다.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예로서는, 1매의 원고를 1매만 복사하는 경우 판독 화상을 그대로 재생하면 되기 때문에 메모리에 접근할 필요는 없다.
우선,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화상 처리기(4)로부터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 전송된 데이터는 재차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부터 화상 처리기(4)로 되돌아온다. 화상 처리기(4)에서 CCD에 의한 휘도 데이터를 면적 계조(階調)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품질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품질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기(4)로부터 영상 데이터 제어부(5)로 전송되며, 영상 데이터 제어부(5)는 면적 계조로 변환된 신호에 대하여 도트 배치에 관한 후처리 및 도트를 재현하기 위한 펄스 제어를 수행하여 화상 형성 유닛(6)에서 전사지 위에 재생 화상을 형성한다.
다음에, 메모리에 축적한 후 화상 판독시에 부가적인 처리, 예컨대 화상 방향의 회전, 화상의 합성 등을 수행하는 경우의 화상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한다. 화상 처리기(4)로부터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 전송된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부터 병렬 버스(20)를 경유하여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로 보내어진다.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에서는 시스템 제어기(31)의 제어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와 메모리 모듈(22)에 대한 접근 제어, 외부 컴퓨터 (PC)(23)의 프린트용 데이터의 전개, 메모리 유효 활용을 위한 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을 수행한다.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에 보내어진 화상 데이터는 압축된 후 메모리 모듈(22)에 축적되고, 메모리 모듈(22)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판독된다.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신장되어 본래의 화상 데이터로 복귀되고,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로부터 병렬 버스(20) 경유로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 복귀된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3)로부터 화상 처리기(4)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화상 품질 처리 및 영상 데이터 제어부(5)에서의 펄스 제어가 수행되고, 화상 형성 유닛(6)에서 전사지 위에 재생 화상이 형성된다.
또, 도 20에 나타낸 화상 처리 장치는 판독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기(4)에 의해 화상 처리한 후, 화상 데이터 제어부(3) 및 병렬 버스(20)를 경유하여 팩시밀리 제어 유닛(24)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팩시밀리 제어 유닛(24)에서 통신망으로 보낼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여 공중 회선(25)으로 팩시밀리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한편, 공중 회선(25)으로부터의 회선 데이터는 팩시밀리 제어 유닛(24)에서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병렬 버스(20) 및 화상 데이터 제어부(3)를 경유하여 화상 처리기(4)로 전송된다. 이 경우, 특별한 화상 품질 처리는 실행하지 않고, 영상 데이터 제어부(5)에서 도트 재배치 및 펄스 제어를 실행한 후, 화상 형성 유닛(6)에서 전사지 위에 재생 화상을 형성한다.
복수 작업, 예컨대 복사 기능, 팩시밀리 송수신 기능, 프린터 출력 기능이 병행으로 동작하는 상황에서는 시스템 제어기(31) 및 프로세스 제어기(11)가 작업에 대한 판독 유닛(1), 화상 형성 유닛(6) 및 병렬 버스(20)의 사용권 할당을 제어한다. 프로세스 제어기(11)는 화상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시스템 제어기(31)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각 자원의 기동을 관리한다. 디지털 복합기의 기능은 조작 패널(34)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복사 기능, 팩시밀리 기능 등의 처리 내용을 설정한다. 시스템 제어기(31)와 프로세스 제어기(11)는 병렬 버스(20), 화상 데이터 제어부(3) 및 직렬 버스(1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또, 화상 데이터 제어부(3)내에서 병렬 버스(20)와 직렬 버스(1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포맷 변환이 수행된다.
또, 화상 재생 장치의 기계적 구동, 각종 센서의 입출력 제어는 I/O 제어부(14)의 포트에 의해 검출 제어된다. 신호 검출 및 구동은 프로세스 제어기(11)가 제어하고,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센서의 출력을 감시한다.
1매만 복사할 때에는, 화상 메모리 접근 제어부(21)를 경유한 메모리 모듈(22)로의 화상 축적은 표면상 필요로 하지 않지만, 화상 형성계에서 전사지가 걸렸을 경우에 화상 데이터를 백업할 수 없고, 또 원고의 방향과 전사지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회전 복사 기능은 수행할 수 없다. 즉, 메모리 모듈(22)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기능의 제약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 기계 보수를 위하여 동작 이력을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이 경우, 고장 이력, 종이 걸림 이력, 동작 상황 등을 RAM(32) 및 ROM(33)에 저장하여 두고, 메모리 모듈(22)상에 폰트 데이터로 전개하여 용지면에 출력한다. 서비스 담당자는 이 정보에 의해 기계 보수를 확실하게 수행하게 되는데, 메모리 모듈(22)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이 서비스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없어 보수 조건에 제약을 주게 된다.
또, 아래의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디지털 복합기는 팩스나 복사 등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앞뒤를 잘못 스캔한 경우에는 경고를 발사함으로써 백지를 팩스 송신하는 일이 없도록 이용자에게 지시를 줄 수 있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특허 공개 2000-316063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허 공개 2002-11666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복합기 확장시의 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복사 기능만이 필요한 경우에도 불필요한 구성 부품을 부가하여야 할 필요가 있어 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 불필요한 구성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도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자동 원고 공급 장치로부터 판독된 백지 원고에 있어서, 자동 원고 공급 장치 특유의 종이 분말 등 쓰레기로 인한 부정 화소에 의해 흑 줄무늬가 발생한 경우, 이들을 백지가 아니라 의미 있는 화상이라고 판단하여 흑 줄무늬 화상을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구비하는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실현하고, 옵션 유닛을 추가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 특히 부정 화소 검출, 흑 줄무늬 보정, 및 백지 원고 검출이 가능한 화상 재생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복사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확장 기능을 이용할 때에, 복수개의 옵션 유닛을 추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판이 접속 가능하고, 이 제어판을 이용한 확장 기능 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조작 형태 및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제어 수단과,상기 기본 기능을 이용한 재생 화상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통한 재상 화상의 품질을 동등하게 유지하는 재생 화상 품질 유지 수단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동작할 때에 상기 기본 기능의 동작시와 동등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자원을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할 때에도 유용(流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 유용 수단과,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소유하는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가 공통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입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실현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상 입력 수단이 교환되거나 하여도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가 공통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1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키는 라인 스킵 제어 수단과, 상기 라인 스킵을 수행할 때에 초래되는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화소 결락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해상도를 간단한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고, 화소 결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1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장 제어 수단 사이에서 컬러 화상 데이터 및 흑백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공통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구조 변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확장 제어 수단에 대하여 컬러 또는 흑백의 화상 데이터를 공통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2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인 스킵 제어 수단은 판독 라인을 규정하는 제어 신호를 복수 라인으로 분할하고, 단일 기능 모듈에 대하여 각 기능을 분할하여 밀도 변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4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해상도 변환을 위하여 라인 스킵 제어를 효율 높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5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1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은 밀착 센서 또는 전하 축적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5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컬러 화상과 흑백 화상에서 화상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상이한 것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6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5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밀착 센서일 때의 컬러 화상 입력시에, 전송처리중의 화상 데이터가 어떤 색인지를 파악하고, 데이터의 판독 라인을 각 색마다 정리하여 제어하는 라인 순차 식별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6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입력시에 컬러 화상 입력이어도 흑백 화상 입력이어도 판독 라인의 제어를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7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2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인 스킵 제어 수단 및 상기 화소 결락 보정 수단은 컬러 화상 데이터와 흑백 화상 데이터 각각에 적합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7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한 개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기구로 컬러 화상, 흑백 화상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8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복사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한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확장 기능을 이용할 때에 복수의 옵션 유닛을 추가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제어 보드가 접속 가능하고, 이 제어 보드를 이용한 확장 기능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조작 형태 및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사용 가능토록 하는 확장 제어 수단과, 상기 기본 기능에 의한 재생 화상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통한 재생 화상의 품질을 동등하게 유지하는 재생 화상 품질 유지 수단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이용한 동작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동작시와 동등의 조작을 가능토록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자원을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에도 유용 가능케 하는 자원 유용 수단과, 상기 해상도 변환을 수행하는 라인 스킵 제어 수단과, 상기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의 보정을 수행하는 화소 결락 보정 수단과, 자동 원고 공급 장치 장착시에 생기는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부정 화소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 검출 수단과, 상기 줄무늬 화상을 보정하는 줄무늬 화상 보정 수단과,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을 경고하는 부정 화소 발생 경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8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구성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정 화소 검출, 흑 줄무늬 보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제9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기록 수단과,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백지 원고 검출 수단과, 상기 이력 기록 수단에 의한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과,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판독한 원고가 백지임을 판단하여 경고하는 백지 경고 수단과, 상기 백지 경고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원고 판독 작업의 출력을 제어하는 판독 작업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9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구성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백지 원고를 검출하여 경고를 표시함과 동시에, 판독 작업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0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8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은 상기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배경판을 판독하여 부정 화소의 크기 및 그 총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0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자동 원고 공급 장치를 이용한 화상 판독 시에, 부정 화소의 크기나 그 총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1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8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은 검출한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을 관리하고, 이 이력을 부정 화소 발생 정보로서 검출 결과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1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부정 화소 발생 상황의 이력 관리 및 그 이력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2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9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읽어낸 원고 1 페이지 분의 화상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며, 상기 블록의 전체 영역에서의 검출 결과를 집계함으로써 백지 원고의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2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정밀도 높게 백지 원고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3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는 제9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읽어낸 원고 1 페이지 분의 화상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며, 이 검출 결과의 전체 블록 집계분으로부터 예상되는 줄무늬 화상을 산출하고,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연속하는 부정 화소를 상쇄함으로써 본래의 원고 상태를 추정하여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3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정확하게 백지 원고인지 줄무니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14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상기 원고 판독 작업내의 백지 상황을 원고의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고, 이것을 백지 원고 검출 정보로서 검출 결과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4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백지 원고가 검출된 경우의 정보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5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11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기록 수단은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5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6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9 양태에 기재한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6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부정 화소 및 백지 원고의 검출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7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9 양태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용지면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7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용지면에 인쇄하여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제18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9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접속되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8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원격지의 외부 장치로부터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9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은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이 화상 입력 수단이 구비하는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가 공통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입출력 제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9 양태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입력 수단이 교환되거나 하여도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0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제19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해상도 변환을 수행하는 라인 스킵 제어 공정과 상기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화소 결락 보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0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간단한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고, 화소 결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1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은 제19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가 컬러의 경우와 흑백의 경우에 화상 데이터 출력을 공통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 변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1 양태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판독한 화상 데이터가 컬러 또는 흑백이어도 공통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2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은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이 화상 판독 공정에서 판독된 화상에 대하여 부정 화소 검출을 수행하는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이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부정 화소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부정 최대 화소폭 검출 공정과 상기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부정 화소의 수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수 검출 공정과 상기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부정 화소의 원고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 위치 검출 공정과 상기 부정 최대 화소폭 검출 공정, 상기 부정 화소수 검출 공정 및 상기 부정 화소 위치 검출 공정에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원고 의 줄무늬 화상 발생을 예측하는 줄무늬 화상 발생 예측 공정과 이 줄무늬 화상 발생 예측 공정에서의 예측 결과로부터 원고상의 줄무늬 화상의 보정을 수행하는 줄무늬 화상 보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2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흑 줄무늬 화상의 검출 및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3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은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화상을 소정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공정과 이 블록 분할 공정에서 분할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는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이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의 각 블록마다의 검출 결과를 집계하고, 이 집계 결과로부터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백지 원고 검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3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정밀도 높은 백지 원고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4 양태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은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화상을 소정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공정과 상기 블록 분할 공정에서 분할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는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이 블록내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으로부터 예상되는 줄무늬 화상을 산출하고,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연속 부정 화소를 상쇄함으로써 본래의 원고 상태를 추정하여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를 판별하는 백지 원고 판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4 양태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이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25 양태에 따른 프로그램은 제19∼24양태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5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제19∼24양태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효율적인 화상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는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를 나타내고, 도 1b는 복사 기능만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화상 재생 장치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에 화상 축적용의 메모리 모듈(102)을 탑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화상 회전, 전자 소트, 이력 출력과 같은 디지털 복사기에 필요한 기본 필수 기능에 제약을 주는 일 없이 동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의 메모리 모듈(102)은 DIMM(dual-in-line memory)로 구성되는데, 불필요한 경우에는 떼어내 제어 보드(130)상의 메모리 모듈(133)로 사용할 수 있다. 메뉴얼 설정이긴 하지만,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우선, 도 1b에 나타낸 복사 기능만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유닛 구성이면, 기본적인 복사 기능은 제공할 수 있지만, 팩스나 프린터, 네트 접속과 같은 디지털 복합기가 구비하는 기능은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기능 확장을 위한 인터페이스(I/F) 단자가 구성 요소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디지털 복합기로 확장할 수 있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에는 로컬 CPU 버스(103)가 설치되어 있고, 이 CPU 버스(103)를 통하여 프로세스 제어기(104), 작업용 RAM(105), 동작 지시를 저장하는 ROM(106), 화상 데이터 처리나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 제어부(107), 각 구동계나 센서 등의 입출력을 감시제어하는 입출력(I/O) 제어부(10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제어기(104)의 제어하에 전체 유닛이 배치된다. 영상 제어부(107)에는 화상 축적용 메모리 모듈(102)이 접속된다.
화상 축적용의 메모리 모듈(102)로의 접근 제어 기능은 영상 제어부(107)에 의해 유지된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에 접속되는 기본 유닛은 조작부(111), 화상 판독부(112),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 용지 공급계/용지 배출계의 주변기(114), 스캐너 구동 기구(115), 플로터 구동 기구(116)이다.
화상 판독부(112)는 센서의 구성 차이에 따라 CCD에 의한 판독 기구와 컬러 밀착 센서(CIS)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저비용의 컬러 스캐너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컬러 밀착 센서(CIS)를 이용한다. 이 경우의 확장 기능은 스캐너 응용만이 된다. 컬러 밀착 센서(CIS)의 경우에는, 원고 1 라인을 녹색(Green), 청색(Blue), 적색(Red)의 3색으로 분해하여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는 라인의 순차적인 흐름으로 된다.
조작부(111)는 영상 제어부(107) 중의 CPU 주변 제어부(후술)의 직렬 포트 경유로 프로세스 제어기(104)와 접속된다. 영상 제어부(107)는 기본 동작 내용을 조작부(111)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조작부(111)로부터의 조작 명령을 프로세스 제어기(104)로 출력한다. 프로세스 제어기(104)는 입력된 지시에 따라 I/O 제어부(108)를 경유하여 각 기능 유닛에 대하여 감시/제어를 실행한다.
복사 동작의 경우, 프로세스 제어기(104)는 스캐너 구동 기구(115)를 동작시켜 화상 판독부(112)에 의해 원고를 광학적으로 읽어내고, 디지털화된 화상 신호를 영상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영상 제어부(107)내의 판독 화상 처리부(후술)에서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메모리 모듈(102)에 화상 데이터를 축적한다. 복수매의 복사이든지 1매의 복사이든지 용지 걸림(jam)시에 대응하기 위한 백업을 위하여 반드시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 모듈(102)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영상 제어부(107)내의 기록 화상 처리 기능에 의해 보정(smoothing) 처리나 펄스폭 변조(PWM) 처리된 후,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로 전송되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발광시키는 동시에 플로터 구동 기구(116)를 동작시켜 화상을 형성한다. 이 화상이 용지에 전사되어 복사가 이루어지는데, 용지의 공급, 배출, 스태플 등 후처리는 주변기(114)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에는 기본 기능에서는 필요로 하지 않는 병렬 버스(120) 단자를 탑재하고 있다. 병렬 버스(120) 단자에는 복사 기능(기본 기능)만을 실현하는 경우에 아무것도 접속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a에 나타낸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의 병렬 버스(120)에 마더 보 드 기구로서의 제어 보드(130)를 접속한다. 제어 보드(130)에는 화상 재생 장치 전체를 감시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131)와, 각 응용 기능이 공유하는 자원을 사용할 때에 사용 권한을 조정하는 조정 제어부(132)와, 화상 축적용의 메모리 모듈(133)과, 복수의 옵션 유닛(응용 141∼145)을 접속하는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각 옵션 유닛은 접속 순서에 관계없이 각각 독립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 조작부(111)는 복사 기능만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경우와는 달리 복수의 응용이 사용하는 자원 대상이 되므로, 조정 제어부(132)를 경유하여 시스템 제어기(131)가 감시제어한다.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지배하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에 제어 보드(130)를 부가하고, 제어 보드(130)에 복수의 응용을 증설함으로써 디지털 복합기가 실현된다.이 디지털 복합기의 복합 기능은 시스템 제어기(131)에 의해 제어된다.
디지털 복합기에 있어서의 엔진계의 동작은 도 1b에 나타낸 장치와 기본적으로 같지만, 시스템 제어기(131)와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병렬 버스(120)를 통하여 교신하면서 자원 배분을 수행한다. 또, 디지털 복합기로서 구성하는 경우,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의 메모리 모듈(102)을 분리하여 제어 보드(130)상에 메모리 모듈(133)을 설치한다.
예컨대, 응용으로서 팩스 기능, 프린터 기능, 네트 파일 기능, 스캐너 기능, 로컬 저장 기능(화상 축적 기능),문서 축적 기능, 문서 전송 기능 등이 접속된다. 복사 기능도 복수의 응용 중의 한 기능으로 정해지게 된다.
조정 제어부(132)는 네트워크 제어,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 제어를 조정하고 자원을 각 응용 기능에 배분한다. 복합 기능이 동시에 동작할 때에도 시스템 제어기(131)와 프로세스 제어기(104)는 엔진 자원(기본 기능)의 점유권을 스캐너 자원(판독 기능), 플로터 자원(인쇄 기능)에 분할하여 매핑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기(131)가 추가된 확장 기능을 관리하고 디지털 복합기를 구성했을 때의 복수 기능의 부하를 분산시킨다.
도 2는 영상 제어부(10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상 판독부(11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에서 보정 처리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음영 보정,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변조 전달 함수) 보정, 농도 변환, 계조 처리, 배율 변환 처리 등 처리가 수행된다. 고속의 하드웨어도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도 기능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서는 동등하다.
버스 제어부(202)에서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데,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203)로의 입출력 제어, 데이터 변환부(206)로의 버스 전환, 기록 화상 처리부(205)로의 버스 선택 등을 프로세스 제어기(104)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선택한다. 기록 화상 처리부(205)에서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로부터 버스 제어부(202)를 경유하여 입력된 신호를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키고, 나아가 화상 품질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톱니 보정, 밀도 변환, PWM 변조, 화상의 미조정 처리 등을 수행한다. 각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는 기록 화상 처리부(205)로부터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로 전송되고,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는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동시에 플로터 구동 기구(116)를 동작시켜 화상을 형성한다.
데이터 변환부(206)는 화상 데이터와 명령 데이터를 분리하는데, 명령 데이터는 CPU 주변 제어부(207)를 통하여 CPU인 프로세스 제어기(104)로 전송된다. 또한, 디지털 복합기로의 확장시에는, 명령 교환이 프로세스 제어기(102)와 시스템 제어기(131) 사이에서 수행된다.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모듈(102)에 축적되기 위하여, 데이터 압축부(208)에 의해 부호화되고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로부터 메모리 모듈(102)에 저장된다. 메모리 모듈(10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는 마찬가지로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에서 메모리 모듈(102)의 소정 번지의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신장부(210)에서 화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화상을 회전시킬 때에는 한 번 복호화된 화상을 부호화하지 않고 재차 메모리 모듈(102)의 작업 영역에 일시 저장시킨 후, 판독 주소를 변경하여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또, 판독 화상 처리부(201)에서는 팩스, 스캐너 응용 등에서 화소 밀도를 변환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주주사 방향은 배율 변환 처리로 대응하지만, 부주사 방향은 라인 스킵 제어부(211)에 의해 소망의 "선" 밀도로 되도록 라인수를 변환시킨다. 예컨대, 화상 판독부(112)의 원고의 판독 밀도가 600 dpi이고 팩스가 200 dpi인 경우에는, 팩스의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200 dpi의 데이터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즉, 1/3의 라인 스킵을 수행하는 등 섬세한 스킵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또, 컬러 밀착 센서(CIS)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 처리중의 데이터가 무슨 색 인지를 라인 순차 식별 제어부(212)에 의해 식별하고, 제어 보드(130)의 메모리 모듈(133)에 대하여 라인 순차적 판독 데이터를 G, B, R의 각 플레인(plain)단위로 축적시킨다. 메모리 모듈(133)로부터 스캐너 응용 및 다른 컬러 프린터로는 각 색 플레인 단위로 처리하여 전송한다. 이 때문에, 버스 제어부(202)로부터 병렬 버스(120)로 보내기 전에, 데이터 구조 변환부(204)에서 데이터 구조의 변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색의 라인 데이터의 선두에 제어 보드(130)에 의해 관리되는 메모리 모듈(133)에서의 저장처 주소를 첨부하여 데이터를 송출한다.
도 3은 제어 보드(130)내에 구비된 조정 제어부(13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스템 인터페이스(301)는 시스템 제어기(131)와의 사이에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는 시스템 제어기(131)가 장치 전체를 제어하고, 메모리 모듈(133)의 자원 배분도 관리한다. 다른 유닛에 대한 제어는 시스템 인터페이스(301), 접근 제어부(308), DMAC(직접 기억 접근 제어기)(307), 병렬 버스 제어부(302) 및 병렬 버스(120)를 통하여 수행된다.
화상 재생 장치를 구성하는 각 유닛은 기본적으로 병렬 버스(120)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병렬 버스 제어부(302)는 버스 사용권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기(131)와, 메모리 모듈(133)로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한다.
네트워크 제어부(303)는 LAN(근거리 통신망)과의 접속을 제어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외부 확장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한다. 네트워크상의 접속 기기에 대하여 시스템 제어기(131)는 동작 관리 등에 관여하지 않지만,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측의 인터페이스에 관해서는 시스템 제어기(131)가 제어를 수행한다. 직렬 버스와 접속할 때에는 직렬 포트 제어부(310)가 직렬 포트(305)를 제어하여 접속시킨다. 직렬 포트(305)에는 버스의 종류만큼 포트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예컨대, USB, IEEE1284에 대한 포트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외부의 직렬 포트와는 별도로 조작부(111)로부터의 명령 접수, 조작부(111)의 표시부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로컬 버스 제어부(306)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로컬 직렬 버스와 접속되는데, 로컬 직렬 버스에는 시스템 제어기(131)를 기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RAM, ROM 및 프린터 코드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전개하는 폰트 ROM(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133)과는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에는 주소 복호화부(304a)와 기록 허가(enable) 제어부(304b)가 포함된다. 영상 제어부(107)측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 모듈(133)에 기록하는 경우, 기록처의 주소를 산출하여 기록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신호와 기록 데이터에 의해 메모리 모듈(133)에 저장된다. 판독시에는, 저장 번지를 관리하여 사용 가능토록 제어한다.
컬러 밀착 센서(CIS)의 경우에는, 영상 제어부(107)측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각 색, 각 라인마다 메모리 모듈(133)내의 저장처를 헤더 정보로서 첨부한다. 이 헤더 정보를 복호화하여 메모리 모듈(133)내의 기록 허가 제어를 수행하고, 라인 순차의 판독 데이터나 각 색 플레인 단위의 화상 구성을 메모리 모듈(133)상에 축적한다.
이 조정 제어부(203)의 동작 제어는 시스템 인터페이스(301)를 통하여 입력된 시스템 제어기(131)에 의한 명령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데이터 제어에 관해서는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외부 유닛으로부터의 메모리 접근을 관리한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병렬 버스(120)를 통하여 병렬 버스 제어부(302)로 전송되어 조정 제어부(132)내로 수신되고,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부(DMAC)(307)에 의해 시스템 제어기(131)의 관리를 떠나서 독립적으로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접근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접근을 수행할 때에는 접근 제어부(308)에서 복수의 유닛으로부터의 접근 요구를 조정하고,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에 의해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 동작,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제어한다.
네트워크(LAN)로부터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접근에 관해서도 네트워크 제어부(303)에 의해 조정 제어부(132)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DMAC(309)에 의해 메모리 모듈(133)로 접근된다. 이 때, 복수 작업에서의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을 접근 제어부(308)에 의해 조정하고,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에서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수행한다. 직렬 버스로부터의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접근에 관해서도 직렬 포트 제어부(310)에 의해 직렬 포트(305)로부터 조정 제어부(132)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DMAC(311)을 통하여 메모리 모듈(133)로 접근된다. 이 때, 복수 작업에 따른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은 우선 접근 제어부(308)에 의해 조정되고,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에서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수행한다. 네트워크(LAN) 또는 직렬 버스를 통하여 PC(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프린트 출력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31)에 의해 로컬 직렬 버스에 연결된 폰트 ROM을 통하여 메모리 모듈(133)내의 메모리 영역으로 전개된다.
각 외부 유닛과 인터페이스간의 접속은 시스템 제어기(131)가 관리하고,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접근은 각각의 DMAC(309,307,311)가 관리한다. 이 경우, 접근 제어부(308)는 각 DMAC(309,307,311)에 의한 독립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에 관한 작업의 충돌, 각 접근 요구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에는 각 DMAC(309,307,311) 외에, 축적 데이터의 비트 맵 전개를 위하여 수행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301)를 통한 시스템 제어기(131)로부터의 접근도 포함된다. 접근 제어부(308)에 의해 메모리 모듈(133)로의 접근이 허가된 DMAC(309,307,311)로부터의 전송 데이터 또는 시스템 인터페이스(30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를 통하여 메모리 모듈(133)에 대하여 직접 접근된다.
조정 제어부(132)내에서의 데이터 가공은 압축/신장부(312)와 화상 편집부(313)에 의해 수행된다. 압축/신장부(312)는 화상 데이터 또는 코드 데이터를 메모리 모듈(133)에 유효하게 축적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압축 및 신장을 수행하는 모듈이며, 메모리 모듈(133)과의 인터페이스는 DMAC(314)에 의해 제어된다. 일단 메모리 모듈(133)에 저장된 화상을 DMAC(314)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 모듈(133)로부터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 접근 제어부(308)를 통하여 압축/신장부(312)에 호출하고, 화상 데이터를 코드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에 메모리 모듈(133)에 되돌리거나, 또는 외부에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화상 편집부(313)는 DMAC(315)를 통하여 메모리 모듈(133)을 제어하고, 메모리 모듈(133) 영역내에서의 데이터 가공을 수행한다. 예컨대, 메모리 영역의 소거, 화상 데이터의 회전 처리, 상이한 화상끼리의 합성 등을 수행한다. 화상 편집부(313)는 메모리 모듈(133)상의 주소 제어에 의해 처리 대상의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편집을 수행하고, 메모리 모듈(133)상에 전개된 비트 맵 화상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편집부(313)는 압축 후의 코드 데이터나 프린터 코드 데이터는 편집할 수 없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메모리 모듈(133)에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화상 편집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압축을 실시한다.
다음에, 복사 기능만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복사 기능만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중, ①은 원고 판독으로부터 메모리 모듈(102)로의 축적까지의 경로이고, ②는 메모리 모듈(102)에 대한 데이터 판독으로부터 화상 출력의 제어까지의 경로이며, ③은 조작부(111)의 입출력 제어를 나타낸 경로이다.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는 옵션 구성이 없기 때문에,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에 제어 보드(130)는 접속되지 않고, 따라서 병렬 버스(1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은 수행되지 않는다. 화상 데이터 축적용의 메모리도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의 메모리 모듈(102)을 사용한다.
우선, ①판독계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판독부(112)에서 광학적으로 판독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에서 화상 처리된다. 판독 화상 처리부(201)에서 처리된 후의 화상 데이터는 버스 제어부(202)를 통하여 데이터 변환부(206)로 전송된다. 데이터 변환부(206)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압축부(208)로의 경로를 선택한다. 데이터 압축부(208)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긴 데이터를 압축한 후,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를 통하여 메모리 모듈(102)의 소정 저장 번지에 축적한다. 메모리 모듈(102)은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며, 용도에 따라 메모리 용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는 최대 탑재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②화상 출력계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모듈(102)내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에 의해 주소 검색하여 판독한다. 판독된 코드 데이터는 데이터 신장부(210)에셔 복호화되어 화상 데이터로 복귀된다. 그 후, 데이터 변환부(206)는 화상 데이터를 버스 제어부(202)로 전송한다. 버스 제어부(202)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여 화상 처리하기 위하여 기록 화상 처리부(205)로 전송한다. 기록 화상 처리부(205)에서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로부터 버스 제어부(202)를 경유하여 입력된 신호를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키고, 나아가 화상 품질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플로터 구동 기구(116)를 회전시키면서 화상을 형성한다. 이 화상은 용지에 전사되어 복사를 생성하지만, 용지의 공급, 용지의 배출, 스태플 등의 후처리는 주변기(114)에서 수행한다. 이 화상 재생 장치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한 잠상 형성 및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예로 들었지만, 다른 예로서 전기 신호를 잉크젯 분사를 위하여 이용하고 잉크젯 프로세스로 화상을 재생하는 방식에도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다.
다음에, ③조작부(111)의 입출력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111) 표시부로의 표시, 조작부(111)로부터의 입력 접수는 CPU 주변 제어부(207)를 통하여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수행한다. 복사 기능에 관한 기능 및 보수 항목을 표시하고, 입력을 접수만 하면 되므로, 프로세스 제어기(104)는 옵션 확장에 관한 조작 항목을 관리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조작부(111)의 구성도 기본 기능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예컨대, 메뉴 표시도 적기 때문에 표시부는 작아도 좋고, 팩스용의 수신인 설정 버튼 등도 마련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과 제어 보드(130)가 병렬 버스(120)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어 보드(130)를 확장용 마더 보드로 하여 각 응용 기능이 접속된다. 이 화상 재생 장치의 전체 시스템은 제어 보드(130)상의 시스템 제어기(131)가 제어하고, 프로세스 제어기(104)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만을 제어한다.
조작부(111)는 복사 응용도 포함하여 모든 기능에서 이용된다. 시스템 제어기(131)는 조작부 표시부의 레이아웃 및 명령 접수 처리를 관리한다. 화상 저장용의 메모리 모듈은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에는 마련되지 않고, 공유 자원으로서 제어 보드(130)위에 메모리 모듈(133)로서 마련된다.
도면중, ①은 화상의 판독으로부터 메모리 모듈(133)로의 화상 데이터 축적까지의 경로이고, ②는 메모리 모듈(13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판독으로부터 화상 출력 제어까지의 경로이며, ③은 조작부(111)의 제어를 나타낸 경로이다.
우선, ①화상 판독계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판독부(112)에서 광학적으로 판독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에서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판독 화상 처리부(201)에서 처리된 후의 화상 데이터는 버스 제어부(202)로부터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I/F)(203)를 통하여 병렬 버스(120)로 전송된다. 병렬 버스(120)로부터 제어 보드(130)측의 메모리 모듈(133)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조정 제어부(132)를 경유한다. 이 데이터는 조정 제어부(132)내의 병렬 버스 제어부(302), 접근 제어부(308), 압축/신장부(312), 메모리 접근 제어부 (304)의 각 모듈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 모듈(133)에 코드 데이터로서 축적된다.
다음에, ②화상 출력계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정 제어부(132)내의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는 제어 보드(130)상의 메모리 모듈(133)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된 데이터는 접근 제어부(308), 압축/신장부(312), 병렬 버스 제어부(302)의 각 모듈에 의해 처리되어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로서 병렬 버스(120)에 전송된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측에서는 제어 보드(13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203)에 의해 수신하고, 버스 제어부(202)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 처리하기 위하여 기록 화상 처리부(205)에 전송한다. 기록 화상 처리부(205)에 전송된 데이터는 평활화(smoothing) 처리나 PWM 변조 처리가 실시된 후,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에 전송된다.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는 그 데이터에 근거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플로터 구동 기구(116)를 동작시키고 잠상, 현상, 정착의 프로세스를 거쳐 전사 용지 위에 화상을 재생한다.
다음에, ③조작부(111)의 제어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111) 표시부로의 표시나 입력 접수는 조정 제어부(132)의 로컬 버스 제어부(306), 시스템 인터페이스(301)를 통하여 제어 보드(130)상의 시스템 제어기(131)에서 수행된다. 복수개의 옵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조작부(111) 표시부의 구성도 기능을 강화시키면 좋다. 예컨대, 대형 표시 패널이나 네트워크 상의 주소 입력 기구, FAX용 수신인 할당 버튼 등, 옵션의 추가와 함께 조작부(111)의 표시부에 대해서도 구성 유닛이 추가되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화상 재생 장치에서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의 메모리 모듈(102)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 제어부(107)내의 데이터 압축부(208), 데이터 신장부(210),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에는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 버스 제어부(202)는 기본 형태와 확장 형태에 따라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203)와 데이터 변환부(206)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선택 제어한다. 또, 조작부(111) 표시부로의 표시나 명령 입력에 관해서도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부(111)로부터 CPU 주변 제어부(207)를 경유하는 명령 전송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디지털 복합 기능을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111)의 제어에 엔진측의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개재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은 이 경우의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데이터의 흐름은 ①화상 판독계와 ②화상 출력계가 있는데, 데이터 흐름은 도 5에 나타낸 장치와 동 일 양태이다. 상기 ①의 경우에는 제어 보드(130)상의 공유의 메모리 모듈(133)에 대한 복사 화상의 축적을 수행하고, 상기 ②의 경우에는 제어 보드(130)상의 메모리 모듈(133)로부터 복사 화상의 판독을 수행한다. 또, 조작부(111)는 화상 재생 장치의 공유 자원으로서 제어 보드(130) 측에 장착되고, 조작부(111)로부터의 명령 신호는 조정 제어부(132)를 경유하지만, 제어는 엔진측의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수행한다. 조작부(111)의 부품 구성은 화상 재생 장치의 기능 추가와 함께 확장시키는데, 복수의 응용에 대한 자원 관리, 시스템 제어는 시스템 제어기(131)에 의해 관리된다. 그리고, 조작부(111) 표시부에 대한 레이아웃 표시 동작은 프로세스 제어기(104)에 의해 제어된다.
조정 제어부(132)는 조작부(111)로부터의 명령 데이터를 직렬 버스, 직렬 포트(305), 직렬 포트 제어부(310), DMAC(311), 접근 제어부(308), DMAC(307), 병렬 버스 제어부(302)의 각 모듈을 통하여 병렬 버스(120)로 전송하고, 병렬 버스(120)로부터 조작부(111)내의 표시부 레이아웃 데이터를 입수한다. (도 3 참조)
병렬 버스(120)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과 접속되어 영상 제어부(107)내의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203)에 접근한다. 조작부(111)로부터의 명령/레이아웃 데이터는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203), 버스 제어부(202)를 통하여 데이터 변환부(206)로 송신된다. 상기 데이터는 전사용 화상 데이터는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변환부(206)가 CPU 주변 제어부(207)에 명령 데이터를 전송한다. CPU 주변 제어부(207)는 프로세스 제어기(104)와 통신하여 조작부(111) 표시부로의 표시, 조작부(111)로부터 입력 접수된 명령을 해석한다.
복수의 옵션이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시스템 제어기(131)의 부하가 증가하여 조작부(111)의 표시 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프로세스 제어 외에 성능적으로 여유가 있는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조작부(111)의 표시부 제어를 분담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기본 기능으로 구성된 경우와, 확장 기능으로 구성된 경우에 조작부(111)의 구성은 달라도 프로세스 제어기(104)가 공통으로 관여하여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측의 자원을 이용하게 된다.
또, 도 6에 있어서, ③은 특정 응용(예컨대, 컬러 스캐너 응용)에 대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판독부(112)의 컬러 밀착 센서(CIS) 구성에 근거하는 라인 순차적 데이터를 상기 ①의 경로에서 접수하여 축적처 헤더가 부가된 각 색 라인 데이터를 메모리 모듈(133)에 축적한다. 메모리 모듈(133)내에서는 각 색 프레인 데이터에 정합시키고, ③의 경로에서는 Red, Green, Blue의 각 프레인별로 전송된다.
도 7a∼7c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한 기능 확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기본 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확장 기능을 추가했을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c는 복사 응용에 추가로 복수의 옵션 기능을 확장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만으로, 제어 보드(130)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의 자원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복사의 기본 기능을 구축하고 있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을 중심으로 화상 판독부(112),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 조작부(111), 주변기(114)의 구성에 의해 조작 입력, 화상 판독, 전사지로의 화상 재현, 용지 제어가 프로세스 제어기(104)의 관리하에 수행되고,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의 자원이 모두 복사 기능에 배분된다.
도 7b에 나타낸 구성은 복사 기능에 대하여 응용 기능이 1개 추가된 경우이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에 제어 보드(130)를 접속시키고, 제어 보드(130)에 응용을 추가한다. 이 경우, 제어 보드(130)가 화상 재생 장치의 마더 보드로서 기능하고 제어의 중심이 된다.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이 보유하는 기본 기능은 화상 재생 장치 기능 중의 하나의 응용 기능(복사 응용)으로 된다. 엔진 부분은 제어 보드(130)로부터 볼 때, 화상 재생 장치의 공유 자원의 하나로 된다.
추가 응용으로서는 예컨대 LAN 접속 기능이면, LAN에 대한 판독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나 LAN으로부터 전송된 화상을 전사지에 재생하는 복사 기능 등의 각 공유 자원을 시스템 제어기(131)의 관리하에 자원 배분하여 복합 기능을 구축한다. 제어 보드(130)로부터 볼 때, 네트 응용 기능도 복사 응용 기능도 동등한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응용간에 자원 사용의 우선 순위는 없다. 장착 순서에서도 우선 순위는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시점에서의 응용 접속 상황으로부터 최적의 자원 배분이 행해진다.
도 7c에 나타낸 구성은 마더 보드인 제어 보드(130)에 복수의 응용 예컨대, 공중 회선(25)에 연결되는 FAX 기능이나, 대용량의 화상 축적 기능(LS)을 추가 확장한 예이다. 이 경우, 추가의 순번, 조합에 따른 기능 동작의 우선 순위는 없다. 제어 보드(130)로부터 보면, 공중 회선(25)에 연결되는 FAX 기능도 대용량의 화상 축적 기능도 동등 수준의 동작 기능으로서 인식된다.
제어 보드(130)상의 메모리 모듈(133)은 일시적 작업의 축적 장소로서 이용되고, 화상 축적 기능은 장기적인 화상 축적, 백업용으로서 이용된다. 예컨대, 화상 축적 기능에 대하여 FAX 송신한 화상, FAX 수신한 화상, 복사 출력한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보관해 두고 언제라도 검색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별도의 네트 응용이 추가되면, 네트워크상으로부터 화상 축적 기능에 축적된 화상에 접근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는 기능을 항상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화상 재생 장치의 기본 구성시와 확장 구성시에 있어서의 시스템 대기시의 각 유닛 상태를 설명한다. 도 8a는 화상 재생 장치의 기본 구성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화상 재생 장치의 확장 구성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대기시에 외부 옵션으로부터의 인터럽트가 없다. 사용자가 조작부(111)로부터 입력 지시를 하면, 통상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대기시에는 조작부(111)와, 그 조작부(111)를 감시하는 프로세스 제어기(104)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CPU 주변 제어부(207)와, CPU 버스(103)만 기동시키면 되고, 다른 유닛이나 모듈을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또, 화상 판독부(112)나 기록 드라이브 제어부(113) 등도 통전(通電) 상태로 해 둘 필요는 없다. 메모리 모듈(133)도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록을 정지시키거나 전원을 차단시킨 상태로 한다. 기능 정지 상태의 독립 유닛에 대해서는 전원을 차단하고, 영상 제어부(107)내의 각 모듈에 대해서는 클록 공급을 정지시킨다. 도면에 점선으로 나타낸 각 모듈은 대기시, 동작을 정지시켜 전력 소비를 억제한다. 또, 영상 제어부(107)는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면,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의 부품 수가 감소되어 복수개 칩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동작시에도 소비 전력이 감소된다.
도 8b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조작부(111) 외에 외부로부터도 시스템 기동 요구가 발생한다. 예컨대, FAX 수신이나 네트워크(LAN)로부터의 화상 출력 요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비정기적 출력 요구이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를 항상 기동시켜 둔다면, 그 만큼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이에, 시스템 대기시에 있어서는 기동 요구를 접수하는 기능의 유닛만을 액티브 상태로 하고, 그 외의 유닛이나 모듈의 동작은 정지시킨다. 제어 보드(130)상의 메모리 모듈(133)은 정지시키고, 조정 제어부(132)내의 메모리 접근 제어부(304)에 대한 클록 공급도 정지시킨다. 도면 중의 점선 부분은 기능이 정지된 유닛이나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영상 제어부(107)내에서는 제어 보드(130)로부터의 정보를 프로세스 제어기(104)에 전송하기 위한 경로상의 모듈은 대기시에도 가동시킬 필요가 있다. 즉, 병렬 버스 인터페이스(203), 버스 제어부(202), 데이터 변환부(206), CPU 주변 제어부(207)의 각 모듈은 가동시킨 상태로 해 둔다.
제어 보드(130)에서는 기동 요인을 검출하기 위하여, 조정 제어부(132)내의 시스템 인터페이스(301) 및 접근 제어부(308)를 가동시킨다. 또, 시스템 감시를 위하여, 시스템 제어기(131)도 가동한 상태로 해 둔다. 제어 보드(130)에 접속되어 있는 각 응용에 대해서는, 외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은 가동시켜 둔다. 또한, 화상 축적 기능은 정지시키고, 공중 회선이나 LAN 등에 연결되는 유닛은 최소 한도로 필요한 모듈만을 가동시킨다.
메모리 모듈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기본 동작시에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상에 설치하고, 기능 확장시에는 기본 엔진&화상 데이터 제어 유닛(101)으로부터 분리하여 제어 보드(130)상에 설치한다.
다음에, 라인 스킵 제어부(211)에서 수행되는 부주사 라인 스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이 부주사 라인 스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라인 스킵 제어부(211)내의 각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상기 각 모듈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배분을 나타내는 표, 도 9c는 부주사 라인 스킵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에 나타낸 모듈 구성을 구비한 라인 스킵 제어부(211)에서는 부주사 유효 범위에서 주주사 유효 라인 게이트 신호를 스킵하고, 제어 보드(130)상의 메모리 모듈(133)로의 기록 허가 생성시에 데이터가 축적되지 않고 라인 간 스킵이 실행된다. rdgen라고 하는 모듈에서 스킵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 신호로서는 클록(clk), 리셋(xrst), 흑백/컬러 전환(col), 결락 화소 보정을 위한 처리 선택(avc), 2치 처리에서의 라인 OR 실시 선택(cor), 부주사 스킵을 위한 축소율 설정(yzsp) 등 명령 제어 신호; 부주사 유효 화상 범위 규정 신호(xsfg_rdin), 음영용 백판 판독 범위 규정 신호(xshg_rdin), 자동 원고 공급 장치 판독시의 배경판 판독 범위 규정 신호(xdfread_rdin) 등 부주사 방향의 화상 규정을 제어하는 신호; 주주사 라인 동기 신호(xrdlsync1), 주주사 유효 화상 범위 규정 신호(xrdlgate1) 등 주주사 방향의 화상 범위를 규정하는 신호 등이 있다.
또, 출력 신호로서는 처리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 주주사 라인 동기 신호(xrdolsync), 복수의 모듈에 기능 단위로 공급하는 주주사 유효 화상 범위 규정 신호(xlg_mb, xlg_avc, xlg_rd, xlg_rdor), 컬러 채널을 식별하는 신호(rgb_sel)등이 있다. rgb_sel은 흑백/컬러에 따라 출력이 상이하게 되고, 컬러시에는 Green 신호만 액티브 상태가 된다. 이 신호는 부주사 방향의 각 화상 규정 신호가 액티브 상태(신호가 Low 레벨)일 때에만 컬러 채널마다 신호가 변화하고, 논액티브 상태(신호가 High 레벨)시에는 흑백 시스템과 동일 동작을 하게 된다(파형은 도 10 참조). 주주사 유효 화상 범위 규정 신호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내의 각 기능 모듈에 분배된다(판독 화상 처리부(201)내의 각 기능 모듈은 도 12를 참조).
xlg_mb, xlg_avc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의 MTF 보정부에 공급되어 다중치 레벨의 화상 판독 데이터에 대한 라인 스킵 제어에 사용된다. xlg_mb는 단순 스킵, xlg_avc는 결락 화소 보정을 위한 다중치 OR 스킵(평균 처리 또는 비교 처리를 선택) 용의 라인 제어 신호로서 생성된다. xlg_rd는 판독 화상 처리부(201)의 밀도 변환부에 공급된다. 신호의 내용은 xlg_mb와 xlg_avc의 OR 조건의 신호로서, MTF 보정 처리의 라인 스킵 결과가 반영된다. 이것도 다중치 화상에 대한 주주사 라인 제어 신호이다. 판독 화상 처리부(201)의 계조 처리부에는 xlg_rd와 xlg_rdor이 공급된다. xlg_rd는 다중치 신호의 라인 제어이지만, xlg_rdor는 2 치화 후의 화상 신호의 라인 스킵 제어에 이용된다.
도 9a에 나타낸 yzsp의 설정에 의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주사 축소율 S%가 결정된다. 명령 입력 avc에 의해 단순 스킵이나 평균/비교 스킵이 설정된다. 축소율 S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결락 화소의 보정을 고려하여 단순 스킵과 평균/비교 스킵을 혼재시킨다. avc = 0으로 단순 스킵인 경우, xlg_mb에는 S%의 라인 스킵 제어를 실행한 lgm를 대입한다. xlg_avc도 lgm가 되고, 평균/비교 스킵은 수행되지 않는다. 또, avc = 1로 평균/비교 스킵인 경우, xlg_mb에는 xlgate가 그대로 lg신호로서 대입된다. 평균/비교 스킵인 경우에는, xlg_avc에는 S%의 라인 스킵 제어를 실행한 lgm를 대입한다.
이 라인 스킵에는 기본적으로 스킵 제어의 순서가 있는 바, 다중치 단순 스킵을 실행한 후에 나머지 라인에 대해 평균/비교 스킵을 실행한다. 나아가, 2치 라인 OR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다중치 스킵의 결과에 대하여 50% 라인 스킵을 실시한다. 다중치 스킵의 축소율이 50% 미만으로, 단순 및 평균/비교 스킵이 혼재된 경우에는 2 S%의 단순 스킵을 실행한 후에 나머지 라인에 대한 50%의 라인 스킵을 실행한다. 즉, xlg_mb의 경우에는 2 S%의 lgm를, xlg_avc의 경우에는 lgm의 50%인 lg2를 대입한다. 또, yzsp의 설정에 의해 50% 미만의 경우 half 플래그를 설정하고, yzsp의 값을 2배로 하여 2 S%의 스킵율로 변경시킨다.
2치 OR 처리는 결락 화소의 보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접된 2 라인 간의 팽창 처리를 실시한다. 이 처리는 2치 신호의 OR 처리의 50% 축소 효과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주주사 라인 신호를 1/2로 스킵하는 처리를 아울러 실시한다. 그리고, 다중치 스킵 처리의 결과를 xlg_rd로서 반영한다. 이것은 단순 스킵과 평균/비교 스킵의 결과에 근거하는 라인 제어 신호이다. 즉, 2치 처리로의 공급 신호 xlg_rdor에 관하여 xlg_rd 또는 xlg_rd의 1/2 스킵 신호를 선택한다. 선택 플래그는 cor 신호로 규정한다. cor = 1로 2치 라인 OR 실시, cor = 0으로 2치 라인 OR 처리 미실시의 제어로 된다.
다음에, 도 9c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라인 스킵의 순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축소 범위가 12. 5%∼100%, 분해능이 0. 1%의 정밀도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YZSP[12:0]의 설정은 축소 범위를 나타내고, 또 rzsp의 설정으로 분해능이 결정된다. 이 예에서는 컬러 밀착 센서(CIS)에서의 조건도 포함되어 있다. 컬러 밀착 센서(CIS)의 라인 순차 컬러 식별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컬러시의 스킵은 Green 신호일 때에만 실시한다.
우선, 페이지의 선두에서 조건 판정을 개시한다. Rzsp = 1024를 설정한다(스텝 S901). 다음에, col = 1이고, 또한 신호의 색이 Green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902). col 신호의 값은 컬러 신호의 경우에는 col = 1, 흑백 신호의 경우에는 col = 0이 된다. Col = 1 또한 신호의 색이 Green인 경우(스텝 S902:예)에는 스텝 S904로 진행되고, 그 외의 경우(스텝 S902:아니오)에는 스텝 S9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902에서 col = 1 또한 신호의 색이 Gree이 아닌 경우에는, rsp 신호의 값(rsp = rzsp-1024)을 계산한다(스텝 S903).
그 다음에, rsp 신호의 값에 근거하여 "스킵 라인"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904). 여기에서는 rsp>1023인지 아닌지에 의해 "스킵 라인"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즉, rsp>1023인 경우(스텝 S904:예)에는 "스킵 라인"으로 판정되고, 이 후 스텝 S905로 진행된다. rsp>1023이 아닌 경우(스텝 S904:아니오)에는 "비스킵 라인"으로 판정되며, 이 후 스텝 S906으로 진행된다. 스텝 S904에서 "스킵 라인"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rzsp의 값을 rzsp = rsp로 다시 설정한 후(스텝 S905), 스텝 S902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스텝 S904에서 "비스킵 라인"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rzsp의 값을 rzsp = rsp+YZSP로 다시 설정한 후(스텝 S906), 스텝 S902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여기서, 흑백 신호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1/3로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3 라인 중 2 라인을 스킵한다. 이 경우, YZSP에 3072(1024의 3배)를 세트한다. 그리고, 우선 스텝 S901에서 rzsp = 1024를 세트한다. 스텝 S902에서는 col = 0으로 판별된다. 그 다음에 스텝 S903에서 rsp 신호의 값을 계산한다. 여기에서는 rsp = rzsp-1024 = 1024-1024 = 0이 된다. 따라서, rsp<1023이 되어 스텝 S904에서 "비스킵 라인"으로 선두 라인이 판정되어 스텝 S906에서 rzsp = rsp+YZSP = 0+3072 = 3072로 변경된다. 이 후 스텝 S902로 돌아와 2번째 판정을 수행한다.
2번째 판정에서는 col = 0으로 판별되고(스텝 S902), 스텝 S903에서 rsp = rzsp-1024 = 3072-1024 = 2048이 구해진다. 따라서, rsp>1023이 되어 "스킵 라인"으로 판정된다(스텝 S904). 따라서, rzsp = rsp = 2048로 변경되고(스텝 S905), 3번째 판정을 한다.
3번째 판정에서는 col = 0으로 판별되고(스텝 S902), 스텝 S903에서 rsp = rzsp-1024 = 2048-1024 = 1024이 구해진다. 따라서, rsp>1023이 되어 "스킵 라 인"이라고 판정된다(스텝 S904). 따라서, rzsp = rsp = 1024로 변경되고(스텝 S905), 4번째 판정을 한다.
4번째 판정에서는 col = 0으로 판별되고(스텝 S902), 스텝 S903에서 rsp = rzsp-1024 = 1024-1024 = 0이 구해진다. 따라서, rsp<1023이 되어 "비스킵 라인"이라고 판정된다(스텝 S904). 이와 같이 하여 3 라인 중 2 라인이 스킵되어 부주사 축소가 실시된다.
계속하여 컬러 밀착 센서(CIS)의 라인 순차적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10d는 컬러 밀착 센서(CIS)의 라인 순차적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컬러 밀착 센서(CIS)의 라인 순차적 제어는 rgb_sel 신호를 생성하고, 부주사 프레임 신호의 개시를 나타내는 xfgc와의 상대 제어에 의해 부주사의 개시(xfgate의 표명)를 Green 라인에 맞춤으로써 수행된다. 즉, 제어 모듈 grbcnt에서 입력 신호 클록(clk), 리셋(xrst), 흑백/컬러 모드 지정(col)과 라인 동기 신호(xlsync), 부주사 방향 화상 유효 범위 규정 신호(xsfgate), 백판 판독 부주사 범위 규정 신호(xshgate)에 의해 RGB 채널을 라인마다 지정하는 rgb_sel 신호를 생성한다.
컬러 밀착 센서(CIS) 사용시에는 col의 플래그를 세우고, G, B, R의 순서로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Green시에만 rgb_sel = "1"로 하고, B, R시에는 rgb_sel = 0으로 판별한다. Col = 0의 흑백시에는 rgb_sel는 항상 "1"로 하고, 스킵 제어는 항상 동작시킨다. 화상의 라인 순차가 일치하도록, CIS의 점등은 1 라인 앞당길 필요가 있고, Green의 처리를 상정하기 위하여 미리 Red의 램프를 점등시킨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흑백 모드(col=0)에 대해서는 rgb_sel는 항 상 "1"로 하고, 각 라인이 스킵 대상의 라인이 된다. 라인 스킵에 관하여, "스킵 라인"인지 아닌지의 판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col = 1 일 때에 수행한다(도 9c를 참조). 컬러 밀착 센서(CIS)에서는 Green 일 때에 판단하고, 그 결과를 Red, Blue에도 반영시킨다. 다만, 컬러시의 rgb_sel의 신호 생성은 부주사 방향의 화상 유효 범위만이고, 화상 및 백판 판독 이외의 기간에는 흑백 모드와 같이 항상 1의 설정으로 한다.
이 때의 타이밍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xshgate, xsfgate가 Low 상태의 기간, rgb_sel는 채널 식별 신호를 생성하고, xshgate, xsfgate가 모두 High 상태에서는 논액티브 상태로 하며, Green 및 흑백 모드와 동일한 취급을 한다. 컬러 밀착 센서(CIS) 사용시, xlsync는 원고 1 라인에 대해 RGB용으로 3 라인이 필요하다. 백판을 판독해서 원고를 판독하기까지의 시간은 기계의 처리 능력(throughput)에 영향을 주며, 3 라인의 배수로 관리되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상태로 원고 판독이 개시되어도 1 라인의 시간 지연도 없고, 1 라인의 판독 누락도 없도록 흑백 모드에서 머신은 대기 상태가 된다.
또,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_sel 상태에서는 CIS의 점등을 제어하는 모듈(도 12의 화상 판독부 인터페이스(1202))에서 rgb_sel = 1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다. 즉, 유효한 CIS 점등을 위한 표명 신호인지, 판독 영역외의 대기 상태인지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판독 라인의 동기 신호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xfgc의 부주사 조정 신호를 생성하여 CIS 점등으로 이용한다. 즉,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동기 신호(xlsync)보다 빨리 변화하 는 라인 제어 신호(sfh_enb)를 라인의 교체 신호에 사용한다. xlsync에 동기하기 전의 부주사 판독 영역 트리거 신호(sf_area) 및 백판 판독 영역 트리거 신호(h_area)의 AND 조건을 생성한다. AND 생성된 신호는 sfh_enb에 동기한 라인 동기 신호가 되어 xlsync보다 빠르게 각 라인이 부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 액티브 범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가 된다. xfgc와 라인 주기와 rgb_sel의 관계는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다. rgb_sel의 변화 전에 xfgc의 상황을 판정한다.
다음에, 라인 스킵 제어부(211)에 구비된 라인 메모리(FIFO)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11c는 이 라인 메모리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라인 메모리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 라인에 대하여 라인 메모리#1은 1 라인 지연 데이터를, 라인 메모리#2는 2 라인 지연 데이터를, 라인 메모리#3은 3 라인 지연 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 라인 메모리#3은 생성 화상 매트릭스의 중심 라인이 되어 결락 화소의 라인 간 보정을 수행한다. 라인 메모리#4,#5,#6은 각각 라인 스킵시의 데이터 유지를 선택한다.
흑백 모드이고 라인 스킵이 없으며 등배율 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입력 데이터는 매 라인 모두 다음 단의 라인 메모리에 지연 저장된다. 이 때, 주주사 라인 제어 신호인 xlg_mb, xlg_avc는 모두 액티브 상태가 되고, 라인 스킵은 발생하지 않는다. 흑백 단순 스킵인 경우, 수 라인 중 1 라인 xlg_mb이 스킵된다. xlg_avc도 동일 타이밍으로 스킵되므로, xlg_mb와 xlg_avc의 스킵 제어 판단 모듈에서는 xlg_mb 상태를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입력 라인으로부터 라인 메모리#1, 라인 메모리#2까지의 라인에 관해서는 xlg_mb 상태에 관계없이 각 라인을 지연시킨다. 라인 메모리#2로부터 라인 메모리#3으로의 지연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유효 라인의 경우, 라인 메모리#3에는 라인 메모리#2의 출력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한다. "스킵 라인"의 경우, 라인 메모리#3의 데이터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라인 메모리#3의 출력을 재차 라인 메모리#3에 기록한다. 라인 메모리#2의 데이터는 메모리군으로부터 소거되어 1 라인 화상 데이터가 스킵된다. 이 스킵 기간에 있어, 라인 메모리#4,#5,#6 라인에서도 자신의 라인 데이터를 유지한다. 즉, 통상은 라인 메모리#3으로부터의 출력을 라인 메모리#4에, 라인 메모리#4로부터의 출력을 라인 메모리#5에, 라인 메모리#5로부터의 출력을 라인 메모리#6에 각각 유도하는 것을, 선택 회로에 따라 데이터를 전환하여 라인 메모리#4로부터의 출력을 라인 메모리#4에, 라인 메모리#5로부터의 출력을 라인 메모리#5에, 라인 메모리#6으로부터의 출력을 라인 메모리#6에 각각 기록한다. 라인 메모리군으로서는 라인 메모리#2의 데이터가 스킵되고, 라인 메모리#3으로부터 라인 메모리#6까지의 데이터는 유지된다.
흑백 모드이고 평균/비교 스킵을 수행할 때에는, xlg_mb의 결과에 대해 xlg_avc로 스킵 제어를 실행한다. 평균/비교 스킵만의 경우에는 xlg_mb는 각 라인이 표명 조건이 된다. 스킵 라인은 xlg_mb가 표명 라인, 또한 xlg_avc도 표명 라인이 된다. 평균 또는 비교 처리의 설정은 av_cmp에 의해 전환한다. av_cmp = 0일 때 앞 라인과의 평균을 취하고, ac_cmp = 1일 때 앞 라인과 비교하여 큰 값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처리 결과를 각 라인 메모리에 저장한다.
입력 라인으로부터 라인 메모리#1, 라인 메모리#2까지의 라인에 관해서는, xlg_mb, xlg_avc가 어떠한 상태이어도 각 라인에서 데이터의 지연을 실시한다. 라인 메모리#2로부터 라인 메모리#3까지의 저장에서는 제어 신호 상태에서 입력 데이터를 전환한다. xlg_mb:표명, xlg_avc:부정의 경우, 라인 메모리#3에는 라인 메모리#2의 출력을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라인 메모리#4로부터 라인 메모리#6까지도 1개 앞의 라인의 출력 결과를 저장한다. xlg_mb:표명, xlg_avc:표명의 경우, 스킵 라인에 상당하고, 라인 메모리#3에는 라인 메모리#3의 출력 결과와 라인 메모리#2의 출력 결과를 저장한다. 즉, av_cmp = 0이라면 평균 결과를, av_cmp = 1이라면 비교 결과를 저장한다. 1 라인분의 라인 데이터를 라인 메모리군으로부터 삭제하지만, 평균 또는 비교 연산에 의해 데이터 상태를 남기고 화소 결락을 보정한다. 라인 메모리#4로부터 라인 메모리#6도 스킵 라인이므로, 자신의 출력 결과를 유지한다.
흑백 모드이고 단순 스킵과 평균/비교 스킵이 혼재하는 경우, xlg_mb의 결과에 대하여 xlg_avc 상태를 판단하고 라인 제어를 전환한다. 도 11c는 이 때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입력 라인으로부터 라인 메모리#1, 라인 메모리#2의 라인에 관해서는, xlg_mb, xlg_avc가 어떠한 상태이어도 각 라인 모두 데이터의 지연을 실시한다. 라인 메모리#2로부터 라인 메모리#3의 저장에 있어서는 제어 신호 상태에서 입력 데이터를 전환한다. xlg_mb:표명, xlg_avc:부정의 경우, 라인 메모리#3에는 라인 메모리#2의 출력을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라인 메모리#4로부터 라인 메모리#6에 대해서도 1개 앞의 라인의 출력 결과를 저장한다(도 11c의 ①상태).
xlg_mb:표명, xlg_avc:표명의 경우 스킵 라인에 상당하고, 라인 메모리#3에는 라인 메모리#3의 출력 결과와 라인 메모리#2의 출력 결과를 저장한다. 즉, av_cmp = 0이라면 평균 결과를, av_cmp = 1이라면 비교 결과를 저장한다. 1 라인분의 라인 데이터를 라인 메모리군으로부터 삭제하지만, 평균 또는 비교 연산에 의해 데이터 상태를 남기고 화소 결락을 보정한다. 라인 메모리#4로부터 라인 메모리#6까지는 스킵 라인이므로 자신의 출력 결과를 유지한다(도 11c의 ②상태).
xlg_mb:표명, xlg_avc:부정의 경우, 완전한 스킵 라인에 상당하고, 라인 메모리#3에는 라인 메모리#3의 출력 라인을 재차 기록한다. 라인 메모리#4로부터 라인 메모리#6에 이르기까지도 스킵 라인이므로 자신의 출력 결과를 유지한다(도 11c의 ③상태). 그리고, 다음 라인에서의 갱신, 연산 결과의 갱신, 유지 상태를 xlg_mb와 xlg_avc 상태에서 제어한다.
다음에, 컬러 모드 상태를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컬러 신호는 라인 순차 G, B, R의 순서로 입력된다. 흑백의 경우에는 입력 라인과 6개의 라인 메모리로 7 라인 화상의 매트릭스를 생성하지만, 컬러 밀착 센서(CIS)의 MTF 보정은 각 색 3 라인의 화상 매트릭스로 구성한다. 출력 라인#0,#3,#6의 3개로 MTF 보정을 위한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col = 1이 된다. 도 11b에서는 Green의 신호가 대상이 된다. 다음의 라인 동기 신호로 각 라인의 지연을 저장하고, Blue가 라인#0,#3,#6으로 이동한다.
라인 스킵은 Green시에 판정하고, RGB의 3 채널분, 3 라인 싱크 간에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다. 즉, 스킵, 평균/비교 연산, 지연 저장을 제어한다. 평균/비교 연산의 대상이 흑백인 경우와는 달리, 입력 라인과 출력 라인#3의 사이에서 실시된다. 또한 동일색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라인을 스킵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판독 화상 처리부(201)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판독 화상 처리부(201)의 구성에 있어서, MTF 보정부(1201)는 도 11에 나타낸 6개의 라인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MTF 보정부(1201)는 6개의 라인 메모리와 앞단으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7 라인의 화상 매트릭스를 작성한다. 부주사 축소에 관하여 라인 스킵을 실시하는 경우, 데이터를 버리는 라인, 재이용을 위하여 데이터를 유지하는 라인, 앞 라인과의 데이터로 평균 또는 비교 처리를 실시하여 관련 정보를 남기는 라인의 처리를 실시한다.
도 12에 있어서, CCD 또는 컬러 밀착 센서(CIS)로부터의 신호를 화상 판독부 인터페이스(1202)에서 접수한다. 음영 보정 처리부(1203), 배율 변환 제어부(1204), MTF 보정부(1201), 밀도 변환부(1205) 및 계조 처리부(1206)의 각 모듈에서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판독 마스크 처리부(1207)에서는 판독 화상, 출력 화상을 위한 마스크 처리를 실행하고, 버스 제어부(202)에서 병렬 버스(120)나 기록 화상 처리부(205), 메모리 접근 제어부(209)에 대한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를 실시한다.
컬러 제어의 경우에는, 화상 판독부 인터페이스(1202)에서 라인 순차적 제어, 버스 제어부(202)에서 병렬 버스(120)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데이터 패킹 제어를 수행한다. 또, 스킵 제어시에는 MTF 보정부(1201), 밀도 변환부(1205), 계조 처리부(1206)에 각 주주사 화상 제어 신호를 배분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각 모듈에 부대되는 RAM나 FIFO는 메모리 배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은 음영 보정 처리부(12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흑 줄무늬 검출보정, 검출 결과의 저장에 따라 흑 줄무늬 발생의 요인을 표시 또는 네트워크 기능을 통하여 통지한다. 또, 서비스 담당자가 머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태 이력의 인쇄 출력을 소망할 경우에는 종이 분말 등에 의해 계수된 부정 화소 상태를 리포트한다. 리포트는 필요한 상태 정보를 제어기측의 메모리 또는 엔진측의 메모리에 기록하여 전사지 위에 출력한다. 이 음영 보정 처리부(1203)는 아래에 나타내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음영 보정 및 판독 화상 보정을 수행한다.
(1) 흑 레벨 보정부(1301):FIFO(1302)를 이용하여 화소 단위로 흑 레벨을 샘플링하여 판독 데이터로부터 감산한다. 감산되는 기준 데이터는 광원 소등 상태에서 허가(enable) 기간(수 라인)에 기록되어 중가산 평균 처리가 실시된다. 컬러 판독의 경우에도 기준 데이터는 각 색 공통으로 한다.
(2) 음영 보정부(1303):FIFO(1304)를 이용하여 화소 단위로 백 레벨을 샘플링하여 흰 파형의 변형부를 보정한다. 흰색 기준 데이터는 중가산 평균 처리에 의해 생성된다. 연산 기준 레벨은 흰색 기준 데이터의 피크 레벨로 한다. 연산에는 제산(除算) 테이블을 이용한다. 컬러 밀착 센서(CIS)를 사용하는 경우, RGB 별로 상이한 FIFO(1304)에 파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판독시에 화상 데이터의 색에 따라 적당히 참조 데이터를 전환시킨다.
(3) 피크 검출부(1305):백 레벨의 피크값을 검출하여 유지한다. 검출 대상 데이터로서는 흰색 기준 데이터(FIFO 데이터)와 판독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검출 결과는 음영 보정 기준 레벨, 백 레벨 보정부(1306)의 기준값 산출에 참조되고, 값은 레지스터로부터 판독이 가능하다. 또, 임의의 값을 세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임의의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광원 불점등(不點燈) 이상을 검출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4) 백 레벨 보정부(1306):판독 데이터를 기준 백 레벨 또는 원고 바탕 레벨에 정규화한다. 연산 기준 레벨은 판독 조건에 따라 변경한다. 바탕 제거가 없는 경우에는, 피크 검출부(1305)에 의한 흰색 기준 데이터 중 피크 레벨이 큰 신호를 사용한다. 또, 바탕 제거시에는 바탕 추종 동작에 따른 원고 바탕 검출 레벨에 대하여 소정의 테이블을 참조한다.
(5) 바탕 추종부(1307):원고 바탕 레벨을 검출하여 원고 농도에 따라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확대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의 평균 처리를 실시하여 돌발적인 변동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킨다.
(6) 백 줄무늬 검출 보정부(1308):기준 백판상의 오점, 쓰레기를 검출하여 백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흰 파형의 변형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흰색 기준 데이터 생성부(1311)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서 검출을 실시하고, 보정 후의 데이터는 FIFO(1304)에 저장한다. 또, 검출 정보로서 검출 화소수나 최대 검출폭을 레지스터로부터 판독 가능하다.
(7) 흑줄무늬 검출 보정부(1309):자동 원고 공급 장치로 판독할 때에, 배경 판의 오점이나 쓰레기를 검출하여 흑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판독 데이터를 보정한다.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배경판에서 음영 보정의 흰색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이트 스캐너에 있어서는, FIFO(1310)로부터의 판독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서 검출을 실시한다. 검출 결과는 각 화소 1 bit의 플래그로 전용 FIFO(1310)에 저장되고 원고 판독시에 대응하는 화소의 원고 판독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한다. 컬러 판독시에는, Green시에만 검출하여 전 색을 보정한다. 또, 검출 정보로서 검출 화소수나 최대 검출폭을 레지스터로부터 판독 가능하다.
(8) 스캐너 γ보정부(1312):스캐너의 γ특성을 보정한다. 입력단에서 흑백 논리 변환을 실시한다. 컬러 판독시에는 RGB별로 독립 테이블에서 보정한다.
도 14는 계조 처리부(1206)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계조 처리부(1206)는 백지 검출을 최종 처리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한다. 계조 처리부(1206)는 아래에 나타내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고정 2치화/변동 2치화 처리부(1401):고정 임계값 또는 변동 임계값에 따른 2치화 처리를 실행한다. 변동 임계값은 필터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생성된다. 또, 고정 임계값은 CPU(프로세스 제어기(104))에서 설정된다.
(2) 오차 확산/디더(dither)부(1402):N 계조 오차 확산 처리 또는 N 계조 디더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 데이터에 오차 데이터 가산의 유무로 디더 처리와 오차 확산 처리를 전환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는 RAM(1403)에 저장되어 있고, RAM 제어부(1404)에 의해 RAM(1403)로부터 읽어낸다. 오차 확산/디더부(1402)에서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임계값 테이블로부터 로드하는 임 계값에 따라 2치 데이터를 출력한다. 임계값 테이블 용량은 16 화소16 화소8 bit를 1 테이블분으로 한다. 매트릭스 사이즈는 1616, 88, 66, 44로 전환 가능하다. 또, 임계값 테이블 값의 변경에 대해서는 CPU에 의해 다시 쓸 수 있다. 또한,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오차 확산 필터에 의해 가산 보정값을 산출하고, 2치화 결과에 따라 입력 화소의 오차 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오차 연산을 수행한다.
(3) 선단 화소 보정부(1405):부주사 방향의 선단 화소를 검출하여 선단 화소를 백 화소로 치환한다.
(4) 요철 보정부(1406):입력 2치 데이터의 MM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주변 화소와의 패턴 매칭을 실시한다. 주목 화소가 요철 화소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흑백을 반전시킨다.
(5) 조건부(付) OR 처리부(1407):200200 dpi를 200100 dpi으로 스킵 변환할 때, 조건부 OR 처리에 의해 "선" 절단을 방지한다. 스킵 변환을 실시할 때의 데이터는 외부의 FIFO(1408)로부터 FIFO 제어부(1409)의 제어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OR 처리로서의 부주사 축소율은 50%에 한정한다.
(6) 백지 검지/선 밀도 판정부(1410):판독 원고의 "선" 밀도를 판정하여 원고의 백지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고에 적절한 선 밀도의 자동 판정 및 백지 원고의 자동 판정을 실행한다. 선 밀도 판정은 배밀도(倍密度) 판독시에 규정 라인 단위의 블록마다 실시하고, 송신 페이지(또는 파일) 내의 전체 블록의 최적 선 밀도가 모두 단밀도(單密度)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페이지(또는 파일)의 최적 선 밀도를 단밀도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최적 선 밀도를 배밀도로 한다. 자 동 밀도 설정 기능은 FAX의 메모리 송신시에 배밀도 판독을 수행하여 응용의 FAX 송신 제어부의 밀도 변환에 따라 최적 선 밀도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기능이며, 여기에서는 선 밀도 판정만을 실시한다. 백지 판정은 각 선 밀도로 판독할 때에 규정 라인 단위의 블록마다 실시하고, 페이지(또는 파일) 내의 전 블록이 백지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페이지(또는 파일)를 백지로 한다. 선 밀도 판정 및 백지 판정은 임계값 처리에 의해 판단하고, 하프톤 화상 조건, 바탕 화상 조건, 가장 굵은 화상 조건, 소문자 화상 조건, 대문자 화상 조건의 판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각 조건에 대한 판정은 블록내의 흑 필드 출현 횟수,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총화소수에 따라 실행하게 된다.
다음에, 흑줄무늬 검출, 보정 및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15는 흑줄무늬 검출, 보정 및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작업 개시에 따라 원고 판독전에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원고 접촉 유리면(배경판) 상태를 판독하여 흑줄무늬의 요인이 되는 부정 화소의 유무를 확인한다(스텝 S1501). 이 공정에서는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배경판을 판독하여 원고 부재시의 초기 상태를 읽어낸다.
다음에, 주주사 방향으로 판독 화상을 검색하여 부정 화소를 검출한다(스텝 S1502). 이 공정에서는 임계값 처리, 농도 구배 조건 등으로 검출한다. 나아가, 스텝 S1502에서의 검출 결과에 대하여 부정 최대 화소폭을 검출한다(스텝 S1503). 이 공정에서는 얼마나 굵은 흑줄무늬가 발생하는지, 무시할 수 있는 선 폭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검출 결과는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된다(스텝 S1504). 나아가, 부 정 화소의 총수도 검출한다(스텝 S1505). 이 공정에서는 몇개 정도의 흑줄무늬가 발생하는지를 예견한다. 이 검출 결과도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한다(스텝 S1506). 나아가, 부정 화소의 개수에 대하여 줄무늬 발생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스텝 S1507), 이 값을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한다(스텝 S1508).
다음에, 스텝 S1504, S1506, S1508에서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된 정보를 프로세스 제어기(104)로 판독하고(스텝 S1509), 줄무늬 화상의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1510).
스텝 S1510에서 줄무늬 화상 있음(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판독면이 더러워져 있다)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 S1510:예)에는, 조작부(111)의 표시 화면에 "쓰레기 존재함"이라는 경고를 표시하여(스텝 S1511), 사용자에 대하여 청소의 필요성을 알린다(스텝 S1512). 흑줄무늬 발생 요인의 종이 분말을 제거한 후, 처음부터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스텝 S1513).
그런데, 사용자에 대한 청소 의뢰가 제조업자의 자세로서는 문제가 되는 경우, 저장 조건을 프로세스 제어기(104)로 판독하여 시스템 제어기(131)를 경유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또는 모뎀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기기 관리를 실행하는 서비스 서포트 센터에 머신 상태를 통지하면 즉시 서비스 담당자를 파견한다. 머신상에서의 흑줄무늬로 인한 이상 화상이 발생하기 전에 머신의 보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머신 상태의 체크는 작업 개시시에 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 투입시, 머신 대기시 등에 체크 루틴을 돌려서도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부정 화소가 없는 경우, 또는 부정 화소가 있어도 약간의 양과 크기로 서 보정 기구로 흑줄무늬를 보정할 수 있는 경우(스텝 S1510:No)에는 작업을 그대로 계속한다. 즉, 흑줄무늬 발생의 예측 위치, 예측량은 이미 산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정 위치/보정량을 설정하고(스텝 S1514), 자동 원고 공급 장치로 실제 원고 판독 화상에 대하여 보정 위치에 대한 보정량을 산출하여 원고 판독시의 줄무늬 보정을 실시한다(스텝 S1515).
보정 처리에 의해 흑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보정이 불가능한 상황이 예측되는 바와 같은 경우, 경고 표시 또는 서비스 센터로의 원격 통지를 수행하여 청소 또는 보수를 실시한다. 또, 흑줄무늬 발생을 예견할 수 있는 부정 화소 검출 결과는 원격 통지 외에 서비스 담당자가 보수하기 위하여 방문했을 때, 기록(logging)으로서 인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검출 결과를 폰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상에 비트 맵 전개하여 인쇄 출력한다.
다음에, 백지 원고 검출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16은 이 백지 원고 검출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 개 작업은 1매의 원고이어도 복수매의 원고이어도 상관없다. 작업 개시에 따라 원고가 판독되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1601). 다음에, 전부의 화상 처리가 종료된 2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판독 원고의 사이즈보다 한층 좁은 범위에서 복수개로 분할된 블록내의 화소를 검색한다(스텝 S1602). 이 공정에서는 복수의 임계값 처리에 의해 흑 필드의 개수를 검출하여 바탕 레벨을 판정한 후, 유효 화소에 대하여 백지 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작업에 있어 판독 페이지 단위로 화상을 저장하고(스텝 S1603), 어느 작업의 몇 페이지 째인지를 관리한 상태에서 판독 화상 영역의 백지 판정을 실시한다(스텝 S1604).
판정 결과, 작업 중에 백지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1604:예)에는, 경고를 표시한다(스텝 S1605). 기계가 단독으로 조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111)상의 표시부에, 리모트 스캐너로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기(131)를 통하여 호스트 서버에 통지한다. 백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재차 그 페이지를 정확하게 다시 판독하고(스텝 S1606), 앞서 판독 작업 관리에서 저장된 백지 화상과 바꿔 넣으며(스텝 S1607), 정확한 화상을 정확한 순번으로 메모리 모듈(133)상에 다시 분류한다.
백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1604:아니오)에는, 정상적인 작업에서의 판독 화상은 시스템 제어기(131)가 관리하는 메모리 모듈(133)에 축적되어 있으므로, 시스템 제어기(131)의 제어에 의해 요구 응용에 대하여 축적 화상을 전송한다. 이와 같은 순서를 경과함으로써 FAX, 스캐너, 복사기 등의 화상 재생 장치에서 백지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자동 원고 공급 장치로 원고를 판독할 경우의 흑줄무늬를 수반하는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본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낸 순서와 도 16에 나타낸 순서를 결합한 도면이 된다.
작업 개시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자동 원고 공급 장치상의 부정 화소를 검출한다(스텝 S1701). 검출 결과를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한다(스텝 S1702). 이 공정에서 분명히 보수가 필요한 경우, 청소 요구를 경고 표시 또는 원 격 통지한다.
흑줄무늬의 발생이 미약하고 줄무늬 보정 기능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경우, 원고 화상이 판독된다. 이 판독 화상은 음영 보정 처리부(1203)에서 흑줄무늬 보정 처리가 실시되고(스텝 S1703), 각종 화상 처리가 실시되면(스텝 S1704), 계조 처리부(1206)에서 블록내의 화소 검색(스텝 S1705), 및 페이지 단위의 화상 저장 처리가 실시된 후(스텝 S1706), 백지 판정이 실행된다(스텝 S1707). 또한, 스텝 S1702에서 저장된 화상에 대하여 줄무늬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장소에 부정 화소 폭에 상당하는 흑줄무늬 화상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708), 이와 같은 조건을 백지 검출 결과로부터 상쇄하여 진정한 원고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백지 판정이 수행된다(스텝 S1707).
백지 판정의 결과, 백지 있음, 즉 흑줄무늬만이 존재하는 백지 원고인 경우(스텝 S1707:예), 백지 있음을 경고 표시 또는 통지하고(스텝 S1709), 대상 페이지 또는 작업을 재차 판독(스텝 S1710)하며, 축적 페이지의 교체를 수행하여(스텝 S1711), 화상 출력을 수행한다. 한편, 백지 없음의 경우(스텝 S1707:No)에는 아무런 경고도 표시하지 않고, 축적 화상의 출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장치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W), 길이(H)의 원고에 대하여 그것보다 한층 좁은 영역(폭(L), 길이(M))에서 백지 원고의 검출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LM의 영역을 복수개의 블록(B)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블록마다 임계값 처리 및 흑 필드 검색을 수행하며, 전 검색 범위를 총화하여 백지 검출을 실행한다.
다음에,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접촉 유리면에 존재하는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세로 흑줄무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흑줄무늬는 원고 유무에 관계없이 접촉 유리면에 항상 "블랙"으로 판독되는 피사체가 존재하여 원고 판독 화상에 중첩됨으로써 발생한다. 쓰레기는 "점"으로서 존재하지만, 재생 화상중에서는 "선"으로 존재하여 화상의 현저한 열화와 유용 정보의 결락을 초래하게 된다. 또, 압판 판독시와 같이 "점"을 점으로서 재현하는 경우에는 그 발생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지만, 점이 "선"으로 되어 재현되면, 위화감을 주어 발생 원인의 특정에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또, 도 19b는 자동 원고 공급 장치에서의 원고를 읽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경우, 램프 및 미러로 구성되는 왕복대는 판독 위치에 고정된 채로 원고만을 이동시켜 화상면을 읽어낸다. 판독된 화상은 주주사 주행에 있어서, 압판 모드와는 경상(鏡像) 관계에 있으므로 화상 출력시에는 좌우를 바꿔 넣는 미러링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원고의 이동은 스텝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데, 원고 이송 방향(부주사 방향)의 확대, 축소시에는 이동 속도를 변화시킨다.
왕복대는 홈 포지션(HP)에 대기하고, 원고 판독도 HP에서 실시하지만, 일단 음영 보정을 위한 기준 백판을 읽어낼 필요가 있다. 도면중, 배경판(a)의 바로 밑에서 대기하는 상태가 HP 상태이다. 기준 백판(b)을 읽어내기 위해서 일단 왕복대는 기준 백판(b)의 바로 밑으로 이동한다. 기준 백판(b)의 조도(照度) 분포를 읽어 내고, 판독한 데이터를 정규화하기 위한 음영 데이터를 작성한 후, 왕복대는 재차 배경판(a)의 바로 밑의 HP에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왕복대를 고정하고 원고를 이동시켜 화상을 읽어낸다.
시이트형 원고는 부호(c)의 위치로부터 입력되어 배경판(a) 아래를 통과하여 부호(d)의 위치에 배출된다. 배경판(a) 아래를 통과할 경우에 원고면이 판독되고, 이 때 접촉 유리면에 쓰레기가 존재하면, 세로 흑줄무늬로 되어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쓰레기로 인한 부정 화소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원고를 이송하기 전에 왕복대가 홈 포지션에 돌아온 직후, 무화상 판독 상태에서 램프를 점등시켜 접촉 유리면을 읽어낸다. 기본적으로는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원고 통과면을 억제하는 배경판(a) 상태를 판독하게 된다. 배경판(a)은 기준 백판(b)과 동등의 백색으로 구성되어 있고, 접촉면에 쓰레기가 없으면, 백 화상으로 판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방법은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소프트 디스크, CD-ROM, MO, DV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배포될 수 있는 전송 매체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나타낸 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에 근거하여 변경, 개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복사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확장 기능을 이용할 때에, 복수개의 옵션 유닛을 추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판이 접속 가능하고, 이 제어판을 이용한 확장 기능 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조작 형태 및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제어 수단과,상기 기본 기능을 이용한 재생 화상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통한 재상 화상의 품질을 동등하게 유지하는 재생 화상 품질 유지 수단과,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동작할 때에 상기 기본 기능의 동작시와 동등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수단과,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자원을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할 때에도 유용(流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 유용 수단과,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소유하는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가 공통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입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므로,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실현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상 입력 수단이 교환되거나 하여도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가 공통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키는 라인 스킵 제어 수단과, 상기 라인 스킵을 수행할 때에 초래되는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화소 결락 보정 수단을 구비하므로,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해상도를 간단한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고, 화소 결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확장 제어 수단 사이에서 컬러 화상 데이터 및 흑백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공통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구조 변환 수단을 구비하므로, 확장 제어 수단에 대하여 컬러 또는 흑백의 화상 데이터를 공통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라인 스킵 제어 수단은 판독 라인을 규정하는 제어 신호를 복수 라인으로 분할하고, 단일 기능 모듈에 대하여 각 기능을 분할하여 밀도 변환 제어를 수행하므로, 해상도 변환을 위한 라인 스킵 제어를 효율 높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은 밀착 센서 또는 전하 축적 디바이스로 구성되므로, 컬러 화상과 흑백 화상에서 화상 데이터의 출력 형태가 상이한 것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밀착 센서일 때의 컬러 화상 입력시에, 전송처리중의 화상 데이터가 어떤 색인지를 파악하고, 데이터의 판독 라인을 각 색마다 정리하여 제어하는 라인 순차 식별 제어 수단을 구비하므로, 화상 입력시에 컬러 화상 입력이어도 흑백 화상 입력이어도 판독 라인의 제어를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상기 라인 스킵 제어 수단 및 상기 화소 결락 보정 수단은 컬러 화상 데이터와 흑백 화상 데이터 각각에 적합한 제어를 수행하므로, 한 개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기구로 컬러 화상, 흑백 화상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복사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한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확장 기능을 이용할 때에 복수의 옵션 유닛을 추가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제어 보드가 접속 가능하고, 이 제어 보드를 이용한 확장 기능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조작 형태 및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사용 가능토록 하는 확장 제어 수단과, 상기 기본 기능에 의한 재생 화상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통한 재생 화상의 품질을 동등하게 유지하는 재생 화상 품질 유지 수단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이용한 동작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동작시와 동등의 조작을 가능토록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자원을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에도 유용 가능케 하는 자원 유용 수단과, 상기 해상도 변환을 수행하는 라인 스킵 제어 수단과, 상기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의 보정을 수행하는 화소 결락 보정 수단과, 자동 원고 공급 장치 장착시에 생기는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부정 화소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 검출 수단과, 상기 줄무늬 화상을 보정하는 줄무늬 화상 보정 수단과,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을 경고하는 부정 화소 발생 경고 수단을 구비하므로,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구성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정 화소 검출, 흑 줄무늬 보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기록 수단과,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백지 원고 검출 수단과, 상기 이력 기록 수단에 의한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과,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판독한 원고가 백지임을 판단하여 경고하는 백지 경고 수단과, 상기 백지 경고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원고 판독 작업의 출력을 제어하는 판독 작업 제어 수단을 구비하므로, 간단한 기본 기능을 저비용으로 구성하고, 옵션 유닛의 추가로 순차적으로 복합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백지 원고를 검출하여 경고함과 동시에, 판독 작업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은 상기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배경판을 판독하여 부정 화소의 크기 및 그 총수를 검출하므로, 자동 원고 공급 장치를 이용한 화상 판독 시에, 부정 화소의 크기나 그 총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은 검출한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을 관리하고, 이 이력을 부정 화소 발생 정보로서 검출 결과 기록 수단에 기록하므로, 부정 화소 발생 상황의 이력 관리 및 그 이력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읽어낸 원고 1 페이지 분의 화상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며, 상기 블록의 전체 영역에서의 검출 결과를 집계함으로써 백지 원고의 검출을 수행하므로, 정밀도 높게 백지 원고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읽어낸 원고 1 페이지 분의 화상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며, 이 검출 결과의 전체 블록 집계분으로부터 예상되는 줄무늬 화상을 산출하고,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연속하는 부정 화소를 상쇄함으로써 본래의 원고 상태를 추정하여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를 판별하므로, 정확하게 백지 원고인지 줄무니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상기 원고 판독 작업내의 백지 상황을 원고의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고, 이것을 백지 원고 검출 정보로서 검출 결과 기록 수단에 기록하므로, 백지 원고가 검출된 경우의 정보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상기 검출 결과 기록 수단은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로 구성되므로,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가 부정 화소 및 백지 원고의 검출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용지면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므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용지면에 인쇄하여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접속되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하므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원격지의 외부 장치로부터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이 화상 입력 수단이 구비하는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가 공통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입출력 제어 공정을 포함하므로, 화상 입력 수단이 교환되거나 하여도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해상도 변환을 수행하는 라인 스킵 제어 공정과 상기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화소 결락 보정 공정을 포함하므로,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간단한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고, 화소 결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가 컬러의 경우와 흑백의 경우에 화상 데이터 출력을 공통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 변환 공정을 포함하므로, 판독한 화상 데이터가 컬러 또는 흑백이어도 공통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이 화상 판독 공정에서 판독된 화상에 대하여 부정 화소 검출을 수행하는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이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부정 화소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부정 최대 화소폭 검출 공정과 상기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부정 화소의 수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수 검출 공정과 상기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부정 화소의 원고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 위치 검출 공정과 상기 부정 최대 화소폭 검출 공정, 상기 부정 화소수 검출 공정 및 상기 부정 화소 위치 검출 공정에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원고 의 줄무늬 화상 발생을 예측하는 줄무늬 화상 발생 예측 공정과 이 줄무늬 화상 발생 예측 공정에서의 예측 결과로부터 원고상의 줄무늬 화상의 보정을 수행하는 줄무늬 화상 보정 공정을 포함하므로, 흑 줄무늬 화상의 검출 및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화상을 소정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공정과 이 블록 분할 공정에서 분할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는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이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에서의 각 블록마다의 검출 결과를 집계하고, 이 집계 결과로부터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백지 원고 검출 공정을 포함하므로, 정밀도 높은 백지 원고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화상을 소정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공정과 상기 블록 분할 공정에서 분할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는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이 블록내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으로부터 예상되는 줄무늬 화상을 산출하고,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연속 부정 화소를 상쇄함으로써 본래의 원고 상태를 추정하여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를 판별하는 백지 원고 판별 공정을 포함하므로,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이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9∼21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복사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확장 기능을 이용할 때에, 복수개의 옵션 유닛을 추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판이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어판을 이용한 확장 기능 시에,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조작 형태 및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형태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제어 수단과,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상기 확장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컬러 화상 데이터 및 흑백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공통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 변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동작할 때에 상기 기본 기능의 동작시와 동등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기본 기능에서의 자원을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할 때에도 유용(流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 유용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키는 라인 스킵 제어 수단과,
    상기 라인 스킵을 수행할 때에 초래되는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화소 결락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스킵 제어 수단은 판독 라인을 규정하는 제어 신호를 복수 라인으로 분할하고, 단일 기능 모듈에 대하여 각 기능을 분할하여 밀도 변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은 밀착 센서 또는 전하 축적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이 밀착 센서일 경우의 컬러 화상 입력시에, 전송처리중 의 화상 데이터가 어떤 색인지를 파악하고, 데이터의 판독 라인을 각 색마다 정리하여 제어하는 라인 순차 식별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스킵 제어 수단 및 상기 화소 결락 보정 수단은 컬러 화상 데이터와 흑백 화상 데이터 각각에 적합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장착 시에 생기는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부정 화소를 검출하는 부정 화소 검출 수단과,
    상기 줄무늬 화상을 보정하는 줄무늬 화상 보정 수단과,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을 경고하는 부정 화소 발생 경고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기록 수단과,
    백지 원고를 검출하는 백지 원고 검출 수단과,
    상기 이력 기록 수단에 의한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과,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판독 원고가 백지임을 판단하여 경고하는 백지 경고 수단과,
    상기 백지 경고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원고 판독 작업의 출력을 제어하는 판독 작업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은 상기 자동 원고 공급 장치의 배경판을 판독하여 상기 부정 화소의 크기 및 그 총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은 검출한 상기 부정 화소의 발생 상황 이력을 관리하고, 상기 이력을 부정 화소 발생 정보로서 검출 결과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읽어낸 원고 1 페이지 분의 화상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며, 상기 블록의 전체 영역에서의 검출 결과를 집계하여 백지 원고의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읽어낸 원고 1 페이지 분의 화상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며, 이 검출 결과의 전체 블록 집계분으로부터 예상되는 줄무늬 화상을 산출하고, 상기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연속되는 부정 화소를 상쇄함으로써 본래의 원고 상태를 추정하여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은 상기 원고 판독 작업내의 백지 상황을 원고의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고, 이것을 백지 원고 검출 정보로서 검출 결과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기록 수단은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용지면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화소 검출 수단 및 상기 백지 원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를 상기 확장 제어 수단에 접속되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9. 원고의 판독 등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입력 수단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 특성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가 컬러인 컬러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가 흑백인 흑백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공통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 변환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해상도 변환을 수행하는 라인 스킵 제어 공정과,
    상기 라인 스킵시의 화소 결락을 보정하는 화소 결락 보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21.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화상 판독 공정과,
    화상을 소정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공정과,
    상기 블록 분할 공정에서 분할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을 검출하는 블록내 부정 화소 검출 공정과,
    상기 블록내 화소 검출 공정에서 검출된 각 블록내에 존재하는 부정 화소의 총수와 그 연속량으로부터 예상되는 줄무늬 화상을 산출하고, 상기 줄무늬 화상의 원인이 되는 연속 부정 화소를 상쇄함으로써 본래의 원고 상태를 추정하여 백지 원고인지 줄무늬 화상을 포함한 원고인지를 판별하는 백지 원고 판별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40018956A 2003-03-20 2004-03-19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로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100602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79168A JP2004289496A (ja) 2003-03-20 2003-03-20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JP-P-2003-00079168 2003-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008A KR20040083008A (ko) 2004-09-30
KR100602860B1 true KR100602860B1 (ko) 2006-07-20

Family

ID=3290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56A KR100602860B1 (ko) 2003-03-20 2004-03-19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로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1071B2 (ko)
EP (1) EP1469664B1 (ko)
JP (1) JP2004289496A (ko)
KR (1) KR100602860B1 (ko)
CN (1) CN100394328C (ko)
DE (1) DE60200403006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910A (ja) * 2004-05-19 2006-01-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機能設定方法
JP2006005911A (ja) * 2004-05-19 2006-01-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省エネモード制御方法
JP4626221B2 (ja) * 2004-06-24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27505B2 (ja) * 2004-11-18 2010-08-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20060290948A1 (en) * 2005-06-27 2006-12-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ndesirable output detection in imaging device
CN100490511C (zh) * 2005-10-18 2009-05-20 南靖万利达科技有限公司 可选择扩展功能的平板型电视机
JP2007142759A (ja) * 2005-11-17 2007-06-07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JP4539546B2 (ja) * 2005-12-06 2010-09-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711193B2 (en) * 2006-11-07 2010-05-04 Aol Inc. Recognizing blank and nearly blank images
US8510488B2 (en) * 2007-08-08 2013-08-13 Ricoh Company, Limited Function control apparatus and function control method
JP2009130380A (ja) * 2007-11-19 2009-06-11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72611B2 (ja) * 2008-01-10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93429A (ja) * 2008-02-15 200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JP5305839B2 (ja) * 2008-10-31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US20100214596A1 (en) * 2009-02-26 2010-08-26 Kelvin Hasseler Routing Component Ready Commands
CN101990045B (zh) * 2009-07-29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字图像检测系统及方法
JP2011151687A (ja) * 2010-01-22 2011-08-04 Canon Inc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26027B2 (en) * 2010-03-18 2013-09-0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misaligned page
JP5141713B2 (ja) * 2010-03-31 2013-0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629129B2 (ja) * 2010-06-01 2014-11-19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システム
KR101811755B1 (ko) * 2011-07-15 2018-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838763B2 (ja) * 2011-11-29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2496006B (zh) * 2011-12-05 2013-07-03 北方工业大学 一种空白纸张检测方法
JP5666521B2 (ja) * 2012-07-31 2015-0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975932B2 (ja) 2013-04-24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369599B2 (en) * 2013-05-30 2016-06-1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ading device to remove blank sheet image data
JP6439273B2 (ja) * 2014-04-25 2018-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39508B2 (en) * 2014-06-10 2020-01-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rtable device for colorimetric or fluorometric analysis, and method of conducting colorimetric or fluorometric analysis
WO2016159969A1 (en) * 2015-03-31 2016-10-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rrecting color differences between scanner modules
CN106250050B (zh) 2015-06-10 2021-02-05 恩智浦美国有限公司 用于数据传输中的实时空白页检测的方法和装置
JP6849322B2 (ja) * 2016-06-01 202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6337949B1 (ja) * 2016-12-15 2018-06-0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ジ状領域検出装置およびスジ状領域検出方法
JP6873074B2 (ja) 2018-03-12 2021-05-19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903023B2 (ja) 2018-03-12 2021-07-14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異物検出方法
JP6917926B2 (ja) 2018-03-12 2021-08-11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895914B2 (ja) * 2018-03-12 2021-06-30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705579B (zh) * 2019-04-15 2023-05-23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基于深度学习的复杂多目标集成开关控制板状态校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6464A (ja) 1988-09-30 1990-04-09 Nec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328948A (ja) 1991-04-30 1992-11-17 Ricoh Co Ltd 複合機能付き複写装置
JPH06233062A (ja) 1993-02-04 1994-08-19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US5548664A (en) * 1994-06-29 1996-08-20 Wang Laboratories, Inc. Automatic determination of blank pages and binary images' bounding boxes
US5727083A (en) * 1995-02-23 1998-03-10 Applied Signal Technology, Inc. Correction of errors in facsimile transmissions
JPH09200722A (ja) * 1996-01-22 1997-07-31 Canon Inc 画像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H09321924A (ja) * 1996-05-31 1997-12-12 Mita Ind Co Ltd 多機能画像形成装置
JP3428323B2 (ja) * 1996-10-25 2003-07-22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CN1188912A (zh) * 1997-01-20 1998-07-29 株式会社东芝 图像存储器存取方法、图像形成、保存装置及地址生成方法及装置
JPH10233915A (ja) * 1997-02-17 1998-09-02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3198267B2 (ja) * 1997-04-30 2001-08-13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H1141473A (ja) * 1997-07-15 1999-02-12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と画像記録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3609247B2 (ja) * 1997-12-25 2005-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48633B2 (ja) * 1998-10-16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複写機
JP2000196881A (ja) * 1998-12-28 2000-07-14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0287024A (ja) 1999-03-30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白紙検出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る画像情報処理装置
JP2000316073A (ja) 1999-04-30 2000-11-14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0316063A (ja) * 1999-04-30 2000-11-14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378678A (zh) * 1999-08-16 2002-11-06 马科尼数据系统公司 打印引擎控制系统
JP2001067201A (ja) 1999-08-31 2001-03-16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1320584A (ja) * 2000-05-08 2001-11-1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57901A (ja) 2000-08-14 2002-02-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27388B2 (ja) * 2000-09-27 2007-06-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116665A (ja) * 2000-10-05 2002-04-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359083B2 (en) * 2000-12-06 2008-04-15 Xerox Corporation Excluding unwanted pages in a printing system job
JP2002185704A (ja) * 2000-12-15 2002-06-28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方法
JP2002247371A (ja) * 2001-02-21 2002-08-30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37622B2 (ja) 2001-05-09 2008-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EP1307039A3 (en) * 2001-10-26 2005-09-14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US7199907B2 (en) * 2002-01-18 2007-04-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memory medium and programs
US7312898B2 (en) * 2002-10-31 2007-1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formation of an input image to produce an output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9664A1 (en) 2004-10-20
JP2004289496A (ja) 2004-10-14
US20040233467A1 (en) 2004-11-25
CN100394328C (zh) 2008-06-11
CN1550935A (zh) 2004-12-01
EP1469664B1 (en) 2010-11-17
US7751071B2 (en) 2010-07-06
DE602004030069D1 (de) 2010-12-30
KR20040083008A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860B1 (ko) 화상 재생 장치, 화상 재생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로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US6900909B2 (en) Image processor
JP5247588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80865A1 (en) Image reading unit,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5598271A (en) Control method for a digital copier in a two-sided document copy mode with interrupts
US73397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t least one application function can be added to copying function
US2011007517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2004007585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040109176A1 (en) Printing system and distributed image forming method
JP3964341B2 (ja) 画像再生装置
US2008013714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orming image
US2008023189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7324235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 management of page memory
JP2004112140A (ja) 画像処理装置
US20040258315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071809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6086629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69938B2 (ja) 複数出力の画像形成装置
JP200802208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19989A (ja) データ記憶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4112139A (ja) 画像処理装置
JP3982982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6121438A (ja) 複合機
JP202113804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3037739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