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424B1 -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424B1
KR100558424B1 KR1020040070436A KR20040070436A KR100558424B1 KR 100558424 B1 KR100558424 B1 KR 100558424B1 KR 1020040070436 A KR1020040070436 A KR 1020040070436A KR 20040070436 A KR20040070436 A KR 20040070436A KR 100558424 B1 KR100558424 B1 KR 100558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cushion unit
opening
arm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339A (ko
Inventor
후지타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the shock absorber being connected to the chain-stay via a linkag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05Brakes; Arrangements there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brake elements, e.g. fastening of brake blocks in their hold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의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조립 공수,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
피벗 플레이트(8)에 설치된 피벗 축(11)에 선단측에서 후륜(12)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13)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쿠션 유닛(14)의 상단부를 스윙 아암(13)에 장착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14)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15)를 통해 피벗 축(11)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피벗 플레이트(8)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서, 스윙 아암(13)의 상부에, 쿠션 배치 공간부(H)를 이 스윙 아암(13) 위쪽으로 개방하는 개방부(80A)를 설치하고, 이 개방부(80A) 내에 쿠션 유닛(14)의 기능 부품인 서브 탱크(57) 또는 조정 장치(56)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자동 이륜차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2는 상기 자동 이륜차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스윙 아암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상기 스윙 아암의 상면도,
도 5는 상기 스윙 아암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피벗 플레이트(차체측) 10 :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11 : 피벗 축 12 : 후륜(차륜)
13 : 스윙 아암 14 : 쿠션 유닛
15 : 링크 기구 4O : 어퍼 마운트
56 : 조정 장치 57 : 서브 탱크
80A : 개방부
H : 쿠션 배치 공간부(쿠션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부)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 등의 차량에 이용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 이륜차 등의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중에는, 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축에 선단측에서 차륜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부를 장착하며, 쿠션 유닛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를 통해 피벗 축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예컨대,, 특허문헌1, 2참조). 쿠션 유닛의 상단부를 스윙 아암에 장착하기 위한 어퍼 마운트는 스윙 아암과 별체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 어퍼 마운트의 양측부가 스윙 아암의 좌우 아암부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특허 문헌1〉일본국 특개 2002-68066호 공보
〈특허 문헌2〉일본국 특개 2003-11875호 공보
그러나, 상술과 같은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서는 어퍼 마운트가 스윙 아암의 쿠션 유닛이 배치되는 스페이스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장착되는 관계로, 쿠션 유닛 자체와 그 기능 부품인 서브 탱크나 조정 장치가 별체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들이 쿠션 유닛 자체와 호스 등으로 연결된 상태로 어퍼 마운트의 뒤쪽으로 스윙 아암 상에 고정된다(상기 특허 문헌2). 이것은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도 개선이 요망되는 점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자체의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조립 공수, 중량, 및 비용 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차체측(예컨대, 실시예의 피벗 플레이트(8))의 피벗 축(예컨대, 실시예의 피벗 축(11))에 선단측에서 차륜(예컨대, 실시예의 후륜(12))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13))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쿠션 유닛(예컨대, 실시예의 쿠션 유닛(14))의 상단부를 상기 스윙 아암에 장착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예컨대, 실시예의 링크 기구(15))를 통해 피벗 축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에서, 상기 스윙 아암의 상부에 상기 쿠션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부(예컨대, 실시예의 쿠션 배치 공간부(H))를 이 스윙 아암 위쪽으로 개방하는 개방부(예컨대, 실시예의 개방부(80A))를 설치하고, 이 개방부 내에 쿠션 유닛의 기능 부품인 서브 탱크(예컨대, 실시예의 서브 탱크(57)) 또는 조정 장치(예컨대, 실시예의 조정 장치(56))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체측의 피벗 축보다도 위쪽 부위에 쿠션 하중이 입력되지 않고, 또한 배터리 등의 부품의 집중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되며, 차량의 코너 링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부 내에 배치된 서브 탱크나 조정 장치 등의 기능 부품을 쿠션 유닛 자체와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들이 별체 구성인 경우에 비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쿠션 유닛을 그 상부로부터 기능 부품을 돌출시킨 기존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쿠션 유닛의 기능 부품을 스윙 아암 위쪽으로 돌출 시킴으로써, 차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스윙 아암의 상부에, 상기 쿠션 유닛의 상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어퍼 마운트(예컨대, 실시예의 어퍼 마운트(40))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어퍼 마운트의 뒤쪽으로 상기 개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퍼 마운트가 스윙 아암과 별체 구성인 경우에 비해, 어퍼 마운트를 스윙 아암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 부품이나 결합 부분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어퍼 마운트 뒤쪽의 공간을 개방부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차체측(예컨대, 실시예의 피벗 플레이트(8))의 피벗 축(예컨대, 실시예의 피벗 축(11))에 선단측에서 차륜(예컨대, 실시예의 후륜(12))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13))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쿠션 유닛(예컨대, 실시예의 쿠션 유닛(14))의 상단부를 상기 스윙 아암에 장착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예컨대, 실시예의 링크 기구(15))를 통해 피벗 축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에서, 상기 쿠션 유닛의 상부에 이 쿠션 유닛의 기능 부품인 서브 탱크(예컨대, 실시예의 서브 탱크(57)) 또는 조정 장치(예컨대, 실시예의 조정 장치(56))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하게 차량의 코너 링 성능 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전후 좌우 등의 방향 기재는 차량에서의 방향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1)의 전륜(2)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3)는 스티어링 스템(4)을 통해 차체 프레임(5)의 전단부에 설치된 헤드 파이프(6)에 조타 가능하게 피벗팅된다. 헤드 파이프(6)로부터는 차체 프레임(5)의 메인 프레임(7)이 비스듬한 아래 뒤쪽으로 연장하여, 그 후단부가 아래쪽으로 굴곡하여 피벗 플레이트(8)에 연결된다. 또, 메인 프레임(7)의 뒤 부분으로는 비스듬한 위 뒤쪽으로 연장하는 시트 프레임(9)의 전단부가 접속된다.
그리고, 자동 이륜차(1)의 차체 뒤 부분에는, 피벗 플레이트(8)(차체측)에 설치된 피벗 축(11)에 선단측에서 후륜(차륜)(12)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13)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스윙 아암(13)에 쿠션 유닛(14)의 상단부를 장착하며, 쿠션 유닛(14)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15)를 통해 피벗 축(11)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피벗 플레이트(8)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가 설치된다. 또한, 피벗 축(11)은 후륜(12)의 차축(이하, 후륜 차축이라고 한다.)(16)과 동일하게 차폭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메인 프레임(7)의 위쪽에는 연료 탱크(17)가, 메인 프레임(7)의 아래쪽으로는 수냉식 직렬 4기통형의 엔진(18)이 각각 탑재된다. 또, 연료 탱크(17)의 뒤쪽 에는 운전자용의 시트(19) 및 뒤 부분 탑승자용의 필리온 시트(20)가 설치된다. 피벗 플레이트(8)의 뒤 부분에는 운전자용의 스텝(21)이 장착되고, 시트 프레임(9)의 하부에는 뒤 부분 탑승자용의 스텝(22)이 장착된다.
프론트 포크(3)의 상단부에는 핸들(23)이 장착된다. 프론트 포크(3)의 하단부에는 브레이크 캘리퍼(24)가 장착되고, 전륜(2)에는 브레이크 캘리퍼(24)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로터(25)가 장착되어 프론트 브레이크 장치(26)가 구성된다. 또한, 후륜(12)의 우측에는 전륜(2)의 프론트 브레이크 장치(26)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리어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자동 이륜차(1)의 차체 앞부분은 프론트 카울(27)에 의해 덮여지고, 시트 프레임(9) 주변은 리어 카울(28)에 의해 덮여진다. 후륜(12)의 좌측에는 리어 스프로켓(29)이 장착되고, 이 리어 스프로켓(29)과 엔진(18)의 뒤 부분 좌측에 설치된 드라이브 스프로켓(30)과 드라이브 체인(31)이 감겨져, 엔진(18)의 구동력이 후륜(12)에 전달된다.
엔진(18)의 실린더(32)의 뒤 부분에는 각 기통에 대응하는 스로틀 바디(33)가 접속되고, 각 스로틀 바디(33)는 메인 프레임(7)과 연료 탱크(17)간에 배치된 에어 클리너 케이스(34)에 접속된다. 실린더(32)의 앞부분에는 각 기통에 대응하는 배기관(35)이 접속되고, 각 배기관(35)의 앞부분에는 엔진(18) 냉각용의 라지에이터(38)가 설치된다. 각 배기관(35)은 실린더(32)의 앞벽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만곡한 후에, 크랭크 케이스(36)의 아래쪽에서 모아져 일체의 집합 배기관(35A)이 된다. 그리고, 이 집합 배기관(36A)이 피벗 플레이트(8) 뒤쪽에서 위쪽을 향해 굴곡하여 연장하고, 또한 시트 프레임(9) 근방에서 뒤쪽을 향해 굴곡하며, 시트 프레임(9)에 지지된 사이렌서(37)에 접속된다. 집합 배기관(35A)에서의 시트 프레임(9) 근방의 굴곡부의 뒤쪽 부위에는, 집합 배기관(35A) 내의 유통 면적을 엔진(18)의 회전수에 따라서 변화시켜 배기계의 배기 맥동(脈動)의 제어를 행하는 배기 제어 벨브(39)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13)의 상부이며 피벗 축(11) 근방의 부위에는 어퍼 마운트(40)가 설치되고, 이 어퍼 마운트(40)에 쿠션 유닛(14)의 상단부가 제1 연결축(41)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스윙 아암(13)의 하부이며 어퍼 마운트보다도 뒤에는 로어 브래킷(42)이 설치되어, 이 로어 브래킷(42)에 링크 기구(15)의 링크 아암(43)이 제2 연결축(44)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 기구(15)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각 정점부가 타 부품과의 연결부가 되는 링크 아암(43)과, 대략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링크 로드(45)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로어 브래킷(42)에는 링크 아암(43)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 링크 아암(43)의 후단부에는 링크 로드(45)의 후단부가 제3 연결축(46)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 링크 로드(45)의 전단부가 피벗 플레이트(8)의 하단부 뒤쪽에 설치된 차체측 로어 브래킷(47)에 제4 연결축(48)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링크 아암(43)의 전단부에는, 쿠션 유닛(14)의 하단부가 제5 연결축(49)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각 연결축(41, 44, 46, 48, 49)은 피벗 축(11)과 평행한 축이다.
그리고, 스윙 아암(13)이 피벗 축(11)을 중심으로 후륜 차축(16)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스윙하면, 링크 로드(45)를 통해 차체측에 연결되는 링크 아암(43)이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제3 연결축(46)을 중심으로 도 2에서 우회로 요동하고, 자체의 전단부에 연결된 쿠션 유닛(14)의 하단부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량은 스윙 아암(13)의 스윙에 따르는 쿠션 유닛(14)의 상단부의 위쪽으로의 이동량보다도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결과로서 쿠션 유닛(14)이 그 상하단부를 근접시키도록 스트록한다. 마찬가지로, 스윙 아암(13)이 후륜 차축(16)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스윙하면, 쿠션 유닛(14)이 그 상하단부를 이간시키도록 스트록한다.
쿠션 유닛(14)은 실린더(50)가 상측에서 실린더(50) 내의 피스톤과 함께 스트록하는 피스톤 로드(51)가 하측이 되도록 배치된 도립형의 댐퍼(52)와, 실린더(50)의 상단부 및 피스톤 로드(51)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플랜지부 간에 소정의 초기 하중이 되도록 세트된 스프링(53)을 갖는다. 실린더(50)의 위쪽에는 어퍼 마운트(40)와의 연결부(이하, 상측 연결부라고 한다.)(54)가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51)의 아래쪽에는 링크 아암(43)과의 연결부(이하, 하측 연결부라고 한다.)(55)가 설치된다. 각 연결부(54, 55)는 각각 쿠션 유닛(14)의 상하단부이고, 이들을 근접 이간시키도록 쿠션 유닛(14)이 스트록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스프링(53)의 신축에 변화되는 동시에 댐퍼(52)의 신축에 의해 감쇠되어 완만하게 흡수된다.
여기서, 쿠션 유닛(14)의 상단부가 스윙 아암(13)의 상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피벗 축(11)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피벗 플레이트(8)에 장착됨으로써, 쿠션 유닛(14) 스트로크 시의 쿠션 하중이 차체측의 피벗 축(11)보다도 위쪽 부위에 입력되지 않는다. 또, 쿠션 유닛(14)을 피벗 축(11)보다도 위쪽 위치에서 차체측에 장착시킬 경우에 필요했던 차체 프레임(5)의 크로스 파이프 등을 폐지할 수 있으므로, 피벗 축(11)의 위쪽에 배기 제어 벨브(39)를 포함하는 집합 배기관(35A)이나 도시 생략한 배터리 등의 비교적 대형 부품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린더(50)의 상단부의 뒤쪽에는, 예컨대, 쿠션 유닛(14)의 신장측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56)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조정 장치(56)는 실린더(50)의 상단부 뒤쪽의 부위로부터, 쿠션 유닛(14)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선(C)에 대하여 비스듬한 위 뒤쪽을 향해 돌출한다. 또, 조정 장치(56)의 뒤 부분에는, 실린더(50)의 내부와 연통되어 작동유나 압축 가스 등이 봉입되는 서브 탱크(57)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서브 탱크(57)는 원통 형상의 외관을 이루고, 조정 장치(56)의 뒤 부분에 연결되도록 축선(C)에 대하여 비스듬한 위 뒤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측 연결부(55)에는 예컨대, 쿠션 유닛(14)의 축소 측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하측 조정 장치(58)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스윙 아암(13)의 상부이며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으로는, 후륜(12)의 앞부분 상측을 덮도록 비스듬한 위 뒤쪽으로 연장하는 리어 펜더(59)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 2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는 예컨대, 탑승자(운전자) 한 명이 승차한 1G상태(승차 상태)이고, 이 상태로 후륜 차축(16)은 피벗 축(11)보다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다. 즉, 측면에서 봤을 때, 피벗 축(11)의 중심과 후륜 차축(16)의 중심을 잇는 아암 축선(M)은, 그 뒤쪽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져있다. 또, 쿠션 유닛(14)은 그 축선(C)이 아암 축선(M)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13)은 상기 피벗 축(11)에 니들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피벗 파이프(61)와, 이 피벗 파이프(61)의 양단부 뒤쪽에 전단이 접합되는 좌측 아암부(62) 및 우측 아암부(63)와, 쿠션 유닛(14)과 후륜(12)과의 사이에 각 아암부(62, 63)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64)를 구비한다. 각 아암부(62, 63)는 이들 간에 후륜(12)이 배치되는 관계 상, 스윙 아암(13)의 기단 측(피벗 파이프(61)측)에 대하여 선단측인 후반(後半) 부분에서 좌측 아암부(62)와 우측 아암부(63)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설정된다. 또, 우측 아암부(63)의 피벗 파이프(61) 근방의 부위에는, 그 차폭 방향 외측을 통과하는 집합 배기관(35A)을 피하기 위해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여 이루어지는 만곡 오목부(63a)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 중의 16C는 후륜 차축(16)의 축선을, 11C는 피벗 축(11)의 축 선을 각각 나타낸다.
좌측 아암부(62)는 아암 축선(M)을 따라 연장하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좌측 아암 본체(65)와, 그 후단에 접합되어 후륜 차축을 지지하는 좌측 엔드 피스(66)와, 이 좌측 엔드 피스(66)와 크로스 멤버(64)의 상부와의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서브 파이프(67)와, 서브 파이프(67)의 뒤 부분과 좌측 아암 본체(65)의 뒤 부분을 연결하는 리어 스테이(68)를 갖는다. 크로스 멤버(64)는 그 상부가 좌측 아암 본체(65)의 상면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크로스 멤 버(64) 상면의 뒤 부분 좌측에는 서브 파이프(67)의 전단부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벽(69)이 입설된다. 즉, 서브 파이프(67)의 전단부는 크로스 멤버(64)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브 파이프(67)는 상면에서 봤을 때에 접합벽(69)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뒤 부분으로 연장하면서 만곡하여 좌측 아암 본체(65)와 겹치고, 또한 측면에서 봤을 때에 좌측 아암 본체(65)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뒤쪽을 향해 연장한 후에, 또 비스듬한 밑 뒤쪽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하여 좌측 엔드 피스(66)의 상면에 마주치게 되어 이것과 접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측 아암부(63)는 알루미늄 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부재로부터 구성되는 우측 아암 본체(70)와, 그 후단에 접합되어 후륜 차축(16)을 지지하는 우측 엔드 피스(71)를 갖는다. 또한, 우측 엔드 피스(71)는 좌측 엔드 피스(66)와 좌우가 모양이 다른 대상의 부재이다. 우측 아암 본체(70)는, 그 상면이 크로스 멤버(64)의 상면과 대략 면일하게 되도록 좌측 아암 본체(65)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는 동시에, 그 임의의 개소에는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스윙 아암(13) 전체의 강성 밸런스를 조정하고 있다.
크로스 멤버(64)는 알루미늄 주조품이고,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양 아암부(62, 63)에 가설된다(도 3, 도 5 참조).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64)의 뒤 부분은 후륜(12)의 외주 형상을 따르도록 상면에서 봤을 때에 만곡한다. 크로스 멤버(64)의 전단부이며 양 아암부(62, 63) 근방의 부위는, 각 아암부(62, 63)의 차폭 방향 내측의 면을 따르도록 피벗 파이프(61) 측을 향해 연출(延出)되고, 이들 각 연출 부분의 상부에는, 각각 좌 측 마운트 부재(73) 및 우측 마운트 부재(7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각 마운트 부재(73, 74)는 쌍을 이루면서 어퍼 마운트(40)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마운트 부재(73, 74)는 측면에서 봤을 때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산형(山形)을 이루는 좌측 베이스부(75) 및 우측 베이스부(76)와, 이들 각 베이스부(75, 76)의 정점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축(41)을 관통시키는 좌측 보스부(77) 및 우측 보스부(78)를 갖는다. 또,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베이스부(75, 76)는 그 정점부 측에 위치할수록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근접한 양 보스부(77, 78)간에 쿠션 유닛(14)의 상측 연결부(54)가 배치된다. 여기서, 스윙 아암(13)의 피벗 파이프(61), 좌측 및 우측 아암부(62, 63)의 앞부분 및 크로스 멤버(64)로 둘러싸이는 부위는 쿠션 유닛(14)이 배치되는 쿠션 배치 공간부(쿠션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부)(H)이고, 각 마운트 부재(73, 74)로 이루어지는 어퍼 마운트(40)는 쿠션 배치 공간부(H)를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퍼 마운트(40)의 뒤 부분에는, 양 베이스부(75, 76)의 뒤 가장자리와 크로스 멤버(64)의 상부 앞 가장자리로 둘러싸인 개구부(80)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80)는, 스윙 아암(13)의 쿠션 배치 공간부(H)를, 스윙 아암(13) 위쪽이며 측면에서 봤을 때에 리어 펜더(59)와 시트 프레임(9)에 끼워진 위쪽 공간부(K)(도 2 참조)에 연통시킨다. 그리고,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에는, 전후 방향에서 어퍼 마운트(40) 뒤 부분과 그 뒤 부분에 위치하는 서브 파이프(67)의 전단부에 끼워진 범위이며, 차폭 방향에서는 좌측 및 우측 아암부(62, 63)의 각 앞부분에 끼워진 범위 에, 쿠션 배치 공간부(H)를 스윙 아암(13) 위쪽(크로스 멤버(64)의 바로 위 부위)으로 개방시키는 개방부(80A)가 설치된다. 이 개방부(80A) 내에는 조정 장치(56)가 배치되고, 또한 이것에 연결되는 서브 탱크(57)가 개방부(80A)를 통과하여 위쪽 공간부(K) 내에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에는, 조정 장치(56) 및 서브 탱크(57)를 배치하는 또는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부(80A)가 확보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 유닛(14)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정 장치(56)의 차폭 방향에서의 폭 및 서브 탱크(57)의 외경은, 댐퍼(52)의 실린더(50)의 외경과 대략 동일시되어, 상측 연결부(54)의 차폭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넓게된다. 그리고, 실린더(50)의 상단부 뒤쪽에 연결 설치되는 조정 장치(56) 및 서브 탱크(57)가, 개구부(80)를 통해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으로 설치되는 개방부(80) 내, 또는 이 개방부(80)를 통과하여 위쪽 공간부(K) 내에 배치된다(도 2참조). 여기서, 도 4를 더불어 참조하여 설명하면, 개구부(80)는 위쪽에 위치할수록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경사된 어퍼 마운트(40)의 후 벽 부분에 형성되는 관계로, 뒤쪽 및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차폭 방향에서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가 작동하였을 시의 스윙 아암(13)과 쿠션 유닛(14)과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쉽게 되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피벗 플레이트(8)에 설치된 피벗 축(11)에 선단측에서 후륜(12)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13)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스윙 아암(13)에 쿠션 유닛(14)의 상단부를 장착하며, 이 쿠션 유닛(14)의 하단 부를 링크 기구(15)를 통해 피벗 축(11)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피벗 플레이트(8)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에서, 스윙 아암(13)의 상부에, 쿠션 배치 공간부(H)를 이 스윙 아암(13) 위쪽의 위쪽 공간부(K)에 개방하는 개방부(80A)를 설치하고, 이 개방부(80A) 내에 쿠션 유닛(14)의 기능 부품인 조정 장치(56)를 배치하는 동시에 서브 탱크(57)를 위쪽 공간부(K) 내에 배치함으로써, 피벗 플레이트(8)(차체측)의 피벗 축(11)보다도 위쪽 부위에 쿠션 하중이 입력되지 않고, 또한 집합 배기관(35A)이나 배터리 등의 부품의 집중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되어, 자동 이륜차(1)의 코너 링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부(80A) 내에 배치된 조정 장치나 위쪽 공간부(K) 내에 배치된 서브 탱크를 쿠션 유닛(14) 자체와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들이 별체 구성인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 자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쿠션 유닛(14)이 그 상부로부터 기능 부품을 돌출시킨 구성이 됨으로써, 기존의 쿠션 유닛의 유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쿠션 유닛(14)의 기능 부품을 스윙 아암(13) 위쪽의 위쪽 공간부(K) 내에 돌출시킴으로써, 특히 스윙 아암(13) 위쪽으로 돌출하는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차체 설계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13)의 상부에 쿠션 유닛(14)의 상측 연결부(54)를 장착하기 위한 어퍼 마운트(40)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에 개방부(80A)를 설치함으로써, 어퍼 마운트(40)가 스윙 아암(13)과 별체 구성인 경우에 비해 어퍼 마운트(40)를 스윙 아암(13)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 부품이나 결합 부분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 자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퍼 마운트(40)의 뒤쪽에 조정 장치(56) 및 서브 탱크(57)를 배치하기 위한 또는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부(80A)가 확보되는 것으로부터, 스윙 아암(13) 아래쪽으로부터 그 위쪽으로 배치되는 사이렌서(37)를 향해 집합 배기관(35A)을 연장하는 구성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쿠션 유닛(14)에는 조정 장치(56) 또는 서브 탱크(57) 중의 어느 한쪽만 설치된 구성이라도 된다. 또, 서브 탱크(57)도 개방부(80A) 내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엔진(18)의 뒤 부분에 피벗 축 및 링크 장착부를 설치하고, 그 피벗 축 및 링크 장착부에 스윙 아암(13) 및 링크 기구(15)를 각각 장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5)(피벗 플레이트(8)) 또는 엔진(18)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스윙 아암(13) 및 링크 기구(15)가 장착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피벗 플레이트(8)가 차체 프레임(5)과 별체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은 일례이고, 이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코너 링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것 과 더불어, 서브 탱크나 조정 장치의 장착용 부품 등을 없앰으로써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존의 쿠션 유닛의 유용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의 유효한 이용에 의한 차체 설계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어퍼 마운트의 장착용 부품 등을 없앰으로써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어퍼 마운트 뒤쪽의 공간을 개방부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마찬가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자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차체측의 피벗 축에 선단측에서 차륜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쿠션 유닛의 상단부를 상기 스윙 아암에 장착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를 통해 피벗 축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의 상부에 상기 쿠션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부를 이 스윙 아암 위쪽으로 개방하는 개방부를 설치하고, 이 개방부 내에 쿠션 유닛의 기능 부품인 서브 탱크 또는 조정 장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의 상부에, 상기 쿠션 유닛의 상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어퍼 마운트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어퍼 마운트의 뒤쪽에 상기 개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3. 차체측의 피벗 축에 선단측에서 차륜을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의 기단부를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고, 쿠션 유닛의 상단부를 상기 스윙 아암에 장착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의 하단부를 링크 기구를 통해 피벗 축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의 상부에, 이 쿠션 유닛의 기능 부품인 서브 탱크 또는 조정 장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KR1020040070436A 2003-09-09 2004-09-03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KR100558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7304 2003-09-09
JP2003317304A JP4130395B2 (ja) 2003-09-09 2003-09-09 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339A KR20050026339A (ko) 2005-03-15
KR100558424B1 true KR100558424B1 (ko) 2006-03-07

Family

ID=3413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436A KR100558424B1 (ko) 2003-09-09 2004-09-03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59566B2 (ko)
EP (1) EP1514787B1 (ko)
JP (1) JP4130395B2 (ko)
KR (1) KR100558424B1 (ko)
CN (1) CN100564148C (ko)
BR (1) BRPI0403727B1 (ko)
DE (1) DE602004000473T2 (ko)
MX (1) MXPA04008525A (ko)
TW (1) TWI2457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513A (zh) * 2018-01-25 2019-08-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鞍乘型车辆的缓冲连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772B2 (en) * 2003-02-20 2009-01-06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installing rear cushion
JP2007153254A (ja) * 2005-12-08 2007-06-21 Toyota Motor Corp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4921801B2 (ja) * 2006-02-01 2012-04-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4928964B2 (ja) 2007-01-30 201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2009196410A (ja) * 2008-02-19 2009-09-03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492491B2 (ja) 2009-08-10 2014-05-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ES1072680Y (es) * 2010-06-09 2010-12-28 Creixell Jose Luis Belil Motocicleta
EP2716536B1 (en) * 2011-05-31 2015-12-30 Honda Motor Co., Ltd. Two-wheeled motor vehicle
EP2799325B1 (en) * 2011-12-28 2016-08-2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two-wheeled vehicle
JP5964711B2 (ja) * 2012-09-27 2016-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輪懸架装置
JP2014181007A (ja) * 2013-03-21 2014-09-29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6131787B2 (ja) * 2013-09-03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6009503B2 (ja) * 2014-07-31 2016-10-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リンク機構保護構造
CN105501373B (zh) * 2016-01-29 2017-05-31 深圳市欣力通科技有限公司 三轮滑板车后轮装配结构
JP6492133B2 (ja) * 2017-07-31 2019-03-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TWI739394B (zh) * 2020-04-16 2021-09-1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機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887A (ja) * 1994-09-13 1996-03-26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3773608B2 (ja) * 1996-08-23 2006-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車体構造
JP4405001B2 (ja) * 1999-08-31 2010-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ンジン支持構造
JP4364362B2 (ja) * 1999-09-05 2009-1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フレーム構造
JP3768788B2 (ja) 2000-09-05 2006-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3901954B2 (ja) * 2001-04-04 2007-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4627386B2 (ja) * 2001-07-03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4108513B2 (ja) * 2003-03-19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構造及びホイール組付け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513A (zh) * 2018-01-25 2019-08-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鞍乘型车辆的缓冲连杆
US11325316B2 (en) 2018-01-25 2022-05-10 Honda Motor Co., Ltd. Cushion connecting rod of saddl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4787A1 (en) 2005-03-16
CN1594020A (zh) 2005-03-16
JP4130395B2 (ja) 2008-08-06
KR20050026339A (ko) 2005-03-15
TW200516026A (en) 2005-05-16
EP1514787B1 (en) 2006-03-15
US20050087947A1 (en) 2005-04-28
TWI245723B (en) 2005-12-21
BRPI0403727B1 (pt) 2015-05-26
BRPI0403727A (pt) 2005-05-03
CN100564148C (zh) 2009-12-02
DE602004000473T2 (de) 2006-10-05
MXPA04008525A (es) 2005-03-10
DE602004000473D1 (de) 2006-05-11
JP2005082040A (ja) 2005-03-31
US7559566B2 (en)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424B1 (ko)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US7364010B2 (en) Exhaust system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luding same
US7490688B2 (en) Motorcycle frame
US7690661B2 (en) Suspension structure with improved shock absorber arrangement,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JP4545624B2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取り付け構造
JP4291184B2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EP1186526A2 (en) Engine mounting structure in motorcycle
KR20050031878A (ko) 자동이륜차의 배기 제어장치
JP2019018758A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JP3595088B2 (ja) 自動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支持構造
JPH09123973A (ja) 自動二輪車
JP2829327B2 (ja) 自動二輪車
JP5174578B2 (ja) 自動二輪車
JP5046559B2 (ja) 自動二輪車
JP4058468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5091797B2 (ja) 自動二輪車の後部構造
JP4129918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4353471B2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を備える車両
JP4240592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070015028A (ko)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JP5703074B2 (ja) 鞍乗り型車両
JP4036972B2 (ja) 自動2輪車の前輪懸架装置
JPS58105886A (ja) 二輪車の後輪緩衝装置
KR100801130B1 (ko) 저상식 차량
JP5595310B2 (ja) 鞍乗り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