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916B1 -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916B1
KR100518916B1 KR10-1999-7009825A KR19997009825A KR100518916B1 KR 100518916 B1 KR100518916 B1 KR 100518916B1 KR 19997009825 A KR19997009825 A KR 19997009825A KR 100518916 B1 KR100518916 B1 KR 10051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ovable
blades
movable blade
record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234A (ko
Inventor
노무라아키오
무라코시케이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2Slitting marginal portions of the work, i.e. forming cuts, without removal of material, at an angle, e.g. a right angle, to the edg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8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47Plural tools successively actuated at same station
    • Y10T83/4473During one dwell peri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04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05Cam or eccentric revolving about fixed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04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09Fixed axis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17Axially entending cutting edge
    • Y10T83/8818Axially progressing c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28Plural tools with same driv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35And means to move cooperating cutt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43Cam or eccentric revolving about fixed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47Screw actuated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5Fixed axis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54Progressively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47Shea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54Reciprocable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OS(Poin-Of-Sale)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 캐쉬 레지스터 등의 프린터에 관하고, 특히 기록지를 임의길이로 절단 또는 부분적으로 절단하거나 기록지를 일부 남기고 절단하는 커터장치를 갖춘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기록지의 폭방향의 사이즈를 크게하지 않아 기록지를 찢는 힘의 불균형이 적으며, 기록지의 절단잔류부분의 절단궤적의 외관이 양호하고 또한 기록지의 절단잔류부분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터장치(4)를 기록지(S)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의 한쪽 근방에 배치된 고정블레이드(7)와, 고정블레이드(7)에 대해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반송경로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블레이드(7)와 교차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제 1 가동블레이드(8)와, 제 1 가동블레이드에 대해 기록지(S)의 종이 폭방향의 소정위치에 인접 배치되고, 고정블레이드(7)에 대해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반송경로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블레이드(7)와 교차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제 2 가동블레이드(8)와, 제 1 가동블레이드(7) 및 제 2 가동블레이드(8)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CUTTER DEVICE AND PRINTER USING THIS}
본 발명은 예를들면 POS(Point-Of-Sale)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 캐쉬 레지스터 등의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지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 또는 부분적으로 절단하거나 기록지를 일부 남기고 절단하는 커터장치 및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터장치로서는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고정블레이드와 가동블레이드를 구비하며, 가동블레이드를 이동시켜 고정블레이드와 교차함으로써 기록지를 절단하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와같은 커터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4-365589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 칼날선이 가동블레이드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된 가동블레이드를 이동시키고, 기록지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속하여 절단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개평1-289697호 및 일본국 특공평8-22517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커터장치는 블레이드 칼날선이 V자형으로 파여진 가동블레이드를 이동시키고, 기록지를 양측으로부터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5-104484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커터장치는 반송경로의 좌우에 설치된 회전가능한 가동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기록지를 양측으로부터 클립핑방식(clipping method)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커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커터장치의 경우, 조작자가 잡기 전에 절단된 기록지가 상실되지 않도록 기록지를 부분적으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이하 부분적으로 남겨지는 부분을 "절단잔류부분"이라함).
일본국 특개평4-3655589호공보에 기재된 커터장치는 절단잔류부분이 기록지의 측면이 되지만 반송경로의 폭이 기록지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록지의 위치가 좌우로 약간 어긋나면 절단잔류부분의 폭이 넓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절단잔류부분을 바르게 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다.
절단잔류부분이 넓어지면 기록지 절단 이후 조작자가 절단잔류부분을 잡아당길때 반송경로 상의 기록지를 찢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절단잔류부분의 궤적이 대각선이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역으로 절단잔류부분이 너무 좁으면 조작자가 이 기록지를 잡기 전에 절단잔류부분이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국 특공평8-22517호 공보에 기재된 커터장치는 상술한 문제는 없지만 절단잔류부분이 기록지의 폭 중앙이 되기 때문에 절단된 기록지의 자세가 좌우로 경사져 그 자세가 안정되지 않으므로 조작자가 잡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절단잔류부분을 중앙부로부터 치우치게하면 V자형으로 절단된 좌우 블레이드의 조건이 변하게되어 가동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에 불평형이 발생하고, 그 결과 가동블레이드가 경사져 안정된 절단을 할 수 없으므로 절단이 질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 폭의 중앙부분에 한정해야 한다.
또, 특개평 5-104484호에 기재된 것에서는 클리핑식 가동블레이드의 회동축을 반송경로의 양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반송경로의 좌우 양측에 스페이스를 요하게 되어 장치 전체가 폭방향으로 크게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커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서 고정블레이드 및 가동블레이드의 배치 및 부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에서 커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가압 축의 장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에서 커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본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록지를 가볍고 안정된 힘으로 절단하고, 절단궤적의 외관이 양호하며, 기록지 절단잔류부분의 위치를 폭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면서 기록지의 폭방향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는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의 실시예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실시예의 프린터(1)는 POS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 캐쉬 레지스터 등에 적용되는 도트 임팩트 프린터로서 리본 카세트(3)가 착탈가능한 프린터 본체(2)와, 이 프린터 본체(2)의 뒷쪽에 설치된 기록지(S)의 수용부(2a)로 구성된다.
프린터 본체(2)에는 기록지(S)에 대하여 소정의 활자인쇄를 하는 인자 헤드(도시생략)와, 인자위치에 기록지(S)를 이송하기 위한 기록지 이송기구(도시생략)와, 인자된 기록지(S)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터장치(4)는 프린터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하에 설명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내부구조를 표시하기 위해 상면을 덮은 커터 커버(6)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2b는 동 커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a는 본 실시예의 형태에 따른 고정블레이드 및 가동블레이드의 배치 및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 형태의 커터장치(4)는 커터프레임(5)과, 커터커버(6)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커터프레임(5)은 예를들면 도금강판 등의 금속판을 절곡한 상자형의 부재로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한쪽의 긴 에지부에 스텐레스제품의 고정블레이드(7)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형태의 경우 고정블레이드(7)는 길이가 길다.
그리고, 기록지(S)의 반송경로(R)를 사이에 두고 고정블레이드(7)의 반대측에는 대략 3각형으로 형성된 스텐레스제품의 제1가동블레이드(8) 및 제2가동블레이드(9)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의 폭 중앙에서 벗어나게 배치 하기위해 제1가동블레이드(8)가 제2가동블레이드(9)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반송경로(R)로 부터 떨어진 단부에는 고정블레이드(7) 측으로 돌출한 이동안내부(8b)(9b)가 형성되고, 이것의 이동안내부(8b)(9b)는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대기시에도 고정블레이드(7) 위로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칼날부(8a)(9a)의 칼날선은 고정블레이드(7)의 칼날부(7a)와 제1 및 제2가동블레이드(8)(9)의 칼날부(8a)(9a)와의 사이 간격이 고정블레이드(7)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을 향하여 확대되도록 고정블레이드(7)의 칼날부(7a)의 칼끝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a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 가동블레이드(8)와 제2 가동블레이드(9)는 고정블레이드(7)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K) 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칼날부(8a)(9a)의 칼날선은 고정블레이드(7)의 칼날부(7a)에 대하여 대략 V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구동기구(10)에 의해 구동된다. 즉, 도 2a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모터M과 이 구동모터M의 토크를 제1 및 제2가동블레이드(8)(9)에 전달하기 위한 모터치차(11), 감속치차(12), 웜(13), 구동치차(14)로 구성된다. 본실시예에서는 구동기구(10)는 커터커버(6)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모터M는 커터커버(6)로 부터 굽어져 세워진 부착판(6a)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감속치차(12)와 웜(13)에는 부착판(6a)(6b)에 걸쳐진 금속제의 감속축(2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웜(13)과 감속치차(12)의 대향 단면 각각에는 클러치(20)가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러치(20)는 산형상의 라쳇과 클러치 스프링(18)으로 구성되며, 산형상의 라쳇은 웜(13)과 감속치차(12)의 대향하는 각각의 단면에 회전방향을 따라서 상호 치합하며, 클러치 스프링(18)은 감속축(26) 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감속치차(12)를 웜(13)에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웜(13)과 치합하는 원반형의 구동치차(14)는 커터커버(6)에 고착된 지지축(1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구동치자(14)의 상면에는 구동핀(15)이 설치된다. 그리고, 커터 프레임(5)에는 긴 금속제의 링크 레버(16)가 지지축(16a)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링크 레버(16)의 선단부분에 형성된 긴 구멍(16b)과 구동치차(14)의 구동핀(15)이 계합하여 구동치차(14)의 회전에 따라 링크 레버(16)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 링크 레버(16)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긴 구멍(16c)과 후술하는 슬라이드판(19)에 설치된 슬라이드 구동핀(22)이 계합하여 링크 레버(16)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판(19)이 왕복운동을 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드판(19)은 4각형의 금속제의 부재로 되고, 그 중앙부분에 상술한 슬라이드 구동핀(2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판(19)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뻗은 3개의 긴 구멍(19b)과, 상측에 돌출하는 4개의 돌기(19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판(19)의 긴 구멍(19b)은 커터 프레임(5)으로 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5b)와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또, 슬라이드판(19)의 돌기(19c)는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에 설치된 구멍부(8d)(9d)에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1 또는 제2가동블레이드(8)(9)와 중첩하여 장착되는 부착부의 중앙 부근에는 가압축(17)이 설치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압축(17)은 와셔(17a)를 통해서 커터 프레임(5)의 긴 구멍(5a)과 슬라이드판(19)의 구멍부(19a) 및 제1 또는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구멍부(8c)(9c)를 관통하여 부착된다.
가압축(17)에 장착된 압축코일 스프링(21)을 와셔(24)를 통해 유지링(25)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는 (슬라이드판(1)을 통해서) 커터 프레임(5) 또는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이동안내부(8b)(9b)나 칼날부(8a)(9a)를 고정블레이드(7)에 부세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21)의 강도는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각각의 경사도, 전단각도 등에 따라 설정된다.
또, 도 3b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드판(19)은 고정블레이드(7)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에 대하여 적절한 경사각도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b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터 커버(6)에는 구동치차(14)의 상부에 검출기(23)가 부착되고, 구동치차(14)에 설치된 캠(14b)에 검출기(23)가 온-오프됨으로써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의 대기위치가 검출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면 모터치차(11), 감속치차(12), 웜(13)을 통해 그 토크가 구동치차(14)에 전달되어 구동치차(14)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링크 레버(16)가 도 2a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판(19)의 긴 구멍(19b)이 커터 프레임(5)의 돌기(5b)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슬라이드판(19)과 계합하는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도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블레이드(7)의 칼날부(7a)에 대하여 제1 및 제2가동블레이드(8)(9)의 칼날부(8a)(9a)가 거리L 만큼 미끄럼 접촉 함으로써 기록지S가 절단된다.
또, 절단동작 중에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와 고정블레이드(7) 사이에 이물질 등이 끼워져 로크 상태가 될 때는 감속치차(12)와 웜(13)의 클러치부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커터의 구성부재가 보호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실시예 형태에 의하면 고정블레이드(7)와 교차 미끄럼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를 설치하므로 기록지(S)의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S)의 측면부 이외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절단잔류부분을 일정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록지(S)가 반송로 내에서 좌우 어느쪽으로 치우쳐져 절단되어도 절단잔류부분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므로 절단시에 기록지를 인출하는 힘을 증대시키지 않고도 절단궤적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가 별도로 구성되므로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S)의 폭 중앙부분으로부터 벗어날때 각 블레이드에 대한 하중이 달라 불평형이 되어도 가동블레이드와 고정블레이드의 절단조건이 변하지 않으며, 종래 기술의 경우 예를들어 불평형에 의해 한쪽 가동블레이드의 접촉압력이 작아짐으로써 가동블레이드와 고정블레이드 사이에 기록지가 인입되어 절단불량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점이 없으며, 절단의 질이 양호하다.
또, 본 실시예의 형태에 의하면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는 슬라이드 방식에 적합하므로 기록지(S)의 폭 가까운 범위에 가동블레이드를 제한할 수 있고, 소형의 커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형태에 의하면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16)를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9)에 결합하므로 구성이 간소한 커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 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내부구조를 표시하기 위해 상면을 덮은 커터 커버(6)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5a는 동 커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동 커터 장치의 가압축의 부착부의 단면도, 도 6은 동 커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터장치(4A)는 구동기구(10A)에 있어서 이른바 클립방식의 제1가동블레이드(8A)를 이용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터 프레임(5)의 한쪽 에지부에 고정블레이드(7)가 설치되는 동시에 고정블레이드(7)의 베이스부(70)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가동블레이드(8A)가 지지축(8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축(80)에는 제1 가동블레이드(8A)를 고정블레이드(7)에 대하여 부세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81)이 장착된다. 또, 지지축(80)의 가동블레이드(8A)의 칼날부(8a)와 반대측에는 제1 가동블레이드(8A)를 고정블레이드(7)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기 위해 고정블레이드(7)와 제1 가동블레이드(8A) 사이에 협지된 스페이서(71)를 고정블레이드(7)의 베이스부(70)에 고착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 가동블레이드(8A)에는 구동치차(14)의 구동핀(15)과 계합하는 긴 구멍(81)과 그 근방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핀(8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 형태의 제2 가동블레이드(9A)는 대략 4각형의 부재로되고,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칼날부(9a) 및 이동안내부(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가동블레이드(9A)에서 앞쪽의 단부 근방에는 화살표A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9A)이 형성되고, 뒤쪽 긴 구멍(81)과 반대측이 되는 단부 근방에는 화살표A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90)이 형성된다. 또, 위쪽으로 돌출하는 구동핀(32)이 설치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터 프레임(5)에는 가압축(92)이 장착되며, 이 가압축(92)은 긴 구멍(90)을 관통하는 동시에 압축 코일 스프링(93)이 감겨있다. 또, 압축 코일 스프링(93)은 가압와셔 (94)를 사이에 두고 고정블레이드(7)와 후술하는 지지부(50)(51)에 대하여 제2가동블레이드(9A)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 가동블레이드(9A)는 그 이동안내부(9b)가 고정블레이드(7)로 상승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커터 프레임(5)에 설치된 지지부(50)(51)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고정블레이드(7)의 두께를 a, 지지부(50)의 두께를 b, 지지부(51)의 두께를 c라고 하면, a>b>c와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블레이드(7)에 대하여 제2 가동블레이드(9A)의 칼날부(9a)의 칼날선을 경사지게하여 기록지(S)의 절단에 필요한 교차 미끄럼이동 조건을 확보하고, 기록지(S)의 안정된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또, 제2가동블레이드(9A)의 한쪽 에지부에는 화살표A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91)이 형성되고, 이 긴 구멍(91)에 대응하는 커터 프레임(5)의 부분에는 긴 구멍(91)을 관통하는 지지축(31)이 설치된다. 이 지지축(31)에는 긴 링크 레버(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링크 레버(30)의 중앙측에는 긴 구멍(33)이 설치되고, 이 긴 구멍(33)은 제2 가동블레이드(9A)의 구동핀(32)과 계합하고 있다.
또, 링크 레버(30)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34)이 설치되고, 제1가동블레이드(8A)의 구동핀(82)과 링크레버(30)의 긴 구멍(34)이 계합함으로써 링크 기구가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형태에 있어서,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면 모터치차(11), 감속치차(12), 웜(13)을 통해 그 토크가 구동치차(14)에 전달되어, 구동치자(14)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가동블레이드(8A)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링크 레버(3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가동블레이드(9A)가 화살표 A방향으로 거리L만큼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가동블레이드(8A)와 제2 가동블레이드(9A)가 각각 도 4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기록지(S)가 절단된다. 이 경우 제1가동블레이드(8A)의 칼날부(8a)와 제2가동블레이드(9A)의 칼날부(9a)는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절단 잔류폭)K 만큼 이간하도록 구성되고, 그것에 의해 기록지(S)는 소정의 절단잔류폭K 만큼 남겨져 절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전 실시예의 형태와 같이 기록지(S)의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S) 측면 이외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른바 클리핑방식의 제1가동블레이드(8A)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가동블레이드(8A)(9A)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작게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가동블레이드만이 클리핑방식이므로 기록지의 폭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절단성이 우수한 커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형태는 구동기구(10B)에 있어서, 링 레버를 이용할 수 없는 제2 가동블레이드(9B)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이하 상기 실시예들과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가동블레이드(8B)의 선단부에 계합부(85)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2 가동블레이드(9B)에 제1 가동블레이드(8B)의 계합부(85)와 계합하는 2개의 계합부(93)(9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가동블레이드(9B)의 계합부(93)(94)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 가동블레이드(8B)가 회전함으로써 그 계합부(85)가 제2 가동블레이드(9B)의 계합부(93)(94)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터 프레임(5)에 가이드 핀(5c)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핀(5c)이 제2가동블레이드(9B)에 형성된 화살표A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용 긴 구멍(95)과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모터M을 구동시키면 모터치차(11), 감속치차(12), 웜(13)을 통해 그 토크가 구동치차(14)에 전달되어 구동치차(14)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가동블레이드(8B)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제1 가동블레이드(8B)의 칼날부(8a)에 의해 기록지(S)의 한쪽측 부분이 절단되는 동시에 제1가동블레이드(8B)의 계합부(85)가 제2 가동블레이드(9B)의 계합부(93)와 계합함으로써 제2 가동블레이드(9B)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지(S)의 다른 쪽 부분이 절단되고, 이것에 의해 기록지(S)는 소정의 절단잔류폭K 만큼 남기고 절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들의 형태와 동일하게 기록지(S)의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S) 측부분 이외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링크 레버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장치의 제4실시예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장치의 평면도이고, 내부구조를 표시하기 위해 상면을 덮는 커터 커버(6C)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8b는 동 커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실시 형태는 고정블레이드(72)를 가동블레이드(8c)(9c)와 대향하는 절단위치로부터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 실시예들과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블레이드(72)는 지지체(78)의 지지축(77)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에 부착된다. 한편 제1 가동블레이드(8C)는 지지축(80)에, 고정날(72)과 같은 판 두께를 갖는 가동블레이드 받이(79)를 통해 부착된다. 또 스페이서(71)는 제1 가동날(8C)을 고정블레이드(72)에 대해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고정블레이드 받이(79)에 고착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가동블레이드(8C)는 지지축(80)의 근방에 계합부(85)를 구비하고, 한편 고정블레이드(72)는 고정블레이드(72)가 절단하는 위치에 있을 때 계합부(85)와 근접하여 대향하는 볼록부(72a)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가동블레이드(8C)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가동블레이드(8C)의 볼록부(86)가 고정블레이드(72)의 오목부(72b)로 상승함으로써 클리핑 방식(clipping type)의 절단조건이 확보된다.
한편 제 2가동블레이드(9C)는 반송경로의 외측에 볼록부(96)를 구비하고, 고정블레이드(72)는 볼록부(96)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 2가동블레이드(9C)를 상부로 안내하는 사면을 갖는 볼록부(72c)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가동블레이드(9C)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볼록부(96)가 볼록부(72c)로 상승해 감으로써 슬라이드식의 절단조건이 확보된다.
제 2가동블레이드는 커터프레임(5C)에 배치한 지지부(50)(51)(52)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의 지지부의 두께 b,c,d는 고정블레이드(72)의 두께 e와 e>d>b>c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블레이드(72)에는 볼록부(72d), 오목부(72e)가 배치되며, 고정블레이드의 볼록부(72d)는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에 배치된 고정블레이드 지지부(75a)에 요동할 수 있도록 감입되고, 고정블레이드(72)의 오목부(72e)는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에 배치된 돌출부(75c)와 계합하여 고정블레이드(72) 좌우의 위치를 정하고 있다. 또 고정블레이드(72)는 커터프레임(5C)에 배치된 판형상의 스프링(73)(74)에 의해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에 눌려지게 된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은 절개부(75b)가 지지체(78)에 배치된 스토퍼축(76)에 닿음으로써 절단될 때의 위치가 정해진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지(S)를 프린터에 셋트할 때는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을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고정블레이드(72)를 제 1가동블레이드(8C) 및 제 2가동블레이드(9C)로 부터 이격시킨다. 다음 예를들어 롤지를 개구부에서 화살표 E방향에서 도시하지 않은 수용부로 수용함과 동시에 기록지(S)의 상단부를 커버프레임(6C)에서 위로 끌어낸 상태로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을 화살표 D와 역방향으로 스토퍼축(76)에 닿을 때 까지 회전함으로써 기록지의 셋트는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지(S)의 셋트시에 제 1 가동블레이드(8C) 및 제 2가동블레이드(9C)와 고정블레이드(72)사이의 좁은 틈 사이에 종이가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 기록지(S)의 반송경로의 설계가 용이해 짐과 동시에 종이 걸림의 염려도 적게 되고, 또 기록지의 셋트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들어 종이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정블레이드 프레임(75)을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린종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가동블레이드를 크기가 다른 형상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가동블레이드의 칼날부의 길이를 같게 하여 절단잔류부분을 기록지 폭의 중앙부분이 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트방식을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블레이드 슬라이드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한쪽을 톱날의 길로틴(Guillotine)식 등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 1 및 제 2 가동블레이드에 대한 고정블레이드를 공용하도록 했지만 각 가동블레이드에 대해 따로 배치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록지를 절단하는 장치를 예로써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병렬한 2개의 기록지를 절단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기록지를 부분적으로 잘라남겨 절단하는 커터장치에 적용하는 경우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트 임팩트방식의 프린터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서멀방식이나 잉크젯방식 등 여러가지의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커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는 예를들어 POS(Point-Of-Sale)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 캐쉬 레지스터 등의 프린터에 유용하며, 특히 기록지를 임의길이로 절단 또는 부분적으로 절단하거나 기록지를 일부 남기고 절단하는 커터장치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9)

  1. 기록지(S)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R)의 한쪽 근방에 배치된 고정블레이드(7,72)와,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에 대해 상기 반송경로(R)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상기 반송경로(R)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와 교차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제 1 가동블레이드와(8,8A,8B,8C),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8A,8B,8C)에 대해 기록지(S)의 종이 폭방향의 소정위치에 인접배치되고,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에 대해 상기 반송경로(R)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상기 반송경로(R)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와 교차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제2 가동블레이드(9,9A,9B,9C)와,
    상기 제 1가동블레이드(8) 및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9A,9B,9C)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가동블레이드 및 제2가동블레이드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반송경로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직선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2. 기록지(S)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R)의 한쪽 근방에 배치된 고정블레이드(7,72)와,
    지지축(8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에 대해 상기 반송경로(R)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상기 반송경로(R)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와 교차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제 1 가동블레이드(8A,8B,8C)와,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에 대해 상기 반송경로(R)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상기 반송경로(R)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블레이드(7,72)와 교차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제 2 가동블레이드(9A,9B,9C)와,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A,8B,8C) 및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A,9B,9C)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0A)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가동블레이드 및 제2가동블레이드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반송경로를 대략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직선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8A,8B,8C)와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9A,9B,9C)가 링크기구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B)와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B)에 계합부(85,93,94)가 배치되고, 이들 계합부(85,93,94)의 계합에 의해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B)와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B)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레이드(72)가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C) 및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C)에서 이격가능한 고정블레이드 지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6. 프린터 본체(2)와,
    이 프린터 본체(2)에 배치되어 기록지(S)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헤드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커터장치(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레이드(72)가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C) 및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C)에서 이격가능한 고정블레이드 지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레이드(72)가 상기 제 1 가동블레이드(8C) 및 상기 제 2 가동블레이드(9C)에서 이격가능한 고정블레이드 지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장치.
  9. 프린터 본체(2)와,
    이 프린터 본체(2)에 배치되어 기록지(S)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헤드와,
    청구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커터장치(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9-7009825A 1998-02-25 1999-02-24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KR100518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316398A JP3711734B2 (ja) 1998-02-25 1998-02-25 カ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98-43163 1998-02-25
PCT/JP1999/000865 WO1999043503A1 (fr) 1998-02-25 1999-02-24 Dispositif de coupe et imprimante dotee dudit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234A KR20010020234A (ko) 2001-03-15
KR100518916B1 true KR100518916B1 (ko) 2005-10-06

Family

ID=1265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825A KR100518916B1 (ko) 1998-02-25 1999-02-24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05625B1 (ko)
EP (1) EP0985542B1 (ko)
JP (1) JP3711734B2 (ko)
KR (1) KR100518916B1 (ko)
CN (1) CN1151030C (ko)
DE (1) DE69935765T2 (ko)
WO (1) WO1999043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256601A0 (en) * 2001-01-17 2001-02-0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n apparatus (AP29)
JP3730153B2 (ja) * 2001-10-18 2005-12-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のカッター装置
KR100432500B1 (ko) * 2002-02-15 2004-05-20 코리아프린팅시스템 주식회사 미니 프린터용 절단장치
US7446897B2 (en) * 2003-04-04 2008-11-04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Transactional printer with slip processing mechanism
US7197971B2 (en) * 2003-07-18 2007-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for trimming sheet material
US20050061132A1 (en) * 2003-08-19 2005-03-24 Seiko Epson Corporation Cutter unit, half-cutting mechanism, and tape printer
JP4455091B2 (ja) * 2004-02-20 2010-04-21 スター精密株式会社 用紙カッター
US8690463B2 (en) * 2004-11-12 2014-04-08 Toshiba Gloab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Receipt printer configurable for full or partial cut
CN100384638C (zh) * 2005-04-28 2008-04-30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带有切纸装置的打印单元以及带有该打印单元的打印机
JP4715457B2 (ja) 2005-11-16 2011-07-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4715612B2 (ja) 2006-04-19 2011-07-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2008068340A (ja) * 2006-09-12 2008-03-27 Nippon Primex Inc シートカッタ
KR100879969B1 (ko) * 2008-09-19 2009-01-23 주식회사 창신테크 프린터의 인쇄용지 커팅모듈
US8020478B2 (en) * 2008-10-14 2011-09-20 Li-Ming Cheng Window shade cutting apparatus
JP5396884B2 (ja) * 2009-01-29 2014-01-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ー
US8539869B2 (en) * 2009-02-03 2013-09-24 Brady Worldwide, Inc. Guillotine cutter
JP5304319B2 (ja) * 2009-03-02 2013-10-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オートカッターおよびオート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ー
US20100269664A1 (en) * 2009-04-22 2010-10-28 Mike Majchrowski Servo pouch knife assembly
JP5684015B2 (ja) * 2011-03-18 2015-03-11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印刷装置のカッター機構への駆動力伝達装置
WO2012164737A1 (ja) * 2011-06-03 2012-12-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オートカッタ装置及びプリンタユニット
JP5801222B2 (ja) * 2012-02-27 2015-10-2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カッタ装置およびプリンタ
KR101282299B1 (ko) * 2012-12-21 2013-07-10 이일복 프린터의 커터
JP6092621B2 (ja) * 2012-12-28 2017-03-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5971595B2 (ja) * 2013-04-10 2016-08-17 Smc株式会社 パンチ装置
DE102013009872B4 (de) * 2013-06-13 2018-09-27 Hengstler Gmbh Abschneider für streifenförmige Materialien aller Art
JP6403399B2 (ja) * 2014-02-28 2018-10-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2015174161A (ja) * 2014-03-13 2015-10-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ット装置、プリンタ装置及びカット装置の制御方法
JP6507892B2 (ja) * 2014-08-25 2019-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ッター駆動機構、カッターおよびプリンター
CN105599351A (zh) * 2016-01-22 2016-05-25 李峰 纸箱开槽模切机及其开槽工艺
CN105996880B (zh) * 2016-07-21 2020-06-16 杭州迅行物联网科技有限公司 纸巾毛巾切割机构
CN107128084B (zh) * 2016-10-31 2023-02-28 深圳市鼎戟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打印机的刀片和刀片组合以及打印机
US10442099B2 (en) * 2016-11-10 2019-10-15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full cut and a partial cut of paper
CN106945412B (zh) * 2017-03-08 2023-01-10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全半切的双刀结构及其打印机
CN107097538B (zh) * 2017-04-13 2023-01-31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打印机的高效防卡死的装置
CN108724970A (zh) * 2017-04-21 2018-11-02 上海寺冈电子有限公司 用于条码秤的打印机
CN106945090B (zh) * 2017-05-05 2018-10-30 浙江班萘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生产用高精度切膜装置
CN107263567A (zh) * 2017-07-04 2017-10-20 太仓市鑫鹤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可适应不同尺寸纸张的裁切装置
CN107309926A (zh) * 2017-07-17 2017-11-03 吴保霞 一种切肉效果好的切肉机
KR101970512B1 (ko) 2017-08-08 2019-04-22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휴대용 프린터
JP7068571B2 (ja) * 2017-12-28 2022-05-17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
JP6930474B2 (ja) * 2018-03-30 2021-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切断装置
JP6927120B2 (ja) * 2018-03-30 2021-08-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切断装置
CN112055659A (zh) * 2018-08-30 2020-12-08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切割器组件和打印机
CN110125994B (zh) * 2019-06-06 2023-12-12 常州聚豪电气有限公司 一种麦拉管自动切割机
US11498345B2 (en) * 2019-07-30 2022-11-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utter unit including fixed blade and movable blade to cut item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CN111775574B (zh) * 2020-07-02 2021-08-20 上海柏楚数控科技有限公司 切割喷码系统、切割喷码的控制方法、装置、设备与介质
CN114986580B (zh) * 2022-05-31 2024-02-27 安徽普瑞康医药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聚酯胶片生产用等距切断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3958A (en) * 1949-05-19 1951-01-02 Westinghouse Garrard Ticket Ma Improvements relating to cutting devices for ticket issuing and like machines
FR2103090A5 (ko) * 1970-07-25 1972-04-07 Siemag Siegener Masch Bau
US3691890A (en) * 1971-04-30 1972-09-19 Hercules Mfg Co Inc Shearing machine
JPH0822517B2 (ja) 1988-05-11 1996-03-06 日立金属株式会社 ペーパーカッタ
US5090285A (en) 1987-12-14 1992-02-25 Hitachi Metals, Ltd. Sheet cutter
JP2759349B2 (ja) * 1989-08-11 1998-05-28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単板の切断装置
JPH04365589A (ja) 1991-04-25 1992-12-17 Tokyo Electric Co Ltd カッター装置
JPH05104484A (ja) 1991-10-15 1993-04-27 Hitachi Metals Ltd シート材切断装置
DE4229518A1 (de) * 1992-09-04 1994-03-10 Agfa Gevaert Ag Schneideinrichtung für Fotopapier
US5347699A (en) * 1992-12-11 1994-09-20 Abb Power T&D Company Inc. Partial cut shearing device
JPH0822517A (ja) 1994-07-05 1996-01-23 N T T Data Tsushin Kk ハイブリッドカードの改ざん防止方式
JPH0919886A (ja) * 1995-07-06 1997-01-21 Hitachi Metals Ltd シート切断装置
JPH0919887A (ja) * 1995-07-07 1997-01-21 Seiko Epson Corp オートカッタ
DE69607292T2 (de) 1995-11-21 2000-08-31 Seiko Epson Corp Drucker mit Schneid- und Schutz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0216A (ja) 1999-09-07
WO1999043503A1 (fr) 1999-09-02
US6405625B1 (en) 2002-06-18
EP0985542A4 (en) 2001-05-09
JP3711734B2 (ja) 2005-11-02
EP0985542B1 (en) 2007-04-11
US20020020273A1 (en) 2002-02-21
DE69935765T2 (de) 2007-12-27
EP0985542A1 (en) 2000-03-15
CN1151030C (zh) 2004-05-26
KR20010020234A (ko) 2001-03-15
DE69935765D1 (de) 2007-05-24
CN1263500A (zh)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916B1 (ko) 커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린터
US6508600B1 (en) Printer
EP0990530B1 (en) Cutting apparatus and printer having the same
EP0764542B1 (en) A printing apparatus having an auto cutter
JP2011104674A (ja) 用紙切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
JPH10147023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6699288B2 (ja) 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3711677B2 (ja) プリンタ
JP3438255B2 (ja) プリンタの紙案内及びプリンタ
CN212073377U (zh) 热敏打印机
JP3565112B2 (ja)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EP1063094A1 (en) Printer with driving mechanism by single motor for both sheet transferring mechanism and sheet cutting mechanism
JP3274910B2 (ja) プリンタ
JP2517763Y2 (ja) プリンタ
JPH10258555A (ja) ペーパーカッター装置
JP2001030558A (ja) カ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2539831B2 (ja) 印字装置
JP3575327B2 (ja) カッタ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2898505B2 (ja) リボンプロテクタ取付け構造
JP3440568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651512B2 (ja) プリンタ
JPH05261988A (ja) オートカッター
JP2005225003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0318901A (ja) プリンタ
JPH0499668A (ja) カ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