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028A -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028A
KR20070015028A KR1020060070729A KR20060070729A KR20070015028A KR 20070015028 A KR20070015028 A KR 20070015028A KR 1020060070729 A KR1020060070729 A KR 1020060070729A KR 20060070729 A KR20060070729 A KR 20060070729A KR 20070015028 A KR20070015028 A KR 2007001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cushion unit
arm
sw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488B1 (ko
Inventor
치카시 이즈카
타다유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the shock absorber being connected to the chain-stay via a linkag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0Joints between frame members welded, soldered, or braz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자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여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 이륜차의 차체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 아암(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25) 사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30)과 스윙 아암(25) 사이에 이 스윙 아암(25)의 요동 변위를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31)를 설치하였다.
이륜차, 현가 장치, 스윙 아암, 쿠션 유닛, 링크 기구

Description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자동 이륜차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전측부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의 전측부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 이륜차
9: 후륜(차륜)
18: 변속기 케이스(차체)
25, 125: 스윙 아암
27, 127: 좌 아암 부재
28, 128: 우 아암 부재
28b: 만곡부
29, 129: 크로스 멤버
30: 쿠션 유닛
31: 링크 기구(작용 방향 변환 기구)
32, 132: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36: 드라이브 체인(동력 전달띠)
80: 벨 크랭크
90: 링크 부재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적합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서 스윙 아암의 전측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쿠션 유닛을 배치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부를 스윙 아암의 하부에 부착하는 한편, 쿠션 유닛의 상부는 스윙 아암의 상부에 상부 링크를 통해 부착하며, 상부 링크와 차체에서의 스윙 아암 피봇의 아래쪽을 링크 부재로 연결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링크 부재는 쿠션 유닛을 따라 스윙 아암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6154호 공보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는 링크 기구를 이용한 혁신적인 감쇠를 가능하게 하면서, 스윙 아암, 쿠션 유닛, 및 링크 기구를 유닛화함으로써 차체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한 것이지만, 장치 자체의 쿠션 유닛 주위의 상하 두께 및 전후 길이가 증가되기 쉽고, 또한 스윙 아암과 링크 부재와의 틈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어 주변 부품의 레이 아웃 자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 자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여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자동 이륜차[예컨대 실시예의 자동 이륜차(1)]의 차체[예컨대 실시예의 변속기 케이스(18)]에 차륜[예컨대 실시예의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25, 1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 아암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예컨대 실시예의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 사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 132)]에서, 상기 쿠션 유닛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과 스윙 아암 사이에 이 스윙 아암의 요동 변위를 상기 쿠션 유닛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작용 방향 변환 기구[예컨대 실시예의 링크 기구(3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쿠션 유닛을 차량 전후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스윙 아암의 좌우 폭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가 링크 부재[예컨대 실시예의 링크 부재(90)]와 벨 크랭크[예컨대 실시예의 벨 크랭크(80)]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25)]이 좌우 아암 부재[예컨대 실시예의 좌우 아암 부재(27,28)]를 크로스 멤버[예컨대 실시예의 크로스 멤버(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크로스 멤버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좌우 아암 부재의 한쪽[예컨대 실시예의 좌 아암 부재(27)]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그 주위에는 상기 차체측 엔진과 차륜 사이에 걸치는 동력 전달 띠[예컨대 실시예의 드라이브 체인(36)]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 아암 부재의 다른쪽[예컨대 실시예의 우 아암 부재(28)]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하는 갈매기 형상이 되며, 상기 쿠션 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한쪽 아암 부재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쿠션 유닛의 타단부가 상기 다른쪽 아암 부재의 만곡부[예컨대 실시예의 만곡부(28b)] 내주측에서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스윙 아암[예컨대 실시예의 스윙 아암(125)]이 좌우 아암 부재[예컨대 실시예의 좌우 아암 부재(127, 128)]를 크로스 멤버[예컨대 실시예의 크로스 멤버(1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크로스 멤버의 내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쿠션 유닛의 상하 폭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스윙 아암의 상하 폭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의 전후 좌우 등의 방향은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차량의 방향과 동일하게 한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을, 화살표 LH는 차량 좌측을, 화살표 UP는 차량 위쪽을 각각 도시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자동 이륜차(1)는 승무원용 발판부인 저상(低床)부(2)를 갖는 스쿠터형 차량이며, 그 전륜(3)은 좌우 프론트 포크(4)에 피봇 지지되고, 각 프론트 포크(4)는 핸들 스템(5)을 통해 차체 프레임(6)의 전단 상부의 헤드 파이프(7)로 조향 가능하게 피봇지지 되며, 핸들 스템(5)의 상부에는 전향용 핸들(8)이 부착된다.
차체 프레임(6)은 복수 종의 강재를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 파이프(7)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11)과, 다운 프레임(11)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저상부(2) 내측 엔진(15)의 위쪽을 통과하는 메인 프레임(12)과, 메인 프레임(12)의 후측부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 프레임(13)을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자동 이륜차(1)의 원동기인 상기 엔진(15)은, 예컨대 수냉식 4-스트로크 단 기통 엔진이며, 크랭크축을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크랭크 케이스(16)의 전단부로부터 대략 전방에 실린더(17)를 세워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크랭크 케이스(16)의 후방에는 변속기 케이스(18)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에는 후륜(차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의 전단부가 좌우 방향을 따른 피봇 축(26)을 통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스윙 아암(25)은, 좌우의 아암 부재(27, 28)의 전측부 내측을 크로스 멤버(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그 후단부에 후륜(9)이 피봇 지지된다. 크로스 멤버(29) 바로 아래쪽에는 후륜(9)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감쇠)하는 쿠션 유닛(30)이 배치된다. 쿠션 유닛(30)은 완충용 코일 스프링(30a) 및 그 내측에 배치되는 튜브식 댐퍼(30b)로 이루어지고(도 3 참조), 그 길이 방향(스트로크 방향)을 차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하여 배치된다. 이 쿠션 유닛(30)에 스윙 아암(25)의 상하 요동 변위가 링크 기구(작용 방향 변환 기구)(31)를 통해 좌우 변위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이들 스윙 아암(25), 쿠션 유닛(30), 및 링크 기구(31)를 주로 하여 자동 이륜차(1)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가 구성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18) 내에는 크랭크 샤프트와 동축 배치된 드라이브 풀리(21)와, 크랭크 샤프트 후방의 전동축과 동축 배치된 드리븐 풀리(22)와, 이들 양 풀리에 감긴 무단형 드라이브 벨트(23)를 주로 하는 무단 변속기(20)가 수용된다. 이 무단 변속기(20)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동력이 무단계로 변속되면서, 원심 클러치(도시 생략) 및 최종 감속 기구(76)(도 3 참조)를 통한 후,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 좌측의 드라이브 스프로킷(34)에 출력된다.
드라이브 스프로킷(34)과 후륜(9) 좌측의 드리븐 스프로킷(35)에는 무단형 드라이브 체인(동력 전달 띠)(36)이 감기고, 이 드라이브 체인(36)을 통해 엔진(15)과 후륜(9) 사이에서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브 스프로킷(34)은 스윙 아암(25)의 피봇 축(26)과 동축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17a)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39)가 배치되고, 라디에이터(39)의 위쪽에는 에어클리너 케이스(40)가 배치되며, 이 에어클리너 케이스(40) 후측부에 접속된 스로틀 보디(41)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관(42)이 실린더 헤드(17a) 상부의 흡기 포트에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17a) 하부의 배기 포트에는 배기관(43)이 접속되고, 이 배기관(43)이 실린더 헤드(17a) 아래쪽에서 만곡하여 크랭크 케이스(16)의 아래쪽을 후방을 향해 통과시킨 후, 엔진(15) 후방에서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상승하여 차체 후측부 우측에 배치된 소음기(44)에 접속된다.
차체 프레임(6) 및 엔진(15)은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46)로 덮혀 있다. 차체 커버(46)는 헤드 파이프(7)의 전방으로부터 양측에 걸치는 범위를 덮는 프론트 카울(47)과, 헤드 파이프(7)의 후방을 덮는 내측 커버(48)와, 프론트 카울(47)의 아래쪽으로 연속하여 엔진(15)의 하측부 양측을 덮는 언더 카울(49)과, 내측 커버(48)의 아래쪽에 연속하여 엔진(15) 상부를 덮는 플로어 커버(50)와, 시트(53)의 아래쪽 양측에 설치되어 차체 후측부 양측을 덮는 리어사이드 커버(51)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시트 프레임(13) 및 리어사이드 커버(51)에는 운전자용 전 시트부와 후측부 탑승자용 후 시트부를 일체로 설치한 시트(53)가 지지된다. 이 시트(53)는 그 전단부의 힌지 축(5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전 시트부 아래쪽의 물품 수용 박스(55)를 개폐하는 동시에, 후 시트부 아래쪽 연료 탱크(56)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물품 수용 박스(55)는 그 전측부가 크랭크 케이스(16)의 후측부 위쪽에, 후측부가 스윙 아암(25)의 전측부 위쪽에 위치하고, 그 바닥부의 후측은 스윙 아암(25)의 요동시에서의 간극을 확보하도록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6)에서의 다운 프레임(11)은, 헤드 파이프(7)의 상부로부터 좌우에 분기되어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다운 파이프(58)와, 헤드 파이프(7)의 하부로부터 좌우에 분기되어 상부 다운 파이프(58)보다 약간 급경사로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다운 파이프(59)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헤드 파이프(7)의 하부와 상부 다운 파이프(58)의 상부 중간부 사이에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거싯 파이프(60)가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 거싯 파이프(60)를 통해 하부 다운 파이프(59)의 상단부가 헤드 파이프(7)의 하부에 접합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61은 하부 다운 파이브(59)의 상부, 거싯 파이프(60)의 전측부, 및 헤드 파이프(7)의 하부에 걸치는 거싯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하부 다운 파이프(59)의 아래쪽에는 동일하게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 엔진 행거 브래킷(62)이 연속해 있고, 이 전 엔진 행거 브래킷(62)의 하단부에는 전측부 하측 엔진 행거(63)가 체결되며, 이 전측부 하측 엔진 행거(63)의 후단부가 엔진(15)의 크랭크 케이스(16)의 전측부 하측에 체결되어 이것을 지지한 다.
메인 프레임(12)은 좌우 상부 다운 파이프(58) 및 하부 다운 파이프(59)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65)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파이프(65)는 차체 중앙부로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그 중간부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약간 만곡하여 설치된다. 이 메인 파이프(65)의 전단부가 하부 다운 파이프(59)의 하부에 후방으로부터 접합되는 동시에, 그 전측부에는 상부 다운 파이프(58)의 하단부가 위쪽으로부터 접합된다.
메인 파이프(65)[메인 프레임(12)]는 엔진(15)의 실린더 헤드(17a) 위쪽으로부터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의 스윙 아암 피봇 지지부(18a) 위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메인 파이프(65)의 후단부에는 이에 연속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 엔진 행거브 래킷(66)이 설치된다. 이 후 엔진 행거 브래킷(66)의 하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후측부 상측 엔진 행거(67)가 설치되고, 이 후측부 상측 엔진 행거(67)의 하단부가 변속기 케이스(18)의 후측부 상측에 연결되어 이것을 지지한다.
또한, 메인 파이프(65)의 전측부로서 상부 다운 파이프(58)와의 접합부에는 전측부 상측 엔진 행거(68)가 체결되고, 이 전측부 상측 엔진 행거(68)의 하단부가 엔진(15)의 크랭크 케이스(16)의 전측부 상측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한다. 이 전측부 상측 엔진 행거(68) 및 상기 각 엔진 행거(63, 67)를 이용하고, 엔진(15)이 차체 프레임(6)에 현가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13)은 좌우 메인 파이프(65)의 만곡부 근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시트 파이프(70)와, 좌우 메인 파이프(65)의 후단부 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리어 파이프(71)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시트 파이프(70)는 그 중간부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비스듬히 전방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설치되고, 또한 그 후단부가 연속됨으로써 좌우 일체로 설치된다. 이 시트 파이프(70)의 후측부와 리어 파이프(71)의 후측부는 리어사이드 플레이트(72)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시트 파이프(70)의 굴곡부에는 메인 파이프(65)의 후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후방에 급경사로 연장되는 리어 거싯 파이프(73)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부터 접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는 차체측인 엔진(15)의 변속기 케이스(18)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의 전단부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의 일측을 스윙 아암(25)에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을 링크 기구(31)를 통해 엔진(15)의 후단부 하측[피봇 축(26)보다 하측]에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내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는 무단 변속기(20)의 출력을 감속하는 리덕션 기어 쌍으로서의 최종 감속 기구(76)가 수용된다.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좌측에는 스윙 아암(25)의 좌 아암 부재(27)의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원통형의 좌 피봇 축(26L)이 돌출 설치되는 한편,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우측에는 스윙 아암(25)의 우 아암 부재(28)의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우 피봇 축(26R)이 고정된다.
좌 피봇 축(26L) 내에는 최종 감속 기구(76)의 출력축(엔진 출력축)(77)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이 출력축(77)의 차폭 방향 내측[변속기 케이스(18) 내에의 돌출 부분]에는 최종 감속 기구(76)의 최종 전동 부재인 파이널 기어(78)가 부착되며, 차폭 방향 외측[변속기 케이스(18) 외에의 돌출 부분]에는 상기 드라이브 스프로킷(34)이 부착된다. 이 출력축(77)[나아가서는 좌 피봇 축(26L)]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가 홀더(37)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좌측에 지지되어 있다.
좌 아암 부재(27)의 후단부와 그 차폭 방향 내측의 후륜(9)의 허브부 사이에는 상기 드리븐 스프로킷(35)이 배치되고, 이 드리븐 스프로킷(35)과 좌 아암 부재(27) 전단부의 차폭 방향 외측의 드라이브 스프로킷(34)에 상기 드라이브 체인(36)이 감긴다. 이로 인해, 스윙 아암의 평면에서 봤을 때 좌 아암 부재(27)는 그 선단부인 좌 피봇 삽입 관통부(27a)의 후방에서 드라이브 체인(36)을 피하도록 차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후, 드리븐 스프로킷(35)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륜(9) 좌측을 피봇 지지한다. 한편, 우 아암 부재(28)는 그 선단부인 우 피봇 삽입 관통부(28a)로부터 거의 직선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륜(9) 우측을 피봇 지지한다.
또한, 스윙 아암의 측면에서 봤을 때는 좌 아암 부재(27)는 좌 피봇 삽입 관통부(27a)로부터 후륜(9)의 차축 위치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브 체인(36)을 통해 좌 아암 부재(27)에 입력되는 압축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우 아암 부재(28)는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와 후륜(9) 전단부 사이(자신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앞 근처)에 위치하는 부위를 위쪽으로 돌 출시키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한 소위 갈매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 아암 부재(28)에서의 변속기 케이스(18)와 후륜(9) 사이에 위치하는 만곡부(28b)의 차폭 방향 내측에는 좌우 아암 부재(27, 28)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29)가 배치된다. 이 크로스 멤버(29)는 그 우단부를 만곡부(28b)의 차폭 방향 내측에 결합하고, 스윙 아암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부(28b)와 대개 중복되는 형상인 채로 좌 아암 부재(27) 근방까지 연장된 후, 아래쪽으로 서서히 변화되어 좌 아암 부재(27)의 전측부 차폭 방향 내측에 좌단부를 결합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29)는 좌우 아암 부재(27, 28)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 구조물이 되고, 그 양단부는 좌우 아암 부재(27, 28)와의 결합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도록 스윙 아암의 평면에서 봤을 때 특히 후측을 만곡시켜 후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점차 퍼져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쿠션 유닛(30)은 변속기 케이스(18)와 후륜(9) 사이로서 스윙 아암(25)의 크로스 멤버(29) 바로 아래쪽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그 좌단부가 스윙 아암(25)의 좌 아암 부재(27)의 차폭 방향 내측에 맞닿도록 하여 부착되는 동시에, 우단부가 링크 기구(31)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하측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쿠션 유닛(30)의 전체 길이는 대개 스윙 아암(25)의 좌우 폭 내에 수용되고 있다.
이러한 쿠션 유닛(30)의 우단부에 후륜(9)의 상하 운동, 즉 스윙 아암(25)의 상하 요동 변위를 링크 기구(31)를 통해 좌우의 변위로 변환하여 입력함으로써, 쿠 션 유닛(30)이 스트로크하여 후륜(9)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코일 스프링(30a)의 신축에 변화되는 동시에 댐퍼(30b)의 신축에 의해 감쇠되어 서서히 흡수된다.
링크 기구(31)는 스윙 아암(2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벨 크랭크(80)와, 이 벨 크랭크(80)와 변속기 케이스(18) 사이에 걸치는 링크 부재(90)를 포함해 이루어진다.
벨 크랭크(80)는 우 아암 부재(28)에서의 우 피봇 삽입 관통부(28a)의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에 형성된 벨 크랭크 지지부(28c)에 피봇 지지되는 것으로, 상측만큼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요동축(81)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된다.
벨 크랭크(80)는 상기 요동축(81)이 삽입 관통되는 축 삽입 관통부(82)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이면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83)와, 축 삽입 관통부(82)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이면서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84)를 갖는다. 각 아암부(83, 84)는 요동축(81)을 따른 평면에서 봤을 때 대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2 아암부(84)는 제1 아암부(83)보다 길게 설치된다.
제1 아암부(83)의 선단부인 제1 연결부(85)에는 앞이 내려가게 경사지는 링크 부재(90)의 후단부가 상기 요동축(81)과 평행한 제1 연결축(87)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2 아암부(84)의 선단부인 제2 연결부(86)에는 쿠션 유닛(30)의 우단부가 상기 요동축(81)과 평행한 제2 연결축(88)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아암부(84) 및 쿠션 유닛(30)의 우단부는 우 아암 부재(28)의 만곡부(28b)의 내주측(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우 아암 부재(28)는 쿠션 유닛(30) 및 벨 크랭크(80)를 피하도록 갈매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에서 쿠션 유닛(30)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좌 아암 부재(27)의 상하 폭 내에 수용되고, 또한 벨 크랭크(80)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좌 아암 부재(27)의 상하 폭 내에 대개 수용되고 있다.
링크 부재(90)의 전단부는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하측[피봇 축(26)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아암 연결부(90a)에 차폭 방향과 평행한 아암 연결축(90b)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후륜(9)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스윙 아암(25)이 상하로 요동하면 차체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9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벨 크랭크(80)가 요동축(81)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쿠션 유닛(30)을 스트로크시킨다. 또한, 링크 부재(90)의 전후 단부는 제1 연결부(85) 및 아암 연결축(90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시의 반력(쿠션 하중)을 받는 링크 부재(90)가 차체측에서의 피봇 축(26)보다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피봇 축(26)의 위쪽에 쿠션 하중을 받는 프레임 부재 등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쿠션 유닛(30)을 그 길이 방향을 차폭 방향에 따르게 하여 스윙 아암(25)의 크로스 멤버(29)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이 쿠션 유닛(30)을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이나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한 경우에 비해, 스윙 아암 현가 장치의 쿠션 유닛(30) 주위의 전후 길이 및 상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의 요동 스페이스가 확보하기 쉬워지고, 그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자동 이륜차(1)와 같이 시트(53) 아래에 대형 물품 수용 박스(55)를 갖는 차량에서는 이 물품 수용 박스(55)의 용적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는 자동 이륜차(1)의 차체[변속기 케이스(18)]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5)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 아암(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25) 사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30)과 스윙 아암(25) 사이에 이 스윙 아암(25)의 요동 변위를 쿠션 유닛(30)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31)를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쿠션 유닛(30)을 좌우로 연장시켜 스윙 아암(25)의 상하 요동에 따라 링크 기구(31)를 통해 스트로크 시킴으로써, 쿠션 유닛(30)을 상하나 전후로 연장시키는 경우에 비해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나 전후 길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시트(53) 아래에 대형 물품 수용 스페이스를 갖는 자동 이륜차(1)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쿠션 유닛(30)을 차량 전후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으로 장치 자체의 전후 길이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쿠션 유닛(30)을 스윙 아 암(25)의 좌우 폭 내에 배치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좌우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링크 기구(31)가 링크 부재(90)와 벨 크랭크(80)를 연결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 링크 기구(31)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스윙 아암(25)이 좌우 아암 부재(27, 28)를 크로스 멤버(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쿠션 유닛(30)을 크로스 멤버(29)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스윙 아암(25)에서의 크로스 멤버(29) 근방의 강성이 높은 부위에 쿠션 유닛(30)이 배치되며, 이 쿠션 유닛(30)의 부착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는 좌 아암 부재(27)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그 주위에는 차체측의 엔진(15)과 후륜(9) 사이에 걸치는 드라이브 체인(36)이 배치되는 한편, 우 아암 부재(28)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하는 갈매기 형상이 되고, 쿠션 유닛(30)의 좌단부가 좌 아암 부재(27)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쿠션 유닛(30)의 우단부가 우 아암 부재(28)의 만곡부(28b) 내주측에서 링크 기구(31)에 부착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을 이루는 좌 아암 부재(27)로부터 갈매기 형상을 이루는 우 아암 부재(28)에 걸쳐 쿠션 유닛(30)이 배치되고, 우 아암 부재(28b)의 만곡부(28b) 내주측에서 쿠션 유닛(30)과 링크 기구(31)가 연결됨으로써, 스윙 아암(25)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30)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장치 자체를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2)에서는 쿠션 유닛(30) 및 벨 크랭크(80)의 상하 폭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스윙 아암(25)의 좌 아암 부재(27)의 상하 폭 이내로 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고,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스윙 아암의 좌우 아암 부재를 모두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하고, 이들 좌우 아암 부재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 내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을 배치한 점이 주로 다른 것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32)는 차체측인 엔진(15)의 변속기 케이스(18)에 후륜(9)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125)의 전단부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125)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30)의 일측을 스윙 아암(125)에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을 링크 기구(31)를 통해 엔진(15)의 후단부 하측에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윙 아암(125)은 좌우의 아암 부재(127, 128)의 전측부 내측을 크로스 멤버(129)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좌 아암 부재(127)의 선단부[좌 피봇 삽입 관통부(127a)]는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 좌측의 좌 피봇 축(26L)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한편, 우 아암 부재(128)의 선단 부[우 피봇 삽입 관통부(128a)]는 변속기 케이스(18) 후단부 우측의 우 피봇 축(26R)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이들 좌우 아암 부재(127, 128)는 스윙 아암의 평면에서 봤을 때 및 측면에서 봤을 때, 좌우 피봇 삽입 관통부(127a, 128a)로부터 후륜(9)의 차축 위치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뒤쪽으로 연장되어 후륜(9)을 피봇 지지한다.
변속기 케이스(18)와 후륜(9) 사이에는, 좌우 아암 부재(127, 128)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129)가 배치된다. 이 크로스 멤버(129)는 스윙 아암의 측면에서 봤을 때 좌우 아암 부재(127, 128)와 대개 중복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이들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 아암 부재(127, 128)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 구조물로 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129)의 양단부는 스윙 아암을 평면에서 봤을 때 특히 후측을 만곡시켜 후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점차 퍼져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쿠션 유닛(30)은 크로스 멤버(129)의 내부로써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그 좌단부가 좌 아암 부재(127) 내에 들어가도록 하여 부착되는 동시에, 우단부가 링크 기구(31)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18)의 후단부 하측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쿠션 유닛(30) 및 링크 기구(31)는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약간 좌측에 위치하고, 또한 쿠션 유닛(30)의 전체 길이는 스윙 아암(125)의 좌우 폭 내에 수용되고 있다.
우 아암 부재(128)에서의 우 피봇 삽입 관통부(128a)의 비스듬히 아래쪽 후방이면서 약간 차폭 방향 내측에는 링크 기구(31)의 벨 크랭크(80)를 상측만큼 전 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요동축(81)을 통해 피봇 지지하는 벨 크랭크 지지부(128c)가 형성된다. 이 벨 크랭크 지지부(128c) 및 우 아암 부재(128)의 차폭 방향 외측에는 쿠션 유닛(30) 및 링크 기구(31)의 착탈용 개구(128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륜(9)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스윙 아암(125)이 상하로 요동하면, 차체측에 연결된 링크 부재(9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벨 크랭크(80)가 요동축(81)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쿠션 유닛(30)을 스트로크시키고, 후륜(9)의 상하 운동을 수반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감쇠되어 서서히 흡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32)에서는 좌우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30)을 스윙 아암(125)에서의 크로스 멤버(129)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쿠션 유닛(30) 주위의 전후 길이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하 두께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스윙 아암(125)에서의 크로스 멤버(129)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30)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자체의 요동 스페이스를 한층 더 확보하기 쉬우며, 그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치 자체의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제1 실시예에서 좌우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30)을 스윙 아암(25)의 크로스 멤버(29)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에 배치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때, 스윙 아암(25)의 우 아암 부재(28)를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시켜 그 만곡부 내주측(위쪽)에 쿠션 유닛(30)을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크로스 멤버(29)에 의해 쿠션 유 닛(30)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로 연장하는 쿠션 유닛(30)을 변속기 케이스(18)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하고, 그 일측을 변속기 케이스(18)에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쪽을 링크 기구(31)를 통해 스윙 아암(25)에 부착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스윙 아암(25, 125)을 엔진(15)이 아니라 차체 프레임(6)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거나, 또는 엔진(15) 및 차체 프레임(6)의 양방에서 피봇 지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엔진 형식이나 차체 프레임의 세부 구성이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쿠션 유닛을 좌우로 연장시켜 스윙 아암의 상하 요동에 따라 작용 방향 변환 기구를 통해 스트로크 시킴으로써, 쿠션 유닛을 상하나 전후로 연장시키는 경우에 비해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나 전후 길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 자체의 전후 길이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 자체의 좌우 폭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작용 방향 변환 기구를 간단히 구성하여 신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스윙 아암에어서의 크로스 멤버 근방의 강성이 높은 부위에 쿠션 유닛이 배치되고, 이 쿠션 유닛의 부착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을 이루는 한쪽 아암 부재로부터 갈매기 형상을 이루는 다른쪽 아암 부재에 걸쳐 쿠션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다른쪽 아암 부재의 만곡부 내주측에서 쿠션 유닛과 작용 방향 변환 기구가 연결됨으로써, 스윙 아암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장치 자체의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스윙 아암에서의 크로스 멤버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쿠션 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콤팩트한 유닛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장치 자체의 상하 두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고,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자동 이륜차의 차체에 차륜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을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상기 스윙 아암의 요동을 감쇠시키는 쿠션 유닛을 상기 차체와 스윙 아암 사이에 부착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서,
    상기 쿠션 유닛을 좌우로 연장시켜 설치하고, 상기 쿠션 유닛과 스윙 아암 사이에 상기 스윙 아암의 요동 변위를 상기 쿠션 유닛의 스트로크로 변환하는 작용 방향 변환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을 차량 전후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스윙 아암의 좌우 폭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는 링크 부재와 벨 크랭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은 좌우 아암 부 재를 크로스 멤버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크로스 멤버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아암 부재의 한쪽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직선적으로 설치되고, 그 주위에는 상기 차체측 엔진과 차륜 사이에 걸치는 동력 전달 띠가 배치되며, 상기 좌우 아암 부재의 다른쪽은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만곡하는 갈매기 형상이 되며, 상기 쿠션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한쪽 아암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쿠션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다른쪽 아암 부재의 만곡부 내주측에서 상기 작용 방향 변환 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은 좌우 아암 부재를 크로스 멤버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유닛을 상기 크로스 멤버의 내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유닛의 상하 폭을 차량의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스윙 아암의 상하 폭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KR1020060070729A 2005-07-29 2006-07-27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KR100822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0899 2005-07-29
JP2005220899A JP4684788B2 (ja) 2005-07-29 2005-07-29 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028A true KR20070015028A (ko) 2007-02-01
KR100822488B1 KR100822488B1 (ko) 2008-04-15

Family

ID=3767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729A KR100822488B1 (ko) 2005-07-29 2006-07-27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684788B2 (ko)
KR (1) KR100822488B1 (ko)
CN (1) CN100500503C (ko)
DE (1) DE102006034773B4 (ko)
IT (1) ITTO20060465A1 (ko)
TW (1) TW2007201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610118U (zh) * 2020-06-22 2021-04-1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液冷卻裝置的跨坐型車輛
DE102021102300A1 (de) 2021-02-02 2022-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riebsanordnung für ein Kraftrad sowie Kraftra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2496A1 (en) * 1981-12-18 1983-06-29 Yamaha Motor Co., Ltd.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rear wheel of a two-wheeled vehicle
JPS58194678A (ja) * 1982-05-11 1983-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H0534317Y2 (ko) * 1986-10-14 1993-08-31
JPH058786A (ja) * 1991-07-01 1993-01-19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の後輪支持装置
JPH05105170A (ja) * 1991-10-18 1993-04-27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リアスイングアーム
JPH10244985A (ja) * 1997-03-04 1998-09-14 Kawasaki Heavy Ind Ltd 自動2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3788119B2 (ja) 1999-08-04 2006-06-21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4559047B2 (ja) * 2003-08-29 2010-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6252B (ko) 2008-05-01
TW200720143A (en) 2007-06-01
KR100822488B1 (ko) 2008-04-15
JP4684788B2 (ja) 2011-05-18
DE102006034773A1 (de) 2007-02-08
CN1903650A (zh) 2007-01-31
JP2007030826A (ja) 2007-02-08
CN100500503C (zh) 2009-06-17
DE102006034773B4 (de) 2010-08-12
ITTO20060465A1 (it)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688B2 (en) Motorcycle frame
JP4837531B2 (ja) 後輪懸架構造
JP4291184B2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KR100558424B1 (ko)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JP3989378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レーム構造
KR100822488B1 (ko)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WO2006003759A1 (ja) 自動二輪車
JP2004249774A (ja) 自動二輪車
JP4133282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エアクリーナの配置構造
JP2006044640A (ja) 鞍乗型車両、及び、リヤアーム取付方法
JP5295590B2 (ja) 自動2輪車の燃料ポンプ配置構造
US9815521B2 (en) Exhaust system of saddle-ride type vehicle
JP2005119570A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構造
JP2017222255A (ja) 自動二輪車
KR100801130B1 (ko) 저상식 차량
JP5386274B2 (ja) 自動二輪車
CN216034900U (zh) 跨骑型车辆
JP6161977B2 (ja) 自動二輪車
JP4055720B2 (ja) 雪上車に搭載される4サイクルエンジン
JP2528623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スク―タ型自動二輪車
JP415353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JP3643130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JP4123747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雪上車
JP2016147564A (ja) 鞍乗り型車両のドライブチェーン周辺構造
JP2006123654A (ja) 鞍乗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